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63684A1 - 스테빌라이저 - Google Patents

스테빌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63684A1
WO2023063684A1 PCT/KR2022/015303 KR2022015303W WO2023063684A1 WO 2023063684 A1 WO2023063684 A1 WO 2023063684A1 KR 2022015303 W KR2022015303 W KR 2022015303W WO 2023063684 A1 WO2023063684 A1 WO 20230636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internal structure
stabilizer
vertical direction
ro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53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예운
Original Assignee
고예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예운 filed Critical 고예운
Publication of WO20230636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636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Definitions

  • the inclination of the keycap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abilizer can be eliminated or minimized through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stabilizer.
  • Equation 3 is obtained.
  • the core pillar moves between 0 and 4 mm only in the upper direction based o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in the stabiliz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pillar 120 moves upward by 2 mm based o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ove 2 mm from the lower side.
  • the g of the conventional stabilizer is 0.123 mm, but the g of the stabiliz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0.032 mm, and as a result, the g of the stabiliz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3.84 times smaller.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스테빌라이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봉 바디와, 상기 연결봉 바디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봉 암들을 포함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 암들이 삽입되는 내부 구조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코어 기둥; 및 상기 연결봉 바디가 배치되는 하우징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 기둥이 삽입되는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 암들은, 상기 코어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봉 바디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상기 내부 구조는, 상기 연결봉 암들이 상기 연결봉 바디보다 낮은 높이로 회전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테빌라이저
본 발명은 2021년 10월 12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출원 제 10-2021-0135238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스테빌라이저에 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봉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수평 유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스테빌라이저는 키보드의 스페이스(space) 키, 엔터(enter) 키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키캡(key cap)을 가지는 스위치의 수평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넓은 키캡의 오른쪽 부분에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면 스테빌라이저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스위치의 오른쪽 부분뿐만 아니라 왼쪽 부분도 함께 하강하며, 넓은 키캡의 왼쪽 부분에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스테빌라이저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스위치의 왼쪽 부분뿐만 아니라 오른쪽 부분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다만,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는 키캡의 특정 부분과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다른 부분은 키캡이 하강하는 중에 이상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지는 못한다.
즉, 키캡은 하강하는 중에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는 특정 부분이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다른 부분보다 너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의해 키캡은 약간의 기울어진 각도를 가진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하강하는 중에 키캡이 기울어지는 이유는 스위치 또는 스테빌라이저의 구조적인 특성과 공차에 기인한다. 또한, 스위치 또는 스테빌라이저를 제조하는 공정을 정밀화하면 공차로 인한 키캡의 기울어짐을 최소화시킬 수는 있으나, 스위치 또는 스테빌라이저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한 키캡의 기울어짐 현상은 여전히 남게 된다.
스위치의 수평을 유지하는 기능이 스테빌라이저의 근본적인 기능임을 고려하면, 스테빌라이저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한 키캡의 기울어짐 현상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봉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수평 유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테빌라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봉 바디와, 상기 연결봉 바디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봉 암들을 포함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 암들이 삽입되는 내부 구조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코어 기둥; 및 상기 연결봉 바디가 배치되는 하우징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 기둥이 삽입되는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 암들은, 상기 코어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봉 바디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상기 내부 구조는, 상기 연결봉 암들이 상기 연결봉 바디보다 낮은 높이로 회전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빌라이저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키캡의 기울어짐 현상을 스테빌라이저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키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발생하는 스테빌라이저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의 결합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의 다양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와 종래 스테빌라이저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의 분해 사시도이다.
※ 부호의 설명
100: 스테빌라이저
110: 연결봉 112: 우측 연결봉 암
114: 좌측 연결봉 암 116: 연결봉 바디
120: 코어 기둥 122: 우측 코어 기둥
124: 좌측 코어 기둥 130: 하우징
132: 우측 하우징 134: 좌측 하우징
132-1, 134-1: 하우징 고정부 132-2. 134-2: 하우징 공간
140: 키캡 142-1: 우측 글쇠 연결봉
144-1: 좌측 글쇠 연결봉 142-2, 144-2: 내부 공간
150: 키보드 스위치 160: PCB
170: 내부 구조 210: 상측 내부 구조
220: 하측 내부 구조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이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b는 스테빌라이저(100)의 결합도이고, 도 1c는 도 1b의 스테빌라이저(100)를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100)는 연결봉(110), 하나 이상의 코어 기둥(120) 및 하나 이상의 하우징(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테빌라이저(100)는 키캡(140), 스위치(150) 및 인쇄회로기판(PCB, 160)와 결합되어 키보드 스위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연결봉(110)은 연결봉 바디(116) 및 연결봉 암(arm, 112, 114))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봉 바디(116)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결봉 암들(112, 114)은 연결봉 바디(116)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 암들(112, 114)은 연결봉 바디(116)가 연장 형성된 일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 암들(112, 114)은 도 1a, 도 1b 및 도 1c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표현되어 있는 우측 연결봉 암(112)과 좌측에 표현되어 있는 좌측 연결봉 암(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봉 암들(112, 114)은 코어 기둥(120)의 상항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연결봉 바디(116)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코어 기둥(120)은 키캡(140)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코어 기둥(120)은 사용자의 외력이 키캡(140)에 인가되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사용자의 외력이 해제되면 스위치(150)의 복원력에 의해 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방향에 대해 정의하면 아래와 같다.
상하 방향을 도면에 표현된 z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 방향 또는 위 방향을 z축이 향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하 방향 또는 아래 방향은 -z축이 향하는 방향에 해당한다. 세로 방향은 도면에 표현된 y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며, 가로 방향은 도면에 표현된 x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코어 기둥(120)에는 연결봉 암들(112, 114)이 삽입되는 내부 구조(170)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 연결봉 암(112)이 삽입되는 내부 구조는 우측 코어 기둥(122)에 형성되며, 좌측 연결봉 암(114)이 삽입되는 내부 구조는 좌측 코어 기둥(124)에 형성된다.
코어 기둥(120)의 내부 구조(170)는 연결봉 암들(112, 114)이 회전축에 해당하는 연결봉 바디(116)보다 더 낮은 높이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내부 구조(17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에는 코어 기둥(120)이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두 개의 코어 기둥들(122, 124)로 구성되는 예가 표현되어 있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코어 기둥(120)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코어 기둥(120)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우징(130)은 연결봉(110)과 코어 기둥(130)을 고정 또는 배치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
하우징(130)에는 하우징 공간(132-2, 134-2)가 형성되며, 코어 기둥(120)은 이 하우징 공간(132-2, 134-2)에 삽입됨으로써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 공간(132-2, 134-2)은 우측 코어 기둥(122)이 삽입되는 우측 하우징 공간(132-2) 및 좌측 코어 기둥(124)이 삽입되는 좌측 하우징 공간(13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30)에는 하우징 고정부(132-1, 134-1)가 형성되며, 연결봉 바디(116)는 이 하우징 고정부(132-1, 134-1)에 배치됨으로써 연결봉(110) 자체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PCB(160)에 결합됨으로써 자체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도 1a, 도 1b 및 도 1c에 표현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두 개의 구성(132, 134)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내부 구조(170)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내부 구조(170)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 요약하면, 내부 구조(170)의 구조적 특징은 연결봉 암들(112, 114)이 연결봉 바디(116)보다 더 낮은 높이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내부 구조(170)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들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구조(170)는 상측에 위치하는(형성된) 상측 내부 구조(210) 및 하측에 위치하는(형성된) 하측 내부 구조(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봉 암들(112, 114)는 상측 내부 구조(210) 및 하측 내부 구조(220)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a의 (a) 및 (b)와 도 2b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측 내부 구조(210)는 하측에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하측 내부 구조(220)는 상측에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내부 구조(210)는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단부(우측 엣지)에 위치하는 지점(Re)의 높이가 상측 내부 구조(210)의 최저 지점(높이가 가장 낮은 지점, L)의 높이보다 높은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측 내부 구조(220)는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단부(좌측 엣지)에 위치하는 지점(Le)의 높이가 하측 내부 구조(220)의 최고 지점(높이가 가장 높은 지점, H)보다 높은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내부 구조(210)의 최저 지점(L)은 하측 내부 구조(220)의 최고 지점(H)과 다른 위치에 자리하거나, 도 2a의 (a) 및 (b)와 도 2b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같은 위치에 자리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2b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측 내부 구조(210)의 최저 지점(L)은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내부 구조(210)의 중앙에 위치하며, 하측 내부 구조(220)의 최고 지점(H)도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 내부 구조(22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a의 (a) 및 (b)와 도 2b의 (a)에 예시된 경사 구조를 정리하면, 상측 내부 구조(210)는 우상향(좌하향)하는 경사 구조를 전부 또는 일부에서 포함할 수 있으며, 하측 내부 구조(220)는 우하항(좌상향)하는 경사 구조를 전부 또는 일부에서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를 달리하여, 도 2b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측 내부 구조(210)는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최저 지점(L)이 우측 단부(Re)에 위치하는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하측 내부 구조(220)는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최고 지점(H)이 우측 단부(Re)에 위치하는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b의 (b)에 예시된 경사 구조를 정리하면, 상측 내부 구조(210)는 우하향(좌상향)하는 경사 구조를 전부에서 포함할 수 있으며, 하측 내부 구조(220)는 우상향(좌하향)하는 경사 구조를 전부에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스테빌라이저(100)의 동작을 내부 구조(170)의 구조적 특성에 기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스테빌라이저(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가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나 있다.
도 3a는 사용자의 외력이 키캡(140)에 인가되지 않은 기본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코어 기둥(120) 및 이에 포함된 상측 내부 구조(210)와 하측 내부 구조(220)는 최고 높이를 가지며, 연결봉 암(112, 114)도 회전하지 않은 최고 높이를 가진다.
도 3b는 사용자의 외력이 키캡(140)에 인가되어 연결봉 암(112, 114)이 세로 방향과 평행한 상태(수평 상태)까지 회전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사용자의 외력이 키캡(140)에 인가되면, 코어 기둥(120)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측 내부 구조(210)와의 접촉에 의해 연결봉 암(112, 11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외력이 키캡(140)의 좌측에 인가되는 경우에, 좌측 코어 기둥(124)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측 내부 구조(210)와의 접촉에 의해 좌측 연결봉 암(11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우측 연결봉 암(112)은 연결봉 바디(116)를 통해 좌측 연결봉 암(114)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우측 연결봉 암(11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우측 연결봉 암(112)과의 접촉에 의해 하측 내부 구조(22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국, 키캡(140)의 우측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의 외력이 키캡(140)의 우측에 인가되는 경우에는, 우측 코어 기둥(122)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측 내부 구조(210)와의 접촉에 의해 우측 연결봉 암(11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좌측 연결봉 암(114)은 연결봉 바디(116)를 통해 우측 연결봉 암(112)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좌측 연결봉 암(114)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좌측 연결봉 암(114)과의 접촉에 의해 하측 내부 구조(22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국, 키캡(140)의 좌측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c는 사용자의 외력이 키캡(140)에 지속적으로 인가되어 연결봉 암(112, 114)이 회전축에 해당하는 연결봉 바디(116)보다 아래의 높이까지 회전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상측 내부 구조(210)는 최저 지점이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 구조를 가지며, 하측 내부 구조(220)는 최고 지점이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내부 구조(170)는 상측 내부 구조(210)의 최저 지점 또는 하측 내부 구조(220)의 최고 지점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연결봉 암(112, 114)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외력이 키캡(140)에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경우에, 연결봉 암(112, 114)은 연결봉 바디(116)보다 아래의 높이까지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동작과 종래 스테빌라이저의 동작을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내부 구조(170)와 종래 스테빌라이저의 내부 구조를 비교하는 예시도가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4의 (a)는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종래 스테빌라이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며, 도 4의 (b)는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내부 구조(170)를 나타낸다.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상측 내부 구조(210)와 하측 내부 구조(220)는 최고 높이를 가지며, 연결봉 암(112, 114)도 회전하지 않은 최고 높이를 가진다. 또한, 종래 스테빌라이저의 상측 내부 구조와 하측 내부 구조도 최고 높이를 가지며, 연결봉 암도 회전하지 않은 최고 높이를 가진다.
도 4의 (c)는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어 연결봉 암이 세로 방향에 평행하게 회전한 종래 스테빌라이저를 나타내며, 도 4의 (d)는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어 연결봉 암(112, 114)이 세로 방향에 평행하게 회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를 나타낸다.
종래 스테빌라이저의 경우, 도 4의 (c)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이 지속되더라도 하측 내부 구조와의 접촉에 의해 연결봉 암이 추가적으로 회전할 수 없다. 즉, 종래 스테빌라이저의 연결봉 암은 수평 상태까지만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는 상측 내부 구조(210)와 하측 내부 구조(220)가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여분의 공간을 형성하는 경사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의 외력이 지속되는 경우에 연결봉 암(112, 114)이 추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내부 구조(170)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의 스테빌라이저(100)가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기본 상태에서 내부 구조(170)를 나타낸다. 도 5a에서, w는 상측 내부 구조(210)의 최저 지점과 하측 내부 구조(220)의 최고 지점 사이의 수직 거리(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한 거리)를 나타내며, P는 이 수직 거리의 중심점을 나타내고, Q는 회전 중심을 나타낸다.
l은 P와 Q 사이의 세로 방향 길이를 나타내며, n은 P와 Q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h는 P와 Q 사이의 상하 방향 길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l, n 및 h 간에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22015303-appb-img-000001
l, n 및 h이 이루는 수직 삼각형과, 연결봉 암(112, 114)의 두께(직경)을 나타내는 d 및 w가 이루는 수직 삼각형은 서로 맞꼭지각(θ)을 가지므로, 아래와 같은 수학식 2가 성립한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22015303-appb-img-000002
수학식 2를 w에 대해 정리하면,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
Figure PCTKR2022015303-appb-img-000003
수학식 3에 수학식 1을 대입하면, 수학식 4와 같다.
[수학식 4]
Figure PCTKR2022015303-appb-img-000004
w와 d 사이의 차이인 공차(g)를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수학식 5와 같다.
[수학식 5]
Figure PCTKR2022015303-appb-img-000005
수학식 4와 수학식 5에서, l=10 mm, d=1.6 mm으로 고정하고, h의 값을 변화시켜 w와 g를 계산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h(mm) w(mm) g(mm)
2 1.632 0.032
4 1.732 0.123
5 1,789 0.189
10 2,263 0.663
만약, 상하 방향으로 4 mm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경우에, 종래 스테빌라이저는 코어 기둥이 0 ~ 4 mm 사이를 움직이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는 코어 기둥(120)이 -2 ~ +2 mm를 움직이게 된다.
즉, 종래 스테빌라이저는 코어 기둥이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위 쪽에서만 0 ~ 4 mm 사이를 움직이나,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는 코어 기둥(120)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위 쪽에서 2 mm 움직이고 아래 쪽에서 2 mm 움직인다.
따라서, 종래 스테빌라이저의 g는 0.123 mm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g는 0.032 mm가 되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g가 약 3.84 배 적게 된다.
다른 예로, 상하 방향으로 10 mm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경우에, 종래 스테빌라이저는 코어 기둥이 0 ~ 10 mm 사이를 움직이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는 코어 기둥(120)이 -5 ~ +5 mm를 움직이게 된다.
즉, 종래 스테빌라이저는 코어 기둥이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위 쪽에서만 0 ~ 10 mm 사이를 움직이나,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는 코어 기둥(120)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위 쪽에서 5 mm 움직이고 아래 쪽에서 5 mm 움직인다.
따라서, 종래 스테빌라이저의 g는 0.663 mm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g는 0.189 mm가 되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g가 약 3.508 배 적게 된다.
g는 w와 d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므로, g가 커질수록 공차가 증가하여 키캡(140)의 기울어짐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는 종래 스테빌라이저에 비해 매우 작은 g를 가지므로, 키캡(140)의 기울어짐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수평 유지라는 스테빌라이저 본연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b는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어 연결봉 암(112, 114)이 수평 상태까지 회전한 모습을 보여준다. 도 5a의 상태에서 도 5b의 상태로 변화하기 까지(기본 상태에서 연결봉 암이 수평 상태까지 회전할 때까지), 연결봉 암(112, 114)은 상측 내부 구조(210)와 접촉하면서 일정한 거리만큼 미끌어진다.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미끌어지는 거리 m을 나타내면 아래 수학식 6과 같다.
[수학식 6]
Figure PCTKR2022015303-appb-img-000006
수학식 6 에서, l=10 mm, d=1.6 mm으로 고정하고, h의 값을 변화시켜 m을 계산하면 아래 표 2와 같다.
h(mm) m(mm)
2 0.198
4 0.770
5 1.180
10 4.142
만약, 상하 방향으로 4 mm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경우에, 종래 스테빌라이저는 코어 기둥이 0 ~ 4 mm 사이를 움직이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는 코어 기둥(120)이 -2 ~ +2 mm를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종래 스테빌라이저의 m은 0.770 mm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m은 0.198 mm가 된다.
다른 예로, 상하 방향으로 10 mm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경우에, 종래 스테빌라이저는 코어 기둥이 0 ~ 10 mm 사이를 움직이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는 코어 기둥(120)이 -5 ~ +5 mm를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종래 스테빌라이저의 m은 4.142 mm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m은 1.180 mm가 된다.
m이 크다는 것은 사용자가 키캡(140)을 누를 때 마찰저항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가 더욱 작은 마찰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스테빌라이저는 상하 방향으로 10 mm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경우에 m=4.142 mm이므로, 연결봉 암이 회전에 의해 수평 상태가 되면 연결봉 암이 외부로 돌출하게 되고, 돌출된 연결봉 암과 키보드 스위치 내 다른 구성들 간의 충돌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다른 스테빌라이저(100)는 상하 방향으로 10 mm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경우에도 m=1.180 mm로 작으므로, 연결봉 암이 회전에 의해 수평 상태가 되더라도 연결봉 암이 외부로 돌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1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스테빌라이저(1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가 도 6에 나타나 있다.
도 6에 표현된 스테빌라이저(100)의 각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5에 표현된 스테빌라이저(100)의 각 구성들과 기능, 구조 및 동작 방식 측면에서 대응될 수 있다.
다만, 도 6에 표현된 스테빌라이저(100)는 코어 기둥(120)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5에 표현된 스테빌라이저(100)와 차이를 가진다. 즉, 도 6에 표현된 스테빌라이저(100)는 연결봉(110) 및 하나 이상의 하우징(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표현된 스테빌라이저(100)는 코어 기둥(120)을 별도의 구성으로 포함하지 않으므로, 부품의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작의 단순화 및 효율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표현된 스테빌라이저(100)를 구성하는 코어 기둥(120)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글쇠 연결봉(142-1, 144-1)가 수행할 수 있다. 글쇠 연결봉(142-1, 144-1)은 키캡(140)에 일체화될 수 있다. 글쇠 연결봉(142-1, 144-1)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표현된 바와 같이 글쇠 연결봉(142-1, 144-1)이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글쇠 연결봉(142-1) 및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글쇠 연결봉(144-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글쇠 연결봉(142-1, 144-1) 각각에는 내부 공간(142-2, 144-2)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내부 공간(142-2, 144-2)에 우측 연결봉 암(112)과 좌측 연결봉 암(114)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내부 공간(142-2, 144-2)에는 앞서 설명된 내부 구조(1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내부 구조(170)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연결봉 암들(112, 114)이 연결봉 바디(116)보다 낮은 높이로 회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봉 바디와, 상기 연결봉 바디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봉 암들을 포함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 암들이 삽입되는 내부 구조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코어 기둥; 및
    상기 연결봉 바디가 배치되는 하우징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 기둥이 삽입되는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 암들은,
    상기 코어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봉 바디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상기 내부 구조는,
    상기 연결봉 암들이 상기 연결봉 바디보다 낮은 높이로 회전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구조는,
    상기 상하 방향에 수직한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지점의 높이가 최저 지점의 높이보다 높은 경사 구조를 가지는 상측 내부 구조; 및
    상기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지점의 높이가 최고 지점의 높이보다 높은 경사 구조를 가지는 하측 내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 암들은,
    상기 상측 내부 구조와 상기 하측 내부 구조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내부 구조의 최저 지점은,
    상기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측 내부 구조의 최고 지점과 같은 위치에 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내부 구조의 최저 지점은,
    상기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측 내부 구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구조는,
    최저 지점이 상기 상하 방향에 수직한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상측 내부 구조; 및
    최고 지점이 상기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하측 내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PCT/KR2022/015303 2021-10-12 2022-10-11 스테빌라이저 WO202306368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238 2021-10-12
KR1020210135238A KR102462152B1 (ko) 2021-10-12 2021-10-12 스테빌라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3684A1 true WO2023063684A1 (ko) 2023-04-20

Family

ID=8410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5303 WO2023063684A1 (ko) 2021-10-12 2022-10-11 스테빌라이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2152B1 (ko)
WO (1) WO2023063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25B1 (ko) * 2022-11-23 2024-02-01 박성준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387U (ja) * 1999-01-30 2000-03-31 精元電脳股▲ふん▼有限公司 コンピュ―タのキ―ボ―ドの倍数キ―の平衡軸の構造
JP2003186600A (ja) * 2001-12-14 2003-07-04 Minebea Co Ltd キーボード
JP2015011700A (ja) * 2013-07-02 2015-01-19 義隆電子股▲ふん▼有限公司 入力装置及びそのリフト構造
JP2016162670A (ja) * 2015-03-04 2016-09-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圧操作装置
JP2018120843A (ja) * 2017-01-24 2018-08-02 江蘇傳藝科技股▲ふん▼有限公司 キーボードの長いキー用の平衡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387U (ja) * 1999-01-30 2000-03-31 精元電脳股▲ふん▼有限公司 コンピュ―タのキ―ボ―ドの倍数キ―の平衡軸の構造
JP2003186600A (ja) * 2001-12-14 2003-07-04 Minebea Co Ltd キーボード
JP2015011700A (ja) * 2013-07-02 2015-01-19 義隆電子股▲ふん▼有限公司 入力装置及びそのリフト構造
JP2016162670A (ja) * 2015-03-04 2016-09-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圧操作装置
JP2018120843A (ja) * 2017-01-24 2018-08-02 江蘇傳藝科技股▲ふん▼有限公司 キーボードの長いキー用の平衡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152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63684A1 (ko) 스테빌라이저
WO2020171497A1 (en) Hinge modul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0145646A1 (en) Accessor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5060637A1 (ko) 카메라 렌즈 모듈
WO2021025494A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4092433A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WO2016003172A1 (ko) 병렬형 마이크로 로봇 및 이를 갖는 수술 로봇 시스템
WO202111827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pop-up module driving structur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WO2019198877A2 (ko) 조립식 컴퓨터 키보드
WO2022119353A1 (ko)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WO2023132435A1 (ko) 밸런스 스테이지
WO2012134047A2 (ko) 햅틱 액츄에이터
WO2012134132A2 (ko) 슬라이딩 및 틸팅 가능한 태블릿 컴퓨터
EP3669234A1 (en) Wearable device with bezel ring to enable motion in multiple degrees of freedom
WO2019221447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WO2015115764A1 (ko) 카메라 모듈
WO2014109475A1 (ko) 소형 카메라 모듈
WO2021015508A1 (ko) 임프린트용 레벨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프린트 장치
WO2009116812A2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WO2023191381A1 (ko) 프린팅 장치
WO2021235569A1 (ko) 전자 장치
WO2017119727A2 (ko) 카메라 모듈
WO2022265383A1 (ko) 엄지로 조작하는 광마우스를 구비한 컴퓨터 키보드
WO2022169094A1 (ko) 매트리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자 이송용 침대
WO2022154235A1 (ko)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813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