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484A - 치과용 페이스 보우 - Google Patents

치과용 페이스 보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484A
KR20050103484A KR1020057014138A KR20057014138A KR20050103484A KR 20050103484 A KR20050103484 A KR 20050103484A KR 1020057014138 A KR1020057014138 A KR 1020057014138A KR 20057014138 A KR20057014138 A KR 20057014138A KR 20050103484 A KR20050103484 A KR 20050103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frame
face bow
base
rot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니시하마
Original Assignee
나오키 니시하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오키 니시하마 filed Critical 나오키 니시하마
Publication of KR2005010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4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무치악증이나 다수치결손증 등에 대한 치과치료에 사용하는 데에 적당한 치과용 페이스 보우이다. 이 페이스 보우는, 환자의 두부의 양측부에 따른 좌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과 이 좌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을 서로 접속하는 좌우 방향의 횡 프레임을 가지는 기틀과, 상기 측부 프레임의 내측에 환자의 안면에 대해 접근·이반하는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기틀에 지지되는 회동틀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틀의 좌우 중앙부에는,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는 마우스 피스가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틀에는, 환자의 좌우 귓구멍 부근에 걸려진 이어피스와, 환자의 네지온 부근에 설정되는 교합력 집중부를 지시하는 기준점 지시구가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페이스 보우 {DENTAL FACE BOW}
본 발명은, 무치악증(無齒顎症)이나 다수치결손증(多數齒缺損症) 등에 대한 치과 치료에 사용하는 데에 적당한 페이스 보우(face bow)에 관한 것이다.
무치악증이나 다수치결손증 등에 대한 의치상(義齒床) 치료나 임플런트(implant) 치료에서는, 의치(義齒)나 가공치(架工齒)에 이상적인 교합(咬合)을 부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는, 이 교합부여를, 구강이나 구강 주위의 주로 경조직(硬組織)의 해부학적 형태와, 그 평균치를 산출해 내고, 몇 개의 가상기준선이나 평면과 합쳐서 하악골(下顎骨)의 보편적인 저작운동(咀嚼運動)을 파악하려 해왔다. 그래서, 실제의 치료에서는, 이와 같은 보편적 저작운동에 근거하여, 의사나 기공사가 각 환자의 교합을 재구축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상기 의사나 기공사에 의한 각 환자의 교합의 재구축은, 주로 의사나 기공사의 경험과 감각에 의지하여 행해지고 있으나, 실제의 교합시에 있어서의 강력한 깨무는 힘의 방향과 크기에 대한 기준이 되는 것이 없으므로, 환자 개별의 이상적인 교합을 정량적(定量的)으로 구축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고, 예를 들어 무치악증 환자용의 의치상을 제작하는 경우에, 환자가 만족하는 의치상을 제작하는 데에는 꽤 장시간과 수고를 요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실제의 교합에 의해 생기는 힘의 합력에 착안하여, 그들을 특정하는 것에 의해, 이상적인 교합을 단시간에 간단하게 얻어지도록 하여, 각 환자용의 특히 총(總)의치상을 간단하면서도 단시간으로 능률 좋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그들에 사용하는 교합기 및 이들과 조합시켜 사용하는 데에 적당한 페이스 보우를 개발하고, 이미 특허출원되어 있다(특원2001-215816호, 특원2001-392174호, 특원2002-046657호 참조).
상기 새로 개발한 교합기를 사용하면,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훨씬 간단한 한편 단시간에 이상에 가까운 교합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실제의 치료현장에서 호평을 얻고 있지만, 현재 넓게 사용되고 있는 페이스 보우에 관해서는, 아직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실용상 상당히 번잡한 수고가 필요하며, 상당한 숙련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정상적인 인간의 악골(顎骨)이나 치아와, 그들에 부착된 폐구근군(閉口筋群)에 의해 생기는 합력은, 두개골(頭蓋骨) 내의 보편적인 정(定)위치에서만 작용하지 않는 것에 착안하여, 긴 세월의 연구와 많은 임상례를 거듭하여, 깨무는 힘이 상하 턱에 모멘트(moment)를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의 합력은, 좌우 하악(下顎) 각(角) 사이의 중앙점보다 전두동(前頭洞) 중앙점으로 향하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힘의 컨셉트(concept)를 기초한 이상적인 교합을 구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데에 적당하고 보다 실용성에 우수한 페이스 보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합기의 1 예의 사시도.
도 2는 그 측면도.
도 3은 그 평면도.
도 4는 그 정면도.
도 5는 그 배면도.
도 6은 교합근을 나타낸 두개골의 측면도.
도 7은 교합력의 합력을 이차원적으로 나타낸 두개골의 측면도.
도 8은 교합력의 방향을 도시한 두개골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9는 페이스 보우의 평면도.
도 10은 그 정면도.
도 11은 그 측면도.
도 12는 페이스 보우의 사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왁스 림을 페이스 보우에 유지하는 방법의 설명도.
도 14는 페이스 보우 지지용 베이스의 평면도.
도 15는 교합기에 왁스 림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치열 유니트의 평면도(a) 및 사시도(b).
도 17은 의치상의 평면도.
도 18은 맞댐 부재의 평면도.
도 19는 맞댐 부재의 정면도.
도 20은 맞댐 부재의 사시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이를테면, 본 발명에 관한 페이스 보우는, 환자의 두부(頭部)의 양측부에 따르는 좌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frame)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을 서로 접속하는 좌우방향의 횡(橫) 프레임을 포함하는 기틀과, 상기 측부 프레임의 내측에서 환자의 안면에 대해 접근·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기틀에 지지된 회동틀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틀의 좌우 중앙부에는,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는 마우스 피스(mouth piece)가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틀에는, 환자의 좌우 귓구멍 부근에 걸려지는 이어피스(ear piece)와, 환자의 네지온(nasion : 코뿌리점) 부근에 설정된 교합력 집중부를 지시하는 기준점 지시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우스 피스로서는, 환자의 치열 커브(curve)를 측정하는 기준편(基準片), 또는 마우스 피스가 환자의 구강 내에 장착되어 있는 왁스 림(wax rim)을 고정지지하는 지지구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회동틀의 양측부에는, 이 회동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이 회동틀의 부착 높이를 지시하는 회동지시구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틀의 좌우 중앙부에, 환자의 미간 부근에서 꼭 맞게 대어져 이 기틀을 지지하는 맞댐 부재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맞댐 부재로서는, 착탈시에 환자의 살이 상처나지 않도록, 환자의 미간 부근의 비릉(鼻稜)의 양측에 접하는 한 쌍의 회전이 자유로운 구면체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저작근에 의한 교합시의 합력에 착안하여 교합을 구축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테면, 교합시에 작용하는 근육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근(M.masseter)(Mm)과 측두근(M.temporlis)(Mt)이다. 이들에 의해 생기는 힘은, 소정의 방향과 크기를 가진 벡터(vector)이고,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이들 합력은, 개개의 환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표준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마 부분의 전연부(前緣部)(네지온의 바로 윗부분) 부근의 점(「N점」으로 부름)으로 향하는 것을 알았다.
두부 측면을 2차원적으로 나타낸 도 7에 있어서, Pa는 전치(前齒)의 교합점, Pb는 어금니의 교합점, Pc는 관절두의 점을 각각 나타낸다. 같은 도에 있어서, 어금니의 교합점(Pb)에 작용하는 교합력과 관절두의 점(Pc)에 작용하는 교합력은 도의 L로 도시한 방향을 갖는 벡터이고, 이들 힘과 그 합력(F)의 관계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중의 0은, 상기 N점을 나타낸다.
N1 sinθ1 = N2 sinθ2
N1 cosθ2 + N2 cosθ2 = F
2N1 cosφ1 · sinθ1 = 2N2 cosφ2 · sinθ2
2N1 cosφ1 · cosθ1 + 2N2 cosφ2 · cosφ2 = F
또한, 모든 환자의 교합시의 합력이 반드시 0(N점)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은 아니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뼈의 노화·흡수(吸收) 등에 의해, 교합시의 합력이 향하는 점은, 상기 N점과 하악각(下顎角)의 점 P를 연결한 선(L)(「합력선」 또는 「벡터축」으로 부름) 위를 점 P측에 천천히 가까워지는 것도 알았다.
그래서, 상기 합력선(L) 위의 점(환자에 따라 그 위치는 다소 다름)을 중심으로 한 원호(실제는 구면임)를 그리면, 이상적인 교합에 있어서의 각 교합점은 상기 원호 상에 나란히 서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식에 근거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상기 원호에 근거하여 의치상을 제작하는 것에 의해, 이상적인 교합을 얻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페이스 보우와 함께 의치상의 제작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교합기의 1 예를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다. 이 교합기(1)는, 평면상에 설치되는 베이스(2)를 구비하고, 이 베이스(2)의 후단부에는 지주(3)가 입설(立設)되며, 전단부에는 하악 지지부재(4)가 설치되어 있다. 하악 지지부재(4)는, 베이스(2)에 전후위치조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축(6)의 조작에 의해 그 전후위치 및 교합기의 전후방향의 중심축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중의 5는 종래의 페이스 보우를 지지하기 위한 페이스 보우 지지구이지만, 본 발명의 페이스 보우를 사용하는 경우는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 보우는, 교합력의 해석을 행할 수 있는 벡터 애널라이져(vector analyzer)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지주(3)는, 간격을 두어서 병설(竝設)한 좌우 1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지주(3)의 간격부에 회동부재(이동지주)(7)가 축(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10)의 손잡이(10a)는 악관절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회동부재(7)의 좌우에 각각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고, 지주(3)에 설치된 가로방향의 장공(8)에 전후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0a)의 단부에는, 페이스 보우의 귀에 걸리게 하는 부분이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볼트(bolt)(11)는, 이 축(10)의 전후위치를 결정하는 전후위치조절수단이고, 지주(3)의 좌우에 설치되어서, 각각이 장공(8) 내에 설치한 스프링(spring)을 통하여 강력하게 축(10)을 누르고 있다. 상기 회동부재(7)의 상부는 앞쪽으로 굴곡되어 있고, 하부에는 다리부(7b)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동부재(7)의 다리부는, 축(15)에 의해 후방이동이 규제되어 있어서, 이 축에 의해 회동부재(7)의 회전이 구속되고, 이 회동부재의 상하방향의 각도가 소정의 각도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축(15)은, 지주(3)에 설치된 전후방향의 장공(16) 내에 설치한 스프링에 의해 항상 뒤쪽으로 누르는 힘이 더해져 있다. 축(15)은 좌우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들에 의해 회동부재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회동부재(7)의 상부 앞쪽에는 상악(上顎)모형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그 중량에 의해 도 1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상기 축(15)에 의해 그 회전이 구속되고, 상하 경사각도가 소정의 각도로 유지된다. 한편, 회동부재(7)에는 상하방향의 로드(rod)(25)가 끼워져 있다. 이 로드(25)는, 외통(外筒)(26)과 중축(中軸)(27)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고, 중축(27)은 상하위치 조절가능한 한편 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그 상부에는 아암(arm)(30)이 축(31)에 의해 상하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28은 외통(26)과 중축(27)을 고정하는 나사이다.
아암(30)은 길이 조절가능하고, 그 자유단부에는, 원호모양의 교합 라이너(오클루절 커브 라이너(occlusal curve liner))(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합 라이너(35)에는 각각 소정 길이의 아암이 연결되어 있어서, 교합기의 아암에 부착되면, 그 원호에 적당한 반경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길이가 다른 아암(교합 라이너(35)부착)을 복수조 준비해 두고, 환자의 체격이나 노화 정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7)의 전방으로의 장출부(張出部)의 전단부에는, 상악 지지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악 지지부의 하면과 하악 지지부재(4)의 상면에는, 철편(鐵片)을 매립한 모형을 흡착고정(吸着固定)하기 위한 마그네트(magnet)(45)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페이스 보우의 1 실시형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페이스 보우(100)는, 금속, 플리스틱 등인 정도의 강성과 강도를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 기틀(101)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틀(101)은, 환자의 두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102, 102)과, 이들 좌우의 측부 프레임의 상단부를 서로 접속하는 횡 프레임(103)을 구비한 대략 디귿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 프레임(102)은, 교합시의 힘의 방향을 측면에서 볼 때 나타난 측면 벡터축으로서 사용된다.
기틀(101)에는, 대략 디귿자 모양의 회동틀(105)이 축(106, 106)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회동틀(105)의 측부 프레임(105a)에는 이 측부 프레임에 따라 이동가능한 브래킷(bracket)(107)이 설치되고, 이들에 로크 너트(lock nut)(108)가 부착되어 있다. 이 브래킷(107)과 로크 너트(108)로 회동틀(105)을 기틀(101)에 임의의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테면, 브래킷(107)을 이동시켜서, 후술하는 브래킷(115)에 대한 맞닿아 접하는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회동틀(105)의 각도가 설정된다.
회동틀(105)의 횡 프레임(105b)의 중앙부에는 마우스 피스 고착용의 부착부재(110)가 고착되어 있다. 이 부착 부재(110)에는 치열 커브용 기준편(112)(마우스 피스)이 보우 등의 고정수단으로 부착된다. 이 치열 커브 기준편(112)은, 여러 가지의 형상·치수의 것을 선택적으로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동틀(105)은, 기틀(101)에 고착한 브래킷(115, 115)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나사 구멍(115a, ...)에 나사 부착되는 나사에 의해 환자에 적당한 위치로 부착된다. 또한, 회동틀(105)의 양측에는, 이 회동틀(105)에 대해 회동이 자유로운 회동틀 높이 지시구(117, 11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지시구(117)의 선단부에는 지시핀(pin)(1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시구(117)를 회동시킨 때에 상기 지시핀(118)의 이동궤적이 환자의 측두부의 소정의 범위 내, 즉, 이어홀(ear whole)과 관절두(關節頭)의 사이에 있도록 회동틀(105)을 기틀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적정한 치열 커브를 측정할 수 있다. 도 중의 119는, 지시구(117)를 회동틀(105)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holder)이다. 만약, 소정의 범위 내에서 어떤 사이즈(size)의 지시핀(118)도 맞지 않는 경우는, 기준점 지시구(131)가 도시한 점(0)을 화살모양 축(정중앙선) 상에 있어서 미조정(微調整)하면, 소정의 범위 내를 도시한 지시핀(118)의 사이즈의 식별이 가능하다.
기틀(101)의 횡 프레임(103)의 중앙부에는, 브래킷(130)이 고착되어 있다. 이 브래킷(130)에는, 기틀(101)을 환자의 두부에 똑바로 장착하기 위한 돌출 길이 조절가능한 기준점 지시구(131)와, 환자의 미간 부근에 꼭 맞게 대어져 기틀(101)을 지지하는 상하위치 조절가능한 맞댐 부재(132)가 부착되어 있다. 맞댐 부재(132)로는, 환자의 살에 접하는 느슨한 만곡한 판 모양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맞댐 부재는, 환자의 안면에 장착할 때에 환자의 살에 접하여 고통을 주거나, 살에 상처를 낼 염려가 있으므로, 도시예와 같은 회전구면체로 된 맞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맞댐 부재(132)는, 기틀(101)에 부착하기 위한 축부(133)의 선단부에 판 모양의 베이스(base)(134)가 설치되고, 이 베이스(134)에 상기 축부(133)과 교착(대략 직교)하도록 좌우 한 쌍의 지지축(138, 138)이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각각의 지지축에 의해 좌우 한 쌍의 구면체(136, 136)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32)를 축부(13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핀(137)으로 부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점 지시구(131)는, 환자의 교합시의 합력축이 환자의 전두골(前頭骨) 표면과 만나는 점(N점)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교합력 집중부는, 좌우의 하악각 중간 점으로부터 나와, 인간의 두부의 네지온 상부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분명히 밝혀져 있으므로, 실제적으로는 환자의 좌우의 눈썹 중간점을 지시하도록 기틀을 환자에 장착하면 좋다.
또한, 기틀(101)의 양측의 측부 프레임(102, 102)에는, 이 측부 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돌출하는 이어피스 지지부재(135)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 이어피스 지지부재(135)는 그 돌출 길이가 조절가능하고, 그 선단부에 이 지지부재(135)와 직각방향으로 뻗는 이어피스(140)가 부착되어 있다. 이어피스(140)는, 부드러운 선단부를 가지는 것으로서, 이들을 환자의 귓구멍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기틀(101)을 환자의 두부에 지지할 수 있다.
이 페이스 보우(100)는, 상기 맞댐 부재(132)와 이어피스(140)에 의해 환자의 두부에 장착되지만, 이 장착 상태로는, 기틀(101)의 측부 프레임(102)이 교합력 벡터축의 측부로부터 본 투영선과 겹치는 상태로 된다. 즉, 양측부 프레임(102, 102)에 의해 결정되는 면과 상기 합력의 방향이 겹치도록 환자의 두부에 부착된다. 이 상태로, 회동 프레임(105)을 기틀(101)에 부착되고, 이 회동 프레임(105)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 회동 프레임(105)에 부착된 마우스 피스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고, 기준편으로 환자의 치열을 조사하거나, 또는 환자가 물고 있는 왁스 림을 회동 프레임을 통하여 페이스 보우(100)에 고정 유지할 수 있다. 왁스 림을 고정 유지하는 회동 프레임(105)의 기틀(102)에 대한 각도를 확정하는 것에 의해, 최적한 교합상태를 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위를 보고 누운 상태의 환자의 두부에 페이스 보우(10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페이스 보우는, 도 9 ~ 도 11에 도시한 것과 부분적으로 약간 상이하나, 기본구성은 같다. 이 도 12는, 기준편(112)을 구강 내에 삽입하여 환자의 치열 커브를 검사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기준편(112) 대신에 뾰족한 선단부를 가진 왁스 림 고정유지구(도 13의 145)를 부착한 회동틀을 기틀에 세트(set)하고, 환자가 물고 있는 왁스 림(200)을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교합기(1)와 페이스 보우(100)을 사용하여, 환자에 의치상을 제작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먼저, 공지된 방법으로 상(床)을 제작한다. 상의 제작방법은, 먼저, 소정의 트레이(tray)에 인상제(印象劑)를 실어서 환자의 상하 치아 줄기의 형상의 인상을 잡는다. 이 인상의 위로부터 석고(石膏)를 유입하여, 석고 모형을 제작한다. 이 석고 모형의 위에서 레진상(resin床)을 만들고, 왁스로 대강 상하의 왁스 림(치조제(齒槽提) 또는 로우제)를 제작한다.
이 왁스 림(로우제)(200)을 환자의 구강 내에 넣어서, 실제로 교합시키고, 상하악의 센트릭 포지션(centric position)을 확정한다. 왁스 림을 깨문 상태에서 상하 왁스 림(로우제)을 왁스로 서로 접합하여 일체화한다. 이 상태에서, 뺨점막과의 친숙한 상태나 미관 등을 조절하여 제작하고, 이 로우제를 페이스 보우(100)에 부착한다. 이 부착은, 환자의 구강 내에 있는 로우제(200)의 상면에 왁스 림 고정유지구(바이트 포크(bite fork))를 눌러 접하여, 뾰족한 선단부를 왁스 림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브래킷(107)의 고정용 로크 너트(108)에 의해 측부 프레임(102)과의 각도를 교합 전이(transfer) 때문에 일정하게 유지한다.
다음으로, 페이스 보우(100)를 환자로부터 떼어내고, 도 14에 도시한 페이스 보우 베이스(150)에 의해 유지한다. 이 베이스(150)에는 기틀(101)의 측부 프레임(102)의 하단부가 끼워맞춰지는 요부(凹部)(151, 15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요부(151)에 측부 프레임(102, 102)의 하단부를 끼워맞춰짐으로써, 페이스 보우(100)를 기립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를 테이블(table)면 등의 수평면 상에 놓아 둠으로써, 측부 벡터축을 나타내는 측부 프레임(102)이 수직상태로 지지된다.
교합기(1)에 대한 페이스 보우(100)의 세트는, 상기 수직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페이스 보우(100)의 측부 프레임(102, 102)의 사이에 교합기(1)를 배치하고, 페이스 보우(100)에 지지되어 있는 상악용 왁스 림을 교합기의 상악 지지부(40)에 접근시킨다. 이 경우, 교합기(1)의 벡터축을 나타내는 로드(25)는 수직이기 때문에, 기틀의 측부 프레임(102)을 수직으로 지지한 페이스 보우에 보여진 기준점 지시구(131)(벡터축 포인트)와 수직선상으로 일치하여, 능숙하게 접합하는 것이다. 그래서, 왁스 림의 위쪽에 석고를 유입하여 고화시켜서, 석고모형으로 한다. 도 15는, 교합기(1)에 석고모형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 15에 도시한 교합기(1)는 본 발명의 페이스 봉(棒)(100)에 적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형상은 상기와 약간 다르게 되어 있으나, 기본적 구조는 상기와 같고, 같은 부분에서는 같은 기호를 부기하고 있다.
한편, 환자의 하악 중 절치(切齒)의 절단(切端)이 상악 중 절치의 아래쪽에 접하는 점과 N점과의 거리(환자의 최대 곡률반경으로 된다)는, 페이스 보우에 의해 이미 확정되어 있으므로, 이 거리에 근거하여, 교합기에 세트되어 있는 상악과 하악이 일체화한 왁스 림(로우제)에 상기 아암의 선당부의 교합 라이너(35)로 곡선을 그린다. 이 때, 아암(30)을 지지하는 축부(25)는 그 축심 둘레에서 회전가능하고, 한편 아암(30)는, 축(31)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축(31)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로우제에 3차원의 원호를 그릴 수 있다. 상기 아암을 지지하는 축(31)의 위치는 N점에 상당하고, 그려진 원호는 환자의 교합곡선(오클루절 커브)를 나타낸다. 상기 아암(30)은, 자유로운 조인트(joint)를 사용하여 3차원적인 회동이 자유로운 축부(25b)에 부착해 둘 수도 있다.
또한, 환자의 두개골에는 개인차이가 있음으로, 교합기(1)에 있어서 아암(30)의 길이, 교합 라이너(35)의 형상·치수(교합 라이너는 복수 종(種) 준비하여 두고, 적절하게 교환하도록 하면 편리하다), 회동부재(7)의 전후위치와 상하 경사각도, 하악 지지부재(4)의 전후위치, 상악 지지부재(40)의 전후위치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이상적인 교합을 얻는다.
그려진 교합 커브에 따라 상하의 로우제를 정확하게 상하 분할한다. 그런 다음, 이 로우제에 원호에 따라 의치를 부착하여 간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하악의 로우제 위에 상악 측의 의치열(列)을 실어서 임시고정한다. 한편, 상악의 로우제는 끓여서 씻어 흐르게 하여 레진상(床)을 노출시켜 둔다. 치열과 레진상과의 간격을 교합기(1) 상에서 레진을 사용하여 임시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악만 교합기로부터 떼어내고, 그대로의 간격으로 레진을 유입하여 치열을 일체화한다.
이어서, 하악의 치열을 고정하지만, 이 고정은, 상기 상악에 맞추어 치열을 배치하고, 고정하면 좋다. 그 순서는 상기 상악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상과 의치열이 일체화한 의치상이 얻어진다. 이 의치상에 필요한 연마 등의 임상처리(任上處理)를 하여 제품을 만든다.
그런데, 본 발명의 페이스 보우를 사용하면, 종래와 같이, 환자의 측두부 세팔로(cephalo)규격사진을 찍을 필요는 없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세팔로규격사진을 찍어 참고해도 좋다. 또한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서는 이러한 세팔로규격사진을 사용하지 않고, 환자의 구강 내에서부터 전사(轉寫)한 상하의 치조제(로우제) 중 절치 부위에 상하좌우 4개의 의치를 임시고정하고, 실제로 환자가 이를 맞닿게 물어, 가장 환자에 적절한 상태로 의치의 높이나 각도를 조절한다. 이상적인 교합이 얻을 수 있으면, 이들 여러 개의 의치의 콘택트 포인트(contact point)와 양악관절두전연(兩顎關節頭前緣)을 통하는 환자에 적절한 교합 커브를 구할 수 있다.
이를 테면, 환자의 구강 내로부터 전사한 턱모형에 근거하여, 환자의 턱에 장착한 의치상의 상부분을 제작하고, 그 환자에 적당한 복수의 의치를 상기 상부분 위에 만들어진 상악제체전치부(上顎堤體前齒部)에 있어서 그 환자의 구강 내에서의 심미적 위치로 고정함으로써, 이들 복수의 의치에 근거하여 고유의 곡률반경을 결정한다. 그래서, 이 곡률반경에 의해 그려진 제체면(堤體面) 위의 원호의 사이즈에 따라, 의치열을 고정 일체화함으로써 소망의 의치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원호의 계측이나 곡률반경의 결정에는, 상기 교합기(1)의 아암과 교합 라이너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에 서술한 의치상의 제작방법으로는, 로우제에 교합 커브에 따라 다수의 의치를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반드시 시간과 숙련을 요하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으면, 의치상의 제작은 훨씬 간단하게 되고, 제작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그래서, 이 간략화를 실현할 수 있는 개량된 제작방법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 개량된 방법은, 여러 가지의 교합곡선(오클루절 커브)에 따라 배열한 상재(床材)의 제체(堤體)에 고정한 의치상(醫齒床)을 위한 부품(치열 유니트(unit))(70)을 미리 제작하여 둔다. 도 13은 이 의치상을 위한 부품인 치열 유니트(70)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의치(T, ...)를 교합곡선에 따라 제체(P)에 고정한 것이다. 이 치열 유니트(70)의 의치배열에 사용되는 교합곡선은 환자의 연령이나 체격 등에 의해 여러 가지로 다르고, 의치 자체의 종류도 많으므로, 환자가 최적한 것을 선택할 수 있기 위해서는, 치열 유니트의 종류는 가능한 많이 것이 좋다. 그렇지만, 종류를 너무 많게 하면, 재고가 증가함과 동시에, 관리의 수고 등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이므로, 환자의 교합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능한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해 둔 의치상을 위한 부품으로서의 치열 유니트의 종류는, 수십 종 정도가 바람직하고, 현실적으로는 30~50종류 정도인 것이 적당하다.
상기 준비되어 있는 의치상을 위한 부품(치열 유니트) 중에서, 환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최적의 것을 선택한다. 그래서, 선택한 치열 유니트를 상기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채취한 모형에 근거하여 제작한 상(80)(도 13의 쇄선으로 도시)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복수 종의 치열 유니트 중에서 선택한 환자의 교합곡선에 적절한 곡선을 가진 치열 유니트를, 그 환자의 측두부 뢴트겐(roentgen) 사진 상에 있어서의 관절두 중앙부의 일점이 아니고 그 보다 외이도(外耳道)에 가까운 2~3mm의 일점을 통과하는 곡선과, 환자의 구강 내에서 결정된 고유의 치궁면(齒弓面) 상에 3차원적 교차하는 선상에 배치하여, 상기 상부분에서 고정한다. 구체적인 고정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합곡선에 따라 상하로 분할한 로우제 부착의 모형을 상기 교합기(1)에 세트하고, 그 하측의 치아에 맞추어 상측의 치열 유니트(70)을 세트한다.
다음으로, 상악의 로우제의 왁스를 제거하고, 위쪽의 플라스틱상(plastic床)(80)만을 남겨서, 상기 프라스틱상과 하악 측에 놓여 있는 치열 유니트(70)와의 사이에 치과용 고품질 즉시 중합수지를 유입하여 중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플라스틱상과 의치열이 일체화한 도면으로 도시한 것과 같은 의치상(90)이 얻어지게 된다.
이 간략화된 의치상 조제(調製)방법에 의하면, 환자의 구강 내의 형상에 근거하여 제작한 상(80)에 그때마다 의치를 심어 가는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의치상을 극히 능률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준비되어 있는 치열은, 환자의 교합력의 벡터를 고려한 교합곡선에 따라 의치를 심어준 것이므로, 대략 이상적인 교합이 얻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 보우를 사용하면, 각 환자에게 가장 바람직하게 고려되는 교합이 얻어지는 의치상을 지극히 능률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주로 수지제(樹脂製)의 의치상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금속제의 의치상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윈리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페이스 보우를 사용하면, 각 환자에 있어 가장 바람직하게 고려되는 교합이 얻어지는 의치상을 지극히 능률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주로 수지제의 의치상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금속제의 의치상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원리로 제적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Claims (6)

  1. 환자의 두부의 양측부에 따른 좌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과 이 좌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을 서로 접속하는 좌우 방향의 횡 프레임을 포함하는 기틀과, 상기 측부 프레임의 내측에 환자의 안면에 대한 접근·이반하는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기틀에 지지되는 회동틀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틀의 좌우중앙부에는,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마우스 피스가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기틀에는, 환자의 좌우의 귓구멍 부근에 걸려진 이어피스와, 환자의 네지온 부근에 설정되는 교합력 집중부를 지시하는 기준점 지시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2. 제 1항에 있어서,
    마우스 피스가, 환자 고유의 치열 커브를 측정하는 기준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3. 제 1항에 있어서,
    마우스 피스가, 환자의 구강 내에 장착되어 있는 왁스 림을 고정지지하는 지지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동틀의 양측부에는, 이 회동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회동틀의 부착 높이를 지시하는 회동지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틀의 좌우 중앙부에, 환자의 미간 부근에 꼭 맞게 대어져 이 기틀을 지지하는 맞댐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6. 제 5항에 있어서,
    맞댐 부재가, 기틀에 부착된 축부와 이 축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환자의 미간 부근의 비릉의 양측에 꼭 맞게 대어지는 좌우 한 쌍의 구면부재를 구비하며, 이 구면부재는, 상기 축부와 교착하는 방향의 지지축에 의해 각각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페이스 보우.
KR1020057014138A 2003-01-31 2004-02-02 치과용 페이스 보우 KR20050103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5330 2003-01-31
JP2003025330 2003-01-31
JP2003202010 2003-07-25
JPJP-P-2003-00202010 2003-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484A true KR20050103484A (ko) 2005-10-31

Family

ID=3303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138A KR20050103484A (ko) 2003-01-31 2004-02-02 치과용 페이스 보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60147877A1 (ko)
EP (1) EP1600117B1 (ko)
JP (1) JP4876276B2 (ko)
KR (1) KR20050103484A (ko)
CN (1) CN1758884B (ko)
AT (1) ATE408382T1 (ko)
AU (1) AU2004222478A1 (ko)
CA (1) CA2554988A1 (ko)
DE (1) DE602004016632D1 (ko)
HK (1) HK1090533A1 (ko)
WO (1) WO20040825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80B1 (ko) * 2009-07-16 2011-06-17 주식회사 쿠보텍 상악위치 채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모형 부착 보조기
WO2014109516A1 (ko) * 2013-01-11 2014-07-17 Lee Chae-Bung 치과용 페이스 보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2050B1 (fr) 2007-02-02 2010-04-23 Patrice Margossian Dispositif de reperage et de mesure de parametres anatomiques faciaux
KR101174646B1 (ko) 2010-11-04 2012-08-17 서울대학교치과병원 3차원 안면 진단 장치
JP5838602B2 (ja) * 2011-06-10 2016-01-06 直樹 西浜 3次元咬合コンタクト測定器
JP6261231B2 (ja) * 2013-08-06 2018-01-17 直樹 西浜 歯列測定装置
WO2017204237A1 (ja) * 2016-05-27 2017-11-30 直樹 西浜 ゼロモーメントアジャスター
CN108392289B (zh) * 2018-01-23 2020-06-05 温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可调*平面导板
DE102018111121B3 (de) 2018-05-09 2019-05-09 Wagner Zahntechnik Gmbh Zahnmedizinische Vorrichtung, Verfahren zum Erfassen einer Kieferanatomie, Bissgabel, zahntechnischer Übertragungsstand mit zugehöriger Bissgabel und Verfahren zum Übertragen einer Kieferanatomie
CN109771070B (zh) 2018-11-14 2020-12-25 南京凝动数字科技有限公司 牙列运动轨迹指示器及示踪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6284A (en) * 1956-03-13 1957-09-17 Charles E Stuart Hinge axis locating apparatus
US4034474A (en) * 1974-07-01 1977-07-12 Lee Robert L Jaw movement simulation
US4537574A (en) * 1983-03-24 1985-08-27 Clark Alan D Dental articulator
US4616998A (en) * 1984-09-12 1986-10-14 Wong Brian W Face bow and method of use in orthodontic procedures
US4695252A (en) * 1985-12-05 1987-09-22 Ab Dentatus Quick mount face-bow device for an articulator
US4909737A (en) * 1988-05-27 1990-03-20 Lee Robert L Dental apparatus
US4892480A (en) * 1988-09-14 1990-01-09 Levandoski Ronald R Face bow
US5078600A (en) * 1990-06-25 1992-01-07 Austin David G Multifunction mandibular movement measuring device
US5176515A (en) * 1991-05-10 1993-01-05 Andrews Lawrence F Dental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DE4441991C2 (de) * 1994-11-25 2002-05-08 Heinz Mack Registriervorrichtung zur Erfassung der Bewegungen der Kiefergelenke in Bezug zum Schädel
US5738517A (en) * 1995-10-23 1998-04-14 Keller; Duane C. Apparatus and method of fixed reference examination of dental patients
DE19702840C1 (de) * 1997-01-27 1998-07-09 Dietmar Amann Gesichtsbogen
JP3903228B2 (ja) * 1997-04-23 2007-04-11 東風 巧 審美的咬合平面の決定装置
US6109917A (en) * 1998-02-13 2000-08-29 Arlene M. Lee System for establishing a reference plane for dental casts
ITMI981119A1 (it) * 1998-05-21 1999-11-21 Gianni Tomasini Il centrich e' una metodologia per uso odontoiatrico - odontotecnico per la costruzione delle protesi mobile - fissa
DE19945098A1 (de) * 1998-11-09 2000-05-11 Synthese Dentale Forschungs Un Schnellübertragungsbogen
IL159820A0 (en) * 2001-07-16 2004-06-20 Naoki Nishihama Denture base and method of preparing it and instrument used theref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80B1 (ko) * 2009-07-16 2011-06-17 주식회사 쿠보텍 상악위치 채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모형 부착 보조기
WO2014109516A1 (ko) * 2013-01-11 2014-07-17 Lee Chae-Bung 치과용 페이스 보우
KR101422992B1 (ko) * 2013-01-11 2014-07-24 안영홍 치과용 페이스 보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22478A1 (en) 2004-09-30
ATE408382T1 (de) 2008-10-15
WO2004082511A1 (ja) 2004-09-30
JPWO2004082511A1 (ja) 2006-09-21
US20060147877A1 (en) 2006-07-06
CN1758884A (zh) 2006-04-12
CN1758884B (zh) 2010-10-13
CA2554988A1 (en) 2004-09-30
JP4876276B2 (ja) 2012-02-15
EP1600117B1 (en) 2008-09-17
HK1090533A1 (en) 2006-12-29
DE602004016632D1 (de) 2008-10-30
EP1600117A1 (en) 2005-11-30
EP1600117A4 (en)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907B2 (en) Device for recording centric jaw relation and orientation jaw relation simultaneously
CN113412098A (zh) 一种具有可合并数字三维牙齿模型的人体解剖学位置以及平面分析的参考线的牙科系统
KR20050103484A (ko) 치과용 페이스 보우
US20070117065A1 (en) Denture base, method of preparing denture bases, and a denture base component
JP3181517U (ja) バイトフォーク
JP6261231B2 (ja) 歯列測定装置
WO2004110296A1 (ja) 歯科用咬合ナビ装置
CN212574997U (zh) 一种新型面弓
JP3680139B2 (ja) 咬合の構築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咬合器
JP6556947B2 (ja) ゼロモーメントアジャスター
JP2003220079A (ja) 咬合分析装置とその分析方法及びリファレンスマーカー
JP2003190186A (ja) 義歯床とその部品及びそれらの調製方法
JP2003245291A (ja) 歯科用フェイスボウとその使用方法
Randow et al. On Functional Strain in Fixed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s: An experimental in vivo study
CN111772843A (zh) 一种新型面弓及其应用
JP2021109036A (ja) 咬合検査装置
Mattoo et al. A novel design to allow recording multiple facial measurements without changing subject’s position
El Bialy et al. Modified maxillary splint with headgear in growing class II division 1 cases
JPS61179145A (ja) 咬合器における上顎歯列模型受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