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40537A1 -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40537A1
WO2023140537A1 PCT/KR2023/000113 KR2023000113W WO2023140537A1 WO 2023140537 A1 WO2023140537 A1 WO 2023140537A1 KR 2023000113 W KR2023000113 W KR 2023000113W WO 2023140537 A1 WO2023140537 A1 WO 20231405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oth
contact portion
transparent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01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디에스
Priority to CN202380013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979919A/zh
Publication of WO20231405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405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Definitions

  •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More specifically,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with excellent orthodontic effe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s are less inconvenient in daily life and aesthetic, but are unsanitary due to multiple use, and have a large amount of movement per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so pain and inconvenience in use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new digital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based on 3D scanning and 3D printing is to acquire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patient's teeth with a scanner, move the virtual teeth step by step through CAD work to the extent that there is no orthodontic strain in the desired direction, and then set up the virtual tooth model. Since this method does not use a physical tooth model, it is easy to chang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set-up virtual teeth little by little, and has advantages of less deformation and precision when manufacturing an actual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with excellent orthodontic effect.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provides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a tooth contact surface configured concavely and a tooth non-contact surface configured convexly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its lower end is located inside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its upper end.
  • the tooth contact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opposite to that of the side surface of the natural tooth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natural tooth.
  •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includes a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and a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arranged to face the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inner tooth contact portion and the outer tooth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concave tooth contact surface and a convex tooth non-contact surface, respectively.
  • One of the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ooth contact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act as an action unit for moving teeth, and the other may act as a fixing unit for fixing teeth.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may further include a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
  • the upper tooth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upper opening.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may not include a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
  • the tooth side contact part may include a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art, but may not include a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art.
  • the tooth side surface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but may not include a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ncludes a tooth side contact portion, and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is arrang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and is configured to be concave. It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ncluding a step (S10) including a tooth contact surface configured to be convex.
  •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with an upper portion at least partially open may be printed.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may further include a step (S20) of print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with the entire top closed in step S10, and in this case, at least partially opening the top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dhesion to all parts of tee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rthodontic effect.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the upper end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of FIG.
  •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b is a plan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of Figure 4a.
  • 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of Figure 4a.
  • Figure 5b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of Figure 4a.
  •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b is a plan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of Figure 6a.
  •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b is a plan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of Figure 7a.
  • 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B is a plan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of FIG. 8A.
  •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B is a plan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of FIG. 9A.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a tooth side contact portion
  •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i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tooth contact surface configured concavely and a tooth non-contact surface configured convexly.
  • tooth side contacting portion means a portion that contacts the side of a tooth.
  • tooth inner side contacting portion means a portion that contacts the lingual side of the tooth.
  • tooth outer side contacting portion means a portion that contacts the buccal side of the tooth.
  • tooth contacting portion means a surface that contacts teeth.
  • tooth non-contacting portion means a surface that does not contact teeth.
  • vertical line refers to a straight lin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gravity wh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placed horizontally on a flat ground in an attitud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mounted on the teeth.
  •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includes a tooth side contact part 11 and a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art 12 .
  •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11 includes a lower side portion 11a and an upper side portion 11b.
  •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11 is configured such that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its upper end also passes through its lower end. Specifically,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11 is configured to have a vertical line contacting both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11b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side 11a.
  • the tooth upper contact portion 12 includes an upper central portion 12a and an upper side side portion 12b.
  • the upper side surface 11b, the upper surface central portion 12a, and the upper surface side surface 12b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TE, but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surface 11a does no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TE and is spaced apart. Therefore, wh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is mounted on the teeth TE, the upper side 11b pushes the upper side of the tooth TE, but the lower side 11a does not push the lower side of the tooth 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ince the tooth cannot be moved as a whole, only the upper part of the tooth moves and the lower part cannot move, so there is a problem that orthodontic treatment is not performed as originally intended and rather the alignment of the teeth is misaligned.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20 includes a tooth side contact part 21 and a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art 22 .
  •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21 may include a tooth contact surface S1 and a tooth non-contact surface S2.
  • the tooth contact surface (S1) and the tooth non-contact surface (S2)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 the tooth contact surface S1 may be disposed on the tooth TE side
  • the tooth non-contact surface S2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ooth TE.
  • the tooth contact surface (S1) is configured concave
  • the tooth non-contact surface (S2) may be configured convex
  • the tooth contact surface S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opposite to that of the side surface of the natural tooth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natural tooth.
  •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21 may include a lower side 21a and an upper side 21b.
  •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2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s lower end is located on the inside of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its upper end (ie, on the tooth contact surface S1 side). Specifically,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21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side 21a is located inside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21b.
  • the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 22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central portion 22a and an upper surface side portion 22b.
  • the upper tooth contact portion 22 may include at least one upper opening portion h, h1, h2, h3.
  •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ide surface 21b and the upper side surface 22b may be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cerbical ridge of natural teeth.
  • the upper side surface 21b, the upper surface central portion 22a, and the upper surface side portion 22b as well as the lower side surface 21a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TE. Therefore, wh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20 is mounted on the tooth TE, the upper side 21b pushes the upper side of the tooth 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side 21a also pushes the lower side of the tooth 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teeth is performed as a whole,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eeth move together, so that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as originally intended.
  •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21 and the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 22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sic tooth side contact portions and a plurality of basic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s that are separately formed for each tooth and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color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materials, manufacturing methods and colors.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20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 and/or convex structure on the lower side surface 21a for detachment from and/or pressing toward the natural teeth.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the upper end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20 of FIG. 2
  •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the upper end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20 of FIG. 2
  •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may be manufactured by cutting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20 shown in FIG. 2 along the cutting line CL.
  • the cutting line CL may be a line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height of the maximum bulge of natural teeth.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includes a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30-1, a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30-2, and a connection portion 30-3.
  • the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30-2 may be arranged to face the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30-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inner tooth contact portion 30-1 and the outer tooth contact portion 30-2 may include a concave tooth contact surface and a convex tooth non-contact surface, respectively.
  •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nner tooth contact portion 30-1 and the outer tooth contact portion 30-2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of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11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20 shown in FIG. 2,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 the connecting portion 30-3 serves to connect the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30-1 and the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30-2 to each other.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may not include a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 Specifically,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may be open except for the connecting portion 30-3. That is,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may include an upper opening (h) extending in a U shape on the upper surface.
  •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of FIG. 4A
  •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ther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of FIG. 4A
  • FIGS.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of FIG. 4A is mounted on teeth.
  • 5A and 5B TE represents teeth and GI represents gums.
  • either one of the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30-1 and the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30-2 acts as an action unit for moving the teeth, and the other one fixes the teeth. It may be configured to act as a fixing unit.
  • the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30-1 may act as an action unit and the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30-2 may act as a fixing portion.
  • the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30-1 may act as a fixing portion and the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30-2 may act as an action portion.
  • the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30-1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tooth TE.
  •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4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B is a plan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40 of FIG. 6A.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40 includes a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40-1, a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40-2, a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 40-3 and a connecting portion 40-4.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40 of FIGS. 6A and 6B may include one upper tooth contact portion 40-3 at a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connection portions 40-4, one at each end.
  •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5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B is a plan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50 of FIG. 7A.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50 includes a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50-1, a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50-2, a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 50-3, 50-4 and a connecting portion 50-5.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50 of FIGS. 7A and 7B includes two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s 50-3 and 50-4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two connecting portions 50-5, one at each end.
  • 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6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B is a plan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60 of FIG. 8A.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60 includes a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but does not include a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 and a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That is,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60 may be configured only with the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of the tooth.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6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a lingual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that is inserted only on the lingual side of a dental arch to correct teeth.
  •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60 may be titaniu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70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B is a plan view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70 of FIG. 9A.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70 includes a tooth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but does not include a tooth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 and a tooth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That is,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70 may be configured only with the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of the teeth.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7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a buccal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that is inserted only into the buccal side of a dental arch to correct teeth.
  • the aforementioned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s 20 to 70 may have a thickness of 0.2 to 2 mm (eg, 0.2 to 0.5 mm). Therefor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s 20 to 70 are thin and can reduce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patient when mounted on the patient's teeth.
  • the term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 (ie, tooth-side surface) and the outer wall (ie, tooth-side surface).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ncludes printing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using a 3D printer (S10).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may include a tooth side contact portion.
  • the tooth side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tooth contact surface and a tooth non-contact surface.
  • the tooth contact surface and the tooth non-contact surface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That is, the tooth contact surface may be an inner surface and the tooth non-contact surface may be an outer surface.
  • the tooth contact surface may be concave, and the tooth non-contact surface may be convex.
  •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with an upper portion at least partially open may be printed.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whose entire top is closed is printed, and in this case, a step (S20) of at least partially opening the top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30 shown in FIG. 2 is printed with a 3D printer and then cut along the cutting line CL to produce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with an upper portion at least partially open.
  • the cutting line CL may be a lin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maximum bulge of the natural tooth.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may manufacture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a thickness of 0.2 to 2 mm (eg, 0.2 to 0.5 mm). Therefor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can provide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that can reduce the foreign body feeling felt by the patient when mounted on the patient's teeth due to its thin thickness.
  •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dhesion to teeth, it is very likely to be used in the orthodontic field by improving the orthodontic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교정 효과가 우수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기존의 부착식 치아 교정 장치에 비해서 일상생활의 불편함이 적고 심미적이나, 여러번 사용하여 비위생적이며,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당 이동량이 많아 통증 및 사용상의 불편함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3D 스캐닝과 3D 프린팅에 기반한 새로운 디지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작 방식은 환자 치열의 3차원 영상을 스캐너로 얻고, CAD 작업을 통하여 이동하고 싶은 방향으로 교정적으로 무리가 되지 않을 정도로 단계적으로 가상 치아들을 이동시켜 가상 치아모델을 set up 한 후, 물리적 치아모델을 제작하지 않고 3D 프린터로 set up 된 가상 치아모델에 맞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바로 제작해서 환자에게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물리적인 치아모델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set up 된 가상 치아의 이동량을 조금씩 변경하기가 용이하며 실제 투명 교정 장치의 제작시 변형이 적고 정밀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치아 교정 효과가 우수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아 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그 하단부가 그 상단부를 지나는 수직선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 접촉면은 자연 치아의 측면부 전체와 밀착 가능하도록 자연 치아의 측면부 형상과 반대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와 서로 이격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 치아 외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각각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 중 어느 하나는 치아를 이동시키는 액션부로 작용하고, 다른 하나는 치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상면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상면 접촉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상면 접촉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는 포함하되,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포함하되, 치아 내측면 접촉부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프린팅하는 단계(S10)로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하는 단계(S10)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S10)에서 상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인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S10)에서 상부 전체가 폐쇄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인쇄되고, 이 경우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의 전 부분과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치아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상단부를 절개하여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타측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6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치아 측면 접촉부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로서,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아 측면 접촉부(tooth side contacting portion)"란 치아의 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아 내측면 접촉부(tooth inner side contacting portion)"란 치아의 설측 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아 외측면 접촉부(tooth outer side contacting portion)"란 치아의 협측 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아 접촉면(tooth contacting portion)"이란 치아에 접촉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아 비접촉면(tooth non-contacting portion)"이란 치아에 접촉하지 않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수직선"이란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치아에 장착되는 자세(attitude)로 평평한 지면과 수평하게 놓여져 있을 때 중력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직선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는 치아 측면 접촉부(11) 및 치아 상면 접촉부(12)를 포함한다.
치아 측면 접촉부(11)는 측면 하부(11a) 및 측면 상부(11b)를 포함한다.
또한, 치아 측면 접촉부(11)는 그 상단부를 지나는 수직선이 그 하단부도 지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 측면 접촉부(11)는 측면 상부(11b)의 상단부 및 측면 하부(11a)의 하단부와 모두 접촉하는 수직선이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치아 상면 접촉부(12)는 상면 중앙부(12a) 및 상면 측부(12b)를 포함한다.
측면 상부(11b), 상면 중앙부(12a) 및 상면 측부(12b)는 치아(TE)와 밀착되어 있지만, 측면 하부(11a)는 적어도 일부분이 치아(TE)와 밀착되지 못하고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를 치아(TE)에 장착할 경우, 측면 상부(11b)가 치아(TE)의 측면 상부는 밀어내지만 측면 하부(11a)는 치아(TE)의 측면 하부를 수평방향으로 밀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치아의 이동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치아의 상부만 이동하고 하부는 이동하지 못하여 당초 목표대로 치아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치열이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는 치아 측면 접촉부(21) 및 치아 상면 접촉부(22)를 포함한다.
치아 측면 접촉부(21)는 치아 접촉면(S1) 및 치아 비접촉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아 접촉면(S1) 및 치아 비접촉면(S2)은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 접촉면(S1)은 치아(TE) 쪽에 배치되고, 치아 비접촉면(S2)은 치아(TE)의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치아 접촉면(S1)은 오목하게 구성되고, 치아 비접촉면(S2)은 볼록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치아 접촉면(S1)은 자연 치아의 측면부 전체와 밀착 가능하도록 자연 치아의 측면부 형상과 반대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치아 측면 접촉부(21)는 측면 하부(21a) 및 측면 상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아 측면 접촉부(21)는 그 하단부가 그 상단부를 지나는 수직선의 내측(즉, 치아 접촉면(S1)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 측면 접촉부(21)는 측면 하부(21a)의 하단부가 측면 상부(21b)의 상단부를 지나는 수직선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치아 상면 접촉부(22)는 상면 중앙부(22a) 및 상면 측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아 상면 접촉부(22)는, 도 4a, 도 4b,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개방부(h, h1, h2, h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상부(21b)와 상면 측부(22b)의 경계부는 자연 치아의 최대풍융부(cerbical ridge)에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측면 상부(21b), 상면 중앙부(22a) 및 상면 측부(22b) 뿐만 아니라 측면 하부(21a)도 치아(TE)와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를 치아(TE)에 장착할 경우, 측면 상부(21b)가 치아(TE)의 측면 상부를 수평방향으로 밀어내고 이와 동시에 측면 하부(21a)도 치아(TE)의 측면 하부를 수평방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치아의 이동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져서 치아의 상부와 하부가 함께 이동하여 당초 목표대로 치아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치아 측면 접촉부(21) 및 치아 상면 접촉부(22)는 각각 치아별로 구분되게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기본 치아 측면 접촉부 및 복수개의 기본 치아 상면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의 재질, 제조방법 및 색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 제조방법 및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는 측면 하부(21a)에 자연 치아로부터의 탈착 및/또는 자연 치아쪽으로의 가압을 위한 오목 및/또는 볼록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의 상단부를 절개하여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를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하여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를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선(CL)는 자연 치아의 최대풍융부의 상단 높이에 대응되는 선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 및 연결부(30-3)을 포함한다.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와 서로 이격되게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 및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는 각각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 및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도 2에 도시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의 치아 측면 접촉부(11)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부(30-3)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와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는 치아 상면 접촉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는 연결부(30-3)를 제외하고는 상면 전체가 개방된 것일 수 있다. 즉,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는 상면에 하나의 U자 형상으로 연장된 상부 개방부(h)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의 일측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의 타측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TE는 치아를 나타내고, GI은 잇몸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 및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 중 어느 하나는 치아를 이동시키는 액션부로 작용하고, 다른 하나는 치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가 액션부로 작용하고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가 고정부로 작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는 상대적으로 강성은 낮고 탄성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는 상대적으로 강성은 높고 탄성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가 고정부로 작용하고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가 액션부로 작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는 치아(TE)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40)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40)의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40)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40-1), 치아 외측면 접촉부(40-2), 치아 상면 접촉부(40-3) 및 연결부(40-4)를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40)가 도 4a 및 도 4b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와 다른 점은 상부 개방부(h1, h2)가 1개가 아닌 2개로 나뉘어져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투명 치아 교정 장치(40)는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에 1개의 치아 상면 접촉부(40-3)를 포함하고, 양단부에 하나씩 2개의 연결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50)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50)의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50)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50-1), 치아 외측면 접촉부(50-2), 치아 상면 접촉부(50-3, 50-4) 및 연결부(50-5)를 포함한다.
도 7a 및 도 7b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50)가 도 4a 및 도 4b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와 다른 점은 상부 개방부(h1, h2, h3)가 1개가 아닌 3개로 나뉘어져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투명 치아 교정 장치(50)는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치아 상면 접촉부(50-3, 50-4)를 포함하고, 양단부에 하나씩 2개의 연결부(5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의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는 포함하되, 치아 상면 접촉부 및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포함하지 않는다. 즉,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는 치열궁(dental)의 설측(lingual side)에만 삽입되어 치아를 교정하는 설측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의 재질은 티타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6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70)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70)의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70)는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포함하되, 치아 상면 접촉부 및 치아 내측면 접촉부는 포함하지 않는다. 즉, 투명 치아 교정 장치(70)는 치아 외측면 접촉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70)는 치열궁(dental)의 협측(buccal side)에만 삽입되어 치아를 교정하는 협측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들(20~70)은 두께가 0.2~2mm(예를 들어, 0.2~0.5mm)일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들(20~70)은 두께가 얇아 환자의 치아에 장착될 경우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줄여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두께”란 내벽(즉, 치아쪽 표면)과 외벽(즉, 치아의 반대쪽 표면)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프린팅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측면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접촉면 및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접촉면 및 상기 치아 비접촉면은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치아 접촉면은 내표면이고 상기 치아 비접촉면은 외표면일 수 있다.
상기 치아 접촉면은 오목하게 구성되고, 상기 치아 비접촉면은 볼록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S10)에서 상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0)에서 상부 전체가 폐쇄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인쇄되고, 이 경우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를 3D 프린터로 인쇄한 후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하여 상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선(CL)는 자연 치아의 최대풍융부의 상단 높이에 대응되는 선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은 두께가 0.2~2mm(예를 들어, 0.2~0.5mm)인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은 두께가 얇아 환자의 치아에 장착될 경우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줄여줄 수 있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와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치아 교정 효과를 향상시켜 치아 교정 분야에서 활용가능성이 매우 큰 것이다.

Claims (13)

  1. 치아 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그 하단부가 그 상단부를 지나는 수직선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접촉면은 자연 치아의 측면부 전체와 밀착 가능하도록 자연 치아의 측면부 형상과 반대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와 서로 이격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 치아 외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각각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 중 어느 하나는 치아를 이동시키는 액션부로 작용하고, 다른 하나는 치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작용하도록 구성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치아 상면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상면 접촉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개방부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치아 상면 접촉부를 포함하지 않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는 포함하되,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포함하지 않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포함하되, 치아 내측면 접촉부는 포함하지 않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
  11.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프린팅하는 단계(S10)로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하는 단계(S10)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에서 상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인쇄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에서 상부 전체가 폐쇄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인쇄되고, 이 경우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단계(S20)를 더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
PCT/KR2023/000113 2021-10-14 2023-01-03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314053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380013733.6A CN117979919A (zh) 2021-10-14 2023-01-03 透明正畸装置及其制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36826 2021-10-14
KR1020220008530A KR102538373B1 (ko) 2021-10-14 2022-01-20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2-0008530 2022-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537A1 true WO2023140537A1 (ko) 2023-07-27

Family

ID=8609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0113 WO2023140537A1 (ko) 2021-10-14 2023-01-03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2538373B1 (ko)
CN (1) CN117979919A (ko)
WO (1) WO202314053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6162B1 (ja) * 2013-03-29 2013-12-11 忠輝 平久 矯正歯科用リテーナー
KR101676205B1 (ko) * 2015-12-31 2016-11-15 이민정 투명교정기 제조방법
KR101913572B1 (ko) * 2016-05-02 2018-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059310B1 (ko) * 2019-11-05 2019-12-24 주식회사 리얼라이너 투명 교정 장치 및 투명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027574A (ko) * 2014-11-12 2020-03-12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절연된 세그먼트를 갖는 치열 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194B2 (ja) * 1991-12-10 2000-07-24 三井化学株式会社 歯列保護矯正具の製造法およびそのための予備成形体
EP1286627B1 (en) * 2000-04-25 2016-10-26 Align Technology, Inc. Embedded features of a dental appliance
KR20120076416A (ko)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KR101510857B1 (ko) * 2014-02-28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교정장치
CN110418622B (zh) * 2017-03-15 2022-01-18 3M创新有限公司 可移除的正畸器具系统
KR101884138B1 (ko) * 2017-12-08 2018-08-29 비즈텍코리아 주식회사 치아 교정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6162B1 (ja) * 2013-03-29 2013-12-11 忠輝 平久 矯正歯科用リテーナー
KR20200027574A (ko) * 2014-11-12 2020-03-12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절연된 세그먼트를 갖는 치열 교정기
KR101676205B1 (ko) * 2015-12-31 2016-11-15 이민정 투명교정기 제조방법
KR101913572B1 (ko) * 2016-05-02 2018-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059310B1 (ko) * 2019-11-05 2019-12-24 주식회사 리얼라이너 투명 교정 장치 및 투명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373B1 (ko) 2023-06-08
KR20230098552A (ko) 2023-07-04
KR20230053481A (ko) 2023-04-21
CN117979919A (zh) 2024-05-03
KR20230095883A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12341A1 (ko) 투명 치아 교정장치
WO2020009307A1 (ko)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를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WO2020162730A1 (ko)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인체의 해부학적 위치 및 평면 분석과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WO2023140537A1 (ko)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160004A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WO2021006701A1 (ko) 스캔데이터 정합용 식별타겟 및 이를 이용한 스캔데이터 정합 방법
WO2016027949A1 (ko)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WO2012169685A1 (ko) 치과 기공용 아티큘레이터
WO2018044093A1 (ko) 칫솔모 변형이 가능한 칫솔
WO2021256620A1 (ko)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WO2011155746A2 (ko)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WO2015178616A1 (ko) 가이드라인이 구비된 치과 보철 제작용 템플레이트
WO2022250282A1 (ko) 치열 교정 기구를 설계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0122565A1 (ko) 접착식 리테이너
WO2019039766A2 (ko) 피부의 세포운동을 위해 마이크로 전류를 인가하는 피부 부착물용 연결장치
WO2018147633A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밀 시술을 위한 유도 부싱 어셈블리
WO2022071694A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WO2020122566A1 (ko) 가철식 리테이너
WO2021112393A1 (ko) 체액 관찰 기기
WO2022177147A1 (ko)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WO2022177146A1 (ko)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WO2020032556A1 (ko)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WO2020075883A1 (ko) 조립 블록 결합 구조
WO2022050482A1 (ko) 환자 맞춤형 급속 상악 확장기
WO2023282409A1 (ko) 치아우식 진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433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80013733.6

Country of ref document: 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