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925B1 -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 Google Patents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925B1
KR102632925B1 KR1020220158650A KR20220158650A KR102632925B1 KR 102632925 B1 KR102632925 B1 KR 102632925B1 KR 1020220158650 A KR1020220158650 A KR 1020220158650A KR 20220158650 A KR20220158650 A KR 20220158650A KR 102632925 B1 KR102632925 B1 KR 102632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stabilizer
ring member
presen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박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준 filed Critical 박성준
Priority to KR102022015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는, 메인 스위치 양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스위치, 상기 한 쌍의 보조 스위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보조 스위치의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키보드 기판에 고정시키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키보드 스테빌라이저는 연결부재의 수평이 맞지 않는 상황에서도 내부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이 발생을 억제한다.

Description

키보드 스테빌라이저{KEYBOARD STABILIZER}
본 발명은 키보드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스바와 같이 길이가 긴 키보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키보드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keyboard)는 컴퓨터 등의 전자 제품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의 키를 눌러 신호를 보냄으로써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키보드에는 알파벳 키와 같이 정사각형 형태의 작은 키와 스페이스와 같이 길이가 긴 키가 존재한다. 정사각형 형태의 작은 키의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키의 중심을 타격할 확률이 높아 스위치를 일관되게 누를 수 있어 소음이나 입력 오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스페이스 키와 같이 길이가 긴 키의 중심이 아닌 부분을 타격하는 경우 키 스위치가 눌리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스페이스 키와 같이 길이가 긴 키는 긴 키의 어느 부분을 누르더라도 키 스위치가 일관되게 눌릴 수 있게끔 하는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구성을 포함한다. 이때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구성으로 인해 스페이스바와 알바벳 키의 타격 소리가 달라지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 스테빌라이저의 철심 부분의 균형이 비틀어지는 경우에는 듣기 싫은 소음이 스페이스바에서 나은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스테빌라이저의 철심 부분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작업들이 자주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나, 스테빌라이저의 철심 부분은 자주 균형이 비틀어지기 때문에 소음에 민감한 사람의 경우 특히 애로사항이 있는 상황이다.
KR 10-2446065 B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키보드 스테빌라이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는, 메인 스위치 양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스위치, 상기 한 쌍의 보조 스위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보조 스위치의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키보드 기판에 고정시키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키보드 기판에 지지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충격 완화 효과를 부여하는 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는, 상기 한 쌍의 보조 스위치가 서로 이격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 중심에 상기 오링부재가 안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에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오링부재의 아랫부분을 지지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하방홀 및 상기 하방홀에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상기 오링부재의 측부분을 지지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에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함몰부에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상기 오링부재가 상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상측 일부에 형성되는 상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보드 스테빌라이저는 연결부재의 수평이 맞지 않는 상황에서도 내부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이 발생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키보드 스테빌라이저의 내부 충격 완화 기능은 연결부재를 둘러싸는 오링부재로 인해 실현 가능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분해 및 재수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의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링부재와 연결부재 결합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는, 메인 스위치(S) 양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스위치(100), 상기 한 쌍의 보조 스위치(10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보조 스위치(100)의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결부재(200) 및 상기 연결부재(200)를 키보드 기판(P)에 고정시키는 베이스부(300)를 포함한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는 키보드 기판(P)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볼 수 있고,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는 메인 스위치(S)를 가운데 두고 배치된다. 메인스위치(S)는 누르는 물리적 운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성이고,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는 메인스위치(S)가 정확하게 눌릴 수 있게 도와주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는 한 쌍의 보조 스위치(100), 연결부재(200) 및 베이스부(3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보조 스위치(100)는 메인 스위치(S) 양측으로 배치된다. 보조 스위치(100)는 사용자가 스페이스바와 같이 긴 키의 주변부를 누를 때에 눌리게 되며, 보조 스위치(100)가 눌림에 따라 연동된 반대편 보조 스위치(100)가 같이 눌리면서, 결국 같은 키 캡 안에 있는 보조스위치(100)과 메인 스위치(S)가 다 같이 눌릴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부재(200)는 한 쌍의 보조 스위치(100) 사이를 연결하여 동작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동작을 연동시킨다는 것은, 한 쌍의 보조 스위치(100)의 상하 동작이 서로 일치하게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를 보면, 연결부재(20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스위치(100)로 진입하는 부분과 한 쌍의 연결부재(200) 사이로 연장되는 부분이 서로 만나 'ㄷ'자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통상적으로 철심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300)는 연결부재(200)를 키보드 기판(P)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도 1을 보면, 베이스부(300) 자체가 키보드 기판(P)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의 베이스부(300)를 자세히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에서, 상기 베이스부(300)는, 상기 키보드 기판(P)에 지지되는 베이스판(310), 상기 베이스판(310) 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재(320) 및 상기 고정부재(320)와 상기 연결부재(2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에 대해 충격 완화 효과를 부여하는 오링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의 베이스부(300)는 베이스판(310), 고정부재(320) 및 오링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보면, 베이스판(310)는 베이스부(300)의 바닥지지면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키보드 기판(P)에 지지되는 구성이다.
고정부재(320)는 베이스판(310) 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연결부재(200)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부재(200)의 둘레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고정부재(320)가 연결부재(200))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오링부재(330)는 고정부재(320)와 연결부재(200) 사시에 형성되어 연결부재(200)에 대해 충격 완화 효과를 부여한다. 오링부재(330)의 소재는 충격 완화에 효과적인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5를 보면, 오링부재(330)는 원형의 둘레를 가진 연결부재(200)의 둘레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의 공간부(4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는, 상기 한 쌍의 보조 스위치(100)가 서로 이격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320) 중심에 상기 오링부재(330)가 안착되는 공간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도 6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고정부재(320)의 중심에는 오링부재(330)가 배치될 수 있는 빈공간이 형성되며, 이를 공간부(400)라고 부른다. 한 쌍의 보조 스위치(100)가 서로 이격된 방향을 길이방향이라고 할 때, 연결부재(20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고정부재(320)가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부재(320)의 길이방향 중심에 연결부재(200)를 둘러싸면서 오링부재(330)가 배치되는 공간부(40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에서, 상기 공간부(400)는, 상기 오링부재(330)의 아랫부분을 지지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310)에 형성되는 하방홀(410) 및 상기 하방홀(410)에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상기 오링부재(330)의 측부분을 지지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3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함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부(400)는 하방홀(410), 함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보면, 하방홀(410)은 오링부재(330)의 아랫부분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베이스판(310)을 뚫는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할 때, 하방홀(4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 길이는 오링부재(330)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오링부재(330)가 하방홀(410)을 통과할 수 없게 한다. 다만, 하방홀(410)의 길이방향 폭은 오링부재(33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오링부재(330)의 아랫부분이 하방홀(410)로 일정부분 진입하여 지지될 수 있게 한다.
함몰부(420)는 하방홀(410)에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오링부재(330)의 측부분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함몰부(420)는 고정부재(320)의 내측면을 따라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는 도 6에서 오링부재(330)의 모양대로 환형의 함몰부(420)가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스테빌라이저(1)에서, 상기 공간부(400)는, 상기 함몰부(420)에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상기 오링부재(330)가 상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부재(320)의 상측 일부에 형성되는 상방홀(4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부(400)의 상방홀(430)을 볼 수 있다. 상방홀(430)은 함몰부(420)로부터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오링부재(330)가 상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방홀(430)은 고정부재(320)의 상측 일부를 뚫는 구멍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오링부재(330)가 스테빌라이저(1)의 연결부재(200)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요한 이유는, 연결부재(200)가 철심으로 형성되었을 때, 철심의 수평이 맞지 않는 부분을 오링부재(330)가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오링부재(330) 구성으로 인해 연결부재(200)의 상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200)의 수평이 맞지 않아도 스테빌라이저(1)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링부재(330)가 상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방홀(430)과 하방홀(410)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진동흡수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즉, 오링부재(330)의 수축력을 넘어가는 진동의 발생하였을 때, 오링부재(330)의 일부가 상방홀(430)과 하방홀(410)로 더 들어가는 구동을 함으로써, 오링부재(330)가 상하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방홀(430)은 고정부재(320)의 상측 일부를 뚫어서 형성하는 구멍 형태일 수 있으나, 도 6과 같이 고정부재(320)의 상측이면서 폭방향 타측을 동시에 뚫어 폭방향으로도 열린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방홀(430)은 상하방향 양측으로 열리고, 폭방향 타측으로 열린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연결부재(200)의 폭방향 진동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소음 저하 효과를 더 크게 거둘 수 있다. 즉, 오링부재(330)의 수축력을 넘어가는 폭방향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오링부재(330)의 일부가 상방홀(430)의 폭방향으로 들어가는 구동을 함으로써, 오링부재(330)가 폭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320)는 연결부재(200)의 둘레 일부를 둘러쌀 때 폭방향 타방향으로 열리게끔 둘러싼다. 즉, 고정부재(320)가 폭방향 타방향으로 열리게 끔 형성되는 이유는, 오링부재(330)에 가해지는 폭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오링부재(330)의 수축력을 넘어가는 폭방향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오링부재(330)의 일부가 고정부재(320)의 열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오링부재(330)가 폭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링부재(330)의 진동 흡수 효과는 오링부재(330) 자체의 수축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고정부재(320)의 폭방향 타방향으로 열린 형태, 상방홀(430) 및 하방홀(410)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P : 키보드 기판
S : 메인 스위치
1 :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100 : 보조 스위치
200 : 연결부재
300 : 베이스부
310 : 베이스판
320 : 고정부재
330 : 오링부재
340 : 대칭 고정부재
400 : 공간부
410 : 하방홀
420 : 함볼부
430 : 상방홀

Claims (5)

  1. 메인 스위치 양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스위치;
    상기 한 쌍의 보조 스위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보조 스위치의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키보드 기판에 고정시키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키보드 기판에 지지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충격 완화 효과를 부여하는 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보조 스위치가 서로 이격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 중심에 상기 오링부재가 안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오링부재의 아랫부분을 지지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하방홀; 및
    상기 하방홀에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상기 오링부재의 측부분을 지지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함몰부에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상기 오링부재가 상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상측 일부에 형성되는 상방홀;을 포함하는,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KR1020220158650A 2022-11-23 2022-11-23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KR102632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650A KR102632925B1 (ko) 2022-11-23 2022-11-23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650A KR102632925B1 (ko) 2022-11-23 2022-11-23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925B1 true KR102632925B1 (ko) 2024-02-01

Family

ID=89859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650A KR102632925B1 (ko) 2022-11-23 2022-11-23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9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600A (ja) * 2001-12-14 2003-07-04 Minebea Co Ltd キーボード
KR101454906B1 (ko) * 2013-04-23 2014-11-04 주식회사 일진 토션 바 지지유닛 및 그 제작방법
CN210805578U (zh) * 2019-09-26 2020-06-19 洛卡特股份有限公司 按键的平衡杆连结结构及其卫星轴结构
KR102446065B1 (ko) 2021-08-11 2022-09-21 박성준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
KR102462152B1 (ko) * 2021-10-12 2022-11-04 고예운 스테빌라이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600A (ja) * 2001-12-14 2003-07-04 Minebea Co Ltd キーボード
KR101454906B1 (ko) * 2013-04-23 2014-11-04 주식회사 일진 토션 바 지지유닛 및 그 제작방법
CN210805578U (zh) * 2019-09-26 2020-06-19 洛卡特股份有限公司 按键的平衡杆连结结构及其卫星轴结构
KR102446065B1 (ko) 2021-08-11 2022-09-21 박성준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
KR102462152B1 (ko) * 2021-10-12 2022-11-04 고예운 스테빌라이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6467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US10276325B2 (en) Keyboard device
US10586662B2 (en) Keyboard device
US9941073B2 (en) Keyboard device
US20180025859A1 (en) Keyboard device
US20140138224A1 (en)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and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US9959992B1 (en) Keyboard device
US10607793B1 (en) Keyboard device
US9941072B1 (en) Keyboard device
US6733196B2 (en) Stroke-limited key structure and keyboard including the structure
US9799465B2 (en) Key structure
US9773626B1 (en) Keyboard
US20190244772A1 (en) Keyboard device
US9959990B1 (en) Keyboard device
KR102632925B1 (ko) 키보드 스테빌라이저
US9799467B1 (en) Key structure
US10020140B2 (en) Keyboard device
KR20210158235A (ko) 타건감이 우수한 키보드
KR102446065B1 (ko)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
US8581130B2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US6613996B2 (en) Low-noise key switch and keyboard thereof
US9847190B1 (en) Mechanism to raise and lower the height of keys within a keyboard
US20110120848A1 (en) Luminous keyboard
JP2009059716A (ja)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CN218769215U (zh) 按键及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