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58666A1 - Observable beehive - Google Patents

Observable beehi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58666A1
WO2022158666A1 PCT/KR2021/009999 KR2021009999W WO2022158666A1 WO 2022158666 A1 WO2022158666 A1 WO 2022158666A1 KR 2021009999 W KR2021009999 W KR 2021009999W WO 2022158666 A1 WO2022158666 A1 WO 20221586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ees
beehive
unit
module
ob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9999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신현주
Original Assignee
신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주 filed Critical 신현주
Publication of WO20221586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5866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servable beehive, wherein bees move in and out of the beehive through a dedicated moving tube, allowing an observer to safely observe the movement of the bees in the beehive via a see-through window.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bservation unit having a light-transmissible see-through window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and allows observation of the inside thereof so that the bees can be observed, and a moving tube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bservation unit and through which the bees can enter and exit.

Description

관찰형 벌통observational hive
본 발명은 관찰형 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들의 이동과 벌통 내부에서의 움직임, 벌집의 생성과정 등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관찰형 벌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servational hiv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bservational hive capable of safely and easily observing the movement of bees, the movement inside the hive, and the process of creating a hive.
벌통은 벌떼를 수용하여 벌집을 짓고 생활하도록 만들어진 통이다. 종래의 양봉을 위한 벌통은 일반적으로 몸체와 몸체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벌이 드나들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벌집이 칸막이처럼 구비되어 있다. 특히, 벌통은 주로 불투명한 나무로 이루어져 있어서 뚜껑을 덮어 놓으면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다. A hive is a hive designed to accommodate a swarm of bees to build and live in a hive. The conventional beehive for beekeeping generally consists of a body and a lid covering the body, and an entrance is formed to allow bees to enter and exit, and a honeycomb is provided inside the beehive. In particular, the hive is mainly made of opaque wood, so it is impossible to see inside if the lid is covered.
꿀벌은 일반인들이 가까이서 관찰하기가 어려운 대표적인 곤충이므로, 꿀벌의 생리 및 생태를 비롯한 꿀벌의 질병을 연구하는 연구자들도 넓은 공간에서 꿀벌을 직접 사육하지 않으면 시료의 확보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Since honey bees are representative insects that are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observe up close, even researchers who study bee diseases, including the physiology and ecology of bees, have difficulty in securing samples unless they directly breed bees in a large space.
이렇듯 꿀벌은 일반인들의 접근이 어렵고 연구자들이 시료로써 조절이 어려운 점으로 인하여 양봉산업의 발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꿀벌의 병해충 연구를 비롯한 유전자 분석 등 기본적인 꿀벌의 연구에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받고 있었으며, 일반인들의 관심에서 제외되어 있었다.As such, honey bees are difficult to access by the general public and researchers are difficult to control as samples, so basic research on bees such as genetic analysis, including research on pests and diseases of bee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development of the beekeeping industry, was limited in time and space. was excluded from their attention.
종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꿀벌 관찰용 벌통으로 한 장의 벌집이 들어가는 관찰용 소상이 양봉산업관련 전시등에 일부 사용되고 있으나, 그 형태가 벌통의 축소형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꿀벌이 들어가서 하나의 봉군을 형성하고 있다.As a beehive for bee observation that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the past, an observation small image containing a single beehive is partially used for exhibitions related to the beekeeping industry, but the shape is composed of a reduced form of a beehive, and a large number of bees enter and form a single colony. .
따라서, 내부의 벌들의 모습을 관찰하려면 뚜껑을 열어서 보아야 하는데, 이 경우 벌들의 활동을 방해하여 꿀의 생산에 지장을 줄 수도 있고, 뚜껑을 열다가 벌에 쏘이는 위험도 있다.Therefore, in order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bees, it is necessary to open the lid, and in this case, it may interfere with the activity of the bees and interfere with the production of honey, and there is a risk of being stung by the bees while opening the li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벌들은 전용 이동관을 통해 벌통 내외부로 이동하며, 관찰자는 투시창을 통해 벌통 내의 벌들의 움직임을 안전하게 관찰할 수 있는 관찰형 벌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bees move in and out of the hive through a dedicated moving tube, and the observer provides an observation type hive that can safely observe the movement of bees in the hive through a viewing window.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관찰형 벌통은 벌을 관찰할 수 있도록 일측에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광가능한 투시창을 구비하는 관찰유닛과, 상기 관찰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벌이 출입할 수 있는 이동관을 구비한다.The observation-typ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servation unit having a see-through window through which the inside can be observed on one side to observe the bees, and a moving tu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bservation unit, through which the bees can enter and exit. .
상기 관찰유닛은 꿀벌이 꿀을 모을 수 있는 소초광이 내장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과, 벌들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벌통본체와, 상기 벌통본체의 외부를 감싸면서 외부에서 상기 벌통본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투시창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관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관을 통과한 꿀벌들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찰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bservation unit includes a beehive body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a sochogwang can be built in for honey bees to collect honey, and an entrance to which bees can enter and exit, and the beehive body from the outside while wrapping the outside of the beehive body It is provided with the viewing window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observed,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n observation body which is connected to the moving tube so that the bees passing through the moving tube can enter the inside.
상기 투시창은 외부에서 내부의 관찰은 가능하지만, 내부에서 외부의 모습이 보이지 않도록 틴팅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e-through window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inside from the outside, but a tinting film is attached so that the outside appearance is not visible from the inside.
상기 투시창은 두겹 또는 그 이상의 다겹의 편광판으로 이루어지며, 내측 또는 외측의 편광판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내부로 들어가는 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e-through window is composed of two or more multi-layer polarizing plat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transmission of light entering the inside by rotating or moving the inner or outer polarizing plate.
상기 이동관은 관의 단부 또는 일측에 마련되서 꿀벌을 제외한 천적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된 퇴치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tube is provided at the end or one side of the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pelling module to limit the entry and exit of natural enemies other than bees.
본 발명에 따른 관찰형 벌통은 관찰자가 벌통 내부에서 벌들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활인할 수 있으며, 벌들이 전용 이동관을 통해 실외에서 벌통으로 이동하게 됨으로 벌에 쏘이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observation-typ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n observer to easily activate the movement of bees inside the hive, and because the bees move from the outside to the hive through a dedicated transfer tub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bee stings.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찰형 벌통의 내부가 보이지 않는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observation-type beeh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vi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찰형 벌통의 내부가 관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observation-type beeh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serve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치모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the repell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치모듈에서 커버프레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frame is separated from the erad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도 5에 있는 커버프레임이 분리된 상태의 베이스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6 and 7 are front views showing the base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frame in FIG. 5 is separated.
도 8 및 도 9는 개폐모듈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고,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excerpted to indic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closing modul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치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termin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투시창의 제1편광판과 제2편광판의 원리를 표시한 개념도이다.11 to 12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a first polarizing plate and a second polarizing plate of a see-through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찰형 벌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또는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an observation-type beeh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관찰형 벌통(1)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 to 10 show an embodiment of an observation-type beehiv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관찰형 벌통(1)은 관찰유닛(10)과 이동관(2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bservation-type beehive (1) is provided with an observation unit (10) and a moving tube (20).
상기 관찰유닛(10)은 벌통본체(11)와 관찰본체(13)를 구비한다.The observation unit 10 includes a beehive body 11 and an observation body 13 .
상기 벌통본체(11)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꿀벌이 꿀을 모을 수 있는 소초광(12)이 내장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과, 벌들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The beehive body 11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and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sochogwang 12 that can be collected by bees can be built-in, and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bees can enter and exit are formed.
상기 소초광(12)은 상기 벌통본체(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폭과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벌통본체(11)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며, 복수개가 내장될 때 좌우로 소정간격 이격된다.The sochogwang 12 is formed with a width and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eehive body 11, and is introduc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eehive body 11,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left and right when a plurality of them are embedded are spaced apart
상기 관찰본체(13)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벌통본체(11)가 내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벌통본체(11)의 외부를 감싸면서 외부에서 상기 벌통본체(11)를 관찰할 수 있도록 외벽면이 투시창(14)으로 구비되며, 상기 벌통본체(11)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생긴 공간에서 벌들이 움직이게 되는데, 이를 관찰 할 수 있다. The observation body 13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beehive body 11 can be embedded. In addition, the outer wall surface is provided with a see-through window 14 so that the beehive body 11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while enclosing the outside of the beehive body 11 , and a space creat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eehive body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bees move in the area, which can be observed.
상기 이동관(20)은 소정길이 연장된 관이며, 상기 관찰유닛(10)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관찰유닛(10)의 벌 출입구는 상기 이동관(2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관(20)을 통과한 꿀벌들이 상기 관찰유닛(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찰자가 상기 관찰유닛(10) 내부를 관찰할 때, 벌과 분리되어 보다 안전하게 관찰할 수 있다. The moving tube 20 is a tub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bservation unit 10 . The bee entrance and exit of the observation unit 10 are connected to the moving tube 20 so that the bees passing through the moving tube 20 can enter the observation unit 10 inside. Therefore, when the observer observes the inside of the observation unit 10, it can be observed more safely by being separated from the bee.
상기 이동관(20)은 투명한 관으로 이루어져 벌들이 이동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며 투명도, 색 및 길이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moving tube 20 is made of a transparent tube so that the moving bees can be observed, and the transparency, color, and length are not limited.
상기 투시창(14)은 외부에서 내부의 관찰은 가능하지만, 내부에서 외부의 모습이 보이지 않도록 틴팅필름을 부착한다. 상기 틴팅필름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유리창 썬팅에 사용되며, 열차단 효과도 있어 하절기에 태양광에 의해 상기 관찰유닛의 내부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e-through window 14 can be observed from the inside, but a tinting film is attached so that the external appearance is not visible from the inside. The tinting film is generally used for tinting a car window, and has a heat-blocking effect to preven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bservation unit from rising excessively by sunlight in summer.
상기 틴팅필름이 부착된 투시창(14)을 통해 상기 관찰본체(13)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상기 관찰본체(13)에 발광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유닛은 온/오프가 가능한 전등으로 밝기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관찰본체(13)의 내부의 벌들의 움직임을 관찰할 때, 상기 발광유닛을 온, 관찰하지 않을 시 오프로 하여 벌들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관찰유닛에는 내부온도 조절고 공기질 관리를 위해 환풍구 및 환풍기가 마련될 수 있다.A light emitt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observation body 13 so that the inside of the observation body 13 can be view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14 to which the tinting film is attached. The light emitting unit is a light that can be turned on / off, the brightness can be controlled, and when observing the movement of the bees inside the observation body 13,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and off when not observed to stress the bees. not to receive Although not shown, the observation unit may be provided with a vent and a ventilator for internal temperature control and air quality management.
상기 이동관(20)은 단부에 마련되며, 꿀벌을 제외한 천적의 출입을 제한하는 퇴치모듈(100)을 구비한다. The moving tube 20 is provided at the end, and includes a repelling module 100 for restricting entry and exit of natural enemies other than bees.
도 3 내지 도 10에는 상기 퇴치모듈(100)이 도시되어 있다.3 to 10 show the eradication module 100 .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퇴치모듈(100)은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퇴치모듈(100)은 상기 퇴치유닛본체(101)의 전면부에 장착될 수 있고, 벌들이 출입하는 입구 측에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ghting module 100 may be mounted at the entrance of the fighting unit main body 101 . In one embodiment, the repelling module 10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part of the repelling unit main body 101, and may be mounted in a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entrance to the entrance to the bees.
여기에서, 상기 퇴치모듈(100)은 상기 퇴치유닛본체(101)의 모양이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상기 퇴치유닛본체(10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퇴치모듈(100)은 퇴치유닛본체(101)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고정하여 장착될 수 있고 퇴치유닛본체(101)와의 분리 교체가 가능하다.Here, the eradication module 10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r size of the eradication unit main body 101 and may be mounted on the eradication unit main body 101 in various forms. The eradication module 100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eradication unit main body 101 in a detachable form, and can be separated and replaced with the eradicating unit main body 101 .
상기 퇴치모듈(100)은 상기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에 장착하여 상기 퇴치유닛본체(101) 입구에서 꿀벌을 공격하는 말벌을 퇴치할 수 있다. The extermination module 100 may be mounted at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body 101 to repel wasps attacking bees at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body 101 .
상기 퇴치모듈(100)는 꿀벌과 말벌이 견딜 수 있는 온도차를 이용해 말벌을 퇴치한다. 즉, 일반적으로 꿀벌의 경우 약 48 내지 50℃의 온도까지 견딜 수 있는 반면, 말벌의 경우 약 46℃가 견딜 수 있는 한계온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퇴치모듈(100)는 퇴치유닛본체(101) 입구에 말벌의 출현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마련하고, 말벌의 출현이 감지되면 퇴치유닛본체(101) 입구의 온도를 48℃도 내외로 가열하여 말벌이 죽거나 도망가도록 할 수 있다.The repelling module 100 repels the wasps by using a temperature difference that the bees and the wasps can withstand. That is, in general, honeybees can withstand a temperature of about 48 to 50° C., whereas for wasps, about 46° C. is the limiting temperature that can be tolerated. Therefore, the extermination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ing means capable of detecting the appearance of wasps at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and when the appearance of the wasps is detected,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is 48 ° C. Heating in or out of the oven can cause wasps to die or run away.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치모듈(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radica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퇴치모듈(100)는 말벌 식별부(110), 말벌 퇴치부(130), 출입구 개폐부(150), 통신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pelling module 100 may include a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 a wasp repelling unit 130 , an entrance opening/closing unit 150 , a communication unit 170 , and a control unit 190 .
말벌 식별부(110)는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에 말벌 출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말벌 식별부(110)는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를 포함한 주변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말벌 식별부(110)는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로 진입하려는 말벌을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하고,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말벌을 식별할 수 있다. 말벌 식별부(110)는 말벌과 꿀벌의 크기 차이를 통해 말벌을 식별해낼 수 있다. 말벌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꿀벌에 비해 훨씬 크다. 꿀벌의 크기는 10㎜ 전후이나, 말벌은 30㎜ 전후로서 크기를 비교하여 말벌의 접근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말벌 식별부(110)는 말벌과 꿀벌의 크기차이 외에도 말벌과 꿀벌의 색상, 모양의 차이를 통해 말벌과 꿀벌을 구분하는데, 다양한 말벌과 꿀벌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학습을 하여 말벌과 꿀벌을 구별한다. The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may detect the appearance of the wasp at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 In one embodiment, the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including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 The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may photograph a wasp trying to enter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through the camera module, and analyze the photographed image to identify the wasp. The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may identify the wasp through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wasp and the bee. Wasps are usually much larger than honeybees. The size of a bee is around 10 mm, but a wasp is around 30 mm, so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a wasp approaches or not by comparing the size. In addition, the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distinguishes between wasps and bees through the difference in color and shape of wasps and bees in addition to the size difference between wasps and bees. do.
일 실시예에서, 말벌 식별부(110)는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를 포함한 주변의 소리를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말벌 식별부(110)는 마이크모듈을 통해 말벌 및 꿀벌의 비행중 발생하는 소리를 수음하고 수음된 비행음을 분석하여 말벌의 접근을 식별할 수 있다. 말벌과 꿀벌은 크기의 차이로 인해 날개짓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 및 주파수 패턴 등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말벌 식별부(110)는 마이크모듈을 통해 수음되는 소리 중 꿀벌의 비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 외에 다른 소리의 유무를 판단하고 말벌의 비행 패턴에 대응하는 소리가 인지되면 말벌의 접근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module capable of collecting ambient sounds including the entrance of the repelling unit main body 101 . The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may detect the sound generated during the flight of the wasps and the bees through the microphone module and analyze the captured flight sound to identify the approach of the wasps. Wasps and bees differ in size and frequency pattern, etc.,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lapping their wings due to the difference in size. The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other sounds other than the sound generated during the flight process of the bee among the sounds col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module, and when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flight pattern of the wasp is recognized, it can be determined as the approach of the wasp. .
말벌 식별부(110)는 카메라모듈 및 마이크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모듈의 조합을 통해 퇴치유닛본체(101) 입구의 말벌 출현을 감지해낼 수 있다.The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may detect the appearance of wasps at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through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microphone module.
말벌 퇴치부(130)는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에 말벌의 출현이 식별되면 가열을 통해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를 말벌이 견딜 수 있는 온도 이상으로 승온시켜 말벌을 퇴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말벌 퇴치부(130)는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의 승온을 위한 가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벌 퇴치부(130)는 말벌 식별에 따라 가열모듈을 특정 온도로 가열하여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에 진입하려는 말벌을 퇴치할 수 있다. 말벌 퇴치부(130)는 말벌과 꿀벌이 견딜 수 있는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말벌이 견딜 수 있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모듈을 가열하여 말벌을 퇴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벌은 약 46℃이고, 꿀벌은 약 50℃로, 말벌 퇴치부(130)는 말벌 출현이 감지될 때 가열모듈을 48℃ 내외로 가열하여 꿀벌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말벌만 퇴치할 수 있다. Wasp repelling unit 130, when the appearance of wasps at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is identified, by heating the inlet of the exterminating unit main body 101 through heating to a temperature that the wasps can withstand, you can fight the wasps. . In one embodiment, the wasp repelling unit 130 may include a heating module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of the repelling unit main body 101 . Here, the wasp repelling unit 130 may repel wasps trying to enter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by heating the heating module to a specific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wasp identification. The wasp repelling unit 130 may us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wasps and the bees to heat the heating module above the temperature that the wasps can withstand to expel the wasps. Here, the wasps are at about 46 ° C, the bees at about 50 ° C, and the wasp extermination unit 130 heats the heating module to around 48 ° C when the appearance of the wasps is detected to exterminate only the wasps without affecting the bees. can
출입구 개폐부(150)는 말벌의 식별에 따라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구 개폐부(150)는 말벌 식별부(110)에서 말벌이 식별되면 상기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를 폐쇄하여 퇴치되지 않고 잔존 가능성이 있는 말벌이 상기 퇴치유닛본체(101) 내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말벌 퇴치부(130)의 발열에 의한 열기가 상기 퇴치유닛본체(101)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꿀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doorway opening/closing unit 150 may open and close the entrance of the repelling unit main body 101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wasp. In one embodiment, the doorway opening/closing unit 150 closes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when the wasps are identified in the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and the wasps that are likely to remain without being eradicated are the extermination unit body 101. It is possible to block entry into the interior, and to block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wasp repelling unit 13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so as not to affect the bees.
통신부(170)는 상기 퇴치유닛본체(101)의 관리자 단말과 통신 접속하고 관리자 단말에 퇴치유닛본체(101) 입구에 말벌 출현 및 말벌 퇴치 상황을 전달하여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가 말벌 퇴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communicates with the manager terminal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and communicates the appearance of wasps and the wasp extermination situation at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to the manager terminal to monitor the wasp extermination situation by the manager in a remote place. can
제어부(170)는 상기 퇴치유닛본체(101)에 장착한 상기 퇴치모듈(100)이 상기 퇴치유닛본체(101)의 입구에 출현한 말벌을 퇴치할 수 있도록 말벌 식별부(110), 말벌 퇴치부(130), 출입구 개폐부(150) 및 통신부(17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이들 간의 제어 및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is a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a wasp repelling unit so that the extermination module 100 mounted on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can expel the wasps that appeared at the entrance of the extermination unit main body 101. It is possible to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130 , the doorway opening/closing unit 150 , and the communication unit 170 , and manage control and data flow between them.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퇴치모듈(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the eradic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퇴치모듈(100)은 베이스프레임(210)과 커버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3 and 4 , the fighting module 100 may include a base frame 210 and a cover frame 230 .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은 일측이 퇴치유닛본체(101)에 장착되고 반대측이 커버프레임(230)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210)은 일측에 상기 퇴치유닛본체(101)의 벌 출입구에 대응하는 지점에 개구(211)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210)은 퇴치유닛본체(101)에 장착되는 면의 반대측에 퇴치모듈(100)의 구성 요소들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base frame 210 may be mounted on the fighting unit main body 101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cover frame 230 . The base frame 210 has an opening 211 form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bee entrance and exit of the fighting unit main body 101 on one side. The base frame 210 may fix and support the components of the fighting module 10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mounted on the fighting unit main body 101 .
커버프레임(230)은 결합부재(250)를 통해 베이스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고 베이스프레임(210) 상에 고정 지지되는 퇴치모듈(100)의 구성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프레임(230)은 나사 등의 결합부재(250)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를 통해 베이스프레임(210)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퇴치모듈(100)의 구성 요소에 고장 등의 발생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다. The cover frame 230 may be coupled to the base frame 210 through the coupling member 250 and may protect the components of the repelling module 100 fixedly supported on the base frame 210 . In one embodiment, the cover frame 230 may be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base frame 210 through coupling or disengagement of the coupling member 250 such as a screw. Accordingly, it can be easily repaired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omponents of the eradication module 100 .
커버프레임(230)에는 또한 전면 일측에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통기공은 베이스프레임(21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이 전장품이며,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방열홀이다. The cover frame 230 also has a vent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The vent hole is an electrical component for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base frame 210, and is formed to dissipate heat generated in the operation process to the outside. it's hall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프레임(210)의 개구(211) 전방 바닥면에는 말벌 퇴치부(130)의 가열모듈(270)이 설치될 수 있고, 베이스프레임(210)의 개구(211) 전방에는 출입구 개폐부(150)의 개폐모듈(29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70)은 전원이 입력되면 발열할 수 있도록 전열선이 내장되는 가열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모듈(270)은 가열판을 베이스프레임(210)의 바닥면에 장착하고 가열판을 통해 베이스프레임(210)의 개구(211)를 말벌 퇴치 가능한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다. 가열모듈(270)은 가열판 또는 가열판에 의해 가열되는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온도센서는 적외선온도계가 적용될 수 있다. 가열모듈(270)은 벌 출입구 전방의 바닥에 설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벌 출입구 전방 상단 등 벌 출입구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ing module 270 of the wasp repelling unit 13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in front of the opening 211 of the base frame 210, and the opening 211 of the base frame 210 has an entrance in front of the bottom surface. An opening/closing module 290 of the opening/closing unit 150 may be installed. The heating module 270 may be formed of a heating plate having a built-in heating wire to generate heat when power is input. The heating module 270 may mount the heating plat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rame 210 and heat the opening 211 of the base frame 210 through the heating plate to a temperature capable of repelling wasps. The heating module 270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plate or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n ambient temperature heated by the heating plate. Here,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an infrared thermometer. The heating module 270 is installed on the floor in front of the bee entra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bee entrance, such as the top of the front of the bee entrance.
개폐모듈(290)은 베이스프레임(210)의 개구(211) 전방에 설치되어 벌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모듈(290)은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만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관통홀(291)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개폐판을 이중으로 설치하고 이중의 개폐판 중 하나의 개폐판을 직선 이동시켜 관통홀(291)의 위치를 일치시키거나 또는 교차되게 하여 벌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module 29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opening 211 of the base frame 210 to open and close the bee entrance. In one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module 290 has a double opening/clos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91 sized to pass only bees but not wasps, and one opening/closing plate among the double opening/closing plates. The bee entranc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moving the straight line to match or cross the positions of the through-holes 29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치모듈(100)에서 커버프레임(230)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에 있는 커버프레임(230)이 분리된 상태의 베이스프레임(21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frame 230 is separated from the eradica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frame 230 in FIG. 5 is separated.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ase frame 210 of the.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퇴치모듈(100)은 결합부재(250)의 결합 해제를 통해 베이스프레임(210)으로부터 커버프레임(230)을 분리할 수 있다.5 to 7 , the repelling module 100 may separate the cover frame 230 from the base frame 210 by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member 250 .
베이스프레임(210)에는 인쇄회로기판(PCB)(310)이 고정 지지된다. 인쇄회로기판(PCB)(310)에는 말벌 식별부(110), 말벌 퇴치부(130), 출입구 개폐부(150), 통신부(170) 및 제어부(190)의 회로적 구성이 실장된다. A printed circuit board (PCB) 310 is fixedly supported on the base frame 210 .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310 has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wasp identification unit 110 , the wasp repellent unit 130 , the doorway opening/closing unit 150 , the communication unit 170 and the control unit 190 are mounted.
베이스프레임(210)의 개구(211)의 전방에는 개폐모듈(290)이 설치되고 전방 바닥면에는 가열모듈(270)이 설치된다.The opening/closing module 29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opening 211 of the base frame 210 and the heating module 270 is installed in the front bottom surface.
개폐모듈(29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개폐기(330a,330b), 제1 및 제2 개폐기(330a,330b)를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재(35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개폐기(330a,330b)는 양측에 지지부재(370)를 통해 고정 지지되되 앞뒤로 일렬 배치된다. 제1 및 제2 개폐기(330a,330b)는 각각 하단부에 일정간격으로 관통홀(291)이 복수개 형성된다. 여기에서, 관통홀(291)은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만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The opening/closing module 290 includes a driving member 3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gear 330a and 330b a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gear 330a and 330b as shown in FIG. 5A . . The first and second switchgears 330a and 330b are fixedly supported by support members 370 on both sides and are arranged in a line in front and back. The first and second switchgear 330a and 330b each hav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91 formed in their lower ends at regular intervals. Here, the through hole 291 is formed in a size that allows only bees to pass through, but not wasps.
제1 개폐기(330a)는 고정되어 있는 반면, 제2 개폐기(330b)는 상단부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고, 좌우로 소정간격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While the first switch 330a is fixed, the second switch 330b has gear teeth formed on its upper end, and is formed to be able to slide left and righ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구동부재(350)는 모터의 회전축에 기어를 형성하고 제2 개폐기(330b)의 상단부에 형성된 기어치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제2 개폐기(330b)를 슬라이딩 구동하게 되며, 제2 개폐기(330b)가 제1 개폐기(330a)에 대하여 좌우 이동함에 따라 관통홀(291)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The driving member 350 slides and drives the second switch 330b by forming a gear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nd rotating it in engagement with the gear teeth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witch 330b. The through hole 291 is opened or closed as it moves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switch 330a.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개폐기들(330a,330b) 중 전방에 위치한 제2 개폐기(330b)가 구동부재(350)에 의해 이동하면 제1 및 제2 개폐기들(330a,330b)의 관통홀(291)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벌 출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여기에서, 구동부재(350)의 모터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개폐기(330b)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및 제2 개폐기들(330a,330b)의 관통홀(291)이 교차되게 위치하여 벌 출입구를 폐쇄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econd switch 330b positioned in the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gear 330a and 330b moves by the driving member 350, the first and second switchgear 330a and 330b move. The through hole 291 is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to open the bee entrance. Here, when the motor of the driving member 35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econd switch 330b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through-holes 291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330a and 330b intersect. It will close the bee entrance.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개폐기들(330a,330b) 중 뒤에 배치된 제2 개폐기(330b)는 고정되고 앞에 배치된 제1 개폐기(330a)는 제1 및 제2 기어들(331,353)의 맞물려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및 제2 개폐기들(330a,330b) 중 뒤에 배치된 제2 개폐기(330b)를 기어 회전에 의해 이동시키고 앞에 배치된 제1 개폐기(330a)를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개폐기(330a)의 이동에 따라 도 9와 같이, 제2 개폐기(330b)의 관통홀(291)이 외부로 개방됨에 따라 벌통 입구(11)가 개방된다.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second switchgear 330b disposed at the rear amo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gear 330a and 330b is fixed, and the first switchgear 330a disposed at the front is the first and second switchgear. The two gears 331 and 353 may be engaged and moved left and right by rotation. Conversely, the second switch 330b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gear 330a and 330b may be moved by gear rotation and the first switchgear 330a disposed at the front may be fixed. As the first switch 330a moves, as shown in FIG. 9 , the through hole 291 of the second switch 330b is opened to the outside, thereby opening the beehive inlet 11 .
도 9의 상태에서, 제1 개폐기(330a)가 반대로 이동하면 도 8과 같이 제2 개폐기(330b)의 관통홀(291)이 폐쇄된다.In the state of FIG. 9 , when the first switch 330a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through hole 291 of the second switch 330b is closed as shown in FIG. 8 .
도 11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인 관찰형 벌통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1 to 12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servation-type beehive.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투시창(14)은 외부에서 내부의 관찰은 가능하지만, 내부에서 외부의 모습이 보이지 않도록 두겹 또는 그 이상의 다겹의 편광판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e-through window 14 can be observed from the inside, but is made of two or more multi-layered polarizing plates so that the external appearance is not visible from the inside.
상기 평광판은 빛을 특정한 방향으로만 통과시키는 원리이다.The polarizing plate is a principle of passing light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도 11은 제1편광판(15)과 제2편광판(16)이 평행하게 위치하여 빛(17)이 투과할 수 있는 상태로 관찰자가 상기 벌통본체(11)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In FIG. 11 , the first polarizing plate 15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6 are positioned in parallel so that the light 17 can pass through, so that the observer can observe the inside of the beehive body 11 .
도 12는 제1편광판(15)이 제2편광판(16)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면서 빛(17)이 투과하지 못하여 관찰자가 상기 상기 벌통본체(11)의 내부를 관찰할 수 없으며, 상기 벌통 본체의 내부는 어두운 상태로 벌들이 스트레스 받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12 shows that the first polarizing plate 15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6 and the light 17 does not pass through, so that the observer cannot observe the inside of the beehive body 11, and the beehive body Its interior is dark, which can prevent the bees from getting stress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편광판(15)에 외력을 가하여 각도를 조절하나, 이 외에도 별도의 조절장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gle is adjuste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polarizing plate 15, but in addition to this, a separate adjusting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시창(14)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see-through window 14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관찰형 벌통(1)은 벌들은 전용 이동관(20)을 통해 벌통 내외부로 이동하며, 관찰자는 투시창(14)을 통해 벌통 내의 벌들의 움직임을 안전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observation-type hive 1 described above, bees move in and out of the hive through the dedicated moving tube 20 , and the observer has the effect of safely observing the movement of bees in the hive through the viewing window 14 .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또는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r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Claims (5)

  1. 벌을 관찰할 수 있도록 일측에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광가능한 투시창을 구비하는 관찰유닛;an observation unit having a transparent see-through window capable of observing the inside on one side so as to observe the bees;
    상기 관찰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벌이 출입할 수 있는 이동관을 구비하는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bservation unit, and having a moving tube through which bees can enter and exit.
    관찰형 벌통.observational hives.
  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찰유닛은The observation unit
    꿀벌이 꿀을 모을 수 있는 소초광이 내장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과, 벌들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벌통본체;A beehive body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can be built-in sochogwang that can collect honey, and a doorway through which bees can enter and exit;
    상기 벌통본체의 외부를 감싸면서 외부에서 상기 벌통본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투시창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관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관을 통과한 꿀벌들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찰본체를 구비하는It is provided with the see-through window so that the beehive body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while enclosing the outside of the beehiv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tube and provided with an observation body formed so that bees passing through the moving tube can enter the inside.
    관찰형 벌통.observational hives.
  3.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투시창은The viewing window is
    외부에서 내부의 관찰은 가능하지만, 내부에서 외부의 모습이 보이지 않도록 틴팅필름을 부착하는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inside from the outside, but it is necessary to attach a tinting film so that the outside cannot be seen from the inside.
    관찰형 벌통.observational hives.
  4.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투시창은 The viewing window is
    두겹 또는 그 이상의 다겹의 편광판으로 이루어지며, 내측 또는 외측의 편광판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내부로 들어가는 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It is composed of two or more multi-layered polarizing plates,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that enters the inside by rotating or moving the inner or outer polarizing plates.
    관찰형 벌통.observational hives.
  5.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관은The moving tube
    관의 단부 또는 일측에 마련되서 꿀벌을 제외한 천적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된 퇴치모듈을 더 구비하는 It is provided at the end or one side of the tube and further comprising a repelling module to restrict the entry of natural enemies except bees.
    관찰형 벌통.observational hives.
PCT/KR2021/009999 2021-01-22 2021-07-30 Observable beehive WO2022158666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55A KR20220106575A (en) 2021-01-22 2021-01-22 An observational hive
KR10-2021-0009655 2021-0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8666A1 true WO2022158666A1 (en) 2022-07-28

Family

ID=8254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9999 WO2022158666A1 (en) 2021-01-22 2021-07-30 Observable beehiv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06575A (en)
WO (1) WO2022158666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202Y1 (en) * 2005-01-20 2005-04-08 반재훈 Beehive
KR20090013147A (en) * 2008-12-18 2009-02-04 백영근 Bee-protecting apparatus
KR200475864Y1 (en) * 2013-10-30 2015-01-08 대한민국 An experience box for bees
KR101555979B1 (en) * 2014-04-21 2015-09-30 최지환 Observation hives
US20190350175A1 (en) * 2018-05-18 2019-11-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Queen monitoring c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698B1 (en) 2010-10-14 2013-06-04 대한민국 Mini Hive of cage type for Be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202Y1 (en) * 2005-01-20 2005-04-08 반재훈 Beehive
KR20090013147A (en) * 2008-12-18 2009-02-04 백영근 Bee-protecting apparatus
KR200475864Y1 (en) * 2013-10-30 2015-01-08 대한민국 An experience box for bees
KR101555979B1 (en) * 2014-04-21 2015-09-30 최지환 Observation hives
US20190350175A1 (en) * 2018-05-18 2019-11-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Queen monitoring c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575A (en)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3673A1 (en) Insect capturing device having imaging function for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US11930794B2 (en) Autonomous beehives
WO2018097440A1 (en) Pet treadmil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4144212A1 (en) Beehive disinfection unit and method
WO2022158666A1 (en) Observable beehive
KR20220007298A (en) Wasp Fighting Device with heating plate
WO2017078282A1 (en) Wasp catching device
CN107155953A (en) It is capable of the intelligent beekeeping case of except mite automatically
KR20220048407A (en) Wasp repellent device
WO2018236147A1 (en) Slim insect trap using uv led
JP2017108635A (en) Method for transferring honey-bee captured by using bee-keeping box and bee-separating box having automatic shutter structure to vacant bee-keeping box
WO2018124321A1 (en) Honeycomb for beekeeping and beehive using same
KR101867985B1 (en) Control system for beekeeping
KR102078214B1 (en) Natural enemy exterminating apparatus for beehive
WO2022102911A1 (en) Bee-box-mountable hornet repelling device
Sledević et al. Toward bee behavioral pattern recognition on hive entrance using yolov8
JP3192877U (en) Honeycomb structure
Huber et al. The ALDB box: Automatic testing of cognitive performance in groups of aviary-housed pigeons
WO2023096184A1 (en) Wasp capture device
CN214709751U (en) Device for establishing insect social barrier model
WO2022154197A1 (en) Attachable/detachable phototherapeutic module and pet feed bowl using same
WO2022097827A1 (en) Bug house suitable for installation in downtown area and food source supply apparatus for same
KR102408571B1 (en) Device for managing emergence, separation and flight pattern of parasitic natural enemy
KR102458488B1 (en) Quality control device for natural enemies
JP2011000116A (en) Capturing apparatus of galleria mellone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214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214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