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14769A1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14769A1
WO2022114769A1 PCT/KR2021/017379 KR2021017379W WO2022114769A1 WO 2022114769 A1 WO2022114769 A1 WO 2022114769A1 KR 2021017379 W KR2021017379 W KR 2021017379W WO 2022114769 A1 WO2022114769 A1 WO 20221147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s bar
module
battery
frame
cell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73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용준
한승원
이영호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6163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073664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US17/910,14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97757A1/en
Priority to EP21898595.0A priority patent/EP4102634A4/en
Priority to JP2022548488A priority patent/JP7502454B2/ja
Priority to CN202180018561.2A priority patent/CN115210948A/zh
Publication of WO20221147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14769A1/ko
Priority to JP2024091341A priority patent/JP2024118478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with enhanced stability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Secondary batteries are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for power devices such as electric bicycle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as well as mobil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digital cameras, and notebook computers.
  • a battery module composed of at least one battery cell is configured, and other components are added using at least one battery module to form a battery pack.
  • the way it is configured is common. Since the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mid-to-large-sized battery module are composed of rechargeable batterie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such a high-output, high-capacity secondary battery generates a large amount of heat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 the battery module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frame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stack, and an end plate covering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ignition of a battery module mounted on a conventional battery pack.
  • FIG. 2 is a view showing a flame affecting an adjacent battery module when a battery module mounted on a conventional battery pack is ignited along a portion A-A of FIG. 1 .
  • the conventional battery module i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0 are stacked, a frame 20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stack, and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It includes an end plate 30, a terminal bus bar 40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end plate, and the like.
  • the frame 20 and the end plate 30 may be coupled to be sealed through welding.
  •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10 increases when the battery module is overcharged to exceed the fusion strength limit of the battery cell 10 .
  • high-temperature heat, gas, and flame generated in the battery cell 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ell 10 .
  • high-temperature heat, gas, and flame may be discharged through openings formed in the end plate 30 .
  • high-temperature heat, gas, and flame may affect the battery module adjacent to the battery module ejecting the flame.
  • the terminal bus bar 40 formed on the end plate 30 of the neighboring battery module may be damaged, and high-temperature heat, gas, and flame are exposed to the battery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end plate 30 of the neighboring battery module. It may enter the inside of the module and damag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0 .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dispersing high-temperature heat and flames emitted when an ignition occurs in the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a battery module i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module frame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stack, is accommodated in the module frame, and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a first bus bar frame, and a second bus bar frame accommodated in the module frame and covering a rea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wherein a terminal bus bar is mounted on the first bus bar frame, and the second A module connector is mounted on the bus bar frame, and a venting part penetrating an upper plate is formed on the module frame, and the venting part is located closer to the module connector than the terminal bus bar.
  • the venting part has a hole structure formed in the upper plate, and the hole structure may pass through the upper plate obliquely in a direction close to the second bus bar frame.
  • the terminal bus bar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bus bar providing a connection with another battery module adjacent to th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terminal bus bar.
  • the venting part may be formed to vent the ga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us bar frame is located.
  • the venting par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and includes an inlet facing the battery cell stack,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wherein the outlet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let.
  • the venting part may include a connecting part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o guide the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is located,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may be inclined.
  • the venting part may be formed to be vented in an upward direction based on the battery cell stack.
  • the ven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stack, an inlet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an outlet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for discharging the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connected and a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let and outlet directions of the inlet and the outlet.
  • a discharge passage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 and the battery cell stack.
  •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ttery module described above.
  • the battery in order to control high-temperature heat, gas, and flame when a thermal runaway phenomenon occurs in the battery module, the battery is adjacent to the module connecto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module than the terminal bus ba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By forming the venting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module, it is possible to delay the propagation of the flame to the adjacent battery module.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ignition of a battery module mounted on a conventional battery pack.
  • FIG. 2 is a por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and is a view showing a flame affecting an adjacent battery module when a battery module mounted on a conventional battery pack ignites.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3 .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of FIG. 4 .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end plate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3 at different angles to be seen from the front.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B-B of FIG. 3 .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when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part is in between. . Conversely, when we say that a part is “just above” another part, we mean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 the reference part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reference part, and to necessarily mean to be located “on” or “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gravity not.
  • planar it means when the target part is viewed from above, and "cross-sectional” means when viewed from the side when a cross-section of the target part is vertically cu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3 .
  •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of FIG. 4 .
  •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including electrode leads 111 and 112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are stacked.
  • On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in one direction (x-axis direction) from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120 , the module frame 200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stack 120 , and the electrode lead 111 protrude A second bus bar frame 320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in a different direction (-x-axis direction) from which the first bus bar frame 310 and the electrode lead 112 protrude from the include
  • the battery cell 110 is preferably a pouch-type battery cell.
  • the two electrode leads 111 and 112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protrude from one end 114a and the other end 114b of the cell body 113, respectively. has a structure in In more detail, the electrode leads 111 and 112 are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and protrude from 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ell 110 .
  • both ends 114a and 114b of the cell case 114 and one side 114c connecting them are adhered in a stat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is accommodated in the cell case 114 .
  • the battery cel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otal of three sealing portions 114sa, 114sb, 114sc, and the sealing portions 114sa, 114sb, 114sc are sealed by a method such as thermal fusion.
  • the other one side may be formed of a connection part 115 .
  • the cell case 114 may be formed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 connection part 115 may extend long along one edge of the battery cell 110 , and a protrusion 110p of the battery cell 110 called a bat-ear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115 .
  • a terrace portion 116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leads 111 and 112 and the cell body 113 .
  • the battery cell 110 includes a terrace portion 116 formed to extend from the cell case 114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s 111 and 112 protrude.
  • the battery cells 110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may be stack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battery cell stack 120 .
  • the battery cells 110 may be stacked along the y-axis direction to form the battery cell stack 120 .
  • a first bus bar frame 310 may be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s 111 protrude (the x-axis direction).
  • a second bus bar frame 320 may be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s 112 protrude (the -x-axis direction).
  • the battery cell stack 120 , the first bus bar frame 310 , or the second bus bar frame 3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module frame 200 .
  • the module frame 200 may protect the battery cell stack 120 accommodated in the module frame 200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connected thereto from external physical impact.
  • the module frame 200 may have a mono frame structure.
  • the mono frame may be in the form of a metal pl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are integrated, and may be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 the structure of the module frame 2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U-shaped frame and an upper plate are combined.
  •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plate on the upper side of the U-shaped frame, which is a combined or integrated metal plate, and may be manufactured by press molding.
  • a thermal conductive resin may be injec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and the module frame 200 , an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and the module frame 200 through the injected thermal conductive resin.
  •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not shown) may be formed.
  • the module frame 200 may be opened, and first, respectively, on both open sides of the module frame 200 .
  • An end plate 410 and a second end plate 420 may be positioned.
  • the first end plate 410 may be joined to the module frame 200 while covering the first bus bar frame 310
  • the second end plate 420 may cover the second bus bar frame 320 while covering the module. It may be bonded to the frame 200 . That is, the first bus bar frame 3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nd plate 410 and the battery cell stack 120 , and between the second end plate 420 and the battery cell stack 120 .
  • a second bus bar frame 320 may be positioned.
  • an insulating cover 800 (refer to FIG. 3 ) for electrical insula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nd plate 410 and the first bus bar frame 310 .
  • the first end plate 410 and the second end plate 420 are positioned to cover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 respectively.
  • the first end plate 410 and the second end plate 420 can protect the first bus bar frame 310, the second bus bar frame 320, and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connected thereto from external impact. It must have a certain strength and may include a metal such as aluminum.
  • the first end plate 410 and the second end plate 420 may be joined to a corresponding edge of the module frame 200 by welding or the like, respectively.
  • the first bus bar frame 310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to cover the battery cell stack 120 and guid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 stack 120 and external devices at the same time.
  • at least one of a bus bar, a terminal bus bar, and a module connector may be mounted on the first bus bar frame 310 .
  • at least one of a bus bar, a terminal bus bar, and a module connector may be mount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first bus bar frame 310 facing the battery cell stack 120 .
  •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s bar 510 and the terminal bus bar 520 are mounted on the first bus bar frame 310 .
  • the battery cells 110 constituting the battery cell stack 120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by the bus bar 510 or the terminal bus bar 520, and the terminal bus ba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100a.
  • the battery cells 1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circuit through 520 .
  • the terminal bus bar 52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bus bar providing a connection with another battery module adjacent to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terminal bus bar 520 .
  • the first bus bar frame 310 may include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 the bus bar 510 or the terminal bus bar 520 is a battery. By limiting contact with the cells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 the second bus bar frame 320 may be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
  • a bus bar and a module connector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bus bar frame 320 .
  • the electrode lead 112 may be bonded to the bus bar mounted on the second bus bar frame 320 .
  • the second bus bar frame 320 may include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to prevent a short circuit.
  •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terminal bus bar 520 is expos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end plate 4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opening may be a terminal bus bar opening.
  • a terminal bus bar opening 410H through which the terminal bus bar 520 is expos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end plate 410 .
  • the terminal bus bar 520 further includes an upwardly protruding portion, the upwardly protruding portion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100a through the terminal busbar opening 410H.
  • the terminal bus bar 520 exposed through the terminal bus bar opening 410H may be connected to another battery module or a battery disconnect unit (BDU) to form a high voltage (HV) connection.
  • BDU battery disconnect unit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end plate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3 at different angles to be seen from the front.
  •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B-B of FIG. 3 .
  • an opening through which at least one of the module connectors is expos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end plate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opening may be a module connector opening.
  • a module connector opening 420H through which the module connector 600 is expos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end plate 420 . This means that the module connector 600 is mounted on the aforementioned second bus bar frame 320 .
  • the module connector 600 may be connected to a temperature sensor or a voltage measur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battery module 100a.
  • This module connector 6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to form an LV (Low voltage) connection.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 the venting part 900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of the module frame 200 , and the venting part 900 is closer to the module connector 600 than to the terminal bus bar 520 .
  • the venting part 900 is a hole structure formed in the upper plate of the module frame 200 , and the hole structure passes through the upper plate of the module frame 200 obliquely in a direction close to the second bus bar frame 320 .
  • the venting part 900 may be formed to vent ga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us bar frame 320 or the second end plate 420 is positioned.
  • a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HV member
  • a discharge passage 450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 200 and the battery cell stack 120 .
  • Gas or heat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nd plate 410 and the battery cell stack 120 is disposed on the second bus bar frame 320 opposite to the first end plate 41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450 or It may move toward the second end plate 420 .
  • Gas or heat moved toward the second bus bar frame 320 or the second end plate 420 may be discharged from the battery module 100a through the venting part 900 .
  • the HV member is more prone to overheating than the LV member and is susceptible to self-ignition or internal ignition, the gas or heat generated around the first end plate 41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45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end plate ( 420), the internal heat propagation phenomenon may be alleviated.
  • high-temperature heat, gas, flame, etc. ejected through an opening of the battery module may affect neighboring battery modules.
  • adjacent battery modules facing each other for HV connection may cause damage to other electrical components including the terminal bus bar 40 or the battery cell 10 .
  • the venting part 900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of the module frame 200 , and the venting part 900 is the module connector 600 rather than the terminal bus bar 520 . ) by being formed adjacent to, limiting the high temperature heat, gas, flame, etc. resulting from the battery cell 110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first end plate 410, for example, the terminal bus bar opening 410H. can do.
  • the flame is transferred to the terminal bus bar 520
  • the external bus bars connecting the neighboring battery modules may be melted and further ignited due to an internal short circuit, which is highly likely to be transferred to the neighboring battery modules.
  • damage to neighboring battery modules and HV connection structures can be greatly reduced.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nting part 910 may be formed to be vented upward relative to the battery cell stack 120 .
  • the venting unit 91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stack 120 , is formed in an inlet 911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200 , and is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to discharge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911 . It includes an outlet 912 for discharging and a connector 913 connecting the inlet 911 and the outlet 912, and the connector 913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let and outlet directions of the inlet 911 and the outlet 912. can be formed with
  • the venting unit 910 discharges high-temperature heat, gas, and flame inside the battery module toward the upper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other battery modules disposed facing the end plate.
  • the outlet 912 is formed toward the upper direction,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an enter the outlet 912 by gravity. A phenomenon in which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battery module are introduced into the battery module through the inlet 911 can be minimized.
  • a foreign material blocking part (not shown) is formed on the connection part 913 to block foreign substances entering through the outlet 912, so that foreign substances do not enter the inlet 911 part from the outlet 912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913. can be prevented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nting part 9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200 and is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921 and the inlet 921 . It includes an outlet 922 for discharging, and the outlet 922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let 921 .
  • the venting part 920 includes a connection part 923 formed between the inlet 921 and the outlet 922 and guiding the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92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922 is located, and the connection part ( 923)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 the outlet 922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let 92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20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loating in the air from entering the outlet 922 by gravity.
  •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923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let 922, so that the high-temperature heat, gas, and flame introduced into the inlet 921 are redir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923 and naturally through the outlet 922. can be emitted.
  • Table 1 compares the time required for voltage drop according to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the venting unit 900 when the battery module internally ignites.
  • CASE 1 is a case in which the venting part 900 is formed adjacent to the LV memb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ASE 2 is a case in which the venting part 900 is formed entirely on the upper plate of the module frame 200 .
  • the initial venting and flame generation time was 156 sec, and venting and flame were found somewhat later than CASE 1 and CASE 2 .
  • the voltage drop proceeded at a fast rate, and the total voltage drop required time was 119 sec. This may be because the reference battery module has a closed structure in which the venting part 900 is not formed, and thus, oxygen supply is blocked during internal ignition, thereby delaying initial venting and flame generation times.
  • the voltage drop may be rapid.
  • venting part 900 of CASE 2 is located adjacent to the LV member and induces a flow of gas or the lik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V member is located, thereby reliev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HV member, which may be in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state.
  •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forementioned battery module, an adjacent battery module adjacent to the battery module, and a pack case accommodat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adjacent battery module.
  • the first terminal bus bar and the second terminal bus bar included in each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adjacent battery module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 the first venting part formed in the battery module and the second venting part formed in the adjacent battery module may each have a hole structure in which they are vented away from each other.
  • the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Specifically, it may be applied to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that can use a secondary batte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에 수용되고,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제1 버스바 프레임, 및 상기 모듈 프레임에 수용되고,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후면을 커버하는 제2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 프레임에는 터미널 버스바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버스바 프레임에는 모듈 커넥터가 장착되며, 상기 모듈 프레임에는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벤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벤팅부는 상기 터미널 버스바 보다 상기 모듈 커넥터와 더 가까이 위치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0년 11월 26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0-0161480호 및 2021년 11월 22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1-0161637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안정성이 강화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이차 전지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 장치에 대한 에너지원으로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 이차 전지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이차 전지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병렬로 연결된 전지 모듈을 집합시킨 중대형 모듈 구조의 전지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전지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을 구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중대형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고출력 대용량 이차 전지는 충방전 과정에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킨다.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프레임,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전지팩에 장착된 전지 모듈의 발화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부분으로, 종래 전지팩에 장착된 전지 모듈의 발화시 인접한 전지 모듈에 영향을 미치는 화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10)이 적층 형성된 전지셀 적층체,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프레임(20),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에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30), 엔드 플레이트 밖으로 돌출 형성된 터미널 버스바(40) 등을 포함한다.
프레임(20)과 엔드 플레이트(30)는 용접을 통해 밀봉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프레임(20)과 엔드 플레이트(30)가 결합되면, 전지 모듈의 과충전시 전지셀(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전지셀(10)의 융착 강도 한계치를 넘는 경우, 전지셀(10)에서 발생한 고온의 열, 가스 및 화염이 전지셀(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고온의 열, 가스 및 화염은 엔드 플레이트(30)에 형성된 개구부들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데, 엔드 플레이트(30)끼리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의 전지 모듈을 배치하는 전지팩 구조에서, 고온의 열, 가스 및 화염을 분출하는 전지 모듈에 이웃하는 전지 모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웃하는 전지 모듈의 엔드 플레이트(30)에 형성된 터미널 버스바(40)가 손상될 수 있으며, 고온의 열, 가스 및 화염이 이웃하는 전지 모듈의 엔드 플레이트(3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전지 모듈의 내부로 들어가 복수의 전지셀(10)들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지 모듈 내 발화 현상 발생 시 배출되는 고온의 열과 화염을 분산시킬 수 있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에 수용되고,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제1 버스바 프레임, 및 상기 모듈 프레임에 수용되고,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후면을 커버하는 제2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 프레임에는 터미널 버스바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버스바 프레임에는 모듈 커넥터가 장착되며, 상기 모듈 프레임에는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벤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벤팅부는 상기 터미널 버스바 보다 상기 모듈 커넥터와 더 가까이 위치한다.
상기 벤팅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 구조이며, 상기 홀 구조는 상기 제2 버스바 프레임에 가까운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버스바는, 상기 터미널 버스바가 포함된 전지 모듈에 이웃하는 다른 전지 모듈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외부 버스바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벤팅부는, 상기 제2 버스바 프레임이 위치한 방향으로 가스를 벤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팅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전지셀 적층체와 마주보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와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팅부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가스를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팅부는, 상기 전지셀 적층체 기준 상측 방향으로 벤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팅부는, 상기 전지셀 적층체와 연결되고,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면 상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유입구,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의 유입 및 배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전지셀 적층체 사이에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지 모듈 내 열 폭주 현상 발생 시 고온의 열과 가스 및 화염을 제어하기 위해, 전지 모듈의 일측에 배치된 터미널 버스바보다 전지 모듈의 다른 일측에 배치된 모듈 커넥터에 인접하도록 전지 모듈 상단부에 벤팅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접한 전지 모듈에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지팩에 장착된 전지 모듈의 발화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부분으로, 종래 전지팩에 장착된 전지 모듈의 발화시 인접한 전지 모듈에 영향을 미치는 화염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지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지 모듈에 포함된 전지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전지 모듈의 제2 엔드 플레이트가 정면에서 보여지도록 각도를 달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절단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지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지 모듈에 포함된 전지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a)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극리드(111, 112)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지셀(110)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120), 전지셀 적층체(120)를 수납하는 모듈 프레임(200), 전극리드(111)가 돌출되는 일 방향(x축 방향)의 전지셀 적층체(120)의 일면에 배치된 제1 버스바 프레임(310) 및 전극리드(112)가 돌출되는 다른 방향(-x축 방향)의 전지셀 적층체(120)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버스바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우선, 도 5를 참고하면, 전지셀(110)은 파우치형 전지셀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110)은 두 개의 전극리드(111, 112)가 서로 대향하여 셀 본체(113)의 일단부(114a)와 다른 일단부(114b)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리드(111, 112)는 전극 조립체(미도시)와 연결되고, 전극 조립체(미도시)로부터 전지셀(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한편, 전지셀(110)은, 셀 케이스(114)에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수납한 상태로 셀 케이스(114)의 양 단부(114a, 114b)와 이들을 연결하는 일측부(114c)를 접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110)은 총 3군데의 실링부(114sa, 114sb, 114sc)를 갖고, 실링부(114sa, 114sb, 114sc)는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실링되는 구조이며, 나머지 다른 일측부는 연결부(1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셀 케이스(114)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115)는 전지셀(110)의 일 테두리를 따라 길게 뻗을 수 있고, 연결부(115)의 단부에는 배트 이어(bat-ear)라 불리우는 전지셀(110)의 돌출부(110p)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된 전극리드(111, 112)를 사이에 두고 셀 케이스(114)가 밀봉되면서, 전극리드(111, 112)와 셀 본체(113) 사이에 테라스(Terrace)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지셀(110)은, 전극리드(111, 112)가 돌출된 방향으로 셀 케이스(114)로부터 연장 형성된 테라스부(116)를 포함한다.
전지셀(11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지셀(110)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적층되어 전지셀 적층체(1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지셀(110)들이 y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전지셀 적층체(120)를 형성할 수 있다. 전극리드(111)가 돌출된 방향(x축 방향)의 전지셀 적층체(120)의 일면에는 제1 버스바 프레임(310)이 위치할 수 있다. 전극리드(112)가 돌출되는 방향(-x축 방향)의 전지셀 적층체(120)의 타면에는 제2 버스바 프레임(320)이 위치할 수 있다. 전지셀 적층체(120), 제1 버스바 프레임(310) 또는 제2 버스바 프레임(320)은 모듈 프레임(200)에 수용될 수 있다. 모듈 프레임(200)은 모듈 프레임(200) 내부에 수용된 전지셀 적층체(120) 및 이와 연결된 전장품을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200)은 모노 프레임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우선, 모노 프레임은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이 일체화된 금속 판재의 형태일 수 있으며, 압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모듈 프레임(200)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U자형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가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U자형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가 결합된 구조의 경우, 하면 및 양 측면이 결합된 또는 일체화된 금속 판재인 U자형 프레임의 상측에 상부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스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지셀 적층체(120)와 모듈 프레임(200)의 하면 사이에는 열전도성 수지가 주액될 수 있으며, 주액된 열전도성 수지를 통해 전지셀 적층체(120)와 모듈 프레임(200)의 하면 사이에 열전도성 수지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극리드(111, 112)들이 돌출된 방향(x축 방향, -x축 방향)으로, 모듈 프레임(200)의 개방될 수 있으며, 모듈 프레임(200)의 개방된 양 측에 각각 제1 엔드 플레이트(410) 및 제2 엔드 플레이트(42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엔드 플레이트(410)는 제1 버스바 프레임(310)을 덮으면서 모듈 프레임(200)과 접합될 수 있고, 제2 엔드 플레이트(420)는 제2 버스바 프레임(320)을 덮으면서 모듈 프레임(200)과 접합될 수 있다. 즉, 제1 엔드 플레이트(410)와 전지셀 적층체(120) 사이에 제1 버스바 프레임(310)이 위치할 수 있고, 제2 엔드 플레이트(420)와 전지셀 적층체(120) 사이에 제2 버스바 프레임(32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엔드 플레이트(410)와 제1 버스바 프레임(310) 사이에는 전기절 절연을 위한 절연 커버(800, 도 3 참고)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엔드 플레이트(410) 및 제2 엔드 플레이트(420)는 전지셀 적층체(120)의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위치한다. 제1 엔드 플레이트(410) 및 제2 엔드 플레이트(42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1 버스바 프레임(310), 제2 버스바 프레임(320) 및 이와 연결된 여러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소정의 강도를 가져야 하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엔드 플레이트(410) 및 제2 엔드 플레이트(420)는 각각 모듈 프레임(200)의 대응하는 모서리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버스바 프레임(310)은 전지셀 적층체(120)의 일면에 위치하여, 전지셀 적층체(120)를 커버함과 동시에 전지셀 적층체(120)와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버스바 프레임(310)에는 버스바, 터미널 버스바 및 모듈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제1 버스바 프레임(310)이 전지셀 적층체(120)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 면에 버스바, 터미널 버스바 및 모듈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는 제1 버스바 프레임(310)에 버스바(510) 및 터미널 버스바(520)가 장착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버스바(510)나 터미널 버스바(520)에 의해 전지셀 적층체(120)를 구성하는 전지셀(110)들이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될 수 있고, 전지 모듈(100a)의 외부로 노출되는 터미널 버스바(520)를 통해 외부 기기나 회로와 전지셀(110)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터미널 버스바(520)는, 터미널 버스바(520)가 포함된 전지 모듈에 이웃하는 다른 전지 모듈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외부 버스바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버스바 프레임(310)은 전기적으로 절연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스바 프레임(310)은, 버스바(510)나 터미널 버스바(520)가 전극리드(111)와 접합된 부분을 제외하고, 버스바(510)나 터미널 버스바(520)가 전지셀(110)들과 접촉하는 것을 제한하여, 단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 대로, 전지셀 적층체(120)의 타면에는 제2 버스바 프레임(32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버스바 프레임(320)에는 버스바와 모듈 커넥터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버스바 프레임(320)에 장착된 버스바에는 전극리드(112)가 접합될 수 있다. 제2 버스바 프레임(320)은 단락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절연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엔드 플레이트(410)에 터미널 버스바(520)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터미널 버스바 개구부일 수 있다. 일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엔드 플레이트(410)에 터미널 버스바(520)가 노출되는 터미널 버스바 개구부(410H)가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 버스바(520)는 버스바(510)와 비교하여, 상향 돌출된 부분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상향 돌출된 부분이 터미널 버스바 개구부(410H)를 통해 전지 모듈(100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터미널 버스바 개구부(410H)를 통해 노출된 터미널 버스바(520)가 다른 전지 모듈이나 BDU(Battery Disconnect Unit)와 연결되어 HV(High voltage)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전지 모듈의 제2 엔드 플레이트가 정면에서 보여지도록 각도를 달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절단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엔드 플레이트(420)에 모듈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모듈 커넥터 개구부일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엔드 플레이트(420)에 모듈 커넥터(600)가 노출되는 모듈 커넥터 개구부(420H)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제2 버스바 프레임(320)에 모듈 커넥터(600)가 장착된 것을 의미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듈 커넥터(600)는, 전지 모듈(100a) 내부에 마련된 온도 센서나 전압 측정 부재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커넥터(600)는 외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와 연결되어 LV(Low voltage) 연결을 형성하는데, 상기 온도 센서나 전압 측정 부재가 측정한 온도 정보와 전압 정도 등을 상기 외부 BMS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모듈 프레임(200)의 상부 플레이트에 벤팅부(900)가 형성되며, 벤팅부(900)는 터미널 버스바(520) 보다 모듈 커넥터(600)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벤팅부(900)는 모듈 프레임(200)의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 구조이며, 상기 홀 구조는 제2 버스바 프레임(320)에 가까운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모듈 프레임(200)의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할 수 있다. 벤팅부(900)는, 제2 버스바 프레임(320) 또는 제2 엔드 플레이트(42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가스가 벤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지 모듈(100a) 내부에서 발생한 열, 가스, 화염 또는 스파크 등이 발생한 경우, 터미널 버스바(520)와 같이 HV 연결을 형성하는 부재(이하, HV 부재로 지칭함)가 위치한 제1 버스바 프레임(310) 또는 제1 엔드 플레이트(410)를 향하는 방향보다, 모듈 커넥터(600)와 같이 LV 연결을 형성하는 부재(이하, LV 부재로 지칭함)가 위치한 제2 버스바 프레임(320) 또는 제2 엔드 플레이트(4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열, 가스, 화염 또는 스파크 등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 프레임(200)의 상부와 전지셀 적층체(120)와 사이에 배출 통로(4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엔드 플레이트(410)와 전지셀 적층체(120) 사이에서 발생하는 가스나 열은 배출 통로(450)를 통해 제1 엔드 플레이트(410)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버스바 프레임(320) 또는 제2 엔드 플레이트(42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2 버스바 프레임(320) 또는 제2 엔드 플레이트(420)를 향해 이동된 가스나 열은, 벤팅부(900)를 통해 전지 모듈(100a)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HV 부재는 LV 부재보다 과열되기 쉽고, 자체 발화가 발생하거나 내부 발화에 따른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배출 통로(450)를 통해 제1 엔드 플레이트(410) 주변에서 발생한 가스나 열을 제2 엔드 플레이트(420)가 위치한 방향으로 유도하면, 내부 열전파 현상이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의 전지 모듈의 경우, 전지 모듈의 개구부 등을 통해 분출된 고온의 열, 가스 및 화염 등이 이웃하는 전지 모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HV 연결을 위해 터미널 버스바(40)끼리 마주하고 있는 이웃한 전지 모듈은, 터미널 버스바(40)나 전지셀(10)을 비롯한 기타 전장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a)은 모듈 프레임(200)의 상부 플레이트에 벤팅부(900)가 형성되되, 벤팅부(900)가 터미널 버스바(520) 보다 모듈 커넥터(600)에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전지셀(110)로부터 기인한 고온의 열, 가스 및 화염 등이 제1 엔드 플레이트(410)의 개구부, 일례로 터미널 버스바 개구부(410H) 등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터미널 버스바(520)에 화염이 전이되면, 서로 이웃하는 전지 모듈을 연결하는 외부 버스바가 녹아 내부 쇼트에 의한 추가 발화될 수 있고, 이웃하는 전지 모듈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웃한 전지 모듈 및 HV 연결 구조에 가해지는 손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벤팅부(910)는, 전지셀 적층체(120) 기준 상측 방향으로 벤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벤팅부(910)는, 전지셀 적층체(120)와 연결되고, 모듈 프레임(200)의 상면 상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유입구(911),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입구(911)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912) 및 유입구(911)와 배출구(912)를 연결하는 연결부(913)를 포함하고, 연결부(913)는 유입구(911) 및 배출구(912)의 유입 및 배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벤팅부(910)는 전지 모듈 내부의 고온의 열, 가스 및 화염을 전지 모듈의 상측 방향을 향해 배출하여, 엔드 플레이트를 맞대고 배치된 다른 전지 모듈들에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배출구(912)가 상측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배출구(912)로 들어올 수 있는바, 연결부(913)를 배출구(912)와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배출구(912)로 유입된 이물질이 유입구(911)를 통해 전지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913) 상에는 배출구(912)를 통해 들어오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이물질이 배출구(912) 부분에서 연결부(913)를 통해 유입구(911) 부분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벤팅부(920)는, 모듈 프레임(200)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전지셀 적층체와 연결되는 유입구(921), 유입구(921)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922)를 포함하고, 배출구(922)는 유입구(921)와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벤팅부(920)는, 유입구(921)와 배출구(922) 사이에 형성되어 유입구(921)로 유입된 가스를 배출구(922)가 위치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연결부(923)를 포함하고, 연결부(923)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922)가 유입구(921) 및 모듈 프레임(200)의 상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중에 떠다니는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배출구(922) 내부로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923)의 상면이 배출구(92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구(921)로 유입된 고온의 열, 가스 및 화염이 연결부(923)를 통해 방향이 전환되어 배출구(922)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벤팅부(900)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표 1은 전지 모듈 내부 발화시, 벤팅부(900)의 유무 및 위치에 따른 전압 강하 소요 시간을 비교한 것이다.
Category REFERENCE CASE 1 CASE 2
Type 밀폐 구조
(No venting part)
LV 부재 주변
집중 벤팅 구조
전체 벤팅 구조
Top-plate hole - 6ea 10ea
First Venting & Flame 156 sec 88 sec 74 sec
dT/dt ≥ 1℃ / sec n/a 86 sec 82 sec
Measure temp. > 60℃ n/a 95 sec 83 sec
Voltage drop start 186 sec +0 125 sec +37 102 sec +7
Bank02 Voltage drop start 186 sec +13 162 sec +38 109 sec +1
Bank03 Voltage drop start 199 sec +19 200 sec +21 110 sec +2
Bank04 Voltage drop start 218 sec +41 221 sec +49 112 sec +11
Bank05 Voltage drop start 259 sec +24 270 sec +55 123 sec +45
Bank06 Voltage drop start 283 sec +22 325 sec +35 168 sec +45
0 Voltage 305 sec 360 sec 213 sec
Voltage drop time from start to 0 Voltage 119 sec 235 sec 111 sec
표 1을 참조하면, 레퍼런스는 전지 모듈에 벤팅부(90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이고, CASE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벤팅부(900)가 LV 부재와 인접하도록 형성된 경우이며, CASE 2는 벤팅부(900)가 모듈 프레임(200)의 상부 플레이트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경우이다.
레퍼런스의 경우, 초기 벤팅 및 화염 발생 시간은 156 sec로, CASE 1 및 CASE 2 보다 다소 늦게 벤팅 및 화염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186 sec 이후 부터는 전압 강하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으며, 총 전압 강하 소요 시간은 119 sec로 나타났다. 이는 레퍼런스의 전지 모듈이 벤팅부(900)가 형성되지 않은 밀폐된 구조를 가지므로, 내부 발화시 산소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초기 벤팅 및 화염 발생 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벤팅 및 화염이 발생한 후 부터는 외부 산소의 유입에 따라 발화가 촉진되면서, 전압 강하가 빠르게 진행된 것일 수 있다.
CASE 2의 경우, 초기 벤팅 및 화염 발생 시간은 74sec로, 다른 경우보다 빠른 시점에 벤팅 및 화염이 발견되었다. 전압 강하는 102 sec부터 시작되었으며, 전압이 0이 되는 213 sec까지 총 전압 강하 소요 시간은 111 sec로 나타났다. CASE 2의 경우 초기의 전압 강하가 다른 경우들 보다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다수의 벤팅부(900)를 통해 충분한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열전파가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일 수 있다.
CASE 1의 경우, 초기 벤팅 및 화염 발생 시간은 88sec였으며, 전압 강하는 125 sec 부터 360 sec까지 진행되어 총 전압 강하 소요 시간은 235 sec로 나타났다. CASE 1은 다른 경우에 비하여 총 전압 강하 소요 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며, 단계별 전압 강하에 소요되는 시간도 다른 경우에 비하여 고르고,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ASE 1과 비교하여, 벤팅부(900)를 통해 과량의 산소가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전지 모듈 내부의 열 및 가스를 적절히 배출함으로써 열전파를 지연시키기 때문일 수 있다. 또, CASE 2의 벤팅부(900)가 LV 부재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LV 부재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스등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상태일 수 있는 HV 부재 주변의 온도를 완화시키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한편, 표 1에 대한 설명에서는 벤팅부에 도 7에 도시된 도면 번호를 부가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도 8, 도 9 또는 그 외의 벤팅부에 대해에서도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 상기 전지 모듈과 이웃하는 인접 전지 모듈, 및 상기 전지 모듈과 상기 인접 전지 모듈을 수납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과 상기 인접 전지 모듈 각각에 포함되는 제1 터미널 버스바와 제2 터미널 버스바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지 모듈에 형성된 제1 벤팅부와 상기 인접 전지 모듈에 형성된 제2 벤팅부는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팅되는 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이나 전지 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차 전지를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00: 모듈 프레임
310, 320: 버스바 프레임
410, 420: 엔드 플레이트
520: 터미널 버스바
600: 모듈 커넥터
900, 910, 920: 벤팅부

Claims (10)

  1.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에 수용되고,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제1 버스바 프레임, 및
    상기 모듈 프레임에 수용되고,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후면을 커버하는 제2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 프레임에는 터미널 버스바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버스바 프레임에는 모듈 커넥터가 장착되며,
    상기 모듈 프레임에는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벤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벤팅부는 상기 터미널 버스바 보다 상기 모듈 커넥터와 더 가까이 위치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 구조이며, 상기 홀 구조는 상기 제2 버스바 프레임에 가까운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전지 모듈.
  3. 제1항에서,
    상기 터미널 버스바는, 상기 터미널 버스바가 포함된 전지 모듈에 이웃하는 다른 전지 모듈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외부 버스바와 연결되는 전지 모듈.
  4. 제1항에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제2 버스바 프레임이 위치한 방향으로 가스를 벤팅하도록 형성되는 전지 모듈.
  5. 제1항에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전지셀 적층체와 마주보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와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지 모듈.
  6. 제5항에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가스를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전지 모듈.
  7. 제1항에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전지셀 적층체 기준 상측 방향으로 벤팅되도록 형성되는 전지 모듈.
  8. 제7항에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전지셀 적층체와 연결되고,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면 상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유입구,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의 유입 및 배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지 모듈.
  9. 제1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전지셀 적층체 사이에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전지 모듈.
  10. 제1항에 따른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PCT/KR2021/017379 2020-11-26 2021-11-24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14769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10,143 US20230097757A1 (en) 2020-11-26 2021-11-24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21898595.0A EP4102634A4 (en) 2020-11-26 2021-11-24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JP2022548488A JP7502454B2 (ja) 2020-11-26 2021-11-24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CN202180018561.2A CN115210948A (zh) 2020-11-26 2021-11-24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JP2024091341A JP2024118478A (ja) 2020-11-26 2024-06-05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61480 2020-11-26
KR10-2020-0161480 2020-11-26
KR10-2021-0161637 2021-11-22
KR1020210161637A KR20220073664A (ko) 2020-11-26 2021-11-22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769A1 true WO2022114769A1 (ko) 2022-06-02

Family

ID=8175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7379 WO2022114769A1 (ko) 2020-11-26 2021-11-24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97757A1 (ko)
EP (1) EP4102634A4 (ko)
JP (2) JP7502454B2 (ko)
CN (1) CN115210948A (ko)
WO (1) WO202211476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942A (ko) * 2009-01-06 201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20120009592A (ko) * 2010-07-19 2012-02-0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140146707A (ko) * 2013-06-17 2014-12-29 세방전지(주)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JP2019160394A (ja) * 2018-03-07 2019-09-19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20200084450A (ko) * 2018-12-26 2020-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효율적인 조립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6522B2 (ja) 2009-03-02 2014-05-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JP5466906B2 (ja) * 2009-09-18 2014-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US9263713B2 (en) 2010-05-26 2016-02-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8748021B2 (en) * 2010-10-19 2014-06-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JP5461610B2 (ja) 2012-03-22 2014-04-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及び電池システム
US20160149192A1 (en) * 2013-08-08 2016-05-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unit
KR102117076B1 (ko) * 2014-03-20 2020-05-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KR101841801B1 (ko) 2014-06-11 2018-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엔드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부싱을 포함한 배터리 팩
KR101767634B1 (ko) 2014-07-31 2017-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101776853B1 (ko) * 2015-06-30 2017-09-12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056875B1 (ko) * 2015-11-10 2019-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33101B1 (ko) * 2017-09-27 2019-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364283B1 (ko) 2017-12-01 2022-02-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방열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KR102248229B1 (ko) * 2018-01-15 2021-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배출 구조가 형성된 배터리 모듈
KR102330378B1 (ko) * 2018-04-20 2021-11-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디개싱 유로를 구비한 배터리 팩
US11271272B2 (en) * 2018-10-26 2022-03-0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942A (ko) * 2009-01-06 201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20120009592A (ko) * 2010-07-19 2012-02-0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140146707A (ko) * 2013-06-17 2014-12-29 세방전지(주)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JP2019160394A (ja) * 2018-03-07 2019-09-19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20200084450A (ko) * 2018-12-26 2020-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효율적인 조립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102634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97757A1 (en) 2023-03-30
EP4102634A4 (en) 2024-07-10
JP7502454B2 (ja) 2024-06-18
CN115210948A (zh) 2022-10-18
JP2024118478A (ja) 2024-08-30
JP2023514180A (ja) 2023-04-05
EP4102634A1 (en)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0142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0256304A1 (ko) 가스배출통로를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장치
WO2022080908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201409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3282609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125469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220605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221342A1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2149961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1201408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1221415A1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126441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1075688A1 (ko) 전지 모듈 및 이을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97935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73664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54374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69127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58783A1 (ko) 배터리 팩
WO2021221351A1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1210805A1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2119186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5879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20000638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14769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5443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985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4848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17052761

Country of ref document: I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985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906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