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46076A1 -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46076A1
WO2022146076A1 PCT/KR2021/020280 KR2021020280W WO2022146076A1 WO 2022146076 A1 WO2022146076 A1 WO 2022146076A1 KR 2021020280 W KR2021020280 W KR 2021020280W WO 2022146076 A1 WO2022146076 A1 WO 20221460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llulose
disease
stress
endoplasmic reticu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202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사순옥
김고은
남충우
한정숙
이화영
채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JP2023538926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501951A/ja
Publication of WO20221460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460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allulose having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reducing functionality.
  • Intracellular stress includes oxidative stress, mitochondrial stress, heat shock stress,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ER stress).
  • ER stress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 the lumen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is a specialized cellular environment for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and protein folding.
  • About 1/3 of intracellular proteins are translated from mRNA to protein in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followed b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that is, folding and assembly, glycation, and disulfide bonds. through the active protein structure.
  •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is a synthesis site for lipids and steroid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as a calcium store.
  • the ER stress response is an important compensatory mechanism for protecting cells by preserving ER function from various cellular stresses, but recently, excessive ER stress response is induced due to an incorrect signaling system, and there are diseases caused or caused by this. It is known
  • Diabetes mellitus is a metabolic disease characterized by high blood sugar caused by a malfunction in the secretion or function of insulin required for blood sugar control in the body. Insulin resistance is a phenomenon commonly observed in most obese and type 2 diabetes patients, and the main cause is a postreceptor defect in insulin action. decrease occurs.
  • This functional material is called allulose, and as an epimer of fructose carbon 3, it has a sweetness equivalent to 70% of sugar, so it has a sweet taste, and is excellent in reducing ER stress when ingested and provides a safe composition.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ER stress-related diseases containing allulos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ER stress-related diseases, including allulos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n endoplasmic reticulum stress-related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llulose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preventing, or treating blood sugar control, insulin sensitivity control, or diabetes by reducing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to control blood sugar through reduction of ER stress, control insulin sensitivity, or improve, prevent, or treat diabetes.
  •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compris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which includes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blood sugar control through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reduction, insulin sensitivity control, or improvement, prevention, and prevention of diabetes; or to a method of treatment.
  • compositions for reducing the expression of one or more ER stress-related prote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RE1 ⁇ , p-eIF2 ⁇ , ATF4, GRP78, CHOP, IRE1 ⁇ and sulfonation (SO3H).
  •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 ER stress-related prote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RE1 ⁇ , p-eIF2 ⁇ , ATF4, GRP78, CHOP, IRE1 ⁇ and sulfonation (SO3H).
  •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use or metho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oxidative stress-related diseases comprising allulos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ER stress-related diseases, including allulose.
  • the ER stress-related disease may be an ER stress-related disease of muscle tissue, and may be an ER or sarcoplasmic reticulum of muscle tissue.
  • ER stress-related diseases include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increased blood sugar, diabetes,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glutamine multimer-induced aggregation disease, Huntington's disease, Alzheimer's disease, ischemic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hyperhomocysteinemia, arteriosclerosis or cancer
  • the treatment of cancer may be a therapeutic means to induce apoptosis by increasing ER stress.
  •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r mor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RE1 ⁇ , p-eIF2 ⁇ , ATF4, GRP78, CHOP, IRE1-alpha and sulfonation (SO 3 H)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reduc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a related protein.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ncreasing or activating p-AMPK and SIRT1 protein expression, compris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mellitus, lowering blood sugar through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reduction, insulin sensitivity reduction, or diabetes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 th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may be generated in muscle tissue or pancreatic beta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reducing ER (muscular ER) stress in muscle tissue, lowering blood sugar through ER stress reduction, reducing insulin sensitivity, or improving,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compris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
  • the composition for lowering blood sugar, reducing insulin sensitivity, or improving,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is p-IRE1 ⁇ , p-eIF2 ⁇ , ATF4, GRP78, CHOP, IRE1-alpha and sulfonation (SO 3 H). It may be to reduce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one or mor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related prote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or to achieve increased or activation of the expression of p-AMPK and SIRT1 proteins.
  • allulose has a blood sugar control ability, and in particular can reduce blood sugar after a meal.
  • allul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postprandial blood glucose by administering allulose during or after a meal in a healthy subject or subject whose blood glucose level is on the borderline of diabetes.
  • the composition compris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or reduce the increase in blood sugar due to a meal and can lower the increased blood sugar, so that a healthy subject, a subject having a blood sugar level at the border of diabetes , or may inhibit an increase in blood sugar or induce a drop in blood sugar in a subject having diabetes.
  • the subject may be a mammal including a human.
  •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xidative stress-related diseases, including allulose.
  • the allulose has antioxidant activity that reduces oxidative stress.
  • the allulose may reduce oxidative stress by reducing Nox4 ((NADPH oxidase 4: NOX4) expression, reducing protein oxidation, or inhibiting superoxide anion, NADPH Oxidase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 the allulose may reduce oxidative stress by reducing Nox4 expression in muscle cells or muscle tissue, reducing protein oxidation, or inhibiting one or more of superoxide anion, NADPH Oxidase activity, or lipid peroxidation. 5 to 50%, 10 to 50%, 5 to 30%, 10 to 30%, 5 to 20% of intramuscular superoxide anion, NADPH Oxidase activity, or lipid peroxidation through ingestion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 5 to 15%, or 10 to 20%.
  • the composition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osition formulated so that the daily intake is 10 to 80 g (10 to 80 g/60 kg/day) per 60 kg body weight of the ingested individual.
  • the composition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ingested before, after, or simultaneously with a meal.
  • the composition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ingested for a period of 4 to 20 weeks (weeks), preferably 8 to 12 weeks (weeks).
  • An effective effect can be derived only by ingest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ce, but the effect can be further maximized when ingested during the above period.
  • allulose reduces insulin resistance, and in particular,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tolerance) in obesity and diabetes caused by a high-fat diet can be reduced by administration of allulose.
  • the decrease in NOX4 expression by the administration of allulose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ROS in muscle cells, thereby regulating glucose metabolism, thereby reducing insulin resistance.
  • Allulose promotes energy metabolism by activating AMPK-SIRT1-PGC-1 ⁇ ,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 allulose contributes to blood sugar control by reducing ER stress in muscle, specifically, by reducing ER stress in muscle cells or muscle tissue. More specifically, when carbohydrates are ingested, the glucose absorbed in the intestine is sent to each tissue in the body to be stored for later use or immediately oxidized to generate energy. When glucose is orally ingested, it is provided to the liver, muscle tissue, brain tissue or intestine (splanchnic bed), and adipose tissue, and allulose can particularly effectively lower blood sugar in the body by activating the storage of the muscle tissue.
  • ER stress-related diseases include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increased blood sugar, diabetes,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glutamine multimer-induced aggregation disease, Huntington's disease, Alzheimer's disease, ischemic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hyperhomocysteinemia, arteriosclerosis or cancer ca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preventing, or treating blood sugar control, insulin sensitivity control, or diabetes mellitus through reduction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compris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 ER stress refers to an immature protein exceeding the ability of the ER to process by a physiological or pathological environment is introduced into the ER, or calcium in the ER is depleted to cause a disorder in ER function.
  • ER stress response When ER stress occurs, cells have a defense mechanism for survival, which is called "ER stress response".
  • the ER stress response involves three signaling pathways present in the ER membrane, PERK (pancreatic ER kinase), IRE-1 ⁇ /XBP-1 (inositol-requiring 1 ⁇ /X-box binding protein 1), and ATF6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 PERK pancreatic ER kinase
  • IRE-1 ⁇ /XBP-1 inositol-requiring 1 ⁇ /X-box binding protein 1
  • ATF6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 allulose increases the expression of p-AMPK and SIRT1 proteins. Specificall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p-AMPK and SIRT1 proteins or activating SIRT1 results in the deacetylation of PGC-1 ⁇ (ie, the deacetylation of acetylated-PGC-1 ⁇ ). expression is decreased), increases the activity of GLUT4 present in the muscle, and moves glucos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cell, contributing to lowering blood sugar, reducing insulin resistance, or improving or treating diabetes.
  • Insulin-responsive glucose transporter 4 is an insulin-dependent glucose transporter, mainly distributed in skeletal muscle and adipose tissue, and plays a role in moving glucose from the outside of the cell to the inside of the cell.
  • acetylated-PGC-1 ⁇ increased in the diabetic control group (DC)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NC), but in the group that consumed allulose powder and liqui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expression of acetylated-PGC-1 ⁇ was reduced (FIGS. 9B and C).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allulose can help reduce insulin resistance by activating AMPK-SIRT1-PGC-1 ⁇ to enhance energy metabolism.
  • ER stress-related disease refers to a disease that occurs or aggravates due to ER stress, for example, due to excessive accumulation of protein in the cell, the degradation system becomes difficult to operate anymore, and it itself is toxic to the cell.
  • diseases such as neurodegenerative diseases
  • diseases such as diabetes
  • diseases such as diabetes
  • diseases such as diabetes
  • diseases such as diabetes
  • diseases such as diabetes
  • diabetes Parkinson's disease, glutamine multimer-induced aggregation disease, Huntington's disease, Alzheimer's disease, ischemic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hyperhomocysteinemia and arteriosclerosis are known as ER stress-related diseases.
  • the ER stress-related disea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increased blood sugar, diabetes,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glutamine multimer-induced aggregation disease, Huntington's disease, ischemic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hyperhomocysteinemia, arteriosclerosis or cancer have.
  • Specific examples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related disease may be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increased blood sugar, or diabetes.
  • PERK and its underlying substrate, eIF2a pathway are usually activated in the patient's tissue sample. It has been reported, and in the case of Huntington's disease, when one part of the gene is over-amplified by mutation, the glutamine polymers agglomerate with each other and form a protein aggregation that is difficult to handle with the decomposition capacity of the cell. It is known that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occurs naturally, and neuronal cell death occurs.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for improving or treating insulin resistance, increased blood sugar, or diabetes by allulose, and the disease belongs to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 or oxidative stress-related diseases, for example, in muscle tissue. related to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or oxidative stress.
  • allulose in relation to oxidative stress,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ROS in muscle cells, thereby regulating glucose metabolism, thereby reducing insulin resistance.
  • allulose increases AMPK expression or activation, and in muscle tissue and heart muscle, AMPK promotes muscle contraction to promote glucose absorption, which activates GLUT1 or Inducing the translocation of GLUT4 to the plasma membrane increases the transport of glucose into cells.
  • allulose induces activation of SIRT1, which leads to deacetylation of PGC-1 ⁇ , there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glucose transport 4 (GLUT4) in muscle.
  • Insulin-responsive glucose transporter 4 (GLUT4) is an insulin-dependent glucose transporter, mainly distributed in skeletal muscle and adipose tissue, and plays a role in moving glucose from the outside of the cell to the inside of the cell.
  • Insulin secretion disorder observed in type 2 diabetes causes ER stress.
  • allulose regulates ER stress induced in type 2 diabetes Since insulin resistance i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diabetes mellitus, the reduction of insulin resistance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ype 2 diabetes.
  • Pancreatic beta cells have a well-developed endoplasmic reticulum, and smooth function of the 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unction of beta cells, and dysfunction of beta cells due to ER stress contributes to diabetes induction.
  • Allulose increases phosphorylated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nd activates AMPK signal to promote cellular absorption of glucose in the blood, thereby lowering blood sugar, exhibiting anti-obesity activity, and/or increasing AMPK activity. It can lower blood lipid levels.
  • AMPK is known to be involved in glucose metabolism, fat metabolism, mitochondrial production and energy metabolism involved in blood sugar control by inhibiting the release of glucose from the liver regardless of insulin.
  • AMPK is known to increase the gene expression of PGC-1 ⁇ , which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itochondrial biogenesis.
  • AMPK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at most cellular and systemic levels, and is known as a serine/threonine kinase as a regulator of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s being noticed in AMPK inhibits the anabolic action that consumes ATP and promotes the catabolic action (glucose uptake, glycogenolysis, glycogenolysis, fatty acid oxidation) that produces ATP. and increased glucose absorption.
  • the degree of AMPK phosphorylation in cells, animal liver, and muscle tissue can be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or ELISA. In muscle tissue and cardiac muscle, AMPK promotes glucose uptake by promoting muscle contraction, which activates GLUT1 regardless of insulin action or induces GLUT4 transport to the plasma membrane to increase glucose delivery into cells make it
  • SIRT1 is a factor required for AMPK activation and is known to be involved in PGC-1 ⁇ metabolism. That is, AMPK activation increases the intracellular NAD(+) content, and SIRT1, an NAD(+)-dependent deacetylation enzyme, is activated to deacetylation and activation of PGC-1 ⁇ . Activation of SIRT1 has been reported to increase the activity of glucose transport 4 (GLUT4) in muscle by deacetylation of PGC-1 ⁇ .
  • Insulin-responsive glucose transporter 4 (GLUT4) is an insulin-dependent glucose transporter, mainly distributed in skeletal muscle and adipose tissue, and plays a role in moving glucose from the outside of the cell to the inside of the cell. SIRT1 protein expression in cells or animal muscle can be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or ELISA.
  • Peroxisomal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1 ⁇ (PGC-1 ⁇ ) is responsible for glucose metabolism, mitochondrial biogenesis, muscle fiber specialization, and adaptive thermogenesis ( It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adaptive thermogenesis. It is known that an in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 of PGC-1 ⁇ increases the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 and promotes mitochondrial proliferation. Substances that promote the expression of PGC-1 ⁇ promote the generation of mitochondria, which in turn promotes fatty acid oxidation by mitochondria and generates ATP energy, which can promote energy consumption in the body. Mitochondria play an important role in energy metabolism by activating glucose transport and fat oxidation.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xidative stress-related diseases compris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 a disease caused by oxidative stress or a disease related to oxidative stress is cancer, osteomyelitis, AIDS, cardiovascular disease, colorectal cancer, bladder cancer, coronary artery disease,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Huntington's disease, chronic kidney disease, alcohol sexual liver disease,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or diabetes, preferably coronary artery disease or diabetes.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Reduction of NOX4 expression by administration of allulose appears to reduce insulin resistance by inhibiting the generation of ROS in muscle cells, thereby regulating glucose metabolism.
  • Excessive glucose metabolism in cells increases the expression of Nox4 in cells or tissues, and this increased expression of Nox4 causes excessiv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s and tissues. It is known that the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ed at this tim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urvival and death of cells and maintenance of the redox system.
  • the allulos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liquid allulose including allulose, powder allulose, crystalline allulose and amorphous allulose.
  • the allulo may be chemically synthesized or biologically prepared.
  • the amount of allulose administered to the subject is determined in an amount of 10 to 80 g, 10 to 70 g, 10 to 65 g, 10 to 60 g, 10 to 55 g, 10 to 50 g, 20 to 80 g, per 60 kg of body weight of the ingested subject per day. 20 to 70 g, 20 to 65 g, 20 to 60 g, 20 to 55 g, 20 to 50 g, 30 to 80 g, 30 to 70 g, 30 to 65 g, 30 to 60 g, 30 to 55 g, or 30 to 50 g.
  • the composition comprising allul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aily intake of 10 to 80 g, 10 to 70 g, 10 to 65 g, 10 to 60 g, 10 to 55 g, 10 to 50 g, 20 to 80 g per 60 kg of body weight of the ingested individual. , 20 to 70 g, 20 to 65 g, 20 to 60 g, 20 to 55 g, 20 to 50 g, 30 to 80 g, 30 to 70 g, 30 to 65 g, 30 to 60 g, 30 to 55 g, or 30 to 50 g of allulose. It may be a composition comprising.
  • the subject or individual who administers or consumes the composition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imal, including a human, and includes, for example, a human, a mouse, a rat, a monkey, and the like.
  • composition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gested before, after, or simultaneously with a meal, and the intake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 composition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ingested for a period effective to achieve body fat reduction, for example, 4 to 20 weeks (weeks), preferably 8 to 12 weeks (weeks).
  • Weeks can be An effective effect can be derived only by ingest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ce, but it can be ingested twice or more.
  • the formulation unit for ingestion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example, contains 1, 2, 3 or 4 times or 1/2, 1/3 or 1/4 times the individual intake amount. can be manufactured.
  • the individual intake preferably contains an amount administered once a day of the active ingredient, which may be formulated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all, 1/2, 1/3 or 1/4 times the daily dose. have.
  • composition comprising allul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a suitable dosage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ulation method, an administration method, the patient's age, weight, sex,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It can be prescrib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excretion rate and response sensitivity.
  • the composition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ood, a food additive, a beverage, a beverage additive, a health food, or a functional food.
  • health functional food means a food manufactured (including processing)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useful for the human body in accordance with the Health Functional Food Act. It refers to obtaining useful effects for health purposes such as maintaining and improving health by maintaining the normal function of the body or activating physiological functions.
  • the allulose may be added to general foods, or may be prepared as encapsulation, powdering, suspension, or the like. When consumed, it has specific health effects, and unlike general drugs, it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the drug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made from food.
  • the allul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 food additive, the allulose can be added as it is, used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or us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other conventional methods.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ts use (prophylactic,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ood to which allulose is applicable, for example, processed grain products, processed beans.
  • Extracted foods ready-to-eat foods, steamed rice, mushroom fruit body processed foods and beverages. It may be processed meat products, chocolate, confectionery, pizza, noodles (ramen, noodles, etc.), gum, ice cream, alcoholic beverages,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supplements.
  • compositions for promoting body fat burning includ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form of tablets, powders, capsules, granules, syrups, jellies, bars, pastes, gels, beverages, and teas.
  • the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normal food additive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whether it is suitable as a food additive is related to the item according to the general rules and general test methods of the Food Additives Code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t is judg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and standards.
  • the weight (wt)% of allulose in the composition excluding the filler can be set variously, for example, about 0.1 to 99.9 weight% or 5 to 95 weight% of allulose based on the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 the allulose is 80 (w / w) % or more, preferably 90 (w / w) % or more, more preferably 95 (w / w) % or more, 96 (w/w) % or more, based on total solids It may be a composition having a content of w/w)% or more, 97 (w/w)% or more, 98 (w/w)% or more, or 99 (w/w)% or more.
  • the allulos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liquid allulose including allulose (allulose syrup, powdered allulose, crystalline allulose and amorphous allulose.
  • the allulose may be chemically synthesized or It may be biologically manufactured.
  • allolose has a purity of 80 (w/w) % or more, preferably 90 (w/w) % or more, more preferably is 95 (w / w)% or more, 96 (w / w)% or more, 97 (w / w)% or more, 98 (w / w)% or more, or 99 (w / w)% or more of allolose powder, It may be a solution prepared at various concentrations using this, or a solution converted to allulose by a chemical or biological method as a fructose-containing solution.
  • the allulose syrup may be obtained through separation, retention and concentration processes from the allulose alone or mixed sugar.
  • the allulose syrup that has undergone th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 may have an electrical conductivity of 1 to 50 ⁇ S/cm and may be a liquid allulose syrup having a colorless or pale yellow sweetness.
  • Specific examples of the mixed sugar containing allulose include 5 to 95 parts by weight of allulose, 1 to 50 parts by weight of fructose and 1 to 55 parts by weight of glucose,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oligosaccharid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mixed sugar. and may not contain oligosaccharides.
  • the allulose, fructose and glucose are preferably all form D-isomers.
  • 1 is a graph showing the values of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insulin resistance test to confirm the effect of D-allulose on blood sugar reduction in db/db m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values afte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insulin in the serum to determine the effect of D-allulose on the concentration of insulin in hullcheong in db/db m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focal micrograph (FIG. 3A) of a tissue stained with DHE tha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D-allulose on oxidative stress in db/db m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HE fluorescence It is a graph (FIG. 3B) showing the intensity numerical result.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d NADPH oxidase activity concentration in the tissue to confirm the effect of D-allulose on NADPH oxidase activity in db/db m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graph showing values obtain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lipid peroxide 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D-allulose on lipid peroxide in db/db m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egree of oxidation of proteins in tissues 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D-allulose on the oxidation of proteins in db/db m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1 Diabetic animal model
  • NBD Normal diet-administered animal group
  • mice For the experimental animals, a 5-week-old normal male group (C57BL/KsJ- db/+ mice, Normal Control, NC) was purchased from Orient Bio, acclimatized for 14 days, and then divided into 10 groups and tested for efficacy for 8 weeks. bred for consumption.
  • the experimental diet for the efficacy evaluation test was a powdered feed for laboratory animals (Orient Bio, Inc.), and the powdered feed was bred so that it could be freely ingested with water.
  • db/db mice C57BL/KsJ- db/db mice, Diabetic Control, DC
  • obesity and type 2 diabetes occur because leptin receptor mutation occurs and leptin, a hormone secreted by adipocytes, does not signal transduction.
  • They were purchased from Orient Bio as a model and adapted for 14 days, then divided into 10 groups and bred to consume the efficacy evaluation product for 8 weeks.
  • powdered feed was supplied as a powder feed for laboratory animals (Orient Bio, Inc.), and water and feed were bred to be freely ingested.
  • a dose of 5.16 g/kg (high) of allulose liquid type was set based on the solid content.
  • the normal diet was supplied so that it could be freely consumed along with water, and the liquid allulose form was orally administered twice a day (9:00 am, 5:00 pm).
  • the normal diet was prepared based on the AIN-76A diet (Teklad.USA), and the weight ratio of carbohydrate:protein:lipid was adjusted to 60:20:15.
  • a dose of 5.16 g/kg (high) of allulose powder was set based on the solid content.
  • the normal diet was supplied so that it could be freely ingested along with water, and allulose powder was orally administered twice a day (9:00 am, 5:00 pm).
  • the normal diet was prepared based on the AIN-76A diet (Teklad.USA), and the weight ratio of carbohydrate:protein:lipid was adjusted to 60:20:15.
  • Example 2 In the diabetic animal model according to Example 1, 5.16 g/kg sucralose administered group as Comparative Example 1 and 5.16 g/kg erythritol as Comparative Example 2 instead of allulose used in Example 2 A comparativ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administration group.
  • Test Example 1 Blood glucose and insulin analysis
  • the normal group and the diabetic animal model according to Example 1 were fasted for 12 hours, glucose was orally administered to mice at a dose of 2 g/kg, and blood was administered to the mouse tail at intervals of 0, 15, 30, 60, 90, and 120 minutes. Blood glucose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collecting from a vein. It was calculated by the area of the blood glucose curve according to the glucose tolerance test.
  • the normal group and the diabetic animal model according to Example 1 were fasted for 12 hours, and 1 unit of insulin solution per kg of body weight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into the mouse, and then after 0, 15, 30, 60, 90, 120 minutes, blood was drawn from the tail vein of the mouse. was collected and blood sugar was measured.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DHE dihydroethidium
  • PBS pH 7.4
  •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as a confocal micrograph of the fluorescence-stained tissue in FIG. 3A, and the numerical results of DHE fluorescence intensity are shown as a graph in FIG. 3B.
  • the graph shown in B of FIG. 3 is a graph showing DHE fluorescence intensity values obtained as a result of DHE fluorescence staining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D-allulose on oxidative stress in db/db mice.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d NADPH oxidase activity concentration in the tissue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D-allulose on NADPH oxidase activity in db/db mice.
  • 5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lipid peroxide content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D-allulose on lipid peroxide in db/db mice.
  • Carbonyl content using DNPH reagent is often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oxidation of proteins together with thiol group content. Specifically, the carbonyl content analysis using the DNPH reagent was measured using the OxyBlot Protein Oxidation Detection Kit. The carbonyl content analysis result using the DNPH reagent is shown in FIG. 6 .
  • 6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egree of oxidation of proteins in tissues 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D-allulose on the oxidation of proteins in db/db mice.
  • Test Example 3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llulose on NOX4 expression
  • Nox4 Excessive glucose metabolism in cells increases the expression of Nox4 in cells or tissues, and this increased expression of Nox4 causes excessiv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s and tissues. It is known that the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ed at this tim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urvival and death of cells and maintenance of the redox system.
  • protein expression level analysis was performed by Western blotting.
  • allulose, sucralose and erythritol were administered to the normal group and the diabetes-inducing group for 8 weeks, and then the gastrocnemius muscle was treated with a lysis buffer (10 mM Tris- Protein obtained by dissolving at 4°C using HCl, pH 7.4, 0.1 M EDTA, 10 mM NaCl, 0.5% Triton X-100, pro-tease inhibitor Cocktail) and centrifugation (14,000 rpm, 10 min, 4°C) was measured.
  • the quantified protein was mixed with sample buffer, heated at 95° C. for 5 minutes, and separated by 10-12% SDS-PAGE.
  • SDS-PAGE was performed using a semi-dry transfer system to transfer the protein to the PVDF membrane at 15 V, 60 minutes, and reacted with blocking buffer (5% Skim milk in 1 X TBS-T) for 1 hour or more, and NOX4 After overnight reaction at 4°C, it was washed 5 times with 1 X TBS-T at intervals of 7 minutes. After the secondary antibody was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at least 1 hour, it was washed 5 times at 7 minute intervals with 1 X TBS-T, and the color was developed with ECL reagent, and then the X-ray film was exposed to glare.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7, and it shows the effect of D-allulose on the expression level of NOX4 protein in db/db mice.
  • Test Example 4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llulose on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 Insulin secretion disturbance observed in type 2 diabetes causes ER stress.
  • Test Example 5 Evaluation of allulose effect on AMPK-SIRT1-PGC-1 ⁇
  • Insulin-responsive glucose transporter 4 is an insulin-dependent glucose transporter, mainly distributed in skeletal muscle and adipose tissue, and plays a role in moving glucose from the outside of the cell to the inside of the ce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abet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 기능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 기능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 내 스트레스는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Heat Shock Stress, 소포체 스트레스(Endoplasmic Reticulum Stress, ER Stress)등이 있다. 소포체(ER, endoplasmic reticulum)의 내강은 번역 후 변형과 단백질의 폴딩(folding)을 위해 특수화된 세포적 환경이다. 소포체는 리보좀이 붙어있는 조면소포체(rough endoplasmic reticulum)와 리보좀이 없는 활면소포체(smooth endoplasmic reticulum)의 두 가지가 있다. 세포 내 단백질의 약 1/3이 조면소포체에서 mRNA에서 단백질로 번역 후, 수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즉 폴딩(folding)과 조립(assembly), 당화(glycation) 및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 등의 과정을 통해 활성형 단백질 구조가 된다. 또한 활면소포체는 지질과 스테로이드의 합성장소이며 칼슘 저장소로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은 다양한 세포성 스트레스에서 소포체 기능을 보존하여 세포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보상 기전이지만, 최근에는 잘못된 신호전달 시스템으로 인하여 과도한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이 유발되어 이로 인해 야기되거나 유발되는 질병들이 있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최근 당뇨병 환자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에 동반된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률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치료되지 않은 만성 당뇨병 합병증으로는 신경이나 신장질환을 비롯한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그 중에서도 특히 고혈압, 동맥경화증, 뇌경색, 뇌혈전,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률이 높다. 이러한 동맥경화증을 비롯한 심혈관성 장애가 빈발하는 주된 요인의 하나로, 당뇨병 환자의 조직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감수성이 높고 유리기 (Free radical)의 생성 증가로 지질 과산화가 촉진된다고 알려진 바 있다. 그리하여 조직을 과산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생체의 항산화 방어계 강화에 관련된 연구가 진전되고 있다.
당뇨병은 신체 내에서 혈당 조절에 필요한 인슐린의 분비나 기능의 장애로 인해 발생된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이다. 인슐린 저항성은 대부분의 비만 및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보편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으로, 주원인은 인슐린 작용에 있어서 수용체 후 결함(postreceptor defect)으로, 저장소는 지나치게 확장되는 반면, 식후 혈액 속의 영양분을 처리하는 능력은 감소되어 발생한다.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운동 및 식사가 중요하지만 꾸준한 식단 관리나 운동 관리가 힘들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혈당 조절이 힘든 사람들은 약물 요법에 의해 혈당을 감소시키지만, 만성질환의 특성상 장기간 섭취를 위한 약물들의 안전성이 문제가 되는 실정이다.
이에 안전성이 우려되는 기존의 약물과 달리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를 촉진하여 혈당을 감소시키는 기능성 소재의 개발을 진행해 왔다. 이 기능성 소재 알룰로스로 불리우며 과당의 3번 탄소의 에피머로서, 설탕의 70%에 해당하는 감미도를 가지고 있어 단맛을 내면서도, 섭취 시에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우수하고 안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는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는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는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는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혈당 조절, 인슐린 민감성 조절, 또는 당뇨병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일 예는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혈당 조절, 인슐린 민감성 조절, 또는 당뇨병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일 예는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혈당 조절, 인슐린 민감성 조절, 또는 당뇨병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p-IRE1α, p-eIF2α, ATF4, GRP78, CHOP, IRE1α 및 sulfonation(SO3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p-IRE1α, p-eIF2α, ATF4, GRP78, CHOP, IRE1α 및 sulfonation(SO3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일예는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용도 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은 근육 조직의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일 수 있으며, 근육 조직의 소포체 또는 근소포체(sarcoplasmic reticulu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 증가, 혈당 증가,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글루타민 다량체 유발 응집 질환,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허혈성 질환, 심혈관질환, 고호모시스테인증, 동맥경화증 또는 암일 수 있다. 상기 암의 치료는 소포체 스트레스를 증가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이 치료 수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p-IRE1α, p-eIF2α, ATF4, GRP78, CHOP, IRE1-alpha 및 sulfonation(SO3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p-AMPK과 SIRT1 단백질의 발현 증가 또는 활성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는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혈당 강하, 인슐린 민감성 감소, 또는 당뇨병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소포체 스트레스는 근육 조직 또는 췌장 베타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조직 내 소포체 (근소포체) 스트레스 감소 용도,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혈당 강하, 인슐린 민감성 감소, 또는 당뇨병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혈당 강하, 인슐린 민감성 감소, 또는 당뇨병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p-IRE1α, p-eIF2α, ATF4, GRP78, CHOP, IRE1-alpha 및 sulfonation(SO3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p-AMPK과 SIRT1 단백질의 발현 증가 또는 활성화를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알룰로스는 혈당 조절능을 가지며, 특히 식후 혈당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알룰로스는 건강한 대상 또는 혈당 수치가 당뇨병의 경계에 있는 대상에 있어서, 식사 시 또는 식후에 알룰로스 투여에 의한 식후 혈당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사로 인한 혈당 증가를 억제 또는 감소할 수 있으며, 증가된 혈당을 낮출 수 있어, 건강한 대상, 당뇨병의 경계에 있는 혈당 수치를 갖는 대상, 또는 당뇨병을 갖는 대상에서 혈당 증가를 억제 또는 혈당 강하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대상은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일예는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알룰로스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항산화 활성을 가진다. 상기 알룰로스는 Nox4((NADPH oxidase 4: NOX4) 발현감소, 단백질 산화 감소 또는 superoxide anion, NADPH Oxidase activity, 및 lipid peroxidation를 억제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알룰로스는 근육 세포 또는 근육 조직의 Nox4 발현감소, 단백질 산화 감소 또는 superoxide anion, NADPH Oxidase activity, 또는 lipid peroxidation를 하나 이상 억제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섭취를 통해 근육 내 superoxide anion, NADPH Oxidase activity, 또는 lipid peroxidation를 5 내지 50 %, 10 내지 50%, 5 내지 30%, 10 내지 30%, 5 내지 20%, 5내지 15%, 또는 10 내지 20%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하루 섭취량이 섭취 개체의 체중 60㎏ 당 10 내지 80g (10 내지 80g/60kg/day)이 되도록 배합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식전, 식후 또는 식사와 동시에 섭취할 수 있다. 상기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4 내지 20 주(weeks),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주(weeks) 기간 섭취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단 회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유효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지만, 상기 기간으로 섭취하면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고지방식이 포유동물에서 여러 종류의 감미료의 섭취 시험을 통해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서만 소포체 스트레스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알룰로스는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며, 특히 비만, 고지방식이로 인한 당뇨병에서 증가된 인슐린 저항성(내성)을 알룰로스의 투여로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알룰로스의 투여로 NOX4 발현 감소는 근육 세포 내 ROS의 생성을 억제시켜 포도당 대사를 조절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킨다. 알룰로스가 AMPK-SIRT1-PGC-1α를 활성화시켜 에너지대사를 증진하여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알룰로스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내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혈당 조절에 기여하며, 구체적으로는 근육 세포 또는 근육 조직의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혈당 조절에 기여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장에서 흡수된 포도당은 신체의 각 조직으로 보내져 나중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되거나 바로 산화되어 에너지를 생성한다. 포도당을 경구로 섭취하면 간, 근육 조직, 뇌조직이나 내장(splanchnic bed), 지방조직에 제공되며, 알룰로스는 특히 상기 근육조직의 저장을 활성화시켜 체내 혈당을 매우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 증가, 혈당 증가,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글루타민 다량체 유발 응집 질환,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허혈성 질환, 심혈관질환, 고호모시스테인증, 동맥경화증 또는 암일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혈당 조절, 인슐린 민감성 조절, 또는 당뇨병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소포체 스트레스(ER stress)"란 생리적 혹은 병리적 환경에 의해 소포체가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이상의 미성숙 단백질이 소포체 내로 유입이 되거나 소포체 내 칼슘이 고갈되어 소포체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소포체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세포는 생존하기 위한 방어기전을 가지는 데 이를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ER stress response)"라고 한다.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은 소포체 막에 존재하는 세 가지의 신호전달체계인 PERK (pancreatic ER kinase), IRE-1α/XBP-1 (inositol-requiring 1α/X-box binding protein 1) 및 ATF6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에 의해 매개된다. 이와 같은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은 특히 단백질을 합성하여 분비하는 기능이 활발한 형질세포, 췌장의 베타 세포, 간세포, 조골세포와 같은 곳에서 잘 관찰되고 있으며, 최근 많은 연구들은 소포체 스트레스가 허혈, 당뇨, 바이러스 감염, 고호모시스테인증과 같은 다양한 질환의 병인으로 작용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는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p-IRE1α, p-eIF2α, ATF4, GRP78, CHOP, IRE1α 및 sulfonation(SO3H)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험동물의 비복근 시료에 대해 p-IRE1α, p-eIF2α, ATF4, GRP78, CHOP 및 IRE1α sulfonation(SO3H)의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정상대조군(NC)에 비해 당뇨대조군(DC)에서 p-IRE1α, p-eIF2α, ATF4, GRP78, CHOP 및 IRE1α sulfonation(SO3H)의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을 농도 의존적으로 섭취한 군에서는 당뇨대조군(DC)에서 증가한 상기 유전자의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8). 이에, 알룰로스가 소포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소포체 스트레스가 유도하는 아폽토시스(세포사멸)를 저해함으로써 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알룰로스는 p-AMPK과 SIRT1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구체적으로 p-AMPK과 SIRT1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 또는 SIRT1의 활성화는 PGC-1α가 deacetylation되어 (즉, acetylated-PGC-1α의 발현이 감소되어), 근육에 존재하는 GLUT4의 활성을 증가시켜, 포도당을 세포 외부에서 세포 내부로 이동시켜 혈당 강하, 인슐린 저항성 감소, 또는 당뇨병 개선 또는 치료에 기여하게 된다. Insulin-responsive glucose transporter 4(GLUT4)는 인슐린 의존적 포도당 수송체로서 주로 골격근과 지방조직에 분포하며, 포도당을 세포 외부에서 세포 내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세하게는,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을 농도 의존적으로 섭취한 군에서는 당뇨대조군(DC)에 비해 p-AMPK과 SIRT1의 단백질의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동물의 비복근에서 발현되는 p-AMPK과 SIRT1 단백질의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정상대조군(NC)에 비해 당뇨대조군(DC)에서 p-AMPK과 SIRT1의 단백질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나,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을 농도 의존적으로 섭취한 군에서는 당뇨대조군(DC)에 비해 p-AMPK과 SIRT1의 단백질의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9의 A).
본 발명에서 acetylated-PGC-1α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정상대조군(NC)에 비해 당뇨대조군(DC)에서 acetylated-PGC-1α이 증가하지만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을 농도 의존적으로 섭취한 군에서는 acetylated-PGC-1α의 발현이 감소하였다(도 9의 B 및 C). 따라서, 알룰로스가 AMPK-SIRT1-PGC-1α를 활성화시켜 에너지대사를 증진하여 인슐린 저항성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 이란 소포체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질환을 말하며, 예컨대 세포 내에 단백질의 과도한 축적으로 인해 분해시스템이 더 이상 작동하기 어려워지면서 그 자체가 세포에 독성을 보여 야기되는 질환(신경 퇴행성 질환 등), 또는 잘못된 신호 전달 시스템으로 인하여 과도한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이 유발되어 이로 인해 야기되거나 유발되는 질병(당뇨병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현재, 당뇨병, 파킨슨병, 글루타민 다량체 유발 응집 질환,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허혈성 질환, 심혈관질환, 고호모시스테인증 및 동맥경화증이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 증가, 혈당 증가,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글루타민 다량체 유발 응집 질환, 헌팅턴병, 허혈성 질환, 심혈관질환, 고호모시스테인증, 동맥경화증 또는 암일 수 있다. 상기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구체적 예는 인슐린 저항성 증가, 혈당 증가, 또는 당뇨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환자의 조직샘플에서 PERK와 그 하부 기질인 eIF2a 경로가 대개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대표적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 병은 E3 ligase 단백질인 Parkin이 소포체 스트레스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헌팅턴병의 경우 유전자의 한 부분이 돌연변이로 과대 증폭되면서 나타나는 글루타민의 중합체들이 서로 엉김을 일으키면서 세포의 분해능력으로는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단백질 응집체 (protein aggregation)를 형성하는 결과 자연스럽게 소포체 스트레스가 발생하게 되고, 신경세포의 사멸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알룰로스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증가, 혈당 증가, 또는 당뇨병의 개선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며, 상기 질환은 소포체 스트레스 및/또는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질환에 속하며, 예를 들면 근육 조직 내 소포체 스트레스 및/또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관련된다.
자세하게는,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알룰로스의 투여로 NOX4 발현 감소는 근육 세포 내 ROS의 생성을 억제시켜 포도당 대사를 조절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킨다. 상기 소포체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알룰로스는 AMPK 발현 또는 활성화를 증가시키며, 근육조직 및 심장근육에서 AMPK는 근육수축을 촉진시켜 포도당의 흡수를 촉진시키는데, 이는 인슐린의 작용과 상관없이 GLUT1을 활성화시키거나 GLUT4의 혈장막으로의 이동을 유도하여 포도당의 세포 안으로의 전달을 증가시킨다. 또한, 알룰로스는 SIRT1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이에 PGC-1α이 deacetylation되어, 근육의 glucose transport 4(GLUT4)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Insulin-responsive glucose transporter 4(GLUT4)는 인슐린 의존적 포도당 수송체로서 주로 골격근과 지방조직에 분포하며, 포도당을 세포 외부에서 세포 내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형 당뇨병에서 관찰되는 인슐린 분비 장애는 소포체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알룰로스가 제2형당뇨에서 유발된 소포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이 당뇨병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이유이기 때문에, 인슐린 저항성의 감소는 당료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특히 2형 당뇨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췌장 베타세포는 소포체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소포체의 원활한 기능이 베타세포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한 베타세포의 기능이상이 당뇨병 유발에 기여하는 것이다.
알룰로스는 인산화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을 증가시켜 AMPK 신호를 활성화함으로써 혈액 내 당의 세포 흡수를 촉진함으로써 혈당을 강하는 것, 비만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 및/또는 AMPK의 활성을 증가시켜 혈중 지질 농도를 강하할 수 있다. AMPK는 인슐린과 상관없이 간에서 포도당의 방출을 억제함으로써 혈당조절에 관여하는 당대사, 지방대사 및 미토콘드리아의 생성 및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MPK는 미토콘드리아의 생성(biogenesis)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PGC-1α의 유전자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MPK는 대부분의 세포 및 전신 수준에서 에너지 균형의 조절에 중요한 요소이며, serine/threonine kinase로서 지질과 포도당 대사의 조절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AMPK의 조절 작용은 비만, 당뇨, 및 각종 대사 증후군의 연구 분야에서 주목되고 있다. AMPK는 ATP를 소비하는 동화 작용을 억제하고, ATP를 생산하는 이화 작용(포도당 흡수, 해당과정, 글리코겐 분해, 지방산 산화)를 촉진하는 작용을 하므로 간이나 골격근 등의 조직에서 AMPK가 활성화되면 지방산 산화와 포도당 흡수가 증가된다. 세포, 동물의 간, 근육 조직에서 AMPK 인산화 정도를 웨스턴 블랏(western blotting) 또는 ELISA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근육조직 및 심장근육에서 AMPK는 근육수축을 촉진시켜 포도당의 흡수를 촉진시키는데, 이는 인슐린의 작용과 상관없이 GLUT1을 활성화시키거나 GLUT4의 혈장막으로의 이동을 유도하여 포도당의 세포 안으로의 전달을 증가시킨다.
Sirtuin1(SIRT1)은 AMPK 활성화에 필요한 인자이며 PGC-1α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AMPK 활성화는 세포 내 NAD(+)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NAD(+) 의존적 탈아세틸화 효소인 SIRT1이 활성화되어 PGC-1α의 탈아세틸화 및 활성화가 이루어진다. SIRT1의 활성화는 PGC-1α이 탈아세틸화(deacetylation)되어, 근육의 glucose transport 4(GLUT4)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Insulin-responsive glucose transporter 4(GLUT4)는 인슐린 의존적 포도당 수송체로서 주로 골격근과 지방조직에 분포하며, 포도당을 세포 외부에서 세포 내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포 또는 동물의 근육에서 SIRT1 단백질 발현을 western blotting 또는 ELISA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퍼옥시좀 증식 활성 수용체 감마 보조활성인자 알파(peroxisomal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1α, PGC-1α)는 포도당대사, 미토콘드리아의 생성(biogenesis), 근육섬유형성(muscle fiber specialization), 순응 열생성(adaptive thermogenesis)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GC-1α의 발현량의 증가는 미토콘드리아 DNA 복제수 증가, 미토콘드리아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GC-1α의 발현을 촉진하는 물질은 미토콘드리아의 생성을 촉진하게 되고 이는 결국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지방산 산화를 촉진하며 ATP 에너지를 생성하여 신체 에너지 소비를 촉진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포도당의 수송과 지방의 산화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에너지 대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질환은 암, 골수염, 후천성 면역결핍증, 심혈관계 질환, 대장직장암, 방광암, 관상동맥질환,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만성 신장병, 알콜성 간질환, 폐쇄성 폐질환, 인슐린저항 증후군 또는 당뇨병, 바람직하게는 관상동맥질환 또는 당뇨병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로부터의 세포 또는 조직의 손상은 당뇨병뿐만 아니라 염증, 노화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룰로스가 항산화 작용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세포 내에서 생성되는 superoxide anion, NADPH Oxidase activity 및 lipid peroxidation를 DHE 조직염색을 수행하여 알룰로스의 활성산소종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 내에서 생성되는 superoxide anion 감소효과를 가진다(도 3). 과산화수소 (H2O2)를 포함하는 퍼옥사이드은 산화성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주요 활성 산소종 (ROS)중 하나이다.
당뇨동물모델(DC)에 의해 생성된 NADPH Oxidase activity, 및 lipid peroxidation가,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에 의한 억제 효과를 분석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알룰로스가 과산화수소(H2O2)에 의해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이 있는 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당뇨동물모델(DC)에 의해 생성된 superoxide anion, NADPH Oxidase activity, 및 lipid peroxidation이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4 및 도 5). 이는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이 과산화수소(H2O2)에 의해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상대조군(NC)에 비해 당뇨대조군(DC)에서 단백질의 산화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을 농도 의존적으로 섭취한 군에서는 당뇨대조군(DC)에 비해 단백질의 산화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6).
구체적으로, D-알룰로스가 NOX4 단백질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상대조군(NC)에 비해 당뇨대조군(DC)에서 NOX4의 단백질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을 농도 의존적으로 섭취한 군에서는 당뇨대조군(DC)에 비해 NOX4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7). 알룰로스의 투여로 NOX4 발현 감소는 근육 세포 내 ROS의 생성을 억제시켜 포도당 대사를 조절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알룰로스의 투여로 NOX4 발현 감소는 근육 세포 내 ROS의 생성을 억제시켜 포도당 대사를 조절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세포 내의 과도한 포도당 대사는 세포 또는 조직 내에서 Nox4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Nox4의 증가된 발현은 세포와 조직 내에서 과다한 활성산소 생성을 유발한다. 이때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의 생존과 사멸, redox 시스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알룰로스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액상 알룰로스, 분말 알룰로스, 결정형 알룰로스 및 비결정형 알룰로스를 포함한다. 상기 알룰로는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생물학적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에게 투여되는 알룰로스의 양은, 하루 섭취량이 섭취 개체의 체중 60㎏ 당 10 내지 80g, 10 내지 70g, 10 내지 65g, 10 내지 60g, 10 내지 55g, 10 내지 50g, 20 내지 80g, 20 내지 70g, 20 내지 65g, 20 내지 60g, 20 내지 55g, 20 내지 50g, 30 내지 80g, 30 내지 70g, 30 내지 65g, 30 내지 60g, 30 내지 55g, 또는 30 내지 50g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하루 섭취량이 섭취 개체의 체중 60㎏ 당 10 내지 80g, 10 내지 70g, 10 내지 65g, 10 내지 60g, 10 내지 55g, 10 내지 50g, 20 내지 80g, 20 내지 70g, 20 내지 65g, 20 내지 60g, 20 내지 55g, 20 내지 50g, 30 내지 80g, 30 내지 70g, 30 내지 65g, 30 내지 60g, 30 내지 55g, 또는 30 내지 50g가 되도록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투여 또는 섭취하는 대상 또는 개체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이며, 예를 들면 사람, 마우스, 래트, 원숭이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식전, 식후 또는 식사와 동시에 섭취할 수 있으며, 특별히 섭취 조건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체지방 저감화를 달성하는 데 유효한 기간 동안 섭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 내지 20 주(weeks),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주(weeks) 기간 섭취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단 회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유효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지만, 2회 이상 섭취할 수 있다.
상기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섭취를 위한 제제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섭취량의 1, 2, 3 또는 4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개별 섭취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성분의 1일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하는 양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식품, 식품 첨가제, 음료, 음료 첨가제, 건강 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 '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을 포함함)한 식품을 말하며, "기능성' '이란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거나 생리기능 활성화를 통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둥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상기 알룰로스를 일반식품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고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였기 때문에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알룰로스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알룰로스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하거나, 그 외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알를로스 적용 가능한 식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곡류 가공품, 두류가공품. 서류가공품, 당류가공품, 수산물가공품, 기타가공품, 과자, 캔디류 (예, 하드캔디, 젤리류, 구미류), 빵류, 만두류, 식육가공품(예, 육류, 소세지), 낙농제품(예, 유산균 발효유, 아이스크림류), 알가공품, 묵류, 가공유지, 기타면류, 유탕면류, 고형차, 액상차, 커피, 과채 주스, 과채음료, 기타 발효음료, 인삼 흥삼음료, 흔합음료, 음료베이스, 조미된장, 고추장, 청국장, 소스류, 복합조미식품, 배추김치, 양념젓갈, 절임류, 당절임, 농산물조림, 축산물조림, 조미건어포류, 건어포류 ,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 , 과 채 가공품, 조미김. 추출식품, 즉석섭취식품, 찐쌀, 버섯자실체 가공식품음료류. 육류가공품류, 초코렛, 과자류, 피자, 면류 (라면, 국수 등),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는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정제, 분말, 캡슐, 과립, 시럽, 젤리, 바, 페이스트, 겔, 음료, 차 형태를 포함하는 체지방 연소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둥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일 예에서, 충전제를 제외한 조성물 중 알룰로스의 중량(wt)%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스를 약 0.1 내지 99.9 중량%로 또는 5 내지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알룰로스는 총고형분을 기준으로 80(w/w)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w/w)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w/w)% 이상, 96 (w/w)% 이상, 97(w/w)% 이상, 98(w/w)% 이상 또는 99 (w/w)% 이상의 함량을 갖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알룰로스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액상 알룰로스 (알룰로스 시럽, 분말 알룰로스, 결정형 알룰로스 및 비결정형 알룰로스를 포함한다. 상기 알룰로는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생물학적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를로스를 포함하는 분말 또는 시럽 형태이거나, 예를 들면 알를로스는 순도 80(w/w)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w/w)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w/w)% 이상, 96 (w/w)% 이상, 97(w/w)% 이상, 98(w/w)% 이상 또는 99 (w/w)% 이상의 알를로스를 분말,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로 제조한 용액 또는 과당 -함유 용액으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알룰로스로 전환한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알룰로스 시럽은 상기 알룰로스 단독 또는 혼합당으로부터 분리, 정체 및 농축 공정을 통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분리 및 정제 공정을 거친 알룰로스 시럽은 전기 전도도 1 내지 50 μS/cm이고, 무색 또는 미황색의 감미를 가지는 액상 알룰로스 시럽일 수 있다. 상기 알룰로스 함유 혼합당의 구체적인 예는 혼합당의 전체 고형분 함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알룰로스 5 내지 95 중량부, 과당 1 내지 50 중량부 및 포도당 1 내지 55 중량부, 및 올리고당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올리고당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알룰로스, 과당 및 포도당은 바람직하게는 모두 D형-이성질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식생활이나 운동생활을 바꾸지 않고, 알룰로스의 섭취 만으로 효과적으로 소포체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혈당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경구포도당부하검사와 인슐린 내성 검사를 실시한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헐청 내 insulin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영향을 확인하고자 혈청 내 insulin의 농도를 측정한 후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한 DHE 형광염색된 조직의 공촛점현미경 사진(도 3의 A), DHE 형광 강도 수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3의 B)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NADPH ox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조직 내 NADPH oxidase 활성 농도를 측정한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지질과산화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지질과산물을 함량을 측정한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단백질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고자 조직 내 단백질의 산화 정도를 측정한 나타낸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NOX4 단백질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소포체(ER)스트레스와 IRE1α의 비가역적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p-AMPK-SIRT1-PGC-1α에 대한 보충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당뇨 동물모델
(1)정상식이 투여 동물군(NCD)
실험동물은 생후 5주령의 수컷 정상군(C57BL/KsJ-db/+ mice, Normal Control, NC)를 ㈜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14일간 적응시킨 후, 10개 그룹으로 나누어 8주간 유효성 평가시험제품을 섭취하도록 사육했다. 유효성 평가시험를 위한 실험식이는 실험동물용 분말사료(㈜오리엔트바이오)로 가루사료를 물과 함께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사육했다.
(2) 당뇨 동물 모델(DC)
db/db 마우스(C57BL/KsJ-db/db mice, Diabetic Control, DC)는 렙틴수용체에 돌연변이가 생겨 지방세포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인 렙틴의 신호전달이 일어나지 않아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이 발생하는 동물모델로 ㈜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14일간 적응시킨 후, 10개 그룹으로 나누어 8주간 유효성 평가시험제품을 섭취하도록 사육했다. 유효성 평가시험를 위한 실험식이는 실험동물용 분말사료(㈜오리엔트바이오)로 가루사료를 공급하고 물과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사육했다.
실시예 2: 액상 알룰로스 투여군 (AL)
실시예 1에 따른 당뇨모델에 알룰로스 액상형을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5.16 g/kg (high)의 용량을 설정하였다. 정상식이는 물과 함께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공급하였으며, 알룰로스 액상형은 1일 2회(오전9:00, 오후 5:00)로 경구로 투여하였다. 상기 정상식이는 AIN-76A diet(Teklad.USA)를 기준으로 조제하였으며 탄수화물:단백질:지질의 중량비는 60:20:15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3: 분말 알룰로스 투여군 (AP)
실시예 1에 따른 당뇨모델에 알룰로스 분말형을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5.16 g/kg (high)의 용량을 설정하였다. 정상식이는 물과 함께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공급하였으며, 알룰로스 분말은 1일 2회(오전9:00, 오후 5:00) 경구로 투여하였다. 정상식이는 AIN-76A diet(Teklad.USA)를 기준으로 조제하였으며 탄수화물:단백질:지질의 중량비는 60:20:15로 조정하였다
비교예 1 및 2
실시예 1에 따른 당뇨 동물모델에, 실시예 2에 사용된 알룰로스를 대신하여 비교예 1 로서 5.16 g/kg 수크랄로스(sucralose) 투여군과, 비교예 2로서 5.16 g/kg 에리쓰리톨(erythritol) 투여군을 설정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알룰로스의 하루 섭취량 5.16 g/kg을 사람으로 환산하면 섭취 개체의 체중 60㎏ 당 25g 이 된다. 이 때 Sucrolose는 동일하게 감미도를 맞추어 경구투여하고, 에리쓰리톨은 알룰로스와 동량 투여하였다. 정상식이와 수크랄로스(sucralose) 및 에리쓰리톨(erythritol)를 동시 투여하여 체중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험예 1: 혈당 및 인슐린 분석
(1)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OGTT)
실시예 1에 따른 정상군과 당뇨동물모델을 12시간 절식시키고, 마우스에 glucose를 2 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혈액을 0, 15, 30, 60, 90, 120분 간격으로 마우스 꼬리정맥에서 채취하여 혈당 농도를 측정하였다. 당 부하 검사에 따른 혈당곡선 면적에 의해 산출하였다.
(2)인슐린 내성 검사(ITT 분석)
실시예 1에 따른 정상군과 당뇨동물모델을 12시간 절식시키고, 마우스에 인슐린 용액을 체중 kg당 1 unit씩 복강 주사한 다음 0, 15, 30, 60, 90, 120분 후 마우스 꼬리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3)혈청 내 insulin 농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알룰로스, 수크랄로스(sucralose) 또는 에리쓰리톨을 8주간 투여한 후 실험 종료일에 각 실험군 마우스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획득하고 Mouse Insulin ELISA Kit를 이용하여 혈청 내 insulin 농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Anti-insulin coated 96 well plate에 실험 동물의 혈청 10 μL를 넣고 20-25℃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Washing buffer로 4회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물에 HRP conjugated streptavidin 100 μL를 넣고 20-25℃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4회 세척한 다음 Substrate chromogen reagent 100 μL를 넣고 20-25℃에서 20분간 배양한 후, 50 μL의 Reaction stopper를 첨가하고 Multi Microplate Reader(infinite M200PRO, Tecan, Mannedorf, Switzerland)를 이용하여 450 nm(reference wavelength, 6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2: 알룰로스의 항산화능 평가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세포 또는 조직의 손상은, 당뇨병뿐만 아니라 염증, 노화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룰로스가 항산화 작용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세포 내에서 생성되는 superoxide anion, NADPH Oxidase activity 및 lipid peroxidation를 DHE 조직염색을 수행하여 알룰로스의 활성산소종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1) 산화적 손상에 의한 superoxide 형성의 억제 효과
산화적 손상에 의한 superoxide 형성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oxidative fluorescent dye인 dihydroethidium (DHE) 염색을 실시하였다. DHE 염색은 어두운 습식 상자 내에서 1 μM DHE (in PBS; pH 7.4) 용액에 30분간 반응시키고, 탈수 봉합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하였으며, 형광염색된 조직을 공촛점현미경 (LSM 510 META laser-scanning microscope, Carl Zeiss, Germany)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도 3A에 형광염색된 조직을 공촛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고, DHE 형광 강도 수치 결과를 도 3B의 그래프로 나타냈다. 도 3의 B에 나타낸 그래프는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한 DHE 형광염색 결과로 얻어진 DHE 형광 강도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2)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손상의 보호 효과
당뇨동물모델(DC)에 의해 생성된 NADPH Oxidase activity, 및 lipid peroxidation에 대한,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에 의한 억제 효과를 분석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알룰로스가 과산화수소(H2O2)에 의해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이 있는 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NADPH Oxidase activity kit(Biovision)을 사용하여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Lipid peroxidation은 샘플 1 mL를 8.1% sodium dodecyl sulfate 0.1 mL, 20% sodium acetate (pH 3.5)에 녹인 0.8% thiobarbituric acid (TBA) 0.5 mL와 증류수 0.15 mL와 섞고 95℃에서 1시간 가열한 다음 식히고 2.5 mL의 n-butanol/pyridine (15:1, v/v)과 0.5 mL의 증류수를 가하여 진탕한다. 이를 3,000×g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취하여 532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다.
도 4는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NADPH ox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조직 내 NADPH oxidase 활성 농도를 측정한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지질과산화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지질과산물을 함량을 측정한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뇨동물모델(DC)에 의해 생성된 superoxide anion, NADPH Oxidase activity, 및 lipid peroxidation이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4 및 도 5). 이는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이 과산화수소(H2O2)에 의해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단백질 산화의 감소 활성
DNPH 시약을 이용한 카르보닐 함량은 티올기 함량과 함께 단백질의 산화 정도 측정에 자주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DNPH 시약을 이용한 카르보닐 함량 분석은 OxyBlot Protein Oxidation Detection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DNPH 시약을 이용한 카르보닐 함량 분석 결과를 도 6에 나타냈다. 도 6은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단백질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고자 조직 내 단백질의 산화 정도를 측정한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NC)에 비해 당뇨대조군(DC)에서 단백질의 산화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을 농도 의존적으로 섭취한 군에서는 당뇨대조군(DC)에 비해 단백질의 산화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6).
시험예 3: NOX4 발현에 대한 알룰로스의 영향 평가
세포 내의 과도한 포도당 대사는 세포 또는 조직 내에서 Nox4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Nox4의 증가된 발현은 세포와 조직 내에서 과다한 활성산소 생성을 유발한다. 이때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의 생존과 사멸, redox 시스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단백질 발현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정상군과 당뇨유발군에서 알룰로스, 수크랄로스(sucralose) 및 에리쓰리톨(erythritol)을 8주간 투여한 후, 비복근을 lysis buffer (10 mM Tris-HCl, pH 7.4, 0.1 M EDTA, 10 mM NaCl, 0.5% Triton X-100, pro-tease inhibitor Cocktail)를 이용하여 4℃에서 용해시킨 후 원심분리 (14,000 rpm, 10 min, 4℃)하여 얻은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정량한 단백질은 sample buffer와 혼합하여 95℃에 5분간 가열하고, 10-12% SDS-PAGE로 분리하였다. 분리 후 SDS-PAGE를 Semi-dry transfer system을 이용하여 15 V, 60분으로 PVDF membrane에 단백질을 이동시켜 Blocking buffer (5% Skim milk in 1 X TBS-T)에 1시간 이상 반응하고, NOX4를 4℃에서 overnight 반응시킨 후 1 X TBS-T로 7분 간격으로 5번 수세하였다. secondary antibody를 실온에서 1시간 이상 반응시킨 후 1 X TBS-T로 7분 간격으로 5번 washing 하고, ECL reagent로 발색한 후 X-ray film에 현광을 감광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7에 나타냈으며, db/db 마우스에서 D-알룰로스가 NOX4 단백질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NC)에 비해 당뇨대조군(DC)에서 NOX4의 단백질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을 농도 의존적으로 섭취한 군에서는 당뇨대조군(DC)에 비해 NOX4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알룰로스의 투여로 NOX4 발현 감소는 근육 세포 내 ROS의 생성을 억제시켜 포도당 대사를 조절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시험예 4: 소포체 스트레스에 대한 알룰로스 영향 평가
제2형 당뇨병에서 관찰되는 인슐린 분비 장애는 소포체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알룰로스가 제2형당뇨에서 유발된 소포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정상군과 당뇨유발군에서 알룰로스, 수크랄로스(sucralose) 및 에리쓰리톨(erythritol)을 8주간 투여한 후, 시험예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실험동물의 비복근 시료에 대해 p-IRE1α, p-eIF2α, ATF4, GRP78, CHOP 및 IRE1α sulfonation(SO3H)의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된 결과를 도 8에 나타냈다.
도 8은 D-알룰로스가 db/db 마우스에서 소포체(ER) 스트레스와 IRE1-alpha의 비가역적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정상대조군(NC)에 비해 당뇨대조군(DC)에서 p-IRE1α, p-eIF2α, ATF4, GRP78, CHOP 및 IRE1α sulfonation(SO3H)의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을 농도 의존적으로 섭취한 군에서는 당뇨대조군(DC)에서 증가한 상기 유전자의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8의 실험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룰로스가 소포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시험예 5: AMPK-SIRT1-PGC-1α에 대한 알룰로스 영향 평가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정상대조군(NC)과 당뇨대조군(DC)에서 알룰로스, 수크랄로스(sucralose) 및 에리쓰리톨(erythritol)을 8주간 투여한 후, 시험예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실험동물의 비복근 시료에 대해 비복근에서 발현되는 p-AMPK과 SIRT1 단백질의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된 결과를 도 9에 나타냈다.
정상대조군(NC)에 비해 당뇨대조군(DC)에서 p-AMPK과 SIRT1의 단백질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을 농도 의존적으로 섭취한 군에서는 당뇨대조군(DC)에 비해 p-AMPK과 SIRT1의 단백질의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9의 A).
SIRT1의 활성화는 PGC-1α이 deacetylation되어, 근육의 glucose transport 4(GLUT4)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Insulin-responsive glucose transporter 4(GLUT4)는 인슐린 의존적 포도당 수송체로서 주로 골격근과 지방조직에 분포하며, 포도당을 세포 외부에서 세포 내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험에서 acetylated-PGC-1α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정상대조군(NC)에 비해 당뇨대조군(DC)에서 acetylated-PGC-1α이 증가하지만 알룰로스 분말형과 액상형을 농도 의존적으로 섭취한 군에서는 acetylated-PGC-1α의 발현이 감소하였다(도 9의 B 및 C). 따라서, 알룰로스가 AMPK-SIRT1-PGC-1α를 활성화시켜 에너지대사를 증진하여 인슐린 저항성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laims (14)

  1.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IRE1α, p-eIF2α, ATF4, GRP78, CHOP, IRE1-alpha 및 sulfonation(SO3H)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AMPK 및 SIRT1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 증가, 혈당 증가,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글루타민다량체 유발 응집 질환,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허혈성 질환, 심혈관질환, 고호모시스테인증 또는 동맥경화증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직 내 소포체 스트레스를 완화 또는 감소시키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슐린 저항성의 감소시키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후 혈당을 감소시키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육조직 내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혈당을 감소시키는 것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알룰로스의 하루 섭취량이 섭취 개체의 체중 60㎏ 당 10 내지 80g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룰로스는,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룰로스는, 조성물 고형분 함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4 내지 20 주 동안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분말, 캡슐, 과립, 시럽, 젤리, 바, 페이스트, 겔, 음료, 차 형태를 포함하는 조성물.
PCT/KR2021/020280 2020-12-31 2021-12-30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용 조성물 WO20221460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38926A JP2024501951A (ja) 2020-12-31 2021-12-30 小胞体ストレス減少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89953 2020-12-31
KR10-2020-0189953 2020-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6076A1 true WO2022146076A1 (ko) 2022-07-07

Family

ID=8225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20280 WO2022146076A1 (ko) 2020-12-31 2021-12-30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01951A (ko)
KR (1) KR20220097318A (ko)
WO (1) WO202214607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272A (ko) * 2016-06-28 2017-03-09 씨제이제일제당 (주) D-싸이코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272A (ko) * 2016-06-28 2017-03-09 씨제이제일제당 (주) D-싸이코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SHAG D. MOORADIAN, MICHAEL J. HAAS, LUISA ONSTEAD-HAAS, YUMA TANI, TETSUO IIDA, AND MASAAKI TOKUDA: "Naturally occurring rare sugars are free radical scavengers and can ameliorat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TERNATIONAL JOURNAL FOR VITAMIN AND NUTRITION RESEARCH, vol. 90, no. 3-4, 1 June 2020 (2020-06-01), pages 210 - 220, XP009537945, ISSN: 0300-9831, DOI: 10.1024/0300-9831/a000517 *
GHEMRAWI ROSE, BATTAGLIA-HSU SHYUE-FANG, ARNOLD CAROL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Metabolic Disorders", CELLS, vol. 7, no. 6, 1 January 2018 (2018-01-01), pages 1 - 35, XP055948151, DOI: 10.3390/cells7060063 *
LEE DAYOUN, HAN YOUNGJI, KWON EUN-YOUNG, CHOI MYUNG-SOOK: "d-allulose Ameliorates Metabolic Dysfunction in C57BL/KsJ-db/db Mice", MOLECULES, vol. 25, no. 16, 1 January 2020 (2020-01-01), pages 1 - 12, XP055948140, DOI: 10.3390/molecules25163656 *
LIU BIN, ZHANG ZHIJIAN, HU YANYUN, LU YAN, LI DUANZHUO, LIU JIE, LIAO SHENGJIE, HU MIN, WANG YUXING, ZHANG DIE, CHEN YULU, QIAN QI: "Sustained ER stress promotes hyperglycemia by increasing glucagon action through the deubiquitinating enzyme USP14",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16, no. 43, 22 October 2019 (2019-10-22), pages 21732 - 21738, XP055948144, ISSN: 0027-8424, DOI: 10.1073/pnas.19072881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1951A (ja) 2024-01-17
KR20220097318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gdanov Royal jelly, bee brood: composition, health, medicine: a review
Prasad Secoisolariciresinol diglucoside from flaxseed delays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in Zucker rat
US20140128333A1 (en)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creasing Intestinal Glucose Uptake and Inducing Incretin Release
KR20150145262A (ko) 에너지 소비의 촉진 및/또는 에너지 소비 기능 저하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또는 방법
KR20080019242A (ko) 글루코스 대사부전 치료용 약제
WO2010107170A1 (ko) 대사성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07001080A1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WO2018093237A2 (ko) 포름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WO2022146076A1 (ko) 소포체 스트레스 감소용 조성물
KR20160102638A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80019243A (ko) 비자가면역 제 2 형 진성당뇨병 및/또는 신드롬 x의치료용 화합물
KR20180000586A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1230145A1 (ja) ニコチンアミドアデニンジヌクレオチド(nad)濃度上昇剤
JP2010037221A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増強剤
KR102101662B1 (ko) 플라보노이드 8-o-글루쿠로니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0988510B1 (ko) 제 2형 당뇨의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보조 식품
JP2014185088A (ja) 経口組成物、脂肪細胞分化抑制剤および飲食品
KR101368954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성효과가 있는 조성물
KR102147894B1 (ko) 인지질 혼합물, 비타민 혼합물, 중성지질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KR20140104090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7239208B2 (ja) 経口摂取用老化関連IL-1β血中濃度上昇抑制剤の製造方法
KR20110100880A (ko)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9073476A (ja) Atp産生促進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158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38926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158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