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13150A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13150A1
WO2023113150A1 PCT/KR2022/013409 KR2022013409W WO2023113150A1 WO 2023113150 A1 WO2023113150 A1 WO 2023113150A1 KR 2022013409 W KR2022013409 W KR 2022013409W WO 2023113150 A1 WO2023113150 A1 WO 20231131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tub
heater
switch
switc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40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뷔징요하네스
권종욱
이규하
김창현
김성산
남주완
신우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80051981.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693310A/zh
Priority to EP22907621.1A priority patent/EP4349240A1/en
Priority to US18/076,708 priority patent/US20230180993A1/en
Publication of WO20231131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131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9Insulation arrangements, e.g. for sound damping or heat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Definitions

  • the lower surface of the switch module is supported by first and second support ribs disposed upstream of the heater, protruding toward the flow path, and extending from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respective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FIG. 1 showing an opened door from the other side.
  • the discharge port 180 has a suction port ( 170) is located anteriorly.
  • the first housing 11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body 111 and a first side flange 112 .
  • the inner cover 92 may include an inner blade 921
  • the outlet cover 91 may include a discharge blade.
  • the inner blade 921 and the discharge blade may be inclined downward so that air in the flow path 200 is discharg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13 .
  •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blade 921 and the discharge blad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witch module 140 may include a switch 141 , a holder 142 and a sealing member 143 .
  • the sealing part 1432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lder 142 to seal the flow path 200 so that air does not flow from the flow path 200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apparatus 100 .
  • the switch module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witch accommodating space 110a from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rib 118 toward the first housing body 111 . Therefore, by forming the first chamfer portion 118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rib 118, insertion of the switch module 140 into the first switch accommodating space 110a can be made easier.
  • the sensing unit 1412 of the switch 141 may pass through the holder 142 and protrude downward toward the flow path 200 .
  • the sealing member 143 is disposed between the switch 141 and the holder 142, the holder 142 and the switch 141 come into contact and the sealing member 143 is disposed at the switch 141 to form a flow path 200.
  • an area where the sensing unit 1412 of the switch 141 protrudes into the flow path 200 may be wider.
  • the sensing ability of the switch module 140 can be improved.
  • the shape of the blocking rib 127 is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normal flow of air flowing inside the flow path 200, thereby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drying apparatus 100 and minimizing flow los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을 포함하는 터브 및 터브의 일 측에 장착되는 건조 장치를 포함하고, 건조 장치는 터브에 결합되어 세척실과 연통되는 제1하우징, 제1하우징과 유로를 형성하고 세척실의 공기가 유로를 통해 세척실로 순환되도록 제1하우징의 타 측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히터의 상류 방향에 배치되고 유로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내부 온도에 기반하여 히터를 온 또는 오프 시키도록 마련되는 스위치 모듈로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고정되는 스위치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조가 개선된 건조 장치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 시키는 장치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실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세척 행정, 헹굼 행정 및 건조 행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행정 중에는 식기에 묻은 물들이 증발하며 터브 내 측벽에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건조 행정 시에 가열된 공기를 사용하면 빠른 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살균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 히터가 사용될 수 있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세척실로 송풍 시키도록 팬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히터가 과열되는 경우 히터 주변에 배치 되는 식기세척기의 구성 요소들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의 사용 시에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개선된 구조의 건조 장치를 갖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을 포함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일 측에 장착되는 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터브의 일 측에 결합되는 일 측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실과 연통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타 측과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세척실의 공기가 상기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세척실로 순환되는 제2하우징,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상류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내부 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히터를 온 또는 오프 시키도록 마련되는 스위치 모듈로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사이에 고정되는 스위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실의 공기가 상기 건조 장치로 유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실로 공기가 유출되는 토출구로서, 상기 흡입구보다 식기 세척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세척실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상기 일 측은 상기 터브의 외측이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건조 장치의 상기 흡입구와 상기 건조 장치의 상기 토출구가 상기 복수의 바스켓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터브의 상기 외측에 장착된다.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터브의 상기 일 측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하우징 바디 및 상기 제1하우징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하우징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스위치모듈이 수용되는 제1스위치 장착부를 갖는 제1사이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 바디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하우징 바디 및 상기 제2하우징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하우징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스위치모듈이 수용되는 제2스위치장착부를 갖는 제2사이드 플랜지를 포함 한다.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 바디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위치모듈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하우징 바디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위치모듈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2지지리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모듈은 상기 제1지지 리브의 상면 및 상기 제2지지 리브의 상면과 상기 제1스위치 장착부 및 상기 제2스위치 장착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제1지지 리브와 상기 제2지지리브 각각은 상기 제1지지 리브와 상기 제2지지 리브 각각의 단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지지 리브와 상기 제2지지 리브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는 챔퍼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모듈은 상기 감지된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온 또는 오프 시키도록 마련되는 스위치,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위치의 일부가 수용되는 홀더 및 상기 스위치와 상기 홀더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밀폐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실링부재를 관통하는 단자부,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유로의 상기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홀더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실링 부재와 상기 홀더 사이에 수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세척실로 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세척실의 수분이 상기 히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히터의 하류 방향에 형성되는 차단 리브로서,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차단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 리브는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곡선 형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차단면을 갖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단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 리브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터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캐비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모듈의 일부는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 장치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스위치 모듈과 상기 히터는 노출되는 상기 스위치 모듈의 일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터브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내부에 수집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식기 세척기의 전방에 대해 아래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 유입포트 및 유출포트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터브의 일 측에 장착되는 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터브의 상기 유입포트와 연통되어 상기 세척실의 공기가 상기 건조 장치로 유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터브의 상기 유출포트와 연통되어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세척실로 배출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를 포함하고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토출구가 상기 흡입구보다 상기 도어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상기 터브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터브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세척실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가 상기 복수의 바스켓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터브의 외측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실과 연통되는 제1하우징, 상기 세척실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스위치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실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터브의 측벽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유로를 형성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사이에 장착되는 히터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지지되는 스위치 모듈로서,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건조 장치의 상부 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모듈은 상기 히터의 상류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지지리브와 제2지지리브에 의해 하면이 지지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건조 장치를 터브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함으로써 터브의 높이에 따른 건조 장치의 설치 제약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모듈을 건조 장치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배치하여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건조 장치의 흡입구와 토출구 간의 높이 차이를 줄여 바스켓에 수용된 식기 등에 의해 기류 순환이 방해 받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모듈을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고정하여 조립 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에 차단 리브를 형성하여 토출구를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이 건조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일 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타 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건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건조 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건조 장치가 터브에 장착된 모습을 제2하우징을 제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A-A'선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스위치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건조 장치의 제1하우징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건조 장치의 제2하우징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스위치 모듈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전방에서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부분을 확대하여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스위치 모듈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저면에서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6에 도시된 건조 장치의 제2하우징을 내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D부분을 확대하여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건조 장치의 토출구 측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건조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일 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타 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2)과,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척실(14)을 형성하는 터브(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브(13)는 내부에 세척실(1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식기 세척기(1)는 빌트 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캐비닛(12)은 생략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캐비닛(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터브(13)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2)은 대략 박스(box)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2)의 일 면은 개방될 수 있다. 즉, 캐비닛(12)은 개구(12a)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캐비닛(12)의 전면(前面)은 개방될 수 있다.
캐비닛(12)과 터브(13)는 대략 일 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개구(12a)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캐비닛(12)의 상측에 마련되는 탑 커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캐비닛(12)이 본체(10)의 상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캐비닛(12)은 후면판(12d)과, 후면판(12d)의 전방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양 측면판(12b, 12c)과, 양 측면판(12b, 12c)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면판(12f)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12f)은 캐비닛(12)의 전방에 개구(12a)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전면판(12f)의 개구(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전면판(12f)은 양 측면판(12b, 12c)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20)는 캐비닛(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20)는 캐비닛(12)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힌지 장치(30)에 의해 캐비닛(12)과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12)의 내부에는 터브(13)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수집하는 섬프 유닛(40)과, 캐비닛(1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식기가 수납되는 복수의 바스켓(50)과, 복수의 바스켓(50)을 지지하는 가이드랙과, 섬프 유닛(40)에서 전달된 물을 복수의 바스켓(50)에 담긴 식기를 향해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71, 72, 73)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노즐(71, 72, 73)은 분사 유닛(70)으로 명명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0)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0)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 및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바스켓(50)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거나 작은 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0)은 제1 바스켓(51), 제2 바스켓(52) 및 제3 바스켓(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스켓(51)은 제2 바스켓(52)과 제3 바스켓(53)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터브(13)의 상부에서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스켓(52)은 제1 바스켓(51)의 하측 및/또는 제3 바스켓(53)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터브(13)의 중간부에서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바스켓(53)은 제1 바스켓(51)과 제2 바스켓(5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터브(13)의 하부에서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스켓(51)은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되는 서브바스켓이 될 수 있다. 서브바스켓에는 에스프레소 잔 등의 작은 컵이 수납될 수 있다. 다만, 서브바스켓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바스켓(50)이 서로 다른 높이로 상하 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형태라면 바스켓의 개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식기 세척기(1)는 터브(13) 내에서 복수의 바스켓(50)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 랙(6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랙(60)은 바스켓이 각각 전방으로 인출되기 위한 레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랙(60)은 복수의 바스켓(50)이 터브(13)의 전면을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3)의 측벽(13a, 13b)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이드 랙(60)은 터브(13)의 좌측벽(13a) 및 우측벽(13b)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랙(60)을 따라 제1 바스켓(51), 제2 바스켓(52) 및 제3 바스켓(53)은 터브(13)의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섬프 유닛(40)은 캐비닛(12)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섬프 유닛(40)은 저장된 물을 분사 유닛(70)으로 펌핑하는 세척 펌프(4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펌프(4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후방의 공급관을 통해 제1 분사노즐(71)과 제2 분사노즐(72), 그리고 제3 분사노즐(73)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섬프 유닛(40)은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캐비닛(12)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척수 히터(42)와,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도록 터브(13)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 펌프(43)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유닛(70)은 복수의 분사노즐(71, 72, 73)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유닛(70)은 제1 바스켓(5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분사노즐(71)과, 제1 바스켓(51)과 제2 바스켓(52)의 하측, 즉 제2 바스켓(52)과 제3 바스켓(5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분사노즐(72)과, 제3 바스켓(5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분사노즐(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노즐(71)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사노즐(71)은 제1 바스켓(51) 및/또는 제2 바스켓(52)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2 분사노즐(72)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2 분사노즐(72)은 제2 바스켓(52)과 제3 바스켓(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3 분사노즐(73)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3 분사노즐(73)은 제3 바스켓(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는 건조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장치(100)는 터브(13)의 일 벽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장치(100)는 터브(13)의 측벽(13a, 13b)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는 건조 장치(100)가 터브(13)의 좌측벽(13a)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건조 장치(100)는 터브(13)의 우측벽(13b)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 장치(100)는 터브(13)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건조 장치(100)는 터브(13)의 외측면과 캐비닛(12)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건조 장치(100)는 캐비닛(12)과 터브(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실(14) 내부의 습한 공기가 터브(13)의 내측에 장착되는 흡입구 커버(81)를 통해 터브(13)의 외측에 배치되는 건조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고, 건조 장치(100)에서 가열된 건조한 공기는 토출구 커버(91)를 통해 다시 세척실(14)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1)는 터브(13)의 측벽(13a, 13b)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높이조절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는 제2 바스켓(52)이 세척실(14) 내에 삽입되는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스켓(52)은 제1 바스켓(51) 측으로 높이가 올라가거나, 제3 바스켓(53) 측으로 높이가 내려갈 수 있다. 다만, 제2 바스켓(52)의 높이가 변경되더라도 흡입구 커버(81)와 제2 바스켓(52) 간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흡입구 커버(81)와 토출구 커버(91)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바스켓(50) 사이에서 터브(13)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건조 장치(100)의 흡입구(170)와 토출구(180)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바스켓(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건조 장치(10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건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건조 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건조 장치가 터브에 장착된 모습을 제2 하우징을 제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A-A'선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는 건조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장치(100)는 터브(13)의 일 측벽(13a)에 결합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세척실(14) 내의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행정과, 식기에 묻은 이물질 등을 헹구어 내는 헹굼행정, 헹굼행정 이후에 세척실(14) 내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거칠 수 있다.
건조행정을 통해 세척실(14) 내의 공기의 상대습도는 낮아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척실(14) 내의 공기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과 같은 유체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건조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터브(13)에 결합되어 세척실(14)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세척실(14)의 공기가 유로를 통해 순환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1 하우징(110)과 함께 유로(2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흡입구(170)와 토출구(18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70)는 제1 하우징(1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세척실(14)의 공기가 건조 장치(100)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70)는 건조 장치(100)가 장착되는 터브(13)의 일 측벽(13a, 13b)에 개방 형성되는 유입포트(미도시)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80)는 제1 하우징(110)의 타 측에 형성되어 세척실(14)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80)는 건조 장치(100)가 장착되는 터브(13)의 일 측벽(13a, 13b)에 개방 형성되는 유출포트(미도시)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터브(13)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도록 마련되므로, 토출구(180)는 흡입구(17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즉, 제1 하우징(110)에 형성된 흡입구(170)를 통해 세척실(14) 후방의 공기가 건조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고, 제1 하우징(110)에 형성된 토출구(180)를 통해 건조 장치(100)에서 가열된 공기가 세척실(14)의 전방으로 유출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건조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팬 어셈블리(130), 히터(150), 스위치 모듈(140), 온도 센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건조 장치(100)는 상기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팬 어셈블리(130)는 팬(131), 모터(132), 안착 프레임(133)을 포함할 수 있다. 팬(131)은 세척실(14) 내의 공기가 유로(200) 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팬(131)은 유로(200) 내에서 스위치 모듈(140)과 히터(150)의 상류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팬(131)의 종류는 원심팬(131)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팬(131)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터(132)는 팬(131)과 연결되어 팬(131)을 구동시킬 수 있다. 안착 프레임(133)은 팬(131)과 모터(132)를 커버하며 팬(131)과 모터(132)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착 프레임(133)은 제2 하우징(120)의 제2 팬 장착부(123)에 결합될 수 있다.
히터(150)는 히터 케이스(151), 시즈 히터(152), 전원 연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 케이스(151)는 내부에 시즈 히터(152)를 수용하도록 제1 하우징(11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히터 케이스(151)는 내부의 시즈 히터(152)가 보호되도록 히터(15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시즈 히터(152)는 튜브형 히터(150)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유체 가열용으로 열용량이 큰 시즈 히터(152)를 사용하므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내에 응축수가 존재해도 히터(150)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행정 이전에 세척행정 또는 헹굼행정으로 인해 하우징 내에 응축수가 발생하여 건조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히터(150)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 연결부(153)는 식기 세척기(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153)는 시즈 히터(152)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153)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히터(150)는 건조 장치(100) 외부로부터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부(153)는 후술할 스위치 모듈(140)과 건조 장치(100)의 외측 상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 모듈(140)에 의해 시즈 히터(152)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 모듈(140)은 히터(150)로 인해 유로(200) 내의 공기가 과열된 경우 히터(150)를 오프 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팬(131) 또는 모터(132)의 고장으로 인해 공기가 유동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고정된 히터(150)가 계속해서 정체된 공기만을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유로(200) 내의 공기는 순환하지 못하므로 과열될 수 있다.
만일, 히터(150)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는다면 과열된 공기로 인해 건조 장치(100)의 플라스틱 재질의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녹아버리거나 식기 세척기(1)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 모듈(140)의 스위치(141)는 히터(150)에 인접한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히터(150)를 오프 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히터(150)에 의해 가열된 따뜻한 공기는 상부로 올라가기 때문에 이를 보다 민감하게 감지하기 위해 스위치 모듈(140)은 히터(1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모듈(140)은 히터(150)의 상류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 모듈(140)은 팬 어셈블리(130)와 히터(1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팬 어셈블리(130)가 작동되지 않을 때 히터(150)가 작동됨으로써 가열된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 모듈(140)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치 모듈(140)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 장착되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의해 함께 지지될 수 있다. 스위치 모듈(140)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온도 센서(16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 장착되어 유로(2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160)는 히터(150)의 하류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160)는 히터(150)로부터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감지된 온도와 관련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세척실(14) 내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건조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실링 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실링 부재(190)는 나란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를 실링하여 궁극적으로 유로(200)를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실링 부재(19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건조 장치(100)의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바디(111) 및 제1 사이드 플랜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바디(111)는 터브(13)의 측벽(13a)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플랜지(112)는 제1 하우징바디(111)로부터 절곡되어 제2 하우징(12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이드 플랜지(112)는 제1 하우징바디(111)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커버결합부(117a) 및 제2 커버 결합부(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결합부(117a)와 제2 커버 결합부(117b)는 제1 하우징바디(1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커버결합부(117a)와 제2 커버 결합부(117b)는 제1 하우징바디(111)의 외면으로부터 터브(13)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커버결합부(117a)에는 제1 수용 리브(117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 리브(117c)는 제1 커버결합부(117a)로부터 흡입구(17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수용 리브(117c)는 후술할 흡입구 커버(8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82, 도 8 참조)와 결합되어 터브(13)의 내측에는 흡입구 커버(81)가 고정되고, 터브(13)의 외측에는 건조 장치(1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커버 결합부(117b)에는 제2 수용 리브(117d)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 리브(117d)는 제2 커버 결합부(117b)로부터 토출구(18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수용 리브(117d)는 후술할 토출구 커버(91)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커버(92, 도 8 참조)와 간섭되어 터브(13)의 내측에는 토출구 커버(91)가 고정되고, 터브(13)의 외측에는 건조 장치(1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수용 리브(117c)와 제2 수용 리브(117d)는 흡입구 커버(81)와 토출구 커버(91)가 터브(13)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건조 장치(100)가 터브(13)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과 터브(13)의 사이에는 복수의 커버 실링 부재(15)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커버 실링 부재(15)는 건조 장치(100)와 터브(13)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건조 장치(100)가 터브(13)의 외측면에 결합될 때, 복수의 커버 실링 부재(15)는 터브(13)와 건조 장치(100) 사이의 틈을 실링할 수 있다. 복수의 커버 실링 부재(15)는 제1 커버결합부(117a)와 제2 커버 결합부(117b)의 외주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팬 장착부(113), 제1 스위치 장착부(114), 제1 히터 장착부(115) 및 제1 센서 장착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 장착부(113), 제1 스위치 장착부(114), 제1 히터 장착부(115) 및 제1 센서 장착부(116)는 유로(200) 내부의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 상에 흐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팬 장착부(113)에는 팬 어셈블리(13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팬 장착부(113)는 제1 하우징(110)의 최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팬 장착부(113)의 중심에는 흡입구(1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장착부(114)는 제1 팬 장착부(113)의 하류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장착부(114)에는 스위치 모듈(140)이 장착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장착부(114)는 제1 사이드 플랜지(112)와 제1 하우징바디(111)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장착부(114)에 대응되는 제1 사이드 플랜지(112)는 일부가 절개되어 스위치 모듈(140)의 상부가 제1 하우징(110)의 외측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히터 장착부(115)는 제1 스위치 장착부(114)의 하류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히터 장착부(115)는 제1 사이드 플랜지(112)와 제1 하우징바디(111)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히터 장착부(115)에 대응되는 제1 사이드 플랜지(112)는 히터(150)가 제1 하우징(110)의 외측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제1 히터 장착부(115)에는 히터(150)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히터 장착부(115)에는 히터 케이스(151)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도 7에서 히터 케이스(151)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제1 센서 장착부(116)는 제1 히터 장착부(115)의 하류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센서 장착부(116)는 제1 사이드 플랜지(11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센서 장착부(116)에는 온도 센서(16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센서 장착부(116)에 대응되는 제1 사이드 플랜지(112)는 온도 센서(160)가 제1 하우징(110)의 외측 상부로 노출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결합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19)는 후술할 제2 하우징(120)의 제2 결합부(129)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별도의 체결부재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결합부(119)의 위치 또는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2 하우징 바디(121)와 제2 사이드 플랜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바디(121)는 제1 하우징바디(11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 하우징바디(111)를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우징 바디(121) 역시 터브(13)의 측벽(13a, 13b)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플랜지(122)는 제2 하우징 바디(121)로부터 절곡되어 제1 하우징(1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이드 플랜지(122)는 제2 하우징 바디(121)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2 팬 장착부(123), 제2 스위치 장착부(124), 제2 히터 장착부(125) 및 제2 센서 장착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 장착부(123), 제2 스위치 장착부(124), 제2 히터 장착부(125) 및 제2 센서 장착부(126)는 제1하우징(110)의 제1 팬 장착부(113), 제1 스위치 장착부(114), 제1 히터 장착부(115) 및 제1 센서 장착부(116)와 각각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하우징(110)의 제1 팬 장착부(113), 제1 스위치 장착부(114), 제1 히터 장착부(115) 및 제1 센서 장착부(116)의 구조는 제2 하우징(120)의 제2 팬 장착부(123), 제2 스위치 장착부(124), 제2 히터 장착부(125) 및 제2 센서 장착부(126)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팬 장착부(123), 제2 스위치 장착부(124), 제2 히터 장착부(125) 및 제2 센서 장착부(126)는 유로(200) 내부의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 상에 흐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팬 장착부(123)에는 팬 어셈블리(130)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팬 장착부(123)는 제2 하우징(120)의 최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위치 장착부(124)는 제2 팬 장착부(123)의 하류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스위치 장착부(124)에는 스위치 모듈(140)이 장착될 수 있다. 제2 스위치 장착부(124)는 제2 사이드 플랜지(122)와 제2 하우징 바디(121)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위치 장착부(124)에 대응되는 제2 사이드 플랜지(122)는 일부가 절개되어 스위치 모듈(140)의 상부가 제2 하우징(120)의 외측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히터 장착부(125)는 제2 스위치 장착부(124)의 하류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히터 장착부(125)는 제2 사이드 플랜지(122)와 제2 하우징 바디(121)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히터 장착부(125)에 대응되는 제2 사이드 플랜지(122)는 히터(150)가 제2 하우징(120)의 외측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제2 히터 장착부(125)에는 히터(150)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 장착부(126)는 제2 히터 장착부(125)의 하류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센서 장착부(126)는 제2 사이드 플랜지(12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센서 장착부(126)에는 온도 센서(160)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센서 장착부(126)에 대응되는 제2 사이드 플랜지(122)는 온도 센서(160)가 제2 하우징(120)의 상부로 노출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2 결합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29)는 제1 하우징(110)의 제1 결합부(119)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별도의 체결부재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결합부(129)의 위치 또는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은 X방향(도 1 참조)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110)은 터브(13)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도 제1 하우징(110)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흡입구(170)의 중심과 팬 어셈블리(130)의 중심은 동축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X방향을 따라 이격된 흡입구(170)의 중심과 토출구(180)의 중심 사이의 거리(L)는 Z방향을 따라 이격된 흡입구(170)의 중심과 토출구(180)의 중심 사이의 거리(H)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실(14) 후방의 습한 공기는 건조 장치(100)의 흡입구(170)를 통해 건조 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다. 건조 장치(100)에서 건조 및 가열된 공기는 건조 장치(100)의 토출구(180)를 통해 세척실(14)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출구(180)는 흡입구(170)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구(18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터브(13)의 내측에 토출구 커버(91)가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터브(13)의 내부를 볼 때 토출구(180)의 위치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장치(100)는 터브(13)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되 전방에 대해 아래로 기울어지도록 터브(13)의 측벽(13a, 13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 장치(100)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중력에 의해 토출구(180)로 수분과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건조행정 중 세척실(14) 내의 공기가 건조 장치(100)로 흡입되고, 건조 장치(100)에서 다시 세척실(14)로 토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건조 장치(100) 내의 팬(131)이 회전할 수 있다. 팬(131)은 세척실(14) 내의 습한 공기를 건조 장치(100)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흡입구 커버(81)와 결합 부재(82)를 통과하여 건조 장치(100)의 흡입구(170)로 유동될 수 있다.
공기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200)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팬(131)은 스위치 모듈(140), 히터(150) 및 온도 센서(160)의 상류에 배치되어 공기가 팬(131), 스위치 모듈(140), 히터(150) 및 온도 센서(16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도록 공기를 강제 송풍시킬 수 있다.
스위치 모듈(140)은 히터(150)의 상류 방향에 배치되어 히터(15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위로 향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스위치 모듈(140)은 유로(200) 내의 공기 중 히터(150) 상류 방향의 공기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여 히터(150)를 오프할 수 있도록 히터(1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건조 장치(10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에 대해 아래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므로, 스위치 모듈(140)은 히터(150)의 후방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30)가 정상 작동할 때에는 히터(150)의 상류 방향의 공기는 팬(131)에 의한 순환기류에 의해 과열되지 않는 것이 정상이나, 팬 어셈블리(130)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순환기류가 형성되지 않아 히터(150)의 상류 방향의 공기가 히터(150)에 의해 과열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모듈(140)은 이러한 이상 과열을 감지하도록 팬 어셈블리(130)의 하류방향에 배치됨과 동시에 히터(150)의 상류방향에 배치된다.
히터(150)를 통과한 공기는 온도 센서(160)를 지나 토출구(180)로 유동된다. 토출구(180)로 유동된 공기는 제1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이너 커버(92)를 통과할 수 있다. 이너 커버(92)는 토출구 커버(9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공기는 토출구 커버(91)를 통해 세척실(14)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너 커버(92)는 이너 블레이드(921)를 포함하고, 토출구 커버(91)는 토출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블레이드(921)와 토출 블레이드는 유로(200) 내의 공기가 터브(13)의 하부를 향해 토출되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너 블레이드(921)와 토출 블레이드의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 커버(81)와 토출구 커버(91)는 복수의 바스켓(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 장치(100)의 흡입구(170)와 토출구(180)는 제2 바스켓(52)과 제3 바스켓(5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 장치(100)를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함에 따라, 건조 장치(100)의 흡입구(170)와 토출구(180) 간 높이 차이가 보다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흡입구(170)를 통해 공기가 유동될 때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에 의한 저항이 줄어들 수 있으며, 토출구(18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때도 식기에 의한 저항이 감소될 수 있어 건조 장치(100)의 전체적인 건조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1)의 높이가 작게 마련되는 경우에도 터브(13) 측벽(13a, 13b)에 동일 성능의 건조 장치(100)를 장착할 수 있어 높이에 따른 건조 장치(100)의 설치 제약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건조 장치(100)의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토출구(180)가 흡입구(170)보다 도어(20)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기울어져 터브(13)의 측벽(13a)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터브(13)의 측벽(13a, 13b)은 터브(13)의 상벽(13c)과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1영역과, 세척실(14)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터브(13)의 바닥면과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2영역과,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3영역으로 영역이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건조 장치(100)는 제3영역에만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건조 장치(100)는 터브(13)의 측벽(13a, 13b)에 대해 중간 영역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스위치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건조 장치의 제1 하우징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건조 장치의 제2 하우징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건조 장치(100)는 스위치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140)은 스위치(141), 홀더(142) 및 실링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41)는 히터(150)에 인접한 공기가 소정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히터(150)를 오프 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141)는 홀더(142)와 실링 부재(143)를 관통하여 상부는 실링 부재(143)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부는 홀더(14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42)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의해 지지되고, 스위치(141)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홀더(142)는 후술할 제1 하우징(110)의 제1 지지 리브(118)와 제2 하우징(120)의 제2 지지 리브(128)에 의해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홀더(142)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42)에 전달된 열은 스위치(141)의 센싱부(1412)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실링 부재(143)는 스위치(141)와 홀더(142)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로(200)를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링 부재(143)는 홀더(142)의 내측에서 스위치(141)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143)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143)는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홀더(142)는 커버부(1421), 스위치 홀(1422), 고정 레그(1423) 및 실링홀(1424)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42)의 커버부(1421)는 실링 부재(143)가 홀더(14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실링 부재(143)의 크기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421)는 대략 일 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홀더(142)의 커버부(1421)는 실링 부재(143)의 측면과 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홀더(142)의 고정 레그(1423)는 커버부(1421)로부터 연장되어 실링 부재(143)의 상면을 가압하여 스위치 모듈(140)의 구성들 간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42)의 커버부(1421)에는 스위치 홀(1422)과 실링홀(1424)이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홀(1422)은 스위치(141)가 홀더(142)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할 스위치(141)의 센싱부(1412)가 스위치 홀(1422)을 통해 홀더(14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링홀(1424)은 실링 부재(143)의 가이드 돌기(1433)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링 부재(143)가 홀더(142)의 내측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143)는 단자홀(1431), 실링부(1432) 및 가이드 돌기(143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1432)는 홀더(142)의 내측에 수용되어 유로(200)로부터 건조 장치(100)의 외부로 공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유로(200)를 밀폐할 수 있다.
단자홀(1431)은 스위치(141)의 일부가 실링 부재(143)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링 부재(143)의 단자홀(1431)을 통해 스위치(141)의 단자부(1411)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스위치(141)의 단자부(1411)는 유로(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3)는 실링 부재(143)의 실링부(1432)의 하부로 돌출되어 홀더(142)의 실링홀(142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위치 모듈(140) 조립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실링 부재(143)가 홀더(142)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스위치(141)는 단자부(1411), 센싱부(1412), 고정부(1413) 및 스위칭부(1414)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1411)는 히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150)를 오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자부(1411)는 스위치(14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1411)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부(1411)는 건조 장치(100)의 상방으로 노출되어 터브(13)와 캐비닛(12)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부(1411)는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의 외측에서 히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싱부(1412)는 유로(200) 내로 돌출되어 유로(20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412)는 히터(150)의 상류 방향에 배치되어 히터(150)에 인접한 공기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412)는 홀더(142)의 스위치 홀(1422)을 관통하여 유로(200)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센싱부(1412)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내측에서 홀더(142)를 관통하여 유로(200)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칭부(1414)는 히터(150)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스위칭부(1414)는 히터(1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고정부(1413)는 센싱부(1412)의 외측으로 홀더(142)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실링 부재(143)와 홀더(142)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413)의 하부는 홀더(142)의 내측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고정부(1413)의 상부는 실링 부재(143)의 내측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스위치 모듈(140)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위치 모듈(140)의 세부 내용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은 제1 지지 리브(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118)는 제1 하우징바디(111)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스위치 모듈(140)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지지 리브(118)는 제1 사이드 플랜지(112)와 이격되도록 제1 하우징바디(11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118)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1 지지 리브(118)가 3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지지 리브(118)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118)와 제1 사이드 플랜지(112)의 사이에는 제1 스위치 수용공간(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수용공간(110a)에는 스위치 모듈(140)의 하측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 장착부(114)에 대응되는 제1 사이드 플랜지(112)의 상측 일부는 절개되어 스위치 모듈(140)의 일부가 제1 하우징(11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118)는 단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챔퍼부(118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140)은 제1 지지 리브(118)의 단부로부터 제1 하우징바디(111)를 향해 제1 스위치 수용공간(110a)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리브(118)의 상면에 제1 챔퍼부(1181)를 형성하여 제1 스위치 수용공간(110a)으로 스위치 모듈(140)의 삽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하우징(120)은 제2 지지 리브(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리브(128)는 제2 하우징 바디(121)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스위치 모듈(140)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지지 리브(128)는 제2 사이드 플랜지(122)와 이격되도록 제2 하우징 바디(1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리브(128)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9와 도 11에서는 제2 지지 리브(128)가 3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지지 리브(128)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지지 리브(128)와 제2 사이드 플랜지(122)의 사이에는 제2 스위치 수용공간(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위치 수용공간(120a)에는 스위치 모듈(140)의 하측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치 장착부(124)에 대응되는 제2 사이드 플랜지(122)의 일부는 절개되어 스위치 모듈(140)의 상측 일부가 제2 하우징(12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지지 리브(128)는 단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챔퍼부(128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140)은 제2 지지 리브(128)의 단부로부터 제2 하우징 바디(121)를 향해 제2 스위치 수용 공간(120a)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 리브(128)의 상면에 제2 챔퍼부(1281)를 형성하여 제2 스위치 수용 공간(120a)으로 스위치 모듈(140)의 삽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스위치 모듈(140)은 제1 하우징(110)의 제1 스위치 수용공간(110a)에 먼저 끼워지고, 제2 하우징(120)을 제1 하우징(110)과 결합하면서 제2 하우징(120)의 제2 스위치 수용공간(120a)에 나중에 끼워지는 순서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하우징(120)의 제2 스위치 수용공간(120a)에 먼저 끼워지고 제2 하우징(120)을 제1 하우징(110)과 결합하면서 제1 하우징(110)의 제1 스위치 수용공간(110a)에 나중에 끼워지는 순서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대해 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스위치 모듈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전방에서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부분을 확대하여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스위치 모듈(140)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일부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치 모듈(14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상면을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모듈(140)의 홀더(1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제1 지지 리브(118)와, 제2 하우징(120)의 제2 지지 리브(128)에 의해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스위치(141)의 고정부(1413)는 홀더(142)와 실링 부재(143)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위치(14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홀더(142)의 내측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143)는 제1 하우징(110)의 제1 사이드 플랜지(112)와 제2 하우징(120)의 제2 사이드 플랜지(122)에 의해 상측이 가압될 수 있다. 이 때, 실링 부재(143)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기에 실링 부재(143)는 압축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스위치(141)의 센싱부(1412)는 홀더(142)를 통과하여 유로(200)를 향해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위치(141)와 홀더(142) 사이에 실링 부재(143)가 배치되는 것이 아닌, 홀더(142)와 스위치(141)가 접촉되고 스위치(141)에 실링 부재(143)가 배치되어 유로(200)를 실링함으로써 스위치(141)의 센싱부(1412)가 유로(200)로 돌출되는 면적이 더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모듈(140)의 감지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스위치(141)의 단자부(1411)는 실링 부재(143)와 제1 사이드 플랜지(112) 및 제2 사이드 플랜지(122)를 통과하여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자부(1411)와 히터(150)와의 전기적 연결이 건조 장치(100) 상부 공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제2 하우징(120)의 외측에는 이격 리브(12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격 리브(1201)는 제2 하우징(120)의 외측면으로부터 캐비닛(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격 리브(1201)는 제2 하우징(120)의 외면과 캐비닛(12)의 내면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 리브(1201)는 제2 하우징(120)과 캐비닛(12)의 측면판(12b, 12c)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 장치(100)와 캐비닛(12) 간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히터(150)에 의한 열이 캐비닛(12)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캐비닛(12)과 건조 장치(10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격 리브(120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서 이격 리브(1201)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별도로 형성되어 4개로 도시되었으나 이격 리브(1201)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스위치 모듈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저면에서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지지 리브(118)는 스위치 모듈(140)의 홀더(142)를 일 측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지지 리브(128)는 스위치 모듈(140)의 홀더(142)를 타 측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결합되는 경우 제1 지지 리브(118)와 제2 지지 리브(128)는 서로 엇갈린 위치에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모듈(140)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제1 지지 리브(118) 및 제2 지지 리브(128)의 상면과 스위치(141)의 제1 스위치 장착부(114) 및 제2 스위치 장착부(124)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산 라인에서 스크류 등의 조립 누락이 발생할 확률이 최소화되며 조립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모듈(140)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건조 장치의 상부 공간에서 히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위치 모듈(140)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접하는 부분에 장착되도록 컴팩트하게 마련됨으로써, 유로(200) 면적의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15는 도 8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건조 장치(100)의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에 형성된 토출구(18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토출부(1202)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장치(100)의 토출구(180)는 터브(13)의 내측에 결합된 이너 커버(92)를 통해 세척실(14)과 연통될 수 있다. 도 15에서, 이너 커버(92)를 수용하도록 터브(13)의 내면에 결합되는 토출구 커버(91)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토출구(180)는 건조 장치(100)로부터 건조 및 가열된 공기가 세척실(14)을 향해 유동되도록 마련되나, 역으로 세척실(14)에서 발생한 수분이나 이물질이 토출구(180)를 통해 건조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건조 장치(100)는 수분 또는 이물질의 유입으로 내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되었다.
도 16은 도 6에 도시된 건조 장치의 제2 하우징을 내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D부분을 확대하여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건조 장치의 토출구 측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건조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제2 하우징(120)의 토출부(1202)는 차단 리브(127)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리브(127)는 제2 하우징(120)의 토출부(1202)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 리브(127)는 제2 하우징(120)의 제2 히터 장착부(125)의 하류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리브(127)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차단 리브(127)의 개수는 도시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단 리브(127)는 토출구(180)를 통해 세척실(14)의 수분이 히터(15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리브(127)는 제2 하우징(1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 리브(127)는 제2 하우징(120)의 내면으로부터 토출구(18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차단 리브(127)는 유동부(127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부(1271)는 유로(200)를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완만하게 연장될 수 있다. 유동부(1271)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유동부(1271)는 차단 리브(127)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동부(1271)는 히터(150)로부터 가열되어 건조된 공기가 토출구(180)를 향해 유동할 때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저항을 최소화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차단 리브(127)는 차단부(127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1272)는 차단 리브(127)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1272)는 유동부(1271)와 반대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1272)는 유동부(1271)의 하측에 형성되어 토출구(180)를 향하는 차단면(127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구(180)가 건조 장치(100)의 전방에 마련됨에 따라 차단면(1274)은 건조 장치(100)의 전방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리브(127)는 차단 돌기(127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돌기(1273)는 차단부(1272)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차단 돌기(1273)는 차단면(127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차단 돌기(1273)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에 대한 차단 돌기(1273)의 돌출면의 각도는 0도에서 90도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180)를 통해 건조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이물질은 차단 리브(127)의 차단부(1272)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후 수분 또는 이물질은 차단부(1272)의 차단면(1274)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차단 돌기(1273)에 의해 간섭되어 하측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하부에 수집된 수분 또는 이물질은 건조 장치(100)가 전방에 대해 아래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토출구(180)로 다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구(180)로 유입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제2 하우징(120)의 토출부(1202)보다 상류 방향에 배치되는 히터(150) 등에 도달할 수 없게 되어 건조 장치(100)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고장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차단 리브(127)가 제2 하우징(120)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구성이어서 차단 리브(127)가 물리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없으며 전체적인 건조 장치(100)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리브(127)의 형상을 유로(200) 내부를 유동하는 정상적인 공기의 흐름은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건조 장치(100)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유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차단 리브(127)가 제2 하우징(1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E2)는 제1 하우징(110)의 내면과 제2 하우징(120)의 내면 사이가 이격되는 길이(E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단 리브(127)가 제2 하우징(1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E2)는 차단면(1274)의 너비(E2)와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의 내면과 제2 하우징(120)의 내면 사이가 이격되는 길이(E1)는 유로(200)의 너비(E1)와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차단면(1274)의 너비(E2)는 유로(200)의 너비(E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 리브(127)가 유로(2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유로(200)를 완전히 폐쇄하지 않도록 하여 공기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세척실을 포함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일 측에 장착되는 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터브의 일 측에 결합되는 일 측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실과 연통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타 측과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세척실의 공기가 상기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세척실로 순환되는 제2하우징;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상류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내부 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히터를 온 또는 오프 시키도록 마련되는 스위치 모듈로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사이에 고정되는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실의 공기가 상기 건조 장치로 유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실로 공기가 유출되는 토출구로서, 상기 흡입구보다 식기 세척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상기 일 측은 상기 터브의 외측이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건조 장치의 상기 흡입구와 상기 건조 장치의 상기 토출구가 상기 복수의 바스켓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터브의 상기 외측에 장착되는 식기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터브의 상기 일 측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하우징 바디; 및
    상기 제1하우징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하우징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스위치모듈이 수용되는 제1스위치 장착부를 갖는 제1사이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 바디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하우징 바디; 및
    상기 제2하우징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하우징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스위치모듈이 수용되는 제2스위치 장착부를 갖는 제2사이드 플랜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 바디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위치모듈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하우징 바디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위치모듈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2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모듈은 상기 제1지지 리브의 상면 및 상기 제2지지 리브의 상면과 상기 제1스위치 장착부 및 상기 제2스위치 장착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식기 세척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리브와 상기 제2지지 리브 각각은 상기 제1지지 리브와 상기 제2지지 리브 각각의 단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지지 리브와 제2지지 리브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는 챔퍼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은
    상기 감지된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온 또는 오프 시키도록 마련되는 스위치;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위치의 일부가 수용되는 홀더; 및
    상기 스위치와 상기 홀더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밀폐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실링부재를 관통하는 단자부;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유로의 상기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홀더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실링 부재와 상기 홀더 사이에 수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세척실로 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세척실의 수분이 상기 히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히터의 하류 방향에 형성되는 차단 리브로서,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차단 리브;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리브는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곡선형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차단면을 갖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단 돌기;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리브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캐비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모듈의 일부는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 장치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식기 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과 상기 히터는 노출되는 상기 스위치 모듈의 상기 일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식기 세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터브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내부에 수집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식기 세척기의 전방에 대해 아래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PCT/KR2022/013409 2021-12-14 2022-09-07 식기 세척기 WO202311315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51981.5A CN117693310A (zh) 2021-12-14 2022-09-07 洗碗机
EP22907621.1A EP4349240A1 (en) 2021-12-14 2022-09-07 Dishwasher
US18/076,708 US20230180993A1 (en) 2021-12-14 2022-12-07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633 2021-12-14
KR1020210178633A KR20230089884A (ko) 2021-12-14 2021-12-14 식기 세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076,708 Continuation US20230180993A1 (en) 2021-12-14 2022-12-07 Dish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150A1 true WO2023113150A1 (ko) 2023-06-22

Family

ID=8677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409 WO2023113150A1 (ko) 2021-12-14 2022-09-07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9884A (ko)
WO (1) WO202311315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435A (ko) * 2014-02-25 2015-09-02 주식회사 동양매직 식기세척기의 식기 건조장치
CN108742458A (zh) * 2018-06-21 2018-11-0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及具有其的洗碗机
CN208973770U (zh) * 2018-06-21 2019-06-1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和具有其的洗碗机
JP2020058461A (ja) * 2018-10-05 2020-04-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12220421A (zh) * 2020-09-21 2021-01-1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蒸汽洗碗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435A (ko) * 2014-02-25 2015-09-02 주식회사 동양매직 식기세척기의 식기 건조장치
CN108742458A (zh) * 2018-06-21 2018-11-0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及具有其的洗碗机
CN208973770U (zh) * 2018-06-21 2019-06-1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和具有其的洗碗机
JP2020058461A (ja) * 2018-10-05 2020-04-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12220421A (zh) * 2020-09-21 2021-01-1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蒸汽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884A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85761B2 (en) Clothing drying apparatus
WO2017171215A1 (en)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WO2020111616A1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214004A1 (en) Condensing duct, 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WO2021045439A1 (ko) 의류 관리기
WO2017119677A1 (en)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WO2023080556A1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WO202202554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8124544A1 (ko) 로봇 청소기
WO2021145496A1 (ko) 식기세척기
WO2020138931A2 (ko) 의류 관리기
WO2020218878A1 (en) Dishwasher
WO2023113150A1 (ko) 식기 세척기
WO2020122630A1 (en) Dishwasher
WO2021162407A1 (en) Dishwasher
WO2022255608A1 (ko) 조리 기기
WO2023013912A2 (ko) 식기세척기
WO2024005421A1 (ko) 식기세척기
WO2023158097A1 (ko) 의류관리기
WO2023146217A1 (ko) 건조 겸용 세탁기
WO2022220432A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WO2023128205A1 (ko) 건조 겸용 세탁기
WO2023013913A2 (ko) 식기세척기
WO2024005417A1 (ko) 식기세척기
WO2023146367A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076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9076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9076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105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51981.5

Country of ref document: 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