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79919A1 -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 Google Patents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79919A1
WO2017179919A1 PCT/KR2017/003990 KR2017003990W WO2017179919A1 WO 2017179919 A1 WO2017179919 A1 WO 2017179919A1 KR 2017003990 W KR2017003990 W KR 2017003990W WO 2017179919 A1 WO2017179919 A1 WO 20171799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ar
collector
invasive
contact surface
col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39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영빈
이승호
조용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4576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0011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2120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05351B1/ko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71799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799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는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마이크로채널을 가진 눈물포집부와 상기 눈물포집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센서장착부로서, 상기 마이크로채널과 연결되며 포집된 눈물 분석을 위한 스트립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장착슬릿을 가진 센서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본 발명은 눈물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하여 비침습형으로 눈물을 포집하는 눈물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의 패러다임은 과거의 치료 중심에서 벗어나, 질병이 발병하기 이전에 개인별로 위험을 예견하고 예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고 있다.
일 예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샘플검사를 통해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는데, 혈액 채취를 위해서는 날카로운 바늘이 체내의 혈관까지 침투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고통이 유발된다.
혈액 샘플검사 대신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방식으로 눈물 샘플검사가 이용된다.
눈물 샘플검사에 필요한 눈물을 포집하기 위한 일 예로, 미세한 유리관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눈물 포집을 위해 안구에 접촉하는 유리관 끝부분이 가늘고 단단하여 안구에 상처가 날 위험이 있다. 또한, 자가적인 눈물의 포집이 불가능하고 장시간의 포집 시간이 요구되어 환자에게 큰 불편을 유발한다.
(특허문헌 1) 한국특허등록문헌 제1571464호 (공고일 : 2015.11.24)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문헌 제1999-164825호 (공개일 : 1999.06.22)
본 발명은 눈물 포집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눈물의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면(22)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포집채널(21)을 가진 눈물포집부(20); 및 상기 눈물포집부(20)의 후단에 연결되는 센서장착부(30)로서, 상기 포집채널(21)과 연결되며 포집된 눈물 분석을 위한 스트립 센서(1)가 장착되는 센서장착슬릿(31)을 가진 센서장착부(30);를 포함하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를 제공한다.
상기 접촉면(22)의 면적은 0.785mm2 내지 6.6cm2일 수 있다.
상기 접촉면(22)의 가장자리(22a)는 라운딩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촉면(22)은 원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30)는 상기 센서장착슬릿(31)을 외기와 연통시키는 통기공(3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면(62)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포집채널(61)을 가진 눈물포집유닛(50); 및 상기 눈물포집유닛(50)의 후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포집채널(61)과 연결된 눈물 저장소(81)를 가진 눈물저장유닛(80);을 포함하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를 제공한다.
상기 접촉면(62)의 면적은 0.785mm2 내지 6.6cm2일 수 있다.
상기 접촉면(62)의 가장자리(62a)는 라운딩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촉면(62)은 원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눈물포집유닛(50)은 상기 접촉면(62)을 가진 접촉부(60); 및 상기 접촉부(60)와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을 연결하는 연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은 결합돌기(85)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결합돌기(85)가 결합되는 결합홈(7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70)는 결합돌기(85)를 가지며,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은 상기 결합돌기(85)가 결합되는 결합홈(7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는 눈물포집유닛(5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제공유닛(8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력제공유닛(84)은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의 후단에 장착되고, 연결채널(83)에 의해 상기 눈물 저장소(8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는 상기 눈물저장유닛(80)에 상기 눈물 저장소(81)를 외기에 연통시키는 통기채널(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면(62)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포집채널(61)을 가진 눈물포집유닛(50); 및 상기 눈물포집유닛(5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포집채널(61)과 연결된 눈물 저장소(81)를 가진 눈물저장유닛(80);을 포함하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에 의하면, 접촉면의 가장자리가 라운딩 처리되어있기 때문에,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가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더라도 큰 고통 없이 자가적으로 눈물을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는 스트립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장착부를 가져, 눈물 포집과 동시에 포집된 눈물을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체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집된 눈물을 저장하는 눈물 저장소를 가짐으로써, 별도의 눈물 저장 장치 없이도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에 의해 포집된 눈물 저장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A)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와 스트립 센서를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를 이용하여 눈물을 포집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B)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도 6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를 이용하여 눈물을 포집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C)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접촉면의 면적에 따른 토끼의 전안부에 염색된 조직의 픽셀 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5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단면도들이고, 도 4는 도 1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와 스트립 센서를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 5는 도 1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를 이용하여 눈물을 포집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A)는 눈물포집부(20)와, 눈물포집부(20)의 후단에 연결되는 센서장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눈물포집부(20)는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면(22)과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포집채널(21)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22)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사각형, 타원 등의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접촉면(22)의 면적은 눈물 포집 시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가해지는 자극이 최소화되기 위해 접촉면(22)의 면적은 0.785mm2 내지 6.6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면(22)의 면적이 너무 좁을 경우 눈물 포집시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접촉면(22)의 면적이 너무 넓을 경우 눈물 포집을 위한 눈물포집부(20)의 눈물이 포집될 부위 접촉이 어려울 수 있다.
바람직한 접촉면(22)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 토끼의 전안부에 각기 다른 면적의 접촉면(22)을 가지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A)를 사용하여 자극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접촉면(22)을 토끼의 전안부에 접촉하여 눈물을 포집하고 떼어낸 후 바로 전안부에 형광 염색 (fluorescein) 을 진행하고 염색이 된 조직의 픽셀 수를 분석하였다. 형광 염색이 된 조직의 픽셀 수가 많을수록 자극이 강하다는 의미이고, 픽셀 수가 적을수록 자극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 결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면(22)의 면적이 0.785mm2 내지 12.56mm2일 경우 전안부가 손상되지 않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면적이 증가함에 단위 면적당 받는 압력이 작아지게 되므로 조직에 손상이 덜 가해질 것을 예상할 수 있기에 12.56mm2보다 큰 면적을 가져도 전안부 손상 없이 눈물을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전안부의 전체 면적은 6.6cm2이므로 접촉면(22)의 면적이 전안부의 전체 면적보다 작을 경우 전안부에서 눈물 포집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면, 상기 접촉면(22)의 면적은 0.785mm2 내지 6.6c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면(22)의 가장자리(22a)는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자리(22a)는 라운딩 처리된 엣지면이 구비될 수 있다. 라운딩 처리되지 않은 가장자리(22a)는 각진 부분으로 인해 눈물 포집 시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나, 라운딩 처리된 가장자리(22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물 포집 시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가해지는 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포집채널(21)은 상기 눈물포집부(20)의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A)에 의해 포집된 눈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끌려들어오는 채널이며, 후술하는 센서장착슬릿(31)과 연결되어 상기 스트립 센서(1)가 장착되면 스트립 채널(1a)과 연결되어 포집된 눈물을 스트립 센서(1)에 전달한다. 포집채널(21)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다른 형상(예를 들어 정사각형,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30)는 눈물포집부(20)의 후단에 연결되며 눈물 분석을 위한 스트립 센서(1)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장착부(30)는 스트립 센서(1)가 장착될 수 있는 센서장착슬릿(31)을 구비한다.
또한, 센서장착부(30)는 상기 포집채널(21)과 센서장착슬릿(31)에 연결되고, 외부에 노출된 관통 형성된 통기공(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기공(32)은 포집채널(21)을 외부에 연통함으로써, 눈물포집부(20)에 포집된 눈물의 양만큼 포집채널(21)의 공기가 배출되어 모세관 현상을 통해 눈물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예로써, 스트립 센서(1)는 중앙에 관통 형성된 스트립 채널(1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스트립 채널(1a)은 스트립 센서(1)가 센서장착슬릿(31)에 장착되면, 포집채널(21)과 연결되어 상기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A)에 의해 포집된 눈물이 스트립 센서(1)에 도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A)와 스트립 센서(1)와의 장착은 스트립 센서(1)의 전단부와 센서장착슬릿(31)이 장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포집채널(21)과 스트립 채널(1a)이 연결되어 포집된 눈물이 포집채널(21)과 스트립 채널(1a)을 통해 스트립 센서(1)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A)는 눈물(T) 포집시 접촉면(22)이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하여 눈물(T)이 모세관 현상을 통해 포집채널(21)로 끌려들어오고, 포집채널(21)과 연결된 스트립 채널(1a)을 통해 스트립 센서(1)까지 눈물(T)이 이동한다. 이 때, 접촉면(22)의 가장자리(22a)는 라운딩 처리되어 눈물(T) 포집 시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가해지는 자극이 최소화되며, 눈물 포집과 동시에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A)에 장착된 스트립 센서(1)를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눈물이 포집될 부위는 안구 표면 및 주변 노출 피부 조직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B)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분해도이며, 도 8은 도 6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단면도들이며, 도 10은 도 6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를 이용하여 눈물을 포집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B)는 눈물포집유닛(50)과, 눈물포집유닛(50)의 후단에 분리가능하거나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눈물저장유닛(80), 눈물포집유닛(5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제공유닛(84)을 포함한다.
상기 눈물포집유닛(50)은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포집채널(61)을 가지며,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인 접촉부(60)와, 접촉부(60)와 눈물저장유닛(80)을 연결하는 연결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60)는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면(62)과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포집채널(61)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62)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사각형, 타원 등의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토끼를 이용한 자극 평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면, 접촉면(62)의 면적은 눈물 포집 시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가해지는 자극이 최소화되기 위해 0.785mm2내지 6.6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면(62)의 면적이 너무 좁을 경우 눈물 포집시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접촉면(62)의 면적이 너무 넓을 경우 눈물 포집을 위한 눈물포집유닛(50)의 눈물이 포집될 부위 접촉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접촉면(62)의 가장자리(62a)는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가장자리(62a)는 엣지면 일 수 있으며,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운딩 처리되지 않은 가장자리(62a)는 각진 부분으로 인해 눈물 포집 시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나, 라운딩 처리된 가장자리(62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물 포집 시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가해지는 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0)는 접촉부(60)와 눈물저장유닛(80)을 연결한다. 연결부(70)는 눈물저장유닛(80)의 결합돌기(85)와 결합이 가능한 결합홈(7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70)가 결합돌기(85)를 구비하여,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의 결합홈(75)과 결합하는 형태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눈물포집유닛(50)과 눈물저장유닛(80)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눈물포집유닛(50)과 눈물저장유닛(80)을 분리, 결합하는 형태가 아닌 일체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눈물포집유닛(50)과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의 일체된 형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은 포집된 눈물을 저장하는 눈물 저장소(81), 눈물 저장소(81)와 포집채널(61)을 연결하는 이동채널(82), 눈물 저장소(81)와 흡입력제공유닛(84)을 연결하는 연결채널(83)을 포함한다.
상기 눈물 저장소(81)는 상기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B)에 의해 포집된 눈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눈물저장유닛(8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동채널(82)과 연결되어 별도의 눈물 저장 장치 없이도, 포집된 눈물 저장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채널(82)은 눈물저장유닛(80)에 관통 형성되며, 포집채널(61)과 눈물 저장소(81)에 연결되어 포집된 눈물이 눈물 저장소(81)로 이동하는 채널이다.
상기 연결채널(83)은 눈물저장유닛(80)에 관통 형성되며, 눈물 저장소(81)와 흡입력제공유닛(84)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입력을 제공하는 채널이다.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은 상기 연결부(70)와의 결합이 가능한 결합돌기(85)를 갖는다. 또한,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이 결합홈(75)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70)가 구비한 결합돌기(85)와 결합하는 형태도 가질 수 있다. 결합돌기(85)는결합홈(75)과 결합하여, 눈물포집유닛(50)과 눈물저장유닛(80)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결합돌기(85)와 결합홈(75)이 결합되는 경우, 포집채널(61)과 이동채널(82)이 연결되어 상기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B)에 의해 포집된 눈물이 눈물 저장소(81)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흡입력제공유닛(84)은 눈물 포집을 위해 흡입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흡입력제공유닛(84)은 연결채널(83)에 의해 눈물 저장소(81)와 연결된다. 이로 인해, 눈물 저장소(81)와 연결된 이동채널(82), 포집채널(61)에 눈물 포집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흡입력제공유닛(84)은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입력제공유닛(84)에 힘을 가하였다가 떼는 순간 탄성 재질이 원래 형태로 되돌아가면서 상기 포집채널(61), 이동채널(82), 연결채널(83)을 통해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눈물포집유닛(50)에서 눈물을 포집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B)는 흡입력제공유닛(84)에 힘을 가하여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B)의 접촉면(62)을 접촉시키고, 흡입력제공유닛(84)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흡입력제공유닛(84)에 원래 형태로 되돌아간다. 이 때, 흡입력제공유닛(84)이 원래 형태로 되돌아가면서, 상기 포집채널(61), 이동채널(82), 연결채널(83)을 통해 흡입력을 제공하여 눈물(T)을 포집하여 눈물 저장소(81)에 포집된 눈물(T)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접촉면(62)의 가장자리(62a)는 라운딩 처리되어 눈물(T) 포집 시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가해지는 자극이 최소화되며, 포집된 눈물이 눈물 저장소(81)에 저장되어 별도의 눈물 저장 장치 없이도, 포집된 눈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눈물이 포집될 부위는 안구 표면 및 주변 노출 피부 조직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C)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제3 실시예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의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10C)는 눈물포집유닛(50)과, 눈물포집유닛(50)의 후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눈물저장유닛(80)을 포함한다.
상기 눈물포집유닛(50)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눈물포집유닛(50)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눈물저장유닛(80)과 마찬가지로 포집된 눈물을 저장하는 눈물 저장소(81), 눈물 저장소(81)와 포집채널(61)을 연결하는 이동채널(82)을 포함한다.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은 눈물 저장소(81)를 외기에 연통시키는 통기채널(83)을 더 포함한다. 통기채널(83)은 눈물저장유닛(80)에 관통 형성되며, 통기채널(83)은 눈물 저장소(81)를 외부에 연통함으로써, 눈물포집유닛(50)에 포집된 눈물의 양만큼 통기채널(83)의 공기가 배출되어 모세관 현상을 통해 눈물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눈물이 포집될 부위는 전안부에 노출되는 피부 조직이 될 수 있다.

Claims (16)

  1.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면(22)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포집채널(21)을 가진 눈물포집부(20); 및
    상기 눈물포집부(20)의 후단에 연결되는 센서장착부(30)로서, 상기 포집채널(21)과 연결되며 포집된 눈물 분석을 위한 스트립 센서(1)가 장착되는 센서장착슬릿(31)을 가진 센서장착부(30);를 포함하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22)의 면적은 0.785mm2 내지 6.6cm2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22)의 가장자리(22a)는 라운딩 처리된 것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22)은 원형 평면 형상을 갖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착부(30)는 상기 센서장착슬릿(31)을 외기와 연통시키는 통기공(32)을 가진,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6.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면(62)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포집채널(61)을 가진 눈물포집유닛(50); 및
    상기 눈물포집유닛(50)의 후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포집채널(61)과 연결된 눈물 저장소(81)를 가진 눈물저장유닛(80);을 포함하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62)의 면적은 0.785mm2 내지 6.6cm2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62)의 가장자리(62a)는 라운딩 처리된 것인,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62)은 원형 평면 형상을 갖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눈물포집유닛(50)은,
    상기 접촉면(62)을 가진 접촉부(60); 및
    상기 접촉부(60)와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을 연결하는 연결부(70);를 포함하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은 결합돌기(85)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결합돌기(85)가 결합되는 결합홈(75)을 갖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0)는 결합돌기(85)를 가지며,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은 상기 결합돌기(85)가 결합되는 결합홈(75)을 갖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눈물포집유닛(5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제공유닛(84)을 더 포함하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제공유닛(84)은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의 후단에 장착되고, 연결채널(83)에 의해 상기 눈물 저장소(81)에 연결되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눈물저장유닛(80)은 상기 눈물 저장소(81)를 외기에 연통시키는 통기채널(83)을 더 포함하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16. 눈물이 포집될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면(62)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포집채널(61)을 가진 눈물포집유닛(50); 및
    상기 눈물포집유닛(5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포집채널(61)과 연결된 눈물 저장소(81)를 가진 눈물저장유닛(80);을 포함하는,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PCT/KR2017/003990 2016-04-14 2017-04-13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WO201717991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769A KR101800116B1 (ko) 2016-04-14 2016-04-14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KR10-2016-0045769 2016-04-14
KR10-2017-0021203 2017-02-16
KR1020170021203A KR101805351B1 (ko) 2017-02-16 2017-02-16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9919A1 true WO2017179919A1 (ko) 2017-10-19

Family

ID=6004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3990 WO2017179919A1 (ko) 2016-04-14 2017-04-13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1799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6845A (zh) * 2018-03-30 2020-11-13 株式会社普欧威盖特 传感器芯片、感测装置、罩、体液收集设备及传感器
US20210007720A1 (en) * 2018-03-30 2021-01-14 Provigate Inc. Trace amount liquid sample collec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3712B2 (en) * 2002-04-05 2006-11-07 Eyelab Grou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monitoring of blood substances using self-sampled tears
US20140192315A1 (en) * 2012-09-07 2014-07-10 Google Inc. In-situ tear sample collection and testing using a contact lens
US20140309554A1 (en) * 2011-10-17 2014-10-16 Opia Technologies Device for sampling tear fluid
KR101535075B1 (ko) * 2014-01-20 2015-07-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침습형 건강지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용 방법
KR101571467B1 (ko) * 2014-11-21 2015-1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눈물 채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3712B2 (en) * 2002-04-05 2006-11-07 Eyelab Grou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monitoring of blood substances using self-sampled tears
US20140309554A1 (en) * 2011-10-17 2014-10-16 Opia Technologies Device for sampling tear fluid
US20140192315A1 (en) * 2012-09-07 2014-07-10 Google Inc. In-situ tear sample collection and testing using a contact lens
KR101535075B1 (ko) * 2014-01-20 2015-07-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침습형 건강지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용 방법
KR101571467B1 (ko) * 2014-11-21 2015-1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눈물 채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6845A (zh) * 2018-03-30 2020-11-13 株式会社普欧威盖特 传感器芯片、感测装置、罩、体液收集设备及传感器
US20210007720A1 (en) * 2018-03-30 2021-01-14 Provigate Inc. Trace amount liquid sample collector
EP3783351A4 (en) * 2018-03-30 2021-12-22 Provigate Inc. SENSOR CHIP, SENSOR DEVICE, COVER, BODY FLUID COLLECTOR AND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51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xtraction and monitoring of a biological fluid
WO2017150845A1 (ko) 커버체 및 이를 구비한 약액 주입 장치
WO2017179919A1 (ko)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WO2018097565A1 (ko) 조명이 개선된 체액 검사장치
WO2011049267A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WO2022010057A1 (ko)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하는 검체 채취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53019A2 (ko) 알레르겐 진단을 위한 바늘 일체형 피부 진단용 시험기
WO2021201457A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WO2021025259A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TWI622377B (zh) Endoscopic device and its application
KR101920273B1 (ko) 체액 검사장치용 시료부 및 이를 구비하는 체액 검사장치
WO2020196998A1 (ko)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
WO2017204474A1 (ko)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WO2023085681A1 (ko)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KR101994982B1 (ko)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JP7100197B2 (ja) 体液分析用の検査装置
WO2021107535A2 (ko) 일회용 채혈 기구
WO2022075539A1 (ko)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WO2021145519A1 (ko) 사혈기
KR101805351B1 (ko)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KR101800116B1 (ko)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JP2519157B2 (ja) エイズチェック装置
WO2020080591A1 (ko) 니들 타입 바이오 센서
WO2021187916A1 (ko) 세침 바늘 및 내시경 장치
WO2020197108A1 (ko) 채혈기를 구비한 시약반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826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826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