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68386A1 -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 Google Patents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68386A1
WO2023068386A1 PCT/KR2021/014515 KR2021014515W WO2023068386A1 WO 2023068386 A1 WO2023068386 A1 WO 2023068386A1 KR 2021014515 W KR2021014515 W KR 2021014515W WO 2023068386 A1 WO2023068386 A1 WO 202306838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astic
recycled
pellets
hydrothermal treatment
subcritical hydro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45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대빈
이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환경
Priority to PCT/KR2021/0145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68386A1/ko
Publication of WO20230683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683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ycling waste plastic using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 mechanical recycling methods include remodeling of waste plastics, granulation, shredding, etc., and are characterized by simplicity and low cost.
  • previously used plastics are collected, manually or mechanically separated, washed with detergent and spray, and then cut with a high-speed grinder.
  • the dry powder is cast into pellets and used in the manufacture of plastic lumber, plates, sewage pipes, electrical conduits, and the like.
  • used plastic waste discharged/collected from each household is often mixed with paper, wood chips, ropes, labels, etc. in addition to effective resources that meet reuse conditions, making it difficult to recycle.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of mixed plastic waste mixed with paper, wood chips, ropes, labels, etc., which have been generally incinerated or landfilled, to produce recycled plastic, which is mixed with recycled plastic raw material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for recycling waste plastic using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to manufacture recycled plastic that can be reused by mixing and processing and molding it into a pellet form, and in particular, having properties suitable for use as a disposable pallet.
  • the recycled plastic is, a) injecting at least one of pre-used plastic, fiber, rubber, and plastic dust that cannot be collected, discharged, and separated into a reactor, and high-temperature steam of 150 to 250 ° C.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under rpm stirring conditions; b) classifying recycled plastic powder and recalcitrant materials through a 20 mm screen after the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and c) extruding the recycled plastic powder obtain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into 5 to 20 mm pellets using a twin-screw extruder; It may be manufactured through.
  • the manufactured pellets may be used for manufacturing pallets.
  • the pellet provides a recycled plastic pellet for a pallet having a tensile strength (MPa) of 19 or more.
  • the pellets may have an impact strength (kJ/m 2 ) of 3.3 or more, and a melt index (g/10 min) of 17 or less.
  • FIG.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ethod for recycling waste plastic using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for producing recycled plastic pellets using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actual photograph of recycled plastic powder (a) and recalcitrant material (b) separated by screening after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ethod for recycling waste plastic using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comprising: preparing a pellet.
  • the method for recycling waste plastic using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is prepared by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of mixed plastic was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recycled polypropylene in recycled polypropylene raw material. Adding and mixing 40 to 50 parts by weight of a recycled plastic and 4 to 5 parts by weight of a compatibilizer, forming and then extruding to prepare a pellet; includes
  • the recycled pla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t least one of plastic, fiber, rubber, and plastic dust that cannot be collected, discharged, and separated is put into a reactor, and the temperature is 150 to 250 ° C.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under conditions of high-temperature steam, 20 to 50 atmospheric pressure, and 30 rpm stirring; b) classifying recycled plastic powder and recalcitrant materials through a 20 mm screen after the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and c) extruding the recycled plastic powder obtain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into 5 to 20 mm pellets using a twin-screw extruder; It may be manufactured through.
  • mechanical recycling technologies include remodeling, granulation, and shredding of waste plastics, and are characterized by simplicity and relatively low cost.
  • previously used plastics are collected, manually or mechanically separated, washed with detergent and spray, and then cut with a high-speed grinder. And the dry powder is cast into pellets and used in the manufacture of plastic lumber, boards, sewage pipes, electrical conduits, automobile dashboards, and the like.
  • used plastic wastes discharged/collected from each household are in the form of thin plastic films in addition to effective resources that meet reuse conditions, or are mixed with paper, wood chips, ropes, labels, etc., making recycling difficul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of mixed plastic waste mixed with paper, wood chips, ropes, labels, etc., which have generally been incinerated or landfilled, to produce recycled plastic, and mix and process it with recycled plastic raw materials to form pellets.
  • reusable recycled plastic is produced, and in particular, when the recycled plastic produced by the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is mixed with recycled polypropylene and a compatibilizer, it is tested that it has physical properties suitable for use as a disposable pallet. confirmed through,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 a method for producing recycled plastics that are mixed with recycled polypropylene and a compatibilizer to produce recycled plastic pellets is as follows.
  • At least one of previously used plastic, fiber, rubber, and plastic dust, which cannot be collected, discharged, and separated, is put into a reactor, and steam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150 to 250 ° C.
  • 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step a).
  • plastic dust is separated and sorted for recycling among used plastic products discharged/collected at home and remains, specifically mixed with thin plastic films or paper, wood chips, ropes and labels, etc. , refers to plastics that are difficult to recycle. In the past, it was common to incinerate or landfill such mixed plastic wast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as a main material for producing recycled plastics.
  • the prepared mixed plastic waste is introduced into a reactor in which a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can occur, and specifically,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50 to 250 ° C, more specifically, 190 to 210 ° C high-temperature steam, and 20 to 50 atmospheric pressure, more Specifically, kneading and dispersing may be performed under a reaction pressure condition of 20 to 25 atmospheric pressure, and at this time, stirring conditions during kneading and dispersing may be performed under conditions of 20 to 50 rpm, specifically 30 rpm.
  • the temperature of the high-temperature steam used for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in the above step is less than 150 ° C, it is impossible to uniformly melt each component of the mixed plastic waste, and if it exceeds 250 ° C, mixed wood chips, paper components, etc.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of introducing impurities such as sticking to plastic, it can be performed using high-temperature steam having the above temperature range.
  • reaction pressure conditions in step a may be within the range of 20 to 50 atm, more specifically, 20 to 25 atm conditions, and considering equipment cost, stability or ease of operation, it is performed within the range of 20 to 25 atm conditions it could be
  • step b After subcritical hydrothermal treatment, recycled plastic powder and difficult-to-decompose materials are classified through a 20 mm screen.
  • the step may be performed by classifying materials passing through a 20 mm screen in a drying kiln into recycled plastic powder, rapidly drying, and post-processing. Meanwhile, hard-to-decompose materials are separately classified and converted into solid fuel. Meanwhile, the step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ixed plastic waste, but generally, about 70 to 80% by weight of the recycled plastic powder and about 20 to 30% by weight of the recalcitrant material may be pres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 the rapid dr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removing moisture by installing a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on a 250 mm x 10,000 mm iron screw.
  • step c the recycled plastic powder obtain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is extruded using a twin-screw extruder in the form of 5 to 20 mm pellets.
  • step for example, it may be performed by extruding into a strand using a twin-screw extruder and extruding in the form of pellets having a size of 5 to 20 mm.
  • a single screw extruder can also be used, but it may be preferable to use a twin screw extruder to enhance uniform mixing, kneading and dispersing effects.
  • the compatibiliz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made of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olefin (product name: GNM900P), and may be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for bonding between polar materials and non-polar materials and improving compatibility. .
  • plastic packaging containers that can be collected and sorted are first selected, and mixed with unsorted olefin films, labels, ropes, and laminated paper containers for packaging.
  • 100 liters of plastic dust waste polypropylene and high-density polyethylene of 98% or more
  • plastic dust waste polypropylene and high-density polyethylene of 98% or more
  • the kneaded and dispersed waste was cool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the clogged lumps during the reaction were pulverized to prepare powder of ⁇ 0.2 to 2 mm.
  • the weight of the obtained recycled plastic was 10 kg.
  • the recycled plastic pellets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suitable for pallet use when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erms of tensile strength, impact strength and melt index.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the above mechanical properties (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 및 선별이 어려워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소각 및 매립 처리하던 기 사용 플라스틱, 섬유, 고무 또는 플라스틱 더스트 등을 주재로 하여, 재생 플라스틱을 제조하고, 이를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원료와 혼합하여, 폴리프로필렌 사용 비율을 줄이는 한편, 특정 용도, 예를 들어 파렛트 제조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는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 제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본 발명은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토양 및 해양 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생태계가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해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환경부가 발표한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통계에 따르면,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6.4%씩 증가하고 있고, 2015년에는 그 양이 690만톤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플라스틱 폐기물 중 약 60%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재활용되고, 35%는 소각, 5%는 매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플라스틱의 재활용 기술 중 기계적 재활용 방법은 폐플라스틱의 개조, 그래뉼화, 슈레딩 등이 있고, 단순하고 비용이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기 사용된 플라스틱을 수집하여 수작업으로 혹은 기계로 분리한 다음, 세제와 스프레이로 세척 후 고속분쇄기로 절단한다. 그리고 건조한 분체는 펠릿(Pellet)으로 주조하여 플라스틱 목재, 판재, 하수관, 전선관 등의 제조에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각 가정에서 배출/수집되는 기 사용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재사용조건에 맞는 유효한 자원 이외에도 종이, 나무조각, 로프, 라벨 등과 혼재된 경우가 많아 재활용이 곤란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소각 또는 매립되어 오던 종이, 나무조각, 로프, 라벨 등이 혼재된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아임계 열수처리하여 재생 플라스틱으로 제조하고, 이를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와 혼합 및 가공하여 펠릿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재활용 플라스틱을 제조하고, 특히 1회용 파렛트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한 물성을 가진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상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기준,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아임계 열수처리하여 제조한 재생 플라스틱 40 내지 50 중량부및 상용화제 4 내지 5 중량부를 첨가 및 혼합하여 성형한 후 압출하여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재생 플라스틱은, a) 수집, 배출 및 분리가 불가능한 기 사용 플라스틱, 섬유, 고무 및 플라스틱 더스트(Dust) 중 적어도 하나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150 내지 250 ℃의 고온증기, 20 내지 50 기압, 30 rpm 교반 조건 하에서 아임계 열수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아임계 열수처리 후, 20 ㎜ 스크린을 통해 재생 플라스틱 분말과 난분해 물질을 분류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류를 통해 얻어진 재생 플라스틱 분말을 5 내지 20 ㎜의 펠릿(pellet) 형태로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펠릿은 파렛트(Pallets) 제작 용도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렛트용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으로서, 상기 펠릿은 인장강도(MPa)가 19 이상인, 파렛트용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을 제공한다.
상기 펠릿은 충격강도(kJ/m2)가 3.3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또한, 용융지수(g/10 min)가 17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에 의하면, 분리 및 선별이 어려워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소각 및 매립 처리하던 기 사용 플라스틱, 섬유, 고무 또는 플라스틱 더스트 등을 주재로 하여, 재생 플라스틱을 제조하고, 이를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원료와 혼합하여, 폴리프로필렌 사용 비율을 줄이는 한편, 특정 용도, 예를 들어 파렛트 제조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는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 제조가 가능하다.
이에 의해, 종래 소각 또는 매립되던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하여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임계 열수처리 후 스크리닝 분리된 재생 플라스틱 분말(a) 및 난분해 물질(b)의 실제 사진이다.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상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기준,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아임계 열수처리하여 제조한 재생 플라스틱 40 내지 50 중량부및 상용화제 4 내지 5 중량부를 첨가 및 혼합하여 성형한 후 압출하여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은,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상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기준,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아임계 열수처리하여 제조한 재생 플라스틱 40 내지 50 중량부 및 상용화제 4 내지 5 중량부를 첨가 및 혼합하여 성형한 후 압출하여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라스틱은, a) 수집, 배출 및 분리가 불가능한 기 사용 플라스틱, 섬유, 고무 및 플라스틱 더스트(Dust) 중 적어도 하나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150 내지 250 ℃의 고온증기, 20 내지 50 기압, 30 rpm 교반 조건 하에서 아임계 열수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아임계 열수처리 후, 20 ㎜ 스크린을 통해 재생 플라스틱 분말과 난분해 물질을 분류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류를 통해 얻어진 재생 플라스틱 분말을 5 내지 20 ㎜의 펠릿(pellet) 형태로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라스틱의 재활용 기술로 알려진 기술 중 기계적 재활용 기술은 폐플라스틱의 개조, 그래뉼화, 슈레딩 등이 있고, 단순하고도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기 사용된 플라스틱을 수집하여 수작업으로 혹은 기계로 분리한 다음, 세제와 스프레이로 세척 후 고속분쇄기로 절단한다. 그리고 건조한 분체는 펠렛으로 주조하여 플라스틱 목재, 판재, 하수관, 전선관, 자동차 대쉬보드 등의 제조에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각 가정에서 배출/수집되는 기 사용된 플라스틱 폐기물에는 재사용조건에 맞는 유효한 자원 이외에도 얇은 플라스틱 필름 형태를 가지거나, 종이, 나무조각, 로프, 라벨 등과 혼재된 경우가 많아 재활용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소각 또는 매립되어 오던 종이, 나무조각, 로프, 라벨 등이 혼재된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아임계 열수처리하여 재생 플라스틱으로 제조하고, 이를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와 혼합 및 가공하여 펠릿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재활용 플라스틱을 제조하고, 특히 상기 아임계 열수처리로 제조한 재생 플라스틱을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및 상용화제와 혼합하는 경우 1회용 파렛트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한 물성을 가진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및 상용화제와 혼합되어 재사용 플라스틱 펠릿으로 제조되는 재생 플라스틱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집, 배출 및 분리가 불가능한 기 사용 플라스틱, 섬유, 고무 및 플라스틱 더스트(Dust) 중 적어도 하나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150 내지 250 ℃의 고온증기, 20 내지 50 기압, 30 rpm 교반 조건 하에서 아임계 열수처리한다(단계 a).
한편, 본 명세서에서 플라스틱 더스트(Dust)는 가정에서 배출/수집되는 사용 후 플라스틱 제품 중 재활용을 위해 분리 및 선별되고 남은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얇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종이, 나무조각, 로프 및 라벨 등과 혼재되어 있어,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을 의미하며, 종래 이러한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은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재생 플라스틱 제조를 위한 주재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준비된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은 열분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반응기 내로 투입되고, 구체적으로 아임계 열수처리는 150 내지 250℃, 보다 상세하게는 190 내지 210℃의 고온증기, 및 20 내지 50 기압, 보다 상세하게는 20 내지 25 기압의 반응압력 조건 하에서 반죽 및 분산할 수 있으며, 이때 반죽 및 분산 시 교반 조건은 20 내지 50 rpm, 상세하게는 30 rpm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계에서 아임계 열수처리에 사용되는 고온증기 온도가 150℃ 미만인 경우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용융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며, 250℃를 초과하는 경우 혼재된 나무조각, 종이 성분 등이 플라스틱에 눌러붙는 등 불순물 유입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온도 범위를 가지는 고온증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a 단계에서 반응압력 조건은 20 내지 50 기압, 보다 상세하게는 20 내지 25 기압 조건 범위 내일 수 있으며, 설비 비용이나, 안정성 또는 운전용이성을 고려할 때, 20 내지 25 기압 조건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아임계 열수처리 후, 20 ㎜ 스크린을 통해 재생 플라스틱 분말과 난분해 물질을 분류한다(단계 b).
상세하게, 상기 단계는 건조킬른에서 20 ㎜ 스크린으로 통과하는 물질을 재생 플라스틱 분말로 분류하고, 급속 건조 및 후처리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난분해 물질은 별도로 분류하여 고형 연료화한다. 한편, 상기 단계는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재생 플라스틱 분말은 약 70 내지 80 중량%, 난분해 물질은 약 2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속 건조 과정은 250 ㎜ x 10,000 ㎜ 철제 스크류에 고주파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류를 통해 얻어진 재생 플라스틱 분말을 5 내지 20 ㎜의 펠릿(pellet) 형태로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한다(단계 c).
상기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스트랜드 상으로 압출하여 5 내지 20 ㎜의 펠릿(pellet)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에서 1축 압출기도 사용은 가능하지만, 균일한 혼합, 반죽 및 분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2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상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기준,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아임계 열수처리하여 제조한 재생 플라스틱 40 내지 50 중량부 및 상용화제 4 내지 5 중량부를 첨가 및 혼합하여 성형한 후 압출하여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용화제는 말레산 무수물 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된 것(제품명: GNM900P)일 수 있고, 극성 물질과 비극성 물질 사이 결합 및 상용성 향상을 위한 가교제로서 활용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에 따르면, 분리 및 선별이 어려워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소각 및 매립 처리하던 기 사용 플라스틱, 섬유, 고무 및 플라스틱 더스트 등을 주재로 하여, 재생 플라스틱을 제조할 수 있고, 이를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원료와 혼합하여, 폴리프로필렌 사용 비율을 줄이는 한편, 특정 용도, 예를 들어 파렛트 제조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는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이에 의해, 종래 소각 또는 매립되던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그린환경의 국제환경에너지기술연구소의 200리터 테스트 플랜트 내에서 수거된 플라스틱 포장용기 중 수거 및 선별이 가능한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먼저 선별하고, 선별되지 않은 포장용 올레핀 필름, 라벨, 로프 및 라미네이트 종이 용기와 혼재된 플라스틱 더스트 폐기물(폴리프로필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98% 이상) 100리터를 상기 플랜트 장치 반응기에 넣고, 220℃, 20 기압, 30 rpm 교반 조건 하에서 가열, 혼합 및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반죽 및 분산된 폐기물은 상온에서 식힌 후, 반응 중 엉겨붙은 덩어리를 분쇄하여 Φ 0.2 내지 2㎜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얻어진 재생 플라스틱 중량은 10 kg이었다.
다음으로,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분말 24 kg, 상기 재사용 플라스틱 분말 10 kg 및 상용화제로서 GNM900P 1 kg을 혼합한 후, 스트랜드 상으로 압출하여 냉각 후 5 내지 10 ㎜ 단위로 절단하여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pellet)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기존에 파렛트 용도로 사용되던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펠릿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KS(2종)
[실험: 물성 측정]
인장, 충격 및 용융지수를 KSM 3843 기준에 의해 측정하였다. 인장은 자체 시험기, 충격 및 용융지수는 한국고분자 연구소에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아래의 표 1에서 나타내었다.
항 목 단위 비교예 2 비교예 1 실시예 1
인장강도 MPa >16 18.0 19.89
충격강도 kJ/㎡ >1.47 2.8 3.3
용융지수 g/10min 2≤X<4 19 17
앞에서 표 1의 실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은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용융지수 측면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비교예들과 대비할 때, 파렛트 용도로 적합한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기계적 특성(물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에 의하면, 분리 및 선별이 어려워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소각 및 매립 처리하던 기 사용 플라스틱, 섬유, 고무 또는 플라스틱 더스트 등을 주재로 하여, 재생 플라스틱을 제조하고, 이를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원료와 혼합하여, 폴리프로필렌 사용 비율을 줄이는 한편, 특정 용도, 예를 들어 파렛트 제조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는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 제조가 가능하다.
이에 의해, 종래 소각 또는 매립되던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6)

  1.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상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기준,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아임계 열수처리하여 제조한 재생 플라스틱 40 내지 50 중량부및 상용화제 4 내지 5 중량부를 첨가 및 혼합하여 성형한 후 압출하여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플라스틱은,
    a) 수집, 배출 및 분리가 불가능한 기 사용 플라스틱, 섬유, 고무 및 플라스틱 더스트(Dust) 중 적어도 하나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150 내지 250 ℃의 고온증기, 20 내지 50 기압, 30 rpm 교반 조건 하에서 아임계 열수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아임계 열수처리 후, 20 ㎜ 스크린을 통해 재생 플라스틱 분말과 난분해 물질을 분류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류를 통해 얻어진 재생 플라스틱 분말을 5 내지 20 ㎜의 펠릿(pellet) 형태로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된 것인,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펠릿은 파렛트(Pallets) 제작 용도로 사용되는,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4. 제 1 항에 의해 제조된 파렛트용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으로서,
    상기 펠릿은 인장강도(MPa)가 19 이상인, 파렛트용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은 충격강도(kJ/m2)가 3.3 이상인, 파렛트용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은 용융지수(g/10 min)가 17 이하인, 파렛트용 재활용 플라스틱 펠릿.
PCT/KR2021/014515 2021-10-18 2021-10-18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WO202306838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4515 WO2023068386A1 (ko) 2021-10-18 2021-10-18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4515 WO2023068386A1 (ko) 2021-10-18 2021-10-18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386A1 true WO2023068386A1 (ko) 2023-04-27

Family

ID=86058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4515 WO2023068386A1 (ko) 2021-10-18 2021-10-18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6838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096A (ja) * 2003-10-10 2005-04-28 Sumitomo Bakelite Co Ltd プラスチックの可溶化処理方法及びリサイクル方法並びにプラスチック成形材料
KR100679553B1 (ko) * 2006-04-27 2007-02-06 이창호 고기능 피에스용 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기능피에스용 복합소재
JP2007119755A (ja) * 2005-09-27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樹脂製外装材
KR20190141687A (ko) * 2017-04-20 2019-12-24 인두스트리아스 수스텐타블레스 나바, 에세.아.페.이. 데 세.베.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생태학적 미네랄 제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34142A (ko) * 2019-05-21 2020-12-01 임대빈 아임계 포화증기처리를 통한 혼합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096A (ja) * 2003-10-10 2005-04-28 Sumitomo Bakelite Co Ltd プラスチックの可溶化処理方法及びリサイクル方法並びにプラスチック成形材料
JP2007119755A (ja) * 2005-09-27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樹脂製外装材
KR100679553B1 (ko) * 2006-04-27 2007-02-06 이창호 고기능 피에스용 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기능피에스용 복합소재
KR20190141687A (ko) * 2017-04-20 2019-12-24 인두스트리아스 수스텐타블레스 나바, 에세.아.페.이. 데 세.베.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생태학적 미네랄 제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34142A (ko) * 2019-05-21 2020-12-01 임대빈 아임계 포화증기처리를 통한 혼합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946B1 (ko) 열가소성 수지용 셀룰로즈계 충전제
WO2020235983A1 (ko) 이차전지 폐분리막을 이용한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14044968B (zh) 一种耐循环加工的高熔体强度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103116A1 (ko) 이차전지 폐분리막을 이용한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11518334A (zh) 一种从废弃的聚丙烯管道中回收制备改性聚丙烯复合材料的方法
WO2005037927A1 (ja) 固形異物を含む廃プラスチック材料粉砕物から得た再生樹脂組成物
WO2023068386A1 (ko)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WO2023068385A1 (ko)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KR102216447B1 (ko) 재생 플라스틱 제조방법
KR20020086327A (ko) 폐플라스틱 및 산업 폐기물을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과 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2216365A1 (en) Composite materials made using waste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uch
WO2018012951A2 (ko) 소맥피를 포함한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KR102600298B1 (ko)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KR20230055436A (ko)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WO2021049851A1 (ko) 폐 혼합 합성수지의 재생용 충전재
WO2018131833A1 (ko)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US20120149790A1 (en) Recycled building material and method thereof
WO2013141548A1 (ko) 바이오매스 펠렛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40430A1 (ko) 탈가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가교 방법
KR0153321B1 (ko) 폐카페트 및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재생보드의 제조방법
WO2023096046A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3171862A1 (ko) 필름 시트형 생활계 폐플라스틱 재생방법
CN115124782B (zh) 一种高耐热氧老化环保再生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6013819A1 (ko) 2종 이상의 수지, 유리장섬유 및 올레핀계 고무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Zulnazri et al. Comparison of Composite Quality from PP Plastic with Recycled HDPE Through The Screw Extruder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14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