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71991A1 -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71991A1
WO2023171991A1 PCT/KR2023/002982 KR2023002982W WO2023171991A1 WO 2023171991 A1 WO2023171991 A1 WO 2023171991A1 KR 2023002982 W KR2023002982 W KR 2023002982W WO 2023171991 A1 WO2023171991 A1 WO 20231719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urrent collector
cell
cylindrica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29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민우
손부원
박정호
최익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EP23767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54631A1/en
Priority to CN202380012593.0A priority patent/CN117597826A/zh
Publication of WO20231719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719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9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battery packs and automobiles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are arrang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out significantly modify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cell, and a cylindrical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It concerns battery packs and cars.
  •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easy to apply depending on the product group and ha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are used not only in portable devices but also in electric vehicles (EV, Electric Vehicle) and hybrid vehicles (HEV, Hybrid Electric Vehicle) that are driven by an electrical drive source. It is universally applied.
  • EV Electric Vehicle
  • HEV Hybrid Electric Vehicle
  • These secondary batteries not only have the primary advantage of being able to dramatically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s, but also have the advantage of not generating any by-products due to energy use, so they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energy source for eco-friendliness and improving energy efficiency.
  • Types of secondary batteries currently widely used include lithium ion batteries, lithium polymer batteries,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and nickel zinc batteries.
  • the operating voltage of these unit secondary battery cells is approximately 2.5V to 4.5V. Therefore, when a higher output voltage is required, a battery pack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Additionally, a battery pack may be constructed by connecting multiple battery cells in parallel depending on the charge/discharge capacity required for the battery pack. Accordingly,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and the type of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se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required output voltage and/or charge/discharge capacity.
  • cylindrical, prismatic, and pouch-type battery cells are known as types of secondary battery cells.
  • an insulating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wound to form a jelly roll-shaped electrode assembly, which is then inserted into a battery can along with the electrolyte to form a battery.
  • a strip-shaped electrode tab may be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of eac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nd the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de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is a cap plate of a sealing body that seals the opening of the battery can
  •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s a battery can.
  • the current is concentrated on the strip-shaped electrode tab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uncoated area and/or the negative electrode uncoated area, so the resistance is large, a lot of heat is generated, and the current collection efficiency is poo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n't.
  • a battery pack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Therefore, inefficiency in electrical wiring causes considerable inconvenience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electric vehicles and during battery pack maintenance.
  • cylindrical battery cells are recently applied to electric vehicles, the form factor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is increasing. That is, the diameter and height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re increasing compared to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cells with form factors such as 18650 and 21700. Increasing form factor results in increased energy density, increased safety against thermal runaway, and improved cooling efficiency.
  • the energy dens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can be further increased when the form factor increases and unnecessary space inside the battery can is minimized. Therefore, the parts used for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attery can and the parts used to collect current from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must be optimally designe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cell and lower the overall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There is a need.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are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ide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to be used as an electrode terminal in the case of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in one direction, thereby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components such as bus bars for battery pack manufacturing.
  • One purpose is to secure a sufficient area where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can be welded.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cess for coupling between a current collector plat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and a cell terminal and to reduce resistance at the coupling site.
  • the present invention is optimally designed so that the area occupi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closure (second electrode terminal) are sufficient for coupling to the bus bar. for the purpose of work.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urrent collector plat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and/or a contact area between the cell terminal and the current collector plat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through improvement of the non-coated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purpose is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by expanding .
  •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second collector plate) and the battery can to multiplex the current path and maximize the contact area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for the purpose of work.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current path by improv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second collector plate) and the battery can, thereby minimizing the resistan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dead space through improving the non-ground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or optimal design of the cell terminal height and/or optimal design of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an, thereby maximizing energy density. for the purpose of work.
  •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may be press-fitted in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and the cell terminal to fasten the cell terminal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includes a base portion; and a fastening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base portion towar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and is pressed in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and the cell terminal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may include.
  • the cell terminal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may include aluminum.
  •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boron steel containing 0.001 wt% to 0.008 wt% of bor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on the outside and inside the fastening part may be pushed into the cell terminal as the fastening part is press-fitted.
  • the maximum diameter or maximum width of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nding center hol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may further include a cap plate that seals the opening portion of the battery can.
  • the cap plate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us may not have polarity.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urrent collec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de tab and the battery can.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includes a tab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electrode tab; and a can coupling portion electrically coupled to the battery can. may include.
  • the can coupling portion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 of the battery can.
  • the battery can may have a beading portion formed by press-fitting a circumference of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on the opening side, and the can coupling portion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ttery pack.
  • the process can be improved in the coupling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plat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and the cell terminal, and the resistance at the coupling site can be reduced.
  •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can be lowered and the energy density can be increased by improving the electrode terminal structur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to increase space efficiency within the battery can.
  • the internal heat generation problem that occurs during rapid charging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electrode terminal structur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and expand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urrent path.
  • electrical wiring work for connecting cylindrical battery cells in series and/or parallel can be performed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 the large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be used as an electrode terminal, and this allows the use of a bus for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Sufficient area can be secured where electrical connection components such as bars and electrode terminals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can be welded.
  • the area occupi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closure (second electrode terminal) are optimally designed so that the area is sufficient for coupling to the bus bar. can do.
  •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urrent collector (first current collector) and/o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ell terminal and the current collector (first current collector) are improved by improving the non-coated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expanded, thereby minimizing the resistan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 current path multiplexing is possible through improvement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second collector plate) and the battery can,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se components is maximized to form a cylindrical battery cell. Resistance can be minimized.
  • the current path can be reduced by improv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second collector plate) and the battery can, thereby minimizing the resistan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 dead space can be minimized by improving the non-fre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or optimally designing the height of the cell terminal and/or optimally designing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an, thereby increasing the energy density. can be maximized.
  • a battery pack manufactured using a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 an improved structur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can be provid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with an uncoated portion 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structure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area to which a fastening member is applied.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upling a first current collector and a cell terminal using a fastening member.
  •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step-by-step explaining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irst current collector and the cell terminal using a fastening member.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top plan view show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using a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including cylindrical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includ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ubstantially identical may include a deviation that is considered low in the art, for example, a deviation of less than 5%. Additionally, uniformity of a parameter in a predetermined area may mean uniformity from an average perspective.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 a battery can 20, a cell terminal 40, and a first current collector 50. and a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additionally includes a cap plate 30 and/or an insulator 70 and/or an insulating gasket (G1) and/or a sealing gasket (G2) and/or a second It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collector 80.
  • the electrode assembly 10 includes a first electrode tab 11 having a first polarity and a second electrode tab 12 having a second polarity.
  • the first electrode tab 1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 direction parallel to the Z-axis).
  • the first electrode tab 11 may extend upward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 may extend downward. That is, the first electrode tab 11 may extend toward a closed por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ttery can 20,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 may extend toward the open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It can extend towards wealth.
  • the electrode assembly 10 includes a first electrode having a first polarity, a second electrode having a second polarity,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 the first electrode is an anode or a cathode
  • the second electrode corresponds to an electrod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
  •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have, for example, a jelly-roll structure. That is,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manufactured by winding a laminate formed by stack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having a substantially sheet shape at least once wit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m, based on the core portion. You can. A winding center hole C may be formed in the core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wound in this way. An additional separator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o insulate it from the battery can 20. Any jelly roll structure known in the ar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imitation.
  •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appli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a first uncoated port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exists at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Z axis).
  • the first uncoated portion functioning as an electrode tab will hereinafter be referred to as the first electrode tab 11.
  • the first electrode tab 11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an 20 in the height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Z axis).
  •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formed at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Z-axis) and has a first uncoated reg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X-axis), that is, the active material.
  • the layer has an uncoated portion, and this first uncoated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or.
  • the first uncoated portion itself is used as an electrode tab.
  • the first electrode tab 11 may be, for example, a positive electrode tab.
  • the first electrode tab 1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divided along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t may include a segmental piece (11a).
  • the plurality of segment pieces 11a may be bent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plurality of banded segment pieces 11a may be overlapped in multiple layers.
  •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52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segment pieces 11a overlap in multiple layers.
  •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an area where the number of overlapping layers of the segment pieces 11a of the first electrode tab 11 is maintained at approximately the maximum valu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provided. In this area, the number of overlapping layers is maintained to a maximum, so it may be advantageous for welding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and the first electrode tab 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performed within this area. This is to prevent the laser beam from penetrating the first electrode tab 11 and damag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when, for example, laser welding is applied and the output of the laser is increased to improve welding quality. It is for this purpose. Additionally, this is to effectively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welding sp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appli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Z axis), there is a second uncoated por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 the second uncoated portion functioning as an electrode tab will hereinafter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electrode tab 12.
  • the second electrode tab 12 is provided below the electrode assembly 10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an 20 in the height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Z axis).
  •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formed at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Z-axis) and has a second uncoated reg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X-axis), that is, the active material.
  • the layer has an uncoated portion, and this second uncoated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or.
  • the second electrode tab 12 may be, for example, a negative electrode tab.
  • the second electrode tab 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ed pieces divided along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 the plurality of segment pieces may be bent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plurality of banded segments may be overlapped in multiple layers.
  • the second tab coupling portion 82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segment pieces overlap in multiple layers.
  •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be provided with a uniform stacking number region, which is an area where the number of overlapping layers of the segmented pieces of the second electrode tab 12 is maintained at approximately the maximum valu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re is. In this area, the number of overlapping layers is maintained to a maximum, so it may be advantageous for welding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performed within this area. This is to prevent the laser beam from penetrating the second electrode tab 12 and damag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when, for example, laser welding is applied and the output of the laser is increased to improve welding quality. It is for this purpose. Additionally, this is to effectively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welding sp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battery can 20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ontainer with an opening formed at the bottom and an empty space inside,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for example. It comes true.
  • the material of the battery can 20 may be, for example, steel, stainless steel, or nickel-plated iron. In this way, when an iron-based material with excellent rigidity is used, it can be very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rigidity of the battery can 20.
  • the battery can ( 20) It is necessary to ensure sufficient rigidity.
  • the material of the battery can 20 is not limited by this, and any metal material with conductivity can be used.
  • the battery can 20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10 through an opening formed at the bottom, and also accommodates the electrolyte.
  • the battery can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battery can 2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econd electrode tab 12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battery can 20 has the same second polarity as the second electrode tab 12.
  • the battery can 20 may have a beading portion 21 formed near its lower end.
  • the beading portion 21 is formed by press fitting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20 from the opening side of the battery can 20. Accordingly, in the area where the beading portion 21 is formed, the battery can 20 has a shape that is indented inward to a predetermined depth.
  • the beading portion 21 prevents the electrode assembly 10, which may have a size approximately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attery can 20, from coming out through the opening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ttery can 20, and the cap plate ( 30) can function as a support on which it is seated. Referring to FIG.
  • the upper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21 may function as a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seated. Addition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20, the lower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21 may function as a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cap plate 30 can be seated. Meanwhi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20, the lower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21 may function as a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can coupling portion 83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seated. there is.
  • the battery can 20 may be provided with a crimping portion 22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eading portion 21.
  • the crimping part 22 has a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eading part 21.
  • the crimping portion 22 has an extended and bent shape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plate 30 disposed below the beading portion 21 and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30.
  • the crimping part 22 can fix the sealing gasket G2 in addition to the cap plate 30.
  • the cap plate 3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to ensure rigidity.
  • the cap plate 30 seals the opening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ttery can 20.
  •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30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 the cap plate 30 may not have polarity even if it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Not having polarity means that the cap plate 30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this case, when the cap plate 30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 cap plate 30 does not function as a positive or negative terminal.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plate 30 does not ne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battery can 20, and its material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conductive metal.
  • the cap plate 30 When the battery ca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eading portion 21, the cap plate 30 may be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21 formed on the battery can 20. Additionally, when the battery ca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rimping portion 22, the cap plate 30 is fixed by the crimping portion 22.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30 may be supported by the beading portion 2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lower surface may be supported by the beading portion 21. An airtight gasket G2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ap plate 30 and the crimping portion 22 of the battery can 20 to ensure airtightness of the battery can 20.
  • the battery ca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beading portion 21 and/or the crimping portion 22, in which case the sealing gasket 90 is attached to the battery can 20.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ap plate 30 and a fixing structure provided on the open side of the battery can 20 to ensure airtightness.
  • the cap plate 30 has a venting portion 31 formed to prevent the internal pressure from increasing beyond a preset value due to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n 20. More can be provided.
  • the venting portion 31 corresponds to an area of the cap plate 30 that has a thinner thickness compared to the surrounding area.
  • the venting portion 31 is structurally weak compared to the surrounding area. Therefor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an 20 increases above a certain level, the venting portion 31 is ruptured and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n 20 is released. is discharged.
  • the venting portion 31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notching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ap plate 30 to partially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an 20. .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are present at the top,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because of this, the upper structure is more complicated than the lower structure. Therefore, in order to smoothly discharge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n 20, a venting portion 31 is provided on the cap plate 30 that seals the opening of the battery can 20 at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can be formed. As shown in FIG. 7, the lower end of the cap plate 30 is preferably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can 20. In this case, even if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can 20 touches the ground or the bottom of the housing for module or pack configuration, the cap plate 30 does not touch the ground or the bottom of the housing for module or pack configuration. It becomes out of reac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sure required for fracture of the venting portion 31 from being different from the designed value due to the weight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and thus the smoothness of fracture of the venting portion 31 can be secured. there is.
  • the venting portion 31 may have a shape that extends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to surround the central area of the cap plate 30, as shown in FIGS. 8 and 9 .
  • the larger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ap plate 30 to the venting portion 31 is more advantageous. This is because, when the same internal pressure is applied,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cap plate 30 to the venting portion 31 increases, the force acting on the venting portion 31 increases, making fracture easier.
  • the venting portion 31 is an edge of the central region that protrudes downward (direction pointing downward with respect to FIG. 8)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cap plate 30 and has a substantially flat shape. It may be advantageous to be formed along the perimeter.
  • venting portion 31 is formed continuously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on the cap plate 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venting portion 31 may have an approximately elliptical shape formed to include the center point of the cap plate 30 on the inside, or may have another geometric shape. Additionally, the venting portion 31 may be formed discontinuously rather than continuously.
  • the cell terminal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11.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ab 11 and the cell terminal 40 is made through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 the cell terminal 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n 20 through the closing part of the battery can 20.
  • the cell terminal 40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 the cell terminal 40 may include aluminum (Al).
  • the material of the cell terminal 40 may be aluminum.
  • riveting and/or terminal fastening members 60 are used to fix the cell terminal 4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as will be described later. Press-fit can be facilitated.
  • 10 series aluminum can be applied to maximize ease of processing and minimize electrical resistance.
  • the cell terminal 40 has the same first polarity as the first electrode tab 11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ccordingly, the cell terminal 40 can function as a first electrode terminal i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ell terminal 40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battery can 20 having a second polarity.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battery can 20 can be realiz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nsulation can be achieved by interposing an insulating gasket G1 between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battery can 20. Alternatively, insulation can be achieved by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on a portion of the cell terminal 40.
  • a method may be applied in which the cell terminal 40 is structurally firmly fixed so that contact between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battery can 20 is impossible.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methods among the method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gether.
  • the cell terminal 40 includes a terminal exposure portion 41 and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may include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2a and a flange portion 42b.
  •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4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n 20.
  •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41 may be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 the maximum width of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41 may be larg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hole formed in the battery can 20 for insertion of the cell terminal 40.
  •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passes through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2a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11. there is.
  •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40 may have a substantially flat shape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appli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first electrode tab 11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ell terminals 40 can be maximized, thereby minimizing contact resistance.
  • the flange portion 42b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is formed around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2a and may be rive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That is, the flange portion 42b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may have a shape ben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Therefore, the maximum width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after the riveting process for fixing the cell terminal 40 is performed is the maximum width of the hole formed in the battery can 20 through which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passes. It can be formed larger.
  •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2a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2a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 the shap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2a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is not limited to this.
  •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2a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lliptical cross-section, a square pillar shape, a hexagonal pillar shape, or an octagonal pillar shape.
  •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2a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may be formed to be at least partially substantially flat.
  • the insulating gasket G1 is interposed between the battery can 20 and the cell terminal 40 to prevent the battery can 20 and the cell terminal 40, which have opposite polarities, from contacting each other.
  • the outer surface 20a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which has a substantially flat shape, can function as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 the insulating gasket (G1) includes a gasket exposed portion (G1A) and a gasket insertion portion (G1B).
  • the gasket exposed portion G1A is interposed between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41 of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battery can 20.
  • the gasket exposed portion G1A may extend longer than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41 along a direction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in order to maximize insulation. As a result, whe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is viewed from above, a portion of the gasket exposed portion G1A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41.
  • the gasket insertion portion G1A is interposed between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of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battery can 20.
  • the gasket insertion portion G1A may be deformed together during riveting using the flange portion 42b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and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ing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 the insulating gasket G1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having insulating properties and elasticity.
  • the insulating gasket (G1) When the insulating gasket (G1) is made of a resin material, the insulating gasket (G1) can be coupled to the battery can 20 and the cell terminal 40 by heat fusion. In this case, airtightness can be strengthened at the bonding interface between the insulating gasket (G1) and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bonding interface between the insulating gasket (G1) and the battery can 20.
  • the gasket exposed portion G1A of the insulating gasket G1 has an extended shape to c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41,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41. In addition, it can have an extended form to cover even part of the upper surface.
  • the cell terminal (40) may be used, for example, by insert injection molding.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ulating gasket (G1).
  • the entire upper surface area of the battery can 20 viewed from the top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the entire area excluding the area occupied by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insulating gasket G1, that is, the battery can 20
  • the area occupied by the outer surface 20a of the closed portion corresponds to a second electrode terminal having an opposite polarity to the cell terminal (first electrode terminal) 40.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dditionally,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is coupled to the cell terminal 4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has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second side, the first side is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11, and the second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11. The surface is coupled to the cell terminal 40. Accordingly,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tab 11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cell terminal 40.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is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11. When the first electrode tab 11 is a positive electrode tab,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may include aluminum, for example. Preferably,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may be made of aluminum.
  •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40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2a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may be formed at least in part with a flat portion that i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is coupled to this flat portion.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tab 11.
  • the first electrode tab 11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may be joined by, for example, laser welding.
  • the laser welding may be performed by partially mel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with solder for weld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and the first electrode tab 11. It may come true.
  • the solder preferably has a lower melting point compared 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and the first electrode tab 11.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may be coupled to a coupling surface formed by bending an end of the first electrode tab 1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 the first electrode tab 11 may be bent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tab 11 may be, for example, toward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hat is, toward the core.
  • the space occupied by the first electrode tab 11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energy density.
  • an increase in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ab 11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can result in the effect of improving bonding force and reducing resistance. there is.
  • the current collector 50 and the first electrode tab 11 are joined within an area where the number of stacks is uniform.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ab coupling portion 52 and a cell terminal 40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11. ) and a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coupled to the terminal.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may further include an edge portion 51.
  • the edge portion 51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edge portion 51 may have an approximate rim shape with an empty space S formed therein.
  • the edge portion 51 unlike what is shown, may have a substantially square rim shape, a hexagonal rim shape, an octagonal rim shape, or any other rim shape.
  •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may b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flat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40 in order to secure an area for coupling with the flat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40. may have the same or larger diameter. However, this does not limit the area of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52 extends inward from the edge portion 51 and is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11.
  •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52 and is located inside the edge portion 51.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may be coupled to the cell terminal 40 by a mechanical fastening method.
  •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may be located, for example,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edge portion 51.
  •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center hole C formed in the core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is configured to cover the winding center hole C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so that the winding center hole C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may have a larger diameter or width than the winding center hole C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52 and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are not directly connected but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indirectly connected by the edge portion 51.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52 and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re only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edge portion 51. Shock can be dispersed. That is, when shock and/or vibration occurs i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52 and the first electrode tab 11 and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and the cell terminal (40) It can disperse the impact applied to the liver binding site.
  •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ase where there are four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i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umber of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can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by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manufacturing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shape, electrical resistance, and the space inside the edge portion 51 considering electrolyte impregnation.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may further include a bridge portion 54 that extends inward from the edge portion 51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 the bridge portion 54 may include a current blocking portion N formed to partially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ridge portion 54. Adjustment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urrent blocking portion N may be realized, for example, by partially reducing the width and/or thickness of the bridge portion 54.
  • the current blocking portion N may have the form of a notch, groove, hole, etc.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54.
  • the current blocking portion N is a stack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rupture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causing problems such as internal short circui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ater uniformity area. This is because, in this area, the number of overlapping layers of the segment pieces 11a (see FIG. 2) of the first electrode tab 11 is maintained at the maximum, and thus the overlapped segments can function as a mask.
  • the current blocking portion N may be provid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52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 the plurality of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may be arranged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dge portion 51 .
  • the extension length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 the first tab coupling portion 5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11 by, for example, welding.
  •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may be arranged to be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
  •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may be coupled to the cell terminal 40 by a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 the bridge portion 54 may be locat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In this case, the distance from the bridge portion 54 to one of the pair of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dge portion 51 is the distance from the bridge portion 54 to the edge portion 51. It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stance to the remaining one of the pair of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 the width and thickn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 each of the plurality of bridge parts 54 may be dispos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first tab coupling parts 52.
  • the plurality of bridge portions 54 may be arranged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dge portion 51 .
  • the distanc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bridge portions 54 to one of a pair of first tab coupling portions 52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dge portion 51 is the distance from the remaining first tab coupling portion 52. )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stance reached.
  •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couples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can be achieved not by welding but by a mechanical fastening method using a separate member for fastening. When welding is applied to join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welding spatter (in the case of laser welding) or splash occurs, damag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Metal foreign substances may enter the interior. Metal foreign substances may move along the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and cause an internal short circui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chanical fastening method can be applied to couple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thereby solving this problem.
  • the cell terminal 40 is located on the closed side of the battery can 20, and thus the coupling between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 the process for must be per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5 through the winding center hole (C)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metal foreign matter caused by welding spatter or splash inside the winding center hole (C)
  •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may couple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using, for example, a SPR (self-piercing rivet) method.
  •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may be press-fitted in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and the cell terminal 40 to fasten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may include a base portion 61 and a fastening portion 62.
  • the base portion 61 may be arranged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 the fastening portion 62 extends from the base portion 61 towar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and extends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to the inside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and the cell terminal 40. can be press-fitted.
  • the fastening portion 62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provided on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the inner side of the winding center hole C among both sides of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surface facing)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40.
  •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may be dug inwar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40 during the press-fitting process, and thus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may be connected to the cell terminal 40.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ll terminal 40 while maximizing the contact area with it.
  • the fastening portion 62 of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may penetrate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at a position press-fitt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40. Of course, unlike this, the fastening portion 62 of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may not penetrate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until it reaches the maximum press-fit depth.
  • the fastening part 62 may be configured to form a space inside, and may have a side wall shape that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surrounds the empty sp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o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fastening part 62 will be inser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40 into the inside of the cell terminal 40 as the fastening part 62 is pressed in. You can. In a state in which press-fitting by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is complete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can contact both the base portion 61 and the fastening portion 62 on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62, and the fastening portion ( Even within the space formed inside the 62), both the base portion 61 and the fastening portion 62 can be contacted.
  •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is inserted through the winding center hole C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o couple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plate 50 and the cell terminal 40.
  • the maximum diameter or maximum width of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must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nding center hole C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may be made of boron steel (boron steel) to which a trace amount of boron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0.001 to 0.008 wt% is added. These boron steels have the advantage of having very high hardness and excellent wear resistance.
  • the present inventors discussed the case where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made of aluminum were fastened using a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made of boron steel using a self-piercing rivet method (example) and the case of laser welding.
  • the resistance approximately 0.12 to 0.22 milliohm
  • a 3 mm thick aluminum plate (element 1 corresponding to the cell terminal 40) and a 0.2 mm thick aluminum plate (element 2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were made of boron steel.
  • a rivet (element 3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was prepared. After placing element 2 on the top and element 1 on the bottom, element 3 was introduced into the SPR equipment, and samples were manufactured by applying a fastening pressure of 15 to 25 N and 3 different shapes of jigs (Examples 1 to 2). 6).
  • the SPR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ple was performed using a first aluminum plate instead of the cell terminal 40 and a second aluminum plate instead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 the lower part of the first aluminum plate is supported by a jig (D)
  • a boron steel material replacing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is press-fit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aluminum plate.
  • Press-fitting was performed using a member. Press-fitting using the press-fitting member was performed by inserting the press-fitting member into the blank holder (B) and pressing the press-fitting member downward using a punch (P) from the top of the press-fitting member.
  • Comparative Examples 1 to 3 the same conditions as Examples 1 to 3 were applied, except that NiCu coated boron steel was applied as element 3.
  • the res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element 1) corresponding to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element 2)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was measured. Resistance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Hioki's microresistance meter. As a result of measuring resistance, in Example 1, 0.125 ⁇ 0.008 m ⁇ was measured, in Example 2, 0.134 ⁇ 0.025 m ⁇ , and in Example 3, 0.221 ⁇ 0.047 m ⁇ .
  • Comparative Example 1 0.159 ⁇ 0.018 m ⁇ was measured, in Comparative Example 2, 0.134 ⁇ 0.008 m ⁇ was measured, and in Comparative Example 3, 0.203 ⁇ 0.038 m ⁇ was measured. Additionally, in Comparative Example 4, as mentioned above, a resistance of approximately 0.2 m ⁇ was measured.
  • the case where the mechanical faste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hows a smaller resistance value or Alternatively, it can be seen that it shows a similar level of resistance value. Therefore, considering the problems caused by metal foreign substances that may occur during welding, it can be seen that it may be more advantageous to adopt the mechanical faste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ison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4).
  • Examples 1 to 3 in which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made of boron steel was applied compared to Examples 1 to 3 in which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made of boron steel was applied.
  •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a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with a NiCu co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made of boron steel was applied. In the case of 1 to 3, you can see that the resistance value appears relatively large. Therefore, in terms of the material of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it can be seen that it is desirable to use boron steel.
  • the insulator 7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 the insulator 70 prevents contact between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and the battery can 20.
  • the insulator 70 may also be interposed between the top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side wall of the battery can 20. That is, the insulator 70 may also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ab 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battery can 20.
  •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42 of the cell terminal 40 is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insulator 70. It is coupled to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of (50).
  • the hole formed in the insulator 7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center hole C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dditionally, the hole formed in the insulator 7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 the insulator 70 fills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along the height direction, preventing space for the electrode assembly 10 to flow up and down. In order to prevent this, it may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In another aspect,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or 70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or 70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50. .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is disposed below the electrode assembly 10 . Additionally,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may b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electrode tab 12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battery can 20.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tab 12. Additionally,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an 20.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80 may be interposed and fix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20 and the sealing gasket G2.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80 may be, for exampl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21 provided in the battery can 20 and the sealing gasket G2.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8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electrode tab 12.
  • the second electrode tab 12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80 may be joined by, for example, laser welding.
  • the laser welding may be performed by partially mel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with solder for welding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 It may come true.
  • the solder preferably has a lower melting point compared to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may be coupled to a coupling surface formed by bending an end of the second electrode tab 1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 the second electrode tab 12 may be bent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tab 12 may be, for example, toward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space occupied by the second electrode tab 12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energy density.
  • an increase in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tab 12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80 can result in the effect of improving bonding force and reducing resistance. there is.
  • the current collector plate 80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 are combined within an area where the number of stacks is uniform.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may include a current collector hole 80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center hole C formed in the core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winding center hole C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current collector hole 80a whic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re terminals for coupling between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53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It may function as a passage for inserting a tool for inserting the fastening member 60 and press-fitting the terminal fastening member 60 in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50 and the cell terminal 40.
  • the current collector hole 80a may have a diameter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hole formed in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current collector hole 80a may be used as a passage for injection of electrolyte.
  • the can coupling portion 83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battery can 20 at a plurality of points. In this case, the combined area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80 and the battery can 20 can be maximized, and the current path can be multiplexed, thereby allowing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80 and the battery can 20 ) can minimize the electrical resistance at the binding site.
  • the can coupling portion 83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21, for example.
  • the can coupling portion 83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lat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21 of the battery can 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21 and the sealing gasket. (G2) may be interposed between.
  • the can coupling portion 83 may have a shap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ttery can 20 on the beading portion 21.
  • the maximum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to the end of the second tab coupling portion 82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multiplied by 2 is the length of the beading portion 21.
  • the inner diameter of the battery can 20 in the formed area is substantially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battery can 20. This prevents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s 80 due to the beading portion 21 during the sizing process of compressing the battery can 20 along the height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Z-axis). This is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0 from being pressed by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80.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p plate 30 does not necessarily have polarity.
  •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80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battery can 20, so that the outer surface 20a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is connected to the cell terminal 40.
  • the outer surface 20a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and the cell terminal 40 are used to connect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1. Wiring work such as bus bar connection can be performed at the top.
  • the cell terminal 4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n 20 may function as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may function as a first electrode terminal outside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 the area of the surface 20a occupied by the exposed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may function as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 a first bus bar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4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n 20, and the battery can 20
  • a second bus bar may be coupled to an area of the outer surface 20a of the closed portion occupied by the exposed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 may b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at the top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using a bus bar 150.
  • the number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consider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 the cell terminal 40 may have a positive polarity and the outer surface 20a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may have a negative polarity.
  • 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rows. Columns ar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10 , and rows are in a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10 . Additionally, in order to maximize space efficiency,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1 may be arranged in a closest packing structure. The close packing structure is formed when the centers of the exposed terminal portions 41 of the cell terminal 4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n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equilateral triangle.
  • the bus bar 150 may be disposed on top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 more preferably between adjacent rows. Alternatively, bus bars 150 may be placed between adjacent rows.
  • the bus bar 150 may connect cells 1 arranged in the same row in parallel and connect cylindrical battery cells 1 arranged in two adjacent rows in series.
  • the bus bar 15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51, a plurality of first bus bar terminals 152, and a plurality of second bus bar terminals 153 for serial and parallel connection.
  • the body portion 151 may extend between cell terminals 40 of adjacent cylindrical battery cells 1, preferably between rows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 Alternatively, the body portion 151 may extend along the row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 and be bent regularly, such as in a zigzag shape.
  • the plurality of first bus bar terminals 152 protrude and extend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51 toward the cell terminal 40 of each cylindrical battery cell 1, and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ell terminal 40. there is.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bus bar terminal 152 and the cell terminal 40 may be achieved by laser welding, ultrasonic welding, etc.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second bus bar terminals 153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20a of each cylindrical battery cell 1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51.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second bus bar terminal 153 and the outer surface 20a may be achieved by laser welding, ultrasonic welding, etc.
  • the body portion 151, the plurality of first bus bar terminals 152, and the plurality of second bus bar terminals 153 may be made of one conductive metal plate.
  • the metal plate may be, for example, an aluminum plate or a copper pl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ody portion 151, the plurality of first bus bar terminals 152, and the second bus bar terminals 153 may be manufactured as separate pieces and then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elding or the like.
  • the cell terminal 40 with positive polarity and the outer surface 20a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with negative polarity ar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e bus bar (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1 can be easily implemented using 150).
  • the cell terminal 40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and the outer surface 20a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have a large area, a sufficient coupling area of the bus bar 150 is secured to secure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 can sufficiently lower the resistance of the battery pack containing.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is, for example, a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 a form factor ratio (defined as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divided by the height, i.e. the ratio of the diameter ( ⁇ ) to the height (H)) greater than approximately 0.4. You can.
  • the form factor refers to values representing the diameter and height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 Cylindrical battery cells may be, for example, 46110 cells, 48750 cells, 48110 cells, 48800 cells, or 46800 cells.
  • the first two numbers indicate the diameter of the cell
  • the next two numbers indicate the height of the cell
  • the last number 0 indicates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cell is circular.
  •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 a diameter of approximately 46 mm, a height of approximately 11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approximately 0.418.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 a diameter of approximately 48 mm, a height of approximately 75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approximately 0.640.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 a diameter of approximately 48 mm, a height of approximately 11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approximately 0.418.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 a diameter of approximately 48 mm, a height of approximately 8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approximately 0.600.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 a diameter of approximately 46 mm, a height of approximately 8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approximately 0.575.
  • battery cells with a form factor ratio of approximately 0.4 or less have been used. That is, conventionally, for example, 18650 cells, 21700 cells, etc. were used. For an 18650 cell, its diameter is approximately 18 mm, its height is approximately 65 mm, and the form factor ratio is approximately 0.277. For a 21700 cell, its diameter is approximately 21 mm, its height is approximately 70 mm, and the form factor ratio is approximately 0.300.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resistance is minimized through expansion of the contact area between components, multiplexing of current paths, and minimization of current path length.
  • the AC resistan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measured through a resistance meter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that i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terminal (40) and the outer surface (20a) of the closed portion of the battery can (20) is It may be approximately 4 milliohms (mohm) or less.
  • the battery pack 3 includes a secondary battery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It includes a pack housing (2) that accommodates it.
  • a pack housing (2) that accommodates it.
  • parts such as bus bars, cooling units, and power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ion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pack 3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0 .
  • the vehicle 5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vehicle, or a plug-in hybrid vehicle, and includes a battery pack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 the vehicle 5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pack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econd electrode tab (second uncoated por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은, 제1 극성을 갖는 제1 전극 탭 및 제2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탭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하단에 형성된 개방부 및 상단에 형성된 폐쇄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상기 제2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 캔; 상기 제1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지 캔의 폐쇄부를 통해 상기 전지 캔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지 캔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셀 단자;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측 면인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전극 탭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셀 단자와 결합되는 제1 집전판; 및 상기 셀 단자와 상기 제1 집전판을 기계적으로 체결시키는 단자 체결 부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본 발명은,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종래의 원통형 배터리 셀의 구조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모두 원통형 배터리 셀의 일 측에 인접 배치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2년 03월 08일 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 10-2022-0029614호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 또한 갖기 때문에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 전지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5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 및 전기적 연결 형태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및/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차 전지 셀의 종류로서,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 배터리 셀이 알려져 있다. 원통형 배터리 셀의 경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절연체인 분리막을 개재하고 이를 권취하여 젤리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고, 이를 전해질과 함께 전지 캔 내부에 삽입하여 전지를 구성한다. 그리고 양극 및 음극 각각의 무지부에는 스트립 형태의 전극 탭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전극 탭은 전극 조립체와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참고로, 양극 전극 단자는 전지 캔의 개방구를 밀봉하는 밀봉체의 캡 플레이트이고, 음극 전극 단자는 전지 캔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원통형 배터리 셀에 의하면, 양극 무지부 및/또는 음극 무지부와 결합되는 스트립 형태의 전극 탭에 전류가 집중되기 때문에 저항이 크고 열이 많이 발생하며 집전 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8650이나 21700의 폼 팩터를 가진 소형 원통형 배터리 셀은 저항과 발열이 큰 이슈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원통형 배터리 셀을 전기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해 폼 팩터를 증가시킬 경우, 급속 충전 과정에서 전극 탭 주변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면서 원통형 배터리 셀이 발화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배터리 셀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팩은 다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기적 배선의 비효율성은 전기 자동차의 조립 과정, 그리고 배터리 팩의 유지 보수 시에도 상당한 번거로움을 초래한다.
한편, 최근 원통형 배터리 셀이 전기 자동차에 적용됨에 따라 원통형 배터리 셀의 폼 팩터가 증가하고 있다. 즉, 원통형 배터리 셀의 직경과 높이가 종래의 18650, 21700 등의 폼 팩터를 가진 원통형 배터리 셀에 비해 증가하고 있다. 폼 팩터의 증가는 에너지 밀도의 증가, 열 폭주에 대한 안전성 증대, 그리고 냉각 효율의 향상을 가져온다.
원통형 배터리 셀의 에너지 밀도는 폼 팩터의 증가와 함께 전지 캔 내부의 불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될 때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와 전지 캔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이나 양극판과 음극판으로부터 전류를 집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도 배터리 셀의 용량을 증대시키고 배터리 셀 전체의 저항을 낮출 수 있도록 최적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동일 방향에 적용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배터리 셀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방향에서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지 캔의 폐쇄부의 넓은 면을 전극 단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팩 제조를 위한 버스바 등의 전기적 연결 부품과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가 용접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집전판(제1 집전판)과 셀 단자 간의 결합에 있어서 공정서을 개선시키고 결합부위에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셀 단자(제1 전극 단자)의 상면이 차지하는 면적과 폐쇄부의 외부면(제2 전극 단자)이 차지하는 면적이 버스바와 결합에 충분한 면적이 될 수 있도록 최적 설계를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구조의 개선을 통해 전극 조립체와 집전판(제1 집전판)의 접촉 면적 및/또는 셀 단자와 집전판(제1 집전판)의 접촉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원통형 배터리 셀이 갖는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집전판(제2 집전판)과 전지 캔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전류 패스(path)를 다중화 하고, 접촉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원통형 배터리 셀이 갖는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집전판(제2 집전판)과 전지 캔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전류 패스를 감소시키고, 이로써 원통형 배터리 셀이 갖는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구조 개선 및/또는 셀 단자 높이의 최적 설계 및/또는 전지 캔의 두께의 최적 설계 등을 통해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하고, 이로써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은, 제1 극성을 갖는 제1 전극 탭 및 제2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탭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하단에 형성된 개방부 및 상단에 형성된 폐쇄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상기 제2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 캔; 상기 제1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지 캔의 폐쇄부를 통해 상기 전지 캔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지 캔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셀 단자;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측 면인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전극 탭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셀 단자와 결합되는 제1 집전판; 및 상기 셀 단자와 상기 제1 집전판을 기계적으로 체결시키는 단자 체결 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집전판 및 셀 단자의 내측으로 압입되어 상기 셀 단자와 상기 제1 집전판을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단자 체결 부재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집전판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 집전판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집전판 및 셀 단자의 내측으로 압입되는 체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단자 및 상기 제1 집전판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체결 부재는, 붕소를 0.001wt% 내지 0.008wt% 함유하는 보론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의 외측 및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집전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체결부의 압입에 따라 상기 셀 단자의 내측으로 내일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체결 부재의 최대 직경 또는 최대 폭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중심 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은, 상기 전지 캔의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이로써 극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은, 상기 제2 전극 탭과 상기 전지 캔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집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집전판은, 상기 제2 전극 탭과 결합되는 탭 결합부; 및 상기 전지 캔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캔 결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 결합부는, 상기 전지 캔의 측벽의 내측면 상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지 캔은, 상기 개방부 측에서 상기 전지 캔의 외주면 둘레를 압입하여 형성되는 비딩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캔 결합부는 상기 비딩부의 하면 상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을 복수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상기 배터리 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집전판(제1 집전판)과 셀 단자 간의 결합에 있어서 공정서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결합부위에서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전지 캔 내의 공간 효율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원통형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을 낮추고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전류 패스의 단면적을 확대함으로써 급속 충전 시 생기는 내부 발열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통형 배터리 셀의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을 위한 전기적 배선 작업을 원통형 배터리 셀의 한 쪽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 방향에서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지 캔의 폐쇄부의 넓은 면을 전극 단자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배터리 팩 제조를 위한 버스바 등의 전기적 연결 부품과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가 용접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셀 단자(제1 전극 단자)의 상면이 차지하는 면적과 폐쇄부의 외부면(제2 전극 단자)이 차지하는 면적이 버스바와 결합에 충분한 면적이 될 수 있도록 최적 설계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구조의 개선을 통해 전극 조립체와 집전판(제1 집전판)의 접촉 면적 및/또는 셀 단자와 집전판(제1 집전판)의 접촉 면적을 확대할 수 있고, 이로써 원통형 배터리 셀이 갖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집전판(제2 집전판)과 전지 캔의 전기적 연결 구조의 개선을 통한 전류 패스(path) 다중화가 가능하며, 이들 부품 간의 접촉 면적이 극대화되어 원통형 배터리 셀이 갖는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집전판(제2 집전판)과 전지 캔의 전기적 연결 구조의 개선을 통해 전류 패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원통형 배터리 셀이 갖는 저항을 최소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구조 개선 및/또는 셀 단자 높이의 최적 설계 및/또는 전지 캔의 두께의 최적 설계 등을 통해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선된 구조를 가진 원통형 배터리 셀을 이용하여 제작된 배터리 팩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지부가 절곡된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의 상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체결 부재가 적용된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의 단면도로서,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제1 집전판과 셀 단자를 결합시키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제1 집전판과 셀 단자를 결합시키는 공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집전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의 하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의 하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 복수 개를 버스바를 이용하여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상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2 개의 비교 대상이 동일하다는 언급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질적 동일은 당업계에서 낮은 수준으로 간주되는 편차, 예를 들어 5% 이내의 편차를 가지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영역에서 어떠한 파라미터가 균일하다는 것은 평균적 관점에서 균일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은 전극 조립체(10), 전지 캔(20), 셀 단자(40), 제1 집전판(50) 및 단자 체결 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1)은, 상술한 구성요소들 이 외에도 추가적으로 캡 플레이트(30) 및/또는 인슐레이터(70) 및/또는 절연 가스켓(G1) 및/또는 실링 가스켓(G2) 및/또는 제2 집전판(8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제1 극성을 갖는 제1 전극 탭(11) 및 제2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탭(1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전극 탭(11) 및 제2 전극 탭(12)은 전극 조립체(10)의 높이 방향(Z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 탭(11)은 상방으로, 제2 전극 탭(12)은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 탭(11)은, 전지 캔(20)의 하단에 형성된 개방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폐쇄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제2 전극 탭(12)은 전지 캔(20)의 개방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제1 극성을 갖는 제1 전극, 제2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및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은 양극 또는 음극이고, 제2 전극은 제1 전극과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전극에 해당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예를 들어 젤리-롤(jelly-ro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대략 쉬트 형상을 가진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그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시킨 상태로 적어도 1회 적층하여 형성된 적층체를 코어부를 기준으로 하여 권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처럼 권취된 전극 조립체(10)의 코어부에는 권취 중심 홀(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0)의 외주면 상에는 전지 캔(20)과의 절연을 위해 추가적인 분리막이 구비될 수 있다. 당업계에서 알려진 젤리롤 구조라면 본 발명에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1 전극은, 제1 전극 집전체 및 제1 전극 집전체의 일 면 또는 양 면 상에 도포된 제1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 집전체의 폭 방향(Z축에 나란한 방향) 일 측 단부에는 제1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1 무지부가 존재한다. 전극 탭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제1 무지부를 이하 제1 전극 탭(11)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전극 탭(11)은, 전지 캔(20) 내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10)의 높이 방향(Z축에 나란한 방향) 상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전극 집전체는, 그 폭 방향(Z축에 나란한 방향) 일 측 단부에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X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갖는 제1 무지부, 즉 활물질 층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을 가지며, 이러한 제1 무지부는 분리막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 무지부는, 그 자체로서 전극 탭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제1 전극 탭(11)은, 예를 들어 양극 탭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10)의 예시적 형태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 탭(11)의 적어도 일부는,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분절편(1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분절편(11a)은, 전극 조립체(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밴딩될 수 있다. 밴딩된 상기 복수의 분절편(11a)은, 여러 겹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제1 집전판(50)의 제1 탭 결합부(52)는, 복수의 분절편(11a)이 여러 겹으로 중첩되어 있는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제1 전극 탭(11)의 분절편(11a)의 중첩 레이어 수가 전극 조립체(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대략 최대치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인 적층 수 균일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영역에서는, 중첩 레이어 수가 최대로 유지되므로, 후술할 제1 집전판(50)과 제1 전극 탭(11)의 용접이 이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을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 품질의 향상을 위해 레이저의 출력을 높이는 경우 레이저 빔이 제1 전극 탭(11)을 관통하여 전극 조립체(1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는, 용접 스패터 등의 이물질이 전극 조립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전극은, 제2 전극 집전체 및 제2 전극 집전체의 일 면 또는 양 면 상에 도포된 제2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극 집전체의 폭 방향(Z축에 나란한 방향) 타 측 단부에는 제2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2 무지부가 존재한다. 전극 탭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제2 무지부를 이하 제2 전극 탭(12)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전극 탭(12)은, 전지 캔(20) 내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10)의 높이 방향(Z축에 나란한 방향) 하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2 전극 집전체는, 그 폭 방향(Z축에 나란한 방향) 타 측 단부에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X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갖는 제2 무지부, 즉 활물질 층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을 가지며, 이러한 제2 무지부는 분리막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 전극 탭(12)은, 예를 들어 음극 탭일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제1 전극 탭(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전극 탭(12)의 적어도 일부는,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전극 조립체(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밴딩될 수 있다. 밴딩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여러 겹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제2 집전판(80)의 제2 탭 결합부(82)는, 복수의 분절편이 여러 겹으로 중첩되어 있는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제2 전극 탭(12)의 분절편의 중첩 레이어 수가 전극 조립체(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대략 최대치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인 적층 수 균일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영역에서는, 중첩 레이어 수가 최대로 유지되므로, 후술할 제2 집전판(80)과 제2 전극 탭(12)의 용접이 이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을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 품질의 향상을 위해 레이저의 출력을 높이는 경우 레이저 빔이 제2 전극 탭(12)을 관통하여 전극 조립체(1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는, 용접 스패터 등의 이물질이 전극 조립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지 캔(20)은, 하방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된 대략 원통형의 수용체로서, 예를 들어 금속과 같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지 캔(20)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철(steel)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니켈이 도금된 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철을 기반으로 하는 강성이 우수한 재질이 이용되는 경우, 전지 캔(20)의 강성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할 상기 단자 체결 부재(60)를 이용하여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을 결합시키는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전지 캔(20)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지 캔(20)의 강성이 충분히 확보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로써 상기 전지 캔(20)의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전지 캔(20)은, 하방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며, 전해질도 함께 수용한다.
상기 전지 캔(20)은, 전극 조립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지 캔(20)은, 예를 들어 전극 조립체(10)의 제2 전극 탭(12)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지 캔(20)은, 제2 전극 탭(12)과 동일한 제2 극성을 갖는다.
상기 전지 캔(20)은, 그 하단 부근에 형성된 비딩부(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딩부(21)는, 전지 캔(20)의 개방부 측에서 전지 캔(20)의 외주면 둘레를 압입하여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비딩부(21)가 형성된 영역에서 전지 캔(20)은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로 만입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비딩부(21)는, 전지 캔(20)의 내경과 대략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는 전극 조립체(10)가 전지 캔(20)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며, 캡 플레이트(30)가 안착되는 지지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지 캔(20)의 내측 면 상에서, 비딩부(21)의 상면은 전극 조립체(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 캔(20)의 내측 면 상에서, 비딩부(21)의 하면은 캡 플레이트(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지 캔(20)의 내측 면 상에서, 비딩부(21)의 하면은, 후술할 제2 집전판(80)의 캔 결합부(83)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면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전지 캔(20)은, 비딩부(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클림핑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클림핑부(22)는, 비딩부(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클림핑부(22)는, 비딩부(21)의 하방에 배치되는 캡 플레이트(30)의 외주면, 그리고 캡 플레이트(30)의 하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연장 및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클림핑부(22)는, 캡 플레이트(30) 외에도 실링 가스켓(G2)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캡 플레이트(30)는, 강성 확보를 위해,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30)는, 전지 캔(20)의 하단에 형성된 개방부를 밀폐한다. 상기 캡 플레이트(30)의 하면은, 원통형 배터리 셀(1)의 하면을 이룬다. 본 발명의 원통형 배터리 셀(1)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30)는,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인 경우에도, 극성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극성을 갖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 캡 플레이트(30)가 전극 조립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상기 캡 플레이트(30)가 전극 조립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 캡 플레이트(30)는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30)는, 전극 조립체(10) 및 전지 캔(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으며, 그 재질이 반드시 전도성 금속이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전지 캔(20)이 비딩부(21)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캡 플레이트(30)는, 전지 캔(20)에 형성된 비딩부(21)의 하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캔(20)이 클림핑부(22)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캡 플레이트(30)는, 클림핑부(22)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캡 플레이트(30)의 상면은 비딩부(21)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 및 하면은 비딩부(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30)와 전지 캔(20)의 클림핑부(22) 사이에는 전지 캔(20)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밀 가스켓(G2)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 캔(20)은 비딩부(21) 및/또는 클림핑부(22)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실링 가스켓(90)은 전지 캔(20)의 기밀성 확보를 위해 전지 캔(20)의 개방부 측에 구비된 고정을 위한 구조물과 캡 플레이트(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캡 플레이트(30)는, 전지 캔(20) 내부에 발생된 가스로 인해 내압이 기 설정된 수치를 넘어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벤팅부(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벤팅부(31)는, 캡 플레이트(30) 중 주변 영역과 비교하여 더 얇은 두께를 갖는 영역에 해당한다. 상기 벤팅부(31)는, 주변 영역과 비교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하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1)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지 캔(20)의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벤팅부(31)가 파단되어 전지 캔(20)의 내부에 생성된 가스가 배출된다. 상기 벤팅부(31)는, 예를 들어, 캡 플레이트(30)의 어느 일 면 상에 또는 양 면 상에 노칭(noching)을 하여 부분적으로 전지 캔(20)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부에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모두 존재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로 인해 상부의 구조가 하부의 구조보다 더 복잡하다. 따라서, 상기 전지 캔(20)의 내부에 발생된 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원통형 배터리 셀(1)의 하단에서 전지 캔(20)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30)에 벤팅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 플레이트(30)의 하단부는 전지 캔(20)의 하단부보다 더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전지 캔(20)의 하단부가 지면에 닿거나 또는 모듈이나 팩 구성을 위한 하우징의 바닥면에 닿더라도, 캡 플레이트(30)는 지면 또는 모듈이나 팩 구성을 위한 하우징의 바닥면에 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1)의 무게로 인해 벤팅부(31)의 파단에 요구되는 압력이 설계치와 달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벤팅부(31)의 파단 원활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벤팅부(3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플레이트(30)의 중앙 영역을 둘러싸도록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내압 증가에 따른 벤팅부(31)의 파단의 용이성 측면에서는 캡 플레이트(30)의 중심부로부터 벤팅부(31)에 이르는 거리가 클수록 유리하다. 이는, 동일한 내압이 작용했을 때, 상기 캡 플레이트(30)의 중심점으로부터 벤팅부(31)에 이르는 거리가 커질수록 벤팅부(31)에 작용하는 힘이 커져 파단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벤팅 가스의 배출 원활성의 측면에서도, 캡 플레이트(30)의 중심점으로부터 벤팅부(31)에 이르는 거리가 클수록 벤팅에 의해 개방되는 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유리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상기 벤팅부(31)는, 캡 플레이트(30)의 전체 영역 중에서, 하방(도 8을 기준으로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대략 플랫한 형상을 갖는 중심 영역의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8 및 도 9에서는, 상기 벤팅부(31)가 캡 플레이트(30) 상에 대략 원을 그리며 연속적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벤팅부(31)는 캡 플레이트(30)의 중심점을 내측에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대략 타원형, 또는 그 밖의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팅부(31)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셀 단자(40)는, 상기 제1 전극 탭(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전극 탭(11)과 셀 단자(4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제1 집전판(50)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셀 단자(40)는, 전지 캔(20)의 폐쇄부를 통해 전지 캔(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셀 단자(40)는,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셀 단자(40)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셀 단자(40)의 재질은 알루미늄일 수 있다. 상기 셀 단자(40)의 재질이 알루미늄인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은 셀 단자(40)를 전지 캔(20)의 폐쇄부 내측 면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 가공 및/또는 단자 체결 부재(60)를 이용한 압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셀 단자(40)의 재질이 알루미늄인 경우에 있어서, 가공의 용이성을 극대화하고 또한, 전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10계열의 알루미늄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셀 단자(40)는, 전극 조립체(10)의 제1 전극 탭(11)과 동일하게 제1 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셀 단자(40)는, 본 발명의 원통형 배터리 셀(1)에 있어서 제1 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셀 단자(40)가 이처럼 제1 극성을 갖는 경우, 셀 단자(40)는 제2 극성을 갖는 전지 캔(20)과는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상기 셀 단자(40)와 전지 캔(20) 간의 전기적 절연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셀 단자(40)와 전지 캔(20) 사이에 절연 가스켓(G1)을 개재시킴으로써 절연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셀 단자(40)의 일부에 절연성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절연을 실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셀 단자(40)와 전지 캔(20)의 접촉이 불가능하도록 셀 단자(40)를 구조적으로 단단히 고정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는, 앞서 설명한 방식들 중 복수의 방식을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셀 단자(40)는, 단자 노출부(41) 및 단자 삽입부(42)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삽입부(42)는, 전기적 연결부(42a) 및 플랜지부(4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노출부(41)는, 전지 캔(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단자 노출부(41)는,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자 노출부(41)의 최대 폭은, 셀 단자(40)의 삽입을 위해 전지 캔(20)에 형성된 홀의 최대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삽입부(42)는,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대략 중심부를 통과하며, 상기 단자 삽입부(42)의 전기적 연결부(42a)는, 제1 전극 탭(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셀 단자(40)의 바닥면, 즉 전기적 연결부(42a)으 바닥면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지 캔(20)의 폐쇄부와 대략 나란한 대략 플랫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셀 단자(40)의 바닥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대략 플랫한 형상을 갖는 경우, 셀 단자(40)와 제1 전극 탭(11)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적용되는 제1 집전판(50)과 셀 단자(40) 간의 접촉 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고 이로써 접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전극 조립체(10)와 셀 단자(40) 간의 전기적 연결 부위에서의 접촉 면적의 극대화 및 이로 인한 접촉 저항의 최소화는, 급속 충전에 따른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있어서, 셀 단자(40)와 집전판(50)의 결합 부위에서 원활한 전류 흐름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로써 충전 시간의 단축, 발열량의 감소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단자 삽입부(42)의 플랜지부(42b)는, 상기 전기적 연결부(42a)의 둘레에 형성되며, 전지 캔(20)의 페쇄부의 내부면 상에 리벳(rivet)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자 삽입부(42)의 플랜지부(42b)는,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내부면을 향해 휘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셀 단자(40)의 고정을 위한 리벳팅 공정이 수행된 이 후의 단자 삽입부(42)의 최대 폭은, 단자 삽입부(42)가 통과되도록 전지 캔(20)에 형성된 홀의 최대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삽입부(42)의 전기적 연결부(42a)는 후술할 제1 집전판(5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삽입부(42)의 전기적 연결부(42a)는, 예를 들어 대략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단자 삽입부(42)의 전기적 연결부(42a)의 형상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자 삽입부(42)의 전기적 연결부(42a)는, 예를 들어 단면이 타원의 형상을 갖는 원기둥 형태 또는 사각 기둥 형태 또는 육각 기둥 형태 또는 팔각 기둥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자 삽입부(42)의 전기적 연결부(42a)의 바닥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략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가스켓(G1)은, 전지 캔(20)과 셀 단자(40)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전지 캔(20) 과 셀 단자(40)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대략 플랫한 형상을 갖는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외부면(20a)이 원통형 배터리 셀(1)의 제2 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절연 가스켓(G1)은, 가스켓 노출부(G1A) 및 가스켓 삽입부(G1B)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켓 노출부(G1A)는 셀 단자(40)의 단자 노출부(41)와 전지 캔(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가스켓 노출부(G1A)는, 절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지 캔(20)의 폐쇄부와 대략 나란한 방향을 따라 단자 노출부(41)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원통형 배터리 셀(1)을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가스켓 노출부(G1A)의 일부가 단자 노출부(4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삽입부(G1A)는 셀 단자(40)의 단자 삽입부(42)와 전지 캔(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가스켓 삽입부(G1A)는, 단자 삽입부(42)의 플랜지부(42b)를 이용한 리벳팅(reveting) 시에 함께 변형되어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내측 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절연 가스켓(G1)은, 예를 들어 절연성 및 탄성을 갖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 가스켓(G1)이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절연 가스켓(G1)은 열 융착에 의해 상기 전지 캔(20) 및 셀 단자(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 가스켓(G1)과 셀 단자(40)의 결합 계면 및 절연 가스켓(G1)과 전지 캔(20)의 결합 계면에서의 기밀성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절연 가스켓(G1)의 가스켓 노출부(G1A)는 단자 노출부(41)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갖거나, 또는 단자 노출부(41)의 외주면뿐만 아니라 상면의 일부까지도 커버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연 가스켓(G1)의 가스켓 노출부(G1A)가 단자 노출부(41)의 외주면 및 상면의 일부까지도 커버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셀 단자(40)는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절연 가스켓(G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1)의 상부에서 바라본 전지 캔(20)의 상면 전체 면적 중에서, 상기 셀 단자(40) 및 상기 절연 가스켓(G1)이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전체, 즉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외부면(20a)이 차지하는 영역이 상기 셀 단자(제1 전극 단자)(40)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단자에 해당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집전판(50)은, 전극 조립체(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집전판(50)은, 셀 단자(40)와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집전판(50)은,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반대측 면인 제2 면을 구비하고, 제1 면은 제1 전극 탭(11)과 결합되고, 제2 면은 셀 단자(4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집전판(50)은 전극 조립체(10)의 제1 전극 탭(11)과 셀 단자(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제1 집전판(50)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 전극 탭(11)과 결합된다. 상기 제1 전극 탭(11)이 양극 탭인 경우, 제1 집전판(5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집전판(50)은,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셀 단자(40)의 바닥면, 즉 단자 삽입부(42)의 전기적 연결부(42a)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일부에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내부면과 대략 평행한 평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집전판(50)은 이 평탄부와 결합된다.
상기 제1 집전판(50)은 제1 전극 탭(11)의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전극 탭(11)과 제1 집전판(50) 간의 결합은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용접은, 제1 집전판(50) 모재를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 집전판(50)과 제1 전극 탭(11) 사이에 용접을 위한 솔더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솔더는, 제1 집전판(50)과 제1 전극 탭(11)과 비교하여 더 낮은 융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집전판(50)은, 제1 전극 탭(11)의 단부가 제1 집전판(50)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 면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탭(11)의 절곡은 전극 조립체(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탭(11)의 절곡 방향은, 예를 들어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중심부, 즉 코어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탭(11)이 이처럼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경우, 제1 전극 탭(11)이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되어 에너지 밀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탭(11)이 이처럼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경우, 제1 전극 탭(11)과 제1 집전판(50) 간의 결합 면적의 증가로 인해 결합력 향상 및 저항 감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 탭(11)의 단부가 절곡된 형상을 갖고 제1 집전판(50)이 제1 전극 탭(11)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 면 상에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집전판(50)과 제1 전극 탭(11)의 결합은 적층 수 균일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은, 도 3 및 도 4와 함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집전판(50)의 예시적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와 함께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집전판(50)은, 제1 전극 탭(11)과 결합되는 제1 탭 결합부(52) 및 셀 단자(40)와 결합되는 단자 결합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집전판(50)은, 그 밖에도 테두리부(5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테두리부(51)는, 전극 조립체(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테두리부(51)는, 그 내부에 빈 공간(S)이 형성된 대략 림(rim)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테두리부(51)가 대략 원형의 림 형태를 갖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테두리부(51)는, 도시된 것과는 달리 대략 사각의 림 형태, 육각의 림 형태, 팔각의 림 형태 또는 그 밖의 다른 림 형태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단자 결합부(53)는, 예를 들어, 셀 단자(40)의 바닥면에 형성된 평탄부와의 결합을 위한 면적 확보를 위해 상기 셀 단자(40)의 바닥면에 형성된 평탄부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로써 상기 단자 결합부(53)의 면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탭 결합부(52)는, 테두리부(5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며 제1 전극 탭(11)과 결합된다. 상기 단자 결합부(53)는, 제1 탭 결합부(52)와 이격되어 테두리부(51)의 내측에 위치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단자 결합부(53)는, 셀 단자(40)와 기계적 체결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53)는, 예를 들어 테두리부(51)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공간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53)는, 전극 조립체(10)의 코어부에 형성된 권취 중심 홀(C)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53)는,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중심 홀(C)이 단자 결합부(53)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중심 홀(C)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중심 홀(C)이 가려지는 경우, 홀 내를 통과하는 전해액의 유속으로 인해 홀 내측에 위치하는 분리막이 손상되고, 이로써 전극이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자 결합부(53)는,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중심 홀(C)보다 더 큰 직경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탭 결합부(52)와 단자 결합부(53)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테두리부(51)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 집전판(50)은, 제1 탭 결합부(52)와 단자 결합부(53)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테두리부(51)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연결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원통형 배터리 셀(1)에 충격 및/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1 탭 결합부(52)와 제1 전극 탭(11) 간의 결합 부위와 단자 결합부(53)와 셀 단자(40) 간의 결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제1 탭 결합부(52)가 4개인 경우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탭 결합부(52)의 개수는 형상의 복잡성에 따른 제조의 난이도, 전기 저항, 전해액 함침성을 고려한 테두리부(51) 내측의 공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집전판(50)은, 테두리부(5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며 단자 결합부(53)와 연결되는 브릿지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54)는, 브릿지부(54)의 단면적을 부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형성되는 전류 차단부(N)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차단부(N)의 단면적의 조절은, 예를 들어 브릿지부(54)의 폭 및/또는 두께의 부분적인 감소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전류 차단부(N)가 구비되는 경우, 전류 차단부(N)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전기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써 과전류 발생 시에 신속한 전류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류 차단부(N)는, 브릿지부(54)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형성되는 노치, 홈, 홀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류 차단부(N)는, 파단 시에 발생되는 이물질이 전극 조립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 단락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전극 조립체(10)의 적층 수 균일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 영역에서는 제1 전극 탭(11)의 분절편(11a)(도 2 참조)들의 중첩 레이어 수가 최대로 유지되고, 이로써 중첩된 분절편들이 마스크(mask)로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들 들어, 상기 전류 차단부(N)는, 전극 조립체(10)의 반경 방향의 대략 중심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탭 결합부(5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 탭 결합부(52)는, 테두리부(5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 탭 결합부(52) 각각의 연장 길이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탭 결합부(52)는, 제1 전극 탭(11)과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53)는, 복수의 상기 제1 탭 결합부(52)에 의해 둘러 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53)는, 단자 체결 부재(60)에 의해 셀 단자(4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54)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탭 결합부(5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릿지부(54)로부터 테두리부(5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탭 결합부(52) 중 어느 하나에 이르는 거리는, 브릿지부(54)로부터 테두리부(5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탭 결합부(52) 중 나머지 하나에 이르는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 탭 결합부(52) 각각의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 탭 결합부(52) 각각의 폭 및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브릿지부(54)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브릿지부(54) 각각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탭 결합부(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브릿지부(54)는, 테두리부(5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브릿지부(54) 각각으로부터 테두리부(5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탭 결합부(52) 중 어느 하나에 이르는 거리는, 나머지 하나의 제1 탭 결합부(52)에 이르는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탭 결합부(52) 및/또는 브릿지부(54)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탭 결합부(52)들 간의 거리 및/또는 브릿지부(54)들 간의 거리 및/또는 제1 탭 결합부(52)와 브릿지부(54)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형성되면, 제1 탭 결합부(52)로부터 브릿지부(54)를 향하는 전류 또는 브릿지부(54)로부터 제1 탭 결합부(52)를 향하는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 체결 부재(60)는,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을 결합시킨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 간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지 않고 체결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는 기계적 체결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 간의 결합을 위해 용접을 적용하는 경우, 용접 스패터(spatter)(레이저 용접의 경우)나 스플레쉬(splash)가 발생하여 전극 조립체(10)의 내부로 금속 이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금속 이물은, 전해액이 주액되면 전해액을 따라 이동하다가 내부 단락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을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기계적 체결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은, 셀 단자(40)가 전지 캔(20)의 폐쇄부 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에 따라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 간의 결합을 위한 공정이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중심 홀(C)을 통해서 도 5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 간의 결합을 위해 용접을 적용하는 경우 권취 중심 홀(C)의 내부에서 용접 스패터나 스플레쉬에 의한 금속 이물로 인해 권취 중심 홀(C)의 내벽면을 구성하는 분리막을 손상시킬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원통형 배터리 셀(1) 구조를 고려할 때,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 간의 결합에 기계적 체결 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그 의미가 크다. 상기 단자 체결 부재(60)는, 예를 들어 SPR(셀프 피어싱 리벳: Self Percing Rivet) 방식으로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단자 체결 부재(60)는, 제1 집전판(50)과 셀 단자(40)의 내측으로 압입되어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을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단자 체결 부재(60)는, 베이스부(61) 및 체결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61)는, 제1 집전판(50)과 대략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62)는, 베이스부(61)로부터 제1 집전판(50)을 향해 연장되어 제1 집전판(50)의 표면으로부터 제1 집전판(50) 및 셀 단자(40)의 내측으로 압입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62)는, 제1 집전판(50)에 구비된 단자 결합부(53)의 하면(단자 결합부(53)의 양 면 중 권취 중심 홀(C)의 내측을 향하는 면) 및 셀 단자(40)의 바닥면에 압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집전판(50)의 단자 결합부(53)는 압입 과정에서 셀 단자(40)의 바닥면을 통해 내측으로 파고 들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집전판(50)은 셀 단자(40)와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 하면서 셀 단자(4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체결 부재(60)의 체결부(62)는 셀 단자(40)의 바닥 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압입된 위치에서 단자 결합부(53)를 관통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달리 상기 단자 체결 부재(60)의 체결부(62)는, 최대 압입 깊이에 이르기까지 제1 집전판(50)을 관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62)는, 그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빈 공간을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둘러싸는 측벽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62)의 외측 및 내측에서 제1 집전판(50)의 적어도 일부가 체결부(62)의 압입에 따라 셀 단자(40)의 바닥면으로부터 셀 단자(40)의 내측으로 내입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체결 부재(60)에 의한 압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집전판(50)은 체결부(62)의 외측에서 베이스부(61) 및 체결부(62)와 모두 접할 수 있고 체결부(6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도 베이스부(61) 및 체결부(62)와 모두 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체결 부재(60)는,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중심 홀(C)을 통해 삽입되어 제1 전극 집전판(50)과 셀 단자(40)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권취 중심 홀(C) 내에는 단자 체결 부재(60)의 삽입을 가이드 하고 또한 권취 중심 홀(C)의 내벽면을 이루는 분리막의 보호를 위한 블랭크 홀더(B)를 먼저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단자 체결 부재(60)의 최대 직경 또는 최대 폭은,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중심 홀(C)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단자 체결 부재(60)는, 대략 0.001~0.008wt% 범위의 미량의 붕소가 첨가된 보론강(붕소강) 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보론강은, 경도가 매우 높은 편이어서 내마모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알루미늄 소재의 셀 단자(40) 및 제1 집전판(50)을, 보론강 소재의 단자 체결 부재(60)를 이용하여 셀프 피어싱 리벳 방식으로 체결한 경우(실시예)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체결한 경우(비교예)에 있어서, 제1 집전판(50)의 제1 탭 결합부(52) 와 셀 단자(40)의 상면 사이에서 측정되는 저항(대략 0.2 미리옴)과 비교하여 단자 체결 부재(60)의 바닥면과 셀 단자(40)의 상면 사이에서 측정되는 저항(대략 0.12~0.22 미리옴)이 더 낮거나 또는 유사한 수준인 것을 확인하였다.
SPR 체결 테스트를 위해, 3mm 두께의 알루미늄 플레이트(셀 단자(40)에 대응되는 요소1) 및 0.2mm 두께의 알루미늄 플레이트(제1 집전판(50)에 대응되는 요소2), 그리고 보론강으로 제작된 리벳(단자 체결 부재(60)에 대응되는 요소3)을 준비하였다. 상기 요소2를 상부에 놓고 요소1을 하부에 위치시킨 뒤, SPR 설비 내에 요소3을 투입하여 15~25N의 체결 압력 및 서로 상이한 3가지 형상의 지그를 적용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실시예1~6).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샘플의 제조를 위한 공정이 나타나 있다. 상기 샘플의 제조를 위한 SPR 공정은, 셀 단자(40)를 대신하는 제1 알루미늄 플레이트와 제1 집전판(50)을 대신하는 제2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상기 제1 알루미늄 플레이트와 제2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겹쳐놓은 상태에서 제1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그(D)로 지지하고 제2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단자 체결 부재(60)를 대신하는 보론강 소재의 압입 부재를 이용하여 압입을 수행하였다. 상기 압입 부재를 이용한 압입은, 블랭크 홀더(B) 내에 압입 부재를 투입하고 압입 부재의 상부로부터 펀치(P)를 이용하여 압입 부재를 하방으로 누르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실시예 1):
실시예 1~3의 경우, SPR 체결 테스트를 위해, 3mm 두께의 알루미늄 플레이트(셀 단자(40)에 대응되는 요소1) 및 0.2mm 두께의 알루미늄 플레이트(제1 집전판(50)에 대응되는 요소2), 그리고 보론강으로 제작된 리벳(단자 체결 부재(60)에 대응되는 요소3)을 준비하였다. 상기 요소2를 상부에 놓고 요소1을 하부에 위치시킨 뒤, SPR 설비 내에 요소3을 투입하여 15~25N의 체결 압력 및 서로 상이한 3가지 형상의 지그를 적용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비교예 1~3의 경우, 요소3으로서 NiCu 코팅 보론강을 적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1~3과 각각 동일한 조건을 적용하였다.
비교예 4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소1과 요소2의 결합을 위해 SPR 방식의 적용 대신 레이저 용접 방식을 적용하였다.
(저항 테스트):
각각의 실험예에 있어서, 셀 단자(40)에 대응되는 알루미늄 플레이트(요소1)의 표면과 제1 집전판(50)에 대응되는 알루미늄 플레이트(요소2)의 표면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였다. 저항의 측정은 Hioki의 미세저항 측정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저항의 측정 결과, 실시예 1의 경우 0.125±0.008mΩ 이 측정되었고, 실시예 2의 경우 0.134±0.025mΩ 이 측정되었으며, 실시예 3의 경우 0.221±0.047mΩ 이 측정되었다.
한편, 비교예 1의 경우 0.159±0.018mΩ 이 측정되었고, 비교예 2의 경우 0.134±0.008mΩ 이 측정되었으며, 비교예 3의 경우 0.203±0.038mΩ 이 측정되었다. 또한, 비교예 4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략 0.2 mΩ 수준의 저항이 측정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의 결합에 있어서 레이저 용접을 적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기계적 체결 방식을 적용한 경우가 더 작은 저항 값을 나타내거나 또는 유사한 수준의 저항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시에 발생될 수 있는 금속 이물로 인한 문제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기계적 체결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실시예1~3과 비교예4의 비교). 한편, 보론강 재질이 적용된 단자 체결 부재(60)를 적용한 실시예1~3과 비교하여 보론강 재질의 단자 체결 부재(60)의 표면에 NiCu 코팅층이 형성된 단자 체결 부재(60)를 적용한 비교예 1~3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항 값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체결 부재(60)의 재질의 측면에서는 보론강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슐레이터(70)는, 전극 조립체(10)의 상부에 결합된 제1 집전판(50)과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내측 면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인슐레이터(70)는, 제1 집전판(50)과 전지 캔(20) 사이의 접촉을 방지한다. 상기 인슐레이터(70)는, 그 밖에도 전극 조립체(10)의 외주면의 상단과 전지 캔(20)의 측벽 사이에도 개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슐레이터(70)는, 제1 전극 탭(11)과 전지 캔(20)의 측벽의 내측면 사이에도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이 인슐레이터(70)를 구비하는 경우, 셀 단자(40)의 단자 삽입부(42)는 인슐레이터(7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1 집전판(50)의 단자 결합부(53)와 결합된다. 상기 인슐레이터(70)에 형성된 홀은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중심 홀(C)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70)에 형성된 홀은, 제1 집전판(50)의 단자 결합부(5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70)는,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내부면과 제1 집전판(50) 사이의 공간을 높이 방향을 따라 채워 전극 조립체(10)가 상하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내부면과 제1 집전판(50)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인슐레이터(70)의 상부면은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내부면에 접촉하고, 인슐레이터(70)의 하부면은 제1 집전판(50)의 상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집전판(80)은, 전극 조립체(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집전판(80)은, 전극 조립체(10)의 제2 전극 탭(12)과 전지 캔(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집전판(80)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 전극 탭(12)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집전판(80)은, 전지 캔(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집전판(80)은, 전지 캔(20)의 내측 면과 실링 가스켓(G2)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집전판(80)은, 예를 들어 전지 캔(20)에 구비된 비딩부(21)의 하면과 실링 가스켓(G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2 집전판(80)은 제2 전극 탭(12)의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전극 탭(12)과 제2 집전판(80) 간의 결합은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용접은, 제2 집전판(80) 모재를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방식을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2 집전판(80)과 제2 전극 탭(12) 사이에 용접을 위한 솔더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솔더는 제2 집전판(80)과 제2 전극 탭(12)과 비교하여 더 낮은 융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집전판(80)은, 제2 전극 탭(12)의 단부가 제2 집전판(80)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 면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탭(12)의 절곡은, 전극 조립체(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탭(12)의 절곡 방향은, 예를 들어 전극 조립체(10)의 코어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탭(12)이 이처럼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경우, 제2 전극 탭(12)이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되어 에너지 밀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 탭(12)이 이처럼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경우, 제2 전극 탭(12)과 제2 집전판(80) 간의 결합 면적의 증가로 인해 결합력 향상 및 저항 감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극 탭(12)의 단부가 절곡된 형상을 갖고 제2 집전판(80)이 제2 전극 탭(12)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 면 상에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2 집전판(80)과 제2 전극 탭(12)의 결합은 적층 수 균일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제2 집전판(80)은, 전극 조립체(10)의 코어부에 형성되는 권취 중심 홀(C)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집전판 홀(80a)을 구비할 수 있다. 서로 연통되는 상기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중심 홀(C)과 집전판 홀(80a)은, 셀 단자(40)와 제1 집전판(50)의 단자 결합부(53) 간의 결합을 위한 단자 체결 부재(60)의 삽입 및 단자 체결 부재(60)를 제1 집전판(50)과 셀 단자(40)에 압입시키기 위한 도구를 삽입하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고려하여, 상기 집전판 홀(80a)은,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중심부에 형성된 홀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집전판 홀(80a)은, 전해액의 주입을 위한 통로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상기 캔 결합부(83)은 전지 캔(20)과 복수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집전판(80)과 전지 캔(20)의 결합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전류 패스(path)를 다중화 할 수 있고, 이로써 제2 집전판(80)과 전지 캔(20)이 결합 부위에서의 전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캔 결합부(83)는, 예를 들어 비딩부(21)의 하면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캔 결합부(83)는, 전지 캔(20)에 형성된 비딩부(21)의 하면에 형성된 평탄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비딩부(21)의 하면과 실링 가스켓(G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정적인 접촉 및 결합을 위해 캔 결합부(83)는 비딩부(21) 상에서 전지 캔(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집전판(80)의 중심부에서 전극 조립체(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제2 탭 결합부(82)의 단부에 이르는 최대 거리에 2를 곱한 길이는, 비딩부(21)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전지 캔(20)의 내경, 즉 전지 캔(20)의 최소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지 캔(20)을 높이 방향(Z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압축시키는 사이징 공정 진행 시에 비딩부(21)에 의해 제2 집전판(80) 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제2 집전판(80)에 의해 전극 조립체(10)가 눌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캡 플레이트(30)가 반드시 극성을 갖지 않아도 무방한 구조이다. 상기 캡 플레이트(30)가 극성을 갖지 않는 경우, 제2 집전판(80)이 전지 캔(20)의 측벽에 연결되어 있어서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외부면(20a)이 셀 단자(40)와는 반대의 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하고자 할 때,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외부면(20a)과 셀 단자(40)를 이용하여 원통형 배터리 셀(1)의 상부에서 버스바 연결 등의 배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 공간에 탑재할 수 있는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의 수를 증가시켜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적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에 있어서, 전지 캔(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셀 단자(40)는 제1 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전지 캔(20)의 페쇄부의 외부면(20a) 중 제1 전극 단자의 상면과 대략 평행한 노출면이 차지하는 영역은 제2 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전지 캔(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셀 단자(40)의 상면에는 제1 버스바가 결합될 수 있고,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외부면(20a) 중 제1 전극 단자의 상면과 대략 평행한 노출면이 차지하는 영역에는 제2 버스바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은 버스바(150)를 이용하여 원통형 배터리 셀(1)의 상부에서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의 수는 배터리 팩의 용량을 고려하여 증감될 수 있다.
각 원통형 배터리 셀(1)에 있어서, 셀 단자(40)는 양의 극성을 가지고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외부면(20a)은 음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은 복수의 열과 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열은 도 1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이고, 행은 도 10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이다. 또한, 공간 효율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은 최밀 팩킹 구조(closest packing structure)로 배치될 수 있다. 최밀 팩킹 구조는, 전지 캔(20)의 외부로 노출된 셀 단자(40)의 단자 노출부(41)들의 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있어서 정삼각형이 만들어질 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버스바(150)는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의 상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버스바(150)는 인접하는 행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바(150)는, 동일 열에 배치된 셀(1)들을 서로 병렬로 연결시키고, 인접하는 2개의 열에 배치된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을 서로 직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버스바(150)는, 직렬 및 병렬 연결을 위해 바디부(151), 복수의 제1 버스바 단자(152) 및 복수의 제2 버스바 단자(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51)는, 인접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의 셀 단자(40)들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의 열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바디부(151)는,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의 열을 따라 연장되되, 지그재그 형상과 같이 규칙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버스바 단자(152)는, 바디부(151)의 일측으로부터 각 원통형 배터리 셀(1)의 셀 단자(40)를 향해 돌출 연장되고, 셀 단자(40)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버스바 단자(152)와 셀 단자(40) 간의 전기적 결합은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버스바 단자(153)는 바디부(151)의 타측으로부터 각 원통형 배터리 셀(1)의 외부면(20a)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스바 단자(153)와 외부면(20a) 간의 전기적 결합은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부(151), 복수의 제1 버스바 단자(152) 및 복수의 제2 버스바 단자(153)는 하나의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판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판 또는 구리 판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형 예에서, 상기 바디부(151), 복수의 제1 버스바 단자(152) 및 제2 버스바 단자(153)는 별개의 피스 단위로 제작한 후 서로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은, 양의 극성을 가진 셀 단자(40)와 음의 극성을 가진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외부면(20a)이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버스바(150)를 이용하여 원통형 배터리 셀(1)들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배터리 셀(1)의 셀 단자(40)와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외부면(20a)은 면적이 넓으므로 버스바(150)의 결합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원통형 배터리 셀(1)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통형 배터리 셀은, 예를 들어 폼 팩터의 비(원통형 배터리 셀의 직경을 높이로 나눈 값, 즉 높이(H) 대비 직경(Φ)의 비로 정의됨)가 대략 0.4 보다 큰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여기서, 폼 팩터란, 원통형 배터리 셀의 직경 및 높이를 나타내는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은, 예를 들어 46110 셀, 48750 셀, 48110 셀, 48800 셀, 46800 셀일 수 있다. 폼 팩터를 나타내는 수치에서, 앞의 숫자 2개는 셀의 직경을 나타내고, 그 다음 숫자 2개는 셀의 높이를 나타내고, 마지막 숫자 0은 셀의 단면이 원형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6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11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대략 0.418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75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대략 0.640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11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대략 0.418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8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대략 0.600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6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8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대략 0.575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종래에는, 폼 팩터의 비가 대략 0.4 이하인 배터리 셀들이 이용되었다. 즉, 종래에는, 예를 들어 18650 셀, 21700 셀 등이 이용되었다. 18650셀의 경우, 그 직경이 대략 1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65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대략 0.277이다. 21700 셀의 경우, 그 직경이 대략 21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7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대략 0.300이다.
본 발명의 원통형 배터리 셀(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부품 간의 접촉 면적 확대, 전류 패스(path)의 다중화, 전류 패스 길이의 최소화 등을 통해 저항이 최소화된 구조를 갖는다. 제품의 완성 후 양극과 음극 사이, 즉 셀 단자(40)의 상면과 전지 캔(20)의 폐쇄부의 외부면(20a) 사이에서의 저항 측정기를 통해 측정되는 원통형 배터리 셀(1)의 AC 저항은 대략 4밀리옴(mohm) 이하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3)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차전지 집합체 및 이를 수용하는 팩 하우징(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 11에서는, 도면 도시의 편의상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 냉각 유닛, 전력 단자 등의 부품은 생략되었다. 상기 배터리 팩(3)의 제조를 위한 복수의 배터리 셀(1)들의 전기적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5)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3)을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3)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5: 자동차
3: 배터리 팩
2: 팩 하우징
1: 원통형 배터리 셀
150: 버스바
151: 바디부
152: 제1 버스바 단자
153: 제2 버스바 단자
10: 전극 조립체
C: 권취 중심 홀(코어 홀)
11: 제1 전극 탭(제1 무지부)
11a: 분절편
12: 제2 전극 탭(제2 무지부)
20: 전지 캔
20a: 폐쇄부의 외부면(제2 전극 단자)
21: 비딩부
22: 클림핑부
30: 캡 플레이트
31: 벤팅부
40: 셀 단자(제1 전극 단자)
41: 단자 노출부
42: 단자 삽입부
42a: 전기적 연결부
42b: 플랜지부
G1: 절연 가스켓
G1A: 가스켓 노출부
G1B: 가스켓 삽입부
50: 제1 집전판
51: 테두리부
52: 제1 탭 결합부
53: 단자 결합부
54: 브릿지부
N: 전류 차단부
60: 단자 체결 부재
61: 베이스부
62: 체결부
70: 인슐레이터
80: 제2 집전판
80a: 집전판 홀
82: 제2 탭 결합부
83: 캔 결합부
H: 주액 홀
W: 용접 패턴
G2: 실링 가스켓

Claims (15)

  1. 제1 극성을 갖는 제1 전극 탭 및 제2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탭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하단에 형성된 개방부 및 상단에 형성된 폐쇄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상기 제2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 캔;
    상기 제1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지 캔의 폐쇄부를 통해 상기 전지 캔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지 캔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셀 단자;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측 면인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전극 탭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셀 단자와 결합되는 제1 집전판; 및
    상기 셀 단자와 상기 제1 집전판을 기계적으로 체결시키는 단자 체결 부재;
    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집전판 및 셀 단자의 내측으로 압입되어 상기 셀 단자와 상기 제1 집전판을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체결 부재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집전판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 집전판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집전판 및 셀 단자의 내측으로 압입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단자 및 상기 제1 집전판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체결 부재는,
    붕소를 0.001wt% 내지 0.008wt% 함유하는 보론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외측 및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집전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체결부의 압입에 따라 상기 셀 단자의 내측으로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체결 부재의 최대 직경 또는 최대 폭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권취 중심 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은,
    상기 전지 캔의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이로써 극성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은, 상기 제2 전극 탭과 상기 전지 캔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집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전판은,
    상기 제2 전극 탭과 결합되는 탭 결합부; 및
    상기 전지 캔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캔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캔 결합부는,
    상기 전지 캔의 측벽의 내측면 상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캔은,
    상기 개방부 측에서 상기 전지 캔의 외주면 둘레를 압입하여 형성되는 비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캔 결합부는,
    상기 비딩부의 하면 상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을 복수개 포함하는 배터리 팩.
  15. 제14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PCT/KR2023/002982 2022-03-08 2023-03-03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17199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767092.2A EP4354631A1 (en) 2022-03-08 2023-03-03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ell,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CN202380012593.0A CN117597826A (zh) 2022-03-08 2023-03-03 圆柱形二次电池电芯、以及包括其的电池组和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614 2022-03-08
KR1020220029614A KR20230132286A (ko) 2022-03-08 2022-03-08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1991A1 true WO2023171991A1 (ko) 2023-09-14

Family

ID=8793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2982 WO2023171991A1 (ko) 2022-03-08 2023-03-03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54631A1 (ko)
KR (1) KR20230132286A (ko)
CN (1) CN117597826A (ko)
WO (1) WO202317199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8392A (ja) * 2011-05-27 2012-12-13 Toyota Motor Corp 電池端子の接合方法
JP2014229570A (ja) * 2013-05-24 2014-12-08 日東精工株式会社 端子部材
US20200044289A1 (en) * 2017-05-02 2020-02-06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features and components
KR102260835B1 (ko) * 2016-09-20 2021-06-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US20210280835A1 (en) * 2020-03-03 2021-09-09 Zhuhai Cosmx Battery Co., Ltd. Housing assembly of button cell, button cell and electronic product
KR20220029614A (ko) 2020-08-18 2022-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8392A (ja) * 2011-05-27 2012-12-13 Toyota Motor Corp 電池端子の接合方法
JP2014229570A (ja) * 2013-05-24 2014-12-08 日東精工株式会社 端子部材
KR102260835B1 (ko) * 2016-09-20 2021-06-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US20200044289A1 (en) * 2017-05-02 2020-02-06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features and components
US20210280835A1 (en) * 2020-03-03 2021-09-09 Zhuhai Cosmx Battery Co., Ltd. Housing assembly of button cell, button cell and electronic product
KR20220029614A (ko) 2020-08-18 2022-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54631A1 (en) 2024-04-17
CN117597826A (zh) 2024-02-23
KR20230132286A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58863A2 (ko)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3042948A2 (ko) 다공성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2177378A1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7222296A1 (ko) 이차 전지
WO2016010294A1 (ko) 중공형 이차전지
WO2022177377A1 (ko)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1145624A1 (ko) 전극 탭 절곡 장치 및 방법
WO2017188533A1 (ko) 멤브레인을 갖는 이차 전지
WO2022191683A1 (ko) 버스바 어셈블리, 이러한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2177371A1 (ko)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171991A1 (ko)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75523A1 (ko) 원통형 배터리 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및 자동차 및 집전판
WO2023096062A1 (ko) 전극 단자의 리벳팅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77360A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63540A1 (ko) 배터리의 제조방법
WO2023013933A1 (ko)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77179A2 (ko)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4019592A1 (ko) 전극 단자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77376A1 (ko)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4014939A1 (ko)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235096A1 (ko) 버스바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77362A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146306A1 (ko) 이차전지용 충방전 장치
WO2022149964A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2177379A1 (ko)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670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80012593.0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7670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7670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