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40423A1 - 셀레콕시브를 함유하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셀레콕시브를 함유하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40423A1
WO2023140423A1 PCT/KR2022/003960 KR2022003960W WO2023140423A1 WO 2023140423 A1 WO2023140423 A1 WO 2023140423A1 KR 2022003960 W KR2022003960 W KR 2022003960W WO 2023140423 A1 WO2023140423 A1 WO 20231404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
celecoxib
absorbable suture
weight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39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어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어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어팜텍
Publication of WO20231404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40423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able suture containing celecoxib in an absorbable polym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 suture is used as a thread for suturing a body part damaged by surgery or the like, and a human body part is sutured with the suture by connecting an injection needle to an end of the suture and penetrating a part of the body through the suture.
  • Sutures are divided into non-absorbable sutures, which are remov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surgery, and absorbable sutures that are biodegraded and disappea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human body.
  • Absorbable sutures do not require a separate procedure for removal, and are naturally decomposed and disappear. Due to their convenience, absorbable sutures have recently been widely used, and their market share is increasing worldwide.
  • Sutures are divided into a monofilament structure of a single structure and a multifilament structure of a complex structure. In the case of a multifilament suture, flexibility is secured. On the other hand, sutures need to maintain knot strength and elongation above a certain level in order to firmly seal and maintain damaged parts of the human body. Absorbable sutures using absorbable polymers may have lower strength than non-absorbable sutures due to their natural decomposi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 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sorbable suture capable of imparting an anti-inflammatory effect to the skin in addition to being decomposed in the bod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n absorbable suture that can release celecoxib continuously and in an appropriate amount even after a long time after suture treatment by including celecoxib on the inside as well as on the surface of the su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sorbable suture that can prevent deterioration in knot strength, elongation, etc., which ar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of an absorbable su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le including celecoxib in the absorbable suture.
  • Absorbable su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oly L-lactic acid (PLLA, Poly[L-Lactic Acid]), polylactic acid (PLA, Poly[Lactic Acid]),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polycaprolactone (PCL, Poly[ ⁇ -carprolactone]), polyglycolic acid (PGA, Poly[glycolic acid]), polyglycolic acid caprolactone (PGCL) , Poly[glycolic Acid-co- ⁇ -carprolactone), Poly[L-lactic-co-glycolic Acid (PLGA), Poly L-lactic acid caprolactone copolymer (PLCL, Poly[L-lactide-co- ⁇ -caprolactone]), Polydioxanone caprolactone copolymer (PDCL, Poly[p-dioxanone-co- ⁇ -caprolactone]), and polydioxanone L-lactic acid copolymer
  • the absorbable suture may be composed of a monofilament, and the celecoxib may be distributed inside and on the surface of the monofilament.
  • the celecoxib in the range of 0.5% by weight or more to less than 5.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absorbable suture.
  • the celecoxib in the range of 0.5% by weight or more to 4.0%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the absorbable suture.
  • the celecoxib in the range of 0.5% by weight or more to 3.0%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the absorbable suture.
  • the absorbable suture may have a 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 of 40% or more to 90% or less 2 weeks after implantation.
  • BSR breaking strength retention
  • the absorbent polymer is composed of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and the melting index (MI) of the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is 2 g / 10 min or mor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18 g / 10 min or less.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able su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poly L-lactic acid (PLLA, Poly[L-Lactic Acid]), poly(PLA, Poly[Lactic Acid]),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polycaprolactone (PCL, Poly[ ⁇ -carprolactone]), polyglycolic acid (PGA, Poly[glycolic acid]), polyglycolic acid capro Lactone (PGCL, Poly[glycolic Acid-co- ⁇ -carprolactone), Poly[L-lactic-co-glycolic Acid (PLGA, Poly[L-lactic-co-glycolic Acid), Poly L-lactic acid caprolactone copolymer (PLCL, Poly[L-lactide-co- ⁇ -caprolactone]), polydioxanone caprolactone copolymer (PDCL, Poly[p-dioxanone-co- ⁇ -caprolactone]),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celecoxib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1 ⁇ m to 400 ⁇ m.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celecoxib ranges from 1 ⁇ m to 300 ⁇ m, and the absorbable suture may contain the celecoxib in an amount of 0.5% by weight or more to 4.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bsorbable suture.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celecoxib ranges from 1 ⁇ m to 300 ⁇ m, and the absorbable suture may contain the celecoxib in an amount of 0.5% by weight or more to 3.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bsorbable suture.
  • the absorbent polymer is composed of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and the melting index (MI) of the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is 2 g / 10 min or mor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18 g / 10 min or less.
  • the step of introducing the absorbent polymer raw material into a spinning chamber at a pressure of 85 to 115 bar and a temperature range of 135 ° C to 185 ° C, and melting the introduced absorbent polymer while rotating a screw inside the spinning chamber wherein the mix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bsorbent polymer is completely melted, the celecoxib is introduced and mixed, and the spinning step is carried out at 150 ° C. It may be characterized by spinning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range of 200 ° C. and the pressure range of 15 bar to 50 bar are adjusted.
  • the stretching step may include a first stretching step of stretching at a stretching ratio of 1:3 to 1:7 and a second stretching step for stretching at a stretching ratio of 1:1.1 to 1:2, an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ontracting at a ratio of 1:0.5 to 1:0.9 after the stretching step.
  • the absorbable suture can perform a function of imparting an anti-inflammatory effect to the skin in addition to being decomposed in the body after the procedure.
  • the celecoxib can be released continuously and in an appropriate amount even after a long time has elapsed after the suture procedure.
  • An absorbable su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ly L-lactic acid (PLLA, Poly[L-Lactic Acid]), polylactic acid (PLA, Poly[Lactic Acid]),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polycaprolactone (PCL, Poly[ ⁇ -carprolactone]), polyglycolic acid (PGA, Poly[glycolic acid]), polyglycolic acid caprolactone (PGCL, poly[glycolic acid]).
  • PLLA Poly[L-Lactic Acid]
  • PLA Poly[Lactic Acid]
  • PDO Poly[p-dioxanone]
  • PCL Polycaprolactone
  • PCL Poly[ ⁇ -carprolactone]
  • PGA Poly[glycolic acid]
  • polyglycolic acid caprolactone poly[glycolic acid]
  • the absorbable su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anted into the body to maintain physical tens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maintain a sutured state at the suture site. Or it can be used for pulling the skin and removing wrinkles.
  • Absorbable sutures undergo a decomposition period of 3 to 24 months without limitation after surgery or procedure, and are self-degrading in the body,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medical action to remove the suture, and the decomposition period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type or content of the absorbable polymer.
  • Celecoxib is a COX-2 selectiv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that can control pain and inflammation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ankylosing spondylitis, acute pain in adults, dysmenorrhea, and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over 2 years of age.
  • NSAID selectiv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 celecoxib can relieve the symptoms or signs of osteoarthritis (degenerative arthritis), alleviate the symptoms or signs of rheumatoid arthritis, alleviate the symptoms and signs of ankylosing spondylitis, alleviate acute pain in adults (post-surgery, post-extraction pain), control the symptoms of primary dysmenorrhea, and can be contained in absorbable sutures and continuously released in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after the suture procedure, so that the above-described effects can be steadily achieved.
  • osteoarthritis degenerative arthritis
  • rheumatoid arthritis alleviate the symptoms and signs of ankylosing spondylitis
  • alleviate acute pain in adults post-surgery, post-extraction pain
  • control the symptoms of primary dysmenorrhea and can be contained in absorbable sutures and continuously released in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after the suture procedure, so that the above-described effects can be steadily achieved.
  • the absorbent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ly L-lactic acid (PLLA, Poly[L-Lactic Acid]), polylactic acid (PLA, Poly[Lactic Acid]),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polycaprolactone (PCL, Poly[ ⁇ -carprolactone]), polyglycolic acid (PGA, Poly[glycolic acid]), polyglycolic acid-co- ⁇ -car prolactone),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Poly[L-lactic-co-glycolic Acid), poly L-lactic acid caprolactone copolymer (PLCL, Poly[L-lactide-co- ⁇ -caprolactone]), polydioxanone caprolactone copolymer (PDCL, Poly[p-dioxanone-co- ⁇ -caprolactone]), and polydioxanone L-lactic acid copolymer (PLDA, Poly[L-lactic acid-co -p-
  • the absorbable su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monofilament
  • the celecoxib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tributed inside and on the surface of the monofilament. Since the absorbable suture is composed of a monofila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due to bacterial growth. More specifically, when the absorbable suture is composed of multifilaments, bacteria can penetrate between several strands,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inf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ture is composed of monofilament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infection by bacteria penetrating between the sutures. In addition, by evenly including celecoxib not only on the surface of the monofilament but also inside it,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release celecoxib into the skin over time while releasing celecoxib immediately after the suture sutures the skin.
  • the absorbable su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that celecoxib is evenly distributed inside and outside of the suture to continuously release celecoxib until disassembly is completed after the skin is sutured. If celecoxib is simply distributed (coat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tur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all celecoxib is released in a short time after skin tissue is sutured. In the case where celecoxib is separately included only in the core of the sutur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celecoxib is released only after a long time has elapsed since the suture was implanted into the skin.
  • celecoxib is distributed inside and outside of the suture so that the celecoxib is released immediately after the implantation of the absorbable suture, while the absorbable suture is decomposed so that it is slowly and continuously released into the skin.
  • the absorbable su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weight of the celecoxib is included in the range of more than 0.1% by weight to less than 5.0% by weight, for example, in the range of more than 0.1% by weight to less than 5.0% by weight, in the range of more than 0.1% by weight to less than 4.0% by weight, in the range of more than 0.1% by weight to less than 3.0% by weight, in the range of more than 0.5% to less than 5.0% by weight, 0.
  • the knot strength of the absorbable suture is in the range of 40 N or more to 70 N or less, and the knot elongation is 20% or more to 50% or less.
  • European standards for absorbable sutures stipulate that the knot strength should be 39 N or more, and if the knot strength falls below 40 N, it may be difficult to use the suture as a suture.
  • Knot strength may be characterized a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40 N or more to 70 N or less when the diameter of the absorbable suture is in the range of 0.4 mm or more to 0.5 mm or less.
  • the diameter of the absorbable suture may be in the range of 0.1 mm or more to 0.2 mm or less, 0.2 mm or more to 0.3 mm or less, 0.3 mm or more to 0.4 mm or less, or 0.4 mm or more to 0.5 mm or less, 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ameter desired by the user.
  • knot elongation refers to the ratio (%) of the initial length to the length extended to the maximum load, and when the knot elongation is 0%, it may be practically difficult to use it as a suture.
  • the absorbable suture maintains an appropriate tension, so that it may be convenient to use in surgery or procedures such as skin suture.
  • the absorbable suture may have a 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 of 40% or more to 90% or less 4 weeks after implantation.
  • 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 is to confirm the strength retention in the body through an in-vitro test, and to confirm the retention strength compared to the initial strength.
  • the strength gradually decreases as the wound heals, and the change in strength over time must be measured.
  • the period required for wound healing is about 2 to 4 weeks, and the strength of the suture must be maintained within this period.
  • the 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 is less than 30% 4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strength of the suture decreases before the wound heals, making it difficult to perform its function as a suture.
  • the absorbent polymer is composed of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and the melt index (Ml) of the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is 2 g / 10 min or more.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18 g / 10 min or l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apid decrease in 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 after 4 weeks after implantation in the above melt index (MI) range and to enable use as an absorbable suture.
  • BSR Breaking Strength Ret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able suture.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able suture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contents with those described in the absorbable suture will be omitted.
  • An absorbable sutur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poly L-lactic acid (PLLA, Poly[L-Lactic Acid]), polylactic acid (PLA, Poly[Lactic Acid]),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polycaprolactone (PCL, Poly[ ⁇ -carprolactone]), polyglycolic acid (PGA, Poly[glycolic acid]), polyglycolic acid caprolactone (PGCL, Poly[ glycolic Acid-co- ⁇ -carprolactone), Poly[L-lactic-co-glycolic Acid (PLGA), Poly L-lactic acid caprolactone copolymer (PLCL, Poly[L-lactide-co- ⁇ -caprolactone]), Poly[p-dioxanone-co- ⁇ -caprolactone] (PDCL, Poly[p-dioxanone-co- ⁇ -caprolactone]), and polydioxanone L-lactic acid copolymer (PLDA), Poly[glycolix
  • an absorbent polymer raw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L-lactic acid-co-p-dioxanone] and a raw material of celecoxib in powder form, mixing the absorbent polymer and the celecoxib, spinning the absorbent polymer and the celecoxib, and stretching the spun suture, wherein the celecoxib is present in an amount of more than 0.1% to 5.0% of the total weight of the absorbent su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the range of less than %.
  • the celecoxi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the range of more than 0.1% by weight to less than 5.0% by weight, for example, the range of more than 0.1% to less than 5.0% by weight, the range of more than 0.1% to less than 4.0% by weight, the range of more than 0.1% to 3.0% by weight, the range of more than 0.5% to less than 5.0% by weight, the range of more than 0.5% to 4.0% by weight % or less, 0.5 wt% or more to 3.0 wt% or less, 1.0 wt% or more to less than 5.0 wt%, 1.0 wt% or more to 4.0 wt% or less, or 1.0 wt% or more to 3.0 wt% or less.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celecoxib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1 ⁇ m to 400 ⁇ m, for exampl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celecoxib may be in the range of 1 ⁇ m to 300 ⁇ m.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crease in knot strength and knot elongation within the above particle size range.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celecoxib ranges from 1 ⁇ m to 300 ⁇ m, and the absorbable suture contains celecoxib in an amount of 0.5% by weight or more to 3.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bsorbable suture.
  • the absorbent polymer is composed of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and the melt index (Ml) of the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is 2 g / 10 min or more.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18 g / 10 min or les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apid decrease in 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and to enable use as an absorbable suture.
  • BSR Breaking Strength Retention
  • the step of introducing the absorbent polymer raw material into a spinning chamber at a pressure of 85 to 115 bar and a temperature range of 135 ° C to 185 ° C, and melting the introduced absorbent polymer while rotating a screw inside the spinning chamber wherein the mix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bsorbent polymer is completely melted, the celecoxib is introduced and mixed, and the spinning step is carried out at 150 ° C. It may be characterized by spinning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range of 200 ° C. and the pressure range of 15 bar to 50 bar are adjusted.
  • the absorbent polymer raw material may be melted while rotating the screw under conditions of a pressure of 85 to 115 bar and a temperature range of 135 ° C to 185 ° C in the spinning chamber, and after melting is completed, celecoxib is added to mix the raw materials more evenly. Thereafter, an absorbable suture may be manufactured by performing spinning at a temperature range of 150° C. to 200° C. and a pressure range of 15 bar to 50 bar through the nozzle unit connected to the spinning chamber.
  • the stretching step may include a first stretching step at a stretching ratio of 1:3 to 1:7, and a second stretching step at a stretching ratio of 1:1.1 to 1:2.
  • the contracting step may be a process of adjusting the suture to contract at a constant rate while preventing excessive contraction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suture after the stretching step.
  • Absorbable sutures were spun by using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as an absorbable polymer and mixing celecoxib. Spinning was performed after further mixing and melting by adding celecoxib in a state in which all polydioxanone was melted, and an absorbable sutur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46 mm was prepared by changing the content of celecoxib. Afterwards, knot strength and knot elongation were measured compared to the content of each celecoxib,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Knot strength and knot elongation were measured using a tensile strength tester (Cometech Model QC-508). The specific measurement method was to check the regulator and air pressure (about 5kg/cm 2 ) before testing using a tensile strength measuring instrument, and set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s shown in Table 1 below.
  • PDO polydioxanone
  • Knot strength and knot elong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after tying an absorbable suture, and knot elongation was measured simultaneously while measuring knot strength.
  • the power of the tensile strength tester was turned on, and after warming up for about 20 minutes, the program was executed on the connected PC. Then, after confirming the gap of the grip to be 200mm, if the gap is different, adjust the gap using Jog, and then open the air valve to adjust the air pressure to about 5kg/cm 2 . Thereafter, the zero point of the instrument was set, the sample wa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grips, and the knot strength and knot elongation of the sample were measured by pressing the start button. The experiment was repeated five times or more, and the measured average value was recorded and measured.
  • Celecoxib content (% by weight) Knot strength (N) Knot elongation (%) 0.1 63.5 40.5 0.5 62.4 42.1 1.0 54.6 37.2 2.0 57.1 38.1 3.0 54.8 35.9 4.0 45.9 28.8 5.0 35.1 19.3 10.0 20.3 11.0 20.0 8.8 7.0
  • a content of celecoxib is preferably less than 5% by weight, as European standards require that it be 39N or more. Further, more preferably, the content of celecoxib is preferably 4.0% by weight or less, and the content of celecoxib is even more preferably 3% by weight or less. It can be see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apid decrease in knot strength and knot elongation within the above range.
  • an absorbable sutur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46 mm was prepared by spinning while changing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injected celecoxib particles while fixing the content of celecoxib to be 2% by weight in the total absorbable suture. Thereafter, the knot strength and knot elongation of the absorbable suture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celecoxib is 400 ⁇ m or less.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celecoxib is 300 ⁇ m or less.
  • Absorbable sutures were spun by using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as an absorbable polymer and mixing celecoxib to proceed with the spinning of absorbable sutures, while varying the content of celecoxib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absorbable suture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celecoxib together to prepare an absorbable suture with an average diameter of 0.46 mm.
  • the knot strength of the absorbable sutur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was
  • Knot strength (N) Content % by weight 0.1 0.5 1.0 2.0 3.0 4.0 5.0 10.0 20.0 average particle size ( ⁇ m) 50 63.1 61.6 58.8 59.0 61.2 55.6 37.8 18.5 9.5 100 64.0 64.2 54.1 58.6 56.7 43.0 38.0 19.7 9.0 200 53.1 56.1 53.5 56.9 56.9 40.0 36.6 18.1 9.0 300 55.9 63.2 62.1 64.0 63.5 40.1 33.5 16.6 8.0 400 48.5 47.6 46.9 45.3 41.9 36.3 32.7 15.1 7.5 500 38.9 37.0 35.3 35.2 33.0 33.1 31.1 15.0 6.7
  • the knot strength is prevented from falling below 40 N,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utur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ange of 4.0% by weight or less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when the content of celecoxib is 3.0% by weight or less, it can be confirmed that a rapid decrease in knot strength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celecoxib can stably secure knot strength in the range of 400 ⁇ m or les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preferable to prevent a rapid decrease in knot strength in the range of 300 ⁇ m or less.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celecoxib is in the range of 400 ⁇ m or less and the content of celecoxib is less than 5.0% by weight, preferably less than 4.0% by weight, or more preferably less than 3.0%,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as a suture while minimizing the decrease in knot strength.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celecoxib is in the range of 300 ⁇ m or less and the content of celecoxib is less than 5.0% by weight, preferably less than 4.0% by weight, or more preferably less than 3.0%,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as a suture while minimizing the decrease in knot strength.
  • Absorbable sutures were spun by using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as an absorbable polymer and mixing celecoxib.
  • Absorbable suture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0.46 mm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content of celecoxib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absorbable suture.
  • the detected amounts measured after 3 weeks, 4 weeks, 5 weeks, 6 weeks, 7 weeks, and 8 weeks are shown in Table 5 below according to each content.
  • the detection amount of celecoxib was measured using a UV Spectrometer (Jasco V-700 model), and the wavelength used was 260 nm, which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NA.
  • An absorbable suture using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to which celecoxib was not added was used as a control group used in the test.
  • the test proceeded by turning on the UV Spectrometer, adjusting the zero point using Autozero, preparing a diluted solution (PBS buffer), and using the diluted solution as a blank, the absorbance was measured with a UV Spectrometer. Thereafter, the control sample (polydioxanone suture without celecoxib) dissolved in the diluted solution was placed in a quartz cell and measured with a UV spectrometer, and the sample mixed with the absorbable suture prepared for each celecoxib content was dissolved in the diluted solution and placed in a quartz cell and measured with a UV spectrometer, respectively, and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absorbance of the control group from the absorbance of the sample was used as the result.
  • the control sample polydioxanone suture without celecoxib
  • a solution in which only celecoxib was dissolved was measured with a UV Spectrometer to confirm the absorbance value for each concentration, and the concentration value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resultant value of the sample with reference to the absorbance value of the standard solution.
  • the content of celecoxib is 0.01, 0.05, and 0.1% by weigh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lease of celecoxib is substantially released at a very insignificant level, and the amount of release is rapidly increased at the content of 0.5% by weight compared to 0.1% by weigh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celecoxib is more than 0.1% by weight,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by weight or more, the release amount of celecoxib can be relatively larger,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0% by weight or more, more significant celecoxib can be released.
  • Absorbable sutures were spun by using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as an absorbable polymer and mixing celecoxib to produce absorbable suture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0.46 mm while changing the melt index (MI) of polydioxanone.
  • MI melt index
  • BSR Breaking strength retention
  • BSR Breaking Strength Retention
  • the specific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 after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into the skin is to first put distilled water in a 1L Volumetric flask, add 5 BSR Tablet (Sigma aldrich Phosphate Buffered Saline Tablet), and completely dissolve using a spinbar and magnetic stirrer to prepare a buffer solution of pH 7.4. Thereafter, two 3m absorbable suture samples to be measured were prepared, and each was placed in a 50ml graduated centrifugal tube. Thereafter, about 40 ml of the prepared buffer solution was put into the graduated centrifuge tube so that the sample contained in the graduated centrifuge tube was sufficiently submerged, and the lid of the graduated centrifuge tube was closed.
  • BSR Tablet Sigma aldrich Phosphate Buffered Saline Tablet
  • distilled water was prepared in a shaking water bath, the temperature of the bath was set to 37 ° C ⁇ 0.3, and the shaking speed was set to 30 rpm, and the graduated centrifugal tube containing the sample was immersed in the shaking water bath. On the other hand, the knot strength was measured on the remaining one sample as day 0, and the result was recorded.
  • the sample was taken out of the graduated centrifugal tube and the knot strength (EP knot) of the sample was measured using a tensile strength measuring instrument (Cometech Model QC-508).
  • the measurement conditions of the tensile strength measuring instrument were sample length of 30 cm or more, grip interval of 200 mm, and speed of 300 mm/min.
  • the strength retention rate (%)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initial knot strength (kgf) by the knot strength (kgf) after a specific time and multiplying by 100, and the specific formula is as follows.
  • 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 after 4 weeks of implantation into the skin is to confirm the strength retention in the body through an in-vitro test, which confirms the retention strength compared to the initial strength.
  • BSR Breaking Strength Retention
  • the strength gradually decreases as the wound heals, and the change in strength over time must be measured.
  • the period required for wound healing is about 4 weeks, and the strength of the suture must be maintained within this period.
  • the melting index (MI) of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in the absorbable suture may range from 1 g/10 min to 20 g/10 min, from 2 g/10 min to 20 g/10 min, and preferably from 2 g/10 min to 18 g/10 min.
  • the melt index of polydioxanone is in the range of 2 g / 10 min or more to 18 g / 10 min or less
  • the BSR value is rapidly lowered at a melt index of 20 g / 10 min compared to the BSR value.
  • Absorbable sutures were spun by using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as an absorbable polymer and mixing celecoxib to produce absorbable suture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0.46 mm by varying the melt index (MI) of polydioxanone (PDO, Poly[p-dioxanone]) and the content of celecoxib. (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 was measured. The results of the measured BSR are shown in Table 7 below. Strong retention rate (BSR)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5.
  • the polydioxanone may have a melt index (Melting Index: MI) in the range of 1 g/10 min or more to 20 g/10 min or less, preferably 2 g/10 min or more to 18 g/10 min or less.
  • MI Melting Index
  • the melt index of polydioxanone is in the range of 2 g / 10 min or more to 18 g / 10 min or less
  • the BSR value is rapidly lowered at a melt index of 20 g / 10 min compared to the BSR value.
  • the content of the celecoxib is preferably less than 5.0% by weight, more preferably less than 4.0%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less than 3.0% by weight.
  • the celecoxib is in the range of more than 0.1% by weight to less than 4.0% by weight, the range of more than 0.1% by weight to less than 3.0% by weight, the range of more than 0.5% by weight to less than 4.0% by weight, or more than 0.5% to 3.0% by we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melt index of polydioxanone satisfies the range of 2g/10min or more to 18 g/10min or 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레콕시브를 함유하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봉합사는 폴리 L-락트산(PLLA, Poly[L-Lactic Acid]),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ε-car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Poly[glycolic acid]), 폴리글리콜산 카프로락톤 (PGCL, Poly[glycolic Acid-co-ε-carprolactone), 폴리락틱코글리콜산(PLGA, Poly[L-lactic-co-glycolic Acid), 폴리 L-락트산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LCL, Poly[L-lactide-co-ε-caprolactone]), 폴리 다이옥사논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DCL, Poly[p-dioxanone-co-ε-caprolactone]), 및 폴리 다이옥사논 L-락트산 공중합체 (PLDA, Poly[L-lactic acid-co-p-dioxanone]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고분자, 및 흡수성 고분자의 내에 함유된 셀레콕시브(celecoxib)를 포함하고,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셀레콕시브를 0.1중량% 초과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레콕시브를 함유하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흡수성 고분자 내에 셀레콕시브(Celecoxib)를 포함하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사는 수술 등으로 손상된 인체의 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실로써 사용되고 있으며, 봉합사의 끝에 주사 니들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인체의 일부를 관통함으로써, 봉합사로 인체의 부위를 봉합하고 있다. 봉합사는 수술 후 일정 시간이 지나 손상된 부위가 완전히 봉합된 이후 이를 제거하는 시술을 진행하는 비흡수성 봉합사와 인체에서 자체적으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생분해되어 사라지는 흡수성 봉합사로 구분되는데, 흡수성 봉합사는 일반적으로 생분해성 수지, 흡수성 수지 등으로 표현되는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흡수성 봉합사는 별도의 제거를 위한 시술 등의 행위가 필요하지 않고, 저절로 분해되어 사라져 그 편리함에 의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현재 이미 전세계 시장 점유율이 80 내 90%가량 되고 있다.
봉합사는 단일 구조의 모노필라멘트와(monofilament) 복합 구조의 멀티 필라멘트(multifilament) 구조로 나뉘는데, 멀티 필라멘트의 경우 유연성을 확보하고 있으나, 구조의 특성상 세균이 번식하기 용이하여 상대적으로 오염되기 쉬운 단점이 있는 반면,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는 봉합사는 상대적으로 오염이 쉽게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봉합사는 인체의 손상된 부위를 견고하게 봉합하고 유지되어야 하기에 일정 수준 이상의 매듭강도와 신도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흡수성 고분자를 이용한 흡수성 봉합사는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자연스럽게 분해되는 특성에 의해 비흡수성 봉합사 대비 강도가 떨어질 수 있어, 특히나 매듭강도나 신도가 일정 수치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더 강조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봉합사는 단순 손상된 상처를 꿰매고 봉합을 유지하는 기능만을 하고, 손상된 인체의 상처는 자체적으로 조직재생에 의해 봉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봉합사 자체에서 봉합 기능 이외에 추가적인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봉합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수성 봉합사에 있어서, 체내에서 분해되는 것 이외에 피부에 항염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흡수성 봉합사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셀레콕시브를 포함하여 봉합사를 시술한 후 오랜시간이 지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그리고 적량으로 셀레콕시브를 방출하도록 할 수 있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흡수성 봉합사 내에 셀레콕시브를 포함하면서도 흡수성 봉합사에서 요구하는 물리적 특성인 매듭강도, 신도 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봉합사는 폴리 L-락트산(PLLA, Poly[L-Lactic Acid]),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ε-car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Poly[glycolic acid]), 폴리글리콜산 카프로락톤 (PGCL, Poly[glycolic Acid-co-ε-carprolactone), 폴리락틱코글리콜산(PLGA, Poly[L-lactic-co-glycolic Acid), 폴리 L-락트산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LCL, Poly[L-lactide-co-ε-caprolactone]), 폴리 다이옥사논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DCL, Poly[p-dioxanone-co-ε-caprolactone]), 및 폴리 다이옥사논 L-락트산 공중합체 (PLDA, Poly[L-lactic acid-co-p-dioxanone]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고분자, 및 상기 흡수성 고분자의 내에 함유된 셀레콕시브(Celecoxib)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1중량% 초과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수성 봉합사는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로 구성되고, 상기 셀레콕시브는 상기 모노필라멘트 내부 및 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5중량% 이상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5중량% 이상 내지 4.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5중량% 이상 내지 3.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봉합사는 이식 후 2주 후 강력 유지율(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이 40%이상 내지 90%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고분자는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의 용융지수(Melting Index: MI)는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봉합사 제조방법은 폴리 L-락트산(PLLA, Poly[L-Lactic Acid]),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ε-car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Poly[glycolic acid]), 폴리글리콜산 카프로락톤 (PGCL, Poly[glycolic Acid-co-ε-carprolactone), 폴리락틱코글리콜산(PLGA, Poly[L-lactic-co-glycolic Acid), 폴리 L-락트산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LCL, Poly[L-lactide-co-ε-caprolactone]), 폴리 다이옥사논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DCL, Poly[p-dioxanone-co-ε-caprolactone]), 및 폴리 다이옥사논 L-락트산 공중합체 (PLDA, Poly[L-lactic acid-co-p-dioxanone]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고분자 원료 및 분말형태의 셀레콕시브의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흡수성 고분자 및 상기 셀레콕시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흡수성 고분자 및 상기 셀레콕시브를 방사하는 단계, 및 방사된 봉합사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1중량% 초과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는 1㎛ 내지 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는 1㎛ 내지 300㎛의 범위이고,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5중량% 이상 내지 4.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는 1㎛ 내지 300㎛의 범위이고,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5중량% 이상 내지 3.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고분자는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의 용융지수(Melting Index: MI)는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하는 단계 전 상기 흡수성 고분자 원료를 85 내지 115bar의 압력 및 135℃내지 185℃의 온도 범위의 방사챔버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챔버 내부의 스크류를 회전하면서 투입된 흡수성 고분자를 용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흡수성 고분자가 완전히 용융되면, 상기 셀레콕시브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방사챔버에 연결된 노즐부를 150℃내지 200℃의 온도 범위 및 15 bar 내지 50 bar의 압력 범위로 조절한 상태에서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신하는 단계는 1:3 내지 1:7의 연신비로 연신하는 제 1차 연신단계, 1:1.1 내지 1:2의 연신비로 연신하는 제 2차 연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신하는 단계 이후 1:0.5 내지 1:0.9의 비율로 수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흡수성 봉합사가 시술 후 체내에서 분해되는 것 이외에 피부에 항염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봉합사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셀레콕시브를 포함하여 봉합사를 시술한 후 오랜시간이 지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그리고 적량으로 셀레콕시브를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봉합사 내에 셀레콕시브를 포함하면서도 흡수성 봉합사에서 요구하는 물리적 특성인 매듭강도, 신도 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봉합사는 폴리 L-락트산(PLLA, Poly[L-Lactic Acid]),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ε-car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Poly[glycolic acid]), 폴리글리콜산 카프로락톤 (PGCL, Poly[glycolic Acid-co-ε-carprolactone), 폴리락틱코글리콜산(PLGA, Poly[L-lactic-co-glycolic Acid), 폴리 L-락트산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LCL, Poly[L-lactide-co-ε-caprolactone]), 폴리 다이옥사논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DCL, Poly[p-dioxanone-co-ε-caprolactone]), 및 폴리 다이옥사논 L-락트산 공중합체 (PLDA, Poly[L-lactic acid-co-p-dioxanone]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고분자, 및 상기 흡수성 고분자의 내에 함유된 셀레콕시브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1중량% 초과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봉합사는 체내에 이식되어 일정기간 물리적 장력을 유지하며 봉합 부위의 봉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피부를 당겨 주름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흡수성 봉합사는 수술이나 시술 후 비제한적으로 3개월 내지 24개월 정도의 분해기간을 거치면서 체내에서 자체적으로 분해되어 별도로 봉합사를 제거하는 의료행위가 필요 없으며, 분해되는 기간은 흡수성 고분자의 종류나 함량을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셀레콕시브(Celecoxib)는 COX-2 선택적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로서,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주염, 성인의 급성 통증, 월경통, 2세 이상의 소아기특발성관절염 환자의 통증 및 염증 조절을 할 수 있다. 즉, 세레콕시브는 골관절염(퇴행관절염)의 증상이나 징후의 완화, 류마티스관절염의 증상이나 징후의 완화, 강직척추염의 증상 및 징후의 완화, 성인의 급성 통증 완화(수술후, 발치후 진통), 원발월경통의 증상 조절을 수행할 수 있으며, 흡수성 봉합사 내에 함유되고 봉합사 시술 후 지속적으로 인체의 피부로 방출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효과를 꾸준히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고분자는 폴리 L-락트산(PLLA, Poly[L-Lactic Acid]),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ε-car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Poly[glycolic acid]), 폴리글리콜산 카프로락톤 (PGCL, Poly[glycolic Acid-co-ε-carprolactone), 폴리락틱코글리콜산(PLGA, Poly[L-lactic-co-glycolic Acid), 폴리 L-락트산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LCL, Poly[L-lactide-co-ε-caprolactone]), 폴리 다이옥사논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DCL, Poly[p-dioxanone-co-ε-caprolactone]), 및 폴리 다이옥사논 L-락트산 공중합체 (PLDA, Poly[L-lactic acid-co-p-dioxanone]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으로 상기한 흡수성 고분자 이외에도 다른 생분해성 수지나 이들의 혼합물 혹은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봉합사는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로 구성되고, 상기 셀레콕시브는 상기 모노필라멘트 내부 및 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봉합사가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됨으로써, 세균 증식에 따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봉합사가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로 구성되는 경우 여러 가닥 사이에 박테리아가 침투하여 감염확률이 높아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됨에 따라 봉합사들 사이에 박테리아가 침투하여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모노필라멘트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고르게 셀레콕시브를 포함함으로써, 봉합사가 피부를 봉합한 이후 즉시 셀레콕시브가 방출되면서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셀레콕시브가 피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흡수성 봉합사는 봉합사의 내외부에 고르게 셀레콕시브가 분포되어 피부를 봉합한 이후 분해가 완료될때까지 지속적으로 셀레콕시브를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셀레콕시브가 단순히 봉합사의 표면에만 분포되어(코팅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부조직을 봉합한 이후 단시간에 셀레콕시브가 모두 방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봉합사의 코어에만 별도로 셀레콕시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부에 봉합사를 이식한 이후 장시간이 지난후에만 셀레콕시브가 방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봉합사의 내외부에 셀레콕시브가 분포되도록 하여 흡수성 봉합사를 이식한 직후부터 셀레콕시브가 방출되면서도 흡수성 봉합사가 분해되는 과정속에서 서서히 피부로 지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1중량% 초과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서, 예를 들어, 0.1중량% 초과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 0.1중량% 초과 내지 4.0중량% 이하의 범위, 0.1중량% 초과 내지 3.0중량% 이하의 범위, 0.5중량% 이상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 0.5중량% 이상 내지 4.0중량% 이하의 범위, 0.5중량% 이상 내지 3.0중량% 이하의 범위, 1.0중량% 이상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 1.0중량% 이상 내지 4.0중량% 이하의 범위, 또는 1.0중량% 이상 내지 3.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봉합사로서 요구되는 매듭강도와 신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유의미한 셀레콕시브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흡수성 봉합사의 직경이 0.4㎜ 이상 내지 0.5㎜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흡수성 봉합사의 매듭강도는 40N 이상 내지 70N 이하의 범위이고, 매듭신도가 20% 이상 내지 5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매듭강도는 시술이나 수술 후 봉합사를 묶었을 경우 묶인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힘으로, 상기 범위에서 피부봉합 이후 매듭을 지었을 경우 유지가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의 흡수성 봉합사 규격으로는 매듭강도가 39N 이상일 것을 규정하고 있으며, 매듭강도가 40N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봉합사로서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매듭강도는 예를 들어, 흡수성 봉합사의 직경이 0.4㎜ 이상 내지 0.5㎜ 이하의 범위일 때, 40N 이상 내지 70N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흡수성 봉합사의 직경은 0.1㎜이상 내지 0.2㎜ 이하의 범위, 0.2㎜이상 내지 0.3㎜ 이하의 범위, 0.3㎜이상 내지 0.4㎜ 이하의 범위, 또는 0.4㎜이상 내지 0.5㎜ 이하의 범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직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매듭신도는 초기 길이 대비 최대 하중까지 늘어난 길이의 비(%)를 의미하며, 매듭신도가 0%일 경우 실질적으로 봉합사로서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흡수성 봉합사가 적절한 텐션을 유지하여 피부 봉합 등의 수술이나 시술에 있어, 사용하기 편리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봉합사의 직경이 0.4㎜ 이상 내지 0.5㎜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흡수성 봉합사는 이식 후 4주 후 강력 유지율(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이 40%이상 내지 90%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강력 유지율(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은 체내에서의 강력 유지력을 in-vitro 시험을 통해 확인하는 것으로 초기 강력 대비 유지 강력을 확인 하는 것이다. 흡수성 봉합사의 경우 상처가 치유됨에 따라 강도가 서서히 감소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여야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처를 치유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2주 내지 4주 정도로서 이 기간안에 봉합사의 강도가 유지되어야 하며, 흡수성 봉합사로 사용되기 위해서 이식 후 4주 후 강력 유지율(BSR)이 30% 이상이 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40%이상이 되어야 한다. 만약, 이식 후 4주 후 강력 유지율(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이 30% 미만일 경우 상처가 치유되기 전에 봉합사의 강도가 저하되어 봉합사로서의 제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이상이 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흡수성 고분자는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의 용융지수(Melting Index: MI)는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MI) 범위에서 이식 후 4주 후 강력 유지율(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수성 봉합사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흡수성 봉합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하에서는 흡수성 봉합사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흡수성 봉합사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봉합사 제조방법은 폴리 L-락트산(PLLA, Poly[L-Lactic Acid]),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ε-car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Poly[glycolic acid]), 폴리글리콜산 카프로락톤 (PGCL, Poly[glycolic Acid-co-ε-carprolactone), 폴리락틱코글리콜산(PLGA, Poly[L-lactic-co-glycolic Acid), 폴리 L-락트산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LCL, Poly[L-lactide-co-ε-caprolactone]), 폴리 다이옥사논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DCL, Poly[p-dioxanone-co-ε-caprolactone]), 및 폴리 다이옥사논 L-락트산 공중합체 (PLDA, Poly[L-lactic acid-co-p-dioxanone]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고분자 원료 및 분말형태의 셀레콕시브의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흡수성 고분자 및 상기 셀레콕시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흡수성 고분자 및 상기 셀레콕시브를 방사하는 단계, 및 방사된 봉합사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1중량% 초과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셀레콕시브는 0.1중량% 초과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서, 예를 들어, 0.1중량% 초과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 0.1중량% 초과 내지 4.0중량% 이하의 범위, 0.1중량% 초과 내지 3.0중량% 이하의 범위, 0.5중량% 이상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 0.5중량% 이상 내지 4.0중량% 이하의 범위, 0.5중량% 이상 내지 3.0중량% 이하의 범위, 1.0중량% 이상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 1.0중량% 이상 내지 4.0중량% 이하의 범위, 또는 1.0중량% 이상 내지 3.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봉합사로서 요구되는 매듭강도와 신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유의미한 셀레콕시브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는 1㎛ 내지 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는 1㎛ 내지 30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입도범위에서 매듭강도와 매듭신도의 저하를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는 1㎛ 내지 300㎛의 범위이고,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5중량% 이상 내지 3.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수성 고분자는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의 용융지수(Melting Index: MI)는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이식 후 4주 후 강력 유지율(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수성 봉합사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하는 단계 전 상기 흡수성 고분자 원료를 85 내지 115bar의 압력 및 135℃내지 185℃의 온도 범위의 방사챔버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챔버 내부의 스크류를 회전하면서 투입된 흡수성 고분자를 용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흡수성 고분자가 완전히 용융되면, 상기 셀레콕시브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방사챔버에 연결된 노즐부를 150℃내지 200℃의 온도 범위 및 15 bar 내지 50 bar의 압력 범위로 조절한 상태에서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고분자 원료는 방사챔버에서 85 내지 115bar의 압력 및 135℃내지 185℃의 온도 범위의 조건에서 스크류를 회전하면서 용융될 수 있고, 용융이 완료된 후 셀레콕시브를 투입하여 보다 고르게 혼합원료에서 서로 잘 섞이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방사챔버에 연결된 노즐부를 150℃내지 200℃의 온도 범위 및 15 bar 내지 50 bar의 압력 범위에서 방사를 진행하여 흡수성 봉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신하는 단계는 1:3 내지 1:7의 연신비로 제 1차 연신단계, 1:1.1 내지 1:2의 연신비로 제 2차 연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신하는 단계 이후 1:0.5 내지 1:0.9의 비율로 수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축하는 단계는 연신하는 단계 이후, 봉합사가 식는 과정에서 과도한 수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정 비율로 수축되도록 조절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험데이터를 통해 본 발명의 흡수성 봉합사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예 1
흡수성 고분자로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을 이용하고 셀레콕시브를 혼합하여 흡수성 봉합사의 방사를 진행하였다. 방사는 폴리디옥사논이 모두 용융된 상태에서 셀레콕시브를 투입하여 더 혼합 및 용융한 후 방사를 진행하였고, 셀레콕시브의 함유량을 변화시켜가며 평균직경이 0.46㎜의 흡수성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이후 각 셀레콕시브의 함유량 대비 매듭강도와 매듭신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매듭강도와 매듭신도는 인장 강력 측정기(Cometech社 Model QC-508)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인장 강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테스트 전 regulator 와 공기압(약 5kg/cm2)을 확인하고, 하기 표 1과 같은 실험 조건을 세팅하였다.
시험항목 시험횟수 Limits Load(kgf) Limits Extention(mm) Speed(mm/mm) Length(mm)
매듭강도 5회 450 300 300 200
매듭강도 및 매듭신도의 실험은 흡수성 봉합사를 매듭을 진 후 진행하였고, 매듭강도를 측정하면서 매듭신도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우선, 인장 강력 측정기의 전원을 ON 시키고, 약 20분 정도 워밍업 후 연결된 PC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이후, Grip의 간격을 200mm로 확인한 후 간격이 다를 시 Jog 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정한 후 Air 밸브를 열어 공기압을 약 5kg/cm2으로 조절하였다. 이후 기기의 영점을 맞추고 시료를 상,하 그립에 고정하고 스타트 버튼을 눌러 시료의 매듭강도 및 매듭신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5회 이상 반복하였고 측정된 평균값을 기록하여 측정하였다.
셀레콕시브 함유량(중량%) 매듭강도(N) 매듭신도(%)
0.1 63.5 40.5
0.5 62.4 42.1
1.0 54.6 37.2
2.0 57.1 38.1
3.0 54.8 35.9
4.0 45.9 28.8
5.0 35.1 19.3
10.0 20.3 11.0
20.0 8.8 7.0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셀레콕시브의 함유량이 4.0중량% 까지는 매듭강도가 40N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5.0중량% 에서는 40N 미만으로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흡수성 봉합사의 경우 유럽내 규격이 39N이상일 것을 요구하여 셀레콕시브 함유량이 5 중량% 미만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레콕시브의 함유량이 4.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셀레콕시브의 함량이 3중량% 이하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매듭강도와 매듭신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험예 2와 달리 셀레콕시브의 함량을 전체 흡수성 봉합사 내에서 2중량%로 함유되도록 고정한 상태로 투입되는 셀레콕시브 입자의 평균입도 크기를 변경하며 방사를 진행하여 평균직경이 0.46㎜의 흡수성 봉합사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흡수성 봉합사의 매듭강도와 매듭신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과 같이 나타내었다.
항목 평균입도
50㎛ 100㎛ 200㎛ 300㎛ 400㎛ 500㎛
매듭강도(N) 62.4 60.8 58.5 56.6 42.2 35.1
매듭신도(%) 42.1 40.8 41.5 39.2 24.8 22.2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가 400㎛를 초과하는 경우, 매듭강도가 40N이하로 떨어져 봉합사로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는 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가 300㎛를 넘어서는 경우 급격하게 매듭강도와 신도가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는 3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3
흡수성 고분자로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을 이용하고 셀레콕시브를 혼합하여 흡수성 봉합사의 방사를 진행하되, 흡수성 봉합사의 전체 중량 대비 셀레콕시브의 함유량 및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를 함께 변화시켜가며 평균직경이 0.46㎜의 흡수성 봉합사를 제조하였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흡수성 봉합사의 매듭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와 같이 나타내었다.
매듭강도(N) 함량(중량%)
0.1 0.5 1.0 2.0 3.0 4.0 5.0 10.0 20.0
평균입도
(㎛)
50 63.1 61.6 58.8 59.0 61.2 55.6 37.8 18.5 9.5
100 64.0 64.2 54.1 58.6 56.7 43.0 38.0 19.7 9.0
200 53.1 56.1 53.5 56.9 56.9 40.0 36.6 18.1 9.0
300 55.9 63.2 62.1 64.0 63.5 40.1 33.5 16.6 8.0
400 48.5 47.6 46.9 45.3 41.9 36.3 32.7 15.1 7.5
500 38.9 37.0 35.3 35.2 33.0 33.1 31.1 15.0 6.7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셀레콕시브의 함유량이 5.0중량% 미만의 범위에서 매듭강도가 40N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봉합사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4.0중량%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셀레콕시브의 함량이 3.0중량% 이하일 경우 매듭강도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가 400㎛ 이하의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매듭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300㎛ 이하의 범위에서 매듭강도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하여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가 400㎛ 이하의 범위이면서 셀레콕시브의 함량이 5.0중량% 미민이거나, 바람직하게는 4.0중량%이하이거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이하인 것이 매듭강도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봉합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가 300㎛ 이하의 범위이면서 셀레콕시브의 함량이 5.0중량% 미민이거나, 바람직하게는 4.0중량%이하이거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이하인 것이 매듭강도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봉합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실험예 4
흡수성 고분자로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을 이용하고 셀레콕시브를 혼합하여 흡수성 봉합사의 방사를 진행하되, 흡수성 봉합사의 전체 중량 대비 셀레콕시브의 함유량을 변화시켜가며 평균직경이 0.46㎜의 흡수성 봉합사를 제조하였고, 각각 제조된 흡수성 봉합사에서 8주가 지나는 기간동안 방출되는 셀레콕시브의 검출량을 측정하였고,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5주후, 6주후, 7주후, 8주후 측정된 검출량을 각각의 함량에 따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셀레콕시브의 검출량의 측정은 UV Spectrometer (Jasco社 V-700모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이용된 파장은 DNA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260㎚의 파장을 이용하였다. 시험에 사용되는 대조군으로는 셀레콕시브가 첨가되지 않은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을 이용한 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였다.
시험의 진행은 UV Spectrometer를 켜고 Autozero를 사용하여 영점을 맞춘 후 희석용액(PBS buffer)를 조제하고, 희석용액을 Blank로 UV Spectromet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희석용액에 녹인 대조군 샘플(셀레콕시브가 함유되지 않은 폴리디옥사논 봉합사)을 석영 Cell에 담아 UV Spectrometer로 측정하였고, 각 셀레콕시브 함유량 별 제조된 흡수성 봉합사가 섞인 샘플을 희석용액에 녹여 석영 Cell에 담아 UV Spectrometer로 각각 측정하였으며, 샘플의 흡광도에서 대조군의 흡광도를 뺀 값을 결과값으로 하였다. 한편, 표준액으로는 셀레콕시브만 녹인 액을 UV Spectrometer로 측정하여 농도별 흡광도 값을 확인하였고, 표준액의 흡광도값을 참고로 샘플의 결과값을 비교하여 농도값을 계산하였다.
함유량(중량%) 0.01 0.05 0.1 0.5 1.0 3.0 5.0 10.0
시간(주 후) 방출량
1주 1.8 6.4 10.3 102.7 202.3 540.2 809.2 1892.4
2주 2.3 11.1 16.9 168.9 337.0 911.9 1344.0 2696.5
3주 2.8 9.3 13.9 145.3 290.1 790.2 1170.5 2382.0
4주 3.2 7.7 11.2 110.1 230.5 623.2 932.3 1884.1
5주 2.9 8.9 12.5 135.8 300.0 810.5 1200.7 2411.6
6주 3.8 12.7 19.2 180.0 338.6 912.4 1344.5 2700.8
7주 5.1 16.5 25.1 260.0 500.1 1340.0 2000.4 4078.8
8주 7.0 24.4 33.5 350.8 696.3 1780.1 2788.2 3570.0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셀레콕시브의 함유량이 0.01, 0.05, 0.1중량%일 경우 셀레콕시브의 방출이 실질적으로 매우 미미한 수준으로 방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0.1중량% 대비 0.5중량%의 함량에서 급격하게 방출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셀레콕시브의 함유량이 0.1중량%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의 범위에서 셀레콕시브의 방출량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하도록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0중량%이상의 범위에서 보다 유의미한 셀레콕시브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실험예 5
흡수성 고분자로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을 이용하고 셀레콕시브를 혼합하여 흡수성 봉합사의 방사를 진행하되, 폴리디옥사논의 용융지수(MI)를 변화시켜가며 평균직경이 0.46㎜의 흡수성 봉합사를 제조하였고, 각각 제조된 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부에 이식 후 4주 후 강력 유지율(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피부에 이식 후 4주 후 강력 유지율(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우선, 1L Volumetric flask에 증류수를 넣고, BSR Tablet (Sigma aldrich Phosphate Buffered Saline Tablet) 5ea 를 넣고 Spinbar 와 자석교반기를 이용해 완전히 용해시켜 pH 7.4의 완충용액을 준비하였다. 이후, 측정할 흡수성 봉합사의 샘플을 3m씩 2개를 준비하여 50㎖ 눈금 원심관에 각각 한 개씩 넣었다. 이후, 준비된 완충용액을 눈금 원심관에 들어 있는 샘플이 충분히 잠기도록 약40㎖씩 넣고 눈금 원심관의 뚜껑을 닫았다.
다음으로 Shaking water bath 내에 증류수로 채워 준비하고, Bath의 온도를 37℃±0.3로, 그리고 Shaking 속도를 30rpm으로 setting하고, 샘플이 들어있는 눈금 원심관을 Shaking water bath에 침지하였다. 한편, 남은 한 개의 샘플을 0일로 하여 매듭강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한편, 해당 침지일수(4주)가 되면 눈금 원심관의 샘플을 꺼내 인장 강력 측정기(Cometech社 Model QC-508)를 이용하여 샘플의 매듭강력(EP매듭)을 측정하였다. 인장 강력 측정기의 측정 조건으로는 샘플 길이 30㎝이상, Grip 간격 200㎜, Speed 300㎜/min으로 하였고, 측정 결과를 기록하고 0일의 매듭강력을 기준으로 매듭강력유지율을 계산하였다. 강력 유지율(%)은 특정시간 경과 후 매듭강력(kgf)에 초기 매듭강력(kgf)를 나눈 후 100을 곱한 수치로 구체적인 수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KR2022003960-appb-img-000001
MI(g/10min) BSR 4주 후 (%)
2 75.0
8 73.0
10 74.0
14 65.0
16 60.0
18 58.0
20 41.0
22 32.0
피부에 이식 후 4주 후 강력 유지율(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은 체내에서의 강력 유지력을 in-vitro 시험을 통해 확인하는 것으로 초기 강력 대비 유지 강력을 확인 하는 것이다. 흡수성 봉합사의 경우 상처가 치유됨에 따라 강도가 서서히 감소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여야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처를 치유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4주 정도로서 이 기간안에 봉합사의 강도가 유지되어야 하며, 흡수성 봉합사로 사용되기 위해서 이식 후 4주 후 강력 유지율(BSR)이 40% 이상이 되어야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수성 봉합사 내에서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의 용융지수(Melting Index: MI)는 1g/10min 이상 내지 20 g/10min 이하의 범위일 수 있고, 2g/10min 이상 내지 20 g/10min 이하의 범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한편, 폴리디옥사논의 용융지수가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일 경우의 BSR수치 대비 20 g/10min의 용융지수에서는 BSR 수치가 급격하게 저하되어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디옥사논의 용융지수가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우수한 BSR 지수를 만족할 수 있다.
실험예 6
흡수성 고분자로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을 이용하고 셀레콕시브를 혼합하여 흡수성 봉합사의 방사를 진행하되,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의 용융지수(MI)와 셀레콕시브의 함량을 변화시켜가며 평균직경이 0.46㎜의 흡수성 봉합사를 제조하였고, 각각 제조된 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부에 이식 후 4주 후 강력 유지율(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BSR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강력 유지율(BSR)은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BSR 4주 후 (%) 셀레콕시브 함유량(중량%)
0.01 0.05 0.1 0.5 1.0 3.0 5.0 10.0
MI
(g/min)
2 80.0% 84.0% 83.0% 82.0% 82.0% 81.0% 75.0% 63.0%
8 88.0% 82.0% 85.0% 75.0% 83.0% 73.0% 70.0% 63.0%
10 78.0% 75.0% 79.0% 78.0% 80.0% 74.0% 70.0% 61.0%
14 70.0% 71.0% 71.0% 67.0% 66.0% 65.0% 60.0% 57.0%
16 66.0% 67.0% 66.0% 68.0% 63.0% 60.0% 51.0% 48.0%
18 64.0% 64.0% 63.0% 63.0% 60.0% 58.0% 43.0% 37.0%
20 46.0% 45.0% 46.0% 43.0% 44.0% 41.0% 41.0% 34.0%
22 38.0% 37.0% 35.0% 34.0% 33.0% 32.0% 35.0% 26.0%
4주 후 BSR의 경우 40% 미만일 경우 상처가 치유되기 전에 봉합사의 강도가 저하되어 봉합사로서의 제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어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수치는 40%이상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표 7를 통해 보면, 상기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의 용융지수(Melting Index: MI)가 1g/10min 이상 내지 20 g/10min 이하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한편, 폴리디옥사논의 용융지수가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일 경우의 BSR수치 대비 20 g/10min의 용융지수에서는 BSR 수치가 급격하게 저하되어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디옥사논의 용융지수가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우수한 BSR 지수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레콕시브의 함량은 5.0중량%미만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4.0중량%이하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며, 3.0중량% 이하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셀레콕시브가 0.1중량% 초과 내지 4.0중량%이하의 범위, 0.1중량% 초과 내지 3.0중량%이하의 범위, 0.5중량%이상 내지 4.0중량%이하의 범위 또는 0.5중량% 이상 내지 3.0중량%이하의 범위를 만족하면서 폴리디옥사논의 용융지수가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4)

  1. 폴리 L-락트산(PLLA, Poly[L-Lactic Acid]),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ε-car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Poly[glycolic acid]), 폴리글리콜산 카프로락톤 (PGCL, Poly[glycolic Acid-co-ε-carprolactone), 폴리락틱코글리콜산(PLGA, Poly[L-lactic-co-glycolic Acid), 폴리 L-락트산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LCL, Poly[L-lactide-co-ε-caprolactone]), 폴리 다이옥사논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DCL, Poly[p-dioxanone-co-ε-caprolactone]), 및 폴리 다이옥사논 L-락트산 공중합체 (PLDA, Poly[L-lactic acid-co-p-dioxanone]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고분자; 및
    상기 흡수성 고분자의 내에 함유된 셀레콕시브(celecoxib);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1중량% 초과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봉합사는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로 구성되고,
    상기 셀레콕시브는 상기 모노필라멘트 내부 및 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5중량% 이상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5중량% 이상 내지 4.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5중량% 이상 내지 3.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봉합사는 이식 후 2주 후 강력 유지율(Breaking Strength Retention: BSR)이 40%이상 내지 90%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고분자는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의 용융지수(Melting Index: MI)는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8. 폴리 L-락트산(PLLA, Poly[L-Lactic Acid]),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ε-car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GA, Poly[glycolic acid]), 폴리글리콜산 카프로락톤 (PGCL, Poly[glycolic Acid-co-ε-carprolactone), 폴리락틱코글리콜산(PLGA, Poly[L-lactic-co-glycolic Acid), 폴리 L-락트산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LCL, Poly[L-lactide-co-ε-caprolactone]), 폴리 다이옥사논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DCL, Poly[p-dioxanone-co-ε-caprolactone]), 및 폴리 다이옥사논 L-락트산 공중합체 (PLDA, Poly[L-lactic acid-co-p-dioxanone]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고분자 원료 및 분말형태의 셀레콕시브(celecoxib)의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흡수성 고분자 및 상기 셀레콕시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흡수성 고분자 및 상기 셀레콕시브를 방사하는 단계; 및
    방사된 봉합사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1중량% 초과 내지 5.0중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는 1㎛ 내지 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는 1㎛ 내지 300㎛의 범위이고,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5중량% 이상 내지 4.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셀레콕시브의 평균입도는 1㎛ 내지 300㎛의 범위이고, 상기 흡수성 봉합사 내에 전체 중량 중 상기 셀레콕시브를 0.5중량% 이상 내지 3.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제조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고분자는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디옥사논(PDO, Poly[p-dioxanone])의 용융지수(Melting Index: MI)는 2g/10min 이상 내지 18 g/10min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제조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 전 상기 흡수성 고분자 원료를 85 내지 115bar의 압력 및 135℃내지 185℃의 온도 범위의 방사챔버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챔버 내부의 스크류를 회전하면서 투입된 흡수성 고분자를 용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흡수성 고분자가 완전히 용융되면, 상기 셀레콕시브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방사챔버에 연결된 노즐부를 150℃내지 200℃의 온도 범위 및 15 bar 내지 50 bar의 압력 범위로 조절한 상태에서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하는 단계는 1:3 내지 1:7의 연신비로 연신하는 제 1차 연신단계, 1:1.1 내지 1:2의 연신비로 연신하는 제 2차 연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신하는 단계 이후 1:0.5 내지 1:0.9의 비율로 수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봉합사 제조방법.
PCT/KR2022/003960 2022-01-21 2022-03-22 셀레콕시브를 함유하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4042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09096 2022-01-21
KR10-2022-0009096 2022-0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423A1 true WO2023140423A1 (ko) 2023-07-27

Family

ID=8734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3960 WO2023140423A1 (ko) 2022-01-21 2022-03-22 셀레콕시브를 함유하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4042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6841A1 (en) * 2004-06-07 2005-12-1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Biodegradable drug-polymer delivery system
US20070134292A1 (en) * 2003-07-17 2007-06-14 Esa Suokas Synthetic, bioabsorbable polymer materials and implants
KR20120131039A (ko) * 2011-05-24 2012-12-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이 탑재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2342B1 (ko) * 2019-10-10 2020-04-21 주식회사 큐어팜텍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봉합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봉합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4292A1 (en) * 2003-07-17 2007-06-14 Esa Suokas Synthetic, bioabsorbable polymer materials and implants
US20050276841A1 (en) * 2004-06-07 2005-12-1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Biodegradable drug-polymer delivery system
KR20120131039A (ko) * 2011-05-24 2012-12-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이 탑재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2342B1 (ko) * 2019-10-10 2020-04-21 주식회사 큐어팜텍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봉합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봉합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NG XIAOXUAN, QASIM MUHAMMAD, ALI AZAM: "Engineering and polymeric composition of drug‐eluting suture: A review",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PART A, JOHN WILEY & SONS, US, vol. 109, no. 10, 1 October 2021 (2021-10-01), US , pages 2065 - 2081, XP093079194, ISSN: 1549-3296, DOI: 10.1002/jbm.a.3719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30889T2 (de) Resorbierbare Copolymere und Mischungen von 6,6-Dialkyl-1,4-dioxepan-2-on und seinem cyclischen Dimeren
EP0595294A1 (en) Absorbable polymers and surgical articles made therefrom
JP4716570B2 (ja) 吸収性ポリマー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外科用物品
EP1094755B1 (en) Absorbable polymers and surgical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US6494898B1 (en) Absorbable copolymers and surgical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US5695879A (en) Surgical sutur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4008303A (en) Process for extruding green polyglycolic acid sutures and surgical elements
US5322925A (en) Absorbable block copolymers and surgical articles made therefrom
RU2652180C2 (ru) Композиции, включающие смесь механически прочных рассасывающихся полимеров с точно управляемыми скоростями рассасывания, способы их обработки и продукты из них
JP3740521B2 (ja) トリブロック三元共重合体、外科用縫合糸材料へのその使用およびその製法
WO2023008632A1 (ko)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를 함유하는 흡수성 봉합사
WO2023140423A1 (ko) 셀레콕시브를 함유하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Abi Rached et al. Reaction of the human gingival tissue to different suture materials used in periodontal surgery.
WO2023140422A1 (ko)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흡수성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EP0706804B1 (en) Absorbable suture
RU2650648C2 (ru) Рассасывающиеся монофиламентные волокна на основе сополимера п-диоксанона и гликолида, обладающие сохранением прочности в среднесрочной перспективе после имплантации
CA2347790C (en) Absorbable polymers and surgical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AU612358B2 (en) Surgical closure device
AU200320362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onofilament Suture From A Resin of A Random Copolymer
EP1071480B1 (en) Sutures made from absorbable copolymers
WO2018110792A1 (ko) 생분해성 고분자의 다공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러
CN115110177A (zh) 一种聚乳酸基抗菌聚酯纱布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0701823B1 (en) Absorbable polymer and surgical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WO2016190504A1 (ko)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하는 봉합사
KABALCI et al. Elastan Lif ile Polipropilen ve Poliglekapron 25'in Cerrahi Sütür Malzemesi Olarak Karşılaştırılması: Deneysel Ön Çalış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222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