WO2024019548A1 - 전극 조립체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19548A1
WO2024019548A1 PCT/KR2023/010446 KR2023010446W WO2024019548A1 WO 2024019548 A1 WO2024019548 A1 WO 2024019548A1 KR 2023010446 W KR2023010446 W KR 2023010446W WO 2024019548 A1 WO2024019548 A1 WO 20240195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battery
uncoat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04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ublication of WO20240195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195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tubular or cylind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 cylindrical battery including the same, a battery pack, and an automobil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that facilitates impregnation of electrolyte, discharge of gas, and reduces the risk of fire due to short circuit, a cylindrical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a battery pack.
  •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extending up and down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ttery can be applied.
  • a current collector plate may be used as an intermediate medium to connect each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to the cell terminal and the battery can, respectively.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plate may cover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be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plate may cover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be combin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tab. Additionally, the positive current collector plat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ell terminal, and the negative current collector plat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can.
  • the current is concentrated on the strip-shaped electrode tab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uncoated area and/or the negative electrode uncoated area, so the resistance is large, a lot of heat is generated, and the current collection efficiency is poor. There was a problem.
  • cylindrical batteries with an increased form factor had the problem that when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for a long time, the separator shrinks, causing a short circuit between electrodes, and the risk of fire increases with the increased form factor.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facilitate impregnation of electrolyte and discharge of gas, and to reduce the risk of fire due to short circuit.
  •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includes a first electrode assembly wound around a winding axis, wound around the winding axis,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positioned further away from the winding axis tha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 a second electrode assembly located further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defined by the direction,
  •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first uncoated portion not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layer along the winding direction, and a second uncoated portion not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layer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a laminate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m may be wound around the common winding axis to form a core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 At least a portion of 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divided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the segment is not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forming the core
  • the segment may not b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is located further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a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 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may be bent in the radial direction 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 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may b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 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may be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 It may include a separation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 the separation member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 the separation member may have a discontinuous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 the separation member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ies.
  • the separation member may include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housing formed with an opening on one side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through the open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top cap covering the opening; a terminal that protrudes out of the battery housing through a closed portion located opposite the open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first current collector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nd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nd the battery housing.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includes a first tab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first uncoated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And it may include a housing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battery housing.
  •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to form one electrode assembly;
  • short-circuit current may be reduced. This is because the short-circuit current is caused by a short-circuit that can occur in each of a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rather than a short-circuit that can occur in an entire electrode assembly. Therefore, the risk of fire due to short circuit can be reduced.
  •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can be easily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and easily discharge gas. This is because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gas can be easily moved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In particular, movement of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in the height direction can be smooth through the space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nding axis.
  •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may be easy to produce.
  • production defects such as misalignment
  • the possibility of production defects can be reduced because the number of windings is reduced.
  • the uncoated portion it is easy to bend the uncoated portion by forming a segmented piece.
  • the current collector on a surface formed by overlapping several layers of bent segments rather than separate tabs, it is easy to combine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nd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area through which the current can move is expanded, thereby reducing resistance.
  • the electrolyte or gas moves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it does not affect the uncoated area, preventing the uncoated area or the separator from being torn and causing a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s. You can reduce the possibility.
  • the separation member can be configured to have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to facilitate movement of electrolyte solution and gas.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lectrode assembly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lectrode assembly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mbining separation members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laminate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a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may be wound around a common winding axis.
  •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is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may be located further outward tha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in a radial direction defined as a direction away from the winding axis.
  •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winding axis than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may be located further outside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in the radial direction.
  •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There may be a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However,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may be attached without any gap.
  •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may be approximately the same.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may face each other.
  •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are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nd represent electrode assembli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must be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alone. That is,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may include two or more electrode assemblies.
  •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110 including a first uncoated portion 111 not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layer along the winding direction, and a second uncoated portion 111 not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layer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the laminate S including the second electrode 120 including the portion 121 and the separator M interposed between them may be wound around a common winding axis to form a core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210 including a first uncoated portion 211 not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layer along the winding direction, and a second uncoated portion 211 not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layer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the laminate S including the second electrode 220 including the portion 221 and the separator M interposed between them may be wound around a common winding axis to form a core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100 and 200.
  • the short-circuit curren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it is composed of a single electrode assembly. This is because the short-circuit current is caused by a short-circuit that can occur in each of a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rather than a short-circuit that can occur in an entire electrode assembly. Therefore, the risk of fire due to short circuit can be reduced.
  •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may be easily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and easily discharge gas. This is because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gas can be easily moved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In particular,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can be smoothly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through a space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nding axis.
  •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may be easy to produce. In particular, when the form factor increas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production defects, such as misalignment, will occur as the laminate including electrodes and separators is wound several times to construct one electrode assembly. However, when produc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smaller electrode assemblies, the possibility of production defects can be reduced because the number of windings is reduced.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s 110 and 120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s 210 and 220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uncoated portions 111 and 121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 pieces A divided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uncoated portions 211 and 221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 pieces A divided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the segmental piece (A) may be notched.
  • the segment (A) may be trapezoidal in shape.
  • the segmental piece (A) may be transformed into a square, parallelogram, semicircular, or semielliptical shape.
  • the height of the segment pieces A of the uncoated portions 111 and 121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the uncoated portions 111 and 121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may not form segment pieces A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forming the core when wound.
  • the height of the segment pieces A of the uncoated portions 211 and 221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may gradually decrease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the uncoated portions 211 and 221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may not form segment pieces A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when wound.
  • the segmental piece (A) may be bent in a radial direction 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 the segmental piece (A) may be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by the bending.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20 and/or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segment pieces A are overlapped in multiple layers.
  • bending of the uncoated portion is easy by forming the segment piece A.
  • the current collector on the surface formed by overlapping several layers of the bent segment A, rather than a separate tab, it is easy to combine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nd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area through which the current can move is wide. resistance can be reduced.
  •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coated portions 111 and 121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may be bent in a radial direction 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 the uncoated portions 211 and 221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may be bent in a radial direction 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 the uncoated portions 111 and 121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uncoated portions 211 and 221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may b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 to 8, the uncoated portions 111 and 121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re bent in the opposite radial direction, and the uncoated portions 211 and 221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are bent in the radial direction. You can.
  • the hole formed in the cor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is not closed by the bent uncoated portions 111 and 121.
  • the uncoated portions 211 and 221 ben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do not protrude.
  •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is also not closed by the bent uncoated portions 111, 121, 211, and 221. This is because the uncoated portions 111 and 121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re bent in opposite radial directions, and the uncoated portions 211 and 221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are bent in the radial direction.
  •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separation member 300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may include a separation member 300 .
  • the separation member 3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 the separation member 3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 the separation member 300 may have a discontinuous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 the separation member 300 may include four member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t radial intervals of 90 degrees. Each of the four members has a constant width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and the electrode assembly It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tructure 10.
  • the separation member 30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ies.
  • the separation member 300 may include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 the separation member 300 is configured to have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to facilitate movement of electrolyte and gas. can do.
  • the separation member 300 includes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o when heat or fire occurs i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hea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paration member.
  •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 cylindrical battery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ylindrical battery 5 may include a battery housing 30, a top cap 40, a terminal 50, and a first current collector 20.
  • the battery housing 30 can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through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 the battery housing 30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receptor with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n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 the battery housing 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s 110 and 210.
  • the battery housing 30 can be used as one external terminal.
  • the battery housing 30 can also accommodate electrolyte through the opening.
  • the battery housing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m.
  • Top cap 40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opening.
  • the top cap 40 may be configured to have no polarity.
  • the top cap 4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o ensure rigidity, but even in this case, it may not have polarity.
  • Top cap 40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op cap 40 not having polarity, and may have the same polarity as the battery housing 30.
  • the top cap 40 may be provided with a venting portion 41.
  • the venting portion 41 may be configured to be weak compared to the surrounding area. If the pressure inside the battery increases, the venting part 41 may break and discharge gas.
  • the venting portion 41 may be formed by partiall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top cap 40 by notching on one or both sides of the top cap 40.
  • the terminal 50 may protrude out of the battery housing 30 through a closure located opposite the opening.
  • the terminal 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s 120 and 220.
  • the terminal 50 may penetrate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housing 30.
  • the terminal 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by being combined with a second current collector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20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s 110 and 210.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2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nd the battery housing 30.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20 may include a first tab coupling portion 21 and a housing coupling portion 22.
  •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21 may be coupled to the uncoated portion 111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uncoated portion 211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21 may be located on the separation member 300.
  •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21 extends from a support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00 to one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200 and is positioned on the separation member 300. You can.
  •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22 may be coupled to the battery housing 30.
  •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22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housing 30.
  •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21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is located on the separation member 300, so that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21 is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 111) and the uncoated portion 211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it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separation member 300.
  • the cylindrical battery 5 includes a second current collector 60 and/or an insulator 80 and/or a first gasket (G1) and/or a second gasket (G2). can include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6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econd electrodes 120 and 220.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6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terminal 50.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60 may include a terminal coupling portion 61 coupled to the terminal 50 and a second tab coupling portion 62 coupled to the second electrodes 120 and 220.
  • the insulator 8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structure 10 and the battery housing 30 to insulate the battery housing 30 and the second electrodes 120 and 220.
  • the insulator 8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30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60.
  • the insulator 80 may include,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with insulating properties.
  • the insulator 80 may have a hole at approximately the center so that the terminal 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60.
  • the first gasket G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op cap 40 and the battery housing 30.
  • the first gasket G1 prevents the top cap 40 and the battery housing 30 from contacting each other.
  • the second gasket G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erminal 50 and the battery housing 30.
  • the second gasket G2 prevents the terminal 50 and the battery housing 30 from contacting each other.
  • the first gasket (G1) and the second gasket (G2)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that has insulating properties and elasticity.
  •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battery pack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pack 3 may include a cylindrical battery 5.
  • the battery pack 3 further includes various components other than the cylindrical battery 5, such as battery pack components known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BMS, bus bar, pack case, relay, current sensor, etc. can do.
  •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 ca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ttery pack 3.
  • the vehicle 1 may be a hybrid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 the automobi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various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automobile in addition to the battery pack 3.
  • the automobi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ehicle body, a motor, and a control device such as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in addition to the battery pack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ECU electronic control uni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의 함침,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단락에 인한 화재 위험성이 줄어든 전극 조립체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는, 권취축을 중심으로 권취되는 제1 전극 조립체 및 상기 권취축을 중심으로 권취되며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와 인접하며 반경 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전극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액의 함침,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단락에 인한 화재 위험성이 줄어든 전극 조립체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2년 7월19일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2022-0089220호에 대한 우선권 주장 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에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원통형 배터리에 있어서, 집전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전지 캔이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각각 양극 탭 및 음극 탭이 연장된 형태를 갖는 전극 조립체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가 적용되는 원통형 배터리에 있어서, 양극 탭 및 음극 탭 각각을 셀 단자 및 전지 캔과 각각 연결시키기 위한 중간 매개체로서 집전판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양극 집전판은 전극 조립체의 일 면을 커버하면서 양극 탭과 결합되고, 음극 집전판은 전극 조립체의 타 면을 커버하면서 음극 탭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집전판은 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극 집전판은 전지 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원통형 배터리에 의하면, 양극 무지부 및/또는 음극 무지부와 결합되는 스트립 형태의 전극 탭에 전류가 집중되기 때문에 저항이 크고 열이 많이 발생하며 집전 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865이나 2170의 폼 팩터를 가진 소형 원통형 배터리는 저항과 발열이 큰 이슈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원통형 배터리를 전기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해 폼 팩터를 증가시킬 경우, 급속 충전 과정에서 전극 탭 주변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면서 원통형 배터리가 발화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폼 팩터가 증가함에 따라 전극 조립체의 지름이 커져 기존의 폼 팩터가 작은 원통형 배터리에 비하여 전해액 주입에 따라 전해액이 전극 조립체의 중심부 또는 최외곽으로 이동하지 못하여 함침성 열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폼 팩터가 증가된 원통형 전지는 고온의 환경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분리막이 수축하게 되어 전극 간 단락이 발생되고, 증가된 폼 팩터에 따라 화재 위험성도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원통형 배터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원통형 배터리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해액의 함침,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단락에 인한 화재 위험성을 줄이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는, 권취축을 중심으로 권취되는 제1 전극 조립체 및 상기 권취축을 중심으로 권취되며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와 인접하며 상기 제1 전극 조립체보다 상기 권취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반경 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 각각은 권취 방향을 따라 활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1 무지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 권취 방향을 따라 활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2 무지부를 포함하는 제2 전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상기 공통의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됨으로써 코어 및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권취 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조립체는, 권취시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분절편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2 전극 조립체는, 권취시 상기 외주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분절편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조립체는 제1 전극 조립체보다 상기 반경 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는 상기 반경 방향 또는 상기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는 상기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는 상기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는, 열전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 일측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전극 조립체 구조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는 탑 캡; 상기 개방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폐쇄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및 상기 전극 조립체 구조체의 일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 구조체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제1 집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집전체는, 상기 복수의 전극 조립체 각각의 제1 무지부와 결합하는 제1 탭 결합부;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과 결합하는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가 고온에 오랜 시간 노출되어 분리막이 수축하게 되어 전극 간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전극 조립체 구조체는 복수 개의 전극 조립체로 구성되어 하나의 전극 조립체로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락 전류가 감소할 수 있다. 단락 전류가 전체가 하나로 구성된 전극 조립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이 아닌, 복수의 전극 조립체 각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락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전극 조립체 구조체는 전해액의 함침성 및 가스의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와 제2 전극 조립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전해액 및 가스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권취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공간을 통해서 전극 조립체 구조체의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 구조체는 생산이 용이할 수 있다. 특히, 폼 팩터가 증가하는 경우, 하나의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기 위하여 전극 및 분리막 등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수회 권취함에 따라 정렬이 어긋나는 등의 생산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그보다 작은 복수개의 전극 조립체를 생산하여 결합하는 경우 권취 횟수가 줄기 때문에 생산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분절편을 형성함으로써 무지부의 절곡이 용이하다. 또한, 별도의 탭이 아닌 절곡된 분절편이 여러 겹 중첩되어 형성된 면에 집전체를 결합함으로써 전극 조립체 구조체와 집전체의 결합이 용이하고, 전류가 이동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져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 조립체와 제2 전극 조립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전해액이나 가스가 이동하더라도 무지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무지부나 분리막이 찢겨 전극 사이에 단락이 일어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분리 부재를 통해서 제1 전극 조립체와 제2 전극 조립체의 사이 공간에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리 부재를 제1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 및 제2 전극 조립체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전해액 및 가스의 이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에 포함되는 제1 전극 조립체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에 포함되는 제2 전극 조립체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에 포함되는 제1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에 포함되는 제2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에 포함되는 분리 부재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 명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S)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10)는 제1 전극 조립체(100), 제2 전극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100) 및 제2 전극 조립체(200)는 공통의 권취축을 중심으로 권취될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100) 및 제2 전극 조립체(200)는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제2 전극 조립체(200)는 제1 전극 조립체(100)와 인접하며 제1 전극 조립체(100)보다 권취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 되는 반경 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100)는 제2 전극 조립체(200)보다 권취축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 조립체(200)는 제1 전극 조립체(100)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100) 및 제2 전극 조립체(200) 사이에는 유격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제1 전극 조립체(100) 및 제2 전극 조립체(200)는 유격이 없이 붙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전극 조립체(100)의 외경과 제2 전극 조립체(200)의 내경은 대략 같을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면과 제2 전극 조립체(200)의 내주면은 마주할 수 있다.
다만, 제1 전극 조립체(100) 및 제2 전극 조립체(200)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에 포함되며 서로 인접하는 전극 조립체를 나타내는 것이고, 전극 조립체 구조체(10)가 반드시 제1 전극 조립체(100) 및 제2 전극 조립체(200)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전극 조립체 구조체(10)는 2개 이상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100)는 권취 방향을 따라 활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1 무지부(111)를 포함하는 제1 전극(110), 권취 방향을 따라 활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2 무지부(121)를 포함하는 제2 전극(12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M)을 포함하는 적층체(S)가 공통의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됨으로써 코어 및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 조립체(200)는 권취 방향을 따라 활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1 무지부(211)를 포함하는 제1 전극(210), 권취 방향을 따라 활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2 무지부(221)를 포함하는 제2 전극(22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M)을 포함하는 적층체(S)가 공통의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됨으로써 코어 및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전극 조립체가 고온에 오랜 시간 노출되어 분리막이 수축하게 되어 전극 간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전극 조립체 구조체(10)는 복수 개의 전극 조립체(100,200)로 구성되어 하나의 전극 조립체로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락 전류가 감소할 수 있다. 단락 전류가 전체가 하나로 구성된 전극 조립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이 아닌, 복수의 전극 조립체 각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락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전극 조립체 구조체(10)는 전해액의 함침성 및 가스의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100)와 제2 전극 조립체(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전해액 및 가스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권취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공간을 통해서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의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 구조체(10)는 생산이 용이할 수 있다. 특히, 폼 팩터가 증가하는 경우, 하나의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기 위하여 전극 및 분리막 등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수회 권취함에 따라 정렬이 어긋나는 등의 생산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그보다 작은 복수개의 전극 조립체를 생산하여 결합하는 경우 권취 횟수가 줄기 때문에 생산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에 포함되는 제1 전극 조립체(100)의 전극(110,120)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에 포함되는 제2 전극 조립체(200)의 전극(210,220)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111,121)의 적어도 일부는 권취 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분절편(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211,221)의 적어도 일부는 권취 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분절편(A)을 포함할 수 있다.
분절편(A)은 노칭 가공될 수 있다. 분절편(A)은 사다리꼴 모양일 수 있다. 다만, 분절편(A)은 사각형, 평행사변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111,121)의 분절편(A)의 높이는 권취 방향을 따라 코어 측으로부터 외주측로 가면서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111,121)는 권취시 코어를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분절편(A)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211,221)의 분절편(A)의 높이는 권취 방향을 따라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가면서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211,221)는 권취시 외주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분절편(A)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분절편(A)은 반경 방향 또는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분절편(A)은 상기 절곡에 의하여 여러 겹으로 중첩될 수 있다. 후술할 제1 집전체(20) 및/또는 제2 집전체(60)는 복수의 분절편(A)이 여러 겹으로 중첩되어 있는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분절편(A)을 형성함으로써 무지부의 절곡이 용이하다. 또한, 별도의 탭이 아닌 절곡된 분절편(A)이 여러 겹 중첩되어 형성된 면에 집전체를 결합함으로써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와 집전체의 결합이 용이하고, 전류가 이동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져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에 포함되는 제1 전극 조립체(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에 포함되는 제2 전극 조립체(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111,121)는 반경 방향 또는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211,221)는 반경 방향 또는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111,121) 및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211,22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111,121)는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 되고,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211,221)는 반경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 전극 조립체(100)의 코어에 형성된 홀이 절곡된 무지부(111,121)에 의하여 폐쇄되지 않는다. 제2 전극 조립체(200)의 외주면으로 절곡된 무지부(211,221)가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전극 조립체(100)와 제2 전극 조립체(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역시 절곡된 무지부(111,121,211,221)에 의하여 폐쇄되지 않는다.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111,121)는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211,221)는 반경 방향으로 절곡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전극 조립체(100)와 제2 전극 조립체(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전해액이나 가스가 이동하더라도 무지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무지부나 분리막이 찢겨 전극 사이에 단락이 일어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에 포함되는 분리 부재(300)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 구조체(10)는 분리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부재(300)는 제1 전극 조립체(100) 및 제2 전극 조립체(2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분리 부재(300)는 제1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면 및 제2 전극 조립체(20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리 부재(300)는 제1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부재(300)는 제1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면에 방사상 90도 간격으로 구비된 4개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부재 각각은 제1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폭 및 제1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면과 제2 전극 조립체(200)의 내주면 사이 간격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며,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분리 부재(300)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부재(300)는 열전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분리 부재(300)를 통해서 제1 전극 조립체(100)와 제2 전극 조립체(200)의 사이 공간에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리 부재(300)를 제1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면 및 제2 전극 조립체(20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전해액 및 가스의 이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분리 부재(300)는 열전도성 소재를 포함하여,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에서 열이 발생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분리 부재를 통해 열의 배출이 일어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5)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5)는 배터리 하우징(30), 탑 캡(40), 단자(50), 제1 집전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30)은 일 측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전극 조립체 구조체(10)를 수용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30)은 일 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수용체로서,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30)은 제1 전극(110,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30)은 하나의 외부 단자로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30)은 개방부를 통해 전해질도 함께 수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배터리 하우징(30)이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탑 캡(40)은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탑 캡(40)은 극성을 갖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탑 캡(40)은 강성 확보를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극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탑 캡(40)은 절연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탑 캡(40)이 극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 하우징(30)과 같은 극성을 가질 수 있다.
탑 캡(40)은 벤팅부(41)를 구비할 수 있다. 벤팅부(41)는 주변 영역과 비교하여 취약하게 구성될 수 있다. 벤팅부(41)는 배터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경우, 파단되어 가스의 배출이 일어날 수 있다. 벤팅부(41)는 탑 캡(40)의 어느 일 면 상에 또는 양 면 상에 노칭(notching)을 하여 부분적으로 탑 캡(40)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단자(50)는 개방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폐쇄부를 통해 배터리 하우징(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단자(50)는 제2 전극(120,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50)는 배터리 하우징(30)의 하면의 대략 중심부를 관통할 수 있다. 단자(50)는 후술할 제2 집전체(60)와 결합됨으로써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집전체(20)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의 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집전체(20)는 제1 전극(110,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집전체(20)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와 배터리 하우징(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집전체(20)는 제1 탭 결합부(21) 및 하우징 결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탭 결합부(21)는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111) 및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211)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탭 결합부(21)는 분리 부재(3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탭 결합부(21)는 제1 전극 조립체(100)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지지부로부터 제2 전극 조립체(200)의 일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분리 부재(3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결합부(22)는 배터리 하우징(30)과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 결합부(22)는 배터리 하우징(30)의 내측면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 집전체의 제1 탭 결합부(21)는 분리 부재(300) 상에 위치하게 되어, 제1 탭 결합부(21)가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111) 및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211)와 결합할 때, 분리 부재(30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5)는 제2 집전체(60) 및/또는 인슐레이터(80) 및/또는 제1 가스켓(G1) 및/또는 제2 가스켓(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집전체(60)는 제2 전극(120,220)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집전체(60)는 단자(50)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집전체(60)는 단자(50)와 결합되는 단자 결합부(61)와 제2 전극(120,220)과 결합되는 제2 탭 결합부(62)를 구비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80)는 배터리 하우징(30)과 제2 전극(120,220)간의 절연을 위하여 전극 조립체 구조체(10)와 배터리 하우징(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80)는 배터리 하우징(30)의 폐쇄부와 제2 집전체(6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80)는 예를 들어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80)는 단자(50)가 제2 집전체(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대략 중심에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스켓(G1)은 탑 캡(40)과 배터리 하우징(3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가스켓(G1)은 탑 캡(40)과 배터리 하우징(30)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가스켓(G2)은 단자(50)와 배터리 하우징(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스켓(G2)은 단자(50)와 배터리 하우징(30)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가스켓(G1) 및 제2 가스켓(G2)은 절연성 및 탄성을 갖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3)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3)은 원통형 배터리(5)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팩(3)은 원통형 배터리(5) 이외의 다른 다양한 구성요소 이를 테면 BMS나 버스바, 팩 케이스, 릴레이, 전류 센서 등과 같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배터리 팩의 구성요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1)는 배터리 팩(3)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1)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1)는 이러한 배터리 팩(3) 이외에 자동차에 포함되는 다른 다양한 구성요소 등을 더 포함할 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1)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3) 이외에 차체나 모터, ECU(electronic control unit)등의 제어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 자동차
3 배터리 팩
5 원통형 배터리
10 전극 조립체 구조체
100 제1 전극 조립체
110 제1 전극
111 제1 무지부
120 제2 전극
121 제2 무지부
200 제2 전극 조립체
210 제1 전극
211 제1 무지부
220 제2 전극
221 제2 무지부
300 분리 부재
20 제1 집전체
21 제1 탭 결합부
22 하우징 결합부
30 배터리 하우징
40 탑 캡
41 벤팅부
50 단자
60 제2 집전체
61 탭 결합부
62 단자 결합부
80 인슐레이터
G1 제1 가스켓
G2 제2 가스켓
M 분리막
A 분절편

Claims (15)

  1. 권취축을 중심으로 권취되는 제1 전극 조립체 및 상기 권취축을 중심으로 권취되며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와 인접하며 상기 제1 전극 조립체보다 상기 권취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반경 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 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 각각은 권취 방향을 따라 활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1 무지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 권취 방향을 따라 활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2 무지부를 포함하는 제2 전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상기 공통의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됨으로써 코어 및 외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권취 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조립체는,
    권취시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분절편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2 전극 조립체는,
    권취시 상기 외주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분절편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는 상기 반경 방향 또는 상기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는 상기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는 상기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구조체.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열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12. 제1 항 내지 제11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조립체 구조체;
    일측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전극 조립체 구조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는 탑 캡;
    상기 개방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폐쇄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및
    상기 전극 조립체 구조체의 일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 구조체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제1 집전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체는,
    상기 제1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2 전극 조립체 각각의 제1 무지부와 결합하는 제1 탭 결합부;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과 결합하는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14. 제12 항 또는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5. 제14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PCT/KR2023/010446 2022-07-19 2023-07-19 전극 조립체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401954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89220 2022-07-19
KR10-2022-0089220 2022-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9548A1 true WO2024019548A1 (ko) 2024-01-25

Family

ID=8961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0446 WO2024019548A1 (ko) 2022-07-19 2023-07-19 전극 조립체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1649A (ko)
WO (1) WO202401954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24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2개 이상의 권취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216120650U (zh) * 2021-10-20 2022-03-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CN216120648U (zh) * 2021-07-06 2022-03-22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KR20220045921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095139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24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2개 이상의 권취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45921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095139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216120648U (zh) * 2021-07-06 2022-03-22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CN216120650U (zh) * 2021-10-20 2022-03-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649A (ko) 2024-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3275A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18147603A1 (ko) 이차 전지
WO2019074234A1 (ko)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
WO2017188533A1 (ko) 멤브레인을 갖는 이차 전지
WO2022145910A1 (ko)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1125504A1 (ko) 이차 전지
WO2020085815A1 (ko) 배터리 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과 자동차
WO2024019548A1 (ko) 전극 조립체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1020708A1 (ko) 이차 전지
WO2022060136A1 (ko) 버튼형 이차전지
WO2022060134A1 (ko) 버튼형 이차전지
WO2021235724A1 (ko)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2031065A1 (ko) 이차전지
WO2022114792A1 (ko) 원통형 이차전지
WO2018074846A1 (ko) 이차 전지
WO2020256284A1 (ko) 홈이 형성된 가스켓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WO2024019546A1 (ko) 배터리,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과 자동차
WO2024019551A1 (ko)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33391A1 (ko)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4101903A1 (ko)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4019547A1 (ko) 배터리,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과 자동차
WO2024106989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90953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4112110A1 (ko) 배터리 셀,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2164250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433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