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50495A1 - 치과 기공용 교합기 - Google Patents

치과 기공용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0495A1
WO2022050495A1 PCT/KR2020/016244 KR2020016244W WO2022050495A1 WO 2022050495 A1 WO2022050495 A1 WO 2022050495A1 KR 2020016244 W KR2020016244 W KR 2020016244W WO 2022050495 A1 WO2022050495 A1 WO 20220504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rticulator
dental
frame
maxillary
mandi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2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주현철
Original Assignee
버드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드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버드솔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0504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04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ulator for dental 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ticulator for dental work that reproduces horizontal movement of the maxilla and mandib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ulator for checking the occlusal state of a patient's teeth, and more specifically, a human temporomandibular joint in 3D so that the occlusal state can be precisely and specifically checked after fix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models obtained from the patient. It is about the articulator to implement.
  • the articulator is an instrument used for manufacturing and diagnosing dentures, crown restorations, prostheses, etc. by measuring the occlusal state of teeth and gums. It is a mechanism that mechanically imitates
  • the articulator is not only mainly used for diagnosing diseases that may arise from occlusion problems and making a treatment plan, but also is a device used in various ways for dental treatment such as implants and orthodontics.
  • Jawbone movement is a very complex movement, and it does not proceed in one direction only, but the up-and-down movement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s well as an anterior-posterior movement and a lateral movement occur at the same time.
  • This movement of the maxilla is due to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joint connecting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jaw movement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re reflected. It can be divided into sexual articulators and fully adjustable articulators.
  • the non-adjustable articulator is still used today, it can only move up and down and is divided into a flat line articulator or an average tooth articulator.
  • the non-adjustable articulator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and is an articulator that can only move up and down.
  • the semi-adjustable articulator also called the two-dimensional articulator, has superior reproducibility compared to the non-adjustable articulator because it can control the overwork inclination and guide angle with the incisors.
  • This semi-adjustable articulator is widely used in clinical practice because its reproducibility is relatively good and the method of use is simpler than that of the fully adjustable articulator.
  • the fully adjustable articulator is designed to reproduce all the characteristics of limiting motion, including the flexion and direction of the condylar slope, and precisely reproduces the central axis of the mandibular motion, so it can reproduce the maxillary motion very accurately, but it is very expensive and very easy to use. There are complex problems.
  • the conventional mechanical articulator cannot accurately reproduce the jaw movement or is very complicated to use, so it is difficult to use it universally.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26041 (Announced on December 06, 2018)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the left and right lateral movements and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n a relatively inexpensive non-adjustable articulator or semi-adjustable articulator, so that the ISS It aims to reproduce the area.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xillary frame to which a maxillary dental model is coupled.
  • a maxillary coupling part including a pivot bar coupled to one end of the maxillary frame so that the axial direction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 convex part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pivot. ; and a mandible frame to which the mandibular tooth model is coupled, a central column erected at the end of the mandible frame, and a seating part formed at the top of the central colum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lock part so that the convex part can be seated.
  • It provides a dental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d the block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 a maxillary frame including a maxillary frame to which the maxillary dental model is coupled, a pivot bar coupled to one end of the maxillary frame so that the axial direction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convex part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pivot bar. ; and a mandible frame to which the mandibular dental model is coupled, the first column and the second column erected at the end of the mandible frame, and the first column and the second colum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lock part so that the convex part can be seated.
  • a mandibular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seat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each; It includes, and provides a dental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 the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of inclined surfaces disposed on both sides so that a center thereof protrudes, and the seat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 the block portion a flat surface; and inclined surfac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lat surface so that the flat surface protrudes. It may be made of, and the seating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flat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vex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3 to 8°.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vex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3 to 8°.
  • the mandibular coupling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essing shaft for pressing the convex portion with elasticity.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vex par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ating part, so that the ISS region can be reproduced in the non-adjustable articulator or the semi-adjustable articulato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ticulator for dental lab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ticulator for dental lab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3 .
  • FIG 5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mandibular No. 6 position according to the occlusal compass and the conventional articulator.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tion of the mandible 6th 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6th pos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ticulator for dental lab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
  •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ticulator for dental lab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3 .
  • the maxillary frame 111 of the maxillary coupling part 110 is formed in an oval shape so that the maxillary dental model is coupled.
  • a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formed inside the oval circumference of the maxillary frame 111 as shown in FIG. 1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hape may be applied.
  • the pivot bar 112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maxillary frame 111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of the oval shape of the maxillary frame 111 .
  •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113a of corresponding diameters are rotatab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 -shaped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123a and 123b of the mandibular coupling part 120 to be described later. 113b) is formed.
  • a convex portion 114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pivot bar 112 is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ivot table 112 .
  • the mandible frame 121 of the mandibular coupling part 120 is formed in an oval shape so that the mandibular tooth model is coupled.
  • a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val circumference of the mandible frame 121 as shown in FIG. 1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hape may be applied.
  • the central column 122 is erected at one end of the long axis of the oval shape of the mandible frame 121 .
  • the central column 12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ating portion 12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114 is formed so that the convex portion 114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column 122 to be movable.
  • the convex part is formed in a simple spherical contact surface and the seating part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art, so that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s not realized.
  • the convex portion 114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I, and the seating portion 12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 the convex portion 114 has a flat surface H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disposed to be inclined on both sides of the flat surface H so that the flat surface H protrudes. It may consist of (I).
  • the flat surface H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onvex portion 114.
  • the upper frame 111 is the lower frame. (121) can be balanced.
  • the shape of the convex part 114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hape of the convex part 114 may be formed of only the inclined surfaces I disposed on both sides so that the center of the convex part 114 protrudes.
  • the convex portion 114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clined surface I, and the seating portion 12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114 , and the horizontal force on the convex portion 114 .
  • the inclined surface I of the convex portion 114 may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 I of the seating portion 124 .
  • th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can be implemented in the articulator for non-adjustable dental cavities or the articulator for semi-adjustable dental cavities, and thus the ISS region can be reproduced.
  • the inclined surface I of the convex portion 114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of 3 to 8°, and more preferably to have an inclination of 4 to 7°. there is.
  •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123a and 123b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113a and 113b of both ends of the pivot bar 112 can be mounted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art 124 .
  •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123a and 123b have a ⁇ -shaped groove, and the diameter of the groove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113a and 113b.
  • a pressing shaft coupling hole 125 is form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seating part 124 .
  • the pressing shaft 126 has a head 127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he rounded head 12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 114 of the pivot bar 112 so that the pivot bar 112 can easily move with the contact point of the pressing shaft 126 as an axis.
  • the pressing shaft 126 has a spring 128 placed thereon and is coupled to the pressing shaft coupling hole 125 to have elasticity, and the head 127 of the pressing shaft 126 presses the convex part 114 to the contact point of the head 127 . It allows the pivot bar 112 to tilt around the .
  • a pivoting rod ( 112) can be tilted forward and backward to adjust the occlusion, and the occlusion can be adjusted by tilting the pivot bar 112 with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113a and the first locking part 123a as a central axis.
  • the occlusion can be adjusted by tilting the pivot bar 112 with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support part 113b and the second locking part 123b as a central axis, and the seating part 124 and the convex part 114 of the central column 122 . It is possible to horizontally move the pivot bar 112 by using as a contact point.
  • first and second convex parts 213a of corresponding diameters are rotatab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 -shaped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224a and 224b of the mandible coupling part 220 . , 213b) is formed.
  • the mandible frame 221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222 coupled to the end of the lower frame 221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of the oval, an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222, a first column 223a and a second column ( 223b) is established.
  • the height of the first column 223a and the second column 223b is set so that the upper coupling part 210 is spaced apart and coupled to the lower coupling part 220 .
  • a ⁇ -shaped first seating part 224a and a second seating part 224b are formed at upper ends of the first column 223a and the second column 223b.
  •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213a and 213b are formed of inclined surfaces I disposed on both sides so that their centers protrude.
  •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213a and 213b and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224a and 224b are made of only the inclined surface I, the first at both ends of the articulator 200 for dental work , 2 convex portions 213a and 213b and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224a and 224b are disposed, so that the upper frame 211 may maintain a balance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221 .
  •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213a and 213b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s described above, the flat surface H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lat surface H so that the flat surface H protrudes. It may be made of an inclined surface (I) disposed to be inclined on both sides of the.
  • the inclined surfaces I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213a and 213b may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s I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224a and 224b, and accordingly, non-adjustable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ISS area in the articulator or semi-adjustable articulator.
  • the inclined surfaces I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213a and 213b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of 3 to 8°, and more preferably 4 to 7 It can have a slope of °.
  • Figure 5a shows the occlusal compass in which the movement coordinates of the teeth are displayed on a horizontal plane.
  • P Protrusion
  • PM Protoconus-Mediotursion
  • PL Paraconus-Lateroprotursion
  • ML Metalconus-Laterotrusion
  • working-side motion which is the lateral movement of the working-side condyle during lateral motion.
  • ISS Intermediate Side Shift
  • PSS Progressive Side Shift
  • Figure 5b shows the motion of the conventional articulator. Specifically, i and ii indicate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pivot bar and the column of the mandibular coupling part. If both contact points of the pivot are adjusted only by tilting the ax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vement of the anterior part is unreasonable and ISS and PSS are impossible.
  • contact i is a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113a and the first locking part 123a
  • contact ii represents a contact point between the second support part 113b and the second locking part 123b
  • a convex portion 114 and a seating portion 124 formed of a flat surface (H) and an inclined surface (I) of 3 to 8° are provided between the i contact and the ii contact.
  • the convex portion 114 can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n inclination of about 3 to 8° with respect to the seating portion 124, and the movable width of about 3 to 8° is increased in the mandibular 6th position, so that As shown, the ISS area can be reproduced.
  • contact i is a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convex part 213a and the first seating part 224a
  • contact ii represents a contact point between the second convex part 213b and the second seating part 224b.
  •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ar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 of 3 to 8°.
  •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213a and 213b can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n inclination of 3 to 8°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224a and 224b, and accordingly, approximately at the 6th position of the mandible.
  • the movable width of 3 ⁇ 8° has been increased to reproduce the ISS area as indicated by the hatched lin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상악프레임 상기 상악프레임의 일단부에 축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하는 피봇대 및 상기 피봇대의 중심 영역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악결합부; 및 하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하악프레임, 상기 하악프레임의 단부에 입설되는 중심컬럼, 상기 볼록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중심컬럼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하악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 및 상기 안착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 기공용 교합기
본 발명은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악골과 하악골의 좌우 수평 이동을 재현한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 치아의 교합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에게서 채득한 상부 및 하부치아 모형을 고정한 후 교합상태를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도록 사람의 악관절을3D로 구현하는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합기는 이와 잇몸의 교합상태를 측정하여 의치, 치관수복, 보철물 등의 제작 및 진단에 사용하는 기구로서 환자에게서 채득한 치아모형, 즉 상부과 하부모형을 부착시킨 후 하악, 다시말해 아래턱의 운동을 기계적으로 모방하는 기구이다. 교합기는 교합의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질병들에 대해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와 교정 등 각종 치과 진료에 다방면으로 사용되는 장비다.
이러한 교합기는 상악과 하악의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여 악골운동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이 중요한데 악골운동을 구강외에서 재현하기 위해서는 상악과 하악의 해부학적 위치관계를 교합기에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인체의 해부학적 위치관계는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악골운동 자체에 대한 연구도 현재 진행 중인 상태로서 인체의 악골운동을 정확하게 구강 외에서 재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악골운동은 매우 복합적인 운동으로서 어느 한 방향으로만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악과 하악간의 상하운동 및 전후방운동과 측방운동이 동시에 일어난다. 이러한 악골운동은 상악과 하악을 연결하는 관절의 해부학적 특성에 기인하는데 상악과 하악에 대한 해부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정도에 따라 악골운동의 재현능력이 달라지게 되고 그에 따라 비조절성 교합기, 반조절성 교합기 및 전조절성 교합기로 나눌 수 있다.
비조절성 교합기는 현재까지도 사용되기는 하지만 상하 개폐운동만 가능하며 평선 교합기 또는 평균치식 교합기로 나뉜다. 비조절성 교합기는 인체의 해부학적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상하 개폐운동만이 가능한 교합기로 실제 구강내의 운동과 상당한 오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강 내에서 교합 조기접촉이나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반조절성 교합기는 이차원교합기로도 불리며 과로경사를 조절할 수 있고 절치로 유도각 등을 조절할 수 있어 비조절성 교합기에 비해 재현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반조절성 교합기는 비교적 그 재현성이 우수하고 사용방법이 전조절성 교합기에 비해 간단하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조절성 교합기는 과두 경사로의 굴곡과 방향을 포함한 모든 한계운동의 특징을 재현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고 하악운동의 중심축을 정밀하게 재현하므로 아주 정확하게 악골운동을 재현할 수 있으나 매우 고가이고 사용법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이 종래의 기계적인 교합기는 악골운동을 정확하게 재현하지 못하거나 사용법이 매우 복잡하여 범용적인 사용이 어렵고 악골운동을 가장 정확하게 재현하는 전조절성 교합기의 경우 매우 고가로서 자유로운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6041호에서는 피봇샤프트가 장착되는 걸림부에 내측으로3mm 만큼 공간이 형성되도록 ⊃ 형상의 깊이를 설정하여, 하악 6번 포지션에서 4.4mm의 가동 폭의 증가되었으나,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은 구현되지 않았고, 이에 중심위에서 비작업측 과두가 순수하게 직선적으로 근심 이동되는 거리로 정의되는 ISS(Immediate Side Shift)의 일정부분만을 재현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6041호(2018년12월06일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조절성 교합기 또는 반조절성 교합기에서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좌우 측방운동과 전방 및 후방운동을 구현하여 ISS영역을 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상악프레임 상기 상악프레임의 일단부에 축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하는 피봇대 및 상기 피봇대의 중심 영역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악결합부; 및 하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하악프레임, 상기 하악프레임의 단부에 입설되는 중심컬럼, 상기 볼록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중심컬럼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하악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 및 상기 안착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상악프레임, 상기 상악프레임의 일단부에 축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하는 피봇대 및 상기 피봇대의 양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악결합부; 및 하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하악프레임, 상기 하악프레임의 단부에 입설되는 제1컬럼과 제2컬럼, 상기 볼록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1컬럼과 상기 제2컬럼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하악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 및 상기 안착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그 중심이 돌출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는, 평탄면; 및 상기 평탄면이 돌출되도록 상기 평탄면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사면;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되는 평탄면 및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경사면은 3~8°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경사면은 3~8°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악결합부는 상기 볼록부를 탄성을 가지고 눌러주는 누름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볼록부의 경사면이 안착부의 경사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비조절성 교합기 또는 반조절성 교합기에서 ISS영역을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치과 기공용 교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치과 기공용 교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Ⅱ 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교합 나침반 및 종래 교합기에 따른 하악 6번 포지션의 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악 6 번포지션의 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악 6 번포지션의 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치과 기공용 교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얻어진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치과 기공용 교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Ⅱ 선을 따라 얻어진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악결합부(110)의 상악프레임(111)은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상악프레임(111)의 타원형 둘레 내측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형상이든 적용될 수 있다. 피봇대(112)는 상악프레임(111)의 타원형 형상의 장축에 수직이 되도록 상악프레임(111)의 단부에 결합된다. 피봇대(112)의 양단에는 후술할 하악결합부(120)의 ⊃자형 제1, 2 걸림부(123a, 123b)에 회전 및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응하는 직경의 제 1, 2지지부(113a, 113b)가 형성된다.
피봇대(112)의 중심 영역에는 피봇대(112)의 중심 영역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부(114)가 마련된다.
하악결합부(120)의 하악프레임(121)은 하악 치모형이 결합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하악프레임(121)의 타원형 둘레 내측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형상이든 적용될 수 있다. 중심컬럼(122)은 하악프레임(121)의 타원형 형상의 장축 일단부에 입설된다. 중심컬럼(122)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심컬럼(122)의 상단에 볼록부(114)가 안착하여 운동 가능하도록 볼록부(114)에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부(124)가 형성된다.
한편, 종래의 교합기에서는 볼록부가 단순 구형 접면으로 형성되며 안착부는 볼록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수평방향 이동이 구현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교합기에서는 ISS(Immediate Side Shift)의 일정부분만을 재현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볼록부(114)는 경사면(I)을 포함하고, 안착부(124)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114)는 외주면 중심에 배치되는 평탄면(H)과 평탄면(H)이 돌출되도록 평탄면(H)의 양측에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사면(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볼록부(114)의 중심에 평탄면(H)이 배치되는 바,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114) 및 안착부(124)가 한쌍만 구비되더라도 상악프레임(111)은 하악프레임(121)에 대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볼록부(11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할 바와 같이, 볼록부(114)의 중심이 돌출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경사면(I)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볼록부(114)는 경사면(I)을 포함하고 있고, 안착부(124)는 볼록부(11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볼록부(114)에 수평방향의 힘을 가하는 경우, 볼록부(114)의 경사면(I)이 안착부(124)의 경사면(I)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비조절성 치과 기공용 교합기 또는 반조절성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서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ISS영역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ISS 영역을 보다 넓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볼록부(114)의 경사면(I)은 3~8°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7°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4)의 양 측방에는 피봇대(112) 양단의 제1, 2 지지부(113a, 113b)가 장착될 수 있는 제 1 걸림부(123a) 및 제 2 걸림부(123b)가 마련된다. 제1, 2 걸림부(123a, 123b)는 ⊃ 형상의 홈을 가지고 있으며, 홈의 직경은 제 1, 2 지지부(113a, 113b)의 직경에 대응된다.
상기 안착부(124)의 후방상측으로는 누름샤프트 결합공(125)이 형성된다. 누름샤프트(126)는 헤드(127)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라운드진 헤드(127)가 피봇대(112)의 볼록부(114)에 접촉하여 피봇대(112)가 누름샤프트(126)의 접점을 축으로 하여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누름샤프트(126)는 스프링(128)을 게재하여 누름샤프트 결합공(125)에 결합하여 탄성을 가지고 누름샤프트(126)의 헤드(127)가 볼록부(114)를 눌러 헤드(127)의 접점을 중심으로 피봇대(112)가 틸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과 기공용 교합기(100)는 탄성을 가지고 누름샤프트(126)가 누르고 있으므로 그 탄성에 대하여 누름샤프트(126) 헤드(127)와 볼록부(114)의 접점을 축으로 피봇대(112)를 전후방으로 틸트하여 교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제 1 지지부(113a)와 제1걸림부(123a)의 접점을 중심축으로 하여 피봇대(112)를 틸트하여 교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제 2 지지부(113b)와 제2걸림부(123b)의 접점을 중심축으로 하여 피봇대(112)를 틸트하여 교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중심컬럼(122)의 안착부(124)와 볼록부(114)를 접점으로 하여 피봇대(112)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와는, 컬럼이 복수개라는 점과, 볼록부 및 안착부가 교합기의 중심이 아닌 양단에 형성된다는 점에 있어 차이가 있다. 전술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피봇대(212)의 양단에는 하악결합부(220)의 ⊃자형 제1,2 안착부(224a, 224b)에 회전 및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응하는 직경의 제 1, 2 볼록부(213a, 213b)가 형성된다.
하악프레임(221)는 하악프레임(221)의 단부에 타원형의 장축에 수직이 되도록 결합하는 연결부(222)가 마련되며, 연결부(222)의 양단에는 각각 제 1 컬럼(223a)과 제 2 컬럼(223b)이 입설된다. 제 1 컬럼(223a)과 제 2 컬럼(223b)은 하악결합부(220) 상에 상악결합부(210)가 이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높이가 설정된다. 제 1 컬럼(223a)과 제2 컬럼(223b)의 상단에는 ⊃ 형상의 제1안착부(224a) 및 제 2 안착부(224b)가 형성된다.
이 때, 제 1, 2 볼록부(213a, 213b)는 그 중심이 돌출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경사면(I)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제 1, 2 볼록부(213a, 213b) 및 제 1, 2 안착부(224a, 224b)가 경사면(I)만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치과 기공용 교합기(200)의 양측단에 제 1, 2 볼록부(213a, 213b) 및 제 1, 2 안착부(224a, 224b)가 배치되는 바, 상악프레임(211)은 하악프레임(221)에 대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2 볼록부(213a, 213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외주면 중심에 배치되는 평탄면(H)과 평탄면(H)이 돌출되도록 평탄면(H)의 양측에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사면(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1, 2 볼록부(213a, 213b)의 경사면(I)이 제 1, 2 안착부(224a, 224b)의 경사면(I)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조절성 교합기 또는 반조절성 교합기에서 ISS영역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ISS 영역을 보다 넓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 1, 2 볼록부(213a, 213b)의 경사면(I)은 3~8°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7°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측방 및 전후방 가동 범위와 종래 교합기의 가동 범위를 상세히 서술한다.
도 5a 는 치아가 움직이는 운동좌표들을 수평면상에 표시한 교합 나침반을 도시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교두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P(Protrusion)는 전방운동을 의미하고, PM(Protoconus-Mediotursion)은 측방운동시 균형측 과두의 내측이동인 균형측 운동을 의미하고, PL(Paraconus-Lateroprotursion)은 측전방운동을 의미하며, ML(Metaconus-Laterotrusion)은 측방운동시 작업측 과두의 외측방 이동인 작업측운동을 의미한다.
아울러, ISS(Immediate Side Shift)는 하악 전체가 측방으로 쏠릴때 나타나는 횡축 이동 현상이며 PSS(Progressive Side Shift)는 ISS가 끝나고 가동측의 과두(condyle)는 회전하면서 비가동 과두는 전내방으로 비교적 똑바로 이동하는 운동 경로를 말한다.
도 5b 종래 교합기의 운동을 나타낸 도시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i,ii는 피봇대와 하악결합부의 컬럼의 접점을 나타낸다. 피봇대의 양 접점을 축으로 틸트를 통해서만 조절할 경우, 전치부의 운동에 무리가 있고 ISS와 PSS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교합기에서는 하악 6번 포지션에 대하여, i 접점을 기준으로 하는 PM운동, ii접점을 기준으로 하는 ML 운동 및 누름샤프트의 헤드를 기준으로 하는 전방운동이 가능하였다.
즉, 종래의 교합기에서는 하악결합부에 대한 상악결합부의 수평방향 운동이 불가능하였고, 이에 ISS 영역을 재현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악 6 번포지션의 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i 접점은 제 1 지지부(113a) 와 제 1 걸림부(123a)의 접점이고, ii접점은 제 2 지지부(113b) 와 제 2 걸림부(123b)의 접점을 나타낸다. i 접점과 ii접점 사이에는 평탄면(H) 및 3~8°의 경사면(I)으로 형성되는 볼록부(114)와 안착부(124)가 마련된다. 이에, 볼록부(114)는 안착부(124)에 대하여 약 3~8°의 경사를 이루는 수평방향의 움직임이 가능하고, 하악 6번 포지션에서 약 3~8°의 가동 폭이 증가되어 빗금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ISS 영역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악 6 번포지션의 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i 접점은 제 1 볼록부(213a) 와 제 1 안착부(224a)의 접점이고, ii접점은 제 2 볼록부(213b) 와 제 2 안착부(224b)의 접점을 나타낸다. 제 1, 2 볼록부와 제 1, 2 안착부는 3~8°의 경사면(I)으로 형성된다.
이에, 제 1, 2볼록부(213a, 213b)는 제 1, 2안착부(224a, 224b)에 대하여 3~8°의 경사를 이루는 수평방향의 움직임이 가능하고, 따라서 하악 6번 포지션에서 약 3~8°의 가동 폭이 증가되어 빗금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ISS 영역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상악프레임 상기 상악프레임의 일단부에 축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하는 피봇대 및 상기 피봇대의 중심 영역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악결합부; 및
    하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하악프레임, 상기 하악프레임의 단부에 입설되는 중심컬럼, 상기 볼록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중심컬럼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하악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 및 상기 안착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2.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상악프레임, 상기 상악프레임의 일단부에 축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하는 피봇대 및 상기 피봇대의 양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악결합부; 및
    하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하악프레임, 상기 하악프레임의 단부에 입설되는 제1컬럼과 제2컬럼, 상기 볼록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1컬럼과 상기 제2컬럼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하악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 및 상기 안착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그 중심이 돌출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는,
    평탄면; 및
    상기 평탄면이 돌출되도록 상기 평탄면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사면;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되는 평탄면 및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경사면은 3~8°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경사면은 3~8°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결합부는 상기 볼록부를 탄성을 가지고 눌러주는 누름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PCT/KR2020/016244 2020-09-02 2020-11-18 치과 기공용 교합기 WO20220504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694 2020-09-02
KR1020200111694A KR20220030015A (ko) 2020-09-02 2020-09-02 치과 기공용 교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495A1 true WO2022050495A1 (ko) 2022-03-10

Family

ID=8049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244 WO2022050495A1 (ko) 2020-09-02 2020-11-18 치과 기공용 교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0015A (ko)
WO (1) WO202205049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4079A (ja) * 1992-04-02 1994-04-26 Kaltenbach & Voigt Gmbh & Co 歯咬合器
JPH11137571A (ja) * 1997-11-07 1999-05-25 Ago:Kk 咬合器
KR200220295Y1 (ko) * 2000-11-08 2001-04-16 윤창남 치과기공용 교합기
JP2002191627A (ja) * 1990-08-08 2002-07-09 Michael H Polz 顎咬合器及び咬合フォーク柱を備える顔弓
KR101415674B1 (ko) * 2006-10-27 2014-07-16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치아 모형, 교합기 및 그 생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041B1 (ko) 2017-10-26 2018-12-06 주현철 치과 기공용 교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627A (ja) * 1990-08-08 2002-07-09 Michael H Polz 顎咬合器及び咬合フォーク柱を備える顔弓
JPH06114079A (ja) * 1992-04-02 1994-04-26 Kaltenbach & Voigt Gmbh & Co 歯咬合器
JPH11137571A (ja) * 1997-11-07 1999-05-25 Ago:Kk 咬合器
KR200220295Y1 (ko) * 2000-11-08 2001-04-16 윤창남 치과기공용 교합기
KR101415674B1 (ko) * 2006-10-27 2014-07-16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치아 모형, 교합기 및 그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015A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emt et al. Precision of CNC-milled titanium frameworks for implant treatment in the edentulous jaw.
JP3579793B2 (ja) 歯科用咬合器及びその変換プレート
WO2011108776A1 (ko) 교합기
WO2014185623A1 (ko) 인공치아 교합기
Becker et al. Evolution of occlusion and occlusal instruments
KR101657990B1 (ko) 인공치아 교합기
EP0950384B1 (en) Apparatus for tracing centric relation of mandible
WO2011108777A1 (ko) 교합기.
KR100628551B1 (ko) 모형 부착기
Gross et al.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recording materials on the reproducibility of condylar guidance registrations in three semi‐adjustable articulators
Thompson et al. Comparison of two arbitrary cast transfer systems with a kinematic facebow for mounting a maxillary cast on a semiadjustable articulator
WO2022050495A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US7048539B2 (en) Anatomical transfer bow with leveling device
WO2016072562A1 (ko) 교합기
CN110063807B (zh) 具备前牙美学考量的无牙颌个性化托盘装置及其使用方法
JP3181517U (ja) バイトフォーク
Gordon et al. Location of the terminal hinge axis and its effect on the second molar cusp position
US4368041A (en) Dental simulator and method for recording jaw movements
US51546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cclusion analysis
KR20050103484A (ko) 치과용 페이스 보우
Harcourt Accuracy in registration and transfer of prosthetic records
JP3819358B2 (ja) 咬合器
US6780011B2 (en) Dental articulator with extended motion range
US5533896A (en) Articulating device with automatic adaptation
KR20040034561A (ko) 의치상과 그 제작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525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4/08/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525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