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85804A1 -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 Google Patents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85804A1
WO2022085804A1 PCT/KR2020/014212 KR2020014212W WO2022085804A1 WO 2022085804 A1 WO2022085804 A1 WO 2022085804A1 KR 2020014212 W KR2020014212 W KR 2020014212W WO 2022085804 A1 WO2022085804 A1 WO 202208580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vibration
support
so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42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청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올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올즈
Priority to PCT/KR2020/01421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85804A1/ko
Publication of WO202208580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858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unctional health shoes, and in particular, by continuously stimulating the arch region of the sole of the foot when a wearer walks, improvement of blood flow and acupressure type structure that can be expected to heal and improve body organs at the location of the acupuncture points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vibration functional health shoes equipped with
  • functional health shoes are generally provided on the upper skin protecting the wearer's fee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kin so as to contribute to health promotion by imparting functionality to the shoes composed of the sole to protect the feet from the floor.
  • Document 1 relates to a shoe sole having an airbag in which an airbag and a protrusion are formed in the shoe sole to support the arch of the user's foot and at the same time stimulate the body's pancreas to react to promote the health of the user, the sho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high protrusions of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sole are formed on one central side of the sole, and an airbag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le of the shoe at the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 is formed.
  • By stimulating the connecting acupoints it promotes insulin secretion in diabetic patients to promote the health of consumers, and also prevents deformation of the arch of the foot, such as flat feet, and restores the collapsed arch to its normal shape.
  •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shoe sole having an airbag that has the effect of continuously walking and running because pressure is not continuously applied to the arch.
  • Document 2 is a document that not only absorbs shock as its shape is changed by external pressure generated during walking, but also generates vibration and magnetic force by the repulsive force of a magnet, which doubles interest in walking and stimulates blood flow to improve blood flow.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functional health shoes equipped with a vibration device for improving blood flow.
  • Document 3 discloses that in a shoe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n outsole, a midsole, and an insole and an upper, a separate vibration generating and buffering means is placed in the upper part of the outsole, and the midsole has a through hol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vibration generating and buffering means protrudes.
  • the vibration generating part acting from the pressing force by the user's body weight causes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muscle cells to repeat due to the vibration inducing it to produce a continuous massage effect for the feet where the weight is concentrated.
  • Vibration action that induces interest in the user increases the pleasure of wearing and walking while providing the pleasure of walking, so the vibration generation and buffering means that can contribute to health by improving the user's active ability This is the technology of the built-in shoe.
  • a vibration means having a magnetic body that vibrates innumerably up and down by mutual repulsive force is embedded in the forefoot of the shoe, and the shoe has an elastic member layer on the upper part of the outsole and a midsole and cushion member made of compressed pulp.
  • a technology related to a shoe with a built-in vibration generating means that can contribute to health by improving the user's active ability because the vibration action that induces interest in the user provides the pleasure of walking while doubling the pleasure of wearing and walking am.
  • Functional health foot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is embedded in the middle sole of the shoe while being hidden in the acupressure unit where the acupressure effect can be expecte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and the effect of vibration and the effect of acupressure can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for that purpose
  • An elastic spring is inserted into each acupressure protrusion and the elastic spring is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o that when the wearer's sole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during walking, the wearer's sole is pushed toward the sole of the foot, enabling more comfortable walking, as well as compressing it by external force. Its purpose is to help restore the acupressure protrusion and to prevent lateral deformation.
  • the purpose is to enable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to be transmitted to each acupressure protrusion and to receive the effect of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each acupressure protrusion.
  • Its purpose is to ventilate the space where the sole of the foot stays by pressing the sole of the foot and releasing it during walking.
  • Acupressure unit 60 having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jections 63 disposed along and protruding upwardly; and an acupressure protrusion 7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wearer's sol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sole 30; presents a functional health shoe comprising: do.
  • FIG. 1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vibration functional health shoe equipped with a wearer's blood flow improvement and acupressure typ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rear view for showing the outsole and acupressure projections
  • FIG. 3 is a side and front configuration view for showing the outsole and acupressure protrusion
  •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and the acupressure unit
  • FIG. 5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 for show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and the acupressure unit
  • FIG. 6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 for show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and the acupressure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7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 for show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and the acupressure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 Figure 8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and the acupressure unit of the third embodiment
  •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cupressure projection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their arrangement patterns
  • 10 is a three-dimensional and plan configuration view for showing an elastic spring of another example
  • FIG.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spring of another example is mounted;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of FIG. 12;
  • 15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ructure for transmitting vibrations from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to each acupressure projection;
  • FIG. 16 is a plan configuration view of FIG. 15;
  • 17 is a sid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 for showing the coupling between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and the acupressure unit in a structure in which vibrations from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are transmitted to each acupressure projection;
  • FIG. 18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xample for the vibration in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to be transmitted to each acupressure projection;
  • 19 and 20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separate acupressure and ventilation structures on each acupressure protrusion in the acupressure unit;
  • 21 is a plan view show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of the third embodiment.
  • 22 is a configuration diagram to show the acupressure structure of another example
  •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separate acupressure and ventilation structure in Figure 22.
  • Functional health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ealth shoes equipped with blood flow improvement and acupressure type structures
  •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includes a case 51 having an internal accommodating part 511, two or more first fixed magnets 52 radially disposed above the accommodating part 511 of the case 51, Two or more second fixed magnets 53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511 of the case 51 and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each of the first fixed magnets 52, and the housing 51
  • the first and second vibrating plates 54 and 55 capable of vibrating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magnets 52 and 53, and the first diaphragm ( 54), two or more first powder vibration plates (54A) connected radially from one end, and two or more second powder vibration plates (55A) radially connected from one end of the second vibration plate (55), and each of the first powders
  • Two or more first moving magnets 56 provided at the end of the diaphragm 55A and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with each of the first fixed magnets 52, and at the end of each second powder diaphragm 55A, each A second fixed magnet 53
  • the direction of the outsole side is specified as lower or lower and the upper side is upper or upper with reference to FIG. ) or to specify the direction as rear.
  • the upper has a structure that covers the wearer's foot, and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leather, synthetic leather, synthetic resin, etc., and either wraps the entire foot (e.g., men's shoes, etc.) or covers only the instep (e.g. slippers or indoor shoes, etc.) ) or a shape that covers both the instep and the heel (eg, women's shoes, etc.)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 It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10 .
  • the middle sole 20 is formed with an annular stepped portion 21 on which the plate 61 covering the recess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 the stepped portion 21 has a space siz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61,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sole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sole 20 in a state where the plate 61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21
  •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61 forms one flat surfac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bending.
  • annular support protrusion 22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 63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recess 40 in the middle sole 20 . can be formed.
  • the outsole 30 is
  • the acupressure protrusion 70 is
  • Inner support (71) that supports the inner arch from the arch of the sole
  • a relay support 73 connecting the inner support 71 and the outer support 72 to each other
  • the inner support 71 , the outer support 72 , and the relay support 73 are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sole 30 .
  • nerve endings and various sensory receptors in the skin of the soles of the feet, allowing them to respond to pain, itchiness, itchiness, coolness, heat, softness, roughness, pressure, vibration, and self-reception when running, walking, and jumping.
  • the big to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 direction whenever you shift your weight back and forth.
  • the three arches connected to the foot, the long inner and outer arches between the heel and the front axle, and the arch protruding between the front axle, form the basis of the entire body.
  • the acupressure protrusion 70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 the inner support 71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 70 touches the ground when the wearer walks and compresses the inner arch area in the arch area of the sole of the foot while being compressed, thereby continuously stimulating the location of acupuncture points in the stomach and pancreas to cause gastric ulcer and gastric pituitary gland. , can heal and improve diabetes and metabolism for the pancreas.
  • the outer support 72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 70 touches the ground when the wearer walks and presses the outer arch area in the arch area of the sole of the foot while being compressed, thereby continuously stimulating the locations of acupoints such as the heart, spleen, bronchus, etc. to the heart It can cure and improve arrhythmia and angina, spleen anemia, vomiting and muscle spasm, asthma and cough for bronchial tubes.
  • the relay support 73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 70 touches the ground when the wearer walks and is compressed while pressing the central arch region in the arch region of the sole (that is, the central boundary region connecting the inner and outer arch regions of the sole).
  • kidney, small intestine, etc. can be continuously stimulated to heal and improve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and edema, digestion and absorption in the small intestine, diarrhea and abdominal pain.
  • each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upport 71, the outer support 72, and the relay support 73 in the acupressure protrusion 70 forms a single surface connected to each other, b], a surface inclined from the outer support 72 toward the inner support 71 is formed, and a step ( It is preferable that G) is 1-1.5 mm.
  • the outer support 72 forms a surface inclined toward the inner support 71, when viewed from the front or rear, the end of the inner support 71 is lower than the end of the outer support 72
  • the inner support 71 is the part that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wearer walks, and the outer support 7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the inner support 71 is compressed. This can protect joints such as the knee and the like when the wearer walks, and while increasing acupressure on the arch area of the foot, the weight can be evenly distributed outside the arch of the foot, thereby minimizing fatigue on the entire foot.
  • the outsole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acupressure protrusion 7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outsole 30 is placed on the basis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 70 in the front outsole 30A and the rear outsole 30B ), the front outsole (30A) has a separation distance (H1) from the ground of 10mm, and the rear outsole (30B) preferably has a separation distance (H2) of 5mm from the ground.
  • H1 separation distance
  • H2 separation distance
  • the weight distribution moves to the rear outsole 30B, but the difference in the step between the acupressure protrusion 70 and the rear outsole 30B is not large, so the weight on the rear outsole 30B
  • the weight on the rear outsole 30B By allowing a portion of the weight to be continuously distributed to the acupressure protrusion 70 without being concentrate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timulate the arch region of the foot.
  • the inner support 71 and the outer support 72 have a rectangular columnar structure
  • the relay support 73 preferably has a circular columnar structure, which It is an example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rang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stimulating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foot.
  • each support (71, 72, 73) is compressed when the wearer walks, the air filled in the air room 74 is spread evenly, at this time each support (71, 72 and 73)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outsole 30 can be stimulated by evenly distributing the acupressure pressure applied to the arch region of the sole. In addition, it helps to improve the restoring force of each support (71, 72, 73) that was compressed.
  • vibration functional health shoes equipped with an example of blood flow improvement and acupressure typ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Vibration generating means disposed in the bottom central region of the recess (40);
  • a plate 61 covering the recess 40, a space 62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plate 61 to hide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and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pace 62
  • Acupressure unit (60) having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jections (63) that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 the acupressure unit 60 includes a plate 61 covering the recess 40 and the recess A structure having a space portion 62 formed so that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is conceal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of (40), and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jections 63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pace portion 62 and formed to protrude upward is made of
  • the recess 40 is
  • the wearer's front sole or rear sole, or both has a space structure dented downwar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both.
  • the recess 40 has a space structure having a shape close to a circle.
  • the recess 40 is formed only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orefoot of the wearer, and although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is, the description will not be made thereto, and the area to which external pressure is transmitted when walking in the middle sole 20 . It is obvious that the recess 40 may be formed anywhere.
  • the reference number for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is designated as '50A'
  • the reference number for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esignated as '50B'
  • a reference numeral for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of the third embodiment is designated as '50C' to be distinguished.
  •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A of the first embodiment is
  • a first fixed magnet 52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511 of the case 51,
  • a second fixed magnet 53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511 of the case 51 and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first fixed magnet 52;
  • a first flow magnet (56)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diaphragm (54) and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with the first fixed magnet (52);
  • a second moving magnet 57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diaphragm 55 and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with the second fixed magnet 53;
  • a pair of first fixed magnets 52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511 of the case 51;
  • a first fixed magnet 52 and a second fixed magnet 53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st diaphragm 54 and located on the left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magnets 52 and 53;
  • a first flow magnet 56 for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 a first fixed magnet 52 and a second fixed magnet 53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diaphragm 55 and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magnets 52 and 53;
  • Two or more first fixed magnets 52 radi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511 of the case 51,
  • Two or more second fixed magnets 53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511 of the case 51 and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each of the first fixed magnets 52,
  • a vibrating first diaphragm 54 and a second diaphragm 55 are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magnets 52 and 53 in the receiving portion 511 of the case 51 .
  • Two or more first moving magnets 56 provided at the end of each of the first powder diaphragms 55A and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with each of the first fixed magnets 52;
  • Two or more second flow magnets 57 provided at the end of each of the second powder diaphragms 55A and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with each of the second fixed magnets 53, and
  • the case 51 may be formed of an upper part 51a and a lower part 51b that face each other and allow the accommodating part 511 to be formed therein when combined, and the material is the accommodating part 511 .
  • the material is the accommodating part 511 .
  • first fixed magnet 52 and the second fixed magnet 53 are not limited in their type as long as they can be placed in a repulsive relationship with the floating magnet, but preferably a permanent magnet having an N pole and an S pole. .
  • first fixed magnet 52 and the second fixed magnet 53 are attached to the receiving part 511 of the case 51 by an adhesive means, or by digging an arbitrary groove to insert and mount it therein. It can be arranged in this way.
  • the first diaphragm 54 and the second diaphragm 55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re preferably formed in a thin and long shape for high elasticity, and the material is preferably an alloy of copper and zinc. .
  • first diaphragm 54 and the second diaphragm 55 may be bent with a certain curvature or may be horizontal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the magnets.
  • first moving magnet 56 and the second moving magnet 57 are magnets that are not fixed in motion and can move along with vibration of the diaphragm.
  •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A and 50B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ause the diaphragms to generate vibration by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stationary magnets and the floating magnets, and through this, the wearer wearing the shoe can make the sole of the foot. to feel the vibration.
  • the space 62 preferably has a larger space than the case 51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A, 50B).
  • the plate 61 and each acupressure protrusion 63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restor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 the acupressure unit 60 should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fix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A, 50B) disposed in the space (62), for this purpose
  • a support 64 is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circumference of the case 51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A, 50B as shown in FIG. 6 , wherein the support 64 is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 50A, 50B)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space portion 62 in a form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se 51 to form an annular wall, and in particular,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A, 50B and adjacent acupressure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trusion 63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support 6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61, it is made of the same elastic material as the plate 61. 51) is press-fitted and fixed. At this time, the case 51 may be fixed once more to the bottom of the space 62 with an adhesive or adhesive tape.
  • an elastic spring 65 fitted to each of the acupressure projections 63 is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7 , and the case 51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A, 50B has an adhesive layer 66 . is fixed to the space 62 by the
  • the adhesive layer 66 is made of a cured adhesive or adhesive tape, and the elastic spring 65 returns to a circular shape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when the respective acupressure projections 63 are deformed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In addition, it serves to push the sole of the foot toward the wearer when the sole of the sole falls off the ground when the wearer walks.
  • the inner acupressure protrusions 63 adjacent to the case 51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A and 50B among the respective acupressure protrusions 63 as in FIGS. 8 and 22 are the space portions 62 ) is dispos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case 51 disposed in, eventually, as it is supported by the inner acupressure protrusions 63, the case 51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A, 50B in the space 62 is is stably fixed
  • an elastic spring 65 fitted to the rest of the outer acupressure protrusions 63 among each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s 63, and the elastic spring 65 may be fitted to the inner acupressure protrusions 63, but the Since some of the support and fixing force for the case 51 may be lost due to interference by the elastic spring 65,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outer acupressure protrusions 63 are provided.
  • each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s 63 has a greater length than the case 51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A and 50B, and the lengt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is about 1 to 1.5 mm different.
  • each of the acupressure projections 63 is provided with an air pressure releasing hole 67 for relieving the internal air pressure by being formed to penetrate them up and down.
  • each acupressure protrusion 63 of the acupressure unit 60 may have one or more different diameters and may be arranged in various patterns in consideration of the wearer's sole shape and weight distribution.
  • the acupressure projections in the outer region may be arranged in a pattern such that the diameter is larger than the acupressure projections in the inner region.
  • the acupressure protrusions in the outer region may be arranged in a pattern greater than the number of acupressure protrusions in the inner region.
  • three acupressure protrusions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four acupressure protrusions are arranged in the rear on a virtual reference line dividing the forefoot left and right, and both sides based on the virtual base line It was implemented so that three acupressure projections were placed on each side.
  • the acupressure protrusions 63 into which the elastic spring 65 is fitted, of each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s 63 are formed with a spiral portion 631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upper end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s 63 . placed sideways
  • the elastic spring 65 has a spring powder 651 in which an annular portion 651a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ortion 631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piral form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and, It consists of a pressing part 652 which is formed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pring powder 651, respectively, and wound to the outside of the annular part 651a.
  • the pressing part 652 is wound to the outside of the annular part 651a, and three large protrusions 652a and three small protrusions 652b are alternately formed to form a triangular shape as a whole.
  • the pressing part 652 is formed with a large protrusion 652a, so that it can be easily gripped during the manufacture of shoes, so that it can be easily rotated and moved after being fastened to the spiral part 631 of the acupressure projection 63. make the effect come true.
  • the most stable shape among the rectangular or polygonal shapes is a triangular shape, which can easily slide when the shape of a square or larger is gripped and rotated. As it is formed in three pieces, the gripping area is wide and the operator's finger does not come off easily even if it slides, so gripping and fastening can be obtained more easily.
  • the pressing part 652 divides the additional surface formed by the small protrusion part 652b, that is, the surface formed between the large protrusion parts 652a into two surfaces, and is gripped by the small protrusion part 652b. It realize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inger from slipping.
  • the elastic spring 65 is fixedly coupled to the spiral portion 631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 63 by the annular portion 651a, and in this state, the pressing portion 652 of the elastic spring 65 is the plate (61) side is elastically exhibited.
  • the elastic spring 65 of this structure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from the fastening in various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usage mode, the magnitude of vibration, and the impact.
  • a flange 59A extending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case 51 and the flange 59A )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lay grooves 59B which are formed to be reces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cupressure unit 60 and contact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each acupressure protrusion 63 of the acupressure unit 60 .
  • the acupressure unit 60 has a corresponding flange 59C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lange 59A and is formed to face the flange 59A and the corresponding flange 59C.
  • Each relay groove (59B) is formed to be recessed along the periphery facing each other to form a circular hole together with each relay groove (59B), and a plurality of contacts that are in contact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acupressure projections (63)
  • a relay groove 59D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acupressure unit 60 has
  • a center hole 681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in the inner center of each acupressure protrusion 63, and
  • a receiving hole 682 opened upward while forming a long oval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hole 681 to be connected to the center hole 681,
  • a spherical body 684 disposed in the receiving hole 682 and having a cross-shaped ventilation groove 683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bottom vent groove 687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hape of a cross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acupressure protrusion 63 a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hole 681 and each other.
  • the spherical body 684 When the foot rises from the ground during walking, the spherical body 684 is maintained in a shape to block the upper entrance of the receiving hole 68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686, and then the outsole 30 of the worn shoe. When it touches the ground, the spherical body 684 descends in the accommodation hole 682 by the pressure of the sole, and at this time, the air in the recess 40 passes through the bottom ventilation groove 687 to the center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hole 681, it is moved along the ventilation groove 683 of the spherical body 684 and supplied to the sole side.
  • the functional health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vibration in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during walking, and transmits this vibration to each acupressure protrusion, finally improving blood flow through vibration provided to the sole of a wider area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such as, and it is possible to ventilate the space where the sole of the foot stays through the pressing and releasing action of the sole during walking, so it can help to remove athlete's foot or foot odor, so it has sufficient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퍼; 상기 어퍼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미들솔; 상기 미들솔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아웃솔; 및 상기 아웃솔의 하부면에서 착용자 발바닥의 아치(arch)와 대응되는 영역에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지압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압돌출부는 발바닥의 아치에서 안쪽 아치를 받쳐주는 이너서포트와, 바깥쪽 아치를 받쳐주는 아우터서포트와, 상기 이너서포트 및 상기 아우터서포트를 서로 연결하는 중계서포트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착용자 보행 시 압축되고 복원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지압돌출부를 통해 발바닥의 아치 영역에 지속적으로 자극을 주어 해당 경혈 위치의 신체기관에 대한 치유 및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본 발명은 기능성 건강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 보행 시 발바닥의 아치(arch) 영역을 지압하여 지속적으로 자극함으로써, 해당 경혈 위치의 신체기관에 대한 치유 및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건강 신발은 통상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갑피부와 상기 갑피부 하면에 구비되어서 발을 바닥으로부터 보호하는 밑창부로 구성된 신발에 기능성을 부과하여 건강 증진에 보탬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일예로, 근래에는 신발의 밑창부를 호 형상으로 구현하여 구름 운동 즉, 마사이 워킹이 가능하도록 한 기능성 신발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리고 미끄러움을 방지하는 기능이 적용된 기능성 신발이 제안되고 있고, 또 보행 시 발생되는 충격을 보다 잘 흡수하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 등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능성 신발은 그 기능에 맞게 제작되고 있으므로 착용자의 건강 증진에 보탬이 될 것은 틀림없으나 웰빙 시대에 맞춰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착용자의 건강 증진에 더욱 보탬이 되는 새로운 기능성 신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보행 시 발생되는 외압에 의해 발바닥의 아치 영역을 지압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신발이 제안되는데, 이러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78602호 (2012.08.24.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에어백을 갖는 신발밑창』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신발밑창에 에어백과 돌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 발의 아치를 받쳐줌과 동시에 자극을 주어 신체의 췌장이 반응하도록 해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백을 갖는 신발밑창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발밑창의 중앙 일측에는 신발밑창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높게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위치의 신발밑창 상부에는 에어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백에 의해 자극되는 발의 아치 부분에는 췌장과 십이지장이 연결되는 경혈 부분을 자극하여 줌으로 당뇨환자의 경우 인슐린 분비 등을 촉진하여 줌으로 소비자의 건강을 도모하고, 또한, 평발과 같이 발의 아치 부분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무너진 아치가 정상적인 형상으로 돌아가며, 아치 부분에 계속하여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걷기, 뛰기 운동을 계속해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에어백을 갖는 신발밑창에 관한 기술이다.
한편, 기능성 신발 중 보행 시 발생되는 외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이용해 혈류 개선 등 건강 증진에 보탬이 되는 기능성 신발이 제안되는데, 이러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21540호 (2012.02.22.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2는 보행 시 발생되는 외압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면서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이고 자석의 척력에 의해서 진동과 자력이 발생되어 보행의 흥미를 배가시킴과 동시에 혈을 자극하여 혈류를 개선시킬 수 있는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98699호 (2012.11.01.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진동발생 및 완충수단이 내장된 구두』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3은 아웃솔과 미드솔 및 인솔과 어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구두에 있어,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별도의 진동발생 및 완충수단을 안치 형성하고, 상기 미드솔에는 진동발생 및 완충수단의 상부가 돌출되게 한 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인솔에는 진동발생 및 완충수단의 상부가 돌출될 수 있게 한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뒤꿈치를 통해 인체에 직접 작용하는 보행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주어 장시간 구두를 착용하더라도 통증이나 피로감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가압력으로부터 작용하는 진동발생부는 진동 유발로 인해 근세포의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도록 하여 체중이 집중되는 발에 대한 지속적인 마사지 효과를 연출하므로 역시 발의 피로감을 저하시키면서도 발이 붓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로움을 유발하는 진동 작용은 착용 및 보행에 대한 즐거움을 배가시키면서도 걷는 즐거움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활동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건강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진동발생 및 완충수단이 내장된 구두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31022호 (2013.02.01.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4'라고 함)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4는 상호 간의 척력에 의해 무수히 상,하로 진동하는 자석체를 갖는 진동수단을 구두의 앞꿈치부에 매입 형성하되, 상기의 구두는 아웃솔의 상부에 탄성부재층과 압축펄프에 의한 미드솔 및 쿠션부재층과 내피에 의한 인솔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재층과 미드솔에는 상기 진동발생수단을 매입하기 위한 수용홈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진동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무수한 진동력으로 인해 발의 통증이나 피로감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은 물론 보행충격에 의해 작용하는 진동발생수단은 진동 유발로 인해 근세포의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도록 하여 체중이 집중되는 발에 대한 지속적인 마사지 효과를 연출하므로 역시 발의 피로감을 저하시키면서도 혈류 개선을 통해 발이 붓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원활한 혈행작용을 유도하여 발가락 부분에서의 고열로 인한 불쾌감이나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로 그로 인한 세균 증식 및 각종 발 관련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로움을 유발하는 진동 작용은 착용 및 보행에 대한 즐거움을 배가시키면서도 걷는 즐거움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활동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건강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건강신발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
아웃솔의 바닥면에서 발바닥의 아치 영역에 해당하는 부위에 하방 돌출되어 착용자 보행 시 외력에 의해 압축되어 발바닥의 아치 영역을 지압할 수 있도록 하되, 발바닥의 아치 영역을 크게 안쪽, 바깥쪽 및 중앙 아치 영역으로 구분하여 자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경혈 위치의 신체기관에 대한 치유 및 개선 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진동발생수단이 지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지압유닛 내에 은닉된 상태에서 신발의 미들솔 내에 내장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진동에 의한 효과와 지압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각 지압돌기에 탄성스프링이 끼워지고 이 탄성스프링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보행 시 착용자의 발바닥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때에 발바닥 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주어 좀 더 편안한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던 지압돌기의 복원에 도움을 주고 측방으로의 변형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진동발생수단의 진동이 각 지압돌기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각 지압돌기에서 전해지는 진동에 의한 효과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보행 시 발바닥의 가압 및 이의 해제 동작에 의해 발바닥이 머무는 공간을 환기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어퍼(10); 상기 어퍼(1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미들솔(20); 상기 미들솔(2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아웃솔(30); 상기 미들솔(20)의 상부면에서 착용자의 앞발바닥 또는 뒷발바닥, 또는 이들 모두에 해당하는 영역에 하방으로 움푹 파인 형상의 리세스(recess)(40); 상기 리세스(40)의 바닥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진동발생수단; 상기 리세스(40)를 덮는 플레이트(61)와, 상기 리세스(40)의 바닥면 중앙 영역에 상기 진동발생수단이 은닉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62)와, 상기 공간부(62)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방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압돌기(63)를 갖는 지압유닛(60); 및 상기 아웃솔(30)의 하부면에서 착용자 발바닥의 아치(arch)와 대응되는 영역에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지압돌출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신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은,
착용자 보행 시 압축되고 복원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지압돌출부를 통해 발바닥의 아치 영역에 지속적으로 자극을 주어 해당 경혈 위치의 신체기관에 대한 치유 및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보행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편안한 보행이 되도록 함은 물론이고, 진동으로 인해 보행자는 흥미를 느껴 보다 즐거운 보행이 될 것이며, 진동 시 자기장이 발생되는 등 자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발바닥의 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에 효과가 있다.
또 지압돌기에 끼워진 탄성스프링을 통해 좀 더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고, 지압돌기의 복원에 도움을 주며, 지압돌기의 변형 방지에 기여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 및 체중 쏠림 분포 등을 고려하여 지압돌기들의 직경 및 배치 등을 다양한 패턴으로 구현함으로써, 착용자의 사용편리성 및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착용자의 발가락 관절 운동을 통해 혈행을 개선할 수 있고, 체중을 골격에 따라 하중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발바닥의 바깥쪽에서 안쪽 엄지발가락으로 걸어가는 바른 자세의 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보행 시 착용자의 발바닥이 머무는 공간을 환기시키고 각 지압돌기로 진동을 전달시켜 진동이 전달되는 발바닥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자의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을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2는 아웃솔 및 지압돌출부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 입체 구성도,
도 3은 아웃솔 및 지압돌출부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 및 정면 구성도,
도 4는 진동발생수단 및 지압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5는 진동발생수단 및 지압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단면 구성도,
도 6은 진동발생수단 및 제1 구현예의 지압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단면 구성도,
도 7은 진동발생수단 및 제2 구현예의 지압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단면 구성도,
도 8은 진동발생수단 및 제3 구현예의 지압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단면 구성도,
도 9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지압돌기와 이들의 배치 패턴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0은 다른 예의 탄성스프링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및 평면 구성도,
도 11은 다른 예의 탄성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 구성도,
도 12는 제1구현예의 진동발생수단을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결합 단면 구성도,
도 14는 제2구현예의 진동발생수단을 나타낸 결합 단면 구성도,
도 15는 진동발생수단에서의 진동이 각 지압돌기로 전달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16은 도 15의 평면 구성도,
도 17은 진동발생수단에서의 진동이 각 지압돌기로 전달되는 구조에서 진동발생수단 및 지압유닛 간의 결합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
도 18은 진동발생수단에서의 진동이 각 지압돌기로 전달되기 위한 다른 예의 구조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19 및 도 20은 지압유닛에서 각 지압돌기에 별도의 지압 및 통기 구조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1은 제3구현예의 진동발생수단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22는 다른 예의 지압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23은 도 22에서 별도의 지압 및 통기 구조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신발은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건강신발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건강신발에서 진동발생수단은 내부 수용부(511)를 갖는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 상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둘 이상의 제1고정자석(52)과,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과 서로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제2고정자석(53)과,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에서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과 상기 각 제2고정자석(53)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 가능한 제1진동판(54) 및 제2진동판(55)과, 상기 제1진동판(54)의 일단에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1분체진동판(54A)과, 상기 제2진동판(55)의 일단에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2분체진동판(55A)과, 상기 각 제1분체진동판(55A)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둘 이상의 제1유동자석(56)과, 상기 각 제2분체진동판(55A)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2고정자석(53)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둘 이상의 제2유동자석(57)과,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에 결합되고 상기 각 제1유동자석(56)과 상기 각 제2유동자석(57)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진동판(54)과 상기 제2진동판(55) 각 타단이 연결되는 진동프레임(58)과, 상기 케이스(51)의 상단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59A)와, 상기 플랜지(59A)의 둘레를 따라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압유닛(60)의 각 지압돌기(63) 외주연 일부를 감싸도록 접촉되는 다수의 중계홈(59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아웃솔 측을 하부 또는 하방, 어퍼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도 2를 기준으로 전방의 아웃솔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후방의 아웃솔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은,
크게 어퍼(10), 미들솔(20), 아웃솔(30) 및 지압돌출부(7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어퍼(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구조의 갑피로써, 가죽이나 합성피혁,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발 전체를 감싸거나(예 : 남성용 구두 등) 또는 발등만을 감싸거나(예 : 슬리퍼나 실내화 등) 또는 발등과 발뒤꿈치를 모두 감싸는 형상(예 : 여성용 구두 등)의 구조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미들솔(2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1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어퍼(1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미들솔(20)에는 후술할 리세스(40)를 덮는 플레이트(61)가 안착되는 환형(環形)의 단턱부(21)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21)는 상기 플레이트(61)의 두께와 상응한 공간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단턱부(21)에 상기 플레이트(61)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미들솔(20)의 상부면과 상기 플레이트(61)의 상부면이 굴곡 없이 서로 이어진 하나의 평탄한 면을 이룬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미들솔(20)에서 상기 리세스(40)의 바닥에 해당하는 영역에 후술할 지압돌기(63)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環形)의 받침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아웃솔(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솔(2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미들솔(2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지압돌출부(7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솔(30)의 하부면에서 착용자 발바닥의 아치(arch)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보행 시 착용자 발바닥의 아치(arch)를 지압하기 위한 것으로,
발바닥의 아치에서 안쪽 아치를 받쳐주는 이너서포트(71),
발바닥의 아치에서 바깥쪽 아치를 받쳐주는 아우터서포트(72), 그리고
상기 이너서포트(71) 및 상기 아우터서포트(72)를 서로 연결하는 중계서포트(73)
를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외력 해제 시 다시 복원되는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너서포트(71), 아우터서포트(72) 및 중계서포트(73)는 상기 아웃솔(30)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우선, 상기 지압돌출부(70)의 기능 및 효과 설명에 앞서 발에 대해 살펴보면,
발과 발목 부위에만 관절이 33개, 뼈 26개, 양 발 합치면 뼈의 수(52개)는 인간 신체 전체의 분포한 뼈 중 4분의 1을 차지한다. 근육과 힘줄, 인대는 100개가 넘는다.
이러한 구조와 더불어 발바닥 피부 속에는 신경 종말과 다양한 감각 수용기가 있어 달리고, 걷고, 점프할 때 느끼는 고통, 간지러움, 가려움, 차가움, 뜨거움, 부드러움, 거침, 압력, 진동, 자기수용에 반응 할 수 있게 해준다.
엄지발가락은 앞뒤로 몸무게를 옮길 때마다 방향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발에 잇는 세 곳의 아치인 발꿈치와 앞축 사이 기다란 안쪽과 바깥쪽 아치, 그리고 앞축 사이에 튀어나온 아치는 몸 전체의 토대가 된다.
따라서 몸을 지탱해주는 아치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이 무릎과 엉덩이, 골반, 척추에 무리가 가서 큰 문제가 생긴다.
나이가 들면 이러한 문제는 더욱 커진다. 청년기와 비교할 때 중년이 되면 발바닥 표면이 훨씬 둔감해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며 70세 노인의 발바닥 민감도는 60대 노인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결국 허약하고 둔감해진 발은 낙상 발생률을 높여 결과적으로 두뇌와 생존 자체를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몸 전체의 토대가 되는 발바닥의 아치 영역에 대해 지압 등의 방법을 통해 자극하여 혈류를 개선하고 관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압돌출부(70)를 마련하였다.
상기 지압돌출부(70)의 이너서포트(71)는 착용자 보행 시 지면에 닿아 압축되면서 발바닥의 아치 영역에서 안쪽 아치 영역을 지압함으로써, 위, 췌장 등의 경혈 위치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위에 대한 위궤양 및 위하수, 췌장에 대한 당뇨 및 신진대사를 치유, 개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압돌출부(70)의 아우터서포트(72)는 착용자 보행 시 지면에 닿아 압축되면서 발바닥의 아치 영역에서 바깥쪽 아치 영역을 지압함으로써, 심장, 비장, 기관지 등의 경혈 위치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심장에 대한 부정맥 및 협심증, 비장에 대한 빈혈, 구토 및 근육의 경련, 기관지에 대한 천식 및 기침 등을 치유, 개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압돌출부(70)의 중계서포트(73)는 착용자 보행 시 지면에 닿아 압축되면서 발바닥의 아치 영역에서 중앙 아치 영역(즉 발바닥의 안쪽과 바깥쪽 아치 영역을 잇는 중앙의 경계 영역)을 지압함으로써, 신장, 소장 등의 경혈 위치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신장에 대한 고혈압, 동맥경화 및 부종, 소장에 대한 소화흡수, 설사 및 복통 등을 치유, 개선시킬 수 있다.
결국 착용자 보행 시 발에 집중되어 있는 반사구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관련된 신체기관의 기능을 촉진하여 자연적으로 병을 치유,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지압돌출부(70)에서 상기 이너서포트(71), 아우터서포트(72) 및 중계서포트(73)의 각 바닥면은 서로 잇는 하나의 면을 이루되, 도 3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아우터서포트(72)에서 상기 이너서포트(71) 측으로 경사진 면을 이루고, 또한 상기 이너서포트(71)의 바닥면 단부와 상기 아우터서포트(72)의 바닥면 단부 간의 단차(G)가 1~1.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상기 아우터서포트(72)에서 상기 이너서포트(71) 측으로 경사진 면을 이룸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상기 이너서포트(71)의 단부가 상기 아우터서포트(72)의 단부 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착용자 보행 시 지면과 먼저 닿게 되는 부위가 상기 이너서포트(71)이고, 상기 이너서포트(71)가 압축되면서 이후에 상기 아우터서포트(72)가 지면에 닿게 된다. 이는 착용자 보행 시 무릎 등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고 발의 아치 영역에 대한 지압력을 높이면서 발의 아치 바깥쪽으로도 체중이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하여 발 전체에 대한 피로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지압돌출부(70)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지압돌출부(70)를 기준으로 상기 아웃솔(30)을 전방의 아웃솔(30A)과 후방의 아웃솔(30B)로 구분하였을 때에 전방의 아웃솔(30A)은 지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H1)가 10mm 이고, 후방의 아웃솔(30B)은 지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H2)가 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용자 보행 시 지면에 먼저 닿게 되는 전방의 아웃솔(30A)에 체중이 쏠리게 되고 이후 상기 지압돌출부(70)로 체중 분포가 이동되면서 발의 아치 영역을 지압하게 되며, 이후 상기 지압돌출부(70)에 대한 체중 분포가 서서히 감소하면서 후방의 아웃솔(30B)로 체중 분포가 이동이 되기나 하나, 상기 지압돌출부(70)와 후방의 아웃솔(30B) 간의 단차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아 후방의 아웃솔(30B)에 체중이 집중되지 않고 일부의 체중이 지속적으로 상기 지압돌출부(70)에 분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발의 아치 영역을 자극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지압돌출부(70)에서 상기 이너서포트(71) 및 아우터서포트(72)는 사각의 기둥 구조이고, 상기 중계서포트(73)는 원형의 기둥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일예이고 발의 해당 영역을 자극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c]에서와 같이, 상기 지압돌출부(70)의 이너서포트(71), 아우터서포트(72) 및 중계서포트(73) 각 내부에는 서로 이어진 일체형 또는 서로 분리된 개별형의 에어룸(7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에어룸(74)은 착용자 보행 시 각 서포트(71, 72, 73)가 압축되면서 상기 에어룸(74)에 채워진 에어가 골고루 펴지게 되고, 이때 각 서포트(71, 72, 73)와 대응되는 상기 아웃솔(30)의 해당 부위가 발바닥의 아치 영역을 지압하는 지압력을 골고루 분산시켜 자극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압축되었던 각 서포트(71, 72, 73)의 복원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예의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은
상기 미들솔(20)의 상부면에서 착용자의 앞발바닥 또는 뒷발바닥, 또는 이들 모두에 해당하는 영역에 하방으로 움푹 파인 형상의 리세스(recess)(40)와,
상기 리세스(40)의 바닥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리세스(40)를 덮는 플레이트(61)와, 상기 플레이트(61) 하부면 중앙 영역에 상기 진동발생수단이 은닉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62)와, 상기 공간부(62)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압돌기(63)를 갖는 지압유닛(60)
을 더 포함한다.
한편, 도 22 및 도 23에서와 같이 다른 예의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에서 상기 지압유닛(60)은 상기 리세스(40)를 덮는 플레이트(61)와, 상기 리세스(40)의 바닥면 중앙 영역에 상기 진동발생수단이 은닉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62)와, 상기 공간부(62)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방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압돌기(63)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리세스(recess)(4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솔(20)의 상부면에서 착용자의 앞발바닥 또는 뒷발바닥, 또는 이들 모두에 해당하는 영역에 하방으로 움푹 파인 형상의 공간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리세스(40)는 원형에 가까운 형상의 공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착용자의 앞발바닥에 해당하는 영역에만 상기 리세스(4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설명하기는 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할 것이며, 상기 미들솔(20)에서 보행 시 외압이 전달되는 영역이라면 어디든지 상기 리세스(40)가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진동발생수단은
도 1, 도 5,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40)의 바닥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크게 제1 및 제2 구현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제1구현예의 진동발생수단에 대한 도면부호를 '50A'로 정하고, 제2구현예의 진동발생수단에 대한 도면부호를 '50B'로 정하며, 제3구현예의 진동발생수단에 대한 도면부호를 '50C'로 정하여 구분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제1구현예의 진동발생수단(50A)은
내부 수용부(511)를 갖는 케이스(51),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 상측에 배치되는 제1고정자석(52),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고정자석(52)과 서로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고정자석(53),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에서 상기 제1고정자석(52)과 상기 제2고정자석(53)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 가능한 제1진동판(54) 및 제2진동판(55),
상기 제1진동판(54)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자석(52)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유동자석(56),
상기 제2진동판(55)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자석(53)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유동자석(57), 그리고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유동자석(56)과 상기 제2유동자석(57)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진동판(54)과 상기 제2진동판(55) 각 타단이 연결되는 진동프레임(58)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4에서와 같이, 제2구현예의 상기 진동발생수단(50B)은
내부 수용부(511)를 갖는 케이스(51),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 상측에 좌우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고정자석(52),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 하측에 좌우로 상호 이격되되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과 서로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고정자석(53),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 바닥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포스트(512),
상기 포스트(512)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트(512)의 양측에 배치되는 진동 가능한 제1진동판(54) 및 제2진동판(55),
상기 제1진동판(54)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 및 각 제2고정자석(53) 중 좌측에 위치한 제1고정자석(52) 및 제2고정자석(53)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유동자석(56), 그리고
상기 제2진동판(55)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 및 각 제2고정자석(53) 중 우측에 위치한 제1고정자석(52) 및 제2고정자석(53)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유동자석(57)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9에서와 같이, 제3 구현예의 상기 진동발생수단(50C)은
내부 수용부(511)를 갖는 케이스(51),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 상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둘 이상의 제1고정자석(52),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과 서로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제2고정자석(53),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에서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과 상기 각 제2고정자석(53)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 가능한 제1진동판(54) 및 제2진동판(55),
상기 제1진동판(54)의 일단에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1분체진동판(54A),
상기 제2진동판(55)의 일단에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2분체진동판(55A),
상기 각 제1분체진동판(55A)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둘 이상의 제1유동자석(56),
상기 각 제2분체진동판(55A)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2고정자석(53)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둘 이상의 제2유동자석(57), 그리고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에 결합되고 상기 각 제1유동자석(56)과 상기 각 제2유동자석(57)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진동판(54)과 상기 제2진동판(55) 각 타단이 연결되는 진동프레임(58)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케이스(51)는 상호 대향되며 서로 결합 시 내부에 상기 수용부(5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분체(51a)와 하부분체(51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재질은 상기 수용부(511)에서 생성된 진동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을 정도의 것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할 것이나, 일반적으로는 메탈보다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자석(52) 및 제2고정자석(53)은 유동자석과 척력 관계에 놓일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할 것이나, N극과 S극을 갖는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자석(52) 및 제2고정자석(53)은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에 접착수단에 의해 붙여지는 방식, 또는 임의의 홈을 파내어 그 내부에 삽입 장착시키는 방식 등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진동판(54) 및 제2진동판(55)은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높은 탄성을 위해 얇고 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재질은 구리, 아연의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진동판(54) 및 제2진동판(55)은 각 자석 간의 배치 구조에 따라 일정 곡률로 휘어져 있거나 수평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동자석(56) 및 제2유동자석(57)은 움직임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진동판의 진동과 함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자석인 것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구현예의 진동발생수단(50A, 50B)은 고정자석들과 유동자석들 간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진동판들로 하여금 진동을 발생시키게 하고, 이를 통해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로 하여금 발바닥에 진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62)는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의 케이스(51) 보다 큰 공간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61) 및 각 지압돌기(63)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외력 해제 시 복원되는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압유닛(60)은 상기 공간부(62)에 배치된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제1 구현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의 케이스(51) 둘레를 탄성 지지하도록 서포트(64)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서포트(64)는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의 케이스(51)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공간부(62)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환형(環形)의 벽체를 이루고, 특히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과 서로 인접한 지압돌기(63)와 서로 연결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서포트(64)는 상기 플레이트(61)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61)와 동일한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서포트(64)에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의 케이스(51)가 억지 끼움되어 고정된다. 이때에 상기 케이스(51)를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 등으로 상기 공간부(62) 바닥에 한 번 더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제2 구현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각 지압돌기(63)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6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의 케이스(51)는 접착층(66)에 의해 상기 공간부(62)에 고정된다.
이때에 상기 접착층(66)은 경화된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스프링(65)은 상기 각 지압돌기(63)가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압축)되었을 때에 가압 해제 시 원형으로 복귀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아울러 착용자가 보행 시 발바닥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질 때에 착용자 측으로 발바닥을 밀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제3 구현예로서, 도 8 및 도 22에서와 같이 상기 각 지압돌기(63) 중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의 케이스(51)와 인접한 안쪽 지압돌기(63)들은 상기 공간부(62)에 배치된 케이스(51)를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는데, 결국 안쪽 지압돌기(63)들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62)에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의 케이스(51)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각 지압돌기(63) 중 바깥쪽 나머지 지압돌기(63)들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65)이 더 구비되는데, 안쪽 지압돌기(63)에도 탄성스프링(65)이 끼워질 수 있으나, 상기 탄성스프링(65)에 의한 간섭으로 인해 상기 케이스(51)에 대한 지지 고정력이 일부 손실될 수 있기에 바깥쪽 지압돌기(63)들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각 지압돌기(63)는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의 케이스(51) 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그 길이는 크게 차이나는 것이 아니라 대략 1 ~ 1.5mm 정도의 차이가 나는 정도이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각 지압돌기(63)에는 이들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내부 공기압을 해소시키기 위한 공기압해소홀(67)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지압유닛(60)의 각 지압돌기(63)는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 및 체중 쏠림 분포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다양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앞발바닥의 바깥쪽 영역으로 체중이 많이 쏠리는 착용자일 경우 바깥쪽 영역의 지압돌기가 안쪽 영역의 지압돌기 보다 직경이 크도록 하는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앞발바닥의 바깥쪽 영역으로 체중이 많이 쏠리는 착용자일 경우 바깥쪽 영역의 지압돌기가 안쪽 영역의 지압돌기 수량 보다 많은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앞발바닥을 좌우로 분반(分半)하는 가상의 기준선 상에서 전방에 3개의 지압돌기가 배치되고 후방에 4개의 지압돌기가 배치되며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각 양측에 3개씩의 지압돌기가 배치되도록 구현하였다.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각 지압돌기(63) 중 상기 탄성스프링(65)이 끼워진 지압돌기(63)들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부(631)가 형성되되, 지압돌기(63)의 상단에 치우쳐 배치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65)은 상기 나선부(631)와 대응되는 환형부(651a)가 나선 형태로 서로 이어져 복수 개의 층을 이루는 스프링분체(651)와, 상기 스프링분제(65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환형부(651a)의 외측으로 권취 되는 가압부(652)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652)는 상기 환형부(651a)의 외측으로 권취 되되 대돌출부(652a) 3개와 소돌출부(652b) 3개가 서로 번갈아가며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형상을 이룬다.
즉, 상기 가압부(652)는 대돌출부(652a)가 형성됨으로써, 신발 제조 시 용이하게 파지가 가능하여 상기 지압돌기(63)의 나선부(631)에 체결한 뒤 쉽게 회전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사각 또는 다각의 형상 중 가장 안정적인 형상은 삼각형상인데, 이는 사각 이상의 형상은 파지하여 회전시킬 경우 쉽게 미끄러질 수 있으나, 상기 가압부(652)의 형상인 삼각 형상은 파지되는 면이 3개로 형성됨에 따라 파지되는 면적이 넓어 미끄러져도 작업자의 손가락이 쉽게 이탈되지 않아 더욱더 용이하게 파지 및 체결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652)는 소돌출부(652b)에 의해 형성되는 추가적인 면 즉, 대돌출부(652a)의 사이에 형성되는 면을 두개의 면으로 구분시키되, 상기 소돌출부(652b)에 의해 파지하고 있는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따라서 상기 환형부(651a)에 의해 상기 지압돌기(63)의 나선부(631)에 상기 탄성스프링(65)이 고정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스프링(65)의 가압부(652)가 상기 플레이트(61) 측으로 탄성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탄성스프링(65)은 사용양태, 진동크기, 충격에 관계없이 다양한 조건에서 체결의 풀림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7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진동발생수단(50A, 50B, 50C)에는 상기 케이스(51)의 상단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59A)와, 상기 플랜지(59A)의 둘레를 따라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압유닛(60)의 각 지압돌기(63) 외주연 일부를 감싸도록 접촉되는 다수의 중계홈(59B)이 더 구비된다.
결국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 50C)에 의해 진동 발생 시 그 진동이 상기 플랜지(59A)를 거쳐 상기 각 중계홈(59B)과 접촉되어 있는 각 지압돌기(63)에도 전달됨으로써, 상기 각 지압돌기(63)에서도 미세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미세 진동을 통해 발바닥에 대한 지압은 물론 혈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지압유닛(60)에는 상기 플랜지(59A)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플랜지(59A)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대응플랜지(59C)와, 상기 대응플랜지(59C)에서 상기 각 중계홈(59B)과 서로 마주하는 둘레를 따라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각 중계홈(59B)과 함께 원형의 홀을 이루며 상기 각 지압돌기(63)의 외주연 타부를 감싸도록 접촉되는 다수의 대응중계홈(59D)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플랜지(59A)와 상기 대응플랜지(59D)에 의해 상기 각 지압돌기(63)의 외주연 일부 및 타부 모두가 감싸지는 형태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진동발생수단(50A, 50B, 50C)에 의해 진동 발생 시 그 진동이 상기 플랜지(59A)와 상기 대응플랜지(59C) 모두를 거쳐 상기 각 중계홈(59B)과 상기 각 대응중계홈(59D)과 접촉되어 있는 각 지압돌기(63)에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9 및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지압유닛(60)에는
상기 각 지압돌기(63) 내부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심홀(681)과,
상기 중심홀(681)과 서로 연결되게 상기 중심홀(681) 상부 측에 상하로 긴 타원형(楕圓形)을 이루면서 상방으로 개구(開口)된 수용홀(682)과,
상기 수용홀(682)에 배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십자형의 통기홈(683)을 갖는 구형(球形)체(684)와,
상기 중심홀(681)의 상단에 확경되게 형성되는 단턱부(685)와,
상기 단턱부(685)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형체(684)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686)과,
상기 각 지압돌기(63)의 하부면에 십자 형태로 움푹 들어가게 형성되어 상기 중심홀(681)과 서로 연결되는 바닥통기홈(687)
이 더 구비된다.
보행 시 지면으로부터 발이 뜨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68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형체(684)가 상기 수용홀(682)의 상부 측 입구를 막는 형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착용한 신발의 아웃솔(30)이 지면에 닿게 되면 발바닥의 가압에 의해 상기 구형체(684)가 상기 수용홀(682) 내에서 하강함으로써, 이때에 상기 리세스(40) 내의 공기가 상기 바닥통기홈(687)을 거쳐 상기 중심홀(681)로 유입된 후 상기 구형체(684)의 통기홈(683)을 따라 이동되어 발바닥 측으로 공급된다.
결국 상기 구형체(684)의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리세스(40)와 발바닥이 머무는 공간 간의 공기 유통이 이루어짐으로써, 환기 효과는 물론, 발바닥 냄새를 제거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신발은 보행 시 보행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발생수단에서 진동이 발생하고, 이 진동을 각 지압돌기 측으로도 전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좀 더 넓은 영역의 발바닥에 제공된 진동을 통해 혈류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보행 시 발바닥의 가압 및 해제 동작을 통해 발바닥이 머무는 공간에 대한 환기가 가능하여 무좀이나 발냄새를 제거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충분하다.

Claims (7)

  1. 어퍼(10);
    상기 어퍼(1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미들솔(20);
    상기 미들솔(2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아웃솔(30);
    상기 미들솔(20)의 상부면에서 착용자의 앞발바닥 또는 뒷발바닥, 또는 이들 모두에 해당하는 영역에 하방으로 움푹 파인 형상의 리세스(recess)(40);
    상기 리세스(40)의 바닥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진동발생수단;
    상기 리세스(40)를 덮는 플레이트(61)와, 상기 리세스(40)의 바닥면 중앙 영역에 상기 진동발생수단이 은닉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62)와, 상기 공간부(62)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방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압돌기(63)를 갖는 지압유닛(60); 및
    상기 아웃솔(30)의 하부면에서 착용자 발바닥의 아치(arch)와 대응되는 영역에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지압돌출부(70);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내부 수용부(511)를 갖는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 상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둘 이상의 제1고정자석(52)과,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과 서로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제2고정자석(53)과,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에서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과 상기 각 제2고정자석(53)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 가능한 제1진동판(54) 및 제2진동판(55)과, 상기 제1진동판(54)의 일단에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1분체진동판(54A)과, 상기 제2진동판(55)의 일단에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2분체진동판(55A)과, 상기 각 제1분체진동판(55A)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1고정자석(52)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둘 이상의 제1유동자석(56)과, 상기 각 제2분체진동판(55A)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2고정자석(53)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둘 이상의 제2유동자석(57)과, 상기 케이스(51)의 수용부(511)에 결합되고 상기 각 제1유동자석(56)과 상기 각 제2유동자석(57)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진동판(54)과 상기 제2진동판(55) 각 타단이 연결되는 진동프레임(58)과, 상기 케이스(51)의 상단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59A)와, 상기 플랜지(59A)의 둘레를 따라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압유닛(60)의 각 지압돌기(63) 외주연 일부를 감싸도록 접촉되는 다수의 중계홈(59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유닛(60)에는 상기 플랜지(59A)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플랜지(59A)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대응플랜지(59C)와, 상기 대응플랜지(59C)에서 상기 각 중계홈(59B)과 서로 마주하는 둘레를 따라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각 중계홈(59B)과 함께 원형의 홀을 이루며 상기 각 지압돌기(63)의 외주연 타부를 감싸도록 접촉되는 다수의 대응중계홈(59D)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출부(70)는 발바닥의 아치에서 안쪽 아치를 받쳐주는 이너서포트(71)와, 바깥쪽 아치를 받쳐주는 아우터서포트(72)와, 상기 이너서포트(71) 및 상기 아우터서포트(72)를 서로 연결하는 중계서포트(73)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압돌출부(70)에서 상기 이너서포트(71), 아우터서포트(72) 및 중계서포트(73)의 각 바닥면은 서로 잇는 하나의 면을 이루되, 상기 아우터서포트(72)에서 상기 이너서포트(71) 측으로 경사진 면을 이루고, 상기 이너서포트(71)의 바닥면 단부와 상기 아우터서포트(72)의 바닥면 단부 간의 단차(G)가 1~1.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출부(70)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지압돌출부(70)를 기준으로 상기 아웃솔(30)을 전방의 아웃솔(30A)과 후방의 아웃솔(30B)로 구분하였을 때에 전방의 아웃솔(30A)은 지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H1)가 10mm 이고, 후방의 아웃솔(30B)은 지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H2)가 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출부(70)에서 상기 이너서포트(71) 및 아우터서포트(72)는 사각의 기둥 구조이고, 상기 중계서포트(73)는 원형의 기둥 구조이고,
    상기 지압돌출부(70)의 이너서포트(71), 아우터서포트(72) 및 중계서포트(73) 각 내부에는 서로 이어진 일체형 또는 서로 분리된 개별형의 에어룸(7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유닛(60)에는 상기 각 지압돌기(63) 내부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심홀(681)과, 상기 중심홀(681)과 서로 연결되게 상기 중심홀(681) 상부 측에 상하로 긴 타원형(楕圓形)을 이루면서 상방으로 개구(開口)된 수용홀(682)과, 상기 수용홀(682)에 배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십자형의 통기홈(683)을 갖는 구형(球形)체(684)와, 상기 중심홀(681)의 상단에 확경되게 형성되는 단턱부(685)와, 상기 단턱부(685)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형체(684)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686)과, 상기 각 지압돌기(63)의 하부면에 십자 형태로 움푹 들어가게 형성되어 상기 중심홀(681)과 서로 연결되는 바닥통기홈(687)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유닛(60)에는 상기 각 지압돌기(63)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6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PCT/KR2020/014212 2020-10-19 2020-10-19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WO202208580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4212 WO2022085804A1 (ko) 2020-10-19 2020-10-19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4212 WO2022085804A1 (ko) 2020-10-19 2020-10-19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5804A1 true WO2022085804A1 (ko) 2022-04-28

Family

ID=8129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4212 WO2022085804A1 (ko) 2020-10-19 2020-10-19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08580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516A (ko) * 2004-06-08 2005-12-13 양승관 진동 신발
WO2010128822A2 (ko) * 2009-05-08 2010-11-11 웰니스힐스주식회사 외압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및 그것을 설치한 신발
KR101983723B1 (ko) * 2019-03-21 2019-05-29 이청근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KR101998706B1 (ko) * 2019-03-26 2019-07-10 이청근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KR20190126671A (ko) * 2018-05-02 2019-11-12 (주)동인그립 진동공명을 이용한 밑창이 구비된 신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516A (ko) * 2004-06-08 2005-12-13 양승관 진동 신발
WO2010128822A2 (ko) * 2009-05-08 2010-11-11 웰니스힐스주식회사 외압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및 그것을 설치한 신발
KR20190126671A (ko) * 2018-05-02 2019-11-12 (주)동인그립 진동공명을 이용한 밑창이 구비된 신발
KR101983723B1 (ko) * 2019-03-21 2019-05-29 이청근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KR101998706B1 (ko) * 2019-03-26 2019-07-10 이청근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5818A4 (en) BOOTS FOR AN ORTHOPEDIC ASSOCIATION
KR101998706B1 (ko)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WO2010117209A2 (ko)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WO2020032484A1 (ko) 당뇨 예방과, 당뇨 합병증에 의한 당뇨발 예방 및 당뇨성 괴사 궤양 통증 완화를 위한 커스텀 신발
JP2010500099A (ja) 身長成長促進のための刺激部を備えた機能性履物
JP2000507466A (ja) 履き物のためのソール
JP2009509652A (ja) 関節的に独立して動くつま先部分を有するフットウエア
DE69712205T2 (de) Einspuriger rollschuh
KR101983723B1 (ko)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WO2022085804A1 (ko)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WO2018143755A1 (ko) 발가락 교정구
JP2006193844A (ja) 健康促進用の靴下
KR101460045B1 (ko) 힐링용 워킹양말
KR101200165B1 (ko)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KR101300896B1 (ko) 성장판 자극 신발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101001019B1 (ko) 고유감각수용체 자극을 통한 뇌기능 향상 효과가 있는 신발
JP2003135557A (ja) 履物用つぼ刺激健康器具
KR102398744B1 (ko)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
WO2011078528A2 (en) Shoe having eccentrically-weight distributing shoe sole for correcting lower limb alignment and losing weight
WO2010008282A1 (en) Carrier to allow of being positioned against a body part
JP3238375U (ja) 足刺激支援具
CN211657512U (zh) 骨科矫形鞋垫
WO2016072543A1 (ko)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KR200394997Y1 (ko) 신발용 보조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587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3/08/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587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