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779A - 악력계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악력계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779A
KR20180102779A KR1020170029349A KR20170029349A KR20180102779A KR 20180102779 A KR20180102779 A KR 20180102779A KR 1020170029349 A KR1020170029349 A KR 1020170029349A KR 20170029349 A KR20170029349 A KR 20170029349A KR 20180102779 A KR20180102779 A KR 20180102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rip
elastic
handle
dynamo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102017002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2779A/ko
Publication of KR2018010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5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the fingers, e.g. by monitoring hand-grip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61Strain gau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력운동, 악력측정, 체질진단이 가능한 악력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사용자가 악력운동을 위한 악력기로 사용하게 하기 위해, 악력기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악력을 측정하기 위한 악력센서가 구비된다.
다섯손가락의 오행성을 이용하여, 악력계 손잡이 손가락 접촉부위에 장부의 허실을 보사할 수 있는 생체반응자극물질을 배치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 하여, 생체반응자극물질 배열에 따른 악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체질을 진단하고, 진단결과에 따른 체질에 따라 배열을 설정하여 악력운동을 통해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악력계 제어시스템{Dynamometer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은 손으로 물건을 쥐는 힘인 악력을 키우기 위한 운동기구 기능과, 악력운동을 하면서 실시간 악력을 측정하여 저장관리 하기 위한 악력계 기능을 포함하여, 손잡이의 손가락 접촉면에 장부의 허실을 보하거나 사하는 생체반응자극물질을 배치하여 체질진단과 동시에 체질에 따른 장부의 자극을 통해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로서의 악력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력의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배근력과 악력을 재면 된다. 체력은 근육활동이 요구하는 일을 만족스럽게 할 수 있는 능력(WHO)인데 이는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근력, 체지방량, 유연성으로 구성된다. 악력은 신체 근력의 축소판으로 인지기능, 심혈관질환, 골절 같은 질병과도 밀접하다.
악력은 나이, 비만도, 생활습관 등의 각종 건강관련 지표와 분명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특히 악력은 갑상선기능저하증, 다운증후군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각종 근력 저하증의 진단시 핵심적인 평가기준이 된다. 또한, 한의학에서는 병증을 진단하거나 한약을 처방하기 위해서 오링테스트를 통해 체질을 진단하는 방법도 결국은 악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처럼, 악력은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최근의 악력측정기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특허 10-1313214에서는 정확한 파지에 의한 진성동작에 의한 악력측정 결과만을 표시하는 악력측정 장치 기술이 공지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치료법 및 약재 처방을 위해서 사람의 성격, 체형, 골격 등의 외형과 맥진 등을 통해서 사상체질을 진단하여 왔으나, 한의사 경험에 의존하여 진단에 대한 객관적 지표가 떨어져, 이를 IT기술을 활용하여 정량화된 출력변수와 접목하여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체질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관련 공지된 기술로는, 피사체의 3D 영상으로 부터 체질을 진단하는 “사상체질 자동진단기”(대한민국 특허 10-2009-0101557)와 맥진센서를 사용하여 대맥 및 세맥을 진단하여 체질을 판별하는 “대맥 및 세맥 진단시스템”(대한민국 특허 10-2008-0084003), 음성 분석을 통해 사상체질을 구분하는 “음성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 방법”(대한민국 특허 10-0926771), “피부 특징에 기반하여 체질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대한민국 특허 10-2013-0024515), 사람의 얼굴, 체형, 설문, 음성 등, “통합정보를 이용한 체질판단방법”(대한민국 특허 10-2012-0034475), 진단 대상의 맥동을 검지하기 위해 매트릭스 형상의 복수의 센서 셀을 활용하여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맥동을 검지하는 “진단장치, 진단 방법 및 기록 매체”(대한민국 특허 10-2015-0140787) 등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악력계 관련 공지기술들은 정확한 악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초점이 있고, 체질진단과 관련된 공지기술들은 개인이 일상에서 건강관리를 위해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기술들 이다.
일반적으로 악력기는 탄성력의 세기를 변경하는 불가능하다. 탄성력의 세기를 변경할 수 있는 악력기의 경우는 탄성력 세기 조정범위가 넓지 않아 고강도 악력기가 필요한 운동선수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일반적인 악력계는 악력은 측정할 수 있지만 동시에 운동기기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탄성력의 세기 조정범위가 넓어 다양한 사용자층이 악력기로 운동하면서 악력의 변화치를 실시간 측정해서 저장하여 알려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악력측정치를 통해서 개인의 건강상태를 알려줌과 동시에 개인의 체질을 판단할 수 있어 체질에 따른 병증치료, 약재처방, 운동처방등의 개인 헬스케어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사용자층이 사용할 수 있도록, 탄성력 세기 조정범위가 넓은 악력기를 위해 탄성부재로 2개이상의 판형스프링을 사용하고, 탄성부재의 변위를 쉽게 하여 탄성력 세기를 쉽게 조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탄성부재에 센서를 부착하고, 센서로 부터 데이터를 읽어 악력을 계산하여 전송, 표시할 수 있는 전자회로 시스템을 제공한다.
체질진단에 있어서는, 기존에는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등 사상체질을 측정하는 수단에 대한 다양한 기술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악력계 손잡이를 손가락 별로 분리하여 회전하도록 하고, 분리된 손잡이에서의 손가락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고정판을 설치하고, 손잡이 부분에 생체반응자극을 줄 수 있는 물질을 배치하여, 손가락 접촉 부위의 생체반응자극 물질에 따라 악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체질을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였고 체질도 사상체질에서 더 세분화된 8상체질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신의 체질을 알고 난 다음 부터는 자신의 체질에 맞도록 각 손가락 접촉부위에 생체반응자극물질 조합에 따른 장부의 허실도 보사 할 수 있도록 금, 은, 자석에 의한 보사 방법 및 수단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평소 악력운동을 통해 악력을 단련함과 동시에 장부의 허실을 관리하여 건강관리를 할 수 있고, 악력데이터로 부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지표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은 다양한 사용자가 악력운동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운동을 하는 동안 실시간 악력측정데이터가 수집되어 사용자에게 건강지표로 사용될 수 있고, 손잡이에 배치된 생체반응자극물질 배열에 따른 악력측정데이터 변화량으로 부터 쉽게 자신의 체질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체질을 기반으로 장부의 허실도 동시에 생체반응자극물질 배열 조합의 보사 작용에 의해 다스릴 수 있는 헬스 케어 디바이스 이다.
도1.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정면 투시도
도2.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정면/측면 수축시 투시도
도3.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탄성조절부 구성도
도4.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손잡이 구성도
도5.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체질진단 개념도
도6.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자석에 의한 손가락자극 방법 구성예
도7.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손잡이 부분 보사법 구현예
도8.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회로구성도
도9.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작동 흐름도
도1은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정면 투시도 이다.
도1 (a)는 탄성조절부(110)의 탄성부재(107)의 변위가 가장 탄성세기가 강한 부위에 위치한 도면이고, 도1 (b)는 반대로 탄성세기가 가장 약한 부위에 위치한 도면이다.
탄성조절부 회전축(105)이 고정축(103)에 형성되어 있고, 그 고정축(103)에 고정축손잡이(140)가 연결되어 있다. 고정축(103)은 두부몸체(101)와 일체화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고정축(103)과 축핀(102)로 연결된 왕복운동축(104)에 왕복운동축 손잡이(130)가 연결되어 있다.
고정축손잡이(140)와 왕복운동축 손잡이(130) 최대 각도는 두부몸체(101)의 손잡이왕복홈(108)에 의해 결정된다.
탄성조절부(110)의 변위부분은 왕복운동축(104)상에 형성된다.
고정축손잡이(140)와 왕복운동축손잡이(13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07,107’)는 판스프링을 사용하여,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휘도록 두 갱의 판스프링을 겹치고, 판스프링 바깥쪽으로 센서(106, 106’)을 부착하였다. 여기의 센서(106, 106’)는 스트레인게이지를 사용할 수 있다.
위의 경우, 탄성부재(107, 107’)가 힘을 받아 휘면, 센서의 저항값이 변하고, 이 저항값을 악력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정면/측면 수축시 투시도 이다.
도2 (a)는 도1 (a)가 악력에 의해 수축되었을 때 투시도이고, 도2 (b)는 도1 (b)가 수축되었을 때 투시도 이다.
도2 (c) 는 측면도이다. 두부몸체(101) 앞면 하우징(150)내에는 전자회로를 내장하고, 뒷면 하우징(160)에는 전원부가 들어갈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탄성조절부 구성도 이다.
도3 (a)는 탄성조절부(110) 세부 구성도이고 도3 (b)는 악력에 의해 최대 수축된 상태에서 탄성조절핸들(111)에 의해 변위 변동에 의해 세기가 조절되는 예시도 이다.
탄성부재(107,107’)가 고정된 탄성조절부 회전축(105)과 왕복회전축(119) 사이에서 탄성조절핸들(111) 구동시 전달축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탄성조절부 회전축(105)과 같이 회전하는 핸들구동실린더(113)와 왕복회전축(119)의 탄성부재고정핀(117)에 연결된 탄성조절축 실린더(115);
탄성조절핸들(111)과 연결된 핸들구동축(112)과 탄성조절축(114)이 핸들구동실린더(113) 내부에 설치되고, 탄성조절축(114) 다른 한 측에 탄성조절축기어(116)가 연결되어 왕복회전측기어(120)를 돌려, 왕복회전축(119)의 레일왕복기어(118)가 탄성조절레일(121) 위를 이동하는 방법에 의해 변위조절되어 탄성력을 제어한다.
탄성조절핸들(111) 구동에 의해 탄성력 제어는 악력계(100)를 최대한 수축시켜야 탄성조절축(114)과 핸들구동축(112)이 축조인트(122)로 연결되어 제어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손잡이 구성도 이다.
도4 (a)는 왕복운동축 손잡이(130) 부분으로, 손잡이축(136)위에 손가락 접촉부위 손잡이가 2지 자극부(132), 3지 자극부(133), 4지 자극부(134), 5지 자극부(135)로 분리되어 있고, 고정판(131)과 손잡이캡(142)에 의해 조립된다.
고정판(131)은 손가락 접촉부위를 정확하게 각 손가락 자극부(141, 132~135)에 위치시키는 역할 뿐 아니라, 고정판(131)한 쪽면에 고정판홀(145)이 있어, 고정판홀(145)과 마주보는 각 자극부의 접촉면에 홀스프링(147)을 부착하여, 손가락 자극부(141, 132~135)를 회전시킬 시, 일정 힘 이상으로 돌려야 돌아가도록 해서, 악력운동시 자극부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4(b)는 고정축손잡이(140) 부분이다. 도4 (c )는 고정판(131)으로 고정판홀(145)과 중심에 축홀(146)이 있고, 축홀(146) 부분에 고정판축핀(144)이 있어 손잡이축(136)에 끼워질때 고정판(13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4 (d)는 손가락자극부 단면도이고, 도4 (c) 는 손잡이축 단면도 이다. 손잡이축(143)에는 손잡이축홀(143)이 형성되어, 고정판(131)의 고정판축핀(144)이 여기에 물려, 고정판(131)이 회전하지 않게 한다.
도4 (f)는 손잡이 부분조립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체질진단 개념도 이다.
한의학의 사상의학은 사람을 체질적 특성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하고, 그에 따라 진단 및 치료하는 체질의학이다.
사상의학은 각 체질에 따라 성격, 심리상태, 장부의 기능과 이에 따른 병리, 생리, 약리, 양생법과 음식의 성분을 다르게 분류한다.
이는 동일한 병이 있어도, 병의 원인이 다르다는 사상으로 치료도 서로 다르게 해야 하고, 약재 처방도 해당 체질형에 적합하게 해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체질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 다섯 손가락의 오행성을 응용하여 체질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동양의학에서는 손의 다섯 손가락에 오행성이 있고, 제1지는 목이고 간에 속하고, 제2지는 화가 되고 심에 속하고, 제3지는 토가 되고 비에 속하고, 제4지는 금이고 폐에 속하며, 제5지는 수이고 신에 속한다고 한다.
사상체질의 장부의 허실을 보면 (1)태양인은 간허폐실, (2)소양인은 신허비실, (3)태음인은 간실폐허, (4)소음인은 신실비허로 분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는 8상체질의학을 응용하여 도5 (b)와 같이 음의 장기인 간,심,비,폐,신에 양의 장부인 담,소장,위, 대장, 방광을 포함하여 오장오부의 상생, 상극 관계를 양방향의 상생상극을 도입하여 태양인 I,II, 태음인 I,II,
소양인 I, II, 소음인 I, II로 분류한다.
이렇게 8개의 체질로 분류하고, 각 체질별 병에 원인에 대해 보법과 사법을 적용하여 장부의 허실을 조정하여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자석에 의한 손가락자극 방법 구성예 이다.
손가락의 오행성을 이용하여 체질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 생체반응자극물질로 자석을 사용하여 장부의 허실을 보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6 (a)는 원반형자석(601)으로 손가락 접촉부위 피부(602)에 도6 (a1)와 같이 배치하면 경락흐름방향(603)과 자기장의 방향(604,N극에서 S극으로)이 일치하는데 이를 보법이라 하고, 반대로 도6 (a2)와 같이 원반형자석(601)을 배치하면, 경락흐름방향(603)과 자기장의 방향(604)이 서로 반대가 되는데 이를 사법이라고 한다. 그러나, 원반형자석(601)을 사용하면 경락흐름방향(603)과 일부는 일치하고 일부는 반대 방향이 되는 경우가 생긴다.
도6 (b1, b2)는 막대자석(610)을 사용한 경우이고, 도6 (c1,c2)은 편자형태의 자석(620)을 사용한 예이다. 이경우, 자기장(611, 621)이 경락흐름 선상에 집중되게 되어 보사 효과가 더 높다.
도7은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손잡이 부분 보사법 구현 예 이다.
도7 (a)는 손잡이 손가락 위치부분에 보하는 작용을 하는 생체반응자극물질로 금과 사하는 작용을 하는 은과 무자극, 이렇게 3등분 배치하여, 도5 (b)에서와 같이 체질별 보사법에 의거, 손가락 자극위치의 접촉면에 위 3가지 생체반응자극물질을 위치시켜 악력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어느 체질에 속하는지 알 수 있다.
도7 (b)는 보사를 위한 생체반응자극물질로 원반형자석(601)을 배치한 도면이다.
도7 (c)는 보사를 위한 생체반응자극물질로 막대자석(610)을 배치한 도면이다.
도7 (d)는 소양인 I을 위한 보사법(702,701)을 적용한 예이고, 도7 (e)는 태양인 I를 위한 보사법(702,701)을 적용한 예이다.
도7 (f)는 소음인 II을 위한 보사법(702,701)을 적용한 예 이다.
손가락 접촉면 모두를 무자극으로 설정하고 측정한 악력과 8상체질별 생체반응자극물질을 배치하고 각 악력측정 데이터를 상호 비교함으로서 가장 강한 악력이 측정되는 생체반응자극물질 배치에 해당하는 체질이 자신의 체질이 된다.
단지, 체질을 판단하는 것 뿐만 아니라, 체질을 알고 나면, 개인에게 병증이 발생하였을 때 생체반응자극물질 배열 조합형태로 손잡이 손가락 접촉면을 조정하여 악력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장부의 허실을 바로 잡아 건강을 관리 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회로구성도 이다.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시스템 회로(800)는 두부몸체(101) 앞 하우징(150)이나 뒷면 하우징(160)에 내장할 수 있다.
제어시스템 회로(8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악력센서(106, 106’)을 스트레인게이지(802)로 사용하여, 악력운동에 따른 탄성부재(107,107’)의 변형에 의해 스트레인게이지 저항값이 변하고 이 값을 브릿지회로(803)을 거쳐 증폭회로(804)에서 신호를 증폭하여 A/D컨버터(805)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바꾸어 제어연산처리부(801)에서 악력계(100)에 미치는 힘(악력)으로 산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809)에 표시하거나, 비접촉근거리 통신부(808)를 통해 사용자 휴대단말기(820)로 전송하여, 인터넷(821)을 거쳐 서비스 서버(823)를 거쳐 데이터베이스(822)로 저장하게 된다.
제어연산처리부(801)에서 악력센서(106, 106’) 부터 측정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비접촉근거리 통신부(808)를 거쳐 휴대단말기(820)에서 처리할 수 있다.
악력센서(106,106’) 데이터 뿐 아니라, 자이로/가속도센서(807) 데이터도 비접촉 근거리통신부(808)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820)으로 전송하여, 게임과 연동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작동 흐름도 이다.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은 전원(810)을 OFF한 상태에서 그냥 악력 운동기기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9는 사용자 휴대단말기(820)와 연동하여,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으로 다양한 모드(S902)에서 사용할 수 있다.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거의 전원(810)을 소모하지 않는 STOP 모드(S911) 상태로 있다.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에 힘을 가하면, 즉 악력계를 작동시키면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은 STOP모드(S911)에서 깨어난다. 이 경우,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의 비접촉 근거리통신부(808)에 NFC 기능이 탑재하면,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을 사용자
휴대단말기(820)를 터치하는 것으로 NFC에 의해 앱을 구동(S901)할 수 있다.
아니면, 먼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820)의 앱을 구동(S901)하고, 모드설정(S902)한 후에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을 STOP모드(S911)에서 깨울 수 있다.
사용자 휴대단말기(820)의 앱은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으로 부터 일정시간(ts) 동안 수신되는 신호가 없으면, 자동적으로 앱을 종료(S905) 한다.
체질진단모드(S902)나 최대악력을 측정하고자 할 때는 악력계 제어시스템(100) 손잡이가 서로 닿도록 쥔 상태에서 악력탄성도를 최대로 설정(S912) 해야 한다. 악력설정치가 최대로 설정(S913)되면, 최대악력 측정의 경우는 손잡이(130,140) 접촉면(501~502)을 모두 무자극 생체반응자극물질이 접촉되도록 설정(S914)한 후에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을 일정시간(to) 최대한의 힘으로 쥐면 최대 악력이 측정(S915)된다.
체질진단을 하는 경우, 도5의 (b) 테이블과 같이 8가지 경우에 대해서 생체반응자극물질의 보사원칙에 따라 손가락 접촉면 설정(S914)을 변경하면서 악력측정(S915)을 반복하여, 악력측정 데이터로 부터 자신의 체질을 판단할 수 있다.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을 사용하여 악력운동을 하고자 할 때는 악력설정치를 자신의 수준으로 설정(S912) 하면, 동작모드(S921)로 진입하여, 악력센서, 자이로/가속도센서 데이터 등이 사용자 휴대단말기(820)으로 자동 전송(S922)된다.
일정시간(ts) 악력계 제어시스템(100)이 동작하지 않으면(S922) STOP모드(S911)로 들어간다.
100 : 악력계 제어시스템
101 : 두부몸체
102 : 축핀
103 : 고정축
104 : 왕복운동축
105 : 탄성조절부 회전축
106,106’ : 악력센서
107,107’ : 탄성부재
108 : 손잡이 왕복홈
110 : 탄성조절부
111 : 탄성조절핸들
112 : 핸들구동축
113 : 핸들구동실린더
114 : 탄성조절축
115 : 탄성조절축 실린더
116 : 탄성조절축기어
117 : 탄성부재고정핀
118 : 레일왕복기어
119 : 왕복회전축
120 : 왕복회전축기어
121 : 탄성조절레일
122 : 축조인트
130 : 왕복운동축 손잡이
140 : 고정축 손잡이
131 : 고정판
132 : 2지 자극부
133 : 3지 자극부
134 : 4지 자극부
135 : 5지 자극부
136 : 손잡이축
140 : 고정축 손잡이
141 : 1지 자극부
142 : 손잡이캡
143 : 손잡이축홈
144 : 고정판축핀
145 : 고정판홈
146 : 축홈
147 : 홈스프링
150 : 악력계하우징 앞면
160 : 악력계하우징 뒷면
500 : 손
501 : 1지 자극위치
502 : 2지 자극위치
503 : 3지 자극위치
504 : 4지 자극위치
505 : 5지 자극위치
601 : 원반형자석
602 : 피부
603 : 경락흐름방향
604 : 자기장
611 : 막대자석
621 : 편자형자석

Claims (19)

  1. 전자식 악력계에 있어서,
    손가락 접촉부분에 생체반응자극 물질을 부착하여, 부착된 생체반응자극 물질의 조합에 의해 각 손가락과 관계 있는 장부의 허와 실에 대한 반응지표로, 악력을 측정 비교하는 단계;
    측정된 악력의 크기에 의해 체질을 진단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생체반응자극 물질조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들을 포함하여, 악력운동을 하면서 측정된 악력데이터들로 부터 건강지표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2. 청구항 1항의 생체반응자극 물질에 있어서,
    장부의 허증을 보하는 생체반응자극 물질로 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3. 정구항 1항의 생체반응자극 물질에 있어서,
    장부의 실증을 사하는 생체반응자극 물질로 은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4. 정구항 1항의 생체반응자극 물질에 있어서,
    장부의 실증을 사하는 생체반응자극 물질로 백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5. 정구항 1항의 생체반응자극 물질에 있어서,
    장부의 실증과 허증을 자석의 자기장에 의해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자석의 형태가 원반형자석 임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7.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자석의 형태가 막대자석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8.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자석의 형태가 편자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9. 청구항 1항의 악력계 제어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악력크기를 감지 하기 위한 악력센서가 부착된 탄성부재;
    탄성부재의 변위조절을 통해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
    손잡이와 탄성조절 레일이 구성되어 있는 왕복운동축;
    탄성조절부 회전축과 손잡이가 연결되어 있는 고정축;
    왕복운동축과 축핀으로 연결되어 고정축과 일체화 되어있는 두부몸체;

    악력센서로 부터의 전기신호를 처리하고 전송하는 전자회로를 포함하여 상기와 같이 제어시스템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10. 청구항 9항에 있어서,
    탄성부재에 부착된 악력센서가 스트레인게이지 임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11. 청구항 9항에 있어서,
    탄성부재가 판형스프링 임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12. 청구항 11항의 탄성부재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판평 스프링을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휘도록 겹쳐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13.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판형스프링의 바깥부분에 각자 악력센서를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14.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악력계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왕복운동축과 고정축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가 일정 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 탄성조절부의 탄성부재의 탄성조절레일 위에서의 변위가 변하지 않을 정보의 최소의 탄성으로 고정되도록 손잡이 벌어진 각도만큼의 홈을 두부몸체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15.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왕복운동축에 형성된 탄성조절레일;
    탄성부재 고정핀을 축으로 탄성조절레일 위를 움직이는 레일왕복기어와 탄성조절축의 회전을 레일왕복기어로 전달하는 탄성조절축기어로 구성된 왕복회전축;
    탄성조절부 회전축을 따라 움직이는 핸들구동실린더 내부에 탄성조절핸들 구동축과 탄성조절축이 만나면 탄성조절핸들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의 변위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16. 청구항 9항의 악력계 손잡이에 있어서,
    고정축과 왕복운동축 손잡이가 손가락 별로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손가락 접촉면에 장부의 허증을 보하거나, 실증을 사하거나, 무자극의 생체반응자극 물질이 해당 손가락의 손잡이 부분을 손잡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17. 청구항 16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손가락 접촉면이 손가락 별로 서로 분리되도록 손잡이축에 고정판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18. 청구항 17항에 있어서,
    고정판 한 면에 고정판홈을 형성하고, 마주하는 회전 손잡이 면에 홈스프링을 설치하여, 일정 강도의 힘에 의해서만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19. 청구항 9항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자이로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여 센서 데이터로 부터 악력계가 오른손에 위치하는지 왼손에 위치하는지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계 제어시스템.

KR1020170029349A 2017-03-08 2017-03-08 악력계 제어시스템 KR20180102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349A KR20180102779A (ko) 2017-03-08 2017-03-08 악력계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349A KR20180102779A (ko) 2017-03-08 2017-03-08 악력계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779A true KR20180102779A (ko) 2018-09-18

Family

ID=6371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349A KR20180102779A (ko) 2017-03-08 2017-03-08 악력계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27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644B1 (ko) 2020-07-30 2021-01-12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KR102264907B1 (ko) 2020-12-18 2021-06-14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644B1 (ko) 2020-07-30 2021-01-12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KR102264907B1 (ko) 2020-12-18 2021-06-14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WO2022131417A1 (ko) * 2020-12-18 2022-06-23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0026B2 (en) Process to aid in motivation of personal fitness, health monitoring and validation of user
US10376739B2 (en) Balance testing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CN106021912B (zh) 一种远程在线健康管理系统
CN105433915B (zh) 一种中医脉诊仪及其脉象检测方法
US20060183980A1 (en) Mental and physical health status monitoring, analyze and automatic follow up methods and its application on clothing
AU2006214825B2 (en) Movement disorder monitoring
TW202247819A (zh) 以個人化運動處方箋自動調整最佳復健強度或運動量的智慧系統
US9785827B1 (en) Process to aid in motivation of personal fitness, health monitoring and validation of user
Bailey et al. Self-monitoring using continuous glucose monitors with real-time feedback improves exercise adherence in individuals with impaired blood glucose: a pilot study
WO2012061707A2 (en) Handheld bio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self-regulating at least one physiological state of a subject
US10453567B2 (en) System,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sleep habits
US20050197592A1 (en) Non-invasive method for disease diagnosis
Motl et al. Commercially available accelerometry as an ecologically valid measure of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multiple sclerosis
KR101332593B1 (ko) 규준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
CN107705848A (zh) 一种根据用户健康状况推荐调理方案的方法及系统
IL29184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disease state using a biological marker,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 interesting biological marker for a disease
EP18382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measuring and analyzing abnormal neurological responses
KR20180102779A (ko) 악력계 제어시스템
WO2020254341A1 (en) Digital biomarker
Murdoch Physiological investigation of dysarthria: Recent advances
US2006002022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tilizing electrical readings in the determination of treatment
Daniel et al. Validity study of a triaxial accelerometer for measuring energy expenditure in stroke inpatients of a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center
US20210020069A1 (en) Touch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1175179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agnosing cognitive conditions
US20070282630A1 (en) Integrated owner-member medical retreat method &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