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03251A1 -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 Google Patents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03251A1
WO2022203251A1 PCT/KR2022/003423 KR2022003423W WO2022203251A1 WO 2022203251 A1 WO2022203251 A1 WO 2022203251A1 KR 2022003423 W KR2022003423 W KR 2022003423W WO 2022203251 A1 WO2022203251 A1 WO 20222032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earing loss
extract
preventing
bilberry
sapog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34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숙
신상규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디팜 filed Critical (주)아이엠디팜
Priority to CN202280023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042762A/zh
Priority to US18/282,790 priority patent/US20240173372A1/en
Publication of WO20222032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032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5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in a combination formulation containing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Hearing loss or hearing loss is a common disease that about 15-20% of the population has, but it is a disease that great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with hearing loss is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spread of digital devices, and since hearing impairment is permanent and difficult to treat fundamentally,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it before it occurs.
  • the ear is divided into the outer ear (from the pinna to the eardrum), the middle ear (from the eardrum to the cochlea), and the inner ear (the inside of the cochlea). Even with treatment, recovery is very difficult.
  • Hearing loss can be divided into age-related hearing loss, pediatric hearing loss, Meniere's disease, sudden hearing loss, noise-induced hearing loss, and ototoxic hearing loss. Noise-induced hearing loss is increasing rapidly.
  • Human hearing organs are affected by noises of 75 dBA or higher, and this level of noise is equivalent to living in a noise harmful to hearing organs in industrial society.
  • the use of earphones often exposes the auditory organs to loud sounds, so noise-induced hearing loss patients are increasing in various age groups. Noise-induced hearing loss at a young age is progressively more severe with age and affects people at various ages.
  • ototoxic hearing loss is caused by apoptosis of free radicals produced by ototoxic drug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lth fo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caused by noise or drug exposure by using a composition containing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containing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earing loss containing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a composi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complex composition in which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0.125-8) is a hair cell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ed by hydrogen peroxide in a small dose.
  •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provided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ensorineural hearing loss have.
  • Figure 2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efficacy test on hair cells in the zebrafish efficacy model of the composi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result of a comparative test on the effect of hearing improvement in an in vivo noise-induced hearing loss mouse model of sapogrylate, bilberry extract, and the complex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Noise and ototoxic drugs generate 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produced active oxygen induces apoptosis of auditory cells, resulting in noise-induced hearing loss and ototoxic hearing loss. While researching a therapeutic agent to more effectively trea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containing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the hearing los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ototoxic hearing loss, age-related hearing loss, and sudden hearing loss.
  • the hearing loss is noise-induced hearing los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o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or ototoxic hearing loss.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 complex composition consisting of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1: (0.125-8) by weight.
  • the weight ratio of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is a composite composition having a ratio of 1:2 to 4, and more preferably, the weight ratio of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is 1:3. .
  • the composite composition may exhibit an enhanced hearing improvement effect rather than a simple increase effect of sangga than the effect of a material consisting of a single component, sapogrylate or bilberry extract.
  • the weight ratio of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is less than 1:0.125,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ynergistic effect as a complex composition because the content of bilberry that can be combined is low compared to the recommended daily amount of sapogrylate 300mg. Even if the weight ratio of the bilberry exceeds 1:8,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ynergistic effect as a composite composition because the content of sapogrylate complex is low compared to the recommended daily amount of 510 mg of bilberry.
  • the bilberry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ract prepared by using bilberry fruit/leaf parts as an extraction solvent, water, C1 to C4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Using 5 to 30 times the extraction solvent, extract and concentrate by cold acupuncture method, warm acupuncture method, percoration method, etc. to form soft sea extract, or mix soft sea extract alone or excipients such as soft sea extract and dextran by spray-drying or freeze-drying can be powdered.
  • Sapogrylate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4-[1-dimethylamino-3-[2-[2-(3-methoxyphenyl)ethyl]phenoxy]propan-2-yl]oxy-4- As oxobutanoic acid, it has a molecular structure of C 24 H 31 NO 6 and is a drug having the following structure, generally in the form of hydrochloride.
  • Sapogrylat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hydrochloride, and may include any salt including a free base or hydrochlorid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to inhibit apoptosis of auditory cells and increase the number of hair cells.
  • the complex extract inhibited the apoptosis of auditory cell lines by up to 21.5% at the same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single administration of the bilberry extract, and the number of hair cells in zebrafish was compared with the single administration of sapogrylate.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further increased by up to 22%.
  • Example 2 in which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3, is 21.6%p, 28.8% higher than that of sapogrylate of 50mpk and 100mpk in click sound condition in the auditory brainstem reaction test for 14 days in mice. p Higher effect, 19.9%p and 24.5%p higher threshold improvement effect than bilberry extract, respectively, were confirmed at the same dos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earing loss containing the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is an injection, granule, powder, tablet, pill, capsule, suppository, or gel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spensions, emulsions, drops or liquids may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 suitable carrier, excipient, disintegrant, sweetener, coating agent, swelling agent, lubricant, flavoring agent, antioxidant, buffer, bacteriostatic agent, diluent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can be used, and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and capsules.
  • solid preparations may be prepared by mixing at least one excipient,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the composition.
  •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can also be used.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and various excipients, for example,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etc.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may be includ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the like.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As a base material for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dministered in a conventional manner via intravenous, intraarterial, intraperitoneal, intramuscular, intrasternal, transdermal, intranasal, inhalation, topical, rectal, oral, intraocular or intradermal routes. can be administered to the subject.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subject, the type and extent of the disease, the drug form, the route and duration of administr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daily dose may be 0.01 to 200 mg/kg, specifically 0.1 to 200 mg/kg, and more specifically 0.1 to 100 mg/kg.
  •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thereby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bject' may be a mammal including a human, but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ealth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earing loss containing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the health food is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additives other than the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ed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thereof, for example, prophylactic,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effective dose of the compound contained in the health food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effective dose of the therapeutic agent, but in the case of long-term intake for health and hygiene or health control, i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above range. It is clear that the ingredient can be used in an amount beyond the above rang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 the type of health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 Bilberry extract was first extracted by adding 100 g of bilberry to 1 L of 90 (v/v)%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stirring at 40° C. at 1600 rpm for 2 hours. The extract of the first extract was transferred, and 1 L of 70 (v/v)% ethanol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the remaining residue, followed by stirring at 40 ° C. at 1600 rpm for 2 hours for second extraction, and then the second extract was transferred. After that, 1L of 70 (v/v)% ethanol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the second residue, followed by third extraction in the same manner.
  • the alcohol was evaporated while concentrating at a temperature of 50° C. or less.
  • the concentrate obtained by the above process was diluted with Brix 1.5 ⁇ 5% and then centrifuged at 6900 rpm for 6 to 12 minutes.
  • the supernatant obtained through centrifugation was purified by compression filtration. Thereafter, 1200L of water was added to the purified solution and the first washing was performed for 2 hours. After the second washing was performed by adding 5000L of 70 (v/v)% ethanol to the first washed purified solution, the washing solution was collected and concentrated.
  • the concentrate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was spray-dried to prepare an ethanol extract of bilberry in powder form.
  • Sapogrylate hydrochloride (manufactured by Pharmacostec) was added to the bilberry ethanol extract in powder form in the weight ratio as shown in Table 1, and the bilberry extract and sapogrylate were added to a mixer and mixed at a speed of 50 rpm for 5 minutes to prepare a composite composition did.
  •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Example 4 Example 5 Bilberry Ethanol Extract 10g 30g 80g 10g 10g Sappogrylate 10g 10g 10g 30g 80g Composite composition weight 20g 40g 90g 40g 90g
  • bilberry 100 g was added to 0.5 L of 70 (v/v)% aqueous ethanol solution and stirred at 60° C. at 1600 rpm for 2 hours for primary extraction.
  • the extract of the first extract was transferred, and 0.5 L of 70 (v/v)% ethanol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the remaining residue, and the second extract was transferred by stirring at 60 ° C. at 1600 rpm for 2 hours. .
  • 0.5 L of 70 (v/v)% ethanol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the second residue, followed by third extraction in the same manner.
  • the alcohol was evaporated while concentrating at a temperature of 50° C. or less.
  • the concentrate obtained by the above process was diluted with Brix 3 ⁇ 5% and then centrifuged at 6900 rpm for 6 to 12 minutes.
  • the supernatant obtained through centrifugation was purified by compression filtration. Thereafter, 1200L of water was added to the purified solution and the first washing was performed for 2 hours. After the second washing was performed by adding 5000L of 70 (v/v)% ethanol to the first washed purified solution, the washing solution was collected and concentrated. The obtained concentrate was freeze-dried to prepare an ethanol extract of bilberry in powder form.
  • Sapogrylate hydrochloride (manufactured by Pharmacostec) was added to the bilberry ethanol extract in powder form in the weight ratio as shown in Table 2, and the bilberry extract and sapogrylate were added to a mixer and mixed at a speed of 50 rpm for 5 minutes to prepare a composite composition did.
  • Example 6 Example 7 Example 8 Example 9 Example 10 Bilberry Ethanol Extract 10g 30g 40g 10g 10g Sappogrylate 10g 10g 10g 20g 50g Composite composition weight 20g 40g 50g 30g 60g
  • Bilberry methanol extract was extracted at 28 to 30 °C by immersing 100 g of the pulverized product in 0.5 to 1 L of 70 (v/v)% methanol aqueous solution after pulverizing the frozen bilberry pulp. Thereafter, the supernatant was separated by centrifugation, and citric acid was added to the separated supernatant, and the resulting precipitate was removed and purified. Then, the remaining extract was concentrated, diluted with ethanol, and dried at 60° C. for 36 hours to prepare a dry powder.
  • the bilberry methanol extract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was added with sapogrylate hydrochloride (manufactured by Pharmacostec) in the weight ratio as shown in Table 3, and the bilberry extract and sapogrylate were added to a mixer and mixed at a speed of 50 rpm for 5 minutes to obtain a composite composition. was prepared.
  • Example 11 Example 12
  • Example 13 Bilberry Methanol Extract 10g 30g 50g Sappogrylate 10g 10g 10g Composite composition weight 20g 40g 50g
  • 100 g of bilberry was added to 1 L of 70 (v/v)% aqueous methanol solution and stirred at 30° C. at 1600 rpm for 2 hours for primary extraction.
  • the extract of the first extract was transferred, and 1 L of a 70 (v/v)% aqueous methanol solution was added to the remaining residue, stirred at 30 ° C. at 1600 rpm for 2 hours, followed by second extraction, and then the second extract was transferred. After that, 1L of 70 (v/v)% aqueous methanol solution was added to the second residue, followed by third extraction in the same manner.
  • the alcohol was evaporated while concentrating at a temperature of 50° C. or less.
  • the concentrate obtained by the above process was diluted with Brix 3 ⁇ 5% and then centrifuged at 6900 rpm for 6 to 12 minutes.
  • the supernatant obtained through centrifugation was purified by compression filtration. Thereafter, 1200L of water was added to the purified solution, and the first washing was performed for 2 hours. After the second washing was performed by adding 5000L of 70 (v/v)% methanol to the first washed purified solution, the washing solution was collected and concentrated. The obtained concentrate was spray-dried to prepare a bilberry methanol extract in powder form.
  • sapogrylate hydrochloride manufactured by Pharmacostec
  • Example 14 Example 15 Bilberry Methanol Extract 30g 30g Sappogrylate 30g 10g Composite composition weight 60g 40g
  • bilberry water extract 30 g of frozen bilberry pulp was placed in 600 mL of water, and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at 110 ° C. for 3 hours to obtain a hot water extract, which was concentrated until the solid content became 30% with a vacuum concentrator, and then freeze-dried to prepare a dry powder. .
  • Sapogrylate hydrochloride (manufacturer: Pharmacostec) was added to the bilberry extract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n the weight ratio as shown in Table 5, and the bilberry extract and sapogrylate were added to a mixer and mixed at a speed of 50 rpm for 5 minutes to prepare a composite composition did.
  • Example 16 Example 17 Example 18 Example 19 Example 20 Bilberry Water Extract 10g 30g 80g 10g 10g Sappogrylate 10g 10g 10g 30g 80g Composite composition weight 20g 40g 90g 40g 90g
  • HEI-OC1 House Ear Institute-Organ of Corti 1
  • an auditory hair cell derived from the organ of Corti a mouse auditory organ
  • FBS fetal bovine serum
  • WELGENE Inc. Gyeongsangbuk
  • INF- ⁇ 50 U/mL INF- ⁇ (Peprotech Inc., Seoul, Korea)
  • DMEM high-glucose Dulbecco's Eagle's medium, Sigma-Aldrich Co., St. Louis, USA
  • a noise-induced hearing loss cell line was established by treatment with hydrogen peroxide to generate oxygen species (ROS) caused by oxidative stress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inducing noise-induced hearing loss.
  • ROS oxygen species
  • the noise-induced hearing loss-inducing cell line was treated with the complex composition of Example 2 at a concentration of 0.001, 0.005, 0.01, 0.05, 0.1, 0.5 ⁇ g/mL for 1 hour and then treated with 100 ⁇ M hydrogen peroxide for 24 hours, followed by MTT analysis.
  • the cytotoxicity and apoptosis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were confirmed quantitatively through.
  • Example 2 As shown in Table 6 and FIG. 1, the effect of inhibiting auditory cell death in the composite composition of Example 2 was confi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 auditory apoptosis effect was remarkably excellent compared to sapogrylate.
  • the EC50 of the composite composition of Example 2 was confirmed to be 0.015 ⁇ g/mL.
  • the EC50s of the additionally confirmed sapogrylate and bilberry extracts were 26.43 ⁇ g/mL and 0.16 ⁇ g/mL, respectively, confirming higher efficacy than the single agent.
  • Example 2 can exhibit superior apoptosis inhibitory effect than each single agent at a small dose.
  • the zebrafish has an inner ear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human, and it is transparent for easy observation, and the lateral line system, an additional auditory organ,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used as a model organism for active oxygen-induced hearing loss because it can be observed in
  • zebrafish larvae males and females were placed in a tank equipped with a net to separate eggs and adults in a 1:1 ratio, and zebrafish embryos were collected 12 hours later.
  • the hydrogen peroxide-induced hearing loss zebrafish model was treated with concentrations of 0.1, 0.5 and 1 ⁇ g/mL from Examples 1 to 5, respectively, and exposed for 12 hours.
  • zebrafish fry were anesthetized with 0.02% tricaine, and auditory hair cells were stained with 0.1% YO-PRO for 30 min. After observation, counting.
  • Example 2 when the complex composition of Example 2 was administered at 0.1 ⁇ g/mL, an average of 12.74 most hair cells could be identified, which was obtained in Example 2 through comparison of the threshold improvement effects of each bilberry extract and sapogryl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hair cell protection efficacy of the complex composition of
  • mice The anima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bred at a temperature controlled at 25 ⁇ 2°C in an environment with lights turned on at intervals of 12 hours. Loss) model mice were prepared.
  • the hearing threshold was measured using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measurement method.
  • ABR Auditory Brainstem Response
  • the sample was orally administered at the same time every day to the complex composition treatment group of Example 2 from 20 hours after exposure to noise,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administer the sample. All mice were measured after confirming the state of the ear canal through an otoscope before the experiment.
  • the click sound (wide frequency) was evaluated by gradually lowering the sound by 5 dB from 80 d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합조성물은 적은 용량으로 과산화수소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의한 유모세포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제브라피시 청각유모 세포에 대한 우수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복합조성물은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또는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본 발명은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제제의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청각소실 또는 난청은 인구의 약 15-20%가 가지고 있는 흔한 질환이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최근에는 고령화 및 디지털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난청인구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어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며, 청각장애는 영구적이며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귀는 외이 (귓바퀴에서 고막), 중이 (고막에서 달팽이관) 및 내이 (달팽이관 내부)으로 구분되는데, 외이 및 중이 장애로 인한 난청은 장애가 치료되면 난청도 치료되나 내이 및 청신경계 장애로 생긴 난청은 장애가 치료되더라도 회복이 매우 어렵다.
난청은 노인성 난청, 소아 난청, 메니에르 병, 돌발성 난청, 소음성 난청 및 이독성 난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그 중 소음과 약물로 인한 소음성 난청 및 이독성 난청이 가장 흔하며, 최근에는 소음으로 인한 소음성 난청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인간의 청각기관은 75 dBA 이상의 소음에 영향을 받으며 이정도의 소음은 산업사회에서 모든 사람들이 청각기관에 해로운 소음 속에서 생활하는 것과 같다. 이외에 이어폰 이용에 의해 청각기관이 큰 소리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다양한 연령대에서 소음성 난청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젊은 나이의 소음성 난청은 나이를 먹을수록 점점 더 난청의 정도가 심해지며 다양한 나이에 걸쳐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이독성 난청은 이독성 약물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가 세포사멸을 일으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소음성 난청 및 이독성 난청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시도된 연구들은 주로 항산화제를 이용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약제가 존재하지 않으며 많은 약물들의 안전성이 입증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소음 또는 약물 노출에 의해 발생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해 발병되는 난청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이 1:(0.125~8)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적은 용량으로 과산화수소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의한 유모세포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제브라피시 청각유모 세포에 대한 우수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감각신경성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청각세포주에서의 세포사멸 억제 효력시험 결과로 얻어진 유모세포에 대한 EC50 값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비에 따른 복합 조성물의 제브라피시 약효모델에서의 유모세포에 대한 효력시험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사포그릴레이트, 빌베리 추출물,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의 in vivo 소음 유발성 난청 마우스 모델에서의 청각 개선 효력 비교시험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음 및 이독성 약물은 활성산소를 생성시키고, 이렇게 생성된 활성산소가 청각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소음성 난청 및 이독성 난청이 발병됨에 따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활성산소에 의해 발병되는 난청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를 연구하던 중 사포그릴레이트와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최적 중량비율의 복합조성물이 활성 산소에 노출된 청각 세포를 적은 용량으로도 우수한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난청은 소음성 난청, 이독성 난청, 노인성 난청 및 돌발성 난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일례로서 상기 난청은 과산화수소 또는 활성산소종 (ROS)에 의해 유도되는 소음성 난청 또는 이독성 난청일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 1:(0.125~8) 중량비로 이루어진 복합조성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포그릴레이트와 빌베리 추출물의 중량비가 1:2~4의 비율을 갖는 복합조성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포그릴레이트와 빌베리 추출물의 중량비가 1:3의 중량비를 갖는 복합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복합조성물은 단일성분인 사포그릴레이트 또는 빌베리추출물로 이루어진 물질의 효력보다 단순한 상가의 증가효과가 아닌 그 이상의 상승된 청각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이 중량비가 1:0.125 미만일 경우에는 사포그릴레이트의 1일 권장량인 300mg 대비 복합할 수 있는 빌베리의 함량이 낮아 복합 조성물로서의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의 중량비가 1:8 초과일 경우에도 빌베리의 1일 권장량인 510mg에 비해 복합되는 사포그릴레이트의 함량이 낮아 복합조성물로서의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빌베리 추출물은 빌베리 열매/잎 부위를 추출용매로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추출물이며,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빌베리 열매/잎 부위의 고형분에 5배 ~ 30배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냉침법, 온침법, 퍼코레이션법 등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연조엑스 형태이거나, 연조엑스 단독 혹은 연조엑스와 덱스트란 등의 부형제를 섞어 분무건조나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중 하나인 사포그릴레이트는 (-)-4-[1-dimethylamino-3- [2-[2-(3-methoxyphenyl)ethyl]phenoxy]propan-2-yl]oxy-4-oxobutanoic acid로, 분자구조가 C24H31NO6 이며,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약물로서, 일반적으로 염산염의 형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구성성분인 사포그릴레이트는 염산염에 국한되지 않으며, 유리염기 혹은 염산염을 포함한 모든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Figure PCTKR2022003423-appb-img-000001
상기 약학조성물은 청각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유모세포 수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추출물은 빌베리 추출물 단일 투여와 비교하면 청각세포주의 세포사멸을 같은 농도에서 최대 21.5% 억제함을 보였고, 제브라피시의 유모세포 수를 사포그릴레이트의 단일 투여와 비교하여 효력이 최대 22% 더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포그릴레이트와 빌베리 추출물이 1: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실시예 2는 마우스 14일간의 청성뇌간반응 시험시 Click 음 조건에서 50mpk 및 100mpk 용량의 사포그릴레이트보다 21.6%p, 28.8%p 더 높은 효과를, 빌베리 추출물보다 같은 투여량에서 각각 19.9%p 및 24.5%p 더 높은 역치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은 상기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치료제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내지 5> 빌베리 에탄올 추출물과 사포그릴레이트의 복합 조성물 제조
빌베리 추출물은 빌베리 100 g을 90 (v/v)% 에탄올 수용액 1L에 첨가하고 40 ℃에서 1600 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시켜 1차 추출하였다. 상기 1차 추출물의 추출액을 옮겨 담고, 남은 잔류물에 70 (v/v)% 에탄올 수용액 1L를 첨가한 후 40 ℃에서 1600 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시켜 2차 추출한 후 2차 추출액을 옮겨담았다. 그 후 2차 잔류물에 70 (v/v)% 에탄올 수용액 1L를 첨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차 추출하였다.
상기 1차, 2차 및 3차 추출액을 혼합한 후 50 ℃ 이하의 온도에서 농축시키면서 알코올을 증발시켰다. 상기 과정으로 얻은 농축액을 브릭스(Brix) 1.5±5 %로 희석한 후 6900 rpm에서 6 내지 12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를 통하여 얻은 상층액을 압착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이 후 정제액에 물 1200L를 첨가하여 2시간 동안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정제액에 70 (v/v)% 에탄올 5000L를 첨가하여 2차 세척한 후 세척액을 수집하여 농축시켰다.
상기 과정을 통해 얻은 농축액을 분무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빌베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 형태의 빌베리 에탄올 추출물을 표 1과 같은 중량비율로 사포그릴레이트 염산염(제조원: 파마코스텍)을 첨가하고 빌베리 추출물과 사포그릴레이트를 혼합기에 넣고 5분간 50rpm의 속도로 혼합하여 복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빌베리 에탄올 추출물 10g 30g 80g 10g 10g
사포그릴레이트 10g 10g 10g 30g 80g
복합조성물 무게 20g 40g 90g 40g 90g
< 실시예 6 내지 10> 빌베리 에탄올 추출물과 사포그릴레이트의 복합 조성물 제조
빌베리 100 g을 70 (v/v)% 에탄올 수용액 0.5L에 첨가하고 60℃에서 1600 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시켜 1차 추출하였다. 상기 1차 추출물의 추출액을 옮겨 담고, 남은 잔류물에 70 (v/v)% 에탄올 수용액 0.5L를 첨가한 후 60 ℃에서 1600 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시켜 2차 추출한 후 2차 추출액을 옮겨담았다. 그 후 2차 잔류물에 70 (v/v)% 에탄올 수용액 0.5L를 첨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차 추출 하였다.
상기 1차, 2차 및 3차 추출액을 혼합한 후 50℃ 이하의 온도에서 농축시키면서 알코올을 증발시켰다. 상기 과정으로 얻은 농축액을 브릭스(Brix) 3±5%로 희석한 후 6900 rpm에서 6 내지 12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를 통하여 얻은 상층액을 압착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이 후 정제액에 물 1200L를 첨가하여 2시간 동안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정제액에 70 (v/v)% 에탄올 5000L를 첨가하여 2차 세척한 후 세척액을 수집하여 농축시켰다. 얻어진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빌베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 형태의 빌베리 에탄올 추출물을 표 2와 같은 중량비율로 사포그릴레이트 염산염(제조원: 파마코스텍)을 첨가하고 빌베리 추출물과 사포그릴레이트를 혼합기에 넣고 5분간 50rpm의 속도로 혼합하여 복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빌베리 에탄올 추출물 10g 30g 40g 10g 10g
사포그릴레이트 10g 10g 10g 20g 50g
복합조성물 무게 20g 40g 50g 30g 60g
< 실시예 11 내지 13> 빌베리 메탄올 추출물과 사포그릴레이트의 복합 조성물 제조
빌베리 메탄올 추출물은 동결된 빌베리 과육을 분쇄한 후 분쇄물 100 g을 70 (v/v)% 메탄올 수용액 0.5 내지 1L에 침지시켜 28 내지 30℃에서 추출하였다. 그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상층액에 시트르산을 첨가한 후 생성된 침전물을 제거하여 정제하였다. 이후 남은 추출액을 농축한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60℃로 36 시간 건조하여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얻은 빌베리 메탄올 추출물을 표 3과 같은 중량비율로 사포그릴레이트 염산염(제조원: 파마코스텍)을 첨가하고 빌베리 추출물과 사포그릴레이트를 혼합기에 넣고 5분간 50 rpm의 속도로 혼합하여 복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빌베리 메탄올 추출물 10g 30g 50g
사포그릴레이트 10g 10g 10g
복합조성물 무게 20g 40g 50g
< 실시예 14 내지 15> 빌베리 메탄올 추출물과 사포그릴레이트의 복합 조성물 제조
빌베리 100 g을 70 (v/v)% 메탄올 수용액 1L에 첨가하고 30℃에서 1600 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시켜 1차 추출하였다. 상기 1차 추출물의 추출액을 옮겨 담고, 남은 잔류물에 70 (v/v)% 메탄올 수용액 1L를 첨가한 후 30 ℃에서 1600 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시켜 2차 추출한 후 2차 추출액을 옮겨담았다. 그 후 2차 잔류물에 70 (v/v)% 메탄올 수용액 1L를 첨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차 추출 하였다.
상기 1차, 2차 및 3차 추출액을 혼합한 후 50℃ 이하의 온도에서 농축시키면서 알코올을 증발시켰다. 상기 과정으로 얻은 농축액을 브릭스(Brix) 3±5%로 희석한 후 6900 rpm에서 6 내지 12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를 통하여 얻은 상층액을 압착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이 후 정제액에 물 1200L를 첨가하여 2시간 동안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정제액에 70 (v/v)% 메탄올 5000L를 첨가하여 2차 세척한 후 세척액을 수집하여 농축시켰다. 얻어진 농축액을 분무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빌베리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얻은 빌베리 메탄올 추출물을 표 4와 같은 중량비율로 사포그릴레이트 염산염(제조원: 파마코스텍)을 첨가하고 빌베리 추출물과 사포그릴레이트를 혼합기에 넣고 5분간 50 rpm의 속도로 혼합하여 복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5
빌베리 메탄올 추출물 30g 30g
사포그릴레이트 30g 10g
복합조성물 무게 60g 40g
< 실시예 16 내지 20> 빌베리 물 추출물과 사포그릴레이트의 복합 조성물 제조
빌베리 물 추출물은 동결된 빌베리 과육 30g을 물 600 mL에 넣고 110 ℃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었고 이를 진공농축기로 고형분이 30%가 될 때까지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얻은 빌베리 추출물을 표 5와 같은 중량비율로 사포그릴레이트 염산염(제조원: 파마코스텍)을 첨가하고 빌베리 추출물과 사포그릴레이트를 혼합기에 넣고 5분간 50rpm의 속도로 혼합하여 복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빌베리 물 추출물 10g 30g 80g 10g 10g
사포그릴레이트 10g 10g 10g 30g 80g
복합조성물 무게 20g 40g 90g 40g 90g
<시험예 1> 복합조성물에 의한 청각세포주의 세포 사멸 억제 효과 확인
마우스의 청각 발현기관인 코르티기관 (Organ of Corti)에서 유래한 청감각 유모세포인 House Ear Institute-Organ of Corti 1 (HEI-OC1)을 항생제 첨가 없이 10% 태아소혈청 (FBS; WELGENE Inc., Gyeongsangbuk-do, Korea)와 50 U/mL INF-γ (Peprotech Inc., Seoul, Korea)를 포함하는 DMEM (high-glucose Dulbecco's Eagleㅄs medium, Sigma-Aldrich Co., St. Louis, USA) 배양액을 이용하여, 33℃ 및 10%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소음에 의한 난청유발 과정에서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산소종 (ROS)을 생성하기 위해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소음성 난청 세포주를 확립하였다.
상기 소음성 난청 유도 세포주에 0.001, 0.005, 0.01, 0.05, 0.1, 0.5 μg/mL 농도의 실시예 2의 복합조성물을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100 μM의 과산화수소와 함께 24시간 처리한 후 MTT 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독성 및 세포사멸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 6 및 도 1과 같이 실시예 2의 복합조성물에서 청각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포그릴레이트와 비교하여 청각세포 사멸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μg/mL CTL H2O2 0.001 0.005 0.01 0.05 0.1 0.2
상대적 세포
생존율
100 0.0 53.7 60.7 77.1 89.9 97.3 93.7
그 결과, 도 1과 같이 실시예 2의 복합조성물의 EC50은 0.015 μg/mL으로 확인하였다. 추가로 확인한 사포그릴레이트와 빌베리 추출물의 EC50은 각각 26.43 μg/mL, 0.16 μg/mL으로 나타났으며 단일제제보다 더 높은 효력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2의 복합조성물은 적은 용량으로 각 단일제제보다 우수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2> 제브라피시 약효모델에서의 유모세포에 대한 효력시험
제브라피시는 사람과 흡사한 구조의 내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투명하여 관찰이 용이하고 부가적인 청각 기관인 lateral line system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소음 노출 후 또는 약물 투여 시 청각 유모세포의 변화를 live organism 상태에 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활성산소 유도 난청 모델 생물로 사용되고 있다.
제브라피시 치어 (larvae) 제작을 위해 알과 성어를 분리하는 망을 설치한 수조에 암컷과 수컷을 1:1 비율로 넣고 12시간 후에 zebrafish embryo를 수집하였다.
채취 후에 0.03% 해수염용액 (sea salt solution)을 사용하여 3회 세척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28.5℃ 광주기(14 명/10 암)가 설정된 인큐베이터에서 사육하였다. 수정 6일 후의 제브라피시 치어(6 dpf)를 24-웰에 위치시킨 후, 과산화수소를 2.5 mM 농도로 처리하여 3시간 동안 노출시켜 과산화수소 유도 난청 모델을 제조하였으며,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지 않은 미처리 정상 대조군을 준비하였다.
상기 과산화수소 유도 난청 제브라피시 모델에 실시예 1부터 실시예 5까지 각각 0.1, 0.5 및 1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12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독성 시험이 완료된 제브라피시 치어를 0.02% 트리카인으로 마취시키고, 청각 유모 세포를 0.1% YO-PRO로 30분 동안 염색한 후, 형광 현미경 (Olympus 1x70, Olympus, Japan)을 사용하여 청각 유모 세포를 관찰한 후 계수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실시예 1부터 실시예 5까지 처리한 군에서 모두 제브라피시의 유모세포의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 독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도 3과 같이 실시예 2의 복합조성물을 0.1 μg/mL으로 투여하였을 때 평균 12.74개의 가장 많은 유모세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각각의 빌베리 추출물 및 사포그릴레이트의 역치 개선효과 비교를 통해 실시예 2의 복합조성물의 유모세포 보호 효능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in vivo 마우스 모델에서의 청각 개선 효력 비교시험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25±2℃으로 조절된 온도에서 12시간 간격으로 조명을 킨 환경에서 사육하였으며, 소음성 난청을 유발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115dB의 복합음에 90분동안 노출시켜 NIHL (Noise Induced Hearing Loss) 모델 마우스를 제작하였다.
NIHL 모델 마우스에서 시료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청성유발전위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측정법을 이용하여 청력 역치를 측정하였다.
NIHL 마우스 모델은 소음에 노출시킨 20시간 후부터 실시예 2의 복합조성물 처리군에 대해서 시료를 매일 같은 시간에 경구 투여 하였고, 대조군은 시료를 투여하지 않았다. 모든 마우스는 실험 전 이경 검사를 통해 외이도의 상태를 확인한 뒤 측정하였다.
자극음은 Click음 (광역주파수)를 80 dB부터 점차적으로 5 dB씩 소리를 낮춰가며 평가했으며, 반응이 나오는 가장 작은 소리를 역치로 하여 값이 낮을수록 14일 측정 결과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사포그릴레이트, 빌베리 추출물과 실시예 2의 복합조성물을 처리한 군에서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최대 30%p의 청각역치가 감소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빌베리 추출물은 정제수, C1 ~ C4의 알콜 또는 이들의 복합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청은 소음성 난청, 이독성 난청, 노인성 난청 및 돌발성 난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이 1:(0.125~8)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청각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유모세포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6.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PCT/KR2022/003423 2021-03-26 2022-03-11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WO20222032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23002.5A CN117042762A (zh) 2021-03-26 2022-03-11 包含沙格雷酯和欧洲越桔提取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听力损失的复合组合物
US18/282,790 US20240173372A1 (en) 2021-03-26 2022-03-11 Complex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including sarpogrelate and vaccinium myrtillu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541 2021-03-26
KR1020210039541A KR102323400B1 (ko) 2021-03-26 2021-03-26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3251A1 true WO2022203251A1 (ko) 2022-09-29

Family

ID=7861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3423 WO2022203251A1 (ko) 2021-03-26 2022-03-11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73372A1 (ko)
KR (1) KR102323400B1 (ko)
CN (1) CN117042762A (ko)
WO (1) WO2022203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400B1 (ko) * 2021-03-26 2021-11-09 (주)아이엠디팜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7738A (ja) * 2009-08-08 2011-02-24 Chube Univ 難聴又は耳鳴りの予防・治療剤
KR101905865B1 (ko) * 2017-04-11 2018-10-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사포그릴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5201B1 (ko) * 2019-09-06 2020-11-06 (주)아이엠디팜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각신경성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3400B1 (ko) * 2021-03-26 2021-11-09 (주)아이엠디팜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207A (ko) 2017-01-31 2018-08-08 동국제약 주식회사 해조류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7738A (ja) * 2009-08-08 2011-02-24 Chube Univ 難聴又は耳鳴りの予防・治療剤
KR101905865B1 (ko) * 2017-04-11 2018-10-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사포그릴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5201B1 (ko) * 2019-09-06 2020-11-06 (주)아이엠디팜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각신경성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3400B1 (ko) * 2021-03-26 2021-11-09 (주)아이엠디팜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ANG GUN CHO, CHI JUN HYUK, SONG JAE-JUN, LEE EUN KYEONG, KIM BO HAE: "Evaluation of Anxiety and Depressive Levels in Tinnitus Patient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vol. 17, no. 2, 1 January 2013 (2013-01-01), pages 83 - 89, XP055640579, ISSN: 2092-9862, DOI: 10.7874/kja.2013.17.2.83 *
KAPUSUZ ZELIHA; ÖZKIRIş MAHMUT; KALA MEHTAP; SAYDAM LEV: "Protective Role of Bilberry Extract Against Cisplatin Induced Ototoxicity in Rats", INDIAN JOURNAL OF OTOLARYNGOLOGY AND HEAD & NECK SURGERY, SPRINGER INDIA, INDIA, vol. 65, no. 4, 20 March 2013 (2013-03-20), India , pages 339 - 344, XP035359530, ISSN: 2231-3796, DOI: 10.1007/s12070-013-0642-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400B1 (ko) 2021-11-09
CN117042762A (zh) 2023-11-10
US20240173372A1 (en) 202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7659A1 (ko) 청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203251A1 (ko)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WO2018236011A1 (ko) 죽순 효소분해물 또는 죽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저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49636A1 (ko)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7183902A1 (ko)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86349A2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21560A2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50123A1 (ko) 가자나무열매추출물 및 암라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WO2019004610A1 (ko) 적포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17600B1 (ko) 갈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WO2020085799A1 (ko) 도라지 사포닌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도라지 추출물 또는 막분리 도라지 사포닌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WO2021045569A1 (ko)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각신경성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90608A1 (ko) 사포그릴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230942A1 (ko)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1080298A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0006114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astritis or peptic ulcer
WO2018052171A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WO2020263010A1 (ko) 안토시아닌-음전하성 다당류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염 또는 소화성 궤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66962A2 (ko) 적포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03248A1 (ko) 섬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63343A (ko)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WO2019225845A1 (ko) 살리드로사이드 또는 베툴린을 이용한 뇌수막종 개선용 조성물
WO2014126269A1 (ko) 남성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4117389A1 (ko)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4096280A1 (ko) 포도나무 줄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759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82790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23002.5

Country of ref document: C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759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