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82537A1 -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82537A1
WO2023182537A1 PCT/KR2022/003900 KR2022003900W WO2023182537A1 WO 2023182537 A1 WO2023182537 A1 WO 2023182537A1 KR 2022003900 W KR2022003900 W KR 2022003900W WO 2023182537 A1 WO2023182537 A1 WO 20231825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rate
lifespa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39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재홍
신형재
신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Priority to PCT/KR2022/00390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82537A1/ko
Publication of WO20231825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825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Abstract

전기차의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방법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전기차의 사용 기간동안 상기 배터리에 대해 수행된 충전 사이클의 누적에 따라 각각의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전기차로부터 수거된 배터리를 소정의 씨레이트(C-rate)로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씨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충방전 테스트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충전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한 제2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이하의 설명은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거된 배터리에 대해 다수의 완속 충방전 사이클을 반복하는 정밀검사 대신 빠른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는 간이한 충방전 테스트 결과와 배터리가 전기차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동안 수집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환경문제와 에너지 문제가 이슈화 되면서 전기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며 점차 상용화되는 추세이다. 전기 자동차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주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전기차를 사용하는 동안, 배터리는 충방전을 반복하며 충방전 횟수가 누적됨에 따라 배터리의 에너지 저장 능력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전기차의 배터리가 에너지 저장 능력을 소정의 기준 이하로 상실하게 되면 전기차의 배터리를 교체하게 된다. 이 때 성능이 저하된 기존의 배터리를 수거하여 저가의 전기차 또는 다른 응용분야에 재활용할 수 있다.
재활용 배터리의 활용과 거래를 위해서 재활용 배터리의 잔존수명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터리의 잔존수명을 나타내는 지표로 SOH(State Of Health) 개념이 이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배터리의 잔존수명을 예측하기 위해 수거된 배터리를 정밀검사 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정밀검사 과정에서는 완속 충방전 사이클을 3회 이상 반복해야 하는데 이러한 정밀검사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거된 배터리에 대해 정밀검사보다 간이한 충방전 테스트 결과와 배터리가 전기차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동안 수집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의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은,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전기차의 사용 기간동안 상기 배터리에 대해 수행된 충전 사이클의 누적에 따라 각각의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전기차로부터 수거된 배터리를 소정의 씨레이트(C-rate)로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씨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충방전 테스트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충전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한 제2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밀 검사보다 간이한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 정보를 평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방전 테스트에 의해 결정된 제1 수명 정보를 전기차의 운행 과정에서 수집된 충전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수명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계조건을 만족하는 전기차의 운행 기록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제2 수명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수명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평가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배터리의 잔존 수명을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충전 히스토리 정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이 결정되는 방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수거된 배터리의 충방전 테스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3의 S140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S142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복수의 구간들이 설정되는 제1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복수의 구간들이 설정되는 제2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7의 S142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S142_6 단계에서 충전 사이클들이 분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의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은,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전기차의 사용 기간동안 상기 배터리에 대해 수행된 충전 사이클의 누적에 따라 각각의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전기차로부터 수거된 배터리를 소정의 씨레이트(C-rate)로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씨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충방전 테스트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충전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한 제2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는, 상기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씨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충방전 테스트에서 상기 배터리의 셀 전압의 시간당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씨레이트는 0.5C 내지 2C일 수 있다.
상기 제2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사이클의 누적에 따라 각각의 충전 사이클에서 상기 배터리의 셀 전압의 변화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변화율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히스토리에서 제1 구간 내에서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셀 전압의 변화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변화율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히스토리에서 제1 구간과 다른 제2 구간 내에서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셀 전압의 변화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변화율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간에서 산출된 변화율과 상기 제2 구간에서 산출된 변화율 사이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잔존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히스토리에 포함된 충전 사이클들을 충전 파라미터의 시작점이 속한 구간에 따라 복수개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여 동일 그룹에 속한 충전 사이클들에서의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잔존 수명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전기차로부터 소정의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운행기록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운행기록에 기초하여 제2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명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제3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운행기록은 상기 배터리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도달한 횟수, 상기 배터리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된 시간, 상기 배터리가 기준 방전 속도보다 빠르게 방전된 횟수, 상기 배터리가 배터리가 기준 방전 속도보다 빠르게 방전되는 동안의 방전량 및 상기 전기차의 급제동 횟수에 대한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차의 배터리의 수명을 평가하는 장치는, 통신부; 충방전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충방전부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 기간동안 상기 배터리에 대해 수행된 충전 사이클의 누적에 따라 각각의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상기 충방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로부터 수거된 배터리를 소정의 씨레이트(C-rate)로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상기 소정의 씨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충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충전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한 제2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평가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수명 평가 시스템은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전기차(200) 및 충전소(300)와 같은 주변 장치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전기차(200) 및 충전소(3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함으로써 전기차(200)의 배터리 충전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전형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network-attached storage)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전기차(200) 및 충전소(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상기 구성들을 연결하는 망(Network)으로서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통신부(110), 충방전부(13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기차(200) 또는 충전소(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충방전부(130)를 통해 배터리에 대해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통상적인 정밀 검사의 경우, 0.5C 미만의 씨레이트(C-rate)로 완속 충방전을 3 사이클 이상 수행하여 정밀 검사에 소모되는 시간이 하루를 초과한다. 하지만,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충방전부(130)를 통해 0.5C 내지 2C의 고속 충방전을 1.5 사이클 정도만 수행하고 이로부터 출력된 제1 수명 정보를 다른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배터리의 수명을 보정할 수 있다.
전기차(200)는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움직일 수 있다. 전기차(200)는 완전 전기차, 하이브리드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기차(200)는 ECU(Electric Control Unit), VCU(Vehicle Control Unit),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200)는 상기 ECU, VCU, BMS에서 측정하거나 산출된 정보를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200)는 주행거리,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 배터리의 온도, 배터리의 급방전 이력, 전기차(200)의 급제동 이력 등에 대한 정보를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충전소(300)는 소정 위치에 설치된 전기차(200)에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충전소(300)는 전기차(200)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충전소(300)는 전기차(200)의 충전 과정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소(300)는 충전되는 전기차(200)의 식별 정보와 충전 과정에서 획득된 정보를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가 배터리의 잔존 수명을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충전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충전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가 전기차(200)를 사용하면서 충방전을 반복하는 동안 획득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히스토리 정보는 전기차(200)의 누적 주행 거리에 따른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충전 히스토리 정보는 전기차(200)의 누적 충전량에 따른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충전 히스토리 정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차(200) 및 충전소(3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차(200)의 충전 사이클마다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충전 히스토리 정보는 각 충전 사이클에서 획득된 충전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200)의 배터리에 대해 총 n회 충전이 이루어진 경우, 충전 히스토리 정보는 1번째 충전 사이클부터 n번째 충전 사이클 각각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각 충전 사이클에서 배터리의 시간에 따른 배터리의 셀 전압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냈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 외에 누적 충전량 또는 다른 파라미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그래프의 세로축은 배터리의 셀 전압 외에 충전 용량 및, 충전 전류나 기타 다른 파라미터로 치환될 수 있다.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각 충전 사이클 별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경우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각 충전 사이클 별로 셀 전압의 변화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은 도 3의 그래프에서 각 충전 사이클 별로 세로축 파라미터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와 가로축의 크기의 비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1번째 충전 그래프에서 셀 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를 1번째 충전 사이클의 충전 시간 나누어 1번째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은 다른 방식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5는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이 결정되는 방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셀 전압이 충전 사이클의 시작된 후 소정의 기준 값(V0)에 도달하는데 소요된 충전 시간을 이용하여 충전 사이클 각각에서 셀 전압의 변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1번째 충전 사이클에서 셀 전압이 기준값(V0)에 도달하기까지 걸린 시간(T1)에 기초하여 1번째 사이클에서 셀 전압의 변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n번째 충전 사이클에서 셀 전압이 기준값(V0)에 도달하기까지 걸린 시간(Tn)에 기초하여 n번째 사이클에서 셀 전압의 변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셀 전압이 기준값(V0)을 초과하지 않은 구간의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충전 파라미터가 포화 상태(saturation)에 이르는 구간을 제외할 수 있다.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포화 상태 구간을 제외함으로써 보다 높은 신뢰도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기차(200)가 운행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수명이 노화되면, 셀 전압이 기준값(V0)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터리의 수명이 노화되면, 충전 용량의 감소로 인해서 충전 초기에 점핑(jumping) 현상에 의해 셀 전압이 순간적으로 높이 상승하는 구간이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배터리의 수명이 노화될수록 셀 전압이 기준값(V0)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초기에 수행된 충전 사이클에서 셀 전압이 기준값(V0)에 도달하는 시간과 후기에 수행된 충전 사이클에서 셀 전압이 기준값(V0)에 도달하는 시간 사이의 차이가 클수록 배터리의 수명이 많이 감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S120 단계에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전기차(200)로부터 수거된 배터리에 대해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0.5C 내지 2C의 씨레이트로 고속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충방전 사이클을 여러 번 반복하지 않고 1.5 사이클 내외 정도를 수행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충방전 테스트 결과로부터 수거된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수명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명 정보는 수명의 기간을 나타내는 수치, 배터리 잔존 수명과 관련된 점수를 나타내는 수치, SOH 정보, 배터리의 잔존 수명과 관련된 배터리의 등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명 정보는 배터리의 잔존 수명과 연관되는 수치 또는 다른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수거된 배터리의 충방전 테스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충방전부를 이용하여 수거된 배터리를 충방전 시킬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수거된 배터리가 충방전 테스트에서 가질 수 있는 배터리의 셀 전압이 제1 전압 값(V_1)으로부터 제2 전압 값(V_2)에 도달하기 까지의 소요 시간(△T)을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측정된 소요 시간(△T)에 기반하여 충방전 테스트에서 셀 전압의 시간당 변화율을 산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소요 시간(△T)이 짧을수록, 즉 셀 전압의 시간당 변화율이 클수록 제1 수명 정보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소정의 소요 시간(△T) 동안 전압의 변화량(V_1-V_2)에 기초하여 셀 전압의 시간당 변화율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밀 검사가 아닌 충방전 테스트에 기초하여 출력된 제1 수명 정보는 실제 배터리 수명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도 3의 S140 단계에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S110 단계에서 획득된 충전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제2 수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S140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의 S142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142 단계에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S110 단계에서 획득된 충전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S144 단계에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제2 수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S142-1 단계에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충전 히스토리 내의 제1 구간 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S142-2 단계에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충전 히스토리 내의 제2 구간 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구간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S142-3 단계에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제1 구간에서 산출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과 제2 구간에서 산출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 사이의 차이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잔존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제1 구간에서 산출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과 제2 구간에서 산출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 사이의 차이가 클수록 제2 수명 정보에 의해 결정된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지도록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구간들이 설정되는 제1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구간과 제2 구간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은 각각 하나의 충전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간은 첫 번째 충전 사이클을 포함하고, 제2 구간은 마지막 n번째 충전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은 1번째 충전 사이클이 아닌 다른 충전 사이클을 포함하고, 제2 구간은 n번째 충전 사이클이 아닌 다른 충전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간과 제2 구간은 서로 다른 개수의 충전 사이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제1 구간에의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과 제2 구간에서의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 사이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상기 차이에 기반하여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복수의 구간들이 설정되는 제2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구간과 제2 구간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은 각각 세 개의 충전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간은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충전 사이클을 포함하고, 제2 구간은 n-2번째 내지 n번째 충전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의 시작점과 종단점은 도 9에서 나타낸 것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제1 구간에 포함된 세 개의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1번째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 2번째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 및 3번째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의 평균을 제1 구간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n-2번째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 n-1번째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 및 n번째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의 평균을 제2 구간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로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제1 구간에의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과 제2 구간에서의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 사이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상기 차이에 기반하여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두 개의 구간이 설정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냈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세 개 이상의 구간들을 설정하고, 각 구간에서 산출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들 사이의 차이에 기반하여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은 도7의 S142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S142_6 단계에서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충전 히스토리 내에서 충전 사이클들을 충전 파라미터의 시작점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S142_6 단계에서 충전 사이클들이 분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충전 사이클 별로 충전 시작 시 셀 전압의 시작점이 다를 수 있다. 충전 사이클은 사용자가 전기차(2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누적되므로 사용자가 배터리를 어느정도 사용한 후 충전을 시작했느냐에 따라 셀 전압의 시작점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충전 히스토리로부터 배터리의 잔존 수명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셀 전압의 시작점이 같거나 유사한 충전 사이클들을 별도로 분류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배터리의 셀 전압의 시작점이 제1 구간(R1) 내에 위치하는 충전 사이클들을 제1 그룹(G1)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배터리의 셀 전압의 시작점이 제2 구간(R2) 내에 위치하는 충전 사이클들을 제2 그룹(G2)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예시적으로 배터리 셀 전압의 시작점에 따라 충전 사이클들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했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충전 사이클들을 배터리 셀 전압의 시작점에 따라서 세 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S142_7 단계에서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잔존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도 9의 제1 그룹(G1) 및 제2 그룹(G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제1 그룹(G1) 및 제2 그룹(G2) 중 더 많은 충전 사이클을 포함한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제1 그룹(G1)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잔존 수명 정보와 제2 그룹(G2)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들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장치(100)는 제1 그룹(G1)에 포함된 충전 사이클의 개수와 제2 그룹(G2)에 포함된 충전 사이클의 개수에 따라 각 그룹의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S140 단계에서 출력된 제2 수명 정보를 추가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전기차(200)로부터 전기차(200)가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운행을 한 기록을 획득할 수 있다. 전기차(200)의 ECU, VCU 및 BMS 중 적어도 하나는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운행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운행기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잔존 수명에 대한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제2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제2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2 수명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제2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2 수명 정보를 보정하여 제3 수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임계 조건은 전기차(200)의 배터리 수명 또는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전기차(200)는 배터리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도달한 횟수, 배터리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도달한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배터리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도달한 횟수 및 시간이 많을수록 배터리의 잔존 수명이 작게 보정되도록 보정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전기차(200)는 배터리가 기준 방전 속도보다 빠르게 방전된 횟수, 배터리가 기준 방전 속도보다 빠르게 방전되는 동안의 방전량 및 급제동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는 배터리가 기준 방전 속도보다 빠르게 방전된 횟수, 배터리가 기준 방전 속도보다 빠르게 방전되는 동안의 방전량 및 급제동 횟수 등이 많을수록 배터리의 잔존 수명이 작게 보정되도록 제2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100)가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운행기록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잔존 수명에 대한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배터리의 잔존 수명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배터리의 잔존 수명 정보가 더 정확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밀 검사보다 간이한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 정보를 평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방전 테스트에 의해 결정된 제1 수명 정보를 전기차의 운행 과정에서 수집된 충전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수명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계조건을 만족하는 전기차의 운행 기록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제2 수명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수명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9)

  1.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전기차의 사용 기간동안 상기 배터리에 대해 수행된 충전 사이클의 누적에 따라 각각의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전기차로부터 수거된 배터리를 소정의 씨레이트(C-rate)로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씨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충방전 테스트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충전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한 제2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의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는, 상기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씨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충방전 테스트에서 상기 배터리의 셀 전압의 시간당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전기차의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씨레이트는 0.5C 내지 2C인 전기차의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사이클의 누적에 따라 각각의 충전 사이클에서 상기 배터리의 셀 전압의 변화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변화율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의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히스토리에서 제1 구간 내에서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셀 전압의 변화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변화율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히스토리에서 제1 구간과 다른 제2 구간 내에서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셀 전압의 변화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의 변화율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간에서 산출된 변화율과 상기 제2 구간에서 산출된 변화율 사이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존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히스토리에 포함된 충전 사이클들을 충전 파라미터의 시작점이 속한 구간에 따라 복수개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여 동일 그룹에 속한 충전 사이클들에서의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잔존 수명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잔존 수명 예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전기차로부터 소정의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운행기록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수명 평가 장치가, 상기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운행기록에 기초하여 제2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수명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명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제3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운행기록은 상기 배터리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도달한 횟수, 상기 배터리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된 시간, 상기 배터리가 기준 방전 속도보다 빠르게 방전된 횟수, 상기 배터리가 배터리가 기준 방전 속도보다 빠르게 방전되는 동안의 방전량 및 상기 전기차의 급제동 횟수에 대한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 평가 방법.
  9. 전기차의 배터리의 수명을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충방전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충방전부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 기간동안 상기 배터리에 대해 수행된 충전 사이클의 누적에 따라 각각의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상기 충방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로부터 수거된 배터리를 소정의 씨레이트(C-rate)로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상기 소정의 씨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충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충전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한 제2 수명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전기차의 배터리 전기차의 배터리의 수명을 평가하는 장치.
PCT/KR2022/003900 2022-03-21 2022-03-21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WO202318253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3900 WO2023182537A1 (ko) 2022-03-21 2022-03-21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3900 WO2023182537A1 (ko) 2022-03-21 2022-03-21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2537A1 true WO2023182537A1 (ko) 2023-09-28

Family

ID=8810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3900 WO2023182537A1 (ko) 2022-03-21 2022-03-21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8253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839A (ja) * 2011-01-27 2012-08-16 Yokogawa Electric Corp 寿命予測評価装置および寿命予測評価方法
KR20160030643A (ko) * 2014-09-11 2016-03-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잔존수명 실시간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90645A (ko) * 2015-01-22 201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의 상태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10018B2 (en) * 2015-06-17 2019-06-04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for generating a simulation-signal serving as a command signal of charge/discharge for an energy-storage system, method for generating the simulation sig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20053147A (ja) * 2018-09-25 2020-04-0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予測装置および予測システム
KR20210134138A (ko) *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839A (ja) * 2011-01-27 2012-08-16 Yokogawa Electric Corp 寿命予測評価装置および寿命予測評価方法
KR20160030643A (ko) * 2014-09-11 2016-03-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잔존수명 실시간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90645A (ko) * 2015-01-22 201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의 상태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10018B2 (en) * 2015-06-17 2019-06-04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for generating a simulation-signal serving as a command signal of charge/discharge for an energy-storage system, method for generating the simulation sig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20053147A (ja) * 2018-09-25 2020-04-0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予測装置および予測システム
KR20210134138A (ko) *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51828A2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 관리 방법
KR102458017B1 (ko)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WO2010053326A2 (ko) 2차 배터리 팩의 전류 전압 동기화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422594B1 (ko) 전기차 배터리의 잔존 수명 예측 방법 및 장치
WO2012060597A2 (ko) 배터리의 교환 시기 통보 장치 및 방법
WO2017116088A1 (ko) 배터리 수명 추정 방법 및 장치
WO2018074807A1 (ko) 듀티 제어를 통한 효과적인 배터리 셀 밸런싱 방법 및 시스템
WO2021125676A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6122238A1 (ko) 배터리의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WO2021006566A1 (ko) 배터리 셀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1141255A1 (ko)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데이터 분산 방법
WO2023024851A1 (zh) 电池均衡方法及系统
WO2019146928A1 (ko) Soh 분석 장치 및 방법
WO2021015501A1 (ko) 배터리 저항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9078658A1 (ko) 빅데이터 기반의 배터리 열화도 추정장치 및 방법
WO2022149824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2145830A1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배터리 진단 방법, 배터리 팩 및 전기 차량
WO2023075415A1 (ko) 배터리 수명 예측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23182537A1 (ko) 배터리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WO2020054924A1 (ko) 배터리의 상태를 셀 단위로 진단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2181863A1 (ko) 재사용 배터리의 용도에 따른 평가 방법 및 장치
WO2018131874A1 (ko) 에너지 절약 및 빠른 셀 밸런싱이 가능한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1020817A1 (ko) 배터리 상태 예측 장치 및 배터리 상태 예측 방법
JP2003061254A (ja) 組電池の電圧検出装置
WO2016064244A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태스크 스케쥴러 오작동 검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337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