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08016A1 - 터널모듈을 이용한 수중터널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 - Google Patents

터널모듈을 이용한 수중터널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08016A1
WO2022108016A1 PCT/KR2021/006561 KR2021006561W WO2022108016A1 WO 2022108016 A1 WO2022108016 A1 WO 2022108016A1 KR 2021006561 W KR2021006561 W KR 2021006561W WO 2022108016 A1 WO2022108016 A1 WO 20221080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w tunnel
tunnel module
launching girder
fastening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65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진병무
김제춘
김유석
김웅구
배경태
김경오
서경원
김용직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US18/030,59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83493A1/en
Publication of WO20221080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080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73Tunnels or shuttering therefor assembled from sections individually sunk onto, or laid on, the water-bed, e.g. in a preformed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7Tunnels or shuttering therefor preconstructed as a whole or continuously made, and moved into place on the water-bed, e.g. into a preformed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Definitions

  • Fig. 5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3;
  • the underwater tunnel is constructed by sequentially proceeding the operations described in A) to D) below in a state in which a launching girder capable of advancing forward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main construction body of the underwater tunnel. .
  • the combining operation of the new tunnel module for coupling the new tunnel module 200 to the pre-construction body part 100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launching girder 1 and the subsequent advancing operation of the launching girder are to be performed by the following process.
  • the new tunnel module 200 is brought into the launching girder 1 .
  • the new tunnel module 200 is pushed rearward, and the new tunnel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pre-construction body part 100 .
  • the launching girder is advanced forward.
  • a new tunnel module made of precast members is brought into the advanced launching girder again.
  • the underwater tunnel is constructed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 the launching girder 1 When the pinion member 32 moves backward, the launching girder 1 is already firm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pore body part 100 so that it cannot be moved, and the rack member 31 is attached to the launching girder 1 . It is fixed in one piece. Therefore, when the pinion member 32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he fastening arm 33 is fastened with the arm fastening jig 34, the launching girder 1 itself acts as a reaction force support point. Accordingly, the pinion member 32 moves backward along the rack member 31 to push the new tunnel module 200 toward the front end of the pore body part 100 . When the new tunnel module 200 is placed on the movement guide 2 , the new tunnel module 200 can be pushed backward very easi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런칭 거더를 전방 이동시켜가면서 기시공 본체부의 단부에 신규 터널모듈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수중터널을 시공하되, 가이드 케이블을 이용하여 신규 터널모듈을 개방구까지 가라앉혀서 런칭 거더의 내부로 반입하여 수중터널을 시공하는 방법과, 이러한 시공방법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널모듈을 이용한 수중터널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
본 발명은 차량이나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는 수중터널을 시공하는 방법과, 이러한 시공방법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연구과제(과제고유번호 2017R1A5A1014883/ 관리기관 : 한국연구재단)의 연구과제(명칭 : 스마트 수중 터널 시스템 연구센터)의 연구결과에 해당한다.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위하여 수중터널을 시공하는 종래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7795호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수중터널을 시공하는 또다른 방법으로서, 런칭 거더(Launching Girder)와 터널모듈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런칭 거더는 이미 설치된 기시공 본체부의 단부에 전방으로의 전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터널모듈은 함체(函體)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아래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 신규 터널모듈을 런칭 거더의 내부공간으로 반입하는 작업;
- 신규 터널모듈을 런칭 거더 내부에서 기시공 본체부의 단부에 결합하는 작업;
- 결합이 완료된 신규 터널모듈의 전방으로 런칭 거더를 전진시키는 작업;
- 상기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작업.
상기한 과정에서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신규 터널모듈을 런칭 거더의 내부로 반입하는 작업이다. 신규 터널모듈은 수면에 부유한 형태 또는 수면 부근의 수중에 잠겨 있는 상태로 현장에 이송된다. 현장으로 이송된 신규 터널모듈을 안전하게 물속에 가라앉혀서 런칭 거더의 개방구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어서 정렬하는 작업과, 후속하여 신규 터널모듈을 런칭 거더의 내부공간으로 반입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신규 터널모듈은 런칭 거더의 내부공간으로 반입하는 작업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신규 터널모듈을 이용하여 수중터널을 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규 터널모듈을 수중으로 반입하여 런칭 거더의 내부로 반입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신규 터널모듈을 런칭 거더의 내부로 반입하는 작업을 잠수부의 투입을 최소화시킨 상태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터널모듈을 런칭 거더의 내부에서 기시공 본체부의 단부에 결합 설치하는 작업, 및 결합작업이 완료된 신규 터널모듈의 전방으로 런칭 거더를 전진시키는 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런칭 거더를 기시공 본체부의 전방단부에 결합 설치한 상태에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신규 터널모듈을 현장으로 이송하고, 신규 터널모듈을 수중으로 침설시켜서 개방구를 통해서 런칭 거더의 내부 공간으로 반입하여 기시공 본체부의 단부에 결합 설치하고, 런칭 거더를 전방 이동시키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 수중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중터널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어 구축된 수중터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로 정밀하게 제작된 신규 터널모듈을 런칭 거더의 내부공간에서 순차적으로 서로 일체 연결되는 형태로 수중터널을 구축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신규 터널모듈을 가이드 케이블을 따라 안정적으로 수중에서 하강시켜서 런칭 거더의 내부공간으로 반입하게 된다. 따라서 신규 터널모듈이 런칭 거더에 이르는 동안에 조류(潮流)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방해 요소가 발생하더라도 신규 터널모듈이 안정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개방구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터널모듈이 안전하게 런칭 거더의 내부공간에 반입되며, 잠수부의 투입을 종래에 비하여 월등히 축소시킬 수 있어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중터널이 진행해가는 노선의 방향 및 위치에 맞추어서 런칭 거더를 정확히 설치하고 런칭 거더의 내부에서 신규 터널모듈을 연속하여 연결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터널이 곡선형태로 진행하는 노선을 가지고 있더라도 설계된 곡선형태의 노선에 부합되도록 수중터널을 시공하면서도 수중터널의 시공상의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시공 본체부의 계류 수단을 철거한 후 재설치하는 작업 이나 기타 별도의 추가 작업이 필요 없으며, 그에 따라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종방향의 수중터널 연속 구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에 따라 기시공 본체부의 전방단부에 런칭 거더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횡방향으로 바라본 형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신규 터널모듈이 매달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종방향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이송장치와 상승부유체 및 가이드 케이블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종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승하강 체결부재과 신규 터널모듈이 하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이다.
도 10은 신규 터널모듈이 런칭 거더의 내부공간에 반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9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라 런칭 거더가 설치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종방향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런칭 거더의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신규 터널모듈이 런칭 거더의 내부에 반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각각 도 1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각각 도 21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 2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입견인장치가 프리캐스트 터널모듈에 결합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7은 압입견인장치만을 발췌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수중터널이 연장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한다. 수중터널에서 신규 터널모듈이 접합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기재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기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횡방향"은 종방향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으로의 전진이 가능한 런칭 거더(Launching Girder)가 수중터널의 기시공 본체부 단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아래의 A)부터 D)에 기재된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수중터널이 시공된다.
A) 신규 터널모듈의 반입작업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신규 터널모듈을 수중에 가라앉혀서 런칭 거더의 내부공간으로 반입하는 작업.
B) 신규 터널모듈의 결합작업 : 런칭 거더의 내부공간으로 반입된 신규 터널모듈을 후방으로 밀어서 기시공 본체부의 단부에 신규 터널모듈을 결합하는 작업.
C) 런칭 거더의 전진작업; 신규 터널모듈의 전방으로 런칭 거더를 전진시키는 작업.
D) 상기한 A)작업부터 C)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작업.
도 1에는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에 런칭 거더(1)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횡방향으로 바라본 형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는 터널모듈의 시공이 완료된 구간의 끝단이다.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에는 런칭 거더(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런칭 거더(1)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조체이다. 런칭 거더(1)의 후방단부는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에 결합 설치된다.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 단부는 런칭 거더(1)의 후방단부를 통해서 런칭 거더(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형태로 런칭 거더(1)가 기시공 본체부(100)의 단부에 설치된다.
런칭 거더(1)의 후방 단부에는 변환결합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 단부가 런칭 거더(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변환결합장치의 작동 ON/OFF에 의해 런칭 거더(1)가 "이동불능 상태"로 고정되거나 또는 체결이 해제되어 런칭 거더(1)가 전방으로 "이동가능 상태"로 된다. 변환결합장치는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런칭 거더(1)에는 개방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신규 터널모듈(200)은 개방구(15)를 통해서 런칭 거더(1)의 내부로 반입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구(15)의 횡방향 양측에는 각각 케이블 보빈(40)이 결합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 보빈(40)에는 가이드 케이블(4)이 감겨져 있다. 케이블 보빈(40)은 복수개로 구비된다. 가이드 케이블(4)의 상단에는 상승부유체(41)가 결합되어 있다. 상승부유체(41)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개방구(15)의 횡방향 일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가이드 케이블(4)의 상단 전부가 1개의 상승부유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케이블(4)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상승부유체(41)가 상단에 결합 구비될 수도 있다. 케이블 보빈(40)으로부터 가이드 케이블(4)이 풀리게 되면 상승부유체(41)는 상승하여 개방구(15)의 연직 위쪽에서 수면에 또는 수면 부근의 수중에 부유(浮游)하게 된다.
신규 터널모듈(20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사전 제작된다. 신규 터널모듀(200)은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중공(中空)을 가지도록 육상 내지 선박 위에서 함체(函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신규 터널모듈(200)은 폰툰을 구비한 이송장치(6)에 매달려서 수중으로 가라앉게 된다. 신규 터널모듈(200)은 개방구(15)를 통해서 런칭 거더(1)의 내부 공간으로 반입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6)에 신규 터널모듈(200)이 매달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종방향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송장치(6)는 폰툰(60)과 승하강 체결부재(61)를 포함한다. 폰툰(60)은 수면에 부유하는 부재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폰툰(60)은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폰툰(60)이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폰툰(60)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작업데크(62)가 배치되어 있다. 작업데트(62)와 2개의 폰툰(60)이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승하강 체결부재(61)는 침설(沈設) 와이어(wire)(7)에 의해 폰툰(60)에 매달려 있다. 승하강 체결부재(61)는 신규 터널모듈(200)과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승하강 체결부재(61)는 침설 와이어(7)의 이완에 의해 하강한다.
작업데크(62)에는 모터(M)가 구비되어 있다. 모터(M)는 침설 와이어(7)를 당기거나 풀어준다. 침설 와이어(7)는 그 일단이 모터(M)에 결합되고 타단은 작업데크(62)의 아래쪽으로 연직하게 늘어뜨려져 있다. 침설 와이어(7)의 타단은 승하강 체결부재(61)와 결합되어 있다. 모터(M)의 작동에 의해 침설 와이어(7)가 당겨지면 승하강 체결부재(61)가 상승하게 된다. 모터(M)의 작동에 의해 침설 와이어(7)가 늘어뜨려지면 승하강 체결부재(61)가 하강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업데크(62)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M)에 결합된 침설 와이어(7)가 관통부를 관통한다.
승하강 체결부재(61)는 신규 터널모듈(200)과 체결되는 부재이다. 신규 터널모듈(200)을 침설시킬 때에는 승하강 체결부재(61)와 신규 터널모듈(200)는 서로 결합되어 있어서, 신규 터널모듈(200)이 승하강 체결부재(61)의 아래에 매달려 있게 된다. 신규 터널모듈(200)이 런칭 거더(1)의 내부공간에 반입 완료된 후에는 승하강 체결부재(61)와 신규 터널모듈(200)이 서로 분리된다. 이러한 승하강 체결부재(61)와 신규 터널모듈(200)과의 결합 및 분리는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승하강 체결부재(61)는 필요에 따라 가이드 케이블(4)과 체결 내지 분리된다. 승하강 체결부재(61)는 가이드 케이블(4)과 체결된 채로 승하강한다. 이를 위해서 승하강 체결부재(61)에는 가이드 케이블(4)이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공(610)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케이블(4)이 케이블 관통공(610)에 쉽게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케이블 관통공(610)은 승하강 체결부재(61)의 측면까지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이드 케이블(4)이 승하강 체결부재(61)의 측면에서부터 끼워져서 승하강 체결부재(61)를 관통한 상태로 케이블 관통공(610)에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 케이블(4)이 케이블 관통공(610)로부터 원하지 않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핀(611)이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공(610)에는 가이드 케이블(4)이 측면에서부터 끼워지는 개방부분이 존재한다. 차단핀(611)은 케이블 관통공(610)의 개방부분에 설치되어 케이블 관통공(610)의 개방부분을 개폐(開閉)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승하강 체결부재(61)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승하강 체결부재(61)는 복수개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케이블 관통공(610)은 승하강 체결부재(61)의 횡방향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신규 터널모듈(200)은 폰툰(60)을 구비한 이송장치(6)에 매달린 상태로 있다. 신규 터널모듈(200)은 승하강 체결부재(61)와 체결되어 승하강 체결부재(61)의 하면에서 수중에 위치한다. 그리고 승하강 체결부재(61)는 침설 와이어(7)에 의해 작업데크(62) 및 폰툰(60)에 매달려 있다.
도 6에는 신규 터널모듈(200)이 매달려 있는 이송장치(6)가 가이드 케이블(4)의 상승부유체(41)가 부유하고 있는 위치에서 도달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종방향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런칭 거더(1)의 개방구(15) 양측에서부터 가이드 케이블(4)이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 케이블(4)에는 상승부유체(41)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승부유체(41)는 개방구(15)의 직상부 또는 그 부근에서 수면 또는 수면 부근의 수중에 부유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송장치(6)의 승하강 체결부재(61)에 신규 터널모듈(200)이 체결되어 매달려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의 이송장치(6)가 개방구(15)의 직상부 내지 그 부분의 현장 수면으로 다가오면 상승부유체(41)와 만나게 된다. 이 때, 자동으로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승부유체(41)를 이송장치(6)에 고정시킨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상승부유체(41)를 이송장치(6)의 폰툰(60)에 밀착시켜서 그 횡방향 측면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하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승부유체(41)를 이송장치(6)에 고정하는 작업의 전,후 또는 그와 병행하여 승하강 체결부재(61)를 가이드 케이블(4)과 체결한다. 즉, 가이드 케이블(4)이 승하강 체결부재(61)의 케이블 관통공(610)에 끼워져서 관통하게 만드는 것이다.
후속하여 이송장치(6)에 설치된 모터(M)를 작동시켜서 침설 와이어(7)를 연직하게 늘어뜨린다. 그에 따라 승하강 체결부재(61) 및 그와 결합되어 있는 신규 터널모듈(200)이 하강하게 된다. 가이드 케이블(4)이 승하강 체결부재(61)의 케이블 관통공(610)에 끼워져 관통되어 있으므로 승하강 체결부재(61)는 가이드 케이블(4)과 체결된 채로 가이드 케이블(4)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도 9에는 도 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승하강 체결부재(61)와 신규 터널모듈(200)이 하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가이드 케이블(4)의 하단은 런칭 거더(1)의 개방구(15) 횡측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승하강 체결부재(61)와 신규 터널모듈(200)은 가이드 케이블(4)이 연장된 방향으로 가이드 케이블(4)을 따라 하강하여 런칭 거더(1)의 개방구(15)에 이르게 된다. 신규 터널모듈(200)이 개방구(15)에 도달한 후에는 개방구(15)를 통해서 런칭 거더(1)의 내부공간으로 반입된다. 도 10에는 도 9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신규 터널모듈(200)이 런칭 거더(1)의 내부공간에 반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신규 터널모듈(200)이 런칭 거더(1)의 내부공간에 반입된 후에는, 신규 터널모듈(200)과 승하강 체결부재(61)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서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이송장치(2)에 설치된 모터(M)를 작동시켜서 침설 와이어(7)를 감아서 위로 당김으로써 승하강 체결부재(61)만을 상승시킨다. 이 때 가이드 케이블(4)은 승하강 체결부재(61)의 케이블 관통공(610)에 관통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1에는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신규 터널모듈(200)과 승하강 체결부재(61)를 분리시키고 승하강 체결부재(61)를 수면부근까지 상승시키는 상태를 보여준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신규 터널모듈(200)이 침설 와이어(7)에 의해 하강하여 런칭 거더(1)의 개방구(15)를 통해서 런칭 거더(1)의 내부공간으로 반입될 때, 신규 터널모듈(200)은 가이드 케이블(4)을 따라 가면서 하강하게 된다. 즉, 개방구(15)의 위치에서 가이드 케이블(4)로 런칭 거더(1)와 이송장치(6)를 서로 연결시켜둔 상태에서, 가이드 케이블(4)을 따라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하강시키는 것이다.
침설 와이어(7)가 이완되어 늘어뜨려지면 신규 터널모듈(200)은 대체적으로 연직하게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런칭 거더(1)는 상당한 수심에 위치하고 수중에는 조류 등과 같이 신규 터널모듈(200)의 연직 하강을 방해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단지 개방구(15)의 연직 위치에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자중에 의해 하강시키는 것만으로는 신규 터널모듈(200)의 연직하강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신규 터널모듈(200)을 런칭 거더(1)의 개방구(15)로 안전하게 반입하는 것도 보장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런칭 거더(1)의 개방구(15) 위치에서 가이드 케이블(4)로 런칭 거더(1)와 이송장치(6)를 서로 연결시켜두고, 신규 터널모듈(200)이 승하강 체결부재(61)에 결합되어 있으며, 승하강 체결부재(61)가 가이드 케이블(4)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신규 터널모듈(200)과 승하강 체결부재(61)가 개방구(15)에 이르는 동안에 조류(潮流)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방해 요소가 발생하더라도 신규 터널모듈(200)과 승하강 체결부재(61)는 안정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개방구(15)에 도달하게 된다. 그에 따라 신규 터널모듈(200)이 개방구(15)를 통해서 안전하게 런칭 거더(1)의 내부공간에 반입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잠수부의 투입을 종래에 비하여 월등히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만일 가이드 케이블(4) 없이 단순히 신규 터널모듈만을 수중에 침설하는 경우에는 수중에서의 신규 터널모듈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규 터널모듈이 정확한 방향으로 침설되도록 제어하여야 한다. 그런데 수중에서의 위치계측과 위치추정은 매우 어렵고 복잡한 과정이다. 수중에서 신규 터널모듈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어하는데에는 상당한 인력과 비용, 그리고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것처럼 신규 터널모듈(200)이 가이드 케이블(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안전하고 정확하게 개방구(15)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신규 터널모듈의 수중 위치에 대한 계측이나 추정, 그리고 위치 및 침설 방향에 대한 특별한 인위적인 제어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력 투입, 비용 발생 등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터널모듈(200)을 수중으로 가라앉혀서 개방구(15)를 통해서 런칭 거더(1) 내부로 반입할 때, 잠수부의 투입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가의 수중 위치 계측 장비 및 수중 위치 제어 장비의 투입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신규 터널모듈을 수중으로 가라앉혀서 런칭 거더(1) 내부로 반입하는 작업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중터널 시공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줄이며 시공오차를 최소화하여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신규 터널모듈(200)이 런칭 거더(1)의 내부공간에 반입된 후에는,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에 결합하는 "신규 터널모듈의 결합작업" 및 그에 후속하는 "런칭 거더의 전진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한 작업들과 병행하여 또는 상기한 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승하강 체결부재(61)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의 이송장치(6)를 런칭 거더(1)가 진출하게 될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송장치(6)를 전방 이동시키기에 앞서, 상승부유체(41)를 이송장치(6)로부터 분리시키고 가이드 케이블(4)도 승하강 체결부재(61)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런칭 거더(1)의 전진작업이 이루어지면 상승부유체(41)와 가이드 케이블(4)도 함께 전방이동하게 된다. 작업자는 상승부유체(41)를 길잡이 삼아서 새로운 신규 터널모듈이 실려 있는 이송장치(6)를 정확한 시공 위치로 오게 만들 수 있게 된다.
런칭 거더(1)의 전진작업과 상기한 이송장치(6)의 전방이동 작업이 진행된 후에는 새롭게 제작된 또다른 신규 터널모듈을 이송장치에 매달아 시공 위치로 이송한다. 이송장치와 상승부유체를 결합하는 등의 앞서 설명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수행하며, 이를 통해서 수중터널을 구축하여 완성하게 된다.
런칭 거더(1)의 내부공간에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에 결합하는 신규 터널모듈의 결합작업 및 그에 후속하는 런칭 거더의 전진작업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신규 터널모듈(200)을 런칭 거더(1)의 내부로 반입한다. 후속하여 런칭 거더(1)를 반력지지점으로 삼아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후방으로 밀어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에 결합한다. 후속하여 새로 결합된 신규 터널모듈을 새로운 반력지지점으로 삼아서 런칭 거더를 전방으로 전진시킨다. 전진된 런칭 거더에 또다시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새로운 신규 터널모듈을 반입한다. 상기한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수중터널을 시공한다.
도 12 내지 도 15에는 각각 런칭 거더(1)가 설치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종방향의 측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도 1의 화살표 R 방향 즉, 종방향 후방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도 1의 화살표 K-K에 따른 종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는 도 1의 화살표 G-G에 따른 종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도 1의 화살표 H-H에 따른 종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는 각각 런칭 거더(1)의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는 런칭 거더(1)가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12의 화살표 J-J에 따른 횡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는 런칭 거더(1)가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12의 화살표 J-J에 따른 횡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는 도 1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되어 이송되어 온 신규 터널모듈(200)이 런칭 거더(1)의 내부에 반입되는 것을 보여준다.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 단부가 런칭 거더(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런칭 거더(1)가 기시공 본체부(100)의 단부에 설치된다. 런치 거더(1)는 기시공 본체부(100)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 때, 변환결합장치의 작동에 의해 런치 거더(1)는 "이동불능 상태"와 "이동가능 상태"로 상호 변환될 수 있다. 변환결합장치는 런칭 거더(1)의 후방단부가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 단부에 강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이 느슨해져서 이동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도 12에서 변환결합장치는 부재번호 210으로 표시되어 있다. 변환결합장치(210)는 공지의 기술로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런칭 거더(1)의 내부에는 압입견인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새로 반입된 신규 터널모듈(200)이 용이하게 후방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이동가이드(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동가이드(2)는 반입된 신규 터널모듈(200)이 후방으로 용이하게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이동가이드(2)는 하부에 구름 바퀴가 구비된 거치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동가이드(2)는 런칭 거더(1)의 바닥면 위에 놓인다. 따라서 이 경우 신규 터널모듈(200)은 이동가이드(2) 위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이동가이드(2)는 이와 같이 구름 바퀴를 가지는 거치판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가이드(2)는 신규 터널모듈(200)이 놓여서 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런칭 거더(1)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동가이드(2)는 신규 터널모듈(200)을 용이하게 후방 이동시킬 수 있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2)는 런칭 거더(1) 내에 구비된다.
압입견인장치(3)는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에 접합시키기 위하여 신규 터널모듈(200)을 후방으로 밀어주는 장치이다. 런칭 거더(1)의 내부 공간으로 반입된 신규 터널모듈(200)은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에 정렬된다. 후속하여 압입견인장치(3)는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에 접합시키기 위하여 신규 터널모듈(200)을 후방으로 밀어준다. 압입견인장치(3)는 런칭 거더(1)가 전방으로 전진하게 만드는 기능도 수행하는 장치이다. 신규 터널모듈(200)이 기시공 본체부(100)에 일체로 결합된 후 압입견인장치(3)는 런칭 거더(1)가 전방으로 전진하게 만든다. 압입견인장치(3)는, 래크(rack) 부재(31), 피니언(pinion) 부재(32), 및 체결아암(33)을 포함한다. 래크 부재(31)는 런칭 거더(1)에 고정 설치되며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부재(32)는 래크 부재(31)와 "래크 앤드 피니언(rack and pinion)" 구조로 맞물려서 종방향으로 진퇴한다. 체결아암(33)은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체결아암(33)은 새로 반입되는 신규 터널모듈(200)과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압입견인장치(3)에 대해서는 후속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는 각각 도 1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은 각각 본 발명에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런칭 거더(1)의 내부로 반입한 후 신규 터널모듈(200)을 후방으로 밀어서 기시공 본체부(100)에 결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도 21에는 도 20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은 편의상 런칭 거더(1)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만을 확대하여 보여준다. 도 21에서 기시공 본체부(100) 및 신규 터널모듈(200)은 단면이 아닌 외부 측면이 보이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런칭 거더(1)는 그 내부 공간이 보이도록 단면형태로 도시하였다.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에 런칭 거더(1)가 결합 설치된 상태에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개방구(15)를 통해서 런칭 거더(1)의 내부로 반입한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에 정렬하여 배치한다. 신규 터널모듈(200)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가이드(2)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규 터널모듈(200)을 이동가이드(2) 위에 거치한다.
체결아암(33)은 신규 터널모듈(200)과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신규 터널모듈(200)의 전방단부에는 아암체결지그(34)가 구비될 수 있다. 아암체결지그(34)는 신규 터널모듈(200)을 수중으로 반입하기 전에 미리 설치한다. 신규 터널모듈(200)을 런칭 거더(1)의 내부로 반입하기 위하여, 인양와이어를 신규 터널모듈(200)에 연결하고 런칭 거더(1)의 내부에서 인양와이어를 감아서 당길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속하여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래크 부재(31)와 결합되어 있던 피니언 부재(32)를 후방으로 움직여서 신규 터널모듈(200)의 전방단부에 접근시킨다. 그리고 체결아암(33)을 아암체결지그(34)와 체결시킨다. 체결아암(33)은 피니언 부재(32)와 일체를 이루어서 종방향으로 함께 움직인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피니언 부재(32)는 대차의 바퀴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결아암(33)은 회전하게 되는 회전아암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체결아암(33)은 대차에 결합되어 있다. 아암체결지그(34)를 고리 형태의 부재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아암체결지그(34)는 신규 터널모듈(200)의 전방단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체결아암(33)의 단부를 아암체결지그(34)의 고리 형태와 맞물리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체결아암(33)과 아암체결지그(34)를 용이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에는 각각 도 2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 내지 도 24는 각각 도 21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체결아암(33)과 아암체결지그(34)가 체결된 후에는, 기시공 본체부(100)의 단부를 향하여 신규 터널모듈(200)을 밀어서 움직여서, 신규 터널모듈을 접합한다.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아암(33)이 아암체결지그(34)와 체결된 상태에서 피니언 부재(32)를 화살표 B로 표시된 제1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피니언 부재(32)는 래크 부재(31) 위에서 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22에서 점선은 피니언 부재(32)가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피니언 부재(32)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런칭 거더(1)는 이미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래크 부재(31)는 런칭 거더(1)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체결아암(33)이 아암체결지그(34)와 체결된 상태에서 피니언 부재(32)를 제1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런칭 거더(1) 자체가 반력지지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에 따라 피니언 부재(32)는 래크 부재(31)를 따라 후방으로 움직이면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신규 터널모듈(200)이 이동가이드(2) 위에 놓여 있는 경우에는 신규 터널모듈(200)을 매우 용이하게 후방으로 밀어줄 수 있다.
피니언 부재(32)의 후방 이동에 의해 신규 터널모듈(200)을 후방으로 밀어주면 정확한 위치에서 신규 터널모듈(200)의 후방단부가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에 서로 접하게 된다. 후속하여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와 수밀하게 연결 접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서 기시공 본체부(100)와 신규 터널모듈(200)을 일체화시키게 된다.
기시공 본체부(100)와 신규 터널모듈(200)이 일체화된 후에는, 런칭 거더(1)와 기시공 본체부(100) 간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런칭 거더(1)를 이동가능 상태로 만든다. 그리고 런칭 거더(1)를 전방으로 움직이는 런칭 거더(1)의 전방 전진작업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런칭 거더(1)를 이동가능 상태로 만든 후 체결아암(33)이 신규 터널모듈(200)의 아암체결지그(34)와 여전히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피니언 부재(32)를 제1방향으로 다시 회전구동시킨다. 즉, 신규 터널모듈(200)을 후방으로 밀어줄 때와 마찬가지로 피니언 부재(32)를 도 22의 화살표 B로 표시된 제1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는 것이다.
기시공 본체부(100)와 신규 터널모듈(200)이 일체화되어 있고 체결아암(33)이 신규 터널모듈(200)의 아암체결지그(34)와 여전히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피니언 부재(32)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피니언 부재(32)는 더 이상 후방이동하지 못한다. 반면에 피니언 부재(32)가 제1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은 체결아암(33)을 통해서 신규 터널모듈(200) 및 기시공 본체부(100)로 전달된다. 즉, 일체화되어 있는 기시공 본체부(100)와 신규 터널모듈(200)가, 런칭 거더(1)의 전방 전진시 발생하는 반력에 대한 새로운 반력지지점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방으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의 피니언 부재(32)가 계속하여 제1방향으로 회전구동하게 되면, 그로 인하여 반력이 발생하게 되어 피니언 부재(32)와 결합된 래크 부재(31)가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에 따라 래크 부재(31)가 고정되어 있는 런칭 거더(1) 역시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3에서 점선은 런칭 거더(1)가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피니언 부재(32)의 계속적인 제1방향 회전구동에 의해 런칭 거더(1)가 전방으로 필요한 거리만큼 전진한 후에는, 체결아암(33)과 아암체결지그(34)의 체결을 해제하여 체결아암(33)을 아암체결지그(34)와 분리시킨다. 그리고 피니언 부재(32)를 앞서 설명한 제1방향과는 반대되는 제2방향(도면에서 화살표 D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피니언 부재(32)와 체결아암(33)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피니언 부재(32)와 체결아암(33)을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새로운 신규 터널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위에서 설명한 작업들을 반복함으로써 수중터널을 시공한다. 즉, 아래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 아암체결지그가 구비되어 있도록 제작된 새로운 신규 터널모듈을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현장으로 이송한다.
-가이드 케이블을 이용하여 신규 터널모듈을 안전하게 그리고 정확한 위치로 하강시켜서 런칭 거더의 개방구를 통해서 반입한다.
-체결아암을 아암체결지그와 체결하고, 피니언 부재의 제1방향 회전구동에 의해 새로운 신규 터널모듈을 후방으로 밀어서 수밀하게 일체 결합한다.
-런칭 거더를 이동가능 상태로 만들고 피니언 부재의 회전구동에 의해 런칭 거더를 전진시킨다.
-체결아암과 피니언 부재를 다시 원래 위치(또다른 신규 터널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로 복원시킨다.
도 25 및 도 26에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입견인장치(30)가 신규 터널모듈(200)에 결합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에는 압입견인장치(30)만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압입견인장치(30)는 래크(rack) 부재(31)와 피니언 부재(32), 그리고 체결아암(33)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면에 톱니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래크 부재(31)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2개가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다. 피니언 부재(32)는 톱니 기어가 형성된 휠(wheel)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래크 부재(31)에는 피니언 부재(32)가 "래크 앤드 피니언(rack and pinion)" 구조로 맞물린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피니언 부재(32)가 대차(차량)에 바퀴 형태로 탑재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체결아암(33)은 회전에 의해 아암체결지그(34)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아암"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320은 체결아암(33)의 회전을 위하여 대차에 구비되는 암회전축(320)이다. 부재번호 340은 체결아암(33)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장치(340)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새로운 신규 터널모듈(100)이 런칭 거더(1)의 개방구(15)를 통해서 런칭 거더(1)의 내부로 반입되면 피니언 부재(32)를 신규 터널모듈(200)의 전방단부에 접근시킨다. 그리고 체결아암(33)을 회전시켜서 아암체결지그(34)와 체결시키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압입견인장치(30)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방안의 일예이며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시공 본체부(100)의 단부에 런칭 거더(1)를 설치하고,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새로운 신규 터널모듈을 런칭 거더(1) 내무로 반입하여 기시공 본체부(100)에 결합하고, 런칭 거더(1)를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해가면서 이러한 신규 터널모듈의 반입 및 연결을 반복 수행하여 수중터널을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중터널이 진행해가는 노선이 곡선형태인 경우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중터널이 진행해가는 노선의 방향 및 위치에 맞추어서 런칭 거더(1)를 정확히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시공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장에서 제작된 신규 터널모듈을 런칭 거더(1)의 내부에서 신속하게 연결 결합하게 된다. 그에 따라 터널의 시공효율성도 크게 향상되며, 그에 따라 전체적인 수중터널의 시공기간 단축 및 시공비 절감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신규 터널모듈을 순차적으로 압출시키는 종래 기술의 경우, 신규 터널모듈의 압출을 위하여 가력장치, 반력벽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압출이 진행됨에 따라 가력용량이 커져야 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공장 제작된 신규 터널모듈을 런칭 거더(1) 내에서 연결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력장치, 반력벽 등의 설치를 생략하거나 또는 적어도 그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그만큼 장비의 운용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은 수중터널을 시공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개방구(15)가 형성되어 있는 런칭 거더(1)를 기시공 본체부(100)의 전방단부에 결합 설치한 상태에서, 이송장치(6)를 이용하여 신규 터널모듈(200)을 현장으로 이송하고, 신규 터널모듈(200)을 수중으로 침설시켜서 개방구(15)를 통해서 런칭 거더(1)의 내부 공간으로 반입하고, 반입된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의 단부에 결합 설치하고, 런칭 거더(1)를 전방 이동시키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 수중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이며;
    이송장치(6)는 부유하는 폰툰(60)과, 신규 터널모듈(200)과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며 케이블 관통공(610)이 형성되어 있고 침설와이어(7)에 의해 폰툰(60)에 매달려서 침설와이어(7)의 이완에 의해 승하강하게 되는 승하강 체결부재(61)를 포함하며;
    런칭 거더(1)의 개방구(15) 횡방향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 케이블(4)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상승부유체(41)가 수중에 부유되어 있으며;
    신규 터널모듈(200)이 승하강 체결부재(61)에 체결된 상태로 이송장치(6)를 현장으로 이동시켜서, 상승부유체(41)를 이송장치(6)에 고정하고, 가이드 케이블(4)을 승하강 체결부재(61)의 케이블 관통공(610)에 관통시키는 단계;
    침설 와이어(7)의 이완에 의해 승하강 체결부재(61)를 가이드 케이블(4)과 체결된 채로 가이드 케이블(4)을 따라 하강시킴으로써 신규 터널모듈(200)이 런칭 거더(1)의 개방구(15)에 이르게 하고 개방구(15)를 통해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런칭 거더(1)의 내부공간으로 반입하는 단계;
    런칭 거더(1) 내에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에 일체로 접합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런칭 거더(1)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터널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이송장치(6)에서, 폰툰(60)은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2개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2개의 폰툰(60)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작업데크(62)가 배치되어 폰툰(60)과 결합됨으로써, 2개의 폰툰(60)이 작업데크(62)와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작업데크(62)에는 모터(M)가 구비되어 있고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침설 와이어(7)는 그 일단이 모터(M)에 결합된 상태로 관통부를 관통하여 작업데크(62)의 아래쪽으로 연직하게 늘어뜨려져서 승하강 체결부재(61)와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터널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런칭 거더(1) 내에는 압입견인장치(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압입견인장치(30)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런칭 거더(1)에 고정 설치되는 래크 부재(31), 상기 래크 부재(31)와 래크 앤드 피니언 구조로 맞물려서 종방향으로 진퇴하는 피니언 부재(32), 및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체결아암(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런칭 거더(1) 내에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에 일체로 접합하는 단계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신규 터널모듈(200)을 런칭 거더(1)의 내부로 반입한 후, 피니언 부재(32)를 제1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서 신규 터널모듈(200)의 전방단부에 접근시켜서 체결아암(33)을 신규 터널모듈(200)과 체결하는 과정, 및 런칭 거더(1)를 이동불가능하게 만든 상태에서 피니언 부재(32)를 제1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서 후방으로 움직여서 신규 터널모듈(200)을 기시공 본체부(100) 쪽으로 밀어서 기시공 본체부(100)에 일체로 접합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런칭 거더(1)를 전진시키는 단계에서는. 런칭 거더(1)를 이동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피니언 부재(32)를 계속하여 제1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킴으로써 런칭 거더(1)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는 과정, 및 체결아암(33)을 신규 터널모듈(200)로부터 분리시키고, 피니언 부재(32)를 제2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서 피니언 부재(3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터널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래크 부재(31)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런칭 거더(1)에 고정 구비되어 있고;
    피니언 부재(32)는 대차의 휠 형태로 구비되어서 상기 래크 부재(31)와 래크 앤드 피니언 구조로 맞물려서 설치되며;
    체결아암(33)은 피니언 부재(32)가 구비된 대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신규 터널모듈(200)의 전방단부에는 아암체결지그(34)가 구비되어, 체결아암(33)이 회전하여 아암체결지그(34)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터널 시공방법.
  5.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중공(中空)을 가지는 터널모듈을 수중에서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구축된 수중터널로서,
    청구항 제1항에 의한 수중터널 시공방법에 의해 구축되어, 터널모듈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터널.
PCT/KR2021/006561 2020-11-18 2021-05-26 터널모듈을 이용한 수중터널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 WO202210801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30,594 US20230383493A1 (en) 2020-11-18 2021-05-26 Underwater tun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tunnel modules, and underwater tunnel construct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650A KR102403753B1 (ko) 2020-11-18 2020-11-18 가이드 케이블을 이용한 신규 터널모듈의 침설 및 런칭 거더 내에서의 순차적인 결합구성을 가지는 수중터널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
KR10-2020-0154650 2020-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8016A1 true WO2022108016A1 (ko) 2022-05-27

Family

ID=8170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6561 WO2022108016A1 (ko) 2020-11-18 2021-05-26 터널모듈을 이용한 수중터널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83493A1 (ko)
KR (2) KR102403753B1 (ko)
WO (1) WO202210801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038A (en) * 1972-06-12 1975-08-26 Kaare Ritter Olsen Method for joining submerged structures
JP2779681B2 (ja) * 1990-03-06 1998-07-23 大成建設株式会社 水中掘進機
JP2000319912A (ja) * 1999-05-11 2000-11-21 Taisei Corp 函体の沈設方法
JP2001182072A (ja) * 1999-12-28 2001-07-03 Kajima Corp 函体の姿勢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46156Y1 (ko) * 2004-01-13 2004-03-31 손호웅 강관압입용 무진동 스크류 수평굴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4137B (zh) 2017-04-18 2019-06-07 中交一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沉管沉放对接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038A (en) * 1972-06-12 1975-08-26 Kaare Ritter Olsen Method for joining submerged structures
JP2779681B2 (ja) * 1990-03-06 1998-07-23 大成建設株式会社 水中掘進機
JP2000319912A (ja) * 1999-05-11 2000-11-21 Taisei Corp 函体の沈設方法
JP2001182072A (ja) * 1999-12-28 2001-07-03 Kajima Corp 函体の姿勢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46156Y1 (ko) * 2004-01-13 2004-03-31 손호웅 강관압입용 무진동 스크류 수평굴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893A (ko) 2022-05-25
KR102403753B1 (ko) 2022-05-30
US20230383493A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58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underwater flowlines
US4120362A (en) Subsea station
CN111516805B (zh) 一种小型auv集群水下布放/回收系统
EP2450562B1 (en) A hydroelectric turbine recovery system and a method therefore
CN112173987A (zh) 一种地下管廊施工预制拼装装配设备
WO2022108016A1 (ko) 터널모듈을 이용한 수중터널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
CN109416015B (zh) 水下发电站、系统和方法
CN212473826U (zh) 一种布放回收装置
US11384618B2 (en) Connection system for a multi-bore flying lead or umbilical
WO2022211583A1 (ko) 선박청소로봇 무선 자석 결합장치
US36981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a flow line riser on an offshore structure
CN217673248U (zh) 一种多旋翼系留无人机
WO2023008765A1 (ko)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CN213036034U (zh) 一种小型auv集群水下布放/回收系统
KR102327389B1 (ko) 선박의 배터리 탑재 장치
US3766743A (en) Underwater pipeline installation
CN209634688U (zh) 一种能海底电缆接续的作业船
KR102382702B1 (ko) 유연한 고정케이블과 마감블록을 이용하여 터널모듈을 테더링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수중터널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
CN109787157B (zh) 海上结构和用于将管子或线缆附接到海上结构的设备的方法
ES448565A1 (es) Dispositivo para montaje y desmontaje verticales de exterio-res en la parte inferior de un cuerpo flotante de una unidadde helice sumergida.
NO163324B (no) Fremgangsmaate for anbringelse av liner for en lineforankret, flytende plattform.
KR102510131B1 (ko) 멀티 토트 와이어 센서장치를 이용한 신규 터널모듈의 침설 위치 제어 방식의 수중터널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
CN114932565B (zh) 一种基于机器人作业平台的水下滑翔机布放回收系统
WO2024080434A1 (ko) 해상시설물 연결용 해저케이블 보호구 모듈 및 해상시설물 연결용 해저케이블 설치방법
CN220917669U (zh) 一种生物实验用辅助呼吸麻醉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94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030594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94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