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56687A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56687A1
WO2021256687A1 PCT/KR2021/004969 KR2021004969W WO2021256687A1 WO 2021256687 A1 WO2021256687 A1 WO 2021256687A1 KR 2021004969 W KR2021004969 W KR 2021004969W WO 2021256687 A1 WO2021256687 A1 WO 202125668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ower
cooling
airflow
cooling passa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49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성수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125668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56687A1/ko
Priority to US18/074,11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9535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6Airflow channels, e.g. constructional arrangements facilitating the flow of ai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door display device having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on a screen, such as a television, a computer monitor, and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 a display device is more often installed outdoors or outdoors for the purpose of advertising. Billboards that are placed outside the building and display images belong to this category.
  •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panel and a backlight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 the display panel may be formed of a pair of substrates facing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backlight unit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for incident light to the display panel. The light source of the backlight unit may not only generate light but also radiate heat to deteriorate the display panel.
  • the display device may have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isplay panel.
  • a bet circulation cooling structure utilizing the front convective flow of the display panel may be utilized.
  • the bet circulation direction is only in one direction, resulting in a large temperature deviation.
  • Such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on the front side may cause a problem of lowering the optical reliability of the display device, such as a sheet wrinkle of an optical sheet inside the display modul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of a display modu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a display panel.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a display module by adjusting the directions of bet circulation and external air circulation inside the display devic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and outside air flow inside the display device.
  • a display devic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first ven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 second vent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external air flows; a display panel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to the front; a first flow path formed inside the housing; a first blower in heat exchange with the display panel to form an airflow flow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passage; a second cooling passage intersecting the first cooling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and formed in the housing; a second blower for forming an airflow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oling passage; and a heat exchanger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comprising a first channel in which a portion of the first cooling passage is formed and a second channel in which a portion of the second cooling passage is formed and intersects the first channel It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 the first cooling area, the second cooling area, the third cooling area, and the fourth cooling area are respectively counterclockwise from the upper right area. includes an area,
  •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disposed behind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cooling region, the second cooling region, the third cooling region, and the fourth cooling region. .
  • the first flow path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quadrant.
  • the first blower may form a first airflow flowing in the first cooling passage or a second airflow flow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airflow.
  • the first airflow may be formed as a circulating airflow circulating in the order of an upper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a space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glass, a lower perimeter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irst channel.
  • a plurality of first blowers may be provided and disposed behind the display pane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ower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an upper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or a lower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 the second blower may form a third airflow flow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cooling passage or a fourth airflow flow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airflow.
  • the second cooling passage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quadrant, and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opposite ends of the second cooling passage of the housing, respectively.
  • the first ven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oling region or the fourth cooling region
  • the second ven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oling region or the third cooling region
  • the third airflow may be formed to flow from the first vent to the second vent through the second channel.
  • the second blowe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blower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vent or the second vent.
  • control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cooling region is higher tha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temperature sensors, the first blower to allow the first airflow to flow in the first cooling passage.
  • the blower may be controlled, and the second blower may control the second blower so that the third airflow flows in the second cooling passage.
  • control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cooling region is higher tha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temperature sensors, the first blower to allow the first airflow to flow in the first cooling passage.
  • the blower may be controlled, and the second blower may control the second blower so that the fourth airflow flows in the second cooling passage.
  • control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third cooling region is higher tha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other temperature sensors, the first blower to allow the second airflow to flow in the first cooling passage.
  • the blower may be controlled, and the second blower may control the second blower so that the fourth airflow flows in the second cooling passage.
  • control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fourth cooling region is higher tha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other temperature sensors, the first blower to allow the second airflow to flow in the first cooling passage.
  • the blower may be controlled, and the second blower may control the second blower so that the third airflow flows in the second cooling passage.
  • the heat exchanger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partitioning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so as to cross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with each other,
  • the heat exchange fins have a U-shaped cross-section, and each of the heat exchange fins rotates 90° and is laminated to form the heat exchanger,
  •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guide flange partitioning the first cooling passage and the second cooling passage and supporting the heat exchanger,
  • the guide flange may guide the outdoor air flowing in from the first vent to the second channel, and guide the outdoor air flowing out from the second channel to be discharged to the second vent.
  •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display module can be improved by indirectly exchanging heat between the betting circulation for cooling the display module and the flow of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display device from the outside.
  • the display device divides the display panel into quadrants and converts the betting circulation or outside air flow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d in each area to provide a uniform cooling effect to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module.
  • the display device divides the display panel into quadrants and controls the blower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d in each area to convert the bet circulation or the outside air flow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cover is removed, as viewed from the rear.
  • FIG. 4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cover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s removed, as viewed from the rear.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3 .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fixing plate and the blower of FIGS. 2 and 3 .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exchange fin stacked structure of the heat exchanger of FIG. 2 and an enlarged view of a corner reg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rear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cover is removed in FIG. 11 .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rear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chassis and the guide bracket are removed in FIG. 12 .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t exchanger of FIG. 13 separated.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14 .
  •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1 .
  •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 FIG.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 blower according to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 Content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video file or audio file played on a video player, which is one of applications, a music file played on a music player, a photo file displayed on a photo gallery, a web page file displayed on a web browser, and the like.
  • the content may include received broadcasts.
  • the content may include a video file, an audio file, a text file, an image file, or a web page displayed or executed in the application. Also, the content may include a video file and/or an audio file included in a received broadcast signal.
  • externally received content or stored content may include a broadcast signal, video file, audio file, text file, image file, or web page execut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eg, touch, etc.).
  • video may be used with the same meaning as moving pictures.
  • the content may include an executed application screen and a user interface constituting the application screen. Also, the content may include one content or a plurality of content.
  •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 'front'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defined as a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panel 110 transmits an image, and 'rear', 'upper', 'lower', and 'left/right' are defined based on thi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cover is removed, as viewed from the rear.
  • FIG. 4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cover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s removed, as viewed from the rear.
  •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housing 10 that forms an exterior.
  • the housing 10 may be provided to be installed outdoors.
  • the housing 10 may have an opening 11 .
  • the opening 1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
  • the housing 10 may be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20 .
  • the ventilation holes 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
  • the vent 20 may include a first vent 21 and a second vent 22 .
  • the first vent 21 and the second vent 2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
  • the first vent 21 and the second vent 22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
  • the first vent 21 and the second vent 2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lits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
  • the first vent 21 and the second vent 22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housing 10 and may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 Air (hereinafter, outside air) outside the housing 10 may be introduced o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vent 21 and the second vent 22 .
  • the first vent 21 and the second vent 22 may each function as an inlet or outlet.
  • the functions of the first vents 21 and the second vents 22 as inlets or outlets are not assigned to and fixed to each vent, but may change depending on the flow direction of outside air, a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positions of the first vent 21 and the second vent 22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be formed on the rear cover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first frame 30 .
  • the first frame 30 may have a box shape with open front and rear surfaces.
  • An open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ame 30 may be defined as an opening 11 . That is, the opening 1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ame 30 .
  • the housing 10 may further include a rear cover 40 .
  • the rear cover 4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rame 30 .
  • the rear cover 40 may be coupled to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first frame 30 to form the exterior of the display device 1 together with the first frame 30 .
  • the display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glass 20 disposed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 30 .
  • the protective glass 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30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 30 .
  • the protective glass 20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 13 of the housing 10 .
  • the protective glass 6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protective glass 6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110 of the display module 100 . More specifically, the protective glass 6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110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 the display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odule 100 having a display panel 110 and a backlight unit 120 .
  • the display module 100 may display content.
  •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0 may be externally received content or stored content.
  • the display module 1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
  • the display module 1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to be positioned behind the protective glass 60 .
  • the display module 1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so that heat is concentr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rather than the front surface.
  •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display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heat exchanger 200 .
  • the heat exchanger 20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heat exchanger 20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to receive heat from the display module 100 in a heat conduction method.
  • the heat exchanger 20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so that heat inside the housing 10 may be concentrated toward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10 . That is, the heat exchanger 20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so that heat inside the housing 10 is concentr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to be heat dissipated. In this case, the heat inside the housing 10 may be gener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control unit 300 . Also, the heat inside the housing 10 may be generated by sun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device 1 . Heat inside the housing 10 may be concentrated to the heat exchanger 200 by a heat conduction method.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heat exchanger 20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heat exchanger 20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inside the housing 10, and in particular,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first cooling passage P1 in which an internal circulation is formed and a second cooling passage in which an outside air flow is formed ( P2) may be disposed at the intersection point. In other words, it may be arranged at a point where the flow of the bet circulation and the outside air flow intersect. Such an intersection point may be approximately set to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among the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 100 . However, the point at which the flow of the bet circulation and the outside air flow intersects is not fixed to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and it can be set to various positions where the inside circulation and the outside air flow can effectively exchange heat. .
  • the display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heat transfer member 700 .
  • the heat transfer member 7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heat transfer member 700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heat exchanger 200 to transfer the heat received from the display module 100 to the heat exchanger 200 in a heat conduction method. can be
  • the heat transfer member 700 may remove air existing between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heat exchanger 200 . Specifically, air may prevent heat generated from or passing through the display module 10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heat transfer member 700 is closely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30 and the heat exchanger 200 to remove air present between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heat exchanger 200, and as a result, the display module 100 Heat generated in or passing through the display module 100 may b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heat transfer member 7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ermal pad and a metal member.
  • the heat dissipation pad may include a heat conductive resin layer and a heat conductive metal layer.
  • the heat conductive resin layer may include silicon.
  • the heat-conducting metal layer may include a metal filler such as aluminum.
  • the type of the heat dissipation pa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 the metal member may include aluminum.
  • the type of the metal member is not limited to aluminum.
  • the display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50 .
  • the control unit 3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to drive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memory (not shown) that stores data for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in the display device or a program that reproduces the algorithm, and a processor (not shown) that performs an operation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 can be implemented.
  •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or as a plurality of chips.
  • the control unit 300 may be disposed to be positioned o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with the heat exchanger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H of the display device 1 .
  • the display device 1 is implemented with a slimmer design.
  • the display device 1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uniform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H).
  • the control unit 50 may be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200 . However, it is sufficient if the control unit 300 can be disposed to be positioned o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with the heat exchange devic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H of the display device 1 , and the position is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heat exchanger 200 . not limited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ntrol unit 300 is disposed above the heat exchanger (200).
  • the controller 300 may include a circuit board 310 .
  • the controller 3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electrical device 320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310 .
  • the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320 may include a CPU, an SMPS, an LD, etc. that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perform a function.
  • the circuit board 31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circuit board 310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
  • it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somewhat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 it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through the above-described heat transfer member 700 . That is, the heat transfer member 7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circuit board 310 .
  • a blower 600 may be disposed for internal circulation and external air flow in the housing 10 .
  • the blower 6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oling passage in which the inside circulation and the outside air flow are made.
  • the blower 6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oling flow path where the inside circulation and the outside air flow are made to generate the inside circulation and the outside air flow. Furth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circulation and the outside air flow direction in the blower 600 .
  • the blower 600 may include a first blower 610 and a second blower 620 .
  • the first blower 61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
  • the first blower 61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to generate an internal circulation.
  • the second blower 62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ooling passage P2 .
  • the second blower 62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ooling passage P2 to generate an outside air flow.
  • the blower 600 may include a motor (not shown) and a fan (not shown). A motor (not shown) and a fan (not shown)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first blower 610 or the second blower 620 .
  • the blower 6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first blower devices 610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second blower devices 620 may also be provided.
  • An AC motor (alternating current) or a DC motor (direct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motor (not shown) according to the type of input voltage.
  • a brush less DC (BLDC) motor may be applied.
  • the brush may be omitted in the BLDC motor. Therefore, compared to DC motors with brushes, there is no physical contact in the structure, so the noise is small and durability reduction due to friction can be prevented.
  • an EC motor may be applied further than a DC motor.
  • EC motor is a motor equipped with a device that can send external control signals to BLDC motors.
  • the mo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as a reversible motor (or a reversible motor).
  •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M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inside circulation or the outside air flow.
  • the blower 60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an are open. Therefore, the airflow of the bet circulation or outside air flow may flow through the blower 600 .
  • the blower 600 may be fixed to the blower fixing plate 500 as shown in FIGS. 3 and 5 to 8 .
  • the shape of the blower fixing plate 500 may be identically or similarly applied to the first blower 610 or the second blower 620 , and the arrangement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of the blower fixing plate 500 . Only the location may be applied differently. Alternatively, the shape of the blower fixing plate 500 on which the first blower 610 or the second blower 620 is seated may also be applied differently.
  • the shape of the blower fixing plate 500 is specifically or similarly applied to the first blower 610 or the second blower 620 . to be explained as
  • the blower fixing plate 500 may be formed by bending one plate a plurality of times.
  • the blower fixing plate 500 may include a blower mounting part 530 , a first fixing flange 510 , and a second fixing flange 520 .
  • the blower seating part 530 , the first fixing flange 510 , and the second fixing flange 520 may be formed by bending one plate a plurality of times.
  • the blower mounting part 530 may be formed through a hole shape so that the blower 600 is seated and fixed.
  •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blower mounting unit 530 .
  • Each of the blower devices 600 provided in plurality may be seated in each hole.
  • the blower 600 is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are open with respect to the fan. Airflow of the bet circulation or outside air flow may flow through the blower 600 . As a result, the airflow of the bet circulation or outside air flow may flow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blower fixing plate 500 .
  • the blower mounting part 530 may be disposed in a structu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module 100 , more precisely, the display panel 110 . Since the blower seating part 530 is disposed in an inclin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panel 110 , the blower 600 seated on the blower seating part 530 may also be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panel 110 . .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lower seating part 530 on which the first blower 610 is seate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 position where the heat exchanger 200 is disposed.
  • the width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lower seating part 530 on which the first blower 610 is seated may be provid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 of the first frame 30 .
  • the width of the first fixing flange 510 and the second fixing flange 520 may be provid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frame 30 in the left-right direction (W).
  • the first fixing flange 510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first fixing flange 510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 Alternatively, it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first frame 30 as shown in FIG. 9 .
  • the second fixing flange 520 may be fixed to the rear cover 40 .
  • the width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lower seating part 530 may be provid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 of the first frame 30 .
  • a point 530a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3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lower fixing plate 500 on which the first blower 600 is seated.
  •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blower seat 530 by the blower seat 530 an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facing the front of the blower seat 530 are They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only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Due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otor efficiency of the blower 600 .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lower seating part 530 on which the second blower 620 is seate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vent 20 formed in the first frame 30 .
  • the width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lower seating part 530 on which the second blower 620 is seated may be provid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vertical direction H in which the ventilation hole 20 is formed. O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vertical direction (H) in which the ventilation hole 20 is formed.
  • the blower fixing plate 500 on which the second blower 620 is seated may be supported by the guide flange 31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30 .
  • the blower seating part 530 on which the second blower 620 is seated may be supported by the guide flange 31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30 .
  • the ventilation holes 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30 as described above.
  • the guide flange 31 may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30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vent 20 .
  • a plurality of slits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frame 30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guide flanges 31 .
  • a plurality of slits may form the vent 20 .
  • the ventilation hole 20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frame 30 may be defined as the first ventilation hole 21
  • the ventilation hole 20 formed on the left side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ventilation hole 22 .
  • the guide flange 31 protrudes to correspond to both ends of the vent 20, it may be formed in pairs.
  • a pair of guide flanges 31 may protrude from the left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30 , and a pair may protrude from the right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30 .
  • the pair of guide flanges 31 may support both ends of the blower fixing plate 500 , respectively.
  • a point 530b in contact with the guide flange 31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lower fixing plate 500 on which the second blower 620 is seated.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
  •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exchange fin stacked structure of the heat exchanger of FIG. 2 and an enlarged view of a corner region;
  • first cooling passage P1, the second cooling passage P2, and the first air flow F1 to the fourth air flow F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and FIGS. 7 to 9 .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be defined as a cooling passage in which bet air that passes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exchanges heat with the display module 100 circulates.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be defined as a space sequentially including the following spaces.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include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flange 31 and the blower fixing plate 500 disposed thereon.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include an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blower fixing plate 500 disposed on the upper end and the first plate.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include a separation space 71 positioned above the separation space 70 between the first frame 30 and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include a space 70 between the front surface 110f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protective glass 60 .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include a separation space 71 positioned above the separation space 70 between the first frame 30 and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include an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blower fixing plate 500 disposed at the lower end and the first frame 30 .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include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flange 31 and the blower fixing plate 500 disposed below.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include a first channel 211 of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first channel 211 of the heat exchanger 200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
  • the airflow that circulates inside the housing 10 and flow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described above may be defined as 'internal circulation'.
  • the first airflow F1 during the betting circulation may be defined as follows.
  • the first airflow F1 may be formed by the first blower 610 .
  • the first airflow F1 may start from the first blower 610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1 .
  • the first airflow F1 may pass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71 positioned above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30 and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first airflow F1 may pass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70 between the front surface 110f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protective glass 60 .
  • the first airflow F1 may pass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71 positioned below as a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30 and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first airflow F1 may pass through the first blower 610 disposed under the display device 1 .
  • the first airflow F1 may pas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flange 31 and the blower fixing plate 500 disposed below.
  • the first airflow F1 may pass through the first channel 211 of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first airflow F1 may pas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flange 31 and the blower fixing plate 500 disposed thereon.
  • the first airflow F1 may again pass through the first blower 61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1 to form a circulating airflow that circulates around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second airflow F2 may be defined as a circulating airflow circul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low of the first airflow F1 described above.
  • the second airflow F2 may be formed by rotating the fan of the first blower 610 generating the first airflow F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irflow F1 is generated. A detailed method of controlling the fan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blower 61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cooling flow path P2 may be defined as a cooling flow path through which external air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first cooling flow path P1 in the heat exchanger 200 flows.
  • the second cooling passage P2 may be defined as a space sequentially including the following spaces.
  • the second cooling passage P2 is a side wall of the first frame 30 in which the first ventilation hole 21 is formed, a pair of guide flanges 31 and a blower fixing plate on the right side on which the second blower 620 is seated. It may include an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500 .
  • the second cooling flow path P2 may include an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blower fixing plate 500 on the right side on which the second blower 620 is seated and the right side of the heat exchanger 200 . have.
  • the second cooling passage P2 may include a second channel 212 of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second cooling flow path P2 may include an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blower fixing plate 500 on the left side on which the second blower device 620 is seated and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second cooling passage P2 is a side wall of the first frame 30 having the second ventilation hole 22 formed therein, a pair of guide flanges 31 and a blower fixing plate on the left side on which the second blower 620 is seated. It may include an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500 .
  • the second channel 212 of the heat exchanger 200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second cooling passage P2 .
  • An airflow flowing inside the housing 10 and flowing inside the above-described second cooling passage P2 may be defined as 'external air flow'.
  • the third air flow F3 of the outside air flow may be defined as follows.
  • the third airflow F3 may be formed by the second blower 620 .
  • the third airflow F3 may be started by introducing external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21 by the second blower 620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device 1 .
  • the third airflow F3 may pass through the second blower 620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device 1 .
  • the third airflow F3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right side of the blower fixing plate 500 on which the second blower 620 is seated and the right side of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third airflow F3 may pass through the second channel 212 of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third airflow F3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blower fixing plate 500 on which the second blower 620 is seated and the left side of the heat exchanger 200 . can do.
  • the third airflow F3 may pass through the second blower 620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device 1 .
  • the third airflow F3 may flow out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second vent 22 .
  • the fourth airflow F4 may be defined as an airflow that flows directly opposite to the flow of the third airflow F3 described above.
  • the fourth airflow F4 may be formed by rotating the fan of the second blower 620 generating the third airflow F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airflow F3 is generated. A detailed method of controlling the fan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blower 620 will be described later.
  • Heat exchange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first airflow F1 or the second airflow F2 flow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and the front surface 110f of the display panel 110 . Heat exchange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first airflow F1 and the second airflow F2 flow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and the controller 300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first airflow F1 or the second airflow F2 flow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flow path P1 and the third airflow F3 or the fourth airflow F4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oling flow path P2 are the heat exchanger 200 ) through the heat exchange fins 210 may be exchanged heat.
  • heat exchange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heat transfer member 700 and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heat transfer member 700 may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to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first channel 211 constitutes a portion of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 the second channel 212 constitutes a portion of the second cooling passage P2 as described above. effective heat exchange of the first airflow F1 or second airflow F2 through the first channel 211 and the third airflow F3 or fourth airflow F4 through the second channel 212
  • the first channel 211 and the second channel 212 may cross each other.
  • the heat exchanger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210 defining the first channel 211 and the second channel 212 to cross the first channel 211 and the second channel 212 with each other.
  • Each of the heat exchange fins 210 may be formed to have a U-shaped cross section.
  • Each of the heat exchange fins 210 rotates 90° and is laminated to form the heat exchanger.
  • a channel may be formed between the heat exchange fins 210 .
  • the channel formation direction can also be formed to cross at 90°.
  •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channel may be defined in the same sense as the direction of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channel.
  •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210 may partition the first channel 211 and the second channel 212 to cross the first channel 211 and the second channel 212 with each other.
  • the heat exchanger 200 includes a first airflow F1 or a second airflow F2 passing through the first channel 211 and a third airflow passing through the second channel 212 .
  • An efficient heat exchange effect may be achieved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F3) or the fourth airflow (F4) do not mix with each other.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 12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rear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cover is removed in FIG. 11 .
  • 13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rear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chassis and the guide bracket are removed in FIG. 12 .
  •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t exchanger of FIG. 13 separated.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14 .
  •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1 .
  • a ventilation hole 20 may be formed in the rear cover 40 . That is, unlike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ventilation holes 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30 of the housing 10, the ventilation holes ( 20) can be formed.
  • the heat exchanger 200 ′ may be covered by the second frame 50 .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 through which the bet circulation flows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ame 50 and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first blower 610 forming the internal circulation of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be accommodated in the blower housing 500' as shown in FIG. 12 and disposed therein.
  • the blower housing 500 ′ may form a first cooling passage P1 ′ together with the second frame 50 .
  • the display device 1 ′ may include a blower 600 ′.
  • the blower 600' may include a first blower 610' and a second blower 620'.
  • the second blower 620 ′ for forming an outdoor air flow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first blower 610 ′ forms a first cooling passage P1 ′ through which the bet circulation flows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ame 50 and the heat exchanger 200 ′, and the second blower
  • the device 620' may be fixed to the second blower seat 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eat exchanger 20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n outside air flow.
  • the display device 1 ′ includes a heat exchanger ( After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blower 620' in the center of 200' flow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device 1', respectively, discharge slits 51 formed at both ends of the heat exchanger 200' ') may be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 the outside air may flow so as to be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outside air flow direction.
  • the heat exchanger 200 ′ may be formed as a plate-shaped cylinder including a hollow in the center thereof.
  • the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eat exchanger 200 ′ may function as a second cooling passage P2 ′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 a support rib 240 may be formed in the hollow.
  • the heat exchange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200 ′.
  • the structure of the betting circulation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heat transfer member 700 ′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200 ′ and the display module 100 to effectively cool the display panel 110 of the display module 100 in the betting circulation process.
  • the heat transfer member 700 ′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
  • the difference in the betting circulation structure between the display device 1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 follows.
  • heat exchange between the bet circulation and the outside air flow may be made inside the heat exchanger 200 .
  • heat exchange between the internal circulation and the external air flow may be performed outside the heat exchanger 200 ′.
  • a heat exchanger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210 as shown in FIG. 10 to form a stacked structure.
  • the heat exchanger 200' is formed as a plate-shaped cylinder including a hollow in the center.
  •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 blower according to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 the inner area of the housing 10 may be divided into quadrants ba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
  • it may be defined as a first cooling area A1, a second cooling area A2, a third cooling area A3, and a fourth cooling area A3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area located at the upper right corner, respectively.
  •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quadrant.
  • the second cooling passage P2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quadrant.
  • the first vent 21 and the second vent 22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oling passage P2 of the housing 10 , respectively.
  • a temperature sensor (S) In order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oling area (A1), the second cooling area (A2), the third cooling area (A3), and the fourth cooling area (A4), it is possible to arrange a temperature sensor (S) in each area. have.
  •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S may be provided.
  •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S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 the temperature sensor (S) disposed in the first cooling area (A1) is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S1)
  • the temperature sensor (S) disposed in the second cooling area (A2) is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S2)
  • the third A temperature sensor S disposed in the cooling area A3 may be defined as a third temperature sensor S3
  • a temperature sensor S disposed in the fourth cooling area A4 may be defined as a fourth temperature sensor S4 .
  • each temperature sensor S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oling passage P1 to effective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each region. More specifically, each temperature sensor S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flange 31 and the blower fixing plate 500 .
  • the position at which each temperature sensor (S) is dispos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osition as long as it can be evenly disposed in the first cooling region (A1) to the fourth cooling region (A4), and may be arranged in various positions.
  •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each temperature sensor 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00 .
  •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first blower 600 or the second blower 620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each temperature sensor S.
  •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by the motor of the first blower 600 or the second blower 620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each temperature sensor S, Determines the direction of flow or the direction of the bet circulation.
  • the controller 3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acklight unit 120 of the display module 100 or the display of an image on the display panel 110 .
  • each component of the display apparatus may be controlled by processing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device 400 .
  • the temperature may b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S1 to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S4 .
  •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each temperature sensor 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00 . (310 steps)
  • the controller 300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cooling area A1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appropriate temperature T,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information, the controller 300 is higher tha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temperature sensors (step 311) ), the first blower 610 controls the first blower 610 so that the first airflow F1 flows in the first cooling flow path P1, and the second blower 620 controls the second cooling flow path The second blower 62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third airflow F3 flows in the P2. (316 steps)
  • the next step can be moved.
  • the controller 300 is higher tha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temperature sensors (step 312) )
  • the first blower 610 controls the first blower 610 so that the first airflow F1 flows in the first cooling flow path P1
  • the second blower 620 controls the second cooling flow path
  • the second blower 62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fourth airflow F4 flows in the (P2). (317 steps)
  • the controller 300 When the controller 300 is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informatio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third cooling area A3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appropriate temperature T, and is higher tha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temperature sensors (step 313). ), the first blower 610 controls the first blower 610 so that the second airflow F2 flows in the first cooling flow path P1, and the second blower 620 controls the second cooling flow path The second blower 62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fourth airflow F4 flows in the (P2). (318 steps)
  • the controller 300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fourth cooling area A4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appropriate temperature T,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information, the controller 300 is higher tha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temperature sensors (step 314) ), the first blower 610 controls the first blower 610 so that the second airflow F2 flows in the first cooling flow path P1, and the second blower 620 controls the second cooling flow path The second blower 62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third airflow F3 flows in the P2. (319 steps)
  • a subsequent step is a case in which all of the first cooling region A1 to the fourth cooling region A4 ar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below the appropriate temperature 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driving of the blower 600 is stopped. can d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외기가 유입되는 제1 통기구 및 유입된 외기가 유출되는 제2 통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전방으로 영상을 송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제1유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열 교환되며, 상기 제1 냉각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제1 송풍장치; 상기 제1 냉각유로와 교차하며, 상기 제1 통기구 및 상기 제2 통기구에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냉각유로; 상기 제2 냉각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제2송풍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열 교환기로서, 상기 제1 냉각유로의 일부가 형성되는 제1 채널 및 상기 제2 냉각유로의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채널과 교차하는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열구조를 가지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용 모니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옥외 또는 야외에 광고 등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건물 외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광고판이 이에 속한다.
이와 같이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태양광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온도가 상승하여 열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으로 광을 입사시키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에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광을 입사시키는 광원이 마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은 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열도 함께 방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열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열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구조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대류 유동을 활용한 내기 순환 냉각 구조가 활용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대류 유동을 활용한 내기 순환 냉각 구조는 내기 순환의 방향이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져 온도 편차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면에서의 큰 온도 차이는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의 광학시트의 시트 움(Sheet Wrinkle)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냉각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내기 순환과 외기 순환의 방향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냉각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내기 순환과 외기 유동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기가 유입되는 제1 통기구 및 유입된 외기가 유출되는 제2 통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전방으로 영상을 송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제1유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열 교환되며, 상기 제1 냉각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제1 송풍장치; 상기 제1 냉각유로와 교차하며, 상기 제1 통기구 및 상기 제2 통기구에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냉각유로; 상기 제2 냉각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제2송풍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열 교환기로서, 상기 제1 냉각유로의 일부가 형성되는 제1 채널 및 상기 제2 냉각유로의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채널과 교차하는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기준으로 하우징 내부 영역을 사분면(quadrant)으로 구획하였을 때, 우측 상단에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각각 제1 냉각영역, 제2 냉각영역, 제3 냉각영역, 제 4냉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센서로서, 상기 제1 냉각영역, 상기 제2 냉각영역, 상기 제3 냉각영역, 상기 제4 냉각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사분면의 상하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는 제1 냉각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제1 기류 또는 상기 제1기류와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는 제2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커버 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 상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상기 커버 글래스 사이의 공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 하단, 상기 제1 채널 순으로 순환하는 순환 기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1 송풍장치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 상단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장치는 제2 냉각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제3 기류 또는 상기 제3 기류와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는 제 4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냉각유로는 상기 사분면의 좌우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통기구와 상기 제2 통기구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냉각유로의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기구는 상기 제1 냉각영역 또는 상기 제4 냉각영역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통기구는 상기 제2 냉각영역 또는 상기 제3 냉각영역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3기류는 상기 제1 통기구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통기구로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장치는 복수로 마련되며, 복수의 제2 송풍장치 각각은 상기 제1 통기구 또는 상기 제2 통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영역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송풍장치가 상기 제1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1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송풍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상기 제2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3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 송풍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냉각영역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송풍장치가 상기 제1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1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송풍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상기 제2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4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 송풍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냉각영역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송풍장치가 상기 제1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2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송풍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상기 제2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4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 송풍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냉각영역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송풍장치가 상기 제1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2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송풍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상기 제2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3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 송풍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을 서로 교차하도록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을 구획하는 복수의 열 교환핀을 포함하며,
상기 열 교환핀은, ㄷ자 형태의 단면을 지니며, 상기 열 교환핀 각각은 90 회전하며 적층 결합되어 상기 열 교환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냉각유로와 상기 제2 냉각유로를 구획하며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가이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랜지는 상기 제1 통기구에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제2 채널로 가이드하며, 상기 제2 채널로부터 유출된 외기가 상기 제2 통기구로 토출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냉각시키는 내기 순환과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 유동이 교차하며 간접적으로 열 교환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냉각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분면으로 구획하여 각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내기 순환 또는 외기 유동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 영역에 균일한 냉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분면으로 구획하여 각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송풍장치를 제어하여 내기 순환 또는 외기 유동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 및 송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도 5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4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2의 열 교환기의 열 교환핀 적층 구조 사시도 및 모서리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1에서 리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에서 리어 섀시 및 가이드 브라켓을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열 교환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표시된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1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온도에 따라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콘텐츠(content)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비디오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 뮤직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뮤직 파일, 포토 갤러리에서 표시되는 포토 파일, 웹 브라우저에서 표시되는 웹 페이지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수신되는 방송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 또는 실행되는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또는 웹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파일 및/또는 오디오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부에서 수신되는 콘텐츠 또는 저장된 콘텐츠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등)에 응답하여 실행되는 방송 신호,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또는 웹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라는 용어는 동영상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콘텐츠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구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하나의 콘텐츠 또는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영상을 송출하는 방향으로 정의하며, 이를 기준으로 '후방', '상부', '하부', '좌/우'를 정의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 및 송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실외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개구(11)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11)는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통기구(20)가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20)는 하우징(1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20)는 제1 통기구(21) 및 제2 통기구(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통기구(21)와 제2 통기구(22) 하우징(1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기구(21)와 제2 통기구(22)는 하우징(10)의 양 측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기구(21)와 제2 통기구(22)는 하우징(10)의 측면에 복수의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기구(21)와 제2 통기구(22)는 하우징(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하우징(10)의 외부와 하우징(10)의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제1 통기구(21)와 제2 통기구(22)를 통하여 하우징(10) 외부의 공기(이하, 외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다.
제1 통기구(21)와 제2 통기구(22)는 각각 유입구 또는 유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통기구(21)와 제2 통기구(22)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로서의 기능은 각각의 통기구에 할당되어 고정된 것이 아니며, 후술하는 것과 같이 외기 유동 방향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다만, 제1 통기구(21)와 제2 통기구(22)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리어 커버(4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하우징(10)은 제1 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0)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30)의 개방된 전면은 개구(11)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개구(11)는 제1 프레임(3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리어 커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커버(40)는 제1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커버(40)는 제1 프레임(30)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제1 프레임(30)의 개방된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을 보호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글라스(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글라스(20)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을 보호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글라스(20)는 하우징(10)의 개구(13)에 결합될 수 있다.
보호 글라스(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글라스(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 글라스(60)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외부에서 수신되는 콘텐츠 또는 저장된 콘텐츠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보호 글라스(6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보다 후면에 열이 집중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열 교환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 교환기(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기(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열전도(heat conduction) 방식으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열 교환기(200)는 하우징(10)의 내부의 열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열 교환기(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하우징(10)의 내부의 열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서 집중되어 방열(heat dissipation)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의 내부의 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제어부(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의 열은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입사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한 것일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의 열은 열전도 방식에 의해 열 교환기(200)로 집중될 수 있다. 열 교환기(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열 교환기(200)는 하우징(10)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며 특히 후술하는 것과 같이 내기 순환이 형성되는 제1 냉각유로(P1) 및 외기 유동이 형성되는 제2 냉각유로(P2)가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내기 순환 및 외기 유동의 흐름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교차 지점은 대략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에서도 후면의 중심부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내기 순환 및 외기 유동의 흐름이 교차하는 지점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에서도 후면의 중심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기 순환 및 외기 유동이 효과적으로 열 교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열 전달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달부재(7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열 교환기(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 전달부재(7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열전도(heat conduction) 방식으로 열 교환기(200)로 전달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열 교환기(200) 사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열 전달부재(7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열 교환기(20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통과한 열이 열 교환기(200)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열 전달부재(700)는 디스플레이 모듈(30) 및 열 교환기(200) 사이에 밀착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열 교환기(20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하고,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통과한 열이 열 교환기(200)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열 전달부재(700)는 방열패드(thermal pad) 및 금속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방열패드는 열전도 수지층 및 열전도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열전도 수지층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 금속층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필러(fi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방열패드의 종류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금속부재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금속부재의 종류는 알루미늄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구동시키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하방향(H)으로 열 교환기(200)와 대략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300)와 열 교환기(200)를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하방향(H)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보다 슬림(slim)한 디자인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하방향(H)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열 교환기(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하방향(H)으로 열 교환 장치(100)와 대략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면 충분하고, 그 위치가 열 교환기(200)의 하부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어부(300)가 열 교환기(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0)는 회로기판(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회로기판(310)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장품(320)은 상호 정보를 주고 받으며 기능을 수행하는 CPU, SMPS, L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3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3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과 다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열 전달부재(7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열 전달부재(7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회로기판(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10) 내부의 내기 순환 및 외기 유동을 위하여 송풍장치(600)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600)는 내기 순환 및 외기 유동이 이루어지는 냉각유로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600)는 내기 순환 및 외기 유동이 이루어지는 냉각유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내기 순환 및 외기 유동을 발생 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송풍장치(600) 내기 순환의 방향 및 외기 유동 방향을 결정 할 수 있다.
송풍장치(600)는 제1 송풍장치(610) 및 제2 송풍장치(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풍장치(610)는 제1 냉각유로(P1)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풍장치(610)는 제1 냉각유로(P1)상에 배치되어 내기 순환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제2 송풍장치(620)는 제2 냉각유로(P2)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송풍장치(620)는 제2 냉각유로(P2)상에 배치되어 외기 유동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송풍장치(600)는 모터(미도시) 및 팬(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미도시) 및 팬(미도시)은 제1 송풍장치(610) 또는 제2 송풍장치(6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송풍장치(6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1 송풍장치(61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송풍장치(620) 역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모터(미도시)는 입력전압의 종류에 따라 AC모터(교류), DC모터(직류)가 적용될 수 있다. 송풍장치(600)의 모터로 DC모터가 적용될 경우, BLDC(Brush less DC)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모터의 내부회로와 외부회로를 연결하는 브러시(Brush)가 포함되는 일반 DC모터와는 달리 BLDC 모터는 브러시(Brush)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가 있는 DC모터에 비하여 구조상 물리적으로 접점이 없기에 소음이 작고 마찰에 따른 내구성저감을 방지할 수 있다.
모터(미도시)는 DC모터에서 더 나아가 EC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EC모터는 BLDC모터에 외부에서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는 장치를 탑재한 모터이다. 또한 모터(미도시)는 가역 모터(또는 리버시블 모터, reversible motor)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온도센서(S)에서 측정된 온도 측정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300)에서 모터(M)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내기 순환 또는 외기 유동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송풍장치(600)는 팬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내기 순환 또는 외기 유동의 기류가 송풍장치(600)를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다.
송풍장치(600)는 도 3 및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에 고정될 수 있다.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의 형상은 제1 송풍장치(610) 또는 제2 송풍장치(620)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 될 수 있으며,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의 하우징(10) 내부의 배치 위치만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제1 송풍장치(610) 또는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되는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의 형상도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을 기준으로,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의 형상이 제1 송풍장치(610) 또는 제2 송풍장치(620)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는 하나의 플레이트가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는 송풍장치 안착부(530), 제1 고정 플랜지(510) 및 제2 고정 플랜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 안착부(530), 제1 고정 플랜지(510) 및 제2 고정 플랜지(520)는 하나의 플레이트가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송풍장치 안착부(530)는 송풍장치(60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홀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송풍장치 안착부(530)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홀에는 복수로 마련된 송풍장치(600) 각각이 안착될 수 있다. 송풍장치(600)는 팬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마련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내기 순환 또는 외기 유동의 기류가 송풍장치(600)를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내기 순환 또는 외기 유동의 기류가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의 복수의 홀을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송풍장치 안착부(5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더 정확히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하여 경사진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 안착부(530)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하여 경사진 구조로 배치되므로, 송풍장치 안착부(530)에 안착되는 송풍장치(600)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풍장치(610)가 안착되는 송풍장치 안착부(530)의 경사면은, 열 교환기(200)가 배치된 위치를 향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송풍장치(610)가 안착되는 송풍장치 안착부(530)의 경사면의 폭은 제1 프레임(30)의 좌우방향(W)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 플랜지(510) 및 제2 고정 플랜지(520)의 폭은 제1 프레임(30)의 좌우방향(W)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 플랜지(5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 플랜지(5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프레임(3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제2 고정 플랜지(520)는 리어 커버(40)에 고정될 수 있다.
송풍장치 안착부(530)의 경사면의 폭은 제1 프레임(30)의 좌우방향(W)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송풍장치(600)가 안착되는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의 양단은 제1 프레임(30)의 내측면과 접하는 지점(53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장치 안착부(530)에 의하여 송풍장치 안착부(530)의 배면과 마주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과 송풍장치 안착부(530)의 전면과 마주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은 서로 구획되며, 복수의 홀을 통하여만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송풍장치(600)의 모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되는 송풍장치 안착부(530)의 경사면은, 제1 프레임(30)에 형성된 통기구(20)를 향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되는 송풍장치 안착부(530)의 경사면의 폭은 통기구(20)가 형성된 상하방향(H)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통기구(20)가 형성된 상하방향(H)의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되는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는 제1 프레임(3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플랜지(3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되는 송풍장치 안착부(530)는 제1 프레임(3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플랜지(3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통기구(20)는 제1 프레임(3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것과 같다. 가이드 플랜지(31)는 통기구(20)의 양단에 대응되는 제1 프레임(30)의 내측면으로부터 하우징(10) 내부를 향하여 돌출 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자면 한 쌍의 가이드 플랜지(31)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30)의 일부 영역에 복수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이 통기구(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30)의 우측에 형성된 통기구(20)를 제1 통기구(21), 좌측에 형성된 통기구(20)를 제2 통기구(22)로 정의할 수 있다.
가이드 플랜지(31)는 통기구(20)의 양단에 대응되도록 돌출되므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플랜지(31)는 제1 프레임(30)의 내측면 중 좌측의 내측면으로부터 한 쌍이 돌출되며, 우측의 내측면으로부터 한 쌍이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플랜지(31)는 각각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되는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의 양단은 가이드 플랜지(31)와 접하는 지점(530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도 5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4 표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2의 열 교환기의 열 교환핀 적층 구조 사시도 및 모서리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4 도 7 내지 도 9에 의하여 제1 냉각유로(P1) 및 제2 냉각유로(P2)와 제1 기류(F1) 내지 제4 기류(F4)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냉각유로(P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지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열 교환하는 내기가 순환하는 냉각유로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냉각유로(P1)는 다음의 공간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공간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제1 냉각유로(P1)는 가이드 플랜지(31)와 상부에 배치된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유로(P1)는 상단에 배치된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와 제1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유로(P1)는 제1 프레임(30)과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의 이격 공간(70)으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이격 공간(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유로(P1)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110f)과 상기 보호 글라스(60) 사이의 이격 공간(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유로(P1)는 제1 프레임(30)과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의 이격 공간(70)으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이격 공간(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유로(P1)는 하단에 배치된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와 제1 프레임(30)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유로(P1)는 가이드 플랜지(31)와 하부에 배치된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유로(P1)는 열 교환기(200)의 제1 채널(2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열 교환기(200)의 제1 채널(211)은 제1 냉각유로(P1)의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를 순환하며 상술한 제1 냉각유로(P1)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내기 순환'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내기 순환 중 제1 기류(F1)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기류(F1) 제1 송풍장치(61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류(F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송풍장치(610)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기류(F1)는 제1 프레임(30)과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이격 공간(71)을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기류(F1)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110f)과 상기 보호 글라스(60) 사이의 이격 공간(70)을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기류(F1)는 제1 프레임(30)과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서 하부에 위치하는 이격 공간(71)을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기류(F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송풍장치(610)를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기류(F1)는 가이드 플랜지(31)와 하부에 배치된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기류(F1)는 열 교환기(200)의 제1 채널(211)을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기류(F1)는 가이드 플랜지(31)와 상부에 배치된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기류(F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송풍장치(610)를 다시 통과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둘레를 순환하는 순환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류(F2)는 상술한 제1 기류(F1)의 흐름과 정반대로 순환하는 순환 기류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기류(F2)는 제1 기류(F1)를 발생시키는 제1 송풍장치(610)의 팬이 제1 기류(F1)를 발생시키는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송풍장치(610)의 팬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냉각유로(P2)는 열 교환기(200)에서 제1 냉각유로(P1)와 열 교환하는 외기가 유동하는 냉각유로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냉각유로(P2)는 다음의 공간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냉각유로(P2)는 제1 통기구(21)가 형성된 제1 프레임(30)의 측벽, 한 쌍의 가이드 플랜지(31) 및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된 우측의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유로(P2)는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된 우측의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와 열 교환기(200)의 우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유로(P2)는 열 교환기(200)의 제2 채널(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유로(P2)는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된 좌측의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와 열 교환기(200)의 좌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유로(P2)는 제2 통기구(22)가 형성된 제1 프레임(30)의 측벽, 한 쌍의 가이드 플랜지(31) 및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된 좌측의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열 교환기(200)의 제2 채널(212)은 제2 냉각유로(P2)의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를 유동하며 상술한 제2 냉각유로(P2)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외기 유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외기 유동 중 제3 기류(F3)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기류(F3) 제2 송풍장치(62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기류(F3)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우측에 배치된 제2 송풍장치(62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제1 통기구(21)를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어 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기류(F3)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우측에 배치된 제2 송풍장치(620)를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기류(F3)는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된 우측의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와 열 교환기(200)의 우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기류(F3)는 열 교환기(200)의 제2 채널(212)을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기류(F3)는 제2 송풍장치(620)가 안착된 좌측의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와 열 교환기(200)의 좌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기류(F3)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측에 배치된 제2 송풍장치(620)를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기류(F3)는 제2 통기구(22)를 통하여 하우징(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제4 기류(F4)는 상술한 제3 기류(F3)의 흐름과 정반대로 유동하는 기류로 정의될 수 있다. 제4 기류(F4)는 제3 기류(F3)를 발생시키는 제2 송풍장치(620)의 팬이 제3 기류(F3)를 발생시키는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 송풍장치(620)의 팬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제1 냉각유로(P1) 및 제2 냉각유로(P2)와 제1 기류(F1) 내지 제4 기류에 의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지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냉각유로(P1)를 흐르는 제1 기류(F1) 또는 제2 기류(F2)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110f)에서 열 교환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 냉각유로(P1)를 흐르는 제1 기류(F1) 및 제2 기류(F2)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에 위치한 제어부(300)와 열 교환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 냉각유로(P1)를 흐르는 제1 기류(F1) 또는 제2 기류(F2)와 제2 냉각유로(P2)를 흐르는 제3 기류(F3)또는 제4 기류(F4)는 열 교환기(200)에서 열 교환핀(210)을 통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열전달 부재(700) 및 열 교환기(200) 사이에서 열 교환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열 전달부재(7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열 교환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채널(211)은 제1 냉각유로(P1)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제2 채널(212)은 제2 냉각유로(P2)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은 상술한 것과 같다. 제1 채널(211)을 통과하는 제1 기류(F1) 또는 제2 기류(F2)와 제2 채널(212)을 통과하는 제3 기류(F3) 또는 제4 기류(F4)의 효과적인 열 교환을 위하여 제1 채널(211)과 제2 채널(212)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채널(211)과 제2 채널(212)의 구체적인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 교환기(200)는 제1 채널(211)과 제2 채널(212)을 서로 교차하도록 제1 채널(211)과 제2 채널(212)을 구획하는 복수의 열 교환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열 교환핀(210) 각각은 ㄷ자 형태의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 교환핀(210) 각각은 90 회전하며 적층 결합되어 상기 열 교환기를 형성할 수 있다.
ㄷ자 형태의 단면을 지니는 열 교환핀(210)이 적층되므로 열 교환핀(210) 사이에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 교환핀 각각은 90 회전하며 적층 결합되므로 채널의 형성 방향 역시 90 로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채널의 형성 방향은 채널을 통과하는 기류의 방향과 같은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열 교환핀(210)은 제1 채널(211)과 제2 채널(212)을 서로 교차하도록 제1 채널(211)과 제2 채널(212)을 구획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 교환기(200)는, 제1 채널(211)을 통과하는 제1 기류(F1) 또는 제2 기류(F2)와 제2 채널(212)을 통과하는 제3 기류(F3) 또는 제4 기류(F4)가 서로 섞이지 않는 구조를 통하여 효율적인 열 교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1에서 리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에서 리어 섀시 및 가이드 브라켓을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열 교환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표시된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1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중 설명이 중복되는 구성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존재하는 구성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리어 커버(40)에 통기구(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하우징(10)의 제1 프레임(30) 양 측면에 통기구(20)가 형성되는 것과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을 향하여 통기구(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열 교환기(200')가 제2 프레임(50)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제2 프레임(50)의 전면과 열 교환기(200)사이에 내기 순환이 유동하는 제1 냉각유로(P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유로(P1')의 내기 순환을 형성하는 제1 송풍장치(610)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풍장치 하우징(500')의 내부에 수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 하우징(500')은 제2 프레임(50)과 함께 제1 냉각유로(P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송풍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600')는 제1 송풍장치(610')과 제2 송풍장치(6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 유동을 형성하는 제2 송풍장치(6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송풍장치(610’)는 제2 프레임(50)의 전면과 열 교환기(200')사이에 내기 순환이 유동하는 제1 냉각유로(P1')를 형성하며, 제2 송풍장치(620')는 후술하는 열 교환기(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송풍장치 안착부(Y)에 고정되어 외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형성되는 외기 유동과는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열 교환기(200')의 중앙의 제2 송풍장치(620')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유동된 후, 열 교환기(200')의 양단에 형성된 토출 슬릿(5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는 제2 송풍장치(620')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여 상술한 외기 유동 방향과 반대되도록 외기를 유동 시킬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복수의 열 교환핀이 적층되어 제1 채널(211) 및 제2 채널(212)을 형성하는 것과 달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열 교환기(200')가 중심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판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열 교환기(2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은 외기가 유동하는 제2 냉각유로(P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열 교환기(20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공에는 지지 리브(2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 교환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열 교환 돌기(230)가 열 교환기(20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기 순환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내기 순환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열 교환기(200')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사이에는 열 전달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열 전달 부재(7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와의 내기 순환 구조에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기 순환 구조는 내기 순환과 외기 유동간의 열 교환이 열 교환기(200)의 내부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기 순환 구조는 내기 순환과 외기 유동간의 열 교환이 열 교환기(200')의 외부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열 교환기(200)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교환 핀(210)이 복수로 마련되어 적층구조를 이룬다. 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열 교환기(200')가 중심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판형 실린더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적 차이에 의하여,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 교환기(200')의 배면을 통과하며 내기 순환과 외기 유동이 열 교환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온도에 따라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 영역을 균일하게 냉각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열화현상에 의한 시트 움(Sheet Wrinkle)을 방지하기 위해, 내기 순환의 방향 및 외기 유동의 방향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 송풍장치(610) 또는 제2 송풍장치(620)의 팬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10)의 내부 영역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을 기준으로 사분면(quadrant)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우측 상단에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각각 제1 냉각영역(A1), 제2 냉각영역(A2), 제3 냉각영역(A3), 제4 냉각영역(A3)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냉각유로(P1)는 사분면의 상하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냉각유로(P2)는 사분면의 좌우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기구(21)와 제2 통기구(22)는 각각 하우징(10)의 제2 냉각유로(P2)의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냉각영역(A1), 제2 냉각영역(A2), 제3 냉각영역(A3), 제 4 냉각영역(A4)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영역에 온도센서(S)를 배치할 수 있다. 온도센서(S)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로 마련된 온도센서(S)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각영역(A1)에 배치된 온도센서(S)를 제1 온도센서(S1), 제2 냉각영역(A2)에 배치된 온도센서(S)를 제2 온도센서(S2), 제3 냉각영역(A3)에 배치된 온도센서(S)를 제3 온도센서(S3), 제4 냉각영역(A4)에 배치된 온도센서(S)를 제4 온도센서(S4)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온도센서(S)는 각 영역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제1 냉각유로(P1)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온도센서(S)는 가이드 플랜지(31)와 송풍장치 고정 플레이트(500)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온도센서(S)가 배치되는 위치는 제1 냉각영역(A1) 내지 제4 냉각영역(A4)에 고루 배치될 수 있다면 상술한 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각각의 온도센서(S)에서 측정된 온도 측정 정보는 제어부(3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각각의 온도센서(S)에서 측정된 온도 측정 정보를 기초로 제 1송풍장치(600) 또는 제2 송풍장치(6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각각의 온도센서(S)에서 측정된 온도 측정 정보를 기초로 제 1송풍장치(600) 또는 제2 송풍장치(620)의 모터에 의한 팬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외기 유동의 방향 또는 내기 순환의 방향을 결정한다. 그 밖에도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백라이트 유닛(120)의 작동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영상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 장치(400)를 통하여 전달한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제1 송풍장치(610) 또는 제2 송풍장치(620)의 팬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온도센서(S1) 내지 제4 온도센서(S4)에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각의 온도센서(S)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는 제어부(300)로 전달될 수 있다. (310 단계)
제어부(300)는 측정된 온도 정보에 기초할 때, 제1 냉각영역(A1)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적정온도(T) 이상이고,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311 단계), 제1 송풍장치(610)가 제1 냉각유로(P1) 내에 제1 기류(F1)가 유동하도록 제1 송풍장치(610)를 제어하고, 제2 송풍장치(620)가 제2 냉각유로(P2) 내에 제3 기류(F3)가 유동하도록 제2 송풍장치(620)를 제어할 수 있다. (316 단계)
상기 단계의 제어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다음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제어부(300)는 측정된 온도 정보에 기초할 때, 제2 냉각영역(A2)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적정온도(T) 이상이고,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312 단계), 제1 송풍장치(610)가 제1 냉각유로(P1) 내에 제1 기류(F1)가 유동하도록 제1 송풍장치(610)를 제어하고, 제2 송풍장치(620)가 제2 냉각유로(P2) 내에 제4 기류(F4)가 유동하도록 제2 송풍장치(620)를 제어할 수 있다. (317 단계)
상기 단계의 제어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다음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제어부(300)는 측정된 온도 정보에 기초할 때, 제3 냉각영역(A3)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적정온도(T) 이상이고,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313 단계), 제1 송풍장치(610)가 제1 냉각유로(P1) 내에 제2 기류(F2)가 유동하도록 제1 송풍장치(610)를 제어하고, 제2 송풍장치(620)가 제2 냉각유로(P2) 내에 제4 기류(F4)가 유동하도록 제2 송풍장치(620)를 제어할 수 있다. (318 단계)
상기 단계의 제어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다음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제어부(300)는 측정된 온도 정보에 기초할 때, 제4 냉각영역(A4)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적정온도(T) 이상이고,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314 단계), 제1 송풍장치(610)가 제1 냉각유로(P1) 내에 제2 기류(F2)가 유동하도록 제1 송풍장치(610)를 제어하고, 제2 송풍장치(620)가 제2 냉각유로(P2) 내에 제3 기류(F3)가 유동하도록 제2 송풍장치(620)를 제어할 수 있다. (319 단계)
상기 단계의 제어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다음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이후의 단계는 제1 냉각영역(A1) 내지 제4 냉각영역(A4)이 모두 적정온도(T) 이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로써, 송풍장치(60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외기가 유입되는 제1 통기구 및 유입된 외기가 유출되는 제2 통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전방으로 영상을 송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제1유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열 교환되며, 상기 제1 냉각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제1 송풍장치;
    상기 제1 냉각유로와 교차하며, 상기 제1 통기구 및 상기 제2 통기구에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냉각유로;
    상기 제2 냉각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제2송풍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열 교환기로서, 상기 제1 냉각유로의 일부가 형성되는 제1 채널 및 상기 제2 냉각유로의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채널과 교차하는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기준으로 하우징 내부 영역을 사분면(quadrant)으로 구획하였을 때, 우측 상단에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각각 제1 냉각영역, 제2 냉각영역, 제3 냉각영역, 제 4냉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센서로서, 상기 제1 냉각영역, 상기 제2 냉각영역, 상기 제3 냉각영역, 상기 제4 냉각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사분면의 상하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장치는 제1 냉각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제1 기류 또는 상기 제1기류와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는 제2기류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커버 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 상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상기 커버 글래스 사이의 공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 하단, 상기 제1 채널 순으로 순환하는 순환 기류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장치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1 송풍장치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 상단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풍장치는 제2 냉각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제3 기류 또는 상기 제3 기류와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는 제 4기류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유로는 상기 사분면의 좌우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통기구와 상기 제2 통기구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냉각유로의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구는 상기 제1 냉각영역 또는 상기 제4 냉각영역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통기구는 상기 제2 냉각영역 또는 상기 제3 냉각영역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3기류는 상기 제1 통기구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통기구로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풍장치는 복수로 마련되며, 복수의 제2 송풍장치 각각은 상기 제1 통기구 또는 상기 제2 통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영역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송풍장치가 상기 제1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1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송풍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상기 제2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3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냉각영역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송풍장치가 상기 제1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1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송풍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상기 제2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4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냉각영역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송풍장치가 상기 제1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2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송풍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상기 제2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4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냉각영역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나머지 온도센서들의 측정온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송풍장치가 상기 제1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2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 송풍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송풍장치가 상기 제2 냉각유로 내에 상기 제3 기류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을 서로 교차하도록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을 구획하는 복수의 열 교환핀을 포함하며,
    상기 열 교환핀은,
    ㄷ자 형태의 단면을 지니며, 상기 열 교환핀 각각은 90 회전하며 적층 결합되어 상기 열 교환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냉각유로와 상기 제2 냉각유로를 구획하며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가이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랜지는 상기 제1 통기구에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제2 채널로 가이드하며, 상기 제2 채널로부터 유출된 외기가 상기 제2 통기구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1/004969 2020-06-18 2021-04-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25668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74,118 US20230095355A1 (en) 2020-06-18 2022-12-02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079A KR20210156459A (ko) 2020-06-18 2020-06-1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0074079 2020-06-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074,118 Continuation US20230095355A1 (en) 2020-06-18 2022-12-02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6687A1 true WO2021256687A1 (ko) 2021-12-23

Family

ID=7917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4969 WO2021256687A1 (ko) 2020-06-18 2021-04-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95355A1 (ko)
KR (1) KR20210156459A (ko)
WO (1) WO2021256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156A1 (ko) * 2022-03-14 2023-09-21 오디하이텍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86557B1 (ko) * 2022-03-14 2023-01-09 오디하이텍(주) 공기순환 터치스크린 장치
KR20240028141A (ko) * 2022-08-24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299A (ko) * 2005-11-04 2007-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 장치
JP2016161652A (ja) * 2015-02-27 2016-09-0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KR20180046519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옥외용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쿨링 시스템
KR20180063689A (ko) * 2016-12-02 201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장치
KR102120763B1 (ko) * 2013-05-09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299A (ko) * 2005-11-04 2007-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 장치
KR102120763B1 (ko) * 2013-05-09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JP2016161652A (ja) * 2015-02-27 2016-09-0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KR20180046519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옥외용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쿨링 시스템
KR20180063689A (ko) * 2016-12-02 201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95355A1 (en) 2023-03-30
KR20210156459A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56687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164400A1 (en) Display device
WO201901342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199452A1 (en) Display device
WO2018124599A1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WO2015020376A1 (en) Display apparatus
WO2018169226A1 (en) Display device
WO2018101624A1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WO2016041145A1 (zh) 散热装置及采用该散热装置的uav
WO2010140751A1 (ko) 프로젝터
WO201012620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38440A1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141201A1 (en) Display apparatus
WO2017090845A1 (en) Speaker modu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peaker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electronic device
WO2011037370A2 (en) Heat-dissipating apparatus and illuminator using the same
WO202003255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06525A1 (en) Display apparatus
WO2019124682A1 (ko) 디스플레이장치
WO2021225285A1 (ko) 디스플레이장치
WO2022149624A1 (ko)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114647A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66845A1 (ko) 초음파 진단장치
WO2022220316A1 (ko) 냉각 효율을 높인 고휘도용 양면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30395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13649A1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251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251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