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86408A1 -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86408A1
WO2022186408A1 PCT/KR2021/002791 KR2021002791W WO2022186408A1 WO 2022186408 A1 WO2022186408 A1 WO 2022186408A1 KR 2021002791 W KR2021002791 W KR 2021002791W WO 2022186408 A1 WO2022186408 A1 WO 20221864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collecting
face
spac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27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문연
Original Assignee
㈜젠에이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에이치플러스 filed Critical ㈜젠에이치플러스
Publication of WO20221864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864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face-to-face virus collecting mask and a non-face-to-face virus collec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face-to-face virus collecting method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non-face-to-face virus collecting mask and a non-face-to-face virus collecting method using the same, in which the virus is collected by dividing the collecting space from the external space when collected in the collecting space and injecting a reagent into the collecting space.
  • Coronavirus is a virus that can infect humans and various animals. It is an RNA virus with a gene size of 27 to 32 kb, and can be classified into alpha-coronavirus, beta-coronavirus, gamma-coronavirus, and delta-coronavirus.
  • coronavirus is spread through droplets (saliva) generated when coughing or sneezing, and through contact with eyes, nose, and mouth after touching an object contaminated with the Corona 19 virus.
  • the virus is collected by inserting an implant or using a cotton swab for collecting the throat.
  • the DNA gene is amplified using reagents containing monomers, primers, and fluorescent substances from the collected virus to check whether the virus is infected or not. amplify At this time, if the threshold cycle (Cq) value, which means how much the amplification process has been performed, is lower than a certain reference value, it is judged as positive, and if it is high, it is judged negative.
  • Cq threshold cycle
  • the collected virus after the collected virus is placed in a storage container containing a reagent, it can be transferred to an institution that can be tested to measure whether or not infection is present.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put it in a storage container.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xaminer wears the mask with a body for collecting in the mask, and sneezes in this state to produce secretions.
  • the examiner wears the mask with a body for collecting in the mask, and sneezes in this state to produce secretio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face-to-face virus collection mask for collecting secretions caused by sneezing of an examiner, comprising: a mask unit 100 configured to cover the examiner's mouth and nose, and having ear bands on both sides; A collection body 200 tha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unit 100 in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is concavely formed to form a collection surface 210, and the collection surface 210 faces the examiner's face. ); And one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collecting surface 210 of the collecting body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collecting space (S), and the collecting space (S)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isolated from the external space.
  • a mask unit 100 configured to cover the examiner's mouth and nose, and having ear bands on both sides
  • a collection body 200 tha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unit 100 in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is concavely formed to form a collection surface 210, and the collection surface 210 faces th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face-to-face virus collection mask for collecting secretions caused by sneezing of an examiner, configured to cover the examiner's mouth and nose, a collecting groove 110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mask, and an ear band is provided.
  • a mask unit 100 provided on both sides;
  • the collection surface 210 is formed while one surface is concave, and the collection surface 210 side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unit 100 to seal the collection groove 110 for collection.
  • body 200 And one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collecting surface 210 of the collecting body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collecting space (S), and the collecting space (S)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isolated from the external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gent injection unit 400 configured to inject a reagent into the collection space (S)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300 is provided; and a collecting unit 500 configured to collect the reagent discharged through the collecting space S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300 is provided.
  • the collecting body 200 may include: a collecting partition wall 220 protruding from the collecting surface 210 to form a partitioned space in the collecting surface 210 of the collecting body 200; an inlet 23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llecting bulkhead 220 to inject a reagen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llecting bulkhead 220; and an outlet 24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llecting partition 220 to allow the reagent to be discharged from the collecting space (S).
  • the cover 300 includes a base surface 310 facing the collection surface 210 and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upling part 320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surface 310 and to which the sampling partition wall 220 is fitted.
  • the interval between the base surface 310 and the collection surface 210 of the cover 300 is configured to be 1 to 5 mm.
  • the collection body 20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collection surface 210 of the collection space (S) to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cretion collection grooves 250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
  • the interval between the facing surfaces of the cover 300 and the collection surface 210 is configured to be 500 ⁇ 600 ⁇ m.
  •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is pressurized so that the reagent is injected into the collection space S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an examiner who needs to test for coronavirus to mix and transport the reagent while collecting the secretions naturally secreted in the process of sneezing while wearing a mask, collecting a sample is easier and more convenient make it happe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llecting body and the co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non-face-to-face virus collection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llecting body and the co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A;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non-face-to-face virus collection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jection hole 231 injection projection
  • reagent injection unit 410 injection bod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for collecting non-face-to-face viruses,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 examiner wears a mask with a body for collecting in the mask and sneezes in this state to collect secretions in a collecting space, collecting It relates to a non-face-to-face virus collection mask in which virus is collected by dividing the space from the external space and then injecting a reagent into the collection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face-to-face virus collection mask for recollecting secretions caused by sneezing of an examiner, the mask unit 100, the collection body 200, the cover 300, and the reagent inj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unit 400 and a collecting unit 500 .
  • the mask unit 100 is to prevent the secretions contained in the sneeze of the examiner from being dispersed to the outside, and is configured to cover the examiner's mouth and nose, and ear bands are provided on both sides.
  • the mask unit 100 is made of a general quarantine mask that can be worn by the inspecto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rona inspection, and is made of KF80 or KF94 certified, so that when the inspector sneezes, the secretion is external.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dispersion.
  • the collection body 200 is for collecting secretions secreted when sneezing, and one surface is concave to form a collection surface 210 , and the collection surface 210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unit 100 in a state that faces the examiner's face.
  • the other surface of the collection body 200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member such as Velcro, or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unit 100, and for the collection
  • a detachable member such as Velcro
  •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unit 100, and for the collection
  • the collection surface 210 of the body 200 is made to collect secretions, and then the collected secretions must be easily separated, so that the collection surface 210 is formed to have hydrophilicity.
  • the collection surface 210 of the collection body 200 is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a hydrophilic property, or the collection body 200 is made of a hydrophilic material, thereby collecting the collection body 200 .
  • the surface 210 is made to have hydrophilicity.
  • the collection body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llection partition wall 220 , an inlet 230 , and an outlet 240 for smooth collection of viruses contained in secretions.
  • the collecting partition wall 2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llecting surface 210 to form a partitioned space in the collecting surface 210 of the collecting body 200 .
  • the collecting surface 210 of the collecting body 200 is such that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surrounded by the collecting bulkhead 220 are partitioned.
  • the injection port 2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llection partition wall 220 to allow the injection of the reagen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llection partition wall (220).
  • the inlet 23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harvesting bulkhead 220 to the inner space of the harvesting bulkhead 220 to form a penetration so as to communicate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of the collecting bulkhead 220 .
  • the injection hole 230 facilitates the injection of the reagent thereafter, and the injected reagent flows in a dispersed s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llection space S.
  • the injection hole 230 facilitates the injection of the reagent thereafter, and the injected reagent flows in a dispersed s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llection space S.
  • the discharge port 24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220 for collection, so that the reagent is discharged from the collection space (S).
  • the outlet 240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harvesting bulkhead 220 to the inner spac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collecting bulkhead 220 .
  • the outlet 24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bulkhead 220 in order to facilitate the discharge and collection of reagents thereafter, and more preferably, it is provided in a vertically downward state.
  • the inlet 230 and the outlet 240 are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reagent after the collection of secretions.
  • the inlet 230 and the outlet 240 are sealed. It is preferable to make it closed by a stopper.
  • the cover 300 has one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collecting surface 210 of the collecting body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collecting space (S), wherein the collecting space (S) is a space isolated from the external space. It is configured to form a so that it is selectively fastened to the collecting surface 210 of the collecting body 200 .
  • the cover 300 is to prevent the excretory secretions collected by sneezing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ollection surface 210 of the collection body 200, After the examiner sneezes and the secretions are collected, it is fastened to the collection surface 210 of the collection body 200 to configur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ollection space S is isolated from the external space.
  • the cover 300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ase surface 310 and the base surface 310, which face the collecting surface 210 and face-to-face, the base surface 310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bulkhead 2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portion 320 is fitted.
  • the cover 300 should prevent the injected reagent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it flows to the outlet 240 , and the coupling part 320 and the collecting partition wall 220 are in a watertight state. to be coupled by an interference fit so that it can be fastened with
  • the interval D1 between the base surface 310 and the collection surface 210 of the cover 300 is provided to be 1 to 5 mm, so that the Allows reagents to flow easily without external force.
  • the cover 3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artition wall 220 for harvesting, so that one or more incision groov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320 in order to make the separation of the cover 300 easier. can do.
  •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supplies reagents for stabilization and preservation of viruses contained in secretions, and is configured to inject reagents into the collection space S while the cover 300 is provided.
  •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jection body 410 and the injection body 410 made possible to accommodate the reagent therein, and the injection port 230 of the collection body 200 . )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ly unit 420 for injection that allows the reagent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injection body 410 to be supplied to the collection space (S).
  •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lection body 200, so that the injected reagent is supplied in a dispersed s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llection space S, so that the collection of secretions is more smoothly make it happen
  • the collection body 20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jection port 230, and further includes an injection protrusion 231 in which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jection supply unit 420 of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screw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rotrusion 231 .
  • the collection body 200 and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are in a fixed state in a strong state, and as the reagent is supplied in this state, the reagent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and stably enters the collection space (S). allow it to flow in.
  •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further includes an injection lid selectively sealing the injection supply unit 420 , and in a state in which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is not fastened to the injection port 230 , the By sealing the inlet 2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agent contained therein from leaking or the reagent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requirements.
  •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when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collection body 200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llection space S, the reagent falls into the collection space S. It is injected, and at this time, when the injection body 410 is pressed, the reagent can be injected more quickly.
  • the collecting unit 500 is for collecting the mixture of the reagent and secretions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space (S),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collecting space (S)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300 is provided. configured to collect reagents.
  • the collecting unit 5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llecting body 510 and the collecting body 510 to accommodate the mixed solution therein, an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llecting body 200 . and a collection inlet 520 that allows the mixed solution discharged through the collection space S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collection body 510 .
  • the collecting unit 5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body 200 so that the collection of reagents can be made more smoothly.
  • the collecting body 200 further includes a collecting protrusion 241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let 240 , and the collecting inlet 520 of the collecting unit 500 .
  • the inner peripheral diameter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outer peripheral diameter of the collecting protrusion 241 so that the collecting protrusion 241 is press-fitted to the collecting inlet 520 .
  • the collecting unit 500 and the collecting body 200 are fixed in a strong state, and as the mixed solution is collected in this state, the mixed solution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and is stable inside the collecting body 510 . to be captured by
  • the collecting unit 500 further includes a collecting lid for selectively sealing the collecting inlet 520 , and after collecting the mixed solution, the collecting body 510 and the collecting body 200 . After separation, by sealing the inlet 520 for coll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collected mixed solution is leaked or contaminated to the outside.
  • the collecting unit 500 when the collecting unit 500 is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llecting body 200 so that the collecting inlet 52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llecting space S, reagents and secretions The mixed solution passes through the collection inlet 520 and is collected in the injection body 410 .
  • the non-face-to-face virus collection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llects secretions secreted when sneezing so that a corona test can be performed.
  • a mounting step of mounting the collecting body 200 to the mask unit 100 is made, and at this time, the collecting body 200 is the mask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xaminer's mouth. ) to be provided by adjusting it to b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 the examiner wears the mask unit 100 to which the collection body 200 is mounted, and inducing the examiner to sneeze in a worn state to perform a sneezing step in which secretions are collected.
  • Induction of sneezing in this step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which enables appropriate selec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the examiner.
  • a reagent supply step of supplying a reagent to the collection space (S) is performed.
  •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and the collection unit 500 are fastened to the collection body 200 , and then the reagent is injected into the collection space S.
  • a collecting step is performed in which the reagent injected by the reagent supply step is mixed with the secretions while passing through the collecting space (S) and collected by the collecting unit 500 .
  • the reagent injected into the collection space (S) during the reagent supply step moves downward while being disper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separated from the 210 and mixed with the reagent to form a mixed solution, and the mixed solution is discharged to the collecting unit 500 to collect secretions.
  • the secretions are more easily detached from the collecting surface 210 .
  • it can allow the secretion and reagent to be mixed more stably.
  • the collecting body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collecting surface 210 of the collecting space (S).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cretion collection groove 250 extending to the plurality of which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 the secretion collection groove 250 is formed of a groov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recessed inward from the collection surface 210, and a plurality of the secretion collection grooves 250 are formed on the collection surface 210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on space (S). It should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distance D2 between the facing surfaces of the cover 300 and the collecting surface 210 is 500 to 600 ⁇ m, and during the reagent supply step, pressurize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so that the reagent is injected into the collection space (S) with a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 the secretion collection groove 250 when the reagent flows into the collection space (S), it is disper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secretion collection groove 250 and moves downward along the secretion collection groove 250, and in this tube, the secretion collection groove The secretions attached to the 250 are moved downward while being separa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reagent so that they can be collected by the collecting unit 500 .
  • the collecting body 200 may be used in a stat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unit 100 . have.
  • the mask part 100 is configured to cover the examiner's mouth and nose, a groove for collecting 110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ear bands are provided on both sides, and the body 200 for collecting to form a collection surface 210 as one surface is concave, and to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part 100 so that the collection surface 210 side seals the collection groove 110 .
  • the collection body 200 protrude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ncludes an attachment protrusion made detachab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and the collection partition wall 220 is the collection groove 110 . ), as the attachment protrusion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the mask part 100 and the collection body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attachment protrusion may be fastened to the mask unit 100 by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that allow mutual components such as a separate adhesive and Velcro to be detachably attached.
  •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lection partition wall 220 is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collection groove 110 , so that when the secretion is dispersed by sneezing, the secretion is transferred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collection partition wall 220 . Avoid exposing secretions.
  •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and the collection unit 500 are attached to the collection body 200 , and the collection process of the examiner's secretions may be performed.
  • the collection body 200 is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unit 100 in a state in which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and the collection unit 500 are fastened to the collection body 200 .
  • the cover 300 is fastened, and then,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is pressed immediately to inject the reagent into the collection space (S). After that,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mixture of reagents and secretions is made sequentially.
  • the reagent injection unit 40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reagent contained therein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injection supply unit 420 unless the injection body 410 is pressuriz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부에 채취용 몸체를 구비한 상태로 검사자가 마스크부를 착용하고, 이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채취공간에 수집되면, 채취공간을 외부공간과 구획한 뒤, 채취공간으로 시약을 주입함으로써, 바이러스의 포집이 이루어지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본 발명은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부에 채취용 몸체를 구비한 상태로 검사자가 마스크부를 착용하고, 이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채취공간에 수집되면, 채취공간을 외부공간과 구획한 뒤, 채취공간으로 시약을 주입함으로써, 바이러스의 포집이 이루어지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에 대한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서 유전자 크기 27~32kb의 RNA 바이러스로, 알파-코로나 바이러스, 베타-코로나 바이러스, 감마-코로나 바이러스, 델타-코로나 바이러스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긴 비말(침방울)을 통한 전파,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만진 뒤 눈, 코, 입의 접촉을 통한 전파를 통해 전파된다고 알려지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환자 또는 의심환자가 마스크를 벗은 상태에서, 콧속이나 목 뒤 깊숙이 채취용 면봉을 삽입하여 바이러스를 채취하거나 인후를 채취용 면봉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채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콧속을 검사할 경우, 코피 발생, 깊이 측정, 검체양 부족 등으로 오진이 발생될 수 있고, 인후를 검사할 경우, 구역감, 검체양 부족, 면봉오염으로 인한 오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모두 마스크를 벗고 검사하기 때문에 재채기를 통해 의료진 감염이 발생될 수 있다.
이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채취한 바이러스를 모노머, 프라이머, 형광체 등이 포함된 시약을 이용하여 DNA 유전자를 증폭시켜 코로나-19 바이러스에만 나타나는 특이한 DNA 부위에 달라붙어서 해당 DNA를 증폭시킨다. 이때 증폭 과정을 얼마나 거쳤는지 의미하는 역치 사이클(Cq) 값이 일정 기준값 보다 낮으면 양성, 높으면 음성으로 판정하는데, 이때 측정하는 방법은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한다.
상기 방법은 채취한 바이러스를 시약이 담겨 있는 보관용기에 담은 후, 검사할 수 있는 기관에 이송하여 감염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때 기관에 이송하는 시간이 소요되고, 채취한 바이러스를 시약이 담겨있는 보관용기에 담아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스크부에 채취용 몸체를 구비한 상태로 검사자가 마스크부를 착용하고, 이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채취공간에 수집되면, 채취공간을 외부공간과 구획한 뒤, 채취공간으로 시약을 주입함으로써, 바이러스의 포집이 이루어지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검사자의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을 채취하기 위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있어서,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된 마스크부(100);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이 상기 검사자의 안면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채취용 몸체(200); 및 일면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채취공간(S)을 형성하되, 상기 채취공간(S)이 외부 공간과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커버(300);를 포함하며, 검사자가 마스크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상기 채취공간(S)에 수집되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여 바이러스를 포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은 검사자의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을 채취하기 위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있어서,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중심부에 채취용 홈(110)이 관통 형성되며,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되는 마스크부(100);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측이 상기 채취용 홈(110)을 밀폐하도록 상기 마스크부(100)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채취용 몸체(200); 및 일면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채취공간(S)을 형성하되, 상기 채취공간(S)이 외부 공간과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커버(300);를 포함하며, 검사자가 마스크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상기 채취공간(S)에 수집되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여 바이러스를 포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시약 주입부(400); 및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시약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포집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집면(2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채취용 격벽(220);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공간으로 시약의 주입이 이루어지게 하는 주입구(230); 및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공간(S)으로부터 시약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배출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집면(210)과 면대향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베이스면(310); 및 상기 베이스면(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채취용 격벽(220)이 끼움 체결되는 결합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300)의 베이스면(310)과 수집면(210) 사이의 간격은, 1 ~ 5mm가 되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채취공간(S)의 수집면(21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가 폭방향으로 나열 구비되는 분비물 수집홈(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300)와 수집면(210)의 마주보는 면간의 사이 간격은, 500 ~ 600㎛가 되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시약의 주입시, 상기 시약 주입부(400)를 가압하여 소정의 유압을 갖는 상태로 시약이 채취공간(S)으로 주입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취용 몸체(200)를 상기 마스크부(100)에 장착하는 장착단계; 상기 장착단계이후, 검사자가 마스크부(100)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도록 유도하는 재채기 단계; 상기 재채기 단계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커버(300)를 체결하는 채취공간 격리단계; 상기 채취공간 격리단계 이후,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공급하는 시약 공급단계; 상기 시약 공급단계에 의해 주입된 시약이 채취공간(S)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분비물과 혼합되어 상기 포집부(500)로 배출 수거되는 포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의 검사가 필요한 검사자가 마스크부를 착용하고 재채기를 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분비물을 포집함과 동시에 시약을 혼합하여 운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검체의 채취가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검사자의 분비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격리된 환경에서 수집될 수 있게 함으로써, 검체를 포집하는 의료원의 2차, 3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채취용 몸체와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의 세로방향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채취용 몸체와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 : 마스크부 110 : 채취용 홈
200 : 채취용 몸체 210 : 수집면
220 : 채취용 격벽
230 : 주입구 231 : 주입돌기
240 : 배출구 241 : 포집돌기
250 : 분비물 수집홈
300 : 커버 310 : 베이스면
320 : 결합부
400 : 시약 주입부 410 : 주입용 몸체
420 : 주입용 공급부
500 : 포집부 510 ; 포집용 몸체
520 : 포집용 유입부
S : 채취공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부에 채취용 몸체를 구비한 상태로 검사자가 마스크부를 착용하고, 이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채취공간에 수집되면, 채취공간을 외부공간과 구획한 뒤, 채취공간으로 시약을 주입함으로써, 바이러스의 포집이 이루어지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검사자의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을 재취하기 위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부(100), 채취용 몸체(200), 커버(300), 시약 주입부(400) 및 포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부(100)는 검사자의 재채기에 포함된 분비물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마스크부(100)는 검사자가 착용 가능한 일반적인 방역용 마스크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은 코로나 검사를 위한 것인 바, KF80 또는 KF94 인증을 받은 것으로 이루어져, 검사자의 재채기시, 분비물이 외부로 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재채기시 분비되는 분비물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이 상기 검사자의 안면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술하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타면에는 벨크로 등의 탈부착 부재가 구비되거나, 접착제 등의 접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은 분비물의 수집이 이루어지되, 이후 수집된 분비물이 쉽게 분리되어야 하는 바, 상기 수집면(210)은 친수성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는 친수성을 갖는 재질이 코팅되거나, 상기 채취용 몸체(200)가 친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이 친수성을 갖도록 한다.
이때,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분비물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원활한 수집을 위해 채취용 격벽(220), 주입구(230) 및 배출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채취용 격벽(220)은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집면(2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술하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은 상기 채취용 격벽(220)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구획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주입구(230)는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공간으로 시약의 주입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주입구(230)는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일측에서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공간까지 연장되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주입구(230)는 이후 시약의 주입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되, 주입된 시약이 상기 채취공간(S)의 좌우방향으로 분산된 상태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상단측에 구비되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직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출구(240)는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공간(S)으로부터 시약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배출구(240)는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타측에서 상기 채취용 격벽(220)이 내부공간까지 연장되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240)는 이후, 시약의 배출 및 포집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하단측에 구비되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직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주입구(230)와 배출구(240)는 추후, 분비물의 수집 이후 시약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것인 바,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의 수집시, 상기 주입구(230)와 배출구(240)는 밀폐 마개에 의해 밀폐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300)는 일면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채취공간(S)을 형성하되, 상기 채취공간(S)이 외부 공간과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커버(300)는 재채기에 의해 수집된 검사자의 분비물이 외부환경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검사자가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수집된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체결되어 상기 채취공간(S)이 외부공간과 격리된 환경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집면(210)과 면대향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베이스면(310) 및 상기 베이스면(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채취용 격벽(220)이 끼움 체결되는 결합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300)는 이후 주입된 시약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배출구(240)로 유동되도록 해야하는 바, 상기 결합부(320)와 상기 채취용 격벽(220)는 수밀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의 베이스면(310)과 수집면(210) 사이의 간격(D1)은 1 ~ 5mm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유입된 시약이 별도의 외력 없이도 쉽게 유동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커버(300)는 상기 채취용 격벽(2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커버(300)의 분리가 더욱 쉽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320)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커버(300)가 상기 채취용 격벽(220)에 체결되면, 상기 커버(300), 수집면(210), 채취용 격벽(220)에 의해 외부환경과 분리된 채취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채취공간(S)에 묻은 분비물이 외부환경에 의해 오염되거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분비물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안정화 및 보존을 위한 시약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내부에 시약의 수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주입용 몸체(410) 및 상기 주입용 몸체(4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주입구(230)에 결합되며, 상기 주입용 몸체(410)의 내부에 수용된 시약이 상기 채취공간(S)으로 공급되게 하는 주입용 공급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상단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주입된 시약이 채취공간(S)의 좌우방향으로 분산된 상태로 공급되어 분비물의 포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주입구(230)의 외주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주입돌기(23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입용 공급부(4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돌기(231)에 삽입된 상태로 나사 체결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채취용 몸체(200)와 시약 주입부(400)가 강건한 상태로 고정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시약이 공급됨에 따라 시약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상기 채취공간(S)으로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상기 주입용 공급부(420)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주입용 뚜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약 주입부(400)가 상기 주입구(230)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주입구(230)를 밀폐하여 내부에 수용된 시약이 누출되거나 시약이 외부 요건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상기 채취공간(S)과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일측에 체결되도록 하면, 시약이 상기 채취공간(S)으로 낙하되면서 주입되고, 이때, 상기 주입용 몸체(410)를 가압하게 되면, 더욱 빠르게 시약의 주입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포집부(500)는 상기 채취공간(S)으로 유입된 시약과 분비물의 혼합액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시약을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하면, 상기 포집부(500)는 내부에 상기 혼합액의 수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포집용 몸체(510) 및 상기 포집용 몸체(5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채취공간(S)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혼합액이 상기 포집용 몸체(51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포집용 유입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집부(500)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하단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시약의 포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배출구(240)의 외주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포집돌기(2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500)의 포집용 유입부(520)의 내주 직경은 상기 포집돌기(241)의 외주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포집돌기(241)가 상기 포집용 유입부(520)에 억지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포집부(500)와 채취용 몸체(200)는 강건한 상태로 고정되며, 이 상태로 혼합액을 수집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혼합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상기 포집용 몸체(510)의 내부로 안정적으로 포집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포집부(500)는 상기 포집용 유입부(520)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포집용 뚜껑을 더 포함하며, 혼합액의 포집 이후, 상기 포집용 몸체(510)와 채취용 몸체(200)를 분리한 뒤, 상기 포집용 유입부(520)를 밀폐함으로써, 수집된 혼합액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포집부(500)는 상기 포집용 유입부(520)가 상기 채취공간(S)과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타측에 체결되면, 시약과 분비물이 혼합된 혼합액이 상기 포집용 유입부(520)를 통과하여 주입용 몸체(410)에 포집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는 재채기시 분비되는 분비물을 포집하여 코로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술하면, 먼저 상기 채취용 몸체(200)를 상기 마스크부(100)에 장착하는 장착단계가 이루어지게 하는데, 이때,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검사자의 입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구비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가 장착된 마스크부(100)를 검사자가 착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착용한 상태에서 검사자가 재채기를 하도록 유도하여 분비물의 수집이 이루어지는 재채기 단계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 단계에서 재채기의 유도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검사자의 체질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검사자가 재채기를 하게 되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분비물의 부착되는데,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커버(300)를 체결하여 상기 채취공간(S)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채취공간 격리단계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후,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공급하는 시약 공급단계가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상기 시약 공급단계에서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시약 주입부(400)와 포집부(500)를 체결한 뒤,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시약 공급단계에 의해 주입된 시약이 상기 채취공간(S)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분비물과 혼합되어 상기 포집부(500)로 수거되는 포집단계가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상기 시약 공급단계시 상기 채취공간(S)으로 주입된 시약은 좌우방향으로 분산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시약의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집면(210)에 부착된 분비물은 수집면(210)으로부터 분리되어 시약과 혼합되면서 혼합액이 형성되며, 상기 혼합액은 상기 포집부(500)로 배출됨에 따라 분비물의 포집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후, 상기 포집부(500)를 채취용 몸체(200)로부터 분리하여 이를 밀폐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포집단계에서는 상기 시약이 채취공간(S)으로 주입된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를 흔들어서 수집면(210)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분비물이 수집면(210)으로부터 더욱 쉽게 탈리될 수 있게 하되, 분비물과 시약이 더욱 안정적으로 혼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제 2실시 예에 따르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채취공간(S)의 수집면(21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가 폭방향으로 나열 구비되는 분비물 수집홈(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은 상기 수집면(210)에서 내측으로 패인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채취공간(S)에 대응되는 수집면(210) 상에 복수 개가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구비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검사자가 채채기를 하게 되면, 크고 작은 분비물이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으로 삽입 부착되고, 이는 소정의 시간이 지나거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으로부터 탈리되거나 증발되지 못하고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분비물의 수집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채취공간(S)으로 유입된 시약은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으로 유입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채취용 몸체(2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와 수집면(210)의 마주보는 면간의 사이 간격(D2)이 500 ~ 600㎛가 되도록 구성하고, 시약의 공급단계시, 상기 시약 주입부(400)를 가압하여 소정의 유압을 갖는 상태로 시약이 채취공간(S)으로 주입되게 한다.
이에 따라 시약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유입되면,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분산되면서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관에서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에 부착된 분비물이 시약의 유압에 의해 분리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포집부(500)로 포집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제 2부착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마스크부(100)의 외측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마스크부(100)는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중심부에 채취용 홈(110)이 관통 형성되며,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측이 상기 채취용 홈(110)을 밀폐하도록 상기 마스크부(100)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둘레를 따라 돌출되되, 상기 마스크의 외측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진 부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채취용 격벽(220)이 상기 채취용 홈(110)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부착돌기가 상기 마스크의 외측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부(100)와 채취용 몸체(200)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부착돌기는 별도의 접착제, 벨크로 등의 상호 구성이 탈부착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물리적 및 화학적 방법에 의해 상기 마스크부(100)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채취용 격벽(220)에 의한 내부공간이 상기 채취용 홈(110)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의 분산시, 분비물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외부공간에 분비물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시약 주입부(400)와 포집부(500)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부착된 상태로 검사자의 분비물의 채취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하면, 장착단계시,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시약 주입부(400)와 포집부(500)를 체결한 상태로 상기 채취용 몸체(200)를 상기 마스크부(100)의 외측면에 부착하고, 이 상태로 검사자가 마스크부(100)를 착용하여 재채기를 한 뒤, 커버(300)를 체결하며, 이후, 바로 시약 주입부(400)를 가압하여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한 뒤, 시약과 분비물의 혼합액을 포집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주입용 몸체(410)를 가압하지 않는 한, 내부에 수용된 시약이 주입용 공급부(42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10)

  1. 검사자의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을 채취하기 위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있어서,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된 마스크부(100);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이 상기 검사자의 안면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채취용 몸체(200); 및
    일면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채취공간(S)을 형성하되, 상기 채취공간(S)이 외부 공간과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커버(300);
    를 포함하며,
    검사자가 마스크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상기 채취공간(S)에 수집되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여 바이러스를 포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2. 검사자의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을 채취하기 위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있어서,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중심부에 채취용 홈(110)이 관통 형성되며,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되는 마스크부(100);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측이 상기 채취용 홈(110)을 밀폐하도록 상기 마스크부(100)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채취용 몸체(200); 및
    일면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채취공간(S)을 형성하되, 상기 채취공간(S)이 외부 공간과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커버(300);
    를 포함하며,
    검사자가 마스크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상기 채취공간(S)에 수집되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여 바이러스를 포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시약 주입부(400); 및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시약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포집부(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집면(2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채취용 격벽(220);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공간으로 시약의 주입이 이루어지게 하는 주입구(230); 및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공간(S)으로부터 시약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배출구(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집면(210)과 면대향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베이스면(310); 및
    상기 베이스면(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채취용 격벽(220)이 끼움 체결되는 결합부(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의 베이스면(310)과 수집면(210) 사이의 간격은,
    1 ~ 5mm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채취공간(S)의 수집면(21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가 폭방향으로 나열 구비되는 분비물 수집홈(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와 수집면(210)의 마주보는 면간의 사이 간격은,
    500 ~ 600㎛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시약의 주입시, 상기 시약 주입부(400)를 가압하여 소정의 유압을 갖는 상태로 시약이 채취공간(S)으로 주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취용 몸체(200)를 상기 마스크부(100)에 장착하는 장착단계;
    상기 장착단계이후, 검사자가 마스크부(100)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도록 유도하는 재채기 단계;
    상기 재채기 단계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커버(300)를 체결하는 채취공간 격리단계;
    상기 채취공간 격리단계 이후,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공급하는 시약 공급단계;
    상기 시약 공급단계에 의해 주입된 시약이 채취공간(S)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분비물과 혼합되어 포집부(500)로 배출 수거되는 포집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PCT/KR2021/002791 2021-03-03 2021-03-08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WO202218640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195 2021-03-03
KR1020210028195A KR102295044B1 (ko) 2021-03-03 2021-03-03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6408A1 true WO2022186408A1 (ko) 2022-09-09

Family

ID=7750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2791 WO2022186408A1 (ko) 2021-03-03 2021-03-08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5044B1 (ko)
WO (1) WO202218640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9567A1 (en) * 2006-01-25 2007-08-30 Kanzer Steve H Droplet collection devices and methods to detect and control airborne communicable diseases utilizing rfid
JP2008119552A (ja) * 2008-02-27 2008-05-29 Kochikai ウイルス採取具
US20100087749A1 (en) * 2007-01-31 2010-04-08 Euan Roger Tovey Collection Device for Sampling Exhaled Airstreams
US20180250537A1 (en) * 2017-03-03 2018-09-06 Waterford Mask Systems Inc. Facemask with Pleated Filter and Continuous Strap
CN111537722A (zh) * 2020-05-07 2020-08-14 北京国科融智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呼吸道病毒样本采集与检测一体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512A (ko) 2017-11-30 2019-06-10 윤현규 리얼타임 pcr을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 검사 키트 및 방법
KR102018201B1 (ko) 2019-05-01 2019-09-06 대한민국 리얼타임 pcr을 이용한 박쥐 유래 코로나바이러스 검사 키트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9567A1 (en) * 2006-01-25 2007-08-30 Kanzer Steve H Droplet collection devices and methods to detect and control airborne communicable diseases utilizing rfid
US20100087749A1 (en) * 2007-01-31 2010-04-08 Euan Roger Tovey Collection Device for Sampling Exhaled Airstreams
JP2008119552A (ja) * 2008-02-27 2008-05-29 Kochikai ウイルス採取具
US20180250537A1 (en) * 2017-03-03 2018-09-06 Waterford Mask Systems Inc. Facemask with Pleated Filter and Continuous Strap
CN111537722A (zh) * 2020-05-07 2020-08-14 北京国科融智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呼吸道病毒样本采集与检测一体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044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32546A1 (ko) 핵산 추출용 카트리지
WO2011049267A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WO2017150845A1 (ko) 커버체 및 이를 구비한 약액 주입 장치
WO2016186272A1 (ko)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WO2010131880A2 (ko) 분리가능한 원심분리기용 시험관
WO2019151705A1 (ko) 원심분리용 피스톤
WO2019132405A1 (ko) 핵산 추출용 카트리지의 유로 구조
WO2016190526A1 (ko) 주사기용 필터 주사바늘 조립체
WO2022186408A1 (ko)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WO2017164528A1 (ko) 필터 주사기
WO2017209378A1 (ko) 약액 주사용 기기의 외캡
WO2017099357A1 (ko) 피펫이 포함된 시료 채취용 용기 조립체
WO2021066506A1 (ko)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WO2020071715A1 (ko) 핵산 추출 방법 및 카트리지
WO2021033864A1 (ko) 신체 부착형 생체 모니터링 장치의 멸균 포장 방법
WO2015163688A1 (ko) 세포 도말 장치 및 세포 도말 방법
WO2017179919A1 (ko)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WO2019050091A1 (ko)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20210121672A (ko) 초간편 바이러스 자가 검체 채취 및 확인 스루 키트
WO2022030747A1 (ko) 스페로이드 제너레이터, 스페로이드 배양키트 및 스페로이드 배양방법
WO2021194017A1 (en) Button-type cosmetic container
WO2022255658A1 (ko) 검체 채취 및 보관용 용기
WO2022050569A1 (ko)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WO2022025668A1 (en) Cartridge for sample processing
WO2020213860A1 (ko) 스포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292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8/01/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