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55066A1 -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5066A1
WO2022055066A1 PCT/KR2021/005464 KR2021005464W WO2022055066A1 WO 2022055066 A1 WO2022055066 A1 WO 2022055066A1 KR 2021005464 W KR2021005464 W KR 2021005464W WO 2022055066 A1 WO2022055066 A1 WO 20220550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elm
alopecia
plant
supercri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54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선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엔폴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1489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2640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1489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3879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엔폴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엔폴리
Publication of WO20220550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50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alopecia comprising an extract with a high content of catechin glycosides as an active ingredient.
  • Hair loss does not have a pathological disorder compared to other pathological diseases, but it affects the appearance and greatly affects people who suffer from hair loss as a social and psychological problem.
  • hair loss has been recognized as an aging phenomenon, but recently it appears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stress, nutritional imbalance, changes in social activities, diseases, childbirth, changes in diet, irregular life, and excessive use of chemical hairdressing agents along with genetic factors.
  • Types of hair los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male pattern hair loss, female pattern hair loss, alopecia areata, postpartum hair loss, and hair loss due to seborrheic scalpitis. Among them, the type of hair loss with the highest rate is male pattern hair loss.
  • Alopecia areata is a disease in which hair is lost in some or all parts of the body. Often, several coin-sized bald spots occur on the scalp, which can be caused by psychological stress.
  • telogen hair loss is hair loss that appears as the normal growth cycle of hair enters the telogen phase.
  • IGF-1 promotes proliferation of epithelial cells in culture, acts as a factor to promote hair growth by increasing the length of hair follicle tissue, and is an important growth factor involved in hair growth regulation (Itami et al., 1995) ; Hibino & Nishiyama, 2004).
  • IGF-1 growth factor has been repo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echanism of action of testosterone on hair and causing androgenetic alopecia due to increased expression by male hormones, anti-aging, improvement of dementia and depression , prevention of lifestyle-related diseases such as diabetes or high blood pressure, increase immunity, increase bone density, and prevent skin aging.
  • TGF- ⁇ 1 which induces catagen development
  • TGF- ⁇ type II receptor TGF- ⁇ type II receptor
  • Androgen receptor-transformed mouse bladder papillary cells showed increased ROS production after androgen treatment, and TGF- ⁇ 1 secretion was increased in DP-6 by androgen treatment, whereas androgen-induced TGF- ⁇ 1 wa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duction of TGF- ⁇ 1 by androgens is mediated by ROS of hair follicle DPCs by confirming that it is significantly inhibited by N-acetylcysteine, suggesting the use of antioxidant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ndrogenetic alopecia.
  • growth factors such as epidermal growth factor (EGF),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ere test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It has already been shown to be involved in hair growth by acting on a specific site in the hair follicle (Tsuboi R (1997). Growth factors and hair growth. Kor J Invest Dermatil, 4(2): 103-108). In 1994, Hervert's research team found that mice deficient in the fibroblast growth factor (FGF)-5 gene had an abnormally long anagen phase, resulting in relatively long hair, and FGF-7, IGF-1, and HGF inhibited hair growth.
  • EGF epidermal growth factor
  • IGF insulin-like growth factor
  • FGF fibroblast growth factor
  •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FGF-5 as a regulator of the hair growth cycle: Evidence from targeted and spontaneous mutation. Cell , 78: 1017-1025).
  • Minoxidil was developed as a vasodilator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in the early 1970s, but was used as a hair growth promoter as a side effect of hirsutism was reported. Although the mechanism of the hair growth effect is not precisely elucidated,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induces hair growth by increasing nutrient supply due to vasodilation. However, minoxidil has no effect on the front of the scalp, which has already become bald, and cannot be effective unless it is applied to the scalp twice a day for 6-12 months.
  • minoxidil As side effects of minoxidil, edema, tachycardia, local exfoliation, dermatitis, soreness at the site of administration, erythema, peeling, itching, dryness, skin irritation, contact dermatitis, etc. have been reported,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hirsutism may be caused.
  • minoxidil affects the hair cycle, there may be a phenomenon in which hair loss becomes more severe due to an increase in telogen shedding, and when the administration is stopped, the period of return to the state before treatment is short.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hair loss prevention agent derived from a natural product that is safer and has no side effects.
  •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the extract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catechin glycosides derived from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Elm plants inhibits the production of testosterone-derived dihydrotestosterone (DHT) in human milk dew cells, and human milk dew It was experimentally proven that it effectively inhibits apoptosis caused by oxidative stress of cell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extract can be develop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alopecia.
  • DHT dihydrotestosteron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alopecia.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opecia comprising an extract of supercritical extract of a plant of the genus El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a plant of the genus Elm includes the steps of (a) supercritically extracting a plant of the genus Elm to obtain a supercritical extract; and (b) obtaining an extract for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Elm plant obtained above.
  •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plant of the genus Elm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plant of the genus Elm is prepared.
  • a supercritical extract residue of a plant of the genus Elm refers to a residue remaining after extraction of a plant of the genus Elm by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 Elm (Ulmus) plant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ants of the family Rosaceae Elm, for example, Ulmus davidiana, El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elm tree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for. Suberosa), elm tree (Ulmus parvifolia), birch tree (Ulmus pumila), nanti tree (Ulmus laciniata), king elm tree (Ulmus macrocarpa), and the like. Most representatively, the elm tree (Ulmus davidiana) and the elm tree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an be used.
  • the Elm plant is the whole of Elm plant; Alternatively, a part of a plant of the genus E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ms, roots, leaves, flowers, fruits, and seeds may be used. Preferably, branches, stems or roots of plants of the genus Elm may be used.
  • all or part of the Elm plant may be dried and/or pulverized before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process.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extracting fragrances, pigments, oils and fats or functional substances contained in natural products without denaturation using a supercritical fluid.
  • the fluid in the supercritical state means a fluid in a state in which gas and liquid cannot be distinguished beyond a certain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reshold of a critical point.
  • the supercritical fluid may be, for exampl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s carbon dioxide in a state exceeding the critical temperature (31° C. and critical pressure (7.5 MPa)), and is a fluid having gas and liquid properties at the same time.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includes, for example, a pressure change method in which a mixture of a supercritical fluid and a solute is expanded under reduced pressure at the same temperature as the extraction temperature to reduce the dissolving power of the supercritical fluid and the solute is separated;
  • the temperature change method of separating the supercritical fluid and the solute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ercritical fluid to reduce the dissolving power is not limited thereto.
  • a co-solvent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supercritical fluid, and the co-solvent includes a polar solvent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preferably alcohol, water, 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It can be use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ate, formic acid, acetic acid, acetonitrile, chlorodifluoromethane, or mixtures thereof.
  • the container for supercritical extraction can be controlled in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tainer configured to contact the extraction raw material and the supercritical fluid.
  • the pressure in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in the range of 100-600 bar
  • the temperature in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in the range of 10-100 °C
  • the flow rate of the supercritical fluid and the auxiliary solvent in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is 10 -100 g/min.
  •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use the pressure, temperature, and flow rates of the fluid and co-solvent in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by appropriately adjusting within the above range.
  • the supercritical extract which is a filtrate generated after supercritical extraction of the Elm plant, is collected, and the collected supercritical extract i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subsequent solvent extraction.
  • An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a plant of the genus Elm is obtained through a solvent extraction method for the collected supercritical extract of a plant of the genus Elm.
  • extract used while referring to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Elm plant is not only the extraction result obtained by treating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Elm plant with an extraction solvent, but also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of the Elm plant. It has a meaning to include a processed extract of the extract formulated (eg, powdered) so that the extract itself of gourd can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Elm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parat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tracting an extract from a natural product, that is, using a conventional solvent under conditions of ordinary temperature and pressure. there is.
  • polar solvents e.g, water, (ii) alcohols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n-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1-pentanol, 2-butoxyethanol or ethylene glycol), (iii) acetic acid, (iv) DMFO (dimethylformamide) and (v) DMSO (dimethyl sulfoxide).
  • alcohols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n-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1-pentanol, 2-butoxyethanol or ethylene glycol
  • acetic acid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n-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1-pentanol, 2-butoxyethanol or ethylene glycol
  • Suitable non-polar solvents are acetone, acetonitrile,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fluoroalkane, pentane, hexane, 2,2,4-trimethylpentane, decane, cyclohexane, cyclopentane, diisobutylene, 1- Pentene, 1-chlorobutane, 1-chloropentane, o-xylene, diisopropyl ether, 2-chloropropane, toluene, 1-chloropropane, chlorobenzene, benzene, diethyl ether, diethyl sulfide, chloroform, dichloro methane, 1,2-dichloroethane, aniline, diethylamine, ether, carbon tetrachloride and tetrahydrofuran (THF).
  • acetone acetonitrile
  • ethyl acetate methyl
  • the extraction solv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b) alcohol, (c) a mixed solvent of the lower alcohol and water, (d) acetone, (e) ethyl acetate, (f) chloroform, (g) butyl acetate, (h) 1,3-butylene glycol, (i) hexane and (j) diethyl ether.
  • the alcohol may be an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4 carbon atoms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normal-propanol, iso-propanol, normal-butanol, etc.).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fraction obtained by further fractionation using a solvent with respect to the solvent extract.
  • the solvent extraction is performed through a process of contacting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a plant of the genus Elm with an extraction solvent.
  • the solvent extraction process is completed through the step of partially or completely removing the extraction solvent, which means concentration until an aqueous concentrate free of a significant amount of organic solvent is obtained, and by complete removal can obtain a dry residue.
  • extract has the meaning commonly used as a crude extract in the art as described above, but in a broad sense it is also meant to include a fraction obtained by additionally fractionating the crude extract. Fractionation by the solvent may be performed through an additional extraction process using the solvent.
  •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Elm plant is a catechin glycosid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catechin 7-O- ⁇ -D-apiofuranoside) includes
  • the extract of supercritical gourd of the genus Elm plant may contain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in an amount of 30 - 200 ⁇ g / ml, more specifically 40 - 200 ⁇ g / ml , 50-190 ⁇ g/ml, 60-190 ⁇ g/ml, 60-180 ⁇ g/ml, 70-180 ⁇ g/ml, 80-180 ⁇ g/ml, 80-170 ⁇ g/ml, 90-170 ⁇ g/ml, 90 - 160 ⁇ g/ml, 100 - 160 ⁇ g/ml, 100 - 150 ⁇ g/ml, or 100 - 140 ⁇ g/ml.
  • the term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means that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amount sufficient to achieve the efficacy of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lopecia.
  •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Elm pla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estosterone to 5-alpha-reductase (5 ⁇ -reductase) in human-derived dermal papilla cells (HFDPC). It inhibits conversion to dihydrotestosterone (DHT). Therefore,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improvement,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opecia, in particular androgenetic alopecia.
  •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Elm pla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dermal papilla cells (HFDPC) from apoptosis by oxidative stress. Therefore,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improvement,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opecia, particularly stress-related alopecia.
  • HFDPC dermal papilla cells
  • hair loss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hair in a region where hair should normally exist due to the loss of abnormal hair
  • lopecia refers to a condition caused by hair loss as described above.
  • androgenetic alopecia is also referred to as androgenetic alopecia, and refers to alopecia caused by genetic causes and the influence of male hormones or aging.
  • DHT dihydrotestosterone
  • stress alopecia refers to alopecia caused by psychological or physical stress, and includes stress-related alopecia areata and stress-related alopecia areata.
  • stress alopecia includes stress alopecia that occurs in animals other than humans as well as stress alopecia in human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opecia,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revention refers to suppression of the occurrence of symptoms due to hair loss or complications of hair loss
  • treatment refers to alleviation or elimination of symptoms due to already occurring symptoms or complications of hair loss.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monly used in formulation, and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gum,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fine 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ubricant, a wetting agent, a sweetening agent, a flavor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a suspending agent, a preservativ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 a lubricant e.g., a talc, a kaolin, a kaolin, a kaolin, a kaolin, kaolin, kaolin, kaolin,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sorbitol, a talct, a talct, a talct, a stevia, glycerin, glycerin, glyceri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in the case of parenteral administration, it may be administered by intravenous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or the like.
  • a suitabl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ode, age, weight, sex,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excretion rate, and response sensitivity of the patient, An ordinarily skilled physician can readily determine and prescribe a dosage effective for the desired treatment or prophylaxis.
  • the daily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1 - 10,000 mg/kg.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in unit dosage form by formulating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or excipient according to a method that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r it may be prepared by incorporation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in oil or aqueous medium, or may be in the form of an extract, powder, granule, tablet or capsule,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 dispersant or stabiliz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lopecia comprising an extract of supercritical extract of a plant of the genus Elm as an active ingredient.
  • alopecia may include androgenetic alopecia or stress alopecia, and the meaning and content of the terms “alopecia”, “androgenetic alopecia”, and “stress alopecia” are o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composition for the improvement,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opecia in humans.
  • extract With respect to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Elm plant contained in the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 “solvent”, “extraction process”,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nd Since the content in common including “catechin glycoside”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composition for improvement,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opecia, which i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on content is described in duplicate in the invention related to the cosmetic composition without doing it, use it as is.
  •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a plant of the genus Elm includes the steps of (a) supercritically extracting a plant of the genus Elm to obtain a supercritical extract; And (b) i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an extract for the obtained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plant of the genus Elm.
  •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Elm plant may include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 the extract of supercritical extract of Elm plant may contain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in an amount of 30 - 200 ⁇ g/ml, more specifically As a result,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Elm plant contains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at 40 - 200 ⁇ g / ml, 50 - 190 ⁇ g / ml, 60 - 190 ⁇ g / ml, 60-180 ⁇ g/ml, 70-180 ⁇ g/ml, 80-180 ⁇ g/ml, 80-170 ⁇ g/ml, 90-170 ⁇ g/ml, 90-160 ⁇ g/ml, 100-160 ⁇ g/ml, 100 - 150 ⁇ g/ml, or 100 - 140 ⁇ g/ml.
  • improvement refers to alleviation or alleviation of symptoms due to hair loss or symptoms due to complications of hair loss.
  • the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It may be formulated as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and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a nourishing lotion, a nourishing cream, a massage cream, an essence, an eye cream, a cleansing cream, a cleansing foam, a cleansing water, a pack, a spray, or a powder.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may contain propellants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for exampl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3-butylglycol oil, glycerol fatty esters, fatty acid esters of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 microcrystals Adult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may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gent
  •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fatty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anolin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may be used.
  • ingredients included in the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active ingredients and carrier ingredients, for example,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ragrances. may includ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or improving alopecia,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of treatment of alopecia an extract of supercritical extract of a plant of the genus Elm.
  •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plant of the genus Elm (a) supercritical extraction of the plant of the genus Elm to obtain a supercritical extract; And (b)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or improving alopecia, which is produc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an extract for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Elm plant obtained above.
  •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Elm plant is alopecia comprising catechin 7-O- ⁇ -D-apiofuranoside (catechin 7-O- ⁇ -D-apiofuranoside) It provides a method of treatment or improvement of
  •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Elm plant is the treatment of alopecia or It provides a way to improve. More specifically,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the Elm plant contains 40 - 200 ⁇ g/ml, 50 - 190 ⁇ g/ml, 60 - 190 ⁇ g/ml of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 ml, 60-180 ⁇ g/ml, 70-180 ⁇ g/ml, 80-180 ⁇ g/ml, 80-170 ⁇ g/ml, 90-170 ⁇ g/ml, 90-160 ⁇ g/ml, 100-160 ⁇ g/ml , 100-150 ⁇ g/ml, or 100-140 ⁇ g/ml may be included.
  • the alopecia is androgenetic alopecia or stress alopecia, which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or improving alopecia.
  • the content overlaps with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composition or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improvement of alopecia, which i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extract of supercritical extract of Elm plant "Extract”, “solvent”, “extraction process”,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related to “alopecia”, “androgenetic alopecia”, “stress alopecia” and “catechin glycoside” related to alopecia , and are not described repeatedly in order to avoid excessive complexity of the specification.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he production of dihydrotestosterone converted by 5-alpha-reductase from testosterone in human-derived dermal papilla cells, and inhibits apoptosis due to oxidative stress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thereby treating, preventing, or It can be used as an active substance for improvement applications.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ethanol extract (USCFR) for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elm bra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is a HPLC analysis result of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as a standard material.
  • Figure 2b is the result of HPLC quantitative analysis of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in the ethanol extract of elm branch supercritical extract.
  • Figure 3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for the elm supercritical extract on the production of dihydrotestosterone (Dihydrotestosterone, DHT) in breast milk dew cells.
  • DHT dihydrotestosterone
  • Figure 4 shows that the ethanol extract of elm branch supercritical extract inhibits Bax protein expression in dermal papilla cells treated with hydrogen peroxide (H2O2), increases Bcl-2 protein expression, and inhibits PARP-1 protein expression showing the experimental results.
  • H2O2 hydrogen peroxide
  • FIG. 5a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concentration-dependently promoting the expression of IGF in dermal papilla cells treated with hydrogen peroxide by an ethanol extract of elm branch supercritical extract. *P ⁇ 0.001 vs normal group. **P ⁇ 0.005 vs H2O2 control group.
  • FIG. 5b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concentration-dependentl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TGF- ⁇ 1 in dermal papilla cells treated with hydrogen peroxide by an ethanol extract of supercritical extract from elm branch. *P ⁇ 0.001 vs normal group. **P ⁇ 0.005 vs H2O2 control group.
  • Ulmus branches were purchased at Seoul Yangnyeong Market, and foreign substances were removed, washed, and dried in the shade to be used as experimental materials.
  • Supercritical extraction of elm branches was performed using equipment for production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CFE-P400, Ilsin Autoclave, Daejeon, Korea).
  • Elm branches were purchased from Yangnyeong Market in Seoul, and foreign substances were removed, washed, and dried in the shade to use as experimental materials.
  • 100 kg of the dried sample was pulverized to pass through a pulverization net of 200 mesh, and the temperature of the pulverized elm branch was adjusted to 50° C. in the extraction tank to maintain the temperature.
  • Waters 2695 separation module was used to analyze the content of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in the ethanol extract of supercritical extract of elm branch by HPLC, and Waters 2487 Dual ⁇ was used as the detector. Absorbance Detector was used. A SkyPak C18 column (250 X 4.6 mm) was used as the column, and the column temperature was set to 25°C. The mobile phases were D.W. (A) and acetonitrile (B),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following gradient program.
  • HFDPC Human-derived dermal papilla cells
  • PromoCell Heidelberg, Germany
  • HFDPC cells were inoculated in a papilla cell-specific medium (PromoCell, Heidelberg, Germany or Cell biologics Inc, IL, USA) recommended by the supplier, and passage cultured at 37 ° C., 5% CO 2 conditions for 24 - 48 hours was used for the experiment.
  • DHT dihydrotestosterone
  • H2O2 and samples were treated in dermal papilla cells were recovered at each time period and lysed in cell lysis buffer (RIPA buffer).
  • the protein concentration of the supernatant was measured with a BCA protein assay kit (Bio-Rad, CA, USA) and then heated at 95°C for 10 minutes.
  • electrophoresis of the prepared sample on SDS-polyacrylamide gel it was transferred to a polyvinylidinedifluoride membrane (PVDF, Bio-rad, CA, USA), and then blocked with 5% BSA, and reacted with the presented specific antibody.
  • PVDF polyvinylidinedifluoride membrane
  • TGF- ⁇ and IGF-1 kits were purchased from R&D Systems (CA, USA) and used. The usage of each kit was tested according to the supplier's manual, and the amount of antigen (pg or ⁇ g) per volume (ml) of cell lysate was converted into concentration units to derive results.
  • the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HPLC in the extract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Elm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is the HPLC analysis result of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which is a standard material
  • Figure 2b is catechin 7-O- in ethanol extract (USCFR) for elm branch supercritical extract. It is the result of HPLC quantitative analysis of ⁇ -D-apiofurannoside.
  • the content of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measured i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able 2 below.
  • DHT dihydrotestosterone
  • H2O2 Hydrogen peroxide
  • HFDPC dermal papilla cells
  • H2O2 hydrogen peroxide
  • Bcl-2 is a representative protein molecule involved in apoptosis inhibition,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Bcl-2 molecule was significantly reduced when H2O2 was treated with respect to HFDPC.
  • PARP-1 uses intracellular NAD as a substrate to induce poly-ADP ribosylation of a target protein in the nucleus of a cell, thereby activating signaling involved in sub-apoptosis. For this reason, the activation of PARP-1 is used as a leading indicator of apoptosis, and in particular, it is used as a representative indicator related to apoptosis.
  • the extract of supercritical extract (USCFR) of Elm tree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he expression of IGF-1 that is helpful for hair growth (FIG. 5a), and TGF- that interferes with hair growth and accelerates hair loss
  • the inhibitory efficacy of ⁇ 1 (Fig. 5b) was confirmed.
  •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above items (3) to (6) show that the extract of supercritical extract of Elm tree containing catechin 7-O- ⁇ -D-apiofurannoside is apoptosis of dermal papilla cells by oxidative stress. It is suggested that it effectively suppresses the effect of stress-related hair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킨 배당체를 고함량 포함하는 느릅나무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에 대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에서 테스토스테론으로부터 5알파-환원효소에 의해 변환되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의 생성을 억제하고,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모유두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억제하여, 탈모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용도의 활성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다른 병리적 질환에 비해 병리 장애적 문제는 없지만, 외모에 영향을 미쳐 사회적, 심리적 문제로서 탈모를 겪는 사람에게 큰 영향을 끼친다. 과거에 탈모는 노화현상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유전적 요인과 함께 스트레스, 영양불균형, 사회활동의 변화, 질병, 출산, 식생활의 변화, 불규칙한 생활, 과도한 화학 정발제 사용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나타나고 있다. 탈모의 유형은 크게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산후 탈모, 지루성 두피염에 의한 탈모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 비율이 가장 높은 탈모의 유형은 남성형 탈모이다.
남성형 탈모는 유전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고 탈모가 빨리 시작되면 탈모의 정도도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 유전적 원인 이외에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5알파-환원효소(5α-reductase)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변화되어 생생된 DHT가 모유두세포를 위축시키고 세포분열을 둔화시켜 모발이 가늘어지거나 탈모가 진행된다.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는 원형 탈모증의 형태로 나타난다. 원형 탈모증은 몸의 일부 또는 모든 부위에서 털이 빠지는 질환이다. 흔히, 두피에 몇 개의 동전 크기 정도의 대머리 반점이 생기는데, 심리적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두피에 있는 털이나 수염이나 눈썹 등의 전신 털이 모두 없어져 영구적으로 탈모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는 휴지기 탈모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휴지기 탈모는 모발의 정상적인 성장 주기가 휴지기로 접어들면서 나타나는 탈모이다. 사람의 모발은 3-6년 주기로 생장과 소멸을 반복하는데, 3-6년 가량 성장한 모발은 약 3-4주에 걸쳐 퇴화한 후, 3-5개월가량 모발이 빠진 상태가 지속되는 휴지기로 접어든다. 보통 휴지기로 접어드는 모발은 전체 모발의 10%(약 1만가닥) 정도인데, 이런 형태로 모발이 휴지기에 접어들면서 머리카락이 빠지는 형태의 탈모를 휴지기 탈모라고 한다.
IGF-1은 배양중인 상피계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며, 모낭 조직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모발성장의 조절에 관여하는 중요한 성장인자이다(Itami et al., 1995; Hibino & Nishiyama, 2004).
IGF-1 성장인자는 남성호르몬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여 testosterone의 모발에 대한 작용에 관여하고 안로겐성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을 일으키는 작용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노화방지, 치매와 우울증 개선,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의 생활 습관병 예방, 면역력 증가 및 골밀도 상승, 피부노화 방지에 도움이 되며, 모발의 휴지기 상태에서 성장기 상태로 변환을 유도하여 탈모치료에 사용된다.
마우스 뒷면 피부에 퇴행기 개발을 유도하는 TGF-β1 주입 시 모낭 증식하여 각화 세포의 수가 감소하고, TUNEL 세포의 수가 대조군과 비교 시 TGF-β1 투여 마우스에서 증가하였으며, TGF-β유형 II 수용체 (TGFRIl) 및 TUNEL 반응성의 이중 시각화 퇴행기 모낭의 세포 사멸 핵 및 TGFRII의 colocalization을 한 것으로 밝혀져 TGF-βRII 작용제와 길항제는 조기 또는 지연 퇴행기 탈모, 다모증 기반으로 인간의 모발 성장 질환에 대한 유용한 치료로 제공될 수 있다고 하였다(Foitzik K, Lindner G, Mueller-Roever S, Maurer M, Botchkareva N, Botchkarev V, Handjiski B, Metz M, Hibino T, Soma T, Dotto GP, Paus R(2000). Control of murine hair follicle regression (catagen) by TGF-beta1 in vivo. FASEB journal, 14(5): 752-812).
Shin et al.(2013)은 안드로겐성 탈모증은 TGF-β1 분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Shin H, Yoo HG, Inui S, Itami S, Kim IG, Cho AR, Lee DH, Park WS, Kwon O, Cho KH, Won CH(2013). Induc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by androgen is mediat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i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BMB Reports, 46(9): 460-464.)
안드로겐 수용체가 형질 전환된 쥐 방광유두세포(DP-6)는 안드로겐 치료 후에 증가된 ROS 생성을 보였으며, TGF-β1 분비가 DP-6에서 안드로겐 치료에 의해 증가되는 반면 안드로겐 유도성 TGF-β1은 N-아세틸시스테인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여 안드로겐에 의한 TGF-β1의 유도가 모낭 DPCs의 ROS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치료를 위한 항산화제 치료의 사용을 제안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성장인자의 모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표피성장인자(EGF), 인슐린 유사성장인자(IGF), 섬유아세포성장인자(FGF),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등의 성장 인자들은 여러 실험을 통하여 모낭의 특정 장소에 작용하여 모발 성장에 관여한다고 이미 밝혀진 바 있다(Tsuboi R(1997). Growth factors and hair growth. Kor J Invest Dermatil, 4(2): 103-108). 1994년에는 Hervert 연구팀에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5 유전자가 결핍된 쥐가 비정상적으로 활동기(anagen phase)가 길어져 모발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며, FGF-7, IGF-1, HGF는 모발성장을 촉진시키는 주변 분비 성장인자(paracrine growth factor)라고 보고하였다(Hervert JM, Rosenquist T, Gotz J, Martin GR(1994). FGF-5 as a regulator of the hair growth cycle: Evidence from targeted and spontaneous mutation. Cell, 78: 1017-1025).
Jiang et al.(1995)은 발모 및 탈모에 영향을 미치는 내분비계인자 중 TGF-β1은 모발의 성장기 단계(anagen stage)의 성장을 방해하여 정상보다 빨리 퇴행기 단계(catagen stage)로 접어들게 하여 탈모를 유도하고 IGF-1, TGF-β2, EGF, FGF 등의 성장 인자는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고 모발세포의 퇴화를 방지하여 탈모를 방지한다고 하였다(Jiang H, Yamamoto S, Kato R(1995). Induction of anagen in telogen mouse skin by topical application of FK506, a potent immunosuppressant. J. Invest. Dermatol, 104: 523-525).
나현욱 등(2006)의 연구에서는 털의 성장이 혈액순환에 보다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호르몬의 일종인 인슐린과 growth factor인 IGF-1, EGF들이 털의 성장을 촉진시켜 모낭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나현욱, 이창현, 권진, 이문원, 정한솔, 이광규(2006).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2), 428-435).
미녹시딜(minoxidil)은 1970년대 초에 고혈압치료를 위한 혈관확장제로 개발되었으나,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보고되면서 발모 촉진제로 사용되었다. 발모효과에 대한 기전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혈관 확장으로 인한 영양공급 증가로 모발성장을 유도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미녹시딜은 이미 대머리가 되어버린 두피의 앞쪽에서는 효과가 없으며, 6-12개월간 하루 두 차례씩 꾸준히 두피에 도포하지 않으면 효과를 볼 수 없다. 미녹시딜의 부작용으로는 부종, 빈맥, 국소박리, 피부염, 투여 부위에 대한 쓰라림, 홍반, 피부 벗겨짐, 가려움증, 건조증, 피부낙설, 접촉피부염 등이 보고되었고, 다모증이 유발될 수 있다고 보고된 바가 있다. 또한, 미녹시딜이 모발 주기에 영향을 주어 휴지기 모발탈락(shedding)의 증가로 인해 탈모가 더 심해지는 현상이 있을 수 있으며, 투약을 중지하는 경우 치료 전의 상태로 환원되는 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60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951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3626호
본 발명자들은 보다 안전하고 부작용 없는 천연물 유래의 탈모 방지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으로부터 유래된 카테킨 배당체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추출물이 인간 모유듀 세포에서 테스토스테론 유래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의 생성을 억제하고, 인간 모유듀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사멸(apoptosis)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추출물이 탈모증의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a) 느릅나무속 식물을 초임계 추출하여 초임계 추출박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얻어진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에 대해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단계 (a): 느릅나무속 식물을 초임계 추출하여 초임계 추출박을 얻는 단계
본 발명의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supercritical extract residue)은 느릅나무속 식물을 초임계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하고 남은 잔여물(residue)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초임계 추출박 제조에 사용되는 느릅나무속(Ulmus) 식물은 장미목 느릅나무과의 식물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당느릅나무(Ulmus davidiana),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혹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for. Suberosa),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비술나무(Ulmus pumila), 난티나무(Ulmus laciniata),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 등을 포함한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당느릅나무(Ulmus davidiana),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느릅나무속 식물은 느릅나무속 식물의 전체; 또는 줄기, 뿌리, 잎, 꽃, 열매, 및 씨앗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느릅나무속 식물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느릅나무속 식물의 가지, 줄기 또는 뿌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초임계 추출 공정 전에 느릅나무속 식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건조 및/또는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초임계 추출(supercritical extraction) 방법은 초임계 상태의 유체를 사용하여 천연물에 함유된 향, 색소, 유지류 또는 기능성 물질을 변성 없이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초임계 상태의 유체는 임계점(supercritical point)의 일정한 고온 고압의 한계점을 넘어 기체와 액체의 구별이 되지 않는 상태의 유체를 의미한다. 상기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이산화탄소(supercritical carbon dioxide)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초임계이산화탄소는 임계온도(31℃ 및 임계압력(7.5 MPa)을 초과한 상태의 이산화탄소로서 기체와 액체의 성질을 동시에 가진 유체이다.
본 발명에서의 초임계 추출법은 예를 들어 초임계 유체와 용질의 혼합물을 추출온도와 같은 온도에서 감압하여 팽창시켜 초임계 유체의 용해력이 감소되면서 용질이 분리되는 압력변화법 방식; 또는 초임계 유체의 온도를 높여서 용해력을 감소시킴으로서 초임계 유체와 용질을 분리하는 온도 변화법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임계유체와 함께 보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용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극성 용매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물, 에틸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포름산, 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클로로디프루오로메탄 또는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초임계 추출용 용기는 온도와 압력이 조절될 수 있으며, 추출원료와 초임계 유체가 접촉하도록 구성된 용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초임계 추출에서의 압력은 100-600 bar 범위일 수 있고, 초임계 추출에서의 온도는 10-100℃ 범위일 수 있으며, 초임계 추출에서의 초임계 유체 및 보조용매의 유속은 10-100 g/분일 수 있다.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는 초임계 추출에서 압력, 온도, 유체 및 보조용매의 유속을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느릅나무속 식물을 초임계 추출한 뒤 발생하는 진여물인 초임계 추출박을 수집하고, 수집된 초임계 추출박을 다음의 용매 추출의 원료로 사용한다.
단계 (b): 상기 얻어진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수집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에 대해 용매 추출 방법을 통해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을 얻는다.
본 명세서에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 뿐만 아니라,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 자체를 대상자(subject)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예컨대, 분말화)된 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에 대해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 (dimethylformamide) 및 (v) DMSO (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 (tetrahydrofuran)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알코올,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등)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용매 추출물에 대해 다시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 추출은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을 추출용매와 접촉시키는 공정을 통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용매 추출 공정은 추출 용매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완성되며, 부분적 제거는 상당한 양의 유기용매가 없는 수성 농축물이 얻어질 때까지 농축하는 것을 의미하며, 완전한 제거에 의해서는 건조 잔류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 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상기 조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용매에 의한 분획은 상기 용매를 사용한 추가적인 추출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테킨 배당체인,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catechin 7-O-β-D-apiofuranoside)를 포함한다.
Figure PCTKR2021005464-appb-C000001
본 발명에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박의 추출물은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30 - 200 ㎍/㎖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40 - 200 ㎍/㎖, 50 - 190 ㎍/㎖, 60 - 190 ㎍/㎖, 60 - 180 ㎍/㎖, 70 - 180 ㎍/㎖, 80 - 180 ㎍/㎖, 80 - 170 ㎍/㎖, 90 - 170 ㎍/㎖, 90 - 160 ㎍/㎖, 100 - 160 ㎍/㎖, 100 - 150 ㎍/㎖, 또는 100 - 140 ㎍/㎖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추출물이 탈모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의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증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에 포함되는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인간 유래 모유두세포(HFDPC)에서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환원효소(5α-reductase)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Dihydrotestosterone)으로 변환되는 것을 저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탈모증, 특히 남성형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증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에 포함되는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모유두세포(HFDPC)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세포사멸(apoptosis)되는 것을 저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탈모증, 특히 스트레스성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탈모"는 비정상적인 모발의 유실로 인해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용어 "탈모증"은 상기와 같은 탈모로 인하여 야기되는 상태(condition)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남성형 탈모증"은 안드로겐성 탈모증이라고도 하며, 유전적 원인과 남성호르몬의 영향 또는 노화가 원인인 탈모증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환원효소 작용에 의해 변환되어 생성되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에 의해 유발되는 탈모증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트레스성 탈모증"은 심리적 또는 육체적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탈모증을 의미하며, 스트레스성 원형 탈모증과 스트레스성 휴지지 탈모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스트레스성 탈모증"은 인간의 스트레스성 탈모증 뿐만 아니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성 탈모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탈모로 인한 증상 또는 탈모의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의 발생의 억제를 의미하며, 용어 "치료"는 이미 발생된 탈모로 인한 증상 또는 탈모의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의 경감 또는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내 주입, 복강내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 - 10,000 ㎎/㎏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서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 또는 스트레스성 탈모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용어"탈모증", "남성형 탈모증", 및 "스트레스성 탈모증"에 관한 의미 및 내용은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과 관련하여, "추출물", "용매", "추출공정", "초임계추출방법",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및 "카테킨 배당체" 등을 포함하는 서로 공통되는 내용은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상기 공통되는 내용들을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발명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고 그대로 원용한다.
본 발명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서, 상기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a) 느릅나무속 식물을 초임계 추출하여 초임계 추출박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얻어진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에 대해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30 - 200 ㎍/㎖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40 - 200 ㎍/㎖, 50 - 190 ㎍/㎖, 60 - 190 ㎍/㎖, 60 - 180 ㎍/㎖, 70 - 180 ㎍/㎖, 80 - 180 ㎍/㎖, 80 - 170 ㎍/㎖, 90 - 170 ㎍/㎖, 90 - 160 ㎍/㎖, 100 - 160 ㎍/㎖, 100 - 150 ㎍/㎖, 또는 100 - 140 ㎍/㎖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은 탈모로 인한 증상 또는 탈모의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의 경감 또는 완화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과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을 탈모증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subject)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증의 치료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a) 느릅나무속 식물을 초임계 추출하여 초임계 추출박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얻어진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에 대해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탈모증의 치료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catechin 7-O-β-D-apiofuranoside)를 포함하는 것인, 탈모증의 치료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30 - 200 ㎍/㎖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탈모증의 치료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40 - 200 ㎍/㎖, 50 - 190 ㎍/㎖, 60 - 190 ㎍/㎖, 60 - 180 ㎍/㎖, 70 - 180 ㎍/㎖, 80 - 180 ㎍/㎖, 80 - 170 ㎍/㎖, 90 - 170 ㎍/㎖, 90 - 160 ㎍/㎖, 100 - 160 ㎍/㎖, 100 - 150 ㎍/㎖, 또는 100 - 140 ㎍/㎖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 또는 스트레스성 탈모증인 것인, 탈모증의 치료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탈모증의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탈모증의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또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 예를 들어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과 관련된 "추출물", "용매", "추출공정", "초임계추출방법" 및 탈모증과 관련된 "탈모증", "남성형 탈모증", "스트레스성 탈모증" 및 "카테킨 배당체"에 관한 내용 들은 기재된 내용을 원용하며,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중복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인간 유래 모유두세포에서 테스토스테론으로부터 5 알파-환원효소에 의해 변환되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억제하고, 인간 모유두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사멸를 억제함으로써, 탈모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용도의 활성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느릅나무 가지의 초임계 추출박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USCFR)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a는 표준물질인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의 HPLC 분석결과이다.
도 2b는 느릅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박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내에서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HPLC 정량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박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이 모유듀 세포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이다. *P<0.001 vs blank group. #P<0.001, †P<0.05, ††P<0.005 vs testosterone group.
도 4은 느릅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박의 에탄올 추출물이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한 모유두세포에서 Bax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고, Bcl-2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며, PARP-1 단백질 발현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이다.
도 5a는 느릅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박의 에탄올 추출물이 과산화수소 처리된 모유두 세포에서 IGF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촉진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P<0.001 vs normal group. **P<0.005 vs H2O2 control group.
도 5b는 느릅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박의 에탄올 추출물이 과산화수소 처리된 모유두 세포에서 TGF-β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P<0.001 vs normal group. **P<0.005 vs H2O2 control group.
하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실시예
1. 실험 방법
(1) 느릅나무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
느릅나무(Ulmus) 가지를 서울약령시장에서 구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음건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느릅나무 가지의 초임계 추출은 초임계유체 추출 생산용 장비(SCFE-P400, Ilsin Autoclave, Daejeon, Korea)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느릅나무 가지를 서울약령시장에서 구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음건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건조된 시료 100 kg을 200 메쉬(mesh)의 분쇄망을 통과하도록 분쇄하고, 분쇄된 느릅나무 가지를 추출조의 온도를 50℃로 조절하여 온도를 유지시켰다. 온도가 안정화되면 느릅나무 가지 시료를 넣고 CO2 가스를 등압으로 유지시킨 후,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라인(line)을 통해 실험압력 조건인 400 bar에 도달할 때까지 컨트롤 밸브(Control valve)를 조절하여 주입하였다. 설정 압력에 도달 후 추출조 하부로 에탄올(주정: 식용 알콜)을 분당 0.5~0.6L씩 160분 동안 총 60~80L를 투입하여 추출을 진행하였으며, 시료에 남아있는 잔존 에탄올을 제거하기 위해 설정된 압력과 온도로 60~120분 동안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CO2를 흘려보내며 추출을 완료하였다. 위와 같이 느릅나무 가지를 초임계 추출을 하고 난 후에 얻어진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박 시료 100kg을 음건하여 60% 에탄올로 실온에서 1회 추출하여 여과하였다. 그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를 실시해 최종 4.81 kg을 확보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느릅나무 가지의 초임계 추출박 에탄올 추출물은 "USCFR"으로 표기하였다(도 1).
(2) HPLC 분석
느릅나무 가지의 초임계 추출박 에탄올 추출물내에서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의 함량을 HPLC로 분석 하기 위해, Waters 2695 separation module을 사용하였고, 검출기로는 Waters 2487 Dual λ Absorbance Detector를 사용하였다. 컬럼은 SkyPak C18 column(250 X 4.6mm)을 사용하였고, 컬럼 온도는 25℃로 세팅하였다. 이동상으로는 D.W.(A), 아세토니트릴(B)이고, 다음과 같은 Gradient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Time(분) %A %B
0 95 5
5 90 10
7 85 15
30 75 25
31 95 5
35 95 5
(3) 세포 배양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FDPC)는 모발의 성장 및 유지의 특성을 나타내는 세포로써 PromoCell (Heidelberg, Germany)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HFDPC 세포는 공급처에서 추천하는 papilla cell 전용 배지(PromoCell, Heidelberg, Germany or Cell biologics Inc, IL, USA)에 접종하여 37℃, 5% CO2 조건에서 24 - 48시간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4)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 억제 활성 분석
느릅나무 가지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이 모유두 세포에서 테스토스테론으로부터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을 생성하는 과정을 억제하는지를 실험하였다.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 정량 분석은 ELISA 키트 사용한 면역화학정량분석에 의해 실시하였다. DHT 분석 ELISA 키트는 Alpco (NH,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키트를 사용한 실험은 제조사 제공의 지침서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세포 용해물(cell lysate) 부피(ml) 당 항원의 양(pg/μg)을 농도 단위로 환산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5) 모유두 세포내 세포사멸 억제 효과
느릅나무 가지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이 모유두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서 과산화수소(H2O2)로 유도한 모유두 세포(HFDPC)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는 MTT 실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모유두 세포는 96 웰 플레이트에 5 X 105 cell/mL로 분주하고 12시간 후 H2O2를 600 μM 및 시료를 4시간 동안 동시에 처리하였다. 이 상태의 모유두 세포에 MTT stock solution을 최종농도 0.2 mg/ml로 되도록 처리하여, 37℃에서 4시간 동안 방치한 후, 보라색으로 염색된 formazan을 DMSO로 용해시켜 57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률은 대조구에 대한 %값으로 나타내었다.
(6) 웨스턴 블럿 분석(western blot analysis)
모유두 세포(HFDPC)에 H2O2 및 시료를 처리한 후 각 시간대로 세포들을 회수하여 세포용해 완충액(cell lysis buffer, RIPA buffer)에서 세포를 용해시켰다. 샘플은 13,000 g에서 약 10-15 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만을 취하였다. 상층액의 단백질 농도는 BCA protein assay kit (Bio-Rad, CA, USA) 로 측정한 후 95℃에서 10분간 가열하였다. 준비된 샘플을 SDS-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한 후 polyvinylidinedifluoride membrane (PVDF, Bio-rad, CA, USA)에 트랜스퍼(transfer)한 다음 5% BSA로 블로킹(blocking)하였고, 제시된 특이적 항체와 반응시켰다. 그리고 HRP가 결합된 이차항체(Santacruz, CA, USA)를 반응시킨 후 ECL system (Bio-Rad, MO, USA)으로 검출하였다. Bax-1, Bcl-2, PARP-1, β-actin에 대한 1차 항체는 Santacruz 항체 (CA, USA)를 사용하였다.
(7) ELISA 분석
발모촉진 및 탈모 억제 관련 면역화학정량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ELISA 키트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TGF-β 및 IGF-1 kit는 R&D systems (C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각 키트의 사용법은 공급자의 매뉴얼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세포 용해액(cell lysate) 부피(ml) 당 항원의 양(pg or μg)을 농도 단위로 환산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8) 통계 처리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8, IBM,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P<0.05 수준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치를 Student's t-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2. 실험결과
(1) HPLC 분석 결과 크로마토그램
본 발명의 느릅나무의 초임계 추출박에 대한 추출물에서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HPLC 정량분석하였다. 도 2a는 표준물질인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의 HPLC 분석결과이고, 도 2b는 느릅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박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USCFR)내에서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HPLC 정량분석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서 측정된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 함량을 아래의 표 2에 기재하였다.
시료명 RT(min.) 함량(μg/ml)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 14.449±0.14 -
느릅나무가지 초임계 추출박의 에탄올 추출물(USCFR) 14.482±0.16 131.45±0.18
(2)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저해 활성 측정 결과
모유두세포(HFDPC)에 20nM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처리 한 결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의 생성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느릅나무의 초임계 추출박의 에탄올 추출물(USCFR)의 DHT 생성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양성대조군에서 남성형 탈모 관련 의약품으로 잘 알려진 미녹시딜(10μM)을 사용하였다.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박의 에탄올 추출물(USCFR)은 농도 의존적으로 DHT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USCFR의 저농도에서는 미녹시딜의 효능에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고농도인 100 ㎍/㎖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미녹시딜과 동등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도 3).
(3) Bax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모유두세포(HFDPC)의 세포사멸성 세포독성(apoptotic cytotoxicity)를 유도하기 위해 처리한 과산화수소(H2O2)은 600 μM의 농도에서 50%의 사멸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상기 농도를 시험에 사용하였다. 세포사멸성 세포독성에서의 대표적인 세포사멸 유발 단백질로서의 Bax(Bcl-2-associated X protein)는 H2O2의 처리에 의해 Bax 분자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느릅나무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USCFR)을 농도별로 전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Bax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증명하였다(도 4). 이러한 결과는 느릅나무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이 모유두 세포가 스트레스에 의해 세포사멸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4) Bcl-2 단백질 발현 증가 효과
Bax 발현 억제능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유두세포(HFDPC)의 세포사멸성 세포독성(apoptotic cytotoxicity)를 유발하기 위해, 600μM의 과산화수소(H2O2)를 모유두세포에 처리하고, 유도되는 세포사멸을 평가하였다. Bcl-2는 대표적인 세포사멸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분자로서, HFDPC에 대해 H2O2를 처리한 경우 Bcl-2 분자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반해, 느릅나무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USCFR)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USCFR은 H2O2의 존재하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Bcl-2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증명하였다(도 4). 이러한 결과는 느릅나무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이 모유두세포가 스트레스에 의해 세포사멸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5) PARP-1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PARP-1은 세포내 NAD를 기질로 사용하여 세포의 핵에서 표적단백질을 poly-ADP ribosylation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하위 세포사멸(apoptosis)에 관여하는 신호전달을 활성화시킨다. 이로 인해 PARP-1의 활성화는 세포사멸의 선행 지표로 활용되며, 특히 세포사멸(apoptosis)에 관련된 대표적인 표지자로 사용되고 있다. 600 μM의 과산화수소(H2O2)의 처리는 HFDPC에서 유의하게 세포내 PARP-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HFDPC에서 세포사멸이 진행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이에 반해, 느릅나무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USCFR)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USCFR은, H2O2의 존재하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PARP-1의 단백질 발현량을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이 증명되었다(도 4). 이러한 결과는 느릅나무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이 모유두 세포가 스트레스에 의해 세포사멸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6) IGF-1의 발현 촉진 효과 및 TGF-β1의 발현 억제 효과
본 실험에서 느릅나무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USCFR)이 모발성장에 도움이 되는 IGF-1의 발현을 촉진하는 효과(도 5a)와 모발의 성장을 방해함과 동시에 탈모를 가속화하는 TGF-β1의 억제 효능(도 5b)을 확인하였다. 상기 항목 (3) 내지 (6)의 실험결과는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포함하는 느릅나무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모유두세포의 세포사멸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스트레스성 탈모에 효능이 있을 것이 시사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a) 느릅나무속 식물을 초임계 추출하여 초임계 추출박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얻어진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에 대해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박에 대해 물,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용매 추출물인 것인,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인 것인,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catechin 7-O-β-D-apiofuranoside)를 포함하는 것인,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30 - 200 ㎍/㎖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것인,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 또는 스트레스성 탈모증인 것인,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a) 느릅나무속 식물을 초임계 추출하여 초임계 추출박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얻어진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에 대해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탈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탈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12. 청구항 9에 있어서, 느릅나무속 식물의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은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30 - 200 ㎍/㎖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탈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 또는 스트레스성 탈모증인 것인, 탈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PCT/KR2021/005464 2020-09-08 2021-04-29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5506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892 2020-09-08
KR1020200114894A KR102226402B1 (ko) 2020-09-08 2020-09-08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0-0114894 2020-09-08
KR1020200114892A KR102238793B1 (ko) 2020-09-08 2020-09-08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066A1 true WO2022055066A1 (ko) 2022-03-17

Family

ID=8063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5464 WO2022055066A1 (ko) 2020-09-08 2021-04-29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05506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649A (ja) * 1998-09-25 2000-04-04 Alps Yakuhin Kogyo Kk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KR20050010234A (ko) * 2003-07-18 2005-01-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보호 및 수복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KR20060095062A (ko) * 2005-02-25 2006-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0754748B1 (ko) * 2005-04-26 2007-09-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8793B1 (ko) * 2020-09-08 2021-04-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649A (ja) * 1998-09-25 2000-04-04 Alps Yakuhin Kogyo Kk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KR20050010234A (ko) * 2003-07-18 2005-01-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보호 및 수복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KR20060095062A (ko) * 2005-02-25 2006-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0754748B1 (ko) * 2005-04-26 2007-09-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8793B1 (ko) * 2020-09-08 2021-04-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UN MYUNG-JAE, KWANG-HYUN PARK , SUN EUN CHOI: "Biological activity of supercritical extraction residue 60% ethanolic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8, no. 5, 31 October 2018 (2018-10-31), pages 29 - 36, XP055910847, ISSN: 2586-1816, DOI: 10.22156/CS4SMB.2018.8.5.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8142B2 (en) Methods of treatment using a lipid extract of Passiflora seeds concentrated in its unsaponifiable fraction
WO2021149880A1 (ko)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38793B1 (ko)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80039A1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WO2016056781A1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22055066A1 (ko)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5678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7119535A1 (ko) 카노신, 대두 펩타이드 및 천심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23022540A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3101451A1 (ko) 두피 연화, 모발 굵기 증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WO2019168348A1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2055067A1 (ko)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15882A1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26402B1 (ko) 카테킨 배당체 고함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64090A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5005700A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2173383A2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49038B1 (ko) 카테킨 7-O-β-D-아피오푸란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225891A1 (ko) 아이리린 b를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 조성물
WO2016117762A1 (ko) 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79977B1 (ko) 휴매닌(Humanin)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20210100993A (ko) 오리나무 속 식물 추출물 또는 오레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28630A1 (ko)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4010255A1 (ko)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 잭.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114470A1 (ko)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69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69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