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64003A1 -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64003A1
WO2022164003A1 PCT/KR2021/018170 KR2021018170W WO2022164003A1 WO 2022164003 A1 WO2022164003 A1 WO 2022164003A1 KR 2021018170 W KR2021018170 W KR 2021018170W WO 2022164003 A1 WO2022164003 A1 WO 20221640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ty
free
information
goods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1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현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엔디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엔디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엔디플랫폼
Publication of WO20221640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640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manag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ventory management, product management, sales management, and sales management of goods in the process of transaction and distribution of goods in a duty-free shop, and in particular,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ventory information and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It relates to a duty-free goods management system that can analyze and predic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urchasers' purchasing patterns and expected duty-free sales, while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purchasers and duty-free shoppers by providing information.
  • Prior patent disclosed in the above also merely provides a product purcha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e-passport of a purchaser who purchases goods from a duty-free shop.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purchasers and duty-free business operators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ventory information and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and to analyze and predic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urchaser purchase patterns and duty-free shop expected sales. To provide a duty-free goods management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a duty-free goods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urchaser terminal for purchasing duty-free goods; a duty-free operator terminal that supplies duty-free goods; and a central server that manages and analyzes information occurring in various transactions made in the duty-free shop; the central server includes,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and analyzes inventory information on items in the duty-free shop of a specific duty-free shop; and a purchaser
  • the goods management department provid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the duty-free goods that the company wants to purchase, the sales management department manages and analyzes trans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ale of goods in the duty-free shop, and the sales based on the transaction information and the purchase plan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efficiently manag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ransactions in the duty-free shop, including a sales management unit that analyzes trends.
  •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acquires information from the purchase ledger file purchased by the duty-free business to stock the goods in the duty-free shop, and manages the goods in stock information
  • An analysis module, an outgoing product analysis module that manages outgoing product information by acquiring information from a sales ledger file sold among duty free items, and managing inventory information in a duty free shop based on the incoming product analysis module and outgoing product analysis module information and an inventory analysis module t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ck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inventory information on the goods to be purchased by the purchaser's terminal.
  • It additionally includes a pilot product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that registers and supplies as a demonstration product so that the registered demonstration product can be distributed, and the pilot product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 a demonstration product registration module that allows the product to be registered and supplied as a pilot product so that it can be distributed in the system in advance, and a demonstration that provides the buyer with the right to purchase the trial product according to the purchase amount or the transaction performance of the duty-free shop exclusive card
  • a product purchase provision module a demonstration product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information on which buyers purchase a demonstration product, and provides information on factors that appeal to a buyer among the pilot products to a supplier candidate, and purchasers' purchase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uty free shop candidate product analysis module that provides the duty free shop manag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candidate products to be delivered to the duty free shop based on the
  • the central server analyzes big data related to Korean Wave-related dramas, movies, music, and sports related to Hallyu in Korea or abroad, and performs recent searches related to Hallyu.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duct-related keywords derived from the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deriving product-related keywords and the data stored in the sales management unit and the products for which purchases are increasing or decreasing at duty-free shop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uty-free shop goods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unit to analyze.
  • the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unit analyzes big data related to dramas, movies, music, and sports related to dramas, movies, music, and sports in Korea to find items related to recently searched items.
  • domestic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that derives keywords, and overseas Hallyu that derives keywords related to recently searched items related to Hallyu by country by analyzing big data related to Korean Wave related dramas, movies, music, and sports in each country abroad a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and a domestic and foreign trend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correlation or precedenc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derived from the domestic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and the overseas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 the duty-free shop product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unit comprises: A domestic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related keywords derived from the domestic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and products whose purchases are increasing or decreasing at duty-free shops, and the product related items derived from the overseas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An overseas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the correla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th the present embodim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manag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ventory management, product management, sales management, and sales management of goods in the process of transaction and distribution of goods in a duty-free shop.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buyers and duty-free operators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ventory information and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and analyzing and predict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urchasers' purchasing patterns and expected duty-free sales. .
  •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 trend analysis on the correlation or precedence relationship between a keyword searched for Korean Wave in Korea and a keyword search for an item related to Hallyu abroad, and analyzes the analyzed trend and the purchase relationship leading to the purchase of goods at a duty-free shop.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edict and derive information on duty-free items that are expected to increase or decrease purchas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Korean Wave to purchasers or duty-free shop managers in advance and provide them.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uty-free good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uty-free good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al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entral server 110 inventory management unit
  • trial product registration module 152 trial product purchase and provision module
  •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unit 161 domestic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 Duty-free shop goods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unit 171 Domestic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 the duty-free goods management system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ventory management, goods management, sales management, and sales management of goods in the process of transaction and distribution of goods in the duty-free shop.
  • i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buyers and duty-free business operators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ventory information and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and analyzes and forecast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urchasers’ purchasing patterns and expected sales of duty-free shops.
  •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ssible duty-free goods management system, for this purpose, specifically, a purchaser terminal 20 for purchasing duty-free goods; a duty free operator terminal 30 for supplying duty free goods; and a central server 10 that manages and analyzes information generated in various transactions made within the duty free shop.
  • the purchaser's terminal 20 is a terminal configuration possessed by purchasers who purchase duty-free goods in order to utilize this system, and is a portable smartphone, tablet PC, as well as a notebook computer, PC, etc.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Types of terminals may be utilized. It is possible to enter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terminal, and to receive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 the duty-free operator terminal 30 is a terminal configuration possessed by duty-free operators who supply duty-free goods (that is, businesses that supply and sell goods in duty-free shops) to utilize this system, and as described above, portable Various types of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s well as laptops and PCs that can be used, can be utilized,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an be entered and provided through the terminal,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quired are received, can be provided.
  • the central server 10 manages and analyzes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in various transactions made in the duty free shop, and connects various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ystem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o that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tively executed.
  • the central server 10 specifically,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110 for managing and analyzing inventory information on items in the duty free shop of a specific duty free company, and the duty free shop items that the buyer wants to purchase
  • the goods management unit 120 that provides and manages information
  • the sales management unit 130 that manages and analyzes trans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ale of goods made in the duty free shop, and the sales trend based on the previously traded transaction information and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 Including the sales management unit 140 to analyz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efficiently manag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ransactions in the duty free shop.
  •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110 is a configuration that manages and analyzes inventory information on goods in a duty-free shop of a specific duty-free shop, and in the case of a duty-free business that sells goods in a duty-free shop, the goods sold are excluded from the goods put in for sale Efficient product management is possible only when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duct is quickly grasped. Therefore,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110 functions to efficiently manage and analyze inventory information through the present system, out of the existing Excel file-type management system. To this end, in detail,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110 includes a warehoused goods analysis module 111 that manages stocked goods information by acquiring information from a purchase ledger file purchased by a duty-free business to stock goods in a duty-free store, and among the duty-free goods.
  • the stocked article analysis module 111 is a configuration that manages stocked article information by acquiring information from a purchase ledger file purchased by a duty-free business to stock goods in a duty-free shop.
  • the goods in stock analysis module 111 is, after the duty-free business stores goods in the duty-free shop, scans or shoots the purchase ledger file through the duty-free business terminal 30, etc., and transmits it or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 the analysis module 111 acquires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ed file and automatically classifi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the goods in stock.
  • the outgoing article analysis module 112 is a configuration for managing outgoing article information by acquiring information from a sales ledger file sold among duty-free goods, and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Excel file-type management system, the outgoing article analysis module 112 After the duty-free business sells goods in the duty-free shop, the sales ledger file is scanned or photographed through the duty-free business terminal 30, etc., or transmitted automatically from the duty-free business terminal 30. The analysis module 112 acquires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ed file and automatically classifi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on the shipped goods.
  • the inventory analysis module 113 is configured to manage inventory information in the duty-free stor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goods in stock analysis module 111 and the analysis module 112 in stock, and through the analysis module 111 of the goods in stock.
  • the inventory analysis module 113 can immediately identify the inventory in the duty-free shop in a way that excludes the outgoing goods identified through the outgoing goods analysis module 112 from the identified goods in stock, and stor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and provide efficient goods management and transactions in duty-free shops.
  • the goods management unit 120 is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duty-free goods that the buyer wants to purchase. It is provided through the supplier terminal 20. For this purpose, the goods management unit 120 specifically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goods to be purchased with the purchaser terminal 20 to purchase the duty-free goods.
  • Basic information provided It may include a module 121 and an inventory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2 that provides inventory information on goods to be purchased to the purchaser's terminal 2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ventory analysis module 113 .
  • the basic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1 is configur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unctions, components, manufacturers or related latest information of the goods, etc.) on the goods to be purchased to the purchaser's terminal 20 to purchase the duty-free goods, Through the basic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1, a buyer who wants to purchase duty-free goods can immediately check basic information about the goods, which can lead to faster and more efficient purchase of goods in the duty-free store.
  • the inventory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2 is configured to provide inventory information on the goods to be purchased to the purchaser's terminal 2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ventory analysis module 113, and the purchaser using this system is the Through the basic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1, you can immediately check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item you want to purchase, as well as purchasable inventory information for the item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tock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2. can be checked immediately, leading to faster and more efficient purchase of goods in duty-free shops.
  • the sales management unit 130 is a configuration that manages and analyzes trans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ale of goods made in the duty-free shop, and stores trader information, traded product information, inventory information,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etc. Manage and provide related information so that various analyzes can be performed based on this information.
  • the sales management unit 130 specifically includes a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31 that provides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on the duty-free goods that the purchaser wants to purchase through the purchaser terminal 20, and purchases the duty-free goods. It may include a purchase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32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one purchaser.
  • the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31 is configured to provide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on the duty-free goods that the purchaser wants to purchase through the purchaser's terminal 20. As well as checking the inventory of the company, if the information exchange on the goods that the buyer wants to purchase is made smoothly, the duty-free business will also be able to make a quick and efficient transaction by securing the goods or stock quickly. To this end, in this system, the purchaser who wants to purchase goods in bulk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urchase schedule for the duty-free goods to be purchased through the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31,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ales management. do.
  • the purchase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32 is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purchaser who purchased the duty-free goods, and related information on the purchaser who continuously and/or in bulk purchases the goods in the duty-free store will be based on this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duty free shop more efficiently through various analysis of to store, manage and provide.
  • the sales management unit 140 is a configuration that analyzes sales trends based on previously traded transaction information and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 the sales management unit 140 also provides analysis and prediction information on future sales trends in the duty-free shop, thereby enabling the duty-free business to efficiently manage goods.
  • the sales management unit 140 specifically provides the purchaser information.
  • a purchaser purchase pattern analysis module 141 that analyzes and predicts a purchase pattern for each purchaser based on information on a specific purchaser provided through the module 132, and the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31 and purchaser It may include a duty free shop expected sales analysis module 142 that analyzes and predicts the duty free shop expected sales based on the purchase pattern analysis module 141 information.
  • the purchaser purchasing pattern analysis module 141 is configured to analyze and predict a purchase pattern for each purchase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a specific purchaser provided through the purchase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32, and purchaser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amount, purchase cycle, etc. of the purchase product for the specific purchaser provided through the provision module 132, the purchaser purchase pattern analysis module 141 determines which product, when, and what product for each specific purchaser. It analyzes the purchase pattern of how much you purchase at an interval, and based on this, predicts future purchases and their quantity, etc., and provides related information.
  • the duty free store expected sales analysis module 142 is configured to analyze and predict the duty free store expected sale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purchase schedul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31 and the purchaser purchase pattern analysis module 141, and the above-described purchaser
  • the purchase pattern of a specific purchaser analyzed through the purchase pattern analysis module 141 can estimate a future long-term purchase expectation based on pas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purchase pl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31 provided here
  • the duty-free shop forecasted sales analysis module 142 analyzes the long-term/short-term purchase forecast for each purchaser for various purchasers of a specific duty-free shop.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duty-free shop's goods management by collecting the information for all purchasers of the duty-free shop, analyzing, predicting, and providing the long-term/short-term expected sales of the duty-free shop.
  • the duty-free goods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uyer of the duty-free goods, according to the transaction performance, etc. according to the future delivery to the duty-free shop candidate goods (demonstration) Goods) to be selected and used, and to the delivery candidates who wish to be delivered to the duty-free shop, the pilot products that they want to be delivered to the duty-free shop can be registered and distributed through the system in advance, and at this time, the buyer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analysis information on factors that appeal to customers, and the duty-free shop manager aims to provide an additional function to receive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candidate goods to be delivered to duty-free shops in the future.
  • the duty-free shop manager aims to provide an additional function to receive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candidate goods to be delivered to duty-free shops in the future.
  • the central server 10 is a delivery candidate who plans to deliver the goods to the duty-free shop. It may additionally include a demonstration product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150 that registers and supplies a demonstration product so that it can be distributed in this system, and allows the registered demonstration product to be distributed.
  • the duty free manager terminal 80 is a duty free shop, that is, a manager terminal that manages the entire duty free shop in which a number of duty free operators are located.
  • Various types of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can be utilized.
  • the supplier terminal 70 is a terminal possessed (utilized) by a duty-free store item delivery candidate who is planning to deliver the item to the duty-free store.
  • Various types of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such can be utilized,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an be entered and provided through the terminal,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quired can be received and provided.
  • the pilot product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150 registers and supplies the product to be distributed in the system in advance so that the product to be delivered by a delivery candidate who is planning to deliver the product to a duty free shop is distributed in the system, and the registered demonstration product is distributed. More specifically, for this purpose, the pilot product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150 converts the product to be distributed in this system by a delivery candidate who is planning to deliver the product to a duty-free shop in advance as a demonstration product.
  • the pilot product analysis module 153 which analyzes the information on which people purchase the trial good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elements that appeal to the buyer among the trial goods to the delivery candidates, and the purchasers' information on the purchase of the trial goods to the duty-free shop It may include a duty-free store candidate article analysis module 154 that provides the duty-free store manager with candidate article-related information to be ordered.
  • the demonstration product registration module 151 is configured to register and supply the product to be delivered by a delivery candidate who is planning to deliver the product to the duty free shop as a pilot product so that it can be distributed in the system in advance.
  • the delivery candidate who plans to deliver the product enters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o be delivered through the delivery candidate terminal 70, and formally enters the duty free shop through the pilot product registration module 151. Even before actually delivering the product, register and supply it as a trial product through this system, check the ratio or comment that leads to actual purchase of various buyers in advance,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product improvement or delivery to duty free shops. will be provided
  • the trial product purchase and provision module 152 is configured to provide a purchaser with the right to purchase a trial product according to the purchase amount or duty-free card transaction performance, and points are paid through the point management module 141 described above.
  • additional purchasers with the right to separately purchase trial products distributed through this syste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purchasers.
  • they can try to purchase items that have not yet been officially delivered to the duty-free shop, so they can purchase and use the candidate items that can be distributed in the duty-free shop in the future.
  • synergy effects can be expected, such as allowing future candidate products of duty-free shops that you can purchase in the future to be improved.
  • the pilot product analysis module 153 is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elements that appeal to buyers among pilot products by analyzing information on which buyers purchase a demonstration product to a delivery candidate, among a plurality of demonstration products.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purchase ratio of purchasers, purchasing patterns, and various opinions that purchasers leave on the corresponding trial product, the demonstration product analysis module 153 performs various analyzes on each demonstration product, and such analysis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andidate for the delivery of the pilot product through the delivery candidate terminal 70 . Through this, supplier candidates will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products or lead to actual delivery to duty free shops.
  • the duty free candidate product analysis module 154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duty free shop manager with information on candidate products to be delivered to the duty free shop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pilot product purchasers. It is analyzed through the article analysis module 153 and provided to each delivery candidate. Analysis information on whether certain items are delivered and distributed to duty free shops through this contract can actually increase sales of duty free shops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buyers will be provided to the duty free shop manager through the duty free shop manager terminal 80. Through this, the duty free shop can utilize this information for the future of the duty free shop, that is, to improve or reorganize the portfolio of duty free items for future sales increase.
  • the central server 10 additionally analyzes big data related to Korean Wave related dramas, movies, music, and sports in Korea or abroad to analyze the Korean Wave.
  • the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unit 160 that derives related keywords related to recently searched items, and the product related keywords derived from the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unit 160 by analyzing the data stored in the sales management unit 130 and the duty free shop It may further include a duty-free shop article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unit 170 that analyzes the correlation with the goods for which purchases are increasing or decreasing.
  • the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unit 160 derives keywords related to recently searched items related to Hallyu by analyzing big data related to Hallyu related dramas, movies, music, and sports in Korea or abroad, and derived from domestic and overseas It is a configuration that analyzes the correlation or precedenc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that become
  • the Korean Wave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1 which derives keywords related to recently searched items, and the Korean Wave related by overseas country by analyzing big data related to Korean Wave related dramas, movies, music, and sports in each country abroad Correlation or precedence between the overseas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2 for deriving recently searched product related keywords, and the keywords derived from the domestic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1 and the overseas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2 It may include a domestic and foreign trend analysis module 163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 the domestic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1 is configured to derive keywords related to recently searched articles by analyzing big data related to dramas, movies, music, and sports in Korea. Through big data analysis, etc. based on search data such as , mobile, etc., searched data such as SNS, etc., keywords related to items searched for in relation to dramas, movies, music, and sports famous in Korea are derived.
  • search data such as , mobile, etc.
  • searched data such as SNS, etc.
  • the domestic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1 is a cosmetic product that has become famous as a cosmetic used by the main character in a specific domestic drama or a product such as a special product from a place that became famous in a specific domestic movie, etc. Analyzes, derives, and provides keywords related to searched articles.
  • the overseas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2 analyzes big data related to Korean Wave related dramas, movies, music, and sports in each country abroad to derive keywords related to items recently searched for Korean Wave by overseas country. , overseas Internet, web search, mobile search, and big data analysis based on data searched on SNS, etc. will derive
  • the overseas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2 is a cosmetic item that has become famous as a cosmetic used by the main character in a specific drama that is recently famous for the Korean Wave, or a product such as a special product from a place that became famous in a specific Hallyu related movie, etc. , analyzes, derives, and provides keywords related to Korean Wave-related items that are recently searched abroad.
  • the domestic and foreign trend analysis module 163 is configur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r precedenc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derived from the domestic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1 and the overseas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2, that is, the Through the matching part between the keywords related to Hallyu products analyzed through the domestic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1 and the keywords related to Hallyu products analyzed through the overseas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2, or the tim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overseas It analyzes and provides trend information such as correlation/precedence/inconsistency between keywords deriv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such as parts about preceding/lagging relationships or completely different parts.
  • Such analysis results make it possible to predict and analyze when the Korean Wave-related goods that are popular in Korea will become popular abroa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and it can be used to analyze what items need to be additionally provided.
  • the duty-free product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unit 170 analyzes the data stored in the sales management unit 130, and the product-related keywords derived from the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unit 160 and actual purchases at the duty-free shop increase or decrease.
  • the duty-free store goods purchase relation analysis unit 170 specifically, increases the purchase price or Between the domestic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1 that analyzes the correlation with decreasing products, and the product related keywords derived from the overseas Korean wave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2, and the products whose purchases are increasing or decreasing in duty-free shops
  • the trend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3 that analyzes the coincidences and differences of the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uty-free shop purchase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module 172, and the domestic and foreign derived
  • the correlation between keyword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ual quantity of goods purchased at the duty-free shop increase or decrease.
  • the domestic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1 is configur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duct-related keywords derived from the domestic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1 and the products whose purchases are increasing or decreasing in duty-free shops, and the domestic The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1 analyzes the data stored in the sales management unit 130 and compares the product related keywords derived from the domestic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1 and the products whose actual purchases are increasing or decreasing at the duty free shop. correlation will b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inform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search data for Hallyu-related goods through the domestic Internet or mobile and the change in purchase of related goods in the actual duty-free shop can be obtained from future purchasers, duty-free businesses and/or duty-free shops.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by administrators, etc.
  • the overseas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2 is a configuration that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duct-related keywords derived from the overseas Korean wave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2 and the products whose purchases are increasing or decreasing at the duty-free shop.
  • the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2 analyzes the data stored in the sales management unit 130 and compares the product related keywords derived from the overseas Hallyu product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62 and the products whose actual purchases are increasing or decreasing at the duty free shop. correlation will b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information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search data for Hallyu-related goods through the overseas Internet or mobile phone and the change in purchase of related goods in the actual duty-free shop can be obtained from future buyers, duty-free businesses and/or duty-free shops.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by administrators, etc.
  • the trend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3 includes the correla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keywords analyzed through the domestic and foreign trend analysis module 163 and the domestic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1 and/or the overseas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2 ) is a configuration that analyzes the coincidences and differences of the correlation with the change in the amount of goods purchased at the duty-free shop, that is, the trend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3 is analyzed through the domestic and foreign trend analysis module 163 described above. Between the derived data such as correlation or precedenc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and data such as the amount of change in purchase of the actual duty-free shop related goods analyzed through the domestic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1 and/or the overseas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2 Analysis of whether there are any matching or different parts, etc.
  • the duty-free store product predictio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74 the correla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keywords analyzed through the trend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3,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ual duty-free purchase product change amount Based on the coincidences and differences, the duty-free store manager And/or a configuration for deriv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duty-free items expected to increase and decrease purchases to purchasers.
  • the trend purchase relationship analysis module 173 described above analyzes and provid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eywords actually derived at home and abroad and the actual purchase relationship of the related goods in the actual duty-free store, whereas the duty-free store product prediction information In the providing module 174, based on such information, which items related to the Korean Wave are currently being searched for at home and abroad, and how to purchase overseas (ie, purchase duty free items at duty free shops)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search keywords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whether or not changes will occur, information on items for which purchases should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the future will be derived and provided to purchasers, duty-free operators, and duty-free shop manag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세점 내에서의 물품의 거래 및 유통 과정에서의 물품의 재고관리, 물품관리, 판매관리 및 매출관리 등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특히, 재고정보와 구매예정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제공을 통해 구매업자 및 면세업자의 편의를 증진함과 아울러, 구매업자 구매패턴 및 면세점 예상매출 등 다양한 정보의 분석 및 예측이 가능한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
본 발명은, 면세점 내에서의 물품의 거래 및 유통 과정에서의 물품의 재고관리, 물품관리, 판매관리 및 매출관리 등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특히, 재고정보와 구매예정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제공을 통해 구매업자 및 면세업자의 편의를 증진함과 아울러, 구매업자 구매패턴 및 면세점 예상매출 등 다양한 정보의 분석 및 예측이 가능한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이공'이란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면세품 등을 대리로 구매하여 전달하는 사람을 뜻하는 의미의 용어로, 최근에는 전문적으로 면세점 물품을 구매하여 중국의 '웨이상'과 같은 중간 유통상을 통해 재판매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면세점 물품 구매업자들이 늘어나고 있고, 중국뿐 아니라 동남아 등에서도 이러한 면세점 물품 구매업자들이 점점 더 국내의 면세점 구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국내의 면세점 업계 역시 점점 더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이러한 전문적인 면세점 구매업자들의 구매 패턴 변화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면세점 매출 및 수익을 극대화해 나갈 필요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시스템 내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면세점 내에서의 다양한 거래 관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을 일일이 엑셀형태의 관리체계로 관리하기에는 점점 더 면세점 관련 규모가 급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면세점 내 물품의 거래 및 유통 과정에서의 물품의 재고관리, 물품관리, 판매관리 및 매출관리 등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선행특허 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2118680호(2020.05.28.등록) "전자여권을 이용한 면세품 구매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상기 (선행특허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선행특허 역시, 단순히 면세점의 물품을 구매하는 구매자의 전자여권을 이용한 물품구매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량의 면세점 물품 구매업자 및 면세업자, 면세점관리자 모두가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면세점 물품관리 생태계를 구축할 시스템에 대한 니즈는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면세점 내에서의 물품의 거래 및 유통 과정에서의 물품의 재고관리, 물품관리, 판매관리 및 매출관리 등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고정보와 구매예정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제공을 통해 구매업자 및 면세업자의 편의를 증진함과 아울러, 구매업자 구매패턴 및 면세점 예상매출 등 다양한 정보의 분석 및 예측이 가능한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세점 물품의 구매업자에게는 거래실적 등에 따라 향후 면세점에 납품을 준비 중인 후보 물품(시범물품)을 선택하여 사용해볼 수 있도록 하는 혜택을 부여하고, 면세점에 납품을 희망하는 납품후보업자에게는 면세점에 납품을 희망하는 시범물품에 대해 사전에 시스템을 통해 등록,유통시킬 수 있고 이때 구매업자들에게 어필하는 요소 등에 대한 분석정보도 받아볼 수 있고, 면세점관리자는 향후 면세점에 납품시켜야 할 후보 물품 관련 분석정보를 받아볼 수 있는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국내에서 한류 관련 검색되는 물품 키워드와 해외에서 한류 관련 검색되는 물품 키워드 간 상관관계나 선후관계에 대한 트랜드 분석 및 이러한 분석된 트랜드와 실제 면세점에서 물품 구매로 이어지는 구매관계를 분석하여, 구매업자 내지 면세점관리자에게 한류 흐름 변화에 따라 구매 증가 및 감소가 예상되는 면세점 물품 정보를 사전에 예측 및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은 면세점 물품을 구매하는 구매업자단말기; 면세점 물품을 공급하는 면세업자단말기; 및 면세점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거래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특정 면세업자의 면세점 내 물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재고관리부와, 구매업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면세점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및 관리하는 물품관리부와, 면세점 내에서 이루어지는 물품 판매에 따른 거래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판매관리부와, 기 거래된 거래 정보 및 구매예정 정보를 기반으로 매출 추이를 분석하는 매출관리부를 포함하여, 면세점 내 거래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부는, 면세업자가 면세점 내 물품을 입고시키기 위해 구매한 구매원장 파일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입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입고물품분석모듈과, 면세점 물품 중 판매된 판매원장 파일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출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출고물품분석모듈과, 상기 입고물품분석모듈 및 출고물품분석모듈 정보를 기반으로 면세점 내 재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재고물품분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물품관리부는, 면세점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업자단말기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기초정보제공모듈과, 상기 재고물품분석모듈 정보를 기반으로 구매업자단말기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재고정보를 제공하는 재고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매관리부는, 구매업자가 구매업자단말기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면세점 물품에 대한 구매예정 정보를 제공하는 구매예정정보제공모듈과, 면세점 물품을 구매한 구매업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매업자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매출관리부는, 상기 구매업자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제공받은 특정 구매업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매업자별 구매 패턴을 분석 및 예측하는 구매업자구매패턴분석모듈과, 상기 구매예정정보제공모듈 및 구매업자구매패턴분석모듈 정보를 기반으로 면세점 예상 매출을 분석 및 예측하는 면세점예상매출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면세점을 관리하는 면세점관리자단말기; 및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려고 계획중인 납품후보업자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고자 계획하고 있는 납품후보업자가 납품하고자 하는 물품을 사전에 본 시스템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시범물품으로 등록,공급하고 등록된 시범물품이 유통되도록 하는 시범물품등록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시범물품등록관리부는,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고자 계획하고 있는 납품후보업자가 납품하고자 하는 물품을 사전에 본 시스템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시범물품으로 등록,공급하게 하는 시범물품등록모듈과, 물품 구매금액 또는 면세점전용카드 거래실적에 따라 구매업자에게 시범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는 시범물품구입제공모듈과, 구매업자들이 시범물품을 구입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시범물품 중에서 구매업자에게 어필하는 요소에 대한 정보를 납품후보업자에게 제공하는 시범물품분석모듈과, 구매업자들의 시범물품 구입 정보를 토대로 면세점에 납품시켜야 할 후보 물품 관련 정보를 면세점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면세점후보물품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한국 또는 해외에서의 한류 관련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한류 관련 최근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는 한류물품정보분석부와, 상기 판매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한류물품정보분석부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면세점물품구매관계분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한류물품정보분석부는, 한국에서의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에 관련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는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과, 해외에서 각 국가별 한류 관련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외 국가별 한류 관련 최근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는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과,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과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에서 도출되는 키워드 간 상관관계나 선후행관계를 분석하는 국내외트랜드분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면세점물품구매관계분석부는,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국내구매관계분석모듈과, 상기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해외구매관계분석모듈과, 상기 국내외트랜드분석모듈을 통해 분석된 국내외 도출된 키워드 간 상관관계와 상기 국내구매관계분석모듈 및/또는 해외구매관계분석모듈을 통해 분석된 면세점 구매 물품 변화량과의 상관관계의 일치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트랜드구매관계분석모듈과, 상기 트랜드구매관계분석모듈을 통해 분석된 국내외 도출된 키워드 간 상관관계와 실제 면세점 구매 물품 변화량과의 상관관계 일치점과 차이점을 기반으로 면세점관리자 및/또는 구매업자에게 구매 증가 및 감소가 예상되는 면세점 물품 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면세점물품예측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면세점 내에서의 물품의 거래 및 유통 과정에서의 물품의 재고관리, 물품관리, 판매관리 및 매출관리 등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재고정보와 구매예정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제공을 통해 구매업자 및 면세업자의 편의를 증진함과 아울러, 구매업자 구매패턴 및 면세점 예상매출 등 다양한 정보의 분석 및 예측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면세점 물품의 구매업자에게는 거래실적 등에 따라 향후 면세점에 납품을 준비 중인 후보 물품(시범물품)을 선택하여 사용해볼 수 있도록 하는 혜택을 부여하고, 면세점에 납품을 희망하는 납품후보업자에게는 면세점에 납품을 희망하는 시범물품에 대해 사전에 시스템을 통해 등록,유통시킬 수 있고 이때 구매업자들에게 어필하는 요소 등에 대한 분석정보도 받아볼 수 있고, 면세점관리자는 향후 면세점에 납품시켜야 할 후보 물품 관련 분석정보를 받아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국내에서 한류 관련 검색되는 물품 키워드와 해외에서 한류 관련 검색되는 물품 키워드 간 상관관계나 선후관계에 대한 트랜드 분석 및 이러한 분석된 트랜드와 실제 면세점에서 물품 구매로 이어지는 구매관계를 분석하여, 구매업자 내지 면세점관리자에게 한류 흐름 변화에 따라 구매 증가 및 감소가 예상되는 면세점 물품 정보를 사전에 예측 및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 도면에 사용되는 부호의 설명
10: 중앙서버 110: 재고관리부
111: 입고물품분석모듈 112: 출고물품분석모듈
113: 재고물품분석모듈 120: 물품관리부
121: 기초정보제공모듈 122: 재고정보제공모듈
130: 판매관리부 131: 구매예정정보제공모듈
132: 구매업자정보제공모듈 140: 매출관리부
141: 구매업자구매패턴분석모듈 142: 면세점예상매출분석모듈
150: 시범물품등록관리부
151: 시범물품등록모듈 152: 시범물품구입제공모듈
153: 시범물품분석모듈 154: 면세점후보물품분석모듈
160: 한류물품정보분석부 161: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
162: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 163: 국내외트랜드분석모듈
170: 면세점물품구매관계분석부 171: 국내구매관계분석모듈
172: 해외구매관계분석모듈 173: 트랜드구매관계분석모듈
174: 면세점물품예측정보제공모듈
20: 구매업자단말기 30: 면세업자단말기
70: 납품후보업자단말기 80: 면세점관리자단말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등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은, 면세점 내에서의 물품의 거래 및 유통 과정에서의 물품의 재고관리, 물품관리, 판매관리 및 매출관리 등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재고정보와 구매예정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제공을 통해 구매업자 및 면세업자의 편의를 증진함과 아울러, 구매업자 구매패턴 및 면세점 예상매출 등 다양한 정보의 분석 및 예측이 가능한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인바,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면세점 물품을 구매하는 구매업자단말기(20); 면세점 물품을 공급하는 면세업자단말기(30); 및 면세점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거래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중앙서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업자단말기(20)는, 면세점 물품을 구매하는 구매업자들이 본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 소지하는 단말기 구성으로,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PC는 물론 노트북, PC 등 통신과 정보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들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기입,제공하고 또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면세업자단말기(30)는, 면세점 물품을 공급하는 면세업자(즉, 면세점에 입점하여 물품을 공급,판매하는 업자)들이 본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 소지하는 단말기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PC는 물론 노트북, PC 등 통신과 정보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들이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기입,제공하고 또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서버(10)는, 면세점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거래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고, 본 시스템에 참여하는 다양한 참여자들을 연계시켜 본 발명의 시스템이 활발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중앙서버(10)는, 구체적으로, 특정 면세업자의 면세점 내 물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재고관리부(110)와, 구매업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면세점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및 관리하는 물품관리부(120)와, 면세점 내에서 이루어지는 물품 판매에 따른 거래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판매관리부(130)와, 기 거래된 거래 정보 및 구매예정 정보를 기반으로 매출 추이를 분석하는 매출관리부(140)를 포함하여, 면세점 내 거래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고관리부(110)는, 특정 면세업자의 면세점 내 물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구성으로, 면세점에서 물품을 판매하는 면세업자의 경우 판매하고자 입고시킨 물품에서 판매된 물품이 제외된 재고 물품의 현황을 신속하게 파악하여야 효율적인 물품관리가 가능한 바, 기존의 엑셀 파일 형태의 관리체계에서 벗어나 본 시스템을 통한 효율적인 재고 정보 관리, 분석을 위해 상기 재고관리부(110)가 기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상기 재고관리부(110)는, 면세업자가 면세점 내 물품을 입고시키기 위해 구매한 구매원장 파일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입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입고물품분석모듈(111)과, 면세점 물품 중 판매된 판매원장 파일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출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출고물품분석모듈(112)과, 상기 입고물품분석모듈(111) 및 출고물품분석모듈(112) 정보를 기반으로 면세점 내 재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재고물품분석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고물품분석모듈(111)은 면세업자가 면세점 내 물품을 입고시키기 위해 구매한 구매원장 파일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입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으로, 기존의 엑셀파일 형태의 관리체계에서 탈피하여 상기 입고물품분석모듈(111)은, 면세업자가 면세점 내 물품을 입고한 후, 구매원장 파일을 상기 면세업자단말기(30) 등을 통해 스캔 또는 촬영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전송되게 되면, 상기 입고물품분석모듈(111)에서는 전송된 파일에서 관련 정보를 취득하여 자동으로 입고물품에 대한 정보는 분류, 관리하게 된다.
상기 출고물품분석모듈(112)은 면세점 물품 중 판매된 판매원장 파일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출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으로, 기존의 엑셀파일 형태의 관리체계에서 탈피하여 상기 출고물품분석모듈(112)은, 면세업자가 면세점 내 물품을 판매한 후, 판매원장 파일을 상기 면세업자단말기(30) 등을 통해 스캔 또는 촬영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면세업자단말기(30)에서 자동으로 전송되게 되면, 상기 출고물품분석모듈(112)에서는 전송된 파일에서 관련 정보를 취득하여 자동으로 출고물품에 대한 정보는 분류, 관리하게 된다.
상기 재고물품분석모듈(113)은 상기 입고물품분석모듈(111) 및 출고물품분석모듈(112) 정보를 기반으로 면세점 내 재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입고물품분석모듈(111)을 통해 파악되는 입고물품에서 상기 출고물품분석모듈(112)을 통해 파악되는 출고물품을 제외하는 방식으로 상기 재고물품분석모듈(113)은 즉각적으로 면세점 내 재고물품을 파악할 수 있고, 해당 정보를 저장,관리하고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면세점 내 물품관리 및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품관리부(120)는, 구매업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면세점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및 관리하는 구성으로, 구매업자의 면세점 물품에 대한 구매 편의를 위해 상기 물품관리부(120)는 다양한 정보를 상기 구매업자단말기(20)를 통해 제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물품관리부(120)는 구체적으로, 면세점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업자단말기(20)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기초정보제공모듈(121)과, 상기 재고물품분석모듈(113) 정보를 기반으로 구매업자단말기(20)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재고정보를 제공하는 재고정보제공모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정보제공모듈(121)은 면세점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업자단말기(20)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기초정보(물품의 기능,성분, 제조사 내지 관련된 최근 정보 등)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기초정보제공모듈(121)을 통해 면세점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업자는 해당 물품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면세점 내 물품 구매로 이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재고정보제공모듈(122)은 상기 재고물품분석모듈(113) 정보를 기반으로 구매업자단말기(20)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재고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구매업자는 상기 기초정보제공모듈(121)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기초정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물품에 대한 구매 가능한 재고정보도 상기 재고정보제공모듈(122)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면세점 내 물품 구매로 이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판매관리부(130)는, 면세점 내에서 이루어지는 물품 판매에 따른 거래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구성으로, 면세점 내 물품 거래 관련하여 거래자 정보, 거래된 물품 정보, 재고 정보, 구매예정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고,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석이 수행되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판매관리부(130)는 구체적으로, 구매업자가 구매업자단말기(20)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면세점 물품에 대한 구매예정 정보를 제공하는 구매예정정보제공모듈(131)과, 면세점 물품을 구매한 구매업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매업자정보제공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예정정보제공모듈(131)은 구매업자가 구매업자단말기(20)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면세점 물품에 대한 구매예정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면세점 내 원활한 물품 거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재고를 파악하는 것 못지않게, 구매업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정보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면세업자 역시 신속한 물품확보 내지 재고확보를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시스템에서는 대량으로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업자가 상기 구매예정정보제공모듈(131)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면세점 물품에 대한 구매예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매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상기 구매업자정보제공모듈(132)은 면세점 물품을 구매한 구매업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면세점 내에서 물품을 지속적으로 및/또는 대량으로 구매하는 구매업자에 대한 관련 정보는 향후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면세점 관리가 가능케 될 수 있는바, 이를 위해 상기 구매업자정보제공모듈(132)은 면세점 물품을 구매한 구매업자에 대한 구매물품의 종류, 양, 구매주기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관리,제공하게 된다.
상기 매출관리부(140)는, 기 거래된 거래 정보 및 구매예정 정보를 기반으로 매출 추이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본 시스템을 통해서는 면세점 내 거래에 따른 재고관리, 물품관리, 판매관리는 물론, 상기 매출관리부(140)를 통해 향후 면세점 내 매출 추이에 대한 분석 및 예측 정보 제공도 이루어짐으로써 면세업자의 효율적인 물품관리가 가능케 하는바, 이를 위해 상기 매출관리부(140)는 구체적으로, 상기 구매업자정보제공모듈(132)을 통해 제공받은 특정 구매업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매업자별 구매 패턴을 분석 및 예측하는 구매업자구매패턴분석모듈(141)과, 상기 구매예정정보제공모듈(131) 및 구매업자구매패턴분석모듈(141) 정보를 기반으로 면세점 예상 매출을 분석 및 예측하는 면세점예상매출분석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업자구매패턴분석모듈(141)은, 상기 구매업자정보제공모듈(132)을 통해 제공받은 특정 구매업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매업자별 구매 패턴을 분석 및 예측하는 구성으로, 구매업자정보제공모듈(132)을 통해 제공받은 특정 구매업자에 대한 구매물품의 종류, 양, 구매주기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매업자구매패턴분석모듈(141)은 특정 구매업자별 언제, 어떤 물품을 어떤 간격으로 얼마 정도 구매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구매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구매가 예상되는 물품 및 그 양 등을 예측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면세점예상매출분석모듈(142)은, 상기 구매예정정보제공모듈(131) 및 구매업자구매패턴분석모듈(141) 정보를 기반으로 면세점 예상 매출을 분석 및 예측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구매업자구매패턴분석모듈(141)을 통해 분석된 특정 구매업자의 구매 패턴은 과거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한 향후 장기적인 구매 예상치를 가늠할 수 있고, 여기에 상기 구매예정정보제공모듈(131)을 통해 제공되는 특정 구매업자의 구매예정 물품정보는 곧 구매 예정인 단기적인 구매 예상 관련 정보인바, 상기 면세점예상매출분석모듈(142)에서는 특정 면세점의 다양한 구매업자들을 대상으로 각 구매업자별 상기와 같은 장/단기 구매 예상치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이를 해당 면세점의 모든 구매업자에 대해 취합함으로써, 해당 면세점의 장/단기적인 예상 매출을 분석하여 예측, 제공함으로써 면세업자의 면세점 물품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면세점 물품의 구매업자에게는 거래실적 등에 따라 향후 면세점에 납품을 준비 중인 후보 물품(시범물품)을 선택하여 사용해볼 수 있도록 하는 혜택을 부여하고, 면세점에 납품을 희망하는 납품후보업자에게는 면세점에 납품을 희망하는 시범물품에 대해 사전에 시스템을 통해 등록,유통시킬 수 있고, 이때 구매업자들에게 어필하는 요소 등에 대한 분석정보도 받아볼 수 있고, 면세점관리자는 향후 면세점에 납품시켜야 할 후보 물품 관련 분석정보를 받아볼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바, 이를 위해 상기 시스템은, 면세점을 관리하는 면세점관리자단말기(80); 및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려고 계획중인 납품후보업자단말기(7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10)는,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고자 계획하고 있는 납품후보업자가 납품하고자 하는 물품을 사전에 본 시스템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시범물품으로 등록,공급하고 등록된 시범물품이 유통되도록 하는 시범물품등록관리부(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세점관리자단말기(80)는, 면세점 즉, 다수의 면세업자들이 입점하여 있는 면세점 전체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로, 면세점의 메인서버나 기타 정보를 보관,관리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단말기 구성 내지 노트북, PC 등 통신과 정보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들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납품후보업자단말기(70)는,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려고 계획중인 면세점 물품 납품후보가가 소지(활용)하는 단말기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PC는 물론 노트북, PC 등 통신과 정보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들이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기입,제공하고 또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시범물품등록관리부(150)는,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고자 계획하고 있는 납품후보업자가 납품하고자 하는 물품을 사전에 본 시스템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시범물품으로 등록,공급하고 등록된 시범물품이 유통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시범물품등록관리부(150)는 보다 구체적으로,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고자 계획하고 있는 납품후보업자가 납품하고자 하는 물품을 사전에 본 시스템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시범물품으로 등록,공급하게 하는 시범물품등록모듈(151)과, 물품 구매금액 또는 면세점전용카드 거래실적에 따라 구매업자에게 시범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는 시범물품구입제공모듈(152)과, 구매업자들이 시범물품을 구입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시범물품 중에서 구매업자에게 어필하는 요소에 대한 정보를 납품후보업자에게 제공하는 시범물품분석모듈(153)과, 구매업자들의 시범물품 구입 정보를 토대로 면세점에 납품시켜야 할 후보 물품 관련 정보를 면세점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면세점후보물품분석모듈(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범물품등록모듈(151)은,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고자 계획하고 있는 납품후보업자가 납품하고자 하는 물품을 사전에 본 시스템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시범물품으로 등록,공급하게 하는 구성으로,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고자 계획하고 있는 납품후보업자는 납품후보업자단말기(70)를 통해 납품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기본 정보 및 관련 정보를 기입,제공하고, 상기 시범물품등록모듈(151)을 통해 면세점에 정식적으로 물품을 납품하기 전이라도 본 시스템을 통해 시범품품으로 등록,공급하여, 사전에 다양한 구매업자들의 실제 구매로 이어지는 비율 내지 코멘트 등을 확인해보고, 제품 개선 내지 실제 면세점 납품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상기 시범물품구입제공모듈(152)은, 물품 구매금액 또는 면세점전용카드 거래실적에 따라 구매업자에게 시범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포인트관리모듈(141)을 통해 포인트 지급 외에, 추가적으로 구매업자들에게 별도로 본 시스템을 통해 유통되는 시범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업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구매업자 입장에서는 아직 정식으로 면세점에 납품되기 전의 물품을 먼저 구입해 볼 수 있어, 향후 면세점에서 유통될 수 있는 후보 물품들에 대해 먼저 구입,사용이 가능하므로 얼리어답터와 같은 느낌 등의 만족도를 갖을 수 있게 되고, 해당 시범물품에 대한 장점이나 개선책 등 다양한 의견 제시를 통해, 향후 자신이 구매할 수 있는 면세점의 향후 후보 물품이 좀 더 개선될 수 있게 하는 등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시범물품분석모듈(153)은, 구매업자들이 시범물품을 구입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시범물품 중에서 구매업자에게 어필하는 요소에 대한 정보를 납품후보업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으로, 다수의 시범물품들 중 구매업자들의 구입비율, 구매 패턴 및 구매업자들이 해당 시범물품에 대해 남기는 다양한 의견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범물품분석모듈(153)은 각 시범물품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고, 이러한 분석 정보를 납품후보업자단말기(70)를 통해 해당 시범물품의 납품 후보업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납품후보업자들은 자신의 제품에 대한 제품 개선 내지 실제 면세점 납품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상기 면세점후보물품분석모듈(154)은, 구매업자들의 시범물품 구입 정보를 토대로 면세점에 납품시켜야 할 후보 물품 관련 정보를 면세점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으로, 각각의 시범물품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 정보는 상기 시범물품분석모듈(153)을 통해 분석되어 각 납품후보업자들에 제공되게 되고, 그와 별개로, 상기 면세점후보물품분석모듈(154)에서는, 상기 시범물품들 전체에 대한 분석 정보를 종합하여, 향후 어떤 물품들이 본 계약을 통해 실제 면세점에 납품되어 유통되는 경우가 실제 면세점 매출증대 및 구매업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정보를 면세점관리자단말기(80)를 통해 면세점 관리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면세점에서는 면세점의 향후 즉, 미래의 매출증대를 위한 면세점 물품의 포트폴리오 개선 내지 재편 등에 본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국내에서 한류 관련 검색되는 물품 키워드와 해외에서 한류 관련 검색되는 물품 키워드 간 상관관계나 선후관계에 대한 트랜드 분석 및 이러한 분석된 트랜드와 실제 면세점에서 물품 구매로 이어지는 구매관계를 분석하여, 구매업자 내지 면세점 관리자에게 한류 흐름 변화에 따라 구매 증가 및 감소가 예상되는 면세점 물품 정보를 사전에 예측 및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적으로 제공할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바, 이를 위해 상기 중앙서버(10)는, 추가적으로 한국 또는 해외에서의 한류 관련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한류 관련 최근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는 한류물품정보분석부(160)와, 상기 판매관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한류물품정보분석부(160)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면세점물품구매관계분석부(170)를 추가로 포함할수 있다.
상기 한류물품정보분석부(160)는, 한국 또는 해외에서의 한류 관련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한류 관련 최근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고, 국내외 해외에서의 도출되는 키워드 간 상관관계나 선후행관계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한류물품정보분석부(160)는 구체적으로, 한국에서의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에 관련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는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1)과, 해외에서 각 국가별 한류 관련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외 국가별 한류 관련 최근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는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2)과,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1)과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2)에서 도출되는 키워드 간 상관관계나 선후행관계를 분석하는 국내외트랜드분석모듈(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1)은, 한국에서의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에 관련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는 구성으로, 국내 인터넷 등의 웹 검색, 모바일 등의 검색 내지 SNS 등의 검색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한국에서 한류로 유명한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 관련하여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1)은 국내 특정 드라마에서 주인공이 사용하는 화장품으로 유명세를 타게 된 화장품 물품 또는 국내 특정 영화에서 유명해진 장소의 특산품 등의 물품 등, 최근에 국내에서 많이 검색되는 관련 물품 키워드를 분석,도출,제공하게 된다.
상기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2)은, 해외에서 각 국가별 한류 관련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외 국가별 한류 관련 최근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는 구성으로, 해외 인터넷 등의 웹 검색, 모바일 등의 검색 내지 SNS 등의 검색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해외에서 한류로 유명한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 관련하여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2)은 한류로 최근 유명세를 타는 특정 드라마에서 주인공이 사용하는 화장품으로 유명세를 타게 된 화장품 물품 또는 한류 관련 특정 영화에서 유명해진 장소의 특산품 등의 물품 등, 최근에 해외에서 한류 관련 많이 검색되는 관련 물품 키워드를 분석,도출,제공하게 된다.
상기 국내외트랜드분석모듈(163)은,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1)과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2)에서 도출되는 키워드 간 상관관계나 선후행관계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즉,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1)을 통해 분석되는 한류 물품 관련 키워드와 상기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2)을 통해 분석되는 한류 물품 관련 키워드 간 서로 일치하는 부분이나 또는 국내와 해외 간 시간차를 통해 선행/후행하는 관계에 대한 부분이나 또는 완전히 차이나는 부분 등 국내외에서 도출되는 키워드 간 상관관계/선후행관계/불일치관계 등의 트랜드 정보를 분석,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특히 향후 국내에서 유행하는 한류 관련 물품이 언제쯤 해외에서 유행하게 될 지에 대한 예측,분석이 가능케 되고, 이를 통해 면세품 구매업자 및 면세업자들에게 어떤 물품에 대한 면세점 내 매출증대가 예상되고, 어떤 물품을 추가로 구비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분석을 하는데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면세점물품구매관계분석부(170)는, 상기 판매관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한류물품정보분석부(160)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실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면세점물품구매관계분석부(170)는 구체적으로,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1)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국내구매관계분석모듈(171)과, 상기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2)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해외구매관계분석모듈(172)과, 상기 국내외트랜드분석모듈(163)을 통해 분석된 국내외 도출된 키워드 간 상관관계와 상기 국내구매관계분석모듈(171) 및/또는 해외구매관계분석모듈(172)을 통해 분석된 면세점 구매 물품 변화량과의 상관관계의 일치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트랜드구매관계분석모듈(173)과, 상기 트랜드구매관계분석모듈(173)을 통해 분석된 국내외 도출된 키워드 간 상관관계와 실제 면세점 구매 물품 변화량과의 상관관계 일치점과 차이점을 기반으로 면세점관리자 및/또는 구매업자에게 구매 증가 및 감소가 예상되는 면세점 물품 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면세점물품예측정보제공모듈(1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내구매관계분석모듈(171)은,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1)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상기 국내구매관계분석모듈(171)은 상기 판매관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1)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실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국내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을 통해 한류 관련 물품에 대한 검색 데이터 변화량과 실제 면세점 내에서 관련 물품에 대한 구매 변화량이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한 분석정보는 향후 구매업자, 면세업자 및/또는 면세점 관리자 등에게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해외구매관계분석모듈(172)은, 상기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2)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상기 해외구매관계분석모듈(172)은 상기 판매관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162)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실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해외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을 통해 한류 관련 물품에 대한 검색 데이터 변화량과 실제 면세점 내에서 관련 물품에 대한 구매 변화량이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한 분석정보는 향후 구매업자, 면세업자 및/또는 면세점 관리자 등에게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랜드구매관계분석모듈(173)은, 상기 국내외트랜드분석모듈(163)을 통해 분석된 국내외 도출된 키워드 간 상관관계와 상기 국내구매관계분석모듈(171) 및/또는 해외구매관계분석모듈(172)을 통해 분석된 면세점 구매 물품 변화량과의 상관관계의 일치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구성으로, 즉, 상기 트랜드구매관계분석모듈(173)은 앞서 설명한 상기 국내외트랜드분석모듈(163)을 통해 분석된 국내외 도출된 키워드 간 상관관계 내지 선후행관계 등의 데이터와, 상기 국내구매관계분석모듈(171) 및/또는 해외구매관계분석모듈(172)을 통해 분석된 실제 면세점 관련 물품의 구매 변화량 등의 데이터 간에 어떤 일치하는 부분 내지 차이나는 부분 등이 있는지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게 되고, 실제로 국내외 도출된 키워드 간의 상관관계와 실제 면세점 내 관련 물품의 실제 구매관계 간 상관관계 등이 분석되어,제공되게 되면, 향후 구매업자, 면세업자 및/또는 면세점 관리자 등에게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면세점물품예측정보제공모듈(174)은, 상기 트랜드구매관계분석모듈(173)을 통해 분석된 국내외 도출된 키워드 간 상관관계와 실제 면세점 구매 물품 변화량과의 상관관계 일치점과 차이점을 기반으로 면세점관리자 및/또는 구매업자에게 구매 증가 및 감소가 예상되는 면세점 물품 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즉, 앞서 설명한 상기 트랜드구매관계분석모듈(173)에서는, 실제로 국내외 도출된 키워드 간의 상관관계와 실제 면세점 내 관련 물품의 실제 구매관계 간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데 반해, 상기 면세점물품예측정보제공모듈(174)에서는, 이러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현재 국내외에서 특정 한류 관련 어떤 물품이 검색되고 있는지, 그리고 국내외 검색 키워드를 바탕으로 향후 어떻게 해외에서의 구매(즉, 면세점에서의 면세점 물품 구매)가 변화할 지에 대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구매업자, 면세업자 및 면세점 관리자 등에게 향후에 구매를 늘리고 또는 줄여야 할 물품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하게 된다. 특히 향후 국내에서 유행 및 많이 판매되는 한류 관련 물품이 언제쯤 해외에서 유행하게 될 지에 대한 예측,분석을 기반으로, 이를 통해 면세품 구매업자 및 면세업자, 면세점 관리자들에게 향후 어떤 물품에 대한 면세점 내 매출증대가 예상되고, 어떤 물품을 추가로 구비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여, 면세점 물품 관리의 효율성 증대를 통해 면세점 매출증대 및 종국적으로는 본 시스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면세점 물품을 구매하는 구매업자단말기;
    면세점 물품을 공급하는 면세업자단말기; 및
    면세점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거래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특정 면세업자의 면세점 내 물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재고관리부와, 구매업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면세점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및 관리하는 물품관리부와, 면세점 내에서 이루어지는 물품 판매에 따른 거래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판매관리부와, 기 거래된 거래 정보 및 구매예정 정보를 기반으로 매출 추이를 분석하는 매출관리부를 포함하여, 면세점 내 거래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부는, 면세업자가 면세점 내 물품을 입고시키기 위해 구매한 구매원장 파일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입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입고물품분석모듈과, 면세점 물품 중 판매된 판매원장 파일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출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출고물품분석모듈과, 상기 입고물품분석모듈 및 출고물품분석모듈 정보를 기반으로 면세점 내 재고물품 정보를 관리하는 재고물품분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물품관리부는, 면세점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업자단말기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기초정보제공모듈과, 상기 재고물품분석모듈 정보를 기반으로 구매업자단말기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재고정보를 제공하는 재고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관리부는, 구매업자가 구매업자단말기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면세점 물품에 대한 구매예정 정보를 제공하는 구매예정정보제공모듈과, 면세점 물품을 구매한 구매업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매업자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매출관리부는, 상기 구매업자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제공받은 특정 구매업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매업자별 구매 패턴을 분석 및 예측하는 구매업자구매패턴분석모듈과, 상기 구매예정정보제공모듈 및 구매업자구매패턴분석모듈 정보를 기반으로 면세점 예상 매출을 분석 및 예측하는 면세점예상매출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은,
    면세점을 관리하는 면세점관리자단말기; 및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려고 계획중인 납품후보업자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고자 계획하고 있는 납품후보업자가 납품하고자 하는 물품을 사전에 본 시스템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시범물품으로 등록,공급하고 등록된 시범물품이 유통되도록 하는 시범물품등록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시범물품등록관리부는, 면세점에 물품을 납품하고자 계획하고 있는 납품후보업자가 납품하고자 하는 물품을 사전에 본 시스템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시범물품으로 등록,공급하게 하는 시범물품등록모듈과, 물품 구매금액 또는 면세점전용카드 거래실적에 따라 구매업자에게 시범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는 시범물품구입제공모듈과, 구매업자들이 시범물품을 구입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시범물품 중에서 구매업자에게 어필하는 요소에 대한 정보를 납품후보업자에게 제공하는 시범물품분석모듈과, 구매업자들의 시범물품 구입 정보를 토대로 면세점에 납품시켜야 할 후보 물품 관련 정보를 면세점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면세점후보물품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한국 또는 해외에서의 한류 관련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한류 관련 최근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는 한류물품정보분석부와, 상기 판매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한류물품정보분석부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면세점물품구매관계분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면세점 물품구매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류물품정보분석부는, 한국에서의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최근에 관련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는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과, 해외에서 각 국가별 한류 관련 드라마, 영화, 음악, 스포츠의 연관 검색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외 국가별 한류 관련 최근 검색되는 물품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는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과,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과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에서 도출되는 키워드 간 상관관계나 선후행관계를 분석하는 국내외트랜드분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면세점물품구매관계분석부는, 상기 국내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국내구매관계분석모듈과, 상기 해외한류물품정보분석모듈에서 도출된 물품 관련 키워드와 면세점에서 구매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물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해외구매관계분석모듈과, 상기 국내외트랜드분석모듈을 통해 분석된 국내외 도출된 키워드 간 상관관계와 상기 국내구매관계분석모듈 및/또는 해외구매관계분석모듈을 통해 분석된 면세점 구매 물품 변화량과의 상관관계의 일치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트랜드구매관계분석모듈과, 상기 트랜드구매관계분석모듈을 통해 분석된 국내외 도출된 키워드 간 상관관계와 실제 면세점 구매 물품 변화량과의 상관관계 일치점과 차이점을 기반으로 면세점관리자 및/또는 구매업자에게 구매 증가 및 감소가 예상되는 면세점 물품 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면세점물품예측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면세점 물품구매시스템.
PCT/KR2021/018170 2021-01-28 2021-12-03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 WO202216400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362A KR20220109096A (ko) 2021-01-28 2021-01-28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
KR10-2021-0012362 2021-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4003A1 true WO2022164003A1 (ko) 2022-08-04

Family

ID=8265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170 WO2022164003A1 (ko) 2021-01-28 2021-12-03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09096A (ko)
WO (1) WO2022164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886B1 (ko) * 2023-04-05 2023-08-03 엠봇 주식회사 네일스티커 자동판매-셀프시술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303A (ja) * 2001-01-26 2002-08-09 Jimos:Kk 通信販売管理システム、通信販売管理装置、通信販売管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80032683A (ko) * 2006-10-09 2008-04-16 주식회사 씨엠에스 시제품 판매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9574A (ko) * 2013-03-05 2014-09-16 (주) 씨엠에스시스템 샘플 상품 배포 시스템
JP2019215932A (ja) * 2015-03-17 2019-12-19 株式会社Payke 免税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サーバ装置
KR20200009542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비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쇼핑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303A (ja) * 2001-01-26 2002-08-09 Jimos:Kk 通信販売管理システム、通信販売管理装置、通信販売管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80032683A (ko) * 2006-10-09 2008-04-16 주식회사 씨엠에스 시제품 판매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9574A (ko) * 2013-03-05 2014-09-16 (주) 씨엠에스시스템 샘플 상품 배포 시스템
JP2019215932A (ja) * 2015-03-17 2019-12-19 株式会社Payke 免税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サーバ装置
KR20200009542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비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쇼핑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096A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376B1 (ko) 쇼핑몰 운영 관리 시스템
US20050273369A1 (en) Recall support system, recall support method, and programs therefor
WO2019132084A1 (ko)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의 온라인 판매채널을 추천하는 방법 및 그 서버
CN104299094A (zh) 一种企业进销存管理信息系统
WO2021218553A1 (zh) 基于机器人的网状供应链决策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19216621A1 (ko) 복지형 언더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WO2022164003A1 (ko) 면세점 물품관리시스템
CN109886790A (zh) 一种纺织面料管理交易系统
WO2019147095A1 (ko) 융복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멀티 밴드 시스템.
EP2884449A1 (en) Transaction support system
WO2019124613A1 (ko) 슈퍼마켓 창고관리 효율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81074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이-이알피 기반의 포스 시스템
WO2019160370A1 (ko)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에 대해 디자이너와 커뮤니케이션되는 의류제작시스템.
KR20210067165A (ko) 의류 임대 플랫폼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임대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25654A (ko) 공유 유통 플랫폼 서비스
KR20200104030A (ko)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시스템
WO2022163968A1 (ko) 효율적인 면세점 물품구매시스템
CN112232918A (zh) 一种智能网咖系统
CN107545474A (zh) 一款多渠道网络分销系统
Qi et al. Research on information sharing risk in supply chain management
WO2017122995A1 (ko) 수량 정보에 기반한 아이템의 판매 조건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10085071A2 (ko) 온라인 상에서 회원 등급에 따른 포인트를 이용한 전자상거래방법, 그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2461945B1 (ko) 복수의 매물을 상호 매핑하여 관리하는 실시간 매물 감정 거래 시스템
JP2001319125A (ja) 販売促進専用処理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の処理方法並びにこのシステム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媒体
WO2023214698A1 (ko) 섬유제품 협업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섬유제품 협업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234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234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