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25496A1 - 터미널단자 밴딩장비 - Google Patents

터미널단자 밴딩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25496A1
WO2022025496A1 PCT/KR2021/009152 KR2021009152W WO2022025496A1 WO 2022025496 A1 WO2022025496 A1 WO 2022025496A1 KR 2021009152 W KR2021009152 W KR 2021009152W WO 2022025496 A1 WO2022025496 A1 WO 20220254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ngle
bending
block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91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왕식
Original Assignee
(주)제일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제일에프에이
Publication of WO20220254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254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10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rminal terminal bending equipment, and to terminal terminal bending equipment capable of correcting a bending angle even if aging occurs in components bending terminal terminals.
  • the progressive machining (continuous machining) mold is in the spotlight instead of the conventional single machining mold, and its use is rapidly increasing. At the same time, the scope of use is gradually expanding in various fields.
  • the material in the sense that the material is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process sequence, it is usually called a progressive die or a flow die in the sense that it has a multi-process and a multi-stage transfer type or Also called gang die.
  • the desired terminal terminal is made by sequentially processing while continuously transferring the terminal terminals among the strip-shaped materials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That is, each processing is sequentially performed by a die and a punch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t each position of the mold equipment to make a product.
  • the “terminal terminal bending device” of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guide rail 10 insta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vertical mounting table 20 that is slide-coupled to the guide rail 10 and moves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rvo motor 21 . ), and a fixed support 30 installed in front of the vertical mounting table 20 and pressing the connector case 2 supplied through the transfer line 5 to stop the movement of the connector case, and the vertical mounting table
  • a horizontal cylinder 41 coupled to the upper rear side of (20), a horizontal movable body 42 coupled to the horizontal cylinder 41 to move horizontally, and a fixed support 30 coupled to the horizontal movable body 42
  • a movable installation support part 40 comprising a support 44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ly supported connector case 2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43 for preventing the terminal terminal 1 from being caught, and the movable installation support part ( 4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ovable body 42 and pressurizes the fixed support 30 to press and fix the connector case 2, and the pressure control unit 50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 a rotation motor 92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80 through an installation frame 80 and a bracket 91 composed of a pair of horizontal frames 82 configured on the side surfaces, and a hinge shaft 93, A bending actuator 94 bearing-coupled to a pair of horizontal frames 82 of the installation frame 80, respectively, and a rear surface of the bending actuator 94 are coupled to the servomotor 2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for transferring the power of the rotary motor 92 to the bending actuator 94 by connecting the insert 95 for inserting the terminal terminal 1 and the rotating motor 92 and the bending actuator 94 .
  • Rotational actuation bending part (90) composed of means (96) ); because of this, through repeated operation of the rotating bending unit, bending can be performed quickly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terminal,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as well as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There was an advantage that maintenance could be made easier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icrometer that moves the micrometer.
  • the existing bending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size is large, and thus receives a lot of space restriction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further providing a structure capable of correcting the bending angle even if aging occurs in the components bending the terminal terminal. It is to provide terminal terminal banding equipment that is not limited by space by maintaining it at all times and by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equipment to a compact size.
  • the terminal input unit 11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terminal terminal 10 introduced from the terminal input unit 110 inside is moved.
  • Main housing 100 in which a terminal moving rail 120 for guiding is formed;
  • the first horizontal part 11 is formed in the center, the tip of the terminal terminal 10 is bent at a right angle to form the tip right-angled part 12, and the tip of the terminal terminal 10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first bending block 200 for forming the inclined portion 13; and.
  • a first pressure bar 30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horizontally extending a portion of the tip right-angled portion 12 to form a second horizontal portion 14; and, the main body housing It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100), and moves up and down depending on whether the operator operates it to adjust the angle (a1) between the tip right angle part 12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 14, and to adjust the second horizontal
  •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4 made of the angle (a1) is molded, and the end of the terminal terminal 10 is bent at a right angle to form a distal right angle portion ( 15) forming a second bending block (50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 the main body housing 10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and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to adjust the angle a2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art 11 and the distal right-angled part 15, Doedo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angle adjusting part 600 and the main body housing 100 for supporting the distal right-angled part 15, pressing the distal right-angled part 15 to have the angle a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essing bar 700 is formed.
  • the third pressing block 8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to press the first horizontal part 11, and the third pressing block 800 is inserted through the pressing block 80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 the bar 900 and the pressure block 800 are rotatably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 ) and the front end right-angled portion 12,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ring pin 1000 to have an angle (a3) is formed.
  • the first angle adjusting unit 40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djusting screw 410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main body housing 100 , and the The moving block 420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adjusting screw 410 is operated or not, and the terminal moving rail 120 are located on the front side and move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second horizontal part 14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lock 420, the lifting block 430 that moves up and down is formed.
  •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42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block 430 is inclin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420. do.
  • the third angle adjustment unit 110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and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to adjust the angle of the pressure ring pin 100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do it with
  • the third angle adjustment unit 110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and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a third adjustment screw ( 1110) and an elastic member 112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ird adjusting screw 111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ring pin 1000.
  • the pressure ring pin 1000 is hinge-coupled to the pressure block 800 and is formed on the hinge portion 1010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120, and the hinge portion 1010.
  • the third adjusting screw 1110 and the third pressing bar 900 are formed in a circular circular head 10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1010, the inner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ing-shaped pressing protrusion 1030 protruding in the direction.
  • a cutting pin 130 for cutting the terminals 10 continuously introduced from the terminal input unit 11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
  • the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to correct the bending angle, thereby always maintaining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the entire equipment It has the advantage of not being constrained by space by reducing the size of the device to a compact siz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terminal before molding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terminal terminal molded through a terminal terminal bend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erminal terminal bending equip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terminal terminal be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terminal terminal bending equip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rear view showing a rear view of a terminal terminal bend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to 11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terminal terminal through a terminal terminal bend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mbodiment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erminal terminal that is formed step by step through a terminal terminal bend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erminal terminal bend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inal terminal bending device 1 is largely, the main body housing 100, the first bending block 200, the first pressure bar 300, the first 1 angle adjusting unit 400, second bending block 500, second angle adjusting unit 600, second pressing bar 700, pressing block 800, third pressing bar 900, pressing ring pin (1000) and a third angle adjustment unit (1100).
  • the terminal terminal bending equipment 1 includes cylinders, sensors, and controller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ressure bars 300, 700, and 900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 cylinders, sensors, and controller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ressure bars 300, 700, and 900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 the principle of configuring and operating the driving elements corresponds to a well-known level of technology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main housing 100 is a component in which the terminal terminal 10 is put in and moved, and components for stepwise bending are built-in, and an external terminal terminal 10 is provided on one side.
  • the terminal input unit 110 made of a hole is formed so that it is put into the inside of the main housing 100 .
  • the terminal terminal 10 introduced from the terminal input unit 110 is seated to guide the movement while supporting the terminal terminal 10 during bending operation. 120) is formed.
  • a cutting pin 13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housing 100 to cut the terminals 10 as shown in FIG. 7 continuously introduced from the terminal input unit 110 at regular intervals.
  • the first bending block 2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as shown in FIGS. 4, 6 or 8, and is first drawn in from the terminal input unit 110, and the terminal moving rail ( As a component for primary bending of the terminal terminal 10 seated on 120), through the first forming part 210 formed under the first bending block 200, as shown in (b) of FIG. Similarly, a first horizontal part 11 is molded in the center of the terminal terminal 10, and the tip of the terminal 10 is bent at a right angle to form a tip right-angled part 12, and the terminal terminal 10 The end of the slanted portion 13 is formed by bending it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first pressure bar 300 is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as shown in FIGS. 4, 6 or 9 .
  • the first bending block 20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o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a cylinder, etc.
  •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4 is formed as shown in FIG. 12(c) through this.
  • the first angle adjusting unit 40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as shown in Figs. 4, 5 or 10, and moves up and down depending on whether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front end of the right angle part.
  • a first adjusting screw 410 A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angle a1 between (12)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 14 and supporting the second horizontal part 14, a first adjusting screw 410, a moving block 420 and Consists of a lifting block (430).
  • the first adjusting screw 410 is a component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and connected to a moving block 420 to be described later,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to move the moving block 420 . It serves to move forward or backward.
  • the moving block 420 is connected to the first adjusting screw 410 in a state provided inside the main housing 100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first adjusting screw 410 .
  • the lifting block 43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lock 420 , and the lifting block 430 can be raised or lowered by using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through the first adjusting screw 410 .
  •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420 is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enable the lifting block 430 to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 the lifting block 430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420 in a stat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terminal moving rail 120 and is raised or lowered by the moving block 420, so that the second horizontal part ( 14) serves to guide the formation of the angle a1 between the tip right-angled portion 12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4 by applying a push-up force to the upper side in abutting state.
  • the angle a1 refers to an angle to be corrected.
  •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block 430 is inclin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420 .
  • the second bending block 500 As shown in FIG. 4 or 10 , the second bending block 5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and the angle a1 is secured by the first angle adjusting unit 400 . As a component bent into a , as shown in (d) of FIG. 12 through the second forming part 510 formed under the lifting block 430 and the second bending block 500, 12)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 14 are bent at a corrected angle a1, and the inclined part 13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urther bent so that the end of the terminal terminal 10 is a right angle.
  • the distal right-angled portion 15 made of is molded.
  • the second angle adjusting unit 60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depending on whether the operator operates it, and moves the distal right angle portion 15 when moving forward. It is a component that adjusts the angle a2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art 11 and the distal right-angled part 15 by pushing it toward the rear side and also serves as a stopper for supporting the distal right-angled part 15 .
  • the angle a2 refers to an angle to be corrected.
  • the second pressure bar 70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4 or FIG. 6 , the second pressure bar 70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by a cylinder or the like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 and by the second angle adjusting unit 600 . As shown in FIG. 12(e) by pressing the supported distal right-angled portion 15,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 and the distal right-angled portion 15 are formed at a corrected angle a2. make it possible to become
  • the pressing block 800 will be described. 4 or 5, the pressing block 8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to press the first horizontal part 11 to fix the terminal terminal 10 do
  • the third pressing bar 900 is a component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pressing block 800 and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a cylinder, etc., by pressing the pressing ring pin 10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ring pin 100 serves to allow the front end right-angled portion 12 to be pressed.
  • the pressure ring pin 1000 is rotatab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ressure block 800 as shown in FIG. 4 or FIG. 11 , and the tip right angle part ( 12) as a component formed to have an angle (a3)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 and the tip right-angled portion 12 by pressing, a hinge portion 1010, a circular head 1020, and a pressing protrusion (1030).
  • the angle a3 refers to an angle to be corrected.
  • the hinge part 1010 is a component hinged to the pressing block 800 so that the pressing ring pin 1000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block 800 and rotated.
  • the circular head 1020 is a component formed in a circular shap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inge part 1010 and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adjusting screw 1110 and the third pressing bar 9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3 Guides the pressure ring pin 1000 to be laid down in the front direction or laid down in the rear direction smoothly around the hinge part 1010 depending on whether the angle adjusting part 1100 is operated.
  • the pressing protrusion 1030 is a ring-shaped component that is formed under the hinge portion 1010 and protrude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ain housing 100, and is formed by pressing the third pressing bar 900. It is possible to form the corrected angle a3 as shown in FIG. 12(e) by directly striking the tip right angle part 12. As shown in FIG.
  • the third angle adjustment unit 110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as shown in FIG. 4 or FIG. 11 , and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of the pressure ring pin 1000 .
  • A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angle it consists of a third adjusting screw 1110 and an elastic member 1120 .
  • the third adjustment screw 111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to move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essure ring pin 1000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enables the pressing ring pin 1000 to be laid down in the front direction or laid down in the rear direction or maintained in a vertical state as it is advanced or retracted by the elastic member 1120 to be performed.
  • the elastic member 1120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third adjustment screw 1110 and the pressure ring pin 100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ure ring pin 1000, and the third adjustment
  • the screw 1110 moves backward, it becomes in a tension state and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pressure ring pin 1000 is laid down in the rear direction, and when the third adjustment screw 1110 moves forward, it becomes in a compressed state and the pressure ring It keeps the pin 1000 laid down in the forwar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단자를 절곡하는 구성요소들에 노후화가 발생되더라도 절곡각도를 보정할 수 있는 구조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성 및 신뢰성을 항상 유지시켜주고, 장비 전체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축소하여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미널단자 밴딩장비
본 발명은 터미널단자 밴딩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터미널단자를 절곡하는 구성요소들에 노후화가 발생되더라도 절곡각도를 보정할 수 있는 터미널단자 밴딩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가공제품의 생산방식이 점차 자동화 양산화됨에 따라 프레스 작업의 생산성 향상, 합리화 개선대책이 중요시되며 연구개발이 강력히 추진되고 고안 또는 개선에 따라 눈부시게 진보되고 있다.
종래의 단일가공 금형대신 프로그레시브 가공(연속가공)금형이 각광을 받게 되어 그 사용이 급속하게 증대 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 범위도 다방면으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또한, 재료를 공정순서에 따라서 이송진행한다는 의미에서 순차이송형 프로그래시브금형(progressive die) 또는 플로우다이(flow die)라고 보통 불리우며 다공정을 가지고 연속조합가공이 가능하다는 의미에서 다단이송형 또는 갱다이(gang die)라고도 불리우고 있다.
한편, 프레스 공정을 통한 작업 중에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형상의 재료 중 터미널단자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 원하는 터미널단자를 만들게 된다. 즉, 금형장비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에 의해서 각각의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터미널단자를 성형하는 성형장비 중에는 하기 특허문헌 1의 “터미널단자 밴딩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2937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터미널단자 밴딩장치”는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슬라이드결합되어 서보모터(21)의 작동에 따라 수평이동하는 수직설치대(20)와, 상기 수직설치대(20)의 전방에 설치되며, 이송라인(5)을 통해 공급되는 커넥터케이스(2)를 가압하여 커넥터케이 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고정지지체(30)와, 상기 수직설치대(20)의 상측 후방에 결합되는 수평실린더(41)와, 상기 수평실린더(41)에 결합되어 수평이동하는 수평이동체(42)와, 상기 수평이동체(42)에 결합되어 고정지지체(30)에 고정지지된 커넥터케이스(2)의 후면을 지 지하며 터미널단자(1)의 걸림방지를 위한 삽입홈(43)이 형성된 지지대(44)로 구성된 이동설치지지부(40)와, 상기 이동설치지지부(40)의 수평이동체(42)에 설치되어 고정지지체(30)를 가압함으로써 커넥터케이스(2)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조절부(50)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설치부(60)와, 상기 고정설치부(6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71)을 구성한 가이더(72)와, 상기 가이더(72)에 결합되어 회전축(71)을 회전작동시키는 작동모터(73)로 구성된 수직작동부(70)와, 상기 수직작동부(70)에 구성된 회전축(71)에 결합되어 수직이동하는 수직프레임(81)과, 상기 수직프레임(81)의 양 측면에 구성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82)으로 구성된 설치프레임(80) 및 브라켓(91)을 통하여 설치프레임(80)에 설치되는 회전모터(92)와, 힌지축(93)을 구성하여 상기 설치프레임(80) 에 구성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82)에 각각 베어링결합되는 밴딩작동체(94)와, 상기 밴딩작동체(94)의 후면에 결 합되어 서보모터(21)의 작동에 따라 터미널단자(1)를 삽입하는 삽입체(95)와, 상기 회전모터(92)와 밴딩작동체 (94)를 연결하여 회전모터(92)의 동력을 밴딩작동체(94)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96)으로 구성된 회전작동밴딩부(90);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회전작동밴딩부의 반복작동을 통하여 터미널단자의 두께에 상관없이 밴딩처리를 신속히 이룰 수 있어 생산성의 증대는 물론,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삽입체를 미동시키는 마이크로미터의 구성으로 인하여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터미널단자 밴딩장치”는 반복적인 생산에 따라 터미널단자를 절곡하는 구성요소들이 마모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노후화가 발생하게 되면, 절곡되는 부위의 각도가 변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품질성 및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밴딩장치는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됨으로써,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단자를 절곡하는 구성요소들에 노후화가 발생되더라도 절곡각도를 보정할 수 있는 구조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성 및 신뢰성을 항상 유지시켜주고, 장비 전체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축소하여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터미널단자 밴딩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단자 밴딩장비는, 일측에 터미널투입부(110)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터미널투입부(110)로부터 인입되는 터미널단자(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터미널이동레일(120)이 형성되는 본체하우징(100);과,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측에 구비되되, 상기 터미널투입부(110)로부터 인입된 상기 터미널단자(10)의 중앙에 제1 수평부(11)를 성형하고, 상기 터미널단자(10)의 선단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선단직각부(12)를 성형하며, 상기 터미널단자(10)의 말단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여 경사부(13)를 성형하는 제1 밴딩블럭(200);과.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후면측에 구비되되, 상기 선단직각부(12)의 일부를 수평으로 펴주어 제2 수평부(14)를 성형하는 제1 가압바(30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구비되되,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 하로 이동하여 상기 선단직각부(12)와 상기 제2 수평부(14) 사이의 각도(a1)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수평부(14)를 지지하는 제1 각도조절부(400); 및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측에 구비되되, 상기 각도(a1)로 이루어진 상기 제2 수평부(14)를 성형하고, 상기 터미널단자(10)의 말단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말단직각부(15)를 성형하는 제2 밴딩블럭(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구비되되,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전, 후진되어 상기 제1 수평부(11)와 상기 말단직각부(15) 사이의 각도(a2)를 조절하고 상기 말단직각부(15)를 지지하는 제2 각도조절부(600) 및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후면측에 구비되되, 상기 각도(a2)를 가지도록 상기 말단직각부(15)를 가압하는 제2 가압바(7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수평부(11)를 가압하는 가압블럭(800)과, 상기 가압블럭(800)에 관통삽입되어 전, 후진하는 제3 가압바(900) 및 상기 가압블럭(800)의 전면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3 가압바(9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선단직각부(12)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수평부(11)와 상기 선단직각부(12) 사이의 각도(a3)를 가지도록 가압고리핀(10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각도조절부(40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형성되어 전, 후진되는 제1 조절나사(41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조절나사(410)의 조작여부에 따라 전, 후진되는 이동블럭(420) 및, 상기 터미널이동레일(120)의 전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수평부(14)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블럭(420)의 이동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블럭(4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420)의 상부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블럭(430)의 하부면은 상기 이동블럭(420)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구비되되,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전, 후진되어 상기 가압고리핀(10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3 각도조절부(11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각도조절부(110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형성되어 전, 후진되되, 상기 가압고리핀(1000)과 맞닿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3 조절나사(1110) 및, 상기 제3 조절나사(111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고리핀(10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고리핀(1000)은, 상기 가압블럭(80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112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힌지부(1010)와, 상기 힌지부(10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조절나사(1110)와 상기 제3 가압바(900) 사이에 위치되는 원형상의 원형헤드(1020) 및, 상기 힌지부(10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리형태의 가압돌기(10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상기 터미널투입부(110)로부터 연속적으로 인입되는 상기 터미널(10)들을 커팅시키는 커팅핀(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미널단자를 절곡하는 구성요소들에 노후화가 발생되더라도 절곡각도를 보정할 수 있는 구조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성 및 신뢰성을 항상 유지시켜주고, 장비 전체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축소하여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성형 전 터미널단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 밴딩장비를 통해 성형된 터미널단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 밴딩장비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 밴딩장비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 밴딩장비의 전면모습을 보인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 밴딩장비의 후면모습을 보인 후면도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 밴딩장비를 통해 터미널단자가 성형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 밴딩장비를 통해 단계별 성형되는 터미널단자의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는 크게, 본체하우징(100), 제1 밴딩블럭(200), 제1 가압바(300), 제1 각도조절부(400), 제2 밴딩블럭(500), 제2 각도조절부(600), 제2 가압바(700), 가압블럭(800), 제3 가압바(900), 가압고리핀(1000) 및 제3 각도조절부(1100)으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는 그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2, 3 가압바(300, 700, 900)과 연결되는 실린더, 센서, 제어부, 전원인가장치 및 연동되는 구동요소들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요소들을 구성하고 작동되는 원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체하우징(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하우징(100)은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터미널단자(10)가 투입되어 이동되고, 단계별 절곡을 위한 구성요소들이 내장되는 구성요소로서, 일측에는 외부의 터미널단자(10)가 본체하우징(100)의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구멍으로 이루어진 터미널투입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내측에는 상기 터미널투입부(110)로부터 인입되는 터미널단자(10)가 안착되어 이동을 안내하면서 절곡작업시 터미널단자(10)를 지지하는 역할의 터미널이동레일(12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커팅핀(130)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투입부(110)로부터 연속적으로 인입되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기 터미널(10)들을 일정간격으로 커팅시켜 준다.
다음으로, 제1 밴딩블럭(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밴딩블럭(200)은 도 4, 도 6 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최초 상기 터미널투입부(110)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터미널이동레일(120)에 안착된 상기 터미널단자(10)를 1차 절곡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밴딩블럭(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성형부(210)를 통해 도 12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터미널단자(10)의 중앙에는 제1 수평부(11)가 성형되고, 상기 터미널단자(10)의 선단은 직각으로 절곡하여 선단직각부(12)가 성형되며, 상기 터미널단자(10)의 말단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여 경사부(13)가 성형된다.
다음으로, 제1 가압바(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가압바(300)는 도 4, 도 6 또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후면측.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밴딩블럭(200)이 위치된 곳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후면측에 실린더 등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선단직각부(12)의 일부를 수평으로 펴주어 2차 절곡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를 통해 도 12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 수평부(14)가 성형된다.
다음으로, 제1 각도조절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각도조절부(400)는 도 4, 도 5 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 하로 이동하여 상기 선단직각부(12)와 상기 제2 수평부(14) 사이의 각도(a1)을 조절하고 상기 제2 수평부(14)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조절나사(410), 이동블럭(420) 및 승강블럭(4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조절나사(41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이동블럭(420)과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이동블럭(420)을 전진 또는 후진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블럭(420)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절나사(4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조절나사(41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420)의 상부에는 승강블럭(430)이 안착되고, 상기 제1 조절나사(410)를 통한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블럭(430)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블럭(420)의 상부면은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면을 따라 상기 승강블럭(430)이 승하강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승강블럭(430)은 상기 터미널이동레일(120)의 전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블럭(42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블럭(42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2 수평부(14)의 하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부측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가하여 상기 선단직각부(12)와 상기 제2 수평부(14) 사이의 각도(a1)가 형성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각도(a1)는 보정되는 각도를 말한다.
또한, 상기 승강블럭(430)의 하부면은 상기 이동블럭(420)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 밴딩블럭(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밴딩블럭(500)은 도 4 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각도조절부(400)에 의해 각도(a1)가 확보된 상태로 절곡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승강블럭(430) 및 상기 제2 밴딩블럭(500) 하부에 형성된 제2 성형부(510)를 통해 도 12의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선단직각부(12)와 상기 제2 수평부(14) 사이가 보정된 각도(a1)로 절곡되고, 또한, 소정의 각도로 성형된 경사부(13)를 더욱 절곡하여 상기 터미널단자(10)의 말단이 직각으로 이루어진 말단직각부(15)가 성형된다.
다음으로, 제2 각도조절부(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각도조절부(600)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고, 전진시 상기 말단직각부(15)를 후면측으로 밀어 상기 제1 수평부(11)와 상기 말단직각부(15) 사이의 각도(a2)를 조절하고 상기 말단직각부(15)를 지지하는 스토퍼 역할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각도(a2)는 보정되는 각도를 말한다.
다음으로, 제2 가압바(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가압바(700)는 도 4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후면측에 실린더 등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각도조절부(600)에 의해 지지된 상기 말단직각부(15)를 가압하여 도 12의 (e)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수평부(11)와 상기 말단직각부(15) 사이가 보정된 각도(a2)로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가압블럭(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압블럭(800)은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수평부(11)를 가압하여 터미널단자(10)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제3 가압바(9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 가압바(900)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가압블럭(800)에 관통삽입되어 실린더 등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가압고리핀(1000)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고리핀(100)이 상기 선단직각부(12)를 가압할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가압고리핀(1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압고리핀(1000)은 도 4 또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가압블럭(800)의 전면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3 가압바(9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선단직각부(12)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수평부(11)와 상기 선단직각부(12) 사이의 각도(a3)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힌지부(1010), 원형헤드(1020) 및 가압돌기(1030)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도(a3)은 보정되는 각도를 말한다.
상기 힌지부(1010)는 상기 가압고리핀(1000)이 상기 가압블럭(800)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가압블럭(800)에 힌지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원형헤드(1020)는 상기 힌지부(10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조절나사(1110)와 상기 제3 가압바(900) 사이에 위치되는 원형상의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제3 각도조절부(1100)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힌지부(1010)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상기 가압고리핀(1000)이 전방향으로 눕혀지거나 후방향으로 눕혀지는 것을 가이드 한다.
상기 가압돌기(1030)는 상기 힌지부(10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리형태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3 가압바(9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선단직각부(12)를 직접 타격하여 도 12의 (e)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정된 각도(a3)를 성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3 각도조절부(1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 각도조절부(1100)는 도 4 또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전, 후진되어 상기 가압고리핀(10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제3 조절나사(1110) 및 탄성부재(1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조절나사(1110)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고, 상기 가압고리핀(1000)과 맞닿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탄성부재(112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됨에 따라 상기 가압고리핀(1000)이 전방향으로 눕혀지거나 후방향으로 눕혀지거나 또는 수직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탄성부재(1120)는 상기 제3 조절나사(1110)의 하부측과 상기 가압고리핀(10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고리핀(10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3 조절나사(1110)가 후진할 때에는 인장상태가 되어 상기 가압고리핀(1000)이 후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를 유지시켜 주고, 상기 제3 조절나사(1110)가 전진할 때에는 압축상태가 되어 상기 가압고리핀(1000)이 전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일측에 터미널투입부(110)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터미널투입부(110)로부터 인입되는 터미널단자(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터미널이동레일(120)이 형성되는 본체하우징(100);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측에 구비되되, 상기 터미널투입부(110)로부터 인입된 상기 터미널단자(10)의 중앙에 제1 수평부(11)를 성형하고, 상기 터미널단자(10)의 선단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선단직각부(12)를 성형하며, 상기 터미널단자(10)의 말단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여 경사부(13)를 성형하는 제1 밴딩블럭(200);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후면측에 구비되되, 상기 선단직각부(12)의 일부를 수평으로 펴주어 제2 수평부(14)를 성형하는 제1 가압바(300);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구비되되,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 하로 이동하여 상기 선단직각부(12)와 상기 제2 수평부(14) 사이의 각도(a1)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수평부(14)를 지지하는 제1 각도조절부(400); 및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측에 구비되되, 상기 각도(a1)로 이루어진 상기 제2 수평부(14)를 성형하고, 상기 터미널단자(10)의 말단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말단직각부(15)를 성형하는 제2 밴딩블럭(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구비되되,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전, 후진되어 상기 제1 수평부(11)와 상기 말단직각부(15) 사이의 각도(a2)를 조절하고 상기 말단직각부(15)를 지지하는 제2 각도조절부(600) 및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후면측에 구비되되, 상기 각도(a2)를 가지도록 상기 말단직각부(15)를 가압하는 제2 가압바(7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수평부(11)를 가압하는 가압블럭(800)과,
    상기 가압블럭(800)에 관통삽입되어 전, 후진하는 제3 가압바(900) 및
    상기 가압블럭(800)의 전면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3 가압바(9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선단직각부(12)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수평부(11)와 상기 선단직각부(12) 사이의 각도(a3)를 가지도록 가압고리핀(10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조절부(40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형성되어 전, 후진되는 제1 조절나사(41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조절나사(410)의 조작여부에 따라 전, 후진되는 이동블럭(420) 및,
    상기 터미널이동레일(120)의 전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수평부(14)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블럭(420)의 이동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블럭(4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420)의 상부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블럭(430)의 하부면은 상기 이동블럭(420)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구비되되, 작업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전, 후진되어 상기 가압고리핀(10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3 각도조절부(11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조절부(110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측에 형성되어 전, 후진되되, 상기 가압고리핀(1000)과 맞닿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3 조절나사(1110) 및,
    상기 제3 조절나사(111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고리핀(10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리핀(1000)은,
    상기 가압블럭(80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112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힌지부(1010)와,
    상기 힌지부(10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조절나사(1110)와 상기 제3 가압바(900) 사이에 위치되는 원형상의 원형헤드(1020) 및,
    상기 힌지부(10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리형태의 가압돌기(10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상기 터미널투입부(110)로부터 연속적으로 인입되는 상기 터미널(10)들을 커팅시키는 커팅핀(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
  10. 제1항으로 구성된 상기 터미널단자 밴딩장비(1)을 통해 생산되는 터미널단자(10).
PCT/KR2021/009152 2020-07-27 2021-07-16 터미널단자 밴딩장비 WO202202549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997A KR102150665B1 (ko) 2020-07-27 2020-07-27 터미널단자 밴딩장비
KR10-2020-0092997 2020-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5496A1 true WO2022025496A1 (ko) 2022-02-03

Family

ID=7246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9152 WO2022025496A1 (ko) 2020-07-27 2021-07-16 터미널단자 밴딩장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44907B1 (ko)
KR (1) KR102150665B1 (ko)
HU (1) HUE063957T2 (ko)
PL (1) PL3944907T3 (ko)
WO (1) WO2022025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665B1 (ko) * 2020-07-27 2020-09-02 (주)제일에프에이 터미널단자 밴딩장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047B1 (ko) * 2011-02-18 2011-09-02 이지봉 단자 절곡기능을 가지는 단자압착기
KR101092937B1 (ko) * 2011-07-11 2011-12-12 주식회사 시너스 터미널단자 밴딩장치
KR101339196B1 (ko) * 2012-12-03 2013-12-09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용 그립핑 및 벤딩장치
KR20160038658A (ko) * 2014-09-30 2016-04-07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터미널 핀 벤딩장치
KR101818604B1 (ko) * 2016-09-08 2018-02-28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 커팅 및 벤딩 장치
KR102150665B1 (ko) * 2020-07-27 2020-09-02 (주)제일에프에이 터미널단자 밴딩장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3839C1 (de) * 1997-12-04 1999-04-29 Siemens Ag HF-Koaxial-Winkelsteckverbinderteil sowie Verfahren zur Fertigung
JP4919797B2 (ja) * 2006-12-27 2012-04-18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ピンコネクタの曲げ加工方法
JP2013020873A (ja) * 2011-07-13 2013-01-31 Yazaki Corp 端子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047B1 (ko) * 2011-02-18 2011-09-02 이지봉 단자 절곡기능을 가지는 단자압착기
KR101092937B1 (ko) * 2011-07-11 2011-12-12 주식회사 시너스 터미널단자 밴딩장치
KR101339196B1 (ko) * 2012-12-03 2013-12-09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용 그립핑 및 벤딩장치
KR20160038658A (ko) * 2014-09-30 2016-04-07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터미널 핀 벤딩장치
KR101818604B1 (ko) * 2016-09-08 2018-02-28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의 터미널 핀 커팅 및 벤딩 장치
KR102150665B1 (ko) * 2020-07-27 2020-09-02 (주)제일에프에이 터미널단자 밴딩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4907A1 (en) 2022-02-02
EP3944907B1 (en) 2023-07-12
KR102150665B1 (ko) 2020-09-02
HUE063957T2 (hu) 2024-02-28
PL3944907T3 (pl) 202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0416B1 (en) Applying a bung seal to an electrical lead
EP0452771B1 (en) Alignment apparatus for positioning a connector housing during wire insertion
WO2022025496A1 (ko) 터미널단자 밴딩장비
US10840663B2 (en) Cable processing device
US4638549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harnesses
WO2019146886A1 (ko) 다방향 동시 단조장치
US70247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quipping plug housings with fitted-out cable ends of a cable
US20070101799A1 (en) Crimp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4630353A (en) Insulation covering stripping device
WO2010085110A2 (ko) 롤러 헤밍장치의 롤러헤밍유닛
JP3560531B2 (ja) ブロー成形機の型締め機構
JP2652822B2 (ja) 光ファイバーの整列方法および装置
US5210942A (en) Method for producing cable harnesses
CN115513752A (zh) 全自动排线线束双头端子压着及双头排线插胶壳组装设备
US5774977A (en) Applicator for terminating electrical wires
CN113708193B (zh) 一种用于信号机房焊接线的剪线扭线装置及方法
CN109249068A (zh) 一种螺栓端面加工总成
US20240120696A1 (en) Wire Processing Device
CN219677750U (zh) 一种线缆端部剥皮铆接机
CN219739547U (zh) 一种电连接器生产线的装配机构
CN114378189B (zh) 一种易组合使用的汽车线束冲模模具
US20240022034A1 (en) Wire Termination System
CN219337743U (zh) 一种可调节式夹爪机构
CN215184979U (zh) 一种用于线束端子与连接器装配的精准导向辅助装置
WO2022209980A1 (ja) 端末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515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515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