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49697A1 -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49697A1
WO2022149697A1 PCT/KR2021/016220 KR2021016220W WO2022149697A1 WO 2022149697 A1 WO2022149697 A1 WO 2022149697A1 KR 2021016220 W KR2021016220 W KR 2021016220W WO 2022149697 A1 WO2022149697 A1 WO 20221496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ringa
fermented
preventing
obesity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62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세찬
권정은
이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바이옴쎄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바이옴쎄라퓨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바이옴쎄라퓨틱스
Priority to US18/270,21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82331A1/en
Publication of WO20221496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496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obesity composition
  • a fermented Moringa prepared using a novel strain of Monascus perfurius SL1.
  • Obesity is characterized as a chronic inflammatory condition, a phenomenon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complex genetic, metabolic,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factors, and is defined as abnormal or excessive fat accumulation.
  • Such obesity is known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causing various adult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type 2 diabetes, cancer, gallbladder disease, hyperlipidemia, and arteriosclerosis.
  • the cause of obesity known so far is more than 70% genetic, and the other causes are the imbalance between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and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 Fat stored in adipocytes is used as an important energy source in the body, but as obesity progresses, adipocytes increase in number as well as large amounts of triglyceride synthesis due to excessive adipocyte differentiation, resulting in morphological changes and morphological changes including an increase in adipocyte size. It is accompanied by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several genes.
  • the increase in the size of adipocytes is induced by synthesizing and storing excess energy in the form of triglycerides, and the increase in size of adipocytes may increase by about 20 times according to the storage of fat.
  • the size of these adipocytes can generally be controlled by diet,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new precursor adipocytes into adipocytes is ineffective only through dietary control. do.
  • adipocytokines which are biologically active molecules secreted from adipose tissue or adipocytes, play a major role in appetite regulation, insulin sensitivity, energy metabolism and vascular microenvironment control. 6, MCP-1, and Adiponectin are closely related to obesity-induced inflammation and obesity-related diseases. Dysregulation of adipocytokines may induce a chronic inflammatory state observed in obesit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obesity-related diseases.
  • Current anti-obesity drugs include Xenical, which suppresses digestion and absorption of fat, fluoxetine, which suppresses appetite, phendimethrazine, and ephedrine, which is a metabolic stimulant.
  • Xenical which suppresses digestion and absorption of fat
  • fluoxetine which suppresses appetite
  • phendimethrazine which suppresses appetite
  • ephedrine which is a metabolic stimulant.
  • Moringa ( Moringa oleifera ) is a perennial plant distribu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climates and is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medicines, cosmetics, water purification agents, animal feed, and crop growth promoter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of Moringa.
  • Moringa leaves, seeds, flowers, tree trunks, fruits, and roots are all used as food ingredients.
  • Moringa leaves have a relatively low water content compared to leaves of other plants, so the content of various nutrients It was also reported to be relatively high.
  • Moringa leaves are high in protein as well as minerals such as beta-carotene, vitamins, carotene, calcium, potassium and iron.
  • Hong Guk-gyu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yeast used in brewed foods such as soybean paste, soy sauce, and Cheongju, and is called Hong Guk-gyun because the mycelium has a red color. .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 fermented product of Moringa oleifera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comprising a fermented product of Moringa oleifer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 fermented product of Moringa oleifer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comprising a fermented product of Moringa oleifer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to an individual.
  • the fermented moringa, moringa powder, and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ferment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xcellent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Even compared to Moringa powder, its efficacy is remarkably superior. Therefore, the fermented moringa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as a composition for treating,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by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 3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rate of an isolated compound derived from Moringa powder and a fermented Moringa.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the fermented Moringa and the isolated active ingredient maintain excellent efficacy even through liver metabolism as well as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y activity.
  • the fermented moringa contain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health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tural product obtained from a natural raw material, and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cern about side effects is extremely low.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 fermented product of Moringa oleifera as an active ingredient.
  • Moringa oleifer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family Moringaceae and is a tree reaching 5 to 10 m in height and is cultivated in Asia, Africa, Arabia, and the like. It is rich in protein and vitamins, has high nutritional value, and has various pharmacological actions such as hyperglycemia,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It is known to be rich in phytochemicals such as
  • the fermented Moringa may be fermented by adding a strain of Monascus sp. to Moringa powder, and preferably, it may be fermented by adding Monascus purpureus . Preferably, it may be fermented by adding Monascus purpureus SL-1 (Accession No. KCCM12830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Moringa powder may be prepared by lyophilizing Moringa leaves and then pulverizing the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oringa powder may be added to the seed culture solution after being mixed with 3 to 10 times by weight of water, preferably 8 to 10 times by weight, based on the dry weight of the moringa powder.
  • the fermentation may be carried out for 1 to 5 days at 30 to 40 ° C., 50 to 200 rpm conditions, preferably 35 to 39 ° C. and 90 to 110 rpm conditions for 1 to 3 days. More preferably, it may be carried out for 2 days at 37 °C and 100 rpm condi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ermented Moringa may be prepared by sterilizing the strain culture solution at a temperature of 80 to 100° C. for 1 to 3 hours after fermentation is finished, and then spray drying.
  • the fermented Moringa is 1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azirin, kaempferol, 6''-O-acetyl astragalin and quercetin. It may include more than one species as an active ingredi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may inhibit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to an individua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or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refers to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not to cause side effects,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the patient's health. Condition, disease type, severity, drug activity, drug sensitivity, administration meth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and excretion rate, treatment period, factors including drugs used in combination or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can be determined accordingly.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y or multiple times.
  • the term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refers to an amount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f a composition effective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target disease
  • the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s on several factors, for example,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the target site, and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herefore, when used in the human body, the dosage should be determined as an appropriate amount in consideration of both safety and efficiency.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the amount used in humans from the effective amount determined through animal experiments.
  • “individu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individual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and animals including humans, for example, non-primates (eg, cattle, pigs, horses, cats, dogs, mammals, including rats and mice) and primates (eg, monkeys such as cynomolgous monkeys and chimpanzees). In some cases, it may be an individual other than humans.
  • non-primates eg, cattle, pigs, horses, cats, dogs, mammals, including rats and mice
  • primates eg, monkeys such as cynomolgous monkeys and chimpanzees.
  • monkeys such as cynomolgous monkeys and chimpanzees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fermented Moringa alone or may contain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refers to an amount sufficient to prevent, improve and treat symptoms of immune diseases.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refers to a composition that is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does not normally cause allergic reactions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zziness, or similar reactions when administered to humans.
  • composition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be in various oral or parenteral formulations.
  •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extender, binder, wetting agent, disintegrant, surfactant, etc. commonly used.
  • the carrier, excipient and diluent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physiological salin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dextrin, calcium carbonat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ene glycol and liquid paraffin, but It is not limited, and any conventional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may be used.
  • the ingredients may be add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o the fermented Moringa as the active ingredient.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tablet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these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in one or more compound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Alternatively, it may be prepared by mixing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nd the like may also be used.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intern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hav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formul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As the suppository bas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etc. may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up consisting of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suspensions, intern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It may have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 the effective dosage for the human body of the fermented Moring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patient's age, weight, sex, dosage form, health status and disease level, and is generally about 0.001-100 mg/kg/day. , preferably 0.01-35 mg/kg/day. Based on an adult patient weighing 70 kg, it is generally 0.07-7000 mg/day, preferably 0.7-2500 mg/day, and once a day at regular time intervals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a doctor or pharmacist It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or metabolic and inflammatory diseases caused by obesity or obesity, comprising a fermented product of Moringa oleifer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ermented moringa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ermented moring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ermented moringa is the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applies to the composition. Therefore, in order to avoid excessive complexity due to unnecessary repetition of description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mmon matters are omitte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various forms such as tablets, pills, granules, capsules, liquid preparations, and beverages and added to food.
  • the fermented moring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various forms such as tablets, pills, granules, capsules, liquid preparations, and beverages and added to food.
  • Examples of foods to which the fermented Moring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include drinks, meat, sausage, bread, biscuits, rice cakes,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 There are products, various soups,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dairy products and processed dairy products and includes both health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ordinary sense.
  • the health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fermented Moring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to foo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fermented Moringa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ts use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 the amount of the composition in health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1 to 9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 the above amoun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 the health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other ingredients except for containing the fermented moring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 and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re added as in ordinary beverages. It can contain as an ingredient.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tac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1 to 20 g, preferably about 5 to 12 g, per 100 nutraceutical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fermented moring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flavoring agents and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and thickening agent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the health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and fruit for the production of a vegetable drink.
  •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proportion of these additives is not so important,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1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health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fermented Moringa of the present invention.
  • Moringa Moringa oleifera leaves were freeze-dried and then powdered to prepare Moringa powder.
  • Moringa powder and 100 g of fermented Moringa were each repeatedly extracted 4 times for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with 70% EtOH (500 mL ⁇ 3). Each 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21 g. 20 g of which was suspended in 200 mL of distilled water and fractionated three times with 200 mL of EtOAc. The aqueous layer was again partitioned 3 times with 160 mL of n-BuOH. The obtained fractions wer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as a result of TLC analysis of the fractions of Moringa powder and the fractions of fermented Moringa, it was confirmed that the EtOAc fraction was markedly different.
  • SiO 2 column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on 4 g of the EtOAc fraction of the Moringa ferment. A column of size ( ⁇ 7 ⁇ 20 cm) was used, and the elution solvent was CHCl 3 -MeOH-H 2 O (50:3:1 ⁇ 40:3:1 ⁇ 20:3:1 ⁇ 10:3:1) , each 2.7 L), the column proceeded while increasing the polarity, and 15 mL each was aliquoted.
  • MOFE-1 to MOFE-19 MOFE- 11 (niazirin, 33.5 mg) was obtained as a single substance.
  • Preadipocytes (3T3-L1) from mice were purchased from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DMEM culture medium, Trypsin/EDTA, FBS (fetal bovine serum), and BCS (Bovine calf serum) were purchased from Gibco (Invitrogen corporation). AdipoRed assay reagent for measurement was purchased from Cambrex.
  • 3T3-L1 pre-adipocytes were us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BCS and antibiotics, and were cultured in a CO 2 incubator supplied with 5% carbon dioxide. Cells were aliquoted in a 96-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1 ⁇ 10 6 cells and cultured until the cells were 100% confluent.
  • MD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and 1 uM dexamethasone
  • MD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and 1 uM dexamethasone
  • Moringa powder and fermented Moringa were treated by concentration.
  • adipocytes differentiated and cultured for 8 days were fixed with 4% formaldehyde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for 5 hours, washed with phosphate buffer solution, and then treated with AdipoRed assay reagent, a reagent for fat measurement. After 10 minutes,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measured with a fluorescence intensity meter.
  • the results of the above experimental method are shown in FIG. 2 .
  • Moringa powder and fermented Moringa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compared to Differentiation Medium (DM), which is a positive control.
  • DM Differentiation Medium
  • the fermented Moringa showed a lower adipocyte differentiation rate than Moringa powder at all concentrations.
  • 25 ⁇ g/mL fermented Moringa showed similar activity to that of Moringa powder at a concentration of 50 ⁇ g/mL.
  • Example 2 The experimental method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 3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rate of isolated compounds derived from Moringa powder and fermented Moringa (1, isoquercetin; 2, astragalin; 3, kaempferol; 4, 6''-O-acetyl astragalin; 5, niazirin; 6, quercetin).
  • MOE-11 isoquercetin
  • MOEF-16-5 6''- O -acetyl astragalin
  • moringa powder has a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 fermented moringa has a superior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moringa powder, so it can be used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 Each sample was treated by concentration in the Hepa-1c1c7 cell line, a mouse hepatocyte, and then cultured for 24 hours in a 5% carbon dioxide incubator. Then,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treated with 3T3-L1 cells, a mouse pre-adipocyte line, for 8 days to confirm the efficacy of inhibi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 the results performed through the above experimental method are shown in FIG. 4 .
  • both the Moringa powder and the fermented Moringa decreased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rate after liver metabolism.
  • the fermented Moringa showed a lower adipocyte differentiation rate than Moringa powder at all concentrations.
  • moringa powder has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after liver metabolism.
  • the fermented moringa has a superior effect on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after liver metabolism compared to the moringa powder, resulting in obesity-related metabolic diseases. It means that it can be used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which is one of th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활성 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링가 발효물은 지방세포 분화를 우수하게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링가 발효물은 모링가 분말에 대비하여서도 현저히 우수한 항비만 효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링가 발효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여 비만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비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만성 염증상태로 특정 지어지며, 유전적, 대사적, 환경적, 행동학적인 복잡한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비정상적 또는 과다한 지방 축적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비만은 고혈압, 2형 당뇨병, 암, 담낭질환,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과 같은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비만의 원인은 유전적 원인이 70% 이상이고 그 외에는 섭취한 에너지량과 소비하는 에너지량의 불균형이 원인이다.
지방세포에 저장된 지방은 체내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나, 비만이 진행됨에 따라서 지방세포는 수적으로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과다한 지방세포 분화에 의한 다량 중성지방 합성은 지방세포의 크기 증가를 포함한 형태적 변화와 여러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동반한다. 지방세포의 크기 증가는 잉여에너지를 중성지방의 형태로 합성 및 저장함으로써 유도되며, 지방의 저장에 따라 지방세포 크기 증가는 약 20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세포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식이조절로 가능하지만 새로운 전구지방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식이조절만으로는 효과가 미약하여 비만의 근본적인 치료 또는 억제를 위해서는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지방조직 혹은 지방세포로부터 분비된 생물학적 활성 분자인 아디포사이토카인은 식욕조절, 인슐린민감성, 에너지 대사 및 혈관 미세환경 제어에 주된 역할을 수행하며, 아디포사이토카인 중 TNF-α, IL-6, MCP-1, Adiponectin 등은 비만 유도 염증과 비만 관련 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분비조절이상은 비만 내 관찰되는 만성 염증상태를 유도하고, 비만 관련 질병의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
현재 비만치료제로는 지방의 소화흡수를 억제하는 제니칼, 식욕을 억제하는 플루옥세틴, 펜디메트라진, 대사촉진제인 에페드린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치료제들은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신경계질환 등 부작용과 함께 효능의 지속성이 낮아, 부작용이 없으면서 효능이 뛰어난 비만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모링가 (Moringa oleifera)는 열대 및 아열대 기후 지역에 분포하는 다년생 식물로 모링가 각 부위의 특성에 따라 의약품, 화장품, 수질 정화제, 동물 사료, 작물 성장촉진제 등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모링가의 잎, 씨앗, 꽃, 나무줄기, 열매, 뿌리 등 모든 부위를 식품의 재료로 이용하고 있으며, 모링가 잎은 다른 식물의 잎과 비교하였을 때 수분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여러 영양성분의 함유량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모링가 잎은 단백질뿐만 아니라 베타카로틴, 비타민, 카로틴, 칼슘, 칼륨, 철분과 같은 무기질 함량이 높다.
본 발명에 사용한 홍국균은 된장, 간장, 청주 등 양조식품에 사용되는 누룩으로 균사가 붉은 색을 띄고있기 때문에 홍국균이라고 불리우며,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홍콩, 대만 등 아시아지역에서 전통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로부터 식품뿐만 아니라 붉은 색을 내는 천연 착색료도로 이용되어 왔으며, 알콜 생산능력이 다른 누룩균에 비하여 높으며 감향이 강하고 착향이 우수해 예로부터 천연색소나 보존제로서 각종 식품에 사용되어왔다. 이외에도 여러 가수분해 효소를 생성하여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링가 (Moringa oleifera)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링가 (Moringa oleifera)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링가 (Moringa oleifera)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모링가 (Moringa oleifera)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링가 발효물, 모링가 분말 및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성분에 의해 지방세포 분화를 우수하게 억제한다. 모링가 분말에 대비하여서도 그 효능은 현저하게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링가 발효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여 비만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모링가 분말 및 모링가 발효물 유래 화합물 분리 결과이다.
도 2는 모링가 분말 및 모링가 발효물의 지방세포 분화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모링가 분말 및 모링가 발효물 유래 분리 화합물의 지방세포 분화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모링가 분말 및 모링가 발효물의 간 대사를 거친 후 지방세포 분화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자들은 모링가 발효물 및 분리된 유효성분에 의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뿐만 아니라, 간 대사를 거치더라도 효력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활성성분으로 포함되는 모링가 발효물은 천연원료로 부터 얻어진 천연물로서, 부작용의 염려가 극히 낮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모링가 (Moringa oleifera)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모링가 (Moringa oleifera)”는 모링가과 (moringaceae) 에 속하며 높이가 5~10 m에 이르는 나무로 아시아, 아프리카, 아라비아 등에서 재배된다.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영양가가 높고, 의약적으로 과혈당증과 항염증, 항암 등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모링가의 꽃, 뿌리, 씨, 잎, 열매에는 다른 식물들에 비해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등과 같은 피토케미칼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모링가 발효물은 모링가 분말에 모나스커스 (Monascus) 속 균주를 첨가하여 발효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Monascus purpureus)을 첨가하여 발효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Monascus purpureus SL-1 (수탁번호 KCCM12830P)를 첨가하여 발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모링가 분말은 모링가 잎을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 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모링가 분말은 모링가 분말의 건조 중량대비 3 내지 10 중량배의 물,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중량배의 물과 혼합 된 후 종균배양액에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는 30 내지 40 ℃, 50 내지 200 rpm 조건에서 1 내지 5일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9 ℃, 90 내지 110 rpm 조건으로 1 내지 3일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 100 rpm 조건으로 2일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모링가 발효물은 발효가 끝난 후 균주 배양액을 80 내지 100℃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살균한 후 분무 건조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링가 발효물은 니아지린 (niazirin), 캠퍼롤 (kaempferol), 6''-O-아세틸 아스트라갈린 (6''-O-acetyl astragalin) 및 퀘르세틴 (quercet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대상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조성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양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여러 요소, 예를 들면 투여방법, 목적부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사용 시 투여량은 안전성 및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량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동물실험을 통해 결정한 유효량으로부터 인간에 사용되는 양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효한 양의 결정시 고려할 이러한 사항은, 예를 들면 Hardman and Limbird,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0th ed. (2001), Pergamon Press; 및 E.W. Martin ed.,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1990), Mack Publishing Co.에 기술되어있다.
본 발명에서 "개체"는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 예를 들어 비-영장류 (예를 들면, 소, 돼지, 말, 고양이, 개, 래트 및 마우스) 및 영장류 (예를 들면, 원숭이, 예를 들어 사이노몰구스 (cynomolgous) 원숭이 및 침팬지)를 비롯한 포유동물을 나타낸다. 때에 따라서는 인간을 제외하는 개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모링가 발효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면역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생리식염수,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및 리퀴드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인 모링가 발효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링가 발효물의 인체에 대한 효과적인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0.001-100 mg/k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01-35 mg/kg/일이다. 몸무게가 70㎏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7-7000 m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7-2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모링가 (Moringa oleifera)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인한 대사성 및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모링가 발효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모링가 발효물과 동일한 것이므로, 모링가 발효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불필요한 반복 기재에 의한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공통 사항은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액상제제, 음료 등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되어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모링가 발효물은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액상제제, 음료 등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되어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링가 발효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링가 발효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모링가 발효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 (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 모링가 발효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모링가 발효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모링가 발효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모링가 발효물의 제조
모링가 (Moringa oleifera) 잎을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모링가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은 모링가 분말 100 g을 물 1000 g에 혼합한 후에, 홍국균 (Monascus purpureus SL-1) 배양액을 투입하고 37℃ 온도에서 2일 동안 100 rpm 조건에서 왕복 진탕배양하였다. 상기 종균배양액은 추출액의 중량 기준으로 5 중량% 투입하였다. 상기 배양이 완료된 종균배양액은 감압 농축하고, 95℃ 온도로 2시간동안 다시 살균시킨 후에 분무 건조하여 모링가 발효물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2> 모링가 분말 및 발효물 유래 화합물의 분리
모링가 분말과 모링가 발효물 100 g을 각각 70% EtOH (500 mL × 3)로 실온에서 24시간 4회 반복추출 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21 g을 수득하였다. 그 중 20 g을 증류수 200 mL에 현탁시킨 후 EtOAc 200 mL로 3회 분획하였다. 수층을 다시 n-BuOH 160 mL로 3회 분획하였다. 얻어진 분획을 감압농축하였으며,모링가 분말의 분획물과 모링가 발효물의 분획물 각각을 TLC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EtOAc 분획물에서 차이가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모링가 분말의 EtOAc 분획물 5 g에 대하여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진행하였다. 크기 (φ 5 × 15 cm)의 컬럼을 사용하였고, 용출용매로는 CHCl3-MeOH-H2O = 15:3:1을 10 L 사용하였고 각각 20 mL 씩 분취하였다. 각 분취액을 TLC (CHCl3-MeOH-H2O = 10:3:1)로 확인하여, 유사한 부분을 함께 모으고, 농축하여 14개의 분획물 (MOE-1 ~ MOE-14)을 얻었으며 MOE-8 (astragalin, 106.4 mg)과 MOE-11 (isoquercetin, 164.6 mg)에서 2종의 단일물질을 얻었다 (도 1A).
1) astragalin (MOE-8)
Yellowish powder (MeOH); positive FAB/MS m/z 471 [M+Na]+; 1H-NMR (600 MHz, CD3OD, δ H) 8.05 (2H, d, J=9.0 Hz, H-2',6'), 6.90 (2H, d, J=9.0 Hz, H-3',5'),
6.38 (1H, d, J=1.2 Hz, H-8), 6.20 (1H, d, J=1.2 Hz, H-6), 5.22 (1H, d, J=7.2 Hz, H-1''), 3.71 (1H, dd, J=12.0, 1.8 Hz, H-6''a), 3.60 (1H, dd, J=12.0, 6.0 Hz, H-6''b), 3.32-3.58 (4H, overlapped, H-2''~5''); 13C-NMR (150 MHz, CD3OD, δ C) 179.5 (C-4), 166.0 (C-7), 163.1 (C-5), 161.6 (C-4'), 159.2 (C-9), 158.5 (C-2), 135.6 (C-3), 132.4 (C-2'), 132.4 (C-6'), 122.8 (C-1'), 116.2 (C-3'), 116.2 (C-5'), 105.8 (C-10), 104.4 (C-1''), 100.0 (C-6), 94.9 (C-8), 78.4 (C-5''), 78.0 (C-3''), 75.8 (C-2''), 71.4 (C-4''), 62.7 (C-6'').
2) isoquercetin (MOE-11)
Yellowish powder (MeOH); positive FAB/MS m/z 487 [M+Na]+; 1H-NMR (600 MHz, CD3OD, δ H) 7.74 (1H, d, J=1.8 Hz, H-2'), 7.58 (1H, dd, J=8.4, 1.8 Hz, H-6'), 6.88 (1H, d, J=8.4 Hz, H-5'), 6.35 (1H, d, J=1.2 Hz, H-8), 6.17 (1H, d, J=1.2 Hz, H-6), 5.18 (1H, d, J=7.2 Hz, H-1''), 3.76 (1H, dd, J=12.0, 1.8 Hz, H-6''a), 3.71 (1H, dd, J=12.0, 6.0 Hz, H-6''b), 3.55-3.27 (4H, overlapped, H-2''~5''); 13C-NMR (150 MHz, CD3OD, δ C) 179.5 (C-4), 166.1 (C-7), 163.0 (C-5), 159.2 (C-9), 158.5 (C-2), 150.0 (C-3'), 145.9 (C-4'), 135.8 (C-3), 123.4 (C-1'), 123.1 (C-6'), 117.8 (C-5'), 116.2 (C-2'), 105.8 (C-10), 104.7 (C-1''), 100.1 (C-6), 95.0 (C-8), 78.4 (C-5''), 78.2 (C-3''), 75.9 (C-2''), 71.3 (C-4''), 62.7 (C-6'').
모링가 발효물의 EtOAc 분획물 4 g에 대하여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진행하였다. 크기 (φ 7 × 20 cm)의 컬럼을 사용하였고, 용출용매로는 CHCl3-MeOH-H2O (50:3:1 → 40:3:1 → 20:3:1 → 10:3:1, 각각 2.7 L)로 극성을 높여가며 컬럼을 진행하였고 15 mL 씩 분취하였다. 각 분취액을 TLC (CHCl3-MeOH-H2O = 15:3:1)로 확인하여, 유사한 부분을 함께 모으고, 농축하여 19개의 분획물 (MOFE-1 ~ MOFE-19)을 얻었으며 MOFE-11 (niazirin, 33.5 mg)에서 단일물질을 얻었다. MOFE-8 분획[210 mg, Ve/Vt = 0.163-0.264]에 대하여 ODS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Φ 3×7 cm, MeOH-H2O = 2:1 → 3:1, 각각 0.6 L)를 실시하여 총 7개 분획 (MOFE-8-1 ~ MOFE-8-7)을 얻었으며 MOFE-8-3 (kaempferol, 22.6 mg) 단일물질을 얻었다. MOFE-16 분획[47.7 mg, Ve/Vt = 0.418-0.458]에 대하여 ODS c.c. (Φ 3×10 cm, MeOH-H2O = 1:1 → 2:1, 각각 0.6 L)를 실시하여 총 9개 분획 (MOFE-16-1 ~ MOFE-16-9)을 얻었으며 MOFE-16-5 [6''-O-acetyl astragalin, 6.8 mg]와 MOFE-16-7 (quercetin, 21.4 mg)에서 2종의 단일물질을 얻어, 결과적으로 모링가 발효물의 EtOAc 분획물에서 4종의 단일물질을 얻었다 (도 1B).
1) niazirin (MOFE-11)
Yellowish crystal (MeOH); positive FAB/MS m/z 491 [M+H]+; 1H-NMR (600 MHz, pyridine-d 5, δ H) 7.31 (2H, d, J=8.4 Hz, H-2,6), 7.23 (2H, d, J=8.4 Hz, H-3,5), 3.88 (2H, s, H-7), 6.01 (1H, m, H-1'), 4.66 (1H, m, H-2'), 4.62 (1H, dd, J=9.6, 3.0 Hz, H-3'), 3.26 (1H, m, H-4'), 3.48 (1H, dd, J=9.0, 9.0 Hz, H-5'), 1.54 (3H,d, J=6.0 Hz, H-6') ; 13C-NMR (150 MHz, pyridine-d 5, δ C) 156.9 (C-1), 135.7 (C-4), 129.7 (C-3), 129.7 (C-5), 124.6 (C-8), 119.4 (C-2), 117.5 (C-1'), 117.5 (C-4'), 73.7 (C-3'), 75.5 (C-2'), 71.9 (C-5'), 70.9 (C-7), 22.6 (C-6), 18.6 (C-6').
2) kaempferol (MOFE-8-3)
Yellowish powder (CHCl3); positive FAB/MS m/z 287 [M+H]+; 1H-NMR (600 MHz, CD3OD, δ H) 8.10 (2H, d, J=8.4 Hz, H-2',6'), 6.91 (2H, d, J=8.4 Hz, H-3',5'),
6.38 (1H, s, H-8), 6.18 (1H, s, H-6); 13C-NMR (150 MHz, CD3OD, δ C) 177.3 (C-4), 165.5 (C-7), 162.5 (C-5), 160.5 (C-4'), 158.2 (C-9), 148.0 (C-2), 137.2 (C-3), 130.7 (C-2'), 130.7 (C-6'), 123.7 (C-1'), 116.3 (C-3'), 116.3 (C-5'), 104.5 (C-10), 99.3 (C-6), 94.5 (C-8).
3) 6''-O-acetyl astragalin (MOFE-16-5)
Yellowish powder (MeOH); positive FAB/MS m/z 513 [M+Na]+; 1H-NMR (600 MHz, CD3OD, δ H) 8.02 (2H, d, J=9.0 Hz, H-2',6'), 6.85 (2H, d, J=9.0 Hz, H-3',5'),
6.40 (1H, d, J=1.2 Hz, H-8), 6.20 (1H, d, J=1.2 Hz, H-6), 5.15 (1H, d, J=7.2 Hz, H-1''), 4.16 (1H, dd, J=12.0, 1.8 Hz, H-6''a), 4.15 (1H, dd, J=12.0, 6.0 Hz, H-6''b), 3.43-3.26 (4H, overlapped, H-2''~5''), 1.81 (3H, s, H-ace-2); 13C-NMR (150 MHz, CD3OD, δ C) 179.6 (C-4), 172.6 (C-ace-1), 166.3 (C-7), 163.0 (C-5), 161.7 (C-4'), 159.6 (C-9), 158.7 (C-2), 135.5 (C-3), 132.4 (C-2'), 132.4 (C-6'), 122.9 (C-1'), 116.1 (C-3'), 116.1 (C-5'), 105.8 (C-10), 104.4 (C-1''), 100.1 (C-6), 95.0 (C-8), 78.0 (C-3''), 75.8 (C-2''), 75.7 (C-5''), 71.5 (C-4''), 64.4 (C-6''), 20.6 (C-ace-2).
4) quercetin (MOFE-16-7)
Yellowish powder (CHCl3); positive FAB/MS m/z 301 [M+H]+; 1H-NMR (600 MHz, CD3OD, δ H) 7.73 (1H, d, J=1.8 Hz, H-2'), 7.63 (1H, dd, J=8.4, 1.8 Hz, H-6'), 6.88 (1H, d, J=8.4 Hz, H-5'), 6.38 (1H, s, H-8), 6.17 (1H, s, H-6); 13C-NMR (150 MHz, CD3OD, δ C) 179.4 (C-4), 166.1 (C-7), 163.2 (C-5), 159.2 (C-9), 158.7 (C-2), 150.2 (C-3'), 145.8 (C-4'), 135.8 (C-3), 123.4 (C-1'), 123.2 (C-6'), 117.8 (C-5'), 116.1 (C-2'), 105.7 (C-10), 100.0 (C-6), 94.9 (C-8).
<실시예 3>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얻어진 모링가 분말과 모링가 발효물에 있어 각각에 대해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다.
마우스의 전지방세포 (3T3-L1)는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입하였다. DMEM 배양액, Trypsin/EDTA, FBS (fetal bovine serum), BCS (Bovine calf serum)은 Gibco (Invitrogen corporation)에서 구입하였다. 측정용 AdipoRed assay 시약은 Cambrex에서 구입하였다.
구체적으로, 3T3-L1 전지방 세포는 10% BCS와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5%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는 96well plate에 1×106 cells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가 100% 융합될 때 까지 배양하였다. 지방세포 분화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MD (0.5mM 3-아이소부틸-1-메틸산틴과 1uM 덱사메타손) 배지를 처리하였다. 2일 후에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교체하고 6일 동안 더 배양하였다. 모링가 분말과 모링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8일 동안 분화 및 배양한 지방세포를 4% 포름알데하이드 용액으로 상온에서 5시간 고정 시킨 뒤, 인산완충용액으로 세척한 후 지방측적용 시약인 AdipoRed assay 시약을 처리하였다. 10분 후 형광강도측정기로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실험방법을 통해 진행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링가 분말 및 모링가 발효물은 양성대조군인 Differentiation Medium (DM)과 비교하여 지방세포 (adipocyte)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각 농도별로 모링가 분말과 모링가 발효물을 비교하였을 때, 모링가 발효물은 모든 농도에서 모링가 분말보다 낮은 지방세포 분화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25 μg/mL 모링가 발효물의 경우 50 μg/mL 농도의 모링가 분말과 비슷한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2에서 분리된 6가지 화합물에 대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도 3은 모링가 분말 및 모링가 발효물 유래 분리 화합물의 지방세포 분화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1, isoquercetin; 2, astragalin; 3,kaempferol; 4, 6''-O-acetyl astragalin; 5, niazirin; 6, quercetin).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링가 분말 및 모링가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6종에 대하여 지방세포 분화억제를 확인한 결과, 6종의 성분중 MOE-11 (isoquercetin)과 MOEF-16-5 (6''-O-acetyl astragalin)에서 우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링가 분말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과를 가지며, 특히 모링가 발효물은 모링가 분말과 비교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뛰어나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4> 간 대사 후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얻어진 모링가 분말과 모링가 발효물에 있어 각각에 대해 간 대사 후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다.
마우스 간세포인 Hepa-1c1c7 세포주에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 한 후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걷어서 마우스 전지방세포주인 3T3-L1 세포에 8일간 처리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실험방법을 통해 진행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링가 분말 및 모링가 발효물은 모두 간 대사 후 지방세포 분화율을 감소시켰다. 또한, 각 농도별로 모링가 분말과 모링가 발효물을 비교하였을 때, 모링가 발효물은 모든 농도에서 모링가 분말보다 낮은 지방세포 분화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모링가 분말은 간 대사 후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모링가 발효물은 모링가 분말에 비해 간 대사 후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비만 관련 대사성질환 중 하나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수탁번호]
기탁기관명 : 한국미생물보존센터
수탁번호 : KCCM12830P
수탁일자 : 20201110
Figure PCTKR2021016220-appb-img-000001

Claims (9)

  1. 모링가 (Moringa oleifera)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모링가 발효물은 모링가 분말에 모나스커스 (Monascus) 속 균주의 배양액을 첨가 후 발효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나스커스속 균주는 홍국균 (Monascus purpure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국균 (Monascus purpureus)은 Monascus purpureus SL-1 (수탁번호 KCCM12830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0 내지 40 ℃에서 1 내지 5일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발효물은 니아지린 (niazirin), 캠퍼롤 (kaempferol), 6''-O-아세틸 아스트라갈린 (6''-O-acetyl astragalin) 및 퀘르세틴 (quercet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모링가 (Moringa oleifera)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모링가 발효물은 모링가 분말에 모나스커스 (Monascus) 속 균주의 배양액을 첨가 후 발효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모링가 (Moringa oleifera)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모링가 발효물은 모링가 분말에 모나스커스 (Monascus) 속 균주의 배양액을 첨가 후 발효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방법.
PCT/KR2021/016220 2021-01-07 2021-11-09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비만용 조성물 WO202214969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70,214 US20240082331A1 (en) 2021-01-07 2021-11-09 Anti-obesity composi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moringa oleifera fermentation product prepared using novel monascus purpureus sl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753A KR102522975B1 (ko) 2021-01-07 2021-01-07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21-0001753 2021-0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9697A1 true WO2022149697A1 (ko) 2022-07-14

Family

ID=8235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6220 WO2022149697A1 (ko) 2021-01-07 2021-11-09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82331A1 (ko)
KR (1) KR102522975B1 (ko)
WO (1) WO202214969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81B1 (ko) * 2011-09-08 2012-05-1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홍국균을 이용한 검정콩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9258A (ko) * 2017-01-31 2018-08-08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발효 모링가 고형물을 사용한 모링가 환 제조 및 그 제조방법
WO2019116241A1 (en) * 2017-12-15 2019-06-20 Stefano Sala Dietary supplement
KR20200032007A (ko) * 2018-09-14 2020-03-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97B1 (ko) 2018-10-16 2020-11-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모링가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에너지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81B1 (ko) * 2011-09-08 2012-05-1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홍국균을 이용한 검정콩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9258A (ko) * 2017-01-31 2018-08-08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발효 모링가 고형물을 사용한 모링가 환 제조 및 그 제조방법
WO2019116241A1 (en) * 2017-12-15 2019-06-20 Stefano Sala Dietary supplement
KR20200032007A (ko) * 2018-09-14 2020-03-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HANG XUHUI; SUN ZHIYUAN; CAI JINFENG; WANG GUIBIN; WANG JIAHONG; ZHU ZUNLING; CAO FULIANG: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ermented moringa oleifera leaves inhibits the lipogenesis in the liver of meat ducks",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ELSEVIER, AMSTERDAM, NL, vol. 260, 5 November 2019 (2019-11-05), AMSTERDAM, NL , XP085996580, ISSN: 0377-8401, DOI: 10.1016/j.anifeedsci.2019.11433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82331A1 (en) 2024-03-14
KR20220099630A (ko) 2022-07-14
KR102522975B1 (ko)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0614A (ko) 길경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길경 사포닌 분획물 및 이 분획물로부터 효소에 의하여 생전환 시킨 고함량의 플라티코딘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13222B1 (ko) 항비만 효능의 약용식물 추출물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8314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07088B1 (ko)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WO2016190566A2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210133171A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303582B2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KR20120112137A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23130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03204A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22149697A1 (ko)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200012363A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84942B1 (ko) 천우슬을 이용한 관절염 치료제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5122728A1 (ko)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23224305A1 (ko)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3665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WO2021033994A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3849A (ko) 김네마 실베스트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08771A1 (ko) 시계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43171A1 (ko) 칡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39222A1 (ko) 포공영 및 인동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178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70214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8.11.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