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373B1 -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373B1
KR102538373B1 KR1020220008530A KR20220008530A KR102538373B1 KR 102538373 B1 KR102538373 B1 KR 102538373B1 KR 1020220008530 A KR1020220008530 A KR 1020220008530A KR 20220008530 A KR20220008530 A KR 20220008530A KR 102538373 B1 KR102538373 B1 KR 10253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contact portion
orthodontic appliance
transparent orthodontic
surfac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481A (ko
Inventor
박성원
Original Assignee
박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원 filed Critical 박성원
Priority to PCT/KR2023/00011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40537A1/ko
Priority to CN202380013733.6A priority patent/CN117979919A/zh
Publication of KR2023005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481A/ko
Priority to KR1020230067303A priority patent/KR2023009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교정 효과가 우수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기존의 부착식 치아 교정 장치에 비해서 일상생활의 불편함이 적고 심미적이나, 여러번 사용하여 비위생적이며,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당 이동량이 많아 통증 및 사용상의 불편함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3D 스캐닝과 3D 프린팅에 기반한 새로운 디지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작 방식은 환자 치열의 3차원 영상을 스캐너로 얻고, CAD 작업을 통하여 이동하고 싶은 방향으로 교정적으로 무리가 되지 않을 정도로 단계적으로 가상 치아들을 이동시켜 가상 치아모델을 set up 한 후, 물리적 치아모델을 제작하지 않고 3D 프린터로 set up 된 가상 치아모델에 맞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바로 제작해서 환자에게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물리적인 치아모델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set up 된 가상 치아의 이동량을 조금씩 변경하기가 용이하며 실제 투명 교정 장치의 제작시 변형이 적고 정밀한 이점을 갖는다.
한국 공개특허 10-2018-0063022 (2018.06.11 출원공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치아 교정 효과가 우수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아 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그 하단부가 그 상단부를 지나는 수직선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 접촉면은 자연 치아의 측면부 전체와 밀착 가능하도록 자연 치아의 측면부 형상과 반대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와 서로 이격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 치아 외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각각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 중 어느 하나는 치아를 이동시키는 액션부로 작용하고, 다른 하나는 치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상면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상면 접촉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상면 접촉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는 포함하되,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포함하되, 치아 내측면 접촉부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프린팅하는 단계(S10)로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하는 단계(S10)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S10)에서 상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인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S10)에서 상부 전체가 폐쇄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인쇄되고, 이 경우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의 전 부분과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치아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상단부를 절개하여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타측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6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아 측면 접촉부(tooth side contacting portion)"란 치아의 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아 내측면 접촉부(tooth inner side contacting portion)"란 치아의 설측 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아 외측면 접촉부(tooth outer side contacting portion)"란 치아의 협측 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아 접촉면(tooth contacting portion)"이란 치아에 접촉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아 비접촉면(tooth non-contacting portion)"이란 치아에 접촉하지 않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수직선"이란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치아에 장착되는 자세(attitude)로 평평한 지면과 수평하게 놓여져 있을 때 중력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직선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는 치아 측면 접촉부(11) 및 치아 상면 접촉부(12)를 포함한다.
치아 측면 접촉부(11)는 측면 하부(11a) 및 측면 상부(11b)를 포함한다.
또한, 치아 측면 접촉부(11)는 그 상단부를 지나는 수직선이 그 하단부도 지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 측면 접촉부(11)는 측면 상부(11b)의 상단부 및 측면 하부(11a)의 하단부와 모두 접촉하는 수직선이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치아 상면 접촉부(12)는 상면 중앙부(12a) 및 상면 측부(12b)를 포함한다.
측면 상부(11b), 상면 중앙부(12a) 및 상면 측부(12b)는 치아(TE)와 밀착되어 있지만, 측면 하부(11a)는 적어도 일부분이 치아(TE)와 밀착되지 못하고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를 치아(TE)에 장착할 경우, 측면 상부(11b)가 치아(TE)의 측면 상부는 밀어내지만 측면 하부(11a)는 치아(TE)의 측면 하부를 수평방향으로 밀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치아의 이동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치아의 상부만 이동하고 하부는 이동하지 못하여 당초 목표대로 치아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치열이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는 치아 측면 접촉부(21) 및 치아 상면 접촉부(22)를 포함한다.
치아 측면 접촉부(21)는 치아 접촉면(S1) 및 치아 비접촉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아 접촉면(S1) 및 치아 비접촉면(S2)은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 접촉면(S1)은 치아(TE) 쪽에 배치되고, 치아 비접촉면(S2)은 치아(TE)의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치아 접촉면(S1)은 오목하게 구성되고, 치아 비접촉면(S2)은 볼록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치아 접촉면(S1)은 자연 치아의 측면부 전체와 밀착 가능하도록 자연 치아의 측면부 형상과 반대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치아 측면 접촉부(21)는 측면 하부(21a) 및 측면 상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아 측면 접촉부(21)는 그 하단부가 그 상단부를 지나는 수직선의 내측(즉, 치아 접촉면(S1)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 측면 접촉부(21)는 측면 하부(21a)의 하단부가 측면 상부(21b)의 상단부를 지나는 수직선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치아 상면 접촉부(22)는 상면 중앙부(22a) 및 상면 측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아 상면 접촉부(22)는, 도 4a, 도 4b,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개방부(h, h1, h2, h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상부(21b)와 상면 측부(22b)의 경계부는 자연 치아의 최대풍융부(cerbical ridge)에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측면 상부(21b), 상면 중앙부(22a) 및 상면 측부(22b) 뿐만 아니라 측면 하부(21a)도 치아(TE)와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를 치아(TE)에 장착할 경우, 측면 상부(21b)가 치아(TE)의 측면 상부를 수평방향으로 밀어내고 이와 동시에 측면 하부(21a)도 치아(TE)의 측면 하부를 수평방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치아의 이동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져서 치아의 상부와 하부가 함께 이동하여 당초 목표대로 치아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치아 측면 접촉부(21) 및 치아 상면 접촉부(22)는 각각 치아별로 구분되게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기본 치아 측면 접촉부 및 복수개의 기본 치아 상면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의 재질, 제조방법 및 색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 제조방법 및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는 측면 하부(21a)에 자연 치아로부터의 탈착 및/또는 자연 치아쪽으로의 가압을 위한 오목 및/또는 볼록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의 상단부를 절개하여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를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하여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를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선(CL)는 자연 치아의 최대풍융부의 상단 높이에 대응되는 선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 및 연결부(30-3)을 포함한다.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와 서로 이격되게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 및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는 각각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 및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도 2에 도시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20)의 치아 측면 접촉부(11)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부(30-3)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와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는 치아 상면 접촉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는 연결부(30-3)를 제외하고는 상면 전체가 개방된 것일 수 있다. 즉,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는 상면에 하나의 U자 형상으로 연장된 상부 개방부(h)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의 일측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의 타측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는 도 4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TE는 치아를 나타내고, GI은 잇몸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 및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 중 어느 하나는 치아를 이동시키는 액션부로 작용하고, 다른 하나는 치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가 액션부로 작용하고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가 고정부로 작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는 상대적으로 강성은 낮고 탄성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는 상대적으로 강성은 높고 탄성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가 고정부로 작용하고 치아 외측면 접촉부(30-2)가 액션부로 작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치아 내측면 접촉부(30-1)는 치아(TE)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40)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40)의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40)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40-1), 치아 외측면 접촉부(40-2), 치아 상면 접촉부(40-3) 및 연결부(40-4)를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40)가 도 4a 및 도 4b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와 다른 점은 상부 개방부(h1, h2)가 1개가 아닌 2개로 나뉘어져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투명 치아 교정 장치(40)는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에 1개의 치아 상면 접촉부(40-3)를 포함하고, 양단부에 하나씩 2개의 연결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50)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50)의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50)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50-1), 치아 외측면 접촉부(50-2), 치아 상면 접촉부(50-3, 50-4) 및 연결부(50-5)를 포함한다.
도 7a 및 도 7b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50)가 도 4a 및 도 4b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와 다른 점은 상부 개방부(h1, h2, h3)가 1개가 아닌 3개로 나뉘어져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투명 치아 교정 장치(50)는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치아 상면 접촉부(50-3, 50-4)를 포함하고, 양단부에 하나씩 2개의 연결부(5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의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는 포함하되, 치아 상면 접촉부 및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포함하지 않는다. 즉,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는 치열궁(dental)의 설측(lingual side)에만 삽입되어 치아를 교정하는 설측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60)의 재질은 티타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6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70)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70)의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70)는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포함하되, 치아 상면 접촉부 및 치아 내측면 접촉부는 포함하지 않는다. 즉, 투명 치아 교정 장치(70)는 치아 외측면 접촉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70)는 치열궁(dental)의 협측(buccal side)에만 삽입되어 치아를 교정하는 협측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들(20~70)은 두께가 0.2~2mm(예를 들어, 0.2~0.5mm)일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들(20~70)은 두께가 얇아 환자의 치아에 장착될 경우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줄여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두께”란 내벽(즉, 치아쪽 표면)과 외벽(즉, 치아의 반대쪽 표면)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프린팅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측면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접촉면 및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접촉면 및 상기 치아 비접촉면은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치아 접촉면은 내표면이고 상기 치아 비접촉면은 외표면일 수 있다.
상기 치아 접촉면은 오목하게 구성되고, 상기 치아 비접촉면은 볼록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S10)에서 상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0)에서 상부 전체가 폐쇄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인쇄되고, 이 경우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30)를 3D 프린터로 인쇄한 후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하여 상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선(CL)는 자연 치아의 최대풍융부의 상단 높이에 대응되는 선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은 두께가 0.2~2mm(예를 들어, 0.2~0.5mm)인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은 두께가 얇아 환자의 치아에 장착될 경우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줄여줄 수 있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70: 투명 치아 교정 장치 11, 21: 치아 측면 접촉부
11a, 21a: 측면 하부 11b, 21b: 측면 상부
12, 22, 40-3, 50-3, 50-4: 치아 상면 접촉부
12a, 22a: 상면 중앙부 12b, 22b: 상면 측부
30-1, 40-1, 50-1: 치아 내측면 접촉부
30-2, 40-2, 50-2: 치아 외측면 접촉부
h, h1, h2, h3: 상부 개방부 TE: 치아
GI: 잇몸

Claims (13)

  1. 치아 측면 접촉부; 및
    치아 상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와 서로 이격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 치아 외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 중 어느 하나는 치아를 이동시키는 액션부로 작용하고, 다른 하나는 치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 중 다른 하나 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은 높고 탄성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상면 접촉부는 두께가 0.2mm 내지 2mm이고,
    티타늄을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상면 접촉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상부 개방부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그 하단부가 그 상단부를 지나는 수직선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4. 제1항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접촉면은 자연 치아의 측면부 전체와 밀착 가능하도록 자연 치아의 측면부 형상과 반대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5. 제1항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는 각각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프린팅하는 단계(S10); 및
    상기 단계(S10)에서 상부 전체가 폐쇄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인쇄되고, 이 경우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단계(S20)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측면 접촉부 및 치아 상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치아 접촉면 및 볼록하게 구성된 치아 비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는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와 서로 이격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 치아 외측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 중 어느 하나는 치아를 이동시키는 액션부로 작용하고, 다른 하나는 치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치아 내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외측면 접촉부 중 다른 하나 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은 높고 탄성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치아 상면 접촉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상부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측면 접촉부 및 상기 치아 상면 접촉부는 두께가 0.2mm 내지 2mm이고, 티타늄을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상면 접촉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상부 개방부를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20008530A 2021-10-14 2022-01-20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3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0113 WO2023140537A1 (ko) 2021-10-14 2023-01-03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202380013733.6A CN117979919A (zh) 2021-10-14 2023-01-03 透明正畸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0230067303A KR20230095883A (ko) 2021-10-14 2023-05-24 투명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826 2021-10-14
KR20210136826 2021-10-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303A Division KR20230095883A (ko) 2021-10-14 2023-05-24 투명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481A KR20230053481A (ko) 2023-04-21
KR102538373B1 true KR102538373B1 (ko) 2023-06-08

Family

ID=8609847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530A KR102538373B1 (ko) 2021-10-14 2022-01-20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30067303A KR20230095883A (ko) 2021-10-14 2023-05-24 투명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30082075A KR20230098552A (ko) 2021-10-14 2023-06-26 투명 치아교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303A KR20230095883A (ko) 2021-10-14 2023-05-24 투명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30082075A KR20230098552A (ko) 2021-10-14 2023-06-26 투명 치아교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2538373B1 (ko)
CN (1) CN117979919A (ko)
WO (1) WO2023140537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6052A (ja) 2000-04-25 2012-05-24 Align Technology Inc 弾性率器具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366162B1 (ja) * 2013-03-29 2013-12-11 忠輝 平久 矯正歯科用リテーナー
KR101510857B1 (ko) * 2014-02-28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교정장치
KR101884138B1 (ko) 2017-12-08 2018-08-29 비즈텍코리아 주식회사 치아 교정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13572B1 (ko) * 2016-05-02 2018-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059310B1 (ko) * 2019-11-05 2019-12-24 주식회사 리얼라이너 투명 교정 장치 및 투명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
JP2020511224A (ja) 2017-03-15 2020-04-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取り外し可能な歯列矯正器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194B2 (ja) * 1991-12-10 2000-07-24 三井化学株式会社 歯列保護矯正具の製造法およびそのための予備成形体
KR20120076416A (ko)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US10111730B2 (en) * 2014-11-12 2018-10-30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ligner with isolated segments
KR101676205B1 (ko) * 2015-12-31 2016-11-15 이민정 투명교정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6052A (ja) 2000-04-25 2012-05-24 Align Technology Inc 弾性率器具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366162B1 (ja) * 2013-03-29 2013-12-11 忠輝 平久 矯正歯科用リテーナー
KR101510857B1 (ko) * 2014-02-28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교정장치
KR101913572B1 (ko) * 2016-05-02 2018-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JP2020511224A (ja) 2017-03-15 2020-04-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取り外し可能な歯列矯正器具システム
KR101884138B1 (ko) 2017-12-08 2018-08-29 비즈텍코리아 주식회사 치아 교정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59310B1 (ko) * 2019-11-05 2019-12-24 주식회사 리얼라이너 투명 교정 장치 및 투명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537A1 (ko) 2023-07-27
KR20230095883A (ko) 2023-06-29
CN117979919A (zh) 2024-05-03
KR20230053481A (ko) 2023-04-21
KR20230098552A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38127S1 (en) Interproximal dental tool
USD558347S1 (en) Periodontal scaling tip for ultrasonic dental handpiece
CN108697490A (zh) 具有重新定位颌元件的牙科器具
USD925922S1 (en) Oral care implement
US20090158543A1 (en) Toothbrush
CA103765S (en) Dental center incorporating electric tooth brush and dental water jet
USD538936S1 (en) Probe
USD523145S1 (en)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prosthetic
KR20120065929A (ko) 복개식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다기능 칫솔 구조
CA96826S (en) Tooth brush
US7351060B2 (en) Abutment for dental implant
JP2013515525A (ja) 歯がため
CN207949917U (zh) 一种正畸微种植体植入用手术导板
CN101896134A (zh) 牙科器械
KR102538373B1 (ko) 투명 치아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D994344S1 (en) Oral care implement
US4519109A (en) Tooth brush
USD946901S1 (en) Toothbrush
USD452566S1 (en) Full arch dental model base having a double row of apertures
USD487314S1 (en) Set of posterior teeth
USD994345S1 (en) Oral care implement
USD994343S1 (en) Oral care implement
CN209645100U (zh) 一种排牙器和排牙套盒
JP2009201842A (ja) 歯茎用マッサージ具
USD453731S1 (en) Desktop electrical charging unit for medical diagnostic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