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20388A1 -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 Google Patents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20388A1
WO2022220388A1 PCT/KR2022/002313 KR2022002313W WO2022220388A1 WO 2022220388 A1 WO2022220388 A1 WO 2022220388A1 KR 2022002313 W KR2022002313 W KR 2022002313W WO 2022220388 A1 WO2022220388 A1 WO 20222203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elmet
rotating body
protrusion
guard
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23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진환
남기영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 에이치제이씨
Publication of WO20222203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203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42B3/205Chin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ing body fixing means for a helmet.
  • a helmet In general, it is essential to wear a helmet to protect the head of a wearer when riding a two-wheeled vehicle accompanied by a high speed.
  • a helmet is formed with an opening in the front in order to secure the wearer's forward vision.
  • the open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shield that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n order to block the wind and dust flowing in during operation.
  • the helm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provided with a chin guard to protect the chin of the wearer, as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s of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 a system helmet operates in a full face mode in which the parent guard closes the front and an open face mode in which the parent guard opens the front.
  • a rotation helmet among helme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full face mode in which the parent guard closes the front and an open face mode in which the parent guard passes to the rear of the helmet to open the front of the wearer. It works in face mode).
  • Patent Document 1 KR10-2014-0001141 A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ting body for a helmet that can stably fix the rotating body (chin gu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ront of the chin and the rear of the helmet body. It is about fixing means.
  • the rotating body (parent guard)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ront of the chin and the rear of the helmet body (upper side of the helmet body), after the wearer wears the helmet, the rotating body (parent guard)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helmet. easy to rotate with
  • the rotating body (parent guard) and the shield are interlocked and the rotating body (parent guard) is rotated to the rear of the helmet body, when the shield is rotated downward, it may be difficult for the wearer to put on or take off the helmet.
  • the (chin guard)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helmet body) between the front of the chin and the rear of the helmet body, the wearer can easily put on or take off the helmet while the shield is open.
  • the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a helmet is provided in a helmet including a helmet body and a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helmet body, wherein the rotating body is provided in front of the wearer's chin and the helmet body It is fixed to the rear, and the rotating body stopping means for the helmet fixes the rotating bod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ront of the wearer's chin and the rear of the helmet body.
  • the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a helmet when the rotating body is dispos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it includes a stop tha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 the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a helmet when the rotating body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earer's chin and when disposed at the rear of the helmet body, the coupling part is coupled to the stopper.
  • the rotating body stopping means for a helmet whe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to the rear of the helmet body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shield of the helmet body is rotated downward, or the helmet body When the shield is rotated downward,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to the rear of the helmet body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lmet body, and the stopper includes the helmet body such that the first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depression recessed in the direction.
  •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along the rim of the rotating body.
  • the depression extends long in one direction.
  • the depression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ined so that the upper side faces the rear and the lower side faces the front.
  •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lmet body, and the stopper includes the helmet body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It includes a protruding body protruding from the.
  • the second protrusion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 the protruding body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can pass whe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 the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a helmet when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that first contacts the second protrusion whe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is defined as one end, the inclined portion i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t protrudes further from the helmet body as it goes on.
  • the coupling par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protrusion formed to extend lo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from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rotating body is to be rotated. At this time, the auxiliary protrusion presses the protruding body.
  •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third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lmet body, and the stopper includes the helmet body so that the third protrusion is caught. It includes a protruding body protruding from the.
  • the stop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 the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a helmet is a parent guard.
  • the rotating body (parent guard)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upper side of the helmet body) between the front of the chin and the rear of the helmet body, after the wearer wears the helmet, the rotating body (parent guard) is placed on the helmet. It is easy to rotate forward of
  • the rotating body (parent guard) and the shield are interlocked and the rotating body (parent guard) is rotated to the rear of the helmet body, when the shield is rotated downward, it may be difficult for the wearer to put on or take off the helmet.
  • the (chin guard)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helmet body) between the front of the chin and the rear of the helmet body, the wearer can easily put on or take off the helmet while the shield is open.
  • FIG.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lmet provided with a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a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arent guard shown in Figure 1a;
  • FIGS. 2 to 5 are side views of a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a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to 9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a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0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helmet provided with a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a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a helm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a helmet including a helmet body 10 and a rotating body (chin guard 20) rotatably coupled to the helmet body 10, and the rotating body (
  • the parent guard 20)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wearer's chin (see FIG. 5) and the rear (refer to FIG. 3) of the helmet body 10, and the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the helm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rotating body (parent guard). (2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ront of the chin and the rear of the helmet body 10 (see FIG. 2).
  • the rotating body stop means for the helmet when the rotating body (chin guard 2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upper side of the helmet body 10), the wearer When disposed in front of the chin of the helmet body 10, when disposed at the rear, includes a stopper 100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00 of the rotating body (chin guard 20).
  • the helmet body 10 serves to protect the wearer's head.
  • the helmet body 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an impact.
  • the helmet body 10 is formed of a hard synthetic resin, etc., and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shell and the outer shell having high strength, and is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etc. to form an absorbent body having appropriate strength and elasticity.
  • EPS expanded polystyrene
  • a pad for improving wearing stability may be provided inside the absorbent body.
  • the chin guard (20, Chin Guard) serves to protect the wearer's chin, and may extend in an arc shape so as to be disposed in front of the wearer's chin as a whole.
  • both ends of the parent guard 20 are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elmet body 10 (eg, the ratchet 15 ), and are rotatable.
  • the front of the wearer's chin Full Face Mode, see FIG. 5
  • the upper side of the helmet body 10 (Wearing Mode, see FIG. 2)
  • the helmet body 10 It may be disposed behind (Open Face Mode, see FIG. 3 ) of the .
  • the shield 30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formed in the front of the helmet body 10, and both sides of the helmet body 10 (for example, the ratchet 15) )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elmet body 10 and can be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 the rotating body of the rotating body stopping means for the helm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for example, the parent guard 20 . Therefor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that the rotating body is the parent guard (20).
  • the rotating body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parent guard 20 , and the rotating body may be any configura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helmet body 10 .
  • the rotating body of the rotating body stopping means for the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the shield 30 .
  • the stopper 100 of the rotating body stopping means for the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elmet body 10 .
  • the stopper 100 may be provided on the ratchet 15 of the helmet body 10 , and may be provided behind the rotation shaft 25 of the parent guard 20 .
  • the stopper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elastic body having elasticity, but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rubber.
  • the coupling part 200 of the parent guard 20 is coupled to the stop part 100, thereby specifying the parent guard 20. It can be stably fixed in place.
  • the parent guard 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earer's chin (Full Face Mode), when it is disposed above the helmet body 10 (Wearing Mode), and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helmet body 10 .
  • the coupling part 200 of the parent guard 20 is coupled to the stop part 100 , so that the parent guard 20 can be fixed at the position.
  • the coupling part 200 of the parent guard 2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210 protruding toward the helmet body 10 .
  • the stopper 100 is a protrusion body 120 protruding from the helmet body 10, and a depression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helmet body 10 from the protrusion body 120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210 is inserted. 110) may be included.
  • the first protrusion 210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parent guard 20 .
  • the parent guard 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portion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helmet body 10 , so that the rim is in contact with the ratchet 15 of the helmet body 10 .
  • the rim of the parent guard 20 may be the first protrusion 210 (see FIG. 1B ).
  • the recessed part 110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helmet body 10 from the protruding body 120 .
  • the depression 110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210 is inserted.
  • the depression 110 may extend long in one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protrusion 210 (the edge of the parent guard 20 ). More specifically, the depression 11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ined so that the upper side faces the rear and the lower side faces the front.
  • the parent guard 20 when the first protrusion 210 of the parent guard 20 (the rim of the parent guard 20) is coupled to the depression 110 of the stop part 100, the parent guard 20 is The recessed part 110 may be fix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one direction. That is, the parent guard 20 may be disposed above the helmet body 10 as a whole (wearing mode). As such, when the parent guard 20 is disposed and fixed above the helmet body 10 , the wearer can easily wear the helmet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parent guard 20 .
  • the coupling part 200 of the parent guard 20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220 protruding toward the helmet body 10 .
  • the stopper 100 may include a protruding body 120 protruding from the helmet body 10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220 is caught.
  • the second protrusion 220 may extend inside the parent guard 20 .
  • the second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helmet body 10 ) of the parent guard 20 , and a rim from the rotation shaft 25 of the parent guard 20 . It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direction.
  • one side (123,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body 12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second protrusion 220 may be coupled to one side (123, lower) of the protruding body 120 . More specifically, one side 123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body 120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clined so that the front faces the upper side and the rear faces the lower side.
  • the parent guard 20 when the second protrusion 220 of the parent guard 20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body 120 of the stopper 100 , the parent guard 2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helmet body 10 . Can be positioned and fixed (Open Face Mode). As such, when the parent guard 2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helmet body 10 and fixed, the wearer can use the helmet with the chin part open.
  • the protruding body 120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125 inclined on the other side (upper side) so that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220 can pass smoothly.
  • the inclined portion 125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recessed portion 110 of the protruding body 120 .
  • the inclined portion 125 when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25 that first contacts the second protrusion 220 when the parent guard 20 is rotated (clockwise based on the drawing) is defined as one end (top), the inclined portion 125 ) may protrude further from the helmet body 10 from one end (top) to the other (bottom) (see FIG. 1A ). Therefore, as shown in FIG. 4 , when the parent guard 20 is rotated (clockwise based on the drawing), the second protrusion 220 moves from one end (upp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25 to the other end (lower end). You can ride it smoothly.
  • the coupling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rotrusion 240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lmet body 10 .
  •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helmet body 10 ) of the parent guard 20 .
  •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econd protrusion 2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rent guard 20 rotates.
  •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may extend in a curved l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extends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rent guard 20 rotates, the contact width between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and the protruding body 120 can be minimized ( ⁇ auxiliary protrusion 240 ). )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body 120 only as much as the width, see FIG. 4). Therefore, when the parent guard 20 is rotated (clockwise based on the drawing),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of the parent guard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body 120 so that the protruding body 120 is the helmet body 10.
  • the protruding body 120 is pressed by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the protruding body 120 is deformed so that the protrusion height is lowered (the stopper 100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so it can be deformed).
  • the second protrusion 220 formed at the distal end (top) of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contacts the protrusion body 120, the second protrusion 220 can ride over the protrusion body 120 relatively easily.
  •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may serve to allow the second protrusion 220 to easily ride over the protruding body 120 .
  •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protrusion 240a and a second auxiliary protrusion 240b.
  • the first auxiliary protrusion 240a is disposed relatively close to the rotation shaft 25 of the parent guard 20
  • the second auxiliary projection 240b is relatively the rotation shaft 25 of the parent guard 20 .
  • the first auxiliary protrusion 240a is relatively closer to the rotation shaft 25 of the parent guard 20 than the second auxiliary protrusion 240b, and is form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second auxiliary protrusion 240b, the first After the first auxiliary protrusion 240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body 120 , the second auxiliary protrusion 240b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body 120 .
  • the coupling part 200 of the parent guard 20 may include a third protrusion 230 protruding toward the helmet body 10 .
  • the third protrusion 230 may extend inside the parent guard 20 .
  • the third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helmet body 10 ) of the parent guard 20 , and a rim from the rotation shaft 25 of the parent guard 20 . It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direction.
  • the third protrusion 230 may be coupled to one side 123 ,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body 120 .
  • the third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protrusion 22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25 of the parent guard 20 . Therefore, when the third protrusion 230 of the parent guard 20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body 120 of the stopper 100, the parent guard 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wearer's chin and fixed (Full Face Mode). Of course, in this case, the parent guard 20 may be fixed by the guide 15 formed on the helmet body 10 , but may also be fixed by the protruding body 120 and the third protrusion 230 .
  • FIG. 6 to 9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rotating body stopping means for a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th reference to this,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rotating body stopping means for a helm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the third protrusion 230 of the coupling part 200 formed in a straight lin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t may be coupled to one side (123,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body 120 of the stopper 100 . In this way, when the third protrusion 230 of the coupling unit 200 is coupled to one side 123,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body 120, the parent guard 20 may be fixed in a state disposed in front of the wearer's chin.
  • the first of the coupling part 200 is One protrusion 210 (the rim of the parent guard 20)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depression 110 of the stopper 10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parent guard 20 may be fixed in a state disposed above the helmet body 10 .
  • an auxiliary protrusion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rent guard 20 rotates (curved) ( 240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body 120 .
  • the protrusion body 120 pressed by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is deformed so that the protrusion height is lowered.
  •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includes a first auxiliary protrusion 240a and a second auxiliary protrusion 240b. After the first auxiliary protrusion 240a presses the protruding body 120, the second auxiliary protrusion ( 240b) may press the protruding body 120 .
  • the second protrusion 220 formed at the distal end (upper) of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is thereafter relative to the protruding body 120. can be easily ridden over.
  • an inclined portion 125 is formed on the protruding body 120 so as to protrude more from one end (upper end) to the other end (lower end). The auxiliary protrusion 240 and the second protrusion 220 and the like can naturally ride over the protrusion body 120 by the inclined portion 125 .
  • the second protrusion 220 of the coupling part 200 formed in a straight line is straight. It can be hooked on one side (123,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body 120 of the stopper 100 formed of . As such, when the second protrusion 220 of the coupling part 200 is coupled to one side 123,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body 120 , the parent guard 2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helmet body 10 . can be fixed.
  • the shield 30 of the helmet body 10 is can be rotated downward (see FIGS. 7 to 9).
  • the parent guard 20 is positioned above the helmet body 10 (Wearing Mode, a predetermined position) behind the helmet body 10 (Open Face). Mode) can also be rotated.
  • the rotating body stopping means for a helmet can fix the parent guard 20 to the upper side (Wearing Mode,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elmet body 10 (see FIG. 7 ), the shield 30 is In the open state, the wearer can easily put on or take off the helmet.
  • th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parent guard 20 and the shield 30 is the same as that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21-0018412.
  • the parent guard 20 is positioned above the helmet body 10 with respect to the helmet body 10 from above (Wearing Mode, a predetermined position) to the rear of the helmet body 10 .
  • the shield 30 may be rotated downward.
  • the coupling part 313 of the first link 310 may slide along the first sliding part 340a of the arm 330 .
  • the first link 310 and the second link 320 coupled to the parent guard 20 are rotated clockwise (however, the first link ( Compared to 310,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link 320 is rotated is small), the coupling part 313 of the first link 310 slides along the first sliding part 340a of the arm 330, and the arm ( 3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 shield 30 supported by the arm 330 is rotated downward.
  • the parent guard 20 is rot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lmet body 10 (Wearing Mode, a predetermined position) to the rear of the helmet body 10 (Open Face Mode)
  • the shield 30 is rotated to the open part closed position.
  • the parent guard 20 is not necessarily rotated, the shield 30 does not have to be rotated downward, the shield 30 is rotated downward, the parent guard 20 may be rotated. That is, when the shield 30 is rotated downward, the parent guard 20 can be rot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lmet body 10 (Wearing Mode, a predetermined position) to the rear of the helmet body 10 (Open Face Mode). . In this case, the coupling part 313 of the first link 310 may slide along the first sliding part 340a of the arm 330 .
  • the shield 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arm 330 on which the shield 30 is supported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 coupling part 313 of the first link 310 is the arm ( While sliding along the first sliding portion 340a of the 330, the first link 310 and the second link 320 are rotated clockwise, and accordingly the first link 310 and the second link 320
  • the parent guard 20 coupled to may be rotated clockwise.
  • the shield 30 is rotated from the open portion open position to the open portion closed position, the parent guard 20 mov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lmet body 10 (Wearing Mode, a predetermined position) to the rear (Open) of the helmet body 10 . Face Mode) can be rotated.
  • auxiliary protrusion 240a first auxiliary protrus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tating body fixing means for a helmet that can stably fix the rotating body (chin gu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ront of the chin and the rear of the helmet body.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은 헬멧 본체(10), 헬멧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체(친가드(20))를 포함하는 헬멧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회동체(친가드(20))는 착용자의 턱 전방(도 5 참조)과 헬멧 본체(10)의 후방(도 3 참조)에 고정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은 회동체(친가드(20))를 턱 전방과 헬멧 본체(10)의 후방 사이의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킨다(도 2 참조).

Description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본 발명은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속도가 동반되는 이륜차 탑승시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헬멧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헬멧은 착용자의 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서 전방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또한, 개방부에는 운행 중 유입되는 바람, 먼지의 차단을 위해서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쉴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은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턱을 보호하기 위해서 친가드가 구비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 중 시스템 헬멧(system helmet)은 친가드가 전방을 폐쇄하는 풀 페이스 모드(full face mode)와 친가드가 전방을 개방하는 오픈 페이스 모드(open face mode)로 작동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 중 로테이션 헬멧(rotation helmet)은 친가드가 전방을 폐쇄하는 풀 페이스 모드(full face mode)와 친가드가 헬멧의 후방으로 넘어가 착용자의 전방을 개방하는 오픈 페이스 모드(open face mode)로 작동한다.
하지만, 로테이션 헬멧은 친가드가 회동되어 헬멧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착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후 친가드를 헬멧의 전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팔이 크게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KR10-2014-0001141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회동체(친가드)를 턱 전방과 헬멧 본체의 후방 사이의 소정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회동체(친가드)를 턱 전방과 헬멧 본체의 후방 사이의 소정위치(헬멧 본체의 상방)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후 회동체(친가드)를 헬멧의 전방으로 회동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회동체(친가드)와 쉴드가 연동되어, 회동체(친가드)가 헬멧 본체의 후방으로 회동되면, 쉴드가 하측으로 회동되는 경우, 착용자가 헬멧을 착용하거나 벗기 어려울 수 있는데, 회동체(친가드)를 턱 전방과 헬멧 본체의 후방 사이의 소정위치(헬멧 본체의 상방)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쉴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쉽게 헬멧을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은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체를 포함하는 헬멧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체는 착용자의 턱 전방과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기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은 상기 회동체를 착용자의 턱 전방과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 사이의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상기 소정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회동체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정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착용자의 턱 전방에 배치될 때와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에 배치될 때,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정지부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상기 소정위치에서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으로 회동될 때, 상기 헬멧 본체의 쉴드는 하측으로 회동되거나, 또는 상기 헬멧 본체의 쉴드가 하측으로 회동될 때, 상기 회동체는 상기 소정위치에서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으로 회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헬멧 본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헬멧 본체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회동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측이 후방을 향하고 하측이 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헬멧 본체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제2 돌출부가 걸리도록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회동체의 내측에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돌출본체는 상기 회동체가 회동될 때 상기 제2 돌출부가 넘어갈 수 있도록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회동될 때 상기 제2 돌출부와 최초로 접촉하는 상기 경사부의 말단을 일단으로 정의할 때, 상기 경사부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더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돌출부로부터 상기 회동체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보조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체가 회동될 때, 상기 보조돌출부는 상기 돌출본체를 가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헬멧 본체 방향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제3 돌출부가 걸리도록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탄성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친가드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체(친가드)를 턱 전방과 헬멧 본체의 후방 사이의 소정위치(헬멧 본체의 상방)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후 회동체(친가드)를 헬멧의 전방으로 회동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회동체(친가드)와 쉴드가 연동되어, 회동체(친가드)가 헬멧 본체의 후방으로 회동되면, 쉴드가 하측으로 회동되는 경우, 착용자가 헬멧을 착용하거나 벗기 어려울 수 있는데, 회동체(친가드)를 턱 전방과 헬멧 본체의 후방 사이의 소정위치(헬멧 본체의 상방)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쉴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쉽게 헬멧을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친가드의 배면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의 측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및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은 헬멧 본체(10), 헬멧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체(친가드(20))를 포함하는 헬멧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회동체(친가드(20))는 착용자의 턱 전방(도 5 참조)과 헬멧 본체(10)의 후방(도 3 참조)에 고정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은 회동체(친가드(20))를 턱 전방과 헬멧 본체(10)의 후방 사이의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킨다(도 2 참조).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은 회동체(친가드(20))가 소정위치(헬멧 본체(10)의 상방)에 배치될 때, 착용자의 턱 전방에 배치될 때, 헬멧 본체(10)의 후방에 배치될 때, 회동체(친가드(20))의 결합부(200)와 결합되는 정지부(100)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헬멧 본체(10)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헬멧 본체(1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멧 본체(10)는 경질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강도가 큰 외부쉘과 외부쉘의 내부에 배치되고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 EPS) 등으로 형성되어 적절한 강도와 탄성을 갖는 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체의 내부에는 착용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패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친가드(20, Chin Guard)는 착용자의 턱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착용자의 턱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호형(弧形)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친가드(20)는 양단이 헬멧 본체(10)의 양측(예를 들어, 라쳇(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친가드(20)는 회동되면서, 착용자의 턱의 전방(Full Face Mode, 도 5 참조), 헬멧 본체(10)의 상방(Wearing Mode, 도 2 참조), 및 헬멧 본체(10)의 후방(Open Face Mode, 도 3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30, Shield)는 헬멧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된 개방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헬멧 본체(10)의 양측(예를 들어, 라쳇(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헬멧 본체(10)에 대해서 회동하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의 회동체는 예를 들어 친가드(20)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회동체가 친가드(20)인 것을 기준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다만, 회동체가 반드시 친가드(2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동체는 헬멧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임의의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의 회동체는 쉴드(30)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의 정지부(100)는 헬멧 본체(1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부(100)는 헬멧 본체(10)의 라쳇(15) 상에 구비될 수 있고, 친가드(20)의 회동축(25)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정지부(100)는 탄성을 갖는 탄성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친가드(20)가 헬멧 본체(10)에 대해서 회동되어 특정위치에 배치될 때, 정지부(100)에 친가드(20)의 결합부(200)가 결합됨으로써, 친가드(20)를 특정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들 들어, 친가드(20)가 착용자의 턱 전방에 배치될 때(Full Face Mode), 헬멧 본체(10)의 상방에 배치될 때(Wearing Mode), 및 헬멧 본체(10)의 후방에 배치될 때(Open Face M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때, 정지부(100)에 친가드(20)의 결합부(200)가 결합됨으로써, 친가드(20)를 그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가드(20)의 결합부(200)는 헬멧 본체(10)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지부(100)는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된 돌출본체(120), 및 제1 돌출부(210)가 삽입되도록 돌출본체(120)로부터 헬멧 본체(10)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부(210)는 친가드(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가드(20)는 외곽부가 헬멧 본체(10) 방향의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테두리가 헬멧 본체(10)의 라쳇(15)과 접촉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라쳇(15)과 접촉되는 친가드(20)의 테두리가 제1 돌출부(210)일 수 있다(도 1b 참조).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110)는 돌출본체(120)로부터 헬멧 본체(10)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함몰부(110)는 제1 돌출부(2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몰부(110)는 제1 돌출부(210, 친가드(20)의 테두리)에 대응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함몰부(110)는 상측이 후방을 향하고 하측이 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100)의 함몰부(110)에 친가드(20)의 제1 돌출부(210, 친가드(20)의 테두리)가 결합되면, 친가드(20)는 함몰부(110)가 연장된 일방향에 대응하는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친가드(20)는 전체적으로 헬멧 본체(1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Wearing Mode). 이와 같이, 친가드(20)가 헬멧 본체(10)의 상방에 배치되어 고정되면, 착용자는 친가드(2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쉽게 헬멧을 착용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가드(20)의 결합부(200)는 헬멧 본체(10)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지부(100)는 제2 돌출부(220)가 걸리도록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된 돌출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돌출부(220)는 친가드(2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220)는 친가드(20)의 일면(헬멧 본체(10)와 마주보는 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친가드(20)의 회동축(25)으로부터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본체(120)는 일측(123, 하측)이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돌출본체(120)의 일측(123, 하측)에 제2 돌출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돌출본체(120)의 일측(123, 하측)은 전방이 상측을 향하고, 후방이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100)의 돌출본체(120)에 친가드(20)의 제2 돌출부(220)가 결합되면, 친가드(20)는 헬멧 본체(10)의 후방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Open Face Mode). 이와 같이, 친가드(20)가 헬멧 본체(10)의 후방에 배치되어 고정되면, 착용자는 턱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헬멧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친가드(20)의 제2 돌출부(220)는 돌출본체(120)의 일측(123, 하측)에 결합되기 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본체(120)의 타측(상측)을 넘어가야 한다. 따라서, 돌출본체(120)는 제2 돌출부(220)가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도록 타측(상측)에 경사진 경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부(125)는 돌출본체(120) 중 함몰부(1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친가드(20)가 회동될 때(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제2 돌출부(220)와 최초로 접촉하는 경사부(125)의 말단을 일단(상단)으로 정의하면, 경사부(125)는 일단(상단)으로부터 타단(하단)으로 갈수록 헬멧 본체(10)로부터 더 돌출될 수 있다(도 1a 참조).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가드(20)가 회동될 때(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제2 돌출부(220)는 경사부(125)의 일단(상단)으로부터 타단(하단)까지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00)는 헬멧 본체(10)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돌출부(240)는 친가드(20)의 일면(헬멧 본체(10)와 마주보는 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돌출부(240)는 제2 돌출부(220)로부터 친가드(20)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보조돌출부(240)는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선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돌출부(240)는 친가드(20)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보조돌출부(240)와 돌출본체(120)의 접촉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보조돌출부(240)의 폭만큼만 돌출본체(120)에 접촉됨, 도 4 참조). 따라서, 친가드(20)가 회동되면(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친가드(20)의 보조돌출부(240)가 돌출본체(120)와 접촉되어 돌출본체(120)가 헬멧 본체(10)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와 같이, 돌출본체(120)가 보조돌출부(240)에 의해서 가압되면, 돌출높이가 낮아지도록 돌출본체(120)가 변형된다(정지부(100)는 탄성체로 형성되므로 변형될 수 있음). 이후에 보조돌출부(240)의 말단(상단)에 형성된 제2 돌출부(220)가 돌출본체(120)에 접촉되므로, 제2 돌출부(220)는 돌출본체(120)를 상대적으로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즉, 보조돌출부(240)는 제2 돌출부(220)가 돌출본체(120)를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보조돌출부(240)는 제1 보조돌출부(240a)와 제2 보조돌출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조돌출부(240a)는 상대적으로 친가드(20)의 회동축(25)과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고, 제2 보조돌출부(240b)는 상대적으로 친가드(20)의 회동축(25)과 멀리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보조돌출부(240a)가 제2 보조돌출부(240b)보다 상대적으로 친가드(20)의 회동축(25)과 가깝고, 제2 보조돌출부(240b)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므로, 제1 보조돌출부(240a)가 돌출본체(120)에 먼저 접촉된 후, 제2 보조돌출부(240b)가 돌출본체(120)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가드(20)의 결합부(200)는 헬멧 본체(10) 방향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230)를 포함할 있다. 여기서, 제3 돌출부(230)는 친가드(2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돌출부(230)는 친가드(20)의 일면(헬멧 본체(10)와 마주보는 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친가드(20)의 회동축(25)으로부터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본체(120)의 일측(123, 하측)에 제3 돌출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돌출부(230)는 친가드(20)의 회동축(25)을 기준으로 제2 돌출부(220)와 반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지부(100)의 돌출본체(120)에 친가드(20)의 제3 돌출부(230)가 결합되면, 친가드(20)는 착용자의 턱의 전방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Full Face Mode). 물론, 이때 친가드(20)는 헬멧 본체(10)에 형성된 가이드(15) 등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지만, 이와 함께 돌출본체(120)와 제3 돌출부(230)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가드(20)가 착용자의 턱의 전방에 배치될 때(Full Face Mode), 직선형으로 형성된 결합부(200)의 제3 돌출부(230)는 직선형으로 형성된 정지부(100)의 돌출본체(120)의 일측(123, 하측)에 걸려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200)의 제3 돌출부(230)가 돌출본체(120)의 일측(123, 하측)에 결합되면, 친가드(20)는 착용자의 턱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가드(20)가 회동되어(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헬멧 본체(10)의 상방에 배치될 때(Wearing Mode), 결합부(200)의 제1 돌출부(210, 친가드(20)의 테두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정지부(100)의 함몰부(1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200)의 제1 돌출부(210)가 함몰부(110)에 결합되면, 친가드(20)는 헬멧 본체(10)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가드(20)가 추가로 회동되면(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친가드(20)가 회동하는 방향으로(곡선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보조돌출부(240)가 돌출본체(120)와 접촉된다. 이와 같이, 보조돌출부(240)에 의해서 가압된 돌출본체(120)는 돌출높이가 낮아지도록 변형된다. 이때, 보조돌출부(240)는 제1 보조돌출부(240a)와 제2 보조돌출부(240b)를 포함하는데, 제1 보조돌출부(240a)가 돌출본체(120)를 가압한 후, 제2 보조돌출부(240b)가 돌출본체(120)를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돌출부(240)에 의해서 돌출본체(120)가 변형되면, 이후에 보조돌출부(240)의 말단(상단)에 형성된 제2 돌출부(220)가 돌출본체(120)를 상대적으로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돌출본체(120)에는 일단(상단)으로부터 타단(하단)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경사진 경사부(125)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부(125)에 의해서 보조돌출부(240)와 제2 돌출부(220) 등은 돌출본체(120)를 자연스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가드(20)가 헬멧 본체(10)의 후방에 배치될 때(Open Face Mode), 직선형으로 형성된 결합부(200)의 제2 돌출부(220)는 직선형으로 형성된 정지부(100)의 돌출본체(120)의 일측(123, 하측)에 걸려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200)의 제2 돌출부(220)가 돌출본체(120)의 일측(123, 하측)에 결합되면, 친가드(20)는 헬멧 본체(10)의 후방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친가드(20)가 헬멧 본체(10)의 상방(Wearing Mode, 소정위치)에서 헬멧 본체(10)의 후방(Open Face Mode)으로 회동될 때, 헬멧 본체(10)의 쉴드(30)는 하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도 7 내지 도 9 참조).
또는, 헬멧 본체(10)의 쉴드(30)가 하측으로 회동될 때, 친가드(20)는 헬멧 본체(10)의 상방(Wearing Mode, 소정위치)에서 헬멧 본체(10)의 후방(Open Face Mode)으로 회동될 수도 있다.
즉, 친가드(20)와 쉴드(30)가 연동되어, 친가드(20)가 헬멧 본체(10)의 후방(Open Face Mode)으로 회동되면, 쉴드(30)가 하측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친가드(20)가 헬멧 본체(10)의 후방(Open Face Mode)으로 회동되면, 쉴드(30)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착용자가 헬멧을 착용하거나 벗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은 친가드(20)를 헬멧 본체(10)의 상방(Wearing Mode, 소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도 7 참조), 쉴드(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쉽게 헬멧을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다.
참고로, 친가드(20)와 쉴드(30)의 연동구조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21-0018412호의 내용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가드(20)가 헬멧 본체(10)에 대해서 헬멧 본체(10)의 상방(Wearing Mode, 소정위치)로부터 헬멧 본체(10)의 후방(Open Face Mode)까지 회동되면, 쉴드(30)가 하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310)의 결합부(313)는 암(330)의 제1 슬라이딩부(340a)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친가드(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친가드(20)에 결합된 제1 링크(310)와 제2 링크(3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단, 제1 링크(310)에 비해서 제2 링크(320)가 회동되는 각도는 작음), 제1 링크(310)의 결합부(313)는 암(330)의 제1 슬라이딩부(340a)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암(3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암(330)에 지지된 쉴드(30)는 하측으로 회동된다. 결국, 친가드(20)가 헬멧 본체(10)의 상방(Wearing Mode, 소정위치)로부터 헬멧 본체(10)의 후방(Open Face Mode)까지 회동되면, 쉴드(30)는 개방부 폐쇄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친가드(20)가 회동되어, 쉴드(30)가 하측으로 회동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쉴드(30)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친가드(20)가 회동될 수도 있다. 즉, 쉴드(30)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친가드(20)가 헬멧 본체(10)의 상방(Wearing Mode, 소정위치)로부터 헬멧 본체(10)의 후방(Open Face Mode)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310)의 결합부(313)는 암(330)의 제1 슬라이딩부(340a)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쉴드(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쉴드(30)가 지지된 암(3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제1 링크(310)의 결합부(313)가 암(330)의 제1 슬라이딩부(340a)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제1 링크(310)와 제2 링크(32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그에 따라 제1 링크(310)와 제2 링크(320)에 결합된 친가드(2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결국, 쉴드(30)가 개방부 개방 위치로부터 개방부 폐쇄 위치로 회동되면, 친가드(20)는 헬멧 본체(10)의 상방(Wearing Mode, 소정위치)로부터 헬멧 본체(10)의 후방(Open Face Mode)까지 회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헬멧 본체 15: 라쳇
20: 친가드(회동체) 25: 회동축
30: 쉴드 100: 정지부
110: 함몰부 120: 돌출본체
123: 돌출본체의 일측 125: 경사부
200: 결합부 210: 제1 돌출부
220: 제2 돌출부 230: 제3 돌출부
240: 보조돌출부 240a: 제1 보조돌출부
240b: 제2 보조돌출부
본 발명은 회동체(친가드)를 턱 전방과 헬멧 본체의 후방 사이의 소정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를 제공한다.

Claims (16)

  1.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체를 포함하는 헬멧에 구비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으로서,
    상기 회동체는 착용자의 턱 전방과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기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은 상기 회동체를 착용자의 턱 전방과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 사이의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상기 소정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회동체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정지부를 포함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착용자의 턱 전방에 배치될 때와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에 배치될 때,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정지부에 결합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상기 소정위치에서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으로 회동될 때, 상기 헬멧 본체의 쉴드는 하측으로 회동되거나, 또는
    상기 헬멧 본체의 쉴드가 하측으로 회동될 때, 상기 회동체는 상기 소정위치에서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으로 회동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헬멧 본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헬멧 본체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
    를 포함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회동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측이 후방을 향하고 하측이 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헬멧 본체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제2 돌출부가 걸리도록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본체;
    를 포함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회동체의 내측에서 연장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돌출본체는 상기 회동체가 회동될 때 상기 제2 돌출부가 넘어갈 수 있도록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회동될 때 상기 제2 돌출부와 최초로 접촉하는 상기 경사부의 말단을 일단으로 정의할 때,
    상기 경사부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더 돌출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돌출부로부터 상기 회동체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보조돌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체가 회동될 때, 상기 보조돌출부는 상기 돌출본체를 가압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헬멧 본체 방향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제3 돌출부가 걸리도록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본체;
    를 포함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1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친가드인 헬멧용 회동체 정지수단.
PCT/KR2022/002313 2021-04-16 2022-02-17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WO202222038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577A KR102461899B1 (ko) 2021-04-16 2021-04-16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KR10-2021-0049577 2021-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0388A1 true WO2022220388A1 (ko) 2022-10-20

Family

ID=8364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2313 WO2022220388A1 (ko) 2021-04-16 2022-02-17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1899B1 (ko)
WO (1) WO2022220388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111A (ja) * 1995-02-27 1996-09-10 Shoei Kako Kk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支持装置
EP1366682A2 (en) * 2002-05-31 2003-12-03 Hong Jin Crown Co., Ltd. Coupling apparatus for helmet shield
JP2004197298A (ja) * 2004-04-05 2004-07-15 Yamaha Motor Co Ltd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構造
US20060230507A1 (en) * 2005-04-13 2006-10-19 Yeh Ping C Crash helmet that is assembled easily and rapidly
JP5016893B2 (ja) * 2006-05-15 2012-09-05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け機構
KR20140001141A (ko) 2012-06-26 2014-01-06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헬멧
US20140352020A1 (en) * 2013-06-03 2014-12-04 Shoei Co., Ltd Helmet shield attaching mechanism
WO2020177342A1 (zh) * 2019-03-04 2020-09-10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一种齿轮约束型可变护颚结构头盔
KR20210018412A (ko) 2018-06-12 2021-02-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111A (ja) * 1995-02-27 1996-09-10 Shoei Kako Kk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支持装置
EP1366682A2 (en) * 2002-05-31 2003-12-03 Hong Jin Crown Co., Ltd. Coupling apparatus for helmet shield
JP2004197298A (ja) * 2004-04-05 2004-07-15 Yamaha Motor Co Ltd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構造
US20060230507A1 (en) * 2005-04-13 2006-10-19 Yeh Ping C Crash helmet that is assembled easily and rapidly
JP5016893B2 (ja) * 2006-05-15 2012-09-05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け機構
KR20140001141A (ko) 2012-06-26 2014-01-06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헬멧
US20140352020A1 (en) * 2013-06-03 2014-12-04 Shoei Co., Ltd Helmet shield attaching mechanism
KR20210018412A (ko) 2018-06-12 2021-02-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WO2020177342A1 (zh) * 2019-03-04 2020-09-10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一种齿轮约束型可变护颚结构头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70A (ko) 2022-10-25
KR102461899B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13902A2 (ko) 헬멧
WO2017159905A1 (ko) 타입 가변형 헬멧
WO2013047930A1 (ko)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WO2013015542A1 (ko) 안전 여닫이문
WO2011126171A1 (ko) 체인스토퍼가 구비된 페어리더
WO2022220388A1 (ko)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EP0479407A2 (en) Helmet
WO2014137125A1 (ko) 공작기계
EP2882615A1 (en) Buckle apparatus for seat belt
RU96115383A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пускания щитка шлема, шлем
WO2015016513A1 (ko) 렌즈캡
WO2022173097A1 (ko) 친가드 회동 메커니즘
WO2016052992A1 (ko) 다기능 마스크
WO2022215856A1 (ko) 쉴드 회동제어수단
WO2022186465A1 (ko) 헬멧용 회동수단
WO2023054891A1 (ko)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WO2023214720A1 (ko) 헬멧용 회동 메커니즘
WO2023191281A1 (ko) 친가드 고정수단
TW200401615A (en) Supporting structure of chin-ventilation shutter for full-face type helmet
WO2023163338A1 (ko) 헬멧
WO2023182633A1 (ko) 친가드 회동메커니즘
WO2022045570A1 (ko) 헬멧용 선바이저 제어수단
WO2023163337A1 (ko) 친가드 고정수단
WO2020197055A1 (ko)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WO2023191286A1 (ko) 벤트수단이 구비된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882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882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882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116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882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