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12397A1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12397A1
WO2021112397A1 PCT/KR2020/014258 KR2020014258W WO2021112397A1 WO 2021112397 A1 WO2021112397 A1 WO 2021112397A1 KR 2020014258 W KR2020014258 W KR 2020014258W WO 2021112397 A1 WO2021112397 A1 WO 20211123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resin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film
st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42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유정
정유정
박정현
장재규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80081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729164A/zh
Priority to EP20895995.7A priority patent/EP4071211A4/en
Priority to JP2022533131A priority patent/JP2023504657A/ja
Priority to US17/781,916 priority patent/US20230014582A1/en
Publication of WO20211123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123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7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B7/726Measuring properties of mixture, e.g. temperature or 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29B7/90Fillers or reinforcements, e.g. fibres
    • B29B7/92Wood chips or wood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4Anhydrides, e.g. cyclic anhydrides
    • C08F222/06Maleic anhyd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05Processes for mix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4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6Biodegradabl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J23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01/00 or C08J2303/00
    • C08J230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400/16Biodegradabl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4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J24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401/00 or C08J2403/00
    • C08J240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30Applications used for therm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Definitions

  •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ree components of polyethylene, biodegradable resin, and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and maleic anhydride copolymer blend resin is provided to improve compatibility and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f a film including the same can confirm that it can be d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폴리에틸렌, 생분해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를 포함하여 3성분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를 제공하여, 우수한 상용성과 기계적 물성의 제공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폴리에틸렌, 생분해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를 포함하여 3성분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를 제공하여, 우수한 상용성과 기계적 물성의 제공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plastic)은 뛰어난 물성과 함께 값싸고 가벼운 특성으로 인하여 천연소재가 가지는 한계를 벗어나 플라스틱을 중심으로 다양한 고분자물질이 개발되어 현대과학 문명을 구축해왔다. 플라스틱은 강하고 가볍고 질기며,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는 점이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성질로 인해 산업용 소재에서부터 일회용 소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의 강인성 및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오랜 기간 연구가 되어오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날로 심각해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이 문제되고 있고, 예를 들어, 맹독성 다이옥신의 검출 환경호르몬의 누출 등으로 인해 친환경 플라스틱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뿐만 아니라 비분해성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각국의 법률적인 규제의 기준도 점점 더 강화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 개발이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플라스틱 공업에서도 중요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분해성 플라스틱은 미국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에 따르면 특정 환경 조건에서 일정기간 동안 화학적 구조가 상당히 변화되어 그 성질 변화를 표준 시험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말하며, 광분해성, 생붕괴성,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나눌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광분해성 플라스틱이란, 광산화 또는 케톤 광분해 등의 형태로 빛에 의해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그러나, 광분해성 플라스틱은 빛에 의해 분해되므로 빛이 차단된 땅속에 매립 시 분해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생붕괴성 플라스틱이란, 비분해성의 일반적인 범용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에 전분 같은 생분해성 물질을 일정량 첨가하여 제조한 부분 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국내의 경우 생분해성 플라스틱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생붕괴성 플라스틱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별도로 구분하고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자체가 박테리아 조류 곰팡이와 같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물과 메탄가스로 완전히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예전에는 광분해성 플라스틱 또는 생붕괴성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개발이 중요한 사항으로 다루어지고 있다이는 원료면에서부터 천연의 식물자원을 사용하여 기존의 석유계 플라스틱과 구별될 뿐만 아니라, 자연계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만으로 완전 분해되는 청정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세계적인 추세도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주류를 이루면서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생분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생분해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상용성이 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생분해 수지로 예를 들어서, 전분의 경우 하이드록시(-OH)에 치환기를 도입하여 물성을 변화시키거나 라디칼을 생성하여 비닐계 모노머와 공중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하여 상용성을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용성이나 생분해성을 만족하는 수준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점에서 다소 한계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상용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생분해성은 물론 기계적 물성까지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 중에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3037호는 비혼화성인 폴리머 성분의 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필름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가소화된 천연 폴리머, 폴리올레핀, 생분해성 폴리머 및 동일한 폴리머 분자에 상용화제를 포함한다. 가소화된 천연 성분 및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이 다수상을 페트롤륨-베이스 올레핀 폴리머가 소수상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재생 가능한 천연 폴리머 성분을 포함한 필름으로 제조 가능함을 언급하고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5052호 (i) 생분해성 수지 (ii) 글루코오스 단위의 수산기(-OH기) 중 적어도 하나가 실란으로 소수화 처리된 전분 (iii) 생분해성 고분자에 무수말레산(Maleic anhydride, MA)을 그라프트시킨 그라프트 공중합체, 에폭시화된 오일 및 에폭시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멀칭 필름용 수지 조성물과 그 필름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에 필름의 가공성 및 멀칭 기능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필름의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03-0071056호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전분, 폴리에틸렌 수지, 디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무수말레인산 결합제 및 비닐실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마스터배치 수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에 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분을 분산시켜 성형 가공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수지내 포함된 전분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의 그라프트 중합을 통한 결합성 증대로 범용수지와의 혼련성이 우수하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생붕괴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조성물을 제공하여 우수한 상용성, 생분해성과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해성 수지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연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발 연구는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 역시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오랜 연구 끝에 완성하였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3037호 (2018.03.06)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5052호 (2017.07.03)
(특허문헌 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1056호 (2003.09.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분산성을 개선시키고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 필름을 제공하여, 공업용, 식품용, 농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10 내지 70 중량%, 생분해성 수지 10 내지 60 중량%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이 포함된 생분해성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필름은 공업용 필름, 식품용 필름, 농업용 필름, 생활용 필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10 내지 70 중량%, 생분해성 수지 10 내지 60 중량%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여, 용융블렌딩방법으로 제조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융블렌딩은 160℃ 내지 210℃에서 진행되며, 압출기, 니더, 브라벤더 플라스티코더, 믹싱롤 및 혼합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3 성분의 블렌드 수지를 제공하여 분산성을 개선시키고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포함한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의 경우, 공업용, 식품용, 농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기계적 물성은 물론 우수한 생분해성을 제공하여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분산성을 확인한 VMS(Video Meter System, 측정 배율 x160)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따른 분산성을 확인한 VMS(Video Meter System, 측정 배율 x160)결과이다.
도 3은 비교예 1에 따른 분산성을 확인한 VMS(Video Meter System, 측정 배율 x160)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LLDPE(한화케미칼社 M2010EA) 65 중량%, PBAT(GIOSOLTEC社 SOLPOL-1000) 7.5 중량%와 MA-PBAT (한화케미칼社, PBAT에 MA를 첨가한 후, dicumyl peroxide 를 포함하여 압출기로 자체 제조) 7.5 중량% 및 TPS(대상社 바이오닐) 20 중량%를 혼합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상기 혼합물을 압출기에 넣고 190℃의 믹싱존 온도에서 가열하여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제조되었고, 곧바로 압출하여 블로운 필름(blown film)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블로운 필름 가공 조건은 스크류(screw)가 40mmΦ, 다이(die)가 75mmΦ, 다이 갭(die gap)이 2mm이다. Screw의 속도는 180rpm이다.
실시예 2
MA-PBAT (한화케미칼社 자체 제조) 15 중량%를 포함하고, PBAT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1
PBAT 15 중량%를 포함하고, MA-PBAT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2
PBAT와 폴리락트산(PLA) 블렌드 수지를 100% 포함하여 진행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LLDPE 65 65 65 -
PBAT 7.5 - 15 -
MA-PBAT 7.5 15 - -
PBAT/PLA BLEND - - - 100
TPS 20 20 20 -
실험예 1
상기 표 1에 따른 조성비를 갖는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에 대하여 상용성과 분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VMS(Video Meter System, 측정배율 x160)을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상기 표 1에 따른 조성비를 갖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따른 필름에 대한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파괴 시험 시 인장강도(ASTM D882), 파괴 시험 시 인장신율(ASTM D882), 엘멘도르프 인열강도(ASTM D1004) 및 다트 낙하 충격 시험(dart drop impact test)(ASTM D1709)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필름물성 단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인장강도
MD Kg/cm2 330 370 330 450
TD Kg/cm2 160 200 120 230
연신율
MD % 340 310 350 60
TD % 350 500 410 330
인열강도 MD g 290 440 200 100
TD g 850 1020 790 140
낙하충격강도 낮은곳 g 60 170 20 100
본 발명에 따른 상용성과 분산성을 확인할 수 있는 도 1과 도 2의 경우, 비교예의 도 3에 비하여, 분산성을 개선되어 상용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 2의 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낙하충격강도값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인장강도는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에 비하여 연신율, 인열강도 및 낙하충격강도가 향상되었고,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가 공중합된 무수말레산(MA-PBAT) 함량 증가에 따른 분산성 및 기계적 물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생분해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블렌드 수지의 3 성분을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여 상용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포함하는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향상된 생분해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의 경우, 공업용, 식품용, 농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생분해성을 제공하여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함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Biodegradable)이란, 박테리아, 조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에 의해 물과 CO2 또는 CH4로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의미한다. 플라스틱 등의 성형 제품의 물리적 와해뿐만 아니라 고분자의 주쇄 절단에 의한 분자량 감소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생분해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3 성분의 컴파운드 조합을 통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폴리에틸렌은 비용이 저렴하고 기계적 물성과 가공성이 우수하지만 난분해성으로 인해 환경에 있어서 환경오염의 주원인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생분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수지 내 조성물의 분산성과 상용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10 내지 70 중량%, 생분해성 수지 10 내지 60 중량%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40 내지 70 중량%, 생분해성 수지 15 내지 30 중량%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면 생분해성에 문제가 있고, 40 중량% 미만인 경우 통상의 플라스틱이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 제공에 한계가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의 함량이 30%를 초과하면 다량의 Fume 및 다이 빌드-업(Die Build-up) 발생에 따른 가공성 저하 문제가 있으며, 15% 미만인 경우 생분해도 효과 및 경제적인 부분에서 불리하다. 그리고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40%를 초과하면 폴리에틸렌과 상용성에서 한계가 있고, 10 중량% 미만인 경우 상용성과 그에 의한 기계적 물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다. 따라서, 3 성분의 조합이 상기 범위로 제공하는 경우, 개선된 분산성과 향상된 상용성으로 현저하게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 및 도면의 결과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초저밀도폴리에틸렌(VLDPE, Very-low-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중간밀도폴리에틸렌(MDP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및 에틸렌비닐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이 제공되어 우수한 내충격성과 내구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 내지 1,000,000으로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300,000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열가소성 전분(TPS), 폴리락트산(PL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글리콜산(PGA),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PHB), 셀룰로오스 및 키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전분(TPS)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 및 폴리글리콜산은 지방족 폴리에스터에 해당하며 이들은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생체적합성 등의 특성을 제공한다. 특히, 폴리글리콜산의 경우, 고강도 및 고내열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의료용에서 특히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폴리에스테르에 해당하고 우수한 생분해성과 호기, 혐기, 퇴비 조건 등의 어떤 조건이라도 분해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는 천연 폴리에스터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 속하며 D-3-하이드록시-부틸릭산(D-3-hydroxy-butyric acid)이 직선상으로 연결된 단일 중합체이며 매우 다양한 세균들이 세포 내에 합성하는 에너지 저장물로서 녹말(starch) 또는 글리코겐(glycogen)과 같은 생물학적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셀룰로오스, 키틴과 천연고분자계 고분자의 경우, 생분해도가 우수하고 공급이 용이하며 무독성 같은 특성으로 인해 친환경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전분은 식물로부터 얻어지며,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 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과립상의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서, 쌀전분, 밀전분, 옥수수전분, 고구마전분, 감자전분, 타피오카전분, 카사바전분 및 이들의 변성 전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변성 전분이라 함은 전분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를 한 α-전분, 산처리전분, 산화전분, 양성전분, 에스테르전분, 에테르전분 등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분의 경우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을 구성되고 아밀로스의 글루코스에는 하이드록시(-OH)기를 포함하고 있어 친수성과 수소결합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는 생분해성 수지이면서 동시에 상용화제 역할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서,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를 포함한 블렌드 수지로 제공할 수 있고, 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수지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낮은 상용성으로 문제가 되어온 기계적 물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상기 무수말레산 공중합체는 무수말레산과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PBSA) 및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BS)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중합체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에 무수말레산 (MA)을 첨가한 후, 개시제로 과산화디큐밀(dicumyl peroxide)을 포함하여 압출기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는 지방족 글리콜로서 1,4-butanediol과 방향족 성분인 dimethyl terephthalate를 원료로 하여 에스테르반응과 축중합반응을 거쳐 얻어진 중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PBSA)는 기본 중합체(base polymer) 중 호박산, 아디핀산 및 1,4-부탄디올의 공중합물질의 함유율이 60% 이상인 합성수지를 의미한다. 더불어,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BS)는 1,4-butanediol succinic acid을 원료로 하여 에스테르반응과 축중합반응을 거쳐 얻어진 중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무수말레산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가 공중합된 무수말레산(MA-PBAT)이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폴리올레핀은 화학적 성질이 비극성으로 용매에 대한 내화학성 및 내약품성을 갖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극성을 갖는 열가소성 전분이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및 그 공중합체 등과 혼련성이 적어 상용성이 문제되었다. 따라서,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가 공중합된 무수말레산(MA-PBAT)을 도입함으로써 분산성을 개선시키고, 이에 상용성 향상에 따른 기계적 물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생분해성 수지이자 상용화제 역할을 하는 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도입을 통해 생분해성 수지가 갖는 낮은 인장강도 및 낙하충격 강도 향상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실시예 및 도면의 결과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100,000으로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50,000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용융온도는 100℃ 내지 130℃이며 상기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기준으로 190℃의 2.16Kg에서 0.01 내지 10 g/10min으로 제공된다. 상기 용융 온도는 통상적으로 측정되는 방법인 시차 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또는 동적 점탄성(DMA, dynamic mechanical analysis)로 측정될 수 있고, 상기 용융지수(MI)는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필름의 경우, 공업용 필름, 식품용 필름, 농업용 필름, 생활용 필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이 가능하며, 분산성이 개선되어 상용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기계적 물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특히, 인장강도, 연신율, 인열강도 및 낙하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우수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의 사용 후, 일정 조건을 갖춘 시설(Compost)에서 퇴비화될 수 있다. 또한, 부득이 연소시키더라도 발생 열량이 낮아서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의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의 두께는 상기 필름의 두께는 1 내지 50㎛으로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으로 제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또한, 전술한 수지 조성물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고, 중복되는 범위 내에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10 내지 70 중량%, 생분해성 수지 10 내지 60 중량%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40 내지 70 중량%, 생분해성 수지 15 내지 30 중량%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이 경우,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가 공중합된 무수말레산(MA-PBAT)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융블렌딩은 압출기, 니더(Kneader), 브라벤더 플라스티코더(Brabender Plasticorder), 믹싱롤(Mixing Roll) 및 혼합기에서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출기는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일축 스크류 및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을 제공하여 우수한 혼련성과 용이한 가공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융 블렌딩에서 투입하게 되는 각종 원료 물질에 따라서 공정 조건을 최적화시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용융 온도는 100℃ 내지 300℃ 가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10℃가 제공되며, 압출기 스크류의 회전 속도는 40rpm 내지 700rpm으로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100rpm 내지 200rpm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시켜 압착 성형필름 또는 블로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4)

  1. 폴리에틸렌 10 내지 70 중량%, 생분해성 수지 10 내지 60 중량%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중간밀도폴리에틸렌(M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및 에틸렌비닐공중합체(EVA)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열가소성 전분(TPS), 폴리락트산(PL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글리콜산(PGA),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PHB), 셀룰로오스 및 키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전분은 쌀전분, 밀전분, 옥수수전분, 고구마전분, 감자전분, 타피오카전분, 카사바전분 및 이들의 변성 전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말레산 공중합체는 무수말레산과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PBSA) 및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BS)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중합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 내지 300,000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용융온도는 100℃ 내지 130℃이며, 용융지수는 ASTM D1238기준으로 190℃의 2.16Kg에서 0.01 내지 10g/10min 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공업용 필름, 식품용 필름, 농업용 필름, 생활용 필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필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두께는 1 내지 50㎛인 생분해성 필름.
  11. 폴리에틸렌 10 내지 70 중량%, 생분해성 수지 10 내지 60 중량%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여, 용융블렌딩방법으로 제조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블렌딩은 160℃ 내지 210℃에서 진행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블렌딩은 압출기, 니더(Kneader), 브라벤더 플라스티코더(Brabender Plasticorder), 믹싱롤(Mixing Roll) 및 혼합기에서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일축 스크류 및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PCT/KR2020/014258 2019-12-05 2020-10-19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111239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81896.4A CN114729164A (zh) 2019-12-05 2020-10-19 生物降解性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20895995.7A EP4071211A4 (en) 2019-12-05 2020-10-19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2022533131A JP2023504657A (ja) 2019-12-05 2020-10-19 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17/781,916 US20230014582A1 (en) 2019-12-05 2020-10-19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36A KR20210070641A (ko) 2019-12-05 2019-12-05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9-0160636 2019-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397A1 true WO2021112397A1 (ko) 2021-06-10

Family

ID=7622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4258 WO2021112397A1 (ko) 2019-12-05 2020-10-19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14582A1 (ko)
EP (1) EP4071211A4 (ko)
JP (1) JP2023504657A (ko)
KR (1) KR20210070641A (ko)
CN (1) CN114729164A (ko)
WO (1) WO2021112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002A (ko) 2019-12-04 2021-06-14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775537B (zh) * 2021-07-21 2022-08-2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生物可分解保鮮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056A (ko) 2002-02-27 2003-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생분해성 마스터배치 수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생붕괴성 필름
JP2013067128A (ja) * 2011-09-26 2013-04-18 Krh Kk ストレッチフィルム製品
KR20170073819A (ko) * 2015-12-18 2017-06-29 주식회사 현진피오피 고분자 수지 분해조절을 위한 복합분해 제어용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및 발포시트
KR20170075052A (ko) 2015-12-22 2017-07-03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멀칭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멀칭 필름
KR20180023037A (ko) 2009-12-31 2018-03-0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천연 바이오폴리머 열가소성 필름
KR20190067320A (ko) * 2017-12-07 2019-06-17 전상민 친환경 분해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804A (ko) * 2014-04-09 2016-12-23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사일리지 필름
CN109880183A (zh) * 2019-03-12 2019-06-14 宁波百福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全生物降解特性的淀粉发泡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511544B (zh) * 2019-09-06 2021-06-11 三明百事达淀粉有限公司 一种生物可降解透气复合膜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056A (ko) 2002-02-27 2003-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생분해성 마스터배치 수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생붕괴성 필름
KR20180023037A (ko) 2009-12-31 2018-03-0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천연 바이오폴리머 열가소성 필름
JP2013067128A (ja) * 2011-09-26 2013-04-18 Krh Kk ストレッチフィルム製品
KR20170073819A (ko) * 2015-12-18 2017-06-29 주식회사 현진피오피 고분자 수지 분해조절을 위한 복합분해 제어용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및 발포시트
KR20170075052A (ko) 2015-12-22 2017-07-03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멀칭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멀칭 필름
KR20190067320A (ko) * 2017-12-07 2019-06-17 전상민 친환경 분해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71211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14582A1 (en) 2023-01-19
EP4071211A1 (en) 2022-10-12
JP2023504657A (ja) 2023-02-06
KR20210070641A (ko) 2021-06-15
CN114729164A (zh) 2022-07-08
EP4071211A4 (en)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12396A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1049390A2 (ko)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폴리올레핀 얼로이 조성물
WO2021112397A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5570B1 (ko) 단일-부위 촉매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히드록시 카르복실산) 혼화물
WO2022173073A1 (ko) 열가소성 전분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WO2018056539A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생분해성 물품
CN113845621B (zh) 一种增容剂及采用该增容剂的高淀粉含量全生物降解膜
Rodriguez-Uribe et al. Injection moldable hybrid sustainable composites of BioPBS and PHBV reinforced with talc and starch as potential alternatives to single-use plastic packaging
CN114573965B (zh) 一种高阻隔生物可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988400B (zh) 一种环保型可降解包装复合膜及其制备方法
WO2022092717A1 (ko)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831702B (zh) 可降解塑料餐盒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2060063A1 (ko) 표면처리된 부산석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707575A (zh) 一种多层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0130451A1 (ko) 생분해성 수지 컴파운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29427A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생분해성 수지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WO2023068459A1 (ko) 열가소성 전분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30157150A (ko) 쌀을 이용한 생분해성 시트용 수지 조성물
TW202409192A (zh) 生物可降解樹脂組合物、生物可降解樹脂成型品及其製造方法
WO2021015334A1 (ko)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Yampry Study of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ertiary Blend of Poly (lactic acid), Poly (hydroxybutyrate-co-hydroxyvalerate) and Thermoplastic starch
CN114685950A (zh) 一种光/生物双降解pbat膜及其制备方法
KR0150694B1 (ko) 분해성 수지 조성물
CN117247664A (zh) 一种医用生物可降解输液袋薄膜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200421B1 (ko) 생분해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59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3313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959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