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12358A1 - 프리코팅 여과기 - Google Patents

프리코팅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12358A1
WO2021112358A1 PCT/KR2020/008445 KR2020008445W WO2021112358A1 WO 2021112358 A1 WO2021112358 A1 WO 2021112358A1 KR 2020008445 W KR2020008445 W KR 2020008445W WO 2021112358 A1 WO2021112358 A1 WO 20211123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ter
coupled
filtration tank
purified water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84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종학
최창형
성상호
Original Assignee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5872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9259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029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00701B1/ko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421,66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958002B2/en
Publication of WO20211123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123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2Precoating the filter medium; Addition of filter aids to the liquid being filt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9/5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7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29/7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5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33/5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3Filter tubes connected to plates
    • B01D2201/0446Filter tubes connected to plates suspended from plates at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세척 작업시에는 강한 트위스트의 회전력에 의해 필터들에 부착된 여과재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탈리시켜 여과성능을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배수구가 구비되는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도부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덮개; 상기 상부덮개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정수배출관; 상기 상부덮개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탱크 내부에 위치하며, 중앙부에는 연통관이 연결되는 정수저장공간부; 상기 정수저장공간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결합판체; 및 상기 필터결합판체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프리코팅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 형태의 프리코팅필터에 의해 여과효율이 양호한 것은 물론, 고압의 역세척수와 필터회전장치의 정역 회전에 의해 프리코팅필터의 외측에 부착된 여과재와 이물질의 탈리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리코팅 여과기
본 발명은 프리코팅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역세척 작업시에는 강한 트위스트의 회전력에 의해 필터들에 부착된 여과재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탈리시켜 여과성능을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수처리방식은 처리원리에 따라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제거하는 생물학적 처리와, 약품을 사용하여 중금속을 제거하는 화학적 처리, 그리고 스크린 등 기계에 의한 협잡물 및 고형물 등을 제거하는 물리적 처리로 구분된다.
여기서 물리적 처리 중 하나인 여과공정은 오염물질을 함유한 원수를 여과장치에 유입시켜 별도의 여과재 또는 여과부재에 의해 오염물질을 걸러 깨끗한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특히 물리적 여과공정 중 하나인 프리코팅 여과기는 다수의 필터에 의해 여과가 이루어지는데, 필터의 외측에 코팅되는 여과재에 의해 여과가 이루어지고, 계속되는 여과에 의해 여과재의 공극이 막혀 여과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여과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일정 기간의 여과공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별도의 역세척 공정을 진행하게 되며, 이를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056048호 및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046880호가 있으며, 역세척 시 압축기(273)로부터 순간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필터유닛(250)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필터유닛(253)이 상하로 유동되도록 하며, 다수의 필터유닛(253)은 진동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흔들리면서 외측에 부착된 코팅재(C)가 제거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잦은 압축공기의 고압 분사로 인해 여과기 자체에 충격이 가해져 여과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여과포가 일부 찢어져 여과재가 정수와 함께 유입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서, 여과효율이 양호하면서도 프리코팅필터의 외측에 부착된 여과재와 이물질의 탈리효과가 향상되는 프리코팅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배수구가 구비되는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도부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덮개; 상기 상부덮개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정수배출관; 상기 상부덮개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탱크 내부에 위치하며, 중앙부에는 연통관이 연결되는 정수저장공간부; 상기 정수저장공간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결합판체; 및 상기 필터결합판체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프리코팅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결합판체에 회전력을 부여하고 프리코팅필터에 흔들림을 주어, 상기 프리코팅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필터회전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회전장치는, 상기 프리코팅필터가 정역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회전장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축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편심샤프트, 상기 편심샤프트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크랭크암 및 일단이 상기 크랭크암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정수저장공간부의 연통관에 결합되어 상기 정수저장공간부를 소정의 각도로 정역회전시키는 코아샤프트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수저장공간부는 35~45°의 각도만큼 정역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리코팅필터는, 내부가 중공부로 되어 원통형 형태로 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단부는 차단되는 여과포와, 상기 여과포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리코팅필터는,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여과포의 상단 외측에 끼워지며, 외측 하단부에 외측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결합판체에 체결되는 아웃캡과,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고 외측에 외측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여과포의 상단 내측에 끼워져 여과포를 아웃캡과의 사이에 압지 지지하는 이너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탱크의 일측에는 고압 분사부가 구비되고 여과탱크 내벽면에는 노즐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압 분사부에 발생하는 고압의 세척수 또는 에어가 상기 노즐부를 통해 프리코팅필터 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수배출관에는 역세척수공급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역세척수공급장치는, 고압의 역세척수를 여과포 내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여과포 외측에 부착된 이물질과 여과재를 탈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 형태의 프리코팅필터에 의해 여과효율이 양호한 것은 물론, 고압의 역세척수와 필터회전장치의 정역 회전에 의해 프리코팅필터의 외측에 부착된 여과재와 이물질의 탈리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프리코팅 여과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코팅 여과기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코팅 여과기의 여과탱크 내부를 분리한 상태의 간략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코팅 여과기의 원수분배부를 도시한 일부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코팅 여과기의 여과탱크 상부측을 분리하여 도시한 일부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코팅 여과기의 상부덮개와 필터결합판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코팅 여과기의 프리코팅필터가 필터결합판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코팅 여과기의 프리코팅필터의 구성품을 분리하여 도시한 일부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코팅 여과기의 필터회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코팅 여과기의 필터회전장치와 역세척수공급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예시도
본 발명은 일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배수구가 구비되는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도부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덮개; 상기 상부덮개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정수배출관; 상기 상부덮개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탱크 내부에 위치하며, 중앙부에는 연통관이 연결되는 정수저장공간부; 상기 정수저장공간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결합판체; 및 상기 필터결합판체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프리코팅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리코팅 여과기(100)는 여과탱크(110)와 원수분배부(115) 및 여과탱크(11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덮개(120)와 정수배출관(130), 그리고 상부덮개(12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정수저장공간부(140) 및 정수저장공간부(14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필터결합판체(150)와 프리코팅필터(160), 그리고 필터회전장치(170)와 역세척수공급장치(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여과탱크(110)는 공지와 마찬가지로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으로 되어, 일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11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여과탱크(110)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112)가 마련된다. 또한 어느 일측에는 여과재를 여과탱크(1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여과재공급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분배부(115)는 여과탱크(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원수유입구(111)와 연결되어 원수를 여과탱크(110)의 내부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원수분배부(115)는 여과탱크(110)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벽면분배관(116)과 벽면분배관(116)을 십자 형태로 가로지르며 연통 연결되는 십자분배관(117)을 포함한다. 벽면분배관(116)과 십자분배관(117)에는 횡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홈(118)이 형성되며, 절개홈(118)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부덮개(120)는 여과탱크(110)의 상부를 차단하기 위해 여과탱크(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도부에는 결합공(121)이 관통 형성된다.
정수저장공간부(140)는 상부덮개(1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여과탱크(110)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외측이 하단부측으로 만곡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중앙부에는 하단까지 연통되도록 연통관(141)이 연결 형성된다. 연통관(141)은 상부덮개(120)의 결합공(121)에 끼움 결합된다.
필터결합판체(150)는 정수저장공간부(140)의 하단부를 차단하도록 결합되며, 필터결합판체(150)에는 다수의 결합공(151)이 관통 형성된다.
프리코팅필터(160)는 필터결합판체(150)의 결합공(151)마다 각각 결합되어 여과탱크(110) 내부에 늘어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프리코팅필터(160)는 여과포(161)와 탄성체(162)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여과포(161)는 내부가 중공부로 되는 원통형 형태로 되어 상부는 개방되고 하단부는 차단되며, 전체적으로 미세기공을 가진다. 그리고 탄성체(162)는 여과포(161)의 하단부에서 상측까지 위치하도록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프리코팅필터(160)를 필터결합판체(150)에 결합하기 위해 아웃캡(163)과 이너캡(16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웃캡(163)은 내측으로 여과포(161)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외측걸림턱(163a)이 형성된다. 이너캡(164)은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여과포(161)를 가압하기 위한 외측가압돌기(164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프리코팅 여과기(100)에서 프리코팅필터(160)를 필터결합판체(150)의 결합공(151)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웃캡(163)을 필터결합판체(150)의 결합공(151)에 나사 결합시킨다. 아웃캡(163)은 하단 외측걸림턱(163a)이 필터결합판체(150)의 하단에 걸리면서 견고히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여과포(161) 내부에 탄성체(162)를 삽입하고, 탄성체(162)가 삽입된 여과포(161)의 상측 끝단을 아웃캡(16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시킨다. 여과포(161)의 상측 끝단을 아웃캡(163)의 외측으로 벌리고 여과포(161)의 내측으로 이너캡(164)을 가압하여 삽입하게 되면, 이너캡(164)의 외측가압돌기(164a)가 여과포(161)를 아웃캡(163)의 내측과의 사이에 견고하게 압지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리코팅필터(160)의 결합 순서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의 여과장치(100) 상부덮개(120) 상면에는 필터회전장치(17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필터회전장치(170)는 필터결합판체(150)와 프리코팅필터(160)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프리코팅필터(160)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필터결합판체(150)와 프리코팅필터(160)를 소정의 각도만큼씩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필터회전장치(170)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모터(171)가 구비되고, 회전모터(171)의 구동축에는 편심샤프트(172)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어 회전모터(171)의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편심샤프트(172)의 타단에는 크랭크암(173)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편심샤프트(171)의 회전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직선 운동하며, 크랭크암(173)의 타단에는 코아샤프트플랜지(174)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코아샤프트플랜지(174)의 타단은 상부덮개(120)의 결합공(121)에 결합되어 노출되는 정수저장공간부(140)의 연통관(141)의 외측을 감싸며 견고히 결합된다. 따라서 정수저장공간부(140)는 회전모터(171)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씩 정역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정역회전 각도는 35~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탱크(110)의 일측에는 고압의 에어를 발생시키는 고압 분사부(18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여과탱크(110)의 내벽면에는 고압 분사부(180)와 연결되는 노즐부(181)가 구비된다. 따라서 고압 분사부(180)로부터 고압의 세척수 또는 고압의 에어가 노즐부(181)를 통해 프리코팅필터(160) 측으로 분사된다.
또한, 정수배출관(130)을 통해 프리코팅필터(160)의 내측으로 고압의 역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역세척수공급장치(19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프리코팅필터(160) 내측으로 고압의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여과포(161)의 외측으로 고압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프리코팅필터(160)의 외측에 부착된 이물질과 여과재를 탈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프리코팅 여과기(100)는 원수의 여과를 위해 먼저 미세기공을 가지는 미립자의 여과재가 희석된 물을 여과탱크(110) 내부로 공급하여 가득 채우거나, 보통의 물이 가득 채워진 여과탱크(110)에 여과재를 공급하여 희석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정수배출관(130)과 결합된 별도의 고압 펌프를 가동시키면서 원수유입구(111)를 통해 물을 공급한다. 여과탱크(110)에 채워지는 물은 정수배출관(130) 측으로 고압으로 배출되면서, 여과탱크(110) 내부에 희석된 여과재는 프리코팅필터(160) 외측에 부착이 되고 코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원수유입구(111)를 통해 여과탱크(1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원수분배부(115)인 벽면분배관(116)과 십자분배관(117)으로 분배된다. 그리고 벽면 분배관(116)과 십자분배관(117)에 형성된 다수의 절개홈(118)을 통해 여과탱크(110) 내부에 골고루 분출되어 퍼지면서 여과재가 프리코팅필터(160)에 골고루 부착되게 된다.
프리코팅필터(160)의 외측에 여과재의 코팅공정이 완료되면, 원수유입구(111)를 통해 여과탱크(110) 내부로 여과하고자 하는 원수를 고압으로 공급한다. 공급되는 원수는 각각의 프리코팅필터(160)에 형성된 미세기공을 통해 정수배출관(130)으로 배출되는데, 프리코팅필터(160)의 외측에 코팅된 미세기공의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미세 이물질이 걸러지는 여과공정이 이루어진다.
여과공정에 의해 이물질과 분리된 정수는 각각의 프리코팅필터(160)의 내측을 통해 정수저장공간부(121)에 모아지게 되고, 모아진 정수는 정수배출관(130)으로 배출된다.
한편, 원수의 상태에 따라 상이할 수는 있으나,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여과공정이 이루어지면 여과재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의 양이 많아지면서 여과성능이 점차 저하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여과공정을 중지하고 역세척공정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원수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역세척수공급장치(190) 측에 구비되는 고압펌프를 가동함으로써, 정수배출관(130) 측을 통해 프리코팅필터(160) 측으로 역세척수가 고압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즉, 여과포(161) 내부로 공급되는 고압의 역세척수가 여과포(161)의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여과포(161)의 외측에 부착되었던 여과재와 이물질이 순간적으로 탈리되게 된다.
그리고 역세척수공급장치(190)의 역세척수 공급과 별도로, 또는 역세척수의 공급과 함께 필터회전장치(17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즉, 회전모터(171)의 작동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하면서 편심샤프트(172)도 일체로 회전을 하게 된다. 편심샤프트(172)가 회전하면서 힌지 결합된 크랭크암(173)이 소정의 간격만큼 당겨지게 되고, 동시에 크랭크암(173)의 끝단에 힌지 결합된 코아샤프트플랜지(173)도 크랭크암(173)의 작동 거리만큼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코아샤프트플랜지(173)가 당겨지면서 정수저장공간부(140)의 연통관(141)이 코아샤프트플랜지(173)의 작동 거리만큼 일체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을 하게 되고, 연통관(141)의 회전에 의해 정수저장공간부(140) 및 필터결합판체(150)와 프리코팅필터(16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을 한다.
계속되는 구동축과 편심샤프트(172)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거리만큼 당겨지던 크랭크암(173)이 다시 후퇴하면서 코아샤프트플랜지(173)도 소정의 거리만큼 밀게 되고, 코아샤프트플랜지(173)의 작동에 따라 연통관(14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연통관(141)의 회전에 의해 정수저장공간부(140) 및 필터결합판체(150)와 프리코팅필터(160)가 소정의 각도만큼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렇게 정수저장공간부(140)가 빠른 속도로 정역 회전함에 따라 하부측으로 길게 늘어진 프리코팅필터(160)가 자유자재로 흔들리게 되는데, 고압의 역세척수의 배출과 함께 여과포(161)의 흔들림에 의해서 여과포(161)의 외측에 부착되었던 여과재와 이물질이 탈리 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또한, 흔들리는 여과포(161)와 여과포(161)가 서로 부딪치는 충격에 의해 여과포(161)의 외측에 부착되었던 여과재와 이물질이 탈리 효과는 향상되게 된다.
아울러 역세척 공정에서 여과포(161) 외측의 여과재와 이물질의 탈리가 어느정도 이루어진 후, 여과탱크(110) 내부의 물을 배출시킨다. 그리고 고압 분사부(180)의 작동에 의해 고압의 세척수 또는 에어를 노즐부(181)를 통해 분사함으로써, 프리코팅필터(160)의 여과포(161) 외측에서 탈리되지 않고 남아 있던 여과재와 이물질을 탈리시켜 깨끗하게 세척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리코팅 여과기는 다수의 프리코팅필터(160)에 의한 여과공정으로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역세척수공급장치(190)에 의한 고압의 역세척수의 공급과 필터회전장치(170)에 의한 흔들림에 의해 여과재와 이물질의 탈리 효과가 향상되는 여과기이다.

Claims (11)

  1. 일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배수구가 구비되는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도부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덮개;
    상기 상부덮개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정수배출관;
    상기 상부덮개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탱크 내부에 위치하며, 중앙부에는 연통관이 연결되는 정수저장공간부;
    상기 정수저장공간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결합판체; 및
    상기 필터결합판체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프리코팅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팅 여과기에는,
    상기 필터결합판체에 회전력을 부여하고 프리코팅필터에 흔들림을 주어, 상기 프리코팅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필터회전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회전장치는,
    상기 프리코팅필터가 정역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회전장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축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편심샤프트,
    상기 편심샤프트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크랭크암 및
    일단이 상기 크랭크암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정수저장공간부의 연통관에 결합되어 상기 정수저장공간부를 소정의 각도로 정역회전시키는 코아샤프트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저장공간부는 35~45°의 각도만큼 정역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팅필터는,
    내부가 중공부로 되어 원통형 형태로 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단부는 차단되는 여과포와,
    상기 여과포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탄성체와,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여과포의 상단에 끼워지도록 하단부에 하측걸림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필터결합판체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측에 나사가 형성되는 상측결합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구와 연결되어 여과탱크의 내부에 위치하며, 원수를 여과탱크 내부에 골고루 공급하는 원수분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분배부는,
    상기 원수유입구와 연결되어 여과탱크 내벽면에 환형으로 설치되는 벽면분배관과, 상기 벽면분배관과 십자 형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십자분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원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탱크 내부에 골고루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분배관과 십자분배관에는 횡방향으로 절개홈이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의 일측에는 고압 분사부가 구비되고 여과탱크 내벽면에는 노즐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압 분사부에 발생하는 고압의 세척수 또는 에어가 상기 노즐부를 통해 프리코팅필터 측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부력재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탱크 내부의 물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고압 분사부와 노즐부가 연질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출관에는 역세척수공급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역세척수공급장치는,
    고압의 역세척수를 여과포 내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여과포 외측에 부착된 이물질과 여과재를 탈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코팅 여과기.
PCT/KR2020/008445 2019-12-03 2020-06-29 프리코팅 여과기 WO202111235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21,660 US11958002B2 (en) 2019-12-03 2020-06-29 [0001] Pre-coating filt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724 2019-12-03
KR1020190158724A KR102092599B1 (ko) 2019-12-03 2019-12-03 프리코팅 여과기
KR1020200002919A KR102100701B1 (ko) 2020-01-09 2020-01-09 흡입식 프리코팅 여과기
KR10-2020-0002919 2020-0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358A1 true WO2021112358A1 (ko) 2021-06-10

Family

ID=7622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8445 WO2021112358A1 (ko) 2019-12-03 2020-06-29 프리코팅 여과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58002B2 (ko)
WO (1) WO20211123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6787B (zh) * 2021-08-04 2022-06-01 康德納米科技有限公司 水塔濾水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185Y1 (ko) * 2000-02-11 2000-09-01 최수민 여과기용 에어주입 장치
KR20100002305U (ko) * 2008-08-25 2010-03-05 한규남 규조토를 이용한 압력식 프리코트 여과기의 여과필터 고정구조
KR20100116087A (ko) * 2009-04-21 2010-10-29 주식회사 에싸 여과장치
KR101471771B1 (ko) * 2013-06-19 2014-12-11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조류를 급속 분리하고 미세 슬러지를 여과하는 조류제거장치
KR102092599B1 (ko) * 2019-12-03 2020-03-2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프리코팅 여과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048B1 (ko) 2008-10-02 2011-08-11 이돈구 수영장 용수 정화시스템
KR101046880B1 (ko) 2010-02-04 2011-07-06 이승호 비닐봉지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185Y1 (ko) * 2000-02-11 2000-09-01 최수민 여과기용 에어주입 장치
KR20100002305U (ko) * 2008-08-25 2010-03-05 한규남 규조토를 이용한 압력식 프리코트 여과기의 여과필터 고정구조
KR20100116087A (ko) * 2009-04-21 2010-10-29 주식회사 에싸 여과장치
KR101471771B1 (ko) * 2013-06-19 2014-12-11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조류를 급속 분리하고 미세 슬러지를 여과하는 조류제거장치
KR102092599B1 (ko) * 2019-12-03 2020-03-2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프리코팅 여과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6787B (zh) * 2021-08-04 2022-06-01 康德納米科技有限公司 水塔濾水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80337A1 (en) 2022-03-17
US11958002B2 (en)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12358A1 (ko) 프리코팅 여과기
JP3208632B2 (ja) 箇水分離装置及び箇水分離方法
CN106110737A (zh) 一种从液体中去除杂质的装置以及清洗相应装置的方法
KR102143508B1 (ko) 흡입식 프리코팅 여과기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KR102100701B1 (ko) 흡입식 프리코팅 여과기
CN101124028A (zh) 旋转风扇压榨机
WO2019117370A1 (ko) 카세트타입 필터장치
US20070034562A1 (en) Washing device for pleated cartridges and filter comprising said device
KR102092599B1 (ko) 프리코팅 여과기
EP2760559B1 (de) Vorrichtung zum trennen eines heterogenen stoffgemisches sowie verfahren zur reinigung einer filtereinheit
WO2015160023A1 (ko) 하이브리드형 원심분리기
JPH06238265A (ja) 汚水処理装置
KR20180092419A (ko) 여과장치
KR100394319B1 (ko) 오수정화장치
JPH07241413A (ja) 回転ドラム型固液分離装置
CN107081001A (zh) 一种纤维滤盘过滤系统
CN209618946U (zh) 一种转盘式渗滤液污水加速分离器
KR102621052B1 (ko) 필터 정역회전에 의해 세척효율이 향상되는 프리코팅 여과기
JP3743888B2 (ja) 粒状濾材の濾過機能再生可能な濾過装置及び粒状濾材の濾過機能再生工程を有する濾過方法
JPH0761404B2 (ja) 液中の軽比重の浮遊物の除去装置
KR100279350B1 (ko) 여과장치 및 역세척 방법
JP2005046738A (ja) 粒状濾材の濾過機能再生可能な濾過装置および方法
KR20190071239A (ko) 카세트타입 필터장치
KR20110073223A (ko) 섬유사를 이용한 연속 유입식 여과 장치 및 역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64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964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