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28343A1 -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 Google Patents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28343A1
WO2023128343A1 PCT/KR2022/019471 KR2022019471W WO2023128343A1 WO 2023128343 A1 WO2023128343 A1 WO 2023128343A1 KR 2022019471 W KR2022019471 W KR 2022019471W WO 2023128343 A1 WO2023128343 A1 WO 20231283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ste battery
discharge
battery
voltag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47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영진
김두리
최성호
이영재
명석한
주유진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테크
Publication of WO20231283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283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ing process of waste batteries for recycling waste batteries, and more particularly, to check the stability, state of charge, remaining life, etc. of waste batteries before reusing or recycling waste batteries (used batteries), and , to a process for safely and cost-effectively discharging the waste battery.
  • waste batteries for vehicles recovered after being used in eco-friendly vehicles are immediately disposed of (e.g., resource recovery, etc.)
  • an enormous annual disposal cost will be required from 2024, and the disposal cost is expected to increase explosively from 2031 onwards.
  • the waste battery for the vehicle should be recycled for other applications, but safety cannot be guaranteed due to the energy remaining inside the waste battery, that is, the pre-charged power. Recycling waste batteries as they are without any guarantee is technically and socially very dangerous.
  • a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discharging process for discharging electric power previously charged in a waste battery before reuse or recycling of the waste battery.
  • a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charging process capable of discharging a waste battery in a cost-effective, saf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by replacing the conventional salt water precipitation method.
  • a thir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mal discharge process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waste battery and the material (cathode material, cathode material, electrolyte, etc.) and design constituting the electrode.
  • the discharge in step (S200) is discharged with a first current size, and the first current size is 0.2C (C-rate) to 5.0C (C-rate), preferably 0.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 (C-rate) to 3.0 C (C-rate).
  • the first discharge voltage of the step (S200) is 0.05 V to 3.0 V, preferably 0.1 V to 2.5 V based on the unit cell.
  • the first discharge SOC of the step (S200) is 0% to 50%, preferably 0% to 30%.
  • the discharge in step (S300) is discharged with a second current size, and the second current size is 10% to 50% of the first current size, preferably 20% to 30% of the current size.
  •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of the step (S300) is 0 V to 0.5 V, preferably 0 V to 0.1 V, based on the unit cell.
  • the constant voltage applied in the step (S400) is the same as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 the constant voltage in step (S4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pplied until a cutoff current of 0.005 to 0.5 C or 0.01 to 0.1 C is measured.
  • the method of discharging the residual energy remaining in the waste battery through the wet discharge method not only takes a long time and a lot of cost, but also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such as waste salt water treatment,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large-capacity and large-capacity discharge.
  • the waste battery discharg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y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discharge within a short time away from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ost-effective to recycle or reuse waste batteries because there is no need to treat waste water. allow you to do
  • the waste battery discharg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charging process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characteristics that may change depending on battery constituent materials and design, such as battery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electrode materi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attery.
  • the waste battery discharg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basic facility for storage, movement, and reuse of waste batteries, and safety improvement in the battery reuse and recycling industry can be expected.
  • FIG.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waste battery discharg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ep-by-step discharg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voltage curve.
  •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ischar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charge system 100 includes a charging and discharging unit 110 for adjusting current through a terminal 140 connected to a waste battery 200, a voltage measuring unit 120, and a memory. It includes section 130.
  • connection terminal of the connection part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waste battery, and the connection part 140 measures the voltage value or current value of the waste battery 200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or the waste battery. Provides an electrical circuit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Figure 2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waste battery step by step. Referring to Figure 2,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ample of a voltage curve reflecting the waste battery discharg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of discharging the battery is a CC-CV (Constant Current-Constant Volatage) method of discharging at a constant current until a specific voltage is reached and then discharging at a constant voltage until a preset low current is reached.
  • CC-CV Constant Current-Constant Volatage
  • the waste battery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n eco-friendly vehicle (eg, an electric vehicle, a hydrogen vehicle, etc.) for each reason (eg, inspection, repair, expiration, Accident, junk car, etc.) refers to waste batteries for vehicles recovered, and the battery to be inspected is either a battery cell, a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 an eco-friendly vehicle eg, an electric vehicle, a hydrogen vehicle, etc.
  • the battery to be inspected is either a battery cell, a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 the battery module when the waste battery is a battery module, the battery module includes N (N ⁇ 2) battery cells, and the BMS of the battery manufacturer loaded by the battery manufacturer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vehicle battery.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ay include a vehicle case provid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or mounting the battery in a vehicle (however, it may be omitted when the battery is mounted in a vehicle without a separate case).
  • the step of preparing the waste battery in step (S100) is to recover the waste battery from the eco-friendly vehicle, and from the waste battery to the BMS of the battery manufacturer and the vehicle case (can be omitted) ), it may be a step of preparing (or wearing) a battery module including N battery cells.
  • the discharging process of the wast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reparing the waste battery, specifying specifications of the waste battery (S110), and performing an electricity flow test of the waste battery (S120).
  • the step of select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waste battery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waste batter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cathode material, cathode material, electrolyte, etc.) constituting the waste battery. Since the capacity-voltage curve of the battery, which represents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is determined by the cathode and anode materials, specifications of the waste battery are required to set specific conditions of the discharge process, such as the first discharge voltage and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hould always be considered.
  • the electric flow test (S120) may include an insulation resistance measurement step (S1121), a voltage measurement step (S1122), and an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measurement step (S1123).
  • S1121 insulation resistance measurement step
  • S1122 voltage measurement step
  • 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 S1123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 the discharging process of the wast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S130) of designing an optimal discharge process condi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pecification specifying step (S110) and the electric flow inspection step (S120) of the waste battery. .
  • step S130 discharge conditions such as a first discharge voltage, a second discharge voltage, a constant voltage, a first current, a second current, and a cutoff current are set.
  • the (S200) step is the step of discharging to the first discharge voltage / first discharge SOC, which is the predetermined voltage / SOC of the waste battery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waste battery am.
  • the step (S200)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ste battery, for example, the type of configuration (electrode material) constituting the waste battery.
  • the vehicle waste battery recovered after being used in an eco-friendly vehicle may not be recovered in a state in which the previously charged energy is completely discharged because it is recovered for various reasons. Since a charged battery has a risk of fire or explosion when an external shock or stimulation occurs due to the energy stored therein, it is very dangerous to recycle it as it is without any guarantee. Therefore, the step (S200)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waste battery through a terminal connected to the waste battery in order to lower the level of energy charged in the waste battery.
  • the discharging step (S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waste battery to the first discharge voltage or the first discharge SOC.
  • the step (S200)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battery only up to the first discharge voltage or the first discharge SOC, rather than completely discharging the charging energy of the waste battery.
  • the meaning of the first discharge voltage or the first discharge SOC means the limit discharge voltage or limit discharge SOC at which the expression of the reversible (reversible) capacity of the waste battery no longer proceeds.
  • the waste battery can be recycled / reused after discharging to the (S200) step, that is, the first discharge voltage or the first discharge SOC. Therefore, it can also be defined as 'reuse discharge phase'.
  • the first discharge voltage or the first discharge SOC can be set variably according to the cathode and anode materials constituting the battery.
  • the first discharge voltage considering the cathode and anode materials constituting the waste battery may be 0.05 V to 3.0 V, preferably 0.1 V to 2.5 V based on the single cell. .
  • the first discharge SOC of the step (S200) is 0% to 50%, preferably 0% to 30%, more preferably 5% to 30%. to be
  • vol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 value measured on a single cell basis, and in a battery module or pack, the voltage refere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 the first discharge voltage “single cell voltage*N” in a module or pack in which N (N ⁇ 2)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may be the discharge voltage.
  • the step (S200) may be to discharge the waste battery to a first current level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 the first current level may be a constant current of 0.5C (C-rate) to 5.0C (C-rate), preferably 0.5C (C-rate) to 3.0C (C-rate).
  • the step (S200) is performed between the N battery cells provided in the battery through the cell connection terminal after discharging to the first discharge voltage or the first discharge SOC.
  • Checking the bal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rging voltage difference (S210) and performing a balance check to determine whether the charging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N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lance information matches the preset charging voltage effective balance range (S220) ) step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step (S300)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waste battery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waste battery.
  • the step (S300)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waste battery to a designated voltage or SOC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waste battery.
  • the (S300) step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waste battery that has been discharged only to the first discharge voltage or the first discharge SOC in step (S200) once again, at a designated discharge voltage, that is, This is a step of discharging one more time up to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 the step (S300) may be a step of discharging in an area where reversible capacity is not expressed, for example, an area of SOC 0 or less. Therefore, it may also be defined as an 'irreversible discharge step' in the sense of discharging beyond the reversible capacity generation voltage range of the waste battery.
  • step (S300) is a step distinct from step (S200).
  •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of the step (S300) is a voltage capable of discharging most of the pre-charged energy, and may be a voltage at which a difference in energy levels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pproaches zero.
  •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 V to 0.1 V, preferably 0 V to 0.05 V, based on a single cell.
  • the step (S300) may be to discharge the waste battery to a second current level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 the second current level may be discharged with a current level of 10% to 50% of the first current level, preferably 20% to 30% of the current level.
  • the second current size of step (S300) is characterized in that a current smaller than the first current size is applied.
  • discharging the waste battery to the first discharge voltage / SOC region and then discharging it again to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causes an electrochemical oxidation / reduction reaction in the waste battery to discharge the waste battery.
  •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approaches, a strong oxidation atmosphere is formed at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reducing atmosphere is formed at the positive electrode.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can be reduced.
  • discharging at a slow current from near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near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can be prevented.
  • a rapid discharge current may be applied to rapidly discharge the waste batteries so that the waste batteries have a discharged state in order to increase recycling efficiency of the waste batteries.
  • the rapid discharge may cause the acceleration of the electrolyte side reaction, resulting in a safety accident accompanied by swelling and heat generation of the battery.
  • the step (S400) is characterized by applying a constant voltage to the waste battery when the voltage of the waste battery reaches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 the step (S400) is defined as a 'waste discharge step'.
  • the remaining lithium ions inserted in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re de-lithiated by applying a constant voltage, and the positive electrode ), lithium ions are inserted into the cathode material.
  • the residual lithium ions are desorbed from the negative electrode, thereby completely discharging the waste battery and minimizing the energy level remaining in the waste battery.
  • the constant voltage applied in the step (S400) is a voltage in which the energy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close to 0, that is, to apply a voltage close to 0 V characterized by As the voltage approaches 0V, the desorption of lithium ions from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insertion of lithium ions from the positive electrode become easier.
  • the constant voltage is the same voltage as the second discharging voltage, and may be 0V to 0.5V, preferably 0V to 0.1V, based on a single cell.
  • the application of the constant voltage in the step (S400) has a cut-off current size of 0.005 to 0.5 C, preferably 0.01C to 0.1C current size. Voltage can be applied until measured.
  • the cut-off current refers to a current generat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constant voltage, and as the constant voltage continues to be applied, the size of the generated current gradually decreases because it approaches complete discharge. At this time, when the magnitude of the cutoff current is within 0.005C to 0.5C, preferably 0.01C to 0.1C, the applied constant voltage is stopped and the discharge is terminated.
  • OCV is an abbreviation of open circuit voltage, called open circuit voltage, and refers to the voltage between both terminals in a state where no load is applied to the battery. Recovering the OCV can be seen that the state inside the battery is not electrochemically stable, and it can make it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complete discharge of the waste battery.
  • the step (S5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erasing the remaining energy by artificially generating a short circuit in the waste battery.
  • residual energy may be erased by generating an external short circuit with a resistance of 0.1 m ⁇ to 5 ⁇ , preferably 30 m ⁇ to 1 ⁇ .

Abstract

본 발명은 폐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배터리(사용 후 배터리)를 재사용 또는 재활용하기 이전에 폐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폐배터리를 안전하고 비용 효과적으로 방전시키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본 발명은 폐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배터리(사용 후 배터리)를 재사용 또는 재활용하기 이전에 폐배터리의 안정성, 충전 상태, 및 잔여 수명 등을 확인하고, 상기 폐배터리를 안전하고 비용 효과적으로 방전시키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탄소중립 선언과 국내 전기차 보급 정책 등으로 인해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큰 전기용량이 필요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는 탄소중립을 통한 기후변화 문제 해결 수단 중 가장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수의 배터리의 사용으로 인해 추후 전기자동차에서 발생하는 폐배터리의 발생량이 향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친환경 차량에 사용되다가 회수된 차량용 폐배터리를 바로 폐기(예컨대, 자원 회수 등)할 경우 2024년도부터 년간 엄청난 비용의 폐기 비용이 소요되며, 2031년도 이후부터는 폐기 비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차량용 폐배터리를 다른 응용 분야에 재활용해야 하지만, 폐배터리 내부에 남아있는 에너지, 즉 기충전된 전력으로 인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어 언제든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을 지닌 차량용 폐배터리를 어떠한 보증도 없이 그대로 재활용하기란 기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매우 위험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폐배터리의 재활용/재사용을 위해서는 폐배터리 내 남아있는 에너지 즉, 기 충전된 전력을 일정 SOC 이하로 낮추거나, 완전히 방전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자동차로부터 폐배터리를 회수한 뒤 폐배터리를 염수에 담그어 폐배터리 내 기충전된 전력을 방전시키는 방법(염수 침전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한국공개특허 10-2019-0018340), 염수에 폐배터리를 담그어 방전시키는 방법은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친환경 자동차로부터 회수된 폐배터리(중대형 폐배터리)를 염수에 담그기 위해서는 큰 공간이 필요하여 비용 효과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폐염수를 다시 처리하는데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류를 이용하는 방전 장치를 사용하여 폐배터리를 단순 방전시키더라도, 배터리를 이루고 있는 소재(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등)와 설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배터리 내 에너지를 소거하는 방전을 진행할 경우, 폐배터리 내 심각한 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예컨대, 폐배터리를 단순히 급속 방전시킨다면 폐배터리 내 전해액 부반응으로 인한 스웰링(swelling) 현상 및 과방전으로 인해 배터리 내 발열 현상이 발생하여 열폭주 및 발화(ignition)를 일으키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방전 후에도 개방전압으로 인한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폐배터리의 재사용 또는 재활용하기 이전에 폐배터리에 남아 있는기충전된 전력 즉, 잔여 에너지를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으로 방전시켜, 폐배터리를 용이하게 재사용 또는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폐배터리의 재사용 또는 재활용 이전에 폐배터리에 기충전된 전력을 방전시키는 배터리 방전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종래의 염수 침전법을 대체하여 비용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으로 폐배터리를 방전시킬 수 있는 방전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 과제는 폐배터리의 종류 및 전극을 이루고 있는 소재(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등) 및 설계를 고려한 최적의 방전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방전 프로세스는,
(S100) 폐배터리를 준비하는 단계;
(S2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를 지정된 제1 방전 전압 또는 제1 방전 SOC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S3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통해 지정된 제2 방전 전압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S4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압이 지정된 제2 방전 전압에 도달하는 경우, 정전압(constant voltage)을 인가하는 단계; 및
(S500) 상기 폐배터리에 단락을 발생시켜 잔여 에너지를 소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의 방전은 제1 전류 크기로 방전되고, 상기 제1 전류 크기는 0.2C(C-rate) 내지 5.0C(C-rate) 바람직하게는 0.5C(C-rate) 내지 3.0C(C-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의 제1 방전 전압은 단전지 기준으로 0.05 V 내지 3.0 V 바람직하게는 0.1V 내지 2.5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의 제1 방전 SOC는 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의 방전은 제2 전류 크기로 방전되고, 상기 제2 전류 크기는 제1 전류 크기의 10% 내지 50%의 전류 크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전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의 제2 방전 전압은 단전지 기준으로 0 V 내지 0.5V 바람직하게는 0V 내지 0.1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400) 단계에서 인가되는 정전압은 제2 방전 전압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400) 단계의 정전압은 0.005 내지 0.5 C, 또는 0.01 내지 0.1C의 컷오프 전류가 측정될 때까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염수 침전법과 같은 습식 방전법을 통해 폐배터리에 남아있는 잔여 에너지를 방전시키는 방법은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폐염수 처리 등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해 대량, 대용량 방전의 한계를 가지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는, 건식 방법으로써 상술한 종래 문제점에서 벗어나 빠른 시간 내 방전이 가능하며, 폐염수 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 환경 친화적이고, 비용효과적으로 폐배터리를 재활용 또는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는 배터리의 규격 정보 및 배터리에 포함된 전극 물질 정보 등 배터리 구성물질 및 설계에 따라 변할 수 있는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방전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는 폐배터리의 보관, 이동, 재사용을 위한 기초 설비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산업의 안전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단계별 방전 프로세스를 전압 곡선을 사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배터리의 방전 시 발생할 수 있는 OCV Rebounding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전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전 시스템(100)은 폐배터리(200)에 연결된 단자(140)를 통해 전류를 조정하는 충방전부(110), 전압 측정부(120), 메모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40)의 연결 단자는 상기 폐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200)의 전압 값이나 전류 값을 측정하거나 상기 폐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방전하기 위한 전기적 회로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단계적으로 폐배터리 방전시키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S100) 폐배터리를 준비하는 단계;
(S2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를 지정된 제1 방전 전압 또는 제1 방전 SOC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S3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통해 지정된 제2 방전 전압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S4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압이 지정된 제2 방전 전압에 도달하는 경우, 정전압(constant voltage)을 인가하는 단계; 및
(S500) 상기 폐배터리에 단락을 발생시켜 잔여 에너지를 소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를 반영한 전압 곡선의 일례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서,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방법은 특정 전압까지 정전류로 방전한 뒤 미리 설정된 낮은 전류에 도달할 때까지 정전압으로 방전하는 CC-CV(Constant Current-Constant Volatage) 방식을 이용하며, 본 발명은 그 세부적인 프로세스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S100) 폐배터리를 준비하는 단계;
본 발명의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폐배터리는 친환경 자동차(예컨대,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다가 각각의 이유(예컨대, 점검, 수리, 기간만료, 사고, 폐차 등)로 회수된 차량용 폐배터리를 의미하며, 검사대상 배터리는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폐배터리가 배터리 모듈인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은 N(N≥2)개의 배터리 셀과, 배터리 제조사가 차량용 배터리 제조 시점에 탑재한 배터리 제조사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제조 시점이나 상기 배터리의 차량 탑재 시점에 구비한 차량용 케이스(단, 별도의 케이스 없이 차량에 탑재한 경우 생략 가능)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S100) 단계의 폐배터리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친환경 차량에서 폐배터리를 회수하고, 상기 폐배터리로부터 상기 배터리 제조사의 BMS와 상기 차량용 케이스(생략 가능)를 분리한 뒤, N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준비(또는 입고)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는 상기 폐배터리를 준비한 후 폐배터리의 사양을 특정하는 단계(S110) 및 폐배터리의 전기흐름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배터리의 사양을 선택하는 단계는, 폐배터리를 이루고 있는 구성(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등)을 고려하여 폐배터리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배터리의 방전 특성을 나타내는 배터리의 용량-전압 곡선은 양극재와 음극재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후술하는 제1 방전 전압, 제2 방전 전압과 같은 방전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폐배터리의 사양을 항시 고려해야 한다.
한편, 전기흐름 검사(S120)은 절연저항 측정 단계(S1121), 전압 측정 단계(S1122) 및 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측정 단계(S1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배터리를 방전하기 전에 전기흐름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방전 프로세스를 진행할 폐배터리의 전기적 안전성을 평가하고, 폐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SOH(State of Health)를 진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기흐름 검사 단계에서 측정된 SOC, SOH는 후속하는 방전 프로세스 조건을 설정하는데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는 상기 폐배터리의 사양 특정 단계 (S110) 및 상기 전기흐름 검사 단계 (S120) 결과를 기초로 최적 방전 프로세스 조건을 설계하는 단계 (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30) 단계에서는 후술하는 제1 방전 전압, 제2 방전 전압, , 정전압, 제1 전류, 제2 전류, 컷오프 전류 등 방전 조건을 설정한다.
2. (S2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를 지정된 제1 방전 전압 또는 제1 방전 SOC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는 상기 폐배터리의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의 기 설정된 전압/SOC인, 제1 방전 전압/제1 방전 SOC까지 방전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S200) 단계는 폐배터리의 특성, 예컨대, 폐배터리를 이루는 구성(전극 소재)의 종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친환경 자동차에서 사용되다가 회수된 차량용 폐배터리는 다양한 원인으로 회수되는 것이기에 기 충전된 에너지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에서 회수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충전된 배터리는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로 인해 외부 충격이나 자극이 발생할 경우,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보증도 없이 그대로 재활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상기 (S200) 단계는 폐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에너지의 준위를 낮추기 위해 폐배터리에 연결된 단자를 통해 폐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방전 단계인 (S200) 단계는 폐배터리를 제1 방전 전압 또는 제1 방전 SOC까지 폐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S200) 단계는 폐배터리의 충전 에너지를 완전히 방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1 방전 전압 또는 제1 방전 SOC 까지만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S200) 단계에서 제1 방전 전압이나 제1 방전 SOC의 의미는 폐배터리의 가역적인 (reversible) 용량 발현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한계 방전 전압 또는 한계 방전 SOC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S200) 단계는 가역적인 용량 발현 영역까지 방전하는 것이기에 상기 (S200) 단계 즉, 제1 방전 전압 또는 제1 방전 SOC까지 방전시킨 뒤, 폐배터리를 재활용/재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재사용 방전 단계'라고도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가역 용량의 발현 여부는 전지의 설계, 즉, 전극의 양극재와 음극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제1 방전 전압 또는 제1 방전 SOC는 전지를 구성하고 있는 양극재, 음극재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폐배터리를 구성하는 양극재 및 음극재를 고려한 제1 방전 전압은 단전지를 기준으로 0.05 V 내지 3.0 V, 바람직하게는 0.1V 내지 2.5V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의 제1 방전 SOC는 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전압(voltage)은 양극과 음극의 전위 차로, 단전지 (single cell) 기준으로 측정된 수치를 뜻하며, 배터리 모듈이나 팩에서는 배터리의 구성 (configuration)에 따라 전압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N (N≥2)개의 단전지가 직렬로 연결된 모듈이나 팩에서의 제1 방전 전압 "단전지 전압*N"이 방전 전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는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를 제1 전류 크기로 방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류 크기는 0.5C(C-rate) 내지 5.0C(C-rate), 바람직하게는 0.5C(C-rate) 내지 3.0C(C-rate)의 정전류일 수 있다.
여기서, C-rate는 current rate의 줄임말로서, 배터리 용량에 따른 전류의 충방전율을 나타내는 배터리 관련 특성을 의미하고, 실제 단위는 [ /h]이며, 일반적으로는 [C]의 단위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용량(1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류량)이 1000 mAh이고, 충방전 전류가 1 A인 경우, C-rate은 1 C 1 A / 1000 mAh = 1 [/h]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는 상기 제1 방전 전압 또는 제1 방전 SOC까지 방전시킨 뒤 상기 셀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구비된 N개의 배터리 셀 간 충전 전압 차이를 포함하는 밸런스 정보를 확인하는 (S210) 단계 및 상기 밸런스 정보에 포함된 N개의 배터리셀 간 충전 전압 차이가 기 설정된 충전 전압 유효 밸런스 범위에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밸런스 검사를 수행하는 (S22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210) 단계 및 (S220) 단계를 포함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을 이루고 있는 N개 배터리 셀 간의 전압 편차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셀 간의 전압 편차를 확인함으로써, 후속하여 진행되는 (S300) 단계의 방전 프로세스를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3. (S3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통해 지정된 제2 방전 전압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폐배터리의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폐배터리의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를 지정된 전압 또는 SOC까지 방전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는 (S200) 단계에서 제1 방전 전압 또는 제1 방전 SOC까지만 방전된 폐배터리를 다시 한번 더 방전시키는 단계로써, 지정된 방전 전압, 즉 제2 방전 전압까지 한번 더 방전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S300) 단계는 가역 용량이 발현되지 않는 영역, 예컨대 SOC 0 이하의 영역에서 방전시키는 단계일 수있다. 따라서, 폐배터리의 가역적인 용량발현 전압구간을 벗어나 방전시킨다는 의미에서 '비가역 방전 단계'라고도 정의할 수도 있다.
폐배터리를 제2 방전 전압까지 방전시킴으로써, 폐배터리에 충전된 에너지 대부분이 방전된다. 여기서, (S300) 단계는 (S200) 단계와 구별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S300) 단계의 제2 방전 전압은 기 충전된 에너지를 대부분 방전시킬 수 있는 전압으로, 양극과 음극의 에너지 준위 차이가 0에 가까워지는 전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전 전압은 단전지 기준으로 0 V 내지 0.1V, 바람직하게는 0 V 내지 0.05V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를 제2 전류 크기로 방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전류 크기는, 제1 전류 크기의 10% 내지 50%의 전류 크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전류 크기로 방전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S300) 단계의 제2 전류 크기는 제1 전류 크기보다 작은 전류를 인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폐배터리를 제1 방전 전압/SOC 영역까지 방전시킨 후, 다시 한번 제2 방전 전압까지 방전시키는 것은 폐배터리 내 전기화학적으로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켜 폐배터리를 방전시키는 것이다. 이 때, 제2 방전 전압에 가까워질수록 음극은 강한 산화 (oxidation) 분위기, 양극은 환원 분위기가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닌 저전압 영역에서 낮은 전류 크기로 방전을 진행함으로써, 폐배터리 내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방전 전압근처부터 느린 전류로 방전시킴으로써, 제2 방전 전압 근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폐배터리가 있고, 방전 장치가 제한적일 경우, 폐배터리의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폐배터리가 방전된 상태를 갖도록 빠른 방전 전류를 인가하여 급속 방전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재활용 효율을 높이고자 단순히 폐배터리를 급속 방전시킨다면 급속방전에 의해 전해액 부반응의 가속을 초래해 배터리의 스웰링 및 발열을 동반한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4. (S4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압이 지정된 제2 방전 전압에 도달하는 경우, 정전압(constant voltage)을 인가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S400) 단계는, 상기 폐배터리의 전압이 제2 방전 전압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폐배터리에 정전압(constant voltage)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400) 단계에서 정전압(constant voltage)을 인가함으로써, 폐배터리의 완전한 방전(fully-discharged)을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S400) 단계를 '폐기 방전 단계'로 정의한다.
여기서, 폐배터리를 이루는 전극 소재의 관점에서 보면 음극(negative electrode)의 경우, 음극재에 삽입(lithiation)되어 있던 잔여 리튬 이온들을 정전압을 인가하여 탈리(de-lithiation)시키는 것이고, 양극(positive electrode)의 경우, 양극재에 리튬 이온들을 삽입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음극에서 잔여 리튬 이온들이 탈리됨으로써, 폐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키고, 폐배터리에 남아있는 에너지 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S400) 단계에서 가해지는 정전압(constant voltage)은 양극과 음극의 에너지 준위 차이가 0에 가까운 전압, 즉 0 V에 근접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V에 근접하는 전압일수록 음극에서는 리튬 이온의 탈리, 양극에서는 리튬 이온의 삽입이 일어나기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은 제2 방전 전압과 동일한 전압으로, 단전지 기준으로 0V 내지 0.5V, 바람직하게는 0V 내지 0.1V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S400) 단계에서 정전압(constant voltage)의 인가는 컷오프(cut off) 전류 크기가 0.005 내지 0.5 C, 바람직하게는 0.01C 내지 0.1C 전류 크기가 측정될 때까지 전압을 가할 수 있다.
여기서, 컷오프(cut off) 전류는 정전압의 인가에 따라 발생하는 전류를 의미하며, 정전압을 계속 인가할수록 완전 방전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전류 크기가 점점 줄어든다. 이 때, 상기 컷오프 전류 크기가 0.005C 내지 0.5 C, 바람직하게는 0.01C 내지 0.1C 내로 포함되면 인가하던 정전압을 멈추고 방전을 종료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배터리에 방전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다가 전류/전압의 인가를 멈추면 인가해주던 전류/전압에 의해 발생한 과전압이 해소되면서 다시 전압이 회복되는 OCV Rebounding 현상 (OCV 회복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 참조).
여기서, OCV는 Open circuit voltage의 약자로, 개회로 전압이라고 부르며, 전지에 부하를 걸지 않은 상태에서의 양 단자간 전압을 말한다. OCV가 회복된다는 것은, 그만큼 배터리 내부의 상태가 전기화학적으로 안정적(stable)하지 못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폐배터리의 완전 방전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전 프로세스에 따르면, OCV rebounding 정도가 많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제1 방전 전압 이하의 전압 영역에서 고전류가 아닌 저전류를 사용하여 방전시킴으로써 배터리 내 전기화학적 안정성(electrochemical stability)을 향상시킨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5. (S500) 상기 폐배터리에 단락을 발생시켜 잔여 에너지를 소거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의 방전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는, 상기 폐배터리에 단락(short circuit)을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잔여 에너지를 소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S500) 단계는 0.1mΩ 내지 5Ω, 바람직하게는 30 mΩ 내지 1Ω의 저항으로 외부 단락을 발생시켜 잔여 에너지를 소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배터리를 단락시킴으로 인해, 재활용 단계에서 스파크, 화재 발생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폐배터리를 방전하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S100) 폐배터리를 준비하는 단계; 및
    (S2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를 지정된 제1 방전 전압 또는 제1 방전 SOC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2. 제1항에 있어서,
    (S3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통해 지정된 제2 방전 전압까지 추가로 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3. 제2항에 있어서,
    (S400) 상기 폐배터리의 전압이 제2 방전 전압에 도달하는 경우, 정전압(constant voltage)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4. 제3항에 있어서,
    (S500) 상기 폐배터리에 단락을 발생시켜 잔여 에너지를 소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S100) 폐배터리를 준비하는 단계 이후,
    (S110) 폐배터리의 사양을 특정하는 단계; 및
    (S120) 폐배터리의 전기흐름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의 방전은 제1 전류 크기로 방전되고, 상기 제1 전류 크기는 0.2C(C-rate) 내지 5.0C(C-rate) 또는 0.5C(C-rate) 내지 3.0C(C-rate)인 것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의 제1 방전 전압은 단전지 기준으로 0.05 V 내지 3.0 V 또는 0.1V 내지 2.5V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의 제1 방전 SOC는 0% 내지 50%, 또는 0% 내지 30% 또는 5% 내지 30%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의 방전은 제2 전류 크기로 방전되고, 상기 제2 전류 크기는 제1 전류 크기의 10% 내지 50%, 또는 20% 내지 30%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의 제2 방전 전압은 방전은 단전지 기준으로 0 V 내지 0.5V 또는 0V 내지 0.1V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400) 단계에서 인가되는 정전압은 상기 (S300) 단계의 제2 방전 전압과 동일한 것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400) 단계의 정전압은 0.005 내지 0.5 C, 또는 0.01 내지 0.1C의 컷오프 전류 크기가 측정될 때까지 인가되는 것인,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PCT/KR2022/019471 2021-12-30 2022-12-02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WO20231283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026 2021-12-30
KR1020210192026A KR20230102136A (ko) 2021-12-30 2021-12-30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343A1 true WO2023128343A1 (ko) 2023-07-06

Family

ID=8699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9471 WO2023128343A1 (ko) 2021-12-30 2022-12-02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2136A (ko)
WO (1) WO202312834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7679A (ja) * 2002-01-17 2003-07-31 Daikin Ind Ltd 二次電池の放電方法、蓄電池及び空気調和機
JP2009508302A (ja) * 2005-09-09 2009-02-26 エイ 123 システムズ,インク. 高い充放電率能力と小さいインピーダンス増加を有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50063254A (ko) * 2013-11-29 2015-06-09 한국전지연구조합 셀의 성능 측정방법
KR102010989B1 (ko) * 2016-12-14 2019-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JP6567014B2 (ja) * 2017-10-05 2019-08-28 東芝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廃棄電池の放電処理方法および廃棄電池の放電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105B1 (ko) 2017-08-14 2019-05-08 주식회사 무한 리튬 배터리의 구성품 회수 방법
KR101952104B1 (ko) 2017-08-14 2019-02-26 주식회사 무한 리튬 배터리의 구성품 회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7679A (ja) * 2002-01-17 2003-07-31 Daikin Ind Ltd 二次電池の放電方法、蓄電池及び空気調和機
JP2009508302A (ja) * 2005-09-09 2009-02-26 エイ 123 システムズ,インク. 高い充放電率能力と小さいインピーダンス増加を有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50063254A (ko) * 2013-11-29 2015-06-09 한국전지연구조합 셀의 성능 측정방법
KR102010989B1 (ko) * 2016-12-14 2019-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수명 평가 방법 및 장치
JP6567014B2 (ja) * 2017-10-05 2019-08-28 東芝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廃棄電池の放電処理方法および廃棄電池の放電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136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10545B (zh) 预测电池充电极限的方法和使用该方法对电池迅速充电的方法和设备
EP1271171B1 (en) Method of detecting and resolving memory effect
WO2017095066A1 (ko) 언노운 방전 전류에 의한 배터리 셀의 불량 검출 장치 및 방법
EP39720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urn-on operation of switch units included in parallel multi-battery pack
WO2019088504A1 (ko) 배터리 퇴화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0336357A (zh) 一种新型锂电池保护板
WO2016032131A1 (ko) Dc-dc 전압 변환기의 입력 파워 한도를 조절하기 위한 파워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60646B1 (ko) 리튬이온전지의 보호회로모듈용 커패시터의 크랙 검출 방법
WO2023128343A1 (ko)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KR102573783B1 (ko)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CN102820486A (zh) 大电流放电技术的磷酸铁锂电池组模块
WO2018131874A1 (ko) 에너지 절약 및 빠른 셀 밸런싱이 가능한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6417695A (zh) 一种锂电池组均衡维护方法、维护装置
KR2020009010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1154043A1 (ko)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6711521B (zh) 电池组均衡控制方法及控制电路
WO1989003599A1 (en) Charge balancing of rechargeable batteries
Bacîş et al. Research on the Extension of the Life Cycle of High Power Electricity Storage Devices
JP3208104U (ja) リチウム電池モジュールのアンバランス解消システム
WO2024058523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214703910U (zh) 三电极电池测试设备
KR102557426B1 (ko) 폐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CN213340488U (zh) 一种列车蓄电池智能监控防爆系统及电子设备
WO2023249285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Burzyński et al. The operation and capacity fade modelling of the lithium-ion cell for electric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164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