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31833A1 -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31833A1
WO2018131833A1 PCT/KR2018/000073 KR2018000073W WO2018131833A1 WO 2018131833 A1 WO2018131833 A1 WO 2018131833A1 KR 2018000073 W KR2018000073 W KR 2018000073W WO 2018131833 A1 WO2018131833 A1 WO 20181318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lt
automobile
carpet
manufacturing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00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백성규
김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텍
Publication of WO20181318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318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57Producing 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3/00Use of resin-bonded materials as filler
    • B29K2503/04Inorganic materials
    • B29K2503/08Mineral aggregates, e.g. sand, clay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17Floor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stic substitute for a vehicle using an automotive waste carp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stic substitute for automobile by grinding and melting the waste carpet of the vehicle through a single process.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153321 a waste carpet is pulverized to produce an extrudate, and the extrudate is pulverized, followed by mixing with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and wood powder, followed by a second extrusion process.
  • Disclosed is a technique for manufacturing a recycled board which is a material of an automobile part.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245751 the waste carpet is pulverized using a hammer-mill type grinder, and styrene-ethylene and 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 rubber and maleic anhydride are added to the pulverized product as a modifier. After the extrusion is disclosed a technique for producing a recycled material,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 10-2002-0087197 is a first pulverized waste carpet by a high-speed crusher and then melted, extruded and pulverized to prepare a secondary pulverized
  • a technique is disclosed in which secondary powders and rubber powders, glass fibers, plastic solids and the like are mixed, compounded and extruded to obtain recycled materials.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8-0060266 discloses a technique for preparing recycled materials by pulverizing waste carpet, preparing a ground product, adding maleic anhydride or peroxide as a modifier, mixing and extruding them.
  •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81960 discloses a technique for melting the scrap and peroxide together after the manufacture of scrap by grinding the waste carpe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regenerating a car carpet by simplifying the processes of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of primary grinding, melting, extrusion, cooling, secondary grinding, melting, extrusion Process of crushing, mixing and melting by process, and injecting melt into the extruder through an automated system to perform extrusion process, thus simplifying the process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Its purpose is to provide.
  • 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 substitute for automobiles using the automobile waste carp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omprises the steps of pulverizing the automobile waste carpet to produce a pulverized product; Stirring and melting the ground product to prepare a melt; Adding polypropylene and bamboo flour to the melt and stirring to prepare a mixed melt; And injecting the mixed melt into an extruder and extruding, wherein the ground product, the melt and the mixed melt are produced by a single process.
  • polypropylene is mixed in the range of 75 to 8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ste carpet scrap, bamboo flour 3 to 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aste carpet scrap It is characterized by mixing in the negative range.
  • the step of preparing the pulverized pro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ushing to a size of about 100mm ⁇ 100mm by using an automatic press device equipped with a blade.
  • the mixed mel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ed to the extruder by an automatic feeding device.
  • a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substitutes for automobiles using automobile waste carpets performs a grinding, mixing and melting process by a single process and injects the melt into an extruder through an automated system to extrude
  • Figure 1 shows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melt in the experiment, (a) the internal state of the melter, (b) the state of filling the waste carpet pieces in the melter (C)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of melting and mixing.
  •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rocess of grinding the waste carpe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an apparatus for mixing and stirring the additives in the pulveriz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hotograph of a plastic substitute for automobiles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 Single process which is a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 used for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automobile carpet regeneration process.
  • a pulverized product is prepared through primary grinding, melting, extrusion, and cooling, and the pulverized product is again used.
  • the single process is performed in a single batch without recovering or transferring intermediate products by performing milling, mixing, and melting in one process.
  • the term means that the process is carried out.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lastic substitute for automobiles using the automobile waste carp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ulverizing the automobile waste carpet to produce a pulverized product; Stirring and melting the ground product to prepare a melt; Adding polypropylene and bamboo flour to the melt and stirring to prepare a mixed melt; Injecting and extruding the mixed melt into the extruder, wherein the pulverized product, the melt and the mixed melt are produced by a single process, and the prepared mixed melt is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by an automatic feeding device such as a conveyor and extruded. It is characterized by manufacturing a plastic substitute for automobiles.
  • the automatic press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rushed with a blade mounted therein.
  • the grinding is not a general grinding method but by using an automatic press, a 600 mm ⁇ 1500 mm disc (waste carpet scrap) is mounted on the automatic press, and 100 mm ⁇ 100 using a blade mounted on the automatic press without external conditions. Grind to a size of about mm.
  • the extrudate is prepared, and the extrudate should be crushed again and put into the melter and the extruder, so that the size of the pulverized product should be small to about 10 mm ⁇ 10 mm, which is very time consuming to grind. In addition, the time consumed for collecting the pulverized powder is considerable.
  • the automatic pr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ulverized to a large size of about 100 mm ⁇ 100 mm by using a blade mounted on the automatic press without external conditions, and thus, by directly moving the pulverized product to the melter and extruder. The process can save a lot of time.
  • the me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heater to heat the interior. Therefore, by filling the crushed waste carpet scrap into the melter by operating a heater to b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260 to 265 °C it is possible to stir melt the waste carpet pulverized.
  • the stirred and melted waste carpet pulverized product is in a state of high viscosity paste as shown in FIG.
  • the stirring and melting must be performed at 260 to 265 ° C., if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260 ° C., the nylon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contained in the waste carpet scrap are not melted, and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265 ° C., carbonization may occur.
  • the temperature range must be maintained. Therefore, in the temperature range, the nylon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are oxidized, so that only the latex, polyethylene, and ethylene vinyl acetate polymer components which constitute the carpet are maintained.
  • the stirring melt may be carried out for 20 to 30 minutes to obtain the mel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part of the melter is opened and polypropylene and bamboo flour are added while stirring. After that, the upper part of the melter is again sealed and melt stirred for 15 to 20 minutes to obtain a mixed melt.
  • the melt stirring temperature should still be maintained at 260-265 ° C.
  • the polypropylene is added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molded product, and the bamboo flour is for imparting the function of causing the molded product to have aromaticity.
  • the polypropylene is mixed in the range of 75 to 8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aste carpet scrap, and the bamboo flour is mixed in the range of 3 to 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aste carpet scrap.
  • polypropylene is added. Since the melting points of the two components are different, first, the waste carpet scraps are melted and polypropylene is added thereto. Therefore, different melting time and content rati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trength of the final molding, so the optimization of the melting time and the polypropylene dosage is a very important process variable.
  • a mixed melt is obtained by mixing and melting the melt of the waste carpet scrap, polypropylene, and bamboo flour.
  • the mixed melt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hrough a conveyor belt or the like and fed to an extruder.
  • the mixed melt may be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or belt and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to manufacture a molded product in a continuous process.
  • the molding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through a cooling process, and in particular, the molding may be used as a plastic substitute for automobiles such as automobile wheel guards, bumpers, and undercovers, and may exhibit superior strength and direction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using new materials). A product with ⁇ can be obtained.
  • the mixed melt is conveyed directly to the extruder without going through the conveyor belt, etc. It is noted that the process can be reduced by one step.
  • the state tensile strength and state bending strength were measured in order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tic substitute for automobile manufactured through a singl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the FITI test institute, and the requirements are the product specifications required by the automaker.
  •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tate was tested by MS 220-90.
  • the test conditions were TYPE 1 for the test piece according to the method specified in ASTM D 638, and the test speed was tested at 50 mm / min.
  • Type A Thickness (mm) Width (mm) Load (kgf) Tensile Strength (MPa) One 3.25 15.54 67.7 13 12 MPa or more 2 3.24 15.67 72.8 14 3 3.27 15.80 71.2 14 4 3.26 15.59 66.5 13 5 3.26 15.80 72.1 14 Average 13
  • the state flexural strength was tested by MS 220-90, the test conditions are the size of the test piece according to the method specified in ASTM D 790 127mm x 12.7mm x 6.4mm, the test speed is 10mm / min Was tested.
  • the recycled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lmost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as the conventional polypropylene recycled board.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recycled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products such as automobile carpets. h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폐카페트를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쇄물을 교반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융물에 폴리프로필렌 및 죽분(竹粉)을 첨가하고 교반 용융하여 혼합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융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물, 용융물 및 혼합 용융물은 단일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공정을 통해 자동차의 폐카페트를 분쇄 및 용융함으로써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폐차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재활용 법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자동차 업계에서는 폐차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 더불어 자동차 제작시 발생하는 폐기물을 줄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특히, 카페트 등 비금속 재료는 재활용이 어렵고 매립시 장기간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폐기물 감소를 위해 1차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비금속 재료 폐기물 중 자동차 카페트는 제작 중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이 최종제품 대비 35~50 중량%로서 매우 높은 편이며 다양한 성분이 복합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어려워 전량 매립 또는 소각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카페트의 매립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매립보다는 주로 소각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소각 시 발생되는 유독 가스가 대기오염을 유발시켜 2차 공해를 발생시키는 등 많은 환경적인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자동차 업계에서는 다양한 재활용 기술을 개발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153321호에서는 폐카페트를 분쇄하여 압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압출물을 분쇄한 후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및 목분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다시 2차 압출하는 공정을 거쳐 자동차 부품의 재료인 재생 보드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45751호에서는 폐카페트를 햄머-밀 타입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고, 상기 분쇄물에 개질제로서 스티렌-에틸렌과 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 및 무수말레인산을 첨가한 후 압출함으로써 재생 재료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87197호에서는 폐카페트를 고속분쇄기로 1차 분쇄한 후 용융, 압출하고 분쇄하여 2차 분쇄물을 제조하고 상기 2차 분쇄물과 고무 분말, 유리섬유 및 플라스틱 고형물 등을 혼합하여 컴파운딩한 후 압출하여 재생 재료를 얻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8-0060266호에서는 폐카페트를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한 후 개질제로서 말레산 무수물 또는 과산화물을 첨가한 후 이를 혼합하고 압출하여 재생 재료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81960호에서는 폐카페트를 분쇄하여 스크랩을 제조한 후 상기 스크랩과 과산화물을 함께 용융하고 압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폐카페트를 용융, 압출하여 1차 분쇄물을 제조한 후 다시 용융, 압출하여 2차 분쇄물을 제조하는 복잡한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실제 공정을 통해 제조한 재생품을 제품으로 적용하기에는 물성이나 공정 재현성이 낮은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카페트를 재생할 때 종래의 제조방법인 1차 분쇄, 용융, 압출, 냉각, 2차 분쇄, 용융, 압출의 공정을 단순화하여 단일 공정에 의해 분쇄, 혼합, 용융 공정을 수행하고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용융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은 자동차 폐카페트를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쇄물을 교반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융물에 폴리프로필렌 및 죽분(竹粉)을 첨가하고 교반 용융하여 혼합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융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물, 용융물 및 혼합 용융물은 단일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 용융은 260 내지 265℃에서 수행하되, 폴리프로필렌은 폐카페트 스크랩 100 중량부에 대하여 75 내지 85 중량부의 범위로 혼합되며, 죽분은 상기 폐카페트 스크랩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8 중량부의 범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칼날이 장착된 자동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100㎜×100㎜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 용융물은 자동 공급 장치에 의해 압출기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자동차 카페트 재생 방법과는 달리 단일 공정에 의해 분쇄, 혼합, 용융 공정을 수행하고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용융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으로 용융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a)용융기 내부상태, (b) 상기 용융기에 폐카페트 조각을 채운 상태 및 (C) 용융되어 혼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폐카페트를 분쇄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쇄물에 첨가물을 혼합하고 교반압출하는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혼합 용융물을 성형하는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단일 공정은 종래의 자동차 카페트 재생공정과 비교를 위하여 사용하는 용어로서,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1차 분쇄, 용융, 압출, 냉각을 통해 분쇄물을 제조하고 다시 상기 분쇄물을 2차 분쇄, 용융한 후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의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에 비하여, 상기 단일 공정은 하나의 공정에 의해 분쇄, 혼합, 용융을 수행함으로써 중간 생성물의 회수, 이송이 없이 단일한 배치에서 공정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즉, 본 발명의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은 자동차 폐카페트를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쇄물을 교반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융물에 폴리프로필렌 및 죽분(竹粉)을 첨가하고 교반 용융하여 혼합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융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분쇄물, 용융물 및 혼합 용융물은 단일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제조된 혼합 용융물은 컨베이어와 같은 자동공급 장치에 의해 압출기에 투입되고 이를 압출하여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프레스 장치는 내부에 칼날이 장착되어 분쇄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쇄는 일반적인 분쇄방식이 아닌 자동 프레스를 이용한 방식으로 600㎜×1,500㎜의 원판(폐카페트 스크랩)을 자동 프레스에 장착하고, 외부의 조건없이 자동 프레스에 장착된 칼날을 이용하여 100㎜×100㎜ 정도의 크기로 분쇄한다.
종래에는 1차 분쇄후 압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압출물을 재차 분쇄하고 용융·압출기에 넣어야 하기에 분쇄물의 크기가 10㎜×10㎜ 정도의 크기로 작아야 하며, 이는 분쇄하는데 시간이 상당히 소모되고 또 분쇄된 분쇄물을 수거하는데 소모되는 시간도 상당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자동 프레스 장치는 외부의 조건없이 자동 프레스에 장착된 칼날을 이용하여 100㎜×100㎜ 정도의 큰 크기로 분쇄할 수 있으며, 또 이로 인하여 분쇄물을 직접 용융·압출기로 이동함으로써 공정상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융기에는 히터가 장착되어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쇄된 폐카페트 스크랩을 용융기에 채운 후 히터를 작동시켜 내부 온도를 260 내지 265℃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폐카페트 분쇄물을 교반 용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교반 용융된 폐카페트 분쇄물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성이 높은 페이스트 상태가 된다. 상기 교반 용융은 반드시 260 내지 265℃에서 수행해야 하는데, 온도가 260℃보다 낮으면 폐카페트 스크랩에 함유된 나일론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용융되지 않고, 온도가 265℃보다 높으면 탄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 범위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온도 범위에서 상기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산화되기 때문에 카페트를 구성하는 주성분인 라텍스,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초산비닐 중합체 성분만이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반 용융은 20 내지 30분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용융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교반 용융을 마친 후 상기 용융기의 상부를 개방하고 교반하면서 폴리프로필렌 및 죽분을 첨가한다. 이후 다시 용융기의 상부를 밀폐하고 15 내지 20분간 용융 교반을 함으로써 혼합 용융물을 얻게 된다. 이때 용융 교반 온도는 여전히 260 내지 265℃를 유지해야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성형물의 강도를 우수하게 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며, 죽분은 성형물이 방향성(芳香性)을 가지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상기 폐카페트 스크랩 100 중량부에 대하여 75 내지 85 중량부의 범위로 혼합되며, 상기 죽분은 상기 폐카페트 스크랩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8 중량부의 범위로 혼합된다. 또한, 폐카페트 스크랩을 일단 용융한 후 폴리프로필렌을 투입해야 하는데, 이는 두 성분의 용융점이 다르기 때문에 먼저 폐카페트 스크랩을 용융하고 여기에 폴리프로필렌을 투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투입 시간 및 함량 비율이 달라지면 최종 성형물의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상기 용융 시간, 폴리프로필렌 투입량에 대한 최적화는 매우 중요한 공정 변수에 해당한다.
상기 폐카페트 스크랩의 용융물과 폴리프로필렌, 죽분을 혼합하여 용융함으로써 혼합 용융물이 얻어지게 되는데, 상기 혼합 용융물은 컨베이어 벨트 등을 통하여 자동으로 이송되어 압출기에 투입된다. 이때 상기 혼합 용융물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어 상기 압출기에 투입함으로써 연속 공정으로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성형물은 냉각 공정을 거쳐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용 휠가드, 범퍼 및 언더커버 등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으로 이용됨으로써 기존의 신재료를 사용한 제품에 비해 월등한 강도를 나타내고 또 방향(芳香)을 가지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 용융물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 압출기에 이송됨으로써 공정을 한 단계 줄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일공정을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태 인장강도 및 상태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FITI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수행하였으며 요구기준은 자동차 회사에서 요구되는 제품 사양이다.
상기 상태 인장강도는 MS 220-90에 의하여 시험하였는데, 상기 시험 조건은 ASTM D 638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시험편은 TYPE 1을 사용하였으며 시험속도는 50㎜/min로 시험하였다.
상기 재생보드의 상태 인장강도 시험결과는 표 1과 같다.
회수 시험결과 요구기준(Type A)
두께(㎜) 폭(㎜) 최대하중(kgf) 인장강도(MPa)
1 3.25 15.54 67.7 13 12 MPa 이상
2 3.24 15.67 72.8 14
3 3.27 15.80 71.2 14
4 3.26 15.59 66.5 13
5 3.26 15.80 72.1 14
평균 13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은 요구기준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굴곡강도도 MS 220-90에 의하여 시험하였는데, 상기 시험 조건은 ASTM D 790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시험편의 크기는 127㎜×12.7㎜×6.4㎜이며, 시험속도는 10㎜/min로 시험하였다.
상기 재생보드의 상태 굴곡강도 시험결과는 표 2와 같다.
회수 시험결과 요구기준(Type A)
두께(㎜) 폭(㎜) 최대하중(kgf) 굴곡강도(MPa)
1 3.51 12.18 3.31 18 15 MPa 이상
2 3.47 12.93 3.45 18
3 3.38 12.71 3.25 18
4 3.46 11.71 3.03 18
5 3.38 12.12 3.50 21
평균 19
표 2의 결과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재생보드는 요구기준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재생 보드는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재생보드와 대비하여 물성이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재생보드는 자동차 카페트 등의 제품에 활용 가능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4)

  1.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자동차 폐카페트를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쇄물을 교반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융물에 폴리프로필렌 및 죽분(竹粉)을 첨가하고 교반 용융하여 혼합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융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압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물, 용융물 및 혼합 용융물은 단일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 용융은 260 내지 265℃에서 수행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상기 폐카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75 내지 85 중량부가 혼합되고, 상기 죽분은 상기 폐카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8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칼날이 장착된 자동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100㎜×100㎜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융물은 자동 공급 장치에 의해 압출기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PCT/KR2018/000073 2017-01-16 2018-01-03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WO201813183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05 2017-01-16
KR1020170006905A KR101733629B1 (ko) 2017-01-16 2017-01-16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1833A1 true WO2018131833A1 (ko) 2018-07-19

Family

ID=6016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0073 WO2018131833A1 (ko) 2017-01-16 2018-01-03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3629B1 (ko)
WO (1) WO20181318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93B1 (ko) * 2017-10-19 2019-05-22 주식회사 엔에스텍 자동차 폐카페트 재생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589A (ko) * 1995-05-12 1996-12-17 박동현 목재 및 플라스틱 등의 폐기물을 이용한 성형제품의 제조방법
KR0134682B1 (ko) * 1995-02-20 1998-04-20 박동현 섬유 및 플라스틱 폐기물을 이용한 성형제품의 제조방법
KR19980055638A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카페트의 재생방법
KR0153321B1 (ko) * 1995-09-19 1998-12-01 전성원 폐카페트 및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재생보드의 제조방법
KR101276323B1 (ko) * 2012-04-19 2013-06-18 한양소재 주식회사 플라스틱 복합소재 폐기물을 이용한 재활용 칩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682B1 (ko) * 1995-02-20 1998-04-20 박동현 섬유 및 플라스틱 폐기물을 이용한 성형제품의 제조방법
KR960040589A (ko) * 1995-05-12 1996-12-17 박동현 목재 및 플라스틱 등의 폐기물을 이용한 성형제품의 제조방법
KR0153321B1 (ko) * 1995-09-19 1998-12-01 전성원 폐카페트 및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재생보드의 제조방법
KR19980055638A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카페트의 재생방법
KR101276323B1 (ko) * 2012-04-19 2013-06-18 한양소재 주식회사 플라스틱 복합소재 폐기물을 이용한 재활용 칩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629B1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1809B1 (en) Rubb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4044968B (zh) 一种耐循环加工的高熔体强度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532739A (zh) 一种用废旧pvc料制造pvc型材的工艺方法
WO2018131833A1 (ko) 자동차 폐카페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라스틱 대체품의 제조방법
CN101190981B (zh) 汽车保险杠专用材料及废弃印刷电路板的回收利用方法
WO2019078403A1 (ko) 자동차 폐카페트 재생 장치
WO2018012951A2 (ko) 소맥피를 포함한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CN101602236B (zh) 橡胶飞边的机械再生方法
CN107540935B (zh) 一种聚丙烯回收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808394B (zh) 塑料相容剂组合物、热塑性再生塑料及其加工方法
CN115340756A (zh) 一种生物降解吸塑片材母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0153321B1 (ko) 폐카페트 및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재생보드의 제조방법
KR102645523B1 (ko) 자동차 부품용 재생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JPH07164443A (ja) ポリプロピレン・木粉系複合材の改質方法
WO2023068386A1 (ko)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WO2013141548A1 (ko) 바이오매스 펠렛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68385A1 (ko)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CN107501716B (zh) 一种由聚丙烯回收料制成的聚丙烯填充母粒及其制备方法
KR20230055436A (ko)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CN1268672C (zh) 氯化丁基橡胶废胶再生方法
KR102600298B1 (ko) 아임계 열수처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CN116572491A (zh) 一种利用新型橡胶促进剂与脱硫胶粉制备再生胶的工艺
KR101409331B1 (ko) 스크랩 epdm을 이용한 전단열분해 방법
KR101887885B1 (ko) 재생수지를 이용한 경량 재생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721867B (zh) 一种再生聚苯乙烯改性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387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387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