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644B1 -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644B1
KR102201644B1 KR1020200094962A KR20200094962A KR102201644B1 KR 102201644 B1 KR102201644 B1 KR 102201644B1 KR 1020200094962 A KR1020200094962 A KR 1020200094962A KR 20200094962 A KR20200094962 A KR 20200094962A KR 102201644 B1 KR102201644 B1 KR 10220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connection
elastic deformation
uni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초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비션핑크
Priority to KR102020009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9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plastic deformable materials, e.g. lead bars or kneadable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made of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steel wool, intended to be compress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에 각각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상기 조작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악력 그립부, 및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PORTABLE SMART HANDGRIP}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를 판별하고,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도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의 팔에 팔찌 형태로 착용하여 손쉽게 휴대가능한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
근육의 양, 근력, 근 기능이 모두 감소하는 근감소증은 근골격계 질환으로서, 낙상사고 이외에 다양한 심혈관계 및 대사질환을 야기하여 많은 진료비를 야기한다. 특히 저소득 독거노인 등 의료취약계층의 경우, 생활고로 인하여 운동 등으로 자기 몸을 돌 볼 여유가 없기 때문에, 근감소증 발병은 다양한 질병을 동반하여 이들의 재정 또는 건강상태를 악화시키는 사회적인 문제가 있다.
한편, 근력에 있어서, 손으로 물건을 쥐는 힘을 악력이라고 한다. 이러한 악력은 근육의 신진대사 변화와 신체 근육량을 평가하고, 재활치료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지표, 즉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다. 악력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장애 발생확률이 높아지고 더 나아가 사망 위험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는 반드시 악력을 꾸준히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운동을 위한 기구로서 다양한 형태의 악력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악력기의 휴대성을 고려한 작은 형태의 악력기가 시중에 보급되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악력기는 악력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추가되어 있지 않은 한계가 있다.
이에, 악력을 측정하는 기능 또는 악력 측정 관련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기가 결합된 다양한 형태의 악력기나 이를 활용한 시스템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휴대성이 떨어지는 형태의 종래 일반적인 악력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33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865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2779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연동가능하여 사용자의 근력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통합 건강관리가 가능하면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에 각각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상기 조작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악력 그립부, 및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부는 C 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 및 상기 탄성 변형부가 O자 형태를 이루어, 내부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에 사용자의 팔목을 위치시켜, 팔찌 형태로 휴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상기 악력 그립부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굴곡에 대응하는 그립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부의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연결 돌출부 및 상기 악력 그립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 돌출부에 인접하는 제1 연결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의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연결 돌출부가 수용되는 제1 결합 그루브 및 상기 제1 연결 그루브에 수용되는 제1 결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의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연결 돌출부 및 상기 악력 그립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연결 돌출부에 인접하는 제2 연결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의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연결 돌출부가 수용되는 제2 결합 그루브 및 상기 제1 연결 그루브에 수용되는 제2 결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감지부는 압력 센서이고,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따라, 상기 압력 센서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부의 상기 제1 연결부에는,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따라, 상기 압력 센서에 압력을 가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부는 C 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 및 상기 탄성 변형부가 O자 형태를 이루어, 내부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일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와 먼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감지부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탄성 변형부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여부에 따른 악력 운동의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시점의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 또는 피크와 인접하는 피크 사이의 인터벌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상기 조작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악력 그립부, 및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악력 그립부에 결합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악력 그립부 및 상기 탄성 변형부는 O자 형태를 이루어, 내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에 사용자의 팔목을 위치시켜, 팔찌 형태로 휴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상기 조작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악력 그립부, 및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악력 그립부에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악력기는 구조가 단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면서도, 휴대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도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근감소증 취약 계층인 고령자의 경우, 스마트 기기 등의 휴대가 습관화되어 있지 않아, 악력기의 휴대가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경우, 사용자의 팔목에 팔찌 형태로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 변형부는 손쉽게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변형부의 재질과 구성물질의 배합비율을 변경함에 따라, 원하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변형부가 반복 사용으로 탄성력을 잃거나 손상되더라도, 이를 손쉽게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다양한 근력 관련 데이터를 외부 서버 등으로 송신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도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이 이루는 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100)는 악력 그립부(110) 및 탄성 변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제1 방향(D1) 및 제1 방향(D1)에 수직한 제3 방향(D3)이 이루는 평면에 수직한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위치할 수 있도록 외측에 그립 그루브(G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에는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조작을 위한 스위치(PW) 및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부(LED)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상기 스위치(PW)가 푸쉬풀 형태의 스위치로 도시되고, 상기 상태 표시부(LED)가 LED 라이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상태 표시부는 LCD 액정 표시 장치이고, 상기 스위치(PW)는 상기 LCD 액정 표시 장치 상의 터치 스크린 패널 등일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내부에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상기 조작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상기 탄성 변형부(120)는 상기 악력 그립부(110)의 양단에 연결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변형부(120)는 고무, 실리콘,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120)와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다양한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돌출부 및 그루브 구조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한편,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재질과 구성물질의 배합비율을 변경함에 따라, 상기 탄성 변형부(120)가 원하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변형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내부에 탄성력의 보강을 위한 금속 재질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탄성 재질의 2중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접촉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무독성 실리콘 재질의 커버를 씌우거나, 미끄럼 방지 처리, 특수 코팅 등의 표면 처리가 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120)는 C 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악력 그립부(110)의 양단에 연결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O자 형태를 이루어, 내부에 개구(OP)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악력 그립부 (110)의 외측에 네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상기 탄성 변형부(120)가 엄지 손가락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움켜쥐고, 상기 스마트 악력기에 악력을 가해, 상기 탄성 변형부(120)가 변형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개구(OP)에 사용자의 팔목을 위치시켜,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팔찌 형태로 휴대가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를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이 이루는 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상기 악력 그립부(110), 및 상기 탄성 변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양단에 각각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상기 조작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부(CP), 및 상기 제어 회로부(CP)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본체 하우징(110a) 및 커버 하우징(11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트(BT)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 하우징(110b)이 상기 본체 하우징(110a)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개구(OP)와 대향하는 상기 악력 그립부(11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굴곡에 대응하는 형태의 상기 그립 그루브(G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의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악력 그립부(110)와 상기 탄성 변형부(1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의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 연결 돌출부(122)가 수용되는 제1 결합 그루브, 및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 연결 그루브에 수용되는 제1 결합 돌출부(112a, 112b)를 포함한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의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연결 돌출부(124)가 수용되는 제1 결합 그루브, 및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연결 그루브에 수용되는 제2 결합 돌출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 감지부는 압력 센서(PS)일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PS)는 상기 탄서 변형부(120)의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3 방향(D3)이 이루는 평면 상에 마주보며 접하도록 상기 악력 그립부(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탄성 변형부(120)를 변형 시킴에 딸, 상기 탄성 변형부(120)가 상기 악력 그립부(110)에 압력을 제공하며 (도2의 화살표 참조),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변형에 따라 압력이 제공되는 위치에 상기 압력 센서(PS)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따라, 상기 압력 센서(PS)에 압력이 가해지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상기 제1 연결부에는 상기 압력 센서(PS)와 접하는 돌출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악력 그립부(110)의 본체 하우징(110a)의 일면(111)에 형성된 홀 내에, 상기 압력 센서(PS) 및 상기 돌출부가 위치하여, 보다 정확한 압력 측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a) 내에 위치하며, 상기 조작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악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 횟수를 카운트하거나,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 간격인 인터벌을 측정하거나, 악력기 조작을 유지하는 홀딩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된 데이터나, 이로부터 계산된 데이터를 스마트폰(미도시) 또는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모듈(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여부에 따른 악력 운동의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시점의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 또는 피크와 인접하는 피크 사이의 인터벌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부(CP)는,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악력 운동시 측정되는 악력 데이터는 악력 운동 횟수 정보, 인터벌 정보 및 홀딩 유지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전체 운동 시간, 조작한 탄성 변형부의 탄성 강도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악력 데이터는 후술하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는 상기 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BP)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a)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 회로부(CP)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배터리부(BP)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단자가 상기 악력 그립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12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악력 그립부(110)에 결합하기 위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120)는 C 자 형태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단면이 원형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D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연결 돌출부(122) 및 상기 악력 그립부(11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 돌출부(122)에 인접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연결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D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연결 돌출부(124) 및 상기 악력 그립부(11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연결 돌출부(124)에 인접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연결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110a)에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슬라이딩 형식으로 끼워 넣고, 상기 커버 하우징(110b)을 상기 볼트(BT)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상기 탄성 변형부(120)를 상기 악력 그립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탄성 변형부(120) 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 변형부(120)를 교체 결합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세기 정도를 강, 중, 약 등으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변형부(120)가 반복 사용으로 탄성력을 잃거나 손상되더라도, 이를 손쉽게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상기 제1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123)이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3 방향(D3)이 이루는 평면 상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한편, 상기 돌출부(123)는 상기 탄성 변형부(120)가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변형되면, 상기 압력 센서(PS)에 압력을 가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연결부의 원형 끝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OP)와 먼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근감소증 정도를 판별하고,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도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측정한 사용자의 근력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근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력 정도에 따른 맞춤 운동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 가능하고, 나아가 근감소증 질환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의 생활 습관의 행동 교정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조작 감지부가 압력 센서 대신 근접 센서(AS)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을 제외하고, 도 1 및 2의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악력 그립부(110), 및 탄성 변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양단에 각각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악력 그립부(110)는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상기 조작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부(CP), 및 상기 제어 회로부(CP)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감지부는 근접 센서(AS)이고,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AS)가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AS)는 접근하는 물체 또는 가까이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로써,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검출반사부(RS)의 위치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AS)는 알려진 다양한 방식의 근접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근접 센서(AS)는 감지광을 상기 검출반사부(RS)에 출력하여, 상기 검출반사부(RS)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상기 탄성 변형부(120)의 변형 및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는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상기 조작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악력 그립부, 및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악력 그립부에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악력기는 구조가 단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면서도, 휴대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근감소증 정도에 따라 운동 방법 및 행도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근감소증 취약 계층인 고령자의 경우, 스마트 기기 등의 휴대가 습관화되어 있지 않아, 악력기의 휴대가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의 경우, 사용자의 팔목에 팔찌 형태로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 변형부는 손쉽게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변형부의 재질과 구성물질의 배합비율을 변경함에 따라, 원하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변형부가 반복 사용으로 탄성력을 잃거나 손상되더라도, 이를 손쉽게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110: 악력 그립부
112a, 112b: 제1 결합 돌출부
114: 제2 결합 돌출부
120: 탄성 변형부
122: 제1 연결 돌출부
124: 제2 연결 돌출부
PS: 압력 센서
CP: 제어 회로부
BP: 배터리부

Claims (10)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에 각각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부, 상기 조작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악력 그립부; 및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감지부는 압력 센서이고,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따라, 상기 압력 센서에 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탄성 변형부의 상기 제1 연결부에는, 사용자의 악력기 조작에 따라, 상기 압력 센서에 압력을 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C 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악력 그립부 및 상기 탄성 변형부가 O자 형태를 이루어, 내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일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일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와 먼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상기 악력 그립부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굴곡에 대응하는 그립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부의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연결 돌출부 및 상기 악력 그립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 돌출부에 인접하는 제1 연결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악력 그립부의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연결 돌출부가 수용되는 제1 결합 그루브 및 상기 제1 연결 그루브에 수용되는 제1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변형부의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연결 돌출부 및 상기 악력 그립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연결 돌출부에 인접하는 제2 연결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악력 그립부의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연결 돌출부가 수용되는 제2 결합 그루브 및 상기 제2 연결 그루브에 수용되는 제2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여부에 따른 악력 운동의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시점의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 또는 피크와 인접하는 피크 사이의 인터벌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변형 정도에 따른 최대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10. 삭제
KR1020200094962A 2020-07-30 2020-07-30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KR10220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962A KR102201644B1 (ko) 2020-07-30 2020-07-30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962A KR102201644B1 (ko) 2020-07-30 2020-07-30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644B1 true KR102201644B1 (ko) 2021-01-12

Family

ID=7412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962A KR102201644B1 (ko) 2020-07-30 2020-07-30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650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스트릭 스마트 근육 마사지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8962A1 (en) * 2002-04-10 2003-12-11 Herman William P. Exercise device
TWM378766U (en) * 2009-11-27 2010-04-21 Chin Hwei Ind Co Ltd Grip strength trainer
KR20120014455A (ko) * 2010-08-09 2012-02-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물리 치료기 및 이를 이용한 물리 치료 방법
KR101683394B1 (ko) 2015-09-07 2016-12-07 김상웅 근력운동 및 재활치료를 위한 완력장치
KR20180102779A (ko) 2017-03-08 2018-09-18 김영선 악력계 제어시스템
KR102108655B1 (ko) 2018-12-03 2020-05-07 고유미 Vr 컨트롤러 기능이 구비된 악력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8962A1 (en) * 2002-04-10 2003-12-11 Herman William P. Exercise device
TWM378766U (en) * 2009-11-27 2010-04-21 Chin Hwei Ind Co Ltd Grip strength trainer
KR20120014455A (ko) * 2010-08-09 2012-02-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물리 치료기 및 이를 이용한 물리 치료 방법
KR101683394B1 (ko) 2015-09-07 2016-12-07 김상웅 근력운동 및 재활치료를 위한 완력장치
KR20180102779A (ko) 2017-03-08 2018-09-18 김영선 악력계 제어시스템
KR102108655B1 (ko) 2018-12-03 2020-05-07 고유미 Vr 컨트롤러 기능이 구비된 악력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WM378766 U*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650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스트릭 스마트 근육 마사지기
KR102553343B1 (ko) * 2021-07-23 2023-07-12 주식회사 스트릭 스마트 근육 마사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218B2 (en) Wristband-type arm movement determination device and wristband-type activity tracker
US10508959B2 (en) Force measurement device
KR102096804B1 (ko) 착용형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EP175019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 ergonomic risk condition
KR102201644B1 (ko)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US11237632B2 (en) Ring device having an antenna, a touch pad, and/or a charging pad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based on user motions
US20210389829A1 (en) Device having an antenna, a touch pad, and/or a charging pad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based on user motions
WO2019241824A1 (en) Portable load cell
WO2016136687A1 (ja) 電子機器
US2023041099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face touching
WO2009075446A1 (en) System for measuring stride length using ultrasonic sensors
KR101023774B1 (ko) 휴대용 손가락 악력기
KR20160002493U (ko) 착용형 헬스케어 장치
EP3189778A1 (en) Physiological status monitoring device
US11497444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KR102264907B1 (ko)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US20210106872A1 (en) Fitness monitoring device
JP2008305198A (ja) 入力システム及び入力装置
WO2018070514A1 (ja) 咀嚼計およびシステム
KR101918265B1 (ko) 손동작 인식기반 디스플레이 콘텐츠 제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JP2018061752A5 (ko)
WO2021207033A1 (en) Input device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with a touch pad having a curved surface configured to sense touch input
KR102066343B1 (ko) 반지형 cpr 가슴압박 피드백 장치
US20160025513A1 (en) Multi-sensor pedometer
KR20210148455A (ko) 손 재활 훈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