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38192A1 -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38192A1
WO2023038192A1 PCT/KR2021/015015 KR2021015015W WO2023038192A1 WO 2023038192 A1 WO2023038192 A1 WO 2023038192A1 KR 2021015015 W KR2021015015 W KR 2021015015W WO 2023038192 A1 WO2023038192 A1 WO 20230381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venue
blockchain
asset
contract
benefic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0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민형
Original Assignee
이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형 filed Critical 이민형
Publication of WO20230381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381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profit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investment in a blockchain-based as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for providing a profit distribution according to an investment in a blockchain-based asset using NFT.
  • Transparent transactions through a distributed ledger system can reduce security, supervision, and regulatory costs.
  •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financial sector, but also to logistics, distribution, and even government public administration services.
  • Securitization of assets means the replacement of digital assets or spot assets and fiat currency into objects that can be traded on the network.
  • a variety of in-kind objects from works of art to jewelry to real estate, can be subject to asset securitization through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Securitized assets can be traded on the blockchain.
  • Patent Document 1 KR 10-2018-0114915 A
  • Patent Document 2 KR 10-2018-0113143 A
  • Patent Document 3 KR 10-2018-0115764 A
  •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such a technical background, and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based on blockchain-based asset investment that can facilitate asset trading by issuing asset-backed securities for profitable asset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ts purpose is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 the system for providing a profit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an investment in a blockchain-based asset concludes a contract including a profit distribution structure for the profit from a beneficiary asset at the request of the right holder who owns the beneficiary asset.
  • a contract conclusion unit a securities issuance unit that issues beneficiary certificates according to a profit distribution structure for assets contracted by the contract conclusion unit, a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whether or not revenue is generated by the assets contracted by the contract conclusion unit, the monitoring
  • a payment unit that pays virtual currency equal to at least part of the revenue for the securities issued by the securities issuing unit according to the contract concluded by the contract signing unit include
  • the profit distribution structure for beneficiary asset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right holder who owns the beneficiary asset. Concluding a contract that includes, issuing beneficiary certificates according to a revenue distribution structure for the contracted beneficiary asset, monitoring whether or not revenue is generated by the contracted beneficiary asset, and the monitoring result, beneficiary asset and, when revenue is generated, paying virtual currency equal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evenue for the issued securities according to the concluded contract.
  • existing blockchain beneficiary certificates solve the problem that their value may be los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lockchain issuer or exchange, so that even if an intermediary such as a blockchain issuer or exchange disappears, the NFT owner ca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based on blockchain-based asset investment that can request a profit distribution to the holder of a beneficiary asset based on tokens and can give reliability and fundamental value to the blockchain beneficiary certificate itself using NFT. can provide
  • 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profit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a blockchain-based asset inves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blockchain-based asset inves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20 provides a service platform in the form of an NFT beneficiary stock exchange operated by a blockchain company.
  • the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20 converts A% of the revenue generated from the patent of the right holder of the beneficial asset between the right holder of the asset such as a patent and the blockchain company 40 to the blockchain company 40 in the form of an NFT. Conclude a contract to grant permission to issue and trade as beneficiary certificates.
  • the content of the contract between the beneficiary asset owner and the blockchain company 40 is the right to collect for the issuance of securities as much as A contracted by the amount of securities issued by monitoring that the blockchain company generates revenue from the contract target patent, It may include contents such as the right to convert the collected revenue into virtual currency and distribute it to the wallet that owns the NFT, and the asset owner must obtain the consent of the blockchain company 40 to dispose of the asset.
  • the blockchain company 40 can issue n NFTs issued according to the contract concluded with the beneficiary asset owner as beneficiary certificates to a number of investors (investor 1, investor 2, investor 3 .... investor m). .
  • the blockchain company 40 collects a certain percentage of the proceeds generated through the target asset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with the owner of the asset.
  • the blockchain company 40 converts the collected proceeds into virtual currency through a virtual currency exchange, etc., and then pays virtual currency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NFTs to the wallet address that owns the NFT at that time (dividend of profits). can do.
  • the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20 pays investor 1 an amount equal to the number of issued beneficiary certificates (I 1 ) that investor 1 wants to purchase out of A%/n of revenue from the blockchain company 40.
  • the profit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20 ) may provide the original rightholder, a provider of beneficial assets, with the amount minus the commission of the block chain company 40 from the proceeds obtained by selling the NFT through the NFT revenue stock exchange.
  • the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20 entrusts the right holder of beneficial asset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patents, to the blockchain company 40 and converts some of the revenue generated by his or her assets into NFT form.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profit generation structure in the form of receiving sales proceeds after selling.
  • the buyer that is, the investor, who purchased the NFT issued by the blockchain company 40 according to the contract with the right holder, is then another prospective purchaser, that is, another investor, through the NFT beneficiary stock exchange provided by the profit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20 You can sell NFTs to
  • the royalty function of the NFT is implemented so that a certain amount of money can be paid to the blockchain company 40, which is the token issu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that enables NFT transactions and payment of transaction fees on the blockchain without a separate HTS system.
  • the system 20 for providing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investment in blockchain-based assets stores various types of digital files (metadata), including beneficiary certificates, in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such as ipfs and tokens of NFTs. Link via uri. Accordingly, non-fungible is possible.
  • the system 20 for providing a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an investment in a blockchain-based asset is a legally effective contract pdf (profit asset contract between the owner and the blockchain issuer) can be included as metadata.
  • the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20 has a kind of smart contract concept identical to the act of sharing a contract between contract parties while ensuring the transparency of the blockchain in the process of reviewing, signing, and notarizing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Because it is included, the inves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request a profit distribution from the owner of the beneficial asset based on the NFT token, even if the intermediary such as the blockchain issuer or the exchange disappears.
  • blockchain beneficiary certificates using NFTs can be given reliability and fundamental value.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profit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a blockchain-based asset inves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ystem 20 for providing a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investment in blockchain-based asset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contract conclusion unit 220, a securities issuing unit 230, and a monitoring unit 240 ), a payment unit 250 and a transaction execution unit 260.
  • the communication unit 210 communicates with any internal component or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external arbitrary terminal may include the owner terminal 10, the investor terminal 30, a blockchain company server, and the like.
  •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etc.
  • th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USB Ultra Sound Communication
  • 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Wi-Fi Wi-Fi Direct
  •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include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coaxial cables, and the like.
  • Right holder terminal (10), investor terminal (30), blockchain company server are smart phones, portable terminals, mobile terminals, foldable terminals,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s (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Personal Computer, Notebook PC, Slate PC, Tablet PC , ultrabook, wearable device (including, for example, a watch type terminal (Smartwatch), a glass 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Wibro terminal, IPTV (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such as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terminals, smart TV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AVN (Audio Video Navigation) terminals, A / V (Audio / Video) systems, flexible terminals, digital signage devices, etc. .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Telematics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 Navigation terminal Personal Computer, Notebook PC
  • Slate PC Tablet PC
  • ultrabook wearable device
  • wearable device including, for example, a watch type
  • the rightholder terminal 10 is implemented as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rightholder who owns various types of beneficiary assets, including intellectual properties such as patents, utility models or designs.
  • the investor terminal 30 is implemented as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investors who want to invest in profits generated by assets through the NFT beneficiary stock exchange provided by the profit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ontract concluding unit 220 concludes a contract including a revenue distribution structure for the beneficiary asset between the right holder and the blockchain company at the request of the right holder who owns the beneficiary asset.
  • Beneficial assets are interpreted to include all assets that can generate revenue, including rights such as patents, utility model rights, and design rights.
  • the contract signing unit 220 is a block chain company 40 that issues beneficiary certificates for a certain percentage of the revenue generated from the right holder terminal 10 possessed by the right holder of assets such as patents and the corresponding patent conclude a contract between
  • the contract entered into by the contract conclusion unit 220 includes a function of granting the block chain company 40 the right to trade about 20% of the revenue generated by the patent owned by the right holder.
  • the right to collect some of the proceeds the right to convert the collected proceeds into virtual currency and distribute them to at least one or more investors who own NFTs It includes the function to do, the content that the consent of the block chain company 40 must be accompanied when the right holder sells the patent.
  • the contract signing unit 220 portfolios at least two or more beneficiary assets and recognizes them as beneficiary assets. For example, if a profitable asset is a patent, it is possible that the patent to be invested is not only a single patent but also a collective contract for multiple patents that bundle several patents in the form of a portfolio.
  • the securities issuing unit 230 issues beneficiary certificates according to the profit distribution structure for the beneficiary assets contracted by the contract conclusion unit 220 .
  • the securities issuer 230 issues 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DABS) for assets.
  • DABS 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 the securities issuing unit 230 issues NFT (Non fungible token) beneficiary certificates according to the profit distribution structure.
  • NFT Non fungible token
  • Non fungible token exists only as one unique NFT even in the basic concept.
  • the securities issuing unit 230 may create n copies of NFTs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copy.
  • n NFTs issued by the blockchain company 40 can be sold to multiple investors.
  • the NFT includes a Copy function that can issue a plurality of NFTs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when issuing NFTs, and a Royalty function that transfers a certain percentage of the transaction price to the wallet address of the token issuer when trading NFTs. do.
  • Securities issuing unit 230 may issue P 1 -NFT beneficiary certificates corresponding to 20% of the revenue generated by a specific patent (P 1 ) by the contract entered into by the contract signing unit 220 .
  • P 1 -NFT is issued in 50 copies
  • each P 1 -NFT beneficiary certificate will have a right corresponding to 20% ⁇ 2% (1/50) of the revenue generation of patent P 1 .
  • the NFT copy function can transmit as many items as desired to multiple recipients in one transaction. In one embodiment, since the transfer, approve, melting, and trade functions all use arrays as parameters, a single transaction can perform 100-200 operations. can
  • the securities issuing unit 230 of the blockchain-based profit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20 provides securities for asset rights to at least two or more investors based on the investment ratio set for each investor. Multiple beneficiary certificates can be issued by issuing copies.
  • the expiration time of NFT beneficiary certificates is the number of days when the right of the target asset itself, such as a patent, expires, or when the right holder of the contract is changed in the contract signing unit 220 through the sale of a patent there is.
  • the securities issuing unit 230 issues beneficiary certificates to at least two or more investors based on an investment ratio set for each investor.
  • the securities issuing unit 230 may issue beneficiary certificates in response to an investor's request to purchase beneficiary certificates and pay the beneficiary certificates to the investor's wallet.
  • the securities issuing unit 230 stores a JSON file including the right information of the beneficiary certificate and a contract for claiming the right to distribute the profit in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and links it to the token address through the URI of the NFT (Non fungible token).
  • the system 20 for providing a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investment in blockchain-based assets stores various types of digital files (metadata) including beneficiary certificates in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such as ipfs, and NFT's token uri link through Accordingly, non-fungible is possible.
  •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such as ipfs, and NFT's token uri link
  • the system 20 for providing a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an investment in a blockchain-based asset is a legally effective contract pdf (profit asset contract between the owner and the blockchain issuer) can be included as metadata.
  • the NFT owner can request a profit distribution from the holder of a beneficial asset based on the NFT token, and accordingly, a block chain using N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Beneficiary certificates can be assigned reliability and fundamental value.
  • the monitoring unit 240 monitors whether or not revenue is generated by the beneficiary assets contracted by the contract conclusion unit 220 .
  • the revenue generated by the patent includes revenue generated from royalties of the patent, revenue generated through litigation, revenue generated through sale, and the like.
  • the monitoring unit 240 is implemented to monitor the profit generation status of the holder of rights based on the contract concluded in the contract signing unit.
  • the asset is a patent
  • it is implemented to monitor whether or not sales of subcontractors who have agreed to use the technology are generated, or to identify the amount of sales contracted to be paid as the amount of patent technology usage out of sales It can be.
  • the monitoring unit 240 may be implemented to monitor whether a license usage fee is generated and the amount by determining whether a product for which a license for a patent, which is a profitable asset, is sold and the sales amount thereof are sold.
  • the asset is a sound source
  • it may be implemented to monitor copyright fe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ound source by the right holder in conjunction with the copyright association.
  •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ayment unit 250 generates profits from the securities issued by the securities issuing unit 230 according to the contract entered into by the contract signing unit 220 Pay virtual currency equal to at least a portion of
  • the payment unit 250 may pay virtual currency at a rat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NFTs to a wallet address that owns NFTs (Non fungible tokens) for each investor among the profits generated by the beneficiary asset.
  • the payment unit 250 pays virtual currency to the investor's wallet based on the beneficiary certificates issued for each investor among the profits generated by the beneficiary asset.
  • the blockchain company 40 converts the collection proceeds to virtual currencies such as Ethereum through a virtual currency exchange, etc., and then converts them to the wallet address of the investor who owns the NFTs at that time by a ratio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NFTs owned. It pays virtual currency equivalent to the dividend amount of profits.
  • the payment unit 250 will further provide the original rightholder, who is a provider of beneficial assets, with the proceeds obtained by selling NFTs through the NFT beneficial stock exchange provided by the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20, excluding the commission of the blockchain company.
  • the payment unit 250 may collect a certain amount of proceeds generated through the target asset from the right holder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signed by the block chain company 40 and the right holder at the contract conclusion unit 220. there is.
  • the transaction establishment unit 260 of the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20 conducts a transaction of beneficiary certificates between investors who have been issued beneficiary certificates for the profits generated by beneficiary assets. make it happen
  • the act of an investor purchasing beneficiary securities in the form of an NFT is a kind of smart contract concept that is the same as sharing the contract between the contracting partie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contract is actually reviewed, signed, and notarized. This is included. At this time, a series of processes of reviewing, signing, and notarizing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can be performed through transparency by blockchain.
  • the transaction execution unit 260 may perform necessary procedures for concluding a transaction between an investor who initially purchases (sells) an NFT and an investor who wants to purchase (buys) an NFT.
  • the payment mean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virtual currency payment or won payment.
  • the transaction execution unit 260 may process a certain amount of money to be paid to the blockchain company 40, which is a token issuer, when a transaction between investors is concluded with the royalty function of the NFT.
  • the metadata of the NFT includes a kind of smart contract concept that is the same as the act of sharing a contract between investors and contract parties, providing a structure that enables NFT transactions between investors and payment of transaction fees on the blockchain without a separate HTS system. can do.
  • the transaction execution unit 260 may objectively evaluate the value of IP as an asset owned by an investor, that is, a profit-type security, and calculate an expected profit. And based on the calculated expected profit, the market price (quotation) for the beneficiary certificates of the asset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market price can be used to conclude a transaction between investors.
  • the transaction execution unit 260 may provide a trading function between investors by providing its own market platform. Specifically,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asking price and volume of at least one type of beneficiary certificate in the form of NFT through the market platform, and select the beneficiary certificate the investor wants to purchase on the market platform to conclude a transaction between investor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rket platform that can more conveniently conduct transactions of NFT copies, going beyond the existing platform that focuses only on one NFT transaction.
  • the transaction execution unit 260 is implemented so that only investors who log in after registering and setting a personal wallet through a marke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trade with other investors.
  • the JSON file of the token is stored in the Token address of the NFT.
  • JSON is an open standard format that uses text to carry data objects consisting of attribute-value pairs and array data types (or any other serializable value) or key-value pairs.
  • the token URI of the NFT is the name of the NFT, the name of the blockchain issuer (issuer), the name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IP) right holder, and the share ratio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the ratio of rights held by one NFT), that is, the Dividend ratio among proceeds, url information (ipfs, doi, etc.) where the pdf file of a copy of the contract sign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blockchain issuer is stored, url information (ipfs, etc.) where the image containing the rights information of the beneficiary certificate is stored, multiple If patents are grouped in a portfolio form, the number of patents in the portfolio, the registration number for each patent included in the portfolio, and other key contract conditions of beneficiary certificates can be stored in the NFT's token address.
  • FIG.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blockchain-based asset inves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ethod for providing a profit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a blockchain-based asset investment performed in a system for providing a profit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a blockchain-based asset inves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method of providing a profit distribution service according to a blockchain-based asset investment according to a request of a right holder who owns a profit asset.
  • a contract including a profit distribution structure for assets is concluded (S200).
  • Beneficial assets are interpreted to include all assets that can generate revenue, including rights such as patents, utility model rights, and design rights.
  • the step of concluding a contract concludes a contract between the right holder's terminal possessed by the right holder who owns the patent and a blockchain company that issues beneficiary certificates for a certain percentage of the revenue generated from the patent.
  • the contract concluded at the contract conclusion part includes a function that grants the blockchain company the right to trade 20% of the revenue generated by the patent owned by the right holder.
  • the ability to collect some of the proceeds the ability to convert the collected proceeds into virtual currency and give the right to distribute to at least one or more investors who own NFTs, It includes the contents that the consent of the block chain company must be accompanied by the patent sale by the right holder.
  • the step of entering into a contract portfolio s at least two or more beneficiary assets and recognizes them as beneficiary assets.
  • the beneficiary asset is a patent
  • beneficiary certificates are issued according to the profit distribution structure for the contracted beneficiary assets (S210).
  • beneficiary certificates are issued to at least one or more investors based on the proportion of investment set for each investor.
  • the securities issuance step issues 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DABS) for assets.
  • DABS 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 the step of issuing securities issues Non fungible token (NFT) beneficiary certificates according to a revenue distribution structure.
  • NFT Non fungible token
  • Non fungible token exists only as one unique NFT even in the basic concept.
  • the step of issuing securities can create n copies of NFTs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copy.
  • NFTs include a copy function that can issue multiple NFTs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when issuing NFTs, and a royalty function that transfers a certain percentage of the transaction price to the wallet address of the token issuer when trading NFTs. .
  • n NFTs issued by blockchain companies can be sold to multiple investors.
  • the step of issuing securities can issue P 1 -NFT beneficiary certificates corresponding to 20% of the revenue generated by a specific patent (P 1 ) by the contract concluded. For example, if P 1 -NFT is issued in 50 copies, each P 1 -NFT beneficiary certificate will have a right corresponding to 20% ⁇ 2% (1/50) of the revenue generation of patent P 1 .
  • the expiration time of the NFT beneficiary certificate may be when the right of the target asset itself, such as a patent, expires, or when the right holder of the contract is changed through the sale of the patent.
  • the revenue generated by the patent includes revenue from royalties on the patent, revenue from litigation, and revenue from sale.
  • the monitoring step is implemented to monitor the revenue generation status of the right holder based on the concluded contract.
  • the step of paying virtual currency to the investor's wallet based on the beneficiary certificates issued for each investor among the profits generated by the beneficiary asset is paid.
  • an investor who purchases an NFT from a blockchain company that issued NFT-type beneficiary certificates can then sell the NFT to other purchasers.
  • Necessary procedures can be performed to conclude a trading transaction between (sell) investors who initially purchased NFTs and (buy) investors who want to purchase NFTs.
  • the royalty function of the NFT can be processed so that a certain amount is paid to the blockchain company, which is the token issuer, when a transaction between investors is concluded.
  • the above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Abstract

본 발명은 NFT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익자산을 소유하는 권리자의 요청에 따라 수익자산에 대한 수익 분배 구조를 포함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계약 체결부, 상기 계약 체결부에서 계약 체결한 수익자산에 대해 수익분배구조에 따라 수익 증권을 발행하는 증권 발행부, 상기 계약 체결부가 계약 체결한 수익자산에 의한 수익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수익자산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면, 상기 계약 체결부에서 체결한 계약에 따라 상기 증권 발행부에서 발행한 증권에 대해 수익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가치의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지급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지식재산권과 같은 수익자산에 대한 자산 유동화 증권을 발행하여 자산 거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FT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에 기반한 거래 정보는 임의로 변경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거래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정보 추적이 용이하다. 특히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서비스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중이다.
분산 장부 시스템을 통한 투명한 거래로 보안, 감독, 규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블록체인 기술은 금융 분야 뿐 아니라 물류, 유통, 나아가 정부 공공 행정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자산의 유동화에 대한 시도가 늘고있다. 자산의 유동화는 디지털 자산 또는 현물 자산과 법정 화폐를 네트워크 상에서 거래가 가능한 대상으로 치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술작품이나 보석, 부동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물이 분산 원장 기술을 통해 자산 유동화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유동화된 자산은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상에서 자산을 유동화하고 유동화된 자산을 거래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특허문헌 1) KR 10-2018-0114915 A
(특허문헌 2) KR 10-2018-0113143 A
(특허문헌 3) KR 10-2018-0115764 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지식재산권과 같은 수익자산에 대한 자산 유동화 증권을 발행하여 자산 거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블록체인 상에서 디지털 자산 유동화 증권으로 발행된 자산의 거래를 통해 기존에 중개인에게 발생되는 수수료를 절감하고 자산 거래에 필요했던 법적, 행정적인 처리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수익자산을 소유하는 권리자의 요청에 따라 수익자산에 의한 수익에 대한 수익 분배 구조를 포함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계약 체결부, 상기 계약 체결부에서 계약 체결한 자산에 대해 수익분배구조에 따라 수익 증권을 발행하는 증권 발행부, 상기 계약 체결부가 계약 체결한 자산에 의한 수익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수익자산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면, 상기 계약 체결부에서 체결한 계약에 따라 상기 증권 발행부에서 발행한 증권에 대해 수익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가치의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지급부를 포함한다.
한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수익 자산을 소유하는 권리자의 요청에 따라 수익자산에 대한 수익 분배 구조를 포함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계약 체결한 수익자산에 대해 수익분배구조에 따라 수익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계약 체결한 수익자산에 의한 수익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 수익자산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면, 상기 체결한 계약에 따라 상기 발행한 증권에 대해 수익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가치의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식재산권과 같은 수익자산에 대한 자산 유동화 증권을 발행하여 자산 거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체인 상에서 디지털 자산 유동화 증권으로 발행된 자산의 거래를 통해 기존에 중개인에게 발생되는 수수료를 절감하고 자산 거래에 필요했던 법적, 행정적인 처리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블록체인 수익증권은 블록체인 발행업체나 거래소의 존재 여부에 따라 그 가치가 소실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투자자는 블록체인 발행업체나 거래소와 같은 중간자가 사라지더라도 NFT소유자는 NFT 토큰에 기반하여 수익자산 권리자에게 수익분배를 요구할 수 있고, NFT를 활용한 블록체인 수익증권 자체에 신뢰성 및 근본적인 가치가 부여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은 블록체인 업체가 운영하는 NFT 수익증권 거래소 형태의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먼저,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은 특허와 같은 자산을 소유한 권리자와 블록체인 업체(40)간에 수익자산 권리자의 특허에서 발생되는 수익의 A%를 블록체인 업체(40)가 NFT 형태의 수익 증권으로 발행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권한을 허여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한다.
이때 수익자산 권리자와 블록체인 업체(40)간 계약 내용은 블록체인 업체가 계약 대상 특허에서 수익이 발생하는 것을 모니터링하여 증권 발행 분량으로 계약 체결한 A만큼의 증권 발행을 위해 징수할 수 있는 권한, 징수한 수익을 가상화폐로 전환하여 NFT를 소유한 지갑으로 배당할 수 있는 권한, 자산 권리자가 자산 처분을 위해 블록체인 업체(40)의 동의를 필수로 얻어야 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업체(40)는 수익자산 권리자와 체결한 계약에 따라 발행한 n개의 NFT를 다수의 투자자들(투자자1, 투자자2, 투자자3....투자자m)에게 수익증권으로 발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 업체(40)는 자산 권리자와의 계약 내용에 따라 대상 자산을 통해 발생한 수익금의 일정비율만큼을 징수한다. 블록체인 업체(40)는 징수한 수익금을 가상화폐 거래소등을 거쳐서 가상화폐로 전환한 후 해당 시점에 NFT를 소유하고 있는 지갑 주소로 NFT 개수에 해당하는 비율만큼의 가상 화폐를 지급(수익금 배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익분배 서비스 제공시스템(20)은 투자자 1에게는 블록체인 업체(40)로부터 수익의 A%/n중 투자자1 이 구매하기 원한 수익증권(I1) 발행수 만큼의 금액을 지급한다.
그리고 투자자 2에게는 블록체인 업체(40)로부터 수익의 A%/n중 투자자2가 구매하기 원한 수익증권(I2) 발행수 만큼, 투자자 3에게는 블록체인 업체(40)로부터 수익의 A%/n중 투자자3 이 구매하기 원한 수익증권(I3) 발행수 만큼의 금액을 지급한다.
그리고, 블록체인 업체(40)가 NFT 수익증권 거래소에서 다수의 투자자들(투자자1, 투자자2, ...투자자 n)에게 set price로 판매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은 NFT 수익 증권 거래소를 통해 NFT를 판매하여 얻은 수익금 중 블록체인 업체(40)의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수익자산 제공자인 원 권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은 특허 등 지식재산권등 수익자산의 권리자가 블록체인 업체(40)에게 위탁하여 자신의 자산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의 일부를 NFT 형태로 매각한 후 매각 대금을 받는 형태의 수익 창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권리자와의 계약에 따라 블록체인 업체(40)가 발행한 NFT를 구매한 구매자 즉, 투자자는 이후에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이 제공하는 NFT 수익증권 거래소를 통해 다른 구매희망자 즉 다른 투자자에게 NFT를 판매할 수 있다.
이때 NFT의 로열티 기능으로 토큰발행자인 블록체인 업체(40)에게 일정한 금액이 지급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따라 별도의 HTS 시스템없이 블록체인상에서 NFT 거래 및 거래수수료의 지급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은 수익 증권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파일(메타데이터)를 ipfs등 분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고 NFT의 token uri를 통해 링크해준다. 이에 따라 non-fungible이 가능하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은 수익자산에 대해 투자자(nft소유자)가 수익 배당권리을 주장할 수 있도록 법적 효력이 있는 계약서 pdf(수익자산 소유자와 블록체인 발행업체간 체결한 계약서)를 메타데이터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가 NFT 수익증권을 구입하는 행위는 마치 실제에서 계약서 내용을 검토/서명하고 공증받고(=블록체인의 투명성) 계약 당사사들 사이 계약서를 나눠갖는 행위와 동일한 일종의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이 포함된다.
기존의 블록체인 수익증권은 블록체인 발행업체나 거래소의 존재 여부에 따라 그 가치가 소실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은 계약서의 내용을 검토, 서명하고 공증받는 과정에서 블록체인의 투명성을 보장하면서 계약 당사자들 사이에 계약서를 나눠갖는 행위와 동일한 일종의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이 포함되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는 블록체인 발행업체나 거래소등 중간자가 사라지더라도 NFT소유자는 NFT 토큰에 기반하여 수익자산 권리자에게 수익분배를 요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블록체인 수익증권은 신뢰성 및 근본적인 가치가 부여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은 통신부(210), 계약 체결부(220), 증권 발행부(230), 모니터링부(240), 지급부(250) 및 거래 성사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권리자 단말(10), 투자자 단말(30), 블록체인 업체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권리자 단말(10), 투자자 단말(30), 블록체인 업체 서버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권리자 단말(10)은 특허, 실용신안이나 디자인과 같은 지식 재산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익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권리자가 소지하는 단말장치로 구현된다.
투자자 단말(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NFT 수익증권 거래소를 통해 자산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에 투자하기 원하는 투자자들이 소지하는 단말장치로 구현된다.
계약 체결부(220)는 수익자산을 소유하는 권리자의 요청에 따라 권리자와 블록체인 업체간에 수익자산에 대한 수익 분배 구조를 포함하는 계약을 체결한다. 수익자산은 특허, 실용신안권, 디자인권과 같이 권리를 비롯한 수익 발생이 가능한 자산은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계약 체결부(220)는 특허등 자산을 소유한 권리자가 소지하는 권리자 단말(10)과 해당 특허에서 발생되는 수익의 일정 비율에 대한 수익 증권을 발행하는 블록체인 업체(40)간 계약을 체결한다.
이때 계약 체결부(220)에서 체결되는 계약은 권리자가 소유하는 특허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의 20%에 관해 거래할 수 있는 권한을 블록체인 업체(40)에 부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블록체인 업체(40)가 권한을 부여받은 범위 내에서는 수익금 일부를 징수할 수 있는 권한, 징수한 수익금을 가상화폐로 전환하여 NFT를 소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자자들에게 배당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 권리자가 특허 매각시 블록체인 업체(40)의 동의가 필수로 수반되어야 한다는 내용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계약 체결부(2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익자산을 포트폴리오화하여 수익자산으로 인식한다. 일예로 수익자산이 특허일 경우, 투자 대상이 되는 특허는 단일 특허 뿐 아니라 여러개의 특허를 포트폴리오 형태로 묶은 다수의 특허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계약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증권 발행부(230)는 계약 체결부(220)에서 계약 체결한 수익자산에 대해 수익분배구조에 따라 수익 증권을 발행한다. 증권 발행부(230)는 자산에 대한 디지털 유동화 증권(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DABS)을 발행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있어서 증권 발행부(230)는 수익분배구조에 따라 NFT(Non fungible token) 수익 증권을 발행한다.
NFT(Non fungible token)는 기본 개념상으로도 고유한 하나의 NFT로만 존재한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증권 발행부(230)는 copy개념을 도입하여 동일한 특성의 NFT를 n개의 카피본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이같은 양상에 따라 블록체인 업체(40)가 발행한 n개의 NFT를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FT는 NFT를 발행할 때 같은 특성을 가진 복수 개의 NFT를 발행할 수 있는 Copy기능, NFT를 거래할 때 거래 대금의 일정 %를 토큰 발행자 지갑 주소로 전송하는 Royalty 기능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증권 발행부(230)는 특정한 특허(=P1)를 50개의 카피본으로 발행할 수 있다. 증권 발행부(230)는 계약 체결부(220)에서 체결한 계약에 의해 특정한 특허(P1)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의 20%만큼에 해당하는 P1-NFT 수익증권을 발행할수 있다. 예를들어 P1-NFT를 50개의 카피본으로 발행하면 각각의 P1-NFT 수익증권은 특허P1의 수익 발생분의 20%×2%(1/50)에 해당하는 권리를 가지게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FT 카피기능은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다수의 수신자에게 원하는 수량만큼 아이템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transfer), 승인(approve), 멜팅(회수, melting), 거래(trade) 함수는 모두 배열을 매개 변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단일 트랜잭션으로 100-200개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의 증권 발행부(230)는 적어도 둘 이상의 투자자에게 투자자마다 설정된 투자 비중에 기반하여 자산 권리에 대한 증권을 카피본으로 발행하여 다수의 수익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FT 수익 증권의 만료 시점은 자산인 특허등 대상 자산 자체의 권리가 만료될 때, 또는 특허 매각등을 통해 계약 체결부(220)에서 계약 체결한 권리자가 변경되었을 때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증권 발행부(230)는 적어도 둘 이상의 투자자에게 투자자마다 설정된 투자 비중에 기반하여 수익증권을 발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증권 발행부(230)는 투자자의 수익 증권 구매 요청에 대응되게 수익증권을 발행하여 투자자 지갑으로 지급할 수 있다. 증권 발행부(230)는 해당 수익 증권의 권리 정보 및 수익 배당 권리 주장을 위한 계약서를 포함하는 JSON 파일을 분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고, NFT(Non fungible token)의 URI를 통해 Token 주소로 링크해준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은 수익 증권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파일(메타데이터)를 ipfs등 분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고 NFT의 token uri를 통해 링크해준다. 이에 따라 non-fungible이 가능하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은 수익자산에 대해 투자자(nft소유자)가 수익 배당권리을 주장할 수 있도록 법적 효력이 있는 계약서 pdf(수익자산 소유자와 블록체인 발행업체간 체결한 계약서)를 메타데이터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가 NFT 수익증권을 구입하는 행위는 마치 실제에서 계약서 내용을 검토/서명하고 공증받고(=블록체인의 투명성) 계약 당사사들 사이 계약서를 나눠갖는 행위와 동일한 일종의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이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는 블록체인 발행업체나 거래소등 중간자가 사라지더라도 NFT소유자는 NFT 토큰에 기반하여 수익자산 권리자에게 수익분배를 요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NFT를 활용한 블록체인 수익증권은 신뢰성 및 근본적인 가치가 부여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240)는 계약 체결부(220)가 계약 체결한 수익자산에 의한 수익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예를들어 수익 자산이 특허인 경우에 특허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은 특허 사용료 수익, 소송을 통해 발생한 수익, 매각을 통해 발생한 수익 등을 포함한다. 모니터링부(240)는 계약 체결부에서 체결된 계약에 기반하여 권리자의 수익 창출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예를들어 자산이 특허인 경우에, 해당 기술을 사용하기로 협의한 협력업체의 매출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거나, 발생한 매출액을 파악하여, 매출액 중 특허 기술료 사용액으로 지급하기로 약정된 금액을 파악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부(240)는 수익자산인 특허에 대한 실시권이 설정된 상품의 판매 여부 및 판매 금액을 파악하여 실시권 사용료 발생 여부 및 금액을 모니터링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예를들어 자산이 음원인 경우에 저작권협회와 연동되어 권리자의 음원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저작권료등을 모니터링 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급부(250)는 모니터링부(240)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수익자산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면, 계약 체결부(220)에서 체결한 계약에 따라 증권 발행부(230)에서 발행한 증권에 대해 수익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가치의 가상 화폐를 지급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지급부(250)는 수익자산에 의해 발생된 수익중 투자자마다 NFT(Non fungible token)를 소유하고 있는 지갑주소로 NFT 개수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가상화폐를 지급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지급부(250)는 수익자산에 의해 발생된 수익 중 투자자마다 발행된 수익 증권에 기반하여 투자자 지갑으로 가상 화폐를 지급한다.
일예로 블록체인 업체(40)는 징수 수익금을 가상화폐 거래소등을 거쳐 이더리움 등의 가상화폐로 전환한 후 해당 시점에 NFT를 소유하고 있는 투자자의 지갑 주소로 소유한 NFT 개수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수익금 배당액에 해당하는 가치의 가상화폐를 지급한다.
이때 지급부(250)는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이 제공하는 NFT 수익 증권 거래소를 통해 NFT를 판매하여 얻은 수익금 중 블록체인 업체의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수익자산 제공자인 원 권리자에게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지급부(250)는 블록체인 업체(40)와 권리자가 계약 체결부(220)에서 계약 체결한 내용에 따라 대상 자산을 통해 발생한 수익금의 일정 금액을 권리자에게 징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의 거래 성사부(260)는 수익자산에 의해 발생된 수익에 대한 수익증권을 발급받은 투자자들 간 수익증권의 거래를 성사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투자자가 NFT 형태의 수익 증권을 구입하는 행위는 실제에서 계약서 내용을 검토하고 서명하고, 공증 받는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계약 당사자들 사이에 계약서를 공유하는 행위와 동일한 일종의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이 포함된다. 이때 계약서 내용을 검토하고 서명하고, 공증받는 일련의 과정은 블록체인에 의한 투명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NFT 형태의 수익 증권을 발행한 블록체인 업체(40)로부터 NFT를 구매한 투자자는 이후 다른 구매 희망자에게 NFT를 판매할 수 있다. 거래 성사부(260)는 NFT를 최초 구매한 (매도)투자자와 NFT를 구매하기 원하는 (매수)투자자간에 매매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 필요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투자자간에 매매거래는 (매도)투자자의 지갑에 저장된 NFT를 (매수)투자자의 지갑으로 이동시키고, (매수) 투자자가 (매도)투자자에게 NFT형태의 수익 증권 가치와 동일한 재화를 결제 수단으로 지불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결제 수단은 가상화폐 결제 또는 원화 결제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거래 성사부(260)는 NFT의 로열티 기능으로 투자자간 거래가 성사될 경우에 토큰 발행자인 블록체인 업체(40)에 일정한 금액이 지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NFT의 메타데이터에 투자자들 간에 계약 당사자들 사이에 계약서를 공유하는 행위와 동일한 일종의 스마트컨트랙트 개념이 포함됨으로써 별도의 HTS 시스템없이 블록체인상에서 투자자 간의 NFT 거래 및 거래수수료의 지급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거래 성사부(260)는 투자자가 소유한 자산 즉 수익형 증권으로서 IP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기대수익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되는 기대 수익에 기반하여 해당 자산의 수익증권에 대한 시장가(호가)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장가로 투자자간에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거래 성사부(260)는 자체 마켓 플랫폼을 제공하여 투자자간 거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켓 플랫폼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 종류의 NFT형태의 수익 증권의 호가 및 물량을 표시하고 마켓 플랫폼상에서 투자자가 구매하기 원하는 수익 증권을 선택하여 투자자간 거래를 성사시키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하나의 NFT 거래에만 초첨이 맞춰진 기존의 플랫폼에서 나아가 NFT 카피들의 거래를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마켓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거래 성사부(26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켓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는 개인 지갑을 등록하고 셋팅한 후 로그인한 투자자에 한해서, 다른 투자자와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FT의 Token 주소에 해당 토큰의 JSON 파일이 저장된다. JSON은 속성-값 쌍(attribute-value pairs and array data types (or any other serializable value)) 또는 키-값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오브젝트를 전달하기 위해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이다.
예를 들어 JSON 파일은 NFT의 token URI는 NFT의 이름, 블록체인 발행업체(발행사) 이름, 지식재산(IP) 권리자 이름, 지식재산의 지분율(하나의 NFT가 가진 권리비율) 즉 대상자산에서 발생한 수익금중 배당 비율, 권리자와 블록체인 발행업체간에 체결한 계약서 사본의 pdf 파일이 저장된 url 정보(ipfs, doi등), 해당 수익 증권의 권리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저장된 url정보(ipfs 등), 복수개의 특허가 포트폴리오 형태로 묶여있는 경우 포트폴리오화 된 특허개수,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특허 각각에 대한 등록번호, 그외 수익증권의 주요 계약 조건들을 포함하여 NFT의 Token 주소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수익자산을 소유하는 권리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업체와 수익자산에 대한 수익 분배 구조를 포함하는 계약을 체결한다(S200).
수익자산은 특허, 실용신안권, 디자인권과 같이 권리를 비롯한 수익 발생이 가능한 자산은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는 특허를 소유한 권리자가 소지하는 권리자 단말과 해당 특허에서 발생되는 수익의 일정 비율에 대한 수익 증권을 발행하는 블록체인 업체간 계약을 체결한다.
이때 계약 체결부에서 체결되는 계약은 권리자가 소유하는 특허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의 20%에 관해 거래할 수 있는 권한을 블록체인 업체에 부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블록체인 업체가 권한을 부여받은 범위 내에서는 수익금 일부를 징수할 수 있는 권한, 징수한 수익금을 가상화폐로 전환하여 NFT를 소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자자들에게 배당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 권리자가 특허 매각시 블록체인 업체의 동의가 필수로 수반되어야 한다는 내용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익자산을 포트폴리오화하여 수익자산으로 인식한다. 일예로 수익자산이 특허일 경우, 대상 특허는 단일 특허 뿐 아니라 여러개의 특허를 포트폴리오 형태로 묶은 다수의 특허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계약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계약 체결한 수익자산에 대해 수익분배구조에 따라 수익 증권을 발행한다(S210).
그리고 증권 발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자자에게 투자자마다 설정된 투자 비중에 기반하여 수익증권을 발행한다.
증권 발행하는 단계는 자산에 대한 디지털 유동화 증권(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DABS)을 발행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수익분배구조에 따라 NFT(Non fungible token) 수익 증권을 발행한다.
NFT(Non fungible token)는 기본 개념상으로도 고유한 하나의 NFT로만 존재한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copy개념을 도입하여 동일한 특성의 NFT를 n개의 카피본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FT는 NFT를 발행할 때 같은 특성을 가진 복수 개의 NFT를 발행할 수 있는 Copy기능, NFT를 거래할 때 거래 대금의 일정 %를 토큰 발행자 지갑 주소로 전송하는 Royalty 기능을 포함한다.
이같은 양상에 따라 블록체인 업체가 발행한 n개의 NFT를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다.
예를들어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특정한 특허(=P1)를 50개의 카피본으로 발행할 수 있다.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체결한 계약에 의해 특정한 특허(P1)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의 20%만큼에 해당하는 P1-NFT 수익증권을 발행할수 있다. 예를들어 P1-NFT를 50개의 카피본으로 발행하면 각각의 P1-NFT 수익증권은 특허P1의 수익 발생분의 20%×2%(1/50)에 해당하는 권리를 가지게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FT 수익 증권의 만료 시점은 자산인 특허등 대상 자산 자체의 권리가 만료될 때, 또는 특허 매각등을 통해 계약 체결한 권리자가 변경되었을 때 일 수 있다.
이후에 계약 체결한 수익자산에 의한 수익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230).
예를들어 자산이 특허인 경우에 특허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은 특허 사용료 수익, 소송을 통해 발생한 수익, 매각을 통해 발생한 수익 등을 포함한다.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체결된 계약에 기반하여 권리자의 수익 창출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모니터링 결과, 수익자산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면(S240), 체결한 계약에 따라 상기 발행한 증권에 대해 수익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가치의 가상 화폐를 지급한다(S250).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지급하는 단계는 수익자산에 의해 발생된 수익 중 투자자마다 발행된 수익 증권에 기반하여 투자자 지갑으로 가상 화폐를 지급한다.
이때 수익자산에 의해 발생된 수익중 투자자마다 NFT(Non fungible token)를 소유하고 있는 지갑주소에 저장된 NFT 개수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가상화폐를 지급한다.
이 후에 투자자간 거래 요청이 있으면(S260), 투자자간 수익 증권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S270).
즉, NFT 형태의 수익 증권을 발행한 블록체인 업체로부터 NFT를 구매한 투자자는 이후 다른 구매 희망자에게 NFT를 판매할 수 있다. NFT를 최초 구매한 (매도)투자자와 NFT를 구매하기 원하는 (매수)투자자간에 매매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 필요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NFT의 로열티 기능으로 투자자간 거래가 성사될 경우에 토큰 발행자인 블록체인 업체에 일정한 금액이 지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별도의 HTS 시스템없이 블록체인상에서 NFT 거래 및 거래수수료의 지급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권리자 단말 20 :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30 : 투자자 단말 40 : 블록체인 업체
210 : 통신부 220 : 계약 체결부
230 : 증권 발행부 240 : 모니터링부
250 : 지급부 260 : 거래 성사부

Claims (12)

  1. 수익자산을 소유하는 권리자의 요청에 따라 수익자산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에 대한 수익 분배 구조를 포함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계약 체결부;
    상기 계약 체결부에서 계약 체결한 수익 자산에 대한 수익분배구조에 따라 수익 증권을 발행하는 증권 발행부;
    상기 계약 체결부가 계약 체결한 수익자산에 의한 수익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수익자산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면, 상기 계약 체결부에서 체결한 계약에 따라 상기 증권 발행부에서 발행한 증권에 대해 수익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가치의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지급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 발행부는,
    수익분배구조에 따라 NFT(Non fungible token) 수익 증권을 발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 발행부는,
    해당 수익 증권의 권리 정보 및 수익 배당 권리 주장을 위한 계약서를 포함하는 JSON 파일을 분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고, NFT(Non fungible token)의 URI를 통해 Token 주소로 링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체결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익자산을 포트폴리오화하여 수익자산으로 인식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 발행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자자에게 투자자마다 설정된 투자 비중에 기반하여 수익증권을 발행하고,
    상기 지급부는,
    자산에 의해 발생된 수익 중 투자자마다 발행된 수익 증권에 기반하여 투자자 지갑으로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부는,
    수익자산에 의해 발생된 수익중 투자자마다 NFT(Non fungible token)를 소유하고 있는 지갑주소에 저장된 NFT 개수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가상화폐를 지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익자산을 소유하는 권리자의 요청에 따라 수익자산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에 대한 수익 분배 구조를 포함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계약 체결한 자산에 대한 수익분배구조에 따라 수익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계약 체결한 자산에 의한 수익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 수익자산에 의해 수익이 발생하면, 상기 체결한 계약에 따라 상기 발행한 증권에 대해 수익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가치의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수익분배구조에 따라 NFT(Non fungible token) 수익 증권을 발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해당 수익 증권의 권리 정보 및 수익 배당 권리 주장을 위한 계약서를 포함하는 JSON 파일을 분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고, NFT(Non fungible token)의 URI를 통해 Token 주소로 링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익자산을 포트폴리오화하여 수익자산으로 인식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 발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자자에게 투자자마다 설정된 투자 비중에 기반하여 수익증권을 발행하고,
    상기 지급하는 단계는,
    수익자산에 의해 발생된 수익 중 투자자마다 발행된 수익 증권에 기반하여 투자자 지갑으로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하는 단계는,
    수익자산에 의해 발생된 수익중 투자자마다 NFT(Non fungible token)를 소유하고 있는 지갑주소에 저장된 NFT 개수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가상화폐를 지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21/015015 2021-09-13 2021-10-25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303819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560 2021-09-13
KR1020210121560A KR102494106B1 (ko) 2021-09-13 2021-09-13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8192A1 true WO2023038192A1 (ko) 2023-03-16

Family

ID=8522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015 WO2023038192A1 (ko) 2021-09-13 2021-10-25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4106B1 (ko)
WO (1) WO202303819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655A (ko) * 2015-07-09 2018-07-03 리퀴드 마켓스 그룹 인크.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증권 거래들을 거래, 승인 및 결제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068250B1 (ko) * 2019-04-10 2020-01-20 이태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계약을 이용한 자산분할거래 운영프로그램
KR20200095223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패션포 거래소 기반의 디자인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10241243A1 (en) * 2018-07-12 2021-08-05 Argosoperem Llc Compute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prietary rights transactions
US20210279305A1 (en) * 2017-02-13 2021-09-09 Tunego, Inc. Tokenized media content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8010054A (es) 2016-02-23 2019-01-21 Nchain Holdings Ltd Metodo y sistema de tokenizacion para la implementacion de cambios de moneda en una cadena de bloques.
US11625694B2 (en) 2016-02-23 2023-04-11 Nchain Licensing Ag Blockchain-based exchange with tokenisation
KR102349401B1 (ko) 2017-04-05 2022-01-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19004A (ko) * 2017-08-16 2019-02-26 김용태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9731B1 (ko) * 2019-06-20 2021-07-20 방소윤 디지털자산화 서비스 시스템
KR102374539B1 (ko) * 2019-11-22 2022-03-15 에이치엔아이엔씨 (주) 증권형 토큰 기반의 부동산 투자 중개 처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655A (ko) * 2015-07-09 2018-07-03 리퀴드 마켓스 그룹 인크.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증권 거래들을 거래, 승인 및 결제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210279305A1 (en) * 2017-02-13 2021-09-09 Tunego, Inc. Tokenized media content management
US20210241243A1 (en) * 2018-07-12 2021-08-05 Argosoperem Llc Compute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prietary rights transactions
KR20200095223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패션포 거래소 기반의 디자인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68250B1 (ko) * 2019-04-10 2020-01-20 이태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계약을 이용한 자산분할거래 운영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106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kina et al. Blockchain: Emergent industry adoption and implications for accounting
WO2020179963A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식재산권거래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WO2020153581A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 유동화 증권 발행 및 디지털 자산 유동화 증권 거래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200802436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llectual Property Marketplace
WO2021230443A1 (ko)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19004650A1 (ko)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3119031A1 (ko) 부동산 매매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Mani et al. A comprehensive study of NFTs
WO2021020721A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티켓을 서비스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WO2018212580A1 (ko) 에스크로 서비스 보증 시스템 및 방법
WO2019088359A1 (ko) 가상 화폐를 이용한 투자 시스템 및 방법
WO2014185684A1 (ko) 대차 거래, 공매도 거래 또는 주식 스왑 거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0138595A1 (ko)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4049265A1 (ko) 블록체인 기반 유전자 정보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3038192A1 (ko)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050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transactions using cryptographic digital tokens
WO2019240499A1 (ko) 유가증권의 공매도를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1100885A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유통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0780533B1 (ko) 사진과 동영상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컨텐츠의 온라인에이전시 중개 방법
Vaidyanathan et al. A five-factor framework for analyzing online risks in e-businesses
CN111709838B (zh) 基于知识产权标准化数字资产的交易方法及相关设备
WO2014058247A1 (ko) 컴퍼니머니를 이용한 담보거래 서비스 방법
WO2017073879A1 (ko) 가맹점의 신용카드 매출 내역 제공 방법 및 서버
CN113989040A (zh) 资产证券化管理方法及装置
WO2020091095A1 (ko) 광고 트래픽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568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