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95993A1 - 와이어로프 결합구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결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23095993A1 WO2023095993A1 PCT/KR2021/018333 KR2021018333W WO2023095993A1 WO 2023095993 A1 WO2023095993 A1 WO 2023095993A1 KR 2021018333 W KR2021018333 W KR 2021018333W WO 2023095993 A1 WO2023095993 A1 WO 2023095993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wire rope
- center
- coupling hole
- coupler
- stran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9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strand 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8—Grommets
-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8—Grommets
- D07B1/185—Grommets characterised by the eye construction
Definitions
- the conventional method of forming a loop in a wire rope is to form a curved surface at both ends of a wire rope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rands with each other, twist the strands at the ends to the main wire of the wire rope to form a loop, and then twist the wire rope It consists of the steps of winding a protective wire around the strand at the end of the jean, covering the protective wire with synthetic resin, and fixing i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nter groove in which a coupling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and the center and outer strands constituting the wire rope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And a tightening device having an outer groove is inserted, and the coupling hole and the tightening device ar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wire rope can be easily coupled and each strand of the wire rope can be firmly fixed. It is to provide a wire rope coupler that can be.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body, a coupling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dy and into which a wire rope is inserted, and a tightening devic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 the tightening device is composed of a pair of tightening members, and a central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cing surface of the tightening member into which the central strand constituting the wire rope is insert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ghtening member has the cen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groove is formed into which the outer strand is inserted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strand.
- the outer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wave for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and penetrates vertically, and a center groove and an outer groove in which the center and outer strands constituting the wire rope are inserted inside the coupling hole are inserted.
- the coupling hole and the tightening device ar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wire rope can be easily coupled and each strand of the wire rope can be firmly fixed.
- the tightening devic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to fix the wire rope is made of a pair of tightening members, and the outer groove form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tightening member is formed in a wave for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FIG 3 is a front view of a wire rope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 rope 300 is formed by twisting the center strand 310 serving as a wick in the center and the outer strand 320 located outside the center strand 310 with each other, the center groove 220 ), after separating the strands 310 and 320 of the wire rope 300, the center strand 310 is inserted, and the outer strand 320 is inserted into the outer groove 230.
- a pin hole 144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140 so as to penetrate left and right.
- a fixing pin 148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144 to prevent the nut 146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 so that the support member 140 is not separated from the end of the support bar 1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결합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고정하여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와이어로프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와이어로프가 삽입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조임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임장치는 한 쌍의 조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임부재의 마주보는 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구성하는 중심 스트랜드가 삽입되는 중심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심 스트랜드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스트랜드가 삽입되는 외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결합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고정하여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와이어로프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로프는 여러 가닥의 금속 소선을 꼬아서 만들어진 스트랜드(strand)를 다연선하여 제작된 것이다.
크레인 하역작업시 화물 등의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되기 위해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단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로프에 고리를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은 복수의 스트랜드를 서로 꼬아 형성된 와이어 로프의 양단부를 곡면으로 형성하고, 끝단부의 스트랜드 부분을 와이어 로프의 본선에 꼬아서 고리를 형성한 다음, 와이어 로프에 꼬아진 끝단부의 스트랜드 부분에 보호선을 감고, 이 보호선을 합성수지로 피복하여 고정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합성수지는 보호선 위에 브러시 등을 이용해 일정 두께로 도포하는 방식으로 피복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리형성방법은 와이어 로프 끝단부의 스트랜드 부분을 와이어 로프 본선에 꼬아서 고리를 형성한 다음, 그 위에 보호선을 감고, 합성수지로 피복하기 때문에, 복잡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고리형성방법은, 대부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동일 규격의 제품을 생산하는데도 작업자마다 스트랜드를 꼬는 작업, 보호선의 권선 횟수 및 범위, 합성수지의 피복 두께 등 상당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고, 제품 수율도 떨어질 수 있으며, 결국 생산성 저하는 물론 경제성도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058400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보강부재를 가진 고리가 달린 와이어 로프에 있어서, 로프 본체(10); 상기 로프 본체(10)의 양단중 적어도 일단(10A)이 상기 로프 본체(10)에 대하여 구부려져서 형성된 고리부(20); 상기 고리부(20)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로프 본체(10)와 상기 로프 본체의 일단(10A)이 겹쳐져 있는 2줄 부위(30); 상기 2줄 부위(30)에 외접되어 압착고정된 금속재의 이음쇠(40); 상기 이음쇠(40)의 양단중 로프 본체(10)에 인접한 일단에 외접되어 있는 대경부(51)를 일단에 가지고 있고, 상기 2줄 부위(30)에 인접한 로프 본체(10)의 1줄 부위(10B)에 외접되어 있는 소경부(52)를 타단에 가지고 있는 보호튜브(50); 및 상기 2줄 부위(30)에 인접한 상기 1줄 부위(10B)와 상기 보호튜브(50)에 의해 구획형성된 빈공간(S)에 주입되어 채워져서 경화되어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의 보강부재(60)를 포함하고 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058400호에 기재된 기술은 용이하게 와이어로프에 고리부(20)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금속재의 이음쇠(40)로 로프 본체(10)의 2줄 부위(30)를 고정하지만 단순히 합성수지재를 경화시킨 보강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큰 하중이 걸리면 쉽게 분리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의 중심부에 상하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결합공의 내측에 와이어로프를 구성하는 중심 및 외측 스트랜드가 삽입되는 중심홈 및 외측홈이 형성된 조임장치가 삽입되며, 상기 결합공 및 조임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와이어로프를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의 스트랜드를 각각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결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되어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조임장치는 한 쌍의 조임부재로 이루어지고, 조임부재의 주면에 형성되는 외측홈은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와이어로프를 구성하는 외측 스트랜드와의 결합력을 높여주어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와이어로프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결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와이어로프가 삽입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조임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임장치는 한 쌍의 조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임부재의 마주보는 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구성하는 중심 스트랜드가 삽입되는 중심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심 스트랜드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스트랜드가 삽입되는 외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와이어로프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임장치는 상기 와이어로프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홈은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공의 단부에는 상기 조임장치를 와이어로프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와이어로프가 결합되는 타측면 양측에 지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는 지지부재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중심부에 상하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결합공의 내측에 와이어로프를 구성하는 중심 및 외측 스트랜드가 삽입되는 중심홈 및 외측홈이 형성된 조임장치가 삽입되며, 상기 결합공 및 조임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와이어로프를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의 스트랜드를 각각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되어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조임장치는 한 쌍의 조임부재로 이루어지고, 조임부재의 주면에 형성되는 외측홈은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와이어로프를 구성하는 외측 스트랜드와의 결합력을 높여주어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와이어로프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리가 형성된 와이어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와이어로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조임장치의 평면 및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조임장치에 와이어로프의 스트랜드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조임장치의 평면 및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조임장치에 와이어로프의 스트랜드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결합하여 다양한 물체를 걸어서 사용하도록 하는 와이어로프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와이어로프(300)가 삽입되는 결합공(110)과 상기 결합공(110)에 삽입되는 조임장치(200)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결합공(110)에 와이어로프(300)를 삽입한 후, 상기 조임장치(200)를 삽입하는 과정만으로 와이어로프(300)의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장치(200)는 한 쌍의 조임부재(21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조임부재(210)는 원형 바의 중심부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조임부재(210)는 그 마주보는 면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21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홈(2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로프(300)는 중심부에 심지 역할을 수행하는 중심 스트랜드(310)와 상기 중심 스트랜드(3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스트랜드(320)를 서로 꼬아서 형성되는데, 상기 중심홈(220)에는 상기 와이어로프(300)의 스트랜드(310,320)를 분리한 후, 상기 중심 스트랜드(310)가 삽입되고, 상기 외측홈(230)에는 상기 외측 스트랜드(320)가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110)은 상기 와이어로프(3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조임부재(210)로 이루어지는 조임장치(200)는 상기 와이어로프(3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결합공(110)에 분리된 와이어로프(300)를 삽입한 후, 상기 조임부재(210)의 중심홈(220)과 외측홈(230)에 중심 스트랜드(310)와 외측 스트랜드(320)를 각각 삽입한 후, 상기 조임장치(200)를 와이어로프(300)가 삽입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결합공(110) 및 조임장치(200)의 경사면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3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결합공(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조임장치(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의해 한 쌍의 조임부재(210)는 서로 근접하도록 가압됨으로써, 중심홈(220)에 삽입된 중심 스트랜드(310)가 양측에서 가압되고, 결합공(110)의 내주면이 상기 조임장치(200)의 외주면과 근접하는 과정에서 외측홈(230)에 삽입된 외측 스트랜드(320)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와이어로프(30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 결합구는 보다 용이하게 와이어로프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장치(200)를 구성하는 상기 조임부재(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측홈(230)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외측홈(230)과 외측 스트랜드(320)과의 접하는 부분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파형상에 의해 외측 스트랜드(320)가 이탈할 때, 이를 저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10)의 단부, 즉, 상기 와이어로프(300)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에는 고정볼트(120)가 나사 결합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볼트(120)는 상기 결합공(110)에 삽입된 조임장치(200)를 상기 와이어로프(3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와이어로프(30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120)는 다양한 볼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무두볼트를 사용함으로써, 몸체(100)의 헤드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로프(300)가 결합되는 몸체(100)에는 와이어로프(300)가 결합되는 타측면 양측에 지지바(130)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바(130)의 사이에 공간이 되도록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130)의 단부에는 좌우 관통되도록 관통공(13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32)에는 바 형상의 지지부재(140)가 한 쌍의 지지바(130)를 좌우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130)의 일측 단부에는 헤드부(142)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너트(146)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130)의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바(1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고리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물체의 결합부가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물체를 이동시키거나 와이어로프(300)를 물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40)의 단부에는 좌우 관통되도록 핀공(144)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핀공(144)에 고정핀(148)을 삽입하여 상기 너트(146)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140)가 지지바(130)의 단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6)
- 몸체와,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와이어로프가 삽입되는 결합공과,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조임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결합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임장치는 한 쌍의 조임부재로 이루어지고,상기 조임부재의 마주보는 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구성하는 중심 스트랜드가 삽입되는 중심홈이 형성되고,상기 조임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심 스트랜드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스트랜드가 삽입되는 외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결합구.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결합공은 상기 와이어로프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상기 조임장치는 상기 와이어로프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결합구.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외측홈은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결합구.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결합공의 단부에는 상기 조임장치를 와이어로프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결합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에는 와이어로프가 결합되는 타측면 양측에 지지바가 형성되고,상기 지지바의 단부에는 지지부재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3932 | 2021-11-25 | ||
KR1020210163932A KR20230077071A (ko) | 2021-11-25 | 2021-11-25 | 와이어로프 결합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095993A1 true WO2023095993A1 (ko) | 2023-06-01 |
Family
ID=8653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21/018333 WO2023095993A1 (ko) | 2021-11-25 | 2021-12-06 | 와이어로프 결합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77071A (ko) |
WO (1) | WO2023095993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877A (ja) * | 1995-07-19 | 1997-02-04 | Kazutoshi Yoshida | ワイヤーロープ等の索端金具 |
JP2006336705A (ja) * | 2005-05-31 | 2006-12-14 | Yoshida Kouzou Design:Kk | ロープ用定着装置 |
KR200454923Y1 (ko) * | 2010-09-02 | 2011-08-04 | (주)대성기업디에스 | 와이어로프 슬링의 이음쇠 보강부재 |
KR101447971B1 (ko) * | 2013-07-23 | 2014-10-15 | 전성숙 | 와이어 로프의 고리 이음부에 보호튜브를 형성하는 방법 및 고리 이음부에 장착된 보호튜브 |
KR20180002234U (ko) * | 2017-01-13 | 2018-07-2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와이어 로프 소켓 구조체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8400B1 (ko) | 2011-05-11 | 2011-08-26 | 이병규 |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로프에 고리를 형성하는 방법 |
-
2021
- 2021-11-25 KR KR1020210163932A patent/KR2023007707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12-06 WO PCT/KR2021/018333 patent/WO2023095993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877A (ja) * | 1995-07-19 | 1997-02-04 | Kazutoshi Yoshida | ワイヤーロープ等の索端金具 |
JP2006336705A (ja) * | 2005-05-31 | 2006-12-14 | Yoshida Kouzou Design:Kk | ロープ用定着装置 |
KR200454923Y1 (ko) * | 2010-09-02 | 2011-08-04 | (주)대성기업디에스 | 와이어로프 슬링의 이음쇠 보강부재 |
KR101447971B1 (ko) * | 2013-07-23 | 2014-10-15 | 전성숙 | 와이어 로프의 고리 이음부에 보호튜브를 형성하는 방법 및 고리 이음부에 장착된 보호튜브 |
KR20180002234U (ko) * | 2017-01-13 | 2018-07-2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와이어 로프 소켓 구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7071A (ko) | 2023-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270366A (en) | Rope clamp construction | |
CA1042638A (en) | Swaging dies | |
US5904438A (en) | Method of terminating a fiber rope | |
US3844601A (en) | Choker knob for logging cab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 |
WO2023095993A1 (ko) | 와이어로프 결합구 | |
US4511280A (en) | Anchoring or connecting sleeve for multistrand cable conductor | |
US4733442A (en) | Connecting apparatus for lines | |
US5351366A (en) | End clamp high tensile modulus textile rope | |
KR101180252B1 (ko) |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 |
AU681003B2 (en) | Post-tensioning anchor head assembly | |
CN208429744U (zh) | 一种新旧绳连接器 | |
US5105612A (en) | Weld reinforcing member for strands in a cable | |
CN217949533U (zh) | 一种预应力钢绞线斜拉索锚具 | |
GB1056990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errules for ropes | |
CN220139103U (zh) | 一种异型电缆网套连接器 | |
JP7440391B2 (ja) | 延線工事用の電線接続方法 | |
CN210944407U (zh) | 一种高层建筑电梯曳引绳 | |
JPH0129690Y2 (ko) | ||
EP0996209B1 (en) | A bolt type clamp for anchoring an overhead electric line cable | |
KR101716790B1 (ko) | 와이어로프슬링 제조방법 및 와이어로프슬링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와이어로프슬링 | |
CN215950258U (zh) | 一种多功能钢索安装夹具 | |
CN209997934U (zh) | 一种筛体吊挂结构 | |
JP2504265B2 (ja) | 金車通過型引留クランプおよびプロテクタならびに端子型プレハブジャンパ | |
CN214271697U (zh) | 一种悬索桥主缆输气管道索夹处增强结构 | |
JPS6020082Y2 (ja) | 楔形心金押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219657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