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19184A1 - 다층 분기형 버스바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분기형 버스바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19184A1
WO2022119184A1 PCT/KR2021/016877 KR2021016877W WO2022119184A1 WO 2022119184 A1 WO2022119184 A1 WO 2022119184A1 KR 2021016877 W KR2021016877 W KR 2021016877W WO 2022119184 A1 WO2022119184 A1 WO 20221191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ranched
bus bar
conductive layer
layers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68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영준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JP202257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30398A/ja
Priority to US18/009,157 priority patent/US20230261327A1/en
Priority to EP21900872.9A priority patent/EP4152511A1/en
Priority to CN202180040729.XA priority patent/CN115699440A/zh
Publication of WO20221191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191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6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branched bus ba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 branched bus bar for connecting devices or batteries in parallel by branching a multi-layered bus ba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store electric energy produ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due to air pollution and energy depletion caused by the use of fossil fuels.
  •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are closely used in daily life, such as being used in mobile devices,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the like.
  •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are indispensable in modern society, are installed and us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mobile devices and electric vehicles.
  • Various types of battery cells are being demand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users and the diversity of shapes of mounted devices.
  • a secondary battery used in a small device includes several battery cells, but a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s used in a vehicle or the like.
  • a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each other to improve capacity and output, and in this case, the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that is,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between the battery cells.
  • the bus bar module includes an electrode lead connected to each battery cell or a bus bar for connecting the battery cell and the battery cell.
  • a conventional bus bar for parallel connection 1 includes a stem 10 connected to an energy supply unit for supplying energy to the bus bar 1 for parallel connection and the stem 10 . It may include a branch portion 20 for connecting devices or batteri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1 for parallel connection in parallel.
  • the conventional bus bar 1 for parallel connection includes a portion constituting each stem portion 10 and a first branch portion 21 and a second branch portion constituting the branch portion 20 to form a shape divided into several branches. After the branch portion 22 and the third branch portion 23 are separately formed, they are connected.
  • each stem portion 10 and branch portion 20 must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shapes of the bus bar 1 for parallel connection to be used, and each stem portion 10 and branch portions 20 are connected. configuration is required to do this.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may become loose or a defect may occur.
  • Patent Document 1 mentions a bus bar having a branched shape, this has a disadvantage in that each bus bar must be formed according to a desired shape of the bus bar.
  •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07059 (2010.09.16)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s bar for parallel connection that can be easily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and has less damage to a connection part.
  •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conductive layers are stacked, and the conductive layer is a branched bus bar in which a part of the conductive layer is divided and branched at a branch point.
  • branch point may be a parallel connection section for connecting members electrically connected by a branched conductive layer with the same voltage.
  • the number of layers of the conductive layers branched in the parallel connection sec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current specifications of each branched portion.
  • the number of layers of the branched conductive layer may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 Both ends of the branched conductive layers may have the same length.
  • Both ends of the branched conductive layers may be hole-processed after welding.
  • the conductive layer may be branched by foldi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 the conductive layer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 th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copper, a copper alloy, nickel, a nickel alloy, and aluminum.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attery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branched bus bars described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attery pa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branched busbars described above.
  • (S1) stacking at least two or more conductive layers, (S2) welding one end of the conductive layer and machining a hole, (S3) folding some layers of the conductive layer, one or more branch paths and (S4) welding the ends of each branching path, and then machining a hole.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4-0) repeating step (S3) one or more times, and then cutting the other end of the branching path to meet design conditions. .
  •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various combinations as needed.
  •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and since only one bus ba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and formed by folding the bus bar,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 FIG. 1 is a top view of a bus bar for paralle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top view of a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of a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top view before branching of the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top view after the first branching of the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top view after the second branching of the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top view of a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top view of the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of the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ranched bus bar 100 includes a stem 110 connected to an energy supply for supplying main energy to the branched bus bar 100 , and protruding from the stem 110 from the energy supply. It includes a branch unit 120 that transmits the supplied energy in parallel.
  • branched bus bar 100 In the branched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conductive layers are stacked as shown in FIG. 3 .
  • the conductive layer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 the conductive layer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copper, a copper alloy, nickel, a nickel alloy, and aluminum.
  • the copper alloy may include copper in an amount of 60%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and more specifically, the copper alloy may include copper in an amount of 90%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 the copper alloy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silicon, tin, iron, zinc, magnesium, phosphorus, chromium, and zirconium as the remaining weight % except for the weight % of copper.
  • the copper alloy may include at least 90 wt% copper, less than 10 wt% zinc, less than 10 wt% chromium, and less than 5 wt% zirconium.
  • the copper alloy is 90 wt% or more copper, less than 5 wt% nickel, less than 1 wt% silicon, less than 1 wt% tin, 1 wt% or less iron, 1 wt% or less of zinc, 0.1 wt% or less of magnesium, 0.1 wt% or less of phosphorus, and 0.1 wt% or less of zirconium.
  • the branched bus bar 100 is not limited to only a copper alloy, and any metal alloy composed of nickel, aluminum, gold, silver, etc. as a main material can be applied, and conductive rubber and silver nanowire surfaces can be used. Any material with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such as gold-silver nanocomposites, carbon nanotubes, and carbon-rubber composites wrapped in gold and mixed with SBS (poly Styrene-Butadiene-Styrene) can be used.
  • SBS poly Styrene-Butadiene-Styrene
  • the conductive layer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ince the conductive layer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branched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amaged even when some layers are folded.
  • the conductive layer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a thickness of 0.2 mm or more and 0.25 mm or less based on copper (C1100, 1/4H). If the conductive layer is too thin, the conductive layer may be damaged when a part of the conductive layer is branched. If the conductive layer is too thick, the conductive layer may be branched in a desired shape to form various types of bus bars becomes impossible
  • the conductive layer may have a tensile elongation of 10% or more and 25% or less, and a strength of 215N/mm2 or more and 275N/mm2 or less.
  • the tensile elongation of the conductive layer is less than 10%, it may be difficult to branch the conductive layer, and when it is more than 25%, the bus bar made of the conductive layer may not be fixed in a desired shape.
  • the strength of the conductive layer is less than 215N/mm2, the conductive layer may be damaged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branched, and when the strength of the conductive layer is more than 275N/mm2, it may be difficult to branch the conductive layer have.
  • the conductive layer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copper, a copper alloy, or aluminum.
  • the conductive layer is folded at the branch point A to form the branch portion 120 as shown in FIG. 2 .
  • the branch portion 120 may have a shape as in FIG. 2 that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at the same branch point A, or may have a branch shape that is divided at a branch point A at different points.
  • the branch point A may be a parallel connection section for connecting members electrically connected by a branched conductive layer with the same voltage.
  • the branch portion 120 divided by the branch point A may be formed to have a desired curr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supply a specific power to a desired portion.
  • each layer constituting the respective conductive layers is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nd the number of each of these layer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specification as the number of layers of the conductive layers forming the branched portion, that is, the branch portion 120 . .
  • the number of the branched conductive layers may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 Number of layers of conductive layers current specification of branched conductive layers / sum of current specifications of all conductive layers
  • the first branch 121 has 100A
  • the second branch 122 has 30A
  • the third branch 123 has 20A
  • Ten conductive layers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ranch portion 121
  • three layers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branch portion 122
  • two conductive layers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branch portion 123 .
  • the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urrent specification can be accurately divided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conductive layer composed of several layers is divided and branched.
  • each branch part 1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specification of the branched conductive layer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branched conductive layer.
  • Each branch portion 120 of th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by foldi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e stem portion 110 .
  • FIG. 4 is a top view before branching of the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top view after the first branching of the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This is a top view after the second quarter.
  • the branched bus bar 100 exists in a form in which conductive layers are stacked so that only the stem portion 110 is initially present as shown in FIG. 4 .
  • All layers of the conductive layer may have the same length, but the length of each layer of the conductive layer may be set differently in consideration of folding a part of the conductive layer constituting the branched bus bar 100 .
  • the branched bus bar 100 After laminating at least two or more conductive layers, the branched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2) welds one end of the stacked conductive layers to process the stem connection hole 131 .
  • the welding may be to mechanically fasten the conductive layer of the branched bus bar 100 or integrally form the branched bus bar 100 through ultrasonic welding or laser welding.
  • the stem connection hole 131 fixes the branched bus bar 100 when branching or the branched bus bar ( 100) can be used to fix the battery module, battery pack, or other member.
  • the branched bus bar 100 forms the branch portion 120 by folding or dividing a portion of the stem portion 110 on which the conductive layers are stacked in several layers.
  • the branch part 120 may form the branch part 120 at the same branch point A as shown in FIG. 2 , and as shown in FIG. 5 , the second branch part 122 is formed without a separate branch, and the first branch part 120 is formed without a separate branch.
  • the branch portion 121 and the third branch portion 123 may each branch at another branch point A to form the branch portion 120 .
  • the branched bus bar 100 may form a branched branch portion 121 (a) by branching the already branched branch portion 120 , that is, the first branch portion 121 again. have.
  • the first branch portion 121 should be formed in at least two layers to form the branch branch portion 121(a).
  • the hole is a branch connection hole 132 that can be used to connect the bus bar to a battery module, a battery pack, or other members.
  • one branched bus bar 100 may be formed, and each conductive layer of the branch portion 120 of the branched branched bus bar 100 may be fixed.
  • both ends of the branched bus bar 100 may have the same length. This is to arrange a device, a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using the branched bus bar 1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each conductive layer of the branched bus bar 100 is stacked to have different lengths, or (S3) the conductive layer of the branched bus bar 100 is formed.
  • S3 the conductive layer of the branched bus bar 100 is formed.
  • FIG. 7 is a top view of a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ranched bus bar 200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conductive layers are stacked side by side, unlike FIGS. 3 and 2 .
  • the stem portion 210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width of the metal portion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conductive metal, but may be thin in the thickness other than the stacking direc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btain a bus bar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width.
  • the branched bus bar 200 may be formed by bending conductive layers stacked side by side on the stem portion 210 in a predetermined shape when the branch portion 220 is formed.
  • the conductive layers of the branched bus bar 200 are stacked side by side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form the branch portion 220 of the branched bus bar 200 ,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conductive layer is folded to increase resistance may be reduced.
  • the branched bus bar 200 may undergo a process of welding the entire branched bus bar 200 after branching. This is to reduce the risk of separation of the branched bus bars 200 by stacking them side by side.
  • the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a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 the branch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devices to connect devices in parall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제조가 용이하고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다층 분기형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기형 버스바는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도전층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도전층은 분기점에서 상기 도전층의 일부가 나뉘어 분기되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다층 분기형 버스바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출원은 2020년 12월 04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2020-0168885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원발명은 다층 분기형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여러 층으로 적층된 버스바를 분기하여 기기 또는 전지 등을 병렬연결하기 위한 다층 분기형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 에너지 고갈로 인한 대체에너지 개발로 인해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등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필수불가결하게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전자기기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등 다양한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의 수요 및 장착되는 기기 형상의 다양성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전지 셀이 요구되고 있다.
소형 기기에 이용되는 이차 전지는 수개의 전지 셀들이 배치되지만, 자동차 등에는 다수개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이 이용된다. 이러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에는 다수개의 전지 셀들이 서로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됨으로써 용량과 출력을 향상시키며, 이 때,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은 다수의 이차 전지, 즉 전지 셀이 적층되며 이들 전지 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 바 모듈(Busbar module)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버스 바 모듈은, 각 전지 셀과 연결된 전극 리드 또는 전지 셀과 전지 셀 등을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병렬 연결용 버스바의 상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병렬 연결용 버스바(1)는 상기 병결 연결용 버스바(1)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는 줄기부(10) 및 상기 줄기부(10)에 연결되어 상기 병렬 연결용 버스바(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기나 전지 등을 병렬로 연결하는 가지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병렬 연결용 버스바(1)는 여러 갈래로 나뉘어진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각 줄기부(10)를 구성하는 부분과 가지부(20)를 구성하는 제1가지부(21), 제2가지부(22), 제3가지부(23)를 별도로 형성한 후, 이들을 연결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하고자 하는 병렬 연결용 버스바(1)의 다양한 형태에 맞춰 각 줄기부(10)와 가지부(20)의 형상을 형성하여야 하고, 각 줄기부(10) 및 가지부(20)들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게다가 연결부의 연결이 느슨해지거나 하자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분기되어 있는 형상의 버스바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나, 이는 원하는 버스바의 형상에 맞춰 버스바를 각 형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원하는 형태로 변형이 용이하고, 생산하기 쉬운 버스바에 대한 구성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207059호(2010.09.16)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쉽고, 연결 부위의 손상이 적은 병렬 연결용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는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도전층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도전층은 분기점에서 상기 도전층의 일부가 나뉘어 분기되는 분기형 버스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점은 분기된 도전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재를 동일한 전압으로 연결하는 병렬연결 구간일 수 있다.
상기 병렬연결 구간에서 분기되는 도전층의 층 개수는 각 분기되는 부분의 전류 사양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분기되는 도전층의 층 개수는 하기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하기 식은 다음과 같다. 도전층의 층 개수 = 분기되는 도전층의 전류 사양 / 전체 도전층의 전류 사양의 합
상기 분기된 도전층들의 양 끝단은 서로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상기 분기된 도전층들의 양 끝단은 용접 후 홀 가공이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상기 도전층의 일부가 접혀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유연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구리, 구리 합금, 니켈, 니켈 합금,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기재된 분기형 버스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일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기재된 분기형 버스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일 수 있다.
본원발명은 (S1)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도전층을 적층하는 단계, (S2) 상기 도전층의 일측 끝을 용접하고 홀을 가공하는 단계, (S3) 상기 도전층의 일부 층을 접어 하나 이상의 분기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S4) 각 분기 경로의 끝단을 용접한 후 홀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기형 버스바 제조방법일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 제조 방법은 (S4-0)상기 (S3) 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한 후, 상기 분기 경로의 타측 끝을 설계 조건에 맞도록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을 필요에 따른 다양한 조합으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쉽고,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버스바 하나만을 제조하여 이를 접어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과정이 단순하다.
또한 원하는 전류 사양에 따라 층의 개수를 나누기 때문에 전류 사양 조절이 용이하다.
게다가 하나의 버스바를 접어 분기하기 때문에 버스바를 연결하거나 연결이 느슨해질 우려가 줄어든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병렬 연결용 버스바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분기 전 상면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제1 분기 후 상면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제2 분기 후 상면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상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상면도이고,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측면도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100)는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에 주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부에 연결되는 줄기부(110), 상기 줄기부(1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에너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에너지를 병렬로 전달하는 가지부(120)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100)는 도 3과 같이 두 층 이상의 도전층이 적층되어 있다.
상기 도전층은 도전성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전층은 구리, 구리 합금, 니켈, 니켈 합금,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리 합금은, 전체 중량 중 60중량%이상의 구리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구리 합금은, 전체 중량 중 90중량% 이상의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리 합금은, 니켈, 실리콘, 주석, 철, 아연, 마그네슘, 인, 크롬, 및 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리의 중량%을 제외한 나머지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리 합금은, 90중량% 이상의 구리, 10중량% 미만의 아연, 10중량% 미만의 크롬, 및 5중량% 미만의 지르코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구리 합금은, 90중량% 이상의 구리, 5중량% 미만의 니켈, 1중량% 미만의 실리콘, 1중량% 미만의 주석, 1중량% 이하의 철, 1중량% 이하의 아연, 0.1중량% 이하의 마그네슘, 0.1중량% 이하의 인, 및 0.1중량% 이하의 지르코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가 단지 구리 합금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니켈, 알루미늄, 금, 은 등이 주재료로 구성된 금속 합금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전도성 고무, 은 나노선 표면을 금으로 감싼 다음 SBS(poly Styrene-Butadiene-Styrene)에 섞은 금-은 나노 복합체, 탄소 나노 튜브, 탄소-고무 복합체와 같이 전기전도성이 좋은 물질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유연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이 유연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100)는 일부 층을 접어도 손상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도전층은 구리(C1100, 1/4H) 기준으로 두께가 0.2mm 이상 0.25mm 이하인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이 지나치게 얇을 경우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분기할 때 상기 도전층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상기 도전층이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 원하는 형태로 상기 도전층을 분기해 다양한 형태의 버스바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도전층은 10% 이상 25% 이하의 인장 신장률, 215N/㎟ 이상 275N/㎟ 이하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의 인장 신장률이 10% 미만일 경우, 상기 도전층을 분기하기 힘들 수 있고, 25% 초과인 경우 상기 도전층으로 이루어진 버스바가 원하는 형상으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층의 강도가 215N/㎟ 미만인 경우, 상기 도전층을 분기할 때 상기 도전층이 손상될 수 있고, 상기 도전층의 강도가 275N/㎟ 초과인 경우, 상기 도전층을 분기하기 힘들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도전층은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분기점(A)에서 접혀 도 2와 같은 가지부(120)를 형성한다. 상기 가지부(120)는 동일한 분기점(A)에서 양 갈래로 나뉜 도 2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지점에 있는 분기점(A)에서 각 나뉘어지는 가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분기점(A)은 분기된 도전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재를 동일한 전압으로 연결하는 병렬연결 구간일 수 있다. 상기 분기점(A)에 의해 나뉘어진 가지부(120)는 원하는 부분에 특정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원하는 전류 사양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각 도전층을 이루는 각 층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이러한 각 층의 개수를 분기되는 부분, 즉 가지부(120)를 형성하는 도전층의 층 개수를 전류 사양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기되는 도전층의 개수는 하기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도전층의 층 개수 = 분기되는 도전층의 전류 사양 / 전체 도전층의 전류 사양의 합
상기 식을 적용한 예시를 들자면, 전체 도전층의 전류 사양이 150A이고, 제1 가지부(121)가 100A, 제2 가지부(122)가 30A, 제3 가지부(123)가 20A를 가지는 경우, 상기 식을 구한 후, 이를 상수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지부(121)에 10층의 도전층을 두고, 상기 제2 가지부(122)에 3층, 상기 제3 가지부(123)에 2층의 도전층을 배치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도전층을 나누어 분기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전류 사양을 정확하게 나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는 분기되는 도전층의 두께를 달리 하여 분기되는 도전층의 전류 사양에 맞춰 각 가지부(120)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의 각 가지부(120)는 줄기부(110)에서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접어 형성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접는 과정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분기 전 상면도이고,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제1 분기 후 상면도,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제2 분기 후 상면도이다.
분기 전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100)는 도 4와 같이 처음에는 줄기부(110)만 존재하도록 도전층을 적층한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도전층은 모든 층이 같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으나,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를 이루는 도전층의 일부를 접는 것을 고려해 상기 도전층의 각 층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S1)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도전층을 적층한 후,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100)는 (S2) 상기 적층된 도전층의 일측 끝을 용접하여 줄기부 연결홀(131)을 가공한다.
상기 용접은 기계적으로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의 도전층을 기계적으로 체결하거나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 등을 통해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줄기부(110)의 일측 끝을 용접한 경우, 상기 적층되어 있는 도전층을 분기할 때, 상기 도전층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줄기부(110)의 일측 끝단에 줄기부 연결홀(131)이 형성된 경우, 상기 줄기부 연결홀(131)은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를 분기시 고정하거나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를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이나 다른 부재에 고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는 상기 도전층이 여러 층이 적층되어 있는 줄기부(110)의 일부를 접거나 여러 층으로 나누는 방법으로 가지부(120)를 형성한다.
상기 가지부(120)는 도 2와 같이 동일한 분기점(A)에서 상기 가지부(120)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제2 가지부(122)는 별도의 분기 없이 형성하고, 제1 가지부(121) 및 제3 가지부(123)은 다른 분기점(A)에서 각 분기되어 상기 가지부(1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는 도 6과 같이 이미 분기된 가지부(120), 즉 제1 가지부(121)를 다시 분기해 분기 가지부(121(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가지부(121)는 적어도 두 층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기 가지부(121(a))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100)는 (S3) 도전층의 일부층을 접어 하나 이상의 분기 경로를 형성한 후, (S4) 각 분기 경로의 끝단을 용접한 후 홀을 가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홀은 가지부 연결홀(132)로 상기 버스바를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또는 다른 부재와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용접을 통해 하나의 분기형 버스바(100)를 형성할 수 있고, 분기된 분기형 버스바(100)의 가지부(120)의 각 도전층을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의 양 끝단을 서로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를 사용하는 기기나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 등을 일정한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를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의 각 도전층을 다른 길이로 적층하거나, (S3) 상기 분기형 버스바(100)의 도전층의 일부 층을 접어 하나 이상의 분기 경로를 형성하는 과정을 한 번 이상 수행한 이후에 (S4-0) 상기 분기 경로의 타측 끝을 설계 조건에 맞도록 절단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기 경로의 끝을 절단하여 수행하는 경우 모든 분기형 버스바(100)의 도전층을 동일한 길이로 형성한 후 간단하게 분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의 상면도이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200)는 상기 도전층을 도 3과 및 도 2와 달리 옆으로 나란히 적층한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줄기부(210)는 도전성 있는 금속이 적층 방향인 금속부의 폭 부분은 일정한 넓이 가지고 있으나, 적층 방향이 아닌 두께부는 얇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일정한 두께와 넓이를 가진 버스바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분기형 버스바(200)는 가지부(220)를 형성할 때, 상기 줄기부(210)에 옆으로 나란히 적층된 도전층을 일정한 형태로 구부려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기형 버스바(200)의 도전층을 옆으로 나란히 적층한 경우, 상기 분기형 버스바(200)의 가지부(220)의 형성이 용이하고, 상기 가지부(220) 형성으로 인한 도전층이 접혀 저항이 증가할 우려가 줄어들 수 있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200)는 분기 후 상기 분기형 버스바(200) 전체를 용접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는 상기 분기형 버스바(200)를 나란히 적층하여 이들이 분리될 우려를 줄이기 위함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는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는 다양한 기기에 사용되어 기기를 병렬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본원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 병렬 연결용 버스바
100, 200 : 분기형 버스바
10, 110, 210 : 줄기부
20, 120, 220 : 가지부
21, 121, 221 : 제1 가지부
121(a) : 분기 가지부
22, 122, 222 : 제2 가지부
23, 123, 223 : 제3 가지부
130 : 연결홀
131 : 줄기부 연결홀
132 : 가지부 연결홀
A : 분기점
A' : 제2분기점

Claims (13)

  1.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도전층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도전층은 분기점에서 상기 도전층의 일부가 나뉘어 분기되는 분기형 버스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점은 분기된 도전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재를 동일한 전압으로 연결하는 병렬연결 구간인 분기형 버스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연결 구간에서 분기되는 도전층의 층 개수는 각 분기되는 부분의 전류 사양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분기형 버스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되는 도전층의 층 개수는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분기형 버스바
    도전층의 층 개수 = 분기되는 도전층의 전류사양/ 전체 도전층의 전류 사양의 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된 도전층들의 양 끝단은 서로 동일한 길이인 분기형 버스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된 도전층들의 양 끝단은 용접 후 홀 가공이 되어 있는 분기형 버스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도전층의 일부가 접혀 분기되는 분기형 버스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얇고 유연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분기형 버스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구리로 이루어진 분기형 버스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기형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2. (S1)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도전층을 적층하는 단계;
    (S2) 상기 도전층의 일측 끝을 용접하고 홀을 가공하는 단계;
    (S3) 상기 도전층의 일부 층을 접어 하나 이상의 분기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S4) 각 분기 경로의 끝단을 용접한 후 홀을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기형 버스바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S4-0)상기 (S3) 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한 후, 상기 분기 경로의 타측 끝을 설계 조건에 맞도록 절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분기형 버스바 제조방법.
PCT/KR2021/016877 2020-12-04 2021-11-17 다층 분기형 버스바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119184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75448A JP2023530398A (ja) 2020-12-04 2021-11-17 多層分岐型バス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18/009,157 US20230261327A1 (en) 2020-12-04 2021-11-17 Multilayer Divergence Type Bus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1900872.9A EP4152511A1 (en) 2020-12-04 2021-11-17 Multilayer branched busb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2180040729.XA CN115699440A (zh) 2020-12-04 2021-11-17 多层分岔型汇流条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85 2020-12-04
KR1020200168885A KR20220079273A (ko) 2020-12-04 2020-12-04 다층 분기형 버스바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9184A1 true WO2022119184A1 (ko) 2022-06-09

Family

ID=8185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6877 WO2022119184A1 (ko) 2020-12-04 2021-11-17 다층 분기형 버스바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61327A1 (ko)
EP (1) EP4152511A1 (ko)
JP (1) JP2023530398A (ko)
KR (1) KR20220079273A (ko)
CN (1) CN115699440A (ko)
WO (1) WO202211918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82U (ko) * 1998-11-17 2000-06-15 김종수 전원케이블
US20030236016A1 (en) * 2002-06-20 2003-12-25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ubular bus bar, insulating coating method therefor, and insulating coating structure therefor
JP2006339126A (ja) * 2005-06-06 2006-12-14 Jst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JP2010207059A (ja) 2009-03-06 2010-09-16 Denso Corp 電力変換装置
CN207474866U (zh) * 2017-11-30 2018-06-08 浙江冠华电气有限公司 一种交流复合母排
CN209472042U (zh) * 2019-04-09 2019-10-08 江西星盈科技有限公司 导体连接件及电池组及锂离子电池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82U (ko) * 1998-11-17 2000-06-15 김종수 전원케이블
US20030236016A1 (en) * 2002-06-20 2003-12-25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ubular bus bar, insulating coating method therefor, and insulating coating structure therefor
JP2006339126A (ja) * 2005-06-06 2006-12-14 Jst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JP2010207059A (ja) 2009-03-06 2010-09-16 Denso Corp 電力変換装置
CN207474866U (zh) * 2017-11-30 2018-06-08 浙江冠华电气有限公司 一种交流复合母排
CN209472042U (zh) * 2019-04-09 2019-10-08 江西星盈科技有限公司 导体连接件及电池组及锂离子电池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99440A (zh) 2023-02-03
EP4152511A1 (en) 2023-03-22
US20230261327A1 (en) 2023-08-17
JP2023530398A (ja) 2023-07-18
KR20220079273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66797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8038513A1 (ko) 전지모듈 내에서 공간을 적게 점유하는 상호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0114281A2 (ko)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101517778B (zh) 平均分配型汇流条和与其共同使用的中型或大型电池组
WO2013151233A1 (ko) 배터리셀
EP2472635A1 (en) Assembled battery and assemble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WO2019172545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0114299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모듈
WO2018216873A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생산 방법
WO2014084474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WO2014126341A1 (ko) 배터리 셀 전극탭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2044035A2 (ko) 부식방지용 보호층을 포함하는 전극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7209428A1 (ko) 배터리 모듈
WO2012121505A2 (ko) 안정적인 측정 수단을 구비한 전지팩
CN112368787A (zh) 安装有保护元件的柔性扁平电缆、电池组件以及安装有保护元件的柔性扁平电缆的制造方法
WO2018155815A1 (ko) 버스바를 적용한 배터리 셀
WO2022065647A1 (ko) Ffc 버스바
WO2020036318A1 (ko) 전극조립체 및 그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WO2022119184A1 (ko) 다층 분기형 버스바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8030835A1 (ko) 이차 전지
WO2022019550A1 (ko) 전극 리드와 전압 센싱부재 간의 연결을 단순화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104024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075690A1 (ko) 전지 모듈
WO2011136580A2 (ko) 이차전지의 양극리드 또는 음극리드를 외부 부재와 연결하는 방법
WO2020145626A1 (ko)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 가접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08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7544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008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213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