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18324A1 -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18324A1
WO2021118324A1 PCT/KR2020/018271 KR2020018271W WO2021118324A1 WO 2021118324 A1 WO2021118324 A1 WO 2021118324A1 KR 2020018271 W KR2020018271 W KR 2020018271W WO 2021118324 A1 WO2021118324 A1 WO 20211183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udca
tumor
benzimidaz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27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연성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EP20899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74316A4/en
Priority to CN202080085117.8A priority patent/CN114867482A/zh
Priority to JP2022531419A priority patent/JP7376718B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7444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96456B1/ko
Publication of WO20211183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18324A1/ko
Priority to US17/833,095 priority patent/US2022029661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4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85Pyrazines or piper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 Chemotherapy is one of the main methods of cancer treatment therapy, and generally refers to the treatment of cancer using one or more anticancer agents (chemotherapeutic agents).
  • anticancer drugs are characterized by inhibiting mitosis, and inhibit cell proliferation by targeting rapidly dividing cancer cells. Some anticancer drugs stop cell division, and some anticancer drugs trigger apoptosis to kill cells. Apart from these traditional chemotherapy, many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vide a more targeted therapy.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ursodeoxycholic acid (UDCA) and a benzimidazole-based compound.
  • UDCA ursodeoxycholic acid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UDCA (ursodeoxycholic acid) and a benzimidazole-based compound.
  • UDC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DCA, TUDCA and GUDCA.
  • benzimidazole-based compoun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nbendazole, albendazole, mebendazole and flubendazole.
  • composition according to 1 abov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tamin E tocopherol, vitamin E succinate, and omega 3.
  • the cancer is liver cancer, testicular cancer, glioblastoma, oral cancer, basal cell cancer, brain tumor, gallbladder cancer, biliary tract cancer, colorectal cancer, laryngeal cancer, retinocytoma, ampulla Barter cancer, bladder cancer, peritoneal cancer, adrenal cancer, Non-small cell lung cancer, tongue cancer, small cell lung cancer, small intestine cancer, meningioma, esophageal cancer, renal pelvic ureter cancer, renal cancer, malignant bone tumor, malignant soft tissue tumor, malignant pimple tumor, malignant melanoma, eye tumor, urethral cancer, stomach cancer, breast cancer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aryngeal cancer, cervical cancer, endometrial cancer, uterine sarcoma, prostate cancer, metastatic brain tumor, rectal cancer, vaginal cancer, spinal cord tumor, salivary gland cancer, tonsil cancer, squamous cell cancer, lung cancer an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UDCA (ursodeoxycholic acid) and a benzimidazole-based compound. There is this.
  • UDCA ursodeoxycholic acid
  • 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MTT assay process.
  • Figure 2 confirms the anticancer effect on cervical cancer by comparing the cell viability of HeLa cells in each treatment group.
  • 3 is a comparison of the cell viability of Hepa cells in each treatment group and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confirming the anticancer effect on liver cancer.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FIG. 3 as a single straight line graph.
  •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counting of the number of living cells of Hepa cells in each treatment group, confirming the anticancer effect on liver cancer.
  • FIG. 8 shows the results of FIG. 7 as a single straight line graph.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ursodeoxycholic acid (UDCA) and a benzimidazole-based compound.
  • UDCA ursodeoxycholic acid
  • UDCA is an abbreviation of ursodeoxycholic acid.
  • UDC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th UDCA, TUDCA (Tauroursodeoxycholic acid) in which UDCA is conjugated with taurine, and GUDCA (Glycoursodeoxycholic acid) in which UDCA is conjugated with glycine (Glycine). do.
  • the UDCA, TUDCA or GUDCA may be a synthetic product or may b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nutria gallbladder, and may include a component recombined after extraction of a water-soluble compon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method may use an extraction method known in the art without limitation.
  • freeze-dried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extraction of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Resin Z-802: 99% extraction in the case of CDCA, HPLC extraction, ultrafiltration extraction,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extraction, capillary electrophoresis extraction method
  •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enzimidazole-based compound may be, for example, fenbendazole, albendazole, mebendazole, or flubendazole, and any benzimidazole-based compound used as an anthelmintic may be possi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bination of UDCA and the benzimidazole-based compound may be variously selected, for exampl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UDCA, GUDCA, TUDCA, and fenbendazole, albendazole, mebendazole, and flubendazole exemplified above may be used. Available.
  • TUDCA may be used as UDCA
  • fenbendazole may be used as a benzimidazole-based compound.
  • the content ratio of UDCA and the benzimidazole-based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UDCA and benzimidazole may be included in a molar ratio of 1: 0.5 to 5.
  • the molar ratio is 1: 0.5 to 5, 1: 0.5 to 4, 1: 0.5 to 3, 1: 1 to 5, 1: 1 to 4, 1: 1 to 3, 1: 1 to 2.5, 1 : 1.5 to 5, 1: may be 2 to 2.5,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ratio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dministration patient or clinical tria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vitamin E tocopherol, vitamin E succinate or omega 3.
  • the size of the tumor may be reduced and the anticancer efficacy may be further improved.
  • the mixing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when it further contains vitamin E succinate and omega 3, the molar ratio of UDCA, benzimidazole-based compound, vitamin E succinate, and omega 3 is, for example, 1: 0.5 to 5 : 0.5 to 3: 0.1 to 2, 1: 0.5 to 3: 0.5 to 1.5: 0.2 to 1.5, 1: 0.8 to 2.8: 0.8 to 1.2: 0.4 to 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y cancer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liver cancer, testicular cancer, glioblastoma, oral cancer, basal cell cancer, brain tumor, gallbladder cancer, biliary tract cancer, colorectal cancer, laryngeal cancer, retinocytoma, Enlarged Barter cancer, bladder cancer, peritoneal cancer, adrenal cancer, non-small cell lung cancer, tongue cancer, small cell lung cancer, small intestine cancer, meningioma, esophageal cancer, renal pelvic ureter cancer, renal cancer, malignant bone tumor, malignant soft tissue tumor, malignant pimple tumor, malignant melanoma , eye tumor, urethral cancer, gastric cancer, breast cancer, uterine cancer, pharyngeal cancer, cervical cancer, endometrial cancer, uterine sarcoma, prostate cancer, metastatic brain tumor, rectal cancer, vaginal cancer, spinal cord tumor, salivary gland cancer, tonsil cancer,
  • the UDCA, benzimidazole-based compound may be us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a compound, a water-soluble extract, a recombinant thereof, etc. according to the desired formula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 those commonly used, such as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 hydroxybenzoate, propyl 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a surfactant, and othe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s.
  •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a surfactant, and othe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s.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99.9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composition, which may be controlled by clinical tri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eg, application or intravenous, subcutaneous, or intraperitoneal injection), for example, oral administration or administration via inj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UDCA benzimidazole-based anthelmintic agents, etc.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rally administe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minister and take in a more convenient metho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nticancer drugs that require administration methods such as intratumoral administration and vascular administra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liver, including the UDCA-based compound, so it is possible to reduce liver damage caused by taking the drug, and the side effects thereof may be small.
  • the anticancer synergistic effect of the UDCA-based compound due to the anticancer synergistic effect of the UDCA-based compound, the effect is superior to tha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only the benzimidazole-based compound, and it can be easily taken as an oral drug, so it is expected that the medication compliance will also be excellent.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oft capsules, pills, and the like.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tc.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are included.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eye drops, eye ointments, syrups, suppositories, aerosols, etc.
  • compositions for topical administration may be anhydrous or aqueous according to clinical prescription, and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etc.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absorp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body, the age, sex, and degree of obesity of the patient,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er 1 kg of body weight per day is generally administered to adults at 0.0001 to 500 mg/kg, preferably 0.001 to 500 mg/kg.
  • can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 the above dosage and administration metho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a specific counting method is as follows.
  • Dead cells/ml No. of dead cells / No. of squares counted x Dilution factor x 100
  • the degree of cytotoxicity is evaluated through the MTT assay.
  • Total protein was obtained from the cells with a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buffer. Proteins were digested on an 8-12% polyacrylamide gel and transferred to a nitrocellulose membrane. As a blocking buffer, 5% nonfat dry milk, 1% Tween-20, in 20 mM TBS, pH 7.6 was used, and incubated with the primary antibody in the blocking buffer.
  • the primary antibody is an antibody obtained from Cell Signaling Technology in the USA or other countries
  • the secondary antibody is anti-mouse or anti-rabbit IgG bound to HRP, obtained from GE Healthcare, Little Chalfont, UK.
  • HeLa cells are cervical cancer cell lines.
  • HeLa cells were treated with no treatment (NT), doxorubicin-treated group (Doxo), fenbendazole-treated group (Fen), and TUDCA.
  • One group (TUDCA) and a group treated with a mixture of fenbendazole and TUDCA (Fen+TUDCA) were compared to compare cell viability over time (24h, 48h) after treatment.
  • TUDCA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1000 ⁇ M, fenbendazole 1.2 ⁇ M, and doxorubicin at a concentration of 10 ⁇ M, and the fenbendazole and TUDCA mixture was mixed at the same dose, and all treatment groups were treated with the same dose.
  • Hepa1c1c7 Murin hepatoma cell
  • Hepa cells Murin hepatoma cell
  • Fenbenda means a mixture of 1.2 ⁇ mol of sol and 200 ⁇ mol of TUDCA (1.2+200), a mixture of 1.2 ⁇ mol of fenbendazole and 500 ⁇ mol of TUDCA (1.2+500), a mixture of 1.2 ⁇ mol of fenbendazole and 1000 ⁇ mol of TUDCA (1.2+1000), each Each treatment group was treated with a concentration of 100 nM. The ratio of the mixture was 1:1 unless otherwise specified.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FIG. 3 as a dotted line graph, and the results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3 .
  • This experiment compared cell viability by treating liver cancer cell lines with a mixture of fenbendazole and UDCA, fenbendazole and TUDCA, and fenbendazole and GUDCA, and DMSO was treated as a control.
  • This experiment confirmed cell viability by treating liver cancer cell lines with various mixtures containing cisplatin, doxorubicin, paclitaxel, and fenbendazole, which are used as conventional anticancer drugs.
  • FIG. 8 shows the results of FIG. 7 as a single straight line graph
  • Table 2 below shows the data of FIGS. 6 and 7 as values
  • FIGS. 6 and 7 show the average of the three experimental values as a graph.
  • the pH3 protein confirmed in this experiment is a protein that increases when the cell cycle is interrupted, and a clear band appears due to an increase in the pH3 protein means that the cell cycle is effectively stop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DCA,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혼합물로서 항암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기대되고 기존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에 비해 세포 독성이 적어 부작용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수많은 연구가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에 해당하고, 암의 정복은 의료 과학에서 큰 도전과제로 남아있다. 화학 요법은 암 치료 요법의 주요 방법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항암제(화학요법제)를 사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수의 항암제는 유사분열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빠르게 분열하는 암세포를 표적으로 하여 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 일부 항암제는 세포가 분열하는 것을 중단시키기도 하고, 일부 항암제는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촉발하여 세포를 사멸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화학 요법과는 별개로 더욱 표적화된 요법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암의 치료를 위하여 이용되는 현재까지의 다양한 항암제는 대부분 독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 요법은 신장 독성, 간 독성, 심한 구역 및 구토, 골수 억제, 탈모, 혈구 감소증 등의 많은 부작용이 있어 인체에 해롭지 않으면서도 항암효과가 큰 신규한 항암제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UDCA(ursodeoxycholic acid)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1. UDCA(ursodeoxycholic acid)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UDCA는 UDCA, TUDCA 및 GUDC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약학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은 펜벤다졸, 알벤다졸, 메벤다졸 및 플루벤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약학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UDCA와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은 1: 0.5 내지 5의 몰비로 포함되는 약학 조성물.
5. 위 1에 있어서, 상기 UDCA는 TUDCA이고, 상기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은 펜벤다졸인 약학 조성물.
6. 위 1에 있어서, 비타민 E 토코페롤, 비타민 E 숙신산염 및 오메가 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 위 1에 있어서, 비타민 E 숙신산염 및 오메가 3를 더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8. 위 7에 있어서, 상기 UDCA,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 비타민 E 숙신산염 및 오메가 3는 1: 0.5 내지 5: 0.5 내지 3: 0.1 내지 2의 몰비로 포함되는 약학 조성물.
9. 위 1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고환암, 교모세포종, 구강암, 기저세포암, 뇌종양, 담낭암, 담도암, 대장암, 후두암, 망막세포종, 바터팽대부암, 방광암, 복막암, 부신암, 비소세포폐암, 설암, 소세포폐암, 소장암, 수막종, 식도암, 신우요관암, 신장암, 악성골종양, 악성연부조직종양, 악성핌프종, 악성흑색종, 안종양, 요도암, 위암, 유방암, 욱종, 인두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자궁육종, 전립선암, 전이성뇌종양, 직장암, 질암, 척수종양, 침샘암, 편도암, 편평상피세포암, 폐암 및 항문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약학 조성물.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또는 자궁경부암인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UDCA(ursodeoxycholic acid)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항암제로 쓰이고 있는 치료제에 비해 항암효과는 더 우수하고 부작용은 적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MTT assay 과정을 플로우차트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각 처리군에서 HeLa cell의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여 자궁경부암에 대한 항암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각 처리군에서 Hepa cell의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여 퍼센트로 나타낸 것으로, 간암에 대한 항암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결과를 취합하여 하나의 직선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각 처리군에서 Hepa cell의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여 퍼센트로 나타낸 것으로, 간암에 대한 항암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6은 각 처리군에서 Hepa cell의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여 퍼센트로 나타낸 것으로, 간암에 대한 항암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7은은 각 처리군에서 Hepa cell의 살아있는 세포 수를 카운팅하여 나타낸 것으로, 간암에 대한 항암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결과를 취합하여 하나의 직선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웨스턴 블롯 분석을 통해 pH3 단백질을 확인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UDCA(ursodeoxycholic acid),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UDCA는 ursodeoxycholic acid의 약어로, 본 발명에 따른 UDCA는 UDCA, UDCA에 타우린(Taurine)이 컨쥬게이션된 TUDCA(Tauroursodeoxycholic acid) 및 UDCA에 글리신(Glycine)이 컨쥬게이션된 GUDCA(Glycoursodeoxycholic acid)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UDCA, TUDCA 또는 GUDCA는 합성산물이거나 뉴트리아 쓸개로부터 분리 동정될 수 있고, 수용성 성분의 추출 후 재조합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뉴트리아 쓸개로부터 추출되는 경우, 구체적으로 뉴트리아 담즙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방법은 당 분야에 공지된 추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결 건조 추출, 열수 추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추출, 레진 Z-802: CDCA인 경우 99% 추출, HPLC 추출, ultrafiltration 추출,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추출, capillary electrophoresis 추출 방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은 예를 들어, 펜벤다졸, 알벤다졸, 메벤다졸 또는 플루벤다졸일 수 있으며, 구충제로 쓰이는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이면 모두 가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UDCA와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의 조합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예시한 UDCA, GUDCA, TUDCA, 그리고 펜벤다졸, 알벤다졸, 메벤다졸, 플루벤다졸의 모든 가능한 조합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UDCA로 TUDCA,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로는 펜벤다졸을 사용할 수 있다.
UDCA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의 함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UDCA와 벤즈이미다졸이 1: 0.5 내지 5의 몰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몰비가 1: 0.5 내지 5, 1: 0.5 내지 4, 1: 0.5 내지 3, 1: 1 내지 5, 1: 1 내지 4, 1: 1 내지 3, 1: 1 내지 2.5, 1: 1.5 내지 5, 1: 2 내지 2.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율은 투여 환자 또는 임상적인 시도에 따른 결과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비타민 E 토코페롤, 비타민 E 숙신산염 또는 오메가 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종양의 크기가 줄어들어 항암 효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비타민 E 토코페롤, 비타민 E 숙신산염 및 오메가 3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비타민 E 토코페롤, 비타민 E 숙신산염 및 오메가 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비타민 E 토코페롤 및 오메가 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비타민 E 숙신산염 및 오메가 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혼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비타민 E 숙신산염 및 오메가3를 더 포함하는 경우, UDCA,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 비타민 E 숙신산염 및 오메가 3의 몰비가 예를 들어 1: 0.5 내지 5: 0.5 내지 3: 0.1 내지 2, 1: 0.5 내지 3: 0.5 내지 1.5: 0.2 내지 1.5, 1: 0.8 내지 2.8: 0.8 내지 1.2: 0.4 내지 1.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예방 또는 치료 대상인 암으로는 모든 암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간암, 고환암, 교모세포종, 구강암, 기저세포암, 뇌종양, 담낭암, 담도암, 대장암, 후두암, 망막세포종, 바터팽대부암, 방광암, 복막암, 부신암, 비소세포폐암, 설암, 소세포폐암, 소장암, 수막종, 식도암, 신우요관암, 신장암, 악성골종양, 악성연부조직종양, 악성핌프종, 악성흑색종, 안종양, 요도암, 위암, 유방암, 욱종, 인두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자궁육종, 전립선암, 전이성뇌종양, 직장암, 질암, 척수종양, 침샘암, 편도암, 편평상피세포암, 폐암 및 항문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간암 또는 자궁경부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UDCA,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은 목적으로 하는 제형에 맞게 합성물, 수용성 추출물, 이의 재조합물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예컨대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99.9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는 임상적인 실험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도포 또는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주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경구 투여 또는 주사제를 통한 투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UDCA, 벤즈이미다졸 계열 구충제 등은 경구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이에 종양 내 투여, 혈관 투여 등의 투여 방법을 요하는 종래의 항암제에 비해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투여, 복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UDCA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여 간 보호의 효과가 있어, 약 복용에 의한 간 손상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한 부작용이 적을 수 있다. 또한 UDCA 계열 화합물의 항암 시너지 효과로 인해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 만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보다 효과가 우수하고, 경구제로 간편하게 복용이 가능하여 복약 순응도 역시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캡슐제, 환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점안제, 안연고제,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안연고제, 점안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 라스마제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국소 투여의 조성물은 임상적 처방에 따라 무수형 또는 수성형일 수 있고,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비만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당 본 발명의 조성물을 1일 0.0001 내지 5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0㎎/㎏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 및 투여 방법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 방법
1. 세포 수 카운팅 방법
세포를 배양하여, 신선한 배지에 세포를 재부유 시킨다. 세포 현탁액에서 200μL를 얻은 후, 희석계수 2X의 트립신 블루 10μL를 첨가한다.
커버슬립이 포함된 혈구계수판(hemocytometer)을 준비하여, 각 챔버를 현탁액으로 채워 세포 수를 카운팅한다. 구체적인 카운팅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Live cells/ml= No. of cells counted / No. of squares counted x Dilution factor x 1000
2) Dead cells/ml= No. of dead cells / No. of squares counted x Dilution factor x 100
3) Percentage Viability= No. of live cells / Total No. of cells x 100
2. 세포 배양
무균 환경(클린 벤치, 오토클레이브, 70% Ethanol 등)을 조성하고, 세포 성장 배지(DMEM, FBS, Glutamine, Penicillin/Streptomycin)를 준비한다. 상기 조건에서 세포를 확인하여 배양한다.
3. MTT assay
도 1에서 나타낸 플로우 차트와 같이, MTT assay를 통해 세포 독성 정도를 평가한다.
4. 웨스턴 블롯 평가
TUDCA 등으로 처리된 Hepa cell 또는 Hela cell에서 pH3 단백질의 생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롯 평가를 수행하였다.
총 단백질은 방사선 면역침강법(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버퍼로 세포로부터 획득하였다. 단백질은 8 내지 12%의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에서 분해되어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으로 옮겼다. 블로킹 버퍼는 5% nonfat dry milk, 1% Tween-20, in 20 mM TBS, pH 7.6를 사용하였고, 상기 블로킹 버퍼에서 1차 항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1차 항체는 USA 또는 다른 나라의 Cell Signaling Technology로부터 획득한 항체이고, 2차 항체는 항마우스 또는 항토끼의 IgG가 HRP와 결합된 것으로, GE Healthcare, Little Chalfont, UK로부터 획득하였다.
이후 웨스턴 블롯 분석법으로 밴드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1. HeLa cell의 세포 생존율 비교
(1) HeLa cell은 자궁경부암 세포주로, 본 실험에서는 HeLa cell에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군(NT), 독소루비신을 처리한 군(Doxo), 펜벤다졸을 처리한 군(Fen), TUDCA를 처리한 군(TUDCA) 및 펜벤다졸과 TUDCA의 혼합물을 처리한 군(Fen+TUDCA)로 구분하여 처리 후 시간 경과(24h, 48h)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TUDCA는 1000μM, 펜벤다졸은 1.2μM, 독소루비신은 10μM 농도로 처리하였고, 펜벤다졸과 TUDCA 혼합물은 각각 상기 농도를 동일 용량으로 혼합하고 모든 처리군은 동일 용량으로 처리한 것이다.
(2)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항암제로 사용되는 독소루비신의 효과와 비교하였을 때, 처리 후 24h, 48h에서 펜벤다졸, TUDCA, 펜벤다졸과 TUDCA의 혼합물이 모두 독소루비신보다 세포 사멸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더욱 항암효과가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펜벤다졸과 TUDCA 혼합물 처리군의 경우 모든 시간에서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2. Hepa cell의 세포 생존율 비교
(1) 본 발명에서 간암세포주는 모두 Murin hepatoma cell(Hepa1c1c7) 세포주를 사용하였고, 이하 Hepa cell이라고 한다. 본 실험에서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NT), 펜벤다졸 처리군(Fen), TUDCA 200μmol 처리군(TUDCA 200), TUDCA 500μmol 처리군(TUDCA 500), TUDCA 1000μmol 처리군(TUDCA 1000), 펜벤다졸 1.2μmol 및 TUDCA 200μmol의 혼합물(1.2+200), 펜벤다졸 1.2μmol 및 TUDCA 500μmol의 혼합물(1.2+500), 펜벤다졸 1.2μmol 및 TUDCA 1000μmol의 혼합물(1.2+1000)을 의미하고, 각 처리군은 각각 농도를 100nM로 맞추어 처리한 것이다. 혼합물의 비율은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1:1로 혼합하였다.
(2)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간암 세포주에서 모든 처리군의 경우 NT 군에 비해 모두 세포 사멸 효과가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펜벤다졸과 TUDCA의 혼합물을 처리한 군에서 효과가 가장 우수했다. TUDCA의 농도가 높은 혼합물일수록 48h에서의 세포 사멸 효과, 즉 항암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결과를 점선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결과는 상기 도 3과 같다.
3. 펜벤다졸 및 UDCA 화합물 처리군에서의 Hepa cell 생존율 비교
(1) 본 실험은 펜벤다졸과 UDCA, 펜벤다졸과 TUDCA, 펜벤다졸과 GUDCA 혼합물을 간암 세포주에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비교한 것으로, 대조군으로는 DMSO를 처리하였다.
(2) 도 5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혼합물을 처리한 군에서 모두 세포 사멸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고, 펜벤다졸 및 TUDCA 혼합물에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펜벤다졸 및 TUDCA 혼합물 처리 후 72h 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0%에 가깝게 나타났다. 하기 표 1은 본 실험의 결과를 값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5는 하기 표의 평균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PCTKR2020018271-appb-img-000001
4. 다양한 혼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 비교
(1) 본 실험은 기존 항암제로 사용되는 시스플라틴, 독소루비신, 파클리탁셀과 펜벤다졸을 포함하는 다양한 혼합물을 간암 세포주에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것이다.
(2)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처리 후 24h, 48h에서의 결과를 보면 기존 항암제 처리군에 비해 펜벤다졸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처리한 군에서 세포 사멸 효과가 비슷하거나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펜벤다졸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항암효과가 우수하다는 의미이며, 처리 후 72h의 경우 펜벤다졸과 TUDCA를 70:30 혼합물로 처리한 군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0%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펜벤다졸과 TUDCA의 혼합물에서 펜벤다졸의 혼합비가 높을수록 항암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결과를 하나의 직선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하기 표 2는 도 6 및 7의 데이터를 값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6 및 7은 3번의 실험 값의 평균을 그래프로 나타냈다.
[표 2]
Figure PCTKR2020018271-appb-img-000002
5. 웨스턴 블롯 평가
(1) 본 실험에서 확인한 pH3 단백질은 세포주기가 중단될 때 증가하는 단백질로, pH3 단백질이 증가하여 밴드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은 세포 주기가 효과적으로 중단된 것을 의미한다.
(2) 펜벤다졸과 TUDCA가 함께 처리된 군에서 웨스톤 블롯 결과 밴드가 뚜렷하게 어두워 진 것을 통해 pH3 단백질이 현저하게 증가된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암세포주의 세포주기가 중단된 것으로 항암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펜벤다졸과 TUDCA 혼합물 처리군에서 밴드가 가장 진하고 뚜렷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펜벤다졸, TUDCA 단독 처리군에 비해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암세포주의 세포주기 중단이 더 잘되는 것으로, 항암효과가 더 좋다고 할 수 있다.

Claims (10)

  1. UDCA(ursodeoxycholic acid)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DCA는 UDCA, TUDCA 및 GUDC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은 펜벤다졸, 알벤다졸, 메벤다졸 및 플루벤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DCA와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은 1: 0.5 내지 5의 몰비로 포함되는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DCA는 TUDCA이고, 상기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은 펜벤다졸인 약학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비타민 E 토코페롤, 비타민 E 숙신산염 및 오메가 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비타민 E 숙신산염 및 오메가 3를 더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UDCA, 벤즈이미다졸 계열 화합물, 비타민 E 숙신산염 및 오메가 3는 1: 0.5 내지 5: 0.5 내지 3: 0.1 내지 2의 몰비로 포함되는 약학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고환암, 교모세포종, 구강암, 기저세포암, 뇌종양, 담낭암, 담도암, 대장암, 후두암, 망막세포종, 바터팽대부암, 방광암, 복막암, 부신암, 비소세포폐암, 설암, 소세포폐암, 소장암, 수막종, 식도암, 신우요관암, 신장암, 악성골종양, 악성연부조직종양, 악성핌프종, 악성흑색종, 안종양, 요도암, 위암, 유방암, 욱종, 인두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자궁육종, 전립선암, 전이성뇌종양, 직장암, 질암, 척수종양, 침샘암, 편도암, 편평상피세포암, 폐암 및 항문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약학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또는 자궁경부암인 약학 조성물.
PCT/KR2020/018271 2019-12-13 2020-12-14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1118324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99362.6A EP4074316A4 (en) 2019-12-13 2020-12-14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N202080085117.8A CN114867482A (zh) 2019-12-13 2020-12-14 用于预防或治疗癌症的药物组合物
JP2022531419A JP7376718B2 (ja) 2019-12-13 2020-12-14 癌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組成物
US17/833,095 US20220296611A1 (en) 2019-12-13 2022-06-06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966 2019-12-13
KR20190166966 2019-12-13
KR1020200174443A KR102496456B1 (ko) 2019-12-13 2020-12-14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174443 2020-12-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833,095 Continuation US20220296611A1 (en) 2019-12-13 2022-06-06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324A1 true WO2021118324A1 (ko) 2021-06-17

Family

ID=7633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271 WO2021118324A1 (ko) 2019-12-13 2020-12-14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96611A1 (ko)
JP (1) JP7376718B2 (ko)
WO (1) WO202111832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5430A (zh) * 2022-03-18 2022-07-01 浙江大学 芬苯达唑类似物及制备方法和应用
CN115006349A (zh) * 2022-04-20 2022-09-06 南昌大学抚州医学院 一种阿苯达唑类脂质体的制备方法及应用
WO2023242599A1 (en) * 2022-06-17 2023-12-21 Ravan Bio Limited A benzimidazole compound with antihelminthic activity for use in reversing, arresting or slowing down cellular ageing in a vertebrate subje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0302A2 (en) * 2009-10-22 2011-04-2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ethods and nutritional formulations to increase the efficacy and reduce the side effects of cancer treatment
KR20110088007A (ko) * 2010-01-28 2011-08-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우루소데옥시콜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20082659A1 (en) * 2007-10-02 2012-04-05 Hartmut Land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ed To Synergistic Responses To Oncogenic Mutations
KR20160117033A (ko) * 2015-03-31 2016-10-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알벤다졸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3177A1 (en) * 2007-03-20 2008-09-25 Centre De Recherche Sur Les Biotechnologies Marines Compositions compris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 monoglycerides or derivatives thereof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2659A1 (en) * 2007-10-02 2012-04-05 Hartmut Land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ed To Synergistic Responses To Oncogenic Mutations
WO2011050302A2 (en) * 2009-10-22 2011-04-2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ethods and nutritional formulations to increase the efficacy and reduce the side effects of cancer treatment
KR20110088007A (ko) * 2010-01-28 2011-08-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우루소데옥시콜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17033A (ko) * 2015-03-31 2016-10-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알벤다졸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AM DANIEL, PELED ALPHA, SHINITZKY MEIR: "Suppression of tumor growth and metastasis by dietary fish oil combined with vitamins E and C and cisplatin", CANCER CHEMOTHERAPY AND PHARMACOLOGY, vol. 47, no. 1, 1 January 2001 (2001-01-01), pages 34 - 40, XP055820786, ISSN: 0344-5704, DOI: 10.1007/s002800000205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5430A (zh) * 2022-03-18 2022-07-01 浙江大学 芬苯达唑类似物及制备方法和应用
CN115006349A (zh) * 2022-04-20 2022-09-06 南昌大学抚州医学院 一种阿苯达唑类脂质体的制备方法及应用
WO2023242599A1 (en) * 2022-06-17 2023-12-21 Ravan Bio Limited A benzimidazole compound with antihelminthic activity for use in reversing, arresting or slowing down cellular ageing in a vertebrate su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6236A (ja) 2023-04-19
JP7376718B2 (ja) 2023-11-08
US20220296611A1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18324A1 (ko)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RU2567044C2 (ru) Ингибиторы 1 киназы контрольной точки клеточного цикла для усиления днк-повреждающих агентов
WO2013048158A2 (ko)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
KR20210103426A (ko) 담즙산 또는 이의 유도체, 바이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 및 항바이러스제 중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407431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N110063953A (zh) 一种治疗子宫内膜癌的药物组合物
WO2014042426A1 (ko) 사이코사포닌 a, 베르베린 및 리코이소플라본 b를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30150A2 (ko) 저근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 치료용 조성물
WO2019088749A1 (ko) 시넨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암 또는 위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142371A1 (ko)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08747A2 (ko) 토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WO2018012901A1 (ko) 사이클로 히스티딘-프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WO2012108743A2 (ko) 백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WO2012030142A2 (ko) 감송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 치료용 조성물
WO2012108746A2 (ko) 천초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CN112043698A (zh) 一组小分子药物在制备抑制肉瘤药物中的应用
WO2016035996A1 (ko)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독소루비신에 의한 심부전 또는 확장성 심근병증의 예방용 약학 조성물
WO2012134250A2 (ko) 감송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WO2021141465A1 (ko) 항암제에 의해 유도되는 이질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WO2016195297A1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
WO2023282544A1 (ko) Cdk4/6 억제제 및 삼환계 항우울제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WO2022098192A1 (ko) 한약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209261B (zh) 一种治疗放化疗后消化道复合症状群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3048508A1 (ko) 오메프라졸 갈변물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097794A1 (ko) 단삼 및 대황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93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3141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993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