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58831A1 -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58831A1
WO2023058831A1 PCT/KR2022/004097 KR2022004097W WO2023058831A1 WO 2023058831 A1 WO2023058831 A1 WO 2023058831A1 KR 2022004097 W KR2022004097 W KR 2022004097W WO 2023058831 A1 WO2023058831 A1 WO 20230588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lded article
radiation shielding
human body
shee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40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원현
박해원
Original Assignee
(주)창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창림이엔지
Publication of WO20230588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588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 G21F3/02Clothing
    • G21F3/025Clothing completely surrounding the wear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adiation shie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diation shielding suit having an injection molded structure for wearing and performing activities to protect the body in an environment where the body is exposed to radiation.
  •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7-0002685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1-0056756 may be referred to.
  • Prior Document 1 has a base made of polyolefin resin and is composed of tungsten or tungsten oxide powder dispersed in the base to form a sheet that shields more than 80% of radiation with a tube voltage of 50 to 90 kVp, and protects the posterior and anterior parts of the neck from radiation. It constitutes the shielding thyroid shield. Accordingly, an effect of preventing radiation exposure during X-ray imaging and reducing weight when worn is expected.
  • Prior Document 2 is an outer layer made of a scattered radiation absorbing composition and polyurethane; and an inner layer made of a gamma ray shielding composition and polychloroprene on one side of the outer layer, and is configured to cover the wearer's body using the shielding material. Accordingly,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by sintering by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is expected to be light and less deformabl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is to protect the body in a radiation exposure environment, while securing shielding, lightness, and convenience of wearing and activities, while maintaining quality and productivity in the process of mass production in various specifications. It is to provide a radiation shielding suit of an injection molded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lded article produced in a form wearable on the human body based on a raw material in which a radiation shielding component containing bismuth oxide and tungsten oxide is mixed with a base material of a resin component, wherein the molded article is a raw material pellet is formed in the form of parts divided to correspond to the main parts of the human body by injecting into a mold, and the part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connecting parts in adjacently connected parts.
  • the molded art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chest, neck, abdomen, pelvis, and extremities.
  • connection part of the molded pro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Velcro tape, zipper, and button.
  • the molded pro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wrinkles in a region adjacent to the connecting portion or in a joint portion of the human body.
  • the molded art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inner covering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ffer sheet, a heat insulating sheet, and an antistatic sheet.
  • the molded pro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uter covering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ffer sheet, a flame retardant sheet, and a scratch prevention sheet.
  • the molded art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material having a radiation shielding function while being detachable so as to cover the connecting portion.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orming process of a shielding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lded article of a shielding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wearing state of the shielding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raw material in which a radiation shielding component including bismuth oxide and tungsten oxide is mixed with a base material of a resin component. These raw materials are completed into a molded article 30 produced in a form wearable on the human body.
  • the molded article 30 is configured for radiation shielding cloth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other items inclu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In any case, lead (Pb) is excluded from the molded article 30 to reduce harmfulness to the human body and prevent pollution.
  • the raw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ismuth oxide powder, tungsten oxide powder, barium sulfate powder, magnesium oxide powder, trioxide in a substrate selected from polyurethane resin, silicone resin, vinyl chloride resin, polyolefin resin, polypropylene resin, and thermoplastic elastomer (TPE).
  • a radiation shielding component selected from antimony powder and tin powder is mixed up to 95wt%.
  • the filler may be nanonized to increase the filling r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referable to form a multi-layered raw material by uniformly dispersing a filler, which is a radiation shielding component, for each particle size in a polymer substrate.
  • the multilayer structure is advantageous in maintaining radiation shielding performance even when pinholes are generated in some layers during the molding process.
  • the molded article 30 is formed in the form of divided parts to correspond to the main parts of the human body by injecting the raw material pellets 10 into the mold 25.
  •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creates a molded article 30 in a mold 25 with the input raw material pellets 10 .
  • the raw material is used in the form of pellets 10 produced by extrusion at high pressure in order to maintain polymer properties along with reproducibility in mass production.
  • the molded article 3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garment to reduce a separate subsequent process. In some cases, the molded article 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or three-dimensional sheet. The sheet is bonded in multiple layers using an adhesive and cut into a garment that can be worn on the human body.
  • the molded product 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chest 31, a neck 32, an abdomen 33, a pelvis 34, and a limb 35.
  • the neck 32 , the abdomen 33 , the pelvis 34 , and the limbs 35 are arranged around the chest 31 .
  • all parts of each part of the human body may be produced, or only one type of part may be produced by size or in the same size.
  • the molded article 30 is divided into parts, it is convenient to wear only a part according to the purpose.
  • only the neck 32 may be worn when X-ray imaging of the patient's thyroid is required.
  • the chest 31, the neck 32, the abdomen 33, the pelvis 34, and the limbs 35 may be created by dividing them into several pieces again.
  • the parts of the molded article 30 may further include a head, hands (gloves), and feet (shoes).
  • the part has a connecting portion 36 in an adjacently connected portion.
  • the connecting portion 36 maintains a close bonding force so that radiation does not flow into the seam.
  • the connecting portion 36 may be mold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mold 25 of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 Of course, the connecting portion 36 may be attached after the molded article 30 is completed.
  • connection part 36 of the molded article 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Velcro tape, a zipper, and a button.
  • the molded product 30 is provided with connecting portions 36 at all ends where adjacent parts are connected.
  • the Velcro tape is opposed to a female type and a male type, and is advantageous in increasing wearability and sealing power. It is good to double the sealability by adding a zipper or a button along with Velcro tape.
  • the Velcro tape and zipper are formed with a narrow width so as not to degrade the wearer's activity. Velcro tapes are continuously arranged, but zippers and buttons may be intermittently arranged.
  • the molded product 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wrinkle part 38 in a region adjacent to the connection part 36 or in the joint part of the human body.
  •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wrinkles 38 are formed on the limbs 35 of the molded product 30 .
  • the creases 38 are formed on joint motion parts that bend arms and legs to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wearer.
  • a corrugated surface is added to the mold 25 of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to integrally form the molded article 30 and the wrinkled portion 38.
  • the corrugation portion 38 is not limited to the limb portion 35 and may be added to an area adjacent to the connection portion 36 . Additives may be added to prevent deterioration in fluidity due to the wrinkles 38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molded article 30 .
  • the molded article 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inner covering material 42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ffer sheet, a heat insulating sheet, and an antistatic sheet.
  • an endothelial material 42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molded product 30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 the endothelial material 42 differentially applie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buffering properties,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nd antistatic properties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of the molded article 30 .
  • foamed polyethylene, foamed polyurethane, etc. buffering and heat insulating properties are secured.
  • antistatic properties are also secured.
  • the endothelial material 4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eparate sheet or film and attached to the molded article 30 .
  • an endothelial material 42 of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may be applied to the divided region.
  • the molded article 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outer covering material 44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ffer sheet, a flame retardant sheet, and a scratch prevention sheet.
  • an outer covering material 44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molded article 3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 the outer cover material 44 has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the inner cover material 42, but has additional properties such as incombustibility, scratch resistance,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ncombustible sheets can be produced by impregnating fabric with melamine resin or the like. When the UV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nonflammable sheet, scratch resistance can be secured.
  • the outer covering material 44 is configured to prevent weakening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based molded article 30 . For example, when layered silicate capable of containing moisture is evenly dispersed in a polymer matrix, neutron blocking and aging of the molded article 30 are delayed to increase durability and extend life.
  • the molded article 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material 46 having a radiation shielding function while being detachable so as to cover the connecting portion 36.
  •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material 46 is added between the chest 31 and the neck 32 of the molded article 30 .
  • the auxiliary material 46 serves to temporarily reinforce the sealing for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6 .
  • the substrate of the auxiliary material 46 may be produced in the same mold 25 as the molded article 30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성분의 기재에 산화비스무트와 산화텅스텐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 성분을 혼합한 원료를 기반으로 하여 인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생성되는 성형품으로서, 상기 성형품은 원료 펠렛을 몰드에 주입하여 인체의 주요 부분에 대응하도록 분할된 부분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부분품은 인접하게 이어지는 부분에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방사선 노출 환경에서 신체를 보호함에 차폐성, 경량성, 착용과 활동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 다양한 규격으로 양산하는 과정에서 품질과 생산성을 유지하므로 실질적인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본 발명은 방사선 차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사선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서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고 활동하기 위한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관, 산업체, 연구소 등에서 방사선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유기물 구조인 신체에 큰 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방사선 차폐복을 활용해야 한다. 보편적인 납판이나 납분말을 사용하면 경제적 부담은 줄지만 무거워서 활동성을 저하시키고 인체중독의 위험성도 있다. 대안으로서 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의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다만 이는 고가이면서 사출 성형성이 낮아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기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방사선 차폐복과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2685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056756호(선행문헌 2)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폴리올레핀 수지 재질의 기지를 구비하고 기지에 분산된 텅스텐 또는 산화 텅스텐 분말로 구성되어 관전압 50~90kVp의 방사선을 80%이상 차폐하는 시트를 형성하고, 경부의 후방 및 전방부위를 방사선으로부터 차폐하는 갑상선 차폐부를 구성한다. 이에, 엑스선 촬영시 방사선 피폭을 방지하고 착용시의 중량을 감소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산란 방사선 흡수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외층; 및 외층의 일면에 감마선 차폐 조성물 및 폴리클로로프렌으로 이루어지는 내층;을 포함하는 차폐재를 형성하며, 이러한 차폐재를 사용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가리도록 구성된다. 이에, 가볍고 변형이 적으며 고주파유도 가열에 의한 소결로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방사선 차폐복을 다양한 규격으로 양산하기 위한 공정 기술이 미흡하다는 점에서 한계성을 보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 노출 환경에서 신체를 보호함에 차폐성, 경량성, 착용과 활동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 다양한 규격으로 양산하는 과정에서 품질과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지 성분의 기재에 산화비스무트와 산화텅스텐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 성분을 혼합한 원료를 기반으로 하여 인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생성되는 성형품으로서, 상기 성형품은 원료 펠렛을 몰드에 주입하여 인체의 주요 부분에 대응하도록 분할된 부분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부분품은 인접하게 이어지는 부분에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은 흉부, 경부, 복부, 골반부, 사지부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의 연결부는 벨크로테이프, 지퍼, 단추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은 연결부와 인접한 영역 또는 인체의 관절 부분에 주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은 완충 시트, 단열 시트, 정전기 방지 시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내피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은 완충 시트, 불연 시트, 스크래치 방지 시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포함하는 외피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은 연결부를 감싸도록 착탈 가능하면서 방사선 차폐 기능을 갖춘 보조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 노출 환경에서 신체를 보호함에 차폐성, 경량성, 착용과 활동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 다양한 규격으로 양산하는 과정에서 품질과 생산성을 유지하므로 실질적인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복의 성형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폐복의 성형품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복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폐복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지 성분의 기재에 산화비스무트와 산화텅스텐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 성분을 혼합한 원료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원료는 인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생성되는 성형품(30)으로 완성된다. 성형품(30)은 방사선 차폐복을 대상으로 구성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건축 내외장재를 비롯한 여타 물품에 적용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 성형품(30)에 납(Pb)을 배제하여 인체 유해성 낮추고 공해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원료는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중에서 선택되는 기재에 산화비스무트 분말, 산화텅스텐 분말, 황산바륨 분말, 산화마그네슘 분말, 삼산화안티몬 본말, 주석 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방사선 차폐 성분을 최대 95wt%까지 혼합한다. 필러를 나노화하여 충전률을 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분자의 기재에 방사선 차폐 성분인 필러를 입자 크기별로 고르게 분산시켜 다층 구조의 원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구조는 성형 과정에서 일부의 층에 핀홀이 발생한 경우에도 방사선 차폐 성능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성형품(30)은 원료 펠렛(10)을 몰드(25)에 주입하여 인체의 주요 부분에 대응하도록 분할된 부분품 형태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출성형기(20)는 투입되는 원료 펠렛(10)으로 몰드(25)에서 성형품(30)을 생성한다. 원료는 양산에서 재현성과 더불어 고분자 물성 유지를 위해 고압으로 압출하여 생성한 펠렛(10) 상태로 활용한다. 성형품(30)은 별도의 후속 공정을 줄이도록 의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성형품(30)은 평면 또는 입체 구조의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접합되고 인체에 착용 가능한 의복 형태로 재단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30)은 흉부(31), 경부(32), 복부(33), 골반부(34), 사지부(35)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흉부(31)를 중심으로 경부(32), 복부(33), 골반부(34), 사지부(35)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하나의 몰드(25)에서 인체 각부의 부분품을 모두 생성할 수도 있고, 어느 한 종류의 부분품만 크기별 또는 동일한 크기로 생성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성형품(30)이 부분품으로 분할되는 경우 용도에 맞추어 일부만 착용하기 편리하다. 예컨대, 환자의 갑상선 엑스레이 촬영이 필요한 경우 경부(32)만 착용할 수 있다. 흉부(31), 경부(32), 복부(33), 골반부(34), 사지부(35)는 각각 다시 여러 조각으로 분할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성형품(30)의 부분품은 두부, 수부(장갑), 족부(신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분품은 인접하게 이어지는 부분에 연결부(36)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성형품(30)인 흉부(31), 경부(32), 복부(33), 골반부(34), 사지부(35)가 연결부(36)를 개재하여 이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연결부(36)는 방사선이 이음매 부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긴밀한 결합력을 유지한다. 연결부(36)는 사출성형기(20)의 몰드(25)에 인서트된 상태로 성형될 수 있다. 물론 성형품(30)이 완성된 후에 연결부(36)를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30)의 연결부(36)는 벨크로테이프, 지퍼, 단추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성형품(30)은 인접한 부분품들이 어어지는 단부에 모두 연결부(36)를 갖춘다. 벨크로테이프는 암형과 숫형으로 대향하며, 착용성과 밀봉력을 높이기 유리하다. 벨크로테이프와 더불어 지퍼나 단추를 부가하여 밀봉성을 배가하는 것이 좋다. 벨크로테이프와 지퍼는 착용자의 활동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좁은 폭으로 형성한다. 벨크로테이프는 연속적으로 배치되지만 지퍼와 단추는 단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30)은 연결부(36)와 인접한 영역 또는 인체의 관절 부분에 주름부(3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성형품(30)의 사지부(35)에 주름부(38)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주름부(38)는 팔, 다리 등을 구부리는 관절운동 부분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활동성을 높인다. 사출성형기(20)의 몰드(25)에 파형면을 부가하여 성형품(30)과 주름부(38)를 일체로 형성한다. 주름부(38)는 사지부(35)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36)와 인접한 영역에도 부가할 수 있다. 성형품(30)의 사출 성형시 주름부(38)에 의한 유동성 저하를 방지하도록 첨가제를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30)은 완충 시트, 단열 시트, 정전기 방지 시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내피재(4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성형품(30)에서 인체와 접하는 부분에 내피재(42)가 형성된다. 내피재(42)는 성형품(30)의 사용 용도에 따라서 완충성, 단열성, 정전기 방지성의 물성을 차등적으로 적용한다.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우레탄 등을 적용하연 완충성과 단열성이 확보된다. 여기에 대전방지성 물질을 부여하면 정전기 방지성도 확보된다. 내피재(42)는 별도의 시트나 필름 형태로 형성하여 성형품(30)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성형품(30)의 부분품이 절개부(48)를 갖는 경우 분할된 영역에 다른 물성의 내피재(42)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30)은 완충 시트, 불연 시트, 스크래치 방지 시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포함하는 외피재(4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성형품(30)에서 외기와 접차는 부분에 외피재(44)가 형성된다. 외피재(44)는 내피재(42)와 유사한 물성을 갖추지만 불연성, 내스크래성, 기타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물성을 더 갖춘다. 불연성 시트는 직물에 멜라민수지 등을 함침하여 생성할 수 있다. 불연성 시트에 UV코팅층을 형성하면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외에 외피재(44)는 고분자 기반인 성형품(30)의 물성 약화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수분 함유가 가능한 층상실리케이트를 고분자 매트릭스에 고르게 분산시키면 중성자 차단은 물론 성형품(30)의 노화를 지연시켜 내구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품(30)은 연결부(36)를 감싸도록 착탈 가능하면서 방사선 차폐 기능을 갖춘 보조재(4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 성형품(30)의 흉부(31)과 경부(32) 사이에 보조재(46)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보조재(46)는 연결부(36)의 밀봉력을 일시적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재(46)의 기재는 성형품(30)과 동일한 몰드(25)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보조재(46)의 기재의 일면에 점착제를 부가하면 성형품(30)에 대한 착탈은 물론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수지 성분의 기재에 산화비스무트와 산화텅스텐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 성분을 혼합한 원료를 기반으로 하여 인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생성되는 성형품(30)으로서,
    상기 성형품(30)은 원료 펠렛(10)을 몰드(25)에 주입하여 인체의 주요 부분에 대응하도록 분할된 부분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부분품은 인접하게 이어지는 부분에 연결부(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30)은 흉부(31), 경부(32), 복부(33), 골반부(34), 사지부(35)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30)의 연결부(36)는 벨크로테이프, 지퍼, 단추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30)은 연결부(36)와 인접한 영역 또는 인체의 관절 부분에 주름부(3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30)은 완충 시트, 단열 시트, 정전기 방지 시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내피재(4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30)은 완충 시트, 불연 시트, 스크래치 방지 시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포함하는 외피재(4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30)은 연결부(36)를 감싸도록 착탈 가능하면서 방사선 차폐 기능을 갖춘 보조재(4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PCT/KR2022/004097 2021-10-06 2022-03-23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WO202305883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257A KR102372528B1 (ko) 2021-10-06 2021-10-06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KR10-2021-0132257 2021-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831A1 true WO2023058831A1 (ko) 2023-04-13

Family

ID=8081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4097 WO2023058831A1 (ko) 2021-10-06 2022-03-23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2528B1 (ko)
WO (1) WO2023058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528B1 (ko) * 2021-10-06 2022-03-10 (주)창림이엔지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2270A (ja) * 2012-05-22 2013-12-05 Hayakawa Rubber Co Ltd 放射線遮蔽材
JP2014002029A (ja) * 2012-06-18 2014-01-09 Kureha Ltd 放射線防護服
KR102041052B1 (ko) * 2018-08-07 2019-11-0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차폐 방호복
KR102070658B1 (ko) * 2019-01-24 2020-01-29 주식회사 삼오시스 방사선 차폐용 나노화 합금물질을 이용한 의복원단 제조방법 및 그 의복원단
KR20200051862A (ko) * 2018-11-05 2020-05-14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방촬영용 방사선 차폐복
KR102372528B1 (ko) * 2021-10-06 2022-03-10 (주)창림이엔지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4272B (zh) 2012-09-06 2018-05-15 皇家Kpn公司 建立设备到设备通信会话
KR102318127B1 (ko) 2019-11-11 2021-10-28 (주)동원엔텍 하이브리드 무연 방사선 차폐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차폐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2270A (ja) * 2012-05-22 2013-12-05 Hayakawa Rubber Co Ltd 放射線遮蔽材
JP2014002029A (ja) * 2012-06-18 2014-01-09 Kureha Ltd 放射線防護服
KR102041052B1 (ko) * 2018-08-07 2019-11-0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차폐 방호복
KR20200051862A (ko) * 2018-11-05 2020-05-14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방촬영용 방사선 차폐복
KR102070658B1 (ko) * 2019-01-24 2020-01-29 주식회사 삼오시스 방사선 차폐용 나노화 합금물질을 이용한 의복원단 제조방법 및 그 의복원단
KR102372528B1 (ko) * 2021-10-06 2022-03-10 (주)창림이엔지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528B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13630B (zh) 一种多层辐射防护手套及其制作工艺
WO2023058831A1 (ko) 사출 성형 구조의 방사선 차폐복
US3052799A (en) Radiation protection garment
US20150375474A1 (en) Energy absorbent pads for attachment to textiles
KR20170002683U (ko) 방사선 차폐복
WO2023191370A1 (ko)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한 기능성 잠옷
CN211153899U (zh) 一种新型阻燃防静电服
Zhou et al. Overview of protective clothing
JP3977193B2 (ja) 放射線遮蔽材及びこれを用いた放射線遮蔽用防護衣
CN201341452Y (zh) 防静电防电磁辐射服装
CN210925514U (zh) 一种防射线防护服
CN210929766U (zh) 一种无尘防静电手套
CN210248472U (zh) 一种抗皱的防静电无尘服
JP2003245991A (ja) ラミネートシート、並びに、それを用いてなる電磁波シールド用被服、及び成型品
CN217622624U (zh) 一种耐高温防尘外衣面料
WO2017188503A1 (ko) 방수 기능이 강화된 아웃도어 의류 제조 방법
CN216961597U (zh) 一种耐水洗防疫服
CN214016025U (zh) 一种低发尘高滤尘洁净服
CN211616872U (zh) 一种护服用层叠布帛及应用该防护服用层叠布帛的防护服
CN218123006U (zh) 一种核辐射防护服
CN218219261U (zh) 一种无尘室用防静电涂指手套
CN213428455U (zh) 一种气囊防护服
US11387010B2 (en) Protective garment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211721932U (zh) 一种防疫隔离服
CN212465048U (zh) 一种高防水透气的多功能防护服上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786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