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82516A1 -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82516A1
WO2023282516A1 PCT/KR2022/009113 KR2022009113W WO2023282516A1 WO 2023282516 A1 WO2023282516 A1 WO 2023282516A1 KR 2022009113 W KR2022009113 W KR 2022009113W WO 2023282516 A1 WO2023282516 A1 WO 20232825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probe
monitoring device
temperature monitor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91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준규
김현종
고성권
박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8850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7036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8850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7035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Publication of WO20232825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825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20Clinical contact thermometers for use with humans or anima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Definitions

  •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body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of Fig. 1A;
  • 5C is a right side view of the body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of FIG. 1A, representing another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robe.
  •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xing member 110 is disposed in the housing 50 to adjust the direction and insertion depth of the probe 120 .
  • the shape and diameter of the ear canal 15 are different for each us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body temperature sensor or the angle of the body temperature sensor of the probe 1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diameter, shape, and angle of the ear canal 15 into which the probe 120 is insert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mperature is measured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and insertion depth of the probe 120, it is possible to measure a body temperature close to the actual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113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the same angle from the center of the probe 120 .
  • the probe 120 generates yaw, pitch, and roll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 the direction of the light receiving un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robe 120.
  • a hollow 211 is formed in the fixing member 210 , and the probe 22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211 and slidabl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211 .
  • the probe 220 moves along the hollow 211, and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20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vement.
  • the control circuit 4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temperature sensor 20 using the accelerometer 30 .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광위치가 변경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은, 온도센서를 수용하는 프로브의 삽입 각도를 조절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서버를 포함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의 체강에 삽입되어 상기 프로브의 삽입 각도 또는 깊이를 변경하며 온도를 복수회 측정하고, 그중 가장 높은 온도를 기록한 각도를 기준으로 체온을 주기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체온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받은 체온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유자에 대한 개인정보와 상기 체온데이터 및 질환별 잠복기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병 감염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소유자의 연령, 이동경로, 주거지, 직업, 해외 입출국 정보 및 질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Description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장치
본 발명은 수광위치가 변경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귀에 착용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귀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프로브를 이도(ear canal)에 정확히 삽입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었으나, 이도의 형상과 크기는 개인별로 다르기 때문에 정형화된 프로브는 체온 측정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도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온도가 정상범위를 초과할 경우 그 정보를 의료기관과 공유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강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시 착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온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비정상 범위의 체온이 감지될 경우 즉시 사용자와 의료기관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은, 온도센서를 수용하는 프로브의 삽입 각도를 조절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서버를 포함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의 체강에 삽입되어 상기 프로브의 삽입 각도 또는 깊이를 변경하며 온도를 복수회 측정하고, 그중 가장 높은 온도를 기록한 각도를 기준으로 체온을 주기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체온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받은 체온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유자에 대한 개인정보와 상기 체온데이터 및 질환별 잠복기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병 감염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소유자의 연령, 이동경로, 주거지, 직업, 해외 입출국 정보 및 질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 상기 프로브에 배치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삽입깊이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프로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첫째, 체강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상시 착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온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비정상 범위의 체온이 감지될 경우 즉시 사용자와 의료기관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b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 은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저면도 및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4 는 도1a 의 4-4 단면도이다.
도5a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의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5b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의 다른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5c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의 또 다른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6 은 도2 의 6-6 단면도이다.
도7a 와 도7b 와 도7c 는 도3 의 7-7 단면도로서 볼베어링이 단계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가 이도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도를 변경하며 적외선을 수광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9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9b 는 도9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9c 는 도9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버튼을 누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9d 는 도9c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0a 와 도10b 와 도10c 는 도9a 의 10-10 단면도로서 프로브가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가 이도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깊이를 변경하며 적외선을 수광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방법을 표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1b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방법을 표현한 흐름도이다.
도1, 도12 및 도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120); 프로브(120)에 배치된 온도센서(20); 온도센서(20)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40); 제어회로(40)를 수용하는 하우징(50); 및 하우징(50)에 고정되고, 온도센서(20)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수광위치를 변경하며 광신호를 입력받도록 프로브(120)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110)를 포함한다.
프로브(120)는 체강에 삽입된다. 체강은 이도(15)(ear channel)일 수 있다. 프로브(120)는 온도센서(20)가 장착된다. 온도센서(20)는 적외선(IR)센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D 변환기(60)는 온도센서의 수광부에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고정부재(110)는 하우징(50)에 배치되어 프로브(120)의 방향 및 삽입깊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온도센서(20)가 구비된 프로브(120)를 삽입하는 단계(S10); 프로브(120)의 삽입깊이를 모니터링하여 정해진 삽입 깊이마다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0); 및 측정된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를 사용자의 체온으로 결정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온도센서(20)가 구비된 프로브(120)를 삽입하는 단계(S10); 프로브(120)의 회전 각도를 모니터링하여 정해진 회전 각도마다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0); 및 측정된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를 사용자의 체온으로 결정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제어회로(40)는 결정된 체온이 기준치 이상이면, 사용자의 건강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선통신부(80)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단말기는 제어회로(40)가 결정한 체온을 주기적으로 전송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송된 체온이 기준치 이상이면 의료기관에 체온이 기준치 이상임을 통지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온도센서(2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온에 반영하기 위한 온도 출력으로 변환하고, 온도센서(20)가 체강 내에서 이동하며 얻은 가장 높은 온도 출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온을 결정한다.
이도(15)는 형상 및 직경이 사용자마다 다르다. 따라서 프로브(120)는 삽입되는 이도(15)의 크기, 직경, 형상, 각도에 맞게 체온센서의 위치 또는 체온센서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프로브(120)의 방향 및 삽입깊이를 변경하며 온도를 측정할 경우 사용자의 실제 체온에 근접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측정된 체온 중 가장 높은 것을 사용자의 체온으로 결정한다.
제어회로(40)는, 프로브(120)의 이동방향 또는 삽입깊이가 달라질 때를 기점으로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은,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 200), 모바일 디바이스(300) 및 서버(400)를 포함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 200)는, 사용자의 체강에 삽입되어 위치 또는 각도를 변경하며 온도를 복수회 측정하고, 그중 가장 높은 온도를 체온으로 결정하고,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 200)로부터 전송받은 체온데이터를 서버(400)에 전송하고, 서버(40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소유자에 대한 개인정보와 체온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병 감염 여부를 판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스마크 글래스(Smart Glass), HMD(Head-Mounted Display)일 수 있다.
통신통신부(80)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RF(Radio Frequency)신호를 송수신하는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80)는 블루투스와 같은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LAN, WiFi 등과 같은 방식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400)와 직접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개인정보는, 소유자의 연령, 이동경로, 주거지, 직업, 해외 입출국 정보 및 질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된 체온정보(최고온도, 최저온도, 체온변화속도, 변화주기)와 개인정보 및 잠복기를 고려하여 감염병의 종류 및 감염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도2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3 은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저면도 및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4 는 도1a 의 4-4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120); 프로브(120)에 배치된 온도센서(20); 온도센서(20)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40); 제어회로(40)를 수용하는 하우징(50); 및 하우징(50)에 고정되고, 온도센서(20)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삽입각도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프로브(1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10)를 포함한다.
제어회로(40)는 하우징(50) 내부의 PCB 상에 형성된다. 하우징(50)은 배터리(70), 배터리(7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버튼이 배치된다. 프로브(120)는 삽입각도의 변경을 위하여 이도(15)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5a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120)의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5b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120)의 다른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5c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120)의 또 다른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6 은 도2 의 6-6 단면도이다. 도7a 와 도7b 와 도7c 는 도3 의 7-7 단면도로서 볼베어링(121)이 단계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10)는, 내부에 복수의 걸림홈(113)이 형성되고, 프로브(120)는 복수의 걸림홈(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림되는 걸림돌기(123)가 형성되어 프로브(120)의 1회 이동간격을 걸림홈(113)들 사이의 간격만큼 제한한다.
걸림홈(113)과 걸림돌기(123)에 의하여 프로브(120)는 이동간격이 단계별로 변경된다. 제어회로(40)는 가속도계(30)에 의하여 프로브(120)의 이동정도를 인식하여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걸림홈(113)과 걸림돌기(123)로 인하여 각도의 변경을 인식할 수 있고, 수동으로 체온 측정버튼을 작동시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홈(113)은 프로브(12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만큼 간격을 이루며 배열된다. 프로브(12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요(yaw), 피치(pitch), 롤(roll)이 발생한다. 온도센서(20)는 프로브(120)의 회전에 따라 수광부의 방향이 변경된다.
복수의 걸림홈(113)은 Y축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직선상에 형성된다. 걸림홈(113)은 볼베어링(121)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 걸림돌기(123)는 걸림홈(113)을 따라 회전한다. 프로브(120)는 일정한 각도 단위로 회전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프로브(120)가 정해진 간격만큼 이동할때 마다, 온도센서(20)가 얻은 온도출력을 저장하고, 그중 가장 높은 온도 출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온을 결정한다.
프로브(120)는 일단은 온도센서(20)가 배치되고, 타단은 볼베어링(121)이 배치되며, 고정부재(110)는 볼베어링(121)을 고정하는 소캣(115)을 포함한다. 소캣(115)은 볼베어링(121)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구형으로 형성된다.
볼베어링(121)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129)가 돌출 형성되고, 소캣(115)은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된 고정부(117)를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부(117) 사이에는 슬릿(119)이 형성되고, 슬릿(119)에는 가이드돌기(129)가 배치된다.
고정부(117)는 복수로 형성된다. 고정부재(110)는 소캣(115)과 복수의 슬릿(119)을 포함한다. 소캣(115)은 복수의 고정부(117)를 포함한다.
슬릿(119)은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고정부(117)들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여 가이드돌기(129)의 이동을 제한한다.
슬릿(119)과 가이드돌기(129)는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프로브(120)의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을 제한한다. 가이드돌기(129)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29)는 프로브(120)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제한한다.
가이드돌기(129)는 온도센서(20)와 제어회로(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FPCB(90)(연성인쇄회로기판)의 단락을 방지한다. FPCB(90)의 길이가 충분히 긴 경우 가이드돌기(129)는 생략될 수 있다.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가 이도(15)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도를 변경하며 적외선을 수광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8 을 참조하면, 제어회로(40)는, 프로브(120)의 회전에 따라 온도센서(20)가 얻은 온도출력을 저장하고, 그중 가장 높은 온도 출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온을 결정한다.
프로브(120)는 이도(15) 내부에서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이도(15)의 형상에 따라 얻은 다른 광데이터를 기초로 가장 높은 체온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가장 높은 온도 출력을 기초로 체온을 결정한다.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는 신체에 부착가능하고, 사용자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를 귀에 고정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웨어러블 기기이다.
도9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의 사시도이다. 도9b 는 도9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9c 는 도9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의 삽입버튼(230)을 누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9d 는 도9c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는,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220); 프로브(220)에 배치된 온도센서(20); 온도센서(20)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40); 제어회로(40)를 수용하는 하우징(50); 및 하우징(50)에 고정되고, 온도센서(20)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삽입깊이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프로브(2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10)를 포함한다.
프로브(220)는 고정부재(21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프로브(220)는 고정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내부에 복수의 걸림홈(213)이 형성되고, 프로브(220)는 복수의 걸림홈(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림되는 걸림돌기(223)가 형성되어 프로브(220)의 1회 이동간격을 걸림홈(213)들 사이의 간격만큼 제한한다. 걸림홈(213)은 복수로 형성되고,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프로브(220)의 이동방향 또는 삽입깊이가 달라질 때를 기점으로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한다.
도10a 와 도10b 와 도10c 는 도9a 의 10-10 단면도로서 프로브(220)가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10 을 참조하면, 고정부재(210)는 중공(211)이 형성되고, 프로브(220)는 중공(211) 내부에 삽입되어 중공(2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프로브(220)는 중공(211)을 따라 이동하며, 이동 정도에 따라 온도센서(20)의 돌출 정도는 달라진다. 제어회로(40)는 가속도계(30)를 이용하여 온도센서(20)의 이동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걸림홈(213)과 걸림돌기(223)의 걸림여부를 판단하여 프로브(220)의 삽입정도를 판단할 수 있고, 측정버튼을 작동시켜 수동으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도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가 이도(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깊이를 변경하며 적외선을 수광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11 을 참조하면, 프로브(220)는 이도(15) 내부에서 삽입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이도(15)의 형상과 깊이 직경에 따라 얻은 다른 광데이터를 기초로 가장 높은 체온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가장 높은 온도 출력을 기초로 체온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은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 200)에 의하면 소형으로 제작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귀에 삽입하여 정확한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사용자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의료기관에 전송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의료지원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0)

  1. 온도센서를 수용하는 프로브의 삽입 각도를 조절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서버를 포함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의 체강에 삽입되어 상기 프로브의 삽입 각도 또는 깊이를 변경하며 온도를 복수회 측정하고, 그중 가장 높은 온도를 기록한 각도를 기준으로 체온을 주기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체온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받은 체온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유자에 대한 개인정보와 상기 체온데이터 및 질환별 잠복기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병 감염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소유자의 연령, 이동경로, 주거지, 직업, 해외 입출국 정보 및 질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2. 체온 모니터링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서버를 포함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체온 모니터링 장치로 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받은 체온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유자에 대한 개인정보와 상기 체온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병 감염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소유자의 연령, 이동경로, 주거지, 직업, 해외 입출국 정보 및 질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온도센서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수광위치를 변경하며 광신호를 입력받도록 상기 프로브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프로브의 이동방향 또는 삽입깊이가 달라질 때를 기점으로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볼베어링을 수용하는 소캣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는 일단은 상기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볼베어링이 배치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소캣은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배치된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들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과 상기 가이드돌기는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의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9.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온도센서가 구비된 프로브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프로브의 삽입깊이를 모니터링하여 정해진 삽입 깊이 또는 정해진 삽입각도마다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를 사용자의 체온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온 모니터링 방법.
  10. 체온 모니터링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서버를 포함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의 체강에 삽입되어 위치 또는 각도를 변경하며 온도를 복수회 측정하고, 그중 가장 높은 온도를 체온으로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체온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체온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 디스이스의 소유자에 대한 개인정보와 상기 체온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병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11.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
    상기 프로브에 배치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삽입깊이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프로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체온 모니터링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부에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의 1회 이동간격을 상기 걸림홈들 사이의 간격만큼 제한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홈은 상기 프로브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만큼 간격을 이루며 배열된 체온 모니터링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홈은 Y축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며 직선상에 형성된 체온 모니터링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일단은 상기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타단은 볼베어링이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볼베어링을 고정하는 소캣을 포함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소캣은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배치된 체온 모니터링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들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과 상기 가이드돌기는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의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
  20.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
    상기 프로브에 배치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이동하여 삽입각도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프로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
PCT/KR2022/009113 2021-07-06 2022-06-27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장치 WO202328251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508 2021-07-06
KR1020210088509A KR102370362B1 (ko) 2021-07-06 2021-07-06 체온 모니터링 장치
KR10-2021-0088509 2021-07-06
KR1020210088508A KR102370358B1 (ko) 2021-07-06 2021-07-06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516A1 true WO2023282516A1 (ko) 2023-01-12

Family

ID=8480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9113 WO2023282516A1 (ko) 2021-07-06 2022-06-27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28251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6137A (ja) * 2009-09-11 2011-03-24 Terumo Corp 耳式体温計
JP2011067492A (ja) * 2009-09-28 2011-04-07 Terumo Corp 耳式体温計
KR20180087894A (ko) * 2017-01-25 2018-08-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귀 착용형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99661B1 (ko) * 2020-05-20 2021-01-07 주식회사 바론 이어 타입 인공지능 열 체크기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자 관리 시스템
KR102370358B1 (ko) * 2021-07-06 2022-03-04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6137A (ja) * 2009-09-11 2011-03-24 Terumo Corp 耳式体温計
JP2011067492A (ja) * 2009-09-28 2011-04-07 Terumo Corp 耳式体温計
KR20180087894A (ko) * 2017-01-25 2018-08-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귀 착용형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99661B1 (ko) * 2020-05-20 2021-01-07 주식회사 바론 이어 타입 인공지능 열 체크기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자 관리 시스템
KR102370358B1 (ko) * 2021-07-06 2022-03-04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69776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outputting audio signal using the same
WO2021080321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5030301A1 (en) Smartwat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069519A1 (en) Neck tilt angle sensing device and method
EP394848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WO2017119659A1 (ko)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WO2019151701A1 (ko) 복수의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건강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7146548A1 (ko)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으로 송수신이 가능하고 하우징 자체가 플렉시블 한 스마트 펜
WO2013122368A1 (ko) 위치 정보 입력이 가능한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키보드 시스템
WO2020116756A1 (en) Method for guiding measurement of biological signal in wearable device
WO2017164562A1 (ko) 시력 검사 방법, 시력 검사기 및 이 시력 검사 방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다운로더 서버
WO2017003078A1 (ko) 정맥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인 인식 시스템
WO2023282516A1 (ko)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장치
WO2012141437A2 (ko) 의료 정보 측정 장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의료 정보 측정 방법
WO2021010569A1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의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WO2014115945A1 (ko) 다중 생체신호 센서
WO2022177299A1 (ko) 통화 기능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30007925A (ko) 체온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WO2021246766A1 (en) Audio output device for obtaining biometric data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WO2023068715A1 (ko) 귀 체온계 및 이를 이용한 체온 측정방법
WO2021080133A1 (en)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utterance of speaker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and wearab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WO2020122369A1 (ko) 어류의 무게 및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WO202009631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occurrence of hypotension
KR102370362B1 (ko) 체온 모니터링 장치
WO2022181954A1 (ko) 커널형 콘차 체온 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378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7936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