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45567A1 -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45567A1
WO2021145567A1 PCT/KR2020/018153 KR2020018153W WO2021145567A1 WO 2021145567 A1 WO2021145567 A1 WO 2021145567A1 KR 2020018153 W KR2020018153 W KR 2020018153W WO 2021145567 A1 WO2021145567 A1 WO 20211455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ube
sputum
tracheostomy tube
blocking cap
tracheosto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1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철민
Original Assignee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예수병원유지재단 filed Critical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ublication of WO20211455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455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5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 A61M16/0468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with valves at the proximal end limiting exhalation, e.g. during speaking or coug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utum splash prevention device for a tracheostomy tube,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prevent a patient wearing a tracheostomy tube from splashing sputum through the open part of the tracheostomy tube to the outside due to coughing, etc. It relates to a sputum splash prevention device for a tracheostomy tube.
  • tracheotomy refers to a procedure that makes a hole in the trachea by incision in the front of the neck and inserts a tracheostomy tube there so that air can be breathed in.
  • the above-mentioned tracheotomy was originally intended to be performed when breathing difficulties occur due to stenosis or obstruction of the upper airways, especially the pharynx and larynx. In any case, it is being treated.
  • the airway is maintained by inserting the tracheostomy tube into the incised portion.
  • a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prevent sputum from splashing out through the open part of the tracheostomy tube due to coughing, etc. by a patient wearing a tracheostomy tube. It is to provide an anti-sputum device for tracheostomy tube.
  • Another specific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be more tightly fixed when the blocking cap is fixed to prevent sputum splashing.
  • Another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collection of sputum flowing down between the end of the tracheostomy tube and the sputum splash prevention device.
  • a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specific technical solutions is a sputum splash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sputum from being ejected from the open end of a tracheostomy tube worn by a patient due to coughing, etc.
  • the sputum splash prevention device is a pair of support bridges (bridg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neck plate of the tube; a cover plat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tube in front of the pair of support bridges; a guide tube which is penetrated back and forth in the center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ube of the cover plate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and a blocking cap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guide tube.
  • bridge support bridge
  • the guide tube and the blocking cap further include being detachably provided by an interference fit or detachably provided by a screw coupling method by projections and groov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the blocking cap When the blocking cap is screwed to the guide tube by the screw coupling method, the blocking cap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connecting member.
  • the pair of support bridges further include being detachably provided by a detachable protrusion and a detachable groove from the neck plate.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patient wearing a tracheostomy tube to prevent sputum from splashing out through the open part of the tracheostomy tube due to coughing, etc., thereby keep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lean due to the prevention of sputum splashing. In addition to the effect, i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phlegm from splashing, especially to those facing the patient, so that they do not have aversion.
  • the blocking cap for preventing sputum can be fixed more tightly when fixing the blocking cap,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locking cap from being separated even when the patient coughs heavi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according to Figure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according to FIG. 1 .
  • a conventional tracheostomy tube is used when breathing difficulties occur due to stenosis or obstruction of the upper airway, especially the pharynx and larynx, or when secretions in the bronchus do not leak out or when long-term artificial respiration is required. It is a kind of tool that is operated for.
  • the conventional tracheostomy tube 100 is a tube 110 inserted into the patient's trachea, the tube 110 is coupled to the center by a conventional method, and the tube inserted into the patient's trachea at both ends rotates. It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 neck plate 120 to which a string wrapped around the patient's neck is connected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place without being removed.
  • the end of the tracheostomy tube is always open,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invention, the sputum is thrown out due to the patient's cough, etc.
  •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lso has a problem of providing an unsanitary environm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utum splash prevention device for a tracheostomy tube, which prevents sputum from splashing out through an open part of the tracheostomy tube due to coughing, etc. by a patient wearing a tracheostomy tube.
  • the anti-sputum device 1 for a tracheostomy tube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pair of support bridges 10 , a cover plate 20 , a guide tube 30 and a blocking cap 40 .
  • a pair of support bridges 10 have a technical configuration provided on both side neck plates 120 of the tube 110, and have a height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tube 1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earer's breathing. It is preferable to form This is a basic technical configuration for installing the anti-sputum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neck plate (120) of the tracheostomy tube (100).
  • the pair of support bridges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a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s shown, and may be formed in a conventional circular or polygonal tube shape,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neck flange.
  • the sputum splash prevention device can be used for a one-time purpose.
  • the end of the tube coupled to the neck flange is, due to the nature of the tracheostomy tube,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neck flange, or to protrude in a short length, or to protrude in a long length as shown,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protrudes in a long length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erves to separate the sputum splash prevention device from the tracheostomy tube and use it.
  • the support bridge when in the form of a pad, it also serves to guide the guide tube while preventing sputum emitted from the end of the tube from splashing left and right.
  • the cover plate 20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tube 110 in front of the pair of support bridges 10, is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ube, and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tube It also serves to block some of the discharged sputum from being ejected by jumping forward.
  • the cover plate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pair of support bridges and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form of conventional protrusions and grooves.
  • the guide tube 30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ont and rear are penetra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ube 110 of the cover plate 120 to protrude the front.
  • the guide tube serves to guide most of the sputum ejected from the tube.
  • the diameter of the guide tube is preferably the same as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ube, and when it has a larger diameter, sputum ejected from the tube can be smoothly guided.
  • the blocking cap 40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to open and close the guide tube 30 by being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plate 20 and a flexible string or wire, or a rope or band-shaped connecting member 42 . .
  •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ver plate to prevent loss of the blocking cap, and serves to provide convenience of use.
  • the blocking cap is detached by an interference fi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tube.
  • the blocking cap is to prevent the sputum splashing through the tube from splashing toward the front side, and is cover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tube and fixedly coupled.
  • the blocking cap blocks the sputum ejected through the guide tube, thereby fundamentally preventing the sputum bouncing through the tube of the tracheostomy tube from being ejected by the anterior side.
  • the blocking cap blocks the tip of the guide tube to prevent it from creating an unsanitary environment due to sputum caused by coughing, etc. This is to prevent situations in which you may feel disgusted by not doing so in advance.
  • the blocking cap 40 that is tightly fitted to the guide tube 30 has a protrusion 50A that can be cau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tube 3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guide tube 30. It is preferable to form a groove (50B)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50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cap (40), so that it clicks and fits and is fixed during the forced fitting.
  •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complicated technical configuration, but can create a hygienic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a patient wearing a tracheostomy tube by a simple technical configuration, as well as prevent sputum from splashing even to a person facing the patient in particular, resulting in a sense of disgust
  • a tracheostomy tube it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anyone can comfortably approach a patient wearing a tracheostomy tube and have a sense of stability while maintaining a clean and hygienic stat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uide tube 30 and the blocking cap 40 further include forming each screw 50C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be detachably provided by a screw coupling method.
  • the blocking cap 40 when the blocking cap 40 is screwed to the guide tube 30 by a screw coupling method by a screw, the blocking cap 40 is rotatably provided to the connecting member 42 .
  • the rotatabl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cap in th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40A of a conventional form formed on the blocking cap 4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40A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42 to rotate It is provided rotatably by the coupling hole (40B) provided operably.
  • a conventional piece to rotate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2 to the blocking cap 40 .
  • it can be fixed with bolts.
  • the blocking cap is screwed to the guide tub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blocking cap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tube even when a patient coughs heavily while wearing a tracheostomy tube, so sputum from coughing is also a source of origin. can be prevented with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ir of support bridges 10 further include those that are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neck plate 120 by a conventional detachable protrusion 60A and a detachable groove 60B.
  • the detachable protrusion 60A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support bridge 10 in the form of an arrowhead or a spherical shape on an insertion pin, and the detachable groove 60B corresponds to the detachable protrusion of the neck plate 120 . It is formed in a slit groove or a narrower diameter than the sphere so that the end does not come off easily after the detachabl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to be detachably provided.
  • the sputum splash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one-time use, but can be reused through washing, washing, or sterilization in a conventional manner. can hav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putum receiver is in the form of a pocket provided with rings, strings, rubber bands, Velcro tapes (aka: snaps), etc. on both sides, and it is a common form that can be hung or tied to a support bridge or neck plate and a guide tube or cover plate, etc. .
  • This sputum receiver allows sputum falling to the lower part of the gap spaced between the end of the tube and the cover plate to be collected without falling to the lower floor, and can be used more hygienically with the sputum splash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patient wearing a tracheostomy tube to prevent sputum from splashing out through the open part of the tracheostomy tube due to coughing, etc., thereby keep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lean due to the prevention of sputum splashing. It can be applied and used in the medical field because it can prevent phlegm from splashing even to the person facing the patient with the effect and not to have aver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한 환자가 기침 등으로 인해 그 기관절개 튜브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가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본 발명은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한 환자가 기침 등으로 인해 그 기관절개 튜브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가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절개술은 경부의 앞 부분을 절개하여 기관에 구멍을 만들고 그곳에 기관절개 튜브를 삽입하여 공기를 들어 숨을 쉴 수 있게 만드는 시술을 말한다.
상기한 기관절개술은 원래 상부 기도, 특히 인두·후두의 협착 또는 폐색 때문에 일어나 호흡곤란이 발생할 때에 시술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최근에는 기관지 내의 분비물이 객출(喀出)되지 않는 경우나 장기간의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에도 시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기관절개술이 행해진 후에는 그 절개된 부분에 기관절개 튜브를 삽입하여 기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관절개술 후 그 절개된 부분이 삽입되는 기관절개 튜브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647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넥 플레이트와 외측튜브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넥 플레이트와 외측튜브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이 결합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기관용 튜브 카테터와 같은 기술이 게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923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언어능력(speech), 연하(swallowing) 및 발성(vocalization) 훈련을 위해 기관절개술 튜브를 폐쇄하는 기관절개술 튜브용 폐색구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900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기관 내에 기관절개 튜브가 배치된 상태에서 로딩 카터테를 삽입과 인출이 부드럽과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관절개 튜브로부터 부속품을 제거하는 시스템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에 있어, 기관 절개 구멍에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 후, 그 기관절개 튜브의 끝단은 호흡을 위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게 됨에 따라 착용한 환자들의 기침 등으로 인해 가래가 외부로 튀어 방출됨에 따라 그 튄 가래를 직접적으로 맞은 사람에게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은 물론 주변 환경 또한 비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한 환자가 기침 등으로 인해 그 기관절개 튜브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가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가래 튐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캡 고정시 더욱더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기관절개 튜브의 끝단과 가래 튐 방지장치 사이로 흘러내리는 가래의 수거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환자가 착용한 기관절개 튜브의 개방된 끝단으로부터 기침 등으로 인해 가래가 외부로 튀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래 튐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래 튐 방지장치는 튜브의 양측 넥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 브릿지(bridge); 상기 한 쌍의 지지 브릿지 전방에 튜브의 끝단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튜브와 대응되는 위치의 중앙에 전후로 관통되어 전면을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관;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측면과 유연성을 가지는 연결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관을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차단 캡;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관과 차단 캡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와 홈에 의해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탈착되거나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가이드 관에 차단 캡이 나사 결합시 연결 부재에 차단 캡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 브릿지는 넥 플레이트로부터 탈착 돌기와 탈착 홈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튜브 끝단 사이의 하부에 가래 받이가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한 환자가 기침 등으로 인해 그 기관절개 튜브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가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래 튐 방지로 인한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특히 환자와 마주하는 사람에게도 가래가 튀는 것을 방지하여 혐오감을 가지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또한, 가래 튐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캡 고정시 더욱더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심한 기침에도 차단 캡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기관절개 튜브의 끝단과 가래 튐 방지장치 사이로 흘러내리는 가래의 수거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자의 주변 환경을 더욱더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기관절개 튜브는 상부 기도, 특히 인두·후두의 협착 또는 폐색 때문에 일어나 호흡곤란이 발생하거나 기관지 내의 분비물이 객출(喀出)되지 않는 경우나 장기간의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에 호흡 등을 위해 시술되는 도구의 일종이다.
여기서, 통상적인 기관절개 튜브(100)는 환자의 기관에 삽입되는 튜브(110)와, 상기 튜브(110)가 중앙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결합되며 양측 단에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튜브가 회전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환자의 목에 감는 끈이 연결되는 넥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기관절개 튜브는 항시 튜브의 끝단이 개방되어 있는 관계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착용한 환자의 기침 등으로 인해 가래가 외부로 튀어 방출됨에 따라 그 튄 가래를 직접적으로 맞은 사람에게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은 물론 주변 환경 또한 비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한 환자가 기침 등으로 인해 그 기관절개 튜브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가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1)는 한 쌍의 지지 브릿지(10), 커버 플레이트(20), 가이드 관(30) 및 차단 캡(40)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한 쌍의 지지 브릿지(10)는 튜브(110)의 양측 넥 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착용자의 호흡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튜브(110)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갖는 높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가래 튐 방지장치(1)를 기관절개 튜브(100)의 넥 플레이트(120)에 설치를 위한 기초적인 기술적 구성이다.
상기에서, 한 쌍의 지지 브릿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통상적인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관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넥 플랜지에 일체로 형성하여 가래 튐 방지장치를 일회성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넥 플랜지에 결합 되는 튜브 끝단은 기관절개 튜브의 특성상, 상기 넥 플랜지와 같은 면상을 이루거나 혹은 짧은 길이로 돌출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길이로 돌출될 수 있는 것으로, 본원에서는 긴 길이로 돌출된 예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와같이 가래 튐 방지장치만을 기관절개 튜브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겸한다.
아울러, 지지 브릿지가 패드 형태일 경우, 튜브의 끝단으로부터 튀어 방출되는 가래 등이 좌우로 튀는 것 또한 방지하면서 가이드 관으로의 안내하는 역할도 가진다.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한 쌍의 지지 브릿지(10) 전방에 튜브(110)의 끝단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튜브의 단면적 보다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튜브의 끝단에서 튀어 방출되는 일부의 가래가 전방 측으로 튀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겸한다.
상기에서, 커버 플레이트는 한 쌍의 지지 브릿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통상적인 돌기와 홈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그로 인해 튜브를 통하여 튀어 방출되는 가래의 일부가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가이드 관을 형성할 수 있는 베이스 역할을 한다.
가이드 관(3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의 튜브(110)와 대응되는 위치의 중앙에 전후로 관통되어 전면을 돌출 형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가이드 관은 튜브로부터 튀어 방출되는 대부분의 가래가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관의 직경은 튜브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큰 직경을 가질 경우, 튜브로부터 튀어 방출되는 가래가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차단 캡(4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의 측면과 유연성을 가지는 끈이나 와이어, 또는 로프나 띠 형태의 연결 부재(42)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관(30)을 개폐하기 위해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연결 부재는 차단 캡의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커버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 캡은 가이드 관의 외면에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탈착된다.
즉, 상기 차단 캡은 튜브를 통하여 튀는 가래가 전방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 관의 외면으로 씌워져 결합 고정된다.
그로 인해 가이드 관을 통하여 튀어 방출되는 가래를 상기 차단 캡이 막아 줌으로써, 기관절개 튜브의 튜브를 통하여 튀는 가래가 전방 측으로 튀어 방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한 환자가 기침 등이 유발될 때, 차단 캡을 가이드 관의 끝단을 막아 차단함으로써, 기침 등에 의한 가래로 인한 비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주변 사람에게도 튀지 않아 혐오감을 가질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관(30)에 억지 끼워마춤되는 차단 캡(40)은 착용자의 기침이 심할 경우, 가이드 관(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가이드 관(30)의 외면에 걸릴 수 있는 돌기(50A)를 형성하고, 상기 차단 캡(40)의 내면에는 상기 돌기(50A)와 대응되는 형태의 홈(50B)을 형성하여, 억지 끼워마춤 시 딸각하고 끼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심한 기침에도 차단 캡이 가이드 관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하여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한 환자로부터 위생적인 주변환경을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환자와 마주하는 사람에게도 가래가 튀는 것을 방지하여 혐오감을 가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한 환자에게도 누구나가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청결한 위생상태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환자의 심한 기침에도 가이드 관으로부터 차단 캡이 분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가이드 관(30)과 차단 캡(4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통상적인 각각의 나사(50C)를 형성하여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나사에 의한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가이드 관(30)에 차단 캡(40)이 나사 결합시 연결 부재(42)에 차단 캡(40)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에서 차단 캡의 회전 가능한 기술적 구성은 차단 캡(40)에 형성되는 통상적인 형태의 결합 돌기(40A)와, 상기 연결 부재(42)의 단부에 상기 결합 돌기(40A)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 공(40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42) 상에서 차단 캡(40)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다른 기술적 구성으로는 상기 차단 캡(40)에 연결 부재(42)의 끝단을 회전가능 하도록 통상적인 피스(나사못, 40B-1) 또는 볼트로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가이드 관에 차단 캡이 나사 결합됨으로 인해 환자가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한 상태에서 심한 기침에도 차단 캡이 가이드 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환자의 기침으로 인한 가래가 튀는 것 또한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서, 본 발명의 가래 튐 방지장치를 기관절개 튜브로부터 탈착 가능한 기술적 구성 또한 제공한다.
한 쌍의 지지 브릿지(10)는 넥 플레이트(120)로부터 통상적인 탈착 돌기(60A)와 탈착 홈(60B)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탈착 돌기(60A)는 지지 브릿지(10)의 각 끝단에 끝단이 화살촉 또는 삽입 핀 상에 구 형태 등으로 형성되며, 상기 탈착 홈(60B)은 넥 플레이트(120)의 상기 탈착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탈착 돌기가 삽입된 후 끝단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슬릿 홈 또는 상기 구 보다는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구비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가래 튐 방지장치를 기관절개 튜브의 넥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일회성이 아닌, 가래 튐 방지장치를 사용 후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세정이나 세척 또는 살균 등을 통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일회성에 비하여 우수한 경제성을 가지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튜브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는 호흡 등을 위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이므로 이 이격된 틈을 통하여 혹여 떨어지는 가래를 받아 치울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커버 플레이트(20)와 튜브(110) 끝단 사이의 하부에 가래 받이(70)가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가래 받이는 양측에 고리 또는 끈이나 고무줄, 벨크로 테이프(일명: 찍찍이) 등이 구비되는 포켓 형태로 지지 브릿지 또는 넥 플레이트와 가이드 관이나 커버 플레이트 등에 걸거나 묶어서 사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형태이다.
이러한 가래 받이는 튜브의 끝단과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이격된 틈의 하부로 떨어지는 가래가 하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모아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가래 튐 방지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더욱더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부가적인 기술적 구성이다.
그로 인해 본 발명과 함께 가래 받이에 의해 더욱더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관절개 튜브를 착용한 환자가 기침 등으로 인해 그 기관절개 튜브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가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래 튐 방지로 인한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특히 환자와 마주하는 사람에게도 가래가 튀는 것을 방지하여 혐오감을 가지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어 의료분야에 적용 및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2)

  1. 환자가 착용한 기관절개 튜브의 개방된 끝단으로부터 기침으로 인해 가래가 외부로 튀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래 튐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래 튐 방지장치는,
    튜브의 양측 넥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 브릿지(bridge);
    상기 한 쌍의 지지 브릿지 전방에 튜브의 끝단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튜브와 대응되는 위치의 중앙에 전후로 관통되어 전면을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관;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측면과 유연성을 가지는 연결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관을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차단 캡;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관과 차단 캡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와 홈에 의해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탈착되거나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가이드 관에 차단 캡을 나사 결합시 연결 부재 상에서 차단 캡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 브릿지는 넥 플레이트로부터 탈착 돌기와 탈착 홈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튜브 끝단 사이의 하부에 가래 받이가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PCT/KR2020/018153 2020-01-15 2020-12-11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WO202114556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593 2020-01-15
KR1020200005593A KR102169882B1 (ko) 2020-01-15 2020-01-15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5567A1 true WO2021145567A1 (ko) 2021-07-22

Family

ID=7313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153 WO2021145567A1 (ko) 2020-01-15 2020-12-11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9882B1 (ko)
WO (1) WO2021145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882B1 (ko) * 2020-01-15 2020-10-2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KR102519436B1 (ko) 2022-11-25 2023-04-10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관절개관에 장착할 수 있는 비산 분비물 포집 및 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2599A1 (de) * 1997-09-06 1999-03-18 Tracoe Gesellschaft Für Medizinische Bedarfsgegenstände Mbh Tracheotomiekanüle mit schild
KR20140103546A (ko) * 2013-02-18 2014-08-27 김원철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CN206587252U (zh) * 2016-12-16 2017-10-27 中国医科大学附属盛京医院 气管切开术后防痰液喷溅防护罩
KR20190001483U (ko) * 2017-12-11 2019-06-19 황영희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KR102169882B1 (ko) * 2020-01-15 2020-10-2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5360B2 (en) 2009-10-22 2014-08-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am action detachment for tracheostomy tube
KR101166475B1 (ko) 2011-11-02 2012-07-19 이규봉 기관용 튜브 카테터
KR101409236B1 (ko) 2012-09-20 2014-06-1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기관절개술 튜브용 폐색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2599A1 (de) * 1997-09-06 1999-03-18 Tracoe Gesellschaft Für Medizinische Bedarfsgegenstände Mbh Tracheotomiekanüle mit schild
KR20140103546A (ko) * 2013-02-18 2014-08-27 김원철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CN206587252U (zh) * 2016-12-16 2017-10-27 中国医科大学附属盛京医院 气管切开术后防痰液喷溅防护罩
KR20190001483U (ko) * 2017-12-11 2019-06-19 황영희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KR102169882B1 (ko) * 2020-01-15 2020-10-2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882B1 (ko)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45567A1 (ko) 기관절개 튜브용 가래 튐 방지장치
US6079409A (en) Intubating laryngeal mask
Brain et al. The laryngeal mask airway: development and preliminary trials of a new type of airway
JP2706567B2 (ja) 経口的な喉頭および食道の盲操作案内および照準装置
RU2355433C2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ндотрахеальной трубки
US9272108B2 (en) Oxygen mask
Vollmer et al. Use of a lighted stylet for guided orotracheal intubation in the prehospital setting
WO2009025843A1 (en) Laryngeal airway nerve monitor
WO2022055079A1 (ko)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US8464710B1 (en) Device for aiding intubation
Zura et al. Use of the Aintree intubation catheter® in a patient with an unexpected difficult airway
WO2000009180A3 (fr) Tube endotracheal de v. a. pervak
WO2018124387A1 (ko) 진정하 내시경 시술을 위한 후두마스크 기도확보기
WO2022025712A1 (ko) 기관 삽관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가이드 키트
WO2023085681A1 (ko)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WO2012070858A2 (ko) 탈부착식 내시경 가이드를 가지는 후두경
KR20170011595A (ko) 의료용 마우스피스
CN211409438U (zh) 无痛胃镜检查气道管理系统
WO2012077920A2 (ko)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CN204798552U (zh) 一种通气道及辅助气管导管置入装置
McCluskey et al. Alternative techniques for tracheal intubation
CN214050103U (zh) 一种双层套管式防吸入鼻咽通气管
Wong et al. Lighted stylet-guided intubation via the intubating laryngeal airway in a patient with Hallermann-Streiff syndrome
WO2018194430A1 (ko)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WO2012157991A1 (ko) 요도삽입장치 보조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141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141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