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77033A1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77033A1
WO2023177033A1 PCT/KR2022/015139 KR2022015139W WO2023177033A1 WO 2023177033 A1 WO2023177033 A1 WO 2023177033A1 KR 2022015139 W KR2022015139 W KR 2022015139W WO 2023177033 A1 WO2023177033 A1 WO 20231770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topper
fixing part
container
screw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51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성무
정혜진
이창수
박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770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770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9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formed by several elements connec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Definitions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for content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the bottom may have a diamond shape and the angle of the top vertex may be 49.5° to 160°.
  • At least one entrance that guides the end of the screw thread to the first groove may be formed by spacing the coupling uni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crew threads, so that when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engaging part, the first fixing part is fixed regardless of the initial alignment position of the stopper.
  • the government and the second fixed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with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a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up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one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 the external force required to couple the stopper 200 and the coupling unit 300 may be reduced.
  • the screw thread 211 can move along the first groove 320 even when only a small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eg, due to gravity, etc.).
  • the stopper portion 200 and the coupling portion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crew thread 211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units 310, the plurality of coupling units 310 A non-contact area between the screw thread 211 and the coupling unit 310 may be created by the second groove 330 therebetween.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unit 310 decreases in the protruding direction, further reduc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crew thread 211 and the coupling unit 310, and as a result,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coupling unit 310 and the screw thread 211 This may decrease.
  • the bottom of the coupling units 310-1 and 310-2 may be formed in a polygon.
  • the bottom of the polygon may be entirely straight as shown in (a) of FIG. 5, or some areas may be curved as shown in (b) of FIG. 5.
  • the bottom of the coupling units 310-1 and 310-2 may guide the screw thread 211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at least one side formed as a whole in the first direction.
  • the bottom of the coupling unit 310-3 may be formed in an oval shape.
  • the bottom is formed in an oval shape,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screw thread 211 can be guided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 the direction of the major axis or the minor axis of the ellipse may correspond to the first direction.
  •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up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hapes of the coupling units 310, 310 ⁇ , and 310 ⁇ according to FIG. 6 and the angles of the upper vertices are exemplary,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를 개폐하고,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개부; 및 상기 용기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결합 유닛이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이동하면서 상기 마개부가 상기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용기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 마개는 다양한 방식으로 용기에 탈착되며 용기를 개폐한다. 대표적으로,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목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마개의 내주면에 이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 결합 방식이 있다.
이러한 나사 결합 방식에 따를 경우, 마개가 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목부의 나사산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데, 나사산은 어느 용기에서나 정형적인 디자인으로 형성되게 되는 바, 용기에 오로지 기능적인 요소만을 부여할 수 있을 뿐 디자인적 미감은 전혀 형성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나사 결합 방식의 경우 나사산이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면 나사산이 서로를 타고 넘어가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나사산의 최초 정렬을 위해 소정의 공회전이 요구되어 불필요한 외력이 소요되고, 완전한 결합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를 개폐하고,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개부; 및 상기 용기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결합 유닛이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이동하면서 상기 마개부가 상기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 사이에 상기 나사산과의 비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유닛은,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면서, 상기 나사산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유닛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밑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유닛은 다각형의 밑면을 갖고, 상기 다각형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을 가져 상기 나사산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밑면은, 마름모 형상으로서 상단 꼭짓점의 각도가 49.5° 내지 160°일 수 있다.
또한,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 사이에는, 상기 결합부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상기 나사산의 단부를 상기 제 1 홈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 유닛의 하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나사산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부에 접하면서 상기 마개부의 결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2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나사산과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되어, 상기 마개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할 때 상기 마개부의 최초 정렬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 및 상기 결합부의 결합 또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접촉되면서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사이에 소정의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는, 내측에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형성되는 내마개; 및 내측에 상기 끼움 돌기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마개를 감싸도록 결합하는 외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를 개폐하고,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결합 유닛이 돌출 형성되는 마개부; 및 상기 용기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이동하면서 상기 마개부가 상기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를 개폐하는 마개부; 상기 용기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제 1 결합 유닛이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마개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제 2 결합 유닛이 돌출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 1 결합 유닛 및 상기 제 2 결합 유닛은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 유닛의 제 1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제 1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 유닛의 제 2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제 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결합 유닛은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마개부와 상기 결합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와 마개부의 나사 결합을 위해, 나사산이 아닌 복수의 결합 유닛을 결합부에 형성시킴으로써, 나사산에 의해 나타나는 정형적인 미감을 탈피하고, 결합 유닛에 의해 나타나는 새로운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나사산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나사 결합 방식에 비해 마찰력이 감소함에 따라, 마개부와 용기부의 결합이 자동으로 또는 적은 외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에 의해 마개부와 용기부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어, 밀폐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부가 결합부의 상단에 위치하기만 하면 마개부와 결합부의 최초 정렬 위치와 무관하게 마개부와 결합부의 결합이 시작 및 완료될 수 있도록 하여, 나사 결합을 위해 소요되는 공회전과 사용자의 외력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유닛과 나사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전개도이다. 이때 도 3은 결합부의 일 영역만을 도시하고, 나머지 영역은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용기부(100), 마개부(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00)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내용물은 액상, 겔상 또는 분말 상의 화장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은,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컨실러, 블러셔, 쉐딩,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아이크림, 프라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제형이나 종류의 화장료, 의료용 내용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마개부(200)는 용기부(10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개부(200)는 결합부(300)를 통해 용기부(100)에 직접적으로/간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개부(200)는 결합부(300)에 결합하며 용기부(100)를 밀폐할 수 있고, 결합부(300)로부터 분리되며 용기부(100)를 개방하여 용기부(100) 내부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부(200)는 결합부(300)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211)을 포함할 수 있고, 결합의 유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고정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300)는 용기부(1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마개부(2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결합부(300)는 용기부(10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결합부(300)는 용기부(100)의 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결합부(300)는 마개부(200)와의 결합에 적합하도록 용기부(100) 내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결합부(300)는 용기부(100)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용기부(100)에 직접적으로/간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300)는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을 통해 용기부(100)와 직접 결합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예를 들어, 펌프 조립체, 숄더부 등)을 사이에 두고 용기부(100)와 간접 결합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부(300)와 마개부(200)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300)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결합 유닛(310)이 돌출 형성되고, 마개부(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211)이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결합 유닛(3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나사산(211)이 이동함에 따라 결합부(300)와 마개부(2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결합부(300)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마개부(20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결합 유닛이 돌출 형성되거나, 결합부(300)의 외주면과 마개부(200)의 내주면 모두에 복수의 결합 유닛이 돌출 형성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나사산(211)은 제 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결합 유닛(310)은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 제 1 방향은 상단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하강하는 나선 방향(X)을 의미할 수 있고, 제 2 방향은 상단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하강하는 나선 방향(Y)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이 각각 반대로 정의되거나, 다양한 다른 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결합 유닛(310)의 제 2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복수의 결합 유닛(3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320)이 제 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홈(320)을 따라서 나사산(211)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마개부(200)가 결합부(300)에 탈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결합 유닛(310)의 제 1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복수의 결합 유닛(3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330)이 제 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홈(330)에 의해 복수의 결합 유닛(310) 사이에는 나사산(211)과의 비접촉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비접촉 영역에 의해 나사산(211)과 결합 유닛(31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 유닛(310)은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면적 감소에 의해 결합 유닛(310)과 나사산(211)의 접촉 면적이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접촉 면적 감소에 의해 나사산(211)과 결합 유닛(31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나사산(211)과 복수의 결합 유닛(310) 사이의 마찰력 감소에 따라, 마개부(200)와 결합부(300)의 결합을 위해 소요되는 외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은 크기의 외력만이 작용하거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예를 들어, 중력 등에 의해) 나사산(211)이 제 1 홈(32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 유닛(310)은 용기부(100) 표면에 접하는 밑면 및 밑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밑면은 예를 들어, 다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다각형의 밑면은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변 또는 적어도 하나의 꼭짓점 등이 직선 외에도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출 영역은 밑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되, 단부가 첨예하도록 또는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유닛(310)은 예를 들어, 다각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반구, 원기둥, 원뿔대 또는 원뿔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결합 유닛(310)의 형상에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 유닛(310)은 밑면을 통해 나사산(211)의 제 1 홈(320)을 따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 유닛(310)의 밑면은 둘레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둘레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은, 밑면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 있어서 전체 영역이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나사산(211)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정도로 해당 변의 일부 영역만이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부(300)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340, 3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결합 유닛(310)의 결합부(300)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상단에 위치한 복수의 결합 유닛(31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출입구(340)가 형성되고, 최하단에 위치한 복수의 결합 유닛(31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출입구(350)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개부(200)를 결합부(300)에 결합할 때 제 1 출입구(340)를 통해 나사산(211)의 단부가 제 1 홈(320)으로 진입할 수 있고, 마개부(200)가 결합부(300)에 완전히 결합되면 제 2 출입구(350)를 통해 나사산(211)의 단부가 제 1 홈(32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마개부(200)를 결합부(300)로부터 분리할 때, 제 2 출입구(350)를 통해 나사산(211)의 단부가 제 1 홈(320)으로 진입할 수 있고, 마개부(200)가 결합부(3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제 1 출입구(340)를 통해 나사산(211)의 단부가 제 1 홈(32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출입구(340)는 나사산(211)의 단부를 제 1 홈(320)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사산(211)의 단부가 제 1 출입구(340) 상의 소정 위치에 배열될 경우, 나사산(211)의 단부는 중력에 의해 결합 유닛(310)의 표면을 타고 제 1 홈(32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마개부(200)와 결합부(300)의 정렬 위치와 무관하게, 마개부(200)가 결합부(300) 상단에 배치되기만 하면 나사산(211)의 단부가 제 1 출입구(340)에 의해 제 1 홈(320)으로 가이드되고, 나사산(211)이 제 1 홈(320)을 타고 이동하여, 마개부(200)와 결합부(300)가 자동으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고정부(360)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마개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고정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고정부(360)는 결합 유닛(3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제 2 고정부(212)는 나사산(21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360)와 제 2 고정부(212)가 서로 접하면서 마개부(200)와 결합부(300)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사산(211)이 제 1 홈(320)을 완전히 통과한 상태에서, 제 1 고정부(360)와 제 2 고정부(212)가 접하게 되고, 이때 마개부(200)의 분리를 위해서는 제 2 고정부(212)가 제 1 고정부(360)를 타고 넘어갈 수 있을 정도의 외력이 요구되게 되어,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의 작용 없이는 마개부(200)가 결합부(30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고정부(360)는 결합부(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돌기로 이루어지고, 제 2 고정부(212)는 마개부(2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 2 결합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결합 돌기 사이로 제 1 고정부(36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 1 결합 돌기의 양측은 제 2 결합 돌기와 접하면서 제 2 결합 돌기를 지지하는 지지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제 1 고정부(360)가 복수 개의 제 1 결합 돌기로 이루어지고, 제 2 고정부(212)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돌기로 이루어지며, 제 1 결합 돌기 사이로 제 2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고정부(360)의 상단에는 제 1 고정부(360)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벽을 연결하는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개부(200)가 결합부(300)에 결합 또는 분리될 때 제 2 고정부(212)가 굴곡면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고정부(212)는 하단 일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고정부(212)가 제 1 고정부(360)를 타고 이동할 때, 하측으로 돌출된 제 2 고정부(212)의 일 영역이 (예를 들어, 탄성 변형되면서) 제 1 고정부(360)의 굴곡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2 고정부(212)의 하단 일 영역이 하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제 2 고정부(212)의 다른 영역은 제 1 고정부(360)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제 2 고정부(212)와 제 1 고정부(360)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 변형 등에 의해 제 2 고정부(212)가 제 1 고정부(360)를 타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마개부(200)와 결합부(300)의 결합 및/또는 분리 과정에서, 제 1 고정부(360)와 제 2 고정부(212) 사이에 소정의 저항이 발생하고, 발생한 저항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결합 및/또는 분리 여부가 용이하게 파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개부(200)가 결합부(300)에 결합 또는 분리될 때 제 2 고정부(212)의 하면(및/또는 이와 인접한 면)이 제 1 고정부(360)의 상면(및/또는 이와 인접한 면)과 접촉하면, 제 1 고정부(360)와 제 2 고정부(212) 사이의 마찰 등에 의해, 접촉을 해제하기 위한 방향(즉, 분리 방향 또는 결합 방향)으로의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고정부(360) 및 제 2 고정부(212) 중 적어도 하나는 나사산(211)과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개부(200)가 결합부(300)에 결합할 때 마개부(200)의 최초 정렬 위치와 무관하게 제 1 고정부(360)와 제 2 고정부(212)가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고정부(360)는 결합부(300)의 양 단에 2개 형성될 수 있고, 제 2 고정부(212)가 마개부(200)의 하단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211)과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300)는 마개부(20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부(200)의 내측에 결합부(300)가 형성되어, 마개부(20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결합 유닛(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부(100)의 목부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부(100)와 결합부(300)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마개부(200)가 용기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결합부(30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이 결합부(300)가 용기부(100) 및 마개부(200)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결합부는 용기부(100)(특히, 용기부(100)의 목부의 위치)에 구비되고, 제 2 결합부는 마개부(200)(특히, 마개부(2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제 1 결합 유닛이 형성되고, 마개부(20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제 2 결합 유닛이 형성되며, 제 1 결합 유닛과 제 2 결합 유닛이 상호 결합됨에 따라 용기부(100)와 마개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300)의 위치나 구성이 변경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도 1 내지 도 3과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으며, 다만 설명의 간이함을 위해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유닛과 나사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종래 나사 결합 구조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우선 도 4의 (a)에서 도시되는 종래 나사 결합 구조에 따르면, 2개의 부재가 제 1 나사산(A1)과 제 2 나사산(A2)을 통해 서로 결합될 경우, 제 1 나사산(A1)과 제 2 나사산(A2)이 서로 접하는 영역 전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도 4의 (b)를 참조하면, 마개부(200)와 결합부(300)가 나사산(211)과 복수의 결합 유닛(310)을 통해 서로 결합될 경우, 복수의 결합 유닛(310) 사이의 제 2 홈(330)에 의해 나사산(211)과 결합 유닛(310)의 비접촉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결합 유닛(310)의 단면적이 감소하여 나사산(211)과 결합 유닛(310) 간의 접촉 면적이 더욱 감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결합 유닛(310)과 나사산(211)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력 감소에 의해, 나사산(211)이 복수의 결합 유닛(310)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개부(200)와 결합부(300)가 정렬되면, 중력만으로 또는 적은 외력에 의하더라도 나사산(211)이 제 1 홈(320)을 타고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되는 결합 유닛(310)과 나사산(211) 간의 결합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결합 유닛(310-1, 310-2)의 밑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다각형의 밑면은, 도 5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선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5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부 영역이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유닛(310-1, 310-2)의 밑면은 전체적으로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을 통해 나사산(211)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결합 유닛(310-3)의 밑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밑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밑면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방향으로 형성되어, 나사산(211)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원의 장축의 방향 또는 단축의 방향이 제 1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결합 유닛(310-4)의 밑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밑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복수의 결합 유닛(310-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나사산(211)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결합 유닛(310-4)의 제 1 방향의 간격이 제 2 방향의 간격에 비해 작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결합 유닛(310-4) 사이의 간격은 원형의 밑면을 갖는 결합 유닛(310-4) 이외에도 다각형의 밑면을 갖는 결합 유닛(310-1, 310-2)이나 타원형의 밑면을 갖는 결합 유닛(310-3)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유닛(310)의 밑면의 형상은 마개부(200)와 결합부(300)의 결합 강도, 형성하고자 하는 미감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할 경우, 다각형의 밑면을 갖는 결합 유닛(310-1, 310-2), 그 중에서도 특히 전체적으로 직선으로 형성되는 결합 유닛(310-1)을 선택하여, 나사산(211)과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다. 반대로, 마개부(200)와 결합부(300)의 결합 강도를 저하시키고자 할 경우, 타원형의 밑면을 갖는 결합 유닛(310-3) 또는 원형의 밑면을 갖는 결합 유닛(310-4)을 선택하여, 나사산(211)과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결합 유닛(310)을 통해 뾰족하고 각진 미감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다각형의 밑면을 갖는 결합 유닛(310-1, 310-2)을 선택할 수 있고, 반대로 결합 유닛(310)을 통해 둥글고 완만한 미감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타원형의 밑면을 갖는 결합 유닛(310-3) 또는 원형의 밑면을 갖는 결합 유닛(310-4)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선택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합 유닛(310)의 형상이 선택될 수 있다.
도 5에 따른 결합 유닛(31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 유닛(310, 310`, 310``)의 밑면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름모 형상 밑면의 상단 꼭짓점의 각도(D1 내지 D3)는 나사산(211)의 제 1 홈(320)을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합 유닛(310, 310`, 310``)의 밑면의 상단 꼭짓점의 각도는 49.5°(도 5의 (a) 참조) 내지 160°(도 5의 (c) 참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5°(도 5의 (b) 참조)일 수 있다.
상단 꼭짓점의 각도가 49.5° 미만일 경우 제 1 홈(320, 320`, 320``)이 지나치게 가파르게 형성되어 마개부(200)가 결합부(300)로부터 너무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단 꼭짓점의 각도가 160°를 초과할 경우, 제 1 홈(320, 320`, 320``)이 지나치게 완만하게 형성되어 마개부(200)를 결합부(300)에 결합하기 위해 지나치게 많은 회전이 요구되거나, 마개부(200)가 결합부(300)에 자동으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 따른 결합 유닛(310, 310`, 310``)의 형상 및 상단 꼭짓점의 각도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마개부(200)는 내마개(210) 및 외마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마개(210)는 내측에 나사산(211) 및 제 2 고정부(212)가 형성되어 결합부(300)와 결합될 수 있고, 외마개(220)는 내마개(210)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내마개(210)를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마개(210)와 외마개(220)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내마개(210)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213)가 형성되고, 외마개(220)의 내측에 끼움 돌기(213)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내마개(210)와 외마개(220)에는 나사 결합, 걸림 결합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결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따른 마개부(2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마개(210)의 내측에 나사산(211)이 아닌 결합부(30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나사산(211)은 용기부(1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내용물 용기로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를 개폐하고,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개부; 및
    상기 용기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결합 유닛이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이동하면서 상기 마개부가 상기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내용물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 사이에 상기 나사산과의 비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면서, 상기 나사산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는, 내용물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밑면을 갖는, 내용물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다각형의 밑면을 갖고,
    상기 다각형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을 가져 상기 나사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내용물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은, 마름모 형상으로서 상단 꼭짓점의 각도가 49.5° 내지 160°인, 내용물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결합 유닛 사이에는, 상기 결합부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격에 의해, 상기 나사산의 단부를 상기 제 1 홈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 유닛의 하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나사산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부에 접하면서 상기 마개부의 결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2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나사산과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되어, 상기 마개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할 때 상기 마개부의 최초 정렬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접하는, 내용물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 및 상기 결합부의 결합 또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접촉되면서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사이에 소정의 저항이 발생하는, 내용물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내측에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형성되는 내마개; 및 내측에 상기 끼움 돌기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마개를 감싸도록 결합하는 외마개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PCT/KR2022/015139 2022-03-17 2022-10-07 내용물 용기 WO202317703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169A KR20230135779A (ko) 2022-03-17 2022-03-17 내용물 용기
KR10-2022-0033169 2022-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033A1 true WO2023177033A1 (ko) 2023-09-21

Family

ID=8802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5139 WO2023177033A1 (ko) 2022-03-17 2022-10-07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5779A (ko)
WO (1) WO202317703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1291A (en) * 1994-03-28 1995-07-11 Hoover Universal, Inc. Heat set neck finish with segmented threads
KR970001158A (ko) * 1995-06-08 1997-01-21 김충환 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000014153U (ko) * 1998-12-30 2000-07-25 임흥호 화장품용 뚜껑 커버
KR200425672Y1 (ko) * 2006-06-09 2006-09-19 황우진 화장품용기의 캡 개폐장치
JP2006306449A (ja) * 2005-04-28 2006-11-09 Japan Crown Cork Co Ltd 容器口部及び該容器口部を備えた容器とキャップとの包装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1291A (en) * 1994-03-28 1995-07-11 Hoover Universal, Inc. Heat set neck finish with segmented threads
KR970001158A (ko) * 1995-06-08 1997-01-21 김충환 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000014153U (ko) * 1998-12-30 2000-07-25 임흥호 화장품용 뚜껑 커버
JP2006306449A (ja) * 2005-04-28 2006-11-09 Japan Crown Cork Co Ltd 容器口部及び該容器口部を備えた容器とキャップとの包装体
KR200425672Y1 (ko) * 2006-06-09 2006-09-19 황우진 화장품용기의 캡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779A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11774A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WO2015034165A1 (ko) 화장품 이액용기
WO2015056902A1 (en) Compact type airtight cosmetic case
WO2017188521A1 (ko) 파우더 토출 용기
WO2019231098A1 (ko) 화장품 용기
WO2010104304A2 (ko)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WO2019164065A1 (ko) 이중 용기
WO2019177340A1 (ko) 립스틱 용기
WO2018131828A1 (ko) 립스틱 용기
WO2020213856A1 (ko) 휴대용 텀블러
WO2016072673A1 (ko) 스포이드형 이액 혼합용기
WO2013032223A2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WO2015156532A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WO2010027212A1 (ko) 밀폐성이 향상된 화장품 케이스
WO2015037836A1 (ko) 리필 가능한 화장품용기
WO2020013492A1 (ko) 보호관이 흔들림 없이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는 스틱형 고형화장품용기
WO2023177033A1 (ko) 내용물 용기
WO2019182241A1 (ko) 화장품 용기
WO2020045912A1 (ko) 밀폐형 립스틱 용기
WO2016186350A1 (ko) 원 터치 오픈 마스카라
WO2021194160A1 (ko) 내용물 용기
WO2021261711A1 (ko) 내용물 용기
WO2011046384A2 (ko) 휴대용 알약 보관용기
WO2020013382A1 (ko) 화장품 용기
WO2023214715A1 (ko)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324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