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62613A1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62613A1
WO2023062613A1 PCT/IB2022/060187 IB2022060187W WO2023062613A1 WO 2023062613 A1 WO2023062613 A1 WO 2023062613A1 IB 2022060187 W IB2022060187 W IB 2022060187W WO 2023062613 A1 WO2023062613 A1 WO 20230626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parator
electrode assembly
coating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IB2022/0601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주정훈
김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CN202280011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868391A/zh
Priority to JP2023539163A priority patent/JP2024504911A/ja
Priority to US18/273,339 priority patent/US20240097177A1/en
Priority to EP22880531.3A priority patent/EP4261968A1/en
Publication of WO20230626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626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6U-shaped, bag-shaped or fol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and a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novel laminated structure and a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is a method for solving air pollution such as existing gasoline vehicles using fossil fuels,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 P-HEV), etc., the need for development of secondary batteries is increasing.
  •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cylindrical batteries and prismatic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or prismatic metal can, and pouch-type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type case mad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
  • secondary batteries are also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a jelly-roll type (wound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long sheet-typ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re woun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plura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cut in units of a predetermined size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stacked (stacked) electrode assemblies sequentially stacked.
  • a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which is a mixture of the jelly-roll type and stack type, has been developed.
  • the stack folding electrode assembly in manufacturing the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winding-stack folding and zigzag stack folding methods are mainly used. Since this stack folding electrode assembly connects several electrodes in a parallel structure, it has a great advantage in terms of output. there is.
  • the stack folding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by stacking sheet electrodes cut through a notching process, and at this time, the electrode tab direction is fixedly joined in one direction.
  • Patent Document 1 arranges a plurality of electrode tabs in multiple directions on each electrode in order to configure an electrode tab suitable for high current use.
  • this electrode structure is only a stack of sheet electrodes with electrode tabs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a continuous process is impossible, and since the stacked electrode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 separate additional process is required.
  • 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that simplifies an electrode process by connecting two electrodes folded in a zigzag pattern, minimizes structural changes, and can be used for a high-power battery cell.
  • the electrode assembly of Patent Document 2 has a disadvantage in that one surface of the electrode is entirely uncoated, resulting in high material loss and inability to form at least one electrode tab in both directions.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5382 (2010.12.27)
  •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88303 (2016.07.25)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and a battery cell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that can be used in a high-power environment and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 An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or negative electrode includes a coated portion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on-coated portion not coated with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mong the positive electrode or negative electrode
  • the positive electrode or negative electrode includes a coated portion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on-coated portion not coated with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mong the positive electrode or negative electrode
  • One electrode has a zigzag shape formed by bending a rectangular sheet on which the coated portion and the uncoated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and the other electrode of the anode or the cathode is bent by bending a sheet having two coated portions with one uncoated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electrode tabs of the electrode having the zigzag shape are formed in both directions, and the electrode tabs of the electrode having the folder shape are formed in one direction and ar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electrode tabs formed in the both directions.
  • the separator may have a zigzag shape formed by bending a long separator sheet to a predetermined unit length.
  • the zigzag electrode and separator may have a folding line formed by bending, the folding line of the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uncoated portion, and the folding line of the electrode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line of the separator.
  • a folding line formed on the folder-shaped electrode may be disposed parallel to a folding line of the separator.
  • Two unit separators are positioned between the two coated parts of the zigzag-shaped electrode, and two other unit separators are positioned between the other two coated parts of the zigzag-bent electrode.
  • One of the coating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unit separators, and the other of the two coating parts of the folder-shaped electrode may be located between the other two unit separators.
  • the coating portion may have long sides facing each other and short sides facing each other, the uncoated portion of the electrode having the zigzag shape may be located between the long sides of the coating portion,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electrode having the folder shape may be located between the short sides of the coating portion. there is.
  • the coating portion may have long sides facing each other and short sides facing each other,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zigzag electrode may be located between the long sides of the coating portion.
  • bent portion of the separator may be positioned between short sides of the separator.
  • the electrode having the zigzag shape may be an anode.
  • the electrode having the folder shape may be a negative electrode.
  • the coating portion of the electrode may be formed on both sides.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electrode assembly.
  • FIG 1 and 2 are views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rst electrode included in FIG. 1 is folded.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second electrode included in FIG. 1 is folded.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separator included in FIG. 1 is folded.
  • FIG.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parator of FIG. 1 are combined.
  • FIG. 7 is another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parator of FIG. 1 are combined.
  • FIG. 8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a lamin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parator of FIG. 1 are combined.
  • FIG.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of FIG. 1 are combined.
  • FIG. 10 is a view show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other view show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planar it means when the corresponding part is viewed from above, and when it is referred to as “cross-section”, it means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cut vertically is viewed from the side.
  • FIG. 1 and 2 are views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rst electrode included in FIG. 1 is folded.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second electrode included in FIG. 1 is folded.
  • 5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separator included in FIG. 1 is folded.
  •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this embodiment may be a power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 the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include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separator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formed by the first electrode 110.
  • / separator 130 / second electrode 1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alternately stacked.
  • 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an anode
  •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be a cathode.
  • 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be an anode according to design.
  • a first uncoated portion 111 and a second uncoated portion 121 which are parts of the first electrode 110 or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be located at the edg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 first uncoated portion 111 and the second uncoated portion 121 may be electrode tabs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
  • the electrode tab of 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formed in both directions. Also, the electrode tab of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be unidirectional. The electrode tab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electrode tab of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be position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the first electrode 110 of this embodiment may be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on a current collector.
  • the first electrode 110 may include a first coated portion 113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and a first uncoated portion 111 that is a non-coated portion not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 the first coating unit 11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 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provided as a rectangular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ated parts 113 and first uncoated parts 111 are alternately positioned.
  • the first electrode 110 in the form of a sheet may be formed in a zigzag shape by folding along a folding lin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electrode 110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wo adjacent first coating parts 113 are overlapped by contacting each other's lower surfaces, and the two adjacent first coating parts 113 are They can be overlapped by touching each other's upper surfaces.
  •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may be manufactured in a unit size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may have a long side (a1) facing each other and a short side (b1) facing each other.
  • the first uncoated portion 111 may be located between the long sides a1 of the two adjacent first coated portions 113 .
  • the folding line is formed on the first uncoated portion 111 and may correspond to the long side a1.
  • the folding line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long side (a1).
  • the folding line may be located between the long sides (a1) of the two first coating parts 113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electrode 110 is folded by the folding line so that the two first coating parts 113 are formed. may overlap.
  • the folding line may be formed in advance, but may also be formed by folding the first electrode 110 in a zigzag shap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
  • the folding line is indicated on the first electrode 110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sheet to explain the first electrode 110 formed in a zigzag shape, and the folding lin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in advance. make it clear in advance In addition, these contents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120 or the separator 130 .
  • the folding line may be formed to have a slight inclination different from that shown. 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referable to interpret that the folding line corresponds to or is parallel to a specific side or other folding line to include a case where the folding line and the specific side or other folding line form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referable to interpret that the folding line is perpendicular to a specific side or other folding line, and also includes a case where the folding line and the specific side or other folding line form a predetermined angle. Her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an angle of 10 degrees (°) or less. These contents are not applied only to the first electrode 110, and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120 or the separator 130.
  • the second electrode 120 of this embodiment may be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on a current collector.
  •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include a second coated portion 123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and a second uncoated portion 121 that is a non-coated portion not coated with the active material.
  • the second coating unit 123 may be coated on both sides.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
  • the second electrode 120 is provided as a rectangular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coated portions 123 and second uncoated portions 121 are connected, but may be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by a cutting line. At this time, two second coating parts 123 and one second uncoated part 121 are alternately positioned on the rectangular electrode sheet, and the cutting line is two second uncoated parts 121 adjacent to each other without the second uncoated part 121. It may be formed between the coating parts 123 .
  • the second electrode 120 cut by the cutting line may include two second coated portions 123 and one second uncoated portion 121 disposed therebetween.
  • a folding line may be formed on the second uncoated portion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be formed in a folder shape by being folded by the folding line.
  • the folder shape may refer to a folded shape formed by folding once.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electrode 120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 cut second electrode 120 may be folded by contacting the upper surfaces of the two second coating parts 123 or by contacting the lower surfaces.
  • the folding line may be formed in advance, but may be formed by folding the second electrode 120 in a folder shap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ding lin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in advance.
  • Each of the second coating parts 123 may be manufactured in a unit size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may have a long side (a2) facing each other and a short side (b2) facing each other.
  • the long side (a2) and the short side (b2) of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may correspond to the long side (a1) and the short side (b1) of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respectively.
  • the second uncoated portion 121 may be positioned between short sides b2 of two adjacent second coated portions 123 .
  • the cutting line and the folding line may correspond to the short side b2 of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
  • the cutting line and the folding line may be parallel to the short side b2 of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
  • the separator 13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sheet, and may be formed in a zigzag form by being folded by a folding line.
  • the separator 13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electrically insulat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
  • the separator 130 may be provided as a polyolefin-based resin film,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 the separation membrane 13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separation membranes 133 by being folded.
  • Each unit separator 133 may be manufactured in a unit size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 the unit separator 133 may have a constant size.
  • the unit separator 133 may have a long side a3 facing each other and a short side b3 facing each other.
  • the long side (a3) and short side (b3) of the unit separator 133 are the long side (a1) and short side (b1)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long side (a2) and short side (b2) of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 the unit separator 133 may be larger than the first coating unit 113 or the second coating unit 123 .
  • the long side (a3) of the unit separator 133 may be larger than the long side (a1)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long side (a2) of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short side (b3) of the unit separator 133 is It may be larger than the short side b1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hort side b2 of the second electrode 120 .
  • the folding line may correspond to the short side b3.
  • the folding line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short side b3 of the unit separator 133 .
  • a folding lin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hort sides b3 of the two unit separators 133 facing each other, and the two unit separators 133 may be overlapped by the folding line.
  • the folding line may be formed in advance, but may also be formed by folding the separator 130 in a zigzag pattern.
  • the separator 130 may be folded in a zigzag shape. Specifically, when the unit separator 133 has upper and lower surfaces, two adjacent unit separators 133 are overlapped by contacting each other's lower surfaces, and the two adjacent unit separators 133 contact each other's upper surfaces. They can overlap by touching.
  • the first coating unit 113, the second coating unit 123, and the unit separator 130 are all described as having long sides (a1, a2, and a3) and short sides (b1, b2, and b3). ,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coating unit 113, the second coating unit 123, and the unit separator 130 ar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lengths of four sides are the same.
  •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includes a first side (a1) and a second side (b1)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includes a third side (a2) and a second side (a2) facing each other.
  • a fourth side b2 is included, and the unit separator 133 can be described as including a fifth side a3 and a sixth side b3 facing each other.
  • the first side (a1) has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side (b1)
  • the third side (a2) has the same length as the fourth side (b2)
  • the fifth side (a3) has the same or similar length as the sixth side (b3).
  • the first side (a1), the third side (a2), and the fifth side (a3) correspond to each other
  • the second side (b1) and the fourth side (b1) correspond to each other
  • (b2) and the sixth side (b3) can be described a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the first uncoated portion 111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s a1 of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ide a1 is a fold of the first electrode 110. It may be a side corresponding to the line.
  • the second uncoated portion 121 may be located between the fourth sides b2 of the second coated portion 123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ourth side b2 is the cutting line and the folding line of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It may be a corresponding variable.
  • the sixth side b3 of the unit separation membrane 133 may be a side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lin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to describe the long and short sides have been added to the first to sixth sides, but this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des and the plain parts 111 and 121 or the folding line.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utting line. Therefore, the lengths and ratios of the first to sixth sides will not be limited by those shown in the drawings of this specifica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parator of FIG. 1 are combined.
  • FIG. 7 is another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parator of FIG. 1 are combined.
  • 8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a lamin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parator of FIG. 1 are combined.
  •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parator 130 are the long side a1 of the first coating part 113 and the long side of the unit separator 133. (a3) corresponds to each other, and the short side b1 of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and the short side b3 of the unit separator 133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 the folding line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folding line of the separator 13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
  • the unit separator 13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first coating parts 113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wo unit separators 13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ating parts 113 facing each other.
  • the two unit separation membranes 133 may be in a folded state such that upper or lower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one surface of each unit separator 133 may contact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and the other surface may contact the adjacent unit separator 133 .
  • the first coating unit 113 and the unit separator 133 are, as shown in FIG. 7, the first coating unit 113,
  • the unit separator 133, the unit separator 133, the first coating unit 113, the unit separator 133, the unit separator 133, and the first coating unit 113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 FIG.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of FIG. 1 are combined.
  • 10 is a view show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nother view show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stated in advance that the shapes of the first coating unit 113 and the second coating unit 123 are omitted.
  •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of the second electrode 120 is disposed between two unit separators 133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forming an electrode.
  • An assembly 100 may be formed. Since the first coating part 113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unit separator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two unit separator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e of the second coating parts 123 of the second electrode 12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may be located between two unit separators, and the other may be located between two other unit separators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have a folder shape including two second coating parts 123 .
  • the first coating unit 113 and the unit separator 133 include the first coating unit 113, the unit separator 133, the unit separator 133, and the first coating unit 113 ), the unit separator 133, the unit separator 133, and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are stacked in this order.
  •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included in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be inserted between two unit separators 133 overlapping each other.
  •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formed by stacking the first coating unit 113, the unit separator 133, the second coating unit 123, the unit separator 133, and the first coating unit 113 in this order.
  • the fold line of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fold line of 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
  • the fold line of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fold line of the separator 13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
  • the folding line of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folding line of the separator 130 may correspond.
  • the second electrode 120 is formed such that the long side (a2) of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the long side (a1) of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and the long side (a3) of the unit separator 133 correspond to each other. 1 may be combined with the electrode 110 and the separator 130.
  • the short side b2 of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the short side b1 of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and the short side b3 of the unit separator 133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 1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130.
  • the second coated portion 123 of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be connected with the second uncoated portion 121 interposed therebetween. Since the unit separator 133, the first coating unit 113, and the unit separator 133 are positioned between the two connected second coating parts 123, on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it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the second uncoated portion 121 may partially cover on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lectrode 110 having electrode tabs formed in both directions, so that it can be used in a battery cell providing high power and high energy.
  • the entire process can be simplified by not cutting the first electrode 110,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separator 130 into unit sizes, and the first coating unit 113 and the second coating unit 123 )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uncoated portion 111 and the second uncoated portion 121, thereby achieving high output.
  • FIG.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nufacturing method (S1000) of the electrode assembly of this embodiment is the manufacturing method (S1000) of the electrode assembly of this embodiment.
  • a step of coupling the second electrode 120 to the assembly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parator 130 are coupled may be included.
  • the first electrode 110 is prepared in a rectangular sheet
  • the separator 130 is prepared in a rectangular sheet shape
  • the second electrode 120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It may include preparing a sheet form.
  • the first electrode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oating portions 113 and a first uncoated portion 111 formed therebetween
  •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include two second coating portions ( 123) and a second uncoated portion 121 formed therebetween.
  • the separation membrane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separation membranes 133 . Descrip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0,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separator 130 prepared through the preparing step (S1100)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drawings of FIGS. 3 to 5, so a detailed description omit
  • the step of combining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parator 130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drawings of FIGS. 6 to 8 described above.
  • the combining step (S1200) may include a step of disposing two unit separators 130 overlapping each other between the two overlapping first coating parts 113, and the first electrode by repeating the above step. An assembly in which the 1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130 are combined may be formed.
  •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parator 130 are vertically coupled so that the long sides (a1, a3) and short sides (b1, b3) of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and the unit separator 133 correspond to each other. can do.
  • the step of combining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include a step of disposing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of the second electrode 120 between two unit separators 130 overlapping each other, , By repeating the above steps,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Also, here, the first electrode 113, the second coating 123 and the long sides (a1, a2, a3) and short sides (b1, b2, b3) of the unit separator 133 correspond to each oth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be coupled vertically.
  • the entire process can be simplified by not cutting the first electrode 110,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separator 130 into unit sizes.
  • the electrode assembly 100 having a high output can be manufactured by connecting the first coat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123 through the first uncoated portion 111 and the second uncoated portion 121.
  •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a cell case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and provided as a battery cell.
  • a battery cell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0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parators are alternately stacked, an electrode lead connected to an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one end of the electrode lead protruding.
  • a cell case for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included.
  • the battery cells described above may be stacked in one direction to form a battery cell stack, and are modularized into battery modules to manage the temperature or voltage of the battery.
  • Battery packs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devices.
  • a device to which a battery pack is applied may be a vehicle such as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 the above-described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in various device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which als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form a bidirectional electrode tab by applying a novel laminated structure to the electrode assemb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또는 음극은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코팅부 및 상기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또는 음극 중 하나는 상기 코팅부 및 상기 무지부가 교대로 형성된 장방형 시트가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고, 상기 양극 또는 음극 중 다른 하나는 하나의 무지부를 사이에 둔 두 개의 코팅부가 형성된 시트가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폴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전극 탭은 양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전극 탭은 단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방향으로 형성된 전극 탭과 수직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1년 10월 15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1-0137261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신규한 적층 구조를 가지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형 기기의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상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 분야의 기술에 대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등의 대기 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HEV) 등의 동력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바, 이차 전지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어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또,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이 적층된 구조의 전극 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형(권취형) 전극 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 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 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및 스택형 전극 조립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한편,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주로 와인딩-스택 폴딩, 지그재그 스택 폴딩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택 폴딩 전극 조립체는 여러 장의 전극을 병렬구조로 연결시키므로, 출력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스택 폴딩 전극 조립체는 노칭 공정을 통해 재단된 낱장 전극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되며, 이 때, 전극 탭 방향은 일 방향으로 고정 접합된다.
종래에는 스택 폴딩형 전극 조립체의 출력 특성을 개선하고, 공정 단순화를 달성하기 위해 전극 탭 방향을 다방향으로 배치하는 구성 또는 전극을 절단하지 않은 상태로 적층하는 공정이 고안되기도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고전류 사용에 적합한 전극 탭을 구성하기 위하여 각 전극에 다수개의 전극 탭을 다방향으로 배치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극 구조는 전극 탭이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낱장 전극을 적층한 것에 불과함으로 연속 공정이 불가능하고, 적측된 전극끼리 연결되어 있지 않아 별도 추가 공정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2는 2개의 전극이 지그재그로 접혀 상호 연결됨으로써 전극 공정을 단순화하고, 구조의 변화를 최소화하며, 고출력의 전지셀에 사용가능한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전극 조립체는 전극의 일면이 전제 무지부로 구성되어 재료 손실이 크고, 적어도 하나의 전극 탭이 양방향으로 형성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5382호 (2010.12.27)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8303호 (2016.07.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정성이 개선되고, 고출력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또는 음극은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코팅부 및 상기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또는 음극 중 하나의 전극은 상기 코팅부 및 상기 무지부가 교대로 형성된 장방형 시트가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고, 상기 양극 또는 음극 중 다른 하나의 전극은 하나의 무지부를 사이에 둔 두 개의 코팅부가 형성된 시트가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폴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전극 탭은 양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전극 탭은 단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방향으로 형성된 전극 탭과 수직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분리막은 긴 분리막 시트가 미리 정해진 단위 길이에 맞게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지그재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 및 분리막은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접음선을 가지고, 상기 전극의 접음선은 상기 무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의 접음선은 상기 분리막의 접음선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에 형성된 접음선은 상기 분리막의 접음선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두 코팅부 사이에는, 두 개의 단위 분리막이 위치하고, 상기 지그재그로 절곡된 전극의 다른 두 코팅부 사이에는, 다른 두 개의 단위 분리막이 위치하고,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두 코팅부 중 하나는 상기 두 개의 단위 분리막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두 코팅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다른 두 개의 단위 분리막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코팅부는 서로 마주보는 장변과 서로 마주보는 단변을 가지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무지부는 상기 코팅부의 장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무지부는 상기 코팅부의 단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코팅부는 서로 마주보는 장변과 서로 마주보는 단변을 가지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무지부는 상기 코팅부의 장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막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분리막의 단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은 양극일 수 있다.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은 음극일 수 있다.
상기 전극의 코팅부는 양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은 상술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포함된 제1 전극이 폴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포함된 제2 전극이 폴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포함된 분리막이 폴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제1 전극과 분리막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제1 전극과 분리막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제1 전극과 분리막이 결합된 적층체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제1 전극, 분리막 및 제2 전극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일면과 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일면과 타면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한 것 외에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내용이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각 층의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하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설명할 때, 이는 해당하는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반대로 해당하는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설명할 때에는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한편,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설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부분 "아래에" 또는 "하에" 있다고 설명하는 것 또한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해당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해당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포함된 제1 전극이 폴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포함된 제2 전극이 폴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포함된 분리막이 폴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100)는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일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0)에 포함된 전극은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을 포함할 수 있고, 전극 사이에 분리막(130)이 개재됨으로써 전극 조립체(100)는 제1 전극(110)/분리막(130)/제2 전극(120)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10)은 양극이고, 제2 전극(120)은 음극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제1 전극(110)이 음극이고, 제2 전극(120)이 양극일 수도 있을 것이다.
전극 조립체(100)의 가장자리에는 제1 전극(110) 또는 제2 전극(120)의 일부인 제1 무지부(111) 및 제2 무지부(121)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무지부(111) 및 제2 무지부(121)는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의 전극 탭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100)에서, 제1 전극(110)의 전극 탭은 양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제2 전극(120)의 전극 탭은 단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0)의 전극 탭과 제2 전극(120)의 전극 탭은 서로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 전극(110)은 집전체 상에 활물질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활물질이 도포된 제1 코팅부(113) 및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인 제1 무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팅부(113)는 양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복수개의 제1 코팅부(113) 및 제1 무지부(111)가 교대로 위치하는 장방형의 시트로 제공될 수 있다. 시트 형태의 제1 전극(110)은 접음선(folding line)을 따라 접힘으로써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110)이 상면과 하면을 가질 때, 인접한 두 개의 제1 코팅부(113)는 서로의 하면을 맞닿음으로써 겹쳐지고, 이와 인접한 두 개의 제1 코팅부(113)는 서로의 상면을 맞닿음으로써 겹쳐질 수 있다.
제1 코팅부(113)는 전극 조립체(100)의 설계에 따른 단위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코팅부(113)는 서로 마주보는 장변(a1)과 서로 마주보는 단변(b1)을 가질 수 있다. 제1 무지부(111)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제1 코팅부(113)의 장변(a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음선은 제1 무지부(111)에 형성되며, 장변(a1)과 대응될 수 있다. 접음선은 장변(a1)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접음선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코팅부(113)의 장변(a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접음선에 의해 제1 전극(110)이 폴딩됨으로써 두 개의 제1 코팅부(113)가 겹쳐질 수 있다.
여기서, 접음선은 미리 형성된 것일 수도 있으나, 전극 조립체(10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1 전극(110)이 지그재그 형태로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에서 장방형 시트 형태의 제1 전극(110)에 접음선을 표시한 것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전극(110)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바, 반드시 접음선이 미리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이러한 내용은 제2 전극(120) 또는 분리막(13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여기서, 접음선이 제1 전극(110)이 지그재그 형태로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경우에는, 접음선이 도시된 것과 다르게 다소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접음선이 특정 변 또는 다른 접음선과 대응된다 또는 평행하다는 것은 접음선과 특정 변 또는 다른 접음선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 접음선이 특정 변 또는 다른 접음선과 수직한다는 것 또한, 접음선과 특정 변 또는 다른 접음선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란, 10도(°) 이하의 각도일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제1 전극(11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전극(120) 또는 분리막(13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2 전극(120)은 집전체 상에 활물질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활물질이 도포된 제2 코팅부(123) 및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인 제2 무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코팅부(123)는 양면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 때, 제2 코팅부(123)의 크기는 제1 코팅부(113)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복수개의 제2 코팅부(123) 및 제2 무지부(121)가 연결된 장방형의 시트로 제공되나, 절단선(cutting line)에 의해 미리 정해진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이 때, 장방형의 전극 시트에는 두 개의 제2 코팅부(123) 및 하나의 제2 무지부(121)가 교대로 위치하며, 절단선은 제2 무지부(121) 없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코팅부(1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절단선에 의해 절단된 제2 전극(120)은 두 개의 제2 코팅부(123) 및 그 사이에 위치한 하나의 제2 무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지부(121)에는 접음선이 형성될 수 있고, 접음선에 의해 접힘으로써 제2 전극(120)은 폴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폴더 형태란 한번 접음으로써 형성된 접힌 형태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120)이 상면과 하면을 가질 때, 절단된 제2 전극(120)은 두 개의 제2 코팅부(123)의 상면을 맞닿음으로써 접히거나, 하면을 맞닿음으로써 접힐 수 있다.
여기서, 접음선은 미리 형성된 것일 수도 있으나, 전극 조립체(10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2 전극(120)이 폴더 형태로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반드시 접음선이 미리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제2 코팅부(123) 각각은 전극 조립체(100)의 설계에 따른 단위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코팅부(123)는 서로 마주보는 장변(a2)과 서로 마주보는 단변(b2)을 가질 수 있다. 제2 코팅부(123)의 장변(a2) 및 단변(b2)은 제1 코팅부(113)의 장변(a1) 및 단변(b1)과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제2 무지부(121)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코팅부(123)의 단변(b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절단선 및 접음선은 제2 코팅부(123)의 단변(b2)과 대응될 수 있다. 절단선 및 접음선은 제2 코팅부(123)의 단변(b2)과 평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분리막(130)은 장방형의 시트 형태로 제공되며, 접음선에 의해 접힘으로써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막(13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분리막(130)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분리막(130)은 접힘으로써 다수의 단위 분리막(133)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단위 분리막(133) 각각은 전극 조립체(100)의 설계에 따른 단위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단위 분리막(133)의 크기는 일정할 수 있다. 단위 분리막(133)은 서로 마주보는 장변(a3)과 서로 마주보는 단변(b3)을 가질 수 있다. 단위 분리막(133)의 장변(a3) 및 단변(b3)은, 제1 전극(110)의 장변(a1) 및 단변(b1), 제2 전극(120)의 장변(a2) 및 단변(b2)과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분리막(133)은 제1 코팅부(113) 또는 제2 코팅부(123) 보다 클 수 있다. 단위 분리막(133)의 장변(a3)은 제1 전극(110)의 장변(a1) 및 제2 전극(120)의 장변(a2) 보다 클 수 있고, 단위 분리막(133)의 단변(b3)은 제1 전극(110)의 단변(b1) 및 제2 전극(120)의 단변(b2)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접음선은 단변(b3)과 대응될 수 있다. 접음선은 단위 분리막(133)의 단변(b3)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단위 분리막(133)의 단변(b3) 사이에 접음선이 위치할 수 있고, 접음선에 의해 두 개의 단위 분리막(133)이 겹쳐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접음선은 미리 형성된 것일 수도 있으나, 지그재그 형태로 분리막(130)을 접음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분리막(130)은 지그재그 형태로 접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위 분리막(133)이 상면과 하면을 가질 때, 인접한 두 개의 단위 분리막(133)은 서로의 하면을 맞닿음으로써 겹쳐지고, 이와 인접한 두 개의 단위 분리막(133)은 서로의 상면을 맞닿음으로써 겹쳐질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 코팅부(113), 제2 코팅부(123) 및 단위 분리막(130)이 모두 장변(a1,a2,a3) 및 단변(b1,b2,b3)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제1 코팅부(113), 제2 코팅부(123) 및 단위 분리막(130)이 4변의 길이가 동일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코팅부(113)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변(a1)과 제2 변(b1)을 포함하고, 제2 코팅부(123)는 서로 마주보는 제3 변(a2)과 제4 변(b2)을 포함하며, 단위 분리막(133)은 서로 마주보는 제5 변(a3)과 제6 변(b3)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1 변(a1)은 제2 변(b1)과, 제3 변(a2)은 제4 변(b2)과, 제5 변(a3)은 제6 변(b3)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100)에서, 제1 변(a1), 제3 변(a2) 및 제5 변(a3)은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 또, 제2 변(b1), 제4 변(b2) 및 제6 변(b3)은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무지부(111)는 서로 인접한 제1 코팅부(113)의 제1 변(a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변(a1)은 제1 전극(110)의 접음선과 대응되는 변일 수 있다. 제2 무지부(121)는 서로 인접한 제2 코팅부(123)의 제4 변(b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4 변(b2)은 제2 전극(120)의 절단선 및 접음선과 대응되는 변일 수 있다. 단위 분리막(133)의 제6 변(b3)은 분리막(130)의 접음선과 대응되는 변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장변 및 단변을 설명하는데 사용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제1 변 내지 제6 변에 부가하였으나, 이는 각 변들과 무지부(111,121)와의 관계 또는 접음선 및 절단선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제1 변 내지 제6 변의 길이 및 비율이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제1 전극과 분리막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제1 전극과 분리막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제1 전극과 분리막이 결합된 적층체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100)에서 제1 전극(110)와 분리막(130)은 제1 코팅부(113)의 장변(a1)과 단위 분리막(133)의 장변(a3)이 대응되고, 제1 코팅부(113)의 단변(b1)과 단위 분리막(133)의 단변(b3)이 대응되도록 서로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전극(110)의 접음선과 분리막(130)의 접음선은 전극 조립체(100)에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직으로 결합된 제1 전극(110) 및 분리막(130)에서,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제1 코팅부(113) 사이에는 단위 분리막(133)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단위 분리막(133)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코팅부(113) 사이에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단위 분리막(133)은 서로의 상면 또는 하면이 맞닿도록 접힌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단위 분리막(133)의 일면은 제1 코팅부(113)와 접촉하고, 타면은 인접한 단위 분리막(133)과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으로 결합된 제1 전극(110) 및 분리막(130)에서, 제1 코팅부(113)와 단위 분리막(133)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코팅부(113), 단위 분리막(133), 단위 분리막(133), 제1 코팅부(113), 단위 분리막(133), 단위 분리막(133), 제1 코팅부(113)... 의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제1 전극, 분리막 및 제2 전극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일면과 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일면과 타면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코팅부(113) 및 제2 코팅부(123)의 형상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술한 도 6 내지 도 8의 조립체에서,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단위 분리막(133) 사이에 제2 전극(120)의 제2 코팅부(123)가 배치됨으로써 전극 조립체(100)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단위 분리막과, 서로 접촉하는 다른 두 개의 단위 분리막 사이에는 제1 코팅부(113)가 위치하므로, 제2 전극(120)의 제2 코팅부(123) 중 하나는 상기 접촉하는 두 개의 단위 분리막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접촉하는 다른 두 개의 단위 분리막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120)은 두 개의 제2 코팅부(123)를 포함하는 폴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도 8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코팅부(113) 및 단위 분리막(133)은, 제1 코팅부(113), 단위 분리막(133), 단위 분리막(133), 제1 코팅부(113), 단위 분리막(133), 단위 분리막(133), 제1 코팅부(113)의 순서로 적층된다. 여기서, 제2 전극(120)에 포함된 제2 코팅부(123)는 서로 겹쳐진 두 개의 단위 분리막(133)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겹쳐진 두 개의 단위 분리막(133) 사이에 제2 코팅부(123)가 배치되면, 제1 코팅부(113), 단위 분리막(133), 제2 코팅부(123), 단위 분리막(133), 제1 코팅부(113), 단위 분리막(133), 제2 코팅부(123), 단위 분리막(133), 제1 코팅부(113)의 순서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100)가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0)에서 제2 전극(120)의 접음선과 제1 전극(110)의 접음선은 전극 조립체(100)에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제2 전극(120)의 접음선과 분리막(130)의 접음선은 전극 조립체(100)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120)의 접음선과 분리막(130)의 접음선은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120)은 제2 코팅부(123)의 장변(a2)과 제1 코팅부(113)의 장변(a1) 및 단위 분리막(133)의 장변(a3)이 대응되도록 제1 전극(110) 및 분리막(13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제2 코팅부(123)의 단변(b2)과 제1 코팅부(113)의 단변(b1) 및 단위 분리막(133)의 단변(b3)이 대응되도록 제1 전극(110) 및 분리막(13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전극(120)의 제2 코팅부(123)는 제2 무지부(121)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연결된 두 개의 제2 코팅부(123) 사이에는 단위 분리막(133), 제1 코팅부(113), 단위 분리막(133)이 위치하게 되므로, 전극 조립체(100)의 일면과 그와 반대되는 면인 타면을 도시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무지부(121)는 전극 조립체(100)의 일면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100)은 양방향으로 형성된 전극 탭을 가지는 제1 전극(110)을 포함함으로써 고출력, 고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지셀에 사용될 수 있다. 또,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및 분리막(130)을 단위 크기로 절단하지 않음으로써 전체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1 코팅부(113) 및 제2 코팅부(123)가 제1 무지부(111) 및 제2 무지부(121)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높은 출력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S1000)은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및 분리막(130)을 준비하는 단계(S1100),
제1 전극(110)과 분리막(130)을 결합하는 단계(S1200) 및
제1 전극(110)과 분리막(130)이 결합된 조립체에 제2 전극(120)을 결합하는 단계(S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비하는 단계(S1100)는 제1 전극(110)을 장방형의 시트로 준비하는 단계, 분리막(130)을 장방형의 시트 형태로 준비하는 단계 및 제2 전극(120)을 미리 정해진 크기로 절단된 시트 형태로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10)은 다수의 제1 코팅부(113) 및 그 사이에 형성된 제1 무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극(120)은 두 개의 제2 코팅부(123) 및 그 사이에 형성된 제2 무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막(130)은 다수의 단위 분리막(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준비하는 단계(S1100)를 통해 준비되는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및 분리막(130)에 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의 도면을 통해 설명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전극(110)과 분리막(130)을 결합하는 단계(S1200)는, 상술한 도 6 내지 도 8의 도면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하는 단계(S1200)는 서로 겹쳐진 두 개의 제1 코팅부(113) 사이에 서로 겹쳐진 두 개의 단위 분리막(130)이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제1 전극(110)과 분리막(130)이 결합된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제1 코팅부(113)와 단위 분리막(133)의 장변(a1,a3)과 단변(b1,b3)이 상호 대응되도록, 제1 전극(110)과 분리막(130)은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10)과 분리막(130)이 결합된 조립체에 제2 전극(120)을 결합하는 단계(S1300)는, 상술한 도 9 내지 도 11의 도면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120)을 결합하는 단계(S1300)는 서로 겹쳐진 두 개의 단위 분리막(130) 사이에 제2 전극(120)의 제2 코팅부(123)가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1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제1 코팅부(113), 제2 코팅부(123)와 단위 분리막(133)의 장변(a1,a2,a3)과 단변(b1,b2,b3)이 상호 대응되도록,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100)의 제조 방법은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및 분리막(130)을 단위 크기로 절단하지 않음으로써 전체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1 코팅부(113) 및 제2 코팅부(123)가 제1 무지부(111) 및 제2 무지부(121)를 통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높은 출력을 가지는 전극 조립체(100)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100)는 전해액과 함께 셀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전지셀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은 다수개의 전극 및 다수개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100), 다수개의 전극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극 탭과 연결된 전극 리드 및 전극 리드의 일단이 돌출된 상태로 전극 조립체를 밀봉하는 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상술한 전지셀은, 일 방향으로 적층되어 전지셀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전지 모듈로 모듈화 되어 전지의 온도나 전압 등을 관리해 주는 전지 관리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및/또는 냉각 장치 등과 함께 전지 팩을 형성할 수 있다. 전지 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지 팩이 적용되는 디바이스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디바이스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예시 외에 다양한 디바이스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이 사용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전극 조립체
110: 제1 전극
111: 제1 무지부
113: 제1 코팅부
120: 제2 전극
121: 제2 무지부
123: 제2 코팅부
130: 분리막
133: 단위 분리막.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은 전극 조립체에 신규한 적층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양방향 전극 탭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양극 또는 음극은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코팅부 및 상기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또는 음극 중 하나의 전극은 상기 코팅부 및 상기 무지부가 교대로 형성된 장방형 시트가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고,
    상기 양극 또는 음극 중 다른 하나의 전극은 하나의 무지부를 사이에 둔 두 개의 코팅부가 형성된 시트가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폴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전극 탭은 양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전극 탭은 단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방향으로 형성된 전극 탭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전극 조립체.
  2. 제1항에서,
    상기 분리막은 긴 분리막 시트가 미리 정해진 단위 길이에 맞게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 조립체.
  3. 제2항에서,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 및 분리막은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접음선을 가지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접음선은 상기 무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접음선은 상기 분리막의 접음선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전극 조립체.
  4. 제3항에서,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에 형성된 접음선은 상기 분리막의 접음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극 조립체.
  5. 제1항에서,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두 코팅부 사이에는, 두 개의 단위 분리막이 위치하고, 상기 지그재그로 절곡된 전극의 다른 두 코팅부 사이에는, 다른 두 개의 단위 분리막이 위치하고,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두 코팅부 중 하나는 상기 두 개의 단위 분리막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두 코팅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다른 두 개의 단위 분리막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
  6. 제1항에서,
    상기 코팅부는 서로 마주보는 장변과 서로 마주보는 단변을 가지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무지부는 상기 코팅부의 장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무지부는 상기 코팅부의 단변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
  7. 제1항에서,
    상기 코팅부는 서로 마주보는 장변과 서로 마주보는 단변을 가지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의 무지부는 상기 코팅부의 장변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
  8. 제2항에서,
    상기 분리막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분리막의 단변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
  9. 제1항에서,
    상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전극은 양극인 전극 조립체.
  10. 제1항에서,
    상기 폴더 형태를 가지는 전극은 음극인 전극 조립체.
  11. 제1항에서,
    상기 전극의 코팅부는 양면으로 형성된 전극 조립체.
  12. 제1항에서,
    상기 전극의 코팅부는 4변의 길이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전극 조립체.
  13. 제1항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PCT/IB2022/060187 2021-10-15 2022-10-24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23062613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11228.3A CN116868391A (zh) 2021-10-15 2022-10-24 电极组件和包括该电极组件的电池电芯
JP2023539163A JP2024504911A (ja) 2021-10-15 2022-10-24 電極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セル
US18/273,339 US20240097177A1 (en) 2021-10-15 2022-10-24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EP22880531.3A EP4261968A1 (en) 2021-10-15 2022-10-24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261A KR20230053909A (ko) 2021-10-15 2021-10-15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2021-0137261 2021-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2613A1 true WO2023062613A1 (ko) 2023-04-20

Family

ID=8598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IB2022/060187 WO2023062613A1 (ko) 2021-10-15 2022-10-24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97177A1 (ko)
EP (1) EP4261968A1 (ko)
JP (1) JP2024504911A (ko)
KR (1) KR20230053909A (ko)
CN (1) CN116868391A (ko)
WO (1) WO2023062613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5382A (ko) 2009-06-17 2010-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방향성 리드-탭 구조를 가진 리튬 이차 전지
KR101551912B1 (ko) * 2013-11-01 2015-09-08 한국전기연구원 코인형 리튬 이온 전지 제조방법
KR20150137077A (ko) * 2013-03-14 2015-12-08 시온 파워 코퍼레이션 절첩된 전극 및 분리막을 갖는 전기화학 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2016115471A (ja) * 2014-12-12 2016-06-23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扁平型電池
KR20160088303A (ko) 2013-11-15 2016-07-25 칼스루헤 인스티투트 퓌어 테흐놀로기 전극 조립체, 그 제조 방법 및 전기화학 셀
KR20180085781A (ko) * 2015-11-25 2018-07-2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교차-위빙된 전극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5382A (ko) 2009-06-17 2010-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방향성 리드-탭 구조를 가진 리튬 이차 전지
KR20150137077A (ko) * 2013-03-14 2015-12-08 시온 파워 코퍼레이션 절첩된 전극 및 분리막을 갖는 전기화학 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551912B1 (ko) * 2013-11-01 2015-09-08 한국전기연구원 코인형 리튬 이온 전지 제조방법
KR20160088303A (ko) 2013-11-15 2016-07-25 칼스루헤 인스티투트 퓌어 테흐놀로기 전극 조립체, 그 제조 방법 및 전기화학 셀
JP2016115471A (ja) * 2014-12-12 2016-06-23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扁平型電池
KR20180085781A (ko) * 2015-11-25 2018-07-2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교차-위빙된 전극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68391A (zh) 2023-10-10
KR20230053909A (ko) 2023-04-24
EP4261968A1 (en) 2023-10-18
JP2024504911A (ja) 2024-02-02
US20240097177A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08911A1 (ko)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13176498A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되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20204407A1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13176500A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4126427A1 (ko)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4137112A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1115464A2 (ko) 파우치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4148858A1 (ko)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이차전지
WO2014003488A1 (ko)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의 제조공정 및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5005652A1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 및 디바이스
WO2014003485A1 (ko)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의 제조공정 및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4038891A1 (ko) 이차전지
WO2014137017A1 (ko)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WO2016056764A1 (ko) 양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038545A1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16056776A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22039508A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 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62613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8012789A1 (ko) 이차전지
WO2024053930A1 (ko)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제조 방법
WO2022065708A1 (ko) 응력 완화부가 형성된 전극 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WO2024063383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10425A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0242034A1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2121571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805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39163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73339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11228.3

Country of ref document: C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805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