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55720A1 -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55720A1
WO2022255720A1 PCT/KR2022/007420 KR2022007420W WO2022255720A1 WO 2022255720 A1 WO2022255720 A1 WO 2022255720A1 KR 2022007420 W KR2022007420 W KR 2022007420W WO 2022255720 A1 WO2022255720 A1 WO 20222557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rea
recording
image
user in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74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트
Publication of WO20222557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557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61B1/00009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for image enhan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61B1/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for electron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5Display arrangement combining images e.g. side-by-side, superimposed or ti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Definitions

  • Displays a screen including a first region on which a dimensional image is displayed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vely recording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creen, and responds to the user input, to a region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s recorded to generate a moving image, and the recording area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rea.
  • FIG. 7 illustrates a recording area set on a screen of a data acquisition progra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mmunication circuit 203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eg, Wi-Fi,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UWB).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munication circuit 203 may include a non-contact communication module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 Non-contact communic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non-contact type proximity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ommunication, or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communication.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generate (construct) a 3D image of the oral cavity of the object 20 based on the 2D image of the oral cavity of the object 20, and generate (construct) a 3D image of the oral cavity.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splay the 3D image being created through the display in real time.
  • one or more processors 101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 operations or data processing related to control and/or communication of each component (eg, memory 103)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performed.
  •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be operatively connected to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for example.
  • the one or more processors 101 load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other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to one or more memories 103, process the commands or data stored in the one or more memories 103, and , the resulting data can be stored.
  • one or more memories 103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tore instructions for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processors 101 .
  • One or more memories 103 may store correlation models built according to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One or more memories 103 may store data received from the oral cavity scanner 200 (eg, a two-dimensional image of the oral cavity obtained through oral scanning).
  • the input device 109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ransmits a command or data to be used to components (eg, one or more processors 101)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Example: user).
  • the input device 109 may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mouse or keyboard.
  • the input device 109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sensor panel capable of recognizing contact or proximity of various external objects by being combined with the display 107 .
  • the function box area 440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 function for correcting/editing or analyzing a displayed 3D image model and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device state.
  • the function box area 440 includes a trimming function interface 442 for selecting and deleting unnecessary data obtained during the scanning process, and a function tool interface for editing or saving the generated 3D image. 444, a treatment information interface 446 for displaying images related to treatment information for each tooth, and a device status display interface 448 for displaying the device status of the intraoral scanner 200.
  • the function tool interface 444 includes a playback control interface 444-1 for playing back a recorded scree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E and FIG. 7 .
  •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the user clicks (start input) the input device 206 or the capture/record button (not shown) of the intraoral scanner 200, the electronic device 100 responds to start screen recording or can be terminated Supplementally or alternatively, screen recording may be started/end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a double click or long click on the input device 206 of the intraoral scanner 200.
  • start/end recording when it is necessary to start/end recording while operating the intraoral scanner 200, the user needs to separately operate the input device 109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oupled with the intraoral scanner 200. Since there is no, user convenience is increased, and it is also helpful for the hygiene of the user who operates the intraoral scanner.
  • the electronic device 100 displays, for example, a recording area with a broken line 610 to let the user know that screen recording is currently in progress and where the currently recorded area is. can make it know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quentially change the recording area upon receiving a user input such as double-clicking or long-clicking the input device 206 from the intraoral scanner 2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quentially change the recording area when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traoral scanner 200 is shaken or a predetermined gesture is made through the sensor module 207 of the intraoral scanner 200.
  • FIG. 9 illustrates a method 900 for recording oral imag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At least part of the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method implemented by a computer,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
  • each step of the method or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described in a sequential order in the illustrated flowchart,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that may be arbitrarily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being performed sequentially.
  • the description according to this flowchart does not exclude changes or modifications to the method or algorithm, and does not imply that any step is necessary or desirable.
  • at least some of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iteratively or heuristically.
  • at least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other steps may be ad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3차원 이미지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을 녹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3차원 스캐너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 회로;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상기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녹화 영역은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3차원 구강 스캐너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3차원 이미지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을 녹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강 스캐너는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치아를 스캐닝함으로써 구강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광학 기기이다.
구강 스캐너는 구강 내의 형상을 복수의 2D 이미지로 스캔하며, 이 2D 이미지들은 소정의 연산 과정을 거쳐 3차원 이미지의 모델로 변환된다. 이때, 구강 스캐너를 운용하는 사용자(예: 치과 의사, 치과위생사)가 이미지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스캔된 이미지 또는 변환된 3차원 이미지는 구강 스캐너와 결합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획득된 3D 이미지 모델은, 치료에 필요한 인공 구조물, 인공 치아 등의 가공을 위해 기공소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3차원 이미지가 어떠한 스캐닝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것인지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자의 스캐닝 과정, 즉 3차원 이미지 형성 과정을 녹화하여 기공소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캐닝 과정을 구강 스캐너의 제조사에 제공하면 구강 스캐너의 성능 개선에 참고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캡처하여 녹화하는 것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상당한 부담을 주는 동작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화면 영역까지 녹화하는 것은 스캔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의 연산 동작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화면 영역까지 녹화할 경우, 녹화된 이미지가 저장된 비디오 파일 또한 대용량이 되어 이를 기공소에 전달하는 것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녹화하는 화면 영역이 너무 좁을 경우, 필요한 정보가 제대로 녹화되지 않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3차원 스캐너의 스캐닝 과정을 녹화함에 있어서 녹화되는 화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한 측면으로서,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가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따른 전자 장치는, 3차원 스캐너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 회로;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상기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녹화 영역은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으로서,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명령들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상기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화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녹화 영역은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으로서,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명령들을 기록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따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기록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상기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녹화 영역은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본 개시의 한 측면으로서,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시스템이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따른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시스템은,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구강의 형상을 스캔하기 위한 3차원 스캐너; 및 상기 3차원 스캐너와 통신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3차원 스캐너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 회로;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상기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녹화 영역은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부담을 줄여 효과적인 스캐닝 및 녹화 동작이 가능하며, 또한 녹화 파일의 용량을 줄여 기공소 또는 3차원 스캐너의 제조사에 녹화 파일을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구강 스캐너의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닝 중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의 데이터 표시 영역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6e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의 녹화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에서 설정된 녹화 영역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에서 녹화 대상 영역을 결정하는 메뉴 화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이미지 녹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녹화 영역 설정 방법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서,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와 "부"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 및 "부"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부"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표현은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을 모방하고, 이를 컴퓨터로 구현하는 기술을 의미하고, 기계 학습, 심볼릭 로직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ML)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 또는 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일 수 있다. 인공지능의 기술은 기계 학습의 알고리즘으로써 입력 데이터들 분석하고, 그 분석의 결과를 학습하며, 그 학습의 결과에 기초하여 기반으로 판단이나 예측을 할 수 있다. 또한, 기계 학습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들 역시 인공지능의 범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의 기술 분야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계 학습은 데이터를 처리한 경험을 이용해 신경망 모델을 훈련시키는 처리를 의미할 수 있다. 기계 학습을 통해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스스로 데이터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은 데이터 사이의 상관 관계를 모델링하여 구축된 것으로서, 그 상관 관계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은 주어진 데이터로부터 특징들을 추출하고 분석하여 데이터 간의 상관 관계를 도출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신경망 모델의 파라미터를 최적화 해나가는 것이 기계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망 모델은 입출력 쌍으로 주어지는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과 출력 사이의 매핑(상관 관계)을 학습할 수 있다. 또는 신경망 모델은 입력 데이터만 주어지는 경우에도 주어진 데이터 사이의 규칙성을 도출하여 그 관계를 학습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인공지능 학습 모델, 기계 학습 모델 또는 신경망 모델은 인간의 뇌 구조를 컴퓨터 상에서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인간의 신경망의 뉴런(neuron)을 모의하며 가중치를 가지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뉴런이 시냅스(synapse)를 통하여 신호를 주고 받는 뉴런의 시냅틱(synaptic) 활동을 모의하여, 서로 간의 연결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인공지능 학습 모델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서로 다른 깊이의 레이어에 위치하면서 컨볼루션(convolution) 연결 관계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예를 들어, 인공 신경망 모델(artificial neural network), 합성곱 신경망 모델(convolution neural network) 등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스캐너(200)는 대상체(20)의 구강 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의료 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10)(예: 치과 의사, 치과위생사)가 구강 스캐너(200)를 이용하여 대상체(20)(예: 환자)로부터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사용자(10)가 대상체(20)의 구강의 모양을 본뜬 진단 모델(예: 석고 모델, 인상(impression) 모델)로부터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대상체(20)의 다른 부위(예: 대상체(20)의 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강 스캐너(200)는 구강 내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스캔 거리와 스캔 각도를 사용자(10)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핸드헬드형 스캐너(handheld scanner)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는 구강 내에 삽입되어 비 접촉식으로 구강 내부를 스캐닝함으로써, 구강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구강에 대한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치은, 구강 내에 삽입 가능한 인공 구조물(예를 들어, 브라켓 및 와이어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임플란트, 의치(denture), 구강 내 삽입되는 교정 보조 도구)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강 스캐너(200)는 광원(또는 프로젝터)을 이용하여 대상체(20)의 구강(예: 대상체(20)의 적어도 하나의 치아, 치은)에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대상체(20)의 구강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카메라(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스캐너(200)는 구강의 진단 모델을 스캐닝함으로써, 구강의 진단 모델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구강의 진단 모델이 대상체(20)의 구강의 모양을 본뜬 진단 모델인 경우, 구강의 진단 모델에 대한 이미지는 대상체의 구강에 대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상체(20)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함으로써, 구강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는 카메라를 통해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표면 이미지를 2차원 이미지로서 획득할 수 있다.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표면 이미지는 대상체(20)의 적어도 하나의 치아, 치은, 인공 구조물, 대상체(20)의 볼, 혀 또는 입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표면 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에서 획득된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컴퓨터 장치 또는 휴대용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수신한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또는, 3차원 구강 이미지, 3차원 구강 모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의 내부 구조를 3차원적으로 모델링(modeling)하여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는 대상체(20)의 구강을 스캔하여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며, 생성한 구강의 3차원 이미지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클라우드 서버(미도시)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전자 장치(100)는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 또는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 또는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스캐너는 대상체(20)의 구강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핸드헬드형 스캐너 이외에도,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테이블 스캐너(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테이블 스캐너는 구강의 진단 모델을 스캐닝함으로써 구강의 진단 모델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테이블 스캐너의 광원(또는 프로젝터) 및 카메라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구강의 진단 모델을 움직이면서 구강의 진단 모델을 스캐닝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 및 구강 스캐너(200)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00) 및 구강 스캐너(2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는, 프로세서(201), 메모리(202), 통신 회로(203), 광원(204), 카메라(205), 입력 장치(206) 및/또는 센서 모듈(207)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강 스캐너(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구강 스캐너(200)에 추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현될 수 있다. 구강 스캐너(200) 내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들은 버스(bus),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의 프로세서(201)는 구강 스캐너(200)의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구강 스캐너(200)의 구성요소들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01)는 구강 스캐너(200)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202)에 로드하고, 메모리(20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의 메모리(202)는, 상기에 기재된 프로세서(201)의 동작에 대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스캐너(200)의 통신 회로(203)는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설립하고, 외부 장치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03)는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통신하기 위해서, 외부 장치와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통신 회로(203)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통하여 유선 연결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03)는 셀룰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예: 3G, LTE, 5G, Wibro 또는 Wimax)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03)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예를 들면, Wi-Fi,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BLE), UWB)을 이용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03)는 비접촉식 통신을 위한 비접촉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접촉식 통신은,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통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방식의 근접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의 광원(204)은 대상체(20)의 구강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04)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소정 패턴(예: 서로 다른 색상의 직선 무늬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스트라이프 패턴)을 갖는 구조광일 수 있다. 구조광의 패턴은, 예를 들어, 패턴 마스크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의 카메라(205)는 대상체(20)의 구강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수신함으로써,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205)는, 예를 들어, 광 삼각 측량 방식에 따라서 3차원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하여, 좌안 시야에 대응되는 좌측 카메라 및 우안 시야에 대응되는 우측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05)는,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의 입력 장치(206)는 구강 스캐너(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6)는 사용자(10)의 푸시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 사용자(10)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 인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입력 장치(206)를 이용하여 스캐닝 시작 또는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캐너(200)의 센서 모듈(207)은 3차원 스캐너(200)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207)은,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제스처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센서 모듈(207)을 이용하여 스캐닝 시작 또는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가 3차원 스캐너(200)를 손에 쥐고 움직이는 경우, 3차원 스캐너(200)는 센서 모듈(207)을 통해 측정된 각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프로세서(201) 스캐닝 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스캐너(200)는, 구강 스캐너(200)의 입력 장치(206) 또는 전자 장치(100)의 입력 장치(206)를 통해 스캔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구강 스캐너(200)의 프로세서(201) 또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01)에서의 처리에 따라, 스캔을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10)가 구강 스캐너(200)를 통해 대상체(20)의 구강 내부를 스캔하는 경우, 구강 스캐너(200)는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구축)할 수 있으며,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생성되고 있는 3차원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 하나 이상의 메모리(103), 통신 회로(105), 디스플레이(107) 및/또는 입력 장치(109)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전자 장치(100)에 추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내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들은 버스(bus),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예: 메모리(103))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메모리(103)에 로드(load)하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103)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3)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의 동작에 대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3)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구축된 상관 모델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3)는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구강 스캔을 통하여 획득된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통신 회로(105)는 외부 장치(예: 구강 스캐너(200), 클라우드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설립하고, 외부 장치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05)는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통신하기 위해서, 외부 장치와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통신 회로(105)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통하여 유선 연결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05)는 셀룰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예: 3G, LTE, 5G, Wibro 또는 Wimax)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05)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예를 들면, Wi-Fi,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BLE), UWB)을 이용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05)는 비접촉식 통신을 위한 비접촉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접촉식 통신은,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통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방식의 근접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7)는 프로세서(101)의 제어에 기반하여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수신한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 및/또는 구강의 내부 구조를 3차원적으로 모델링한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07)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 및/또는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사용자(10)는 구강에 대한 2차원 이미지 및/또는 3차원 이미지를 편집, 저장 및 삭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입력 장치(109)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예: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9)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109)는 디스플레이(107)와 결합되어 다양한 외부 객체의 접촉 또는 근접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의 사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200)는 본체(210) 및 프로브 팁(2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강 스캐너(200)의 본체(210)는 사용자(10)가 손으로 그립하여 사용하기 용이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브 팁(220)은 대상체(20)의 구강으로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210)는 프로브 팁(220)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본체(210) 내부에는, 도 2a에서 설명한 구강 스캐너(200)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체(210)의 일측 단부에는 광원(204)로부터 출력된 광이 대상체(20)에 조사될 수 있도록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를 통해 조사된 광은, 대상체(2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개구부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반사광은 카메라에 의해 캡쳐되어 대상체(20)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구강 스캐너(200)의 입력 장치(206)(예: 버튼)를 이용하여 스캔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가 입력 장치(206)를 터치하거나 가압하는 경우, 광원(204)으로부터 광이 대상체(20)에 조사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320)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10)는 구강 스캐너(200)를 움직여가면서 대상체(20)의 구강 내부를 스캔할 수 있고, 이 경우, 구강 스캐너(200)는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310)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 스캐너(200)는 대상체(20)의 앞니가 포함된 영역에 대한 2차원 이미지, 대상체(20)의 어금니가 포함된 영역에 대한 2차원 이미지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구강 스캐너(200)는 획득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310)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310) 각각을 3차원 좌표값을 갖는 복수의 포인트들의 집합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2차원 이미지(310) 각각을, 3차원 좌표값을 갖는 데이터 포인트의 집합인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2차원 이미지(310)를 기초로 하는 3차원 좌표값인 포인트 클라우드 세트는,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로우 데이터(raw data)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3차원 좌표값을 갖는 데이터 포인트의 집합인 포인트 클라우드를 정렬(align)함으로써, 전체 치아 모형을 완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재구성(재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푸아송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로우 데이터로서 저장된 포인트 클라우드 세트를 병합함으로써, 복수의 포인트들을 재구성하고, 폐쇄된 3차원 표면으로 변환하여 대상체(20)의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320)를 재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7)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01)에 의해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메모리(103)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에 의해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수신된 2차원 이미지(310) 및 그에 기초하여 생성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07)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100)에 의해 스캔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가공 및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은 데이터 표시 영역(410), 라이브 뷰 영역(420), 모델 뷰 영역(430), 기능 상자 영역(440), 기능 옵션 영역(450) 및 아이콘 표시 영역(46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위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에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추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표시 영역(410)은 구강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및 그에 기초하여 생성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이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표시 영역(410)은 라이브 뷰 영역(420) 및 모델 뷰 영역(43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표시 영역(410)은 기능 옵션 영역(450)을 포함한다.
라이브 뷰 영역(420)은 구강 스캐너(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라이브 뷰 영역(420)에 현재 구강 스캐너(200)가 스캐닝 중인 구강의 2차원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라이브 뷰 영역(420)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 및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라이브 뷰 영역(420)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모델 뷰 영역(430)에 구강 스캐너(100)로부터 획득된 2차원 이미지로부터 생성된 3차원 이미지 모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기능 상자 영역(440)은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이미지 모델을 수정/ 편집하거나 분석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장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 상자 영역(440)은 스캐닝 과정 중 획득된 불필요한 데이터 부분을 선택하여 삭제하기 위한 트리밍(trimming) 기능 인터페이스(442), 생성된 3차원 이미지를 편집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기능 툴 인터페이스(444), 각 치아의 치료 정보에 관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치료 정보 인터페이스(446), 구강 스캐너(200)의 장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상태 표시 인터페이스(448)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기능 툴 인터페이스(444)는 도 6a 내지 6e 및 도 7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녹화된 화면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제어 인터페이스(444-1)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기능 상자 영역(440) 중 하나의 기능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기능 옵션 영역(450)에 그 세부 옵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기능 상자 영역(450)의 기능 툴 인터페이스(444)의 재생 제어 인터페이스(444-1)를 선택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기능 옵션 영역(450)에 녹화된 화면의 재생을 위한 옵션, 예컨대 재생/멈춤 버튼, 재생 위치/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기능 상자 영역(440)에서 세부 옵션이 필요하지 않은 기능을 선택한 경우, 기능 옵션 영역(450)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아이콘 표시 영역(460)은 화면 녹화 및 캡처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영역으로서, 녹화 영역 설정 아이콘(462), 녹화 개시/종료 아이콘(464)을 포함할 수 있다. 녹화 영역 설정 아이콘(462)은, 도 8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녹화 대상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녹화 개시/종료 아이콘(464)은, 도 6a 내지 6e 및 도 7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녹화를 개시 또는 종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닝 중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데이터 표시 영역(410)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수신된 구강의 이미지(510)를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400)의 라이브 뷰 영역(420)에 표시할 수 있다. 라이브 뷰 영역(420)에 표시되는 구강 이미지(510)는 2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200)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예컨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에 의해 3차원 이미지(520)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3차원 이미지(520)는 모델 뷰 영역(430)에 표시될 수 있다. 라이브 뷰 영역(420)에 표시되는 구강 이미지(510)에 대응되는 영역(530)이 모델 뷰 영역(430)에 사각형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강 내의 다양한 영역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스캐닝을 진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3차원 이미지(520)의 크기는 변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델 뷰 영역(430)은 생성되는 3차원 이미지(520)의 크기에 따라 확장/축소될 수 있다.
스캐닝이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3차원 이미지(520)의 변화 과정은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녹화함으로써 기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400)의 아이콘 표시 영역(460)의 녹화 개시/종료 아이콘(464)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화면 녹화를 개시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구강 스캐너(200)의 입력 장치(206) 또는 캡처/녹화용 버튼(미도시)을 클릭(개시 입력)하면, 전자 장치(100)는 이에 응답하여 화면 녹화를 개시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보충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화면 녹화는 구강 스캐너(200)의 입력 장치(206)를 더블 클릭 하거나 길게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개시/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스캐너(200)를 운용하는 도중 녹화 개시/종료가 필요할 때, 사용자가 구강 스캐너(200)와 결합된 전자 장치(100)의 입력 장치(109)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며, 또한 구강 스캐너를 운용하는 사용자의 위생에도 도움이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화면 녹화를 자동으로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강 스캐너(200)를 이용하여 구강을 스캐닝하는 도중,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또는 생성된 3차원 이미지에 치아가 포함되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치아의 감지에 응답하여 화면 녹화를 자동으로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치아 이미지들을 학습 데이터로 하여 학습된 기계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또는 생성된 3차원 이미지에 치아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예컨대 스캔된 이미지 또는 3차원 이미지에서 치아가 소정 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을 때, 화면 녹화를 중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녹화 개시/종료를 위해 구강 스캐너(200)와 결합된 전자 장치(100)의 입력 장치(109)를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며 사용자의 위생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구강을 스캐닝하지 않는 동안은 녹화가 수행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부분이 녹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면 녹화가 종료되면, 전자 장치(100)는 녹화된 내용을 동영상 이미지 파일로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03)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영상 이미지 파일은 클라우드 서버와 같은 원격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녹화되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200)의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녹화 시 녹화되는 대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녹화 영역들 중 원하는 녹화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100)에 직간접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전체 영역,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데이터 표시 영역(410),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모델 뷰 영역(430) 중 하나를 녹화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녹화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e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녹화 동작을 도시한다. 도 6a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전체 영역을 녹화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녹화가 개시되면, 전자 장치(100)는 예컨대 녹화 영역을 파선(610)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화면 녹화가 진행 중인 상태임을, 그리고 현재 녹화되는 영역이 어디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녹화 영역은 파선(610) 대신 임의의 다른 방식, 예컨대 점선, 실선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깜빡이거나 색깔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좌표계를 이용하여 녹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전체 영역의 좌측 최상단 영역을 원점(0, 0)으로 설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설정된 원점을 기준으로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전체 영역의 크기(폭, 높이)를 기초로 녹화 영역의 끝점들의 좌표를 결정한다. 그 후, 전자 장치(100)는 끝점들의 좌표를 디스플레이의 화면 좌표들로 변환하고, 획득된 좌표들을 바탕으로 녹화 영역을 결정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전체 영역을 녹화하는 경우, 사용자가 스캐닝 중 선택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컨대, 기능 상자 영역(440), 기능 옵션 영역(450), 아이콘 표시 영역(460), 라이브 뷰 영역(420)에 표시된 이미지, 모델 뷰(430)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의 변화에 관한 정보가 모두 녹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6b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데이터 표시 영역(410)을 녹화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녹화가 개시되면, 전자 장치(100)는 예컨대 녹화 영역을 파선(620)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화면 녹화가 진행 중인 상태임을, 그리고 현재 녹화 영역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데이터 표시 영역(410)의 좌측 최상단 영역을 원점(0, 0)으로 설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설정된 원점을 기준으로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데이터 표시 영역(310)의 크기(폭, 높이)를 기초로 녹화 영역의 끝점들의 좌표를 결정한다. 그 후, 전자 장치(100)는 끝점들의 좌표를 디스플레이의 화면 좌표들로 변환하고, 획득된 좌표들을 바탕으로 녹화 영역을 결정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데이터 표시 영역만을 녹화하는 경우, 사용자가 스캐닝 중 선택한 기능 상자 영역(440), 아이콘 표시 영역(460)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관한 정보는 녹화되지 않으나, 라이브 뷰 영역(420)에 표시된 이미지, 모델 뷰(440)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의 변화에 관한 정보가 녹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녹화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화면을 녹화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고, 이는 스캐닝 동작에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녹화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생성되는 녹화 파일의 용량이 감소하여, 녹화 파일을 저장하거나 제3자에게 전달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6c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모델 뷰 영역(430)만을 녹화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녹화가 개시되면, 전자 장치(100)는 예컨대 녹화 영역을 파선(630)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화면 녹화가 진행 중인 상태임을, 그리고 현재 녹화 영역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모델 뷰 영역(430)의 좌측 최상단 영역을 원점(0, 0)으로 설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설정된 원점을 기준으로,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모델 뷰 영역(330)의 크기(폭, 높이)를 기초로 녹화 영역의 끝점들의 좌표를 결정한다. 그 후, 전자 장치(100)는 끝점들의 좌표를 디스플레이의 화면 좌표들로 변환하고, 획득된 좌표들을 바탕으로 녹화 영역을 결정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모델 뷰 영역만을 녹화하는 경우, 기능 상자 영역(440), 기능 옵션 영역(450), 아이콘 표시 영역(460)은 녹화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비해 녹화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화면을 녹화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고, 이는 스캐닝 동작에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비해 녹화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생성되는 녹화 파일의 용량 또한 줄어들어 녹화 파일을 저장하거나 제3자에게 전달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입력 장치(109) 또는 구강 스캐너(200)의 입력 장치(206)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추적하여 녹화한다. 도 6d는 그러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추적하여 녹화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d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포인터(645)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포인터(645)는 디스플레이(107)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일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은 포인터(645)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로 소정 범위만큼 확장된 영역(64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은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입력 장치(109) 또는 구강 스캐너(200)의 입력 장치(206)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포인터(645)를 디스플레이(107)에 표시한다. 화면 녹화가 개시되면, 전자 장치(100)는 포인터(645)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640)과 함께 추가적인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650)을 녹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추가적인 영역으로부터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포인터(645)까지의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미도시)을 녹화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영역은 모델 뷰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임의의 다른 영역이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과 함께 녹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640)과 함께 도 7에서 후술되는 사용자 지정 영역이 녹화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 및 녹화 영역에 포함될 추가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을 녹화 영역으로 설정하여 녹화를 실시한다.
도 6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640)과 함께 모델 뷰 영역(430)을 포함하는 영역(650)을 녹화 영역으로 설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640) 및 모델 뷰 영역(430)을 모두 포함하는 최소 영역의 좌측 최상단 영역을 원점(0, 0)으로 설정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640) 및 모델 뷰 영역(430)을 모두 포함하는 최소 영역의 우측 최하단 영역을 끝점 좌표로 결정한다. 그 후, 전자 장치(100)는 끝점들의 좌표를 디스플레이의 화면 좌표들로 변환하고, 획득된 좌표들을 바탕으로 녹화 영역을 결정한다.
도 6a 내지 도 6c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예컨대 녹화 영역을 파선(610)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화면 녹화가 진행 중인 상태임을, 그리고 현재 녹화되는 영역이 어디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640)과 함께 추가적인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650)이 녹화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전체 녹화 영역(650)의 크기 또한 변화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녹화된 이미지가 저장되는 동영상 이미지 파일의 크기에 맞도록 녹화된 이미지를 리사이징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640) 및 필요한 추가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650)을 녹화하는 경우, 사용자가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기능을 사용하는 과정을 녹화 영역에 최소한으로 포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e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스캐닝 영역(530)을 포함하는 영역을 녹화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스캐닝되고 있는 구강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역(530)만을 녹화하거나 그보다 소정 범위만큼 확장된 영역(660)만을 녹화할 수 있다. 확장된 영역(660)은 현재 스캐닝되고 있는 구강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역(530)을 상하좌우로 소정 범위만큼 확장한 영역(640)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영역(640)을 녹화하는 경우,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예컨대 녹화 영역을 파선(660)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화면 녹화가 진행 중인 상태임을, 그리고 현재 녹화 영역의 범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에서 현재 스캐닝되고 있는 구강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역(530)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확장 영역(660)만을 녹화하는 경우, 3차원 이미지 모델로 생성된 최소한의 관심 영역만을 녹화할 수 있어 녹화 파일을 저장하거나 제3자에게 전달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녹화 대상 영역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일부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녹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에서 설정된 녹화 영역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녹화 영역이 파선(710, 720)으로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입력 장치(예컨대, 마우스, 터치-감응형 디스플레이 등)를 이용하여 원하는 녹화 영역을 설정한다. 사용자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녹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녹화 파일에 저장하기 위한 정보를 고려하여 필요한 녹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녹화 영역 설정은 스캐닝 동작 이전 또는 스캐닝 동작 중에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구강 스캐너(200)의 입력 장치 및/또는 구강 스캐너(200)의 움직임을 통해 원하는 녹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강 스캐너(200)의 센서 모듈(207)을 통해 검출된 구강 스캐너의 움직임에 따라 녹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브 뷰 영역(420) 및 모델 뷰 영역(440)을 포함하는 영역(710)이 녹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델 뷰 영역(430)의 일부(720)만을 녹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녹화 영역 설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에서 녹화 대상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800)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의 메뉴 화면은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아이콘 표시 영역(460)의 녹화 영역 설정 아이콘(462)을 선택할 경우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스캐너(200) 및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사용자는 전체 화면 녹화(810), 데이터 표시 영역 녹화(820), 모델 뷰 영역 녹화(830), 사용자 지정 영역 녹화(840), 포인터 추적 녹화(850), 및 스캐닝 영역 녹화(860)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강 스캐너(200)의 입력 장치(206) 또는 센서 모듈(207)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체 화면 녹화(810), 데이터 표시 영역 녹화(820), 모델 뷰 영역 녹화(830), 사용자 지정 영역 녹화(840), 포인터 추적 녹화(850), 및 스캐닝 영역 녹화(860) 중 하나의 녹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입력 장치(206)를 더블 클릭하거나 길게 클릭하는 등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녹화 영역을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보충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200)의 센서 모듈(207)을 통해 구강 스캐너(200)를 흔들거나 소정의 제스처가 이루어졌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녹화 영역을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체 화면 녹화(810)를 선택하면,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전체 영역이 녹화 대상 영역으로 설정된다. 사용자가 데이터 표시 영역 녹화(820)를 선택하면,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데이터 표시 영역(420)이 녹화 대상 영역으로 설정된다. 사용자가 모델 뷰 영역 녹화(830)를 선택하면,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모델 뷰 영역(430)이 녹화 대상 영역으로 설정된다. 사용자가 스캐닝 영역 녹화(860)를 선택하면, 예를 들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영역(660)이 녹화 대상 영역으로 설정된다.
사용자 지정 녹화 영역(840)을 선택할 경우,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녹화 영역의 위치와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포인터 추적 녹화(850)를 선택할 경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 녹화 대상 영역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위치(예컨대, 포인터)에 대응하는 영역 및 추가 영역(예컨대, 모델 뷰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최소한의 영역이 녹화 대상 영역으로 설정된다. 포인터 추적 녹화(850)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과 함께 녹화할 영역(예컨대, 모델 뷰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추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이미지 녹화 방법(900)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 따른 녹화 방법의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의해 구현된 방법일 수 있다. 도시된 흐름도에서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각 단계들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각 단계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 외에, 본 개시에 의해 임의로 조합될 수 있는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본 흐름도에 따른 설명은, 방법 또는 알고리즘에 변화 또는 수정을 가하는 것을 제외하지 않으며, 임의의 단계가 필수적이거나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의 단계가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다른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단계(910)에서, 구강 스캐너(200)을 이용한 구강 내 스캐닝이 개시된다. 구강 스캐너(200)는 구강 스캐너(200)의 입력 장치(206)를 통한 입력에 응답하여, 또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기능 옵션 영역(450)의 스캔 시작 인터페이스(451)를 통한 입력에 응답하여 스캐닝을 개시할 수 있다. 구강 스캐너(200)는 대상체의 구강의 형상에 관한 이미지를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200)와 연결된 통신 회로(105)를 통해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구강의 형상에 관한 이미지를 수신한다. 수신된 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단계(930)에서,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수신된 구강의 형상에 관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한다.
단계(940)에서, 전자 장치(100)는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07)의 화면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강의 형상에 관한 이미지들은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은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화면 영역(예컨대 모델 뷰 영역(430)),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수신된 구강의 형상에 관한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화면 영역(예컨대 라이브 뷰 영역(420)), 및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제3 화면 영역(예컨대, 기능 상자 영역(440), 기능 옵션 영역(450), 아이콘 표시 영역(46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950)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 예컨대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 중 소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로서 단계(950)가 단계(940)에 후속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단계(950)는 도 9에 도시된 구강 이미지 녹화 방법(900)의 임의의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은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화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은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 및 구강 스캐너(200)로부터 수신된 구강의 형상에 관한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화면 영역 및 3차원 이미지를 가공, 처리, 녹화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제3 화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960)에서, 전자 장치(100)는 화면 영역을 선택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된 파일은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03) 및/또는 원격 서버의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이 제1 화면 영역의 선택적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화면 영역을 포함하되 제2 화면 영역 및 제3 화면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녹화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이 제1 화면 영역 및 제2 화면 영역의 선택적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화면 영역 및 제2 화면 영역을 포함하되 제3 화면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녹화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이 제1, 제2, 제3 화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면 영역의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한다. 사용자 입력이 전체 화면 영역의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제2,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화면 영역을 녹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녹화 영역 설정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1010)에서,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에 대한 녹화 영역 설정 절차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녹화 영역 설정 아이콘(441)을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녹화 영역 설정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전자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녹화 영역들 중 하나, 사용자 지정 녹화 영역, 또는 포인터 추적 녹화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녹화 영역을 설정한다. 미리 정해진 녹화 영역은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의 화면(400)의 전체 영역, 데이터 표시 영역(410), 모델 뷰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녹화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단계(1030)에서, 전자 장치(100)는 녹화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1040)에서, 전자 장치(100)는 설정된 녹화 영역을 메모리(103) 등에 저장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machine-readable recording medium)에 기록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기가 읽을 수 있는 명령(예: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 또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기기는 기록 매체로부터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컴퓨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기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10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기의 프로세서는 호출된 명령을 실행하여, 기기의 구성요소들이 해당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일 수 있다. 기록 매체는 기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recording medium)를 의미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103)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등에 분산된 형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시스템 등에 분산되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비 일시적(non-transitory) 기록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 기록 매체는, 데이터가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것과 무관하게 실재하는 매체(tangible medium)를 의미하며, 일시적(transitory)으로 전파되는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Claims (2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3차원 스캐너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 회로;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상기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녹화 영역은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는 상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영역의 선택적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녹화하여 상기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선택적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3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녹화하여 상기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전체 화면의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을 녹화하여 상기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수정,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3차원 스캐너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3차원 스캐너의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된 제스처인, 전자 장치.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명령들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상기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화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녹화 영역은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는 상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영역의 선택적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녹화하여 상기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선택적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3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녹화하여 상기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전체 화면의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을 녹화하여 상기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수정,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3차원 스캐너로부터 수신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3차원 스캐너의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된 제스처인, 방법.
  1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기록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상기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녹화 영역은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0.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구강의 형상을 스캔하기 위한 3차원 스캐너; 및
    상기 3차원 스캐너와 통신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3차원 스캐너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 회로;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3차원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상기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녹화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녹화 영역은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스캐너는, 상기 3차원 스캐너의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개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3차원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개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의 녹화를 개시하는,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3차원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강의 형상에 관한 2차원 이미지에서 치아를 검출하고,
    상기 치아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의 녹화를 개시하는, 시스템.
PCT/KR2022/007420 2021-05-31 2022-05-25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2225572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28A KR102583414B1 (ko) 2021-05-31 2021-05-31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21-0069828 2021-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5720A1 true WO2022255720A1 (ko) 2022-12-08

Family

ID=8432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7420 WO2022255720A1 (ko) 2021-05-31 2022-05-25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3414B1 (ko)
WO (1) WO202225572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977B1 (ko) * 2011-01-06 2012-09-11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계측기 화면 저장 방법
JP2016174903A (ja) *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アドバンス 歯科診療システム
JP2019166246A (ja) * 2018-03-26 2019-10-03 株式会社Jimro 内視鏡システム
KR20200068992A (ko) * 2018-12-06 2020-06-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 차트 관리 장치, 전자 차트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210022691A (ko) * 2018-06-21 2021-03-03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치아의 적어도 일부의 3d-표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2d-이미지를 상관시키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1873B1 (en) * 2015-03-06 2016-09-27 Align Technology, Inc. Automatic selection and locking of intraoral images
US11744681B2 (en) 2019-03-08 2023-09-05 Align Technology, Inc. Foreign object identification and image augmentation for intraoral scann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977B1 (ko) * 2011-01-06 2012-09-11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계측기 화면 저장 방법
JP2016174903A (ja) *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アドバンス 歯科診療システム
JP2019166246A (ja) * 2018-03-26 2019-10-03 株式会社Jimro 内視鏡システム
KR20210022691A (ko) * 2018-06-21 2021-03-03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치아의 적어도 일부의 3d-표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2d-이미지를 상관시키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200068992A (ko) * 2018-12-06 2020-06-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 차트 관리 장치, 전자 차트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414B1 (ko) 2023-10-04
KR20220161736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179720A1 (zh) 消化道数据库的建立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7191878A1 (ko) 치아 움직임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WO2022255720A1 (ko)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20204366A2 (ko) 스캔 가이드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영상 처리장치
WO2023003383A1 (ko)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심도 조절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014107A1 (ko)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에 있어서의 노이즈 필터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2250403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이미지 처리 방법
WO2022065756A1 (ko) 구강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
WO2023063671A1 (ko)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정렬 방법, 장치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매체
WO2023038313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WO2023200128A1 (ko) 구강 스캐너의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그 장치 및 그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WO2023204509A1 (ko) 3차원 스캐너의 3차원 이미지 모델의 생성과 정렬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230386141A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ands for processing scanned images of 3d scanner
WO2023177213A1 (ko) 객체의 색상을 결정하는 방법, 그 장치 및 그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230014621A (ko) 3차원 스캐너의 스캔 심도 조절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09657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canned image of three dimensional scanner
WO2022191665A1 (ko) 구강 이미지 내의 선택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3238987A1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03192A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WO2023277391A1 (ko) 구강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
WO2023027500A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WO2022270889A1 (ko) 구강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
CN117677337A (zh) 用于调节三维扫描仪的扫描深度的方法和装置
WO2022260442A1 (ko) 구강 이미지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
WO2023003381A1 (ko) 구강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163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