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31417A1 -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31417A1
WO2022131417A1 PCT/KR2020/018753 KR2020018753W WO2022131417A1 WO 2022131417 A1 WO2022131417 A1 WO 2022131417A1 KR 2020018753 W KR2020018753 W KR 2020018753W WO 2022131417 A1 WO2022131417 A1 WO 20221314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gripper
sensor
us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7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초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Priority to US17/424,07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401791A1/en
Publication of WO20221314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14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8Measurement of force related parameter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mart gripper.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easily portable portable smart gripper used in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sarcopenia of the user and provides feedback for exercise method and behavi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rcopenia of the user.
  • Sarcopenia in which the amount of muscle mass, muscle strength, and muscle function are all reduced, is a musculoskeletal disease, which causes various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in addition to fall accidents, resulting in high medical expenses.
  •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in addition to fall accidents, resulting in high medical expenses.
  • sarcopenia in the case of medically vulnerable groups such as low-income seniors living alone, because they cannot afford to take care of themselves through exercise due to the hardship of living, the onset of sarcopenia accompanies various diseases, which is a social problem that worsens their financial or health status.
  • grip force the force of gripping an object with the hand.
  • Such grip strength is used as an index for evaluating the metabolic change of muscles and body muscle mass, and for evaluating the success of a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that i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user's health status. If the grip strength falls below the standard valu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disability increases and the risk of death also increases.
  •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gard,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the user's muscle strength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by interworking with a smartphone, and based on this, the user's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is possible, and the structure is It is to provide a portable smart gripper that is simple and easy to carry.
  • a portable smart gripper includes a first housing, a guide part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nd a guide part includ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a first pressing unit and a second pressing unit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and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essing unit and the first housing ,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ressing unit and the first hous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a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manipulation of the gripper,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operation of the sensor a control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the , and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and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unit.
  • the portable smart gripper may further include a plate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plate portion.
  • the first pressing part may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 the second pressing part may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through the second opening.
  • the plate part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and a first push switch and a second push switch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te part in a sliding direction of the plate part,
  • a fixing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plate portion.
  • a fix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guide part.
  • the fixing protrusion receiving part may include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and having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opening.
  • the fix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opening, and the plate part slides by pressing the first or second push switch of the plate part ,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opening, and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locked to each other.
  • a charging terminal accommodating part protruding toward the first housing may be formed on the guide part, and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may be ex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harging terminal accommodating part.
  • An opening for accommodating the charging terminal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plate part.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may be a spring.
  • the sensor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spring as a photo sensor.
  • a sensor recognition par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pressing part.
  • the senor may include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s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come close to each other by the user's gripper manipulatio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sequentially recognize the user's gripper manipulation, so that only the first sensor is recognized;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user has operated the gripper with a weak grip force and both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recognized,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user has operated the gripper with a strong grip force.
  • the senor is a Hall sensor for measuring magnetic force
  • a magnet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pressing part.
  • the hall sensor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thereby recognizing the user's manipulation and strength of the gripper.
  • the senor may be a push button switch including a switch button.
  • the pressing part guide connected to the first pressing part may press the switch button to recognize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gripper.
  • control circuit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vibration motor.
  •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measurement data detec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gripper or the data calculated therefrom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smartphone or network, and provides feedback for exercise method and behavi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degree of sarcopenia. The user can be notified by the vibration intensity and frequency of the motor.
  • the smart gripper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implemented at a low cost, and is easy to carry, and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feedback for exercise method and behavi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rcopenia of the user can be used for
  •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compressed These are locked to each other, so it can be easily carried in a small space such as a pocket.
  • a sliding type plat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protrusion receiving part are formed even if an elastic member having a strong elastic force is used, the locking is possible.
  •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transmits the user's various muscle strength-related data measured through the portable smart gripper to an external server, etc., and provides feedback for exercise method and behavi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arcopenia degree. have.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when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 1 is expanded and compressed.
  • FIG. 3 (a), (b) and (c) ar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when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 1 is expanded, compressed, and locked in a portable mode.
  • FIG. 4 (a) and (b) ar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when the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and compressed.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a), (b) and (c) are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to third switch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 5 .
  • FIG.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when the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and compressed.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when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 1 is expanded and compressed.
  • 3 (a), (b) and (c) ar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when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 1 is expanded, compressed, and locked in a portable mode.
  • the portable smart gripper includes a first housing 100 , a guide part 150 , a first elastic member SP1 , a second elastic member SP2 , a second housing 200 , It may include a plate part 250 , a control circuit part CP, a sensor CS, and a battery part BP.
  • the first housing 100 may accommodate the control circuit unit CP, the sensor CS, and the battery unit BP. Electronic equipment constituting the portable smart gripp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100 .
  • the first housing 100 may have an elliptical boat shape having a long direction in a first direction D1 and a single direction in a second direction D2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1 .
  • the guide part 15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00 .
  • the guide part 150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152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52 .
  • the guide part 150 may cover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00 that is opened in a third direction D3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5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to accommodate the first elastic member SP1 therein.
  •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54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to accommodate the second elastic member SP2 therein.
  • a charging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56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guide part 150 .
  • the charging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56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guide part 15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00 , that is, in the third direction D3 , and charges the battery BP on the side surface.
  • the charging terminal PW for this may be exposed.
  • the charging terminal PW may be a USC-C port or the like,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PW to charge the battery BP.
  • the charging terminal (PW) and the charging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56 are the plate part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portable smart gripper is compressed and the first housing 1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come close to each other. Since it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200 through the first opening OP1 of 250 ,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even if a separate waterproof and dustproof design or parts are not used for the charging terminal (PW), a waterproof design of a living waterproof level is possible in the portable mode in which the portable smart gripper is compressed and locked. (See Fig. 3 (C))
  • a fixing protrusion 158 may be formed on the guide part 150 .
  • the fixing protrusion 158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guide part 15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00 , that is, in the third direction D3 , and is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guide part 150 . and a hea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extension portion.
  • the first elastic member SP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essing part 210 and the first housing 1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elastic member SP1 may be a spring.
  • the portable smart gripper can have a desired degree of elasticity.
  • the second elastic member SP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ressing part 220 and the first housing 1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elastic member SP1 may be a spring.
  • the second elastic member SP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lastic member SP1 .
  • the second housing 200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housing 100 .
  • the second housing 200 may have an elliptical boat shape having a long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a single direction in the second direction D2 . That is, the second housing 200 may have an overall symmetrical shape with the first housing 100 .
  • the first pressing part 210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220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52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200 .
  • a first pressing part guide part 212 may be formed in the first pressing part 210 so that the first pressing part 210 is slidabl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art 152.
  • a second pressing part guide part 222 is formed in the second pressing part 220 to allow the second pressing part 220 to be slidabl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part 154.
  • a sensor recognition unit 214 may be formed in the first pressing unit 210 .
  • the sensor recognition unit 21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ird direction D3 at the end of the first pressing unit 21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ird direction D3. .
  • the plate part 25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200 .
  • a first opening OP1 and a second opening OP2 may be formed in the plate part 250 .
  • the first pressing part 210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200 through the first opening OP1
  • the second pressing part 220 passes through the second opening OP2 . It may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200 .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54 are connected to the plate part 250 .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opening OP1 and the second opening OP2 of
  • a first push switch 262 and a second push switch 264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te part 250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plate part 250 ,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D1 . .
  • a fixing protrusion receiving part 250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plate part 250 .
  • the fixing protrusion receiving part 25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252a and a second opening 252b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252a an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 252a.
  • the fixing protrusion 158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opening 252a, and the plate part 250 .
  • the plate part 250 is slid by pressing the first push switch 262 of The housing 200 may be lock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portable smart gripper can be easily carried by occupying only a small volume when not in use.
  • the portable smart gripper is used again, if the fixing protrusion 158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opening 252b by pressing the second push switch 264,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and the portable smart gripper is released. Can be used again. (refer to (a) to (c) of FIG. 3)
  • an opening is formed in the plate part 250 to accommodate the charging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56 , and the first housing 1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come close to each other by a user's manipulation of a gripper. If it is, the charging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56 may b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of the plate part 250 .
  • the opening has a shape in which the first opening OP1 is extended.
  • the sensor CS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housing 100 to detect a user's manipulation of the gripper.
  • the sensor CS is a photo sensor that detects light or other electromagnetic waves and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elastic member SP1.
  • the sensor recognition unit 214 passes through the spring elastic member SP1 and the photo sensor. ,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gripper through the photo sensor.
  • the sensor CS is a Hall sensor, and a magnet is attached to the first pressing unit 210 instead of the sensor recognition unit 214, and as the Hall sensor recognizes the proximity of the magnet, ,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gripper.
  • the Hall sensor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 magnetic field using the Hall effect in which a voltag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rrent and the magnetic field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a conductor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Since the hall sensor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gripper and the strength of manipulating the gripper.
  • the control circuit unit CP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nsor.
  • the battery unit BP may supply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unit CP.
  • the control circuit unit CP may be located in the first housing 100 , and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sensor CS to measure a user's grip strength. In order to measure the grip strength, the control circuit unit CP may count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manipulates the gripper, measure an interval that is the user's gripper operation interval, or measure a holding time during which the gripper operation is maintained.
  • the control circuit unit CP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measured data or data calculated therefrom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smartphone (not shown) or a network (not shown). can In addition, the control circuit unit CP may further include a GPS module (not shown) for measuring the user's location.
  • control circuit unit (CP) us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CS), may count the number of times of the grip exercise. Also, the control circuit unit CP may measure a period or an interval interval between a peak and an adjacent peak based on the interval between the peaks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CS. Also, the control circuit unit CP may measure a time for which the user, sensed by the sensor CS, maintains a compress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gripper.
  • the grip force data measured during the user's grip force exercis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grip force exercise, interval information, and holding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the total exercise time, the degree of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used, and the like.
  • the grip force data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by the communicat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external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sarcopenia based on the grip force data, and may provide a feedback thereto to the user.
  • the control circuit unit CP may include a vibration motor, a speaker, and the like, and may provide feedback to the user with necessary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grip strength exercise of an appropriate intensity is completed, the user may be notified of the end of the grip strength exercise using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or when the grip strength of the appropriate strength is maintained, to notify the user of the success of the grip strength exercis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can be used to announce the success of the grip exercise.
  • the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sarcopenia and provides feedback for exercise method and behavi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degree of sarcopenia.
  • the portable smart gripper transmits the measured user's muscle strength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based on the muscle strength dat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stomized exercise program according to the user's strength level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furthermore, Monitoring is possible,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duce behavioral correction of the user's lifestyle.
  • the portable smart gripper further includes a display-type status display unit, a switch for turning on/off power, or the like, or a wake-up algorithm may be applied. For example,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released by the user's manipulation and the user's manipulation is not detect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it may be set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 FIG. 4 (a) and (b) ar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when the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and compressed.
  • the portable smart gripper except for including a first sensor (CS1), a second sensor (CS2) and a third sensor (CS3) instead of one sensor,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S. 1 to 3 . Therefor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first sensor CS1 , the second sensor CS2 , and the third sensor CS3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housing 100 and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D3 . Accordingly, as the sensor recognition unit 214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D3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gripper, the first sensor CS1 , the second sensor CS2 , and the third It passes through the sensor CS3 in sequence, and through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first to third sensors CS1 , CS2 , and CS3 , not only the number of times the gripper is operated, but also the strength of the grip force may be measured.
  • three sensors arranged in sequence are used, but it is sufficient to apply two or more sensors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grip force of the gripper operation, and an appropriate number of sensors may be applied as necessary.
  •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sequentially operated by the user's gripper manipulation
  • the gripper with a weak grip force it is recognized that the user has operated the gripper with a weak grip force
  • both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recognized, the user operates the gripper with a strong grip force can be recognized as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a), (b) and (c) are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to third switch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 5 .
  • the portable smart gripper is a push button switch in which the sensors CS1, CS2, and CS3 include switch buttons SW1, SW2, and SW3, and a first receiving part (see 152 in FIG. 1). It is installed inside the, an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 4 , except that the first pressing part guide part 212 of the first pressing part 210 serves as a sensor recognition part. Therefor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pressing part guide part 212 connected to the first pressing part 210 moves the switch button SW1, By pressing SW2 and SW3) in sequence,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gripper can be recognized.
  • the three sensors CS1, CS2, and CS3 are applied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grip force as well as the number of times the gripper is manipulated like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 4, but only two sensors are used or , or, like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S. 1 to 3,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only the number of gripper manipulations using only one sensor.
  • FIG.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when the portable smart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and compressed.
  • the portable smart gripper has two fixing protrusions 158a and 158b formed therein, and a charging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5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art 152 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154 .
  • the first housing 1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ortable smart gripper of FIGS. 1 to 3, except that the overall shape is a bar shape. Therefor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portable smart gripper has a first housing, a guide part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 guide part includ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fac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 a second housing having a first pressing part and a second pressing par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respectively,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essing part and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and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 sensor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for detecting a user's gripping force operation, a control circuit unit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nsor; and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and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unit.
  • the smart gripper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implemented at a low cost, and is easy to carry, so it can be used in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feedback for exercise method and behavi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rcopenia of the user.
  •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compressed These are locked to each other, so it can be easily carried in a small space such as a pocket.
  • a sliding type plat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protrusion receiving part are formed even if an elastic member having a strong elastic force is used, the locking is possible.
  •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transmits the user's various muscle strength-related data measured through the portable smart gripper to an external server, etc., and provides feedback for exercise method and behavi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arcopenia degree. ha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고,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제1 하우징과 마주보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는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2 가압부와 상기 제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를 판별하고,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도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손쉽게 휴대가능한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
근육의 양, 근력, 근 기능이 모두 감소하는 근감소증은 근골격계 질환으로서, 낙상사고 이외에 다양한 심혈관계 및 대사질환을 야기하여 많은 진료비를 야기한다. 특히 저소득 독거노인 등 의료취약계층의 경우, 생활고로 인하여 운동 등으로 자기 몸을 돌 볼 여유가 없기 때문에, 근감소증 발병은 다양한 질병을 동반하여 이들의 재정 또는 건강상태를 악화시키는 사회적인 문제가 있다.
한편, 근력에 있어서, 손으로 물건을 쥐는 힘을 악력이라고 한다. 이러한 악력은 근육의 신진대사 변화와 신체 근육량을 평가하고, 재활치료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지표, 즉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다. 악력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장애 발생확률이 높아지고 더 나아가 사망 위험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는 반드시 악력을 꾸준히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운동을 위한 기구로서 다양한 형태의 악력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악력기의 휴대성을 고려한 작은 형태의 악력기가 시중에 보급되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악력기는 악력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추가되어 있지 않은 한계가 있다.
이에, 악력을 측정하는 기능 또는 악력 측정 관련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기가 결합된 다양한 형태의 악력기나 이를 활용한 시스템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휴대성이 떨어지는 형태의 종래 일반적인 악력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연동 가능하여 사용자의 근력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통합 건강관리가 가능하면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고,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제1 하우징과 마주보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는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2 가압부와 상기 제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하우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하우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끝에는 제1 푸쉬 스위치와 제2 푸쉬 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고정돌기 수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 수용부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제1 개구부에 수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제1 또는 제2 푸쉬 스위치를 눌러 상기 플레이트부를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제2 개구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락킹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제1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는 충전단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단자 수용부의 측면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충전단자 수용부가 수용되기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충전단자 수용부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개구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재는 각각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포토 센서로 상기 스프링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에는 센서 인식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센서 인식부가 상기 스프링 및 상기 포토 센서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함에 따라,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가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인식하여, 상기 제1 센서만 인식된 경우, 사용자가 약한 악력으로 악력기를 조작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가 모두 인식된 경우, 사용자가 강한 악력으로 악력기를 조작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자력을 측정하는 홀센서이고, 상기 제1 가압부에는 자석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함에 따라, 상기 홀센서가 상기 자석의 자력을 센싱하여,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 및 세기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스위치 버튼을 포함하는 푸쉬버튼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함에 따라, 상기 제1 가압부에 연결된 가압부 가이드부가 상기 스위치 버튼을 눌러,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한 측정 데이터나, 이로부터 계산된 데이터를 스마트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동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상기 진동 모터의 진동 세기 및 횟수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악력기는 구조가 단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면서도, 휴대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도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근감소증 취약 계층인 고령자의 경우, 스마트 기기 등의 휴대가 습관화되어 있지 않아, 악력기의 휴대가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경우,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락킹되어, 주머니 등의 작은 공간에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다. 특히, 고정돌기와 고정돌기 수용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방식의 플레이트부를 적용함으로써, 탄성력이 강한 탄성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견고하게 락킹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압축시켜 락킹하는 휴대 모드에서는, 별도의 방수, 방진을 위한 부품 및 설계 없이도, 간단히 생활방수 수준의 방수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다양한 근력 관련 데이터를 외부 서버 등으로 송신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도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가 확장되었을 때와 압축되었을 때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 (b) 및 (c)는 도 1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가 확장되었을 때, 압축되었을 때 및 휴대용 모드로 잠겼을 때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가 확장되었을 때, 압축되었을 때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의 (a), (b) 및 (c)는 도 5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압축 정도에 따른 제1 내지 제3 스위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가 확장되었을 때와 압축되었을 때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가 확장되었을 때와 압축되었을 때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 (b) 및 (c)는 도 1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가 확장되었을 때, 압축되었을 때 및 휴대용 모드로 잠겼을 때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제1 하우징(100), 가이드부(150), 제1 탄성부재(SP1), 제2 탄성부재(SP2), 제2 하우징(200), 플레이트부(250), 제어 회로부(CP), 센서(CS) 및 배터리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제어 회로부(CP), 상기 센서(CS) 및 상기 배터리부(BP)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에는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구성하는 전자 장비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제1 방향(D1)으로 장방향을 갖고,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단방향을 갖는 타원형 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제1 하우징(10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제1 수용부(152)와 제2 수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과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개방된 상기 제1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용부(152)는 내부에 상기 제1 탄성부재(SP1)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부(154)는 내부에 상기 제2 탄성부재(SP2)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에는 충전단자 수용부(15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단자 수용부(156)는 상기 가이드부(150) 상에 상기 제1 하우징(100) 방향, 즉, 상기 제3 방향(D3)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배터리(BP)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PW)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충전단자(PW)는 USC-C 포트 등 일 수 있으며, 상기 충전단자(PW)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BP)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충전단자(PW) 및 상기 충전단자 수용부(156)는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가 압축되어,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서로 근접하였을 때, 후술할 상기 플레이트부(250)의 제1 개구(OP1)을 통해 상기 제2 하우징(200) 내에 수용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PW)에 대해 별도의 방수, 방진을 위한 설계나 부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압축시켜 락킹하는 휴대 모드에서는 생활방수 수준의 방수 설계가 가능하다. (도 3의 (C)참조)
상기 가이드부(150)에는 고정돌기(15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8)는 상기 가이드부(150) 상에 상기 제1 하우징(100) 방향, 즉, 상기 제3 방향(D3)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5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폭보다 큰 폭의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SP1)는 후술할 제1 가압부(210)와 상기 제1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SP1)는 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원하는 정도의 탄성 정도를 갖는 스프링을 교체 적용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가 원하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SP2)는 후술할 제2 가압부(220)와 상기 제1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SP1)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SP2)는 상기 제1 탄성부재(SP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1 하우징(100)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장방향을 갖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단방향을 갖는 타원형 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전체적으로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에는 상기 제1 수용부(152)와 상기 제2 수용부(152에 각각 수용되는 상기 제1 가압부(210)와 상기 제2 가압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210)에는 제1 가압부 가이드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압부(210)가 상기 제1 수용부(152)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부(220)에는 제2 가압부 가이드부(222)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압부(220)가 상기 제2 수용부(154)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210)에는 센서 인식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인식부(214)는 상기 제1 가압부(210)의 상기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의 끝단에 상기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250)는 상기 제2 하우징(2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250)에는 제1 개구(OP1) 및 제2 개구(OP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압부(210)는 상기 제1 개구(OP1)를 통해 상기 제2 하우징 방향(200)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압부(220)는 상기 제2 개구(OP2)를 통해 상기 제2 하우징 방향(200)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제1 수용부(152) 및 상기 제2 수용부(154)가 상기 플레이트부(250)의 상기 제1 개구(OP1) 및 상기 제2 개구(OP2)에 수용된다.
상기 플레이트부(250)가 슬라이딩되는 방향, 즉, 상기 제1 방향(D1)의 상기 플레이트부(250)의 양끝에는 제1 푸쉬 스위치(262)와 제2 푸쉬 스위치(2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250)에는 고정돌기 수용부(2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 수용부(250)는 제1 개구부(252a)와 상기 제1 개구부(252a)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개구부(252a)의 폭보다 작은 제2 개구부(2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고정돌기(158)가 상기 제1 개구부(252a)에 수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250)의 상기 제1 푸쉬 스위치(262)를 눌러 상기 플레이트부(250)를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고정돌기(158)가 상기 제2 개구부(252b)에 수용되며,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서로 락킹(lock)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사용하지 않을 때 작은 부피만을 차지하여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다시 사용할 때에는, 상기 제2 푸쉬 스위치(264)를 눌러, 상기 고정돌기(158)를 상기 제2 개구부(252b)로부터 이탈시키면, 락킹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c) 참조)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250)에는 상기 충전단자 수용부(156)가 수용되기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충전단자 수용부(156)가 상기 플레이트부(250)의 상기 개구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개구(OP1)가 연장된 형태를 갖고 있다.
상기 센서(CS)는 상기 제1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CS)는 빛이나 기타 전자기파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로 상기 제1 탄성부재(SP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센서 인식부(214)가 스프링인 상기 탄성부재(SP1) 및 상기 포토 센서를 통과하게 되어, 상기 포토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CS)는 홀센서이고, 상기 제1 가압부(210)에는 상기 센서 인식부(214) 대신 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자석의 근접을 상기 홀센서가 인식함에 따라,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홀센서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류와 자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홀센서가 상기 자석의 자력을 센싱하므로,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 및 악력기를 조작하는 세기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상기 센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BP) 상기 제어 회로부(CP)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상기 제1 하우징(100) 내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CS)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악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거나,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 간격인 인터벌을 측정하거나, 악력기 조작을 유지하는 홀딩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된 데이터나, 이로부터 계산된 데이터를 스마트폰(미도시) 또는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모듈(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상기 센서(CS)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악력 운동의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상기 센서(CS)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피크의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 또는 피크와 인접하는 피크 사이의 인터벌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상기 센서(CS)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가 악력기에 대해 압축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악력 운동시 측정되는 악력 데이터는 악력 운동 횟수 정보, 인터벌 정보 및 홀딩 유지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전체 운동 시간, 사용된 탄성 부재의 탄성 정도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악력 데이터는 후술하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는 상기 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진동 모터, 스피커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피드백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정강도의 악력 운동을 마친 경우, 사용자에게 진동 모터의 진동을 이용하여 악력 운동의 종료를 알릴 수 있으며, 또는 적정 강도의 악력이 유지된 경우, 악력 운동의 성공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진동 모터의 진동을 이용하여 악력 운동의 성공을 알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근감소증 정도를 판별하고,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도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측정한 사용자의 근력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근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력 정도에 따른 맞춤 운동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 가능하고, 나아가 근감소증 질환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의 생활 습관의 행동 교정을 유도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디슾플레이 형태의 상태 표시부,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 등을 더 포함하거나, 웨이크-업(wake-up)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절전 모드가 해제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자의 조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절전 모드에 돌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가 확장되었을 때, 압축되었을 때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하나의 센서 대신 제1 센서(CS1), 제2 센서(CS2) 및 제3 센서(CS3)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3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센서(CS1), 상기 제2 센서(CS2) 및 제3 센서(CS3)는 제1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며, 제3 방향(D3)의 반대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센서 인식부(214)가 상기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센서(CS1), 상기 제2 센서(CS2) 및 상기 제3 센서(CS3)를 차례로 통과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CS1, CS2, CS3)의 감지 신호를 통해, 악력기 조작 횟수 뿐만 아니라, 악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례로 배치되는 세개의 센서를 이용하고 있으나, 악력기 조작의 악력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두개 이상의 센서를 적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센서가 적용된 경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함에 따라, 제1 센서와 제2 센서가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인식하여, 상기 제1 센서만 인식된 경우, 사용자가 약한 악력으로 악력기를 조작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가 모두 인식된 경우, 사용자가 강한 악력으로 악력기를 조작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의 (a), (b) 및 (c)는 도 5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압축 정도에 따른 제1 내지 제3 스위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센서(CS1, CS2, CS3)가 스위치 버튼(SW1, SW2, SW3)을 포함하는 푸쉬버튼 스위치이고, 제1 수용부(도 1의 152 참조)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 가압부(210)의 제1 가압부 가이드부(212)가 센서 인식부 역할을 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4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함에 따라, 상기 제1 가압부(210)에 연결된 상기 가압부 가이드부(212)가 상기 스위치 버튼(SW1, SW2, SW3)을 차례로 눌러,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CS1, CS2, CS3)가 세개 적용되어, 도 4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와 같이 악력기 조작 횟수 뿐만 아니라, 악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두개의 센서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 1 내지 3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와 같이, 하나의 센서만을 이용하여 악력기 조작 횟수만을 측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가 확장되었을 때와 압축되었을 때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고정돌기(158a, 158b)가 두개 형성된 점, 충전단자 수용부(156)가 제1 수용부(152)와 제2 수용부(154) 사이에 형성된 점과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전체적인 형태가 바(bar) 형상인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3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고,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제1 하우징과 마주보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는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2 가압부와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악력기는 구조가 단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면서도, 휴대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도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근감소증 취약 계층인 고령자의 경우, 스마트 기기 등의 휴대가 습관화되어 있지 않아, 악력기의 휴대가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경우,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락킹되어, 주머니 등의 작은 공간에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다. 특히, 고정돌기와 고정돌기 수용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방식의 플레이트부를 적용함으로써, 탄성력이 강한 탄성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견고하게 락킹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압축시켜 락킹하는 휴대 모드에서는, 별도의 방수, 방진을 위한 부품 및 설계 없이도, 간단히 생활방수 수준의 방수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다양한 근력 관련 데이터를 외부 서버 등으로 송신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도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고,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제1 하우징과 마주보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는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2 가압부와 상기 제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하우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하우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끝에는 제1 푸쉬 스위치와 제2 푸쉬 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고정돌기 수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 수용부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제1 개구부에 수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제1 또는 제2 푸쉬 스위치를 눌러 상기 플레이트부를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제2 개구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락킹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제1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는 충전단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단자 수용부의 측면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노출되며,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충전단자 수용부가 수용되기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충전단자 수용부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개구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재는 각각 스프링이고,
    상기 센서는 포토 센서로 상기 스프링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가압부에는 센서 인식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하면, 상기 센서 인식부가 상기 스프링 및 상기 포토 센서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함에 따라,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가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인식하여, 상기 제1 센서만 인식된 경우, 사용자가 약한 악력으로 악력기를 조작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가 모두 인식된 경우, 사용자가 강한 악력으로 악력기를 조작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자력을 측정하는 홀센서이고,
    상기 제1 가압부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함에 따라, 상기 홀센서가 상기 자석의 자력을 센싱하여,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 및 세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스위치 버튼을 포함하는 푸쉬버튼 스위치이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의해 서로 근접함에 따라, 상기 제1 가압부에 연결된 가압부 가이드부가 상기 스위치 버튼을 눌러,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한 측정 데이터나, 이로부터 계산된 데이터를 스마트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동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상기 진동 모터의 진동 세기 및 횟수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PCT/KR2020/018753 2020-12-18 2020-12-21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WO202213141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24,072 US20220401791A1 (en) 2020-12-18 2020-12-21 Portable smart hand gr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397A KR102264907B1 (ko) 2020-12-18 2020-12-18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KR10-2020-0178397 2020-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417A1 true WO2022131417A1 (ko) 2022-06-23

Family

ID=7641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753 WO2022131417A1 (ko) 2020-12-18 2020-12-21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401791A1 (ko)
KR (1) KR102264907B1 (ko)
WO (1) WO202213141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427U (ko) * 1989-11-29 1991-06-27 재이손산업 주식회사 투명합성수지제에 의한 곤충채집기구
CN207126065U (zh) * 2017-08-22 2018-03-23 江苏鑫鼎瑞运动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用途握力器
KR20180102779A (ko) * 2017-03-08 2018-09-18 김영선 악력계 제어시스템
KR101974902B1 (ko) * 2017-11-29 2019-05-03 권기범 스마트 운동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CN209828129U (zh) * 2019-04-18 2019-12-24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一种握力训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427Y1 (ko) * 1987-12-15 1991-10-18 김학제 지압악력기
KR20120005203U (ko) * 2011-01-07 2012-07-17 박달원 음계 발생장치를 구비한 손가락 악력 단련기
US9005084B2 (en) * 2012-01-26 2015-04-14 Cognatus Innovations Llc Apparatus and systems for finger exercise
KR101683394B1 (ko) 2015-09-07 2016-12-07 김상웅 근력운동 및 재활치료를 위한 완력장치
KR101792216B1 (ko) * 2016-11-24 2017-11-06 주식회사 펀키 웨이트 운동 기구
KR102108655B1 (ko) 2018-12-03 2020-05-07 고유미 Vr 컨트롤러 기능이 구비된 악력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427U (ko) * 1989-11-29 1991-06-27 재이손산업 주식회사 투명합성수지제에 의한 곤충채집기구
KR20180102779A (ko) * 2017-03-08 2018-09-18 김영선 악력계 제어시스템
CN207126065U (zh) * 2017-08-22 2018-03-23 江苏鑫鼎瑞运动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用途握力器
KR101974902B1 (ko) * 2017-11-29 2019-05-03 권기범 스마트 운동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CN209828129U (zh) * 2019-04-18 2019-12-24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一种握力训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907B1 (ko) 2021-06-14
US20220401791A1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5550A1 (ko) 반지형 웨어러블 기기
WO2021020687A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조립 방법
WO2011159090A2 (ko) 모바일 기기용 타블렛 케이스
EP394848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WO2021033862A1 (ko)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84780A1 (ko) 진동퍼프
WO2015093748A1 (ko)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WO2014171751A1 (ko) 지문센서를 갖는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WO2015111983A1 (ko) 방사선 화상 검출기 및 방사선 화상 검출기용 하우징
WO2021096216A1 (ko)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
WO2022124551A1 (ko)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WO2022131417A1 (ko)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WO2012026781A2 (ko) 바이오센서 측정기기
WO2017078502A1 (ko) 차폐 구조를 갖는 비접촉식 기저귀용 배변 감지 장치
WO2017003074A1 (ko) 브레이크램프 및 방향램프 기능과 헬스케어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그립
WO2020032708A1 (ko) 배터리를 충전하는 디지털 펜 및 그 동작 방법
EP398775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or
WO2021101022A1 (ko) 연속혈당측정용 신체 부착 장치
WO2014010882A1 (ko) 휴대형 기기용 전원공급장치
WO2012141437A2 (ko) 의료 정보 측정 장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의료 정보 측정 방법
WO2018105855A1 (ko) Fpcb 기반의 압력센서를 이용한 자세 제어 및 교정 관한 iot 시스템
WO2014084528A1 (ko) 사용자 인식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사용시스템
WO2020040328A1 (ko)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WO2022015029A1 (ko) 차량용 제어 장치
WO2022019592A1 (ko)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전자 장치의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660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0/10/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