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05261A1 - 필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필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05261A1
WO2022005261A1 PCT/KR2021/008464 KR2021008464W WO2022005261A1 WO 2022005261 A1 WO2022005261 A1 WO 2022005261A1 KR 2021008464 W KR2021008464 W KR 2021008464W WO 2022005261 A1 WO2022005261 A1 WO 20220052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filter unit
folding groove
fix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84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현국
송규완
경미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004,13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71125A1/en
Priority to EP21833335.9A priority patent/EP4176957A4/en
Publication of WO20220052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052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6Folded frame o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5Means acting upon failure of the filtering system, e.g. in case of damage of the filter elements; Failsaf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14Filters which are moved between two or more positions, e.g. by turning,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5/00Filter media structure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5/20Shape of filtering material
    • B01D2275/203Shapes flexible in their geometry, e.g. bendable, adjustable to a certain size

Abstract

필터유닛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개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외형을 형성하고, 포집면 및 상기 포집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타면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며,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의 상기 타면에는 접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이홈은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서 상기 포집면을 향해 외력을 가했을 때,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여, 상기 포집면의 일부가 다른 일부를 향해 접근하여 상기 프레임이 접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두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본 발명은 필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이 완료된 필터유닛의 폐기 시에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리는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전체 크기를 축소하여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 먼지 및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서 공기 청정기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의 오염을 정화하는 수단으로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및 오염 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킨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필터 방식 공기 청정기는 팬으로 흡입한 공기를 필터로 정화하여 배출하는데, 예를 들어, 프리 필터로 큰 먼지를 제거하고, 헤파 필터로 미세 먼지를 걸려주며, 활성탄 필터로 냄새를 제거한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는 기본적으로 오염된 공기를 유입시키면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장치와,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및 오염 입자 등을 걸러내기 위해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양한 방식이 적용된 공기 청정기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이용해 먼지 또는 세균을 제거하며, 사용되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하는 공통점이 있으며, 기능에 따라 필터의 교체 주기가 각각 다르지만, 최소 3 ~ 4 개월에 한번씩은 교체해야 한다.
만약, 필터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필터에 흡착된 먼지나 오염 물질 등에 의해 필터가 막히게 되고, 필터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공기 청정기에 장착된 필터를 폐기하고 다른 필터로 교체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사용이 완료된 필터를 폐기할 경우, 필터의 전체 크기로 인해 폐기가 쉽지 않아, 폐기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필터의 필요성이 있다. 접이식 필터로는 주식회사 제타글로벌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4030호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필터 및 그 제조방법”이나 현대자동차주식회사의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41801호 “자동차용 접이식 에어필터 유닛 및 에어 클리너 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들 종래기술은 비용 절감 또는 사용 시 2중 필터링을 목적으로 접이식 구조를 채택한 것이고, 사용시에는 펼쳐져 있다가 폐기시에만 접는 상황을 고려한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폐기시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즉, 사용이 완료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필터를 폐기 목적으로 이동시킬 때, 이들 이물질이 필터로부터 탈락되어 사용자의 손, 또는 옷이 더렵혀질 수 있고, 외부로 날리는 이물질이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될 가능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우려도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이러한 문제를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이 완료된 필터유닛의 폐기 시에는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리는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전체 크기를 축소하여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개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외형을 형성하고, 포집면 및 상기 포집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타면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며,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의 상기 타면에는 접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이홈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타면에서 상기 포집면을 향해 외력을 가했을 때,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포집면의 일부가 다른 일부를 향해 접근하여 상기 프레임이 접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두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이홈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타면에서 상기 포집면을 향해 외력을 가했을 때, 상기 프레임이 반으로 접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 지점 및 이에 대응하는 반대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구획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와 다른 일부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홀더; 및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 중 상기 홀더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가 평각을 이루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홀; 및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 중 상기 고정홀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 고정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상술한 필터유닛; 및 외부 공기가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공기가 상기 포집면과 상기 타면의 순서로 경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에 탈부착이 간단하여 교체 또는 청소가 요구되는 필터유닛의 분리 시에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필터유닛에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려서 실내가 오염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이 완료된 필터유닛의 폐기 시에는 사용자가 필터유닛을 접은 상태로 폐기가 가능함에 따라, 전체 크기를 축소하여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터유닛을 접을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집된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음으로써, 이물질의 외부 날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 또는 옷이 더렵혀지거나 외부로 날린 이물질이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필터유닛을 사용할 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폐기할 때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하여, 상황에 따라 필터유닛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적용된 공기 청정기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적용된 공기 청정기의 투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100)은 사용이 완료된 상기 필터유닛(100)의 폐기 시에는 필터부재(120)에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리는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전체 크기를 축소하여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필터유닛(10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상기 필터유닛(100)을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12)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10)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터유닛(100)은,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과 필터부재(1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110)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개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외형을 형성하고, 유동하는 공기와 마주하는 방향 측에 형성되는 포집면 및 상기 포집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타면을 구비한다.
즉, 상기 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사각의 틀 형상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가장자리 둘레를 제외한 나머지가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은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12)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114)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본체, 또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에 형성되는 레일홈(14)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유닛(100)은 상기 레일 홈(14)에 상기 슬라이딩부(114)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공기 청정기(10)에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유닛(100)은 공기가 상기 포집면과 상기 타면의 순서로 경유하여 유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필터유닛(100)이 상기 공기 청정기(10)에 장착되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부재(120)는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며,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다.
이러한 필터부재(120)는 상기 송풍기(12)의 작동에 따라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여 포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은 양단이 상기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구획하는 보강 리브(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130)는 상기 프레임(110)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재(120)를 함께 구획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120)에 포집된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120)가 휘어지거나 상기 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리브(130)는 가로 보강 리브(132)와 세로 보강 리브(134)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가로 보강 리브(132)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하여 설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를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가로 보강 리브(132)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와 하부를 향하여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상기 프레임(110)의 내주면 양측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 보강 리브(134)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주면과 상기 가로 보강 리브(132)의 사이에서 상기 개구부를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세로 보강 리브(134)는 상기 가로 보강 리브(132)와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또는 하부 내주면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로 보강 리브(134)는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홈(140)은 유동하는 공기와 마주하는 포집면의 반대측인 상기 프레임(110)의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접이홈(140)은 상기 프레임(110)의 타면에서 포집면을 향해 외력을 가했을 때, 상기 접이홈(1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부(도면을 기준으로, 상부)가 다른 일부(도면을 기준으로, 하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프레임(110)의 포집면 일부분이 같은 면의 다른 일부분을 향해 접근하여 상기 프레임(110)이 접히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적어도 두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이홈(140)은 상기 프레임(110)의 타면에서 포집면을 향해 외력을 가했을 때, 상기 프레임(110)이 반으로 접히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일 지점 및 이에 대응하는 반대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이홈(140)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110)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이홈(14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110)의 포집면을 향해 외력을 가했을 경우, 상기 접이홈(1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부(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접이홈(140)으로부터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가 다른 일부(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접이홈(140)으로부터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포집면 일부분이 상기 프레임(110)의 포집면 다른 일부분을 향해 접근하여 상기 프레임(110)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터유닛(100)은 교체가 요구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기 청정기(10)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거된다.
그런 후, 탈거된 상기 필터유닛(100)을 폐기할 경우, 상기 프레임(110)의 포집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필터부재(120)에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로 노출, 또는 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사용자는 상기 접이홈(140)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110)의 포집면을 향해 외력을 가하여 상기 프레임(100)을 접을 수 있다(도 4 참조).
즉, 사용자가 상기 필터유닛(100)을 접을 경우에는 상기 필터부재(12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집된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음으로써, 이물질의 외부 날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 또는 옷이 더렵혀지거나 외부로 날린 이물질이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사용이 완료된 상기 필터유닛(100)의 폐기 시, 상기 프레임(110)을 반으로 접은 상태로 상기 필터유닛(100)의 폐기가 가능해 짐에 따라, 상기 필터유닛(110)의 전체 크기를 축소하여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의 구성 중에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서술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필터유닛(200)은 프레임(210)에 결합되고, 접이홈(2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프레임(210)의 일부와 다른 일부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닛(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25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252)와 고정돌기(254)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홀더(252)는 상기 접이홈(2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210)의 일부와 다른 일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252)는 상기 접이홈(240)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210)의 타면 하부에서 상기 접이홈(24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210)의 타면으로부터 설정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254)는 상기 접이홈(2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210)의 일부와 다른 일부 중 상기 홀더(252)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홀더(25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돌기(254)는 상기 접이홈(240)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210)의 타면 상부에서 상기 홀더(25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210)의 타면으로부터 설정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252)에는 상기 고정돌기(254)가 삽입되도록 고정홀(25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고정유닛(250)은 상기 고정돌기(254)가 상기 고정홀(252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홀더(25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접이홈(2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와 하부가 평각을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2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이홈(240)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고정유닛(250)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평각을 이루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터유닛(200)은 상기 고정유닛(250)에 의해 평각을 이루면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 청정기(10)에서 펼쳐진 상태로 사용시에 안정적으로 형상이 유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 실시예의 구성 중에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서술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필터유닛(300)은 프레임(310)에 결합되고, 접이홈(3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프레임(310)의 일부와 다른 일부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닛(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350)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52)와 고정돌기(354)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홀더(352)는 상기 접이홈(3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310)의 일부와 다른 일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352)는 상기 접이홈(240)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310)의 타면 상부에서 상기 접이홈(34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310)의 타면으로부터 설정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354)는 상기 접이홈(3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310)의 일부와 다른 일부 중 상기 홀더(352)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홀더(35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돌기(354)는 상기 접이홈(340)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310)의 타면 하부에서 상기 홀더(35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310)의 타면으로부터 설정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352)에는 상기 고정돌기(354)가 삽입되도록 고정홀(35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고정유닛(350)은 상기 고정돌기(354)가 상기 고정홀(352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홀더(35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접이홈(3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310)의 상부와 하부가 평각을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3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이홈(340)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310)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고정유닛(350)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평각을 이루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터유닛(300)은 상기 고정유닛(350)에 의해 평각을 이루면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 청정기(10)에서 펼쳐진 상태로 사용시에 안정적으로 형상이 유지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4 실시예의 구성 중에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서술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필터유닛(400)은 프레임(410)에 결합되고, 접이홈(4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프레임(410)의 일부와 다른 일부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닛(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450)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홀(452)과, 고정돌기(454)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고정홀(452)은 상기 접이홈(4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410)의 일부와 다른 일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홀(452)은 상기 접이홈(440)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410)의 상부에서 상기 손잡이부(4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454)는 상기 접이홈(4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410)의 일부와 다른 일부 중 상기 고정홀(452)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기(454)는 상기 프레임(410)이 상기 접이홈(440)을 기준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홀(45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돌기(354)는 상기 고정홀(452)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410)의 포집면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410)의 포집면으로부터 설정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고정유닛(450)은 상기 접이홈(44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410)의 일부와 다른 일부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반으로 접힌 상태의 상기 프레임(410)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터유닛(400)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유닛(4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를 위해 이동할 때에,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터유닛(100, 200, 300, 400)을 적용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에 탈부착이 간단하여 교체 또는 청소가 요구되는 상기 필터유닛(100, 200, 300, 400)의 분리 시에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필터유닛(100, 200, 300, 400)에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려서 실내가 오염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완료된 상기 필터유닛(100, 200, 300, 400)의 폐기 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필터유닛(100, 200, 300, 400)을 접은 상태로 폐기가 가능함에 따라, 전체 크기를 축소하여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필터유닛(100, 200, 300, 400)을 접을 경우, 상기 필터부재(120, 220, 320, 420)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집된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음으로써, 이물질의 외부 날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 또는 옷이 더렵혀지거나 외부로 날린 이물질이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유닛(100, 200, 300, 400)을 사용할 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폐기할 때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하여, 상황에 따라 상기 필터유닛(100, 200, 300, 400)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2)

  1.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개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외형을 형성하고, 포집면 및 상기 포집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타면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며,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의 상기 타면에는 접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이홈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타면에서 상기 포집면을 향해 외력을 가했을 때,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포집면의 일부가 다른 일부를 향해 접근하여 상기 프레임이 접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두 지점에 각각 형성되는 필터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홈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타면에서 상기 포집면을 향해 외력을 가했을 때, 상기 프레임이 반으로 접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 지점 및 이에 대응하는 반대지점에 각각 형성되는 필터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구획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필터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와 다른 일부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필터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홀더; 및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 중 상기 홀더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필터유닛.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가 평각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필터유닛.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고정하는 필터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홀; 및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부와 상기 다른 일부 중 상기 고정홀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 고정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터유닛; 및
    외부 공기가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공기가 상기 포집면과 상기 타면의 순서로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
PCT/KR2021/008464 2020-07-03 2021-07-02 필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WO20220052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04,137 US20230271125A1 (en) 2020-07-03 2021-07-02 Filter unit and air purifier having same
EP21833335.9A EP4176957A4 (en) 2020-07-03 2021-07-02 FILTER UNIT AND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173 2020-07-03
KR1020200082173A KR20220004390A (ko) 2020-07-03 2020-07-03 필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05261A1 true WO2022005261A1 (ko) 2022-01-06

Family

ID=7931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8464 WO2022005261A1 (ko) 2020-07-03 2021-07-02 필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71125A1 (ko)
EP (1) EP4176957A4 (ko)
KR (1) KR20220004390A (ko)
WO (1) WO2022005261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491A (ko) * 2005-04-27 2006-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80041801A (ko) 2006-11-08 2008-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접이식 에어필터 유닛 및 에어 클리너 장치
KR20100078792A (ko) * 2008-12-30 2010-07-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필터장치
JP2013176749A (ja) * 2012-02-07 2013-09-09 Nippon Muki Co Ltd エアフィルタ
KR20140087352A (ko) * 2012-12-28 2014-07-09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10245542B2 (en) * 2015-12-01 2019-04-02 Joseph Dean Knuckles Foldable filter frame
KR102044030B1 (ko) 2019-02-01 2019-11-12 주식회사 제타글로벌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필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5142A (ja) * 1996-05-30 1997-12-09 Zexel Corp 空調装置のエアフイルタ脱着構造
EP3863750A4 (en) * 2018-10-08 2022-04-27 Second Nature Brands, Inc. FOLDABLE AIR CLEANER ARRANGEMEN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491A (ko) * 2005-04-27 2006-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80041801A (ko) 2006-11-08 2008-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접이식 에어필터 유닛 및 에어 클리너 장치
KR20100078792A (ko) * 2008-12-30 2010-07-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필터장치
JP2013176749A (ja) * 2012-02-07 2013-09-09 Nippon Muki Co Ltd エアフィルタ
KR20140087352A (ko) * 2012-12-28 2014-07-09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10245542B2 (en) * 2015-12-01 2019-04-02 Joseph Dean Knuckles Foldable filter frame
KR102044030B1 (ko) 2019-02-01 2019-11-12 주식회사 제타글로벌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필터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176957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6957A1 (en) 2023-05-10
US20230271125A1 (en) 2023-08-31
KR20220004390A (ko) 2022-01-11
EP4176957A4 (en)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71682A1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WO2016111465A1 (ko) 전기집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송풍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8034419A1 (ko) 공기청정기
WO2021256805A1 (ko) 도어형 열회수 공기청정 환기장치
KR20010024752A (ko) 진공 청소기
WO2021215680A1 (en) Filter devic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WO2020256322A1 (ko) 습식 공기청정기
WO2021095964A1 (ko) 호환 가능한 하부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장치
WO2021015519A1 (ko)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WO2022005261A1 (ko) 필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WO2020171357A1 (ko) 집진 및 탈취력이 개선된 차량용 필터
WO2021137422A1 (ko) 캐빈필터 유닛
WO2017069473A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20180026127A (ko) 창문용 털필터 공기정화기
WO2017222241A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WO2021149935A1 (ko) 매립형 공기청정장치
WO2019194333A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WO2017022989A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KR20180025348A (ko) 클리닝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필터 장치
WO2022071653A1 (ko) 공기 청정기
WO2019164252A1 (ko) 공기 정화용 선풍기 커버
WO2019221334A1 (ko)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WO2021010633A1 (ko) 환기 청정공기 공급장치
KR101765226B1 (ko) 실내 유입공기 정화장치
WO2021091154A1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333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333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