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29175A1 - 인헤일러 - Google Patents

인헤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29175A1
WO2023229175A1 PCT/KR2023/003636 KR2023003636W WO2023229175A1 WO 2023229175 A1 WO2023229175 A1 WO 2023229175A1 KR 2023003636 W KR2023003636 W KR 2023003636W WO 2023229175 A1 WO2023229175 A1 WO 20232291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ozzle
state
mouthpiece
valve
inh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36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태헌
김재현
이미정
정용미
정은미
한승규
정민석
정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CN202380009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460554A/zh
Priority to EP23725943.7A priority patent/EP4302809A1/en
Publication of WO20232291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291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5Preventing manual activation in absence of inha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3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without arming or cocking, e.g. acting directly on the delivery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1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4Tools for specific apparatus
    • A61M2209/045Tools for specific apparatus for filling, e.g. for filling reservoirs

Definitions

  • an inhaler is a device used to inhale a composition such as a drug as a liquid or gas through the oral or nasal cavity during the inhalation process.
  • This inhaler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containing an inhalable composition, and the composition can be inhaled by the user by being sprayed from the container through a thin pipe and finally into the oral cavity or nasal cavity through an inhalation port.
  • the purpo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valve that operates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by moving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suction force, so that when the user applies suction force, the inhalable composition is sprayed, and when spraying, the spray amount is such that the inhalable composition of fine particles is sprayed.
  • This is to provide an adjustable inhaler.
  • An inhaler includes a housing having one side, another side opposite the one sid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connecting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 mouthpie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 reservoir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nd storing an inhalable composition; a nozzle extending from the mouthpiece to the reservoir; and a needle valve movably disposed inside the nozzle, wherein when suction force is not applied to the mouthpiece, the needle valve is maintained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 nozzle is closed, and suction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mouthpiece. When applied, the needle valve can be switched to a second state in which the nozzle is opened.
  • the first state may be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needle valve is in contact with the nozzle
  • the second state may be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needle valve is not in contact with the nozzle
  • the needle valve is coupled to one surface and a piston capable of vertical reciprocating movement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toward the one surface or a second direction from one surface of the housing to the other surface; and a spring installed in a preloaded state below the piston, wherein when no suction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mouthpiece, the spring pushes the piston up in the first direction to maintain the first state, and the mouse When suction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piece, the piston can overcome the preload of the spring and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to switch to the second state.
  • it further includes a passage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outhpiece to the lower part of the piston, and the passage can transmit the suction force applied to the mouthpiece to the piston.
  • it further includes a negative pressure forming part that forms a space between the piston and the passage, and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art may generate negative pressure by the suction force to induce the piston t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nozzle includes: a first nozzle portion adjacent to the mouthpiece; and a second nozzle portion adjacent to the reservoir, wherein the first nozzle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nozzle portion.
  • the needle valve is formed at a tip and connected to the first nozzle portion and the second nozzle portion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toward one surface or a second direction from one surface of the housing toward the other surface.
  • a first valve portion capable of vertical reciprocating movement; and a second valve part formed below the first valve part, wherein the first valve part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valve part.
  • the first valve part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nozzle part.
  • the first valve part does not contact the nozzle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and the second valve part contacts the nozzle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valve part contacts the nozzle in the second state. It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nozzle.
  • the nozzle further includes a sealing member installed in the second nozzle portion,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in the first state and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second state. It may move and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 the first gap formed between the first valve part and the first nozzle part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gap formed between the first valve part and the sealing member.
  • the first gap may be formed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and the second gap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tate.
  • the second gap allows movement of the inhalable composition ejected from the reservoir, and the first gap controls the particle size of the inhalable composition passing through the second gap to the mouthpiece. Movement may be permitted.
  • the first gap may be formed to be 0.015 to 0.03 mm.
  • an inhaler it is provided with a valve that operates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by moving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suction force, so that when the user applies suction force, an inhalable composition is sprayed, and when spraying, an inhalable composition of fine particles is sprayed.
  • a valve that operates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by moving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suction force, so that when the user applies suction force, an inhalable composition is sprayed, and when spraying, an inhalable composition of fine particles is sprayed.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ha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ha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ha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4 shows the inhaler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hal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hal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hal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4 shows the inhaler 10 in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 the inhaler 10 includes a housing 101 and a mouthpiece 102.
  • the housing 101 may include a first surface formed on one side, a second surface opposing the first surfac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 the first surface of the housing 101 may be, for example, a surface located at the top of the housing 101,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for example,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1.
  •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surface to the first surface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is defined as the second direction.
  • the mouthpiece 102 may be placed on the first side of the housing 101.
  • the user may inhale the inhalable composition contained in the inhaler 10 through the mouthpiece 102.
  • the user can inhale the composition in the form of, for example, an aerosol, or in the form of powder, etc.
  • the inhal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inhaler 10 that sprays an inhalable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aerosol as an example.
  • the inhaler 10 is equipped with a canister 200 containing an inhalable composition inside a housing 101, and the composition of the canister 200 is stored inside the reservoir 103. A certain amount can be charged.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mposition stored in the storage 103 through a display window (not shown) provided in the housing 101.
  • a charging lever 300 that can be pressed by the user is provided to fill the composition contained in the canister 200 into the reservoir 103.
  • the charging lever 300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side of the housing 101,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charging lever 300, the charging lever 300 pushe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ister 200 up in the first direction.
  • the injection port of the canister 200 communicates with the reservoir 103, and the composition can move from the canister 200 to the reservoir 103 through the injection port.
  • the inhal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counter (not shown) that counts the number of charges in connection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anister 200 when the reservoir 103 is charged, and the remaining amount of composition in the canister 200.
  • a display window (not shown) may be provided.
  • the composition stored in the reservoir 103 is sprayed in the form of an aerosol when the user applies suction force to the mouthpiece 102.
  • the inhale interlocking valve 105 which opens and closes the reservoir 103, operates by the suction force, and the inhale interlocking valve 105 opens and closes the reservoir 103.
  •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valve 105 may be controlled by the piston 106.
  • a relief valve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reservoir 103, and a relief vent hole 40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ide of the housing 101.
  • This relief valve is linked to the charging lever 300 through a relief bar (not shown) and a relief bar moving protrusion (not shown), so that the charging lever 300 pushes the canister 200 in the first direction to store it.
  • the relief valve is first opened to discharge the remaining gas in the reservoir (103).
  • the inhal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500 and a locking device 600 to prevent the canister 200 from being separated.
  • the above-described inhaler 10 uses a needle valve method developed to solve problems that occur when aerosol is sprayed into the user's nasal cavity or oral cavity, and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1.
  • This needle valve method is shown in Figure 3 below. and FIG. 4.
  • the pinch valve method when the pinch valve method is applied to an inhaler, when an aerosol is sprayed through a nozzl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the particles of the sprayed aerosol are so large that a problem may occur that wets the inside of the user's mouth. Additionally, since the end of the spray nozzle is located within the oral cavity, a problem may occur where the aerosol hits the oral cavity hard when sprayed.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needle valve method.
  • the inhaler 10 may further include a reservoir 103, a nozzle 104, and a needle valve 105.
  • Reservoir 103 may be placed inside the housing 101. Reservoir 103 may store an inhalable composition.
  • the nozzle 104 may communicate the mouthpiece 102 and the reservoir 103.
  • the nozzle 104 may be provided as a tube extending from the mouthpiece 102 to the reservoir 103.
  • the needle valve 105 may be movably disposed inside the nozzle 104.
  • the needle valve 105 can move up and down inside the nozzle 104.
  • This needle valve 105 can open or close the nozzle 104 depending on its location within the nozzle 104. That is, the needle valve 105 can open the nozzle 104 so that the mouthpiece 102 and the reservoir 103 communicate, or close the nozzle 104 so that the mouthpiece 102 and the reservoir 103 are isolated. there is.
  • the needle-shaped valve 105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ozzle 104,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for spraying the aerosol can maintain a donut shape.
  • finer particles can be formed by spraying the aerosol in a narrower section compared to the same injection area, and the nozzle 104 that sprays the aerosol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mouthpiece 102, so it is far from the oral cavity and hits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he wetting phenomenon can be improved.
  • the nozzle 104 can be switched to either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by the needle valve 105.
  • the first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nozzle 104 is closed
  • the secon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nozzle 104 is opened.
  • the mouthpiece 102 and the reservoir 103 may be isolated from each other.
  • the mouthpiece 102 and the reservoir 103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at is, in the second state, the inhalable composition stored in the reservoir 103 may be ejected into the mouthpiece 102 through the nozzle 104 as indicated by the arrow.
  • the needle valve 105 may operate in a suction-linked manner.
  • the needle valve 105 can maintain the nozzle 104 in the first state.
  • the needle valve 105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o switch the nozzle 104 to the second state.
  • the inhaler 10 may further include a piston 106, a spring 107, a passage 108, and a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portion 109.
  • the piston 106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1, and one end of the needle valve 105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 the piston 106 may reciprocate vertically within the cylinder.
  • Spring 107 may be installed below the piston 106. At this time, the spring 107 may be installed in a preloaded state.
  • the passage 108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01. Passage 108 may communicate mouthpiece 102 and piston 106. Specifically, the passage 108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uthpiece 10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piston 106. At this time, one end of the passage 108 may be connected to the mouthpiece 102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nozzle 104 is connected to the mouthpiece 102. This passage 108 can transmit the suction force applied to the mouthpiece 102 to the piston 106.
  •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109 may be formed between the piston 106 and one end of the passage 108 connected to the piston 106.
  •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unit 109 may form a space between the piston 106 and the passage 108.
  • the spring 107 pushes the piston 106 up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needle valve 105 and the nozzle 104 can be maintained in the first state.
  • the su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art 109 through the passage 108, and the piston 106 is moved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art 109 by the spring 107. ) can be overcome and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ly, the needle valve 105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nozzle 104 can be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 FIG. 4(a) shows the inhaler 10 in the first state
  • FIG. 4(b) shows the inhaler 10 in the second state.
  • the nozzle 104 and the needle valve 105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outhpiece 102 and the reservoir 103 are isolated.
  • the needle valve 105 In the second state, the needle valve 105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nozzle 104 and the needle valve 105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mouthpiece 102 and the reservoir 103 are moved to the nozzle 104. It may be in a state of communication through. Accordingly, the inhalable composition in the reservoir 103 may be ejected from the reservoir 103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uthpiece 102.
  • the nozzle 104 may include a first nozzle portion 1041 and a second nozzle portion 1042.
  • the first nozzle portion 1041 may be adjacent to the mouthpiece 102.
  • the second nozzle portion 1042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nozzle portion 1041 and adjacent to the reservoir 103.
  • This nozzle 104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nozzle portion 1041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nozzle portion 1042.
  • the needle valve 105 may include a first valve portion 1051 and a second valve portion 1052.
  • the first valve portion 1051 may be a portion formed at the tip of the needle valve 105.
  • the first valve part 1051 may be moved adjacent to the first nozzle part 1041 or the second nozzle part 1042 when vertically moved by the piston 106.
  • the first valve portion 105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nozzle portion 1041.
  • the first valve portion 1051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nozzle portion 1042.
  • the second valve part 1052 may be, for example, a part formed below the first valve part 1051.
  •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alve portion 1052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piston 106. Accordingly, when the piston 106 vertically reciprocates, the needle valve 105 can vertically reciprocate.
  • This needle valve 105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valve part 1051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valve part 1052.
  • first valve portion 1051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nozzle portion 1041. That is, the first valve part 1051 may not contact any of the first nozzle part 1041 and the second nozzle part 1042 in the first or second state.
  • the nozzle 104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1043 installed in the second nozzle portion 1042.
  • the sealing member 1043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O-ring or a quad-r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ling member 1043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valve portion 1051 and may be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valve portion 1052. Additionally,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ling member 1043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nozzle portion 1041.
  • the second valve portion 105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aling member 1043 in the first state. That is, in the first state, the second valve portion 1052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1043. Accordingly, the reservoir 103 can be sealed to prevent aerosol from leaking through the nozzle 104.
  • the second valve portion 1052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relative to the sealing member 1043 in the second state and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nozzle 104. Accordingly, the inhalable composition stored in the reservoir 103 may be ejected into the mouthpiece 102 through the nozzle 104.
  • the gap formed between the first nozzle part 1041 and the first valve part 1051 is defined as the first gap G1, and the sealing member 1043 and the first valve part
  • the gap formed between (1051) is defined as the second gap (G2). Due to the structure of the nozzle 104 and needle valve 105 described above, the first gap G1 can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econd gap G2.
  • the first gap G1 may be formed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Since the second gap G2 is formed when the first valve part 105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aling member 1043, it can be formed in a second state in which the needle valve 105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
  • This second gap G2 may allow movement of the inhalable composition ejected from reservoir 103.
  • the first gap (G1) can control the particle size of the aeroso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gap (G2). That is, since the first gap G1 is smaller than the second gap G2, only fine aerosol particles can be allowed to move among the aerosols. Ultimately, only aerosol of a size that can pass through the first gap G1 can move to the mouthpiece 102 and be ejected to the user.
  • the aerosol is finally spr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gap G1, but the initial ejection from the reservoir 103 is through the sealing member 1043 and the first valve portion 1051. ) is achieved through the second gap (G2) created between them.
  • both the nozzle 104 and the needle valve 105 are processed in a straight shape, so the first gap G1 is always formed regardl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nozzle 104, and the actual opening and closing is performed with the sealing member 1043. It is made between the needle valves (105).
  • the first gap (G1) may be formed to be 0.015 to 0.03 mm for aerosol injection of sufficiently small particles.
  • the first gap (G1) is smaller than 0.015 mm, it is difficult for the liquid composition to move through the narrow gap, so gas is mainly sprayed, and some liquid droplets may slightly protrude as if boiling.
  • the first gap (G1) is larger than 0.03mm, mainly thick droplets are sprayed, so the spray amount per unit time is too high, and the user may feel that the nasal cavity or oral cavity is wet.
  • the second gap G2 is formed too narrow due to the manufacturing tolerance of the sealing member 1043, the same phenomenon as the narrow first gap G1 may occur.
  • the second gap G2 is the first gap G2. It can be formed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gap G1. Accordingly, the inhal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capable of spraying aerosol fine particles and can easily adjust the spray amount.
  • the inhaler 10 maintains the nozzle 104 in a closed state by receiving a force in which the needle valve 105 pushes up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preload of the spring 107. You can.
  •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iston 106, which overcomes the preload of the spring 107 and causes the piston 106 to move downward.
  • a second gap G2 may be formed between the sealing member 1043 and the needle valve 105.
  • the inhalable composition in the reservoir 103 may be ejected in the form of an aerosol through the second gap G2 and the first gap G1 to the outside, for example, into the user's mouth.
  • the piston 106 and the needle valve 105 rise agai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07, close the nozzle 104, and stop the spraying of the aerosol.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는,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및 상기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 가능한 조성물을 저장하는 저장소;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상기 저장소까지 연장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니들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에 흡입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니들밸브는 상기 노즐이 밀폐되는 제1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니들밸브는 상기 노즐이 개방되는 제2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헤일러
인헤일러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인헤일러는 흡입을 하는 과정에서 약물 등의 조성물을 액체 또는 가스로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흡입시키는 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인헤일러는 흡입 가능한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구비하고, 조성물은 가는 관을 통해 용기로부터 최종적으로 흡입구를 통해 구강 또는 비강으로 분사되어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9972호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흡입력과 연동되어 상하 운동함으로써 노즐을 개폐하도록 작동하는 밸브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흡입력을 가할 때 흡입 가능한 조성물이 분사되고, 분사 시 미세 입자의 흡입 가능한 조성물이 분사되도록 분사량이 조절되는 인헤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는,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및 상기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 가능한 조성물을 저장하는 저장소;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상기 저장소까지 연장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니들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에 흡입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니들밸브는 상기 노즐이 밀폐되는 제1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니들밸브는 상기 노즐이 개방되는 제2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상태는 상기 니들밸브가 상기 노즐과 접하는 상태로 정의되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니들밸브가 상기 노즐과 접하지 않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일면에 상기 니들밸브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서 일면을 향하는 제1방향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수직 왕복 운동 가능한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 하부에 예압 상태로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스프링은 피스톤을 상기 제1방향으로 밀어 올려 상기 제1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피스톤은 상기 스프링의 예압을 극복하고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측에서 상기 피스톤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마우스피스에 가해지는 흡입력을 상기 피스톤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피스톤과 상기 통로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음압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압형성부는 상기 흡입력에 의해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노즐은, 상기 마우스피스와 인접한 제1노즐부분; 및 상기 저장소와 인접한 제2노즐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부분은 상기 제2노즐부분보다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니들밸브는,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서 일면을 향하는 제1방향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제1노즐부분 및 상기 제2노즐부분에 걸쳐 수직 왕복 이동 가능한 제1밸브부분; 및 상기 제1밸브부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밸브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부분은 상기 제2밸브부분보다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밸브부분은 상기 제1노즐부분보다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밸브부분은 상기 제1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노즐과 접하지 않고, 상기 제2밸브부분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노즐과 접하고,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노즐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노즐은 상기 제2노즐부분에 설치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부분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씰링부재와 접하고,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씰링부재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밸브부분과 상기 제1노즐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제1간격은 상기 제1밸브부분과 상기 씰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2간격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1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2상태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저장소로부터 분출된 흡입 가능한 조성물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2간격을 통과하는 흡입 가능한 조성물의 입자 크기를 제어하여 상기 마우스피스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간격은 0.015~0.03mm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에 의하면, 흡입력과 연동되어 상하 운동함으로써 노즐을 개폐하도록 작동하는 밸브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흡입력을 가할 때 흡입 가능한 조성물이 분사되고, 분사 시 미세 입자의 흡입 가능한 조성물이 분사되도록 분사량이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상태 및 제2상태의 인헤일러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상태 및 제2상태의 인헤일러(10)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는 하우징(101) 및 마우스피스(102)를 포함한다.
하우징(101)은 일면에 형성된 제1면,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제2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1)의 제1면은 예를 들어 하우징(101) 상부에 위치한 면이고, 제2면은 예를 들어 하우징(101)의 바닥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면으로부터 제1면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으로 정의하고, 제1면으로부터 제2면을 향하는 방향을 제2방향으로 정의한다.
마우스피스(102)는 상기 하우징(101)의 제1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피스(102)를 통해 인헤일러(10)에 수용되어 있는 흡입 가능한 조성물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조성물을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태로 흡입할 수 있으며, 분말 등의 형태로도 흡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흡입 가능한 조성물을 에어로졸 형태로 분사하는 인헤일러(10)를 예로 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는 하우징(101) 내부에 흡입 가능한 조성물을 수용하는 캐니스터(200)가 장착되고, 캐니스터(200)의 조성물은 저장소(103) 내부에 일정량이 충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소(103) 내에 저장된 조성물의 잔량을 하우징(101)에 마련된 현시창(미도시)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저장소(103) 내부로 캐니스터(200)에 수용된 조성물을 충전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압 가능한 충전레버(300)가 구비되어 있다. 충전레버(300)는 하우징(101)의 제2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충전레버(300)를 가압하면 충전레버(300)가 캐니스터(200)의 바닥면을 제1방향으로 밀어 올려 캐니스터(200)의 분사구가 저장소(103)와 연통되며, 분사구를 통해 조성물이 캐니스터(200)로부터 저장소(103)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에는 저장소(103)의 충전 시 캐니스터(200)의 상하운동에 연계되어 충전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미도시) 및 캐니스터(200) 내 조성물의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저장소(103) 내에 저장된 조성물은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02)에 흡입력을 가함으로써 에어로졸 형태로 분사되는데, 이때 흡입력에 의해 저장소(103)를 개폐하는 인헤일 연동 밸브(105)가 작동하며, 인헤일 연동 밸브(105)의 개폐 동작은 피스톤(10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저장소(103)에는 릴리프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01)의 제1면에는 릴리프 벤트홀(4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릴리프밸브는 릴리프 바(미도시) 및 릴리프 바 이동 돌기(미도시) 등을 통해 충전레버(300)와 연동되어 있어서, 충전레버(300)가 캐니스터(200)를 제1방향으로 밀어 올려 저장소(103)를 충전하기 직전에 릴리프 밸브가 먼저 개방되어 저장소(103) 내 잔여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에는 캐니스터(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500) 및 잠금장치(60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인헤일러(10)는 에어로졸이 사용자의 비강 또는 구강으로 분사될 때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니들 밸브 방식이 하우징(101) 내부에 적용되며, 이러한 니들 밸브 방식은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흡입기에 핀치 밸브 방식이 적용되면 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노즐을 통하여 에어로졸이 분사될 때 분사되는 에어로졸의 입자가 너무 커서 사용자의 구강 내부를 적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분사 노즐의 끝단이 구강 내에 위치하게 되어 분사 시 에어로졸이 구강을 세게 때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니들(needle) 밸브 방식을 적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는 저장소(103), 노즐(104) 및 니들밸브(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103)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저장소(103)는 흡입 가능한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노즐(104)은 마우스피스(102)와 저장소(103)를 연통시킬 수 있다. 노즐(104)은 마우스피스(102)에서 저장소(103)까지 연장되는 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니들밸브(105)는 노즐(104)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밸브(105)는 노즐(104)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니들밸브(105)는 노즐(104) 내 위치에 따라 노즐(104)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즉, 니들밸브(105)는 마우스피스(102)와 저장소(103)가 연통되도록 노즐(104)을 개방시키거나 마우스피스(102)와 저장소(103)가 격리되도록 노즐(104)을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니들밸브(105)를 이용한 니들 밸브 방식은 니들 형상의 밸브(105)가 노즐(104) 중간에 위치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분사하는 단면적은 도넛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 분사 면적 대비 더 좁은 구간에서 에어로졸을 분사함으로써 더 미세한 입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을 분사하는 노즐(104)이 마우스피스(102)의 아래쪽 끝단에 위치하고 있어 구강과 멀어 구강 내부를 때리거나 적시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니들밸브(105)에 의해 노즐(104)은 제1상태 또는 제2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1상태는 노즐(104)이 밀폐되는 상태이고, 제2상태는 노즐(104)이 개방되는 상태이다. 제1상태에서 마우스피스(102)와 저장소(103)는 서로 격리될 수 있다. 제2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102)와 저장소(103)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제2상태에서 저장소(103)에 저장된 흡입 가능한 조성물이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노즐(104)을 통해 마우스피스(102)로 분출될 수 있다.
또한, 니들밸브(105)는 흡입 연동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우스피스(102)에 흡입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니들밸브(105)는 노즐(104)을 제1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102)를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면, 니들밸브(105)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노즐(104)을 제2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는 피스톤(106), 스프링(107), 통로(108) 및 음압형성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106)은 하우징(101) 내부에 배치되며 일면에 니들밸브(105)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106)은 실린더 내에서 수직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스프링(107)은 피스톤(106)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07)은 예압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통로(108)는 하우징(10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통로(108)는 마우스피스(102)와 피스톤(106)을 연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로(108)는 일단이 마우스피스(102)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피스톤(106)의 하부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로(108)의 일단은 상기 노즐(104)이 마우스피스(102)와 연결된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마우스피스(10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로(108)는 마우스피스(102)에 가해지는 흡입력을 피스톤(106)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음압형성부(109)는 피스톤(106) 및 피스톤(106)과 연결된 통로(108)의 일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음압형성부(109)는 피스톤(106)과 통로(108)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102)에 흡입력이 가해지면 통로(108)를 통해 전달된 흡입력이 음압형성부(109)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음압형성부(109)는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압형성부(109)는 피스톤(106)이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결국, 마우스피스(102)에 흡입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스프링(107)은 피스톤(106)을 제1방향으로 밀어 올려 니들밸브(105)와 노즐(104)이 제1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반면, 마우스피스(102)에 흡입력이 가해지면, 흡입력은 통로(108)를 통해 음압형성부(109)로 전달되고, 음압형성부(109)에서 발생한 음압에 의해 피스톤(106)이 스프링(107)의 예압을 극복하고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니들밸브(105)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노즐(104)이 제2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상태 및 제2상태의 노즐(104) 및 니들밸브(105)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제1상태의 인헤일러(10)를 도시하고, 도 4(b)는 제2상태의 인헤일러(10)를 도시한다.
제1상태일 때, 노즐(104)과 니들밸브(105)는 서로 접하여 마우스피스(102)와 저장소(103)가 격리된 상태일 수 있다.
제2상태일 때, 니들밸브(105)가 제2방향으로 이동되어 노즐(104)과 니들밸브(105)는 서로 접하지 않게 되고, 마우스피스(102)와 저장소(103)가 노즐(104)을 통해 연통되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소(103)의 흡입 가능한 조성물이 저장소(103)로부터 마우스피스(102)를 통해 외부로 분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104)은 제1노즐부분(1041) 및 제2노즐부분(10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노즐부분(1041)은 마우스피스(102)와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제2노즐부분(1042)은 예를 들어 제1노즐부분(1041)의 하부에 위치하고 저장소(103)와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노즐(104)은 제1노즐부분(1041)이 제2노즐부분(1042)보다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니들밸브(105)는 제1밸브부분(1051) 및 제2밸브부분(10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밸브부분(1051)은 니들밸브(105)의 선단에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제1밸브부분(1051)은 피스톤(106)에 의한 수직 이동 시 제1노즐부분(1041) 또는 제2노즐부분(1042)에 인접하게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태에서 제1밸브부분(1051)은 제1노즐부분(1041)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상태에서 제1밸브부분(1051)은 제2노즐부분(1042)과 인접하도록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밸브부분(1052)은 예를 들어 제1밸브부분(1051)의 하부에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제2밸브부분(1052)의 하단은 피스톤(106)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106)의 수직 왕복 운동 시 니들밸브(105)가 수직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니들밸브(105)는 제1밸브부분(1051)이 제2밸브부분(1052)보다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밸브부분(1051)은 제1노즐부분(1041)보다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밸브부분(1051)은 제1상태 또는 제2상태에서 제1노즐부분(1041) 및 제2노즐부분(1042) 중 어느 것과도 접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노즐(104)은 제2노즐부분(1042)에 설치되는 씰링부재(10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씰링부재(1043)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구성된 오링 또는 쿼드링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씰링부재(1043)의 내경은 제1밸브부분(1051)의 직경보다 크고, 제2밸브부분(105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씰링부재(1043)의 내경은 제1노즐부분(1041)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제2밸브부분(1052)은 제1상태에서 씰링부재(1043)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상태에서 제2밸브부분(1052)은 씰링부재(1043)와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104)을 통해 에어로졸이 누설되지 않도록 저장소(103)가 밀폐될 수 있다.
반면, 제2밸브부분(1052)은 제2상태에서 씰링부재(1043)보다 제2방향으로 이동되어 노즐(104)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소(103)에 저장된 흡입 가능한 조성물은 노즐(104)을 통해 마우스피스(102)로 분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제1노즐부분(1041)과 제1밸브부분(1051)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제1간격(G1)으로 정의하고, 씰링부재(1043)와 제1밸브부분(1051)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제2간격(G2)으로 정의한다. 전술한 노즐(104) 및 니들밸브(105)의 구조에 의해 제1간격(G1)은 제2간격(G2)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간격(G1)은 제1상태 또는 제2상태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2간격(G2)은 제1밸브부분(1051)이 씰링부재(1043)에 인접하게 배치될 경우에 형성되므로, 니들밸브(105)가 제2방향으로 이동된 제2상태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간격(G2)은 저장소(103)로부터 분출된 흡입 가능한 조성물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제1간격(G1)은 제2간격(G2)을 통과한 에어로졸의 입자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간격(G1)은 제2간격(G2)보다 더 작으므로, 에어로졸 중 미세 입자의 에어로졸의 이동만을 허용할 수 있다. 결국, 제1간격(G1)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에어로졸만이 마우스피스(102)로 이동하여 사용자에게로 분출될 수 있다.
즉, 흡입력에 의해 노즐(104)이 개방되면 에어로졸은 최종적으로 제1간격(G1)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지만, 저장소(103)에서의 최초 분출은 씰링부재(1043)와 제1밸브부분(1051)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제2간격(G2)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노즐(104)과 니들밸브(105)는 모두 곧은 형태로 가공되어 있어 제1간격(G1)은 노즐(104)의 개폐와 상관없이 항상 형성되어 있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개폐는 씰링부재(1043)와 니들밸브(105) 사이에서 만들어진다.
이때 제1간격(G1)은 충분히 작은 입자의 에어로졸 분사를 위하여 0.015~0.03mm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간격(G1)이 0.015mm보다 더 작을 경우 액상의 조성물이 좁은 틈을 타고 이동이 어려워 가스 위주로 분사가 되며 일부 액적이 끓듯이 약하게 튀어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제1간격(G1)이 0.03mm보다 클 경우 굵은 액적 위주로 분사되어 단위 시간 당 분사량이 너무 많고 사용자가 비강 또는 구강이 젖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씰링부재(1043)의 제조 공차로 인하여 제2간격(G2)이 너무 좁게 형성될 경우 제1간격(G1)이 좁은 것과 동일한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이를 고려하여 제2간격(G2)은 제1간격(G1)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는 미세 입자의 에어로졸 분사가 가능하고 분사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는 니들밸브(105)가 평소 스프링(107)의 예압에 의해 제1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받아 노즐(104)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헤일러(10)는 사용자에 의해 마우스피스(102)를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면 피스톤(106) 하부에 음압이 형성되면서 스프링(107)의 예압을 이기고 피스톤(106)이 아래로 운동하고 피스톤(106)에 연결된 니들밸브(105)가 내려오면서 씰링부재(1043)와 니들밸브(105) 사이에 제2간격(G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소(103)의 흡입 가능한 조성물은 에어로졸 형태로 제2간격(G2)을 지나 제1간격(G1)을 통하여 외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구강으로 분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을 멈출 경우 스프링(107)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106)과 니들밸브(105)가 다시 위로 올라가며 노즐(104)을 폐쇄하고 에어로졸의 분사가 중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및 상기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 가능한 조성물을 저장하는 저장소;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상기 저장소까지 연장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니들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에 흡입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니들밸브는 상기 노즐이 밀폐되는 제1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니들밸브는 상기 노즐이 개방되는 제2상태로 전환되는, 인헤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태는 상기 니들밸브가 상기 노즐과 접하는 상태로 정의되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니들밸브가 상기 노즐과 접하지 않는 상태로 정의되는, 인헤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니들밸브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서 일면을 향하는 제1방향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수직 왕복 운동 가능한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 하부에 예압 상태로 설치되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스프링은 피스톤을 상기 제1방향으로 밀어 올려 상기 제1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피스톤은 상기 스프링의 예압을 극복하고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되는, 인헤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측에서 상기 피스톤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마우스피스에 가해지는 흡입력을 상기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인헤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통로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음압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압형성부는 상기 흡입력에 의해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인헤일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마우스피스와 인접한 제1노즐부분; 및
    상기 저장소와 인접한 제2노즐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부분은 상기 제2노즐부분보다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되는, 인헤일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밸브는,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서 일면을 향하는 제1방향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제1노즐부분 및 상기 제2노즐부분에 걸쳐 수직 왕복 이동 가능한 제1밸브부분; 및
    상기 제1밸브부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밸브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부분은 상기 제2밸브부분보다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되는, 인헤일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부분은 상기 제1노즐부분보다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되는, 인헤일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부분은 상기 제1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노즐과 접하지 않고,
    상기 제2밸브부분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노즐과 접하고,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노즐과 접하지 않는, 인헤일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제2노즐부분에 설치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부분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씰링부재와 접하고,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씰링부재와 접하지 않는, 인헤일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부분과 상기 제1노즐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제1간격은 상기 제1밸브부분과 상기 씰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2간격보다 더 작은, 인헤일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1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2상태에서 형성되는, 인헤일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저장소로부터 분출된 흡입 가능한 조성물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2간격을 통과하는 흡입 가능한 조성물의 입자 크기를 제어하여 상기 마우스피스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인헤일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은 0.015~0.03mm로 형성되는, 인헤일러.
PCT/KR2023/003636 2022-05-24 2023-03-20 인헤일러 WO202322917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380009694.2A CN117460554A (zh) 2022-05-24 2023-03-20 吸入器
EP23725943.7A EP4302809A1 (en) 2022-05-24 2023-03-20 Inha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549 2022-05-24
KR1020220063549A KR20230163797A (ko) 2022-05-24 2022-05-24 인헤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9175A1 true WO2023229175A1 (ko) 2023-11-30

Family

ID=8792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3636 WO2023229175A1 (ko) 2022-05-24 2023-03-20 인헤일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02809A1 (ko)
KR (1) KR20230163797A (ko)
CN (1) CN117460554A (ko)
WO (1) WO2023229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203A (ko) *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인헤일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938A (ja) * 1996-06-06 1997-12-16 Unisia Jecs Corp 吸入式投薬器
KR20030028737A (ko) * 2000-06-09 2003-04-10 아이박스 코포레이션 다중물질의 다이아프램이 공압챔버를 둘러싸고 있는약제공급장치
JP2009131367A (ja) * 2007-11-29 2009-06-18 Japan Tobacco Inc エアロゾル吸引器
KR20120037938A (ko) * 2009-06-17 2012-04-20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에어로졸 발생기
KR20120129977A (ko) * 2010-03-29 2012-11-28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흡인기를 위한 액 탱크
KR101759972B1 (ko) 2012-09-13 2017-07-20 하펠라 오와이 호흡기 질환의 치료 및 폐 기능의 개선을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938A (ja) * 1996-06-06 1997-12-16 Unisia Jecs Corp 吸入式投薬器
KR20030028737A (ko) * 2000-06-09 2003-04-10 아이박스 코포레이션 다중물질의 다이아프램이 공압챔버를 둘러싸고 있는약제공급장치
JP2009131367A (ja) * 2007-11-29 2009-06-18 Japan Tobacco Inc エアロゾル吸引器
KR20120037938A (ko) * 2009-06-17 2012-04-20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에어로졸 발생기
KR20120129977A (ko) * 2010-03-29 2012-11-28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흡인기를 위한 액 탱크
KR101759972B1 (ko) 2012-09-13 2017-07-20 하펠라 오와이 호흡기 질환의 치료 및 폐 기능의 개선을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797A (ko) 2023-12-01
CN117460554A (zh) 2024-01-26
EP4302809A1 (en)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229175A1 (ko) 인헤일러
EP0490797B1 (en) Inhalation actuated dispensing apparatus
RU2432190C2 (ru) Ингалятор со струйным контролем на основе скорости входа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ему способы применения
US5239992A (en) Loose powder inhaler with inhalation-actuated dosing piston
WO2020059946A1 (ko) 스프레이 펌프
EP0855224B1 (en) Atomizer
KR20080005992A (ko) 호흡 작동식 흡입기
WO2015180058A1 (zh) 电子烟以及电子烟的进气量调节方法
CA2614628A1 (en) Inhalation device with a bottom surface formed as a foot
CA2470997A1 (en) Nebulizer apparatus and method
KR20010102405A (ko) 정량식 저속 분무 흡입기
JP7291249B2 (ja) 噴霧器及び電子噴霧装置
WO2021251635A1 (ko) 압력분사방식을 갖는 휴대형 화장액 분사장치
WO2018097469A2 (ko) 고농도 산소 투여를 구현하기 위한 얼굴 산소 마스크
WO2024058343A1 (ko) 인헤일러
GB2412326A (en) Hand-held dispenser
WO2017185242A1 (zh) 注液装置
CN111432865B (zh) 药物递送系统及相关方法
WO2012150729A1 (ko) 푸시헤드를 갖춘 용기 펌프디스펜서
IT9048088A1 (it) Dispositivo per distribuire aerosol.
WO2022050517A1 (ko) 유체 디스펜서
GB2323039A (en) Inhalation apparatus
WO2023234528A1 (ko) 인헤일러
CN113952560A (zh) 雾化杯
CN216019093U (zh) 一种雾化器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7259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60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3914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259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