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362B1 - 체온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체온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362B1
KR102370362B1 KR1020210088509A KR20210088509A KR102370362B1 KR 102370362 B1 KR102370362 B1 KR 102370362B1 KR 1020210088509 A KR1020210088509 A KR 1020210088509A KR 20210088509 A KR20210088509 A KR 20210088509A KR 102370362 B1 KR102370362 B1 KR 10237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body temperature
temperature monitoring
temperature sensor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김현종
고성권
박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88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362B1/ko
Priority to PCT/KR2022/009113 priority patent/WO20232825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61B5/6817Ear ca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4Monitoring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tiss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20Clinical contact thermometers for use with humans or animals
    • G01K13/223Infrared clinical thermometers, e.g. tympanic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광위치가 변경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 상기 프로브에 배치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삽입깊이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프로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온 모니터링 장치{body temperatur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수광위치가 변경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귀에 착용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IR) 귀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외이도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고막 방향으로 조준되는 프로브에 연결된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의 강도를 측정하는 광전자 장치이며, 입력되는 적외선의 강도에 따라 전압을 변경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여, 최종적으로 출력 온도 판독값을 표시한다.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6-0122567호는 인체의 귓속, 외이도 개구부 또는 이마에서 생체의 맥파 신호를 측정하고, 얻은 생체 신호 정보를 RF 부를 통해 송신하여 원격지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생체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귀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손잡이를 통해 프로브를 이도(ear canal)에 정확히 삽입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었으나, 이도의 형상과 크기는 개인별로 다르기 때문에 정형화된 프로브는 체온 측정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체온은 건강한 사람의 경우 36.5~37도이다. 체온이 35도 이하인 경우, 오한, 판단력 저하, 의식소실, 부정맥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체온이 37도를 넘어서면 염증성 질병, 감기, 독감과 같은 질병이 발병하였다는 신호가 된다. 체온이 높을수록 병의 증후는 심하게 되며, 38도 이상이 되면 구토, 설사, 근육강직, 경련, 의식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도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온도가 정상범위를 초과할 경우 알람 및 의료기관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강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시 착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온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비정상 범위의 체온이 감지될 경우 즉시 사용자와 의료기관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 상기 프로브에 배치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삽입깊이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프로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 상기 프로브에 배치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삽입각도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프로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첫째, 체강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상시 착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온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비정상 범위의 체온이 감지될 경우 즉시 사용자와 의료기관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b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 은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저면도 및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4 는 도1a 의 4-4 단면도이다.
도5a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의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5b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의 다른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5c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의 또 다른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6 은 도2 의 6-6 단면도이다.
도7a 와 도7b 와 도7c 는 도3 의 7-7 단면도로서 볼베어링이 단계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가 이도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도를 변경하며 적외선을 수광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9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9b 는 도9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9c 는 도9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버튼을 누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9d 는 도9c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0a 와 도10b 와 도10c 는 도9a 의 10-10 단면도로서 프로브가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가 이도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깊이를 변경하며 적외선을 수광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방법을 표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1b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방법을 표현한 흐름도이다.
도1, 도12 및 도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120); 프로브(120)에 배치된 온도센서(20); 온도센서(20)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40); 제어회로(40)를 수용하는 하우징(50); 및 하우징(50)에 고정되고, 온도센서(20)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수광위치를 변경하며 광신호를 입력받도록 프로브(120)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110)를 포함한다.
프로브(120)는 체강에 삽입된다. 체강은 이도(15)(ear channel)일 수 있다. 프로브(120)는 온도센서(20)가 장착된다. 온도센서(20)는 적외선(IR)센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D 변환기(60)는 온도센서의 수광부에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고정부재(110)는 하우징(50)에 배치되어 프로브(120)의 방향 및 삽입깊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온도센서(20)가 구비된 프로브(120)를 삽입하는 단계(S10); 프로브(120)의 삽입깊이를 모니터링하여 정해진 삽입 깊이마다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0); 및 측정된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를 사용자의 체온으로 결정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온도센서(20)가 구비된 프로브(120)를 삽입하는 단계(S10); 프로브(120)의 회전 각도를 모니터링하여 정해진 회전 각도마다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0); 및 측정된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를 사용자의 체온으로 결정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제어회로(40)는 결정된 체온이 기준치 이상이면, 사용자의 건강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선통신부(80)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단말기는 제어회로(40)가 결정한 체온을 주기적으로 전송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송된 체온이 기준치 이상이면 의료기관에 체온이 기준치 이상임을 통지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온도센서(2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온에 반영하기 위한 온도 출력으로 변환하고, 온도센서(20)가 체강 내에서 이동하며 얻은 가장 높은 온도 출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온을 결정한다.
이도(15)는 형상 및 직경이 사용자마다 다르다. 따라서 프로브(120)는 삽입되는 이도(15)의 크기, 직경, 형상, 각도에 맞게 체온센서의 위치 또는 체온센서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프로브(120)의 방향 및 삽입깊이를 변경하며 온도를 측정할 경우 사용자의 실제 체온에 근접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측정된 체온 중 가장 높은 것을 사용자의 체온으로 결정한다.
제어회로(40)는, 프로브(120)의 이동방향 또는 삽입깊이가 달라질때를 기점으로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은,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 200), 모바일 디바이스(90) 및 서버(95)를 포함하는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 200)는, 사용자의 체강에 삽입되어 위치 또는 각도를 변경하며 온도를 복수회 측정하고, 그중 가장 높은 온도를 체온으로 결정하고, 모바일 디바이스(90)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 200)로부터 전송받은 체온데이터를 서버(95)에 전송하고, 서버(95)는 모바일 디바이스(90)의 소유자에 대한 개인정보와 체온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병 감염 여부를 판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90)는, 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Mounted Display)일 수 있다.
통신통신부(80)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RF(Radio Frequency)신호를 송수신하는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80)은 블루투스와 같은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90)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LAN, WiFi 등과 같은 방식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95)와 직접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개인정보는, 소유자의 연령, 이동경로, 주거지, 직업, 해외 입출국 정보 및 질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된 체온정보(최고온도, 최저온도, 체온변화속도, 변화주기)와 개인정보 및 잠복기를 고려하여 감염병의 종류 및 감염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도2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3 은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저면도 및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4 는 도1a 의 4-4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120); 프로브(120)에 배치된 온도센서(20); 온도센서(20)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40); 제어회로(40)를 수용하는 하우징(50); 및 하우징(50)에 고정되고, 온도센서(20)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삽입각도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프로브(1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10)를 포함한다.
제어회로(40)는 하우징(50) 내부의 PCB 상에 형성된다. 하우징(50)은 배터리(70), 배터리(7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버튼이 배치된다. 프로브(120)는 삽입각도의 변경을 위하여 이도(15)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5a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120)의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5b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120)의 다른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5c 는 도1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의 우측면도로서, 프로브(120)의 또 다른 회전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도6 은 도2 의 6-6 단면도이다. 도7a 와 도7b 와 도7c 는 도3 의 7-7 단면도로서 볼베어링(121)이 단계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10)는, 내부에 복수의 걸림홈(113)이 형성되고, 프로브(120)는 복수의 걸림홈(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림되는 걸림돌기(123)가 형성되어 프로브(120)의 1회 이동간격을 걸림홈(113)들 사이의 간격만큼 제한한다.
걸림홈(113)과 걸림돌기(123)에 의하여 프로브(120)는 이동간격이 단계별로 변경된다. 제어회로(40)는 가속도계(30)에 의하여 프로브(120)의 이동정도를 인식하여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걸림홈(113)과 걸림돌기(123)로 인하여 각도의 변경을 인식할 수 있고, 수동으로 체온 측정버튼을 작동시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홈(113)은 프로브(12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만큼 간격을 이루며 배열된다. 프로브(12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요(yaw), 피치(pitch), 롤(roll)이 발생한다. 온도센서(20)는 프로브(120)의 회전에 따라 수광부의 방향이 변경된다.
복수의 걸림홈(113)은 Y축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직선상에 형성된다. 걸림홈(113)은 볼베어링(121)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 걸림돌기(123)는 걸림홈(113)을 따라 회전한다. 프로브(120)는 일정한 각도 단위로 회전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프로브(120)가 정해진 간격만큼 이동할때 마다, 온도센서(20)가 얻은 온도출력을 저장하고, 그중 가장 높은 온도 출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온을 결정한다.
프로브(120)는 일단은 온도센서(20)가 배치되고, 타단은 볼베어링(121)이 배치되며, 고정부재(110)는 볼베어링(121)을 고정하는 소캣(115)을 포함한다. 소캣(115)은 볼베어링(121)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구형으로 형성된다.
볼베어링(121)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123)가 돌출 형성되고, 소캣(115)은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된 고정부(117)를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부(117) 사이에는 슬릿(119)이 형성되고, 슬릿(119)에는 가이드돌기(123)가 배치된다.
고정부(117)는 복수로 형성된다. 고정부재(110)는 소캣(115)과 복수의 슬릿(119)을 포함한다. 소캣(115)은 복수의 고정부(117)를 포함한다.
슬릿(119)은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고정부(117)들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여 가이드돌기(123)의 이동을 제한한다.
슬릿(119)과 가이드돌기(123)는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프로브(120)의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을 제한한다. 가이드돌기(123)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23)는 프로브(120)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제한한다.
가이드돌기(123)는 온도센서(20)와 제어회로(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FPCB(90)(연성인쇄회로기판)의 단락을 방지한다. FPCB(90)의 길이가 충분히 긴 경우 가이드돌기(123)는 생략될 수 있다.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가 이도(15)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도를 변경하며 적외선을 수광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8 을 참조하면, 제어회로(40)는, 프로브(120)의 회전에 따라 온도센서(20)가 얻은 온도출력을 저장하고, 그중 가장 높은 온도 출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온을 결정한다.
프로브(120)는 이도(15) 내부에서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이도(15)의 형상에 따라 얻은 다른 광데이터를 기초로 가장 높은 체온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가장 높은 온도 출력을 기초로 체온을 결정한다.
도9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의 사시도이다. 도9b 는 도9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9c 는 도9a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의 삽입버튼(230)을 누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9d 는 도9c 의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는,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220); 프로브(220)에 배치된 온도센서(20); 온도센서(20)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40); 제어회로(40)를 수용하는 하우징(50); 및 하우징(50)에 고정되고, 온도센서(20)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삽입깊이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프로브(2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10)를 포함한다.
프로브(220)는 고정부재(21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프로브(220)는 고정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내부에 복수의 걸림홈(213)이 형성되고, 프로브(220)는 복수의 걸림홈(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림되는 걸림돌기(223)가 형성되어 프로브(220)의 1회 이동간격을 걸림홈(213)들 사이의 간격만큼 제한한다. 걸림홈(213)은 복수로 형성되고,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프로브(220)의 이동방향 또는 삽입깊이가 달라질 때를 기점으로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한다.
도10a 와 도10b 와 도10c 는 도9a 의 10-10 단면도로서 프로브(220)가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10 을 참조하면, 고정부재(210)는 중공(211)이 형성되고, 프로브(220)는 중공(211) 내부에 삽입되어 중공(2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프로브(220)는 중공(211)을 따라 이동하며, 이동 정도에 따라 온도센서(20)의 돌출 정도는 달라진다. 제어회로(40)는 가속도계(30)를 이용하여 온도센서(20)의 이동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걸림홈(213)과 걸림돌기(223)의 걸림여부를 판단하여 프로브(220)의 삽입정도를 판단할 수 있고, 측정버튼을 작동시켜 수동으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도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온 모니터링 장치(200)가 이도(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깊이를 변경하며 적외선을 수광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11 을 참조하면, 프로브(220)는 이도(15) 내부에서 삽입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이도(15)의 형상과 깊이 직경에 따라 얻은 다른 광데이터를 기초로 가장 높은 체온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회로(40)는 가장 높은 온도 출력을 기초로 체온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은 체온 모니터링 장치(100, 200)에 의하면 소형으로 제작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체온 모니터링 장치를 귀에 삽입하여 정확한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사용자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의료기관에 전송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의료지원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5: 이도
20: 온도센서
30: 가속도계
40: 제어회로
50: 하우징
60: A/D 변환기
70: 배터리
80: 무선통신부
90: FPCB
100: 체온 모니터링 장치
110: 고정부재
113: 걸림홈
115: 소캣
117: 고정부
119: 슬릿
120: 프로브
123: 걸림돌기
121: 볼베어링
123: 가이드돌기
200: 체온 모니터링 장치
210: 고정부재
211: 중공
213: 걸림홈
220: 프로브
223: 걸림돌기
230: 삽입버튼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사용자의 체강(body cavity)에 삽입되는 프로브;
    상기 프로브에 수용되어 배치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로브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온도센서의 수광부가 체강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측정각도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프로브의 삽입 각도를 일정 범위내로 제한 및 변경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사용자의 체강 내부에서 상기 프로브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브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며 사용자의 체강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는 체온 모니터링 장치.
KR1020210088509A 2021-07-06 2021-07-06 체온 모니터링 장치 KR102370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509A KR102370362B1 (ko) 2021-07-06 2021-07-06 체온 모니터링 장치
PCT/KR2022/009113 WO2023282516A1 (ko) 2021-07-06 2022-06-27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509A KR102370362B1 (ko) 2021-07-06 2021-07-06 체온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362B1 true KR102370362B1 (ko) 2022-03-04

Family

ID=8081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509A KR102370362B1 (ko) 2021-07-06 2021-07-06 체온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3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6137A (ja) * 2009-09-11 2011-03-24 Terumo Corp 耳式体温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6137A (ja) * 2009-09-11 2011-03-24 Terumo Corp 耳式体温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56218A1 (en) Ring-type wearable device
US10966600B2 (en) Digital otoscope
KR101804374B1 (ko) 적외선 귀체온계 및 이를 이용한 체온 측정 방법
EP1886106B1 (en) Temperature measuring method using an infrared thermometer
US20190365240A1 (en) Device for measuring the infrared output of the abreu brain thermal tunnel
EP3039390B1 (en) System for sensing light exposure of a user
KR101280837B1 (ko) 치아 모니터링 장치
WO2013039653A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electromagnetic radiation sensors
CN101801256A (zh) 产生图像
KR102370358B1 (ko)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방법
US20140114600A1 (en) Calibration of a hand-held medical device by a mobile device
WO2016013760A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결합형 체온계 시스템
KR102370362B1 (ko) 체온 모니터링 장치
EP3198248B1 (en) Thermometer with wireless functionality
US20210267546A1 (en) Ear temperature measurement of wearable headset
KR20160125769A (ko) 웨어러블 기기
KR20220085308A (ko) 피측정자의 개인정보와 체온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체온계
EP3854111B1 (en) Hear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and hearing system including same
WO2006091106A1 (en) Clinical ear thermometer
CN208017485U (zh) 生理信号量测装置
CN213213815U (zh) 一种实时体温监测的蓝牙耳机系统
JPH1128194A (ja) 鼓膜からの赤外線検出式体温計
CN211270775U (zh) 耳夹式血氧检测器
WO2020145179A1 (ja) 保持具およびその保持具を用いた耳式体温計
WO2023282516A1 (ko)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체온 모니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