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77086A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77086A1
WO2023177086A1 PCT/KR2023/001642 KR2023001642W WO2023177086A1 WO 2023177086 A1 WO2023177086 A1 WO 2023177086A1 KR 2023001642 W KR2023001642 W KR 2023001642W WO 2023177086 A1 WO2023177086 A1 WO 202317708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ars
layer
alo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16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태호
최동원
이종화
김범진
김지연
최진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770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770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llable display device.
  •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digital cameras, laptop computers, navigation devices, and smart televisions that provide images to users include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 the display device provides images to the user through a display scree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with improved surface quality and impact resistance.
  • One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rolled around a rolling axis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arranged along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each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a support layer that covers the support bars and includes an upper surface facing the display panel and a lower surface opposing the upper surface.
  • Each of the support bars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on a cross-section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may have long sides that are convex and curved toward the display panel.
  • Each of the support bars may have a first curved surface that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and is convex facing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curved surface that is concave and faces the first curved surface.
  • the support layer may cover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may decrease from the ends of the support bars to the centers of the support bars.
  •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urved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may increase from the ends of the support bars to the centers of the support bars.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layer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may be constant along the first direction.
  •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may increase from the end of the support bar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along the first direction.
  • each of the support bars may have one of the following shapes: a square, a diamond, an inverted trapezoid, and an inverted triangle.
  • the modulu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may be greater than the modulus of the support layer.
  • Each of the support bars may include metal or carbon fiber, and the support layer may include an elastic polymer.
  • the support member further includes coating films each surrounding the support bars, and a modulus of each of the coating films may be greater than a modulus of the support layer and less than a modulu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 the widths of the support bars defined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the same.
  • the support bars include at least one central support bar having the smallest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Left support bars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ral support bar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ight support bars arranged to the right of the central support bar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widths of the left support bars and the right support bars may increase as the support bars are arranged further away from the center support bar.
  • One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rolled around a rolling axis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support member disposed below the display panel.
  •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layer including an upper surface facing the display panel and a lower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disposed inside the support layer, each including a first surface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he first surface,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n the cross-sectional view may vary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support member.
  • the lower thickness of the support layer disposed below the second surface may increase from the end of the support bar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 the upper thickness of the support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may decrease from the end of the support bar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 Each of the support bars may include metal or carbon fiber, and the support layer may include a polymer.
  • Each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ay have a curved surface whose center of curvature is defined below the support bar, and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curvature of the second surface may be the same.
  • Each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has a curved surface whose center of curvature is defined below the support bar, and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may be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surface.
  •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a display module, and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layer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that have a modulus greater than the support layer and are disposed in the support layer.
  • the support laye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urface quality of the display module by providing a flat top surface to the display module.
  • the support bar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allel to the rolling axis and may include a convex curved surface toward the display panel. As a result,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and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ll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A.
  • FIGS.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lan view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ll dropped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section line II' in FIG. 5A.
  •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section line II-II' in FIG. 5A.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A-10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upport memb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A being rolled (rolling state).
  • the display device DD is activate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nd may be a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IM.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a large device such as a television, an external billboard, etc., as well as a small or medium-sized device such as a monitor, a mobile phone, a tablet computer, a navigation device, a game console, etc.
  • the embodiments of the display device DD are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y do not depart from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DD in one embodiment may be flexible. “Flexible” refers to characteristics such as being folded, curved, or rolled, and can include anything from a completely folded structure to a structure that can bend at the level of several nanometers.
  •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may include a rollable display device that rolls around a virtual axis.
  • FIG. 1A shows the display device DD in a non-rolled or unfolded state (non-rolling state)
  • FIG. 1B shows the display device DD in a rolled state.
  • the display device DD in an unfolded state has long sid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DR1 on a plane and short sides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DR2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DR1. I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owever, the display device DD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have various flat shapes, such as circular or polygonal.
  • the non-rolling or unfolded display device DD may be disposed in a plane defined by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R1 and DR2 that intersect each other.
  • the display device DD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DM and a support member MSP, such as a support member layer.
  • the display module (DM) can generate an image (IM) in response to an electrical signal and provide the image (IM)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DD), such as a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display surface (DS). there is.
  • the display module DM in the unfolded state is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IM in the third direction DR3 on the display surface DS extending parallel to the plane defined by each of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 can be displayed.
  • the display surface DS on which the image IM is displayed may correspon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DD.
  • the image (IM) provided from the display module (DM) may include a still image as well as a dynamic image.
  • FIG. 1A shows a plurality of icons as an example of an image (IM).
  •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DD may face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DR3, and the normal direction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is substantially in the third direction ( It may be parallel to DR3).
  •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defined along the third direction DR3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member (or unit).
  • the display device DD and its various components and layers may have a thickness in the third direction DR3 (thickness direction).
  • “on a plane” may be defined as viewed in the third direction DR3 (or along the third direction DR3).
  • “on cross-section” may be defined as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first to third directions DR1, DR2, and DR3 is a relative concept and can be converted to another direction.
  •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DD may face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DR3, and the normal direction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is substantially in the third direction ( It may be parallel to DR3).
  •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defined along the third direction DR3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member (or unit).
  • the display device DD and its various components and layers may have a thickness in the third direction DR3 (thickness direction).
  • “on a plane” may be defined as viewed in the third direction DR3 (or along the third direction DR3).
  • “on cross-section” may be defined as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first to third directions DR1, DR2, and DR3 is a relative concept and can be converted to another direction.
  • the peripheral area NDA may be adjacent to the display area DA.
  • the peripheral area NDA may surround the display area DA on a plane and define a border of the display module DM.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eripheral area ND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ly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DA or may be omitted. Alternatively, the peripheral area NDA may be disposed on the side rather than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DD.
  • the support member MSP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DM to face the display module DM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to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 the support member MSP may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module DM.
  • the support member MSP may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module DM through a separate adhesive layer.
  • the support member MSP may provide a flat surface extending along the display module DM to prevent the surface quality of the display module DM from being deteriorated.
  • the support member MSP may have impact resistance and may prevent the display module DM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impact.
  • the support member MSP has a curvature and can bend, and supports the display module DM in a rolling stat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display module DM.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ember (MS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rolled around a virtual rolling axis RX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lling axis RX) extending in one direction.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rolled around the rolling axis RX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 FIG. 1B exemplarily illustrates the rolling axis RX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parallel to the short sides of the display device D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device DD is a display device. It can be rolled around a rolling axis parallel to the long sides of (DD).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rolled so that the display surface DS of the display module DM faces the outside (eg,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DD).
  • the support member MSP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module DM to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and may be rolled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DM.
  • various configurations or layers may be deformed (eg, folded, curved, rolled, etc.) together with each oth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rolled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MSP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display device DD in a rolling state eg, out-rolling or in-rolling
  • the display device DD having a relatively large display surface DS may be rolled to have a reduced plan area and stored in the storage member.
  • FIGS.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display device DD-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2A shows the display device (DD-1) with the display module (DM) rolled and stored inside the housing (HS), and
  • FIG. 2B shows the display module (DM)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HS).
  • the display device DD-1 is shown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HS with a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DM unfolded so that one portion is defined.
  • the display device DD-1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HS, a display module DM, a support member MSP, a roller ROL, a support SUP, and a handle ( HND) may be included.
  • the display module (DM), the support member (MSP), the roller (ROL), and the support portion (SUP) may be accommodated within the housing HS, such as an inner region of the housing HS.
  • the above descrip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 the housing HS has an upper portion parallel to each of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e.g., parallel to the plane defined by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It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a lower lower surface opposing the upper surfac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eg, third direction DR3), and side surfaces of a sid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 the upper, lower, and side portions of the housing HS may form a receiving space within the housing HS.
  • FIG. 2A exemplarily illustrates that the housing HS has a rect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However, the shape of the housing HS is not limited to any one shape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the display module DM.
  • An opening OP may be defin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ousing HS as a side wall portion.
  • FIG. 2A illustrates an exemplary opening OP defin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H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f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opening OP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HS. However, the location of the opening OP is not limited to this.
  • the receiving spac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HS) through the opening (OP).
  • the roller ROL may b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HS adjacent to the side of the housing HS where the opening OP is defined and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HS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roller ROL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main size of the roller ROL may be defin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When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roller ROL may have a circular shape.
  •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ller ROL may correspond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lling axis.
  • the roller (ROL) can rotat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 the display device DD-1 of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rotating the roller ROL.
  • the handle HND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HS adjacent to the opening OP, or may be acces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HS adjacent to the opening OP.
  • the handle HND may cover the opening OP, that is, the handle HND may cover a planar area of the opening OP defin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third direction DR3. It can have a flat area.
  • the handle HND may mov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As shown in FIG. 2B, when the handle HND moves away from the housing HS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opening OP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handle HND may be manipulated by a user or other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from outside the display device DD-1.
  •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may be wound on a roller (ROL).
  • One end (eg, a first end or a fixed end)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may be connected to the roller ROL.
  • the roller ROL rotates clockwise,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may be rolled on the roller ROL, surrounding the roller ROL. That is, the display module (DM), the support member (MSP), and the roller (ROL) may be rolled together.
  • Rolling and non-rolling directions of the display device DD-1 may be defin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other ends (e.g., the second end or the end)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are adjacent to the opening (OP) (e.g., are closer to the opening (OP1) than the first end, and ), can be connected to the handle (HND).
  • the roller ROL can rotate counterclockwise, and one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The portions may be drawn out of the housing HS to define exposed portions of each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through the opening OP.
  • the support SUP may b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HS adjacent to the opening OP, for example, closer to the opening OP than the roller ROL.
  • the support SUP may exten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such that its main size is defin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 a plurality of support units SUP may be provided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within the housing HS. Referring to FIGS. 2A and 2B , the supports SUP may extend along the third direction DR3 to defin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 the support unit (SUP) may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disposed in the housing (HS).
  • a guide groove may be defined in the support part (SUP), and the support member (MSP) may be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SUP).
  •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support unit (SUP)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HND).
  • the support part SUP may be expanded or contracted out of the housing HS through the opening OP as the handle HND moves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upport unit SUP may extend outside the housing HS and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outside the housing HS. That is, the support unit (SUP) can move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as well as the handle (HND).
  • the support part (SUP)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HS) may be arranged so that portions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located outside the housing (HS)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SUP). .
  • the support part (SUP)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EX1), a second extension part (EX2), and a third extension part (EX3) to extend outside the housing (HS).
  • the second extension part EX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EX1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EX3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econd extension part EX2 can be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EX1,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EX3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EX2.
  • the first extension EX1 may be fixed within the inner area of the housing HS and may be open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unit SUP at the opening OP.
  • the second and third extension parts EX2 and EX3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extension EX1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HS through the opening OP of the housing HS and the open end of the support part SUP. It can be.
  • the third extension EX3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HND.
  • the total length of the support part SUP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is the total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part EX1, the second extension part EX2,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EX3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extension length defined by the length.
  • a guide groove may be defined in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tension parts EX1, EX2, and EX3.
  • the guide grooves defin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tension parts EX1, EX2, and EX3 may be defined as continuous spaces that overlap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at is, the guide grooves defin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tension parts EX1, EX2, and EX3 may be aligned or may form the same plane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third direction DR3. there is.
  • the support member MSP is dispos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in the guide grooves defined in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tension parts EX1, EX2, and EX3 to exte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tension parts EX1, EX2, and EX3. It can be supported by extension parts EX1, EX2, and EX3.
  •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SUP may be contract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s shown in FIG. 2A.
  • the support unit SUP is placed inside the housing HS as much as possible, and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can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HS.
  •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tension parts EX1, EX2, and EX3 are the display device DD-1 such that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are maximally retracted into the housing HS.
  • the overall length of the support part (SUP) can be shortened or overlapped to be minimized.
  • the display module (DM) When the display module (DM) is pulled out from the housing (HS) or inserted into the housing (HS),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face the support portion (SUP) and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SUP).
  • a portion of may be flat or remain flat.
  •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support layer (SPL)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SB,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pport bars (SB)).
  • the support bars SB may be disposed inside the support layer SPL.
  • Each of the support bars SB may ext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lling axis.
  • the support bars SB may be arranged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support bars SB each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arranged and spaced apart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within the support layer SPL. You can.
  • the support layer (SPL) may cover the support bars (SB).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layer (SPL)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s (SB). The entire support layer (SPL) may cove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Any support layer (SPL) may be filled between the support bars (SB) spaced apart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upport layer (SPL) may connect the support bars (SB) spaced apart within the support member (MSP). there is. That is,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bars (SB) can move together with each other as well as with components such as the display module (DM), handle (HND), and support portion (SUP). As it covers the support bars SB, the support layer SPL extends along the side walls of the support bars SB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bars SB and at the same time extends along the entir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bars SB. It can be.
  • the modulu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greater than the modulus of the support layer (SPL). That is, the modulus of one support bar (SB) may be greater than the modulus of the support layer (SPL).
  • the support bars SB may include a material whose rigidity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upport layer SPL. The support bars SB can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and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support member MSP.
  • the support layer (SPL) may include a material that has better flexibility than the support bars (SB).
  • the support layer (SPL) connects the support bars (SB) spaced apart within the support member (MSP), and can allow the support member (MSP) to have a curvature and bend easily.
  • the support layer (SPL) includes the support bars (SB) SB), is close to the display module DM, and may provide a flat top surface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and/or the second direction DR2 in which the display module DM extends. Accordingly, the support layer (SPL) can improve the surface quality of the display module (DM) both inside the housing (HS) and in portion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HS).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module D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module DM may include a display panel DP, an input sensing layer (ISP), an anti-reflection layer (RPL), a window (WIN), an adhesive layer (AL), and a lower member (CSL). You can.
  • ISP input sensing layer
  • RPL anti-reflection layer
  • WIN window
  • AL adhesive layer
  • CSL lower member
  • the display panel DP may be a flexible display panel.
  • the display panel D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missive display panel that generates and/or emits light,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display panel DP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 the light-emitting layer of the in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may include an in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 such as quantum dots or quantum rods.
  • the display panel DP may include a base substrate (SUB), a circuit layer (CL), a display element layer (PXL), and an encapsulation layer (TFE).
  • the base substrate (SUB), circuit layer (CL), display element layer (PXL), and encapsulation layer (TFE) may be sequentially stacked along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base substrate SUB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peripheral area NDA, and may correspond to the display area DA and the peripheral area NDA of the display module DM.
  • the base substrate (SUB) may provide a base surface on which the circuit layer (CL) is disposed.
  • the base substrate (SUB) may include a flexible plastic substrate.
  • the base substrate SUB may include at least one synthetic resin layer.
  • the synthetic resin layer of the base substrate (SUB) is made of acrylic resin, methacrylic resin, polyisoprene-based resin, vinyl resin, epoxy-based resin, urethane-based resin, cellulose-based resin, siloxane-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and perylene-based resin. ,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imide-based resin.
  • the material of the base substrate (SUB)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 the circuit layer CL may be disposed on the base substrate SUB.
  • the circuit layer CL may include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driving elements, signal lines, and signal pads.
  • the circuit layer CL may include a conductive pattern and a semiconductor pattern that forms (or provides) driving elements, signal lines, and signal pads. After forming an insulating layer, a semiconductor layer, and a conductive layer on a base substrate (SUB) by coating, deposition, etc., the insulating layer, a semiconductor layer, and a conductive layer are selectively patterned by photolithography to form a circuit layer ( CL) can form driving elements, signal lines, and signal pads included.
  • the display element layer (PXL) may be disposed on the circuit layer (CL).
  • the display element layer PXL may include light emitting elements arranged to overlap the display area DA.
  • the light-emitting elements of the display element layer (PX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elements of the circuit layer (CL) and output light through the display area (DA) according to the signal (e.g.,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element. You can.
  • the encapsulation layer (TFE)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element layer (PXL) to seal the light emitting elements.
  • the encapsulation layer (TF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n films. Thin films of the encapsulation layer (TFE) may be disposed to improve the optical efficiency of light-emitting devices or to protect the light-emitting devices.
  • the encapsulation layer (TFE) may include at least one inorganic layer and one organic layer.
  • the inorganic film of the encapsulation layer (TFE) can protect the light emitting device from moisture/oxygen.
  • the organic film of the encapsulation layer (TFE) can protect the light emitting device from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particles.
  • the input sensing layer (ISP)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 the input sensing layer (ISP)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without a separate adhesive memb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placed or in contact to form an interface between components, but are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input sensing layer (ISP) may be formed through a continuous process on the base surface provided by the display panel (DP) after the display panel (DP) is formed. For example, the input sensing layer (ISP) can be placed directly on the encapsulation layer (TFE).
  • TFE encapsulation layer
  • the input sensing layer (ISP) is manufactured (or provided) in the form of a panel through a separate manufacturing process that is separate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panel (DP), and then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DP) by an adhesive member. ) can be attached to the ISP.
  • the input sensing layer (ISP) can detect an external input applied from outside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A) and obtai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input.
  • the input sensing layer (ISP) can be driven in various ways, such as capacitive, resistive, infrared, or pressure,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disposed on the input sensing layer (ISP).
  •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placed directly on the input sensing layer (ISP).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attached to the input sensing layer (ISP) using a separate adhesive member.
  •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reduce the reflectance of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top of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A).
  •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that reduce external light reflectance.
  •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include a phase retarder and/or a polarizer.
  • the phase retarder may include a ⁇ /2 phase retarder and/or a ⁇ /4 phase retarder.
  • the polarizer may include a film type or a liquid crystal coating type.
  • a film-type polarizer may include a stretched synthetic resin film, and a liquid crystal coating-type polarizer may include liquid crystal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 the phase retarder and polarize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ingle polarizing film.
  •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include color filters.
  • Color filters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and emission color of the pixels PX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DP. Color filters can filter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into the same color as the color emitted by the pixels (PX).
  •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further include a black matrix disposed adjacent to the color filters.
  •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include a destructive interference structure.
  • the destructive interference structure may include a first reflective layer and a second reflective layer disposed on different layers. The first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ve layer and the second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reflective layer may cause destructive interference, and accordingly,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reduce the reflectance of external light.
  • the adhesive layer (AL) may be disposed on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 the adhesive layer (A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and the window (WIN) to couple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and the window (WIN) to each other.
  • the adhesive layer (AL) may include a transparent adhesive such as an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CA), an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OCR), or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PSA). there is.
  •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 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 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 the type of adhesive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AL is not limited to this.
  • the window (WIN) may be disposed on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 the window (WIN) covers the display panel (DP), the input sensing layer (ISP),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and can protect the components of the display module (DM) from external impacts and scratches.
  • the window (WIN) may include an optically transparent insulating material.
  • the window (WIN) may include glass, sapphire, or polymer.
  • Windows (WIN) may hav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 the window (WI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unctional layer such as an anti-fingerprint layer, a phase control layer, and a hard coating layer disposed on an optically transparent substrate.
  • the lower member CSL may b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DP.
  • the lower member CSL may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DP using an adhesive member, or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DP,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 the lower member CS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tective film layer that protects the display panel DP from external shock and a shock absorbing layer.
  • the protective film layer of the lower member may include a flexible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imide.
  • the shock absorbing layer of the lower member CSL may include sponge, expanded foam, or urethane resin, and may absorb shock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DP.
  • the embodiment of the lower member CSL is not limited to any one as long as it can protect the display panel DP from external elements or damage applied to the display module DM.
  • FIG. 4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panel D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briefly shows configurations of the display panel DP on a planar view.
  • the display panel DP includes a base substrate SUB, a plurality of pixels PX, and a plurality of signal lines SL1 to SLm, DL1 to DLn, and EL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ixels PX.
  • ELm ⁇ ELm, CSL1, CSL2, PL1, PL2, CNL), a scan driver (SDV), a data driver (DDV), and an emission driver (EDV).
  • the base substrate SUB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peripheral area NDA.
  • the base substrate SUB may provide a base surface on which the electrical elements and wires of the display panel DP are disposed.
  • FIG. 4 exemplarily shows a base substrate SUB having a rectangular shape parallel to each of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on a plane.
  • the base substrate SUB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A).
  • Each of the pixels PX may include a light-emitting device and a pixel driving circuit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istors (eg, a switching transistor, a driving transistor, etc.) connected to the light-emitting device, and at least one capacitor.
  • a pixel driving circuit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istors (eg, a switching transistor, a driving transistor, etc.) connected to the light-emitting device, and at least one capacitor.
  • Each of the pixels PX may emit light in response to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pixel PX.
  • Pixels PX may be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DA.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ome of the pixels PX may include a transistor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NDA.
  • Each of the scan driver (SDV), data driver (DDV), and light emission driver (EDV) may be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NDA).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t least one of the scan driver (SDV), data driver (DDV), and light emission driver (EDV) may overlap the display area (DA), thereby reducing the area of the peripheral area (NDA). As a result, the bezel area (eg, a flat area of the outer edge) of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A) may be reduced.
  • the data driver (DDV)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chip defined as a driver chip and can be mounted in the peripheral area (NDA) of the display panel (DP). However, the data driver DDV may be mounted on a separate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DP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DP.
  • a plurality of signal lines include scan lines (SL1 to SLm), data lines (DL1 to DLn), and light emission lines.
  • EL1 to ELm first and second control lines (CSL1, CSL2),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PL1, PL2), and connection lines (CNL).
  • m and n are natural numbers.
  • the scan lines SL1 to SLm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be connected to the scan driver SDV.
  • the data lines DL1 to DLn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be connected to the data driver DDV.
  • the light emission lines EL1 to ELm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be connected to the light emission driver EDV.
  • the first power line PL1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may be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NDA.
  • the first power line PL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rea DA and the light emission driver EDV.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power line PL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rea DA and the scan driver SDV.
  • connection lines CNL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connection lines CNL may be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PL1 and the pixels PX.
  • the connection lines (CNL) may be disposed on a different layer from the first power line (PL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PL1) through a contact hol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nnection lines CNL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power line PL1 on the same layer.
  • the first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first power line PL1 and connection lines CNL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components may be formed using the same process and/or comprising the same material, and the components may be in the same layer as each other as individual parts of a layer of the same material, and interface with the same lower or upper layer. may be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power line PL2 may be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NDA.
  • the second power line PL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can driver SDV and the light emission driver EDV.
  • the second power line PL2 may extend toward the display area DA and be connected to the pixels PX.
  • a second voltage having a level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PL2.
  •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des of the light-emitting devices of the pixels PX, respectively, so that the light-emitting devices may generate and emit light.
  • the first control line (CSL1) may be connected to the scan driver (SDV).
  • the second control line (CSL2) may be connected to the light emission driver (EDV).
  • the pads P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peripheral area NDA.
  • the pads PD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bottom of the display panel DP than the data driver DDV.
  • the pads PD may be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circuit board including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a scan driver (SDV), a data driver (DDV), and an emission driver (EDV), and 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voltage. It may include, and the pads PD may be a part where the circuit board of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A) is connected. Electrical signals may be input into the display panel DP from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DP through the pads PD.
  • Each of the pads PD may b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signal line among the signal lines.
  • the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PL1 and PL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lines CSL1 and CSL2 may be connected to pads PD.
  • the data lines DL1 to DLn may be connected to corresponding pads PD through the data driver DDV.
  • the data lines DL1 to DLn may be connected to the data driver DDV, and the data driver DDV may be connected to pads P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ata lines DL1 to DLn.
  • the scan driver may generate scan signals in response to a scan control signal. Scan signals may be applied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scan lines SL1 to SLm.
  • the data driver DDV may generate data voltages corresponding to image signals in response to a data control signal. Data voltages may be applied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data lines DL1 to DLn.
  • the light emission driver may generate light emission signals in response to the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Light emission signals may be applied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light emission lines EL1 to ELm.
  • the pixels PX may receive data voltages in response to scanning signals.
  • the pixels PX may display the image IM by emitting light with a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data voltages in response to the light emission signals.
  • the emission time of the pixels PX can be controlled by emission signals.
  • the display panel DP can output the image IM through the display area DA using the pixels PX.
  •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MS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MSP')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a show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MSP') of one embodiment, and
  • Figure 5b show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MSP') of a comparative example.
  • 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MS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B briefly shows a cross section of a ball drop on the support member (MSP) of FIG. 6A.
  • Figure 6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MSP')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6A and 6C may correspond to cross-sections of the support member MSP of FIG. 5A and the support member MSP' of FIG. 5B, respectively, as seen from the first direction DR1.
  •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MS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line II' of FIG. 5A.
  •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MS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line II-II' in FIG. 5A.
  • the support member (MSP) may include a support layer (SPL) and support bars (SB).
  • the support layer (SPL) may cover the support bars (SB).
  • the support layer (SPL) is formed integrally and can connect the support bars (SB)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support layer (SPL)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U-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a lower surface (B-S)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U-S).
  •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be substantially uniform.
  •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correspond to the first thickness (TT) of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first thickness (TT) of the support layer (SPL) is the display module ( DM, see Figure 1a) may be uniform within the area in which it is placed.
  • the first thickness TT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MSP.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MSP of one embodiment may have a substantially uniform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display module DM (see FIG. 1A) is disposed.
  • the support layer (SPL) having a uniform first thickness (TT) has a flat upper surface (U-S) and lower surface (B-S) in both the area where the support bars (SB) are disposed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bars (SB). can be provided.
  • the display module (DM, see FIG. 1A)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having a flat surface, thereby overlapping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bars (SB). ) is not deformed and can remain flat. That is, the surface quality (or planar shape) of the display module DM can be improved by the support layer SPL.
  • the support layer (SPL) may include an elastic polymer having elasticity.
  • the support layer (SPL) is made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silicone, thermoplastic rubbers, elastolefin, thermoplastic olefin, polyamide, poly Polyether block amide, synthetic polyisoprene, polybutadiene, chloroprene rubber, butyl rubber, styrene-butadiene, epi Among chlorohydrin rubber, polyacrylic rubber, silicone rubber, fluorosilicone rubber, and fluoroelastomers, ethylene-vinyl acetate It can contain at least one.
  • Each of the support bars SB may exten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parallel to the rolling axis.
  • the support bars SB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that intersect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bars SB.
  • the support bars SB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However,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bars SB is not limited to this.
  • the support bars SB may have rigidity.
  • the support bars SB may include metal or carbon fiber.
  • the support bars (SB) may include aluminum, stainless steel, invar, or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 the support bars SB may include metal that adheres to a magnet.
  • the modulu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greater than the modulus of the support layer (SPL).
  • the modulus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bout 10 kilo Pascals (KPa) and less than or equal to about 20 mega Pascals (MPa).
  • the modulus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be about 10 kPascals (KPa) or more and about 100 kPascals (KPa) or less.
  • the modulus of the support bar SB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bout 1 Giga Pascal (GPa) and less than or equal to about 500 Giga Pascal (GPa).
  • the modulus of the support bar SB may be about 50 Giga Pascals (GPa) to about 200 Giga Pascals (GPa).
  • the support bars SB which have a relatively large modulus,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see FIG. 1A) and can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support member MSP.
  • each of the support bars SB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is convex upward toward the display module DM.
  • the support bars (SB) have a first surface (S1) adjacent to (e.g., closest to)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and a second surface (S2)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S1). may include.
  • Each of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may be a curved surface bent upward in the third direction DR3.
  • each of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is convex toward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It may include long sides that have curves (e.g., major dimensions).
  •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may not be parallel to the top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 Each of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whose center of curvature is defin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bar SB. Based on the normal direction of each surface, the first surface S1, whose normal line is upward, may be a convex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S2, whose normal line is downward, may be a concave surface.
  • the display module (DM, see FIG. 3) including the display panel (DP, see FIG. 3)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MSP), and each of the first side (S1) and the second side (S2) is a display It may include a convex curved surface toward the panel (DP, see FIG. 3).
  • First surfaces S1 of the support bars SB may correspond to upper surfaces of the support bars SB, and second surfaces S2 of the support bars SB may correspond to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bars SB. It can be.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cur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ars SB extend.
  • the support bars SB may be disposed inside the support layer SPL.
  • the support bars (S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That is, in the cross section seen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are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can be located
  •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may contact the support layer SPL.
  •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U-S and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 Both ends of the support bars SB facing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upport layer SPL.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disposed within the support layer SPL, and a portion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be disposed on all sides of the support bars SB. That is, the support layer SPL covers the support bars SB and extends al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s of the support bars SB and opposite ends of the support bars SB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bars SB. At the same time, it may extend along the entir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bars SB.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thicknes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support bar SB may be substantially uniform. That is, the support bar SB may have a uniform second thickness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Therefore, the end thickness T-E of the end of the support bar SB is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SB located at the center along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for example, the length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It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central thickness (T-C).
  •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upport bar SB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urvature of the second surface S2. That is,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support bar SB may be parallel. However, the example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which is a fla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upport bar (SB) is a posi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SB) It may differ depending on.
  • the first upper gap (D1-C) is between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upport bar (SB) and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upport bar (SB). It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upper gap (D1-E).
  • the upper gap between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upport bar (SB) and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can become smaller as it moves from the end of the support bar (SB)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SB).
  • the upper gap between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upport bar (SB) and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correspond to the upper thickness (or upper thickness portion) of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layer ( The upper thickness of the SPL) may become smaller as it moves from the end of the support bar (SB)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SB).
  • the lower gap between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support bar SB is defined by an area (for example, the support bar I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along the length of (SB).
  • the first lower gap (D2-C) is between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support bar (SB) and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upport bar (SB). It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lower gap (D2-E).
  • the lower gap between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support bar (SB) and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increase from the end of the support bar (SB)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SB).
  • the lower gap between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support bar SB and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correspond to the lower thickness (or lower thickness portion) of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layer ( The lower thickness of the SPL) may increase from the end of the support bar (SB)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SB).
  • FIGS. 7A and 7B show a cross-section of the support member MSP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which i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bars SB.
  •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MSP corresponding to the ends of the support bars SB and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second surface (U-S) between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upport bar (SB) and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The upper gap (D1-E)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lower gap (D2-E) between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support bar (SB) and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That is, the upper thickness of the support layer (SPL)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ends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greater than the lower thickness of the support layer (SPL).
  • the widths W of the support bars SB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the same.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some of the support bars SB may have different widths W.
  •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MSP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s SB and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first upper gap (D1-) between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upport bar (SB) and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C)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lower gap (D2-C) between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support bar (SB) and the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layer (SPL). That is, the upper thickness of the support layer (SPL) in the area (o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smaller than the lower thickness of the support layer (SPL).
  • the support bars SB include curved surfaces that are curved upward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thereby increasing the time for which the impact force is applied, and thus the support bars SB are affected by an external impact. The amount of impact can be reduced.
  • the support bars (SB) include a curved surface that is curved upward toward the display panel (DP) in the extension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support member (MSP) and making it a rollable device that is relatively vulnerable to external shock. Damage to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A) can be prevented.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B.
  • a ball (BAL) with a predetermined load may fall on the support member (MSP) and apply an impact force (IF) to the support bar (SB).
  • IF impact force
  • the size of the impact force (IF) must be reduced or the time for which the impact force (IF) is applied to the support bar (SB) must be increased.
  • the support bar (SB) which has a structure extending along one direction, increases as the degree to which the support bar (SB) can be deformed at the moment of collision with an object with a load, such as a ball (BAL), increases. The time during which the impact force (IF) is applied may be increased.
  • the support bar SB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has a bar shape convex upward, so that the moment when the impact force IF is applied to the support bar SB ,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6B, the extent to which the support bar SB can be deformed or displaced from its original curved shape within the support layer SPL may increase. Accordingly, the time during which the impact force IF is applied to the support bar SB may be increased, and the amount of impact transmitted to the support bar SB may be reduced.
  • the deformation is the deformation at the moment when the impact force (IF) is transmitted, and when the impact force (IF) is removed, the support bar (SB)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for example, the original bent shape).
  •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included in the support member (MSP') of the comparative example are the support layer (SPL').
  • the comparison upper surface and the comparison lower surface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in the comparative example may be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That i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in the comparative example may be provided as flat surfaces.
  • the comparative thickness T'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in the comparative example may have a constant value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second interval D1-E' and the support bars SB' from the first surface S1' to the comparativ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layer SPL'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upport bars SB' of the comparative example. ), the first distance D1-C' from the first surface S1' to the comparativ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layer SPL'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enter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 the fourth interval D2-E' from the second surface S2' to the comparativ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layer SPL'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upport bars SB'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support bars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 the support bars (SB') of the comparative example which have a flat bar shape in the extension direction, have a time when the impact force (IF)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bar at the moment when the impact force (IF) is applied from the outside. It may be small in comparison. That is, at the moment the impact force IF is applied, the degree to which the support bars SB' of the comparative example can be deformed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upport bars SB of one embodiment. Therefore, for the same external impact force IF, the amount of impact transmitted to the support bars SB' of the comparative example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impact transmitted to the support bars SB of one embodiment. Accordingly,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support bars SB' of the comparative example may be smaller than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support bars SB of one embodiment.
  • Table 1 below shows ball drop evaluation with the same load on the display device (DD) including the support member (MS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rativ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upport member (MSP') of the comparative example.
  • the evaluation results are compared.
  • the evaluation result value is a measurement of the drop height of the ball at which the display device is damaged when a ball of the same load is dropped on the display device.
  • the ball drop evaluation result value of the comparative example as 100%, th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ball drop evaluation results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 the central area of one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SB of FIG. 6A
  • the outer area corresponds to the end of the support bar SB of FIG. 6A.
  • the comparative display device of the comparative example has uniform impact resistance over the entire area, but has lower impact resistance compared to th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outer area of th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has improved to about 128% to 157%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central area of th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has improv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You can see that it has improved by about 214%.
  •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may have a different distribution depending on the area,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splay device DD has higher impact resistance in all area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That is, th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bar SB increases the impact force transmission time, so that impact resistance can be improved in all areas of the display device D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MS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pport member MSP shown in FIG. 8 include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upport member MSP described above, but there is some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support bar SB. Next,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mbodiments.
  •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S1) may be different from the curvature of the second surface (S2).
  • the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first surface (S1) closer to the display module (DM, see FIG. 1A)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U-S) is that of the second surface (S2). It can be greater than the curvature.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support bar SB may vary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support bar SB.
  • the central thickness (T-C) of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SB) may be greater than the end thickness (T-E) of the ends of the support bar (SB).
  •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bar SB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increase from the end of the support bar SB to the center,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SB is the lowest within the support bar SB. It may be a thick portion (eg defined as the maximum thickness). Accordingly, the rigidity of one area of the support member (MSP)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s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improved.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MS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pport member (MSP) shown in FIG. 9 include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upport member (MSP) described above, but has some differences in configuration. Next,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mbodiments.
  • the support member (MSP)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SB) and may further include a coating film (CT) covering the support bar (SB).
  • CT coating film
  • the coating film (CT) contacts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support bar (SB) and may coat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 a plurality of coating films (CT)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coating films (CT) may coat the support bars (SB).
  • the coating film (CT) may be covered by a support layer (SPL).
  • the coating film (C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bar (SB) in the cross section.
  • the coating film (CT) may contact the support layer (SPL).
  • Both ends of the support bars SB facing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coating film C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coated with a coating film CT.
  • the coating film (CT)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 the coating film (CT) includes at least one of polyimide (PI, Polyimi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and polyamide (PA). can do.
  • PI polyimid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C polycarbonate
  • PA polyamide
  • the material of the coating film (C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 the coating film (CT) may have a predetermined modulus.
  • the modulus of the coating film (CT) may be about 100 megapascals (MPa) or more and about 10 gigapascals (GPa) or less.
  • the modulus of the coating film (CT) may be greater than the modulus of the support layer (SPL) and smaller than the modulus of the support bar (SB). That is, the modulus of the support member (MSP) may decrease from the inner thickness portion (for example, the portion defined by the support bar (SB)) to the upper surface (U-S) and lower surface (B-S) of the support member (MSP). there is.
  • the intermediate modulus thickness portion (e.g., coating film (CT)) within the support member (MSP) is loc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e.g., third direction DR3) of the support member (MSP).
  • CT coating film
  • the modulus of the support member (MSP) is defin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SB), the intermediate modulus thickness portion, and the support layer (SPL)
  • the modulus of the support member (MSP) may decrease from the middle modulus thickness portion to the support layer (SPL)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MSP).
  • the coating film CT has a value between the modulus of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modulus of the support bars SB, the modulus deviation between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bars SB can be reduced.
  • the coating films (CT) can absorb the strain generated in the support bars (SB).
  • the coating films (CT) can maintain the strain generated in the support bars (SB) to a minimum while also reducing the maximum value of the strain generated in the support layer (SLP).
  • a support member (MSP) with enhanced rigidity can be provided, and deformation of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bars (SB) is prevented by the coating films (CT), and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A) )'s surface quality can be effectively improved.
  • the coating films (CT) made of a polymer material are thinly coated on the support bars (SB),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coating films (CT) and the support layer (SPL).
  • the coating films (CT) ar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bars (SB) and the support layer (SPL)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bars (SB) and the support layer (SPL) during roll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pport layer (SPL)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support bars (SB).
  • FIGS. 10A to 10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upport member (MSP)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A illustrates that each of the support bars SB has a rectangular shape in a cross-section (eg, cross-sectional shape)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support bars SB may have various shapes in the cross section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FIGS. 10A to 10C show examples of the support bars SB having various shapes in the cross section. These are shown as examples.
  • the support bars SB may have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in a cross-section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ccordingly, the width W of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defin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close to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W of the lower surface.
  • the support bars SB may have an inverted triangle shape in a cross-section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s the base of a triangle.
  •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extends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may have the shape of one side where side surfaces inclined from the upper surface meet as the top of a triangle.
  • the one side may be a curve that is convex upward in the cross section defined by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third direction DR3.
  •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SB) has a top shape curved at the top close to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member (MSP), and the support member (MSP) ) may have a curved bottom shape at the bottom far from the upper surface (U-S).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bar SB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includes slanted side wall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MSP and defines a curved top shape and a curved bottom shape. You can.
  • the cross-sectional shape has a shape width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in each of the curved top shape and the curved bottom shape, and the shape width of the curved top shape may be larger than the shape width of the curved bottom shape.
  • the support bars SB may have a diamond shape in cross-section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exten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may have the shape of sides where inclined surfaces meet.
  • the sides defin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bars SB in the cross section defined by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curves that are convex upward.
  •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SB) has a top shape curved at the top close to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member (MSP),
  • the support member (MSP) may have a curved bottom shape at a lower part far from the upper surface (U-S).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bar SB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includes slanted side wall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MSP and defines a curved top shape and a curved bottom shape. You can.
  • the curved bottom shape may define the point where the sloping side portions meet (e.g., the lower apex of a triangle or the lower apex of a rhombus).
  • the curved top shape may define the point where the sloping side portions meet (e.g., the upper apex of a rhombus).
  • the shape of the support bars SB on a cross-section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7A and 10A to 10C, and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circular, oval, or polygonal.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member (MS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pport member MSP shown in FIG. 11 include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upport member MSP described above,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izes of the widths of the support bars SB. Next,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mbodiments.
  • the support bars SB may include support bars SB having different widths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upport bars (SB) include a central support bar (SB-C) and left support bars (SB-L1 to SB) provided in plural and arranged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ral support bar (SB-C)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Ln), and a plurality of right support bars (SB-R1) provided in a plurality and arran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R1) from the central support bar (SB-C). 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bar including ⁇ SB-Rn).
  • the central support bar SB-C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layer SPL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has a width W0 (for example, the minimum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DR1 among the support bars SB. ) may be the smallest.
  • the left support bars SB-L1 to SB-Ln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ft side of the central support bar SB-C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right support bars SB-R1 to SB-Rn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ight side from the central support bar SB-C in the first direction DR1.
  • Each of the left support bars (SB-L1 to SB-Ln) and the right support bars (SB-R1 to SB-Rn) may include n support bars.
  • the left support bars (SB-L1 to SB-Ln) and the right support bars (SB-R1 to SB-Rn) may be symmetrical in the first direction DR1 about the central support bar SB-C.
  • the example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first to nth left support bars (SB-L1 to SB-Ln) are arranged sequentially an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support bar (SB-C)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support bar (SB-C). You can.
  • the first left support bar (SB-L1) is disposed closest to the center support bar (SB-C) among the first to nth left support bars (SB-L1 to SB-Ln)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first to nth right support bars (SB-R1 to SB-Rn) are arranged sequentially an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support bar (SB-C)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support bar (SB-C). You can.
  • the first right support bar (SB-R1) is disposed closest to the center support bar (SB-C) among the first to nth right support bars (SB-R1 to SB-Rn) in the first direction (DR1).
  • Each of the first left support bar SB-L1 and the first right support bar SB-R1 may have the same first width W1.
  • Each of the second left support bar SB-L2 and the second right support bar SB-R2 may have the same second width W2.
  • the first to nth left support bars (SB-L1 to SB-Ln) the nth left support bar (SB-Ln) and the first to nth right support bars (SB-Ln) arranged to be furthest from the center support bar (SB-C)
  • each of the nth right support bars SB-Rn disposed furthest from the central support bar SB-C may have an nth width Wn.
  • Each of the first to nth widths W1 to Wn may be different from the width W0 of the central support bar SB-C.
  • Each of the first to nth widths (W1 to Wn)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0) of the central support bar (SB-C).
  • the width value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first width (W1) to the n-th width (Wn), and the n-th width (Wn) among the first to n-th widths (W1 to Wn) (for example, the maximum The value of width) may be the largest.
  • each of the left support bars (SB-L1 to SB-Ln) and the right support bars (SB-R1 to SB-Rn)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support bar (SB-C). It can gradually grow as it is deployed.
  • the strain value generated in the support member MSP may increase as it moves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MSP to the center. Strain gener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MSP) can be reduced by disposing the support bar (SB) with a relatively small width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MSP).
  • FIG 11 exemplarily illustrates one central support bar (SB-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central support bars (SB-C) may be provided.
  • Each of the central support bars SB-C may be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layer SPL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and may have the smallest width W0 among the support bars SB.
  • FIG. 11 shows support bars SB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cross-section, but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support bars SB having different widths are not limited to this and can have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S. 10a to 10c. You can.
  • the display device (D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MSP) that supports the display module (DM) and is movable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member (MSP) includes a support layer (SPL) and a support layer (SPL).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SB) disposed inside an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bars (SB) may have a greater modulus than the support layer (SPL).
  • MSP support member
  • SPL support layer
  • SPL support layer
  • SPL support layer
  •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SB) disposed inside an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bars (SB) may have a greater modulus than the support layer (SPL).
  • the support bars (SB) included in the support member (MSP)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lling axis, extend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support bars (SB), and support the support member (MSP). It may include a convex curved surface toward the display panel DP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Accordingly,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support bars SB may be reduced, and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support member MSP may be improved.
  • the support layer (SPL) included in the support member (MSP) may cover the support bars (SB) and provide a flat upper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panel (DP) is extended and supported. Accordingly, the support layer (SPL) can provide a flat top surface to the display panel (DP)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housing (HS),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support member (MSP), and simultaneously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display device (DD) Surface quality can be improved by maintaining the planar shape (e.g., fla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rolled and has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surface quality by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using support bars that are convex toward the display panel, so it can be used industrially.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함께 롤링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대향되고 상기 상면보다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더 먼 하면을 정의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이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바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층 내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을 향해 볼록하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링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다양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 중 롤러블 표시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롤링되기 위해 얇은 두께를 갖는 롤러블 표시 장치는 외부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면 품위(surface quality)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바들; 및 상기 지지바들을 커버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대향되는 하면을 포함하는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볼록한 곡선의 장변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바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하며 볼록한 제1 곡면 및 상기 제1 곡면에 대향되고 오목한 제2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2 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상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바들의 끝 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바들의 중심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단면 상에서 상기 제2 곡면과 상기 하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바들의 끝 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바들의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의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들 각각의 두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들 각각의 두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바의 끝 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바의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상기 지지바들 각각은 사각형, 마름모, 역사다리꼴, 및 역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바들 각각의 모듈러스는 상기 지지층의 모듈러스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지지바들 각각은 금속 또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각각이 상기 지지바들을 둘러싸는 코팅막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팅막들 각각의 모듈러스는 상기 지지층의 모듈러스보다 크고 상기 지지바들 각각의 모듈러스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에서 정의되는 상기 지지바들의 폭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들은 상기 제2 방향에서 가장 작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지지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중앙 지지바의 좌측에 배열되는 좌측 지지바들;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중앙 지지바의 우측에 배열되는 우측 지지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바들 및 상기 우측 지지바들의 폭들은 상기 중앙 지지바로부터 멀리 배치된 지지바일수록 커질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내부에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상면에 인접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지지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상기 제2 면과 상기 하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 부재의 영역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상기 제2 면 아래에 배치된 상기 지지층의 하부 두께는 상기 지지바의 끝 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바의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면 위에 배치된 상기 지지층의 상부 두께는 상기 지지바의 끝 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바의 중심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들 각각은 금속 또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각각은 곡률 중심이 상기 지지바의 아래에 정의되는 곡면을 갖고, 상기 제1 면의 곡률과 상기 제2 면의 곡률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각각은 곡률 중심이 상기 지지바의 아래에 정의되는 곡면을 갖고, 상기 제1 면의 곡률이 상기 제2 면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지지 부재는 지지층 및 지지층보다 큰 모듈러스를 가지며 지지층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바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지지층은 표시 모듈에 평평한 상면을 제공함으로써, 표시 모듈의 면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지지바들은 롤링축에 나란하며 표시 패널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표시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저감하여 표시 장치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롤링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비교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볼 드롭(Ball Drop)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비교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5a의 절단선 I-I'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5a의 절단선 II-II'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지지 부재의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롤링된 것(롤링 상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며 영상(IM)을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외부 광고판 등과 같은 대형 장치를 비롯하여, 모니터,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중소형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DD)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념에 벗어나지 않는 이상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플렉서블(flexible)한 것 일 수 있다. “플렉서블”이란 휘어지는 것과 같이 폴딩되거나 만곡되거나, 롤링되는 등의 특성을 의미하며, 완전히 접히는 구조에서부터 수 나노미터 수준으로 휠 수 있는 구조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롤링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롤링되지 않거나 펼쳐진 상태(비 롤링 상태)의 표시 장치(DD)를 도시하였으며, 도 1b는 롤링 상태의 표시 장치(DD)를 도시하였다.
도 1a를 참조하면, 펼쳐진 상태의 표시 장치(DD)는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DD)는 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평면 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 롤링 또는 펼쳐진 표시 장치(DD)는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 층과 같은 지지 부재(MS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IM)을 생성할 수 있고, 표시면(DS)을 통해 전자 장치의 사용자와 같은 표시 장치(DD)의 외부로 영상(IM)을 제공할 수 있다. 펼쳐진 상태의 표시 모듈(DM)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표시면(D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DS)은 표시 장치(DD)의 전면(front surface)에 대응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에서 제공되는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영상(IM)의 일 예로 복수의 아이콘들을 도시하였다.
표시 장치(DD)를 구성하는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될 수 있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실질적으로 제3 방향(DR3)에 평행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따라 정의되는 전면과 배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부재(또는 유닛)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와 이의 다양한 구성들 및 층들은 제3 방향(DR3)(두께 방향)에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는 제3 방향(DR3)에서(또는 제3 방향(DR3)을 따라) 바라본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면 상에서"는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를 구성하는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될 수 있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실질적으로 제3 방향(DR3)에 평행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따라 정의되는 전면과 배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부재(또는 유닛)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와 이의 다양한 구성들 및 층들은 제3 방향(DR3)(두께 방향)에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는 제3 방향(DR3)에서(또는 제3 방향(DR3)을 따라) 바라본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면 상에서"는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주변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NDA)은 평면 상에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며 표시 모듈(DM)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변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일 측에만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또는 주변 영역(NDA)은 표시 장치(DD)의 전면이 아닌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 부재(MSP)는 두께 방향을 따라 표시 모듈(DM)과 마주하도록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MSP)는 표시 모듈(DM)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MSP)는 별도의 접착층을 통해 표시 모듈(DM)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 부재(MSP)는 표시 모듈(DM)을 따라 연장되는 평평한 면을 제공하여 표시 모듈(DM)의 면 품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MSP)는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모듈(DM)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MSP)는 곡률을 가지며 휠 수 있고, 롤링 상태에서 표시 모듈(DM)을 지지하여 표시 모듈(DM)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MSP)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롤링축(RX, 이하 롤링축(RX)으로 칭함)을 중심으로 롤링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롤링축(RX)을 중심으로 롤링 될 수 있다. 비록, 도 1b는 표시 장치(DD)의 단변들에 나란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롤링축(RX)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DD)는 표시 장치(DD)의 장변들에 나란한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 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이 외부(예를 들어, 표시 장치(DD)의 외측)를 향하도록 롤링 될 수 있다. 지지 부재(MSP)는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하며, 표시 모듈(DM)과 함께 롤링 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 내에서, 다양한 구성들 또는 층들은 서로 함께 변형(예를 들어, 폴딩되거나, 만곡되거나, 롤링되는 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DD)는 지지 부재(MSP)의 배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롤링 될 수 있다. 롤링 상태(예를 들어, 아웃-롤링 또는 인-롤링)의 표시 장치(DD)는 전체적인 평면적 또는 평면 크기가 감소되어 휴대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평면적의 표시면(DS)을 갖는 표시 장치(DD)는 감소된 평면적을 갖도록 롤링 되어 수납 부재에 수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1)의 단면도들이다. 도 2a는 표시 모듈(DM)이 롤링 되어 하우징(HS) 내부에 수납된 상태의 표시 장치(DD-1)를 도시하였으며, 도 2b는 하우징(HS)의 외측에서 표시 모듈(DM)의 노출된 일 부분이 정의되도록, 표시 모듈(DM)의 일 부분이 펼쳐진 상태로 하우징(HS) 외부에 배치된 상태의 표시 장치(DD-1)를 도시하였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는 하우징(HS), 표시 모듈(DM), 지지 부재(MSP), 롤러(ROL), 지지부(SUP), 및 손잡이(HND)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 지지 부재(MSP), 롤러(ROL), 및 지지부(SUP)는 하우징(HS)의 내부 영역과 같은 하우징(HS)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에 관하여는 전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H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예를 들어,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 평행한) 상부의 상면, 두께 방향(예를 들어, 제3 방향(DR3))을 따라 상면에 대향하는 하부의 하면, 및 상면과 하면을 서로 연결하는 사이드부의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S)의 상부, 하부, 및 사이드부는 하우징(HS)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a는 하우징(HS)이 단면 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표시 모듈(DM)을 수납할 수 있다면 하우징(HS)의 형상은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HS)의 측면들 중 측벽 부분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다. 도 2a는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 각각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우징(HS)의 일 측면에 정의된 개구부(OP)를 예시적을 도시하였다. 개구부(OP)는 하우징(HS)의 상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개구부(OP)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 공간은 개구부(OP)에서 하우징(HS)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롤러(ROL)는 하우징(HS) 내에서, 개구부(OP)가 정의된 하우징(HS)의 측면과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된 하우징(HS)의 타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ROL)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롤러(ROL)의 주요 크기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롤러(ROL)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롤러(ROL)의 연장 방향은 롤링축의 연장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롤러(ROL)는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는 롤러(ROL)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HND)는 개구부(OP)에 인접한 하우징(HS)의 외측에 배치되거나, 하우징(HS)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부(OP)에 인접하도록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HND)는 개구부(OP)를 커버할 수 있고, 즉, 손잡이(HND)는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을 따라 정의되는 개구부(OP)의 평면적 이상의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HND)는 실질적으로 제1 방향(DR1)에 나란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HND)가 제1 방향(DR1)에서 하우징(HS)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때, 개구부(OP)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손잡이(HND)는 표시 장치(DD-1)의 외부에서 사용자 또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는 롤러(ROL)에 권취 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의 일 단(예를 들어, 제1 단 또는 고정 단)들은 롤러(ROL)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단면 상에서, 롤러(ROL)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는 롤러(ROL) 상에서 롤러(ROL)를 감싸며 롤링 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 지지 부재(MSP), 및 롤러(ROL)는 함께 롤링 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1)의 롤링 및 비 롤링 방향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의 타 단(예를 들어, 제2 단 또는 말 단)들은 개구부(OP)에 인접하며(예를 들어, 제1 단보다 개구부(OP1)에 더 가까우며), 손잡이(HND)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단면 상에서, 손잡이(HND)가 하우징(HS)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때, 롤러(ROL)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의 일 부분들은 개구부(OP)를 통해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 각각의 노출된 부분을 정의하도록 하우징(HS)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지지부(SUP)는 하우징(HS) 내에 개구부(OP)에 인접하게, 예를 들어 롤러(ROL)보다 개구부(OP)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SUP)는 주요 크기가 제1 방향(DR1)을 따라 정의되도록, 제1 방향(DR1)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SUP)는 복수로 제공되어 하우징(HS) 내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의 양 측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지지부들(SUP)은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의 상하 부분들을 정의하도록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SUP)는 하우징(HS) 내에 배치된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SUP)에는 가이드 홈이 정의될 수 있고, 지지 부재(MSP)는 가이드 홈에 배치되어 지지부(SUP)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SUP)의 일 단은 손잡이(HND)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SUP)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손잡이(HND)가 이동함으로써, 개구부(OP)를 통해 하우징(HS) 외부로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지지부(SUP)는 하우징(HS) 외부로 확장되어, 하우징(HS) 외부에서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SUP)는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뿐 아니라 손잡이(HND)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HS)의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부(SUP)는 하우징(HS)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의 일 부분들이 지지부(SUP)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지지부(SUP)는 하우징(HS) 외부로 확장되기 위해, 제1 연장부(EX1), 제2 연장부(EX2), 및 제3 연장부(EX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EX2)는 제1 방향(DR1)에서 제1 연장부(EX1)와 제3 연장부(EX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방향을 따라 확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위해, 제2 연장부(EX2)는 제1 연장부(EX1)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고, 제3 연장부(EX3)는 제2 연장부(EX2)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장부(EX1)는 하우징(HS)의 내부 영역 내에서 고정될 수 있고, 개구부(OP)에서 지지부(SUP)의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연장부들(EX2, EX3)은 하우징(HS)의 개구부(OP) 및 지지부(SUP)의 개방된 단을 통해 제1 연장부(EX1)의 외측 및 하우징(HS) 외부로 확장 될 수 있다. 제3 연장부(EX3)는 손잡이(HND)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SUP)의 제1 방향(DR1)에 따른 총 길이는 제1 방향(DR1)에 따른 제1 연장부(EX1), 제2 연장부(EX2), 및 제3 연장부(EX3)의 전체 길이에 의해 정의되는 연장 길이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연장부들(EX1, EX2, EX3) 각각에는 가이드 홈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연장부들(EX1, EX2, EX3)에 정의된 가이드 홈들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중첩하는 연속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및 제3 연장부들(EX1, EX2, EX3)에 정의되는 가이드 홈들은 정렬되거나,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을 따라 서로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지지 부재(MSP)는 제1, 제2, 및 제3 연장부들(EX1, EX2, EX3) 각각에 정의된 가이드 홈들에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치되어 제1, 제2, 및 제3 연장부들(EX1, EX2, EX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손잡이(HND)가 하우징(HS)에 인접하도록 이동하면, 확장된 지지부(SUP)는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방향(DR1)에서 축소될 수 있다. 손잡이(HND)의 이동에 따라, 지지부(SUP)는 최대한으로 하우징(HS) 내부에 배치되고,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는 하우징(HS) 내로 인입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및 제3 연장부들(EX1, EX2, EX3)은,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가 최대한으로 하우징(HS) 내에 인입되는 표시 장치(DD-1)에서, 지지부(SUP)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거나 최소한이 되도록 중첩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하우징(HS) 내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지지부(SUP)와 마주하며 지지부(SUP)에 의해 지지되는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MSP)의 일 부분은 평평하거나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MSP)는 지지층(SPL) 및 복수의 지지바들(SB, 이하 지지바들(SB)로 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지지층(SPL)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바들(SB) 각각은 롤링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이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지지바들(SB)은 지지층(SPL) 내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되며 배열될 수 있다.
지지층(SPL)은 지지바들(SB)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층(SPL)은 지지바들(SB)과 접촉할 수 있다. 일체의 지지층(SPL)은 지지바들(SB) 각각의 상면 및 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일체의 지지층(SPL)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된 지지바들(SB) 사이에 채워질 수 있고, 지지층(SPL)은 지지 부재(MSP) 내에서 이격된 지지바들(SB)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지지층(SPL) 및 지지바들(SB)은 표시 모듈(DM), 손잡이(HND), 및 지지부(SUP) 등과 같은 구성들뿐 아니라 서로도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지지바들(SB)을 커버함에 따라, 지지층(SPL)은 지지바들(SB) 사이의 공간에서 지지바들(SB)의 측벽들을 따라 연장되고 동시에 지지바들(SB)의 상면 및 하면들 전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바들(SB) 각각의 모듈러스는 지지층(SPL)의 모듈러스보다 클 수 있다. 즉, 하나의 지지바(SB)의 모듈러스는 지지층(SPL)의 모듈러스보다 클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지지층(SPL)의 강성보다 강성이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고, 지지 부재(MSP)의 내충격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지지층(SPL)은 지지바들(SB)보다 유연성이 좋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SPL)은 지지 부재(MSP) 내에서 이격된 지지바들(SB)을 연결하며, 지지 부재(MSP)가 곡률을 가지며 용이하게 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층(SPL)은 지지바들(SB)을 커버하며, 표시 모듈(DM)에 가까우며 표시 모듈(DM)이 연장된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을 따라 평평한 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층(SPL)은 하우징(HS) 내부 및 하우징(HS)의 외부에서 노출된 부분들 모두에서 표시 모듈(DM)의 면 품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층(ISP), 반사 방지층(RPL), 윈도우(WIN), 접착층(AL), 및 하부 부재(CSL)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광을 생성 및/또는 발광하는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또는 퀀텀로드 등과 같은 무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 기판(SUB), 회로층(CL), 표시 소자층(PXL), 및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 회로층(CL), 표시 소자층(PXL), 및 봉지층(TFE)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 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표시 모듈(DM)의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NDA)에 대응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회로층(CL)이 배치되는 베이스 면을 제공 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가요성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SUB)은 적어도 하나의 합성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의 합성 수지층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아이소프렌계 수지,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페릴렌계 수지, 및 폴리이미드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 기판(SUB)의 물질이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층(CL)은 베이스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C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과 구동 소자들, 신호 라인들, 및 신호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CL)은 구동 소자들, 신호 라인들, 및 신호 패드들을 형성(또는 제공)하는 도전 패턴 및 반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증착 등의 방식으로 베이스 기판(SUB) 상에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의 방식으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패터닝 하여 회로층(CL)에 포함된 구동 소자들, 신호 라인들, 및 신호 패드들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PXL)은 회로층(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PXL)은 표시 영역(DA)에 중첩하여 배치된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PXL)의 발광 소자들은 회로층(CL)의 구동 소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소자의 신호(예를 들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표시 영역(DA)을 통해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PXL) 상에 배치되어, 발광 소자들을 밀봉할 수 있다. 봉지층(TFE)는 복수 개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의 박막들은 발광 소자들의 광학 효율을 향상 시키거나 발광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 및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의 무기막은 수분/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TFE)의 유기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표시 패널(DP) 상에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은 직접 배치되거나 접촉함에 따라, 구성 요소들 사이의 경계면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입력 감지층(ISP)은 표시 패널(DP)이 형성된 이후, 표시 패널(DP)이 제공하는 베이스 면 상에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층(ISP)은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감지층(ISP)은 표시 패널(DP)의 제조 공정과 구분되는 별도의 제조 공정을 통해 패널 형태로 제조(또는 제공)된 후, 접착 부재에 의해 표시 패널(DP)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표시 장치(DD, 도 1a 참조)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하고, 외부 입력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방식, 또는 압력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 방지층(RPL)은 입력 감지층(IS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입력 감지층(ISP)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 방지층(RPL)은 별도의 접착 부재에 의해 입력 감지층(ISP) 상에 부착 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장치(DD, 도 1a 참조)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외광 반사율을 저감 시키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사 방지층(RPL)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지연자는 λ/2 위상 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 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필름 타입 또는 액정 코팅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 타입의 편광자는 연신형 합성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액정 코팅 타입의 편광자는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상 지연자 및 편광자는 하나의 편광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사 방지층(RPL)은 컬러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들은 표시 패널(DP)에 포함된 화소들(PX)의 배열 및 발광 컬러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들은 외부로부터 입사한 외부광을 화소들(PX)이 발광하는 색과 동일한 색으로 필터링 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컬러 필터들에 인접하게 배치된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사 방지층(RPL)은 상쇄 간섭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쇄 간섭 구조물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제1 반사층과 제2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층에서 반사된 제1 반사광과 제2 반사층에서 반사된 제2 반사광은 상쇄 간섭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사 방지층(RPL)은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접착층(AL)은 반사 방지층(RP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AL)은 반사 방지층(RPL)과 윈도우(WIN) 사이에 배치되어, 반사 방지층(RPL)과 윈도우(WIN)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접착층(AL)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광학 투명 접착 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 접착 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등의 투명한 접착제를 포함 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층(AL)에 포함되는 접착제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WIN)는 반사 방지층(RP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층(ISP), 및 반사 방지층(RPL)을 커버하며, 외부 충격 및 스크래치로부터 표시 모듈(DM)의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IN)는 유리, 사파이어, 또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WIN)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기판 상에 배치된 지문 방지층, 위상 제어층, 하드 코팅층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재(CSL)는 표시 패널(DP)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부재(CSL)는 접착 부재에 의해 표시 패널(DP)의 배면 상에 부착되거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패널(DP)의 배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부재(CSL)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층 및 충격 흡수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재(CSL)의 보호 필름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등과 같이 가요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재(CSL)의 충격 흡수층은 스펀지, 발포 폼, 또는 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 패널(DP)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다. 하부 부재(CSL)의 실시예는 외부에서 표시 모듈(DM)로 가해지는 요소들이나 손상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면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DP)의 일 구성들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베이스 기판(SUB), 복수의 화소들(PX), 화소들(PX)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신호 라인들(SL1 ~ SLm, DL1 ~ DLn, EL1 ~ ELm, CSL1, CSL2, PL1, PL2, CNL), 주사 구동부(SDV)(scan driver), 데이터 구동부(DDV)(data driver), 및 발광 구동부(EDV) (emission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전술한 것처럼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표시 패널(DP)의 전기적 소자들 및 배선들이 배치되는 베이스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베이스 기판(SUB)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기판(SUB)은 표시 장치(DD, 도 1a 참조)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에 연결된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예를 들어,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등)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화소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화소(PX)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광을 발광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들(PX) 중 일부는 주변 영역(NDA)에 배치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DDV), 및 발광 구동부(EDV) 각각은 주변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DDV), 및 발광 구동부(EDV)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 영역(DA)에 중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변 영역(NDA)의 면적이 감소되어 표시 장치(DD, 도 1a 참조)의 베젤 면적(예를 들어, 외부 가장자리의 평면 영역)이 축소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구동칩으로 정의되는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제공되어, 표시 패널(DP)의 주변 영역(NDA)에 실장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 구동부(DDV)는 표시 패널(DP)에 연결되는 별도의 연성 회로 기판에 실장 되어 표시 패널(D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라인들(SL1 ~ SLm, DL1 ~ DLn, EL1 ~ ELm, CSL1, CSL2, PL1, PL2, CNL)은 주사 라인들(SL1 ~ SLm), 데이터 라인들(DL1 ~ DLn), 발광 라인들(EL1 ~ ELm), 제1 및 제2 제어 라인들(CSL1, CSL2),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PL1, PL2), 및 연결 라인들(CN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은 자연수이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원 라인(PL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주변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원 라인(PL1)은 표시 영역(DA)과 발광 구동부(EDV)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원 라인(PL1)은 표시 영역(DA)과 주사 구동부(SDV)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연결 라인들(CNL)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라인들(CNL)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되어 제1 전원 라인(PL1) 및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라인들(CNL)은 제1 전원 라인(PL1)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되어 컨택홀을 통해 제1 전원 라인(P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 라인들(CNL)은 제1 전원 라인(PL1)과 동일 층 상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전압은 서로 연결된 제1 전원 라인(PL1) 및 연결 라인들(CNL)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동일 층 상에 배치됨으로써, 구성 요소들은 동일 공정 및/또는 동일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물질의 층의 각 부분들로서 서로 동일한 층에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하부 또는 상부층과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전원 라인(PL2)은 주변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원 라인(PL2)은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보다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전원 라인(PL2)은 표시 영역(DA)를 향해 연장되어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제2 전압이 제2 전원 라인(PL2)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은 화소들(PX)의 발광 소자들의 전극들에 각각 인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광 소자들은 광을 생성하여 발광할 수 있다.
제1 제어 라인(CSL1)은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제어 라인(CSL2)은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패드들(PD)은 주변 영역(NDA)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패드들(PD)은 데이터 구동부(DDV)보다 표시 패널(DP)의 하단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패드들(PD)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 도 1a 참조)는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DDV), 및 발광 구동부(EDV)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패드들(PD)은 표시 장치(DD, 도 1a 참조)의 회로 기판이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패드들(PD)에서 전기적 신호가 표시 패널(DP)의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DP)로 입력될 수 있다.
패드들(PD)은 각각 신호 라인들 중 대응하는 신호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PL1, PL2), 제1 및 제2 제어 라인들(CSL1, CSL2)은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데이터 구동부(DDV)를 통해 대응하는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되고, 데이터 구동부(DDV)는 데이터 라인들(DL1~DLn) 각각에 대응하는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는 주사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주사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주사 신호들은 주사 라인들(SL1~S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전압들은 데이터 라인들(DL1~DLn)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발광 구동부(EDV)는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발광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 신호들은 발광 라인들(EL1~E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주사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화소들(PX)은 발광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에 대응하는 휘도의 광을 발광함으로써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들(PX)의 발광 시간은 발광 신호들에 의해 제어 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화소들(PX)에 의해 표시 영역(DA)을 통해 영상(IM)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비교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의 지지 부재(MSP)의 일 부분에 대응하는 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 5b는 비교 실시예의 지지 부재(MSP')의 일 부분에 대응하는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지지 부재(MSP) 상에 볼 드롭(Ball Drop)을 한 단면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6c는 본 발명의 비교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c는 각각 도 5a의 지지 부재(MSP)와 도 5b의 지지 부재(MSP')를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단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7a는 도 5a의 절단선 I-I'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5a의 절단선 II-II'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MSP)는 지지층(SPL) 및 지지바들(S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SPL)은 지지바들(SB)을 커버할 수 있다. 지지층(SPL)은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지지바들(SB)을 연결 시킬 수 있다.
지지층(SPL)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나란한 상면(U-S) 및 상면(U-S)에 대향되는 하면(B-S)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SPL)의 상면(U-S)과 하면(B-S)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층(SPL)의 상면(U-S)과 하면(B-S)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균일 할 수 있다.
지지층(SPL)의 상면(U-S)과 하면(B-S) 사이의 간격은 지지층(SPL)의 제1 두께(TT)에 대응될 수 있고, 지지층(SPL)의 제1 두께(TT)는 표시 모듈(DM, 도 1a 참조)이 배치되는 영역 내에서 균일할 수 있다. 지지층(SPL)의 제1 두께(TT)는 지지 부재(MSP)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지지 부재(MSP)는 표시 모듈(DM, 도 1a 참조)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균일한 제1 두께(TT)를 갖는 지지층(SPL)은 지지바들(SB)이 배치된 영역과 지지바들(SB) 사이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는 영역 모두에 평평한 상면(U-S) 및 하면(B-S)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 도 1a 참조)은 평평한 면을 갖는 지지층(SPL)의 상면(U-S) 상에 배치됨으로써, 지지바들(SB) 사이의 이격 공간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표시 모듈(DM, 도 1a 참조)의 일 부분이 변형되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지지층(SPL)에 의해 표시 모듈(DM)의 면 품위(surface quality)(또는 평면 형상)가 향상될 수 있다.
지지층(SPL)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SPL)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실리콘(silicone), 열가소성 고무(thermoplastic rubbers), 엘라스톨레핀(elastolefin), 열가소성 올레핀(Thermoplastic olefin),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테르 블록아미드(polyether block amide), 합성 폴리이소프렌(synthetic polyisopren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크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부틸 고무(butyl rubber), 스타이렌-부타디엔(Styrene-butadiene),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고무(epichlorohydrin rubber), 폴리아크릴 고무(polyacrylic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불소실리콘고무(fluorosilicone Rubber), 및 불소엘라스토머(fluoroelastomers),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들(SB) 각각은 롤링축에 나란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지지바들(SB)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바들(SB) 사이의 간격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바들(SB)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바들(SB)은 금속 또는 탄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인바(invar), 또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바들(SB)은 자석에 붙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들(SB) 각각의 모듈러스는 지지층(SPL)의 모듈러스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층(SPL)의 모듈러스는 약 10 킬로 파스칼(KPa) 이상 약 20 메가 파스칼(M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층(SPL)의 모듈러스는 약 10 키로 파스칼(KPa) 이상 약 100 키로 파스칼(KPa)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바(SB)의 모듈러스는 약 1 기가 파스칼(GPa) 이상 약 500 기가 파스칼(G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바(SB)의 모듈러스는 약 50 기가 파스칼(GPa) 내지 약 200 기가 파스칼(GPa)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모듈러스가 큰 지지바들(SB)은 표시 모듈(DM, 도 1a 참조)을 지지하며, 지지 부재(MSP)의 내충격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지지바들(SB)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지지바들(SB)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표시 모듈(DM)을 향하는 위를 향해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바들(SB)은 지지층(SPL)의 상면(U-S)에 인접한(예를 들어, 가장 가깝게) 제1 면(S1) 및 제1 면(S1)에 대향되는 제2 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S1) 및 제2 면(S2) 각각은 제3 방향(DR3)에서 위를 향해 벤딩된 곡면일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제1 면(S1) 및 제2 면(S2) 각각은 제2 방향(DR2)에서 연장되며, 지지층(SPL)의 상면(U-S)을 향해 볼록한 곡선을 갖는 장변들(예를 들어, 주요 크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S1)과 제2 면(S2)은 지지층(SPL)의 상면(U-S)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면(S1) 및 제2 면(S2) 각각은 제2 방향(DR2)에서 연장되며, 곡률 중심이 지지바(SB)의 하부에 정의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면들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법선이 위를 향하는 제1 면(S1)은 볼록면 일 수 있고, 법선이 아래를 향하는 제2 면(S2)은 오목면 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 도 3 참조)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DM, 도 3 참조)은 지지 부재(MSP)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면(S1) 및 제2 면(S2) 각각은 표시 패널(DP, 도 3 참조)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들(SB)의 제1 면들(S1)은 지지바들(SB)의 상면들에 대응될 수 있고, 지지바들(SB)의 제2 면들(S2)은 지지바들(SB)의 하면들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들(SB) 각각의 상면 및 하면은 지지바들(SB)의 연장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을 포함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지지층(SPL)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단면 상에서 지지바들(SB)은 지지층(SPL)의 상면(U-S)과 하면(B-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지지바들(SB) 각각의 제1 면(S1) 및 제2 면(S2)은 지지층(SPL)의 상면(U-S) 및 하면(B-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바들(SB) 각각의 제1 면(S1) 및 제2 면(S2)은 지지층(SPL)에 접촉할 수 있다. 지지바들(SB) 각각의 제1 면(S1) 및 제2 면(S2)은 지지층(SPL)의 상면(U-S) 및 하면(B-S)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대향되는 지지바들(SB)의 양 단들은 지지층(SPL)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바들(SB)의 양 단들은 지지층(SPL) 내에 배치되고, 지지층(SPL)의 일 부분은 지지바들(SB)의 사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층(SPL)은 지지바들(SB)을 커버하면서 지지바들(SB) 사이의 공간에서 지지바들(SB)의 측벽들 및 지지바들(SB)의 대향되는 끝 단들의 외측면들을 따라 연장되고 동시에 지지바들(SB)의 상면 및 하면들 전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방향(DR3)에서 지지바들(SB) 각각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간격은 지지바들(SB) 각각의 제2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하나의 지지바(SB)를 기준으로, 지지바(SB)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균일할 수 있다. 즉, 제2 방향(DR2)을 따라 지지바(SB)는 균일한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SB)의 끝 단의 단 두께(T-E)는 지지바의 길이(예를 들어, 제2 방향(DR2)에 따른 길이)를 따라 중앙에 위치하는 지지바(SB)의 중앙의 중앙 두께(T-C)와 실질적으로 동일 할 수 있다.
지지바(SB)의 제1 면(S1)의 곡률은 제2 면(S2)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지지바(SB)의 제1 면(S1)과 제2 면(S2)은 평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곡면을 갖는 제1 면(S1)에 의해, 평평한 면인 지지층(SPL)의 상면(U-S)과 지지바(SB)의 제1 면(S1) 사이의 간격은 지지바(SB)의 길이에 따른 위치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다. 제1 면(S1)이 위를 향하는 볼록한 곡면을 가짐에 따라, 지지바(SB)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지지바(SB)의 제1 면(S1)과 지지층(SPL)의 상면(U-S) 사이의 제1 상부 간격(D1-C)은 지지바(SB)의 끝 단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지지바(SB)의 제1 면(S1)과 지지층(SPL)의 상면(U-S) 사이의 제2 상부 간격(D1-E)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SB)의 제1 면(S1)과 지지층(SPL)의 상면(U-S) 사이의 상부 간격은 지지바(SB)의 끝 단으로부터 지지바(SB)의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지지바(SB)의 제1 면(S1)과 지지층(SPL)의 상면(U-S) 사이의 상부 간격은 지지층(SPL)의 상부 두께(또는 상부 두께 부분)에 대응될 수 있고, 지지층(SPL)의 상부 두께는 지지바(SB)의 끝 단으로부터 지지바(SB)의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곡면을 갖는 제2 면(S2)에 의해, 지지층(SPL)의 하면(B-S)과 지지바(SB)의 제2 면(S2) 사이의 하부 간격은 영역(예를 들어, 지지바(SB)의 길이에 따른 위치)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다. 제2 면(S2)이 위를 향하는 오목한 곡면을 가짐에 따라, 지지바(SB)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지지바(SB)의 제2 면(S2)과 지지층(SPL)의 하면(B-S) 사이의 제1 하부 간격(D2-C)은 지지바(SB)의 끝 단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지지바(SB)의 제2 면(S2)과 지지층(SPL)의 하면(B-S) 사이의 제2 하부 간격(D2-E)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SB)의 제2 면(S2)과 지지층(SPL)의 하면(B-S) 사이의 하부 간격은 지지바(SB)의 끝 단으로부터 지지바(SB)의 중앙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즉, 지지바(SB)의 제2 면(S2)과 지지층(SPL)의 하면(B-S) 사이의 하부 간격은 지지층(SPL)의 하부 두께(또는 하부 두께 부분)에 대응될 수 있고, 지지층(SPL)의 하부 두께는 지지바(SB)의 끝 단으로부터 지지바(SB)의 중앙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제1 면(S1) 및 제2 면(S2)에 의해, 지지바들(SB)의 연장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지지바(SB)의 상부에 배치된 지지층(SPL)의 상부 두께와 지지바(SB)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층(SPL)의 하부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지지바들(SB)의 연장 방향인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지지 부재(MSP)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지지바들(SB)의 끝 단들에 대응하며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지지 부재(MSP)의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지지바들(SB)의 끝 단들에 대응하는 영역(또는 위치)에서, 지지바(SB)의 제1 면(S1)과 지지층(SPL)의 상면(U-S) 사이의 제2 상부 간격(D1-E)은 지지바(SB)의 제2 면(S2)과 지지층(SPL)의 하면(B-S) 사이의 제2 하부 간격(D2-E)보다 클 수 있다. 즉, 지지바들(SB)의 끝 단들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지지층(SPL)의 상부 두께는 지지층(SPL)의 하부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지지바들(SB)의 제1 방향(DR1)에서의 폭들(W)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바들(SB) 중 일부는 서로 상이한 폭(W)을 가질 수 있다.
도 7b는 지지바들(SB)의 중앙에 대응하며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지지 부재(MSP)의 단면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지지바들(SB)의 중앙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지지바(SB)의 제1 면(S1)과 지지층(SPL)의 상면(U-S) 사이의 제1 상부 간격(D1-C)은 지지바(SB)의 제2 면(S2)과 지지층(SPL)의 하면(B-S) 사이의 제1 하부 간격(D2-C)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지지바들(SB)의 중앙에 대응하는 영역(또는 위치)에서 지지층(SPL)의 상부 두께는 지지층(SPL)의 하부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바들(SB)이 연장 방향에서 위를 향해 휘어진 곡면들을 포함함으로써, 충격력이 가해지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바들(SB)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량을 저감 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바들(SB)이 연장 방향에서 표시 패널(DP)을 향하도록 위를 향해 휘어진 곡면을 포함함으로써, 지지 부재(MSP)의 내충격성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에 취약한 롤러블 표시 장치(DD, 도 1a 참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볼 드롭 테스트에서 소정의 하중을 갖는 볼(BAL)이 지지 부재(MSP) 상에 떨어져서 지지바(SB)에 충격력(IF)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바(SB)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낮추기 위해서는 충격력(IF)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지지바(SB)에 충격력(IF)이 가해지는 시간을 증가시켜야 한다.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조를 갖는 지지바(SB)는 볼(BAL)과 같이 하중을 갖는 물체와 충돌하는 순간에 지지바(SB)가 변형될 수 있는 정도가 증가될수록 지지바(SB)에 충격력(IF)이 가해지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지지바(SB)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위를 향해 볼록한 바 형상을 가짐으로써, 지지바(SB)에 충격력(IF)이 가해지는 순간, 도 6b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지지바(SB)가 지지층(SPL) 내에서 원래 휘어진 형상으로부터 변형 또는 변위 될 수 있는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SB)에 충격력(IF)이 가해지는 시간이 증가되고, 지지바(SB)에 전달되는 충격량은 저감될 수 있다. 여기서 변형은 충격력(IF)이 전달되는 순간의 변형이며, 충격력(IF)이 제거되면 지지바(SB)는 원래의 형상(예를 들어, 원래 휘어진 형상)으로 복구될 수 있다.
도 5b 및 도 6c를 참조하면, 비교 실시예의 지지 부재(MSP')에 포함된 지지바들(SB') 각각의 제1 면(S1') 및 제2 면(S2')은 지지층(SPL')의 비교 상면 및 비교 하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비교 실시예의 지지바들(SB') 각각의 제1 면(S1') 및 제2 면(S2')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평행하며 평평한 면일 수 있다. 즉, 비교 실시예의 지지바들(SB') 각각의 상면 및 하면은 평평한 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비교 실시예의 지지바들(SB') 각각의 비교 두께(T')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비교 실시예의 지지바들(SB')의 끝 단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1 면(S1')으로부터 지지층(SPL')의 비교 상면까지의 제2 간격(D1-E')과 지지바들(SB')의 중앙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1 면(S1')으로부터 지지층(SPL')의 비교 상면까지의 제1 간격(D1-C')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비교 실시예의 지지바들(SB')의 끝 단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 면(S2')으로부터 지지층(SPL')의 비교 하면까지의 제4 간격(D2-E')과 지지바들(SB')의 중앙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 면(S2')으로부터 지지층(SPL')의 비교 하면까지의 제3 간격(D2-C')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연장 방향에서 평평한 바 형상을 갖는 비교 실시예의 지지바들(SB')은 외부에서 충격력(IF)이 가해지는 순간 지지바에 충격력(IF)이 전달되는 시간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지바(SB) 대비 작을 수 있다. 즉, 충격력(IF)이 가해지는 순간, 비교 실시예의 지지바들(SB')은 변형될 수 있는 정도가 일 실시예의 지지바(SB) 대비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외부 충격력(IF)에 대해 비교 실시예의 지지바들(SB')에 전달되는 충격량은 일 실시예의 지지바들(SB)에 전달되는 충격량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 실시예의 지지바들(SB')의 내충격성은 일 실시예의 지지바들(SB)의 내충격성 대비 작을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DD)와 비교 실시예의 지지 부재(MSP')를 포함하는 비교 표시 장치에 각각 동일 하중의 볼 드롭 평가를 시행 했을 때, 평가 결과 값을 비교한 것이다. 여기서 평가 결과 값은 동일 하중의 볼을 표시 장치 상에 드롭 했을 때, 표시 장치가 손상되는 볼의 드롭 높이를 측정한 것이며, 비교 실시예의 볼 드롭 평가 결과 값을 100%로 보았을 때, 일 실시예의 볼 드롭 평가 결과 값이 향상된 정도를 %로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일 실시예
전체 영역 중앙 영역 외측 영역
100% 214% 128% ~ 157%
표 1에서 일 실시예의 중앙 영역은 전술한 도 6a의 지지바(SB)의 중앙에 대응되는 영역이고, 외측 영역은 전술한 도 6a의 지지바(SB)의 끝 단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표 1을 참조하면, 비교 실시예의 비교 표시 장치는 전체 영역에 균일한 내충격성을 가지지만,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 대비 낮은 내충격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의 외측 영역의 내충격성은 비교 실시예 대비 약 128% 내지 157% 분포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의 중앙 영역의 내충격성은 비교 실시예 대비 약 214% 정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의 내충격성은 영역에 따라 다른 분포를 가질 수 있으나, 전 영역에서 비교 실시예 대비 높은 내충격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지지바(SB)가 충격력 전달 시간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표시 장치(DD)의 전 영역에서 비교 실시예 대비 내충격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지지 부재(MSP)는 전술한 지지 부재(MSP)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며, 지지바(SB)의 형상에 일부 차이가 있다. 이후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면(S1)의 곡률은 제2 면(S2)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SPL)의 상면(U-S) 및 상면(U-S) 상에 배치될 표시 모듈(DM, 도 1a 참조)에 더 인접한 제1 면(S1)의 곡률이 제2 면(S2)의 곡률 보다 클 수 있다.
지지바(SB)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간격은 지지바(SB)의 영역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바(SB)의 중앙의 중앙 두께(T-C)는 지지바(SB)의 끝 단의 단 두께(T-E)보다 클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지지바(SB)의 두께는 지지바(SB)의 끝 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고, 지지바(SB)의 중앙 부분은 지지바(SB) 내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예를 들어, 최대 두께로 정의됨)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바들(SB)의 중앙 부분들에 대응하는 지지 부재(MSP)의 일 영역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지지 부재(MSP)는 전술한 지지 부재(MSP)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며, 일부 구성에 차이가 있다. 이후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MSP)는 지지바(SB)에 접촉하며, 지지바(SB)를 커버하는 코팅막(C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팅막(CT)은 지지바(SB)의 제1 면(S1) 및 제2 면(S2)에 접촉하며, 제1 면(S1) 및 제2 면(S2)을 코팅할 수 있다. 코팅막(CT)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코팅막들(CT)은 각각 지지바들(SB)을 각각 코팅할 수 있다.
코팅막(CT)은 지지층(SPL)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코팅막(CT)은 단면 상에서 지지층(SPL)과 지지바(S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팅막(CT)은 지지층(SPL)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대향되는 지지바들(SB)의 양 단들은 코팅막(CT)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바들(SB)의 양 단들은 코팅막(CT)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코팅막(CT)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막(CT)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에틸린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및 폴리아마이드(PA, Polyam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코팅막(CT)의 물질은 상기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코팅막(CT)은 소정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막(CT)의 모듈러스는 약 100 메가 파스칼(MPa) 이상 약 10 기가 파스칼(GPa) 이하일 수 있다. 코팅막(CT)의 모듈러스는 지지층(SPL)의 모듈러스보다 크고, 지지바(SB)의 모듈러스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지지 부재(MSP)의 모듈러스는 내부 두께 부분(예를 들어, 지지바(SB)에 정의되는 부분)으로부터 지지 부재(MSP)의 상면(U-S) 및 하면(B-S) 각각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지지 부재(MSP) 내에서 중간 모듈러스 두께 부분 (예를 들어, 코팅막(CT))은 지지 부재(MSP)의 두께 방향(예를 들어, 제3 방향(DR3))을 따라 복수의 지지바들(SB) 각각과 지지층(SPL)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 부재(MSP)의 모듈러스는 복수의 지지바들(SB), 중간 모듈러스 두께 부분, 및 지지층(SPL) 각각에 정의되며, 지지 부재(MSP)의 모듈러스는 지지 부재(MSP)의 두께 방향을 따라 중간 모듈러스 두께 부분으로부터 지지층(SPL)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코팅막(CT)은 지지층(SPL)의 모듈러스와 지지바(SB)의 모듈러스의 사이 값을 가짐에 따라, 지지층(SPL)과 지지바(SB) 사이의 모듈러스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지지바들(SB)과 지지층(SPL) 간의 모듈러스 차이가 클수록 롤링 시 발생하는 스트레인(strain)이 지지층(SPL)으로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지지바들(SB)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은 감소될 수 있으나, 지지층(SPL)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인의 최댓값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층(SPL)보다 크고 지지바들(SB) 각각보다 작은 모듈러스를 가짐으로써, 코팅막들(CT)은 지지바들(SB)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을 흡수할 수 있다. 코팅막들(CT)은 지지 부재(MSP)의 구성들 간의 모듈러스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지지바들(SB)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인을 최소한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지지층(SLP)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인의 최댓값도 감소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성이 강화된 지지 부재(MSP)를 제공할 수 있고, 코팅막들(CT)에 의해 지지층(SPL) 및 지지바들(SB)의 변형이 모두 방지되어, 표시 장치(DD, 도 1a 참조)의 면 품위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 물질로 구성된 코팅막들(CT)을 지지바들(SB) 상에 얇게 코팅하여, 코팅막들(CT)과 지지층(SPL) 간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코팅막들(CT)은 지지바들(SB)과 지지층(SPL) 사이에 배치되어, 롤링 시 지지바들(SB)과 지지층(SPL)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바들(SB)로부터 지지층(SPL)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지지 부재(MSP)의 단면도들이다. 앞선 도 7a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예를 들어, 단면 형상) 지지바들(SB) 각각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0a 내지 도 10c는 단면 상에서 다양한 형상을 갖는 지지바들(SB)의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0a를 참조하면,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방향(DR1)에서 정의되고 표시 모듈(DM)에 가까운 지지바들(SB) 각각의 상면의 폭(W)은 하면의 폭(W)보다 클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역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바들(SB) 각각의 상면은 제1 방향(DR1)에 나란하며, 삼각형의 밑변으로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지지바들(SB) 각각의 하부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며, 삼각형의 꼭대기로서 상면으로부터 경사진 측면들이 만나는 일 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 변은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에 의해 정의되는 단면 상에서 위를 향해 볼록한 곡선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지지층(SPL) 내에서, 복수의 지지바들(SB) 각각은 지지 부재(MSP)의 상면(U-S)에 가까운 상부에서 만곡된 상단 형상을 갖고, 지지 부재(MSP)의 상면(U-S)에서 먼 하부에서 만곡된 하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지지바(SB)의 단면 형상은 지지 부재(MSP)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상진 측벽 부분들을 포함하며 만곡된 상단 형상 및 만곡된 하단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단면 형상은 만곡된 상단 형상과 만곡된 하단 형상 각각에서 제1 방향(DR1)에 따른 형상 폭을 갖고, 만곡된 상단 형상의 형상 폭은 만곡된 하단 형상의 형상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바들(SB)의 각각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며 경사진 면들이 만나는 변들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에 의해 정의되는 단면상에서 지지바들(SB)의 상부 및 하부를 정의하는 변들은 위를 향해 볼록한 곡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지지층(SPL) 내에서, 복수의 지지바들(SB) 각각은 지지 부재(MSP)의 상면(U-S)에 가까운 상부에서 만곡된 상단 형상을 갖고, 지지 부재(MSP)의 상면(U-S)에서 먼 하부에서 만곡된 하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지지바(SB)의 단면 형상은 지지 부재(MSP)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상진 측벽 부분들을 포함하며 만곡된 상단 형상 및 만곡된 하단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만곡된 하단 형상은 경사진 측변 부분들이 만나는 지점(예를 들어, 삼각형의 하부 꼭대기 또는 마름모의 하부 꼭대기)를 정의할 수 있다. 만곡된 상단 형상은 경사진 측변 부분들이 만나는 지점(예를 들어, 마름모의 상부 꼭대기)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의 지지바들(SB)의 형상은 도 7a 및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지지 부재(MSP)는 전술한 지지 부재(MSP)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며, 지지바들(SB)의 폭들의 크기에 일부 차이점이 있다. 이후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바들(SB)은 제1 방향(DR1)에서의 서로 상이한 폭을 갖는 지지바들(S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중앙 지지바(SB-C), 복수로 제공되어 중앙 지지바(SB-C)로부터 제1 방향(DR1)에 따른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좌측 지지바들(SB-L1~SB-Ln)을 포함하는 제1 지지바, 및 복수로 제공되어 중앙 지지바(SB-C)로부터 제1 방향(DR1)에 따른 상기 일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우측 지지바들(SB-R1~SB-Rn)을 포함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지지바(SB-C)는 제1 방향(DR1)에서 지지층(SPL)의 중앙에 배치되며, 지지바들(SB) 중 제1 방향(DR1)에서 폭(W0)(예를 들어, 최소 폭)이 가장 작을 수 있다. 좌측 지지바들(SB-L1~SB-Ln)은 제1 방향(DR1)에서 중앙 지지바(SB-C)로부터 좌측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지지바들(SB-R1~SB-Rn)은 제1 방향(DR1)에서 중앙 지지바(SB-C)로부터 우측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지지바들(SB-L1~SB-Ln) 및 우측 지지바들(SB-R1~SB-Rn) 각각은 n개의 지지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지지바들(SB-L1~SB-Ln)과 우측 지지바들(SB-R1~SB-Rn)은 중앙 지지바(SB-C)를 중심으로 제1 방향(DR1)에서 대칭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지 제n 좌측 지지바들(SB-L1~SB-Ln)은 중앙 지지바(SB-C)의 좌측 일 단으로부터 중앙 지지바(SB-C)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며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좌측 지지바(SB-L1)는 제1 내지 제n 좌측 지지바들(SB-L1~SB-Ln) 중 중앙 지지바(SB-C)와 제1 방향(DR1)에서 가장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우측 지지바들(SB-R1~SB-Rn)은 중앙 지지바(SB-C)의 우측 일 단으로부터 중앙 지지바(SB-C)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며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우측 지지바(SB-R1)는 제1 내지 제n 우측 지지바들(SB-R1~SB-Rn) 중 중앙 지지바(SB-C)와 제1 방향(DR1)에서 가장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좌측 지지바(SB-L1) 및 제1 우측 지지바(SB-R1) 각각은 서로 동일한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제2 좌측 지지바(SB-L2) 및 제2 우측 지지바(SB-R2) 각각은 서로 동일한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좌측 지지바들(SB-L1~SB-Ln) 중 중앙 지지바(SB-C)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n 좌측 지지바(SB-Ln)와 제1 내지 제n 우측 지지바들(SB-R1~SB-Rn) 중 중앙 지지바(SB-C)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n 우측 지지바(SB-Rn) 각각은 제n 폭(Wn)을 가질 수 있다.
제1 폭 내지 제n 폭들(W1~Wn) 각각은 중앙 지지바(SB-C)의 폭(W0)과 상이할 수 있다. 제1 폭 내지 제n 폭들(W1~Wn) 각각은 중앙 지지바(SB-C)의 폭(W0)보다 클 수 있다. 제1 폭(W1)에서부터 제n 폭(Wn)으로 갈수록 폭의 값이 점차 증가할 수 있고, 제1 폭 내지 제n 폭들(W1~Wn) 중 제n 폭(Wn)(예를 들어, 최대 폭)의 값이 가장 클 수 있다. 즉, 좌측 지지바들(SB-L1~SB-Ln) 및 우측 지지바들(SB-R1~SB-Rn) 각각의 제1 방향(DR1)에서의 폭은 중앙 지지바(SB-C)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배치될수록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표시 장치(DD, 도 1b 참조)의 롤링 시, 지지 부재(MSP)의 양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지지 부재(MSP)에 발생되는 스트레인 값이 커질 수 있다. 지지 부재(MSP)의 중앙 부분에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진 지지바(SB)를 배치시킴으로써 지지 부재(MSP)의 중앙 부분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을 저감 시킬 수 있다.
도 11은 하나로 제공되는 중앙 지지바(SB-C)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앙 지지바(SB-C)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중앙 지지바(SB-C)들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지지층(SPL)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바들(SB) 중 가장 작은 폭(W0)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단면 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지지바들(SB)을 도시하였으나, 상이한 폭을 갖는 지지바들(SB)의 단면 상에서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a 내지 10c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을 지지하며 표시 모듈(DM)과 함께 이동 가능한 지지 부재(MSP)를 포함하고, 지지 부재(MSP)는 지지층(SPL) 및 지지층(SPL) 내부에 배치되어 지지층(SPL)에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바들(SB)을 포함하며, 지지바들(SB)은 지지층(SPL)보다 더 큰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에 포함된 지지바들(SB)은 롤링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지지바들(SB)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 부재(MSP)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DP)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바들(SB)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감소할 수 있고, 지지 부재(MSP)의 내충격성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MSP)에 포함된 지지층(SPL)은 지지바들(SB)을 커버할 수 있고, 표시 패널(DP)이 연장되어 지지되는 평탄한 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층(SPL)은 하우징(HS)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한 표시 패널(DP)에 평평한 상면을 제공할 수 있고, 지지 부재(MSP)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표시 장치(DD)의 평면 형상(예를 들어, 평평한)을 유지함으로써 면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을 향해 볼록한 지지바들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을 지지함으로써, 롤링이 가능하고 내충격성 및 면 품위가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므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Claims (20)

  1.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함께 롤링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대향되고 상기 상면보다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더 먼 하면을 정의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 내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상면을 향해 볼록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 내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볼록한 제1 곡면; 및
    상기 제1 곡면에 대향되고 상기 제1 곡면보다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며 오목한 제2 곡면을 갖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의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2 곡면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에 대해 중심 및 서로 대향되는 끝 단들이 정의되고,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로 정의되는 간격은 끝 단으로부터 상기 중심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에 대해 중심 및 서로 대향되는 끝 단들이 정의되고,
    상기 제2 곡면과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하면 사이로 정의되는 간격은 끝 단으로부터 상기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은 서로 평행한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의 두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일정한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에 대해 중심 및 서로 대향되는 끝 단들이 정의되고,
    상기 지지바의 두께는 끝 단으로부터 상기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바라본 단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사각형, 마름모, 역사다리꼴, 및 역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과 상기 지지층은 모듈러스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의 모듈러스는 상기 지지층의 모듈러스보다 큰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금속 또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내에서 코팅막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을 둘러싸고, 상기 코팅막은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과 상기 지지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 상기 코팅막, 및 상기 지지층은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코팅막의 모듈러스는 상기 지지층의 모듈러스보다 크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내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폭을 갖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의 상기 폭들은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내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중심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폭을 갖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중심에 대응하며 가장 작은 폭을 갖는 중앙 지지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중앙 지지바의 좌측에 배열되는 좌측 지지바들;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좌측에 대향되는 상기 중앙 지지바의 우측에 배열되는 우측 지지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바들 및 상기 우측 지지바들의 폭들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중앙 지지바로부터 멀리 배치될수록 커지는 표시 장치.
  15.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함께 롤링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대향되고 상기 상면보다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더 먼 하면을 정의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되고 상기 제1 면보다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더 먼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하면 사이로 간격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에 대해 상기 간격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층의 하부 두께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하면 사이로 정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에 대해 중심 및 서로 대향되는 끝 단들이 정의되고,
    상기 하부 두께는 끝 단으로부터 상기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층의 상부 두께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상면 사이로 정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에 대해 중심 및 서로 대향되는 끝 단들이 정의되고,
    상기 상부 두께는 끝 단으로부터 상기 중심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금속 또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고분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만곡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바 아래에 곡률 중심이 정의된 곡률을 갖고,
    상기 제1 면의 상기 곡률과 상기 제2 면의 상기 곡률이 동일한 표시 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만곡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바 아래에 곡률 중심이 정의된 곡률을 갖고,
    상기 제1 면의 상기 곡률이 상기 제2 면의 상기 곡률보다 큰 표시 장치.
PCT/KR2023/001642 2022-03-14 2023-02-06 표시 장치 WO202317708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608A KR20230134652A (ko) 2022-03-14 2022-03-14 표시 장치
KR10-2022-0031608 2022-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086A1 true WO2023177086A1 (ko) 2023-09-21

Family

ID=8793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1642 WO2023177086A1 (ko) 2022-03-14 2023-02-0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88963A1 (ko)
KR (1) KR20230134652A (ko)
WO (1) WO202317708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438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424229B2 (en) * 2017-12-06 2019-09-24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10014801A (ko) * 2019-07-30 2021-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10041665A (ko) * 2019-10-07 2021-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모듈 지지부의 제조 방법
EP3842895A1 (en) * 2019-12-26 2021-06-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438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424229B2 (en) * 2017-12-06 2019-09-24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10014801A (ko) * 2019-07-30 2021-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10041665A (ko) * 2019-10-07 2021-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모듈 지지부의 제조 방법
EP3842895A1 (en) * 2019-12-26 2021-06-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652A (ko) 2023-09-22
US20230288963A1 (en)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57786A1 (ko) 표시 장치
WO2021020655A1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WO2014104711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085182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WO202102961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22482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WO2020009501A1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3782191A1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20145506A1 (ko) 표시 장치
WO202106083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123049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camera
WO2021029568A1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WO2022119124A1 (ko) 표시장치
WO2022124712A1 (ko) 표시 장치
WO2020122378A1 (ko) 표시 장치
WO2021157791A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20130760A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0122377A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WO2021025299A1 (ko) 표시 장치
WO2021020782A1 (ko) 광학 장치
WO2023177086A1 (ko) 표시 장치
WO2020017744A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WO2020153593A1 (ko)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2173101A1 (ko) 표시 장치
WO2020218674A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709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