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04347A1 -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복합 균사체 및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복합 균사체 및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04347A1
WO2023204347A1 PCT/KR2022/007820 KR2022007820W WO2023204347A1 WO 2023204347 A1 WO2023204347 A1 WO 2023204347A1 KR 2022007820 W KR2022007820 W KR 2022007820W WO 2023204347 A1 WO2023204347 A1 WO 20232043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lucan
beta
mushrooms
mycelium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78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진후
문승희
Original Assignee
박진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후 filed Critical 박진후
Priority to US17/949,21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37597A1/en
Publication of WO20232043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043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70Harve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34Beta-Glucan

Definitions

  •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ycelium, and a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ycelium and beta-glucan-containing products.
  • Mushrooms belonging to the Basidiomycetes, are important food resources and medicinal plants that grow by decomposing various organic substances. Mushrooms have unique tastes and aromas depending on their type, and contain a lot of protein, vitamins, and other inorganic nutrient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glucan derivatives, a polysaccharide contained in mushrooms, have anticancer and antiviral effects.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is receiving worldwide attention as a health food.
  • beta-glucan a type of polysaccharide, is a substance present in the cell walls of yeast, mushrooms, grains, etc. It does not attack cancer cells directly but activates the immune function of normal human cells through a non-specific immune response, suppressing the proliferation and recurrence of cancer cells. It is effective.
  • beta-glucan is excellent at lowering blood sugar levels and reducing blood cholesterol, and is also reported to have an anti-obesity effect by improving lipid metabolism and suppressing body fat formation and accumulation.
  • the above mushrooms are commonly reported to have excellent anti-cancer effects and immunity-boosting effects, and are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functional foods and health supplements as well as pharmaceuticals.
  • the fruiting bodies of mushrooms (the cap part of mushrooms commonly seen outdoors) must be collected and used.
  • the fact that mushrooms themselves do not reproduce well in natural conditions and due to overuse of collection causes resource loss.
  • a method of cultivating fruiting bodies using sawdust, etc. is also used, but this method has the problem that the cultivation period alone takes several months, and a large amount of production facilities and expenses are required to supply raw materials sufficient for industrial use. It does not meet the demands of mass production.
  • the fruiting bodies of Chaga, Sanghwang, Reishi, cauliflower, Cordyceps, and Hepatica are effective as anticancer agents or immune enhancers, but their supply is limited and mass production and rapid production are not easy, so they are not widely used. .
  • beta-glucans in cosmetics, coffee, food, etc.
  •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culture mycelium using these as a medium.
  • technical limitations such as loss of beta-glucan in mycelium or slow growth.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ycelium that can maintain a high content of beta-glucan.
  •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ycelium, and a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ycelium and beta-glucan-containing products.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dding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s to a medium
  •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mycelium, which includes the step of producing a composite mycelium by culturing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with a plant material containing a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mycelium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method.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beta-glucan-containing product comprising the step of inoculating the product with the above-described composite mycelium.
  • the composite mycelium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ycel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having a high beta-glucan content.
  • the composite mycelium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ycel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beta-glucan content of the product.
  • Figures 1 and 2 are photographs of green coffee beans in which mycelium was cultured during the coffee manufacturing process of Experimental Example 1-1.
  • FIGS 3 and 4 show green coffee beans from which some mycelium was removed during the coffee manufacturing process of Experimental Example 1-1.
  • FIG. 5 shows the coffee finally produced in Experimental Example 1-1.
  •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refers to all types of mushrooms containing beta-glucan, and the types will be described later.
  • 'beta-glucan' is a type of glucan, a type of fluorinated polysaccharide.
  • Glucan is divided into alpha-glucan and beta-glucan.
  • Alpha-glucan is mainly present in plant starch, and beta-glucan is present in the cell walls of mushrooms, grains, and yeast. It is known that the efficacy of beta-glucan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extraction target.
  • beta-glucan extracted from mushrooms is a substance known to improve immune function and help control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levels.
  • 'plant raw materials containing bioactive substances means plant-derived raw materials containing bioactive substance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form is not limited, and raw materials such as stems, leaves, and roots of the plant in question are used. The location from which it originates is also not limited.
  •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refers to a substance that regulates hormones, enhances immune function, or acts as an antioxidant in the human body, and its types will be described later.
  • beta-glucan in cosmetics and foods by cultivating mushrooms in coffee.
  • beta-glucan content was not sufficiently secured during this process.
  • the product does not contain enough beta-glucan. There were limitations that were not included.
  • the present inventors discovered a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ycelium that can secure a sufficient content of beta-glucan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ycelium described later, the beta-glucan content of the composite mycelium was high, and when applied to target products such as cosmetics or food, the beta-glucan of the product was effective.
  • the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ycelium it is possible to reduce mycotoxins in the manufactured composite mycelium and products to which it is applied.
  • mycelium when applied to coffe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ycelium that may occur when consuming existing coffee. It can solve the problem of elevated blood sugar levels.
  • Liquid chromatograph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caffeine contained in coffee, and liquid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mold toxins. Examples of measurement conditions are as follows.
  • Solvent B 1% acetic acid in DW
  • Solvent A 5mM ammonium formic acid solution (containing 1% formic acid)
  • Solvent B 5mM ammonium formic acid methanol solution (containing 0.1% formic acid)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dding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s to a medium; Injecting plant raw materials containing bioactive substances into a medium; and culturing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with a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a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to produce a composite mycelium.
  • the method of producing the composite mycelium includes the step of culturing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with a plant material containing a bioactive substance to produce a composite mycelium, wherein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is cultured with a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a bioactive substance. Accordingly, beta-glucan may not be lost during the culture process.
  • the composite mycelium produced by the above composite mycelium produc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products requiring beta-glucan, such as cosmetics and food, and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ent of beta-glucan in the product.
  • the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the bioactive substance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avonoids, polyphenols, isoflavones, sulforafen, allyl compounds, limonene, and lignin. At this time, it may preferably include components of flavonoids, polyphenols, or isoflavones.
  • the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the bioactive substance may include one or more raw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w materials derived from black beans and raw materials derived from ginkgo biloba.
  • the raw material derived from black beans may be Seoritae, Seomoktae, or Black bean.
  • the seedlings may be rat-eyed soybeans.
  • the above-mentioned soybean has an excellent effect on blood purification and detoxification, and has been used as a medicine rather than an edible bean since ancient times.
  • Isoflavones in black-eyed soybeans have excellent anti-cancer properties and inhibit the growth of cancer cells.
  • Linoleic acid purifies the blood and prevents disease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arteriosclerosis, and cerebral thrombosis. Additionally, saponin and corine components activate kidney function. It supports cell synthesis and helps improve fatty liver by removing fat from the body.
  • vitamin E which prevents and improves blemishes and blemishes
  • anthocyanin improves the function of collagen, creating elastic skin.
  • lecithin promotes brain activity and is good for brain health.
  • the ginkgo-derived raw material may be ginkgo tree stem, ginkgo bark, ginkgo tree root, ginkgo fruit, or ginkgo leaf.
  • Ginkgo leaves are preferred in terms of collectability and ease of processing.
  • a step of pre-treating the ginkgo tree-derived raw material is included.
  • the above step is to remov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ginkgo tree-derived raw material.
  • a step of treating the ginkgo leaves to remove the cyanide compounds contained in the ginkgo leaves may be included.
  • the step of preparing the ginkgo leaves can be performed by drying the ginkgo leaves, soaking them in water, and then boiling them.
  • the ginkgo leaf contains more than 20 types of flavonoids. It is thought to be a plant that regulates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seeds and at the same time protects internal tissues by absorbing ultraviolet rays from the sun. In the human body, it plays a role in protecting capillaries.
  • ginkgo leaves contain various antioxidant ingredients such as zincolide, which eliminates blood clots, increases the elasticity of blood vessel walls, and is known to have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inhibition of free radicals, inhibition of platelet activating factors, cerebral blood flow disorders, and heart disease.
  • the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the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may include raw materials derived from black soybeans and raw materials derived from ginkgo biloba.
  • the black bean-derived raw material and the ginkgo tree-derived raw material may be mixed and added at a weight ratio of 3:7 to 7:3, preferably 6:4 to 4:6.
  • a weight ratio of 3:7 to 7:3, preferably 6:4 to 4:6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possible to obtain composite mycelium containing a particularly high content of beta-glucan.
  • the content of the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the bioactive substance may be 1 part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Preferably, it may be 10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or 20 parts by weight to 40 parts by weight.
  • a sufficient amount of mushroom raw material can be secured to maintain a stable culture speed,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beta-glucan content by bioactive substances can be sufficiently secured.
  • the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the bioactive substance may be in powder or liquid form.
  • mixing with mushroom raw materials is easy and fairness can be improved.
  • the manufacturing method in powder form is as follows.
  • the manufacturing method is as follows.
  • the fermented ginkgo leaf powder is made by washing the ginkgo leaves, grinding them with a grinder, and fermenting them at room temperature for 3 to 10 days. Next, the fermented ginkgo leaf powder is sterilized by heat treatment (eg, 100 to 120°C for 0.5 to 2 hours). Thereafter, 0.5 to 4 parts by weight of lactic acid bacteria are inoculat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fermented ginkgo leaf powder, and fermented at 35 to 38° C. for 3 to 10 days. The pulverized ginkgo leaves that have completed the fermentation are dried and ground in a grinder to make powder.
  • an active material may be added to the pulverized ginkgo leaves, and the content of the active material may be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ulverized ginkgo leaves.
  • lactic acid bacteria known in the fiel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es, Bifidobacterium animalis lactis.
  • BB-12 Bifidobacterium animalis spp. Lactis BB-12
  • BB-12 Bifidobacterium animalis spp. Lactis BB-12
  • the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the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may be fermented.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ent of bioactive substances.
  •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s include Cordyceps sinensis, horseshoe mushrooms, reishi mushrooms, deer antler reishi mushrooms, cauliflower mushrooms, chaga mushrooms, Sanghwang mushrooms, shiitake mushrooms, cloud mushrooms, oyster mushrooms, horse manure mushrooms,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silocybin mushrooms.
  • the psilocybin mushrooms are hallucinogenic mushrooms containing psilocybin and correspond to most hallucinogenic mushrooms.
  • the Cordyceps sinensis is know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immunity, anti-cancer activity, and relieving stress and fatigue. In addition, it is known to have the effect of enhancing stamina, controlling cholesterol levels, controlling blood pressure, and treating pernicious anemia.
  • the reishi mushroom (Ganoderma lucidum) occurs on the roots of broad-leaved trees in summer. It is also known as Qin Shi Huang's herb of immortality, and in the Boncho class, this mushroom is ranked among the best medicines along with ginseng. Reishi mushrooms are known to have tonic, anti-inflammator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are effective for respiratory diseases, nervous breakdown, heart disease, and high blood pressure. They also lower cholesterol and are known to have anti-cancer effects.
  • the flower mushrooms (Sparassis crispa) grow in clusters on the stems or stumps near the roots of living trees from summer to fall.
  • the white flowers appear to bloom in groups and have a scent similar to that of clusters. It grows wild on the stumps of cut down coniferous trees or at the edges of old trees in the fall.
  • Flower mushrooms are known to have effects such as enhancing immunity, suppressing high blood pressure, suppressing the rise in blood suga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promoting hematopoiesis.
  • the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is a sclerotium that grows naturally on birch and alder trees that grow in cold regions such as Russia, Canada, and Hokkaido, Japan. Recently, in Japan, it was reported that chaga mushroom is effective in preventing hepatitis C and treating liver cancer, and in the United States, chaga mushroom is classified as a special natural substance and is being developed as a future pharmaceutical and health food. In Korea, it was reported that chaga mushroom was used in the private sector for stomach cancer patients and diabetic patients, and that the effect was superior to that of other mushrooms. In addition, chaga mushrooms are report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body resistance, inhibiting tumor development, and whitening.
  • Phellinus linteus is also called woody mud mushroom, and is recorded in the decoction section under the name Sangmoki ( ⁇ ) in Donguibogam. It grows naturally on mulberry tree trunks and is yellow except for the surface of the hat. At first, it looks like a lump of mud, but when it grows up, it looks like a tree stump with its tongue sticking out, so it is also called a tree stump.
  • Sanghwang mushrooms have been used since ancient times for uterine bleeding, menstrual irregularities, etc., and have recently been reported to have excellent effects in suppressing tumors, strengthening immunity, and whitening.
  • the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Berk.) Sing.) is an edible mushroom belonging to the Basidiomycetes Oysteraceae family. It not only lowers blood pressure and promotes the production of interferon, an antiviral substance, but also improves diabetes, obesity, arteriosclerosis, and high blood pressure. It is known that this exists.
  • lentinan contained in shiitake mushrooms is known to have anti-cancer and anti-tumor effects, and ergosterol is converted to vitamin D2 when exposed to ultraviolet rays of the sun, so shiitake mushrooms are used to prevent rickets and treat anemia. It is known to have a function.
  • the oyster mushroom is rich in dietary fiber and vitamins, which suppresses the rise in blood sugar levels and contains an abundance of dietary fiber that excretes cholesterol from the blood. It also contains a lot of vitamin D, which promotes fat breakdown, which has the effect of purifying the blood and lowering the glycemic index.
  • Oyster mushrooms contain beta-glucan, selenium, and RNA complex, so they have excellent anti-cancer effects.
  • the step of producing a composite mycelium by culturing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with a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a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includes the steps of primary culturing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adding the plant material containing the bioactive substance to the primary culture and performing secondary culture. Meanwhile, the step of primary culturing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and the step of adding the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the bioactive substance to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 the step of primary culturing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may be performed by inoculating and culturing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in a medium.
  • preparing mycelium by independently inoculating and culturing each mushroom raw material in a separate medium; Preparing each mycelium powder by grinding the mycelium; Preparing a mycelium powder mixture by mixing the mycelium powder;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inoculating and culturing the mycelium powder mixture in a medium.
  • the mycelium powder mixed in the mycelium powder mixtur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or each mushroom raw material.
  • the weight ratio of each mycelium powder is 1 ⁇ It can be 3 : 1 ⁇ 3 : 1 ⁇ 3 : 1 ⁇ 3 : 1 ⁇ 3 : 1 ⁇ 3 : 1 ⁇ 3 : 1 ⁇ 3.
  • the medium used in the step of primary culturing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may be PDA (Potato Dextrose Agar).
  • the step of secondary cultivation may be included by adding the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the bioactive substance to the primary culture.
  • the above step is to increase the content of beta-glucan by adding the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the bioactive substance to the primary culture and to obtain nutritionally excellent mycelium by adding the bioactive substance.
  • the secondary culturing step may be performed at the time when the mycelium of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blooms in the primary culturing step.
  • the hypha is a general term for a fungal system with a long branched fibrous structure, and the point at which the hyphae bloom can be confirmed with the human eye.
  • unwanted side reactions such as mold blooming can be prevented and sufficient beta-glucan content can be secured. Let it happen.
  • primary culturing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And the step of adding the plant raw material containing the bioactive substance to the primary culture and performing secondary cultivation is performed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20°C to 30°C and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of 10% to 30% for 5 to 14 days, respectively. It can be. Alternatively, it may be carried out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27°C to 28°C and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of 18% to 25%.
  •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site mycelium may include the step of separating the composite mycelium from the medium.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mycelium produc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ycelium described abov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beta-glucan-containing product comprising the step of inoculating the product with the above-described composite mycelium.
  • the produc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smetics, green coffee beans, and fruits.
  • the product is green coffee beans, and may include culturing the composite mycelium in green coffee beans.
  • the product is green coffee beans, and may include the step of roasting the green coffee beans in which the complex mycelium has been cultured.
  • the step of culturing the composite mycelium on green coffee beans may be performed for 5 days to 4 weeks. Alternatively, it may be performed for 1 week to 4 weeks, 1 week to 3 weeks, or 1 week to 2 weeks.
  • the step of culturing the composite mycelium on green coffee beans may be performed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15°C to 30°C and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of 20% to 80%.
  • the temperature condition may be 19°C to 30°C
  • the relative humidity condition may be 30% to 60%.
  • the green coffee beans can sufficiently function as a medium, complex mycelium can grow well, and flavor can be sufficiently imparted.
  • the step of culturing the composite mycelium on green coffee beans may be repeated two to three times, and the conditions for each step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step of culturing the composite mycelium in green coffee beans may be performed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20°C to 30°C and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of 10% to 30% for 5 to 14 days. Alternatively, it may be carried out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27°C to 28°C and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of 18% to 25%.
  • the content of the composite mycelium in the step of culturing the composite mycelium in green coffee beans may be 0.1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green coffee beans. Preferably, it may be 1 to 8 parts by weight or 2 to 7 parts by weight.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the flavor of coffee can be maintained.
  • the step of culturing the composite mycelium in green coffee beans may be followed by heat treatment for 10 minutes to 10 hours at a temperature of 50°C to 150°C.
  • the heat treatment step is a step to improve coffee flavor.
  • the heat treatment step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hot air in a roasting drum.
  • the step of culturing the composite mycelium in green coffee beans may include the step of post-treating the green coffee beans in which the composite mycelium has been cultured.
  • the post-processing step may be performed 1 to 3 times in one cycle.
  • the above step is a process of treating the composite mycelium cultured on coffee beans to be suitable for roasting.
  • the step of roasting green coffee beans cultured with the composite mycelium may be performed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150°C to 250°C.
  • coffee that is not harmful to health can be produced by reducing the production of acrylamide-based substances, which are carcinogens, the flavor of coffee can be improved, and damage to coffee can be prevented.
  • the roasting can be done using hot air, semi-hot air, or direct fir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reen coffee beans; and beta-glucan-containing coffee, wherein the beta-glucan-containing mushroom raw material includes complex mycelium cultured with plant raw materials containing bioactive substances.
  • the content of the composite mycelium may be 0.1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green coffee beans. Preferably, it may be 1 to 8 parts by weight or 2 to 7 parts by weight.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the flavor of coffee can be maintained.
  • the value of beta-glucan-containing coffee calculated using Equation 2 below may be 15% or less, 13% or less, or 11% or less.
  • the beta-glucan content is high compared to the caffeine content of coffee.
  • Caffeine content compared to beta-glucan content (caffeine content in coffee)/(beta-glucan content in coffee)*100(%)
  • the ginkgo leaves were washed and pulverized with a grinder, and then 2.5 parts by weight of yeast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ulverized ginkgo leaves and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for 7 days.
  • the fermented ginkgo leaf powder was sterilized by heat treatment at 100°C for 30 minutes. Thereafter, 2 parts by weight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noculat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fermented ginkgo leaf powder, and fermented at 37°C for 7 days.
  • the pulverized ginkgo leaves after the fermentation was dried and ground in a grinder to prepare a powder of 1000 mesh size.
  • Mushroom mycelia were prepared by placing Cordyceps sinensis, horseshoe mushrooms, reishi mushrooms, cauliflower mushrooms, chaga mushrooms, Sanghwang mushrooms, shiitake mushrooms, and oyster mushrooms in separate containers.
  • Each mushroom mycelium was separated from the eight types of mushroom containers, inoculated on PDA (Potato Dextrose Agar), and then cultured for one week at 27-29°C and 20% humidity.
  • PDA Panato Dextrose Agar
  • Each mushroom mycelium cultured in the PDA was powdered and mixed at the same weight ratio, and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was inoculated into an Erlenmeyer flask containing PDB (Potato Dextrose Broth) medium.
  • the Erlenmeyer flask containing the composite inoculated medium was placed in a BOD incubator (Bio-Oxygen Demand incubator, low-temperature incubator) and the medium was cultured under conditions of 27-28°C and 20% humidity.
  • a BOD incubator Bio-Oxygen Demand incubator, low-temperature incubator
  •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was added.
  • 40 parts by weight of fermented black bean powder (preparation example 1) was added and cultured in a BOD incubator (Bio-Oxygen Demand incubator, low-temperature incubator) at 27-28°C and 20% humidity for one week. After stirring for about a minute, composite mycelium was obtained.
  • Cordyceps sinensis, horseshoe mushrooms, reishi mushrooms, cauliflower mushrooms, chaga mushrooms, Sanghwang mushrooms, shiitake mushrooms, and oyster mushrooms were placed in separate fermentation containers, poured with water to submerge the mushrooms, and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year and 6 months.
  • Each mushroom mycelium was separated from the eight types of mushroom fermentation vessels, inoculated onto PDA (Potato Dextrose Agar), and then cultured at 27-29°C and 20% humidity for one week.
  • PDA Panato Dextrose Agar
  • Each mushroom mycelium cultured in the PDA was powdered and mixed at the same weight ratio, and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was inoculated into an Erlenmeyer flask containing PDB (Potato Dextrose Broth) medium.
  • the Erlenmeyer flask containing the composite inoculated medium is cultured in a BOD incubator (Bio-Oxygen Demand incubator, low-temperature incubator) at 27-28°C and 20% humidity, and ferment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at the time the mycelium blooms.
  • BOD incubator Bio-Oxygen Demand incubator, low-temperature incubator
  • ferment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at the time the mycelium blooms Add 40 parts by weight of ginkgo leaf powder (preparation example 2) and culture in a BOD incubator (Bio-Oxygen Demand incubator, low-temperature incubator) at 27-28°C and 20% humidity for one week. Stir for about 1 minute every day during incubation. , composite mycelium was obtained.
  • Cordyceps sinensis, horseshoe mushrooms, reishi mushrooms, cauliflower mushrooms, chaga mushrooms, Sanghwang mushrooms, shiitake mushrooms, and oyster mushrooms were placed in separate fermentation containers, poured with water to submerge the mushrooms, and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year and 6 months.
  • Each mushroom mycelium was separated from the eight types of mushroom fermentation vessels, inoculated onto PDA (Potato Dextrose Agar), and then cultured at 27-29°C and 20% humidity for one week.
  • PDA Panato Dextrose Agar
  • Each mushroom mycelium cultured in the PDA was powdered and mixed at the same weight ratio, and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was inoculated into an Erlenmeyer flask containing PDB (Potato Dextrose Broth) medium.
  • the Erlenmeyer flask containing the composite inoculated medium is cultured in a BOD incubator (Bio-Oxygen Demand incubator, low-temperature incubator) at 27-28°C and 20% humidity, and ferment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at the time the mycelium blooms.
  • BOD incubator Bio-Oxygen Demand incubator, low-temperature incubator
  • ferment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at the time the mycelium blooms Add 20 parts by weight of rat-eyed bean powder (preparation example 1) and 20 parts by weight of fermented ginkgo leaf powder (preparation example 2) and incubate 1 in a BOD incubator (Bio-Oxygen Demand incubator, low-temperature incubator) at 27-28°C and 20% humidity.
  • the culture was carried out for a week and stirred for about 1 minute every day during the culture to obtain composite mycelium.
  • the fruiting body tissues of sterilized Cordyceps sinensis, chaga, and Sanghwang mushrooms were separated and inoculated onto PDA (Potato Dextrose Agar), and then the mycelium of each mushroom was cultured at 27-29°C and 20% humidity for one week.
  • PDA Potato Dextrose Agar
  • Each mushroom mycelium cultured in the PDA was powdered and mixed at the same weight ratio, and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was inoculated into an Erlenmeyer flask containing PDB (Potato Dextrose Broth) medium.
  • the Erlenmeyer flask containing the composite inoculated medium was cultured in a BOD incubator (Bio-Oxygen Demand incubator, low-temperature incubator) at 27-28°C and 20% humidity for 1 week to obtain composite mycelium.
  • BOD incubator Bio-Oxygen Demand incubator, low-temperature incubator
  • Composite myceliu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sterilized cordyceps, horseshoe, reishi, cauliflower, chaga, shiitake, and oyster mushrooms were used as mushroom raw materials.
  • the green coffee beans whose culture was completed were placed in a roasting drum, and hot air at 80 to 95° C. was supplied for 1 hour for post-treatment.
  • Coffee containing beta-glucan was prepared by roasting the green coffee beans from which the odor was removed over direct fire at 205°C. The final produced coffee is shown in Figure 5.
  • Beta-glucan-containing coffe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1, except that the composite mycelium prepared in Example 2 was used as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 Beta-glucan-containing coffe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1, except that the composite mycelium prepared in Example 3 was used as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 Beta-glucan-containing coffe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1, except that the composite mycelium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used as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 Beta-glucan-containing coffe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1, except that the composite mycelium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was used as the composite mycelium powder.
  • the beta-glucan content of green coffee beans before the final coffee was compared with the beta-glucan content of the final produced coffee.
  • 2,000 m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as an extraction solvent to 100 g of the composite mycelium obtained in Examples 1 and 2, extracted in a bath at 100°C for 24 hours, and then centrifuged to obtain a supernatant.
  • 2,000 m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as an extraction solvent to the residue remaining after centrifugation, and extraction was performed in a 100°C bath for 24 hours. Extraction was repeated a total of three times to obtain an extract.
  • the 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100 ml of concentrated liquid.
  • the temperature of the concentrate was maintained at 4°C, and 300 mL of ethanol ice-cooled to -20°C was added thereto and left at 4°C for 4 hours.
  • the precipitate was separated from the concentrate and the content of beta-glucan ( ⁇ -Glucan) was measured using a Beta-glucan assay kit (Megazyme.co).
  • the green coffee beans before the drying step prepared in each of Experimental Examples 1-1 to 1-5 above were ground, 2,000 m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as an extraction solvent to 100 g of the green coffee bean grinds, and extracted in a bath at 100°C for 24 hours. After centrifugation, the supernatant was obtained. In addition, 2,000 m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as an extraction solvent to the residue remaining after centrifugation, and extraction was performed in a 100°C bath for 24 hours. Extraction was repeated a total of three times to obtain an extract. Afterwards, the 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100 ml of concentrated liquid.
  • Beta-glucan assay kit (Megazyme.co).
  • the beta-glucan-containing coffee prepared in Experimental Examples 1-1 to 1-5 was ground to a size of 0.5 mm and then leached in 5L of purified water at 4°C for 13 hours to prepare a coffee beverage sample, and caffeine The content was measured using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 caffeine content compared to the beta-glucan content was calculated using Equation 2 below.
  • Beta-glucan increase amount ⁇ (beta-glucan content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2-2)-(beta-glucan content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2-1) ⁇ /(beta-glucan content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2-1)*100( %)
  • Caffeine content compared to beta-glucan content (caffeine content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3)/(beta-glucan content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2-2)*100 (%)

Abstract

본 명세서는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배지에 투입하는 단계;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를 배지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와 함께 배양하여 복합 균사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복합 균사체 및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복합 균사체 및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
본 명세서는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복합 균사체 및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자균류에 속하는 버섯(mushroom)은 각종 유기물을 분해하여 성장하는 중요한 식품 자원이면서 약용식물이다. 버섯은 그 종류에 따라 맛과 향이 독특하며 단백질, 비타민 및 기타 무기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최근 연구에 의하면 버섯류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인 글루칸(glucan)유도체들에 의한 항암 및 항바이러스 효과 등이 보고되어 건강식품으로 전 세계적인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다당류의 일종인 베타글루칸은 효모의 세포벽, 버섯류, 곡류 등에 존재하는 물질로서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비 특이적 면역반응으로 인간의 정상 세포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대식세포(macrophage)를 활성화시켜 암세포가 있는 체내로 들어가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Cytokine)의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면역세포인 T세포와 B세포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준다. 이 외에도 베타글루칸은 혈당강하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가 우수하며, 지질대사를 개선하여 체지방 형성과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항 비만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도 보고되고 있다.
상기 버섯류는 뛰어난 항암 효과 및 면역력 강화 효과가 있다고 공통적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기능성 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은 물론 의약품의 제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버섯류를 의약품, 기능성 식품의 혼합 원료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버섯의 자실체(야외에서 흔히 보는 버섯의 갓 부분)를 채취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버섯 자체가 자연 상태에서 번식이 잘 되지 않는다는 점과 채취 남용으로 인해 자원 고갈 및 생태계 파괴가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톱밥 등을 이용하여 자실체를 재배하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하나 이러한 방법은 재배 기간만 수개월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산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원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생산 시설 및 경비가 소요되는 점 때문에 대량 생산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 노루궁뎅이버섯의 자실체는 항암제나 면역 증강제로서 효과가 있음에도 그 공급이 제한적이며 대량 생산 및 속성 생산이 용이하지 않아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베타글루칸을 화장품, 커피, 음식 등에 함유시키기 위해 이들을 배지로 하여 균사체를 배양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균사체의 베타글루칸이 소실되거나 성장이 더디는 등 기술적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로써,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높게 유지될 수 있는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022336호
본 명세서는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복합 균사체 및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배지에 투입하는 단계;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를 배지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와 함께 배양하여 복합 균사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 균사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술한 복합 균사체를 제품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에 따른 복합 균사체는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높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에 따른 복합 균사체는 제품에 적용 시 제품의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실험예 1-1의 커피의 제조과정 중 균사체가 배양된 커피생두의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는 실험예 1-1의 커피의 제조과정 중 균사체가 일부 제거된 커피 생두의 모습이다.
도 5는 실험예 1-1에서 최종 제조된 커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란,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모든 형태의 버섯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베타글루칸'은 불소화성 다당류의 일종인 글루칸의 한 종류이다. 글루칸은 알파글루칸과 베타글루칸으로 나뉘며, 알파글루칸은 주로 식물 전분에 존재하고, 베타글루칸은 버섯, 곡류, 효모의 세포벽 등에 존재한다. 베타글루칸은 추출 대상의 종류에 따라 베타글루칸의 효능도 상이하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버섯에서 추출한 베타글루칸은 면역 기능을 증진하고 콜레스테롤과 혈압 수치 조절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식물 유래 원료를 의미하며,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해당 식물의 줄기, 잎, 뿌리 등 원료가 유래되는 위치도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생리활성물질'이란, 사람 신체 내에서 호르몬 조절 기능이나 면역기능 증진, 항산화 작용을 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최근, 버섯에 함유된 베타글루칸의 효능이 입증되면서, 화장품이나 식품에 커피에 버섯을 배양함으로써 베타글루칸을 포함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베타글루칸을 함유시키고자 하는 대상 상품에 균사체를 물리적으로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균사체의 물성이 떨어지거나 균사체에 포함된 베타글루칸이 함량이 낮아, 위 대상 상품에 베타글루칸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후술하는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복합 균사체의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높고, 이를 화장품 또는 식품 등의 대상 상품에 적용 시, 상품의 베타글루칸이 높은 효과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조되는 복합 균사체 및 이를 적용하는 제품의 곰팡이 독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커피에 적용 시 기존의 커피 섭취시 발생할 수 있는 혈당 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커피에 포함된 카페인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곰팡이 독소의 함량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기를 사용할 수 있다. 측정 조건의 예시는 아래와 같다.
(a) 카페인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Column : Scherzo SS-C18 (150nm 4.6mm i.d 3)
Column Temperature : 30℃
Injection Volume : 5ul
Flow : 0.4ml/min
UV : 270nm
Solvent A : 1% acetic acid in ACN
Solvent B : 1% acetic acid in DW
(b) 곰팡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Column : C18 (3mm x 150mm, 3um)
Column Temperature : 40℃
Injection Volume : 5ul
Flow : 0.5ml/min
Solvent A : 5mM 개미산암모늄 용액(1% 개미산 포함)
Solvent B : 5mM 개미산암모늄 메탄올 용액(0.1% 개미산 포함)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배지에 투입하는 단계;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를 배지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와 함께 배양하여 복합 균사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와 함께 배양하여 복합 균사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가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와 함께 배양됨에 따라, 배양 과정에서 베타글루칸이 유실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 균사체는 화장품, 식품 등 베타글루칸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품의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는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이소플라본, 설포라펜, 알릴 화합물, 리모넨 및 리그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또는 이소플라본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는 검은콩 유래 원료 및 은행나무 유래 원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검은콩 유래 원료는 서리태, 서목태 또는 흑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서목태는 쥐눈이콩일 수 있다. 상기 쥐눈이콩은 혈액 정화력과 해독능력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식용보다는 약콩으로 쓰였다. 쥐눈이콩의 이소플라본은 뛰어난 항암 작용을 가져 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고, 리놀산은 혈액을 깨끗하게 정화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뇌혈전 등의 질병을 예방하고 또한, 사포닌과 코린 성분은 신장의 작용을 활성화하고 세포합성을 지원하며 체내의 지방을 제거하여 지방간 개선에 도움이 된다. 또한, 비타민E가 풍부하여 기미 및 잡티를 예방, 개선하고 안토시아닌은 콜라겐의 기능을 향상시켜 탄력 있는 피부를 만들어 준다. 또한, 레시틴 성분은 뇌의 활동을 촉진시켜 주어 뇌 건강에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 유래 원료는 은행나무 줄기, 은행나무 껍데기, 은행나무 뿌리, 은행나무 열매 또는 은행잎일 수 있다. 수집 가능성과 가공의 용이성 측면에서 은행잎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 유래 원료를 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는 은행나무 유래 원료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은행나무 유래 원료가 은행잎인 경우, 은행잎에 포함된 청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 은행잎을 법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행잎을 법제하는 단계는 은행잎을 건조하여 물에 담근 후 이를 끓이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은행잎은 20종류 이상의 후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이것은 종자의 발아와 성장의 조절 식물임과 동시에 태양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내부의 조직을 보호한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인체에서는 모세혈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은행잎은 진코라이드 등 다양한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혈전을 없애고 혈관벽의 탄력성을 높이며, 활성산소의 억제나 혈소판 활성 인자의 억제, 뇌의 혈류장애, 심장병 등 여러가지 약리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는 검은콩 유래 원료 및 은행나무 유래 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검은콩 유래 원료 및 은행나무 유래 원료는 3:7 내지 7:3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6:4 내지 4: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하여 첨가하는 경우, 특히 고함량의 베타글루칸이 포함된 복합 균사체를 얻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의 함량은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또는 2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버섯 원료의 양이 충분히 확보되어 배양 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베타글루칸 함량 증가 효과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는 분말 또는 액상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버섯 원료와의 혼합이 용이하여 공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가 쥐눈이콩인 경우, 분말 형태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i)쥐눈이콩을 3~4회 깨끗하게 세척하고, 콩의 2배 내지 5배 정도 물을 부어 불려준다. 상기 불린 콩을 불린 콩의 2배 내지 5배의 물과 함께 솥에 넣고 센 불에서 3~20시간 정도 끊여 삶고, 물기를 빼고, 발효용기에 옮겨 담는다. 상기 발효용기에 볏짚을 넣어준 후 뚜껑을 닫고, 40~45도의 따뜻한 환경에서 2~7일 간 발효시킨다. 상기 발효된 쥐눈이콩을 건조시키고 분쇄기로 갈아 분말로 제조한다.
한편,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가 은행잎인 경우, 그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ii) 상기 발효 은행잎 분말은 은행잎을 세척하고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상온에서 3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 은행잎 분쇄물을 열처리에 의하여 살균한다(예 100 내지 120℃에서 0.5 내지 2 시간). 이후, 상기 발효 은행잎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산균을 0.5 내지 4 중량부로 접종하고, 35 내지 38℃에서 3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킨다. 상기 발효가 완료된 은행잎 분쇄물을 건조시켜서 분쇄기로 갈아 분말로 제조한다.
이때, 상기 은행잎 분쇄물에 활성화물질을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화물질의 함량은 상기 은행잎 분쇄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으로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유산균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es),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락티스 BB-12(Bifidobacterium animalis spp. Lactis BB-12)등에서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는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는 동충하초, 말굽버섯, 영지버섯, 녹각영지버섯, 꽃송이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표고버섯, 구름버섯, 느타리버섯, 말똥버섯 및 함실로시빈 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실로시빈 버섯은 실로시빈을 포함하는 환각버섯으로, 대부분의 환각버섯에 해당한다.
상기 동충하초는 면역력 상승, 항암작용, 스트레스와 피로회복에도 우수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정력 보강 효능, 콜레스테롤 수치 조절 효능, 혈압 조절 효능, 악성빈혈 치료 효능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은 여름에 활엽수 뿌리에서 발생한다. 진시황의 불로초라고도 알려져 있고 본초강 목에서는 인삼과 함께 이 버섯을 상약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영지버섯은 강장, 진해,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호흡기 질환, 신경쇠약, 심장병, 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고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며 항암 효과가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상기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살아있는 나무의 뿌리 근처 줄기나 그루터기에 뭉쳐서 발생한다. 하얀 꽃이 무리를 지어 핀 것처럼 보이며 송이와 비슷한 향을 낸다. 가을에 침엽수를 자른 그루터기나 고 목의 언저리에서 자생한다. 꽃송이버섯은 면역 증강, 고혈압 억제, 혈당 상승 억제, 혈액 순환 개선, 조혈 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러시아, 캐나다, 일본 홋카이도와 같은 한랭지역에서 자생하는 자작나무, 오리나무 등에 기생하는 균핵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차가버섯이 C형 간염 예방과 간암 치료 효과 가 있다고 보고되었고, 미국에서도 차가버섯이 특수 천연 물질로 분류되어 미래 제약 및 건강식품으로 개발 중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민간에서 위암 환자와 당뇨병 환자에게 차가버섯을 사용한 결과, 그 효과가 기타 버섯류에 비해 뛰어났던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 외에 차가버섯이 신체 저항력 증가, 종양 발생 억제, 미백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상기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목질진흙버섯이라고도 하며, 동의보감에서는 상목이(桑木耳)라는 이름으로 탕액편에 기록되어 있다. 뽕나무 줄기에 자생하며 삿갓 표면을 제외하고는 모두 황색이다. 초기에는 진흙 덩어리가 뭉쳐진 것처럼 보이다가 다 자란 후에는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상황버섯은 자궁출혈, 월경불순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종양 억제, 면역력 강화 및 미백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상기 표고버섯(Lentinus edodes (Berk.) Sing.)은 담자균류 느타리과 잣버섯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혈압강하, 항바이러스 물질인 인터페론의 생성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당뇨병, 비만증, 동맥경화, 고혈압 개선작용이 있다 고 알려져 있다. 또한, 표고버섯 내 함유된 렌티난(lentinan)은 항암 및 항종양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은 햇볕의 자외선에 쬐면 비타민 D2로 변하기 때문에 표고버섯은 구루병을 예방하고 빈혈을 치료하는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느타리버섯은 식이섬유와 비타민이 풍부하여 혈당 상승을 억제해주고, 혈중의 콜레스테롤을 배출해주는 식이섬유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다. 또한 지방 분해를 촉진하는 비타민D도 많이 들어가 있어서 피를 맑게 해주고 당지수를 낮추는 효능이있다. 느타리버섯에는 베타글루칸, 셀레늄, RNA복합체가 포함되어 있어 항암효과도 뛰어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와 함께 배양하여 복합 균사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1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배양물에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를 첨가하여 2차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1차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에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를 첨가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1차 배양하는 단계는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배지에 접종 및 배양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가 2종 이상인 경우, 각각의 버섯 원료를 구분된 배지에 독립적으로 접종 및 배양하여 균사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균사체를 분쇄하여 각각의 균사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균사체 분말을 혼합하여 균사체 분말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균사체 분말 혼합물을 배지에 접종 및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균사체 분말 혼합물에 혼합되는 균사체 분말은 버섯 원료 별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충하초 균사체, 말굽버섯 균사체, 영지버섯 균사체, 꽃송이버섯 균사체, 차가버섯 균사체, 표고버섯 균사체 및 느타리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균사체 분말 혼합물을 제조하는 경우, 각각의 균사체 분말의 중량비는 1~3 : 1~3 : 1~3 : 1~3 : 1~3 : 1~3 : 1~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1차 배양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배지는 PDA(Potato Dextrose Aga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1차 배양물에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를 첨가하여 2차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상기 1차 배양물에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를 첨가함으로써,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높이고, 생리활성물질을 첨가함으로써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균사체를 얻고자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차 배양하는 단계는 상기 1차 배양하는 단계의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의 균사가 피는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균사(hypha)는 긴 분지 형태의 섬유 구조의 균계를 통칭하는 말로, 상기 균사가 피는 시점은 사람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2차 배양하는 단계는 상기 1차 배양하는 단계의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의 균사가 피는 시점에서 수행됨에 따라, 곰팡이가 피는 등 원하지 않는 부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베타글루칸 함량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1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배양물에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를 첨가하여 2차 배양하는 단계는 각각 5일 내지 14일 동안 20℃ 내지 30℃의 온도 조건 및 10% 내지 30%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27℃ 내지 28℃의 온도 조건 및 18% 내지 2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복합 균사체를 상기 배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술한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 균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술한 복합 균사체를 제품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화장품, 커피 생두 및 과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커피 생두이고, 상기 복합 균사체를 커피생두에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커피 생두이고, 상기 복합 균사체가 배양된 커피생두를 로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사체를 커피생두에 배양하는 단계는 5일 내지 4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는 1주일 내지 4주, 1주 내지 3주 또는 1주 내지 2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사체를 커피생두에 배양하는 단계는 15℃ 내지 30℃의 온도 조건 및 20% 내지 80%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 조건은 19℃ 내지 30℃일 수 있으며, 상대습도 조건은 30% 내지 60%일 수 있다. 상기 기간, 온도 및 습도 조건에서 상기 커피생두가 배지로 충분히 기능할 수 있고, 복합 균사체가 잘 성장할 수 있으며 풍미가 충분히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사체를 커피생두에 배양하는 단계는 2회 내지 3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각 단계별 조건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사체를 커피생두에 배양하는 단계는 5일 내지 14일 동안 20℃ 내지 30℃의 온도 조건 및 10% 내지 30%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27℃ 내지 28℃의 온도 조건 및 18% 내지 2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사체를 커피생두에 배양하는 단계의 상기 복합 균사체의 함량이 상기 커피생두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부 또는 2 내지 7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커피의 풍미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사체를 커피생두에 배양하는 단계 이후에 50℃ 내지 150℃의 온도 조건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커피 풍미를 향상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로스팅 드럼 내에서 열풍을 가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사체를 커피생두에 배양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합 균사체가 배양된 커피생두를 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는 이를 하나의 사이클(cycle)로 1회 내지 3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커피콩에 배양된 복합 균사체를 로스팅하기 적합하게 처리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사체가 배양된 커피생두를 로스팅하는 단계는 150 ℃ 내지 250 ℃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발암물질인 아크릴아미드계 물질의 생성량을 감소시켜 건강에 해롭지 않은 커피를 제조할 수 있고, 커피의 풍미가 향상되며, 커피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로스팅은 열풍, 반열풍 또는 직화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커피생두; 및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가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와 함께 배양된 복합 균사체를 포함하는 것인 베타글루칸 함유 커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사체의 함량이 상기 커피생두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부 또는 2 내지 7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커피의 풍미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베타글루칸 함유 커피의 하기 수학식 2로 계산된 값이 15% 이하, 13% 이하 또는 1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커피의 카페인 함량 대비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높은 효과가 있다.
[수학식 2]
베타글루칸 함량 대비 카페인의 함량 = (커피 내 카페인 함량)/(커피 내 베타글루칸 함량)*100(%)
이하에서,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1. 제조예 1 및 2: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의 준비
<제조예 1: 쥐눈이콩 분말의 제조>
쥐눈이콩을 3~4회 깨끗하게 세척하고, 콩의 3배 정도의 물을 부어 하루정도 불려주었다. 상기 불린 콩을 넉넉한 물과 함께 솥에 넣고 센 불에서 5~6시간 정도 끊여 삶고, 물기를 빼고, 발효용기에 옮겨 담고 볏짚을 넣어준 후 뚜껑을 닫고, 40~45도의 따뜻한 환경에서 2~3일 간 발효시켰다. 상기 발효된 쥐눈이콩을 햇볕에 자연 건조시키고 분쇄기에 갈아 1000메쉬 크기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발효 은행잎 분말의 제조>
은행잎을 세척하고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상기 은행잎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의 누룩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7일간 발효시켰다. 상기 발효 은행잎 분쇄물을 10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살균하였다. 이후, 상기 발효 은행잎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산균을 2 중량부로 접종하고, 37℃에서 7일간 발효시켰다. 상기 발효가 완료된 은행잎 분쇄물을 건조시켜서 분쇄기에 갈아 1000메쉬 크기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2.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복합 균사체의 제조
<실시예 1: 발효 쥐눈이콩 분말 첨가 복합 균사체 분말 제조>
동충하초, 말굽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표고버섯 및 느타리버섯 각각을 별도의 용기에 넣어 버섯 균사를 준비하였다.
상기 8종의 버섯 용기에서 각 버섯 균사를 분리하여 PDA(Potato Dextrose Agar)에 접종 후, 1주 동안 27~29℃, 습도 20% 조건에서 각 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하였다. 상기 PDA에서 배양된 각각의 버섯 균사체를 분말화하여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균사체 분말을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가 담긴 삼각플라스크에 복합 접종하였다.
상기 복합 접종된 배지가 담긴 삼각플라스크를 BOD incubator(Bio-Oxygen Demand 배양기, 저온배양기)에 넣고 27~28℃ 습도 20% 조건에서 배지를 배양하되, 균사가 피는 시점에 상기 복합 균사체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발효 쥐눈이콩 분말(제조예 1 제조) 40 중량부를 첨가하여 BOD incubator(Bio-Oxygen Demand 배양기, 저온배양기)에서 27~28℃ 습도 20% 조건에서 1주일간 정치 배양하되, 배양하는 동안 매일 1분 정도 교반하여, 복합 균사체를 얻었다.
<실시예 2: 발효 은행잎 분말 첨가 복합 균사체 분말 제조>
동충하초, 말굽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표고버섯 및 느타리버섯 각각을 별도의 발효 용기에 넣고, 버섯이 잠길정도로 물을 붓고 상온에서 1년 6개월간 발효시켰다.
상기 8종의 버섯 발효 용기에서 각 버섯 균사를 분리하여 PDA(Potato Dextrose Agar)에 접종 후, 1주 동안 27~29℃, 습도 20% 조건에서 각 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하였다. 상기 PDA에서 배양된 각각의 버섯 균사체를 분말화하여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균사체 분말을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가 담긴 삼각플라스크에 복합 접종하였다.
상기 복합 접종된 배지가 담긴 삼각플라스크를 BOD incubator(Bio-Oxygen Demand 배양기, 저온배양기)에서 27~28℃ 습도 20% 조건에서 배양하되, 균사가 피는 시점에 상기 복합 균사체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발효 은행잎 분말(제조예 2 제조) 40 중량부를 첨가하여 BOD incubator(Bio-Oxygen Demand 배양기, 저온배양기)에서 27~28℃ 습도 20% 조건에서 1주일간 정치 배양하되, 배양하는 동안 매일 1분 정도 교반하여, 복합 균사체를 얻었다.
<실시예 3: 발효 쥐눈이콩 분말 및 발효 은행잎 분말 첨가 복합 균사체 분말 제조>
동충하초, 말굽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표고버섯 및 느타리버섯 각각을 별도의 발효 용기에 넣고, 버섯이 잠길정도로 물을 붓고 상온에서 1년 6개월간 발효시켰다.
상기 8종의 버섯 발효 용기에서 각 버섯 균사를 분리하여 PDA(Potato Dextrose Agar)에 접종 후, 1주 동안 27~29℃, 습도 20% 조건에서 각 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하였다. 상기 PDA에서 배양된 각각의 버섯 균사체를 분말화하여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균사체 분말을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가 담긴 삼각플라스크에 복합 접종하였다.
상기 복합 접종된 배지가 담긴 삼각플라스크를 BOD incubator(Bio-Oxygen Demand 배양기, 저온배양기)에서 27~28℃ 습도 20% 조건에서 배양하되, 균사가 피는 시점에 상기 복합 균사체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발효 쥐눈이콩 분말(제조예 1 제조) 20 중량부 및 발효 은행잎 분말(제조예 2 제조)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BOD incubator(Bio-Oxygen Demand 배양기, 저온배양기)에서 27~28℃ 습도 20% 조건에서 1주일간 정치 배양하되, 배양하는 동안 매일 1분 정도 교반하여, 복합 균사체를 얻었다.
<비교예 1: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가 포함되지 않은 복합 균사체 제조>
멸균처리된 동충하초, 차가버섯, 및 상황버섯의 자실체 조직을 분리하여 PDA(Potato Dextrose Agar)에 접종 후, 1주 동안 27~29℃, 습도 20% 조건에서 각 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하였다. 상기 PDA에서 배양된 각각의 버섯 균사체를 분말화하여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균사체 분말을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가 담긴 삼각플라스크에 복합 접종하였다.
상기 복합 접종된 배지가 담긴 삼각플라스크를 BOD incubator(Bio-Oxygen Demand 배양기, 저온배양기)에서 27~28℃ 습도 20% 조건에서 1주 동안 배양하여 복합 균사체를 얻었다.
<비교예 2: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가 포함되지 않은 복합 균사체 제조>
버섯 원료로 멸균처리된 동충하초, 말굽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차가버섯, 표고버섯 및 느타리버섯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균사체를 제조하였다.
3. 실험예 1: 베타글루칸 함유 커피 제조
<실험예 1-1>
커피생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복합 균사체 분말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5℃ 내지 29℃의 온도 및 상대습도 50%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에 의해 균사가 핀 후에 20℃ 내지 25℃, 상대습도 35 내지 25% 조건에서 2주간 더 배양하였다. 균사체가 배양된 커피생두의 사진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배양이 완료된 커피생두를 로스팅 드럼에 넣고, 80 내지 95℃의 열풍을 1시간 동안 공급하여 후처리하였다.
이후, 커피생두를 물에 세척 및 건조하였다. 세척 및 건조 완료된 커피생두의 표면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잡내가 제거된 커피생두를 205℃에서 직화 로스팅하여 베타글루칸 함유 커피를 제조하였다. 최종 제조된 커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2>
복합 균사체 분말로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복합 균사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글루칸 함유 커피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3>
복합 균사체 분말로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복합 균사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글루칸 함유 커피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4>
복합 균사체 분말로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복합 균사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글루칸 함유 커피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5>
복합 균사체 분말로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복합 균사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글루칸 함유 커피를 제조하였다.
4. 실험예 2: 베타글루칸의 함량 측정
<실험예 2: 베타글루칸의 함량 측정>
최종 커피 완성 전의 커피생두의 베타글루칸 함량과 최종 제조된 커피의 베타글루칸 함량을 서로 비교하였다.
<실험예 2-1: 최종 커피 완성 전의 커피생두의 베타글루칸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에서 얻은 복합 균사체 100 g에 추출 용매로 2,000 ㎖의 증류수를 넣고 100℃의 중탕으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또한, 원심분리 후 남은 잔사에 추출 용매로 다시 2,000 ㎖의 증류수를 넣고 100℃의 중탕으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고, 총 3회 반복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이후,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 100 ㎖를 수득하였다. 이후, 농축액의 온도를 4℃로 유지시키고 여기에 -20℃로 빙냉시킨 300 ㎖ 에탄올을 넣고 4시간 동안 4℃에서 방치하였다. 이후, 농축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고 Beta-glucan assay kit(Megazyme.co)를 이용하여 베타-글루칸(β-Gluca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2: 최종 제조된 커피의 베타글루칸 함량 측정>
상기 실험예 1-1 내지 실험예 1-5 각각에서 제조된 건조단계 전의 커피생두를 분쇄하고, 커피생두 분쇄물 100 g에 추출 용매로 2,000 ㎖의 증류수를 넣고 100℃의 중탕으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또한, 원심분리 후 남은 잔사에 추출 용매로 다시 2,000 ㎖의 증류수를 넣고 100℃의 중탕으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고, 총 3회 반복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이후,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 100 ㎖를 수득하였다. 이후, 농축액의 온도를 4℃로 유지시키고 여기에 -20℃로 빙냉시킨 300 ㎖ 에탄올을 넣고 4시간 동안 4℃에서 방치하였다. 이후, 농축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고 Beta-glucan assay kit(Megazyme.co)를 이용하여 베타-글루칸(β-Gluca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5. 실험예 3: 카페인 함량 측정
실험예 1-1 내지 실험예 1-5에서 제조된 베타글루칸 함유 커피를 0.5mm의 크기로 분쇄한 후, 5L의 정수된 물에 4℃에서 13시간동안 침출시켜 커피 음료 시료를 제조하고, 카페인의 함량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
상기 실험예 2 및 실험예 3에서 측정한 물질의 함량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1 및 실험예 2-2에서 나타난 결과와 아래 식 1을 이용하여, 커피의 베타글루칸 증가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아래 식 2를 이용하여, 베타글루칸 함량 대비 카페인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베타글루칸 증가량 = {(실험예 2-2에서 측정된 베타글루칸 함량)-(실험예 2-1에서 측정된 베타글루칸 함량)}/(실험예 2-1에서 측정된 베타글루칸 함량)*100(%)
[수학식 2]
베타글루칸 함량 대비 카페인의 함량 = (실험예 3에서 측정된 카페인 함량)/(실험예 2-2에서 측정된 베타글루칸 함량)*100(%)
복합 균사체 종류 실험예 2-1
(mg/100ml)
실험예 2-2
(mg/100ml)
실험예 3
(mg/100ml)
수학식 1
(%)
수학식 2
(%)
실시예 1 1,430 2,130 232 149% 10.9%
실시예 2 1,520 2,765 219 182% 7.9%
실시예 3 1,612 3,167 205 196% 6.5%
비교예 1 5,230 685 262 13.1% 38.2%
비교예 2 6,878 1,121 259 16.3% 23.1%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복합 균사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피는 최종 제조된 커피의 베타글루칸 함량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반면에,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복합 균사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피는 제조 과정에서 베타글루칸이 상당량 유실되어, 초기 베타글루칸 대비 20% 미만의 베타글루칸 만이 잔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 균사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피는 베타글루칸 함량 대비 카페인의 함량이 11% 미만으로 조절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1 및 2의 복합 균사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피는 베타글루칸 함량 대비 카페인의 함량이 20%를 초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배지에 투입하는 단계;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를 배지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와 함께 배양하여 복합 균사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는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이소플라본, 설포라펜, 알릴 화합물, 리모넨 및 리그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는 검은콩 유래 원료 및 은행나무 유래 원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료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의 함량은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인 것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는 분말 또는 액상 형태인 것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는 동충하초, 말굽버섯, 영지버섯, 녹각영지버섯, 꽃송이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표고버섯, 구름버섯, 느타리버섯, 말똥버섯 및 함실로시빈 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와 함께 배양하여 복합 균사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원료를 1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배양물에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 원료를 첨가하여 2차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2차 배양하는 단계는 상기 1차 배양하는 단계의 상기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의 균사가 피는 시점에서 수행되는 것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사체를 상기 배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 균사체.
  11. 청구항 10에 따른 복합 균사체를 제품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화장품, 커피 생두 및 과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
PCT/KR2022/007820 2022-04-20 2022-06-02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복합 균사체 및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 WO202320434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49,217 US20230337597A1 (en) 2022-04-20 2022-09-21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sition mycelia, composition mycelia, manufacturing method for material comprising beta-gluc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155 2022-04-20
KR1020220049155A KR20230149916A (ko) 2022-04-20 2022-04-20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복합 균사체 및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949,217 Continuation US20230337597A1 (en) 2022-04-20 2022-09-21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sition mycelia, composition mycelia, manufacturing method for material comprising beta-gluca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4347A1 true WO2023204347A1 (ko) 2023-10-26

Family

ID=8842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7820 WO2023204347A1 (ko) 2022-04-20 2022-06-02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복합 균사체 및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9916A (ko)
WO (1) WO202320434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293A (ko) * 2006-04-20 2007-10-25 (주) 한국은행잎 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42484A (ko) * 2016-06-17 2017-12-28 농업회사법인 (주)태양바이오 베타글루칸 함량이 증진된 표고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90081428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디네이쳐 곡류 및 두류를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한 베타글루칸 함량이 증가된 버섯 재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베타글루칸 고함량 버섯
KR20200032785A (ko) * 2018-09-18 2020-03-27 백승배 검은콩 추출물 및 꽃송이버섯 추출물로 이루어진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91788A (ko) * 2019-10-24 2020-07-31 허서진 발효된 곡물 분말 및 버섯 배지를 이용하여 균사체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336A (ko) 2019-08-20 2021-03-03 박준현 대두콩을 함유한 커피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293A (ko) * 2006-04-20 2007-10-25 (주) 한국은행잎 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42484A (ko) * 2016-06-17 2017-12-28 농업회사법인 (주)태양바이오 베타글루칸 함량이 증진된 표고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90081428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디네이쳐 곡류 및 두류를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한 베타글루칸 함량이 증가된 버섯 재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베타글루칸 고함량 버섯
KR20200032785A (ko) * 2018-09-18 2020-03-27 백승배 검은콩 추출물 및 꽃송이버섯 추출물로 이루어진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91788A (ko) * 2019-10-24 2020-07-31 허서진 발효된 곡물 분말 및 버섯 배지를 이용하여 균사체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916A (ko)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959B1 (ko) 동아를 천연배지로 한 발효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100922311B1 (ko) 활성화된 당 관련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식 배양 방법
KR101358648B1 (ko) 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차가버섯, 상황버섯 및 영지버섯의 복합배양방법
KR100919070B1 (ko) 사포닌을 함유하는 근채류 발효 활성을 갖는 균주를 이용한근채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963978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및 Rh2와 생리활성성분이 증진된 새싹삼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9650B1 (ko) 옻의 무독화 방법 및 무독화 옻피 추출물의 용도
CN109479613A (zh) 一种用离子维c桑叶培养虫草菌丝的组合物及其培养方法
KR101167295B1 (ko)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3204347A1 (ko)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복합 균사체 및 베타글루칸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
KR100496666B1 (ko) 고등균류를 이용한 발효 인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기능성 인삼제품
WO2023204346A1 (ko) 베타글루칸 함유 커피의 제조방법 및 베타글루칸 함유 커피
KR20090078013A (ko) 혈당강하 기능성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상엽차
US20230337597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sition mycelia, composition mycelia, manufacturing method for material comprising beta-glucan
KR20120096410A (ko)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05286B1 (ko) 대추나무의 열매, 잎, 가지, 뿌리를 이용한 청국장제조방법
WO2020091192A9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및 오메가-6 지방산이 증진된 산양삼 숙성 복합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6567B1 (ko)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KR101254503B1 (ko) 메밀을 이용한 차가버섯 균사체의 제조방법
KR20090124115A (ko) 기능성 발효 대추 제조방법 및 그의 발효 대추
KR20010087699A (ko) 감마-아미노낙산의 함량이 높은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US20230329269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beta-glucan-containing coffee and beta-glucan-containing coffee
KR20200041119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조미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료
KR102367647B1 (ko) 옻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닭 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항산화능 및 혈액 순환 개선능을 갖는 달걀의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달걀
KR102496029B1 (ko) 신규 영지버섯 guc211 및 이를 함유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20010017055A (ko) 동충하초 함유 장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386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