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14349A1 -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14349A1
WO2022114349A1 PCT/KR2020/017877 KR2020017877W WO2022114349A1 WO 2022114349 A1 WO2022114349 A1 WO 2022114349A1 KR 2020017877 W KR2020017877 W KR 2020017877W WO 2022114349 A1 WO2022114349 A1 WO 20221143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oy
information
fishing
loss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8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기선
곽명신
스타핏프라네쉬
김민석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WO20221143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143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05Circuits arrangements for indicat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ket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센서나 전자 회로를 추가 설치할 필요없이 부이에 내장되어 있는 센서와의 통신 기능, 관리 선박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부이와 어구 등의 어업 도구에 대한 도난 또는 유실 상태를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전파 음영 지역에서는 사설 로라망을 통해 부이, 어선, 관리 선박과 통신채널을 형성함으로써 통신 연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어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상태를 알리기 위한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어구는 수중에서 직접 어류와 같은 대상물을 포획 또는 채취하는 데 쓰이는 도구이다. 그리고 해상의 어장에 설치되는 어구들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부표(浮標)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활용하고 있다.
부표는 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로 된 표시 수단으로서, 부이(buoy) 또는 부구(浮具)라고도 하며, 어구에 연결되어 어구의 위치를 표시한다. 부표를 이용하는 경우에 GPS 방식에 비해서 저비용으로 어구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데에 반하여, 작업자가 부표를 이용하여 어구의 위치를 일일이 확인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또한 육안으로는 정확한 파악이 힘들다.
한편, GPS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부표에 의한 방식에 비해 어구에 장착된 GPS 모듈을 통하여 어구의 위치를 원거리에서 수월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고가의 GPS 모듈을 이용함으로 인한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어구가 유실되어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면, 어구와 함께 GPS 모듈이 가라앉게 되어 유실된 어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어구에 장착된 부표나 GPS 모듈은 단순히 어구의 위치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할 뿐 그 외 정보, 예컨대 어구가 설치된 지역의 해수 온도, 유속, 풍속, 기온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해상에 나가지 않는 이상 해상에 설치된 어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수압을 모니터링하고 수압센서, 어구와 연결된 밧줄의 압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력 센서, 부이의 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를 장착하고 있는 부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센서들이 장착된 부이는 기설정된 값과 센서 정보를 비교하여 어구의 유실과 도난을 감지하고 있지만, 다양한 센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 제어회로 등의 전자시스템이 별도로 설치되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되고, 빠른 시간 내에 설치해야 하는 어구 특성상 유실 방지를 위한 밧줄과 장력 센서 등의 설치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부이를 이용한 어구 도난 및 유실을 감지하는 방법은 어구 사용자가 부이를 이용할 경우에도 도난 알람이 빈번하게 동작할 수 있어 사용자나 관리자에게 오작동 해제 등의 불필요한 작업이 요구되고, 오동작이 잦은 도난 알람의 경우에 정확한 상황 판단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부이와 어구 등의 어업 도구에 대한 도난 또는 유실 상태를 인지하여 알람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중에 설치되는 어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제공하며, 자신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부이(Buoy);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이에 자신의 어구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부이와 통신하여 자신의 부이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자신의 어선 식별 정보, 자기 어선 위치 정보, 자기 어구 식별 정보 및 자기 부이 위치 정보를 포함한 어선 정보를 제공하는 어선용 단말장치; 및 기 설정된 관할 지역 내 어구 또는 어선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어선용 단말장치 또는 부이와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여, 상기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이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이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속도 범위를 벗어나면 예비 부이 유실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의 발생에 따라 상기 어선 위치 정보와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어선과 부이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어구 작업 반경을 벗어난 경우에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를 제공하는 육상 관제 센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육상 관제 센터는,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가 발생된 이후에, 상기 어선 위치 정보와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어선과 부이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어구 작업 반경 이내인 경우에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의 발생을 해제하고, 조류에 따른 부이 위치 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육상 관제 센터는, 상기 부이로부터 기설정시간 동안 수중 온도 정보와 수상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중 온도 정보와 수상 온도 정보의 각 평균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이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부이, 어선용 단말 장치 및 관할 지역 내 부이 또는 어구의 관리를 포함한 어업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을 위해 상용(Public) 로라망(Low Power Wide Area, LoRa)을 통해 메인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전파 음영 지역에서 상기 상용 로라망과의 메인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사설 로라망(Private LoRa)을 통해 서브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부이, 어선용 단말 장치 및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는 트래픽 요청에 대한 긍정/부정 응답신호(Ack/Nck)를 통해 통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메인 통신 채널을 통해 기 설정된 수신확인시간 동안에 긍정 응답(Ack)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인 통신 채널에 대한 통신 단절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사설 로라망을 통한 서브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이를 이용하여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방법은,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이에 자신의 어구 식별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어선용 단말 장치, 기 설정된 관할 지역 내 어구 또는 어선에 대한 관리하는 육상 관제 센터 및 부이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육상 관제 센터는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부이 위치 정보 또는 센싱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이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부이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속도 범위를 벗어나면 예비 부이 유실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 및 c)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의 발생에 따라 어선 위치 정보와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어선과 부이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어구 작업 반경을 벗어난 경우에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어선용 단말 장치 또는 육상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가 발생된 이후에, 상기 어선과 부이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어구 작업 반경 이내인 경우에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의 발생을 해제하고, 조류에 따른 부이 위치 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부이로부터 기설정시간 동안 수중 온도 정보와 수상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중 온도 정보와 수상 온도 정보의 각 평균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이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중 온도 정보와 수상 온도 정보의 각 평균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에, 기 설정된 과거 시간의 수중 온도의 평균값을 불러와 현재 수중 온도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예비 부이 유실 정보를 발생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별도의 센서나 전자 회로를 추가 설치할 필요없이 부이에 내장되어 있는 센서와의 통신 기능, 관리 선박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부이와 어구 등의 어업 도구에 대한 도난 또는 유실 상태를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기존에 밧줄과 장력센서 등의 설치 작업이 필요 없어져 어구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파 음영 지역에서는 사설 로라망을 통해 부이, 어선, 관리 선박과 통신채널을 형성함으로써 통신 연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이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파 음영 지역에서의 통신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 또는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의 유선 통신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은 부이(100), 어선용 단말 장치(200),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 및 육상 관제 센터(400)을 포함한다.
부이(100)는 자망 등의 어구마다 일정 간격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제공하며, 자신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부이는 온도 센서, 가속도 센서, 물감지 센서, 음향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선용 단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이(100)에 자신의 어구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부이(100)와 통신하여 자신의 부이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자신의 어선 식별 정보, 자기 어선 위치 정보, 자기 어구 식별 정보 및 자기 부이 위치 정보를 포함한 어선 정보를 제공한다.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는 육상 관제 센터(400)로부터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가 전송되면, 어구 스캐닝을 통해 유시된 어구를 회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는 어업 지도 또는 어업 단속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관할하는 어선 위치와 부위 위치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육상 관제 센터(400)는 기 설정된 관할 지역 내 어구 또는 어선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어선용 단말 장치(200)와 부이(100)와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여, 부이(100) 또는 어구의 도난이나 유실 여부를 감지하여 어선용 단말 장치(200) 또는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에 알려준다.
한편, 어선용 단말 장치(200)는 어선용 무선 노드(210)와 어선용 제어기(220)를 포함하고,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는 관리 선박용 무선 라우터(310)와 관리 선박용 제어기(320)를 포함한다. 어선용 무선 노드(210)는 LoRa 기반의 게이트웨이로서, 어선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10Km)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부이(100)와 통신 채널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또한, 관리 선박용 무선 라우터(310)는 부이(100), 어선용 단말 장치(200), 육상 관제 센터(400)와 LoRa 기반 무선 중계 통신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어선용 제어기(220)와 관리 선박용 제어기(320)는 일반적인 의미의 서버용 컴퓨터 본체일 수 있고, 그 외에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선용 제어기(220)와 관리 선박용 제어기(320)는 각각 통신 모듈(미도시), 메모리(미도시), 프로세서(미도시) 및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육상 관제 센터(400)는 어선용 제어기(220) 또는 관리 선박용 제어기(320) 내 INS((Intelligent Navigation System), IMIT(Integrated Maritime Information Technology), MEIS(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등에서 운용되는 정보와 같은 통합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선박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육상 관제 센터(400)는 육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이의 위치를 파악하고,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 또는 어선용 단말 장치(200)와 통신하여 육상과 관리선박, 어선 간의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기상 정보와 해양상태 정보 등을 선박에 제공하고, 선박의 통합 정보를 수신하여 육상에서 선박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관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육상 관제 센터는 선박에 무선통신(위성, 무선통신 모뎀 등)을 통해 수신된 선박의 상태를 표시하며, 선박으로 MEIS 기상정보와 제어명령 등을 전송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이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부이(100)는 전원 모듈(110), 센서 모듈(120), GPS 수신모듈(130), 통신 모듈(140), 제어 모듈(150)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원 모듈(110)은 부이(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 모듈(110)은 통신 모듈(140)을 통해 어선용 단말 장치(200) 또는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
센서 모듈(120)은 온도 센서, 가속도 센서, 음향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에서 감지된 센서 정보를 제공한다.
GPS 수신 모듈(130)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부이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GPS 수신 모듈(130)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의 신호를 수신하여 높은 정확도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0)은 전파 상태에 따라 상용 LoRa와 사설 LoRa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어선용 단말 장치(200),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 육상 관제 센터(4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0)은 어선용 무선 노드(210) 또는 관리 선박용 무선 라우터(310)를 LoRa 기반의 통신망에 연결할 수 있다.
표시등(170)은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부이의 위치를 육안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경광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은 메모리(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이(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60)에는 부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부이(100)의 식별 정보, 제어 정보 등이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파 음영 지역에서의 통신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이(100), 어선용 단말 장치(200),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와 육상 관제 센터(400)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을 위해 LoRa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때, 육상 관제 센터(400)는 부이(100), 어선용 단말 장치(200) 및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와 상용(Public) 로라망(Low Power Wide Area, LoRa)을 통해 메인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따라서, 육상 관제 센터(400)는 메인 통신 채널을 통해 부이(100)로부터 자기 위치 및 어구 정보를 보고받을 수 있고, 각 부이(100)별 부이 제어신호를 부이(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육상 관제 센터(400)는 메인 통신 채널을 통해 어선용 무선 노드(210)로부터 자기 소유 부이 위치 정보와 어구 정보를 수신하고,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육상 관제 센터(400)는 관리 선박용 무선 라우터(310)로 관리 선박의 관할 지역 내 모든 부이 및 어구 정보,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선박의 단말기(320)는 육상 관제센터(400)서 판별 결과(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 등)를 상용 LTE(CAT. M1)를 통해 통보받을 수 있다.
그러나, 부이(100), 어선용 무선노드(210), 관리 선박용 무선 라우터(310)는 전파 음영 지역에서 상용 로라망을 통한 메인 통신 채널의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사설 로라망(Private LoRa)을 통해 서브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부이(100), 어선용 단말 장치(200) 및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는 트래픽 요청에 대한 긍정/부정 응답신호(Ack/Nck)를 통해 통신 상태를 판단하는데, 통신 상태가 양호할 경우에 메인 통신 채널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지만, 메인 통신 채널을 통해 기 설정된 수신확인시간 동안에 긍정 응답(Ack)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메인 통신 채널에 대한 통신 단절 상태로 판단하고, 사설 로라망을 통한 서브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부이(100), 어선용 단말 장치(200) 및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는 전파 상태에 따라 상용 로라망과 사설 로라망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통신 연결함으로써 통신 속도와 통신 연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방법은, 부이(100), 어선용 단말 장치(200),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 및 육상 관제 센터(400)는 LoRa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S11).
육상 관제 센터(400)는 관할 지역 내 부이 위치 정보와 어선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S12), 획득한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이 속도를 측정한다(S13). 즉, 육상 관제 센터(400)는 D1 지점에서의 부이 위치 정보, t1 시간 이후에 D2 지점에서의 부이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부이 속도(Vb)는 이동한 거리(D2-D1)를 소요된 시간(t1)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육상 관제 센터(400)는 부이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속도 범위(3m/s)보다 크면(S14), 1차적으로 부이가 도난 또는 유실된 상황으로 판단하고 예비 부이 유실 정보를 발생한다(S15).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는 부이 속도가 기준 속도 범위 이하인 경우에 지속적으로 부이 또는 어구의 도난 또는 유실 상황을 인지하기 위해 통신 채널을 통해 부이 위치 정보와 어선 정보를 획득한다.
육상 관제 센터(400)는 예비 부이 유실 정보의 발생에 따라 어선 위치 정보와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어선과 부이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어구 작업 반경(대략 500m)을 벗어난 경우에(S17), 최종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를 생성하여 어선용 단말 장치(200) 또는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S18).
만일, 육상 관제 센터(400)는 예비 부이 유실 정보가 발생된 이후에, 현재 어선과 부이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어구 작업 반경 이내인 경우에(S17), 선박이 현재 작업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예비 부이 유실 정보의 발생을 해제하고, 조류에 따른 부이 위치 변화 정보임을 알린다(S18).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부이(100), 어선용 단말 장치(200),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 및 육상 관제 센터(400)는 LoRa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S21).
육상 관제 센터(400)는 부이(100)의 센서 모듈(120)로부터 수중 온도 정보와 수상 온도 정보를 주기적(대략 1분 정도)으로 수집한다(S22).
일정 시간(대략 5시간 정도) 동안 수집된 수중 온도(Ts)와 수상 온도(Ta)의 평균값(Ts-avg, Ta-avg)을 각각 계산하고(S23), 각 계산된 평균값(Ts-avg, Ta-avg)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부이 속도(Vb)를 측정한다(S24, S25). 이때, 오차 범위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고, 기계학습 기반의 알고리즘 또는 일정 기간 동안의 실험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수중 온도와 수상 온도의 오차 범위를 학습하기 위해 해양기상관측자료 조회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중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상청을 통해 수상 온도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고, CNN 등의 기계학습 기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간별 수중 온도와 수상 온도의 평균값의 차이를 저장하여 오차범위의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부이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속도 범위(3m/s)를 벗어나면(S26), 예비 부이 유실 정보를 발생하여 부이(100)가 물밖으로 나온 것으로 의심되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부이 위치 정보와 어선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이(100)와 어선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S27). 부이(100)에 물감지 센서가 장착된 경우에, 육상 관제 센터(400)는 물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부이가 물밖으로 나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이에 물감지 센서를 별도로 장착해야 하므로, 물감지 센서가 없더라도 부이가 기본적으로 내장하고 있는 S22~S25 단계는 온도 센서를 활용하여 부이가 현재 수중에 있는지, 물밖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육상 관제 센터(400)는 부이와 어선 간의 거리가 어구 작업 반경을 초과하면(S28), 최종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선박용 단말장치(300), 어선용 단말 장치(200) 또는 관리자 단말로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를 알려준다(S29). 육상 관제 센터(400)는 부이와 어선 간의 거리가 어구 작업 반경 이내이면 현재 어선이 작업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육상 관제 센터(400)는 각 계산된 평균값(Ts-avg, Ta-avg)이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S24), 과거 3일 동안 같은 시간대에 수중 온도의 평균값(TPast(s-avg))을 계산한다(S30).
육상 관제 센터(400)는 TPast(s-avg)와 Ts-avg의 차이가 오차 범위('1')를 벗어나면(S31), 부이와 어선 간의 거리가 어구 작업 반경을 초과하면(S28), 최종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300), 어선용 단말 장치(200) 또는 관리자 단말로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를 알려준다(S29). 육상 관제 센터(400)는 부이와 어선 간의 거리가 어구 작업 반경 이내이면 현재 어선이 작업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도 5의 S11 내지 S19, 도 6의 단계 S21 내지 S3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특허는 2020년도 대한민국 정부(해양수산부)의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 결과입니다(과제 고유번호: 1525010117, 과제번호 : 201703882 과제명: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Claims (9)

  1. 수중에 설치되는 어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제공하며, 자신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부이(Buoy);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이에 자신의 어구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부이와 통신하여 자신의 부이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자신의 어선 식별 정보, 자기 어선 위치 정보, 자기 어구 식별 정보 및 자기 부이 위치 정보를 포함한 어선 정보를 제공하는 어선용 단말장치; 및
    기 설정된 관할 지역 내 어구 또는 어선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어선용 단말장치 또는 부이와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여, 상기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이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이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속도 범위를 벗어나면 예비 부이 유실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의 발생에 따라 상기 어선 위치 정보와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어선과 부이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어구 작업 반경을 벗어난 경우에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를 제공하는 육상 관제 센터를 포함하는 것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관제 센터는,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가 발생된 이후에, 상기 어선 위치 정보와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어선과 부이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어구 작업 반경 이내인 경우에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의 발생을 해제하고, 조류에 따른 부이 위치 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관제 센터는,
    상기 부이로부터 기설정시간 동안 수중 온도 정보와 수상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중 온도 정보와 수상 온도 정보의 각 평균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이 속도를 측정하는 것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 어선용 단말 장치 및 관할 지역 내 부이 또는 어구의 관리를 포함한 어업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을 위해 상용(Public) 로라망(Low Power Wide Area, LoRa)을 통해 메인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전파 음영 지역에서 상기 상용 로라망과의 메인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사설 로라망(Private LoRa)을 통해 서브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 어선용 단말 장치 및 관리 선박용 단말 장치는 트래픽 요청에 대한 긍정/부정 응답신호(Ack/Nck)를 통해 통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메인 통신 채널을 통해 기 설정된 수신확인시간 동안에 긍정 응답(Ack)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인 통신 채널에 대한 통신 단절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사설 로라망을 통한 서브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6. 부이를 이용하여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이에 자신의 어구 식별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어선용 단말 장치, 기 설정된 관할 지역 내 어구 또는 어선에 대한 관리하는 육상 관제 센터 및 부이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육상 관제 센터는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부이 위치 정보 또는 센싱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이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부이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속도 범위를 벗어나면 예비 부이 유실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 및
    c)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의 발생에 따라 어선 위치 정보와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어선과 부이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어구 작업 반경을 벗어난 경우에 부이 또는 어구의 유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어선용 단말 장치 또는 육상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가 발생된 이후에, 상기 어선과 부이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어구 작업 반경 이내인 경우에 상기 예비 부이 유실 정보의 발생을 해제하고, 조류에 따른 부이 위치 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부이로부터 기설정시간 동안 수중 온도 정보와 수상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중 온도 정보와 수상 온도 정보의 각 평균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부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이 속도를 측정하는 것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중 온도 정보와 수상 온도 정보의 각 평균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에, 기 설정된 과거 시간의 수중 온도의 평균값을 불러와 현재 수중 온도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예비 부이 유실 정보를 발생하는 것인,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방법.
PCT/KR2020/017877 2020-11-25 2020-12-08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11434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489A KR102296978B1 (ko) 2020-11-25 2020-11-25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0-0160489 2020-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349A1 true WO2022114349A1 (ko) 2022-06-02

Family

ID=7777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877 WO2022114349A1 (ko) 2020-11-25 2020-12-08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61910A1 (ko)
KR (1) KR102296978B1 (ko)
WO (1) WO2022114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6625A1 (en) * 2018-07-06 2020-01-09 Navcas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essel activity
KR20230083591A (ko) * 2021-12-03 2023-06-12 광주과학기술원 어구의 유실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유실된 어구의 위치를 추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5151132B (zh) * 2022-05-25 2023-08-18 广东逸动科技有限公司 捕鱼方法、捕鱼装置、渔船、捕鱼系统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845B1 (ko) * 2016-12-07 2018-05-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구통합관리시스템
KR20180131523A (ko) * 2018-11-29 2018-12-1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동적으로 채널을 변경하는 루트 단말
KR20200009450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실러캔스 어망 감시용 부표의 위치 확인 및 이 부표를 이용한 적조의 확산 예측 방법
KR102085630B1 (ko) * 2018-04-18 2020-03-06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광역통신 기반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0608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알씨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 기반의 어구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845B1 (ko) * 2016-12-07 2018-05-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구통합관리시스템
KR102085630B1 (ko) * 2018-04-18 2020-03-06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광역통신 기반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9450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실러캔스 어망 감시용 부표의 위치 확인 및 이 부표를 이용한 적조의 확산 예측 방법
KR20200050608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알씨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 기반의 어구관리시스템
KR20180131523A (ko) * 2018-11-29 2018-12-1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동적으로 채널을 변경하는 루트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978B1 (ko) 2021-09-01
US20220161910A1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14349A1 (ko)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8845B1 (ko) 어구통합관리시스템
KR100860616B1 (ko) 항로표지 관리 시스템
KR101896000B1 (ko) 해상에 포설된 어구 모니터링 시스템, iot 부표, iot 마스터 부표, iot 게이트웨이 부표
WO2019231199A1 (ko) 위치 추적기의 상황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한 저전력 iot 통신 기반 지오펜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49535B1 (ko) 어망 감시 시스템
WO2012044100A2 (ko) 무선통신 모뎀을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8953B1 (ko) 레저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WO2013105706A1 (ko) 어망관리 시스템
WO2014092237A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해상환경 실시간 감시 시스템
WO2020045798A1 (ko) 해상조난구조용 신호장치 및 해상조난구조용 감시장치
CN111899461A (zh) 一种船舶航行监测系统
KR101353387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통신 구조물 안전상태 감시 시스템
WO2015194911A1 (ko) 무선주파수 인식 방식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6482781A (zh) 一种海洋浮式平台原型测量系统
KR101920707B1 (ko) 영상정보 기반의 스마트 항적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생성방법
CN206537455U (zh) 一种浮标碰撞检测系统
KR102632312B1 (ko) 해상풍력 발전단지 내 해상활동 관리 및 감시 시스템
WO2015194912A1 (ko)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027388A1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6579798U (zh) 一种实现碰撞检测的浮标
CN209746773U (zh) 一种基于nb无线通讯的电缆井盖监控系统
KR200435225Y1 (ko) 항로표지 관리 시스템
WO2023101406A1 (ko) 어구의 유실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유실된 어구의 위치를 추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2114350A1 (ko) 해상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637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2/09/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637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