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044B1 -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044B1
KR102295044B1 KR1020210028195A KR20210028195A KR102295044B1 KR 102295044 B1 KR102295044 B1 KR 102295044B1 KR 1020210028195 A KR1020210028195 A KR 1020210028195A KR 20210028195 A KR20210028195 A KR 20210028195A KR 102295044 B1 KR102295044 B1 KR 102295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collection
face
mas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연
Original Assignee
(주)젠에이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에이치플러스 filed Critical (주)젠에이치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2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044B1/ko
Priority to PCT/KR2021/002791 priority patent/WO202218640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부에 채취용 몸체를 구비한 상태로 검사자가 마스크부를 착용하고, 이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채취공간에 수집되면, 채취공간을 외부공간과 구획한 뒤, 채취공간으로 시약을 주입함으로써, 바이러스의 포집이 이루어지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Mask for collecting non-face-to-face virus and method for collecting non-face-to-face vir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부에 채취용 몸체를 구비한 상태로 검사자가 마스크부를 착용하고, 이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채취공간에 수집되면, 채취공간을 외부공간과 구획한 뒤, 채취공간으로 시약을 주입함으로써, 바이러스의 포집이 이루어지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에 대한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서 유전자 크기 27~32kb의 RNA 바이러스로, 알파-코로나 바이러스, 베타-코로나 바이러스, 감마-코로나 바이러스, 델타-코로나 바이러스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긴 비말(침방울)을 통한 전파,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만진 뒤 눈, 코, 입의 접촉을 통한 전파를 통해 전파된다고 알려지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환자 또는 의심환자가 마스크를 벗은 상태에서, 콧속이나 목 뒤 깊숙이 채취용 면봉을 삽입하여 바이러스를 채취하거나 인후를 채취용 면봉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채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콧속을 검사할 경우, 코피 발생, 깊이 측정, 검체양 부족 등으로 오진이 발생될 수 있고, 인후를 검사할 경우, 구역감, 검체양 부족, 면봉오염으로 인한 오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모두 마스크를 벗고 검사하기 때문에 재채기를 통해 의료진 감염이 발생될 수 있다.
이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채취한 바이러스를 모노머, 프라이머, 형광체 등이 포함된 시약을 이용하여 DNA 유전자를 증폭시켜 코로나-19 바이러스에만 나타나는 특이한 DNA 부위에 달라붙어서 해당 DNA를 증폭시킨다. 이때 증폭 과정을 얼마나 거쳤는지 의미하는 역치 사이클(Cq) 값이 일정 기준값 보다 낮으면 양성, 높으면 음성으로 판정하는데, 이때 측정하는 방법은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한다.
상기 방법은 채취한 바이러스를 시약이 담겨 있는 보관용기에 담은 후, 검사할 수 있는 기관에 이송하여 감염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때 기관에 이송하는 시간이 소요되고, 채취한 바이러스를 시약이 담겨있는 보관용기에 담아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3512호 2019.06.10. 등록특허공보 제10-2018201호 2019.08.29.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스크부에 채취용 몸체를 구비한 상태로 검사자가 마스크부를 착용하고, 이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채취공간에 수집되면, 채취공간을 외부공간과 구획한 뒤, 채취공간으로 시약을 주입함으로써, 바이러스의 포집이 이루어지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검사자의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을 채취하기 위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있어서,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된 마스크부(100);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이 상기 검사자의 안면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채취용 몸체(200); 및 일면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채취공간(S)을 형성하되, 상기 채취공간(S)이 외부 공간과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커버(300);를 포함하며, 검사자가 마스크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상기 채취공간(S)에 수집되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여 바이러스를 포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은 검사자의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을 채취하기 위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있어서,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중심부에 채취용 홈(110)이 관통 형성되며,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되는 마스크부(100);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측이 상기 채취용 홈(110)을 밀폐하도록 상기 마스크부(100)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채취용 몸체(200); 및 일면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채취공간(S)을 형성하되, 상기 채취공간(S)이 외부 공간과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커버(300);를 포함하며, 검사자가 마스크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상기 채취공간(S)에 수집되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여 바이러스를 포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시약 주입부(400); 및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시약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포집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집면(2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채취용 격벽(220);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공간으로 시약의 주입이 이루어지게 하는 주입구(230); 및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공간(S)으로부터 시약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배출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집면(210)과 면대향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베이스면(310); 및 상기 베이스면(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채취용 격벽(220)이 끼움 체결되는 결합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300)의 베이스면(310)과 수집면(210) 사이의 간격은, 1 ~ 5mm가 되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채취공간(S)의 수집면(21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가 폭방향으로 나열 구비되는 분비물 수집홈(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300)와 수집면(210)의 마주보는 면간의 사이 간격은, 500 ~ 600㎛가 되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시약의 주입시, 상기 시약 주입부(400)를 가압하여 소정의 유압을 갖는 상태로 시약이 채취공간(S)으로 주입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취용 몸체(200)를 상기 마스크부(100)에 장착하는 장착단계; 상기 장착단계이후, 검사자가 마스크부(100)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도록 유도하는 재채기 단계; 상기 재채기 단계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커버(300)를 체결하는 채취공간 격리단계; 상기 채취공간 격리단계 이후,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공급하는 시약 공급단계; 상기 시약 공급단계에 의해 주입된 시약이 채취공간(S)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분비물과 혼합되어 상기 포집부(500)로 배출 수거되는 포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의 검사가 필요한 검사자가 마스크부를 착용하고 재채기를 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분비물을 포집함과 동시에 시약을 혼합하여 운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검체의 채취가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검사자의 분비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격리된 환경에서 수집될 수 있게 함으로써, 검체를 포집하는 의료원의 2차, 3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채취용 몸체와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의 세로방향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채취용 몸체와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의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부에 채취용 몸체를 구비한 상태로 검사자가 마스크부를 착용하고, 이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채취공간에 수집되면, 채취공간을 외부공간과 구획한 뒤, 채취공간으로 시약을 주입함으로써, 바이러스의 포집이 이루어지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검사자의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을 재취하기 위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부(100), 채취용 몸체(200), 커버(300), 시약 주입부(400) 및 포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부(100)는 검사자의 재채기에 포함된 분비물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마스크부(100)는 검사자가 착용 가능한 일반적인 방역용 마스크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은 코로나 검사를 위한 것인 바, KF80 또는 KF94 인증을 받은 것으로 이루어져, 검사자의 재채기시, 분비물이 외부로 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재채기시 분비되는 분비물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이 상기 검사자의 안면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술하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타면에는 벨크로 등의 탈부착 부재가 구비되거나, 접착제 등의 접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은 분비물의 수집이 이루어지되, 이후 수집된 분비물이 쉽게 분리되어야 하는 바, 상기 수집면(210)은 친수성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는 친수성을 갖는 재질이 코팅되거나, 상기 채취용 몸체(200)가 친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이 친수성을 갖도록 한다.
이때,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분비물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원활한 수집을 위해 채취용 격벽(220), 주입구(230) 및 배출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채취용 격벽(220)은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집면(2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술하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은 상기 채취용 격벽(220)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구획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주입구(230)는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공간으로 시약의 주입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주입구(230)는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일측에서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공간까지 연장되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주입구(230)는 이후 시약의 주입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되, 주입된 시약이 상기 채취공간(S)의 좌우방향으로 분산된 상태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상단측에 구비되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직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출구(240)는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공간(S)으로부터 시약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배출구(240)는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타측에서 상기 채취용 격벽(220)이 내부공간까지 연장되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240)는 이후, 시약의 배출 및 포집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하단측에 구비되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직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주입구(230)와 배출구(240)는 추후, 분비물의 수집 이후 시약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것인 바,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의 수집시, 상기 주입구(230)와 배출구(240)는 밀폐 마개에 의해 밀폐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300)는 일면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채취공간(S)을 형성하되, 상기 채취공간(S)이 외부 공간과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커버(300)는 재채기에 의해 수집된 검사자의 분비물이 외부환경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검사자가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수집된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체결되어 상기 채취공간(S)이 외부공간과 격리된 환경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집면(210)과 면대향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베이스면(310) 및 상기 베이스면(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채취용 격벽(220)이 끼움 체결되는 결합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300)는 이후 주입된 시약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배출구(240)로 유동되도록 해야하는 바, 상기 결합부(320)와 상기 채취용 격벽(220)는 수밀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의 베이스면(310)과 수집면(210) 사이의 간격(D1)은 1 ~ 5mm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유입된 시약이 별도의 외력 없이도 쉽게 유동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커버(300)는 상기 채취용 격벽(2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커버(300)의 분리가 더욱 쉽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320)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커버(300)가 상기 채취용 격벽(220)에 체결되면, 상기 커버(300), 수집면(210), 채취용 격벽(220)에 의해 외부환경과 분리된 채취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채취공간(S)에 묻은 분비물이 외부환경에 의해 오염되거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분비물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안정화 및 보존을 위한 시약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내부에 시약의 수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주입용 몸체(410) 및 상기 주입용 몸체(4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주입구(230)에 결합되며, 상기 주입용 몸체(410)의 내부에 수용된 시약이 상기 채취공간(S)으로 공급되게 하는 주입용 공급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상단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주입된 시약이 채취공간(S)의 좌우방향으로 분산된 상태로 공급되어 분비물의 포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주입구(230)의 외주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주입돌기(23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입용 공급부(4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돌기(231)에 삽입된 상태로 나사 체결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채취용 몸체(200)와 시약 주입부(400)가 강건한 상태로 고정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시약이 공급됨에 따라 시약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상기 채취공간(S)으로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상기 주입용 공급부(420)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주입용 뚜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약 주입부(400)가 상기 주입구(230)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주입구(230)를 밀폐하여 내부에 수용된 시약이 누출되거나 시약이 외부 요건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상기 채취공간(S)과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일측에 체결되도록 하면, 시약이 상기 채취공간(S)으로 낙하되면서 주입되고, 이때, 상기 주입용 몸체(410)를 가압하게 되면, 더욱 빠르게 시약의 주입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포집부(500)는 상기 채취공간(S)으로 유입된 시약과 분비물의 혼합액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시약을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하면, 상기 포집부(500)는 내부에 상기 혼합액의 수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포집용 몸체(510) 및 상기 포집용 몸체(5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채취공간(S)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혼합액이 상기 포집용 몸체(51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포집용 유입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집부(500)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하단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시약의 포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배출구(240)의 외주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포집돌기(2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500)의 포집용 유입부(520)의 내주 직경은 상기 포집돌기(241)의 외주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포집돌기(241)가 상기 포집용 유입부(520)에 억지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포집부(500)와 채취용 몸체(200)는 강건한 상태로 고정되며, 이 상태로 혼합액을 수집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혼합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상기 포집용 몸체(510)의 내부로 안정적으로 포집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포집부(500)는 상기 포집용 유입부(520)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포집용 뚜껑을 더 포함하며, 혼합액의 포집 이후, 상기 포집용 몸체(510)와 채취용 몸체(200)를 분리한 뒤, 상기 포집용 유입부(520)를 밀폐함으로써, 수집된 혼합액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포집부(500)는 상기 포집용 유입부(520)가 상기 채취공간(S)과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타측에 체결되면, 시약과 분비물이 혼합된 혼합액이 상기 포집용 유입부(520)를 통과하여 주입용 몸체(410)에 포집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는 재채기시 분비되는 분비물을 포집하여 코로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술하면, 먼저 상기 채취용 몸체(200)를 상기 마스크부(100)에 장착하는 장착단계가 이루어지게 하는데, 이때,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검사자의 입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구비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가 장착된 마스크부(100)를 검사자가 착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착용한 상태에서 검사자가 재채기를 하도록 유도하여 분비물의 수집이 이루어지는 재채기 단계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 단계에서 재채기의 유도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검사자의 체질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검사자가 재채기를 하게 되면,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분비물의 부착되는데,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커버(300)를 체결하여 상기 채취공간(S)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채취공간 격리단계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후,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공급하는 시약 공급단계가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상기 시약 공급단계에서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시약 주입부(400)와 포집부(500)를 체결한 뒤,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시약 공급단계에 의해 주입된 시약이 상기 채취공간(S)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분비물과 혼합되어 상기 포집부(500)로 수거되는 포집단계가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상기 시약 공급단계시 상기 채취공간(S)으로 주입된 시약은 좌우방향으로 분산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시약의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집면(210)에 부착된 분비물은 수집면(210)으로부터 분리되어 시약과 혼합되면서 혼합액이 형성되며, 상기 혼합액은 상기 포집부(500)로 배출됨에 따라 분비물의 포집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후, 상기 포집부(500)를 채취용 몸체(200)로부터 분리하여 이를 밀폐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포집단계에서는 상기 시약이 채취공간(S)으로 주입된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를 흔들어서 수집면(210)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분비물이 수집면(210)으로부터 더욱 쉽게 탈리될 수 있게 하되, 분비물과 시약이 더욱 안정적으로 혼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제 2실시 예에 따르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채취공간(S)의 수집면(21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가 폭방향으로 나열 구비되는 분비물 수집홈(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은 상기 수집면(210)에서 내측으로 패인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채취공간(S)에 대응되는 수집면(210) 상에 복수 개가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구비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검사자가 채채기를 하게 되면, 크고 작은 분비물이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으로 삽입 부착되고, 이는 소정의 시간이 지나거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으로부터 탈리되거나 증발되지 못하고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분비물의 수집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채취공간(S)으로 유입된 시약은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으로 유입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채취용 몸체(2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와 수집면(210)의 마주보는 면간의 사이 간격(D2)이 500 ~ 600㎛가 되도록 구성하고, 시약의 공급단계시, 상기 시약 주입부(400)를 가압하여 소정의 유압을 갖는 상태로 시약이 채취공간(S)으로 주입되게 한다.
이에 따라 시약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유입되면,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분산되면서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관에서 상기 분비물 수집홈(250)에 부착된 분비물이 시약의 유압에 의해 분리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포집부(500)로 포집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제 2부착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마스크부(100)의 외측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마스크부(100)는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중심부에 채취용 홈(110)이 관통 형성되며,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측이 상기 채취용 홈(110)을 밀폐하도록 상기 마스크부(100)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둘레를 따라 돌출되되, 상기 마스크의 외측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진 부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채취용 격벽(220)이 상기 채취용 홈(110)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부착돌기가 상기 마스크의 외측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부(100)와 채취용 몸체(200)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부착돌기는 별도의 접착제, 벨크로 등의 상호 구성이 탈부착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물리적 및 화학적 방법에 의해 상기 마스크부(100)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채취용 격벽(220)에 의한 내부공간이 상기 채취용 홈(110)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의 분산시, 분비물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외부공간에 분비물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시약 주입부(400)와 포집부(500)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부착된 상태로 검사자의 분비물의 채취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하면, 장착단계시,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시약 주입부(400)와 포집부(500)를 체결한 상태로 상기 채취용 몸체(200)를 상기 마스크부(100)의 외측면에 부착하고, 이 상태로 검사자가 마스크부(100)를 착용하여 재채기를 한 뒤, 커버(300)를 체결하며, 이후, 바로 시약 주입부(400)를 가압하여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한 뒤, 시약과 분비물의 혼합액을 포집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시약 주입부(400)는 주입용 몸체(410)를 가압하지 않는 한, 내부에 수용된 시약이 주입용 공급부(42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마스크부 110 : 채취용 홈
200 : 채취용 몸체 210 : 수집면
220 : 채취용 격벽
230 : 주입구 231 : 주입돌기
240 : 배출구 241 : 포집돌기
250 : 분비물 수집홈
300 : 커버 310 : 베이스면
320 : 결합부
400 : 시약 주입부 410 : 주입용 몸체
420 : 주입용 공급부
500 : 포집부 510 ; 포집용 몸체
520 : 포집용 유입부
S : 채취공간

Claims (10)

  1. 검사자의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을 채취하기 위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있어서,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된 마스크부(100);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이 상기 검사자의 안면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채취용 몸체(200);
    일면이 상기 수집면(210)과 대향된 상태로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외부 공간과 격리된 채취공간(S)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커버(300); 및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시약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포집부(500);
    를 포함하며,
    검사자가 마스크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수집되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여 바이러스를 포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2. 검사자의 재채기에 의한 분비물을 채취하기 위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에 있어서,
    검사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구성되되, 중심부에 채취용 홈(110)이 관통 형성되며, 이어밴드가 양측면에 구비되는 마스크부(100);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수집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면(210)측이 상기 채취용 홈(110)을 밀폐하도록 상기 마스크부(100)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채취용 몸체(200); 및
    일면이 상기 수집면(210)과 대향된 상태로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외부 공간과 격리된 채취공간(S)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커버(300); 및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시약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포집부(500);
    를 포함하며,
    검사자가 마스크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여 분비물이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수집되면,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여 바이러스를 포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시약 주입부(4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채취용 몸체(200)의 수집면(210)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집면(2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채취용 격벽(220);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내부공간으로 시약의 주입이 이루어지게 하는 주입구(230); 및
    상기 채취용 격벽(2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취공간(S)으로부터 시약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배출구(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집면(210)과 면대향되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베이스면(310); 및
    상기 베이스면(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채취용 격벽(220)이 끼움 체결되는 결합부(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의 베이스면(310)과 수집면(210) 사이의 간격은,
    1 ~ 5mm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채취용 몸체(200)는,
    상기 채취공간(S)의 수집면(21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가 폭방향으로 나열 구비되는 분비물 수집홈(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와 수집면(210)의 마주보는 면간의 사이 간격은,
    500 ~ 600㎛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9. 청구항 3에 있어서,
    시약의 주입시, 상기 시약 주입부(400)를 가압하여 소정의 유압을 갖는 상태로 시약이 채취공간(S)으로 주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취용 몸체(200)를 상기 마스크부(100)에 장착하는 장착단계;
    상기 장착단계이후, 검사자가 마스크부(100) 착용한 상태에서 재채기를 하도록 유도하는 재채기 단계;
    상기 재채기 단계 이후, 상기 채취용 몸체(200)에 커버(300)를 체결하는 채취공간 격리단계;
    상기 채취공간 격리단계 이후, 상기 채취공간(S)으로 시약을 공급하는 시약 공급단계;
    상기 시약 공급단계에 의해 주입된 시약이 채취공간(S)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분비물과 혼합되어 포집부(500)로 배출 수거되는 포집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KR1020210028195A 2021-03-03 2021-03-03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KR102295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195A KR102295044B1 (ko) 2021-03-03 2021-03-03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PCT/KR2021/002791 WO2022186408A1 (ko) 2021-03-03 2021-03-08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195A KR102295044B1 (ko) 2021-03-03 2021-03-03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044B1 true KR102295044B1 (ko) 2021-08-27

Family

ID=7750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195A KR102295044B1 (ko) 2021-03-03 2021-03-03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5044B1 (ko)
WO (1) WO202218640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8325B2 (ja) * 2008-02-27 2008-07-16 医療法人宏知会 ウイルス採取具
US20100087749A1 (en) * 2007-01-31 2010-04-08 Euan Roger Tovey Collection Device for Sampling Exhaled Airstreams
KR20190063512A (ko) 2017-11-30 2019-06-10 윤현규 리얼타임 pcr을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 검사 키트 및 방법
KR102018201B1 (ko) 2019-05-01 2019-09-06 대한민국 리얼타임 pcr을 이용한 박쥐 유래 코로나바이러스 검사 키트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7307A2 (en) * 2006-01-25 2008-08-14 Kanzer Steve H Droplet collection devices and methods to detect and control airborne communicable diseases utilizing rfid
US20180250537A1 (en) * 2017-03-03 2018-09-06 Waterford Mask Systems Inc. Facemask with Pleated Filter and Continuous Strap
CN111537722B (zh) * 2020-05-07 2023-08-01 北京国科融智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呼吸道病毒样本采集与检测一体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7749A1 (en) * 2007-01-31 2010-04-08 Euan Roger Tovey Collection Device for Sampling Exhaled Airstreams
JP4118325B2 (ja) * 2008-02-27 2008-07-16 医療法人宏知会 ウイルス採取具
KR20190063512A (ko) 2017-11-30 2019-06-10 윤현규 리얼타임 pcr을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 검사 키트 및 방법
KR102018201B1 (ko) 2019-05-01 2019-09-06 대한민국 리얼타임 pcr을 이용한 박쥐 유래 코로나바이러스 검사 키트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oline M. L. Williams 외 12명, PLOS ONE, 2014; 9(8): e104921. *
Kerrianne N. Huynh 외 4명,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Vol. 46, Pages 93-95 (2008. 1. 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6408A1 (ko)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59165A9 (en) Universal sample collection and testing system
EP1690085B1 (en) Disposable fluid sample collection device
KR20130111544A (ko) 시료를 수집 및 주입하기 위한 장치
US5078968A (en) Specimen test unit
KR102065650B1 (ko) 카트리지를 이용한 핵산 추출 방법
CA2075193C (en) Specimen test unit
RU264509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плазмы от крови для оценки содержания билирубина
US4479493A (en) Inhalation apparatus for test animals
ES2410479T3 (es) Dispositivo para introducir muestras líquidas (trampas de coágulos)
US9574978B2 (en) Sampler
US7842454B2 (en) Kit for preparing cancer cell detection sample and kit for cancer cell detection using the same
EP3288459B1 (en) Specimen collection and delivery apparatus
CN111157723A (zh) 一种新型冠状病毒的快速检测盒
KR102295044B1 (ko)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방법
CN117881477A (zh) 包括流动盖的基因组提取设备
WO2017099357A1 (ko) 피펫이 포함된 시료 채취용 용기 조립체
EP4349270A1 (en) Container cap for storing specimen
CN117881480A (zh) 带有气体移动通道和提取物移动通道的扩增模块
KR100244016B1 (ko) 액체표본 수집장치
US9689781B2 (en) Sample taking device
KR102295049B1 (ko) 비대면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바이러스 감염 여부 측정방법.
US20220175272A1 (en) Biological sample capturing device
GB2555424A (en) Marker assembly for use in clinical marking
US20230148901A1 (en) Sample collection device
EP4349271A1 (en) Specimen collection and sto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